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89B1 -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89B1
KR102354489B1 KR1020217009768A KR20217009768A KR102354489B1 KR 102354489 B1 KR102354489 B1 KR 102354489B1 KR 1020217009768 A KR1020217009768 A KR 1020217009768A KR 20217009768 A KR20217009768 A KR 20217009768A KR 102354489 B1 KR102354489 B1 KR 10235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ing
block
subblock
motion vector
merg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890A (ko
Inventor
장형문
남정학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0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tempor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5Motion estimation with spatial constraints, e.g. at image or region b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본 개시는 영상 코딩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ATMVP(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4K 또는 8K 이상의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비디오와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비디오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비디오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비디오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송되는 정보량 또는 비트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영상/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최근 VR(Virtual Reality), AR(Artificial Realtiy) 컨텐츠나 홀로그램 등의 실감 미디어(Immersive Media)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게임 영상과 같이 현실 영상과 다른 영상 특성을 갖는 영상/비디오에 대한 방송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다양한 특성을 갖는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비디오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거나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해 고효율의 영상/비디오 압축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 정의된 위치의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임시로 ATMVP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지 않고, 기 정의된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재 블록(또는 현재 변환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을 ATMVP 후보로 결정하여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고,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인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고,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하는 레지듀얼 처리부 및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엔트로피 인코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디코딩 장치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코딩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지시들(instructions)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디코더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디코딩 장치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지시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디코더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반적인 영상/비디오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여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기 정의된 위치의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여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임시로 ATMVP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지 않고, 기 정의된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여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블록(또는 현재 변환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을 ATMVP 후보로 결정하여 영상 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ATMVP 후보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ATMVP 후보가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ATMVP 후보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ATMVP 후보가 결정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HMVP 후보들을 기반으로 ATMVP 후보를 결정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도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도면상의 각 구성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각 구성들이 서로 별개의 하드웨어나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각 구성 중 두 개 이상의 구성이 합쳐져 하나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복수의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각 구성이 통합 및/또는 분리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를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은 제1 장치(소스 디바이스) 및 제2 장치(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비디오(video)/영상(image) 정보 또는 데이터를 파일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비디오 소스, 인코딩 장치,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부, 디코딩 장치 및 렌더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장치는 비디오/영상 인코딩 장치라고 불릴 수 있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비디오/영상 디코딩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송신기는 인코딩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기는 디코딩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렌더러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별개의 디바이스 또는 외부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소스는 비디오/영상의 캡쳐, 합성 또는 생성 과정 등을 통하여 비디오/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는 비디오/영상 캡쳐 디바이스 및/또는 비디오/영상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영상 캡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카메라, 이전에 캡쳐된 비디오/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영상 아카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영상 생성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컴퓨터, 타블렛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적으로) 비디오/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등을 통하여 가상의 비디오/영상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비디오/영상 캡쳐 과정이 갈음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입력 비디오/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압축 및 코딩 효율을 위하여 예측, 변환, 양자화 등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코딩된 데이터(인코딩된 비디오/영상 정보)는 비트스트림(bitstream)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전송부는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된 인코딩된 비디오/영상 정보 또는 데이터를 파일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디바이스의 수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장 매체는 USB, SD, CD, DVD, 블루레이, HDD, SSD 등 다양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는 미리 정해진 파일 포멧을 통하여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방송/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수신/추출하여 디코딩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인코딩 장치의 동작에 대응하는 역양자화, 역변환, 예측 등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여 비디오/영상을 디코딩할 수 있다.
렌더러는 디코딩된 비디오/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렌더링된 비디오/영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문서는 비디오/영상 코딩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문서에서 개시된 방법/실시예는 VVC (versatile video coding) 표준, EVC (essential video coding) 표준, AV1 (AOMedia Video 1) 표준, AVS2 (2nd generation of audio video coding standard) 또는 차세대 비디오/영상 코딩 표준(ex. H.267 or H.268 등)에 개시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문서에서는 비디오/영상 코딩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며,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문서에서 비디오(video)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일련의 영상(image)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픽처(picture)는 일반적으로 특정 시간대의 하나의 영상을 나타내는 단위를 의미하며, 슬라이스(slice)/타일(tile)는 코딩에 있어서 픽처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위이다. 슬라이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CTU(coding tree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픽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픽처는 하나 이상의 타일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타일 그룹은 하나 이상의 타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릭은 픽처 내 타일 이내의 CTU 행들의 사각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a brick may represent a rectangular region of CTU rows within a tile in a picture). 타일은 다수의 브릭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고, 각 브릭은 상기 타일 내 하나 이상의 CTU 행들로 구성될 수 있다(A tile may be partitioned into multiple bricks, each of which consisting of one or more CTU rows within the tile). 다수의 브릭들로 파티셔닝되지 않은 타일은 또한 브릭으로 불릴 수 있다(A tile that is not partitioned into multiple bricks may be also referred to as a brick). 브릭 스캔은 픽처를 파티셔닝하는 CTU들의 특정한 순차적 오더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CTU들은 브릭 내에서 CTU 래스터 스캔으로 정렬될 수 있고, 타일 내 브릭들은 상기 타일의 상기 브릭들의 래스터 스캔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 픽처 내 타일들은 상기 픽처의 상기 타일들의 래스터 스캔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A brick scan is a specific sequential ordering of CTUs partitioning a picture in which the CTUs are ordered consecutively in CTU raster scan in a brick, bricks within a tile are ordered consecutively in a raster scan of the bricks of the tile, and tiles in a picture are ordered consecutively in a raster scan of the tiles of the picture). 타일은 특정 타일 열 및 특정 타일 열 이내의 CTU들의 사각 영역이다(A tile is a rectangular region of CTUs within a particular tile column and a particular tile row in a picture). 상기 타일 열은 CTU들의 사각 영역이고, 상기 사각 영역은 상기 픽처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너비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 내의 신택스 요소들에 의하여 명시될 수 있다(The tile column is a rectangular region of CTUs having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picture and a width specified by syntax elements in the picture parameter set). 상기 타일 행은 CTU들의 사각 영역이고, 상기 사각 영역은 픽처 파라미터 세트 내의 신택스 요소들에 의하여 명시되는 너비를 갖고, 높이는 상기 픽처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tile row is a rectangular region of CTUs having a height specified by syntax elements in the picture parameter set and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picture). 타일 스캔은 픽처를 파티셔닝하는 CTU들의 특정 순차적 오더링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CTU들은 타일 내 CTU 래스터 스캔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픽처 내 타일들은 상기 픽처의 상기 타일들의 래스터 스캔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A tile scan is a specific sequential ordering of CTUs partitioning a picture in which the CTUs are ordered consecutively in CTU raster scan in a tile whereas tiles in a picture are ordered consecutively in a raster scan of the tiles of the picture). 슬라이스는 픽처의 정수개의 브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수개의 브릭들은 하나의 NAL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A slice includes an integer number of bricks of a picture that may be exclusively contained in a single NAL unit). 슬라이스는 다수의 완전한 타일들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타일의 완전한 브릭들의 연속적인 시퀀스일 수도 있다(A slice may consists of either a number of complete tiles or only a consecutive sequence of complete bricks of one tile). 이 문서에서 타일 그룹과 슬라이스는 혼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서 tile group/tile group header는 slice/slice header로 불리 수 있다.
