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98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998B1
KR102354998B1 KR1020150037478A KR20150037478A KR102354998B1 KR 102354998 B1 KR102354998 B1 KR 102354998B1 KR 1020150037478 A KR1020150037478 A KR 1020150037478A KR 20150037478 A KR20150037478 A KR 20150037478A KR 102354998 B1 KR102354998 B1 KR 10235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width
blocking member
light blocking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362A (ko
Inventor
오진호
강필규
남궁완
윤홍민
이승규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998B1/ko
Priority to US15/059,867 priority patent/US10409123B2/en
Priority to CN201610157641.7A priority patent/CN105988242B/zh
Publication of KR2016011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소의 상기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contrast ratio)를 높이기 위하여, 각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 차광 부재를 형성하여,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서의 빛샘을 방지한다.
이 때, 액정 표시 장치의 두 개의 기판의 오정렬이 발생할 경우, 차광 부재와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가 감소하고,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두 개의 기판의 오정렬이 발생할 경우에도 차광 부재와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 사이의 오정렬을 방지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가 감소하거나,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소의 상기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상기 차광 부재의 폭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화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상기 제1 화소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제1 쪽에 위치하는 제2 화소, 제4 화소, 제6 화소, 상기 제1 화소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쪽의 반대 위치인 제2 쪽에 위치하는 제3 화소, 제5 화소, 제7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4 화소, 그리고 상기 제6 화소는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5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는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1 폭보다, 상기 제2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2 폭, 그리고 상기 제3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3 폭은 클 수 있다.
상기 제4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4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넓고, 상기 제5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5 폭은 상기 제3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6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6 폭은 상기 제4 폭보다 좁고,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7 폭은 상기 제5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4 화소, 상기 제5 화소, 상기 제6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개구부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제8 화소, 그리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제9 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8 폭과 상기 제9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9 폭은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1 폭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8 화소의 상기 제1 쪽, 그리고 상기 제9 화소의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실런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두 개의 기판의 오정렬이 발생할 경우에도 차광 부재와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 사이의 오정렬을 방지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가 감소하거나,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 및 화소의 개구 영역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 및 화소의 개구 영역의 배치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enter portion)(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iddle portion)(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에 위치하는 제8 화소(PX8) 및 제9 화소(PX9)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enter portion)(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보다 구체적으로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는 제1 폭(Wa)을 가진다.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iddle portion)(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 중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및 제6 화소(PX6)는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고, 제3 화소(PX3), 제5 화소(PX5) 및 제7 화소(PX7)는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및 제6 화소(PX6)는 제1 화소(PX1)로부터 차례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3 화소(PX3), 제5 화소(PX5) 및 제7 화소(PX7)는 제1 화소(PX1)로부터 차례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와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2 폭(Wb)을 가진다. 제2 폭(Wb)은 제1 폭(Wa)보다 넓고, 제2 폭(Wb)은 제1 폭(Wa)보다 제1 확장부(Ea)만큼 넓다. 제1 확장부(Ea)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옆에 위치하는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3 차광 부재(220c)는 제3 폭(Wc)을 가진다. 제3 폭(Wc)은 제1 폭(Wa) 및 제2 폭(Wb)보다 넓다. 제3 폭(Wc)은 제1 폭(Wa)보다 제2 확장부(Eb)만큼 넓다. 제2 확장부(Eb)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보다 좁고,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옆에 위치하는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4 차광 부재(220d)는 제4 폭(Wd)을 가진다. 제4 폭(Wd)은 제1 폭(Wa) 보다는 넓고, 제3 폭(Wc)보다 좁다. 제4 폭(Wd)은 제2 폭(Wb)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제4 폭(Wd)은 제1 폭(Wa)보다 제3 확장부(Ec)만큼 넓다. 제3 확장부(Ec)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보다 넓다.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dge portion)(E)의 외각에는 실런트(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 부분(E)에 위치하는 제8 화소(PX8) 및 제9 화소(PX9)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5 차광 부재(220e)는 제5 폭(We)을 가진다. 제5 폭(We)은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 (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제1 폭(Wa)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신호선(171)은 게이트선, 데이터선, 그리고 유지 전압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는 각기 하나의 화소로 도시하였으나,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는 각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00), 제1 기판(100)과 마주보며,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방향(d)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화(curved)되어 있다.
