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863B1 - Tool of the tongs type - Google Patents

Tool of the tongs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863B1
KR102353863B1 KR1020190050449A KR20190050449A KR102353863B1 KR 102353863 B1 KR102353863 B1 KR 102353863B1 KR 1020190050449 A KR1020190050449 A KR 1020190050449A KR 20190050449 A KR20190050449 A KR 20190050449A KR 102353863 B1 KR102353863 B1 KR 10235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rotrusion
connection part
ang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6606A (en
Inventor
이근직
Original Assignee
이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직 filed Critical 이근직
Priority to KR102019005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63B1/en
Priority to PCT/KR2019/005195 priority patent/WO2019212227A1/en
Publication of KR2020012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두 개의 몸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type tool capable of picking up or handling an object more accurately and safely using the functions and motions of the finger. In addition, it relates to a tongs-type tool capable of more efficiently combining or separating two bodies.

Description

집게형 도구 {Tool of the tongs type}{Tool of the tongs type}

본 발명은, 손가락 본연의 기능과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물체를 집거나 다룰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두 개의 몸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집게형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type tool capable of picking up or handling an object more accurately and safely using the functions and motions of the finger. In addition, it relates to a tongs-type tool capable of more efficiently combining or separating two bodies.

본 발명과 관련된 집게류의 도구는,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는 것과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The tool of the tong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configured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and having two bodies coupled with a rotation shaft at a certain point below or above the handle.

여기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두 개의 몸체는, 분리와 재결합 방법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두 몸체를 회전축에 결합 또는 연결시킬 부품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품을 배제하고 두 개의 몸체만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정밀도나 안정성이 미흡한 수준인 것도 일반적이다.Here, the two bodie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re not easily separated and recombined, and parts for coupling or connecting the two bodies to the rotating shaft are generally additionally configured, excluding the parts and combining only the two bodies In this case, it is also common that precision or stability is insufficient.

따라서, 집는 기능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몸체와 별도로 결합용 부품을 구비해야 하고, 이러한 두 몸체의 결합과 분리과정에는 또다른 도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precision and stability of the gripping fun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upling part separately from the two bodies, and it is common that another tool is required for the coupling and separation process of the two bodie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7155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3-007155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재질의 탄력만을 이용하는 집게류의 경우, 한 쪽 방향의 탄력만을 이용하게 되어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그대로 구현하지 못함에 따른 불편이 있다. In the case of forceps using only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since only one direction of elasticity is used,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the finger's pinching and opening motion, that is, the finger's original bidirectional forceps action, cannot be implemented as it is.

재질의 탄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즉, 두 개의 몸체가 손잡이 아래쪽 또는 위쪽의 일정 지점에서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집게류의 경우, 별도의 준비된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른 불편과 비효율성이 있다. In the case of not using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that is, in the case of tongs in which two bodies are combined with a rotating shaft at a certain point below or above the handle, inconvenience caused by not being easy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tool and inefficiency.

두 몸체가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대다수 집게류의 경우, 결합부위의 틈새와 회전동작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성에 주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In the case of most tongs composed of two bodies coupled by a rotating shaf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isk of being pinched or damaged due to the gap and rotational motion of the coupling part.

또한 일반적으로 집게류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물체취급부위가 바닥과 맞닿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즉 바닥의 청결상태나 비위생가능성 등으로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또는 취급된 물체의 잔여분이 바닥에 묻게 되어 느낄 수 있는 불결감이나 불쾌감 또는 비위생성 등의 문제를 더불어 해소하는 것도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이다.Also, in general, when the tongs tool is put down on the floor, a problem may occur because the object handling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lves these problems, such as anxiety that can be felt due to the cleanliness or unsanitary conditions of the floor, or the feeling of uncleanness, discomfort, or unsanitary condition that can be felt when the remainder of the handled object is buried on the floor. It is a problem to be solved.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의 오므리고 벌리는 동작 즉 손가락 본연의 양방향 집게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두 개의 몸체가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집게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mp-type tool that enables the natural bidirectional clamping operation of the fingers to be naturally realized, and the two bodies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with only the user's hand. do it with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를 유도하여 스틱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이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two sticks constituting the tongs-type tool is widened, it is also a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naturally induce the separation of the stick and prevent the stick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ngs-type tool comprising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that are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stick is on the upper part. a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provided,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provided on an upper part, and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The upper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means of which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axis-coupled about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a first slope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and a second slope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and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provide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two sticks becom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contact each other, and the magnitud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the separation angle. When the respective sizes are reached, the first stick is pushed backward and the second stick is pushed forward by the first and second slope part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된다.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ngs-type tool comprising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that are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stick is on the upper part. a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provided,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provided on an upper part, and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The upper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means of which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axis-coupled about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and at least one of an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and the first stick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sticks reach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lope portion and the guide surface contact each other, and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the separation angle. When the above size is reached, the first stick is pushed backward by the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is pushed forward to separate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후방으로 노출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된다.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haft exposed to the front,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second pipe exposed to the rear, the rotation shaft Interpolated into the second pipe,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겹쳐진다.In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is configured concentrically with the rotational shaft a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a first pipe,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jection, the second projection protrudes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the rotational shaft is interpolated into the second pipe,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A pipe is interpolated into the first pipe, and in a state where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verlap while the first protrusio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protrusion.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본연의 집는 동작을 그대로 구현시킬 수 있어서, 보다 정교하고 편리한 집게형 도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natural pinching operation of the finger as it is, and a more sophisticated and convenient clamp-type tool is provided.

또한 손잡이부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대칭이고 좌측과 우측이 서로 대칭인 구조로서, 오른손과 왼손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의 앞쪽과 뒤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handle p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back sid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both right and left hands can be used. do.

또한, 별도의 부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만으로도 두 개의 몸체를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보다 높은 생산효율과 사용편리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wo bodies can be easily assembled or separated by the user's hand without using separate parts or tools, higher production efficiency and ease of use are provided.

또한, 집게형 도구가 집는 기능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의 수평유지기능으로 인하여 물체취급부가 어긋남 없이 안정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tongs-type tool performs a gripping function, it provides a function of stably and precisely operating the object handling unit without misalignment due to the leveling function of the handle portion.