픽셀(pixel) 또는 펠(pel)은 하나의 픽처(또는 영상)을 구성하는 최소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픽셀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샘플(sample)'이 사용될 수 있다. 샘플은 일반적으로 픽셀 또는 픽셀의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루마(luma) 성분의 픽셀/픽셀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고, 크로마(chroma) 성분의 픽셀/픽셀 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유닛(unit)은 영상 처리의 기본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유닛은 픽처의 특정 영역 및 해당 영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은 하나의 루마 블록 및 두개의 크로마(ex. cb, cr)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은 경우에 따라서 블록(block) 또는 영역(area)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MxN 블록은 M개의 열과 N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샘플들(또는 샘플 어레이) 또는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들의 집합(또는 어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와 ","는 "및/또는"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로 해석되고, "A, B"는 "A 및/또는 B"로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A, B, C"도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In this document, the term "/" and "," should be interpreted to indicate "and/or." For instance, the expression "A/B" may mean "A and/or B." Further, "A, B" may mean "A and/or B." Further, "A/B/C" may mean "at least one of A, B, and/or C." Also, "A/B/C" may mean "at least one of A, B, and/or C.")
추가적으로, 본 문서에서 "또는"는 "및/또는"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A 또는 B"은, 1) "A" 만을 의미하고, 2) "B" 만을 의미하거나, 3) "A 및 B"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문서의 "또는"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를 의미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document, the term "or" should be interpreted to indicate "and/or." For instance, the expression "A or B" may comprise 1) only A, 2) only B, and/or 3) both A and B. In other words, the term "or" in this document should be interpreted to indicat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비디오 인코딩 장치라 함은 영상 인코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코딩 장치(200)는 영상 분할부(image partitioner, 210), 예측부(predictor, 220), 레지듀얼 처리부(residual processor, 230), 엔트로피 인코딩부(entropy encoder, 240), 가산부(adder, 250), 필터링부(filter, 260) 및 메모리(memory, 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측부(220)는 인터 예측부(221) 및 인트라 예측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230)는 변환부(transformer, 232), 양자화부(quantizer 233), 역양자화부(dequantizer 234), 역변환부(inverse transformer, 23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230)은 감산부(subtractor, 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산부(250)는 복원부(reconstructor)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recontructged block generator)로 불릴 수 있다. 상술한 영상 분할부(210), 예측부(220), 레지듀얼 처리부(230), 엔트로피 인코딩부(240), 가산부(250) 및 필터링부(260)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인코더 칩셋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DPB(decoded picture buffer)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 매체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메모리(270)을 내/외부 컴포넌트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분할부(210)는 인코딩 장치(200)에 입력된 입력 영상(또는, 픽쳐, 프레임)를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처리 유닛은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 경우 코딩 유닛은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 또는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으로부터 QTBTTT (Quad-tree binary-tree ternary-tree) 구조에 따라 재귀적으로(recursively)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딩 유닛은 쿼드 트리 구조, 바이너리 트리 구조, 및/또는 터너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위(deeper) 뎁스의 복수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쿼드 트리 구조가 먼저 적용되고 바이너리 트리 구조 및/또는 터너리 구조가 나중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바이너리 트리 구조가 먼저 적용될 수도 있다.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최종 코딩 유닛을 기반으로 본 개시에 따른 코딩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특성에 따른 코딩 효율 등을 기반으로, 최대 코딩 유닛이 바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코딩 유닛은 재귀적으로(recursively) 보다 하위 뎁스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되어 최적의 사이즈의 코딩 유닛이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코딩 절차라 함은 후술하는 예측, 변환, 및 복원 등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처리 유닛은 예측 유닛(PU: Prediction Unit) 또는 변환 유닛(TU: Transform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측 유닛 및 상기 변환 유닛은 각각 상술한 최종 코딩 유닛으로부터 분할 또는 파티셔닝될 수 있다. 상기 예측 유닛은 샘플 예측의 단위일 수 있고, 상기 변환 유닛은 변환 계수를 유도하는 단위 및/또는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얼 신호(residual signal)를 유도하는 단위일 수 있다.
유닛은 경우에 따라서 블록(block) 또는 영역(area)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MxN 블록은 M개의 열과 N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샘플들 또는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샘플은 일반적으로 픽셀 또는 픽셀의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휘도(luma) 성분의 픽셀/픽셀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고, 채도(chroma) 성분의 픽셀/픽셀 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샘플은 하나의 픽처(또는 영상)을 픽셀(pixel) 또는 펠(pel)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200)는 입력 영상 신호(원본 블록, 원본 샘플 어레이)에서 인터 예측부(221) 또는 인트라 예측부(222)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예측된 블록, 예측 샘플 어레이)를 감산하여 레지듀얼 신호(residual signal, 잔여 블록, 잔여 샘플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레지듀얼 신호는 변환부(232)로 전송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200) 내에서 입력 영상 신호(원본 블록, 원본 샘플 어레이)에서 예측 신호(예측 블록, 예측 샘플 어레이)를 감산하는 유닛은 감산부(231)라고 불릴 수 있다. 예측부는 처리 대상 블록(이하, 현재 블록이라 함)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는 현재 블록 또는 CU 단위로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또는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측부는 각 예측모드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측 모드 정보 등 예측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측에 관한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부(240)에서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22)는 현재 픽처 내의 샘플들을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참조되는 샘플들은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neighbor)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떨어져서 위치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들은 복수의 비방향성 모드와 복수의 방향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방향성 모드는 예를 들어 DC 모드 및 플래너 모드(Plan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모드는 예측 방향의 세밀한 정도에 따라 예를 들어 33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 또는 65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설정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의 방향성 예측 모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22)는 주변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221)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참조 블록(참조 샘플 어레이)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된 블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인터 예측 모드에서 전송되는 움직임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주변 블록과 현재 블록 간의 움직임 정보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블록, 서브블록 또는 샘플 단위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인터 예측 방향(L0 예측, L1 예측, Bi 예측 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주변 블록은 현재 픽처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ing block)과 참조 픽처에 존재하는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와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은 동일 위치 참조 블록(collocated reference block), 동일 위치 CU(colCU) 등의 이름으로 불릴 수 있으며,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는 동일 위치 픽처(collocated picture, colPic)라고 불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221)는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움직임 정보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도출하기 위하여 어떤 후보가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의 경우에, 인터 예측부(221)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현재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스킵 모드의 경우, 머지 모드와 달리 레지듀얼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움직임 정보 예측(motion vector prediction, MVP) 모드의 경우,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로 이용하고, 움직임 벡터 차분(motion vector difference)을 시그널링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지시할 수 있다.
