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69B1 -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69B1
KR102354469B1 KR1020210072172A KR20210072172A KR102354469B1 KR 102354469 B1 KR102354469 B1 KR 102354469B1 KR 1020210072172 A KR1020210072172 A KR 1020210072172A KR 20210072172 A KR20210072172 A KR 20210072172A KR 102354469 B1 KR102354469 B1 KR 10235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recovery
guard body
casing
cartrid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중원사격장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사격장비(주) filed Critical 중원사격장비(주)
Priority to KR102021007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는, 사격 간에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배출 범위 영역이 제한되도록 하는 가드 몸체와, 상기 가드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드 몸체 측으로 배출된 상기 탄피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켜 상기 탄피가 상기 가드 몸체의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완충부 및 상기 가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가 모여 회수되도록 하는 탄피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EMPTY CARTRIDGE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STABLE EMPTY CARTRIDGE COLLECTION}
본 발명은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격 간에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에 구비되어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배출 범위 영역을 제한하여 사격자가 총기를 파지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수집 및 회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군사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M16이나 K1, K2 소총의 사격 훈련 시 탄피 배출구로 배출되는 탄피는 물자 절약을 위한 재사용과 총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서 주, 야간 사격을 막론하고 탄피를 전량 회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탄피의 회수는 엄격하게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낙하 지점이 일정하지 않은 탄피의 전량 회수를 위하여 사격 시 마다 사수의 우 전방에 부사수가 위치하며 부사수의 철모로 탄피 배출구를 막는 등의 방법을 취하고 있는 실정으로 많은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또한, 부사수가 탄피의 배출구를 막거나 배출되는 탄피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사수와 사선 가까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격장의 질서 문란을 조장 함은 물론, 오발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합동 훈련이나 야간 사격 시에는 탄피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사수의 사격 시야 제한 등 상당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4-0002575호와 같은 탄피받이구가 제안되어 왔으나 이는 실용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한 쌍의 밴드로 소총의 탄창을 휘감고 다시 운반 손잡이 밑의 소총 상부 몸통으로 감아서 탄피받이구의 외부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에 각각 걸어 끼우도록 되어 있어서 소총에 탄피받이구를 붙이고 떼기가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하였으며, 항상 두손으로 취부 하여야만 하였고, 소총을 잡은 쪽을 제외한 다른 한 손으로는 탄피받이구를 소총에 부착하기가 불가능 하였으며, 신축성 밴드이지만 소총의 하부인 탄창의 밑면으로 밴드를 휘감아야 하였으므로 한 쌍의 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취부 시 상당히 신경을 써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피의 배출 속도에 의한 충격으로 탄피받이구가 쉽게 파손되어지거나 탄피가 다시 배출구 측으로 튕겨 들어감으로 인하여 소총의 작동 이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격 도중 발사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피가 약실 내부에 걸려 있는지 여부를 탄피 배출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탄피받이구를 소총으로부터 탈거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간단하게 소총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의 탄피받이구가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소총에 부착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많은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4-000257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9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탄피의 수집 및 회수가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총기의 약실 내부를 확인하기 용이함과 동시에 사격자가 총기를 파지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으며, 사격 간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는, 사격 간에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배출 범위 영역이 제한되도록 하는 가드 몸체와, 상기 가드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드 몸체 측으로 배출된 상기 탄피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켜 상기 탄피가 상기 가드 몸체의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완충부 및 상기 가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가 모여 회수되도록 하는 탄피회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드 몸체는 상기 가드 몸체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세 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드 몸체의 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상기 가드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측판과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 몸체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총기에서 배출된 상기 탄피가 안정적으로 받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 측판 및 상판은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가드 몸체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완충부재 및 일측이 상기 상판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늘어져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완충부재는 복수의 갈래로 나뉜 버티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총기에서 배출되어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탄피는 상기 제2완충부재에 부딪혀 1차적으로 운동 에너지가 감소되고, 그 상태로 상기 제2완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완충부재에 부딪힘으로써, 총기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탄피가 갖는 운동 에너지가 모두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탄피가 상기 탄피회수부 측으로 떨어져 안정적으로 수집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피회수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의 회수가 가능한 회수부재와, 상기 회수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기 회수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수부재가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상기 탄피가 내부로 유입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수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부재는 중심부가 일정 간격 이격된 이분할 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 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부재는 상기 회수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탄피가 상기 수집부재에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탄피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피회수부는 