또한, 도구를 보다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몸체를 쉽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어서 세척과 위생관리가 용이하고, 결합부위의 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회전동작 과정에서 신체 일부분이 집히거나 손상될 위험이 방지되며,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에는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게 되어 보다 위생적이고, 손잡이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아치형 공간은 일반적인 도구손잡이의 원형 구멍이나 고리보다 더 편리하게 도구걸이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l can be handled and managed more hygienically, safely and conveniently. In other words, the two bodies can be easily separated or assembled for easy cleaning and sanitation, and the safe structure of the joint prevents the risk of being picked up or damaged in the course of rotation, and when the tool is put down on the floor The object handling part floats in the air, making it more hygienic, and the arch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allows you to use the tool hanger more conveniently than the circular hole or hook of a general tool hand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다양한 요리도구와 식사도구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고, 손동작을 이용하는 다양한 의료용 시술도구의 손잡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실험용 도구나 기타 집게형 도구의 손잡이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andle for various cooking tools and eating utensils, can also be used as a handle for various medical treatment tools using hand gestures, and can be used as a handle for an experimental tool or other tong-type tool. It can also be used as

아울러, 집게형 도구를 구성하는 2 개의 스틱 사이의 사이각을 넓게 벌렸을 때, 자연스럽게 스틱의 분리가 유도되어 스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two sticks constituting the tongs-type tool is widened, separation of the sticks is naturally induced, thereby preventing the sticks from being damaged.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3의 K부분에 대한 윗면도
도 8은 도 3의 K부분을 확대하여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K1-K1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분리된 좌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1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K2-K2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에서 분리된 우측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의 K3-K3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가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6에서 좌측몸체와 우측몸체가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적용된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오른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를 왼손으로 잡은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 24는 좌우측 연결부의 앞면과 뒷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커버로 덮은 경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 36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 은 제1 스틱과 제2 스틱의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와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제1 스틱과 제2 스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과 제2 스틱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unit attach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spread out;
3 is a front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unit attached;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tongs-type tool with the object handling part open;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ongs tool;
6 is a right side view when the object handling part is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ure 7 is a top view of part K of Figure 3;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enlarging part K of FIG. 3;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1-K1 of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connection part separated in FIG.
Fig. 11 is a top view of Fig. 10,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rotruding strip (12a. shaded por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2-K2 of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separated in FIG.
FIG. 14 is a top view of FIG. 13,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rotruding b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3-K3 of FIG. 13;
16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when the left body and the right body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ith each other i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4-K4 of FIG. 16;
18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separated in FIG. 17 ;
19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separated in FIG. 16 ;
20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when the left body and the right body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60 degrees with each other in FIG. 16;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handling part is floating in the air without touching the floor whe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2 is a state diagram of use when holding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ight hand;
23 is a state diagram of use when holding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eft hand;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through-hole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are covered with a cover;
25 and 26 are separated views of a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28 and 29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d FIGS. 30, 31 and 3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3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contact each other, and FIG. 34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K5-K5 of FIG. 33 .
35 and 36 are views illust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38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G. 39 is the separ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lope portion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having .
40 to 43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at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44 is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wherein an upp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an upper end of the other stick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lope portion. it has been shown
4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 1> <Description 1>

도 1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물체취급부를 붙인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4는 물체취급부를 벌린 집게형 도구의 정면도(배면도와 대칭), 도 5는 집게형 도구의 우측면도(좌측면도와 대칭), 도 6은 물체취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의 우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attach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open, FIG. 3 is a front view (symmetrical with the rear view) of a tongs-type tool with an object handling part attached A front view (symmetrical to the rear view) of the tongs-type tool with the part open, Fig. 5 is a right-side view (symmetrical to the left view) of the tongs-type tool, and Fig. 6 is a right side view when the object handling part is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에 물체취급부(18, 28)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다루기 위한 두 개의 손잡이부(10, 20) 및 두 손잡이부(10, 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 그리고 두 손잡이부(10, 20)에 각각 구비되는 손가락걸이(15, 25)로 구성된다.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6, for handling two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each having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at the lower end. The two handle portions 10, 20 and the left connecting portion 10R and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20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handle portions 10 and 20, and finger hangers provided in the two handle portions 10 and 20, respectively ( 15, 25).

상기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는 두 손잡이부(10, 20)의 연결기능과 함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체취급부(18, 28)를 벌리거나 붙이기 위한 회전동작기능, 아울러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평유지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이다.The left connection part 10R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20R have a connection function of the two handle parts 10 and 20, and as shown in FIGS. 1 to 4, spread or attach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It is a configuration that achieves a rotational operation function for, and a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wo object handling units 18 and 28 as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6 are misaligned with each other.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4는 도 13에 대한 윗면도로서 위 돌출띠(22a. 음영처리된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8에서 좌측몸체(빗금처리)와 우측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경우, 좌우측 연결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A method for providing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6 as follows. For reference, FIG. 14 is a top view of FIG. 13, show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rotrusion strip (22a. shaded part), and FIG. 16 is the left body (hatched) and the right body (shaded) in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when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to each other.

도 10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제3원통(12) 내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3원통(1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가 형성된다. 또한, 도 13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제2원통(22) 외측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제2원통(22)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가 형성된다.10 and 12, above an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ylinder 12 of the left connecting part 10R,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protru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third cylinder 12, respectively ) and a lower protruding band (12b) are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 and 15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22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20R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ylinder 22, respectively. An upper protruding band 22a and a lower protruding band 22b are formed.

아울러, 도 11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10R)의 위 돌출띠(12a)의 뒷면(12ad)과 상기 우측연결부(20R)의 위 돌출띠(22a)의 앞면(22ad)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4 , the rear surface 12ad of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ng part 10R and the front 22ad of the upper protruding band 22a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20R are They are positioned so that they can touch each other.

마찬가지로, 도 10과 도 13에 나타낸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의 뒷면과 상기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의 앞면도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Similarly,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protruding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art shown in FIGS. 10 and 1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rotruding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shown in FIGS.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모두 각각 제1원통(11)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에 위치한다.And, as shown in FIG. 16 , all of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 12b , 22a , and 22b ar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ylinder 11 , respectively.

이렇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가 결합되어 두 물체취급부(18, 28)의 내측면이 서로 붙어 있을 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는 제1원통(11)의 위쪽 같은 위치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상기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는 제1원통(11)의 아래쪽 같은 위치 앞과 뒤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By doing th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are attach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8 and 9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upper protruding band 22a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may overlap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ame upper position of the first cylinder 11 . At this time, at the same time, the lower protruding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lower protruding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may overlap each other in front and behind the same lower position of the first cylinder 11 .

