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770B1 - Stick cou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tick cou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770B1
KR102354770B1 KR1020210120237A KR20210120237A KR102354770B1 KR 102354770 B1 KR102354770 B1 KR 102354770B1 KR 1020210120237 A KR1020210120237 A KR 1020210120237A KR 20210120237 A KR20210120237 A KR 20210120237A KR 102354770 B1 KR102354770 B1 KR 10235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belt
counting
alignment
alignme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광수
조승진
박종국
Original Assignee
정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수 filed Critical 정광수
Priority to KR102021012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coun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n entry conveyor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a work object corresponding to a stick-type packaging product placed on a front end of a first transfer path formed on an upper side is transferred to a rear end; an alignment unit which aligns the work objects to be transferr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toward a read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 units on an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to form a predetermined spacing height, wherein the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 units rotate in a direction for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an opposite side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first transfer path of the entry conveyor unit; an inclined conveyor unit for transferring the work object placed on a front end of a second transfer path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second conveyor belt unit to a rear end, wherein the inclined conveyor unit is installed such that the work objects, aligned one by one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rough the alignment unit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can be placed at a front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forming an inclination in a form which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rear side; and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work objects collected by performing count sensing in a process in which the work object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are gathered one by one in a collecting spa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 counting result.

Description

스틱 카운팅 장치{STICK COUNTING APPARATUS}Stick counting device {STICK C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을 자동으로 하나씩 카운팅하여 일정 묶음 단위별로 모을 수 있는 스틱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coun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unting work objects corresponding to stick-type packaging products one by one and collecting them by a predetermined bundle unit.

포장된 제품을 정해진 단위별로 묶어 이를 다시 포장 박스 안에 담아 출시되는 제품 형태로 완성하기 위해 기존에는 작업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다수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포장된 제품을 하나씩 계수(Counting)하여 포장 박스에 담는 형태를 라인형 공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In the past, a number of workers were placed along the work conveyor belt to count the packaged products one by one and put them in the packaging box to complete the packaged product by grouping it into a set unit and putting it back in the packaging box to be released. was building a line-type process system.

이 경우, 작업 과정에서 정확한 카운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작업 신뢰도의 불안성과 함께 작업의 양 및 난이도에 따라 점점 많은 작업자 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workers was required according to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the work, along with the instability of work reliability that may not be accurately counted in the work process.

이에 따라, 카운팅 공정을 자동화하고 정밀화하여 정확한 포장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필요한 작업자 인력의 수준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 개발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automate and refine the counting process to produce accurate packaging results, as well as effectively lower the level of worker manpower required for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work.

이와 관련하여, 카운팅 공정의 자동화에 있어 우선적으로 필요한 센서를 이용해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250886호의 "이동 물체의 전/후진 및 통과 수량 확인 방법 및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ior art of the prior art prepar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counting result by using a sensor that is necessary for the automation of the counting proces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KR 10-0250886 "Forward / backward and passing of a moving object" Quantity confirmation method and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하지만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화를 시도한 카운팅 장치의 경우, 센서를 이용해 카운팅을 수행하더라도 라인형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모듈을 통해 이동되는 카운팅 작업대상의 겹침 혹은 이송 경로 이탈 등의 문제로 인해 카운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업상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unting devices that have attempted conventional automation including the prior art, even if counting is performed using a sensor, count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done or an error occurred in operation.

또한,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화를 시도한 카운팅 장치의 경우, 여전히 카운팅 작업이 완료된 작업대상을 재확인 후 최종적으로 포장 박스에 담기는 단위별로 분류하는 작업 수행을 위해 작업자가 필요하여 공정상의 시간적, 비용적 효율성의 증가가 미미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unting device that has attempted conventional automation including the prior art, a worker is required to perform the task of classifying by unit to be finally put in the packaging box after rechecking the work object for which the count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crease in efficiency was made at an insignificant level.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상을 하나씩 정확히 분리하여 카운팅을 수행하고, 작업대상이 카운팅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이송됨에 있어 경로 이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 및 효율을 더욱 고도화 시킬 수 있는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separate the work objects one by one to perform counting, and to prevent the path deviation problem from occurring when the work objects are transferred to the area where the counting is perform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ing device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count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운팅이 완료된 작업대상을 최종적으로 포장되는 단위별로 자동 분류하여 모을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카운팅 작업 공정에 필요한 작업자 인력의 수준을 효율적으로 낮추고 이를 통해 공정상의 시간적, 비용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lower the level of worker manpower required for the counting work process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and collecting the work objects for which the counting is completed by final packaging unit, thereby increasing the time and cost efficiency of the process It is to provide a counting device that can be maxim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틱 카운팅 장치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입 컨베이어 유닛;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의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정렬 롤러부가 복수의 상기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작업대상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이송될 수 있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는 제2컨베이어 벨트부 전단에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되며 상기 정렬 유닛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정렬된 상기 작업대상이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모집공간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상기 작업대상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ick cou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object corresponding to a stick-type packaging product,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lac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transport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an entry conveyor unit to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s rotating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opposite sides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first transport path of the entry conveyor unit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parts an alignment unit installed so as to align the work objects to be transport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ward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It i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that is inclined in a form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rear and forms an inclination. an inclined conveyor unit which is installed so as to allow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to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work object plac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fer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belt unit; and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collected work objects by performing count sensing in the process where the work object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are gathered in the recruitment space one by one.

여기서,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좌측과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우측 각각에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상측으로 세워진 가이드 벽 부분을 갖춰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좌우측으로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송경로 가이드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하는 컨베이어 연결축상의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인접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간격 조절부; 및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1벨트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entry conveyor unit is disposed at the leftmost end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disposed at the lef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t the righ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transport path guide that is installed with a guide wall part erected upward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on each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and restricts the departur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ork object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wealth; an interval adjusting unit provided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adjacent first conveyor belt units among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on a conveyor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belt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to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work object placed on the first transport path.

또한, 상기 이송경로 가이드부는,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좌측 또는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우측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연결부분; 및 상기 가이드 연결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벽 부분과 직교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 벽 부분의 하부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너비에 따라 상기 제1이송경로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폭 확장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경로 가이드부는 상기 폭 확장부분의 너비가 상이한 복수개의 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작업대상의 길이에 따라 대응되어 상기 제1이송경로의 폭이 변형될 수 있도록 선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transport path guide part is disposed on the leftmost part of the leftmost part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disposed on the leftmost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r the rightmost part of the leftmost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guide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in a detachable form; and extending from the guide connection part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uide wall part to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guide wall part, and a width expansion capable of expanding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according to the width It includes; the transport path guide par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ype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width extension part, and is sel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can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ngth of the work object.

