KR102355012B1 -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 Google Patents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12B1
KR102355012B1 KR1020210129047A KR20210129047A KR102355012B1 KR 102355012 B1 KR102355012 B1 KR 102355012B1 KR 1020210129047 A KR1020210129047 A KR 1020210129047A KR 20210129047 A KR20210129047 A KR 20210129047A KR 102355012 B1 KR102355012 B1 KR 10235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rifices
flow
bran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최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호 filed Critical 최종호
Priority to KR102021012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01D4/025Melt-blowing or solution-blow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65Hea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8Supporting spinnerettes or other parts of spinnerette pac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04H1/56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by melt-b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트 블로운 방식의 필터용 부직포를 생산하는데 있어 핵심인 다이헤드에 형성된 입구와 복수개의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된 다이헤드 부위에, 초항(a)이 상기 입구로서 1이고, 공비(r)가 2이며, 적어도 3번째 항을 가진 등비수열(a,ar,ar2,ar3,...)의 분기유로부과 그리고 분기유로부의 유로들 중에서 최종 n번째 항의 유로들의 유출구와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사이에 이들과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수렴유로부를 형성하되, 첫번째 항을 제외한 항들 각각에 해당하는 분기유로부의 유로들이 상기 입구를 사이에 두고 균등하게 배치되게 한 다이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멜트블로운 다이헤드{melt-blown die head}
본 발명은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멜트블로운 다이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헤드 팁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오리피스에 균일한 속도와 압력으로 PP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운 공법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하는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공법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하는 시스템는, 펠릿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들이 저장된 호퍼(1), 상기 호퍼(1)의 하부에서 자연낙하하여 배출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받아서 압출용융시키는 압출기(2), 상기 압출기(2)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함유된 고형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3), 상기 스크린(3)에서 배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를 교반하여 펌핑하는 기어펌프, 미터링 펌프와 같은 정량펌프(4), 상기 정량펌프(4)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유로(5a)와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5b)가 유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지 유로에 열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a)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충격을 주어 미세하게 미립화시키기 위해, 열풍이 유입되어 토출되는 열풍유로(5c)가 형성된 다이헤드(5), 상기 다이헤드(5)에서 미립화되어 분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를 정면에서 받아서 이동하여 소정된 두께의 부직포 시트가 형성되게 하는 컬렉터 벨트(6), 및 상기 컬렉터 벨트(6)에서 이송되는 부직포 시트를 웹 부직포 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이헤드(5)에는 상기 다이헤드(5)의 팁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b)가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b)의 토출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열풍유로(5c)의 토출구도,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b)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b)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5b)의 토출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다랗게 뻗은 슬릿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다이헤드(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막대형 다이헤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채꼴형 다이헤드가 있다.
상기 막대형 다이헤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다이헤드의 기단측 중앙에 형성된 입구를 통하여 상기 다이헤드 내로 유입되어 서로에 등을 진 방향으로 외측으로 이송된 다음, 되돌아 나와서 서로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마주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패턴을 가져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중 중앙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서 외측의 다른 오리피스들보다 긴 시간 동안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토출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상기 컬렉터 벨트(6) 상에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도포된 부직포 층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중 중앙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 마주하는 부직포 부위가 후육이 되고, 외측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 마주하는 부직포 부위가 박육이 되어, 상기 컬렉터 벨트(6)의 폭방향에서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부채꼴형 다이헤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다이헤드의 기단측 중앙에 형성된 입구를 통하여 상기 다이헤드 내로 유입되어 전방을 향하여 방사 바깥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마주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로 이송되는 이송패턴을 가져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중 외측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서 중앙 오리피스들보다 긴 시간 동안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토출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상기 컬렉터 벨트(6) 상에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도포된 부직포 층이 복수개의 오리피스 중 중앙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 마주하는 부직포 부위가 박육이 되고, 외측에 배치된 오리피스들에 마주하는 부직포 부위가 후육이 되어, 상기 컬렉터 벨트(6)의 폭방향에서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컬렉터 벨트(6)의 폭방향에서 상기 컬렉터 벨트(6) 상에 도포된 부직포의 두께 편차를 해결하기 위해, 부직포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하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지만, 기공율이 증대되어 기공의 크기가 1~10㎛를 가지는 KF94 등 고효율 마스크를 제조하는데 있어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열가소성 수지 재료의 낭비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한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멜트 블로운 방식의 필터용 부직포를 생산하는데 있어 핵심인 다이헤드에 형성된 입구와 복수개의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된 다이헤드 부위에, 초항(a)이 상기 입구로서 1이고, 공비(r)가 2이며, 적어도 3번째 항을 가진 등비수열(a,ar,ar2,ar3,...)의 분기유로부과 그리고 분기유로부의 유로들 중에서 최종 n번째 항의 유로들의 유출구와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 사이에 이들과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수렴유로부를 형성하되, 첫번째 항을 제외한 항들 각각에 해당하는 분기유로부의 유로들이 상기 입구를 사이에 두고 균등하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용융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다이헤드의 기단측 중앙에 형성된 입구를 통하여 상기 다이헤드 내로 유입되어 분기유로부를 거치면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과 이동속도가 균일화되면서, 상기 수렴유로부에 진입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의 이격방향에서 상기 컬렉터 벨트(6) 상에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도포된 부직포 층이 균일하게 되어, 결국, 상기 컬렉터 벨트(6)의 폭방향에서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헤드에 0.2mm~0.3mm의 수백개의 노즐(오리피스)를 분배하여 형성하여도 상기 오리피스에 유입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과 속도를 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뚜께를 일정하게 하여 고 품질의 마스크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멜트블로운 공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기존 막대형 다이헤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다이헤드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청색은 상대적으로 저속이고 적색은 상대적으로 고속임을 나타냄.
