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548B1 -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548B1
KR102353548B1 KR1020190102629A KR20190102629A KR102353548B1 KR 102353548 B1 KR102353548 B1 KR 102353548B1 KR 1020190102629 A KR1020190102629 A KR 1020190102629A KR 20190102629 A KR20190102629 A KR 20190102629A KR 102353548 B1 KR102353548 B1 KR 10235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korean
content
education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4322A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씨테크
Priority to KR102019010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48B1/en
Publication of KR2021002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기, 국가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국가별 모듈들;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국가별 모듈들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공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공통 모듈을 통해 통합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할 경우, 분양형 LMS를 사용하여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전달·평가·관리가 가능하며, 다양한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arner terminal,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set for each country, and an administrat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cluding terminals; Country-specific modul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and a common module that includes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and transmits data to the country-specific modules, where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provi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to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e the comm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a module.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develop, deliver, evaluate, and man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ale-type LMS,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manage the overall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distributed in various countries in an integrated manner. Foreign users of the country can learn Korean efficiently.

Description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 과정의 통합적인 운영·관리를 가능케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integrated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distributed in various countries It's about technology that makes management possible.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학업 또는 취업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능력시험을 응시하고자 하는 외국인도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한 한국어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Foreig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or employment purposes. Accordingly,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want to tak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s increas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are being developed for this purpose.

일반적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은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이라고도 하며, 재외동포 및 외국인의 한국어 사용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결과를 국내 대학 유학 및 취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응시하는 시험을 말한다.In general,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lso called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refers to a test taken to measure and evaluat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and use the results to study abroad and find employment in domestic universities.

기존의 방법으로는 외국인이 한국어능력시험을 응시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학원이나, EBS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한국어능력시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기출문제를 풀거나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학습하는 방식이 있다.In the existing method, in order for foreigners to tak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private tutoring institut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ing through EBS education programs, solving previous problems using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website, or collecting related materials to learn There is a way.

그러나, 점차 한국어능력시험을 응시하려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한국어 학습이나 수준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으로써 기존의 방법만으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됨에 따라 외국인들이 한국어능력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효율성과 피드백의 지원에 한계가 있다.However, as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want to tak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or level increases accordingly, the existing method alone consumes a lot of money and time. Feedback support is limited.

특히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나라인 필리핀, 베트남, 네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각 나라 현지인들에게 생소할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Vietnam, Nepal, Indonesia, and Cambodia, where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s gradually increasing, is being conducted in a way that is unfamiliar to the locals of each country.

현재는 각 나라에 자리 잡고 있는 사교육학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체계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제공되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도 외국인 사용자의 니즈(needs)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로 단지 언어로서의 구조 및 단어들의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Curr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located in each country is often unsystematic, and the provid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does not reflect the needs of foreign users, and merely reflect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words as a language. designed to teach.

이러한 종래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딱딱하게 진행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여 학습능률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한국어 교육 강사들마다 커리큘럼이 다른 경우도 많아서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의 통합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These conventional Korean education contents are rigid and do not arouse users' interest, thereby hindering learning efficiency,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curriculum is different for ea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ructor, so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management of the overall 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스마트 교육 시스템 관련 종래기술로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390968호(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스마트 교육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영상, 화상 및 생방송, 문제 은행 방식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s a prior art related to a smart education system, there is a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390968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in a video, video and live broadcast, question bank method in conjunction with a smart education application.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의하면 다양한 교육 콘텐츠가 제공되더라도, 다양한 국가의 현지인 학습자들을 통합 관리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even i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re provided, as a system that cannot integrate and manage local learners of various countries,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a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예를 들어, 필리핀, 베트남, 네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의 나라에서 "식사했나요?", "식사하셨습니까?", "진지 드셨나요?", "밥 드셨어요?" 등의 다양한 표현의 차이를 이해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며, 각 나라별로 이러한 대화체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문화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For example, in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Vietnam, Nepal, Indonesia, and Cambodia, "Have you eaten?", "Have you eaten?", "Did you seriously eat?", "Have you eate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expressions such as, etc., and cultural differences can have a great effect on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n dialogue for each country.

