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843B1 -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843B1
KR102353843B1 KR1020210088306A KR20210088306A KR102353843B1 KR 102353843 B1 KR102353843 B1 KR 102353843B1 KR 1020210088306 A KR1020210088306 A KR 1020210088306A KR 20210088306 A KR20210088306 A KR 20210088306A KR 102353843 B1 KR102353843 B1 KR 10235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phon
water
water tank
cove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상정
Original Assignee
케이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ccessory for optional water saving, and a water tank and a toilet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ave water through a siphon and a water tank, which are accessory devices of the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a water level by fixing or adjusting a volume part of the siphon.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a raised portion of the water tank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Therefore, a drop from a high water level occurs when the water is flushed, so that filth in a toilet tank can be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phon cover is raised according to a lever operation mode by using the siphon cover connected to a lever. The lever operation mode is separately generated according to urine and feces. Therefore, by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a closing and an open height of the siphon cover, the filth in the toilet tank can be washed with different amounts of water, thereby saving water.

Description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탱크와 양변기{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탱크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 있는 세척수를 배설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양변기 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a water tank including the same, and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accessory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type of excrement.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는 사이펀의 부피와 높이를 조절하고 대변과 소변에 따라 각각에 적절한 양의 물을 사용하면서 변기조의 내부에 있는 대소변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변기조를 세정하는 절수기능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siphon, cleans the feces and feces inside the toilet tank, and cleans the toilet tank while u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or each stool and urine. It is a useful invention to have.

일반적인 화장실에는 변기가 대소변 등의 오물을 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변기는 일정량의 물을 이용하여 변기조 내부에 있는 오물들을 하수조로 흘려보낸다.In a general toilet, a toilet is provided to dispose of filth such as feces and feces. These toilets use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flush the filth inside the toilet tank into the sewage tank.

이때 사용되는 물의 양은 변기의 종류나 구조와 부속되어 있는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 세척수를 한정 없이 사용할 경우에는 악취를 적게 발생시키고 변기조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지만 물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수자원을 절약하는 부분에 쟁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여 낭비되는 물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The amount of water used at this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r structure of the toilet and attached devices. If the washing water is used indefinitely, it can generate less odor and clean the toilet tank, but the issue of saving water resources by using the minimum amount of water should be an issu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classify feces and urin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to minimize wasted water.

이러한 방안과 관련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2073234호(이하 ‘문헌 1’)의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발명은 레버와 연결된 당김줄을 통해 2가지의 작동 모드를 구동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Looking at the background art related to this method, the invention of “a toilet valve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urine and fece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73234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drives two operating modes through a pull line connected to a lever. has characteristics.

문헌 1 발명의 경우, 당김줄을 당기는 강도가 달라지는 것을 통해 대변의 경우에 하단에 있는 몸체까지 들어서 올려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나, 레버를 작동시키는 힘에 따라 편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Document 1, th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by lifting it up to the body at the bottom in the case of feces by varying the pulling strength of the pulling lin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devia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force of operating the lever.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853963호(이하 ‘문헌 2)의 “절수형 양변기”는 2개의 레버를 통해 세척수 배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other background art, the “water-saving toile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39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rainage is controlled through two levers.

문헌 2 발명의 경우, 물배수장치의 상단과 하단의 마개를 각각 소변과 대변 시에 달리 열어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나, 물배수장치의 내에 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변 시에 하단의 마개를 여는 힘이 크게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Document 2, th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by opening the stopp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drainage device differently during urine and stool, respectively, but since water exists in the drainage device, the force of opening the stopper at the bottom during stool The disadvantage is that this is greatly needed.

또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62호(이하 ‘문헌 3’)의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를 보면, 2개의 플러시밸브를 통해 각각 대변과 소변용을 따로 구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Looking at 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if you look at the “structure of a flush valve for a left-side toilet bowl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flushing according to stool and urine”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162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two flush valves Each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separate feces and urine.

문헌 3 발명의 경우, 1개의 레버로 밸브 2개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2개의 플러시밸브 등의 다수의 설치 단계를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Document 3, two valves can be operated with one lever, but in order to have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number of installation steps such as two flush valves are required.

나아가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918호(이하 ‘문헌 4’)의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에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달리 하여 급수볼탑의 높이를 달리하여 보유하는 세척수를 다르게 한다.Further, looking at other background technologies, in the “water-saving toilet water tank” of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9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4'),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s are different, and the height of the water ball tower is different. Use different washing water.

문헌 4 발명의 경우, 격벽으로 인해 물탱크가 2개의 공간으로 나눠지기 때문에 세척수 공급 시에 필요한 급수관이 별도로 각각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Document 4, since the water tank is divided into two spaces due to the partition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water supply pipe required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s required separately.

<배경기술문헌><Background art literature>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2073234호(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73234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853963호(Document 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53963

(문헌 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62호(Document 3)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7162

(문헌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918호(Document 4)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918

본 발명은 기존 변기 절수 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펀의 하단 높이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물탱크 내에 있는 수위를 높여 적은 양의 물로 변기조를 세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oilet water saving devi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ash the toilet tank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by increas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b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bottom of the siphon.

또한, 물탱크에 있는 융기부의 높이를 이용하여 물탱크 내부의 부피를 증가시켜 수위를 높여 절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that can easily save water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water tank by using the height of the raised part in the water tank to increase the water level.

나아가, 레버를 통해 사이펀 덮개가 열리는 높이를 조절하여 대소변에 따라 세척수의 양을 다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opening height of the siphon cover through the lever is to vary the amount of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urine and excretion.

더 나아가, 사이펀에 있는 배수마개를 통해 사이펀 덮개의 개폐시간을 이용하여 세척수의 양이 필요한 만큼 변기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allow the amount of washing water to flow into the toilet tank as needed by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siphon cover through the drain plug in the siphon.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 고정부의 보조막과 사이펀 덮개의 보조막을 통해 세척수가 이동하거나 저장될 때 역류와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backflow and leakage when washing water is moved or stored through the auxiliary membrane of the siphon fixing part and the auxiliary membrane of the siphon cover.

더욱이, 물탱크 내에 보조패널을 이용하여 물의 유출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aste of washing water by preventing the outflow of water by using an auxiliary panel in the water tan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세척수를 보관하는 물탱크(10); 개폐에 의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를 변기조로 이동시키는 사이펀(20); 및 사용자로 인해 사이펀 덮개의 개폐를 조절하는 레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10 for storing washing water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phon 20 for moving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to the toilet tank by opening and closing; and a lever 3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cover by the user.

또한, 사이펀(20)은 레버(30)와 연결되기 위해 레버 연결선(30-1)과 직렬로 구성된 사이펀 덮개(20-1); 사이펀 덮개(20-1)를 사이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사이펀 기둥부(20-2); 레버(30)의 작동이 없을 시에 상하로 닫혀 있는 사이펀 덮개(20-1)와 사이펀 마개판(20-3); 및 사이펀(20)을 물탱크(10)에 장착하기 위한 사이펀 고정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phon 20 includes a siphon cover 20-1 configured in series with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to be connected to the lever 30; a siphon pillar portion 20-2 for fixing the siphon cover 20-1 to the siphon 20; The siphon cover 20-1 and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that are closed up and down when the lever 30 is not operated; and a siphon fixing part (20-5) for mounting the siphon (20) to the water tank (10).

나아가, 사이펀(20)은 사이펀 마개판(20-3)과 사이펀 고정부(20-5) 사이에 사이펀 용적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iph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iphon volume portion 20-4 between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and the siphon fixing portion 20-5.

더욱이, 사이펀(20)은 사이펀 용적부(20-4)와 사이펀 고정부(20-5) 사이에 사이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위(40-1); 조절부위(40-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관(40); 및 피스톤관(40)을 조절부위(40-1)에 고정시키는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iphon 20 includes an adjustment portion 40-1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phon 20 between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and the siphon fixing portion 20-5; a piston tube 40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adjustment portion 40-1; and a piston fixing part 40-2 for fixing the piston tube 40 to the adjusting part 40-1.

또한 물탱크(10)는 변기조에 있는 오물의 세척에 이용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0-1); 및 급수구(10-1)로부터 연결된 급수관(10-2)이 형성되고, 세척수의 이동을 위해 변기조로 통하는 배수구(10-4); 및 배수구(10-4)로부터 연결된 배수관(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10 includes a water supply port 10-1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be used for washing the filth in the toilet tank; and a water supply pipe (10-2) connect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10-1) is formed, and a drain port (10-4) leading to the toilet tank for the movement of washing water; and a drain pipe (10-5) connected from the drain port (10-4).

나아가, 물탱크(10)와 배수구(10-4)사이에 사이펀(20)이 장착되는 융기부(10-3)가 형성되는데, 융기부(10-3)가 물탱크(10)의 상단을 향하여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 raised portion 10-3 on which the siphon 20 is mounted is formed between the water tank 10 and the drain port 10-4, and the raised portion 10-3 forms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high toward the side.

또한, 레버(30)는 사이펀(2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레버 연결선(30-1); 레버 연결선(30-1)이 사이펀 덮개(20-1)에 연결되기 위한 레버 연결홈(30-2); 레버(30)와 연결되어 물탱크(10)에 내입되어 있는 선수용부(30-3); 선수용부(30-3)에 레버 연결선(30-1)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선수용홀(3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ver 30 is a lever connecting line 30-1 for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20; a lever connection groove (30-2) for connecting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to the siphon cover (20-1); The bow portion 30-3 connected to the lever 30 and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le for the bow (30-4) formed so that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s coupled to the bow portion (30-3).

나아가, 레버(30)는 대소변을 선택적으로 세정하기 위한 레버 스위치(30-5); 레버 스위치(30-5)와 연결되어 있는 가동조절부(30-6); 가동조절부(30-6)를 통해 이동되도록 형성된 가동제어부(30-7); 가동제어부(30-7)의 일측에 형성된 가동스톱퍼(30-8); 및 가동스톱퍼(30-8)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가동걸림부(3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ever 30 is a lever switch 30-5 for selectively cleaning the feces; a movable control unit (30-6) connected to the lever switch (30-5); a movable control unit 30-7 formed to move through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a movable stopper 30-8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30-7; and a movable stopper (30-9) formed to be coupled to the movable stopper (30-8).

더욱이, 사이펀(20)은 사이펀 덮개(20-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덮개 조절부(20-7); 덮개 조절부(20-7)를 따라 사이펀 덮개(20-1)가 이동되도록 사이펀 덮개(20-1) 내부를 관통 형성된 덮개 걸림부(20-8); 및 레버 연결홈(30-2)을 포함하며 사이펀 덮개(20-1)와 연결되어 있는 덮개 제어부(2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iphon 20 includes a cover adjustment unit 20-7 for moving the siphon cover 20-1 up and down; a cover engaging portion 20-8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iphon cover 20-1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moves along the cover adjusting portion 20-7; and a cover control unit 20-9 connected to the siphon cover 20-1 and including a lever connection groove 30-2.