예측부(220)는 후술하는 다양한 예측 방법을 기반으로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부는 하나의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combined inter and intra prediction (CIIP)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예측부는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IBC) 예측 모드에 기반할 수도 있고 또는 팔레트 모드(palette mode)에 기반할 수도 있다. 상기 IBC 예측 모드 또는 팔레트 모드는 예를 들어 SCC(screen content coding) 등과 같이 게임 등의 컨텐츠 영상/동영상 코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IBC는 기본적으로 현재 픽처 내에서 예측을 수행하나 현재 픽처 내에서 참조 블록을 도출하는 점에서 인터 예측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IBC는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인터 예측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팔레트 모드는 인트라 코딩 또는 인트라 예측의 일 예로 볼 수 있다. 팔레트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팔레트 테이블 및 팔레트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픽처 내 샘플 값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상기 예측부 (인터 예측부(221) 및/또는 상기 인트라 예측부(222) 포함)를 통해 생성된 예측 신호는 복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레지듀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변환부(232)는 레지듀얼 신호에 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변환 계수들(transform coefficient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기법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DST(Discrete Sine Transform), KLT(Karhunen-Loeve Transform), GBT(Graph-Based Transform), 또는 CNT(Conditionally Non-linear Transfor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BT는 픽셀 간의 관계 정보를 그래프로 표현한다고 할 때 이 그래프로부터 얻어진 변환을 의미한다. CNT는 이전에 복원된 모든 픽셀(all previously reconstructed pixel)를 이용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변환을 의미한다. 또한, 변환 과정은 정사각형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픽셀 블록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정사각형이 아닌 가변 크기의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양자화부(233)는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로 전송되고,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는 양자화된 신호(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는 레지듀얼 정보라고 불릴 수 있다. 양자화부(233)는 계수 스캔 순서(scan order)를 기반으로 블록 형태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1차원 벡터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고, 상기 1차원 벡터 형태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기반으로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등과 같은 다양한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 외 비디오/이미지 복원에 필요한 정보들(예컨대 신택스 요소들(syntax elements)의 값 등)을 함께 또는 별도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정보(ex. 인코딩된 비디오/영상 정보)는 비트스트림 형태로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 단위로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어댑테이션 파라미터 세트(A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등 다양한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일반 제한 정보(general constraint informa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인코딩 장치에서 디코딩 장치로 전달/시그널링되는 정보 및/또는 신택스 요소들은 비디오/영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상술한 인코딩 절차를 통하여 인코딩되어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고, 또는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방송망 및/또는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매체는 USB, SD, CD, DVD, 블루레이, HDD, SSD 등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전송하는 전송부(미도시) 및/또는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가 인코딩 장치(200)의 내/외부 엘리먼트로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전송부는 엔트로피 인코딩부(2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양자화부(233)로부터 출력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예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역양자화부(234) 및 역변환부(235)를 통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레지듀얼 신호(레지듀얼 블록 or 레지듀얼 샘플들)를 복원할 수 있다. 가산부(155)는 복원된 레지듀얼 신호를 인터 예측부(221) 또는 인트라 예측부(222)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에 더함으로써 복원(reconstructed) 신호(복원 픽처, 복원 블록, 복원 샘플 어레이)가 생성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적용된 경우와 같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이 없는 경우, 예측된 블록이 복원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산부(250)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라고 불릴 수 있다. 생성된 복원 신호는 현재 픽처 내 다음 처리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을 거쳐서 다음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픽처 인코딩 및/또는 복원 과정에서 LMCS (luma mapping with chroma scaling)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필터링부(260)는 복원 신호에 필터링을 적용하여 주관적/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260)은 복원 픽처에 다양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수정된(modified)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복원 픽처를 메모리(270), 구체적으로 메모리(270)의 DPB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필터링 방법은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양방향 필터(bilateral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260)은 각 필터링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링 관한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부(240)에서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270)에 전송된 수정된 복원 픽처는 인터 예측부(221)에서 참조 픽처로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이를 통하여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인코딩 장치(100)와 디코딩 장치에서의 예측 미스매치를 피할 수 있고, 부호화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메모리(270) DPB는 수정된 복원 픽처를 인터 예측부(221)에서의 참조 픽처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현재 픽처 내 움직임 정보가 도출된(또는 인코딩된) 블록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이미 복원된 픽처 내 블록들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터 예측부(221)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현재 픽처 내 복원된 블록들의 복원 샘플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인트라 예측부(22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영상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코딩 장치(3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entropy decoder, 310), 레지듀얼 처리부(residual processor, 320), 예측부(predictor, 330), 가산부(adder, 340), 필터링부(filter, 350) 및 메모리(memoery, 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측부(330)는 인터 예측부(331) 및 인트라 예측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320)는 역양자화부(dequantizer, 321) 및 역변환부(inverse transformer, 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엔트로피 디코딩부(310), 레지듀얼 처리부(320), 예측부(330), 가산부(340) 및 필터링부(350)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디코더 칩셋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60)는 DPB(decoded picture buffer)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 매체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메모리(360)을 내/외부 컴포넌트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디코딩 장치(300)는 도 3의 인코딩 장치에서 비디오/영상 정보가 처리된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300)는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한 블록 분할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유닛들/블록들을 도출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300)는 인코딩 장치에서 적용된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딩의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코딩 유닛일 수 있고, 코딩 유닛은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최대 코딩 유닛으로부터 쿼드 트리 구조, 바이너리 트리 구조 및/또는 터너리 트리 구조를 따라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유닛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변환 유닛이 도출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딩 장치(300)를 통해 디코딩 및 출력된 복원 영상 신호는 재생 장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디코딩 장치(300)는 도 3의 인코딩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는 엔트로피 디코딩부(310)를 통해 디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디코딩부(310)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영상 복원(또는 픽처 복원)에 필요한 정보(ex. 비디오/영상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어댑테이션 파라미터 세트(A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등 다양한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일반 제한 정보(general constraint informa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일반 제한 정보를 더 기반으로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후술되는 시그널링/수신되는 정보 및/또는 신택스 요소들은 상기 디코딩 절차를 통하여 디코딩되어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엔트로피 디코딩부(310)는 지수 골롬 부호화, CAVLC 또는 CABAC 등의 코딩 방법을 기초로 비트스트림 내 정보를 디코딩하고, 영상 복원에 필요한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 레지듀얼에 관한 변환 계수의 양자화된 값 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비트스트림에서 각 신택스 요소에 해당하는 빈을 수신하고, 디코딩 대상 신택스 요소 정보와 주변 및 디코딩 대상 블록의 디코딩 정보 혹은 이전 단계에서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context)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문맥 모델에 따라 빈(bin)의 발생 확률을 예측하여 빈의 산술 디코딩(arithmetic decoding)를 수행하여 각 신택스 요소의 값에 해당하는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문맥 모델 결정 후 다음 심볼/빈의 문맥 모델을 위해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310)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예측에 관한 정보는 예측부(인터 예측부(332) 및 인트라 예측부(331))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부(310)에서 엔트로피 디코딩이 수행된 레지듀얼 값, 즉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 및 관련 파라미터 정보는 레지듀얼 처리부(320)로 입력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320)는 레지듀얼 신호(레지듀얼 블록, 레지듀얼 샘플들, 레지듀얼 샘플 어레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디코딩부(310)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필터링에 관한 정보는 필터링부(350)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인코딩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디코딩 장치(300)의 내/외부 엘리먼트로서 더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수신부는 엔트로피 디코딩부(31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문서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비디오/영상/픽처 디코딩 장치라고 불릴 수 있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정보 디코더(비디오/영상/픽처 정보 디코더) 및 샘플 디코더(비디오/영상/픽처 샘플 디코더)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디코더는 상기 엔트로피 디코딩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샘플 디코더는 상기 역양자화부(321), 역변환부(322), 가산부(340), 필터링부(350), 메모리(360), 인터 예측부(332) 및 인트라 예측부(3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321)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들을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321)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2차원의 블록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정렬은 인코딩 장치에서 수행된 계수 스캔 순서를 기반하여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321)는 양자화 파라미터(예를 들어 양자화 스텝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변환 계수들(transform coefficient)를 획득할 수 있다.
역변환부(322)에서는 변환 계수들를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신호(레지듀얼 블록, 레지듀얼 샘플 어레이)를 획득하게 된다.