아울러,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결부(10R, 20R)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좌측연결부의 제4a원통(13)과 우측연결부의 제4b원통(23)은,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과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 사이의 앞뒤판중간선(1424)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서로 같은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9,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wo connecting parts 10R and 20R and minimize the gap, the 4a cylinder 13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4b cylinder 23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Silv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t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so that the rear plate 14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front plate 24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ca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midline 1424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0, 200)를 보다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함께, 결합된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효과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Here, together with a method for more easily coupling o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he rotational operation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of the two coupled connecting parts 10R and 20R are more stably implemented. An effecti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3 및 도 10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아래 돌출띠(12b)를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10 and 13 ,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and the lower protruding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 W. As shown in FIG.

아울러, 상기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와 아래 돌출띠(22b)도 좌우손잡이중심선(W) 상에서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는 모두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5 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rotruding band 22a and the lower protruding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also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handle center line (W).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four protruding bands have a length of about 1/4.1 to 1/5 of the circumference, respectively.

이렇게 함으로써, 도 3(또는 도 8)과 같이 조립후 결합상태에 있는 두 몸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면, 이하와 같은 상태를 갖는다.By doing this, the two bodies in the coupled state after assembly as shown in FIG. 3 (or FIG. 8) are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6 ,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rotated. When , it has the following state.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과 두 돌출띠(22a, 22b)는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 안쪽 빈공간(12h)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제3원통(12)과 두 돌출띠(12a, 12b)는 우측연결부의 제2원통(22) 바깥쪽 빈공간(22h)에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9 , the second cylinder 22 and the two protruding bands 22a and 22b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are located in the empty space 12h inside the third cylinder 12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t the same time, the third cylinder 12 and the two protruding bands 12a and 12b of the left connection part are located in the empty space 22h outside the second cylinder 22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의 조립방법(또는 과정)도 또한 이와 같은 분리방법(또는 과정)과 서로 역순으로 동일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is stat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an be easily separated as shown in FIG. 18 . In addition, the assembly method (or process)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also the same as the separation method (or process) in reverse order.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회전하여 서로 약 60도 각도를 이룬 경우,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와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가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a, 22a)로 서로 걸려있고, 동시에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와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도 일부(약 1/3길이) 겹쳐진 상태(12b, 22b)로 서로 걸려있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두 연결부(10R, 20R)의 회전동작기능과 수평유지기능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6에 예시된 사례와 같은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20,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rotate to form an angle of about 60 degrees with each other,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upper protruding band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 22a) partly (about 1/3 length) overlapped with each other (12a, 22a),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rotruding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lower protruding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are also partially (about 1/3 of the length) overlapping. length) are hung on each other in the overlapping state (12b, 22b). Therefore, as a result, the rotational operation function and the horizontal maintaining function of the two connection parts 10R and 20R can be implemented more stably, and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as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6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hat can prevent problems.

참고로, 도 16 내지 도 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은 도 8에서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200)가 서로 약 9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이다. 여기서, 제1 몸체(1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빗금처리하고, 제2 몸체(200)에 속한 결합대상 부분과 손잡이부분은 음영처리로 나타내었다. 도 17은 도 16의 K4-K4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좌우측 연결부(10R, 20R)의 분리 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좌측연결부(10R)와 우측연결부(20R)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도 16에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S. 16 to 20 in more detail, FIG. 16 shows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10R, 20R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to each other in FIG. 8 . ) is an internal structure. Here, the coupling target part and the handle part belonging to the first body 100 are shaded, and the coupling target part and the handle part belonging to the second body 200 are shaded.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4-K4 of FIG. 16, showing a state before separation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10R and 20R, and FIG. 18 is the left connection part 10R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20R in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separation in the direction, and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each by separating the left connection part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in FIG. 16 .

도 20은 도 16에서 제1 몸체(빗금처리)와 제2 몸체(음영처리)가 서로 약 6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의 좌우측 연결부(10R, 20R) 내부구조로서, 좌측연결부와 우측연결부의 돌출띠가 서로 겹쳐진 상태(12a22a, 12b22b)를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arts 10R and 20R when the first body (hatched treatment) and the second body (shaded treatment) are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60 degrees to each other in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12a22a, 12b22b) of the strip|belts overlapping each other.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체취급부'가 뜻하는 의미와 구성목적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 'object handling unit'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물체'는 기체가 아닌 고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The term 'object' refers to a substance in a solid or liquid state, not a gas.

'취급'은, 본 발명의 명칭이 '집게형 도구'라고 하여 단지 집는 동작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물체의 상태와 도구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다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한다.'Handling', as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s 'claw-type tool', does not mean only a pinching action, but refers to a process hand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and the intention of the tool user.

따라서 '물체취급부'는, 다양한 상태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손가락걸이 아래 위치에서 다양한 구조와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그려진 젓가락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예컨대, 숟가락 형태의 구성일 수 있으며, 2 개의 물체취급부가 맞닿아서 합쳐져서 하나의 숟가락 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object handling unit' aims to handle objects in various stat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can be of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or of various sizes and weights at the position under the finger hanger. , it is not limited to the chopstick shape dra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poon, and two object handling units may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spoon.

이와 같은 물체취급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구가 바닥에 놓여질 경우에 물체취급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이하 '승강상태'라 함)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점(P)을 기준으로 손잡이쪽구간(Pb)을 물체취급쪽구간(Pa) 보다 무겁게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두 구간(Pa, Pb)의 재질과 크기의 조정만으로도 가능한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handling unit, a state in which the object handling unit is floating in the air when th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vating stat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andle-side section (Pb) is heavier than the object handling section (Pa) with respect to the fulcrum (P). Therefore, since the elevating state is made, it is possible only by adjusting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two sections (Pa, Pb).

그러나, 재질과 크기의 조정수준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상기 승강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원통(11)의 중심부 공간에 무게조절용 채움재를 수용하는 무게조절부(S)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achieve the elevating state while minimizing the level of adjustment of material and size, as shown in FIGS. 8 and 9, weight control for accommodating the filling material for weight adjustment in the center space of the first cylinder 11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the part S.

