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03B1 - A funeral box for pet - Google Patents

A funeral box for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03B1
KR102355003B1 KR1020200000693A KR20200000693A KR102355003B1 KR 102355003 B1 KR102355003 B1 KR 102355003B1 KR 1020200000693 A KR1020200000693 A KR 1020200000693A KR 20200000693 A KR20200000693 A KR 20200000693A KR 102355003 B1 KR102355003 B1 KR 10235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eparation body
fixing frame
separation
transpor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7675A (en
Inventor
한재경
한경주
Original Assignee
한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경 filed Critical 한재경
Priority to KR102020000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03B1/en
Publication of KR2021008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운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로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되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분리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바디는 반려동물의 머리에 대응하는 제1부분 및 반려동물의 몸통에 대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1부분의 길이 및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nd specifically, an upper cas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and a fixing frame disposed in the lower case and accommodating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wherein the fixing fram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at the same height as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body forming the exterior and is detachable from the fixed body A separate body is provided, wherein the separated body includes a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cond part corresponding to the torso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part are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rst part. It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Description

반려동물 운구함{A FUNERAL BOX FOR PET}Pet transport box {A FUNERAL BOX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운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의 사체를 안전하고 청결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운구함 내의 반려동물이 놓이는 공간의 크기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nd specifically, a carcass of a companion animal can be safely and cleanly transported, and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is placed in the transport box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It's about pet carriers.

최근,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의 수는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사람과 반려동물 간의 유대관계는 사람이 반려동물의 단순한 소유자라는 개념에서 사람과 반려동물은 가족이라는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who own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companion animals is changing from the concept that humans are mere owners of companion animals to the concept that humans and companion animals are families.

즉,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사망 시에, 반려동물을 위한 장례식을 진행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In other words, people who own companion animals perceive companion animals as family members, and accordingly, when a companion animal dies, the number of people holding a funeral for the companion animal is increasing.

반려동물이 사망할 경우, 반려동물의 사체를 종이상자에 넣어 화장하거나 땅에 묻어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When a companion animal dies, it was common to put the animal's body in a paper box and cremate it or bury it in the ground.

그러나, 반려동물의 사체를 종이상자에 넣어 운반할 경우, 운반 중의 진동으로 인해 반려동물의 사체가 훼손되거나, 사체로부터 나오는 체액으로 인해 상자의 오염 및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put in a paper box and transp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damaged due to vibration during transport, or the contamination and odor of the box may occur due to the body fluid from the carcass.

사체를 운반하기 위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반려동물의 사체를 운반하는 종래 기술은 없었으나, 사람의 시신을 운반하기 위한 시신보관 및 운구용 백이 등록특허 제10-180324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e prior art for transporting the corpse, there was no prior art for transporting the corpse of a companion animal, but a body storage and transport bag for transporting a human body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3241 (hereinafter, 'prior art'). ')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반려동물이 아닌 사람의 시신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사체를 운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for transporting a body of a person other than a companion anima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transporting the body of a companion animal.

또한, 종래기술은 시신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easily respond to the size of the body.

또한, 종래기술은 시신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트랩으로 시신을 묶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스트랩을 너무 약하게 묶으면 시신의 고정이 불안정하게 되며, 스트랩을 너무 강하게 묶을 경우, 시신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uses a method of tying the body with a strap as a means for fixing the body, but if the strap is too weakly tied, the fixation of the body becomes unstable, and if the strap is tied too strongly, the body may be damag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사체를 운반하기에 적합한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suitable for transporting a carcass of a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사체의 크기에 따라 사체가 놓이는 공간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in which the space in which the cadaver is placed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반려동물이 동시에 사망한 경우, 복수의 반려동물의 사체를 하나의 운구함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apable of simultaneously accommodating the corpses of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when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dies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반려동물의 사체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that can safely fix the corpse of the companion animal without damaging the corpse of the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로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되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분리바디를 구비하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wer case is open upper case;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and a fixing frame disposed in the lower case and accommodating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wherein the fixing fram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at the same height as the fixed body and the fixed body forming the exterior and is detachable from the fixed body It provides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having a detachable body.

