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96B1 -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 Google Patents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96B1
KR102354496B1 KR1020200082839A KR20200082839A KR102354496B1 KR 102354496 B1 KR102354496 B1 KR 102354496B1 KR 1020200082839 A KR1020200082839 A KR 1020200082839A KR 20200082839 A KR20200082839 A KR 20200082839A KR 102354496 B1 KR102354496 B1 KR 10235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inlet
guide
outlet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5245A (en
Inventor
황두진
최성오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최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최성오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96B1/en
Publication of KR2022000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6Gates or closures operating by deformation of flexi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용 포대장치(10)이다. 포대장치(10)는 포대몸체(12)의 내부에 해조류가 담겨지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포대몸체(12)는 몸체상부(16)와 몸체하부(18)로 나누어지고, 상기 몸체하부(18)는 상기 몸체상부(16)보다 중력 방향 하부에 있다. 상기 몸체하부(18)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몸체상부(16) 상단에 있는 입구(20)를 통해서 해조류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고, 상기 몸체하부(18)의 하단에 있는 출구(22)를 통해 해조류가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가이드(24)가 있어서 그 내부와 외부로 상부로프(28)가 위치되고,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가이드(24')가 있어서 그 내부와 외부로 하부로프(28')가 위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g device (10) for seaweed. In the bag device 10 , an inner space 14 in which seaweed is contained is formed inside the bag body 12 . The bag body 12 is divided into an upper body 16 and a lower body 18 , and the lower body 18 is lower in the gravity direction than the upper body 16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body 18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seaweed enters the inner space 14 through the inlet 20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16, and the seaweed exits through the outlet 22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8. There is an upper rope guide 24 around the edge of the inlet 20 so that the upper rope 28 is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inlet 20, and around the edge of the outlet 22 there is a lower rope guide 24'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furnace lower rope 28' is positioned.

Description

해조류용 포대장치{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본 발명은 해조류용 포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에서 생산되는 조류 등을 담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cking device for seawee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cking device for seaweeds that can contain and move algae produced in the sea.

해양에서는 다양한 조류를 양식하거나 채취할 수 있다. 조류에는 미역, 파래, 매생이, 김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해양에서 양식된 김은 바닷물에 젖은 상태인데, 이를 물김이라고 칭한다.A variety of algae can be farmed or harvested in the ocean. There are various kinds of algae, such as seaweed, green seaweed, maesaengi, and laver. For example, seaweed cultivated in the sea is wet with seawater, and this is called seaweed.

예를 들어, 물김은 양식장에서 생산하고 이를 건져올려서 바지선 상에 있는 물김포대에 담아서 육지로 이동하게 된다. 바지선이 육지에 와서 물김포대를 하역할 때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물김포대를 들어올려서 이송한다.For example, water laver is produced at a farm, picked up, placed in water laver on a barge, and moved to land. When the barge arrives on land and unloads the water gimbag, it is transported by lifting it using a crane, etc.

물김의 채취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2347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자동화 처리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였고,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82851호로 물김처리장치를 출원하였는데, 여기서 물김포대를 사용하여 물김을 담아서 바지선에서 육상으로 이송하도록 하였다.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of seaweed, an automated treatment device was also installed on a ship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23479, and the present applicant applied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9-0082851, where The gimpo bag was used to store the water and transport it from the barge to the land.

하지만, 위의 문헌들에서 사용되는 물김포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되지 않아서, 일반적인 마대자루와 같은 것을 사용했는데, 물김포대에 물김이 가득 담아졌을 때 물김포대의 중간 하부부분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물김포대가 놓여지는 프레임에서 물김포대가 잘 빠지지 않거나, 프레임에 걸려 물김포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no more specific study on the water gimpo bag used in the above documents, so a general bagging bag was used. As a result of th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gimpad did not come off easily from the frame on which the water gimpad was placed, or the water gim bag was damaged by being caught in the frame.