여기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의 주요기능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는, 두 몸체의 회전동작과정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과 함께 물체취급과정에서 두 물체취급부(18, 28)가 어긋나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기능을 갖는다.Here, the main functions of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22b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22b have a function of maintaining a strong binding force so that there is no shaking during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two bodies, and the two object handling parts 18 and 28 do not shift during the object handling process. It has the function to keep it level to avoid it.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할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구성은, 이하와 같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14)에는, 상기 제3원통(12) 내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12a, 12b)의 뒤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12ah, 12bh)을 형성한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24)에는, 상기 제2원통(22)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띠(22a, 22b)의 앞쪽 면이 투시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구멍(22ah, 22bh)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A configuration for more efficiently forming the four protruding bands to have such a function is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12 , on the rear plate 14 of the left connection part, the rear surfaces of the two protruding bands 12a and 12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ylinder 12 can be seen through two Four through holes 12ah and 12bh are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front plate 24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has two protruding bands 22a and 22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22 through which the front surfaces can be seen through. Through-holes 22ah and 22bh are formed. Accordingly, the molding can be achieved simply.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 - 즉,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12ah, 12bh, 22ah, 22bh)이 없는 상황에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12a, 12b, 22a, 22b)를 성형할 때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불안정성 등 - 을 일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이고도 견고하고 정밀하게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할 수 있는 구조와 여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a problem that can be predict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that is, the four protruding bands 12a, 12b, 22a, 22b in the absence of the four through holes 12ah, 12bh, 22ah, 22bh. It is desirable in that it can eliminate inefficiencies and instability that occur during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structure and conditions for forming four protruding bands more efficiently, firmly and precisely.

그리고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를 이용하여 쉽게 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네 개의 돌출띠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네 개의 관통구멍의 노출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four through-holes can be easily concealed using the cover (C)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method for forming the four protruding strip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four through holes are exposed.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도구는 손가락의 동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와 함께 손가락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 hanger together with a handle as being used for the operation of a finger.

따라서 다음은 손가락걸이(15, 25)에 대하여 설명한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bes the finger rests (15, 25).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10, 20)의 측면부위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5 , the finger rests may b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two handle parts 10 and 20 .

이때, 도 22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끝부분을 손잡이부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걸칠수 있도록 하는 검지삽입구(16, 26)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S. 22 and 23 , the index finger insertion holes 16 and 26 for inserting or draping the tip of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or left ha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to the inner surface direction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손가락걸이에 형성되는 검지삽입구(16, 26)는,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출입을 위해 손잡이부의 외측면 위쪽에서부터 내측면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며, 검지삽입구(16, 26)의 외측면 위쪽 부분은 손잡이부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고, 검지삽입구(16, 26)의 내측면 아래쪽 부분은 물체취급부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오목한 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dex finger inserts 16 and 26 formed in the two finger hangers are penetrated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rt to the lower inner surface for natural entry and exit of the fingers,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index finger inserts 16 and 26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be concave at the same time,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nserts 16 and 26 should be inclined toward the object handling part and be concave at the same time.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두 손잡이부(10, 20) 사이에 아치형 긴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의 일부분이 두 손잡이부 사이에 집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도구걸이에 손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an arcuate long space 30 is formed between the two handle portions 10 and 20, so that a part of the hand is held between the two handle portions in the process of holding and using the handle. It is desirable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and at the same time make it easy to hang on a general tool hanger.

<설명 2><Description 2>

이하의 <설명 2> 에서는 상기 <설명 1>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용어와 관점을 달리 하여 새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2>,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1> will be newly described with different terms and viewpoi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back" are based o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Z axis, X axis, and Y axis of FIG. 25 , respectively.

도 25, 2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분리도면이다. 도 27, 28, 29 는 제1 회동연결부(3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 31, 32 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5-K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5 and 26 are separated views of a tongs-typ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28 and 29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00R, and FIGS. 30, 31 and 3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3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G. 34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K5-K5 of FIG. . Also, FIGS. 35 and 36 ar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한다.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ick 300 and a second stick 400 that constitute the left or right side, respectively,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스틱(300)은, 바 형상의 제1 바디(30)를 갖고, 상기 제1 바디(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그립부(32), 상기 제1 바디(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1 바디(3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손가락 걸이부(33)를 포함한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바디(30)와 제1 손가락 걸이부(3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1 손가락 끼움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가락 걸이부(3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1 손잡이부(31)로 구성된다.The first stick 300 has a bar-shaped first body 30 , a first grip part 3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30 , and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 It includes a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a first finger hook part 33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30 so that a finger (eg, thumb or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dy 30 and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 A first finger-fitting portion 34 may be formed.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first finger hook part 33 is constituted by the first handle part 31 .

제2 스틱(400)은 바 형상의 제2 바디(40)를 갖고, 상기 제2 바디(4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그립부(42), 상기 제2 바디(4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2 바디(4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손가락 걸이부(43)를 포함한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는 제1 바디(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바디(40)와 제2 손가락 걸이부(43) 사이에 손가락(예컨대 엄지 또는 검지손가락)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2 손가락 끼움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가락 걸이부(43)보다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제2 손잡이부(41)로 구성된다.The second stick 400 has a bar-shaped second body 40 , a second grip portion 4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40 , and a second grip portion 4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40 . It includes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ortion 400R, and a second finger hook portion 43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40 . The second finger hook part 43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30 so that a finger (eg, thumb or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body 40 and the second finger hook part 43 . A second finger-fitting portion 44 may be formed.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second finger hook portion 43 is configured as a second handle portion 41 .