상기 수집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부재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기 탄피를 센싱하여 카운팅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카운팅된 상기 탄피에 대한 정보가 표기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가드 몸체가 구비되도록 하여 일정하지 않는 탄피의 배출 범위를 일정 범위 내의 영역으로 제한함으로써, 안정적인 탄피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사수가 총기를 파지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으며, 약실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 발생 시에도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가드 몸체에 완충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가 갖는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탄피가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드 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가드 몸체의 내부에 탄피회수부가 구비됨으로써, 가드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탄피가 안정적으로 모여 수집될 수 있으며, 수집된 탄피의 회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부사수가 별도로 탄피를 회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사격 간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있어서, 가드 몸체와 완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있어서, 탄피회수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있어서, 배출된 탄피가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있어서, 센서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격 간에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에 구비되어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배출 범위 영역을 제한하여 사격자가 총기를 파지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수집 및 회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몸체(100)와 완충부(200), 그리고 탄피회수부(3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드 몸체(100)는 사격 간에 총기에 형성되어 격발 후 탄피(400)가 배출되는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총기에서 일정하지 않는 범위를 가지며 배출되는 상기 탄피(400)의 배출 범위가 일정한 영역 내로 제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총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탄피(400)가 중구난방으로 튀어 나가지 않고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상기 가드 몸체(10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바닥을 이루어 상기 가드 몸체(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판(110)의 세 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드 몸체(100)의 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측판(120) 및 상기 측판(120)의 상단에서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측판(120)과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상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드 몸체(100)는 지면에 놓여지며 기준이 될 수 있는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세 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되며,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상기 측판(120) 및 상기 측판(120)의 상단에서 상기 측판(120)과 둔각을 이루도록 일정 각도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꺾인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상판(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110)과 측판(120), 그리고 상판(130)의 조합에 의해 상기 가드 몸체(100)의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을 지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드 몸체(100)는 상기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에 의해 내부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피 배출구를 통해 일정하지 않는 범위로 배출되는 상기 탄피(400)의 배출 범위를 일정한 영역 내로 제한하여 총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탄피(400)가 중구난방 튀어 나가지 않고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받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은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철망 또는 그물망 등과 같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술할 상기 완충부(200)를 지탱하여 총기에서 배출되어 날아온 상기 탄피(400)가 상기 완충부(200)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상기 완충부(200)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200)에 부딪힌 상기 탄피(400)에 가해지는 반발력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상기 탄피(400)가 갖는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안정적인 탄피(400)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드 몸체(100)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가드 몸체(100) 측으로 배출된 상기 탄피(400)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켜 상기 탄피(400)가 상기 가드 몸체(100)의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상기 완충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충부재(210) 및 제2완충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완충부재(21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의 조합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가드 몸체(100)에서 상기 내부 공간 측의 상기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의 일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완충부재(220)는 일측이 상기 상판(13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늘어져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완충부재(21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가드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완충부재(220)는 상기 상판(130)의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10) 측으로 늘어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2완충부재(220)는 상기 측판(120)과 둔각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상판(13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완충부재(210)보다 전면부, 즉, 상기 제1완충부재(210)보다 총기의 탄피 배출구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총기에서 배출되어 상기 가드 몸체(100)로 날아오는 상기 탄피(400)는 상기 제1완충부재(210)보다 상기 제2완충부재(220)에 먼저 도달하여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완충부재(220)는 총기에서 배출된 상기 탄피(400)가 상기 제2완충부재(2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완충부재(210)까지 도달하여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갈래로 나뉜 버티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총기에 형성된 탄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운동 에너지를 갖은 상태로 상기 가드 몸체(100)로 날아오는 상기 탄피(40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상기 상판(130)에 결합된 버티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완충부재(220)에 먼저 부딪혀 1차적으로 운동 에너지가 감소되며, 그 상태로 상기 제2완충부재(220)를 통과하여 상기 가드 몸체(10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되, 운동 에너지가 모두 감소된 상태가 아닌 상기 탄피(40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상기 측판(120) 및 