예측부는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는 엔트로피 디코딩부(310)로부터 출력된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또는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 결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인트라/인터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측부(320)는 후술하는 다양한 예측 방법을 기반으로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부는 하나의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combined inter and intra prediction (CIIP)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예측부는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IBC) 예측 모드에 기반할 수도 있고 또는 팔레트 모드(palette mode)에 기반할 수도 있다. 상기 IBC 예측 모드 또는 팔레트 모드는 예를 들어 SCC(screen content coding) 등과 같이 게임 등의 컨텐츠 영상/동영상 코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IBC는 기본적으로 현재 픽처 내에서 예측을 수행하나 현재 픽처 내에서 참조 블록을 도출하는 점에서 인터 예측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IBC는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인터 예측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팔레트 모드는 인트라 코딩 또는 인트라 예측의 일 예로 볼 수 있다. 팔레트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팔레트 테이블 및 팔레트 인덱스에 관한 정보가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331)는 현재 픽처 내의 샘플들을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참조되는 샘플들은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neighbor)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떨어져서 위치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들은 복수의 비방향성 모드와 복수의 방향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331)는 주변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332)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참조 블록(참조 샘플 어레이)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된 블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인터 예측 모드에서 전송되는 움직임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주변 블록과 현재 블록 간의 움직임 정보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블록, 서브블록 또는 샘플 단위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인터 예측 방향(L0 예측, L1 예측, Bi 예측 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주변 블록은 현재 픽처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ing block)과 참조 픽처에 존재하는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332)는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움직임 정보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수신한 후보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도출할 수 있다. 다양한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의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산부(340)는 획득된 레지듀얼 신호를 예측부(인터 예측부(332) 및/또는 인트라 예측부(331) 포함)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예측된 블록, 예측 샘플 어레이)에 더함으로써 복원 신호(복원 픽처, 복원 블록, 복원 샘플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적용된 경우와 같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이 없는 경우, 예측된 블록이 복원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산부(340)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라고 불릴 수 있다. 생성된 복원 신호는 현재 픽처 내 다음 처리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을 거쳐서 출력될 수도 있고 또는 다음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픽처 디코딩 과정에서 LMCS (luma mapping with chroma scaling)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필터링부(350)는 복원 신호에 필터링을 적용하여 주관적/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350)는 복원 픽처에 다양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수정된(modified)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복원 픽처를 메모리(360), 구체적으로 메모리(360)의 DPB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필터링 방법은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양방향 필터(bilateral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60)의 DPB에 저장된 (수정된) 복원 픽처는 인터 예측부(332)에서 참조 픽쳐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현재 픽처 내 움직임 정보가 도출된(또는 디코딩된) 블록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이미 복원된 픽처 내 블록들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터 예측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현재 픽처 내 복원된 블록들의 복원 샘플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인트라 예측부(33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코딩 장치(100)의 필터링부(260), 인터 예측부(221) 및 인트라 예측부(222)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각각 디코딩 장치(300)의 필터링부(350), 인터 예측부(332) 및 인트라 예측부(331)에도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코딩을 수행함에 있어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예측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코딩 대상 블록인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측된 블록은 공간 도메인(또는 픽셀 도메인)에서의 예측 샘플들을 포함한다. 상기 예측된 블록은 인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에서 동일하게 도출되며, 상기 인코딩 장치는 원본 블록의 원본 샘플 값 자체가 아닌 상기 원본 블록과 상기 예측된 블록 간의 레지듀얼에 대한 정보(레지듀얼 정보)를 디코딩 장치로 시그널링함으로써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기반으로 레지듀얼 샘플들을 포함하는 레지듀얼 블록을 도출하고, 상기 레지듀얼 블록과 상기 예측된 블록을 합하여 복원 샘플들을 포함하는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복원 블록들을 포함하는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변환 및 양자화 절차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장치는 상기 원본 블록과 상기 예측된 블록 간의 레지듀얼 블록을 도출하고, 상기 레지듀얼 블록에 포함된 레지듀얼 샘플들(레지듀얼 샘플 어레이)에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들을 도출하고, 상기 변환 계수들에 양자화 절차를 수행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도출하여 관련된 레지듀얼 정보를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디코딩 장치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값 정보, 위치 정보, 변환 기법, 변환 커널, 양자화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기반으로 역양자화/역변환 절차를 수행하고 레지듀얼 샘플들(또는 레지듀얼 블록)을 도출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예측된 블록과 상기 레지듀얼 블록을 기반으로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또한 이후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한 참조를 위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역변환하여 레지듀얼 블록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ATMVP 후보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ATMVP 후보가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사용된 "어파인 머지 후보"는 머지 후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상기 어파인 머지 후보는 서브 블록 머지 후보, 머지 서브 블록 후보, 머지 후보 등으로 대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마찬가지 의미로, 본 명세서 전반에 사용된 "머지 후보"는 어파인 머지 후보, 서브 블록 머지 후보, 머지 서브 블록 후보, 노멀 머지 후보 등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인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장치는 (어파인) 머지 후보(들)을 구성하기 위해, ATMVP 후보를 구성하고, 인헤리티드(inherited) 어파인 (머지) 후보를 도출하고, 컨스터럭티드 어파인 (머지) 후보를 도출하며, 제로 움직임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인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장치는 머지 후보(들)을 구성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공간적 후보들(spatial candidates) 1, 2, 3 및 4를 1>2>3>4 순으로 서치하고, 구성된 후보 리스트에서 ATMVP를 위한 참조 움직임 정보를 결정하고, 추가적으로 후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4는 어파인 머지 후보(Affine Merge Candidate)로써 ATMVP가 사용되는 경우에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어파인 머지 후보들 중 가장 먼저 ATMVP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장치는 도 4의 현재 블록(또는 현재 변환 블록)의 좌측 위치(position)를 순회(또는 서치)한 후에 유효한 예측자(Predictor)를 기반으로 임시 후보 리스트(temporary candidate list)를 구성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장치는 구성된 임시 후보 리스트에서 유효 ATMVP 후보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 후보 위치를 유도하고, 해당 대응 위치의 움직임 정보를 ATMVP의 움직임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ATMVP를 위한 임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이유는, (노멀) 머지 모드 ((Normal) Merge mode)에서 ATMVP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 5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면서 움직임 후보를 구성한 후, 구성된 (임시)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ATMVP 후보를 구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노멀) 머지 후보로써 사용되는 ATMVP에서 ATMVP의 후보를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미 구성된 최대 4개의 공간적 후보와 대응되는 시간적(temporal) 움직임 정보가 현재 픽쳐의 콜로케이드 픽처(collocated picture)와 동일한 픽처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대응 움직임 정보를 ATMVP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구성된 최대 4개 후보를 순회하며 조건을 체크하는 과정이 복잡하므로, 일 실시예에서는 구성된 후보 리스트에서 첫번째 후보만을 참조하여 유효 ATMVP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간소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간소화 과정은 ATMVP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써 사용될 때 ATMVP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간소화 효과가 적을 수 있다. 노멀 머지에서는 이미 구성된 후보 리스트의 첫번째 후보를 사용하였지만, 어파인 머지 후보로써 ATMVP가 사용될 시 사용되지 않는 (임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워스트 케이스(worst case)의 경우 4개의 후보를 기반으로 (임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한 후에 첫번째 후보를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ATMVP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써 사용될 때 ATMVP 후보 리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간소화 과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이하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ATMVP 후보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 사용되는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ATMVP가 (어파인) 머지 후보로써 사용될 때 ATMVP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간소화 과정의 효과가 적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임시 움직임 리스트를 구성하지 않고 이미 정의된 후보 위치 또는 후보 값을 이용하여 ATMVP 후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기 정의된 움직임 정보(Predefined mo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ATMVP 후보를 구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기 정의된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후보들 중 하나의 위치, HMVP 후보, 주변 어파인 블록의 CPMV 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ATMVP 후보를 도출(또는 유도)하는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ATMVP 후보가 결정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어파인)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ATMVP가 사용되는 경우,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과정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1개의 공간 움직임 후보만을 참조하여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 예시에서, 미리 정의된 공간적 움직임 후보는 도 7에 숫자로 표시된 공간적 후보들(1 내지 6)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공간 후보 위치가 1번일 경우, ATMVP 후보 유도 과정은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되는 방법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 위치가 1번일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되는 인풋(input)인 availableFlagCandidatePos, , refIdxLXCandidatePos, predFlagLXCandidatePos 및 mvLXCandidatePos를 유도하기 위한 CandidatePos는 1번 위치의 블록의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도 8은 HMVP 후보들을 기반으로 ATMVP 후보를 