그리고, 종래의 물김포대는 입구와 출구가 동일하여 물김포대 내부에 있는 물김을 꺼내기 위해서는 물김포대를 뒤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ulgimpodae has the same entrance and exit, so it is inconvenient to turn over the mulgimpodae in order to take out the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mulgimpoda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34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23479

삭제dele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조류를 담아 선상에서 육상으로 이송할 수 있는 해조류용 포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eaweed bagging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seaweeds from a ship to la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조류를 담아 크레인으로 이송하여 포대장치의 외부로 해조류를 쉽게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port the seaweed by a crane so as to easily discharge the seaweed to the outside of the sack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의 물품과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조류용 포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cking device for seaweeds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articl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대장치는 포대몸체의 입구와 출구를 로프를 사용하여 개폐하고,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는 상하가이드를 통해 포대몸체의 상부로 안내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함께 이송장치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부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해조류를 넣고 하부의 출구를 통해 해조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해조류의 이송이 쉽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a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ack body are opened and closed using a rope, and the lower rop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is of the sack body through the upper and lower guides. It is guided to the upper part and hung on the transfer device together with the upper rope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ccordingly, the seaweed can be put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upper inlet and the seawee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outlet, so that the seaweed is easily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포대몸체의 몸체하부가 출구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공간에 해조류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포대몸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ag bod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let. Therefore, even if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algae, the sack body does not feel full.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상부에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몸체하부에 출구가 위치되는 포대몸체와,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와, 상기 하부로프를 상기 포대몸체의 상단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포대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져 상기 상부로프로 상기 포대몸체를 인양하도록 하는 상부샤클과, 상기 하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져 상기 하부로프로 상기 포대몸체를 인양하도록 하는 하부샤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상부로프가 연장되고, 상기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하부로프가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ck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seaweed is contained, compris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 inlet positioned at the upper body, and an outlet positioned at the lower body; An upper rope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inl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through length adjustment, a lower rope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outle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through length adjustment, and attach the lower rope to the upper end of the bag body an upper and lower guide installed on the sack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uide the sack, an upper shack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upper rope and hung on a transport device to lift the sack body to the upper rope, and at the end of the lower rope It may include a lower shackle installed and hung on a transport device to lift the bag body with the lower rope, and an upper rope guide is installed around the inlet edge to extend the upper rope therein, and the outlet edge A lower rope guide is installed around the , so that the lower rope can be extended therein.

삭제delete

상기 상부로프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로프는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된다.The upper rope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upper rope guide and both ends extend outside the upper rope guide at the same or adjacent positions, and the lower rope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lower rope guide so that both ends are at the same or adjacent positions extends outward from the lower rope guide.

상기 포대몸체는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하부로프 가이드, 상하가이드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The bag body is made of a net having a mesh or made of a natural or synthetic material, and the upper rope guide, the lower rope guide,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입구는 다각형상으로 되어 인접한 포대장치의 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inlet has a polygonal shape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inlet and the inlet of an adjacent bag device.

상기 입구는 사각형상으로 된다.The inlet is rectangular in shape.

상기 몸체하부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part.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ag device for seaw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크기로 만들어진 포대장치의 내부공간에 해조류를 소정량 씩 담아서 크레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포대장치의 입구와 출구를 조아서 폐쇄할 수 있는 상부로프와 하부로프에 크레인에 걸어지는 샤클을 두어서 크레임을 사용하여 이송할 때, 포대몸체의 자중에 의해 상부로프가 입구를 하부로프가 출구를 보다 확실하게 조아줘서 해조류가 외부로 나오는 것 없이 잘 이송될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weed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g device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it can be moved by a crane. In particular, when transporting using a crane by placing a shackle hanging on a crane on the upper and lower ropes that can be closed by tighten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acking device, the upper rope holds the inlet and the lower rope exits due to the weight of the sack body. It is more securely tightened so that the algae can be transported well without coming out.

본 발명에서는 포대몸체의 상부에 입구를 두고 하부에 출구를 두어서, 포대몸체의 내부공간으로는 입구를 통해 해조류를 투입하고 포대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해조류를 전달할 때는 하부에 있는 출구를 개방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크레인과 같은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선상에서 육상으로 해조류를 보다 쉽게 이송하여 전달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g body and an outlet is placed on the lower part, so that seaweed is pu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g body through the inlet, and when the seaweed is deliver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ag body to the outside, the outlet at the bottom is opened so that it was carried o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transport and deliver seaweeds from a ship to land by using a transport device such as a crane.