또한,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가능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한다. 따라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켜서 물체 등의 그립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In additio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about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and the first stick 300 The angle between the and the second stick 400 varies. Accordingly,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 it is possible to grip an object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espectively.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28, C1)을 갖는 원통형의 회동축(312), 및 상기 회동축(312)과 동심이며 상기 회동축(312)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파이프(314)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1 내삽 공간(3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파이프(314)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제1 바디(3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는 제2 내삽 공간(318)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파이프(314)와 회동축(312)은, 제1 회동연결부(300R)의 후면을 구성하는 바텀부(310)를 통해서 제1 스틱(300)의 제1 바디(30)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1 내삽 공간(316), 및 제2 내삽 공간(318)은 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314)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1 바디(3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면(320)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is a cylindrical rotation shaft 312 having a central axis (FIG. 28, C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centric with the rotation shaft 312, and the rotation shaft 312 is inside It includes a first pipe 314 located in. A ring-shaped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pe 314 and the rotation shaft 312 . In addition, a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is form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ipe 314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 In addition, the first pipe 314 and the rotation shaft 312 are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30 of the first stick 300 through the bottom part 310 constitu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is connected with The rotation shaft 312 , the first pipe 314 , the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 and the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are exposed forward. In addition, a rounding surface 320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first body 30 facing the first pipe 314 .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도 31, C2)을 갖는 제2 파이프(412), 및 상기 제2 파이프(412)와 동심이며 상기 제2 파이프(412)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 파이프(418)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사이에는 고리 형태의 제3 내삽 공간(414)이 형성된다. 제2 파이프(412) 내에는 원통형의 제4 내삽 공간(416)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는,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부(410)를 통해서 제2 스틱(400)의 제2 바디(40)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2 파이프(412)와 제3 파이프(418), 제3 내삽 공간(414), 및 제4 내삽 공간(416)은 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412)에 대해서 대면하는 제2 바디(40)의 단부면에는 라운딩된 라운딩면(420)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400R includes a second pipe 412 having a central axis (FIG. 31, C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centric with the second pipe 412 and the second pipe 412 includes a third pipe 418 positioned therein. A third interpolation space 414 in the form of a r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ipe 412 and the third pipe 418 . A fourth cylindrical interpolation space 416 is formed in the second pipe 412 . In addition, the second pipe 412 and the third pipe 418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40 of the second stick 400 through the front part 410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connected In addition, the second pipe 412 , the third pipe 418 , the third interpolation space 414 , and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are exposed rearwardly. In addition, a rounded rounding surface 420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second body 40 facing the second pipe 412 .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된다. 아울러, 제3 내삽 공간(414)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다. 따라서, 회동축(312), 제1 파이프(314), 제2 파이프(412), 및 제3 파이프(418)가 중심축을 공유하며 동심이 된다.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pipe 412 is interpolated into the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 In addition, the third pipe 418 is interpol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 In addition, the first pipe 314 is interpolated in the third interpolation space 414 and the rotation shaft 312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 Accordingly, the rotation shaft 312 , the first pipe 314 , the second pipe 412 , and the third pipe 418 share a central axis and are concentric.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서 회동가능하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as a center.

상기 제1 회동연결부(300R)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30)는,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파이프(314)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된다.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00R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330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314 .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330 protrudes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first pipe 314 and exten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pe 314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rc angl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기(3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기(330)는,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틱(300)을 세웠을 때, 제1-1 돌기(332)는 제1 파이프(314)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1-2 돌기(334)는 제1 파이프(314)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는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12a)이며, 제1-2 돌기(334)는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1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wo first protrusions 33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330 may include a 1-1 protrusion 332 and a 1-2 protrusion 334 . In this case,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may be position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the first pipe 314 interposed therebetween. For example, when the first stick 300 is erected, the 1-1 protrusion 332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pe 314 , and the 1-2 protrusion 334 is the first pipe 314 . It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Therefore, in light of <Explanation 1>, the 1-1 protrusion 332 corresponds to the upper protruding band 12a of the left connecting part, and the 1-2 protrusion 334 corresponds to the lower protruding band 12b of the left connecting part. It can be said that the composition

아울러,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8 을 참조하면,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1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2 는,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1 파이프(314)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1 파이프(314)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제1 파이프(314)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1-2 공간부(V2))이 형성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may be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8 , the arc angle range θ1 of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θ2 of the 1-2 protrusion 334 may be 60° to 80°. In addition, in view of <Explanation 1>, the circumferential range of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may be about 1/4.1 to 1/6 of the circumferenc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arc angle range of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of the 1-2 protrusion 334 are 72°, and when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irst pipe 314, respectively, the first Between the 1-1 protrusions 332 and 1-2 protrusions 33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1st pipe 314 (left and right of the 1st pipe 314), each space ( A 1-2 first space (V2)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이때, 제1-1 돌기(332) 및 제1-2 돌기(3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1-1 공간부(V1)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 사이에는 제1-2 공간부(V2)가 형성된다. 또한, 제1-1 돌기(332)와 제1-2 돌기(334)의 후방에는 제1-3 공간부(V3)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1-1 space portion V1 is formed between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and the rotation shaft 312 . In addition, a 1-2 space portion V2 is formed between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 In addition, a 1-3 space portion V3 is formed behind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1-2 protrusion 334 .

또한, 상기 제2 회동연결부(400R)는,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430)는, 제2 파이프(412)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파이프(4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 및 원호각을 갖고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430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412 . The second protrusion 430 is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430 that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412 and ext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ipe 412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rc angle. )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돌기(430)는 2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돌기(430)는,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서로 반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틱(400)을 세웠을 때, 제2-1 돌기(432)는 제2 파이프(412)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제2-2 돌기(434)는 제2 파이프(412)의 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1>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는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22a)이며, 제2-2 돌기(334)는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22b)에 대응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wo second protrusions 43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include a 2-1 protrusion 432 and a 2-2 protrusion 434 . In this case,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tick 400 is erected, the 2-1 protrusion 43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pe 412 , and the 2-2 protrusion 434 is the second pipe 412 . It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Therefore, in the light of <Explanation 1>, the 2-1 protrusion 432 corresponds to the upper protruding band 22a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and the 2-2 protrusion 334 corresponds to the lower protruding band 22b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It can be said that the composition

아울러,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원호각 범위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1 에 도시된 제1-1 돌기(332)의 원호각 범위 θ3 과, 제1-2 돌기(334)의 원호각 범위 θ4 는, 각각 6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울러, <설명 1> 에 비추어 보면, 제2-1 돌기(432)와 제1-2 돌기(434)의 원주 방향 범위는 각각 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1 돌기(432)의 원호각 범위 및 제2-2 돌기(434)의 원호각 범위가 72° 이며, 각각 제2 파이프(412)의 상, 하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2 파이프(412)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제2 파이프(412)의 좌우)에는 각각 108° 의 원호각 범위를 갖는 공간(후술하는 제2-2 공간부(W2))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may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c angle range θ3 of the 1-1 protrusion 332 and the arc angle range θ4 of the 1-2 protrusion 334 shown in FIG. 31 may be 60° to 80°, respectively. . In addition, in view of <Description 1>, the circumferential range of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1-2 protrusion 434 may be about 1/4.1 to 1/6 of the circumferenc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arc angle range of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arc angle range of the 2-2 protrusion 434 are 7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2 pipe 412, between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left and right of the second pipe 412), each space having an arc angle range of 108° ( A 2-2 space (W2)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이때, 제2-1 돌기(432) 및 제2-2 돌기(434)와 회동축(312) 사이에는 제2-1 공간부(W1)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 사이에는 제2-2 공간부(W2)가 형성된다. 또한, 제2-1 돌기(432)와 제2-2 돌기(434)의 전방에는 제2-3 공간부(W3)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a 2-1 th space portion W1 is formed between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and the rotation shaft 312 . In addition, a 2-2 space portion W2 is formed between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 In addition, a 2-3 th space portion W3 is formed in front of the 2-1 protrusion 432 and the 2-2 protrusion 434 .