더 나아가, 사이펀(20)은 소변을 선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제1걸림부(50-1); 제1걸림부(50-1)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1스톱퍼(50-2); 제1스톱퍼(50-2)와 연결되어 세척수가 채워지도록 형성된 제1무게부(50-3); 제1무게부(50-3)의 하측에 형성된 제1부력부(50-4); 사이펀(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무게부(50-3)와 제1부력부(50-4)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제1물통부(50-5); 제1물통부(50-5) 내 세척수의 배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1배수마개(50-6); 제1물통부(50-5) 내 세척수가 빠지기 위한 제1배수구(50-7); 제1배수마개(50-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힌지(50-8); 및 제1무게부(50-3)와 제1부력부(50-4)로 형성되는 제1부구(5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siphon 20 includes a first locking part 50-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ver control part 20-7 to selectively wash urine; a first stopper (50-2) formed to control the first locking part (50-1); a first weight portion 50-3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50-2 and formed to be filled with washing water; a first buoyancy part 50-4 formed below the first weight part 50-3; a first bucket portion 50-5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20 and including a first weight portion 50-3 and a first buoyancy portion 50-4 therein; a first drain stopper (50-6)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of washing water in the first bucket part (50-5); a first drain port (50-7)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first bucket part (50-5); a first hinge (50-8) for moving the first drain plug (50-6) up and down; and a first buoyancy (50-9) formed of a first weight portion (50-3) and a first buoyancy portion (50-4).

또한, 사이펀(20)은 대변을 선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제2걸림부(60-1); 제2걸림부(60-1)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2스톱퍼(60-2); 제2스톱퍼(60-2)와 연결되어 세척수가 채워지도록 형성된 제2무게부(60-3); 제2무게부(60-3)의 하측에 형성된 제2부력부(60-4); 사이펀(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무게부(60-3)와 제2부력부(60-4)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제2물통부(60-5); 제2물통부(60-5) 내 세척수의 배수를 조절하기 위한 제2배수마개(60-6); 제2물통부(60-5) 내 세척수가 빠지기 위한 제2배수구(60-7); 제2배수마개(60-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힌지(60-8); 및 제2무게부(60-3)와 제2부력부(60-4)로 형성되는 제2부구(6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phon 20 includes a second locking part 60-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to selectively wash feces; a second stopper (60-2) formed to control the second locking part (60-1); a second weight portion 60-3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60-2 and formed to be filled with washing water; a second buoyancy unit 60-4 formed below the second weight unit 60-3; a second bucket part 60-5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20 and including a second weight part 60-3 and a second buoyancy part 60-4 therein; a second drain stopper (60-6)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of washing water in the second bucket (60-5); a second drain port (60-7)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bucket part (60-5); a second hinge (60-8) for moving the second drain plug (60-6) up and down; and a second buoyancy (60-9) formed of a second weight portion (60-3) and a second buoyancy portion (60-4).

자세한 발명의 구성은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화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is embodied through examples.

본 발명은 일반 사이펀을 이용할 경우에 물탱크 내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수위보다 탱크의 수위를 높여 같은 양의 세척수에도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 낙수 차를 높여 변기조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eneral siphon is used,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rais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generated by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so that even with the same amount of washing water, the difference in dripping water is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falling from a high place. .

또한, 사이펀이 장착되는 곳인 물탱크의 배수구에 있는 융기부를 통해 높여 물탱크 내의 수위를 높여 적은 세척수의 양에도 세척이 가능하여 절수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rais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by raising it through a raised portion in the drain port of the water tank where the siphon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wash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thereby saving water.

나아가, 사이펀 내에 있는 사이펀 덮개와 이를 조절하는 레버를 통해 사이펀 덮개가 올라가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여 대소변을 구분하여 세척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절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Furthermore, by adjusting the height at which the siphon cover rises through the siphon cover in the siphon and the lever for controlling i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adjusted to separate urine and feces for washing, so it has an efficient water saving function.

더 나아가, 배수마개를 이용하여 사이펀 덮개의 개폐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낭비되는 세척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절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times of the siphon cover using the drain plu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wasted washing water, and thus efficient water saving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 고정부의 보조막과 사이펀 덮개의 보조막을 통해 물탱크 내에 있는 세척수의 역류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낭비되는 세척수를 감소시키며 절수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backflow and leakage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through the auxiliary membrane of the siphon fixing part and the auxiliary membrane of the siphon cover. This reduces wasted washing water and has the effect of saving water.

더욱이, 물탱크의 보조패널을 통해 세척수의 이동과 저장 시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수하는 기능을 가진다.Furthermore, by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out during movement and storage through the auxiliary panel of the water tank, the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wasted and has a function of sav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 용적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을 물탱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 용적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피스톤관을 포함하는 사이펀을 물탱크에 장착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피스톤관을 포함하는 사이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 용적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을 융기부를 포함하는 물탱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피스톤관을 포함하는 사이펀을 융기부를 포함하는 물탱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물탱크에 있는 융기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실시예 3 사용상태 중 하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의 제1조절부와 스위치식 대소변형 레버의 작동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의 제2조절부와 스위치식 대소변형 레버의 작동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사이펀에 피스톤관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의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와 2가지의 버튼을 갖는 대소변형 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사이펀 고정보조막과 사이펀 덮개 보조막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물탱크에 물탱크 보조패널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의 물탱크에 수질측정기와 수질신호기를 부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물탱크; 10-1: 급수구; 10-2: 급수관; 10-3: 융기부; 10-4: 배수구; 10-5: 배수관; 10-6: 물탱크의 수위; 10-7: 물탱크 보조패널; 10-8: 보조패널 거치대; 10-9: 수질측정기; 10-10: 수질신호기
20: 사이펀; 20-1: 사이펀 덮개; 20-2: 사이펀 기둥부; 20-3: 사이펀 마개판; 20-4: 사이펀 용적부; 20-5: 사이펀 고정부; 20-6: 사이펀 고정나사; 20-7: 덮개 조절부; 20-8: 덮개 걸림부; 20-9: 덮개 제어부: 20-10: 사이펀 고정보조막; 20-11: 사이펀 덮개 보조막
30: 레버; 30-1: 레버 연결선; 30-2: 레버 연결홈; 30-3: 선수용부; 30-4: 선수용홀; 30-5: 레버 스위치; 30-6: 가동조절부; 30-7: 가동제어부; 30-8: 가동스톱퍼; 30-9: 가동걸림부; 30-10: 제1레버; 30-11: 제2레버
40: 피스톤관; 40-1: 조절부위; 40-2: 피스톤 고정부; 40-3: 제1지지부; 40-4: 제2지지부; 40-5: 제3지지부
50: 제1조절부; 50-1: 제1걸림부; 50-2: 제1스톱퍼; 50-3: 제1무게부; 50-4: 제1부력부; 50-5: 제1물통부; 50-6: 제1배수마개; 50-7: 제1배수구; 50-8: 제1힌지; 50-9: 제1부구
60: 제2조절부; 60-1: 제2걸림부; 60-2: 제2스톱퍼; 60-3: 제2무게부; 60-4: 제2부력부; 60-5: 제2물통부; 60-6: 제2배수마개; 60-7: 제2배수구; 60-8: 제2힌지; 60-9: 제2부구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phon including a siphon volume part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er tank
2 is a block diagram of a siphon including a siphon volume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phon including a piston tube of a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er tank and moved up and down.
4 is a block diagram of a siphon including a piston tube of a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phon including a siphon volume portion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er tank including a raised por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phon including a piston tube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water tank including a raised part.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raised portion in the water tank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of the three use states of the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phon including a first adjusting uni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siphon including the first adjustment part and the second adjustment part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adjustment part of the siphon and the switch-type large and small deformation lever of the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adjustment part of the siphon and the switch-type large and small deformation lever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ston tube is added to a siphon including a first adjusting part and a second adjusting part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arge and small deformation lever having the first adjustment part and the second adjustment part of the siphon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kinds of buttons.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phon fixing auxiliary film and the siphon cover auxiliary film are added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auxiliary panel is added to the water tank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quality meter and a water quality signal are added to the water tank of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nation of code>
10: water tank; 10-1: water inlet; 10-2: water pipe; 10-3: ridges; 10-4: drain; 10-5: drain pipe; 10-6: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0-7: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8: auxiliary panel holder; 10-9: water quality meter; 10-10: water quality signal
20: siphon; 20-1: siphon cover; 20-2: siphon column part; 20-3: siphon stopper plate; 20-4: siphon volume; 20-5: siphon fixing part; 20-6: siphon set screw; 20-7: cover control unit; 20-8: cover stopper; 20-9: cover control unit: 20-10: siphon fixing auxiliary membrane; 20-11: siphon cover auxiliary film
30: lever; 30-1: lever connector; 30-2: lever connection groove; 30-3: Athlete's Division; 30-4: player's hole; 30-5: lever switch; 30-6: movable control unit; 30-7: operation control unit; 30-8: movable stopper; 30-9: movable stopper; 30-10: first lever; 30-11: second lever
40: piston tube; 40-1: regulatory region; 40-2: piston fixing part; 40-3: a first support part; 40-4: second support; 40-5: third support part
50: first adjustment unit; 50-1: a first stopper; 50-2: first stopper; 50-3: first weight part; 50-4: first buoyancy unit; 50-5: a first bucket part; 50-6: first drain plug; 50-7: first drain port; 50-8: first hinge; 50-9: First Division
60: second adjustment unit; 60-1: a second locking part; 60-2: second stopper; 60-3: second weight part; 60-4: second buoyancy unit; 60-5: a second bucket; 60-6: second drain plug; 60-7: second drain port; 60-8: second hinge; 60-9: Second Divis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ll transform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transform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That i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modify or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size of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elements may be exaggerated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lightly changed due to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no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degree of de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clearly indicated to the contrary. Any feature indicated as particularly preferred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and features indicat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That is, the various aspects, features, embodiments or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various combinations.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hose of ordinary skill unless otherwise noted. has the same meaning as i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with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는 가정, 회사, 공공장소 등의 화장실에서 절수가 필요한 양변기에 사용될 수 있다.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toilet that requires water saving in bathrooms such as homes, companies, and public places.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의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 사이펀(20) 및 레버(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 water tank 10 , a siphon 20 and a lever 30 .

먼저, 물탱크(10)는 변기조의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어 있어 후술될 사이펀(20)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급수구(10-1), 급수관(10-2), 배수구(10-4) 및 배수관(10-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water tank 10 stores water for washing the toilet tank so that the water can be drained through the siphon 20 to be described later. -4) and a drain pipe (10-5) may be formed.

자세히 설명하면, 물탱크(10) 하단 또는 일측에 급수구(10-1)와 급수구(10-1)의 하단에 직렬로 연결된 급수관(1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tank 10 may be formed to include a water supply port 10 - 1 on one side or a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and a water supply pipe 10 - 2 connected in series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ort 10 - 1 .