이에 따라 나라별 문화 차이에 의해 한국어의 습득 속도나 이해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나라별로 한국어 교육 커리큘럼 및/또는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speed o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inevitably occur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each country, and a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or contents for each country, but that can manage it in an integrated manner is required.

현재는 각 나라별로 통합 관리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을 찾기 어려우며, 한국으로 가기 전에 현지에서 미리 외국인으로서의 언어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한국어 교육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하여, 국가별로 외국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다.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find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that is integrated and managed by each country, and in order to overcome linguistic limitations as a foreigner in advance before going to Korea, it is impossible with the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There is a need for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KRKR 10-1390968 10-1390968 B1B1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들이 손쉽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된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e-learning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enable foreigners of various countries to easily learn Korea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대화체의 차이까지 국가별 외국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국어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onfigured so that foreigners by country can easily understand even the difference in dialogu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학습자 단말기, 국가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국가별 모듈들;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국가별 모듈들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공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공통 모듈을 통해 통합 관리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cluding a learner terminal,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set for each country,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Country-specific modul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and a common module that includes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and transmits data to the country-specific modules, where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provi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to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e the common module It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that is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module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통 모듈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강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further include an instructor terminal for inputting data to the common module.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가 활용되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is designed by utilizing a global cloud infrastructure.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 및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preferably include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a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LCMS).

또한, 상기 LMS는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로서, 상기 공통 모듈에서 구축된 핵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MS is a cloud-based pre-sale LMS, and includes the core functions built in the common modu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re variably constructed by the operator terminal to further include the customized function.

또한, 상기 LCMS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으로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LMS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로부터 맞춤형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LMS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CMS develops, stores, and manages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a media streaming service, and extracts customized content from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MS and delivers it to the LMS.

또한,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평가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요청부 및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ntry-specific modules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an online evaluation system, a customized content requesting unit, and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와 LCMS로 구성된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공통 모듈이 구성되는 단계; 다수의 국가에 대해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포함하도록 상기 LMS를 가변적으로 구축하는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는 국가별 모듈들이 구성되는 단계; 상기 국가별 모듈들 중에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다수의 국가 중 어느 한 국가의 언어를 사용하는 모듈이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모듈에 의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공통 모듈의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가 활용되어 설계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guring a common module including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consisting of a cloud-based pre-sale type LMS and LCMS; A step of configuring country-specific modules including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for variably constructing the LMS to inclu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country-specific cultural characteristics for a plurality of countries; selecting a module using a language of one of the plurality of countries by a learner terminal from among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collecting user experience data from the learner terminal by the selected module; Including,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is designed by utilizing a global cloud infrastructure, Korean e-learning comprising; configuring the customized content by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the user experience data of the common module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또한, 상기 국가별 모듈들이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언어의 사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맞춤형 기능 생성부가 각각 구성되는 단계; 상기 국가별 모듈들에서 사용될 과금 체계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가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콘텐츠는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상기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of configuring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may include: configuring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he user experience data is stored, a dictionary database of the language, and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respectively; setting a billing system to be used 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nd configuring a machine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by using the user experience data, wherein the customized content is provided to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th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t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each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nly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분양형 LMS를 사용하여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전달·평가·관리가 가능하며, 다양한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deliver, evaluate, and man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using a pre-sale type LMS,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manage the overall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distributed in various countries in an integrated manner. .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 사용자들이 손쉽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으며, 대화체의 차이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어, 한국에서 공부하거나 일하거나 생활하는 데에 필요한 언어구사력을 키울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users of various countries can easily learn Korean and easily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dialogu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language proficiency necessary for studying, working, or living in Korea.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글로벌 클라우드를 연계하여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이 구성됨으로써 국가별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의 원활하고 경제적인 제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is configured in connection with the global clou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network environment for each country smoothly and econom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국가별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공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공통 모듈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of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on module of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Korean education content of a common module of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has been defined taking into account.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pression in the singul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and even if it is similarly expressed in plural,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singular.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it is sta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at a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further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could mean that you can.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exists in or connected to" of another component, this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and a certain I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by a distance, and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exist, and now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hird element or means does not exis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have the same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for one component, this single component It is used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ly used by such ter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and "right",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a relative posi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with respect to their position, these posi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device”, etc., if used, mean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means hardware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도록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eral even if the component is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clearly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또한, 이하에서 "국가별 모듈들"은 다양한 국가별로 구성된 모듈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필리핀 모듈은 국가별 모듈들 중 하나의 모듈로서, 필리핀 국가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베트남 모듈도 국가별 모듈들 중 하나의 모듈로서, 베트남 국가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hereinafter, “country-specific modules” is used as a generic term for modules configured for various countries. For example, the Philippine module is one of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Likewise, the Vietnam module is one of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Vietnamese country.

