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754B1 -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3754B1 KR102353754B1 KR1020210170947A KR20210170947A KR102353754B1 KR 102353754 B1 KR102353754 B1 KR 102353754B1 KR 1020210170947 A KR1020210170947 A KR 1020210170947A KR 20210170947 A KR20210170947 A KR 20210170947A KR 102353754 B1 KR102353754 B1 KR 102353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mboo
- lead
- vertical
- groov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지지수납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와,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지지수납홈을 통해 수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며 대나무 소재로 형성된 대나무 가로막이바들을 구비한다.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로재로 적용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로재로 적용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나무를 상호 나란하게 배열하여 울타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된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용 울타리는 각종 건축물이나 공원 및 정원 등에 화단의 경계, 방호 또는 조형미감 증대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울타리는 설치하고자 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목재나 합성수지 및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 지게 되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매입 고정시킨 포스트에 연결되는 가로재가 일체로 고정한 구조로 설치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울타리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인 울타리를 사용하거나 질감이 좋고 외관이 미려한 원목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재질의 울타리는 금속이 갖는 투박함과 과다한 중량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제작 및 설치가 난해함은 물론, 설치시 용접기와 같은 과중한 설치장치가 필요하고 일일이 개별 용접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차도의 경계면에나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장소에는 사람들이 통행에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시 수분에 의해 특정 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원목재질의 가로재를 적용한 울타리는 나무의 질감을 그대로 살려 자연적인 외관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금속재질보다 경량이어서 설치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원목 단가가 너무 비싼 고가품이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여 사용이 한정적인 수박에 없으며, 수분에 대한 부식성이 좋지 않아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즘에는 목재나 철재 대신 플라스틱 패널이 철재 프레임 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양측의 철재프레임은 지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한 울타리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을 이용한 휀스는 플라스틱 패널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처럼 기후변화가 심한 나라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라 플라프틱 패널이 신축하게 되어, 휀스의 모양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여름에는 플라스틱 패널이 늘어나고, 겨울에는 플라스틱 패널이 줄어들게 되는데, 지주 역할를 하는 철재 프레임과 플라스틱 패널이 고정 결합되어, 플라스틱 패널의 신축을 보장하여 주지 못함으로, 패널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76733호에는 대나무를 이용한 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울타리는 조립 및 설치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대나무를 가로재로 적용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는 지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지지수납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상기 지지수납홈을 통해 수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며 대나무 소재로 형성된 대나무 가로막이바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기 지지수납홈은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일측면에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인입된 제1수평인입부분과,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에 대해 수직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과 함께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보다 더 길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2수평인입부분과, 상기 진입구를 통해 진입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게 상기 제2수평인입부분의 종단과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의 종단 사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인입되어 호형궤적의 내측면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호형의 바닥면을 갖는 안착 가이드 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일측면에 대해 수직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측면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부분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상기 진입구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인입부분을 수직상으로 연통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인입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이탈억제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의 사이드 측면에 형성된 수직인입홈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인입홈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수직 인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 인입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 억제핀은 상기 수직인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으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이탈몸체부분과, 상기 이탈몸체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인입홈에 진입되는 상부 걸림지지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로재로 적용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지지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직 지지대에 대나무 가로막이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대의 대나무 가로막이바 이탈억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탈억제핀을 수직 지지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지지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직 지지대에 대나무 가로막이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대의 대나무 가로막이바 이탈억제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탈억제핀을 수직 지지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지지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직 지지대에 대나무 가로막이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100)는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110)와 대나무 가로막이바(150)들을 구비한다.
수직 지지대(110)는 지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지지수납홈(120)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수직 지지대(110)는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수납홈(120)은 수직상으로 7개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적용 개수는 예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 지지대(110)는 수직상으로의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지지대(110)는 지면에 일정깊이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 또는 저면에 확장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고정체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고정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 지지대(110)의 지지수납홈(120)은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종단으로부터 일정길이부분이 진입 및 진출될 수 있는 진입구(120a)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수직 지지대(110)에 형성된 지지수납홈(120)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면, 제1수평인입부분(121)과, 제2수평인입부분(122) 및 안착 가이드 부분(123)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수평인입부분(121)은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장착시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일측면(110a)에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인입되는 부분이다.