이를 통해, 급수관(10-2)은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급수구(10-1)를 통해서 물탱크(10) 내에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water supply pipe 10-2 may be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s 10-1 connected in series b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다음으로, 물탱크(10)의 하단 또는 일측에 배수구(10-4)와 배수구(10-4)의 하단에 직렬로 연결된 배수관(10-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drain 10-4 at the lower end or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 and a drain pipe 10-5 connected in series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 port 10-4.

또한, 배수관(10-5)은 배수구(10-4)와 연결된 방향의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변기조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pipe 10 - 5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oilet tank at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in the direction connected to the drain port 10 - 4 .

이를 통해, 물탱크(10)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사이펀(20)에 포함된 사이펀 덮개(20-1)의 개폐를 통해 배수구(10-4)와 배수관(10-5)에 순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drain port 10-4 and the drain pipe 10-5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cover 20-1 included in the siphon 20. .

이렇게 변기조에 유입된 세척수는 오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in this way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사이펀(20)은 물탱크(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변기조로 배수할 수 있도록 후술될 레버(3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iphon 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and be connected to a lever 3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drain the washing water into the toilet tank.

이때, 사이펀(20)은 사이펀 덮개(20-1), 사이펀 기둥부(20-2), 사이펀 마개판(20-3), 사이펀 용적부(20-4) 및 사이펀 고정부(20-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phon 20 is a siphon cover 20-1, a siphon pillar part 20-2, a siphon stopper plate 20-3, a siphon volume part 20-4 and a siphon fixing part 20-5) It may be formed including

자세히 설명하면, 외부 조작으로 인해 후술될 레버 연결홈(30-2)은 후술될 레버 연결선(30-1)의 상승이 발생할 시에 열림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이펀 덮개(20-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siphon cover 20-1 so as to be opened when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ises due to external manipulation. can be formed.

이렇게 사이펀 덮개(20-1)는 레버 연결홈(30-2)을 통해 레버 연결선(30-1)의 하측에서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세척수를 변기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iphon cover 20 - 1 is conn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 - 1 through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 - 2 to rise or fall,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into the toilet tank.

이러한 사이펀 덮개(20-1)는 사이펀(20)에 고정되도록 사이펀 기둥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The siphon cover 20 - 1 may have a siphon pillar portion 20 - 2 to be fixed to the siphon 20 .

구체적으로는 사이펀 기둥부(20-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측면에 의해 사이펀 덮개(20-1)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siphon cover 20-1 may be fixed by side surfac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iphon pillar portion 20-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해 레버(30)로 인한 열림이 수행될 시에 사이펀 덮개(20-1)는 사이펀 기둥부(20-2)에 사이펀 덮개(20-1)가 고정되어 있는 측이 회전됨으로써, 사이펀 덮개(20-1)가 고정되어 있는 측의 반대되는 측이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rough this, when the opening due to the lever 30 is performed, the siphon cover 20-1 rotates the side on which the siphon cover 20-1 is fixed to the siphon pillar part 20-2, so that the siphon cover ( 20-1) may be formed so that the opposite side of the fixed side is ope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사이펀 덮개(20-1)는 사이펀 기둥부(20-2)와 고정됨과 동시에 일측이 레버 연결홈(30-2)을 통해 효율적으로 열릴 수 있어 세척수가 사이펀(20) 내부를 통해서 배수구(10-4)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iphon cover 20-1 is fixed to the siphon column part 20-2 and at the same time one side can be efficiently opened through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through the siphon 20 inside the drain hole ( 10-4) can be introduced.

나아가, 사이펀(20)은 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배수가 중단될 시에 사이펀 덮개(20-1)의 하단에서 사이펀 덮개(20-1)가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된 사이펀 마개판(20-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iphon 20 is a siphon stopper plate ( 20-3) may be formed.

이때, 사이펀 마개판(20-3)은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가 사이펀 덮개(20-1)가 열림으로써,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may be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by opening the siphon cover 20-1.

더욱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마개판(20-3)은 물탱크(10) 내의 세척수의 수위(10-6)를 높이도록 사이펀 마개판(20-3)의 하단에 형성된 사이펀 용적부(20-4)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has a siphon volum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to increase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 It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portion 20 - 4 .

자세히 설명하면, 사이펀 마개판(20-3)의 하단에 사이펀 용적부(20-4)가 내측에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detail,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a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may be formed including a space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용자의 이용이 없을 시에 사이펀 용적부(20-4)는 사이펀 덮개(20-1)가 닫힘으로 인해 사이펀 마개판(20-3)에 사이펀 덮개(20-1)가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the siphon cover 20-1 is coupled to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due to the siphon cover 20-1 being clos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nflow may be blocked.

더욱이, 세척수의 이동이 중단될 때 사이펀 용적부(20-4)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over, the inside of the siphon volume 20-4 may be formed as an empty space when the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is stopped.

즉, 사이펀 용적부(20-4) 내에 형성된 부피만큼 물탱크(10) 하단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t may be formed to occupy the volume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as much as the volume formed in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

이로 인해, 적은 세척수의 양에도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의 수위(10-6)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Due to this,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stored therein can be increas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이를 통해, 물탱크의 수위(10-6)는 외부 조작을 통해 사이펀 덮개(20-1)가 열릴 시에 사이펀 용적부(10-4)의 부피만큼 높아진 위치로부터 물이 낙하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is opened through an external operation,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opened, water may fall from a position where the volum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10-4 is increased.

자세히 설명하면, 사이펀 덮개(20-1)가 열리면 물탱크(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는 물탱크(10)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iphon cover 20 - 1 is opene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moves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

이때, 이동되는 세척수는 사이펀 마개판(20-3)의 내부로 들어가 사이펀 용적부(20-4), 후술될 사이펀 고정부(20-5), 배수구(10-4) 및 배수관(10-5)을 순차적으로 지나 변기조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washing water enters the inside of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and the siphon volume part 20-4, the siphon fixing part 20-5 to be described later, the drain port 10-4 and the drain pipe 10-5 ) may be sequentially passed and formed to flow into the toilet tank.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단으로 떨어지는 세척수는 낙수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의 위치가 크게 변함으로써 강한 낙수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Washing water falling from such a high place to the bottom can cause a water drop, and the location of the wash water changes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strong falling water force.

구체적으로는, 강한 낙수력을 가지고 있는 세척수는 적은 양에도 변기조 내에 있는 오물을 남김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even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having a strong dripping power can completely discharge the filth in the toilet tank to the outside.

이는 물탱크(10) 내에 세척수를 적게 저장하여 변기조에 있는 오물을 세정할 수 있어 변기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절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is can store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to wash the dirt in the toilet tank, so that the toilet tank can be cleaned cleanly and can have an efficient water saving function.

또한, 사이펀(20)은 물탱크(10)의 하단에 내입되어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이펀 고정부(20-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phon 20 may be formed to include a siphon fixing part 20 - 5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20) 하단의 외면에 있는 사이펀 고정부(20-5)와 사이펀 고정나사(20-6)가 물탱크(10)의 내측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siphon fixing part 20 - 5 and the siphon fixing screw 20 - 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iphon 20 are coupl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 It may be formed so that it can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사이펀 고정부(20-5)의 내측은 관통 형성되며, 사이펀 고정부(20-5)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사이펀 고정나사(20-6)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side of the siphon fixing part 20-5 is formed through, and the siphon fixing screw 20-6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fixing part 20-5.

이러한 사이펀 고정부(20-5)와 사이펀 고정나사(20-6)가 스크루 방식으로 물탱크(10)의 하단 내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siphon fixing part 20 - 5 and the siphon fixing screw 20 - 6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n a screw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렇게 내입되어 있는 사이펀 고정부(20-5)는 배수구(10-4)가 하단에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phon fixing part 20-5 inserted in this way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port 10-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즉,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가 사이펀 마개판(20-3)과 사이펀 고정부(20-5)를 통해서 변기조로 유입되어 오물이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flows into the toilet tank through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and the siphon fixing part 20-5, so that the dirt can be efficiently washed.

다음으로, 레버(30)는 사이펀(20)과 연결되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lev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siphon 20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drained.

이때, 레버(30)는 레버 연결선(30-1), 레버 연결홈(30-2), 선수용부(30-3) 및 선수용홀(30-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30 may be formed to include a lever connection line 30-1, a lever connection groove 30-2, a bow portion 30-3, and a bow hole 30-4.

구체적으로는, 레버(30)는 사이펀(20)의 레버 연결홈(30-2)과 연결되어 있는 레버 연결선(30-1)을 포함하여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ver 30 may include a lever connection line 30-1 connected to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of the siphon 20 so that opening and closing can be controlled.

또한, 레버(30)는 물탱크(10)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선수용부(30-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3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bow portion (30-3).

자세히 설명하면, 선수용부(30-3)는 레버(30)와 연결되어 물탱크(10)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레버(3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운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w portion 30-3 is connected to the lever 30 and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10, so that it can be formed so that vertical movement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 by an external force. have.

더욱이, 레버 연결선(30-1) 일측 단부는 레버(30)와 고리형식으로 물탱크(10)에 내입된 선수용부(30-3)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레버 연결홈(30-2)과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urthermore, one end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s connected to the lever 30 and the bow portion 30-3 that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10 in a ring shap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레버 연결홈(30-2)은 사이펀 덮개(20-1)의 상단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or more lever connection grooves 30 - 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iphon cover 20 - 1 .

이때, 레버 연결홈(30-2)은 레버 연결선(30-1)의 하측에 고리 형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n a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선수용부(30-3)는 레버 연결선(30-1)이 결합할 수 있는 선수용홀(30-4)을 하나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w portion 30-3 may be formed to have one or more bow holes 30-4 to which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can be coupl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탱크(10)의 하단에 사이펀(20)이 장착되는 위치와 레버 연결선(30-1)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된 선수용홀(30-4)에 레버 연결선(30-1)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use the lever connecting line 30-1 in the bow hole 30-4 formed at least one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iphon 20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length of the lever connecting line 30-1. ) may be optionally combined.

이에 따라, 이러한 선수용홀(30-4)은 사이펀(20)의 위치와 관계없이 사이펀(20)의 개폐를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bow hole 30 - 4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20 can be easily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iphon 20 .

이러한 레버(30)는 사용자로 인해 레버(30)의 손잡이가 하강할 때, 이에 반하여 레버 연결선(30-1)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handle of the lever 30 is lowered by the user, the lever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rises or falls, on the contrary.

구체적으로는, 레버 연결선(30-1)이 상승할 시에 레버 연결선(30-1)의 하측에 레버 연결홈(30-2)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사이펀 덮개(20-1)도 같이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rises, the siphon cover 20-1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through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also rises. can be formed.

이때, 레버 연결선(30-1)과 연동 형성된 사이펀 덮개(20-1)의 일측은 레버 연결선(30-1)의 조작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타측은 사이펀 기둥부(20-2)의 양측에 고정됨으로써, 사이펀 덮개(20-1)가 회전됨에 따라 사이펀(20)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iphon cover 20-1 interlocked with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s moved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siphon pillar part 20-2 By being fixed to both s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20 can be controlled as the siphon cover 20-1 rotates.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는 전면레버핸들 방식으로 기재하였으나, 다양한 양변기 레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lever 30 has been described as a front lever handle method, but various toilet lever methods may be used.