또한, 이하에서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데이터의 집합으로 규정하며, 공통 모듈 및 국가별 모듈들 각각에 포함되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hereinafter, "Korean education content" is defined as a set of data such as a database that can be stored in at least one server, and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included in each of the common module and country-specific modules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ways. may be

또한,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서버와 통신가능한 장치이거나, 컴퓨터 또는 PC 태블릿과 같은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hereinafter, "user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or a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PC tabl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국어 Korean 이러닝e-learning 제공 시스템 delivery system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A system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a configuration of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0),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국가별 모듈들(200), 및 국가별 모듈들(200)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공통 모듈(300)을 포함한다.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 country-specific modules 200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 and country-specific modules 200 . It includes a common module 300 for forwarding.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학습자 단말기(110), 국가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120), 및 관리자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include a learner terminal 110 ,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120 set for each country,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130 .

학습자 단말기(11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다양한 국가에 위치하는 현지인의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필리핀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학습자 단말기(110)는 필리핀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The learner terminal 110 is actually a terminal of a user who wants to learn Korean using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terminal of a local person located in various countries. For example, when a learner wants to us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hilippines, the learner terminal 110 may acces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network environment in the Philippines.

국가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120)는 각 국가에서의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본 발명의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운영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리핀, 베트남 및 네팔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해 국가별로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120)가 구성되어 국가별 학습자 단말기(110)를 관리할 수 있다.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120 set for each country may be a terminal that operates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ducation in each country can be smoothly conducted. For example,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120 is configured for each country for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10 in each of the Philippines, Vietnam, and Nepal to manage the learner terminal 110 for each country.

운영자 단말기(120)가 학습자 단말기(110)를 관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닝 플랫폼을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진도, 성취도, 성적, CS(customer service, 고객 서비스), 문의 내용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12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130) 측으로 보충 자료, 웹 사이트 구성, 강사 인력 지원 등과 관련된 요청이 전달될 수 있다. As the operator terminal 120 manages the learner terminal 110,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learning progress, achievement, grades, CS (customer service, customer service), inquiries, etc. of learners who actually use the e-learning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addition, requests related to supplementary materials, web site configuration, instructor manpower support, and the like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130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120 .

즉, 운영자 단말기(120)는 현지에 있는 업체 또는 교육 기관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웹 사이트에 대한 변경 사항 등을 관리자 단말기(130) 측으로 요청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인 웹 사이트의 개발 및 업데이트 등은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or terminal 120 is a terminal used by a local business o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may be used to request changes to the website, etc. to the manager terminal 130 side. In this case, the actual web site development and updat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30 .