한편, 본 발명에서 포대몸체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하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출구측을 향해 횡단면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몸체하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해조류가 가득 담겨지더라도 몸체상부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대몸체를 선상에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주변의 물체와 간섭되지 않아 포대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 body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outlet in at least some sections. Even if the seaweed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by this configuration, it does not protrude further to the outside tha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sack body on boar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rrounding objects,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turret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포대장치에서 포대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크기를 현장의 필요에 맞게 다양하게 설정하면, 포대장치를 통해 한 번에 이송되는 해조류의 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를 보다 잘 충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ize of the inner space formed inside the bag body is set to suit the needs of the site, the amount of seaweed transferred at one time through the bag device can be varied, so that the user can better meet your need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새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영역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포대장치를 크레인에 걸어 들어올린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g device for seaw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rea A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ck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ung on a crane and lif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해조류용 포대장치(10)는 포대몸체(12)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포대몸체(12)는 해조류가 빠져나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의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진 천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해조류가 머금고 있는 물은 포대몸체(12)를 통과하면서 해조류는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이라면 상기 포대몸체(12)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bag device 10 for seawe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g body 12 forms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The sack body 12 may be made of a net having a size large enough for seaweed to escape, or may be made of a cloth made of a natural material or a synthetic material. I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aweed passes through the bag body 12 and the seaweed does not pass, it can be used to make the bag body 12 .

상기 포대몸체(12)의 내부에는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아래에서 설명된 상부로프(28)와 하부로프(28')에 의해 입구(20)와 출구(22)가 폐쇄될 수 있다.An inner space 14 in which seaweed is contained is formed inside the bag body 12 . The inner space 14 may be opened up and down. The inner space 14 may have an inlet 20 and an outlet 22 closed by an upper rope 28 and a lower rope 28' described below.

상기 포대몸체(12)은 크게 몸체상부(16)와 몸체하부(1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상부(16)는 상기 몸체하부(18)에 비해 그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하부(18)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14)의 횡단면적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상부(16)의 내부공간(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몸체상부(16)의 내부공간(14)의 횡단면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포대장치(10)가 선상에 놓여져 지지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따른 것이다.The bag body 12 may be largely composed of an upper body 16 and a lower body 18 . The upper body 16 has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lower body 18 . The lower body 18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14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inner space 14 of the upper body 16 may be constant while go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pace 14 of the upper body 16 is rectangular, which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rame in which the bag device 10 is placed and supported on a line.

상기 몸체상부(16)의 상단에는 입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0)를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4)으로 해조류가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입구(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된다. 이는 다수개의 포대장치(10)가 다수개의 행과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을 때, 인접하는 포대장치(10)의 입구(20)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20)의 형상은 인접하는 포대장치(10)의 입구(20) 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평행사변형, 5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입구(20)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An inlet 2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16 . Seaweed may enter the inner space 14 through the inlet 20 . The inlet 20 is rectangular in this embodiment. This is to prevent a gap from occurring between the inlets 20 of adjacent sacking devices 10 when a plurality of sacking devices 1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nlet 20 may be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re is no gap between the inlets 20 of the adjacent bag device 10 .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entrance 20 may be made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parallelogram, or a pentagon.

상기 몸체하부(18)의 하단에는 출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22)를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14)에서 외부로 해조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출구(22)의 형상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n outlet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8 . Seaweed may be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14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2 . The shape of the outlet 22 is rectangular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입구(20)의 개폐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있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상기 포대몸체(12)의 입구(20)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로프통과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통과공간(26)에는 상부로프(28)가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사각형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각 변에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가 상기 사각형의 입구 가장자리를 전체를 둘러 하나로 될 수도 있다.A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20 will be describe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inlet 20 is an upper rope guide 24 as seen in FIG. 2 . The upper rope guide 24 is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inlet 20 of the sack body 12, and a rope passage space 26 is formed therein. The upper rope 28 is located in the rope passage space 26 .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rope guide 24 is formed separately on each side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rectangle. However, the upper rope guide 24 may be formed around the entire entrance edge of the rectangle.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입구(20)를 개폐할 때 조아지거나 펼쳐지는 것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는 상기 포대몸체(12)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상부로프(28)와의 마찰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마찰에 강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The upper rope guide 2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is freely tightened or unfolded when the inlet 20 is opened and closed. The upper rope guide 24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ack body 12, but considering the friction with the upper rope 28,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resistant to friction.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의 로프통과공간(26)으로 상부로프(28)가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는 동일하거나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는 로프통과공간(26) 내에 있는 상부로프(28)의 길이에 따라 입구(2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포대몸체(12)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 내부에 있는 상부로프(28)가 당겨지면 상기 입구(20)의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조아져서 입구(20)가 폐쇄될 수 있다.The position where the upper rope 28 enters and exits into the rope passage space 26 of the upper rope guide 24 is the same or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is is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pper rope 28 in the rope passage space 26 . Since the bag body 1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en the upper rope 28 inside the upper rope guide 24 is pull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20 is tightened so that the inlet 20 can be closed. have.