예를 들어, 누르는 버튼레버 방식을 이용할 경우, 버튼레버는 물탱크(10)의 측면 또는 전면에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pressing button lever method, the button lever may be installed by being drawn into the side or front of the water tank 10 .

이를 통해 버튼레버를 물탱크(10)에 인입된 방향으로 레버(30)의 누를 시에 레버(30)의 물탱크(10)에 인입된 부분의 상승곡선을 따라 레버 연결선(30-1)이 상승하고 이후 사이펀 덮개(20-1)를 상승시키는 과정은 전면레버핸들 방식과 동일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rough this,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lever is drawn into the water tank 10, the lever connecting line 30-1 is connected along the upward curve of the portion drawn into the water tank 10 of the lever 30. The process of rising and then raising the siphon cover 20-1 is the same as the front lever handle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렇게, 레버(30)는 사이펀 덮개(20-1)의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변기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이 필요할 시에 외부 조작을 통해 사이펀 덮개(20-1)의 열림을 발생시켜 세척수를 변기조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ever 30 is formed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siphon cover 20-1, and when water for washing the toilet tank is needed, the siphon cover 20-1 is opened through an external operation. This will allow the washing water to flow into the toilet tank.

<실시예 2><Example 2>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용적부(20-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피스톤관(40), 조절부위(40-1) 및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3 and 4, including a piston tube 40, an adjustment portion 40-1, and a piston fixing portion 40-2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can be formed.

먼저, 피스톤관(40)은 물탱크(10) 내의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사이펀 용적부(20-4)의 상단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irst, the piston tube 4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phon volumetric portion 20-4 to adjust the level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피스톤관(40)은 사이펀 용적부(20-4) 상측 외주면에 수위(10-6)에 따라 피스톤관(4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포함하여 사이펀 용적부(20-4)의 지름보다 피스톤관(40)의 지름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ston tube 40 includes a space inside the siphon volume 20-4 so that the piston tube 40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10-6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The diameter of the piston tube 4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20-4).

또한, 조절부위(40-1)는 피스톤관(4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사이펀 용적부(20-4) 외측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one or more adjustment portions 40-1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so that the piston tube 40 can move up and d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사이펀 용적부(20-4) 외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이상의 조절부위(40-1)가 돌출되어 피스톤관(40)의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one or more adjustment portions 40-1 protrude from on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and may be formed to minimize the separation of the piston tube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나아가, 사이펀 용적부(20-4)는 제1지지부(40-3), 제2지지부(40-4) 및 제3지지부(40-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40 - 3 , a second support portion 40 - 4 , and a third support portion 40 - 5 .

구체적으로는, 제1지지부(40-3)는 사이펀 용적부(20-4) 외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1지지부(40-3)가 조절부위(40-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40-3 i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and one or more first support portions 40-3 support the adjustment portion 40-1. It can be formed to support.

이를 통해, 피스톤관(40)이 상하로 이동될 시에 조절부위(40-1)가 기울여짐 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절부위(40-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when the piston tube 40 is moved up and down, the adjustment portion 40-1 is formed so as to remain horizontal without inclination,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adjustment portion 40-1.

또한, 사이펀 용적부(20-4)는 사이펀 용적부(20-4) 외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2지지부(40-4)와 제2지지부(40-4)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제3지지부(4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is a second support portion 40-4 on on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and a third support portion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40-4. It may be formed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40-5).

자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부(40-4)는 피스톤관(40)의 상하로 이동 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피스톤관(40)의 외측면에 접면되도록 형성되며, 피스톤관(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portion 40-4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ston tube 40 so as not to be separated when the piston tube 40 moves up and down, and facilitates the movement of the piston tube 40. to be able to do it

또한, 제3지지부(40-5)는 피스톤관(40)의 상하로 이동될 시에 피스톤관(40)과 접면하는 제2지지부(40-4)가 기울여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portion 40-5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portion 40-4 in contact with the piston tube 40 without being inclined when the piston tube 40 moves up and down. have.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40-5)는 하나 이상으로 제2지지부(40-4)의 외면에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지지부(40-4)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one or more third support parts 40-5 may be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40-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40-4) can be formed at various angles within the range that can support it.

이를 통해 피스톤관(40)이 상하로 이동될 시에도 이탈을 최소화하며 용이하게 사이펀 용적부(20-4)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piston tube 40 is moved up and down, the separa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volum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can be easily increased.

다음으로, 피스톤관(40)은 피스톤관(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조절부위(40-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piston tube 40 may be formed to include a piston fixing portion 40-2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tube 40 so that the adjustment portion 40-1 can be fitted thereinto.

자세히 설명하면, 피스톤관(40)이 안정하게 조절부위(40-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피스톤 고정부(40-2)가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detail, the piston fixing part 40-2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so that the piston tube 4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adjusting part 4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피스톤 고정부(40-2)는 끼움결합으로 조절부위(40-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iston fixing part 40-2 may be coupled to the adjustment part 40-1 by fit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나아가, 조절부위(40-1) 내의 다양한 위치에 피스톤 고정부(40-2)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piston fixing part 40-2 can be fitt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adjustment part 40-1.

이러한 피스톤 고정부(40-2)가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피스톤관(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piston tube 40 may be formed to rise or fall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piston fixing part 40-2 is fitted.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위(40-1) 하단에 피스톤 고정부(40-2)가 결합될 경우, 피스톤관(40)은 사이펀 용적부(20-4)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when the piston fixing part 40-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part 40-1, the piston tube 40 is the siphon volume part 20-4.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이로 인해, 피스톤관(40) 상단에 위치하는 사이펀 덮개(20-1), 사이펀 기둥부(20-2) 및 사이펀 마개판(20-3)의 위치도 동일하게 하강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ositions of the siphon cover 20 - 1 , the siphon column part 20 - 2 and the siphon stopper plate 20 - 3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piston tube 40 can be lowered in the same way.

이에 따라, 사이펀 용적부(20-4)와 피스톤관(40)에 의해 사이펀(20)이 물탱크(10) 내에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olume occupied by the siphon 20 in the water tank 10 by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piston tube 40 may be reduced.

이로 인해, 물탱크(10)의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됨과 동시에 물탱크의 수위(10-6)도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s reduced and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is also decreased.

이에 반하여, 도 3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위(40-1) 상단에 피스톤 고정부(40-2)가 결합될 경우, 피스톤관(40)은 사이펀 용적부(20-4)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when the piston fixing part 40-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part 40-1, the piston tube 40 is the siphon volume part 20-4.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upper side.

이로 인해, 피스톤관(40) 상단에 위치하는 사이펀 덮개(20-1), 사이펀 기둥부(20-2) 및 사이펀 마개판(20-3)의 위치도 동일하게 상승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ositions of the siphon cover 20-1, the siphon column part 20-2, and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piston tube 40 may be raised in the same manner.

이에 따라, 사이펀 용적부(20-4)와 피스톤관(40)에 의해 사이펀(20)이 물탱크(10) 내에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olume occupied by the siphon 20 in the water tank 10 may be increased by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piston tube 40 .

이로 인해, 물탱크(10)의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됨과 동시에 물탱크의 수위(10-6)도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s increased and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is also increased.

더욱이, 사이펀(20)이 장착된 물탱크(10)의 사이즈에 따라 피스톤관(40)을 통해 사이펀(2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이펀(20)이 높은 범용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Moreover, the overall height of the siphon 2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piston tube 4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ater tank 10 to which the siphon 20 is mounted, so that the siphon 20 can have high versatility.

나아가, 사이펀(20)의 높이에 따라 사이펀 용적부(20-4) 및 사이펀(20)이 물탱크(10) 내를 차지하는 부피가 조절됨으로써, 물탱크(10) 내의 세척수의 수위가 조절되어 절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phon 20 , the volume occupied by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siphon 20 in the water tank 10 is adjusted, so that the level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adjusted to save water. can be easily performed.

나아가, 물탱크의 수위(10-6)는 사이펀 덮개(20-1)가 열릴 시에 높은 곳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to fall from a high place when the siphon cover 20 - 1 is opened.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단으로 떨어지는 세척수는 낙수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의 위치가 크게 변함으로써 강한 낙수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Washing water falling from such a high place to the bottom can cause a water drop, and the location of the wash water changes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strong falling water force.

구체적으로는, 강한 낙수력을 가지고 있는 세척수는 적은 양에도 변기조 내에 있는 오물을 남김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even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having a strong dripping power can completely discharge the filth in the toilet tank to the outside.

<실시예 3><Example 3>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용적부(20-4)를 포함하는 사이펀(20)에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이기 위해 융기부(10-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 the siphon 20 including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includes a raised portion 10 - 3 to increase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can be

이때,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10-3)는 물탱크(10) 내측 하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raised part 10 - 3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ly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inside the water tank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물탱크(10)의 하단 일측에 배수구(10-4)와 직렬로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water tank 10 to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rain port 10 - 4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이러한 융기부(10-3) 상측에 사이펀(20)의 사이펀 고정부(20-5)와 사이펀 고정나사(20-6)가 스크루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siphon fixing part 20-5 and the siphon fixing screw 20-6 of the siphon 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aised part 10-3 by a screw meth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융기부(10-3)는 하단에 배수구(10-4)와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sed portion 10-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rain port 10-4 at the lower end.

이로 인해, 물탱크(10)에서 사이펀(2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융기부(10-3), 배수구(10-4) 및 배수관(10-5)을 지나 변기조에 있는 오물을 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siphon 20 from the water tank 10 passes through the raised part 10-3, the drain port 10-4, and the drain pipe 10-5 to wash the dirt in the toilet tank. there will be

나아가, 융기부(10-3)가 돌출되어 있는 만큼 물탱크(10)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됨과 동시에 물탱크(10)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protruding portion 10 - 3 protrudes,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may increas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10 may increase.

이로 인해 물탱크의 수위(10-6)는 사이펀 덮개(20-1)가 열릴 시에 높은 곳에서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to fall from a high place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opened.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단으로 떨어지는 세척수는 낙수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의 위치가 크게 변함으로써 강한 낙수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Washing water falling from such a high place to the bottom can cause a water drop, and the location of the wash water changes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strong falling water force.

이를 통해 강한 낙수력을 가진 세척수는 적은 양에도 변기조에 있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절수 기능을 가진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with strong dripping power has a water saving function that can efficiently clean the dirt in the toilet tank even with a small amount.

또한, 융기부(10-3)를 높임으로써 사이펀(20)이 장착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높이며 물탱크(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protrusion 10 - 3 , the durability of the portion where the siphon 20 is mounted can be increased and the lifespan of the water tank 10 can be extended.

선택적으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관(40), 조절부위(40-1) 및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는 사이펀(20)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ptionally, as shown in FIG. 6 , a siphon 20 including a piston tube 40 , an adjustment part 40-1 and a piston fixing part 40-2 may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물탱크(10)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융기부(10-3)의 부피뿐만 아니라, 피스톤관(40)의 위치만큼 더욱 증가하여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Due to this,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s further increased by the position of the piston tube 40 as well as the volume of the raised portion 10-3, so that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can be increased. .