이때, 상기 분리바디는 반려동물의 머리에 대응하는 제1부분 및 반려동물의 몸통에 대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1부분의 길이 및 폭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parated body includes a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cond part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part are grea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part. can

따라서, 분리바디를 고정바디로부터 분리하여 형성된 수용공간이, 반려동물의 체형에 맞춰지도록 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반려동물의 움직임 또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by separating the separated body from the fixed body is adapted to the body shape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by minimizing movement or vibr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상기 분리바디는 외측분리바디 및 상기 외측분리바디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분리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분리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body may include an outer separation body and an inner separation body formed separably from the outer separation body and provided inside the outer separation body.

따라서, 반려동물의 크기에 맞춰서 외측분리바디와 내측분리바디를 고정바디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outer separation body and the inner separation body from the fixed bod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운구함에 복수의 반려동물을 함께 수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separation body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fixing frame.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can b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transport box.

상기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 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분리바디 및 제2분리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body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body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xing frame.

이때, 상기 제1분리바디 및 상기 제2분리바디는, 제1분리바디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face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이와 달리, 제1분리바디의 제1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2부분과 마주하고 제1분리바디의 제2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1부분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의 하측에 부착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홀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irbag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In addition, the first air inlet hole formed in the airbag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ir inlet hole formed in the upper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운반하기에 적합한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suitable for transporting a carcass of a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사체의 크기에 따라 사체가 놓이는 공간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in which the space in which the cadaver is placed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반려동물이 동시에 사망한 경우, 복수의 반려동물의 사체를 하나의 운구함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di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apable of simultaneously accommodating the corpses of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in one transport box.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반려동물을 동시에 수용하여, 안전하고 청결하게 운반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of different sizes at the same time and safely and cleanly transporting th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사체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that can safely fix the cadaver without damaging the corpse of the companion anim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1 .
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only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refer to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used only for distinguishing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은 상부 케이스(100),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200), 및 상기 하부 케이스(200) 내에 배치되는 고정틀(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100 , a lower case 20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00 , and a fixing frame disposed in the lower case 200 . (300) may be included.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상면(110) 및 복수개의 측면(12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4개의 측면(120)이 상기 상면(110)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110)과 복수개의 측면(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00 may have an open lower surface. The upper case 100 may have an upper surface 110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120 .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may be formed in a quadrangle, and four side surfaces 120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110 . That is, the upper case 10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는 후술할 에어백(600)에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공기유입홀(115, 이하 '제2공기유입홀'이라 함)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공기유입홀(115)은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측면(1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2공기유입홀(115)에 상부 케이스(100)의 측면(120)에 형성될 경우, 이하 설명될 하부 케이스(200)의 측면(220)에 의해 간섭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은 상부 케이스(110)의 상면(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후술할 에어백(600)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홀(615)을 통해 상기 에어백(600) 내로 안내될 수 있다. An air inlet hole 1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air inlet hole') for blowing air into an airbag 6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upper case 100 . In the drawings,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 but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0 . However, when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0 of the upper case 100 , there is a risk of interference by the side surface 220 of the lower case 20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second The air inlet hole 115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10 .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may be guided into the airbag 600 through a first air inlet hole 615 formed in the airbag 6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과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연통되는 부분 이외에는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은 뚜껑(117)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백(600)은 초기에는 내부에 공기가 없이 압축된 상태이다. 제2공기유입홀(115)을 통해 상기 에어백(600)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에어백(600)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600)이 충분히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에 상기 뚜껑(117)을 체결하면, 상기 에어백(600)이 팽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air inlet hole 615 and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y be sealed except for the communicating portion. In addition,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may be sealed through the lid 117 . That is, the airbag 600 is initially compressed without air therein.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bag 600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 the airbag 600 may be inflated. When the lid 117 is fastened to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in a state in which the airbag 600 is sufficiently inflated, the airbag 600 may be maintained in an inflated state.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적어도 두개의 측면에는 암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체결부(130)는 후술할 하부 케이스(200)의 수체결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체결부(130)는 상부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 중 마주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체결부(230) 역시 상기 암체결부(130)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4개의 측면 중 마주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upper case 100 may be provided with arm fastening portions 130 .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may be fastened with the male fastening part 230 of the lower case 2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arm fastening part 1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ase 10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sides. The male fastening part 230 may also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four sides of the lower case 200 to correspond to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진이 삽입 또는 부착될 수 있는 사진배치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00, a photo arrangement unit 140 in which a photo related to a companion animal can be inserted or attached may be provided.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기설정된 두께의 종이, 하드보드, 목재 및 수지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00 may be formed of one of a preset thickness of paper, a hard board, wood, and a resin material.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개방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case 200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100 . That is, the lower cas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00 .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하면(210) 및 복수개의 측면(22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하면(2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4개의 측면(220)이 상기 하면(210)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210)과 복수개의 측면(2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ase 200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The lower case 200 may have a lower surface 210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220 .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lower case 200 may be formed in a quadrangle, and four side surfaces 220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210 . That is, the lower case 20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210 and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하부 케이스(200)내에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200) 위에 상기 상부 케이스(100)가 덮일 수 있다. The upper case 100 may be covered on the lower case 200 in a state where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ase 200 .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적어도 두개의 측면에는 상기 암체결부(130)에 대응하는 수체결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체결부(230)는 힌지(23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ale fastening parts 230 corresponding to the female fastening parts 13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lower case 200 . The male fasten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inge 231 .