다른 실시례로서 상부로프(28)가 로프통과공간(26)으로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가 다르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부로프(28)를 적어도 2개 이상 사용해야 한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rope 28 enters and exits the rope passage space 26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at least two or more upper ropes 28 should be used.

한편, 상기 출구(22)에는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위치된다. 이 구성은 상부로프 가이드(24)의 그 것과 유사하므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구(22)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있고,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의 내부에 있는 로프통과공간(26')에 하부로프(28')가 위치된다. 상기 하부로프(28')도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로 되어 있고, 상기 로프통과공간(26')으로 들어가는 위치와 나오는 위치가 같거나 인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도 상부로프 가이드(24)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utlet 22, a lower rope guide 24' is positioned around the edge of the outlet 22. Since this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rope guide 24,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re is a lower rope guide 24' around the edge of the outlet 22, and a lower rope 28' is located in the rope passage space 26' inside the lower rope guide 24'. The lower rope 28' is also one in this embodiment, and the position entering and exiting the rope passage space 26' may be the same or adjacent to each other. The lower rope guide 24 ′ may als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rope guide 24 .

상기 상부로프(28)의 양단은 하나의 상부샤클(3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샤클(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장치(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c), 예를 들면 크레인에 걸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샤클(30)이 이송장치(c)에 걸어지고 이송장치(c)가 동작하면, 상기 상부로프(28)가 당겨지면서 상기 입구(20)가 닫혀진다. 물론 상기 상부로프(28)의 길이에 따라, 상기 입구(20)가 닫혀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상기 입구(20)는 반드시 완전히 폐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Both ends of the upper rope 28 are coupled to one upper shackle 30 . As shown in FIG. 5 , the upper shackle 30 is hung on a transport device c for transporting the bag device 10, for example, a crane. Here, when the upper shackle 30 is hung on the transfer device c and the transfer device c operates, the upper rope 28 is pulled and the inlet 20 is closed. Of cours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upper rope 28, the degree to which the inlet 20 is closed varies. The inlet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mpletely closed.

상기 하부로프(28')의 양단도 역시 하나의 하부샤클(30')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샤클(30')도 이송장치(c)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샤클(30')이 이송장치(c)에 걸어진 상태에서 이송장치(c)가 동작되면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지면서 상기 출구(22)를 폐쇄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하부로프(28')가 하부로프가이드(24')의 로프통과공간(26') 내에 위치되는 길이가 짧아지면서 상기 출구(22)를 조으기 때문이다. Both ends of the lower rope 28' are also coupled to one lower shackle 30'. The lower shackle 30' is also hung on the transfer device c. When the transport device c is operated while the lower shackle 30 ′ is hung on the transport device c, the lower rope 28 ′ is pulled to close the outlet 22 .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wer rope 28' located in the rope passage space 26' of the lower rope guide 24' is shortened and the outlet 22 is tighten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로프(28')도 하나가 사용되는데, 상부로프(28)와 마찬가지로 2개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하부로프(28')의 양단이 상기 하부샤클(30')에 연결되는데, 상기 하부샤클(30')과 상기 출구(22) 사이에서 상기 하부로프(28')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포대몸체(12)에 상하가이드(32)가 있다. 상기 상하가이드(32)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24)나 하부로프 가이드(24')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가이드(32)는 상기 하부로프(28')를 상기 출구(22)에서 시작해서 포대몸체(12)의 상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가이드(32)에 의해 포대몸체(12)의 입구 쪽으로 상기 하부로프(28')가 안내된다.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lower ropes 28' is also used, and like the upper rope 28, two or more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both ends of one lower rope 28' are connected to the lower shackle 30', and the lower rope 28' is guided between the lower shackle 30' and the outlet 22.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n upper and lower guide 32 on the bag body 12 . The upper and lower guide 3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rope guide 24 or the lower rope guide 24 ′. The upper and lower guide 32 serves to guide the lower rope 28 ′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g body 12 starting from the outlet 22 . The lower rope 28' is guided toward the entrance of the bag body 12 by the upper and lower guide 32.