이하에서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회동연결부(400R)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4 는 도 33 의 단면 K-K 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3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and FIG. 34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KK of FIG. to be.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라 함은, 상기 제1 내삽 공간(316) 내에 제2 파이프(412)가 내삽되고, 제2 내삽 공간(318) 내에는 제3 파이프(418)가 내삽되며,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제1 파이프(314)가 내삽되고, 제4 내삽 공간(416) 내에는 상기 회동축(312)이 내삽된 상태이다.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eans that the second pipe 412 is interpolated in the first interpolation space 316 , and the second pipe 412 is interpolated in the second interpolation space 318 . is a state in which the third pipe 418 is interpolated, the first pipe 314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 and the rotation shaft 312 is interpolated in the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6 . .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면, 상기 제1 돌기(330)는 제2 돌기(43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protrusion 33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protrusion 430 .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면,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파이프(314) 및 제2 파이프(412)가 상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 및 제2 돌기(430) 또한 중심축(C1, 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한다. 상대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겹쳐지거나, 또는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varies, the first pipe 314 and the second pipe 412 about the central axes C1 and C2. rotates relative.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lso rotate relative to the central axes C1 and C2.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overlaps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does not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걸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intain a connected state to each other.

반대로,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면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 사이의 전후 방향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do not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to-rear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is released.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예컨대,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인 분리각(예 : 90°)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eg, 90°) that is an angle between each other of a predetermined siz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are )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ly,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아울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 이하의 크기의 사이각을 가지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n angle between each other equal to or less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each other. It may be located in an overlapping position. 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maintained.

또한, 도 35, 36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상기 분리각 K 을 가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 K 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와 제2 회동연결부(400R)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연결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의 반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FIGS. 35 and 36 ar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3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the separation angle K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performed with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stick 4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K from each other. This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two rotational connection parts 400R to each other.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eparation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상기 기술한 <설명 2> 는, 앞서 기술한 <설명 1> 에서의 설명과 상통하는 것이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용어와 설명을 달리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 2 는 설명 1 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실시 형태이며, 설명 2 에서 기재가 생략된 구성 또는 효과는 그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즉, 설명 1 의 구성 및 효과가 설명 2 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2> is consistent with the description in <Description 1> described above,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description are different to help understanding, and the description is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2 is the embodiment esse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description 1, and the configuration or effect omitted in the description 2 does not exclude it. That i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Description 1 may be directly applied to Description 2 .

<설명 3><Description 3>

이하의 설명 3 에서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3, embodiment with a slope part is demonstrated.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 및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슬로프부가 구비된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소정의 각도(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간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 요소가 마련되는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Description 3, the first stick ( When the angle between 300 )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separation angle), a component for inducing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

이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을 수 있다.In summary, this may be as follows.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은 각각 상부분에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는 구성을 갖는다.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each have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on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variable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axis around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to the .

이때,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 및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0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slope part 34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 and a second slope unit 44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and the first stick 300 and the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sticks 400 becom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tick 300 .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and the second stick 4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tick 300 is moved backward by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 is pushed to and the second stick 400 is pushed in all direction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다른 예로는, 상기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예컨대,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3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40)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440)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lso, 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eg,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440-1) is provided,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becom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lope part 340 and the guide surface ( 440-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the slope part 340 causes the first The stick 340 may be pushed backward and the second stick 440 may be pushed forwar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아울러, 상기 형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 사이의 연결 관계는, 소정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내삽되어 회동 가능한 회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form,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pipe and a rotational shaft interpolated into the pipe are connected through a rotational shaft.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 설명 2 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설명 1 의 용어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실시 형태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간단한 예로, 아래의 설명에서,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설명의 용어를 사용하면, 제1 슬로프부(340)는 제1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Description 2 abov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sam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even using the terminology of Description 1. As a simple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slope part 3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 but when the terms of the first description are used, the first slope part 340 is the first It may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 2 가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 3 에서 설명하는 구성이 추가로 적용된 것과 같은 설명이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스틱 사이의 분리를 유도하는 구성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며, 이러한 실시 형태에 권리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as i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Description 3 wa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Description 2 is made, but the descrip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what will be described below is merely to describe an example of an embodiment in which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separation between the stick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도, "상하", "좌우", "전후" 는 각각 도 25 의 Z 축, X 축, Y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Meanwhile,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back" are based o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Z axis, X axis, and Y axis of FIG. 25 , respectively.

도 38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가질 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 내지 43 은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8 shows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in a state where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3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to be. 40 to 43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at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

먼저, 제1 스틱(300)의 상단부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400)의 상단부에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lope unit 3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lope unit 4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will be described.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상기 분리각을 가질 때,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the separation angle.

제1 슬로프부(340)의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바텀부(310)로부터 이격되는(즉,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또한, 제2 슬로프부(440)의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프론트부(410)로부터 이격되는(즉,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The direction of the first slope part 340 has a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art 310 (ie, toward the front) from left to right.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lope part 440 has a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410 (ie, toward the rear) from right to left.

각각의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의 경사각은 한정하지 않지만, 일 예에 의하면 30 내지 60°일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슬로프부(340, 440)의 단부에는 라운딩(R1, R2)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lope portions 340 and 440 is not limited, but may be 30 to 60° according to an example. In addition, roundings R1 and R2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each of the slopes 340 and 440 .

상기 제1, 제2 슬로프부(340, 440)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설명한 분리각 이상으로 커질 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구성 요소이다. The first and second slope portions 340 and 440 are formed with the first stick 300 and It is a component that induces the second stick 400 to be separated naturally.