상기 하부 케이스(200)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체결부(130)에 상기 수체결부(23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암체결부(130)에 상기 수체결부(230)가 체결되면, 상기 하부 케이스(200)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case 2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100 , the male fastening part 230 may be fastened to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 When the male fastening part 230 is fastened to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 the lower case 200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100 .

상부 케이스(100)의 적어도 두개의 측면에는 암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체결부(130)는 후술할 하부 케이스(200)의 수체결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체결부(130)는 상기 수체결부(230)에 대응하도록 상부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 중 마주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upper case 100 may be provided with arm fastening portions 130 .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may be fastened with the male fastening part 230 of the lower case 2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female fastening part 1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ase 100 facing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male fastening part 230 .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기설정된 두께의 종이, 하드보드, 목재 및 수지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upper case 100 , the lower case 200 may be formed of one of a preset thickness of paper, a hard board, wood, and a resin material.

상기 고정틀(300)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틀(300)은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틀(300) 내에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틀(300)은 기설정된 두께(즉, 높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종이재질, 목재 또는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3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is, the fixing frame 300 may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accommodated. In other words,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 The fixing frame 3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e, height), and may be formed of a paper material, wood or resin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틀(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정바디(310) 및 상기 고정바디(310) 내측에 배치된 분리바디(330)를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frame 300 may include a fixing body 310 forming an exterior and a separating body 330 disposed inside the fixing body 310 .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분리바디(330)를 분리하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body 330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a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is formed, and the corps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디(3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바디(310)의 형태가 직육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ed body 3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shape of the fixed body 310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상기 분리바디(330)는 상기 고정바디(3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바디(3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바디(330)는 상기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310)의 상면과 상기 분리바디(33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310)의 하면과 상기 분리바디(330)의 하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xed body 310 ,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xed body 310 . That is,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disposed radially inside the fixed body 310 .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body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예를 들어, 상기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을 상하방향(즉, 연직방향)으로 절개가공하여 상기 분리바디(33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formed by cutting and processing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fixed body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e,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분리바디(330)를 들어올림(즉, 빼냄)으로서, 상기 분리바디(330)를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바디(330)의 분리에 의해 형성된 고정바디(310) 내의 공간이 반려동물의 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분리바디(330)를 분리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사체의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y lifting (ie, pulling out) the separation body 330 , the separation body 33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 At this time, the space in the fixed body 310 formed by the separation of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is, by separating the separation body 330 from the fixed body 310 ,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상기 분리바디(330)는 반려동물의 머리(또는 머리 부분)에 대응하는 제1부분(H) 및 반려동물의 몸통(또는 다리를 포함하는 몸통 부분)에 대응하는 제2부분(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반려동물의 사체가 상기 분리바디(330)가 제거된 상기 고정바디(3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사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The separated body 330 includes a first part H corresponding to the head (or head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cond part B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r body part including legs) of the companion animal. can do. This is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while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310 from which the separation body 330 has been removed.