상기 상하가이드(3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갯수나 길이 등은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하가이드(32)를 길게 만들고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Two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32 are us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the number and length thereof may vary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guides 32 may be made long and only one may be used, or three or more may be made to have a relatively short upper and lower length.

상기 상부로프(28)와 하부로프(28')의 길이는 포대장치(10)가 이송장치(c)에 의해 들어 올려졌을 때, 이송장치(c)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상부샤클(30)과 하부샤클(30')이 걸어지면, 상기 몸대몸체(12)가 상하방향으로 바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져서 출구(22)를 조여서 폐쇄시키고, 상부로프(28)도 당겨져서 입구(20)를 적어도 일부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upper rope 28 and the lower rope 28' is the same with the upper shackle 30 and When the lower shackle 30' is hung, it is preferable that the trunk body 12 be in a state in which it stands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state is shown in FIG. 5 . In this state, the lower rope 28' may be pulled to close the outlet 22 by tightening, and the upper rope 28 may also be pulled so that the inlet 20 is at least partially clos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용 포대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sacking device for seaw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포대장치(10)는 해조류를 채취하는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다수개가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인접한 포대장치(10)의 입구(20) 사이에는 틈새가 없도록 하여 기계적으로 채취되는 해조류가 포대장치(10)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모두가 각각의 포대장치(10)로 입구(20)를 통해 내부공간(14)에 들어가도록 한다.A plurality of bag device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a frame installed on the deck of a ship for collecting seaweed. In particular, there is no gap between the inlets 20 of the adjacent bag devices 10 so that mechanically harvested seaweeds do not escape between the bag devices 10, and all of them go to each bag device 10 through the inlet 20. Let it enter the inner space (14).

상기 포대장치(10)의 내부공간(14)에 해조류가 다 채워지게 되면, 선박을 이동시켜 육상으로 전달한다. 육상에서 이송장치(c)를 사용하여 상기 포대장치(10)를 하나 씩 이송한다. When the inner space 14 of the bag device 10 is completely filled with seaweed, the vessel is moved and delivered to the land. On land, the bag devices 10 are transported one by one using the transport device c.

상기 포대장치(10)에서 해조류가 상기 출구(22)를 통해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로프(30')의 하부샤클(30')을 당겨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 내에 있는 하부로프(30')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해야 한다. 즉, 상기 하부로프(30')가 상기 로프통과공간(26')에 최소 길이가 위치되면서 상기 하부로프가이드(24)가 죄어져서 상기 출구(22)가 닫혀지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seaweed from escaping through the outlet 22 in the bag device 10, pull the lower shackle 30' of the lower rope 30' to the lower rope (24') in the lower rope guide (24'). 30') should be kept to a minimum. That is, as the lower rope 30' is positioned at a minimum length in the rope passage space 26', the lower rope guide 24 is tightened so that the outlet 22 is closed.

이는 상기 하부샤클(30')을 이송장치(c)에 걸어서 당기거나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하부샤클(30')을 당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구(22)가 닫혀지면 내부공간(14)의 해조류가 출구(22)를 통해 나올 수 없다.This may be accomplished by pulling the lower shackle 30' by hooking it to the transfer device c or pulling the lower shackle 30' using a separate device. When the outlet 22 is closed, the seaweed in the inner space 14 cannot come out through the outlet 22 .

상기 포대쟝치(10)의 몸체하부(18)는 출구(22) 쪽으로 갈수록 내부의 횡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대몸체(12)에서 하부에 해당되는 몸체하부(18)에는 내부공간(14)에 해조류가 가득 채워지더라도 그 압력에 의해 배루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포대몸체(12)의 몸체상부(16)의 외면보다 몸체하부(18)의 외면이 더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포대장치(10)를 선상의 프레임으로부터 빼낼 때, 포대몸체(12)가 주변에 걸려 손상되지 않게 된다.The lower body 18 of the bag device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ide decreases toward the outlet 22 . Therefore, even if the inner space 14 is filled with seaweed in the lower body 18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bag body 12, the bloa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due to the pressure. That is, the phenomeno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8 more protrudes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6 of the sack body 12 does not occur.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sack apparatus 10 is removed from the frame on the ship, the sack body 12 is not caught and damaged.