결정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어파인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ATMVP가 사용되는 경우,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과정을 간략화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공간 버츄얼(Virtual) 후보 1개만을 참조하여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 버츄얼 후보는, 예를 들어 HMVP를 의미할 수 있다. HMVP에서 이전 디코딩된 블록의 움직임 정보는 HMVP 버퍼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움직임 정보는 머지 후보 및 AMVP(또는 ATMVP)의 후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HMVP 후보를 참조하여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ATMVP 후보를 유도하는 과정은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될 ATMVP 후보 도출 과정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VP버퍼에서 팝(pop)되는 움직임 정보가 3번 인덱스(index)인 경우,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되는 ATMVP 후보 도출 과정에서의 인풋(input)인 availableFlagCandidatePos, refIdxLXCandidatePos, predFlagLXCandidatePos 및 mvLXCandidatePos를 유도하기 위한 CandidatePos는 HMVP 3번 인덱스 움직임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디코딩 장치와 대응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서 후술될 디코딩 장치의 동작들은 도 9 및 도 10에 따른 인코딩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개시된 각 단계는 도 2에 개시된 인코딩 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900 내지 S920은 도 2에 개시된 예측부(2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930은 도 2에 개시된 레지듀얼 처리부(2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940은 도 2에 개시된 엔트로피 인코딩부(24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S900 내지 S940에 따른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8에서 전술된 내용들 중 일부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예측부(220), 레지듀얼 처리부(230) 및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인코딩 장치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인코딩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에서 예측부(220), 레지듀얼 처리부(230) 및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S900). 보다 구체적으로, 인코딩 장치의 예측부(220)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할 수 있다(S910). 보다 구체적으로, 인코딩 장치의 예측부(220)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머지 후보들은 어파인 머지 후보들, 머지 서브 블록 후보들, 서브 블록 머지 후보들 또는 노멀 머지 후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은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예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은 상기 ATMVP 후보와는 독립적으로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920). 보다 구체적으로, 인코딩 장치의 예측부(220)는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머지 후보들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ATMVP 후보 및 상기 머지 후보들을 포함하는 머지 후보 리스트가 도출될 수 있고, 상기 도출된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머지 후보들을 포함하는 머지 후보 리스트가 도출될 수 있고,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930). 보다 구체적으로, 인코딩 장치의 레지듀얼 처리부(230)는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 할 수 있다(S940). 보다 구체적으로, 인코딩 장치의 엔트로피 인코딩부(240)는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임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임시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ATMVP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적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좌측 주변 블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상기 ATMVP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주변 블록들 중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제외한 주변 블록들은 상기 ATMVP 후보로 결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제외한 주변 블록들은, 상기 현재 블록의 모든 공간적 주변 블록들 및 모든 시간적 주변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단(top-left)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가 (xCb, yCb)로 결정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좌측 주변 블록에 포함된 하나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xCb-1, yCb + cbHeight -1)로 결정되며, 상기 cbHeight는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좌표 (xCb-1, yCb + cbHeight -1)는 도 7에 도시된 1번 주변 블록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인코딩 장치 및 인코딩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후보를 도출하고(S900),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고(S910),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고(S920),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하고(S930),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S940)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일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ATMVP 후보들을 포함하는 임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함이 없이, 현재 블록(또는 현재 변환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을 ATMVP 후보로 결정하여 영상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개시된 각 단계는 도 3에 개시된 디코딩 장치(3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100 내지 S1120은 도 3에 개시된 예측부(3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1130은 도 3에 개시된 가산부(34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S1100 내지 S1130에 따른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8에서 전술된 내용들 중 일부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8에서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예측부(330) 및 가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코딩 장치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디코딩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에서 예측부(330) 및 가산부(340)는 각각 별도의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S1100).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장치의 예측부(330)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할 수 있다(S1110).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장치의 예측부(330)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머지 후보들은 어파인 머지 후보들, 머지 서브 블록 후보들, 서브 블록 머지 후보들 또는 노멀 머지 후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은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예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은 상기 ATMVP 후보와는 독립적으로 도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1120).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장치의 예측부(330)는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머지 후보들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ATMVP 후보 및 상기 머지 후보들을 포함하는 머지 후보 리스트가 도출될 수 있고, 상기 도출된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머지 후보들을 포함하는 머지 후보 리스트가 도출될 수 있고,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1130).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장치의 가산부(340)는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임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임시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ATMVP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적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좌측 주변 블록(left neighboring bloc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상기 ATMVP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상기 ATMVP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주변 블록들 중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제외한 주변 블록들은 상기 ATMVP 후보로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을 제외한 주변 블록들은, 상기 현재 블록의 공간적 주변 블록들 및 시간적 주변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좌상단(top-left)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가 (xCb, yCb)로 결정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좌측 주변 블록에 포함된 하나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xCb-1, yCb + cbHeight -1)로 결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cbHeight는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좌표 (xCb-1, yCb + cbHeight -1)는 도 7에 도시된 1번 주변 블록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 내지 도 8에서 전술된 ATMVP 후보 도출 과정은 아래 1.1.1.1절 내지 1.1.1.3절을 포함하는 영문 스펙의 내용에 기반할 수 있다.
1.1.1.1 Derivation process for subblock-based temporal merging candidates
Inputs to this process are:
a luma location ( xCb, yCb ) of the top-left sample of the current luma coding block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urrent picture,
a variable cbWidth specifying the width of the current coding block in luma samples,
a variable cbHeight specifying the height of the current coding block in luma samples.
the availability flags availableFlagCandidatePos of predefined MV information
the reference indices refIdxLXCandidatePos of predefined MV information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predFlagLXCandidatePos of predefined MV information
the motion vectors in 1/16 fractional-sample accuracy mvLXCandidatePos of predefined MV information
Outputs of this process are:
the availability flag availableFlagSbCol,
the number of luma coding subblocks in horizontal direction numSbX and in vertical direction numSbY,
the reference indices refIdxL0SbCol and refIdxL1SbCol,
the luma motion vectors in 1/16 fractional-sample accuracy mvL0SbCol[ xSbIdx ][ ySbIdx ] and mvL1SbCol[ xSbIdx ][ ySbIdx ] with xSbIdx = 0..numSbX  1, ySbIdx = 0 .. numSbY  1,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predFlagL0SbCol[ xSbIdx ][ ySbIdx ] and predFlagL1SbCol[ xSbIdx ][ ySbIdx ] with xSbIdx = 0..numSbX  1, ySbIdx = 0 .. numSbY  1.
The availability flag availableFlagSbCol is derived as follows.
If either slice_temporal_mvp_enable_flag or sps_sbtmvp_flag is equal to 0, availableFlagSbCol is set equal to 0.
Otherwise, the following ordered steps apply.
1. The location ( xCtb, yCtb ) of the top-left sample of the luma coding tree block that contains the current coding block and the location ( xCtr, yCtr ) of the below-right center sample of the current luma coding block are derived as follows:
xCtb = ( xCb  >>  CtuLog2Size )  <<  CtuLog2Size (8-144)
yCtb = ( yCb  >>  CtuLog2Size )  <<  CtuLog2Size (8-145)
xCtr = xCb + ( cbWidth / 2 ) (8-146)
yCtr = yCb + ( cbHeight / 2 ) (8-147)
2. The luma location ( xColCtrCb, yColCtrCb ) is set equal to the top-left sample of the collocated luma coding block covering the location given by ( xCtr, yCtr ) inside ColPic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3. The derivation process for subblock-based temporal merging base motion data as specified in clause 1.1.1.2 is invoked with the location ( xCtb, yCtb ), the location ( xColCtrCb, yColCtrCb ), the availability flags availableFlagCandidatePos, and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predFlagLXCandidatePos, and the reference indices refIdxLXCandidatePos, and the motion vectors mvLXCandidatePos, with X being 0 and 1 as inputs and the motion vectors ctrMvLX,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ctrPredFlagLX and the reference indices ctrRefIdxLX of the collocated block, with X being 0 and 1, and the temporal motion vector tempMV as outputs.