또한, 사용자는 피스톤관(40)을 이용하여 사이펀 용적부(20-4)의 부피와 사이펀(20)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이면서 사용하는 물탱크(10)의 전체 사이즈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uses the piston tube 40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siphon 20 , thereby increasing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The overall size of (10) can be variously selected.

이러한 사이펀(20)에 물탱크(10)를 장착함으로써, 물탱크(10)는 절수 기능과 높은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By mounting the water tank 10 on the siphon 20, the water tank 10 has a water saving function and high versatility.

<실시예 4><Example 4>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조에 있는 소변을 세척하기 위해 사이펀 덮개(20-1)를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되기 위해 제1조절부(50) 및 레버(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9 to 11, the first adjustment unit 50 and the lever ( 30) may be formed.

이때, 제1조절부(50)는 덮개 조절부(20-7), 제1걸림부(50-1), 제1스톱퍼(50-2), 제1무게부(50-3), 제1부력부(50-4), 제1물통부(50-5), 제1배수마개(50-6) 및 제1부구(50-9)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50 includes the cover control unit 20-7, the first locking unit 50-1, the first stopper 50-2, the first weight unit 50-3, and the first It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buoyancy part 50-4, a first bucket part 50-5, a first drain stopper 50-6, and a first buoyancy part 50-9.

먼저, 덮개 조절부(20-7)는 사이펀 덮개(20-1)가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사이펀 덮개(20-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cover 20-1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moves vertically.

구체적으로는, 덮개 조절부(20-7)는 사이펀 덮개(20-1)의 상측에서 상단을 향하여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control unit 20 - 7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cover 20 - 1 toward the upper end.

이때, 사이펀 덮개(20-1)는 덮개 걸림부(20-8) 및 덮개 제어부(20-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iphon cover 20 - 1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20 - 8 and the cover control unit 20 - 9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자세히 설명하면, 덮개 걸림부(20-8)는 사이펀 덮개(20-1) 중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cover engaging portion 20-8 may be formed through the middle of the siphon cover 2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덮개 걸림부(20-8)는 고리 형식으로 사이펀 덮개(20-1)와 결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engaging portion 20-8 may be coupled to the siphon cover 20-1 in a ring type,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may be used.

이로 인해, 덮개 조절부(20-7)가 상하로 이동될 시에 사이펀 덮개(20-1)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사이펀(2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cover control unit 20-7 is moved up and down, the siphon cover 20-1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reby facili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phon 20.

다음으로, 덮개 제어부(20-9)는 레버 연결홈(30-2)과 연결되어 사이펀 덮개(20-1)의 상측 일측에 상단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Next, the cover control unit 20-9 is connected to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cover 20-1 toward the t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는, 덮개 제어부(20-9)는 레버 연결홈(30-2)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 연결선(30-1)이 상승될 때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control unit 20-9 may be moved simultaneously when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coupled to the lever connection groove 30-2 is raised.

이때, 덮개 제어부(20-9)는 후술될 레버 스위치(30-5)를 통해 발생되는 레버 연결선(30-2)의 적은 가동범위로 인해 사이펀 덮개(20-1)를 낮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ver control unit 20-9 is able to lift the siphon cover 20-1 low due to the small movable range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2 generated through the lever switch 30-5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이를 통해, 덮개 제어부(20-9)의 하측에 있는 사이펀 덮개(20-1)는 열림이 수행되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iphon cover 20 - 1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control unit 20 - 9 is ope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다음으로, 제1걸림부(50-1)는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irst locking part 50-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이때,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50-1)는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될 제1스톱퍼(50-2)와 접면하기 용이한 형태의 다양한 입체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 the first locking part 50-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shape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50-2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form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figures.

자세히 설명하면, 제1스톱퍼(50-2)는 제1걸림부(50-1)의 하측과 접면하여 제1걸림부(50-1)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opper 50 - 2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irst locking part 50 - 1 by making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opping part 50 - 1 .

이때, 제1스톱퍼(50-2)는 후술될 제1부구(50-9) 상측 타측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opper 50 - 2 may be formed by being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tool 50 - 9 to be described later.

이로 인해, 제1스톱퍼(50-2)는 제1부구(50-9)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서 동시에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first stopper 50 - 2 can be rotated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aising or lowering of the first auxiliary tool 50 - 9 .

즉, 제1스톱퍼(50-2)가 상하로 회전되면서 제1걸림부(50-1)를 고정시켜 레버(30)의 조작이 중단되어도 덮개 조절부(20-7)가 열려 있는 것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topper 50-2 is rotated up and down to fix the first locking part 50-1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 is stopped,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is maintained open. can be formed.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물탱크(10)에 있는 세척수가 일정 시간 동안 변기조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다음으로, 제1무게부(50-3)는 물탱크(10)에 세척수가 채워질 시에 제1부구(50-9)를 하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irst weight portion 50 - 3 may be formed to lower the first float 50 - 9 when the water tank 10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이때, 제1부구(50-9)는 상단에 제1무게부(50-3)를 두고 하단에 제1부력부(50-4)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uoyancy unit 50-9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weight unit 50-3 at the upper end and the first buoyancy unit 50-4 at the lower end.

구체적으로, 제1무게부(50-3)는 상측이 관통 형성된 형태로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weight portion 50 - 3 may have an empty space inside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side is penetrated.

이로 인해, 급수구(10-1)를 통해 물탱크(10)로 세척수가 유입될 시에 물탱크의 수위(10-6)가 물탱크(10)에 장착된 사이펀(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0-1,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20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can rise high.

이를 통해, 세척수는 후술될 제1물통부(50-5)로 유입되며, 순차적으로 제1무게부(50-3) 내부도 세척수로 채워지게 된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first bucket 50-5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side of the first weight part 50-3 is also sequentially filled with the washing water.

이때, 제1스톱퍼(50-2)는 제1무게부(50-3)에 채워진 세척수의 무게로 인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topper 50-2 is lower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first weight part 50-3.

다음으로, 제1부력부(50-4)는 제1무게부(50-3)의 하측에 있어 공기층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irst buoyancy unit 50 - 4 may be formed to generate an air layer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eight unit 50 - 3 .

이때, 제1부력부(50-4)는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uoyancy unit 50 - 4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mpty space therein.

자세히 설명하면, 물탱크(10)에 급수구(10-1)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면서 물탱크(10) 내에 있는 공기가 상승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0 - 1 , the air in the water tank 10 may rise.

이를 통해, 제1부력부(50-4)는 내부에 공기층이 발생되어 물탱크의 수위(10-6)가 상승됨과 동시에 제1부구(50-9)가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buoyancy unit 50 - 4 may be formed such that an air layer is generated therein so that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rises and the first buoyancy unit 50 - 9 rises at the same time.

또한, 제1부구(50-9)에 고정되어 있는 제1스톱퍼(50-2)는 덮개 조절부(20-7) 측면과 접면하여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이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50-2 fixed to the first sub-sphere 50-9 may be formed so that the elevation of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is stopped by making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can

이를 통해, 외부의 조작이 없을 시에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을 막아 동시에 사이펀 덮개(20-1)의 열림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washing water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siphon cover 20-1 at the same time by preventing the rise of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when there is no external manipulation.

다음으로, 제1물통부(50-5)는 내부에 제1스톱퍼(50-2), 제1무게부(50-3) 및 제1부력부(50-4)를 포함하며 이들을 제외한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irst bucket portion 50-5 includes a first stopper 50-2, a first weight portion 50-3, and a first buoyancy portion 50-4 therein, except for these, the inside is It may be formed as an empty space.

이러한 제1물통부(50-5)는 세척수가 물탱크(10)에 장착된 사이펀(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될 시에 세척수로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tank 50 - 5 may be formed to be filled with washing water when the washing water ris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20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

나아가, 제1물통부(50-5) 내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제1무게부(50-3)까지 세척수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bucket 50-5 increases, the washing water is filled up to the first weight portion 50-3.

이에 반하여, 사이펀 덮개(20-1)의 열림이 발생하면 세척수가 물탱크(10) 외부로 유출되어 후술될 제1배수구(50-7)를 통해 제1물통부(50-5)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opened, the washing water flows out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first water tank 50-5 is an empty space through a first drain port 50-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with

이를 통해, 제1물통부(50-5) 내부에 있는 제1부구(50-9)가 세척수의 유입과 유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스톱퍼(50-2)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first sub-portion 50-9 inside the first bucket 50-5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stopper 50-2 can be controlled. it can be

다음으로, 제1배수마개(50-6)는 사이펀(20)의 외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배수구(50-7) 및 제1힌지(50-8)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irst drain plug 50-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2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ain port 50-7 and a first hinge 50-8. have.

구체적으로, 제1배수마개(50-6)는 제1물통부(50-5)에 유입된 세척수를 제1물통부(50-5)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rain plug 50 - 6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water container 50 - 5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ater container 50 - 5 .

먼저, 제1힌지(50-8)는 제1배수마개(50-6)의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형식으로 제1배수구(50-7)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irst, the first hinge 50-8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on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rain plug 50-6, and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drain hole 50-7 in a ring shape. c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제1배수마개(50-6)는 제1힌지(50-8)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제1배수구(50-7)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first drain plug 50 - 6 may be form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first drain port 50 - 7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hinge 50 - 8 is fixed.

이때, 제1배수구(50-7)는 사이펀(2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1힌지(50-8)가 고정되도록 일정한 도형이 반복 배열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rst drain port 50 - 7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iphon 20 , and a predetermined figure is repeatedly arranged so that the first hinge 50 - 8 is fix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배수마개(50-6)가 제1배수구(50-7)의 상측에 고정될 시에 제1배수구(50-7)의 상단은 제1배수마개(50-6)로 인해 막혀 있으며 제1배수구(50-7)의 하단이 뚫려 있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drain plug 50-6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rain port 50-7,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ain hole 50-7 is turned into the first drain plug 50-6. Due to the clogg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drain port 50-7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이로 인해, 제1물통부(50-5) 내에 있는 세척수는 제1물통부(50-5) 외부로 유출되며, 제1부구(50-9)는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ashing water in the first bucket part 50-5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ucket part 50-5, and the first sub-portion 50-9 may be formed to descend.

이를 통해, 덮개 조절부(20-7)에 접면되어 있는 제1스톱퍼(50-2)가 덮개 조절부(20-7)와의 접면이 해제되게 되어 사이펀 덮개(20-1)가 하강되면서 닫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first stopper 50-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is released from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is lowered and closed while being lowered. will be able to perform.

이렇게 제1배수구(50-7) 하단이 제1배수마개(50-6)로 인해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제1물통부(50-5) 내의 세척수 유출 정도를 달리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이펀 덮개(20-1)의 개폐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drain port (50-7) is exposed due to the first drain plug (50-6), the degree of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in the first water tank part (50-5) can be varied, and accordingly, the siphon cover The opening/closing time of (20-1) can be adjusted.

