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54B1 -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54B1
KR102354454B1 KR1020150183625A KR20150183625A KR102354454B1 KR 102354454 B1 KR102354454 B1 KR 102354454B1 KR 1020150183625 A KR1020150183625 A KR 1020150183625A KR 20150183625 A KR20150183625 A KR 20150183625A KR 102354454 B1 KR102354454 B1 KR 10235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kin
reel
guide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399A (ko
Inventor
명준오
곽택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8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형상의 필름막 도포 본체부,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되는 필름이 풀리거나 감기는 한 쌍의 릴 부재,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름의 지나는 길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열을 전달하는 열 발생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수용성 필름막이 사용자 피부의 원하는 부위에 도포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Film membrane coating apparatus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미용 및 피부 치료에 이용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을 밖에서 감싸고 있는 피부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위험한 물리적 손상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의 기계적 손상, 타박상, 화상등 우리 주위에서 많은 요인들로 인해 상처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피부의 상처를 보호하기 위하여 단순히 덮개 또는 흡수용 밴드로 상처부위를 덮음으로써 상처 치료를 촉진시켰고 더 나아가서는 상처 부위에 소독제나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연고를 바른 다음에 드레싱을 하였다.
그러나 상처부위에 상처치료를 촉진시킬 수 있는 연고형 약제를 바르고 상처 보호를 위한 드레싱을 하는 것은 상처치료의 촉진면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연고형 약제를 피부의 상처부위에 바를 때 통증을 수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처 부위에 발라진 연고의 높은 흐름성으로 인하여 드레싱 후 연고가 드레싱 밖으로 흘러나오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연고의 누출은 상처치료효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시각적 및 촉각적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피부 치료용 수용성 조성물(수용성 필름막)이 개발되고 있으며, 수용성 조성물은 피부 접착시 피부의 수분에 의해 용해 가능하여 신속히 피부속으로 전달될 수 있어,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다.
한편, 피부 미용을 위한 수용성 조성물도 있는데, 피부 미용 용도의 수용성 조성물은 마스크 형태의 필름에 코팅된 후 필름이 피부에 부착되면 필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피부 속으로 전달되어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부 치료용 수용성 조성물이나, 피부 미용을 위한 수용성 조성물 모두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피부에 도포 해야 해서 수용성 조성물이 사용자 손의 이물질에 영향을 받아 원하는 부위에 잘 스며들지 않는 문제점 및 사용자가 수용성 조성물을 원하는 양만큼 원하는 피부 부위에 도포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부 미용 및 피부 치료에 이용되는 수용성 필름막을 원하는 양만큼 원하는 피부 부위에 도포 가능한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형상의 필름막 도포 본체부;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되는 필름이 풀리거나 감기는 한 쌍의 릴 부재;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름의 지나는 길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열을 전달하는 열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열 전도체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선단에 고정되는 원형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원형 가이드 부재의 외주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필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판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릴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가 받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릴 부재에 회전축이 연결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남은 하나의 릴 부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면, 동일 회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와 상기 남은 하나의 릴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와 상기 남은 하나의 릴 부재를 기어 연결하는 스퍼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피부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맞닿게 되면, 상기 열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열과 수용성 필름막의 접착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 피부에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도포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릴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된 필름을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릴 부재로부터 풀리게 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제거된 필름을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남은 하나의 릴 부재에 감기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에 의하면, 피부 미용 및 피부 치료에 이용되는 수용성 필름막을 원하는 양만큼 원하는 피부 부위에 손쉽게 도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의 운용 방법 설명을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100)는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 한 쌍의 릴 부재(120), 가이드 부재(130), 열 발생부(140), 모터부(150), 제어부(160) 및 버튼부(170)를 포함하며, 피부용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된 필름(f)이 한 쌍의 릴 부재(120)에 감기거나 풀리고, 가이드 부재(130) 상에 위치하며, 가이드 부재(130)가 필름(f)의 지나는 길을 안내하고, 열 발생부(140)가 가이드 부재(130)에 열을 전달하고, 가이드 부재(130)에 의해 필름(f)이 사용자 피부에 맞닿을 경우, 가이드 부재(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수용성 필름막을 필름(f)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켜 사용자 피부에 잘 도포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용성 필름막은 일종의 수용성 조성물로서, 피부 미용 또는 피부 치료에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100)는 사용자 피부의 소정 부위에 수용성 필름막을 손쉽게 도포할 수 있다.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는 한 쌍의 릴 부재(120), 가이드 부재(130), 열 발생부(140), 모터부(150), 제어부(16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하우징일 수 있다.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는 일측 선단이 개방될 수 있다.