반려동물이 사망할 경우, 사체는 옆으로 누운 자세로 사후 경직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때, 사후 경직된 사체의 자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체가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When a companion animal dies, it is common for the body to become rigid after death in a side-lying position. At this time, if you want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rigid cadaver after dea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daver may be damaged.

따라서, 상기 분리바디(330)는 반려동물이 옆으로 누워있는 모습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분(B)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1부분(H)의 길이 및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separated body 3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lying on its side. That is,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portion (B)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portion (H).

상기 분리바디(330)의 형태(즉, 수용공간의 형태)에 의해, 반려동물의 사체를 훼손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바디(310) 내에 수용할 수 있다.Due to the shape of the separated body 330 (ie,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can be safely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310 without damaging the corpse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고정틀(300)을 뒤집을 경우, 반려동물의 사체의 배치 방향이 반대로 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frame 300 is turned ov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reversed.

한편, 반려동물의 사체로부터 체액이 흘러나올 경우, 반려동물 운구함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body fluid flows from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port box of the companion animal is contaminated or an odor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백(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사체는 상기 밀봉백(400)에 넣고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틀(3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bag 400 for sealing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placed in the sealing bag 400 and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in a sealed state.

상기 밀봉백(400)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백(400)은 방수 부직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ing bag 4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sealing bag 4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f a waterproof non-woven fabric.

상기 밀봉백(400) 내에 반려동물의 사체를 넣기 위하여, 상기 밀봉백(400)에는 방수지퍼(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지퍼(450)는 상기 밀봉백(400)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걸쳐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반려동물 사체를 상기 밀봉백(400) 내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put a carcass of a companion animal in the sealing bag 400 , the sealing bag 4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zipper 450 . The waterproof zipper 450 may be provided over two adjacent sides of the sealing bag 400 . This is to allow the companion animal carcass to be easily put into the sealing bag 400 .

상기 방수지퍼(4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사체를 상기 밀봉백(400) 내에 넣고 상기 방수지퍼(450)를 닫으면, 반려동물의 사체로부터의 체액이 상기 밀봉백(400) 박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백(400)에 의해 반려동물의 사체로부터 나오는 체액에 의한 2차 감염 또는 오염, 및 악취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put in the sealing bag 400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proof zipper 450 is opened and the waterproof zipper 450 is closed, the body fluid from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aked into the sealing bag 400 foil.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the sealing bag 400 , secondary infection or contamination by bodily fluids from the corpse of companion animals, and generation of odor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은 받침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00)은 상기 하부 케이스(200) 내에서 상기 고정틀(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500 . The support plate 5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xing frame 300 in the lower case 200 .

상기 받침판(500)은 단단한 재질의 하드보드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틀(300)이 상기 받침판(50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백(400)에 넣어진 반려동물의 사체가 상기 고정틀(3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500 may be formed of a hard board or resin made of a hard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frame 300 i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500 ,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placed in the sealing bag 4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받침판(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틀(300)의 하면은 상기 받침판(5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틀(300)에 의해, 반려동물 운구함의 운반 시에, 반려동물 사체의 무게로 인한 바닥부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frame 3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500 .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300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00 . By the fixing frame 3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bottom part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s carcass when 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is transported.

상기 고정틀(300)과 상기 받침판(500)은 복수개의 끈(510, 520)을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틀(300)이 상기 받침판(500) 상에 놓인 상태에서 반려동물 사체가 상기 고정틀(300)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개의 끈(510, 520)에 의해 고정틀(300)과 상기 받침판(500)이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300 and the support plate 500 may be bound through a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frame 30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500, a companion animal carcass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and the fixing frame 300 and the support plate by the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 500) can be fixed.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끈(510, 520)은 상기 받침판(50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틀(300)의 상측을 둘러서 묶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끈(510, 520)은 X자 형태 또는 평행하는 형태로 묶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may be formed to surround and tie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frame 300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50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may be tied in an X-shape or in a parallel form.