도 4는 기존 부채꼴형 다이헤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4의 다이헤드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청색은 상대적으로 저속이고 적색은 상대적으로 고속임을 나타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이헤드를 조립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7은 맨 우측에 도 6의 다이헤드에 형성된 유로와 오리피스에 유입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만을 토출측에서 보았을 때 도시한 상태에서, 도 6의 다이헤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다이헤드에 형성된 유로와 오리피스에 유입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만을 유입측에서 보았을 때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종 유로와 오리피스에 대한 부호가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부위들에 부여되어 도시되 개념 사시도, 및
도 9는 도 6의 다이헤드에서 토출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청색은 상대적으로 저속이고 적색은 상대적으로 고속임을 나타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이헤드가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실시예의 다이헤드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다이헤드(100)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하는 종래의 정량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입구유로(a)가 기단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유로(a)에 유통하는 분기유로부(10)가 형성된 제1블록(A); 상기 분기유로부(10)의 최종 유출측에 유통하는 수렴유로부(20)가 상기 제1블록(A)의 가로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록(A)의 전면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된 제2블록(B); 상기 다이헤드(100)의 가로방향으로, 즉 상기 수렴유로부(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수렴유로부(20)의 유출측에 유통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3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블록(B)의 전면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 상기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의 토출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의 토출측 외벽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되어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를 제공하는 열풍용 노즐블록(D); 상기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흡입측이 도시되지 않은 열풍원에 접속되고 토출측이 상기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에 접속되어 상기 열풍용 노즐블록(D)에 장착된 한 쌍의 열풍공급관(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블록(A)의 입구유로(a)에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0)가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블록(A)에 형성된 상기 분기유로부(10)는, 초항(a)이 상기 입구유로로서 1이고, 공비(r)가 2이며, 적어도 3번째 항을 가진 등비수열(a, ar, ar2, ar3,...) 패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첫번째 항을 제외한 항들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분기유로부(10)의 유로들이 상기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분기유로부(10)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째의 항을 가진 등비수열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기유로부(10)는, 상기 입구유로(a)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은 다음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로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및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상기 이격방향에 수직한 토출측 방향으로 뻗은 다음, 중력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뻗은 8 쌍의 제4분기유로(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는 전체적으로 채널단면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은, 상기 입구유로(a)의 도중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다음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었다가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유출측에서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1d);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도중에 유동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상향경사졌다가 하향경사진 상태로 개재된 완만경사유로(11b); 및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유출측과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1d)의 유입측 사이에 유동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상향경사졌다가 세로방향 아래로 뻗은 상태로 개재된 유속저감유로(11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M M' 자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1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되 상향경사지게 뻗은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경사도보다 낮은 제1경사도로 뻗었다가 상기 제1경사도보다 크고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경사도 보다 작은 경사도로 뻗은 완만경사유로부(12b); 상기 완만경사유로부(12b)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세로방향 아래로 절곡된 유속저감유로(12c); 및상기 유속저감유로(12c)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2d)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M M M M' 자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2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가로방향유로부(13a); 상기 가로방향유로부(13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반대방향으로 뻗은 제1세로방향유로부(13b); 제1세로방향유로부(13b)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되 상향경사지게 뻗은 가로방향경사유로부(13c);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3c)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세로방향 아래로 절곡된 유속저감유로(13d); 및 상기유속저감유로(13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3e)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8개의 대야 단면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3e)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유로저감유로(14a); 및 상기 유로저감유로(14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반대방향으로 뻗은 유통유로(14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 각각에 구비된 상기 유통유로(14b)들의 유출측은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에 유통하게 접속된 수렴유로부(20)의 유입측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기유로부(10)를 가진 다이헤드(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입구유로(a)를 통하여 제1블록(A) 내로 유입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는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를 통하여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2갈래로 균등분할되어 가로방향, 토출방향 및 중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유도 도중에 형성된 각종 절곡유로 부위에서 1차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와 압력이 균일하게 처리되게 하고, 이어서,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를 통하여,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4갈래로 균등분할되어 가로방향 및 중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유로 도중에 형성된 각종 절곡유로 부위에서 2차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와 압력이 균일하게 처리되게 하고, 이어서,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를 통하여,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8갈래로 균등분할되어 가로방향, 반중력방향, 가로방향 및 중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유도도중에 형성된 각종 절곡유로 부위에서 3차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와 압력이 균일하게 처리되게 하고, 이어서, 8 쌍의 제4분기유로(14)를 통하여,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16갈래로 균등분할되어 가로방향, 반중력방향, 가로방향, 토출방향 및 반중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유로도중에 형성된 각종 절곡유로 부위에서 4차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와 압력이 균일하게 처리되게 하고, 마지막으로 16갈래로 분리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들은 수렴유로부(20)에 합류하여 5차적으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와 압력이 균일하게 처리되게 하고 나서, 복수개의 오리피스(30)를 통하여 분사되게 된다.