또한, 상기 정렬 유닛은, 하나의 정렬 롤러부를 이용해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을 최초로 정렬시키는 제1정렬 유닛; 및 복수의 정렬 롤러부를 이용해 제1정렬 유닛을 거친 상기 작업대상을 추가로 정렬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후단으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정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 유닛은, 복수의 상기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1회동축에 편심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제1정렬 롤러부; 상기 제1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lign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alignment unit for first aligning the work object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using one alignment roller unit; and a second alignment unit for further aligning the work objec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alignment unit using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s so that the work objects can be transferr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The first align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alignment roller unit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to form an eccentricity; a first roller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rotation shaft so that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rotates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the opposite side on the first transport path; and a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vertical reference height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아울러, 상기 제2정렬 유닛은, 상기 제1정렬 롤러부로부터 상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2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2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로부터 상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정렬 롤러부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제3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3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 및 제3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동축 및 제3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2정렬 롤러부 및 제2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 롤러부와 상기 제3정렬 롤러부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정렬 롤러부와 상기 제3정렬 롤러부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길게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alignment unit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the entry conveyor belts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 a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connected so tha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It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ingress conveyor belts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compared to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a third alignment roller unit provided with a small diameter and connected so that the third rotation axis is located at the center; The second and third alignment roller units rotate and drive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to simultaneously rotate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the opposite side on the first transport path. 2 roller drive unit; and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for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reference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is the second It is provided to be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더욱이,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 롤러부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돌기가 구비된다.Furthermor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over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over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또한,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를 제2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2벨트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conveyor unit may include: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belt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so that the work object placed on the second transfer path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그리고 상기 카운팅 유닛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이 구비된 카운팅 몸체부; 상기 카운팅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팅 홀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개수를 감지하는 카운팅 센서부;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 내부가 격벽 부분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 일측이 상기 카운팅 몸체부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하는 버킷 회전구동부; 및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집 제한부;를 포함한다.And the counting uni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the counting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open counting hole so that the work object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are moved downward one by one therein; a counting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nting body to detect the number of the work objects falling and moving through the counting hole; The inside of the barrel-shaped bucket body portion is partitioned to have a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by a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work target moving ports opened for each of the collection space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cket body portion, the bucket body portion a bucket part installed so that one side of the side part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part; a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bucket part to change one work target moving port among the plurality of collecting spac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cket body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and a recruitment limit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그리고 상기 카운팅 유닛은, 내부에 제1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 하방 중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되었던 상기 작업대상이 쏟아져 상기 제1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1분류부;를 더 포함한다.And the coun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rting box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therein, and has been recruited into the recruitment space of the bucket part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part under the bucket par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classificat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that can b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by pouring the work object.

또한, 상기 카운팅 유닛은, 내부에 제2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 하방 중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분류부 측으로의 성기 버킷부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되었던 상기 작업대상이 쏟아져 상기 제2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n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lassification box having a second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enis bucket toward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under the bucket uni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ort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by pouring the work objects that were recruited in the recruitment space of the bucket unit rotating with the .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작업대상을 카운팅함에 있어 작업대상간 겹침 없이 하나씩 정확히 분리하여 카운팅을 수행하여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를 증대시키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in counting the work objec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counting result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errors by accurately separating each work object one by one without overlapping and performing counting.

둘째, 업대상이 카운팅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이송됨에 있어 경로 이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카운팅 결과의 신뢰도 및 효율을 더욱 고도화 시킬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counting result by preventing the path deviation problem from occurring when the up target is transferred to the area where the counting is performed.

셋째, 카운팅이 완료된 작업대상을 최종적으로 포장되는 단위별로 자동 분류하여 모을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카운팅 작업 공정에 필요한 작업자 인력의 수준을 효율적으로 낮추어 공정상의 시간적, 비용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assify and collect work objects that have been counted for each finally packaged unit, thereby effectively lowering the level of worker manpower required for the counting work process, thereby maximizing the time and cost efficiency of the process.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의 진입 컨베이어 유닛 내 간격 조절부를 통한 제1컨베이어 벨트부 간 좌우 간격조절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의 정렬 유닛 내 정렬 롤러부들 간의 설치 및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카운팅 장치 내 카운팅 유닛의 세부 구성 및 세부 구성간 작동에 따른 카운팅 작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ick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ick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form of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spacing between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through the interval adjusting unit in the entry conveyor unit of the stick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m between the alignment roller units in the alignment unit of the stick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unting unit in the stick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nting operation form according to the operation between the detailed configur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스틱 카운팅 장치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stick counting device>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틱 카운팅 장치(10)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ST)의 계수(Counting)를 하나씩 수행하여 센 후 기 설정된 일정 단위별로 카운팅이 완료되면 이를 묶어 배출하여 최종 포장을 위한 개수만큼이 자동으로 분리 및 분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 정렬 유닛(200);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 카운팅 유닛(400); 및 제어모듈(500);을 포함한다.1 to 3, the stick coun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ounting of the work objects ST corresponding to the stick-type packaging products one by one and counts them according to a preset schedule When the unit counting is completed, the entry conveyor unit 100 is bundl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number for final packaging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sorted; alignment unit 200; Inclined conveyor unit 300; counting unit 400; and a control module 500;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ST)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entry conveyor unit 100 is a stick-type packaging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11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lac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transport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It corresponds to a conveyor device that allows the work object (S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o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이를 위해,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은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이송경로 가이드부(120), 간격 조절부(130) 및 제1벨트 구동부(1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entrance conveyor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 a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 , a gap adjusting unit 130 , and a first belt driving unit 140 .

우선,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는 양 단부를 필수로 하여 양 단부 사이에 실시에 따라 별도의 이송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이들 롤러간을 내측에 끼우는 벨트의 구성을 통해 구현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로서, 양 단부가 도1과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First,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requires both ends, so that a separate conveying roller may be installed between both end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and the conveyor belt implemen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a belt sandwiching these rollers inside As a modul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can b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1 .

이와 같은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are provided.

다음으로, 이송경로 가이드부(120)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면에 해당하는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대상(ST)의 좌우측으로의 이탈을 제한하는 벽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체에 해당한다.Next, the transfer path guide unit 120 is a wall structure that restricts the departur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ork object (ST)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 It corresponds to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이를 위해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경로 가이드부(120)는 가이드 연결부분(121), 폭 확장부분(122) 및 가이드 벽 부분(123)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 includes a guide connection part 121 , a width extension part 122 , and a guide wall part 123 .

우선, 가이드 연결부분(121)은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좌측 또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우측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송경로 가이드부(120)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구조부분으로 연결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볼트-너트와 같은 탈착 가능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First, the guide connection part 121 is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110 disposed at the leftmost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1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110 . It is a structural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 that is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art 110 disposed on the rightmost part of the left-right direction referenc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is specific to a specific structure. It should be equipped with a removable structure, such as a bolt-nut, but not limited to, that an operator can selectively connect or disconnect.