또한, 관리자 단말기(130)는 공통 모듈(30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공통 모듈(300)을 통해 국가별 모듈들(200)을 통합 관리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30)에 의해 공통 모듈(300)의 세부 설정 및 구성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별 모듈(2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13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o the common module 300 , and may be a termina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untry-specific modules 200 through the common module 300 . The detailed setting and configuration of the common module 3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nager terminal 130 , and accordingly, data transmitted to the country-specific module 200 may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학습자 단말기(110), 운영자 단말기(120) 및 관리자 단말기(130)뿐만 아니라, 공통 모듈(30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강사 단말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earner terminal 110 , the operator terminal 120 , and the manager terminal 130 , as well as the instructor who inputs data into the common module 300 . I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140 .

강사 단말기(140)는 공통 모듈(300)로 강의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강의 자료로서는 강의 영상, 강의 교재, 문제집, 문제풀이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강사 단말기(140)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공통 모듈(300)에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국가별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The instructor terminal 14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lecture materials to the common module 300 . The lecture materials may include lecture videos, lecture materials, problem books, problem solving materials, and the like. Here, the instructor terminal 140 is a terminal that provid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to the common module 300 , and may not be configured for each country.

또한, 강사 단말기(140)는 다수 개로 공통 모듈(3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 개의 강사 단말기(140)를 통해 양방향 교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기(140)와 학습자 단말기(110)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여, 모바일 카메라를 통해 화상으로 한국어 교사와 현지 학생이 통화할 수도 있다. 또한, 한국어 교사와 현지 학생은 각각 강사 단말기(140) 및 학습자 단말기(110)를 통해 채팅창에 글을 남기면서 한국어 첨삭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tructor terminals 140 may be registered in the common module 300 , and an interactive edu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structor terminals 140 . For example, since the instructor terminal 140 and the learner terminal 110 can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Korean language teacher and a local student may make a call through an image through a mobile camera. In addition, the Korean language teacher and the local student can edit Korean while leaving a message in the chat window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140 and the learner terminal 110, respectively.

강사 단말기(140)를 사용하는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 및 외국어 모두에 능통한 교사로서 한국에 거주하는 전문인력일 수 있다. 강사 단말기(140)가 공통 모듈(300)에 등록될 시에 강사 단말기(140)에 의해 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관련 대학 졸업증, 한국어교육 자격증 등의 자료가 입력됨으로써 전문인력이 검증될 수 있다.
A Korean language teacher using the instructor terminal 140 may be a professional manpower residing in Korea as a teacher fluent in both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When the instructor terminal 140 is registered in the common module 300, data such as a Korean language teacher's Korean-related university diploma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ertificate are input by the instructor terminal 140 to verify professional manpower.

다음은 도 2를 더 참조하여 국가별 모듈들(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국가별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of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 모듈들(200)은 필리핀 모듈(210), 베트남 모듈(220), 네팔 모듈(230), 인도네시아 모듈(240), 캄보디아 모듈(250) 등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가별 모듈들(200)은 동남아 16개국 각각에 대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nclude modules such as the Philippines module 210 , the Vietnam module 220 , the Nepal module 230 , the Indonesia module 240 , and the Cambodia module 250 . can do.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odules for each of 16 Southeast Asian countries.

이와 같은 국가별 모듈들(200) 각각의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국가별 모듈들(200)에는 국가별 경제 수준 및 문화 차이로 인한 현지화된 과금 체계가 구비되고 현지 사용자 경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가별 모듈들(200)은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해당 국가의 학습자 모듈(110)로 제공함으로써 현지 학습자들에게 편리하고 적절한 교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of each of thes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re equipped with a localized billing system due to country-specific economic levels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local user experiences, etc. can be stored. have. Accordingly,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can provide convenient and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to local learners by providing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s the learner module 110 of the country.