이 때의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속도 상태를 색으로서 표시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상기 컬렉터 벨트(6) 상에 용융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도포된 부직포 층이 균일하게 되며, 결국, 상기 컬렉터 벨트(6)의 폭방향에서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이헤드(100)는 다이헤드에 0.2mm~0.3mm의 수백개의 노즐(오리피스)를 분배하여 형성하여도 상기 오리피스에 유입되는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압력과 속도를 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뚜께를 일정하게 하여 고 품질의 마스크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A: 제1블록, a: 입구유로, B: 제2블록, C: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 D: 열풍용 노즐블록, 1: 호퍼, 2: 압출기, 3: 스크린, 4: 정량펌프, 5: 다이헤드, 5a: 수지유로, 5b: 오리피스, 5c: 열풍유로, 6: 컬렉터 벨트,7: 와인더, 10: 분기유로부, 11: 한 쌍의 제1분기유로, 11a: 가로/토출방향유로부, 11d: 세로방향유로부, 11b: 완만경사유로, 11c: 유속저감유로, 12: 두 쌍의 제2분기유로, 12a: 가로방향경사유로부, 12b: 완만경사유로부, 12c: 유속저감유로, 12d: 세로방향유로부, 13: 네 쌍의 제3분기유로, 13a: 가로방향유로부, 13b: 제1세로방향유로부, 13c: 가로방향경사유로부, 13d: 유속저감유로, 13e: 세로방향유로부, 14: 8 쌍의 제4분기유로, 14a: 유로저감유로, 14b: 유통유로, 20: 수렴유로부, 30: 오리피스, 40: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 50: 한 쌍의 열풍공급관, 60: 온도센서, 70: 압력센서, 100: 다이헤드

Claims (6)

  1.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입구유로(a)가 기단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유로(a)에 유통하는 분기유로부(10)가 형성된 제1블록(A);
    상기 분기유로부(10)의 최종 유출측에 유통하는 수렴유로부(20)가 상기 제1블록(A)의 가로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록(A)의 전면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된 제2블록(B);
    상기 수렴유로부(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수렴유로부(20)의 유출측에 유통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3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블록(B)의 전면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된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
    상기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의 토출측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융 열가소성 수지용 노즐블록(C)의 토출측 외벽에 맞닿음하여 체결장착되어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를 제공하는 열풍용 노즐블록(D); 및
    상기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흡입측이 열풍원에 접속되고 토출측이 상기 2개의 슬롯형 오리피스(40)에 접속되어 상기 열풍용 노즐블록(D)에 장착된 한 쌍의 열풍공급관(50)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유로부(10)는, 초항(a)이 상기 입구유로로서 1이고, 공비가 2이며, 적어도 3번째 항을 가진 등비수열 패턴으로 되어 있으며,
    첫번째 항을 제외한 항들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분기유로부(10)의 유로들이 상기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유로부(10)는,
    상기 입구유로(a)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입구유로(a)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은 다음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로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방향으로 뻗은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및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의 유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에서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뻗었다가 상기 이격방향에 수직한 토출측 방향으로 뻗은 다음, 중력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뻗은 8 쌍의 제4분기유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는 전체적으로 채널단면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분기유로(11) 각각은,
    상기 입구유로(a)의 도중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다음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었다가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유출측에서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1d);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도중에 유동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상향경사졌다가 하향경사진 상태로 개재된 완만경사유로(11b); 및
    상기 가로/토출방향유로부(11a)의 유출측과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1d)의 유입측 사이에 유동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상향경사졌다가 세로방향 아래로 뻗은 상태로 개재된 유속저감유로(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M M' 자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두 쌍의 제2분기유로(12)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1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되 상향경사지게 뻗은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경사도보다 낮은 제1경사도로 뻗었다가 상기 제1경사도보다 크고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2a)의 경사도 보다 작은 경사도로 뻗은 완만경사유로부(12b);