다음으로, 폭 확장부분(122)은 가이드 연결부분(1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아래 설명될 가이드 벽 부분(123)과 직교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가이드 벽 부분(123)의 하부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너비에 따라 제1이송경로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 부분에 해당한다.Next, the width extension portion 12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guide connection portion 121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wall portion 123 to form a plane orthogonal to the guide wall portion 123 to be described below. , corresponds to a structural part that can expand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according to the width.

이러한 폭 확장부분(122)은 이송경로 가이드부(120)의 유형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가 상이하게 마련되어, 스틱 형태의 작업대상(ST) 길이에 따라 대응되어 제1이송경로의 폭이 변형될 수 있도록 선택 설치된다.The width extension portion 122 is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width as shown in FIG. 4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 and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stick-shaped work object ST. It is installed selectively so that the width can be deformed.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는 폭 확장부분(122)이 가장 짧은 너비를 갖추거나 아예 없는 형태를 띠고, 제2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B)는 제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에 비해서는 폭 확장부분(122)이 넓은 너비를 갖추는 형태를 띤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in the first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A, the width extension part 122 has the shortest width or no width at all, and the second type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A has the shortest width. (120B) has a form in which the width extension portion 122 has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ortion 120A.

아울러, 제3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C)는 제2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B)에 비해서도 넓은 너비를 갖출만큼 폭 확장부분(122)이 가장 큰 너비를 갖춘 형태를 띤다.In addition, the third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ortion (120C) has a wider width than that of the second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ortion (120B), so that the width extension portion 122 has the largest width.

이와 같은 제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 내지 제3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C)는 작업대상(ST)에 해당하는 스틱형 제품의 길이를 고려하여 옆으로 누어 이송될 때 그 이송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작업대상(ST)의 길이에 대응되거나 더 넓은 폭을 갖추도록 선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Such a first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A to a third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C is transported when lying sideways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tick-typ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work object ST. It is preferable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and to be selective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work object (ST) or to have a wider width.

실시에 따라, 제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 내지 제3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C) 모두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 수행 전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너비의 폭 확장부분(122)이 갖춰진 이송경로 가이드부(120) 보다 안쪽에 설치된 이송경로 가이드부(120)를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거나, 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 내지 제3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C) 모두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 수행 전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너비의 폭 확장부분(122)이 갖춰진 이송경로 가이드부(120)만을 골라 설치하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first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A to the third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C are installed, the operator selectively performs the operation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the width extension part 122 of the corresponding width is The installation is made in a way that excludes the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 installed inside the provided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 or the first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A to the third type of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C. ) in a state in which all are not installed, the operator may select and install only the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 equipped with the width extension part 122 of the corresponding width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결과적으로, 제1이송경로의 폭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A)를 이용할시 D2와 같은 가장 짧은 폭 길이를 갖추게 되고, 이는 가장 작은 길이의 작업대상(ST)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has the shortest width length equal to D2 when the first type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A is used, which is the smallest length of the work target ( It is suitable for performing counting for ST).

또 다르게는, 제1이송경로의 폭을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유형의 이송경로 가이드부(120C)를 이용해 D4와 같이 가장 넓은 폭 길이를 갖추도록 실시 가능하고, 이는 가장 긴 길이의 작업대상(ST)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can be implemented to have the widest length like D4 using the third type transport path guide part 120C, which is the longest length. It is suitable for performing counting on the work object (ST).

마지막으로, 가이드 벽 부분(123)은 폭 확장부분(122)으로부터 직교한 형태로 일체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벽 구조를 갖추도록 하는 부분이다.Finally, the guide wall portion 12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width extension portion 122 in an orthogonal form to form an integral part so as to have a wall structure.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좌측과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우측 각각에 제1이송경로를 따라 상측으로 세워진 가이드 벽 부분(123)가 갖춰짐에 따라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대상(ST)의 좌우측으로의 이탈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pecificall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disposed at the leftmost 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hortest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the guide wall part 123 erected upward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is provided on each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disposed in the unit, the work object ST is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ubstantially limiting the deviation to the left and right.

이와 같은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상측면에 해당하는 제1이송경로의 폭은 이송경로 가이드부(120)의 유형에 따른 선택 설치 외에도 아래 설명될 간격 조절부(130)를 통해서도 달리 설정된다.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is different through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selectiv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nsport path guide unit 120 . is set

구체적으로, 간격 조절부(130)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하는 컨베이어 연결축상의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중 인접한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30 is a first conveyor belt unit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on the conveyor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11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정리하면, 컨베이어 연결축에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좌우방향을 따라 컨베이어 연결축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인접한 대상간의 간격은 간격 조절부(130)를 통해 이루어진다.In summary,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are connec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connecting shaf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ide by 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on the conveyor connecting shaft,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s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objects of the unit 110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val adjusting unit 130 .

간격 조절부(130)가 작동되어 컨베이어 연결축을 따라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 각각이 상호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이동형태를 띠게 되고 이에 따라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좌우방향을 따라 컨베이어 연결축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된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의 인접한 대상간의 간격은 D1에서 D3 혹은 D3에서 D1과 같이 상호 멀어지거나 인접하며 제1이송경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spacing adjusting unit 130 is operated to move the first conveyor belt unit 110 along the conveyor connection axis to each other or to become narrower,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4 and 5, side by sid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objects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connec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connection shaft is distant or adjacent to each other, such as D1 to D3 or D3 to D1, and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can be adjusted.

또한, 제1벨트 구동부(140)는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작업대상(ST)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first belt driving unit 140 rotationally drives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so that the work object ST placed on the first transfer path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Motor, pulley, belt It corresponds to a combination of driving modules such as

정렬 유닛(200)은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의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작업대상(ST)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정렬 롤러부(211, 221, 224)가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진입 컨베이어 유닛(110) 후단으로 갈수록 작업대상(ST)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이송될 수 있도록 정렬시킨다.The alignment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 parts 211, 221, which rotate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ST to the opposite side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first transfer path of the entry conveyor unit 100. 224)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s 110, a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110, the work object ST forms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transported one by one. arranged so that

따라서 작업대상(ST)의 집단은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의 제1이송경로상 전단에 놓여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정렬 유닛(200)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고, 상호 일정 간격을 갖추며 순차적으로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을 거쳐 카운팅 유닛(400)에 모집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group of work objects ST is placed on the front end on the first transfer path of the entry conveyor unit 100 and is separated one by one by the alignment unit 200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each other. Sequentially through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to be recruited to the counting unit 400.

이를 위해, 정렬 유닛(200)은 정렬 작업 영역별로 제1정렬 유닛(210)과 제2정렬유닛(220)으로 구분된다.To this end, the alignment unit 200 is divided into a first alignment unit 210 and a second alignment unit 220 for each alignment work area.