예를 들어, 복수개의 끈(510, 520)은 상기 고정틀(300)의 상측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묶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틀(300) 내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사체 위로 복수개의 끈(510, 520)의 일부가 지나가게 되므로, 고정틀(300) 내에 수용되는 반려동물의 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are preferably tied so as to cross in an X-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frame 300 . In this case, since some of the plurality of strings 510 and 520 pass over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 the movement of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운구함은 운구함 내에서 반려동물 사체 및 고정틀(30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에어백(600)은 부풀려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600)은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bag 600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carcass and the fixing frame 300 within the transport box. 1 , the airbag 600 is shown in an inflated state. Although the airbag 600 is illustrat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상기 에어백(600)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600)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백(6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의 하측에 본딩으로 부착될 수 있다. The airbag 600 may be provided below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 The airbag 600 may be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bag 60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by bonding.

상기 에어백(600)에는 제1공기유입홀(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600)은 초기에 압착된(즉,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을 통해 에어백(600)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에어백(600)이 부풀려질 수 있다. A first air inlet hole 615 may be formed in the airbag 600 . Preferably, the airbag 600 is initially compressed (ie, air is not introduced).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bag 600 through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 the airbag 600 may be inflated.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은 전술한 상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115)에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이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600)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부착될 수 있다.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formed in the upper case 10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 the airbag 6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case 100 . can be attached to

이때,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과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의 연통부분 이외에는 밀봉처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 및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밀봉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 및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은 도시되지 않은 밀봉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In this case, seal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except for the communica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and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 For example,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and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are sealed and connec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and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 sealing flow path (not shown).

따라서,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입홀(615)을 통해 에어백(600) 내로 안내되어 상기 에어백(600)이 부풀려질 수 있다. 부풀려진 에어백(600)에 의해 상기 에어백(600)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틀(300) 및 상기 고정틀(300) 내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사체가 가압되고 위치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may be guided into the air bag 600 through the first air inlet hole 615 to inflate the air bag 600 . By the inflated airbag 600 , the fixing frame 300 disposed below the airbag 600 and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fixing frame 300 may be pressed and fixed in position.

전술한 반려동물 운구함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하부 케이스(200) 내에 상기 받침판(500)이 놓이고, 상기 받침판(500) 상에 상기 고정틀(300)이 놓일 수 있다.When explaining the method of using 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described above, first, the support plate 500 is placed in the lower case 200 , and the fixing frame 300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plate 500 .

상기 고정틀(300)로부터 분리바디(33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반려동물의 상체를 넣어 밀봉한 밀봉백(40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밀봉백(400)은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방수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사체가 밀봉백(400)에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밀봉백(400)은 반려동물의 사체의 사후 경직된 형태(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옆으로 누운 형태)로 반려동물의 사체를 감쌀 수 있다.The sealing bag 400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is put and seale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separating the separation body 330 from the fixing frame 300 . In this case, the sealing bag 4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waterproof non-woven fabric that can be deformed in shape. Therefore, in the state that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is put in the sealing bag 400, the sealing bag 400 is the post-mortem rigid form of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the form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is lying on its side) of the companion animal. It can cover the body.

이후, 상부 케이스(100)를 상기 하부 케이스(200) 위에 덮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200)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전술한 암체결부(130) 및 수체결부(230)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pper case 100 may be covered on the lower case 200 , and the lower cas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100 . In addition,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female fastening part 130 and the male fastening part 230 .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115)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상부 케이스(100)의 내측에 부착된 에어백(600)이 부풀면서 고정틀(300) 및 반려동물의 사체가 가압된다.In this state, when air is injecte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formed in the upper case 100 , the airbag 600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ase 100 is inflated and the fixing frame 300 and the carrier are inflated. The carcass of the animal is pressurized.

상기 에어백(600)이 충분히 부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공기유입홀(115)을 뚜껑(117)에 의해 밀폐하면, 상기 에어백(600)이 부풀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air inlet hole 115 is closed by the lid 117 in a state in which the airbag 600 is sufficiently inflated, the airbag 600 may be maintained in an inflated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훼손하지 않고 안전하고 안락하게 운반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운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that can be safely and comfortably transported without damaging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고정틀(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the above-described fixing fram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고정틀의 고정바디로부터 내측분리바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고정바디로부터 내측분리바디와 외측분리바디가 모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1 . Specifically, (a) of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ner separation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of the fixing frame,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both the inner separation body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틀(300)은 고정바디(310) 및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또는 제거) 가능하게 상기 고정바디(310) 내에 수용되는 분리바디(3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frame 300 includes a fixed body 310 and a separation body 330 accommodated in the fixed body 310 to be detachable (or removed) from the fixed body 310 . can be provided.