운영자 단말기(120)는 현지에 있는 특정 업체 또는 해당 국가의 정부 기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고객 대응 및 현지 프로모션을 위해, 국가별 모듈들(200)은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공통 모듈(300)과 독립되게 운영될 수 있다.
The operator terminal 120 may be controlled by a specific local company or a government agency of a corresponding country. In addition, for effective customer response and local promotio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common module 300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

다음은 도 3을 더 참조하여 공통 모듈(300)을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common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공통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on module of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듈(300)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포함하며 국가별 모듈들(200)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듈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common module 300 may be a module that includes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and transmits data to country-specific modules 200 .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예를 들어 AWS(Amazon Web Services, 아마존 웹 서비스)가 활용되어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별 모듈들(200)은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별 모듈들(200)의 현지화 및 플랫폼 라이센싱이 가능하다.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may be designed by utilizing a global cloud infrastructure, for example, Amazon Web Services (AWS). Here,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be configured as a cloud-based sale type, and accordingly, localization of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nd platform licensing are possible.

더 상세하게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311) 및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12)을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may includ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311 and a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LCMS) 312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MS(311)는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로서, 국가별 모듈들(200)은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MS(311)는 국가별 모듈들(200)에서 독립된 시스템처럼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분양형 LMS(311)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를 통해 설계될 수 있으며, SaaS (Software as a Service) 또는 PaaS(Platform as a Service)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라우드 서비스 국가별로 독립된 시스템처럼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LMS 3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ud-based pre-sale LMS, and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be variably constructed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 Accordingly, the LMS 311 may be operated as an independent system from the modules 200 for each country. This pre-sale type LMS 311 may be designed through an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nd is designed through a cloud-based service provided by cloud computing such as SaaS (Software as a Service) or PaaS (Platform as a Servi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designed to operate as an independent system for each cloud service country.

본 발명의 공통 모듈(300)에서의 LMS(311)는 온라인으로 국가별로 학습자 단말기(110)를 통해 등록된 한국어 학습자들의 성적과 진도, 출석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핵심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데이터 처리는 공통된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의 성적과 진도, 출석 등을 관리하는 방식은 모든 국가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LMS 311 in the common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re function as a system for managing the grades, progress, attendance, etc. of Korean learners registered online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110 by country. Accordingly, a series of data processing for data input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110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mmon process.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managing the grades, progress, and attendance of Korean learners can be used equally in all countries.

한편으로, 이와 같은 핵심 기능을 갖는 LMS(311)는 국가별로 설정된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되어 국가별로 맞춤형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LMS(311)는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로서, 공통 모듈(300)에서 구축된 핵심 기능을 포함하며,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국가별 모듈들(200)은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MS 311 having such a core function may be variably constructed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set for each country and may be designed to further include a customized function for each country. In conclusion, the LMS 3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ud-based pre-sale LMS, including core functions built in the common module 300, and country-specific modules 200 to further inclu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may be variably constructed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

맞춤형 기능은 예를 들어, 현지화된 UI/UX 설계, 현지에 적합한 과금 체계 설계 및 현지 학습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추가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제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stomized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localized UI/UX design, localized charging system design, and production of addi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to meet the needs of local learners.

이러한 LMS(311)는 국가별 모듈들(200) 각각에서 현지화된 별도 웹 페이지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국가별로 전용 URL이 생성되어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130)에 의해 통합관리될 수 있다. The LMS 311 may be displayed as a separate web page localized in each of the modules 200 for each country, and a dedicated URL may be generated for each country and operated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130 .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by

이때, 국가별로 사용되는 기기의 종류가 PC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등 다양할 수 있으며, 각 기기의 모델 또한 다양할 수 있으므로, 현지화된 웹 페이지는 반응형 웹 페이지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서 어떤 기종이 사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types of devices used for each country may be various, such as PC tablets, mobiles, and computers, and the models of each device may also be variou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lized web page is designed as a responsive web page. Accordingly, no matter what model is used as the user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ccess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영자 단말기(120)는 예를 들어, 현지에 있는 한국어 교육 관련 기업 또는 공공기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현지화된 웹 페이지 형태의 LMS(311)는 인터넷을 활용한 추가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로서, EPS-TOPIK(Employment Permit System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한국어능력시험)의 특성을 고려한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의 시험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한국어 능력 평가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The operator terminal 120 may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a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company or a public institution in the local area. The LMS 311 in the form of a localized web page may also be used to produce additional Korean education content using the Internet. Here, as addi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there may be an onlin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including a CBT (Computer based test) test simul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PS-TOPIK (Employment Permit System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