4. The variable availableFlagSbCol is derived as follows:
If both ctrPredFlagL0 and ctrPredFlagL1 are equal to 0, availableFlagSbCol is set equal to 0.
Otherwise, availableFlagSbCol is set equal to 1.
When availableFlagSbCol is equal to 1, the following applies:
The variables numSbX, numSbY, sbWidth, sbHeight and refIdxLXSbCol are derived as follows:
numSbX  =  max( cbWidth >> Log2SbtmvpSize, 1 ) (8-148)
numSbY  =  max( cbHeight >> Log2SbtmvpSize, 1 ) (8-149)
sbWidth  =  cbWidth / numSbX (8-150)
sbHeight  =  cbHeight / numSbY (8-151)
refIdxLXSbCol  =  0 (8-152)
For xSbIdx = 0..numSbX  1 and ySbIdx = 0 .. numSbY  1, the motion vectors mvLXSbCol[ xSbIdx ][ ySbIdx ] and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predFlagLXSbCol[ xSbIdx ][ ySbIdx ] are derived as follows:
The luma location ( xSb, ySb ) specifying the top-left sample of the current coding subblock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urrent picture is derived as follows:
xSb  =  xCb + xSbIdx * sbWidth (8-153)
ySb  =  yCb + ySbIdx * sbHeight (8-154)
The location ( xColSb, yColSb ) of the collocated subblock inside ColPic is derived as follows.
xColSb = Clip3( xCtb,
Min( CurPicWidthInSamplesY - 1, xCtb + ( 1  <<  CtbLog2SizeY ) +3 ), (8-155)
xSb + ( tempMv[0]  >>  4 ) )
yColSb = Clip3( yCtb,
Min( CurPicHeightInSamplesY - 1, yCtb + ( 1  <<  CtbLog2SizeY ) +3 ), (8-156)
ySb + ( tempMv[1]  >>  4 ) )
The variable currCb specifies the luma coding block covering the sub-block inside the current picture.
The variable colCb specifies the luma coding block covering the modified location given by ( ( xColSb >> 3 ) << 3, ( yColSb >> 3 ) << 3 ) inside the ColPic.
The luma location ( xColCb, yColCb ) is set equal to the top-left sample of the collocated luma coding block specified by colCb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The derivation process for collocated motion vectors as specified in clause 1.1.1.3 is invoked with currCb, colCb, ( xColCb, yColCb ), refIdxL0 set equal to 0 and sbFlag set equal to 1 as inputs and the output being assigned to the motion vector of the subblock mvL0SbCol[ xSbIdx ][ ySbIdx ] and availableFlagL0SbCol.
The derivation process for collocated motion vectors as specified in clause 1.1.1.3 is invoked with currCb, colCb, ( xColCb, yColCb ), refIdxL1 set equal to 0 and sbFlag set equal to 1 as inputs and the output being assigned to the motion vector of the subblock mvL1SbCol[ xSbIdx ][ ySbIdx ] and availableFlagL1SbCol.
When availableFlagL0SbCol and availableFlagL1SbCol are both equal to 0, the following applies:
mvLXSbCol[ xSbIdx ][ ySbIdx ] = ctrMvLX (8-157)
predFlagLXSbCol[ xSbIdx ][ ySbIdx ] = ctrPredFlagLX (8-158)
1.1.1.2 Derivation process for subblock-based temporal merging base motion data
Inputs to this process are:
the location ( xCtb, yCtb ) of the top-left sample of the luma coding tree block that contains the current coding block,
the location ( xColCtrCb, yColCtrCb ) of the top-left sample of the collocated luma coding block that covers the below-right center sample.
the availability flags availableFlagA0, availableFlagA1, availableFlagB0, and availableFlagB1 of the neighbouring coding units,
the reference indices refIdxLXA0, refIdxLXA1, refIdxLXB0, and refIdxLXB1 of the neighbouring coding units,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predFlagLXA0, predFlagLXA1, predFlagLXB0, and predFlagLXB1 of the neighbouring coding units,
the motion vectors in 1/16 fractional-sample accuracy mvLXA0, mvLXA1, mvLXB0, and mvLXB1 of the neighbouring coding units.
Outputs of this process are:
the motion vectors ctrMvL0 and ctrMvL1,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ctrPredFlagL0 and ctrPredFlagL1,
the reference indices ctrRefIdxL0 and ctrRefIdxL1,
the temporal motion vector tempMV.
The variables tempMv, numRefLists and bTerminate are set as follows:
tempMv[ 0 ] = 0 (8-159)
tempMv[ 0 ] = 0 (8-160)
numRefLists = (slice_type = = B) ? 2: 1 (8-161)
bTerminate = FALSE (8-162)
The variable currPic specifies the current picture.
For each reference picture list LX with X ranging from 0 to ( numRefList  1 ), mvTemp is derived as follows:
1. When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equal to true, X is set equal to !X:
DiffPicOrderCnt(aPic, currPic) is less than or equal to 0 for every picture aPic in every reference picture list of the current slice,
slice_type is equal to B,
collocated_from_l0_flag is equal to 0.
2. When bTerminate is equal to FALSE, and availableFlagA0 and predFlagLXA0 are equal to 1 and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X[refIdxLXA0]) is equal to 0, bTerminate is set to TRUE and mvTemporal is set equal to mvLXA0:
3. When bTerminate is equal to FALSE, availableFlagLB0 and predFlagLXB0 are equal to 1,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X[refIdxLXB0]) is equal to 0, bTerminate is set to TRUE and mvTemporal is set equal to mvLXB0.
4. When bTerminate is equal to FALSE, availableFlagB1 and predFlagLXB1 are equal to 1,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X[refIdxLXB1]) is equal to 0, bTerminate is set to TRUE and mvTemporal is set equal to mvLXB1.
5. When bTerminate is equal to FALSE, availableFlagA1 and predFlagLXB1 are equal to 1,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X[refIdxLXA1]) is equal to 0, bTerminate is set to TRUE and mvTemporal is set to mvLXA1.
The location ( xColCb, yColCb ) of the collocated block inside ColPic is derived as follows.
xColCb = Clip3( xCtb, Min( CurPicWidthInSamplesY - 1, xCtb + ( 1  <<  CtbLog2SizeY ) +3 ), (8-163)
xColCtrCb + ( tempMv[0]  >>  4 ) )
yColCb = Clip3( yCtb, Min( CurPicHeightInSamplesY - 1, yCtb + ( 1  <<  CtbLog2SizeY ) +3 ), (8-164)
yColCtrCb + ( tempMv[1]  >>  4 ) )
The array colPredMode is set equal to the prediction mode array CuPredMode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The motion vectors ctrMvL0 and ctrMvL1, the prediction list utilization flags ctrPredFlagL0 and ctrPredFlagL1, and the reference indices ctrRefIdxL0 and ctrRefIdxL1 are derived as follows:
If colPredMode[xColCb][yColCb] is equal to MODE_INTER, the following applies:
The variable currCb specifies the luma coding block covering ( xCtrCb ,yCtrCb ) inside the current picture.
The variable colCb specifies the luma coding block covering the modified location given by ( ( xColCb >> 3 ) << 3, ( yColCb >> 3 ) << 3 ) inside the ColPic.
The luma location ( xColCb, yColCb ) is set equal to the top-left sample of the collocated luma coding block specified by colCb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The derivation process for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in subclause  1.1.1.3 is invoked with currCb, colCb, (xColCb, yColCb), centerRefIdxL0, and sbFlag set equal to 1 as inputs and the output being assigned to centerMvL0 and centerPredFlagL0.