우선, 제1정렬 유닛(210)은 하나의 정렬 롤러부(211)를 이용해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ST)을 최초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1정렬 롤러부(211), 제1롤러 구동부(214), 제1높이 조절부(215) 및 제1인디케이터부(216)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is a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to first align the work object (ST)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using one alignment roller unit 211 It includes a first roller driving unit 214 ,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215 , and a first indicator unit 216 .

여기서, 제1정렬 롤러부(211)는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1회동축(213)에 편심을 이루도록 연결된다.Here,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110 ,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13 to form an eccentricity.

따라서 제1정렬 롤러부(211)의 중심축(211C)과 제1회동축(213)의 중심축(213C)이 상하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편심구조로 인해 제1정렬 롤러부(211)는 제1회동축(213)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편심회전하게 된다.Therefore, due to the eccentric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211C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and the central axis 213C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13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vertically,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is It is eccentrically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13 .

더욱 구체적으로, 제1정렬 롤러부(211)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스크류, 링, 나사산 등 다양한 형태를 갖추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제1돌기(212)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part 211, a screw, a ring, a screw thread, etc.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crew, a ring, a screw thread, etc.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2 for preventing the slip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또한, 실시에 따라 제1돌기(212)는 제1정렬 롤러부(211)의 외주면 상에 상이한 재질의 특성을 갖춘 탄성 혹을 밀착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이송경로상 전단에 놓여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대상(ST)을 하나씩 분리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밀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first protrusion 212 may be provided as a contact material with elastic bumps having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and placed at the front end on the first transport path. 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ushing operation so that the work objects (ST)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one by one.

다음으로, 제1롤러 구동부(214)는 제1정렬 롤러부(211)가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T)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제1회동축(213)을 회전 구동시킨다.Next, the first roller driving unit 214 is a first rotation shaft 213 so that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rotates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that can push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ST on the first transfer path to the opposite side. ) is rotated.

정리하면, 제1벨트 구동부(140)를 통해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송경로를 형성할 시, 제1롤러 구동부(214)는 제1정렬 롤러부(211)를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연동된 제1정렬 롤러부(211)가 시계방향으로 편심회전하며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T)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어 하나 씩 다음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In summary, when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belt driving unit 140 to form a transport path, the first roller driving unit 214 is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 ) is rotated in the sam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linked thereto rotates eccentric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pushes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ST on the first transfer path to the opposite side to be transferred one by one to the next area. make it possible

또한, 제1높이 조절부(215)는 제1정렬 롤러부(211)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로서, 제1정렬 롤러부(211)의 제1회동축(213) 단부가 설치된 제1롤러 승강블록(213B) 전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제1정렬 롤러부(211) 하측과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간의 이격높이에 해당하는 틈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215 is a lifting module for adjusting the vertical reference height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13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is installed. The entire first roller lifting block 213B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size of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height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and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110 can be adjusted. do.

마지막으로, 제1인디케이터부(216)는 제1높이 조절부(215)를 통해 수행된 제1롤러 승강블록(213B)의 높이 조절 수치를 데이터화하여 기록 저장하고, 추후 설명될 제어모듈(500) 또는 제1높이 조절부(215) 자체를 통해 기 저장된 수치에 대응되는 높이조절 명령이 생성될 시 기록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복적인 높이 조절 기능의 수행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Finally, the first indicator unit 216 records and stores the height adjustment value of the first roller lifting block 213B performed through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215 as data, and a control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when a height adjustm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value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215 itself, the repetitive height adjustment function can be equally performed based on recorded and stored data.

제2정렬유닛(220)은 복수의 정렬 롤러부(221, 224)를 이용해 제1정렬 유닛(210)을 거친 작업대상(ST)을 추가로 정렬시켜 제1이송경로 후단으로 작업대상(ST)이 하나씩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정렬 롤러부(221), 제3정렬 롤러부(224), 제2롤러 구동부(226), 제2높이 조절부(227), 제2인디케이터부(228) 및 제3높이 조절부(229)를 포함한다.The second alignment unit 220 further aligns the work target 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lignment unit 210 using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 parts 221 and 224 to move the work target ST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In order to be transport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 the second roller driving unit 226 ,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227 , It includes a second indicator unit 228 and a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229 .

우선, 제2정렬 롤러부(221)는 제1정렬 롤러부(211)로부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D5)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2회동축(223)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First,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5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irst transport path. It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3 is connect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아울러, 제2정렬 롤러부(221)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스크류, 링, 나사산 등 다양한 형태를 갖추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제2돌기(222)가 구비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part 221, a screw, a ring, a screw thread, etc.,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crew, a ring, and a screw thread,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222 for preventing slippag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s provided.

또한, 실시에 따라 제2돌기(222)는 제2정렬 롤러부(221)의 외주면 상에 상이한 재질의 특성을 갖춘 탄성 혹을 밀착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이송경로상 전단에 놓여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작업대상(ST)을 하나씩 분리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밀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second protrusion 222 may be provided as a contact material with elastic bumps having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placed at the front end on the first transport path. 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ushing operation so that the work objects (ST)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one by one.

다음으로, 제3정렬 롤러부(224)는 제2정렬 롤러부(221)로부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D6)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2정렬 롤러부(221)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제3회동축(225)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Next,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6 from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path. It is install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in the second alignment roller portion 221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rotation shaft 225 is connect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이와 같은 제1정렬 롤러부(211),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간 결합 구조상의 특징은 효율적인 작업대상(ST)의 정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1이송경로상 제1정렬 롤러부(211)와 제2정렬 롤러부(221)의 중심간 이격 거리(D5)는 제2정렬 롤러부(221)와 제3정렬 롤러부(224)의 중심간 이격 거리(D6)에 비해 길게 마련되고, 더 나아가 제2정렬 롤러부(221)의 반지름(221D)은 제3정렬 롤러부(224)의 반지름(224D)에 비해 길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is to efficiently align the work object ST. The distance D5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211 and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on one transfer path is between the centers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 It is provided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6, and further, the radius 221D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221 is preferably provided longer than the radius 224D of the third alignment roller 224.

다음으로, 제2롤러 구동부(226)는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가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T)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2회동축(223) 및 제3회동축(225)을 회전 구동시킨다.Next, the second roller driving unit 226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can push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ST on the first transport path to the opposite side. The second rotation shaft 223 and the third rotation shaft 225 are rotationally driven to rotate at the same time.

정리하면, 제1벨트 구동부(140)를 통해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송경로를 형성할 시, 제2롤러 구동부(226)는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를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연동된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이송경로상 작업대상(ST)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내어 하나 씩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차례대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In summary, when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110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belt driving unit 140 to form a transport path, the second roller driving unit 226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 )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are rotated in the same 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linked thereto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movement of (ST)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it can be transferr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제2높이 조절부(227)는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로서, 제2정렬 롤러부(221)의 제2회동축(222) 단부와 제3정렬 롤러부(224)의 제3회동축(225) 단부가 설치된 제2롤러 승강블록(225B) 전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제2정렬 롤러부(221) 및 제3정렬 롤러부(224)의 하측과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간의 이격높이에 해당하는 틈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227 is a lifting module that adjusts the vertical reference height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 and includes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by moving the entire second roller lifting block 225B installed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222 end and the third rotation shaft 225 end of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4 up and down. )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part 224 and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s 110 to adjust the size of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height.