또한, LMS(311)는 현지 학습자들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 모듈(300)의 LCMS(312)에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MS 311 may transmit a request for content to the LCMS 312 of the common module 300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to local learner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CMS(312)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반 학습환경에서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LCMS(312)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국가별 모듈들(200)의 단위로, 예를 들어 각각의 필리핀 모듈(210), 베트남 모듈(220), 네팔 모듈(230), 인도네시아 모듈(240), 캄보디아 모듈(250) 각각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를 개발, 저장 및 관리한다. LCMS(312)는 기 개발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재사용하여 국가별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LCMS 3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i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LCMS 312 convert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into units of country-specific modules 200, for example, each of the Philippines module 210, Vietnam module 220, Nepal module 230, and Indonesia module 240. ), develops, stores, and manages content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to each of the Cambodia modules 250 . The LCMS 312 may reuse the previously developed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learner.

즉, LMS(311)는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지원,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LCMS(312)는 LMS(311)가 요청하는 내용을 전달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를 추출해 내는 전달기능과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is, the LMS 311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and managing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and the LCMS 312 delivers the contents requested by the LMS 311 and extracts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delivery function and contents systematically. It can be said to be a system that performs management functions necessary for management.

LCMS(312)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 관리의 자동화를 지원하고, LMS(311)는 인터넷을 통한 한국어 교육의 운영방향 및 국가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웹사이트 성격의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LCMS(312) 및 LMS(311)의 상호작용에 의해 국가별로 맞춤형 콘텐츠가 개발되어 효율적인 학습자 단말기(110)로의 전달 및 효과적인 한국어 이러닝이 가능하다.
The LCMS 312 supports the automation of manage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in a standardized way, and the LMS 311 is a website-type system that can be variab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direction and country of Korean education through the Internet. to b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LCMS 312 and the LMS 311, customized content is developed for each country,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effective Korean e-learning is possible.

도 4를 참조하여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더 설명한다.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의 공통 모듈(3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of the common module 300 of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는 EPS-TOPIK 데이터베이스(323), 회화 초/중/고급 데이터베이스(322), 대화체 데이터베이스(323), 캐릭터 데이터베이스(324) 및 인공지능 모델 데이터베이스(325)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includes an EPS-TOPIK database 323 , a conversation elementary/intermediate/advanced database 322 , a dialogue database 323 , a character database 324 ,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atabase. It may include data stored in 325 .

맞춤형 콘텐츠가 전술한 바와 같이 EPS-TOPIK 및 능력 평가 기준과 관련된 콘텐츠일 경우에, LCMS(312)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의 EPS-TOPIK 데이터베이스(321) 및 회화 초/중/고급 데이터베이스(322)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LMS(311)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customized content is the content related to the EPS-TOPIK and ability evaluation criteria as described above, the LCMS 312 is the EPS-TOPIK database 321 and the conversation elementary/intermediate/advanced database 322 of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 ) may be extracted from the relevant data and delivered to the LMS 311 .

맞춤형 콘텐츠가 한국어 대화체와 관련된 콘텐츠일 경우에, LCMS(312)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의 대화체 데이터베이스(323)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LMS(311)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customized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a Korean conversational language, the LCMS 312 may extract related data from the conversational language database 323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and transmit it to the LMS 311 .