이처럼, 액정 표시 장치가 곡면화되는 경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서로 달라진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신호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00)과 비교하여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에 더 큰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 때, 제1 화소(PX1)가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서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으나,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에서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에 인접하는 외각 영역에는 실런트(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에서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enter portion)(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는 제1 폭(Wa)을 가진다.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2 폭(Wb)을 가진다. 제2 폭(Wb)은 제1 폭(Wa)보다 넓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옆에 위치하는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3 차광 부재(220c)는 제3 폭(Wc)을 가진다. 제3 폭(Wc)은 제1 폭(Wa) 및 제2 폭(Wb)보다 넓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보다 좁고,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옆에 위치하는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4 차광 부재(220d)는 제4 폭(Wd)을 가진다. 제4 폭(Wd)은 제1 폭(Wa) 보다는 넓고, 제3 폭(Wc)보다 좁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보다 넓다.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에 위치하는 제8 화소(PX8) 및 제9 화소(PX9)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5 차광 부재(220e)는 제5 폭(We)을 가진다. 제5 폭(We)은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 (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제1 폭(Wa)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신호선(171)은 게이트선, 데이터선, 그리고 유지 전압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각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220)의 폭은 제1 방향(d)을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서부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E)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진다. 따라서, 각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220)는 각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선과 중첩할 수 있고,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제1 방향(d)을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서부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E)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진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가 곡면화된 곡률 방향을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서부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E)에 가까워질수록 각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220)의 폭은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진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신호선(171)은 차광 부재(220)와 중첩하게 된다. 이처럼,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의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를 높일 수 있고,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에 의한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액정 표시 장치에 외부의 힘을 가한 경우를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enter portion)(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iddle portion)(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에 위치하는 제8 화소(PX8) 및 제9 화소(PX9)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enter portion)(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는 제1 폭(Wa)을 가진다.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iddle portion)(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 중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및 제6 화소(PX6)는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고, 제3 화소(PX3), 제5 화소(PX5) 및 제7 화소(PX7)는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및 제6 화소(PX6)는 제1 화소(PX1)로부터 차례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3 화소(PX3), 제5 화소(PX5) 및 제7 화소(PX7)는 제1 화소(PX1)로부터 차례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2 폭(Wb)을 가진다. 제2 폭(Wb)은 제1 폭(Wa)보다 넓고, 제2 폭(Wb)은 제1 폭(Wa)보다 제1 확장부(Ea)만큼 넓다. 제1 확장부(Ea)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옆에 위치하는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3 차광 부재(220c)는 제3 폭(Wc)을 가진다. 제3 폭(Wc)은 제1 폭(Wa) 및 제2 폭(Wb)보다 넓다. 제3 폭(Wc)은 제1 폭(Wa)보다 제2 확장부(Eb)만큼 넓다. 제2 확장부(Eb)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보다 좁고,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다.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옆에 위치하는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4 차광 부재(220d)는 제4 폭(Wd)을 가진다. 제4 폭(Wd)은 제1 폭(Wa) 보다는 넓고, 제3 폭(Wc)보다 좁다. 제4 폭(Wd)은 제2 폭(Wb)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제4 폭(Wd)은 제1 폭(Wa)보다 제3 확장부(Ec)만큼 넓다. 제3 확장부(Ec)는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호선(171)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1 화소(PX1)의 폭보다 좁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폭보다 넓다.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의 폭은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dge portion)(E)에 인접한 외각 영역에는 실런트(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 부분(E)에 위치하는 제8 화소(PX8) 및 제9 화소(PX9)의 가장자리 중 제1 화소(PX1)과 먼 가장자리에 인접한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5 차광 부재(220e)는 제5 폭(We)을 가진다. 