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측 선단에는 가이드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내부 측면에는 복수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릴 부재(120)는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를 포함하며, 각각이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회전축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 각각은 원판부재와 원판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 각각의 원판부재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 각각의 원판부재는 스퍼기어(sg)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 각각의 원판부재는 연동 회전할 수 있다.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 부재(122) 각각의 원통부재에는 필름(f)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f)은 제1 릴 부재(121)의 원통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름(f)은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에는 감겨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필름(f)의 일단이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에 연결되고, 필름(f)이 제1 릴 부재(121)의 원통부재에 감겨진 상태로 필름(f)의 타단이 제1 릴 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필름(f)의 일단이 제1 릴 부재(121)의 원통부재에 연결되고, 필름(f)이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에 감겨진 상태로 필름(f)의 타단이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제1 릴 부재(121)가 회전하면 제1 릴 부재(121)의 원통부재에 필름(f)이 감기게 되고, 제2 릴 부재(122)가 스퍼기어(sg)에 의해 제1 릴 부재(121)와 연동 회전하면 제2 릴 부재(122)의 원통부재로부터 필름(f)이 풀리게 된다. 이러한 필름(f)이 제2 릴 부재(122)로부터 풀리고 나서 제1 릴 부재(121)에 감길 때 필름(f)의 지나는 길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30)가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일측 선단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원형 가이드 부재(131)와 판형 가이드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전도율이 뛰어난 열 전도체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한 쌍의 릴 부재(12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원형 가이드 부재(131)는 개방된 형태의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일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평소에는 원형 가이드 부재(131)는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일측 선단에 구비되는 걸림부(미도시)에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필름(f) 설치 과정 중 걸리부로부터 벗어나 회전되어 필름(f)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판형 가이드 부재(132)는 원형 가이드 부재(131)의 외주에 고정될 수 있다. 판형 가이드 부재(132)는 필름(f)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판형 가이드 부재(132)는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f)은 판형 가이드 부재(132)의 밑면(도 1 기준) 상에 배치되고, 원형 가이드 부재(132)의 외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부재(130)는, 한 쌍의 릴 부재(120)가 회전할 때 필름(f)의 지나는 길을 안내할 수 있다.
판형 가이드 부재(132)는 필름(f)이 사용자 피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판형 가이드 부재(132)에는 압력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판형 가이드 부재(132)가 피부에 맞닿는지 감지할 수 있다.
필름(f)이 사용자 피부에 맞닿게 되면, 수용성 필름막의 접착력에 의해 수용성 필름막이 필름(f)으로부터 이탈되어 사용자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피부에 수용성 필름막이 용이하게 도포되도록, 가이드 부재(130)에 열을 제공하는 열 발생부(140)가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열 발생부(140)는 제어부(16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히터일 수 있다. 열 발생부(140)는 가이드 부재(130)에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13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 발생부(140)는, 모터부(150)에 의해 한 쌍의 릴 부재(120)가 회전하여 필름(f)을 풀거나 감을 때 가이드 부재(130)에 열을 전달하고, 이후 가이드 부재(130)에 의해 필름(f)이 사용자 피부에 닿게 되면, 가이드 부재(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필름(f)으로부터 수용성 필름막을 용이하게 이탈시켜 사용자 피부에 잘 도포되도록 한다.
모터부(150)는 제어부(16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한 쌍의 릴 부재(120)를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모터부(150)는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부(150)의 회전축은 제1 릴 부재(121) 또는 제2 릴 부재(12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모터부(150)가 제1 릴 부재(121)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모터부(150)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면 회전력을 통해 제1 릴 부재(121)가 회전하여 필름(f)을 감게되고, 제2 릴 부재(122)가 제1 릴 부재(122)와 연동 회전하여 필름(f)을 풀리게 한다.
제어부(160)는 열 발생부(140) 및 모터부(150)를 적절히 제어하여 필름(f)에 코팅된 수용성 필름막을 사용자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버튼부(170)의 입력 명령에 따라 사용자 피부에 수용성 필름막을 도포하는 필름막 도포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버튼부(170)는 사용자 입력 명령을 받는 장치로서, 필름막 도포 본체부(11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170)는 필름막 도포 모드로 동작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17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버튼부(170)는 버튼 형식의 입력장치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입력장치로 대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후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100)의 운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70)가 필름막 도포로 동작하라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필름막 도포 모드로 동작한다. 제어부(160)가 필름막 도포 모드일 때, 가이드 부재(130)가 사용자 피부에 맞닿게 되면, 가이드 부재(130)에 구비된 압력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압력신호에 따라 열 발생부(140)를 제어하여 열 발생부(140)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열 발생부(140)와 연결된 가이드 부재(130)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30)의 온도는 피부 온도와 비슷한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필름막 도포 모드에서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신호 따라 모터부(150)를 제어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한 쌍의 릴 부재(1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 릴 부재(121)가 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하면, 스퍼기어(sg)에 의해 제2 릴 부재(122)가 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되고, 필름(f)이 제1 릴 부재(121)에 감기면서, 제2 릴 부재(122)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30)에 의해 사용자 피부에 맞닿아 있는 필름(f)으로부터 수용성 필름막이 떨어져 나가 사용자 피부에 도포되고, 온도가 상승된 가이드 부재(130)는 수용성 필름막이 사용자 피부에 더욱 잘 도포되도록 한다.