상판(13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완충부재(210)에 부딪혀 2차적으로 운동 에너지가 감소됨으로써, 날아가려는 운동의 성질이 해소되어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 공간 아래, 즉, 상기 바닥판(110) 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면이 형성된 상기 측판(120) 및 상기 상판(130)에 의해 상기 측판(120) 및 상판(130)에 결합되어 평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제1완충부재(210)에 부딪힌 상기 탄피(400)는 부딪힘에 따라 발생되는 반발력이 최소한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제2완충부재(220)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한 운동 에너지가 상기 제1완충부재(21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가드 몸체(100)의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아닌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탄피(400)가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200)에 의해 총기에서 배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 에너지가 모두 감소된 상기 탄피(400)가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받아서 안정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상기 탄피회수부(30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피회수부(300)는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200)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400)가 모여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피회수부(300)는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드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완충부(200)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400)를 받아 줌으로써 상기 탄피(400)의 회수가 가능하게 하는 회수부재(320)와, 상기 회수부재(320)의 상부에 올려진 상기 탄피(400)가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회수부재(320)의 일측이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수부재(3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310) 및 상기 지지부재(310)에 의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기 회수부재(320)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수부재(320)가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탄피(400)가 내부에 유입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집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집부재(33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측 중 상기 회수부재(320)가 하향 경사를 이루는 측의 하부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격이 모두 끝난 이후 수집된 상기 탄피(400)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수부재(320)는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31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분할 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분할 된 중심부 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재(310)에 의해 지지되어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수부재(320)의 경사면이 길어지거나 상기 회수부재(320)의 길이에 따라 경사 각도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이루어져 상기 회수부재(320)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상기 탄피(400)가 이동 도중 멈추게 되는 일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회수부재(320)는 중심부가 이분할 되어 양측에서 중심부 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수부재(320) 양측 각각의 길이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경사면을 이루는 각도 역시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수부재(320)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상기 탄피(400)의 이동 거리가 짧아질 수 있으며, 충분한 경사 각도에 의해 상기 탄피(400)가 멈추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수부재(320)는 상기 완충부(200)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상기 회수부재(3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탄피(400)가 상기 회수부재(3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집부재(330)에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턱(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턱(321)은 상기 회수부재(32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수부재(320)에서 하향 경사를 이루어 상기 탄피(400)가 상기 수집부재(3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321)이 형성되지 않거나,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피(400)가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드 몸체(100) 및 완충부(200) 그리고 상기 탄피회수부(300)에 의해 사격 간에 총기에 형성된 탄피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탄피(400)가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 원리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피회수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350) 및 디스플레이모듈(340)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탄피회수부(300)에 회수되는 상기 탄피(400)의 수가 자동으로 카운팅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모듈(350)은 상기 수집부재(33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회수부재(320)를 따라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기 탄피(400)를 센싱하여 카운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40)은 상기 센서모듈(350)과 연계 가능하여 상기 센서모듈(350)에서 카운팅된 상기 탄피(400)에 대한 정보가 표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수 또는 부사수가 직접 수집 된 상기 탄피(400)의 수량을 세어보지 않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350)은 상기 수집부재(3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탄피(400)가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부에 유입되며 발생되는 충격을 센싱하거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집부재(330)로 유입되어 수집된 상기 탄피(400)의 수량이 카운팅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집부재(330)의 측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부재(3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탄피(400)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탄피(400)의 수량이 카운팅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40)은 카운팅 되는 탄피(400)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으로 발광되는 복수의 LED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수 또는 부사수가 보다 쉽게 상기 탄피(400)의 카운팅을 인지할 수 있도록 7세그먼트(7-segment)표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7세그먼트란, 7개의 세그먼트(획 또는 조각)으로 이루어진 표시 소자로 이루어져 각각의 소자를 따로 운용함으로써 0~9까지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숫자의 자릿수, 즉, 10의 자리인 경우에는 2개의 7세그먼트를, 100의 자리인 경우에는 3개의 7세그먼트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구동에 따른 소모 전력이 매우 적어 간단한 표기를 요하는 경우 그 활용성이 높은 방식 중 하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40)은 이러한 7세그먼트 표기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수집부재(330)에 유입되어 상기 센서모듈(350)에 의해 카운팅되는 상기 탄피(400)의 수가 숫자로 표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수 및 부사수가 보다 쉽게 상기 탄피회수부(300)에 수집된 상기 탄피(400)의 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가드 몸체 110 : 바닥판