또한, 제2인디케이터부(228)는 제2높이 조절부(227)를 통해 수행된 제2롤러 승강블록(225B)의 높이 조절 수치를 데이터화하여 기록 저장하고, 추후 설명될 제어모듈(500) 또는 제2높이 조절부(227) 자체를 통해 기 저장된 수치에 대응되는 높이조절 명령이 생성될 시 기록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복적인 높이 조절 기능의 수행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indicator unit 228 records and stores the height adjustment value of the second roller lifting block 225B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227 as data, and a control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or When a height adjustment command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value is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227 itself, a repetitive height adjustment function can be equally performed based on recorded and stored data.

마지막으로, 제3높이 조절부(229)는 제2정렬 롤러부(221)만을 단독으로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로서, 제2정렬 롤러부(221)의 제2회동축(222) 단부가 설치된 제3롤러 승강블록(223B) 전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제2정렬 롤러부(221)의 하측과 복수의 진입 컨베이어 벨트부(110)들 상측간의 이격높이에 해당하는 틈의 규격만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Finally, the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229 is an elevating module that adjusts the referenc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by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2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 The size of the gap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height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221 and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entry conveyor belt units 110 while moving the entire third roller lifting block 223B having the end installed up and down only to be individually controlled.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은 정렬 유닛(20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정렬되어 이동해오는 작업대상(ST)이 전단에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모듈로서, 양 단부가 도1 및 도3과 같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is a conveyor belt module installed so that work objects ST that are aligned and mov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rough the alignment unit 200 can be placed on the front end, and both ends are shown in FIG. and a structure that can b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이를 위해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은 제2컨베이어 벨트부(310), 경사 조절부(320) 및 제2벨트 구동부(3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includes a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320 , and a second belt driving unit 330 .

우선, 제2컨베이어 벨트부(310)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제2이송경로 전단에 진입 컨베이어 유닛(100) 후단으로 이송되며 정렬 유닛(20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정렬된 작업대상(ST)이 놓이면, 제2이송경로를 따라 작업대상(ST)이 후단으로 이송되게 한다.First,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is inclined to form an inclination in a form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rear, and i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100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fer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alignment unit 200 ), when the work objects ST arrang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placed, the work objects ST ar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또한, 경사 조절부(320)는 제2컨베이어 벨트부(31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로드 및 피스톤의 구성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320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od and the pist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

다음으로, 제2벨트 구동부(330)는 제2컨베이어 벨트부(310)를 제2이송경로상에 놓인 작업대상(ST)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풀리, 벨트 등의 구동 모듈의 조합에 해당한다.Next, the second belt driving unit 330 rotationally drives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310 so that the work object ST placed on the second transfer path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Motor, pulley, belt, etc. It corresponds to the combination of driving modules of

카운팅 유닛(400)은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T)이 하나씩 모집공간(430T)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작업대상(ST)의 수를 카운팅한다.Counting unit 400 performs count sensing (Count Sensing) in the process in which the work objects (ST)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are gathered in the recruitment space (430T) one by one The number of collected work objects (ST) counting

이를 위해, 카운팅 유닛(400)은 카운팅 몸체부(410), 카운팅 센서부(400S), 모집 제한부(420), 버킷부(430), 버킷 회전구동부(440), 제1분류부(450) 및 제2분류부(46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unting unit 400 includes a counting body part 410, a counting sensor part 400S, a recruitment limiting part 420, a bucket part 430, a bucket rotation driving part 440, a first classification part 450. and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

우선, 카운팅 몸체부(410)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으로 이송된 작업대상(ST)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410H)이 구비된 구조체에 해당한다.First, the counting body 410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and the work objects ST transport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therein are counted open so that they can be moved downward one by one. It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hole 410H.

이와 더불어, 카운팅 센서부(400S)는 카운팅 몸체부(410) 일측에 마련되어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작업대상(ST)의 개수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counting sensor unit 400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nting body 410 to detect the number of work objects ST that fall through the counting hole 410H.

구체적으로, 경사 컨베이어 유닛(300) 후단을 지나 이송된 작업대상(ST)은 카운팅 몸체부(410) 내부로 떨어져 내부 카운팅 홀(410H)을 지나며 낙하하게 되고, 이와 같은 낙하 영역 중 일정 역역에 카운팅 센서부(400S)는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있어 특정 높이를 지나는 작업대상(ST)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계수를 수행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work object ST transported pas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300 falls into the counting body 410 and falls through the internal counting hole 410H, and counts in a certain station of the falling area. Since the sensor unit 400S forms a sensing area, the counting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ST passing a specific height.

아울러,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에는 구동상태에 따라 카운팅 몸체부(410)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모집 제한부(4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410 is provided with a recruitment limiting unit 4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410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이러한 모집 제한부(420)는 실린더, 로드, 개폐판으로 구성되어 특정 제어명령신호의 수신에 따라 실린더를 작동시켜 로드를 전, 후진 시키는 방식으로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이 개폐판으로 인해 막히거나 열리는 제어 형태가 구현되도록 한다.This recruitment limiting unit 420 is composed of a cylinder, a rod, and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operates the cylinder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a specific control command signal to move the rod forward and backward. Allows closed or open control forms to be implemented.

다음으로, 버킷부(430)는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며 카운팅 센서부(400S)를 통한 계수가 되어진 작업대상(ST')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모집되도록 하기 위한 통 구조체이다.Next, the bucket part 430 is moved to fall past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part 410, and the work object ST' that has been counted through the counting sensor part 400S is shown in FIG. It is a barrel structure for being discharged and recrui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410 as well.

구체적으로, 버킷부(430)는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431) 내부가 격벽 부분(432)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430T)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버킷 몸체부분(431)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측면부에 복수의 모집공간(430T)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는 구조를 갖춘다.Specifically, the bucket part 430 is partitioned so that the inside of the barrel-shaped bucket body part 431 has a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430T by the partition wall part 432, and corresponds to the rim of the bucket body part 431. Each of the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430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pen work target moving port is provided on the side part.

따라서 버킷부(430)는 버킷 몸체부분(431)을 기본 구조적 골격으로 하되 내부 개방공간이 격벽 부분(432)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430T)을 분획되며, 각 모집공간(430T)별로 하나씩의 작업대상 이동구가 마련되다.Therefore, the bucket part 430 uses the bucket body part 431 as a basic structural skeleton, but the internal open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430T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432, and one for each recruitment space 430T. A moving port for the work target is provided.