    상기 완만경사유로부(12b)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세로방향 아래로 절곡된 유속저감유로(12c); 및
    상기 유속저감유로(12c)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M M M M' 자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네 쌍의 제3분기유로(13)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2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가로방향유로부(13a);
    상기 가로방향유로부(13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반대방향으로 뻗은 제1세로방향유로부(13b);
    제1세로방향유로부(13b)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되 상향경사지게 뻗은 가로방향경사유로부(13c);
    상기 가로방향경사유로부(13c)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세로방향 아래로 절곡된 유속저감유로(13d); 및
    상기유속저감유로(13d)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중력방향으로 뻗은 세로방향유로부(13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는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8개의 대야 단면 형상의 유로궤적을 가지며,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 각각은,
    상기 세로방향유로부(13e)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이격방향으로 뻗은 유로저감유로(14a); 및
    상기 유로저감유로(14a)의 유출측에 유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의 토출방향으로 뻗었다가 중력반대방향으로 뻗은 유통유로(14b)를 포함하며,
    상기 8 쌍의 제4분기유로(14) 각각에 구비된 상기 유통유로(14b)들의 유출측은 유출측이 상기 복수개의 오리피스(30)에 유통하게 접속된 수렴유로부(20)의 유입측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KR1020210129047A 2021-09-29 2021-09-29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KR10235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047A KR102355012B1 (ko) 2021-09-29 2021-09-29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047A KR102355012B1 (ko) 2021-09-29 2021-09-29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12B1 true KR102355012B1 (ko) 2022-01-21

Family

ID=8005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047A KR102355012B1 (ko) 2021-09-29 2021-09-29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453A (ja) * 1990-10-17 1994-03-17 エクソン・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メルトブロー・ダイ
KR200194856Y1 (ko) * 2000-01-11 2000-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직포 제조용 멜트블로잉 다이 조립체
US20020076460A1 (en) * 2000-12-20 2002-06-20 Rosaldo Fare Melt-blowing head and method for making polymeric material fibrils
KR20120008230A (ko) * 2010-07-16 2012-01-30 (주)엠엔에스 초극세 섬유 제조용 멜트-블로잉 전기방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453A (ja) * 1990-10-17 1994-03-17 エクソン・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メルトブロー・ダイ
KR200194856Y1 (ko) * 2000-01-11 2000-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직포 제조용 멜트블로잉 다이 조립체
US20020076460A1 (en) * 2000-12-20 2002-06-20 Rosaldo Fare Melt-blowing head and method for making polymeric material fibrils
KR20120008230A (ko) * 2010-07-16 2012-01-30 (주)엠엔에스 초극세 섬유 제조용 멜트-블로잉 전기방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3438A (en) Apparatus for making variegated soap base
JP2002317328A (ja) 多成分液体フィラメントを形成する装置
JP2009536693A (ja) 列形のフィラメント群を溶融紡績するための装置
KR20190073233A (ko) 교변압력 용융침적설비 및 용융침적방법
US6461133B1 (en) Breaker plate assembly for producing bicomponent fibers in a meltblown apparatus
JP3184804B2 (ja) コア/シース構造を有する複合繊維からスパンボンド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CN1322180C (zh) 用于生产长丝的装置
KR102355012B1 (ko) 멜트블로운 다이헤드
US6474967B1 (en) Breaker plate assembly for producing bicomponent fibers in a meltblown apparatus
JP6648381B2 (ja) 植物栽培用回転噴出式分水ホース
US20020094352A1 (en) Bicomponent filament spin pack used in spunbond production
JPH02289107A (ja) メルトブローン紡糸装置
JP6142703B2 (ja) メルトブローン用紡糸口金装置
US5869106A (en) Apparatus for making two-component fibers
CN106403035A (zh)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JP2020175656A (ja)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6437978B2 (ja) スプレイノズル及び非円形のスプレイ円錐を発生させる方法
JP2022511576A (ja) 灌水ホースを用いた灌水拡散型ドリップ
CN111593423A (zh) 等流速的熔喷模头装置
US20050087900A1 (en) Spundbonding spin pack characterized by uniform polymer distribution and method of use
CN112281226B (zh) 一种用于生产熔喷无纺布的喷头模块及装置
JP6945084B2 (ja) 少なくとも1つの有孔板を有する押出装置
JPH06504099A (ja) 加熱されてペーストを形成する物質からヤーンを生成するための押出ヘッド
JPH0473Y2 (ko)
JP2557725B2 (ja) ストランド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