이때,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단부에 라운딩, 또는 빗면(예컨대, 도 41 에 도시된 330a, 4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소정의 범위의 원호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have rounded or inclined surfaces (eg, 330a and 430a shown in FIG. 41 ) at their ends. Also,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have an arc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becomes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y may not overlap each other.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보다 커져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될 때에는, 상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돌기(330)를 구성하는 제1-1 돌기(332), 제1-2 돌기(334) 및 제2 돌기(430)를 구성하는 제2-1 돌기(432), 제2-2 돌기(434)는, 소정의 길이(원주의 약 1/4.1 내지 1/6 의 길이)를 갖거나, 소정의 원호각 범위(60° 내지 8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제1 및 제2 슬로프부(340, 440)에 의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리될 때,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걸리거나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caus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330 is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or may not collid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1-1 protrusion 332 , the 1-2 protrusion 334 , and the 2-1 protrusion 432 constituting the second protrusion 430 constituting the first protrusion 330 . ), the 2-2 protrusion 434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length of about 1/4.1 to 1/6 of a circumference) or a predetermined arc angle range (60° to 80°). Accordingly,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diagonally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lope portions 340 and 440 ,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 may or may not collide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분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paration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by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면 도 40 과 같다. 도 40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40 의 (a) 내지 (c) 는 각각 제1 스틱(300)의 제1 회동연결부(300R),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 및 제1 회동연결부(300R)의 제1 돌기(330)와 제2 회동연결부(400R)의 제2 돌기(430)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0 이후 도면에서는, 확인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도 40 (c) 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서로 맞닿은 상태일 때에는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물론,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분리각 이하 범위일 때에도,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겹쳐져 있을 것이다.First,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shown in FIG. 40 . 40 shows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00R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is shown. At this time, (a) to (c) of FIG. 40 is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00R of the first stick 300,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and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otrusion 330 of 300R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of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are shown. (In the drawings after FIG. 40, some component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confirmation.) As shown in FIG. 40 (c),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When the grip part 32 and the second grip part 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course, even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in the rang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may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ll be.

도 41 은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벌려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한 상태일 때의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서로 분리각을 갖도록 하면, 상기 제1 돌기(330)와 상기 제2 돌기(43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을 수 있다.41 shows the first rota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widened so that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 300R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00R of the second stick 400 are show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from each other,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located in Accordingly,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is case,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may contact each other.

도 42 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분리각보다 더 벌린 상태에서, 제1 회동연결부(300R), 및 제2 스틱(400)의 제2 회동연결부(400R)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각을 가질 때,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는 서로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제1 스틱(300)은 화살표 S2 와 같이 미끄러져 후방으로 안내되고, 제2 스틱(400)은 화살표 S1 과 같이 미끄러져 전방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을 더 벌리면, 도 43 과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42 is a state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wider than the separation angle,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 400R) is show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have a separation angle,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440 contact each other. In this state,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further widened, the first stick 300 is It slides backward as shown by arrow S2, and the second stick 400 slides forward as shown by arrow S1. Then, i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further increased,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as shown in FIG. 43 .

이와 같이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슬로프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서로 충돌하거나 걸려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에 각각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430)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원호각 범위)를 가지기 때문이다. In this wa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re separated by the slope part,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or get caught. The reason is that, as described above, rounding is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respectively, and the first protrusion 33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circ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has a whistle range).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제2 슬로프부(440)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슬로프부가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면 제1 스틱(300)의 상단부와 제2 스틱(400)의 상단부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틱이 부러지거나 회동연결부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마련됨으로서, 이러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의 사이각이 커지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사이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lope 340 and the second slope 440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ove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guided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naturally separated.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f the slope portion is not provid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400 collide with each other can do. In this case, accidents such as a broken stick or damage to a rotating connection part may occur.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440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uch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That is,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ncreases, a collision does not occur and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naturally performed.

도 44 는 슬로프부가 구비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스틱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로프부와 맞닿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4 에서는 제1 스틱(300)에 제1 슬로프부(340)가 구비되며, 제2 스틱(400)에는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어 있다.44 is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slope part. A slope par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ny one of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and the upper end of the other stick has a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lope part. An embodiment provided with this is shown. In FIG. 44 , the first slope portion 340 is provided on the first stick 300 , and the guide surface 440-1 is provided on the second stick 400 .

도 4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제1 스틱(300)과 제2 스틱(400)이 모두 슬로프부를 가질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스틱에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스틱에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면(440-1)이 구비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면(440-1)의 단부에는 소정의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4 , both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do not necessarily have a slope portion, and one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the other stick has a straight guide.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rface 440-1 is provided is also possible. Preferably, a predetermined rounding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surface 440-1.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 사이의 사이각이 상기 분리각보다 커지면, 상기 제1 슬로프부(340)와 상기 가이드면(440-1)이 맞닿아서 상기 제1 스틱(300)과 상기 제2 스틱(400)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상기 설명한 제1 슬로프부(340)와 제2 슬로프부(440)가 구비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lope portion 340 and the guide surface 440-1 are When abutting, the first stick 300 and the second stick 400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moving away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lope part 340 and the second slope part 440 are provided.