상기 분리바디(330)는 상기 고정틀(300)의 방사방향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바디(330)는 상기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fixing frame 30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separation body 3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fixed body 310 in the radi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바디(330. 350)는 상기 분리바디(330)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절개 가공되고, 상기 분리바디(33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분리바디(330)가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paration body (330, 350) is c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eparation body (330), and by pushing the separation body (330) upward or downward, the separation body (330) is fixed.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310 .

상기 분리바디(330)가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분리바디(330)의 분리된 자리에는 반려동물의 사체(D)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7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370)은 상기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에 상기 분리바디(330)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사체(D)는 반려동물의 사체가 전술한 밀봉백(400)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body 330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an accommodation space 37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provided in the separated position of the separation body 330. . That is, the accommodating space 3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he separation body 330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fixed body 310 . Here, th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is wrapped by the sealing bag 400 described above.

상기 분리바디(330)는 외측분리바디 및 상기 외측분리바디(3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내측분리바디(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분리바디(333)는 상기 외측분리바디(331)의 방사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분리바디(331)는 상기 내측분리바디(333)의 외측(즉,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body 330 may include an outer separation body and an inner separation body 333 detachably formed from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may be provided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 That is,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ie, side) of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만 분리되거나, 상기 내측분리바디(333)와 상기 외측분리바디(331)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분리바디(3330) 및 상기 외측분리바디(331)는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Only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 or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may be separated together. That is,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0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만 분리된 경우에 형성되는 수용공간(370)의 크기는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와 상기 외측분리바디(331)가 함께 분리된 경우에 형성되는 수용공간(37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70 formed when only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is the size of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from the fixed body 310 . )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70 formed when they are separated together.

즉,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만 분리된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37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반려동물의 사체(D)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와 상기 외측분리바디(331)가 함께 분리된 경우에 상기 수용공간(370)에는 상대적으로 큰 반려동물의 사체(D)가 수용될 수 있다.That is, when only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is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 a relatively small cadaver D of a companion animal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7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together, the accommodation space 370 accommodates a relatively larg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사체(D)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만을 분리(또는 제거)하거나,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상기 내측분리바디(333)와 상기 외측분리바디(331)를 함께 분리(또는 제거)할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or remove) only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from the fixed body 31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or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from the fixed body 310 )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331 may be separated (or removed) together.

즉, 사용자는 수용공간(370) 내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사체의 흔들림 또는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수용공간(370)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select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70 in which the shaking or vibration of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70 can be minimized.

도면에는 두 개의 분리바디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려동물의 사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분리바디의 개수가 3개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only two separate bodies are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separated bodies having different sizes to three or mor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반려동물의 사체(D)를 고정틀(300) 내에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바디(310)로부터 내측분리바디(333)만 분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2 , when it is desired to accommodate the cadaver D of a companion animal of a relatively small size in the fixing frame 300 , only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310 . .

이때 형성된 수용공간(37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반려동물의 사체(D)가 수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med accommodating space 370 may accommodate th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반려동물의 사체(D)를 고정틀(300) 내에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바디(310)로부터 내측분리바디(333) 및 외측분리바디(331)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2 , when it is desired to accommodate the cadaver (D) of a companion animal of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fixing frame 300, the inner separation body 333 and the outer separation body from the fixed body 310 ( 331) can be separated together.

이때 형성된 수용공간(370)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반려동물의 사체(D)가 수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med accommodating space 370 may accommodate the cadaver D of the companion animal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바디(330)를 선택적으로 분리함에 따라서, 수용공간(370)의 크기를 반려동물의 사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paration body 330 is selectively separated,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7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cass of the companion animal.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틀(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고정틀의 다른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 고정틀을 대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It is obvious that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3 can replace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1 .

전술한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30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aforementioned separation bodies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fixing frame 300 .