상기 포대장치(10)를 선상에서 육상으로 옮기고, 내부공간(14)에 있는 해조류를 다른 용기에 담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장치(c)를 사용한다. 상기 이송장치(c)에 상기 상부샤클(30)과 하부샤클(30')을 걸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20)와 출구(22)가 조여져서 폐쇄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입구(20)는 반드시 완전히 조여질 필요는 없다. 이는 상기 입구(20)는 중력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포대장치(10)가 뒤집어지거나 많이 기울어지지 않는 이상 입구(20)를 통해서는 해조류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The transfer device (c) is used to move the bag device (10) from the ship to the shore and to put the seaweed in the inner space (14) into another container. The upper shackle 30 and the lower shackle 30' are hung on the transfer device (c) so that the inlet 20 and the outlet 22 are tightened and closed as shown in FIG. 5 . Of course, the inlet 20 is not necessarily fully tightened. This is because the inlet 20 is op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gravity, so that seaweed does not come out through the inlet 20 unless the bag device 10 is turned over or tilted too much.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포대장치(10)가 들어올려지면 내부공간(14)의 해조류의 무게에 의해 상기 입구(20)와 출구(22), 특히 출구(22)는 조여지면서 닫혀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bag device 10 is lif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5, the inlet 20 and the outlet 22, especially the outlet 22, are tightened and closed by the weight of the seaweed in the inner space 14. can keep it

이 상태로 육상으로 포대장치(10)가 옮겨지면, 이후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해조류를 다른 용기나 수송차량에 옮겨 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하부샤클(30')을 이송장치(c)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부로프(28')가 더 이상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sacking device 10 is moved to land in this state, subsequent work is performed, and the seaweed must be finally transferred to another container or transport vehicle. To this end, the lower shackle 30'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device c so that the lower rope 28' is no longer maintained in a pulled state.

상기 하부로프(28')가 당겨지지 않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14)에 있는 해조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출구(22)가 개방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상기 하부로프(28')가 상기 하부로프가이드(24')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24')가 조여있던 상태에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구(22)가 개방되어, 상기 출구(22)로부터 해조류가 빠져나와 다른 용기 또는 수송차량으로 옮겨지게 된다.When the lower rope 28' is not pulled, the pressure to open the outlet 22 is applied by the weight of the seaweed in the inner space 14, and the lower rope 28' becomes the lower rope guide. (24') is opened while the lower rope guide (24') is tightened as it enters the inside. Accordingly, the outlet 22 is opened, and the seaweed escapes from the outlet 22 and is transferred to another container or transport vehic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포대장치 12: 포대몸체
14: 내부공간 16: 몸체상부
18: 몸체하부 20: 입구
22: 출구 24: 상부로프 가이드
24': 하부로프 가이드 26: 로프통과공간
26': 로프통과공간 28: 상부로프
28': 하부로프 30: 상부샤클
30': 하부샤클 32: 상하 가이드
10: turret device 12: turret body
14: inner space 16: upper body
18: lower body 20: entrance
22: exit 24: upper rope guide
24': lower rope guide 26: rope passage space
26': rope passage space 28: upper rope
28': lower rope 30: upper shackle
30': lower shackle 32: upper and lower guides

Claims (7)