아울러, 버킷부(430)는 버킷 몸체부분(431)의 측면부 일측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며 카운팅 센서부(400S)를 통한 계수가 되어진 작업대상(ST')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하단으로 배출되면 작업대상 이동구를 통과해 버킷부(430)의 특정 모집공간(430T)에 모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ucket part 430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of the side part of the bucket body part 431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part 410, it passes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part 410 and moves down. When the work object (ST') counted through the counting sensor unit 400S is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portion 410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gather in the recruitment space (430T).

다음으로, 버킷 회전구동부(440)는 버킷부(430)를 회전 구동시켜 카운팅 몸체부(410)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버킷 몸체부분(431)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모집공간(430T)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한다.Next,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rotationally drives the bucket unit 430 to operate a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430T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bucket body portion 431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portion 410 . Among the target moving parts, the moving part of one work target should be different.

이에 따라, 버킷 회전구동부(440)를 통해 버킷부(430)가 회전하게 되면 운팅 몸체부(410)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작업대상 이동구와 연통된 모집공간(430T)이 달라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ucket part 430 is rotated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part 440, the recruitment space 430T in communication with the work target moving port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body part 410 is changed.

또한, 제1분류부(450)는 내부에 제1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버킷부(430) 하방 중 버킷 회전구동부(440)를 통해 시계(W2) 또는 반시계(W1)방향으로 회전하는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었던 작업대상(ST')이 쏟아져 제1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4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rting box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therein, and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under the bucket unit 430 , a clockwise (W2) or a counterclockwise (W1) ), the work object (ST'), which was recruited in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the bucket part 430 rotating in the direction, is poured and installed on one side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구체적으로, 제1분류부(450)에 해당하는 분류함에는 기 설정된 모집 단위에 맞춰 정상적인 모집이 완료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에 해당한다.Specifically, the classification box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45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provided so that the work object ST ′ for which the normal recruitment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a preset recruitment unit can be separately accommodated.

마지막으로, 제2분류부(460)는 내부에 제2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버킷부(430) 하방 중 버킷 회전구동부(440)를 통해 제1분류부(450) 측으로의 버킷부(430)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었던 작업대상(ST'')이 쏟아져 제2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된다.Finally,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lassification box having a second storage space therein, and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450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under the bucket unit 430 . The work object (ST'') that has been recruited into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the bucket part 430 rota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cket part 430 is poured and installed on one side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

구체적으로, 제2분류부(460)에 해당하는 분류함에는 기 설정된 모집 단위에 맞춰 정상적인 모집이 수행되지 못하고 불량으로 선정되거나 작업 최초로 모집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에 해당한다.Specifically, in the classification box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normal recruitment is not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recruitment unit, and the work object (ST'') selected as defective or recrui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task can be separately accommodated.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예를 들어, 제1분류부(450)에 정상적인 모집이 완료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440)를 통해 버킷부(430)가 회전하는 방향이 반시계(W1)방향으로 설정될 경우, 제2분류부(460)에 비정상적 모집 또는 최초의 모집이 완료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440)를 통해 버킷부(430)가 회전하는 방향은 시계(W2)방향으로 설정된다.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et unit 430 rotates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440 is counterclockwise (W1) so that the work object ST′, which has been normally recruited, can be separa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450 . When set in the direction, the bucket unit 430 rotates through the rotation drive unit 440 so that the work object ST'' for which the abnormal recruitment or the first recruitment has been completed can be separat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The direction is set clockwise (W2).

제어모듈(500)은 간격 조절부(130), 제1벨트 구동부(140), 제1롤러 구동부(214), 제1높이 조절부(215), 제2롤러 구동부(226), 제2높이 조절부(227), 제3높이 조절부(229), 경사 조절부(320), 모집 제한부(420) 및 버킷 회전구동부(4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control module 500 includes a gap adjusting unit 130 , a first belt driving unit 140 , a first roller driving unit 214 ,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215 , a second roller driving unit 226 , and a second height adjustment. It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unit 227,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229, 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320, the recruitment limiting unit 420 and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구체적으로, 제어모듈(500)은 카운팅 센서부(400S)를 통해 기 설정된 모집 단위만큼 작업대상(ST)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어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었음이 감지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모집 제한부(420)을 작동시켜 카운팅 몸체부(410) 하단을 막아 더 이상 작업대상 이동구를 통한 모집공간(430T)으로의 작업대상(ST)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500 is the counting sensor unit (400S) by a preset recruitment unit by the work target (ST) is moved through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unit 410 is dropped and moved to the bucket unit 430 When it is sensed that the recruiting space 430T of the Make sure that the inflow of the work object (ST) into the (430T) is not made.

그 다음으로, 제어모듈(500)은 버킷 회전구동부(440)를 구동시켜 버킷부(430)를 반시계(W1)방향으로 회전시켜 결국 하부에 위치한 제1분류부(450)에 기 설정된 모집 단위에 맞춰 정상적인 모집이 완료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되며, 작업자는 이를 꺼내어 최종적으로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module 500 drives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to rotate the bucket unit 430 in the counterclockwise (W1) direction to eventually set the recruitment unit to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450 located at the bottom. In accordance with this, the work object ST', which has been normally recruited, is separately housed, and the worker can take it out and finally complete the packaging.

또한, 제어모듈(500)은 카운팅 센서부(400S)를 통해 기 설정된 모집 단위만큼 작업대상(ST)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어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었음이 카운팅 작업을 시작한 후 최초로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모집 단위만큼 작업대상(ST)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어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지 않았지만 카운팅 작업이 완료된 경우 혹은 작업상의 오류로 인해 기 설정된 모집 단위보다 많거나 적게 작업대상(ST)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어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된 경우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모집 제한부(420)을 작동시켜 카운팅 몸체부(410) 하단을 막아 더 이상 작업대상 이동구를 통한 모집공간(430T)으로의 작업대상(ST)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뒤 버킷 회전구동부(440)를 구동시켜 버킷부(430)를 시계(W2)방향으로 회전시켜 결국 하부에 위치한 제2분류부(460)에 기 설정된 모집 단위에 맞춰 비정상적인 모집이 완료된 작업대상(ST'')이 분리 수납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500 moves the work target ST by a preset recruitment unit through the counting sensor unit 400S through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410 and is moved by falling of the bucket unit 430. When it is first detected that being recruited to the recruitment space 430T starts the counting operation, the work target ST by a preset recruitment unit passes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410 and is moved down to the bucket part ( Although not recruited in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430), if the counting operation is completed or due to an error in operation, more or less than the preset recruitment unit (ST)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part 410 In the case of being recruited to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the bucket part 430 by falling past, first, as shown in FIG. After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work target (ST) into the recruitment space (430T) through the target moving port, the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40 is driven to rotate the bucket unit 430 clockwise (W2) to eventually lower it.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locat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460 allows the work object ST'' for which abnormal recruitment has been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a preset recruitment unit to be separately accommodated.