제5 폭(We)은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 (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양 옆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제1 폭(Wa)과 거의 같을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에 압축력이 가해져서, 신호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00)과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에 압축력이 가해지면,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에 위치하고, 중앙 부분(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4 화소(PX4) 및 제6 화소(PX6)와 중첩하는 제2 차광 부재(220b), 제3 차광 부재(220c), 그리고 제4 차광 부재(220d)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 쪽으로, 즉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유사하게, 중앙 부분(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3 화소(PX3), 제5 화소(PX5) 및 제7 화소(PX7)와 중첩하는 제2 차광 부재(220b), 제3 차광 부재(220c), 그리고 제4 차광 부재(220d)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 쪽으로, 즉 제1 화소(PX1)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차광 부재(220b), 제3 차광 부재(220c), 그리고 제4 차광 부재(220d)는 제1 차광 부재(220a)와 비교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E) 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1 확장부(Ea), 제2 확장부(Eb), 그리고 제3 확장부(Ec)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차광 부재(220b), 제3 차광 부재(220c), 그리고 제4 차광 부재(220d)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신호선(171)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호선(171)은 차광 부재(220)와 중첩하게 된다. 이처럼,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호선(171)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를 높일 수 있고,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에 의한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 및 도 6, 그리고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 및 화소의 개구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에 외부의 힘을 가한 경우를 도시한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 그리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를 포함한다. 각 화소(PX1, PX2, PX3, PX4, PX5)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차광 부재(220)는 모두 같은 폭을 가지고, 이에 따라, 각 화소(PX1, PX2, PX3, PX4, PX5)의 개구부의 폭은 모두 같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에 압축력이 가해져서, 신호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00)과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 그리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의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차광 부재(220)는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를 향해 이동하고, 차광 부재(220)의 폭도 감소하여 제2 폭(W2)이 된다. 이처럼,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171)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00)과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200)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의 양 옆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 그리고 제4 화소(PX4) 및 제5 화소(PX5)에 인접하는 신호선(171)은 차광 부재(2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차광 부재(2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신호선(171)의 가장자리에서 빛샘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가 감소하고,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빛샘에 의한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서부터 액정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E)에 가까워질수록 신호선(171)과 중첩하는 차광 부재(220)의 폭은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진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호선(171)은 차광 부재(220)와 중첩하게 된다. 이처럼,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호선(171)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를 높일 수 있고,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에 의한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 하나의 제1 화소(PX1)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C)에는 복수의 제1 화소(PX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중간 부분(M)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제6 화소(PX6) 및 제7 화소(PX7)도 각기 하나의 화소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각기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제1 기판 171: 신호선
200: 제2 기판 220: 차광 부재
3: 실런트 C: 중앙 부분
E: 가장자리 부분 M: 중간 부분
PX1: 제1 화소 PX2: 제2 화소
PX3: 제3 화소 PX4: 제4 화소
PX5: 제5 화소 PX6: 제6 화소
PX7: 제7 화소 PX8: 제8 화소
PX9: 제9 화소

Claims (19)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소의 상기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폭은 일정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기판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상기 제1 화소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제1 쪽에 위치하는 제2 화소, 제4 화소, 제6 화소,
    상기 제1 화소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쪽의 반대 위치인 제2 쪽에 위치하는 제3 화소, 제5 화소, 제7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4 화소, 그리고 상기 제6 화소는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5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는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쪽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1 폭보다, 상기 제2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2 폭, 그리고 상기 제3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3 폭은 넓고,
    상기 제4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4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넓고,
    상기 제5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5 폭은 상기 제3 폭보다 넓고,
    상기 제6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6 폭은 상기 제4 폭보다 좁고,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7 폭은 상기 제5 폭보다 좁은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광 부재의 폭은 상기 제1 기판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양쪽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화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중 적어도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제1 화소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4 화소, 상기 제5 화소, 상기 제6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개구부의 폭과 다른 액정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제8 화소,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제9 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8 폭과 상기 제9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9 폭은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1 폭과 같은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8 화소의 상기 제1 쪽, 그리고 상기 제9 화소의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실런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곡면화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중 적어도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서,