The derivation process for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in subclause 1.1.1.3 is invoked with currCb, colCb, (xColCb, yColCb), centerRefIdxL1, and sbFlag set equal to 1 as inputs and the output being assigned to centerMvL1 and centerPredFlagL1.
Otherwise, the following applies:
ctrPredFlagL0 = 0 (8-165)
ctrPredFlagL1 = 0 (8-166)
1.1.1.3 Derivation process for collocated motion vectors
Inputs to this process are:
a variable currCb specifying the current coding block,
a variable colCb specifying the collocated coding block inside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a luma location ( xColCb, yColCb ) specifying the top-left sample of the collocated luma coding block specified by colCb relative to the top-left luma sample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a reference index refIdxLX, with X being 0 or 1,
a flag indicating a subblock temporal merging candidate sbFlag.
Outputs of this process are:
the motion vector prediction mvLXCol in 1/16 fractional-sample accuracy,
the availability flag availableFlagLXCol.
The variable currPic specifies the current picture.
The arrays predFlagL0Col[ x ][ y ], mvL0Col[ x ][ y ] and refIdxL0Col[ x ][ y ] are set equal to PredFlagL0[ x ][ y ], MvL0[ x ][ y ] and RefIdxL0[ x ][ y ], respectively,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and the arrays predFlagL1Col[ x ][ y ], mvL1Col[ x ][ y ] and refIdxL1Col[ x ][ y ] are set equal to PredFlagL1[ x ][ y ], MvL1[ x ][ y ] and RefIdxL1[ x ][ y ], respectively, of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Ed. (BB): Define ColPic NoBackwardPredFlag.]
The variables mvLXCol and availableFlagLXCol are derived as follows:
If colCb is coded in an intra prediction mode, both components of mvLXCol are set equal to 0 and availableFlagLXCol is set equal to 0.
Otherwise, the motion vector mvCol, the reference index refIdxCol and the reference list identifier listCol are derived as follows:
If sbFlag is equal to 0, availableFlagLXCol is set to 1 and the following applies:
If predFlagL0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0,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equal to mvL1Col[ xColCb ][ yColCb ], refIdxL1Col[ xColCb ][ yColCb ] and L1, respectively.
Otherwise, if predFlagL0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1 and predFlagL1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0,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equal to mvL0Col[ xColCb ][ yColCb ], refIdxL0Col[ xColCb ][ yColCb ] and L0, respectively.
Otherwise (predFlagL0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1 and predFlagL1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1), the following assignments are made:
If NoBackwardPredFlag is equal to 1,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equal to mvLXCol[ xColCb ][ yColCb ], refIdxLXCol[ xColCb ][ yColCb ] and LX, respectively.
Otherwise,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equal to mvLNCol[ xColCb ][ yColCb ], refIdxLNCol[ xColCb ][ yColCb ] and LN, respectively, with N being the value of collocated_from_l0_flag.
Otherwise (sbFlag is equal to 1), the following applies:
If PredFlagLX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1,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equal to mvLXCol[ xColCb ][ yColCb ], refIdxLXCol[ xColCb ][ yColCb ], and LX, respectively, availableFlagLXCol is set to 1.
Otherwise (PredFlagLX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0), the following applies:
If DiffPicOrderCnt( aPic, currPic ) is less than or equal to 0 for every picture aPic in every reference picture list of the current slice and PredFlagLYCol[ xColCb ][ yColCb ] is equal to 1, mvCol, refIdxCol, and listCol are set to mvLYCol[ xColCb ][ yColCb ], refIdxLYCol[ xColCb ][ yColCb ] and LY, respectively, with Y being equal to !X where X being the value of X this process is invoked for. availableFlagLXCol is set to 1.
Both the components of mvLXCol are set to 0 and availableFlagLXCol is set equal to 0.
When availableFlagLXCol is equal to TRUE, mvLXCol and availableFlagLXCol are derived as follows:
If LongTermRefPic( currPic, currCb, refIdxLX, LX ) is not equal to LongTermRefPic( ColPic, colCb, refIdxCol, listCol ), both components of mvLXCol are set equal to 0 and availableFlagLXCol is set equal to 0.
Otherwise, the variable availableFlagLXCol is set equal to 1, refPicListCol[ refIdxCol ] is set to be the picture with reference index refIdxCol in the reference picture list listCol of the slice containing coding block colCb in the collocated picture specified by ColPic, and the following applies:
colPocDiff = DiffPicOrderCnt( ColPic, refPicListCol[ refIdxCol ] ) (8-229)
currPocDiff = DiffPicOrderCnt( currPic, RefPicListX[ refIdxLX ] ) (8-230)
If RefPicListX[ refIdxLX ] is a long-term reference picture, or colPocDiff is equal to currPocDiff, mvLXCol is derived as follows:
mvLXCol = mvCol (8-231)
Otherwise, mvLXCol is derived as a scaled version of the motion vector mvCol as follows:
tx = ( 16384 + ( Abs( td )  >>  1 ) ) / td (8-232)
distScaleFactor = Clip3( -4096, 4095, ( tb * tx + 32 )  >>  6 ) (8-233)
mvLXCol =  Clip3( -32768, 32767, Sign( distScaleFactor * mvCol ) * 
( ( Abs( distScaleFactor * mvCol ) + 127 )  >>  8 ) ) (8-234)
where td and tb are derived as follows:
td = Clip3( -128, 127, colPocDiff ) (8-235)
tb = Clip3( -128, 127, currPocDiff ) (8-236)
도 11 및 도 12에 개시된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ATMVP(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후보를 도출하고(S1100),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들을 도출하고(S1110), 상기 머지 후보들 및 상기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고(S1120),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도출(S1130)할 수 있고, 이때 상기 ATMVP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ATMVP 후보들을 포함하는 임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함이 없이, 현재 블록(또는 현재 변환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을 ATMVP 후보로 결정하여 영상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코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개시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내어진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개시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인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장치는 예를 들어 TV, 컴퓨터, 스마트폰, 셋톱박스,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방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칩 상에서 구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면에서 도시한 기능 유닛들은 컴퓨터,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칩 상에서 구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현을 위한 정보(ex. information on instructions) 또는 알고리즘이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적용되는 디코딩 장치 및 인코딩 장치는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장치, 모바일 통신 단말, 홈 시네마 비디오 장치, 디지털 시네마 비디오 장치, 감시용 카메라, 비디오 대화 장치, 비디오 통신과 같은 실시간 통신 장치, 모바일 스트리밍 장치, 저장 매체, 캠코더,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제공 장치, OTT 비디오(Over the top video) 장치,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3차원(3D) 비디오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AR(argumente reality) 장치, 화상 전화 비디오 장치, 운송 수단 단말 (ex. 차량(자율주행차량 포함) 단말, 비행기 단말, 선박 단말 등) 및 의료용 비디오 장치 등에 포함될 수 있으며, 비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TT 비디오(Over the top video) 장치로는 게임 콘솔, 블루레이 플레이어, 인터넷 접속 TV, 홈시어터 시스템, 스마트폰, 태블릿 PC, DVR(Digital Video Reco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적용되는 처리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생산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또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 및 분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D), 범용 직렬 버스(USB), ROM, PROM, EPROM, EEP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적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된 미디어를 포함한다. 또한, 인코딩 방법으로 생성된 비트스트림이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컴퓨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캐리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가 적용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크게 인코딩 서버, 스트리밍 서버, 웹 서버, 미디어 저장소, 사용자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서버는 스마트폰,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컨텐츠를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 스마트폰,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들이 비트스트림을 직접 생성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서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인코딩 방법 또는 비트스트림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기 비트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웹 서버를 통한 사용자 요청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사용자에게 어떠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상기 웹 서버에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웹 서버는 이를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별도의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내 각 장치 간 명령/응답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저장소 및/또는 인코딩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코딩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활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예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내 각 서버들은 분산 서버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서버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분산 처리될 수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대한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어파인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 리스트를 도출하되,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는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및 상기 어파인 후보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복원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는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이며,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상기 움직임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동일위치 픽처(collcated picture) 내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의 대응 서브블록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응 서브블록들의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하는 좌측 주변 블록들 중 최하측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하측 코너 주변 블록의 상측 경계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블록의 우하측 센터 포지션에 관련된 움직임 벡터를 베이스 움직임 벡터로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대응 서브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음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움직임 벡터가 상기 대응 서브블록의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는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 내에 첫번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의 구성 순서는 각 어파인 후보들의 구성 순서보다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24. 인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대한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어파인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 리스트를 도출하되,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는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및 상기 어파인 후보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는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이며,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상기 움직임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동일위치 픽처(collcated picture) 내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의 대응 서브블록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응 서브블록들의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코딩 방법.