다음으로,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는 레버 스위치(30-5), 가동조절부(30-6), 가동제어부(30-7), 가동스톱퍼(30-8) 및 가동걸림부(30-9)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1 , the lever 30 includes a lever switch 30-5, a movable control unit 30-6, a movable control unit 30-7, a movable stopper 30-8, and a movable member. It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30-9).

먼저, 레버 스위치(30-5)는 레버(3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레버(30)가 물탱크(10)에 인입된 방향을 향하여 레버(30) 상측면에서 수평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First, the lever switch 30 - 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30 so that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3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30 is drawn into the water tank 10 . .

이때, 레버 스위치(30-5)는 가동조절부(30-6)와 연결되며, 가동조절부(30-6)는 레버(30)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switch 30-5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and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may be formed by being drawn into the lever 30.

자세히 설명하면, 레버 스위치(30)가 이동될 때 동시에 가동조절부(30-6)가 레버 스위치(30)가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lever switch 30 is moved, the movable control unit 30 - 6 may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ver switch 30 is moved.

또한, 가동제어부(30-7) 중측은 관통 형성되어 가동조절부(30-6)가 이러한 중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 형성된 가동스톱퍼(30-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iddl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30-7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is inserted into the middle side, and it may be formed including a movable stopper 30-8 protruding from one side,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를 통해, 가동조절부(30-6)는 레버 스위치(30-5)의 이동에 순차적으로 가동제어부(30-7) 중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may be formed to enter the middl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30-7 sequentially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switch 30-5.

자세히 설명하면, 가동조절부(30-6)는 물탱크(10)를 향하여 가동제어부(30-7)가 이동되기 위해 힘이 가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ovable control unit 30 - 6 may be formed such that a force is applied to move the movable control unit 30 - 7 toward the water tank 10 .

이로 인해, 가동스톱퍼(30-8)는 후술될 가동걸림부(30-9) 중측에 내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movable stopper 30-8 may be formed to enter the middle of the movable stopper 30-9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가동걸림부(30-9)는 물탱크(10)에 레버(30)가 장착될 때 물탱크(10)의 외면에 접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able locking part 30 - 9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when the lever 3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

이렇게 가동스톱퍼(30-8)가 가동걸림부(30-9)의 중측에 내입된 상태에서 외부 조작으로 레버(30)가 하강될 때 완전히 하강되지 않으며 낮게 하강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lever 30 is lowered by an external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topper 30-8 is inserted into the middle of the movable stopper 30-9, it is not lowered completely and can be lowered.

이를 통해, 선수용부(30-3)와 레버 연결선(30-1)은 순차적으로 낮게 상승되며, 사이펀 덮개(20-1)는 낮은 높이로 열림이 수행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ow portion 30-3 and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are sequentially raised to a low level, and the siphon cover 20-1 can be opened to a low height.

이로 인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변기조로 유입되게 되며, 변기조에 있는 소변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and urine in the toilet tank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선택적으로 변기조에 있는 오물을 세정하는 것은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기조를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is selectively cleaning the filth in the toilet tub prevents wastage of washing water and can have the effect of efficiently cleaning the toilet tub.

선택적으로,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관(40), 조절부위(40-1) 및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는 사이펀(20)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ptionally, as shown in FIG. 13 , a siphon 20 including a piston tube 40 , an adjustment part 40-1 and a piston fixing part 40-2 may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물탱크(10)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피스톤관(40)의 위치만큼 더욱 증가하여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s further increased by the position of the piston tube 40 to increase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이렇게 높아진 물탱크의 수위(10-6)는 제1스톱퍼(50-2)를 통해 사이펀 덮개(20-1)의 열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발생되어도 높은 곳에서 세척수가 떨어지면서 변기조 내에 있는 소변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increased in this way, even when the opening time of the siphon cover 20-1 through the first stopper 50-2 occurs relatively short, the washing water falls from a high place and the urine in the toilet tank can be easily cleaned.

또한, 사용자는 피스톤관(40)을 이용하여 사이펀 용적부(20-4)의 부피와 사이펀(20)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이면서 사용하는 물탱크(10)의 전체 사이즈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uses the piston tube 40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siphon 20 , thereby increasing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The overall size of (10) can be variously selected.

이를 통해, 사이펀(20)은 절수 기능과 높은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siphon 20 will have a water saving function and high versatility.

<실시예 5><Example 5>

도 9, 도 10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덮개(20-1)를 통해 변기조에 있는 대변을 세정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되기 위해 제2조절부(60) 및 레버(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9, 10, and 12, the second control unit 60 and the lever so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required to wash the feces in the toilet tub through the siphon cover 20-1 flows into the toilet tub (30) may be formed.

이때, 제2조절부(60)는 제2걸림부(60-1), 제2스톱퍼(60-2), 제2무게부(60-3), 제2부력부(60-4), 제2물통부(60-5), 제2배수마개(60-6) 및 제2부구(60-9)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djustment unit 60 includes the second locking unit 60-1, the second stopper 60-2, the second weight unit 60-3, the second buoyancy unit 60-4, and the second buoyancy unit 60-4. It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two buckets (60-5), a second drain stopper (60-6), and a second part (60-9).

먼저, 제2걸림부(60-1)는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second locking part 60 - 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adjustment part 20 - 7 .

자세히 설명하면, 제2걸림부(60-1)는 제1걸림부(50-1)와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제1걸림부(50-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ocking part 60 - 1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ocking part 50 - 1 and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locking part 50 - 1 .

이를 통해, 제2걸림부(60-1)는 레버(30)의 작동으로 인해 사이펀 덮개(20-1)가 상승될 시에 사이펀 덮개(20-1)가 높게 상승되어 일정 시간 동안 열림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rai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 the second locking part 60-1 raises the siphon cover 20-1 high and maintains the open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formed to be

이로 인해, 변기조에 있는 대변을 세정할 시에 필요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세척수가 사이펀 덮개(20-1)를 통해 변기조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Due to thi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required to wash the feces in the toilet tank may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through the siphon cover 20 - 1 .

또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부(60-1)는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될 제2스톱퍼(60-2)와 접면하기 용이한 형태의 다양한 입체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second locking part 60-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shape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60-2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form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figures.

자세히 설명하면, 제2스톱퍼(60-2)는 제2걸림부(60-1)의 하측과 접면하여 제2걸림부(60-1)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topper 60-2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second locking part 60-1 by making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art 60-1.

이때, 제2스톱퍼(60-2)는 후술될 제2부구(60-9) 상측 타측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topper 60-2 may be formed by being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tool 60-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로 인해, 제2스톱퍼(60-2)는 제2부구(60-9)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서 동시에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second stopper 60 - 2 can be rotated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aising or lowering of the second auxiliary tool 60 - 9 .

즉, 제2스톱퍼(60-2)가 상하로 회전되면서 제2걸림부(60-1)를 고정시켜 레버(30)의 조작이 중단되어도 덮개 조절부(20-7)가 열려 있는 것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topper 60-2 is rotated up and down to fix the second locking part 60-1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lever 30 is stopped,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is maintained open. can be formed.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물탱크(10)에 있는 세척수가 일정 시간 동안 변기조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sequentially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다음으로, 제2무게부(60-3)는 물탱크(10)에 세척수가 채워질 시에 제2부구(60-9)를 하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weight part 60 - 3 may be formed to lower the second part 60 - 9 when the water tank 10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이때, 제2부구(60-9)는 상단에 제2무게부(60-3)를 두고 하단에 제2부력부(60-4)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buoyancy unit 60-9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second weight unit 60-3 at the upper end and the second buoyancy unit 60-4 at the lower end.

구체적으로, 제2무게부(60-3)는 상측이 관통 형성된 형태로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weight portion 60 - 3 may have an empty space inside in a form in which an upper side is penetrated.

이로 인해, 급수구(10-1)를 통해 물탱크(10)로 세척수가 유입될 시에 물탱크의 수위(10-6)가 물탱크(10)에 장착된 사이펀(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0-1,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20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can rise high.

이를 통해, 세척수는 후술될 제2물통부(60-5)로 유입되며, 순차적으로 제2무게부(60-3) 내부도 세척수로 채워지게 된다.Through this,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econd bucket 60-5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weight part 60-3 is also sequentially filled with the washing water.

이때, 제2스톱퍼(60-2)는 제2무게부(60-3)에 채워진 세척수의 무게로 인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stopper 60-2 is lower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second weight part 60-3.

다음으로, 제2부력부(60-4)는 제2무게부(60-3)의 하측에 있어 공기층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buoyancy unit 60 - 4 may be formed to generate an air layer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weight unit 60 - 3 .

이때, 제2부력부(60-4)는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buoyancy unit 60-4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mpty space therein.

자세히 설명하면, 물탱크(10)에 급수구(10-1)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면서 물탱크(10) 내에 있는 공기가 상승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0 - 1 , the air in the water tank 10 may rise.

이를 통해, 제2부력부(60-4)는 내부에 공기층이 발생되어 물탱크의 수위(10-6)가 상승됨과 동시에 제2부구(60-9)가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cond buoyancy unit 60 - 4 may be formed such that an air layer is generated therein so that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rises and the second buoyancy unit 60 - 9 rises at the same time.

또한, 제2부구(60-9)에 고정되어 있는 제2스톱퍼(60-2)는 덮개 조절부(20-7) 측면과 접면하여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이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60-2 fixed to the second part 60-9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to stop the rise of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can

이를 통해, 외부의 조작이 없을 시에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을 막아 동시에 사이펀 덮개(20-1)의 열림을 방지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washing water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siphon cover 20-1 at the same time by preventing the rise of the cover adjustment unit 20-7 when there is no external manipulation.

다음으로, 제2물통부(60-5)는 내부에 제2스톱퍼(60-2), 제2무게부(60-3) 및 제2부력부(60-4)를 포함하며 이들을 제외한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bucket part 60-5 includes a second stopper 60-2, a second weight part 60-3, and a second buoyancy part 60-4 therein. It may be formed as an empty space.

이러한 제2물통부(60-5)는 세척수가 물탱크(10)에 장착된 사이펀(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될 시에 세척수로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ucket 60 - 5 may be formed to be filled with washing water when the washing water ris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phon 20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

나아가, 제2물통부(60-5) 내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제2무게부(60-3)까지 세척수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second bucket 60 - 5 increases, the washing water is filled up to the second weight portion 60 - 3 .

이에 반하여, 사이펀 덮개(20-1)의 열림이 발생하면 세척수가 물탱크(10) 외부로 유출되어 후술될 제2배수구(60-7)를 통해 제2물통부(60-5)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opened, the washing water flows out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second water tank part 60-5 is an empty space through a second drain port 60-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with

이를 통해, 제2물통부(60-5) 내부에 있는 제2부구(60-9)가 세척수의 유입과 유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스톱퍼(60-2)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second part 60-9 inside the second bucket 60-5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stopper 60-2 can be controlled. it can be

다음으로, 제2배수마개(60-6)는 사이펀(20)의 외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배수구(60-7) 및 제2힌지(60-8)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drain plug 60-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phon 2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ain port 60-7 and a second hinge 60-8. have.