예를 들어, 복수 마리의 반려동물이 동시에 사망한 경우, 하나의 고정틀(300)에(즉, 하나의 반려동물 운구함에) 복수 마리의 반려동물의 사체들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어미 또는 아비 반려동물과 새끼 반려동물이 함께 사망한 경우에 이러한 반려동물의 사체들이 하나의 고정틀(300)에 함께 수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dies at the same time, the corpses of the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may be accommodated together in one fixing frame 300 (ie, in on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In particular, when the mother or father companion animal and the baby companion animal die together, the cadavers of these companion animals may be accommodated together in one fixing frame 300 .

도 3에는 2개의 분리바디가 고정틀(30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분리바디가 고정틀(3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3 shows a state in which two separate bodie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fixing frame 300 , but it is not excluded that three or more separated bodies are disposed in the fixing frame 300 .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바디는 고정틀(300) 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분리바디(330-1) 및 제2분리바디(33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에 제1분리바디(330-1) 및 제2분리바디(330-2)가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paration body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body 330 - 1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330 - 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in the fixing frame 300 . That is, the first separation body 330 - 1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330 - 2 may be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fixed body 310 inside the fixed body 310 in the radial direction.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분리바디(330-1)는 제1내측분리바디(333-1) 및 제1외측분리바디(331-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분리바디(330-2)는 제2내측분리바디(333-2) 및 제2외측분리바디(331-2)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paration body 330-1 may include a first inner separation body 333-1 and a first outer separation body 331-1. In add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330 - 2 may include a second inner separation body 333 - 2 and a second outer separation body 331 - 2 .

또한, 제1분리바디(330-1)는 반려동물의 사체의 얼굴부분에 해당하는 제1부분(H-1) 및 상기 제1부분(H-1)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사체의 몸통부분에 해당하는 제2부분(B-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분리바디(330-2) 역시, 반려동물의 사체의 얼굴부분에 해당하는 제1부분(H-2) 및 상기 제1부분(H-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사체의 몸통부분에 해당하는 제2부분(B-2)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330-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part H-1 corresponding to the face part of the companion animal's cadaver and the first part H-1, and thus the cadaver of the companion animal.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part (B-1)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330-2 also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part H-2 corresponding to the face part of the companion animal's carcass and the first part H-2, so that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part B-2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이때, 제1분리바디(330-1)의 제1부분(H-1) 및 제2부분(B-1)이 제2분리바디(330-2)의 제1부분(H-2) 및 제2부분(B-2)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분리바디의 이러한 배치를 통해, 반려동물들의 얼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rt H-1 and the second part B-1 of the first separated body 330-1 are the first part H-2 and the second part B-1 of the second separated body 330-2. It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f the two parts B-2. Through this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eparate bodies, the faces of companion animals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즉, 함께 사망한 반려동물들의 얼굴이 서로 바주하도록 배치함에 따라서, 반려동물들을 기른 주인의 감성적인 부분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In other words, by arranging the faces of companion animals who died together to give each other a hug, it can satisfy the emotional part of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s.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고정틀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 고정틀을 대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It is obvious that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4 can replace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1 .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30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바디(310)의 방사방향 내측에 제1분리바디(330-1) 및 제2분리바디(330-2)가 상기 고정바디(3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separation bodies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fixing frame 300 . That is, the first separation body 330 - 1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330 - 2 may be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fixed body 310 inside the fixed body 310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분리바디(330-1)는 제1내측분리바디(333-1) 및 제1외측분리바디(331-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분리바디(330-2)는 제2내측분리바디(333-2) 및 제2외측분리바디(331-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parating body 330-1 may include a first inner separating body 333-1 and a first outer separating body 331-1, and the second separating body 330-2. may include a second inner separation body 333-2 and a second outer separation body 331-2.

한편, 도 3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분리바디(330-1)의 제1부분(H-1)이 제2분리바디(330-2)의 제2부분(B-2)과 마주하고 제1분리바디(330-1)의 제2부분(B-1)이 제2분리바디(330-2)의 제1부분(H-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FIG. 3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rt H-1 of the first separating body 330-1 is formed with the second part B-2 of the second separating body 330-2. The second portion B-1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330 - 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portion H-2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330 - 2 .