내부에 해조류가 담아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상부에 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몸체하부에 출구가 위치되는 포대몸체와,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로프와,
상기 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하부로프와,
상기 하부로프를 상기 포대몸체의 상단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포대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져 상기 상부로프로 상기 포대몸체를 인양하도록 하는 상부샤클과,
상기 하부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장치에 걸어져 상기 하부로프로 상기 포대몸체를 인양하도록 하는 하부샤클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상부로프가 연장되고, 상기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상기 하부로프가 연장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A sack body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seaweed is contained and compris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 inlet positioned at the upper body, and an outlet positioned at the lower body;
an upper rope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inl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through length adjustment;
a lower rope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outle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through length adjustment;
an upper and lower guide installed on the sack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uide the lower rope toward the upper end of the sack body;
an upper shack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upper rope and hung on a transfer device to lift the sack body with the upper rope;
and a lower shack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ower rope and hung on a transfer device to lift the sack body with the lower rope,
An upper rope guide is installed around the inlet edge to extend the upper rope therein, and a lower rope guide is installed around the outlet edge to extend the lower rope there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프는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로프는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양단이 동일한 위치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로프 가이드 외부로 연장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rop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rope guide and both ends extend outside the upper rope guide at the same or adjacent positions, and the lower rop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wer rope guide and ends at both ends. A sacking device for seaweeds extending outside the lower rope guide at the same or adjacent posi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몸체는 그물눈을 가지는 그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천연재질이나 합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상부로프 가이드, 하부로프 가이드, 상하가이드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The sacking device for seaweed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ack body is made of a mesh having a mesh or made of a natural or synthetic material, and the upper rope guide, the lower rope guide,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다각형상으로 되어 인접한 포대장치의 입구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Claim 2] The bagging device for seaweed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has a polygonal shape so that a gap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inlet of an adjacent bagg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사각형상으로 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
[Claim 6] The bag device for seaweed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let has a rectangular shape.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부의 횡단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해조류용 포대장치.[Claim 7] The bag device for seaweed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part.
KR1020200082839A 2020-07-06 2020-07-06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KR102354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en) 2020-07-06 2020-07-06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en) 2020-07-06 2020-07-06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45A KR20220005245A (en) 2022-01-13
KR102354496B1 true KR102354496B1 (en) 2022-01-24

Family

ID=7934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839A KR102354496B1 (en) 2020-07-06 2020-07-06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9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76B2 (en) 1995-04-25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Work imaging device
JP2002225977A (en) 2001-01-26 2002-08-14 Inter Action Corp Flexible container
JP2005335807A (en) 2004-05-26 2005-12-08 Morishita Kk Highly safe container bag unsealable by remote operation
JP5188750B2 (en) * 2007-06-08 2013-04-24 代田 眞理子 Container back
JP2017190175A (en)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Suspender-carrier and carry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488A (en) * 1997-12-19 1999-07-06 Koizumi Seima Kk Flexible container bag
JP3066896B1 (en) * 1999-04-22 2000-07-17 和歌山精化工業株式会社 Flexible container
JP3085876U (en)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Container back
KR101964048B1 (en) 2017-08-29 2019-08-07 김석칠 Live Fresh Laver Collect Automatic Treting Device
KR20200017997A (en)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Multifunctional Fiber Gab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76B2 (en) 1995-04-25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Work imaging device
JP2002225977A (en) 2001-01-26 2002-08-14 Inter Action Corp Flexible container
JP2005335807A (en) 2004-05-26 2005-12-08 Morishita Kk Highly safe container bag unsealable by remote operation
JP5188750B2 (en) * 2007-06-08 2013-04-24 代田 眞理子 Container back
JP2017190175A (en)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Suspender-carrier and carry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45A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0371C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pping aquatic animals
US7533486B2 (en) Foldable fish-trap
KR200444477Y1 (en) Convey ship of live fish
US3440758A (en) Crab trap
US4982525A (en) Collapsible lobster or crab trap
KR102354496B1 (en) Bag apparatus for marine algae
NO770212L (en) FISHING DEVICE FOR FISH FARMING.
US4134226A (en) Fishing crab trap
US4986021A (en) Fish net and method of capturing fish
US2721411A (en) Collecting device for live fish
US1780322A (en) Apparatus for enabling hatch loading in the rain for ships or the like
US4063380A (en) No stress dip net
DK2348825T3 (en) Device for processing fish in net cages
US4142754A (en) Fish brailer
WO2008105665A1 (en) Trap
KR200480316Y1 (en) Wrapping sheet for loading and unloading
US3427742A (en) Foldable frame construction for crab pots and the like
JP2013144529A (en) Ship
WO2018156028A1 (en) Device for catching or keeping marine organisms
US1332653A (en) Live-fish-transporting barge
US3380187A (en) Trap for catching crabs
DE948372C (en) Floatable fish tank
US1485338A (en) Floating trawling fish seine
EP0720945B1 (en) Liferaft
CN115176749B (en) Fry cabin-entering transfe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