여기서, 카운팅 센서부(400S)를 통해 기 설정된 모집 단위만큼 작업대상(ST)이 카운팅 몸체부(410)의 카운팅 홀(410H)을 지나 낙하 이동되어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에 모집되었음이 카운팅 작업을 시작한 후 최초로 감지될 경우는 버킷부(430)의 모집공간(430T) 내에 타 물품 혹은 잔량의 존재 유무 파악이 힘들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비정상적 모집 처리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ork target (ST) by a preset recruitment unit through the counting sensor unit 400S falls past the counting hole 410H of the counting body 410 and moves to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the bucket unit 430. When recruitment i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after starting the counting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articles or residual amounts in the recruitment space 430T of the bucket unit 43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opt an abnormal recruitment processing method collectively. .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틱 카운팅 장치
100 : 진입 컨베이어 유닛
110 : 제1컨베이어 벨트부 120 : 이송경로 가이드부
130 : 간격 조절부 140 : 제1벨트 구동부
200 : 정렬 유닛
210 : 제1정렬유닛
211 : 제1정렬 롤러부 212 : 제1돌기
213 : 제1회동축 214 : 제1롤러 구동부
215 : 제1높이 조절부 216 : 제1인디케이터부
220 : 제2정렬유닛
221 : 제2정렬 롤러부 222 : 제2돌기
223 : 제2회동축 224 : 제3정렬 롤러부
225 : 제3회동축 226 : 제2롤러 구동부
227 : 제2높이 조절부 228 : 제2인디케이터부
229 : 제3높이 조절부
300 : 경사 컨베이어 유닛
310 : 제2컨베이어 벨트부 320 : 경사 조절부
330 : 제2벨트 구동부
400 : 카운팅 유닛
410 : 카운팅 몸체부 400S : 카운팅 센서부
420 : 모집 제한부 430 : 버킷부
440 : 버킷 회전구동부 450 : 제1분류부
460 : 제2분류부
500 : 제어모듈
10: stick counting device
100: entry conveyor unit
110: first conveyor belt unit 120: transport path guide unit
130: gap adjusting unit 140: first belt driving unit
200: sort unit
210: first alignment unit
211: first alignment roller part 212: first projection
213: first rotation shaft 214: first roller driving unit
215: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216: first indicator unit
220: second alignment unit
221: second alignment roller part 222: second projection
223: second rotation shaft 224: third alignment roller unit
225: third rotation shaft 226: second roller driving unit
227: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228: second indicator unit
229: third height adjustment unit
300: inclined conveyor unit
310: second conveyor belt unit 320: inclination adjustment unit
330: second belt driving unit
400: counting unit
410: counting body 400S: counting sensor unit
420: recruitment restriction unit 430: bucket unit
440: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450: first classification unit
460: second category
500: control module

Claims (10)

복수의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측에 형성된 제1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스틱(Stick)형 포장제품에 해당하는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입 컨베이어 유닛;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의 제1이송경로상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정렬 롤러부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작업대상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이송될 수 있도록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기울어져 경사를 형성하는 제2컨베이어 벨트부 전단에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되며 상기 정렬 유닛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하나씩 정렬된 상기 작업대상이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 상측에 형성된 제2이송경로 전단에 놓이는 상기 작업대상이 후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경사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모집공간에 모이는 과정에서 카운트 센싱(Count Sensing)을 수행하여 모인 상기 작업대상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an entry conveyor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art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a work object corresponding to a stick-type packaging product plac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transport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i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 units rotating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opposite sides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first transfer path of the entry conveyor unit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an alignment unit that is installed to form and arranges the work objects to be transport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ward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It i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entry conveyor unit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veyor belt part inclined to form an inclination in a form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rear, and the work objects align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rough the alignment unit are placed an inclined conveyor unit installed so as to allow the work object placed 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ransfer path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to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nd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collected work objects by performing count sensing in the process where the work object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are gathered in the recruitment space one by one;
stick c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컨베이어 유닛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좌측과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우측 각각에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상측으로 세워진 가이드 벽 부분을 갖춰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좌우측으로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송경로 가이드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결하는 컨베이어 연결축상의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인접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간격 조절부; 및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를 제1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1벨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ntry conveyor unit,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ortion disposed at the lef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or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ortion disposed at the righ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or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a conveyance path guide part provided with a guide wall part erected upward along the first conveyance path to limit the deviatio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ork object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path;
an interval adjusting unit provided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adjacent first conveyor belt units among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on a conveyor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belt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a plurality of the first conveyor belt units so that the work object placed on the first transport path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ick coun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 가이드부는,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좌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좌측 또는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 중 좌우방향 기준 우측 최단부에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부의 우측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연결부분; 및
상기 가이드 연결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벽 부분과 직교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 벽 부분의 하부에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고, 너비에 따라 상기 제1이송경로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폭 확장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경로 가이드부는 상기 폭 확장부분의 너비가 상이한 복수개의 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작업대상의 길이에 따라 대응되어 상기 제1이송경로의 폭이 변형될 수 있도록 선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port path guide unit,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ortion disposed at the lef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ortion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portion disposed at the rightmost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ortion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guide connection portion that is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and
A width extension part tha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guide connection part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uide wall part to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guide wall part, and can expand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according to the width including;
The transport path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ype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width extension part, and is sel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width of the first transport path can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ngth of the work target.
stick c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하나의 정렬 롤러부를 이용해 상기 제1이송경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대상을 최초로 정렬시키는 제1정렬 유닛; 및
복수의 정렬 롤러부를 이용해 제1정렬 유닛을 거친 상기 작업대상을 추가로 정렬시켜 상기 제1이송경로 후단으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정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 유닛은,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1회동축에 편심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제1정렬 롤러부;
상기 제1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rting unit is
a first alignment unit for first aligning the work object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using a single alignment roller unit; and
A second alignment unit for further aligning the work objec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lignment unit by using a plurality of alignment rollers so that the work object can be transferr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and ,
The first alignment unit,
a first alignment roller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units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to form an eccentricity;
a first roller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rotation shaft so that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rotates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the opposite side on the first transport path; and
A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eferenc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stick coun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 유닛은,
상기 제1정렬 롤러부로부터 상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제2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2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로부터 상기 제1이송경로 기준 후방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부들 상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정렬 롤러부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제3회동축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제3정렬 롤러부;
상기 제2정렬 롤러부 및 제3정렬 롤러부가 상기 제1이송경로상 상기 작업대상의 이동을 반대편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동축 및 제3회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2정렬 롤러부 및 제2정렬 롤러부의 상하방향 기준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제2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 롤러부와 상기 제3정렬 롤러부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정렬 롤러부와 상기 제3정렬 롤러부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alignment unit,
It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s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to the rear side based on the first conveyance path,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is located at the center a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connected to be positioned;
It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height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conveyor belt portion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path, and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a third alignment roller portion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and connected so that the third rotational axis is located at the center;
The second and third alignment rollers rotate and drive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to simultaneously rotate in a direction capable of pushing the movement of the work object to the opposite side on the first transport path. 2 roller drive unit; and
Includes; a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for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referenc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lignment roller unit and the third alignment roller unit.
stick count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 롤러부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정렬 롤러부의 외주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over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roller part,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over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roller part.
stick c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부를 제2이송경로상에 놓인 상기 작업대상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 구동시키는 제2벨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conveyor unit,
an inclina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A second belt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econd conveyor belt unit so that the work object placed on the second transfer path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ick c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 컨베이어 유닛 후단으로 이송된 상기 작업대상이 하나씩 하방으로 낙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카운팅 홀이 구비된 카운팅 몸체부;
상기 카운팅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팅 홀을 지나 낙하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상의 개수를 감지하는 카운팅 센서부;
통 형상의 버킷 몸체부분 내부가 격벽 부분에 의해 복수의 모집공간을 갖추도록 구획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로 개방된 작업대상 이동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 일측이 상기 카운팅 몸체부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버킷 몸체부분의 측면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모집공간 별 작업대상 이동구 중 일 작업대상 이동구가 달라지도록 하는 버킷 회전구동부; 및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카운팅 몸체부 하단의 개폐를 조절하는 모집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unting unit is
a counting body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and having an open counting hole therein so that the work objects transferred to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unit can be moved downward one by one;
a counting sensor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nting body to detect the number of the work objects falling and moving through the counting hole;
The inside of the barrel-shaped bucket body portion is partitioned to have a plurality of recruitment spaces by a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work target moving ports opened for each of the collection space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cket body portion, the bucket body portion a bucket part installed so that one side of the side part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part;
a bucke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bucket part to change one work target moving port among the plurality of collecting spac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cket body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and
Recruitment limiter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wer end of the counting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ck coun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내부에 제1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 하방 중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되었던 상기 작업대상이 쏟아져 상기 제1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1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unting unit i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rting box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work objects that have been recruited into the recruitment space of the bucket part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part under the bucket part are poured into the second part. A first classificat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that can be contained in one storag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ick count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내부에 제2수납공간을 구비한 분류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버킷부 하방 중 상기 버킷 회전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분류부 측으로의 성기 버킷부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버킷부의 모집공간에 모집되었던 상기 작업대상이 쏟아져 상기 제2수납공간에 담길 수 있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 카운팅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nting unit i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orting box having a second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bucket par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genitals bucket part toward the first sorting part through the bucket rotation driving part under the bucket part.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where the work object that has been recruited in the space is pour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ick counting device.
KR1020210120237A 2021-09-09 2021-09-09 Stick counting apparatus KR102354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37A KR102354770B1 (en) 2021-09-09 2021-09-09 Stick cou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37A KR102354770B1 (en) 2021-09-09 2021-09-09 Stick cou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770B1 true KR102354770B1 (en) 2022-01-25