120 : 측판 130 : 상판
200 : 완충부 210 : 제1완충부재
220 : 제2완충부재 300 : 탄피회수부
310 : 지지부재 320 : 회수부재
321 : 이탈방지턱 330 : 수집부재
340 : 디스플레이모듈 350 : 센서모듈
400 : 탄피

Claims (10)

  1. 사격 간에 총기의 탄피 배출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총기에서 배출되는 탄피의 배출 범위 영역이 제한되도록 하는 가드 몸체;
    상기 가드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드 몸체 측으로 배출된 상기 탄피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켜 상기 탄피가 상기 가드 몸체의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완충부;
    상기 가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가 모여 회수되도록 하는 탄피회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 몸체는,
    상기 가드 몸체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세 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드 몸체의 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상기 가드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측판과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상판;
    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 몸체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총기에서 배출된 상기 탄피가 안정적으로 받아지도록 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가드 몸체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완충부재; 및
    일측이 상기 상판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측 방향으로 늘어져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2완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완충부재는,
    복수의 갈래로 나뉜 버티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측판 및 상판은,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총기에서 배출되어 운동 에너지를 갖는 상기 탄피는 상기 제2완충부재에 부딪혀 1차적으로 운동 에너지가 감소되고, 그 상태로 상기 제2완충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완충부재에 부딪힘으로써, 총기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탄피가 갖는 운동 에너지가 모두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탄피가 상기 탄피회수부 측으로 떨어져 안정적으로 수집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피회수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부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상기 탄피의 회수가 가능한 회수부재;
    상기 회수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기 회수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수부재가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상기 탄피가 내부로 유입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수집부재;
    를 포함하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재는,
    중심부가 일정 간격 이격된 이분할 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 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호 대칭을 이루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재는,
    상기 회수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탄피가 상기 수집부재에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탄피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을 더 포함하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피회수부는,
    상기 수집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부재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기 탄피를 센싱하여 카운팅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카운팅된 상기 탄피에 대한 정보가 표기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더 포함하는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KR1020210072172A 2021-06-03 2021-06-03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KR10235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72A KR102354469B1 (ko) 2021-06-03 2021-06-03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72A KR102354469B1 (ko) 2021-06-03 2021-06-03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69B1 true KR102354469B1 (ko) 2022-01-24

Family

ID=8004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172A KR102354469B1 (ko) 2021-06-03 2021-06-03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575A (ko) 1981-12-15 1984-07-02 무네요시 미야다 리이프 스위치(leaf switch)의 밀봉형 커버(密封型 cover)
KR20110064463A (ko) * 2009-12-08 2011-06-15 송종환 총기용 탄피 회수장치
JP2015203551A (ja) * 2014-04-16 2015-11-16 バブ日立工業株式会社 射撃場における弾丸回収装置
KR20160001817U (ko) * 2014-11-19 2016-05-27 손봉갑 탄피받이 주머니
KR20180086909A (ko) * 2017-01-24 2018-08-01 윤원남 표적지를 구비한 접이식 탄환 회수장치
KR102009462B1 (ko) *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 탄두 회수 장치
KR102030939B1 (ko) * 2018-11-01 2019-10-10 원정환 탄두 회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575A (ko) 1981-12-15 1984-07-02 무네요시 미야다 리이프 스위치(leaf switch)의 밀봉형 커버(密封型 cover)
KR20110064463A (ko) * 2009-12-08 2011-06-15 송종환 총기용 탄피 회수장치
JP2015203551A (ja) * 2014-04-16 2015-11-16 バブ日立工業株式会社 射撃場における弾丸回収装置
KR20160001817U (ko) * 2014-11-19 2016-05-27 손봉갑 탄피받이 주머니
KR200484904Y1 (ko) 2014-11-19 2017-11-10 손봉갑 탄피받이 주머니
KR20180086909A (ko) * 2017-01-24 2018-08-01 윤원남 표적지를 구비한 접이식 탄환 회수장치
KR102009462B1 (ko) *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 탄두 회수 장치
KR102030939B1 (ko) * 2018-11-01 2019-10-10 원정환 탄두 회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361B2 (en) Target system
ES2645940T3 (es) Método y sistema de desarmado de cartuchos de munición
KR102354469B1 (ko) 안정적인 탄피회수가 가능한 탄피회수장치
US20090084015A1 (en) Firearm round counter and assembly
US4166333A (en) Spent shell container
KR102030939B1 (ko) 탄두 회수시스템
ES2642208T3 (es) Arma de fuego
CA2200922C (en) Empty shell collector for fire arm
KR100927222B1 (ko) 탄두회수장치
US20060101699A1 (en) Gun shell catcher device
US20090235568A1 (en) Firearm Pre-Muzzle Lead Emission Containment Device
US6913263B2 (en) Target holding device
US4296565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ejected cartridges
US5715739A (en) Bullet trap system
KR101307879B1 (ko) 탄피 수거장치
KR20100006219U (ko) 실탄사격장 내 중앙집중형 피탄시설
US3455554A (en) Air gun shot arresting target
US20220057153A1 (en) Firearm gas discharge deflector
KR102116752B1 (ko)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KR20180122100A (ko)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US20160209057A1 (en) Dust containment unit manifold
CN207113722U (zh) 一种坦克起倒靶
KR101849236B1 (ko) 소총사격용 안전보조기구
SK7485Y1 (sk) Mobilný kontajnerový zachytávač balistických striel
CN209894044U (zh) 一种带抓捕功能的防暴警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