  25. 삭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하는 좌측 주변 블록들 중 최하측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코딩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하측 코너 주변 블록의 상측 경계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코딩 방법.
  28. 삭제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블록의 우하측 센터 포지션에 관련된 움직임 벡터를 베이스 움직임 벡터로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대응 서브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음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움직임 벡터가 상기 대응 서브블록의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코딩 방법.
  30. 컴퓨터 판독 가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저장 매체는 특정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되, 상기 특정 방법은:
    현재 블록에 대한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어파인 후보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 리스트를 도출하되,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는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및 상기 어파인 후보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는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는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이며,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상기 움직임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동일위치 픽처(collcated picture) 내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의 대응 서브블록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응 서브블록들의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장 매체.
  31. 삭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하는 좌측 주변 블록들 중 최하측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장 매체.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도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갖는 상기 좌측 주변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좌하측 코너 주변 블록의 상측 경계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장 매체.
  34. 삭제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블록의 우하측 센터 포지션에 관련된 움직임 벡터를 베이스 움직임 벡터로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대응 서브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가용하지 않음을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움직임 벡터가 상기 대응 서브블록의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장 매체.
  36. 영상 정보의 비트스트림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방법에 있어서,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의 상기 비트스트림을 획득하되, 상기 비트스트림은 현재 블록에 대한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어파인 후보들을 도출하며,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머지 후보 리스트를 도출하되,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는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 및 상기 어파인 후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도출하며, 상기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의 상기 비트스트림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는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공간적 후보의 상기 움직임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벡터를 기반으로 동일위치 픽처(collcated picture) 내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의 대응 서브블록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응 서브블록들의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블록 움직임 벡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KR1020217009768A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10235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1852A KR102448403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2925P 2018-10-08 2018-10-08
US62/742,925 2018-10-08
PCT/KR2019/013230 WO2020076069A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852A Division KR102448403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890A KR20210044890A (ko) 2021-04-23
KR102354489B1 true KR102354489B1 (ko) 2022-01-21

Family

ID=7016419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852A KR102448403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17009768A KR102354489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27033085A KR102568880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37027748A KR20230124108A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852A KR102448403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085A KR102568880B1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37027748A KR20230124108A (ko) 2018-10-08 2019-10-08 Atmvp 후보를 기반으로 영상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457234B2 (ko)
KR (4) KR102448403B1 (ko)
WO (1) WO2020076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0091A1 (en) 2020-02-29 2021-09-02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Constrains for high level syntax elements
JP2023526494A (ja) * 2020-05-22 2023-06-21 北京字節跳動網絡技術有限公司 一般制約フラグのシグナリング
WO2023132514A1 (ko) * 2022-01-05 2023-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선된 amvp-merge 모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741A1 (en) * 2004-03-19 2005-09-22 Raber Gregory W Law enforcemen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US9565446B2 (en) * 2010-12-14 2017-02-07 M&K Holdings Inc.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picture
US9667996B2 (en) * 2013-09-26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Sub-prediction unit (PU) bas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in HEVC and sub-PU design in 3D-HEVC
US11477477B2 (en) * 2015-01-26 2022-10-18 Qualcomm Incorporated Sub-prediction unit based 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RU2671307C1 (ru) * 2015-03-10 2018-10-3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редсказ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вя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6165069A1 (en) 2015-04-14 2016-10-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dvanc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in video coding
US10560718B2 (en) * 2016-05-13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Merge candidates for motion vector prediction for video coding
US10721489B2 (en) * 2016-09-06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Geometry-based priority for the construction of candidate lists
KR102435500B1 (ko) * 2016-10-06 2022-08-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이의 장치
US20210136400A1 (en) * 2016-11-29 2021-05-0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merge mode derivation for video coding
EP3343925A1 (en) 2017-01-03 2018-07-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otion information
CN116962676A (zh) * 2017-01-16 2023-10-27 世宗大学校产学协力团 影像解码/编码方法以及传送比特流的方法
US20180310017A1 (en) * 2017-04-21 2018-10-25 Mediatek Inc. Sub-prediction unit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sub-pu tmvp) for video coding
US10931963B2 (en) * 2017-12-07 2021-02-23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njamin Bross, et., al, "Versatile Video Coding(Draft 2)", JVET, 11th meeting, 10-18, July, 2018, JVET-K1001-v5.*
F. Galpin, et., al, "CE4.2.4 Merge mode enhancement for J0022", JVET, 11th meeting, 10-18, July, 2018, JVET-K0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27A (ko) 2022-02-03
US20210258604A1 (en) 2021-08-19
US20220394290A1 (en) 2022-12-08
US20240107056A1 (en) 2024-03-28
KR20210044890A (ko) 2021-04-23
WO2020076069A1 (ko) 2020-04-16
KR102448403B1 (ko) 2022-09-28
KR102448403B9 (ko) 2023-03-27
KR102568880B1 (ko) 2023-08-21
US11871029B2 (en) 2024-01-09
US11457234B2 (en) 2022-09-27
KR20230124108A (ko) 2023-08-24
KR20220133324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695B1 (ko) 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어파인 mvp 후보 리스트를 사용하는 어파인 움직임 예측에 기반한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20044766A (ko) 크로스 컴포넌트 필터링 기반 영상 코딩 장치 및 방법
US11871029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coding on basis of ATMVP candidate
KR102637604B1 (ko) 신택스 디자인 방법 및 신택스를 이용하여 코딩을 수행하는 장치
KR20220050088A (ko) 크로스-컴포넌트 적응적 루프 필터링 기반 영상 코딩 장치 및 방법
KR20210118951A (ko) 크로마 포맷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44894A (ko) 영상 코딩 장치 및 방법
KR20210143325A (ko)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머지 데이터 신택스의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102459939B1 (ko) Mpm 리스트를 이용하는 인트라 예측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3739A (ko) 디폴트 머지 모드에 기반하여 예측 샘플을 도출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8402A (ko) 현재 블록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예측 모드를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2575A (ko) 쌍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가중 평균을 위한 가중치 인덱스 정보를 도출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3736A (ko) 쌍 예측(bi-prediction)을 위한 가중치 인덱스 정보를 도출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0584A (ko) 머지 데이터 신택스에서 중복적인 신택스의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210153738A (ko) 예측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가중치 인덱스 정보를 도출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74952A (ko) 영상/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20002700A (ko) 쌍 예측을 적용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0585A (ko)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신택스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210148366A (ko) 움직임 예측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10149856A (ko) 비디오/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중복 시그널링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210090715A (ko) Tmvp 후보의 가용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0798B1 (ko) Sbtmvp 기반 영상 또는 비디오 코딩
KR102631361B1 (ko) 변환 계수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10158401A (ko) 결정된 예측 모드를 적용하여 예측 샘플들을 생성하는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74953A (ko) 영상/비디오 코딩을 위한 영상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