Family

ID=8004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37A KR102354770B1 (en) 2021-09-09 2021-09-09 Stick c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7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56B1 (en) * 2022-09-19 2023-01-10 주식회사 씨엘솔루션 Tablet weight checking apparatus
KR102564787B1 (en) * 2023-02-03 2023-08-10 주식회사 씨엘솔루션 Stick counting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062A (en) * 2004-08-11 2006-02-23 Sato Mokuzai Kogyo Kk Bar-like body feeder
JP2006111280A (en) * 2004-10-13 2006-04-27 General Packer Co Ltd Conveyor for supplying packaging bag
JP2006327812A (en) * 2005-05-30 2006-12-07 Yamazaki Baking Co Ltd Food aligning device
KR20090091619A (en) * 2008-02-25 2009-08-28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A two-step relay conveyor for speed control of sap patch
KR200448886Y1 (en) * 2009-12-29 2010-05-31 (주)인테크 Weight sorter
KR20130067652A (en) * 2011-12-14 2013-06-25 이미현 Packing apparatus of a small damp towel
KR20180135215A (en) * 2017-06-12 2018-12-20 박병용 Apparatus for alignment of stick type fo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062A (en) * 2004-08-11 2006-02-23 Sato Mokuzai Kogyo Kk Bar-like body feeder
JP2006111280A (en) * 2004-10-13 2006-04-27 General Packer Co Ltd Conveyor for supplying packaging bag
JP2006327812A (en) * 2005-05-30 2006-12-07 Yamazaki Baking Co Ltd Food aligning device
KR20090091619A (en) * 2008-02-25 2009-08-28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A two-step relay conveyor for speed control of sap patch
KR200448886Y1 (en) * 2009-12-29 2010-05-31 (주)인테크 Weight sorter
KR20130067652A (en) * 2011-12-14 2013-06-25 이미현 Packing apparatus of a small damp towel
KR20180135215A (en) * 2017-06-12 2018-12-20 박병용 Apparatus for alignment of stick type fo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56B1 (en) * 2022-09-19 2023-01-10 주식회사 씨엘솔루션 Tablet weight checking apparatus
KR102564787B1 (en) * 2023-02-03 2023-08-10 주식회사 씨엘솔루션 Stick coun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770B1 (en) Stick counting apparatus
CN105976499B (en) A kind of automatic coin sorting counts packing machine and its dividing counting packing method
CN1950261B (en) Packaging machine
EP0711717B1 (en) Automated facility for the unscrambling of light, hollow elongated articles and for the lined up delivery of said articles
EP0120028B1 (en) Packer
KR102111786B1 (en) Aligner apparatus having automatic weight separation function
CN108480221B (en) Logistics sorting system comprising equidistant separation, slow flow separation and fast flow combination
KR102216779B1 (en) Vision inspection device for clutch hub
CN106097562A (en) A kind of intelligent coin sorting equipment
CN105620820A (en) High-speed bag aligning, boxing and falling bin mechanism
KR101421427B1 (en) Plasma cutting apparatus use 2d/3d cad cam
CN108423248B (en) Intelligent integrated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engineering cutter detection packag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6043858B (en) A kind of fully-automatic packaging production line
CN108408358A (en) Cigarette packet sorts stacking pallet conveying device and method
CN108499882B (en) Address error correction parcel sorting method based on time difference principle
CN107067527B (en) Coin sorting device
CN206502361U (en) A kind of distribution feed device of spring
CN213914923U (en) License plate collecting and verifying equipment
KR102564787B1 (en) Stick counting apparatus
WO19960041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unting and packaging discrete objects
CN212424502U (en) Auxiliary feeding device of chip testing and sorting machine
US20200238338A1 (en) Packet sorting/handling system having a platform conveyor and a gravity transfer unit
KR100757178B1 (en) Apparatus for arraying the pillow
CN113968381A (en) Automatic bearing packaging machine
KR102157167B1 (en) Self-sensing detection system for egg scree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