구체적으로, 제2배수마개(60-6)는 제2물통부(60-5)에 유입된 세척수를 제2물통부(60-5)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drain plug 60 - 6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water container 60 - 5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ter container 60 - 5 .

먼저, 제2힌지(60-8)는 제2배수마개(60-6)의 내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형식으로 제2배수구(60-7)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irst, the second hinge 60-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rain plug 60-6, and to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second drain hole 60-7 in a ring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제2배수마개(60-6)는 제2힌지(60-8)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제2배수구(60-7)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second drain plug 60 - 6 may be form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cond drain port 60 - 7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hinge 60 - 8 is fixed.

이때, 제2배수구(60-7)는 사이펀(2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2힌지(60-8)가 고정되도록 일정한 도형이 반복 배열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drain port 60 - 7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iphon 20 , and a predetermined figure is repeatedly arranged so that the second hinge 60 - 8 is fix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세히 설명하면, 제2배수마개(60-6)가 제2배수구(60-7)의 중측에 고정될 시에 제2배수구(60-7)의 하단의 일부는 제2배수마개(60-6)로 인해 막혀 있으며 제2배수구(60-7)의 하단의 일부만이 뚫려 있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drain plug 60-6 is fixed to the middle of the second drain port 60-7,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rain hole 60-7 is part of the second drain plug 60-6. ) and may be form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rain port 60-7 is open.

이로 인해, 제2물통부(60-5) 내에 있는 세척수는 제2물통부(60-5) 외부로 장기간에 걸쳐 유출되며, 제2부구(60-9)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bucket 60-5 flows out of the second bucket 60-5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second part 60-9 may be formed to descend relatively slowly. have.

이를 통해, 덮개 조절부(20-7)에 접면되어 있는 제2스톱퍼(60-2)가 덮개 조절부(20-7)와의 접면이 해제되게 되어 사이펀 덮개(20-1)가 하강되면서 닫힘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second stopper 60-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is released from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ver adjustment part 20-7,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is lowered and closed while being lowered. It can be performed relatively slowly.

나아가, 장기간 동안 열려 있는 사이펀 덮개(20-1)는 많은 양의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되도록 하며, 변기조에 있는 대변이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siphon cover 20-1, which is open for a long period of time, allows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to flow into the toilet tank, and the feces in the toilet tank can be cleaned efficiently.

다음으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는 레버 스위치(30-5), 가동조절부(30-6), 가동제어부(30-7), 가동스톱퍼(30-8) 및 가동걸림부(30-9)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 the lever 30 includes a lever switch 30-5, a movable control unit 30-6, a movable control unit 30-7, a movable stopper 30-8, and a movable member. It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30-9).

먼저, 레버 스위치(30-5)는 레버(3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레버(30)가 물탱크(10)에 인입된 방향을 향하여 레버(30) 상측면에서 수평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First, the lever switch 30 - 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30 so that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ver 3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30 is drawn into the water tank 10 . .

이때, 레버 스위치(30-5)는 가동조절부(30-6)와 연결되며, 가동조절부(30-6)는 레버(30)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switch 30-5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and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may be formed by being drawn into the lever 30.

또한, 가동제어부(30-7) 중측은 관통 형성되어 가동조절부(30-6)가 이러한 중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 형성된 가동스톱퍼(30-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iddl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30-7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is inserted into the middle side, and it may be formed including a movable stopper 30-8 protruding from one side,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를 통해, 가동조절부(30-6)는 레버 스위치(30-5)의 이동에 순차적으로 가동제어부(30-7) 중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may be formed to enter the middl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30-7 sequentially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switch 30-5.

이로 인해, 가동스톱퍼(30-8)는 후술될 가동걸림부(30-9) 중측에 내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movable stopper 30-8 may be formed to enter the middle of the movable stopper 30-9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가동걸림부(30-9)는 물탱크(10)에 레버(30)가 장착될 때 물탱크(10)의 외면에 접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locking part 30 - 9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when the lever 3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

이때, 레버 스위치(30-5)가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조작으로 레버(30)가 하강될 때 가동걸림부(30-9)에 가동스톱퍼(30-8)가 결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ever 30 is lowered by external manipul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switch 30-5 is not moved, the movable stopper 30-8 may not be coupled to the movable stopper 30-9. .

이를 통해, 레버(30)는 완전히 하강되며, 선수용부(30-3)와 레버 연결선(30-1)은 순차적으로 높게 상승되며, 사이펀 덮개(20-1)는 높게 열림이 수행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ever 30 is completely lowered, the bow portion 30-3 and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are sequentially elevated high, and the siphon cover 20-1 can be opened highly.

이로 인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변기조로 유입되게 되며, 변기조에 있는 대변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and the feces in the toilet tank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선택적으로 변기조에 있는 오물을 세정하는 것은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기조를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is selectively cleaning the filth in the toilet tub prevents wastage of washing water and can have the effect of efficiently cleaning the toilet tub.

선택적으로,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관(40), 조절부위(40-1) 및 피스톤 고정부(40-2)를 포함하는 사이펀(20)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ptionally, as shown in FIG. 13 , a siphon 20 including a piston tube 40 , an adjustment part 40-1 and a piston fixing part 40-2 may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물탱크(10) 하단을 차지하는 부피가 피스톤관(40)의 위치만큼 더욱 증가하여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volume occupy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is further increased by the position of the piston tube 40 to increase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이렇게 높아진 물탱크의 수위(10-6)는 제2스톱퍼(60-2)를 통해 사이펀 덮개(20-1)의 열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발생하며, 높은 곳에서 세척수가 떨어지면서 변기조 내에 있는 대변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게 된다.As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increased in this way, the opening time of the siphon cover 20-1 through the second stopper 60-2 is relatively long, and as the washing water falls from a high place, the The stool can be easily cleaned.

또한, 사용자는 피스톤관(40)을 이용하여 사이펀 용적부(20-4)의 부피와 사이펀(20)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물탱크의 수위(10-6)를 높이면서 사용하는 물탱크(10)의 전체 사이즈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uses the piston tube 40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iphon volume portion 20 - 4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siphon 20 , thereby increasing the water level 10 - 6 of the water tank. The overall size of (10) can be variously selected.

이를 통해, 사이펀(20)은 절수 기능과 높은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siphon 20 will have a water saving function and high versatility.

<실시예 6><Example 6>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용부(30-3)의 작동높이를 다르게 하여 대소변이 선택적으로 배수되기 위해 제1레버(30-10) 및 제2레버(30-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14, to be formed including the first lever 30-10 and the second lever 30-11 in order to selectively drain urine and feces by varying the operating height of the bow portion 30-3. can

먼저, 제1레버(30-10)는 물탱크(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 조작으로 인해 물탱크(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lever 30 - 10 may be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water tank 10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0 due to an external operation.

구체적으로, 도 1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조작으로 제1레버(30-10)가 내입될 시에 가동조절부(30-6)를 가압함과 동시에 선수용부(30-3)가 상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first lever 30-10 is internally operated by external manipulation,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ow portion 30-3 is It may be formed to rotate upward.

이때, 가동조절부(30-6)와 선수용부(30-3)는 직교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and the bow portion 30-3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in an orthog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해, 레버 연결선(30-1)이 낮게 상승되면서 사이펀 덮개(20-1)는 일정 높이만 열림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iphon cover 20-1 may be formed such that only a certain height is opened while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s raised low.

이로 인해, 사이펀 덮개(20-1)를 통해 적은 양의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through the siphon cover 20 - 1 .

이러한 세척수는 변기조에 있는 소변을 세정하기에 충분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절수기능을 가진다.This washing water is sufficient to wash the urine in the toilet tank,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age of the washing water, and thus has a water saving function.

다음으로, 제2레버(30-11)는 제1레버(30-10)보다 물탱크(10)의 측면 상에서 높게 형성되며 물탱크(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 조작으로 인해 물탱크(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lever 30-11 is formed hig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than the first lever 30-10, and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ter tank ( 10)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이때, 도 1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조작으로 제2레버(30-11)가 내입될 시에 가동조절부(30-6)를 가압함과 동시에 선수용부(30-3)가 상향으로 크게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4B, when the second lever 30-11 is internally operated by external manipulation, the movable control unit 30-6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ow portion 30-3 is upward. It may be formed to rotate greatly.

이를 통해, 레버 연결선(30-1)이 높게 상승되면서 사이펀 덮개(20-1)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열림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while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is raised to a high level, the siphon cover 20-1 may be formed to be opened to a relatively high position.

이로 인해, 사이펀 덮개(20-1)를 통해 많은 양의 세척수가 변기조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through the siphon cover 20-1.

이를 통해 레버(30)의 1회 작동만으로 세척수는 변기조에 있는 대변을 남김없이 세정할 수 있어 , 세척수를 낭비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적인 절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only one operation of the lever 30 is used to wash the feces in the toilet tub, and the washing water does not waste the washing water, so that it can have an efficient water saving function.

<실시예 7><Example 7>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고정부(20-5)는 사이펀 고정보조막(20-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siphon fixing part 20 - 5 may include a siphon fixing auxiliary film 20 - 10 .

이때, 사이펀 고정보조막(20-10)의 재질은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AR(Acrylic Rubber) 또는 Q(Silicone Rubber)가 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수압에 견디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siphon fixing auxiliary film 20-10 may be NR (Natural Rubber), BR (Butadiene Rubber), AR (Acrylic Rubber), or Q (Silicone Rubber), but the material limited to these examples is No, it is possible to use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all known water pressures and prevent leakage.

구체적으로, 사이펀 고정보조막(20-10)은 사이펀 고정부(20-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siphon fixing auxiliary film 20-1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fixing part 20-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사이펀 고정보조막(20-10)은 사이펀 고정부(20-5)가 융기부(10-3)에 장착할 시에 융기부(10-3)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phon fixing auxiliary film 20-10 may be formed so that the siphon fixing part 20-5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sed part 10-3 when the siphon fixing part 20-5 is mounted on the raised part 10-3.

이를 통해 물탱크(10)에 사이펀(20)이 장착될 때,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장착 강도가 높아져 사이펀 고정부(20-5)가 융기부(10-3)부터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siphon 20 is mounted on the water tank 10, it can be facilitated and the mounting strength is increased to prevent the siphon fixing part 20-5 from loosening from the protruding part 10-3. .

또한,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저장되는 상태에서 배수구(10-4)와 배수관(10-5)으로부터 세척수의 역류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and leaka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drain port 10-4 and the drain pipe 10-5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or stored.

이로 인해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절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age of the washing water,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water saving effect by using the washing water efficiently.

<실시예 8><Example 8>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펀 덮개(20-1)는 사이펀 덮개 보조막(20-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siphon cover 20 - 1 may include a siphon cover auxiliary layer 20 - 11 .