제2수평인입부분(122)은 제1수평인입부분(121)에 대해 수직상으로 상방으로 이격되어 제1수평인입부분(121)과 함께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120a)를 형성하며 제1수평인입부분(121)보다 더 긴 길이를 갖게 길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안착 가이드 부분(123)은 진입구(120a)를 통해 진입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게 제2수평인입부분(122)의 종단과 제1수평인입부분(121)의 종단 사이에 일측면(110a)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인입되어 호형궤적의 내측면을 갖게 형성되며 제1수평인입부분(121)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호형의 바닥면(123a)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수평인입부분(121)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하부에 깊어지게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 부분(123)의 호형의 바닥면(123a)은 반원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수직 지지대(110)의 지지수납홈(120)은 일측면(110a)과 일측면(110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접하는 양 사이드측면(110b)은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수평인입부분(121) 및 안착 가이드 부분(123)에 해당하는 윤곽선을 따라 개방되어 일측면(110a)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중앙을 향하여 인입된 후 차폐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수직 지지대(110)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이후에도 일측면(110a)에 노출되는 진입구(120a)를 통해 진입하여 안착 또는 진출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대나무 가로막이바(150)는 수직 지지대(110)들 사이에 지지수납홈(120)을 통해 수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며 대나무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된다.
또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수직 지지대(110)에 삽입되는 양단부분의 직경은 안착 가이드 부분(123)의 호형의 바닥면(123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110)를 적용하고자 하는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길이 보다 약간 짧게 상호 이격되게 설치하고, 대나무 가로막이바(150)를 지지수납홈(120)을 통해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삽입하여 호형의 바닥면(123a)에 안착되게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호형의 바닥면(123a)에 안착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는 호형의 바닥면(123a)으로부터 제1수평인입부분(121)까지의 지지부분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이탈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를 교체하거나 필요시 진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지지수납홈(120)으로부터 진입구(1210a) 외측으로 이동되게 분리시키면 된다.
한편,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이탈을 더욱 억제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지지대(110)의 사이드 측면(110b)에는 이탈억제핀(130)을 매입 상태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핀수납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핀수납홈(115)을 구분하면, 상부 인입홈(115a), 수직 인입홈(115b) 및 하부 인입홈(115b)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인입홈(115a)은 수직지지대(110)의 일측면(110a)과 접하며 일측면(110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직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측면(110b)에 최상단에 마련된 지지수납홈(120)의 상부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이탈억제핀(130)의 상부 걸림지지부분(131)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사이드 측면(110b)의 표면에서 일측면(110a)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부 인입홈(115a)은 수직인입홈(115b)의 상단에서 수직인입홈(115b)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며 수직 인입홈(115b)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인입홈(115a)은 상부 걸림지지부분(131)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깊이 진입한 후 높이가 더 낮게 단차진 안착턱 부분(115a1)에 안착될 수 있게 내부로 진입되면 높이가 낮은 계단형태로 단차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인입홈(115b)은 수직지지대(110)의 사이드 측면(110b)에 상부 인입홈(115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안착가이드부분(123)의 바닥면(123a)에 안착된 대나무 가로막이바(150)의 진입구(120a)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이탈억제핀(130)의 이탈몸체부분(132)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부분으로 제1 및 제2수평인입부분(121)(122)을 수직상으로 연통되게 연결하면서 사이드 측면(110b)의 표면에서 일측면(110a)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직 인입홈(115b)은 수직지지대(110)의 최하단에 마련된 지지수납홈(120)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인입홈(115c)은 수직지지대(110)의 사이드 측면(110b)에 형성된 수직인입홈(115b)의 하단에서 수직인입홈(115b)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며 수직 인입홈(115b)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인입홈(115c)도 하부 걸림지지부분(133)이 수평방향으로 일정깊이 진입한 후 높이가 더 낮게 단차진 안착턱 부분(115c1)에 안착될 수 있게 내부로 진입되면 높이가 낮은 계단형태로 단차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억제핀(130)는 핀수납홈(115)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탈 억제핀(130)은 수직인입홈(15b)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으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이탈몸체부분(132)과, 이탈몸체부분(132)의 상단 및 하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상부 인입홈(115a) 및 하부 인입홈(115b)에 진입되는 상부 걸림지지부분(131) 및 하부 걸림지지부분(133)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탈 억제핀(130)은 도시지는 않았지만 핀수납홈(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지지대(110)에 결합핀으로 고정해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상부 인입홈(115a) 및 하부 인입홈(115b)은 계단 형태의 높이가 다른 이단 단차 구조로 형성되지 않거나, 내부로 진입될 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이탈 억제핀(130)의 상부 및 하부 걸림지지부분(131)(133)의 형상을 도시된 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 인입홈(115a)(115c)를 그에 대응되게 형성한 구조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하부 인입홈(115c) 및 하부 걸림지지부분(133)이 생략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로재로 적용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110: 수직 지지대