    상기 제1 화소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4 화소, 상기 제5 화소, 상기 제6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개구부의 폭과 다른 액정 표시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제8 화소,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제9 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8 폭과 상기 제9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9 폭은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1 폭과 같은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8 화소의 상기 제1 쪽, 그리고 상기 제9 화소의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실런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중 적어도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16. 삭제
  17. 제1항에서,
    상기 제1 화소의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상기 제3 화소, 상기 제4 화소, 상기 제5 화소, 상기 제6 화소, 그리고 상기 제7 화소의 개구부의 폭과 다른 액정 표시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제8 화소, 그리고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제9 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8 폭과 상기 제9 화소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제9 폭은 상기 제1 화소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제1 폭과 같은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8 화소의 상기 제1 쪽, 그리고 상기 제9 화소의 상기 제2 쪽에 위치하는 실런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037478A 2015-03-18 2015-03-18 액정 표시 장치 KR10235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78A KR102354998B1 (ko) 2015-03-18 2015-03-18 액정 표시 장치
US15/059,867 US10409123B2 (en) 2015-03-18 2016-03-03 Liquid crystal display preventing contrast ratio reduction
CN201610157641.7A CN105988242B (zh) 2015-03-18 2016-03-18 具有不同尺寸的光阻挡构件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78A KR102354998B1 (ko) 2015-03-18 2015-03-18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362A KR20160113362A (ko) 2016-09-29
KR102354998B1 true KR102354998B1 (ko) 2022-01-24

Family

ID=5692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478A KR102354998B1 (ko) 2015-03-18 2015-03-1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9123B2 (ko)
KR (1) KR102354998B1 (ko)
CN (1) CN105988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61B1 (ko) * 2016-10-14 2023-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546554A (zh) * 2017-02-28 2019-12-06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CN107908038B (zh) * 2017-11-28 2020-04-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CN109920795A (zh) 2017-12-12 2019-06-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11231610B2 (en) * 2017-12-12 2022-01-25 Ordos Yuansheng Opto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08375850A (zh) * 2018-02-12 2018-08-0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016326B2 (en) * 2018-11-05 2021-05-25 Sharp Kabushiki Kaisha Curve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1237425B2 (en) * 2018-12-19 2022-02-0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385488B2 (en) * 2020-06-22 2022-07-12 Sharp Kabushiki Kaisha Curved display panel
CN114326191B (zh) * 2021-12-30 2023-08-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及曲面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2746A1 (en) 2010-11-09 2013-08-2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crystal display panel
CN104007575A (zh) 2014-06-18 2014-08-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黑矩阵不等宽的彩色滤光片基板及液晶显示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552A (en) * 1993-11-11 1999-05-04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2007333818A (ja) 2006-06-12 2007-12-27 Sharp Corp 表示パネル
US20090122223A1 (en) * 2006-07-18 2009-05-1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5322427B2 (ja) 2007-12-1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159385B2 (ja) 2008-03-21 2013-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319543B1 (ko)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WI571673B (zh) * 2014-10-01 2017-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曲面顯示面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2746A1 (en) 2010-11-09 2013-08-2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crystal display panel
CN104007575A (zh) 2014-06-18 2014-08-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黑矩阵不等宽的彩色滤光片基板及液晶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362A (ko) 2016-09-29
CN105988242A (zh) 2016-10-05
CN105988242B (zh) 2021-02-05
US20160274420A1 (en) 2016-09-22
US10409123B2 (en)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998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16504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52178B1 (ko) 곡면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컬러필터 기판
US105580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educed color mixing
EP2889681B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US10269829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with stress relief layer openings
KR101994972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70139247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for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881075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7807482B (zh) 像素结构以及包含此像素结构的显示面板
WO2020103269A1 (zh) 一种液晶显示面板
US2020034131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401841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5705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130663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