이러한 배치는, 하나의 고정틀(300) 내에 두개의 분리바디가 구비되는 경우에, 고정틀(300)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This arrangement has the advantage that, when two separate bodies are provided in one fixing frame 300 , the space in the fixing frame 300 can be efficiently utilized.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a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상부 케이스 200 하부 케이스
300 고정틀 400 밀봉백
500 받침판 600 에어백
100 upper case 200 lower case
300 fixing frame 400 sealing bag
500 base plate 600 airbag

Claims (5)

하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로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반려동물의 사체가 수용되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은 외관을 형성하는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고정바디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디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분리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바디는 반려동물의 머리에 대응하는 제1부분 및 반려동물의 몸통에 대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1부분의 길이 및 폭보다 크고,
상기 분리바디는 외측분리바디 및 상기 외측분리바디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분리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분리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
an upper cas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and
It is disposed in the lower case and includes a fixing frame in which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is accommodated,
The fixing frame includes a fixed body forming an exterior and a separation body provided inside the fixed body at the same height as the fixed body and detachably formed from the fixed body,
The separated body includes a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cond part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part being grea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part;
The separation body includes an outer separation body and an inner separation body that is formed detachably from the outer separation body and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separatio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디는 서로 다른 크기로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
The method of claim 1,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body is provided with three or more of different siz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
The method of claim 1,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body is provided in plurality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fixing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바디는 상기 고정틀 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분리바디 및 제2분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리바디 및 상기 제2분리바디는,
제1분리바디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거나,
제1분리바디의 제1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2부분과 마주하고 제1분리바디의 제2부분이 제2분리바디의 제1부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paration body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xing frame,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first separating body are arranged to face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second separating body;
A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faces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faces the first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의 하측에 부착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홀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운구함.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bag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The companion animal transport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ir inlet hole formed in the airbag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ir inlet hole formed in the upper case.
KR1020200000693A 2020-01-03 2020-01-03 A funeral box for pet KR102355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93A KR102355003B1 (en) 2020-01-03 2020-01-03 A funeral box for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93A KR102355003B1 (en) 2020-01-03 2020-01-03 A funeral box for p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75A KR20210087675A (en) 2021-07-13
KR102355003B1 true KR102355003B1 (en) 2022-01-25

Family

ID=7685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93A KR102355003B1 (en) 2020-01-03 2020-01-03 A funeral box for 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7694B (en) * 2023-05-04 2024-04-02 华中农业大学 Dead pig pickup tru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053A (en) 2004-07-15 2006-02-02 Megumi Tanaka Coffin for dog and cat
KR101908857B1 (en) * 2017-07-17 2018-10-16 조석암 Funeral Coffin for Companion Anim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65A (en) * 1994-02-03 1995-08-15 Kiyoshi Minemura Coffin
KR20180003386A (en) * 2016-06-30 2018-01-09 우재동 Coffin for Companion Animal
KR20180003370U (en) * 2018-11-13 2018-12-03 김재철 A coffin for assembly pet cre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053A (en) 2004-07-15 2006-02-02 Megumi Tanaka Coffin for dog and cat
KR101908857B1 (en) * 2017-07-17 2018-10-16 조석암 Funeral Coffin for Companion Anim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75A (en)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387B1 (en) Shipping container for rodents
US6859958B2 (en) Crib and playpen protective enclosure
US6618880B1 (en) Mattress cover with expandable sidewalls
US7810181B2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3782619A (en) Shipping container
US7284289B1 (en) Infant travel bed
KR102355003B1 (en) A funeral box for pet
US8713734B2 (en) Aerated bumper and liner system for a baby crib
US8627520B1 (en) Portable infant bed
US20070056111A1 (en) Self-inflating nursing pillow
CN105578873B (en) The package body of animal toilet
KR101814292B1 (en) Incubator
US20170318865A1 (en) Infant wrap and carrier
US20020108578A1 (en) Pet housing pad with bolsters
KR101552712B1 (en) Backpack for carrying baby
KR102251103B1 (en) Portable bed changeable into bag
KR102129166B1 (en) Keep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KR101761174B1 (en) Cushion bed for baby
JP7005001B2 (en) Portable bedding
JPH0523440Y2 (en)
TWM580412U (en) Pet corpse bag
KR200249361Y1 (en) separation type mattress
JP2023062389A (en) Bag for guardian of infant
CN212394492U (en) Disposable sleeping bag
JP3152576U (en) Pet sheets and pet bas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