150: 대나무 가로막이바
150: 대나무 가로막이바
Claims (4)
- 삭제
- 삭제
- 지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지지수납홈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상기 지지수납홈을 통해 수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며 대나무 소재로 형성된 대나무 가로막이바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기 지지수납홈은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일측면에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인입된 제1수평인입부분과,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에 대해 수직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과 함께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보다 더 길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2수평인입부분과, 상기 진입구를 통해 진입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게 상기 제2수평인입부분의 종단과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의 종단 사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인입되어 호형궤적의 내측면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인입부분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호형의 바닥면을 갖는 안착 가이드 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일측면에 대해 수직상으로 연장된 사이드 측면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부분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기 대나무 가로막이바의 상기 진입구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인입부분을 수직상으로 연통되게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인입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이탈억제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사이드 측면에 형성된 수직인입홈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인입홈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수직 인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 인입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 억제핀은
상기 수직인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으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이탈몸체부분과, 상기 이탈몸체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인입홈에 진입되는 상부 걸림지지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947A KR102353754B1 (ko) | 2021-12-02 | 2021-12-02 |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947A KR102353754B1 (ko) | 2021-12-02 | 2021-12-02 |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3754B1 true KR102353754B1 (ko) | 2022-01-19 |
Family
ID=8005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0947A KR102353754B1 (ko) | 2021-12-02 | 2021-12-02 |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375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8100A (ja) * | 1994-07-15 | 1996-01-30 | Kaga Gakuhei Shokai:Kk | フェンス及びその支柱 |
KR101473157B1 (ko) * | 2014-09-18 | 2014-12-15 | 주식회사 대일휀스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
-
2021
- 2021-12-02 KR KR1020210170947A patent/KR102353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8100A (ja) * | 1994-07-15 | 1996-01-30 | Kaga Gakuhei Shokai:Kk | フェンス及びその支柱 |
KR101473157B1 (ko) * | 2014-09-18 | 2014-12-15 | 주식회사 대일휀스 |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7198B2 (en) | Fence brace system adapted for use with alternative fence post arrangements | |
US20060113517A1 (en) | Modular fenc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US5702090A (en) | Snap together plastic fence | |
US6173944B1 (en) | Plastic in-line fencing | |
US20030222257A1 (en) | Fence post and rail assembly with concealed strengthening bars | |
US10808419B2 (en) | Fence system | |
JPH07502087A (ja) | 屋根パネル用コネクタ手段及びその取付け方法 | |
US3484081A (en) | Prefabricated fencing | |
MXPA05013070A (es) | Cerca de privacidad de interbloqueo. | |
US9518404B2 (en) | Fence post system | |
US7726633B2 (en) | Plastic fence | |
KR102353754B1 (ko) | 대나무 울타리 구조체 | |
US10835059B2 (en) | Fence pane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 |
US20100327246A1 (en) | Modular fence system and method | |
US20070181866A1 (en) | Fence | |
WO2006111728A1 (en) | A kit for assembling a fence | |
US3050287A (en) | Woven panel fence | |
CA3043904A1 (en) | Utility post and method of use | |
KR101072007B1 (ko) |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 |
KR101051701B1 (ko) | 메쉬망 지지틀을 갖는 메쉬 펜스 | |
KR101784389B1 (ko) |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 | |
KR101006388B1 (ko) | 펜스고정장치 | |
GB2551561A (en) | Improvements in fencing | |
AU2008326877A1 (en) | Fencing system | |
US20210207396A1 (en) | Fence Brace System Adapted To Secure A Fence Rail To A Fence Po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