이때, 사이펀 덮개 보조막(20-11)의 재질은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AR(Acrylic Rubber) 또는 Q(Silicone Rubber)가 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수압을 견디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siphon cover auxiliary film 20-11 may be NR (Natural Rubber), BR (Butadiene Rubber), AR (Acrylic Rubber), or Q (Silicone Rubber), but the material limited to these examples is No, it is possible to use a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all known water pressures and preventing leakage.

구체적으로, 사이펀 덮개 보조막(20-11)은 사이펀 덮개(2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siphon cover auxiliary layer 20-1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cover 2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사이펀 덮개 보조막(20-11)은 사이펀 덮개(20-1)가 닫힌 상태일 때 사이펀 마개판(20-3)과 사이펀 덮개(20-1)의 강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phon cover auxiliary layer 20-11 may be formed so that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and the siphon cover 20-1 are strong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siphon cover 20-1 is in a closed state.

이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저장되는 상태에서 사이펀 마개판(20-3)과 사이펀 덮개(20-1)로부터 세척수의 역류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and leakage of washing water from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and the siphon cover 20-1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or stored.

이로 인해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절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age of the washing water,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water saving effect by using the washing water efficiently.

<실시예 9><Example 9>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는 물탱크 보조패널(10-7)과 보조패널 거치대(10-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the water tank 10 may include a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 - 7 and an auxiliary panel holder 10 - 8 .

이때 물탱크 보조패널(10-7)과 보조패널 거치대(10-8)의 재질은 플라스틱,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이 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7 and the auxiliary panel holder 10-8 may be plastic, plastic, ceramic, or metal,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illustrated in this way.

특히, 보조패널 거치대(10-8)는 접착부재를 통하여 물탱크(10) 내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착될 수 있다. 이 보조패널 거치대(10-8)를 통하여 물탱크 보조패널(10-7)을 물탱크(10) 내부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panel holder 10 - 8 may be adher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through an adhesive member. The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7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auxiliary panel holder 10-8.

구체적으로, 물탱크 보조패널(10-7)과 보조패널 거치대(10-8)는 물탱크의 수위(10-6)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7 and the auxiliary panel holder 10-8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ter tank.

이러한 물탱크 보조패널(10-7)은 물탱크(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변기조로 유입될 시에 물탱크(10)의 뚜껑이나 물탱크(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7 prevent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from leaking out of the lid of the water tank 10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when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is supplied or introduced into the toilet tank. do.

이를 통해,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으며 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절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waste of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be reduced, an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efficiently used, thereby saving water.

또한, 외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들을 물탱크 보조패널(10-7)을 통해 막을 수 있어 세척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nts flowing in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tank auxiliary panel 10-7,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이로 인해, 세척수의 수질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오염이 최소화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변기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state of the washing water in an optimal stat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wash the toilet tank using the washing water with minimal contamination.

<실시예 10><Example 10>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는 수질측정기(10-9)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the water tank 10 may be formed to include a water quality meter 10 - 9 .

이때 수질측정기(10-9)에 의하여 물탱크(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흐림과 세균의 함유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oudiness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nd the content of bacteria can be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meter 10 - 9 .

구체적으로는, 수질측정기(10-9)는 물탱크(10)의 세척수 내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질측정기(10-9)는 물탱크(10) 외부에 장착된 수질신호기(10-1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quality meter 10 - 9 may be positioned in the washing water of the water tank 10 to be formed. The water quality meter 10 - 9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water quality signal device 10 - 1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

이러한 수질측정기(10-9)는 세척수의 수질상태에 따라 수질신호기(10-1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신호를 받은 수질신호기(10-10)는 수질상태의 값에 따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수질상태가 설정한 값에서 미달인 경우에는 적색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water quality meter 10-9 may send a signal to the water quality signal device 10-10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state of the washing water. The water quality signal device 10-10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may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water quality state. When the water qual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a red signal may be gene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탱크(10)의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수의 수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질상태 점검은 물탱크(10) 내부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quality of the washing water without opening the lid of the water tank 10 . This inspection of the water quality can efficiently perform maintenanc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

또한, 세척수의 수질상태를 기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변기조를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10) 내에 있는 세척수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어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절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oilet tank more hygienically while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of the washing water above the standar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wastag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efficiently used, thereby having a water saving effect.

본 발명은 사이펀 덮개를 개폐하는 시간차를 통해 대소변을 구분하여 세척수의 양을 달리 하는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탱크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device for differentiat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by separating urine and feces through a time difference between opening and closing a siphon cover, and a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and is an industrially applicable invention.

Claims (7)

레버 연결선(30-1)의 하측에 연결되어 외부 조작으로 인해 레버 연결선(30-1)의 상승과 하강을 통해 세척수를 변기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이펀 덮개(20-1);
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배수가 중단될 시에 사이펀 덮개(20-1)의 하단에서 사이펀 덮개(20-1)가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된 사이펀 마개판(20-3);
물탱크(10)의 하단에 내입되어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이펀 고정부(20-5);
사이펀 덮개(20-1)가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사이펀 덮개(20-1)의 상측에 형성된 덮개 조절부(20-7);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걸림부(50-1);
제1걸림부(50-1)의 하측과 접면하여 제1걸림부(50-1)를 제어하고 덮개 조절부(20-7) 측면과 접면하여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이 중단되도록 형성된 제1스톱퍼(50-2);
물탱크(10)에 세척수가 채워질 시에 제1부구(50-9)를 하강시키는 제1무게부(50-3);
제1무게부(50-3)의 하단에 있어 공기층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제1부력부(50-4);
상단에는 제1무게부(50-3)를, 하단에는 제1부력부(50-4)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부구(50-9);
덮개 조절부(20-7)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걸림부(60-1);
제2걸림부(60-1)의 하측과 접면하여 제2걸림부(60-1)를 제어하고 덮개 조절부(20-7) 측면과 접면하여 덮개 조절부(20-7)의 상승이 중단되도록 형성된 제2스톱퍼(60-2);
물탱크(10)에 세척수가 채워질 시에 제2부구(60-9)를 하강시키는 제2무게부(60-3);
제2무게부(60-3)의 하단에 있어 공기층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제2부력부(60-4); 및
상단에는 제2무게부(60-3)를, 하단에는 제2부력부(60-4)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2부구(60-9);
를 포함하는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a siphon cover 20-1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and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into the toilet tank throug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lever connection line 30-1 due to external manipulation;
a siphon stopper plate 20-3 formed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can be cl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cover 20-1 when the draining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is stopped;
a siphon fixing part 20-5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a cover control unit 20-7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phon cover 20-1 so that the siphon cover 20-1 moves vertically;
a first locking part 50-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The first locking part 50-1 is controlled by making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ocking part 50-1, and the elevation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is stopped by making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a first stopper (50-2) formed so as to be;
a first weight portion 50-3 for lowering the first floating port 50-9 when the water tank 10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A first buoyancy unit (50-4) formed to generate an air layer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weight unit (50-3);
a first buoyancy unit (50-9) formed to include a first weight unit (50-3)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buoyancy unit (50-4) at the lower end;
a second locking part 60-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The second locking part 60-1 controls the second locking part 60-1 by making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art 60-1, an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the elevation of the cover adjusting part 20-7 is stopped. a second stopper (60-2) formed so as to be;
a second weight portion 60-3 for lowering the second sub-portion 60-9 when the water tank 10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a second buoyancy unit (60-4) formed to generate an air layer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eight unit (60-3); and
a second buoyancy (60-9) formed to include a second weight unit (60-3)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buoyancy unit (60-4) at the lower end;
An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that inclu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펀 마개판(20-3)은 물탱크(10) 내의 세척수의 수위(10-6)를 높이도록 사이펀 마개판(20-3)의 하단에 형성된 사이펀 용적부(20-4)를 포함하는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optionally includes a siphon volume portion 20-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stopper plate 20-3 to increase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이펀 용적부(20-4)는,
물탱크(10) 내의 세척수의 수위(10-6)가 조절되도록 사이펀 용적부(20-4)의 상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관(40);
피스톤관(4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사이펀 용적부(20-4) 외측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조절부위(40-1); 및
피스톤관(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조절부위(40-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피스톤 고정부(40-2);
를 포함하는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is,
a piston tube 4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iphon volumetric portion 20-4 so that the water level 10-6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is adjusted;
The piston tube 40 may be moved up and down the siphon volume portion 20-4, one or more adjustment portions 40-1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n the outer surface; and
a piston fixing part 40-2 formed at one end of the piston tube 40 and protruding so that the adjustment part 40-1 can be fitted;
An optional water-saving toilet accessory tha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양변기 부속 장치를 포함하는 양변기 물탱크.A toilet water tank comprising the toilet accessory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양변기 부속 장치를 포함하는 양변기.A toilet comprising the toilet accessory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210088306A 2021-07-06 2021-07-06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KR102353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06A KR102353843B1 (en) 2021-07-06 2021-07-06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06A KR102353843B1 (en) 2021-07-06 2021-07-06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43B1 true KR102353843B1 (en) 2022-01-20

Family

ID=8005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306A KR102353843B1 (en) 2021-07-06 2021-07-06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8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079A (en) * 1995-08-23 1997-03-04 Shoeki Kigyo Kofun Yugenkoshi Water control or supply mechanism of two stage type stool water tank
KR200210865Y1 (en) * 2000-07-14 2001-01-15 백명기 Device for water saving of closet
KR20210028827A (en) * 2019-09-05 2021-03-15 송태광 Water saving flush valve of urine and feces distintion ty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079A (en) * 1995-08-23 1997-03-04 Shoeki Kigyo Kofun Yugenkoshi Water control or supply mechanism of two stage type stool water tank
KR200210865Y1 (en) * 2000-07-14 2001-01-15 백명기 Device for water saving of closet
KR20210028827A (en) * 2019-09-05 2021-03-15 송태광 Water saving flush valve of urine and feces distintion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JP2020524235A (en) Sewage discharge device for variable water-saving Western toilet
WO2007056937A1 (en) Toilet flusher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20150046978A (en) Auto flushing device for a toilet bowl in a type of flapper
KR101218592B1 (en) Remaining water controlling device for saving water volume in toilet tank
JP2008223219A (en) Auxiliary water tank device for upright western style toilet stool
KR102353843B1 (en) Optional toilet accessory for water saving, water tank, and toilet including the same
KR101088242B1 (en) Water saving type water tank of a flushing style chamber pot
US6219855B1 (en) Toilet bowl in combination with pressurized flush tank
KR100530575B1 (en) Toilet for water saving
JP5441015B2 (en) Washing water tank device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CA2557956C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200439371Y1 (en) Chamber pot for saving water
JP2002242256A (en) Low-installation water tank
KR200372183Y1 (en) Energy saving toilet
CN212715211U (en) Toilet seat
KR200265940Y1 (en) A water-saving toilet stool using waste water
KR102561312B1 (en) Drainage equipment for toilet
KR200191217Y1 (en) A water saving device of water closet
KR101135953B1 (en) A water flapper of toilet bowl&#39;s water tank for controlling a water volumn
JP3652601B2 (en) Cleaning tank device
KR200313300Y1 (en) Water-saving toilet and lever structure
KR100384388B1 (en) Toilet stool to economiz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