즉, 제2 릴 부재(122)로부터 풀려나 제1 릴 부재(121)로 감기게 되는 필름(f)은 가이드 부재(130)를 기점으로 해서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되어 있거나 수용성 필름막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는, 피부 미용 및 피부 치료에 이용되는 수용성 필름막을 원하는 양만큼 원하는 피부 부위에 손쉽게 도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110: 필름막 도포 본체부
120: 한 쌍의 릴 부재
121: 제1 릴 부재
122: 제2 릴 부재
sg: 스퍼기어
130: 가이드 부재
131: 원형 가이드 부재
132: 판형 가이드 부재
140: 열 발생부
150: 모터부
160: 제어부
170: 버튼부

Claims (9)

  1.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형상의 필름막 도포 본체부;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되는 필름이 풀리거나 감기는 한 쌍의 릴 부재;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름의 지나는 길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열을 전달하는 열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름으로부터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이탈되도록 상기 열 발생부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 전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름막 도포 본체부 선단에 고정되는 원형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원형 가이드 부재의 외주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필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판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릴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받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릴 부재에 회전축이 연결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남은 하나의 릴 부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면, 동일 회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와 상기 남은 하나의 릴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릴 부재와 상기 남은 하나의 릴 부재를 기어 연결하는 스퍼 기어를 더 포함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피부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맞닿게 되면, 상기 열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열과 수용성 필름막의 접착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 피부에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도포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릴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코팅된 필름을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릴 부재로부터 풀리게 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막이 제거된 필름을 상기 한 쌍의 릴 부재 중 남은 하나의 릴 부재에 감기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KR1020150183625A 2015-12-22 2015-12-22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KR10235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625A KR102354454B1 (ko) 2015-12-22 2015-12-22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625A KR102354454B1 (ko) 2015-12-22 2015-12-22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99A KR20170074399A (ko) 2017-06-30
KR102354454B1 true KR102354454B1 (ko) 2022-01-20

Family

ID=5927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625A KR102354454B1 (ko) 2015-12-22 2015-12-22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600B1 (ko) 2016-04-21 2023-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 스탬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351A (ja) * 2002-08-30 2004-03-25 Tombow Pencil Co Ltd 電動塗膜転写装置
JP2004210524A (ja) * 2003-01-08 2004-07-29 Hitachi Chem Co Ltd 接着具
JP2009238676A (ja) * 2008-03-28 2009-10-15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異方性導電膜転写具及び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8595B1 (fr) * 2006-03-14 2008-08-01 Oreal Dispositif de transfert d'un produit provenant d'une bande support.
KR20130107847A (ko) * 2012-03-23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변환물질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351A (ja) * 2002-08-30 2004-03-25 Tombow Pencil Co Ltd 電動塗膜転写装置
JP2004210524A (ja) * 2003-01-08 2004-07-29 Hitachi Chem Co Ltd 接着具
JP2009238676A (ja) * 2008-03-28 2009-10-15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異方性導電膜転写具及び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99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4044A1 (en)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treatment
JP2022126722A (ja) 創傷治療装置
KR102591339B1 (ko) 개선된 상처 치유를 위한 장치
WO2012156655A8 (en) Tissue healing
WO2019076967A3 (en) Fluid management for sensor enabled wound therapy dressings and systems
KR102354454B1 (ko) 피부용 필름막 도포 장치
WO2009131819A3 (en) Wound care treatment service using automatic wound dressing fabricator
JP2015513424A5 (ko)
WO2008036131A3 (en) Dressing substrate
EP2131773A4 (en) INTERSTITIAL LASER THERAPY COVERS AND INTERSTITIAL LASER THERAPY CONTROL SYSTEM
WO2014184674A3 (en) Fluidic connector for irrigation and aspiration of wounds
DE602004031507D1 (ko)
WO2016142401A1 (en) Method of forming a medical device comprising graphene
CN209884533U (zh) 一种压力可控的绷带自动包扎装置
EP2705815A1 (en) Device for use in a process of applying a bandage around a limb
US20230131041A1 (en) Method of applying hemostatic or tissue healing agent to wet surfaces
CN206044829U (zh) 泌尿外科护理用创口包扎装置
EP2705814A1 (en) Device for applying a bandage around a limb
JP2015517102A5 (ko)
WO201004471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ожения и хранения ленточных перевязо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202682052U (zh) 聚维酮碘抗菌手术薄膜
MXPA02002046A (es) Dispositivos de transferencia de calor.
WO2008062176A1 (en) Wound dressing with a perforated non-adhesive skin-contacting layer and adhesive on the non-skin contacting surface of said layer
DK1992054T3 (da) Indretning til opvikling af et elektrokabel
CN203060049U (zh) 一种医用无菌敷料的防水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