도 45 는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틱(3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 돌출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400)은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일 위치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 돌출부(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상단부 사이(Pb)의 중량은 제1,2 지지 돌출부(35, 45)와 제1,2 스틱(300, 400)의 하단부 사이(Pa)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집게형 도구를 바닥에 내려놓을 때, 제1 그립부(32)와 제2 그립부(42)가 바닥에 닿지 않아서 사용자의 위생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tick 300 is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35 protruding backward, and the second stick 400 has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therebetween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trusion 45 protruding rearward. At this time, the weigh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icks 300 and 400 (Pb) is the w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35 and 45 The weight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sticks 300 and 400 (Pa) may be greater than the weight. Therefore, when the tongs-typ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down on the floor, the first grip portion 32 and the second grip portion 42 do not touch the floor, so that the user's hygien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몸체
10: 좌측 손잡이부
10R: 좌측연결부
12a: 좌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12b: 좌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11: 제1원통
12: 제3원통
13: 제4a원통
14: 좌측연결부의 뒤쪽 판
15: 좌측 손가락걸이
16: 좌측 검지삽입구
18: 좌측 물체취급부
200: 제2 몸체
20: 우측 손잡이부
20R: 우측연결부
22a: 우측연결부의 위 돌출띠
22b: 우측연결부의 아래 돌출띠
22: 제2원통
23: 제4b원통
S: 무게조절부
24: 우측연결부의 앞쪽 판
25: 우측 손가락걸이
26: 우측 검지삽입구
28: 우측 물체취급부
300: 제1 스틱
30: 제1 바디
31: 제1 손잡이부
32: 제1 그립부
33: 제1 손가락 걸이부
34: 제1 손가락 끼움부
35: 제1 지지 돌출부
300R: 제1 회동연결부
310: 바텀부
312: 회동축
314: 제1 파이프
316: 제1 내삽 공간
318: 제2 내삽 공간
330: 제1 돌기
332: 제1-1 돌기
334: 제1-2 돌기
340: 제1 슬로프부
400: 제2 스틱
40: 제2 바디
41: 제2 손잡이부
42: 제2 그립부
43: 제2 손가락 걸이부
44: 제2 손가락 끼움부
45: 제2 지지 돌출부
400R: 제2 회동연결부
410: 프론트부
412: 제2 파이프
414: 제3 내삽 공간
416: 제4 내삽 공간
418: 제3 파이프
430: 제2 돌기
432: 제2-1 돌기
434: 제2-2 돌기
440: 제2 슬로프부
100: first body
10: left handle part
10R: Left side connection
12a: the upper protruding band of the left connection part
12b: the lower protruding band of the left connection part
11: 1st cylinder
12: third cylinder
13: 4a cylinder
14: the rear plate of the left connection part
15: left finger rest
16: left index finger insertion port
18: left object handling unit
200: second body
20: right handle part
20R: Right side connection
22a: the upper protruding band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22b: the lower protruding band of the right connecting part
22: second cylinder
23: 4b cylinder
S: weight control unit
24: the front plate of the right connection part
25: right finger rest
26: right index finger insertion port
28: right object handling unit
300: first stick
30: first body
31: first handle portion
32: first grip portion
33: first finger hook portion
34: first finger fitting portion
35: first support protrusion
300R: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310: bottom part
312: axis of rotation
314: first pipe
316: first interpolation space
318: second interpolation space
330: first projection
332: protrusion 1-1
334: protrusion 1-2
340: first slope part
400: second stick
40: second body
41: second handle portion
42: second grip portion
43: second finger hook portion
44: second finger fitting portion
45: second support protrusion
400R: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410: front part
412: second pipe
414: third interpolation space
416: fourth interpolation space
418: third pipe
430: second projection
432: protrusion 2-1
434: 2-2 projection
440: second slope part

Claims (4)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1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에는 제2 슬로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와 상기 제2 슬로프부가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슬로프부 및 제2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In the tongs-type tool comprising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that constitute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respectively,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tick includes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detachably connected at upper 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t is rotatably axially coupled about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and
A first slope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A second slope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becom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contact each other,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tick is pushed backward by the first slope part and the second slope part, and the second stick is A tongs-type tool that is pushed in all directions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좌측 또는 우측을 각각 구성하며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스틱과 제2 스틱을 포함하는 집게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1 회동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틱은 상부분에 구비되는 제2 회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제2 회동연결부에 의해서 상단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회동연결부가 상기 제2 회동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제1 스틱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상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로프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의 분리각이 되면 상기 슬로프부와 상기 가이드면이 서로 맞닿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 이상의 크기가 되면, 상기 슬로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스틱은 후방으로 밀려지고 상기 제2 스틱은 전방향으로 밀려져서 서로 분리되는 집게형 도구.
In the tongs-type tool comprising a first stick and a second stick that constitute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respectively,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tick includes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he second stick includes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are detachably connected at upper 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t is rotatably axially coupled about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variable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ick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ck is provided with a slope portion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becomes a separ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lope portion and the guide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stick is pushed backward by the slope part and the second stick is pushed forward to separate from each other. tongs tool.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어 상기 제1 회동연결부와 상기 제2 회동연결부가 서로 연결되는 집게형 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exposed forward and includes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s exposed rearward and includes a second pi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clamp-type tool in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terpolated into the second pipe to connect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to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심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연결부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제2 파이프 내에 내삽되고 상기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파이프 내에 내삽되되,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스틱과 상기 제2 스틱 사이의 사이각의 크기가 상기 분리각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집게형 도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rotation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pipe that is configured concentrically with the rotation shaft and exposed to the front, and a first protrusion that protrud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The rotation shaft is interpolated into the second pipe and the second pipe is interpolated into the first pipe,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ick and the second stick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angl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first protrus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losing tongs tool.
KR1020190050449A 2018-05-01 2019-04-30 Tool of the tongs type KR102353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en) 2019-04-30 2019-04-30 Tool of the tongs type
PCT/KR2019/005195 WO2019212227A1 (en) 2018-05-01 2019-04-30 Tongs typ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en) 2019-04-30 2019-04-30 Tool of the tongs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06A KR20200126606A (en) 2020-11-09
KR102353863B1 true KR102353863B1 (en) 2022-01-24

Family

ID=7342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49A KR102353863B1 (en) 2018-05-01 2019-04-30 Tool of the tongs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8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25Y1 (en) 2002-08-02 2002-11-04 황정시 Pincers
KR101108589B1 (en) 2009-04-29 2012-01-31 안순희 One Touch Chopsticks with Spo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680U (en) * 1987-04-15 1988-10-25
KR20130027974A (en) * 2011-09-08 2013-03-18 구교진 Transforming character chop stick
KR200476993Y1 (en) 2012-06-05 2015-04-22 문기원 A practice chopstic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25Y1 (en) 2002-08-02 2002-11-04 황정시 Pincers
KR101108589B1 (en) 2009-04-29 2012-01-31 안순희 One Touch Chopsticks with Sp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06A (en)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843B2 (en) Eating utensil
MX2007005984A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KR102353863B1 (en) Tool of the tongs type
KR100471739B1 (en) Vacuum cleaner
US4715639A (en) Grasping utensil
KR101846348B1 (en) Tool handles of the tongs type
US20180368597A1 (en) Compact eating utensil
KR102128157B1 (en) Tool handles of the tongs type
KR20200085549A (en) Multi-function chopsticks having winding module for pasta noodles
KR20180018465A (en) Tool handles of the tongs type
JP5232966B1 (en) Meal aids that hold and operate utensils such as forks and spoons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KR101311373B1 (en) A spoon set with compounds
JP3066369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body
US20130160298A1 (en) Easy Use Utensil
TWM604169U (en) Handle for cleaning tool, and cleaning tool with the handle for cleaning tool
CN218127991U (en) Anti-overflow tableware article
US9999309B2 (en) Gravity chopsticks
KR20200085550A (en) Multi-function spoon with tongs function for noodle
JP6540820B2 (en) Cleaning tool and vacuum cleaner
KR100973440B1 (en) Disposable package
CN211269795U (en) Combined tableware for children
TW201637599A (en) Pair of chopsticks
JP605637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742528B2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