이러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는 글로벌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제공 네트워크) 또는 Vimeo와 같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전달 및 저장될 수 있다.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may be delivered and stored through a media streaming service such as a global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or Vime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CMS(312)는 글로벌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제공 네트워크)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개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LCMS 3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velop, store, and manag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based on a global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LCMS(312)의 콘텐츠 구성 도구가 글로벌 CDN 기반으로 설계되면,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로부터의 콘텐츠가 이미지, 영상, 자바스크립트, 스타일 시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학습자 단말기(110)로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configuration tool of the LCMS 312 is designed based on the global CDN, the content from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is transferr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in a complex network environment in various forms such as images, videos, JavaScript, and style sheets. It can be transmitted stabl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세계 곳곳에 위치하는 캐시서버 중 국가별 모듈들(200)과 학습자 단말기(110)와 가까운 서버에서 먼저 콘텐츠를 전송받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is fir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lose to the module 200 and the learner terminal 110 among the cache servers located all over the world by using the global cloud infrastructure.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

즉, AWS와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와 CDN과 같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해외 트래픽 관리가 용이하며 콘텐츠 경량화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국가별로 가변적으로 구축된 LMS(311)를 나타내는 웹 페이지(이하,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라 지칭)에 학습자가 접속할 시에 모든 페이지가 최대 3000ms 이내로 응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utilizing global cloud such as AWS and global cloud infrastructure such as media streaming service such as CDN, overseas traffic management is easy and content weight reduction is possible. Accordingly, when a learner accesses a web page representing the LMS 311 variably constructed for each count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untry-specific web page), all pages may respond within 3000 ms at most.

제1 국가(예를 들어, 한국)에서 공통 모듈(300)은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통합 관리되고, 국가별 모듈들(200) 중 제2 국가(예를 들어, 필리핀)에서의 모듈(즉, 필리핀 모듈(210))은 제2 국가 전용 운영자 단말기(12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국가별 모듈들(200) 중 제3 국가(예를 들어, 베트남)에서의 모듈(즉, 베트남 모듈(210))은 제3 국가 전용 운영자 단말기(12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In the first country (eg, Korea), the common module 300 is integrat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30, and the module in the second country (eg, the Philippines) amo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eg, the Philippines) ( That is, the Philippines module 210 may be managed through the second country-only operator terminal 120 . Likewise, a module in a third country (eg, Vietnam) amo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e, the Vietnam module 210 ) may be managed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120 dedicated to the third country.

각각의 국가별 모듈들(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으로,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Each country-specific module 2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by performing a series of step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a country-specific web page.

또한, 각각의 국가별 모듈들(200)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평가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요청부, 맞춤형 문제 생성부, 맞춤형 기능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country-specific module 200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an online evaluation system, a customized content request unit, a customized problem generation unit,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ion unit, and the like.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국가에서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학습자 단말기(110)로 입력된 학습자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에는 국가별 모국어로 뜻을 풀이한 한국어 사전과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may store learner information input to the learner terminal 110 by accessing a web page dedicated to each country in each country. The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a Korean dictionary in which a meaning is interpreted in a native language for each country.

온라인 평가 시스템은 특별히 EPS-TOPIK을 대비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CBT에 대한 효율적인 대비를 위한 온라인 모의 시험을 제공하고, 실시간 문제풀이 모니터링 및 자동 채점 기능들을 갖출 수 있다. The online evaluation system is specially configured to prepare for EPS-TOPIK, provides an online mock test for efficient preparation for CBT, and can be equipped with real-time problem solving monitoring and automatic scoring functions.

온라인 평가 시스템은 오답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여 국가별로 학습자들이 어떤 문제들을 어려워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콘텐츠 요청부는 LMS(311)를 통해 LCMS(312)로 보낼 요청을 생성한다. The online evaluation system can analyze which problems learners find difficult by country, includ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ection for incorrect answ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e customized content request unit generates a request to be sent to the LCMS 312 through the LMS 311 .

맞춤형 콘텐츠는 예를 들어, EPS-TOPIK 데이터베이스(321)에 포함된 문제은행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특정 한국어 지식 관련의 문제들일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문제들 기반으로 국가별 모듈들(200)의 맞춤형 문제 생성부에서 특정 한국어 지식과 관련하여 객관식, O/X형, 단답형, 서술형 등의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을 출제할 수 있으며, 무작위로 조합하여 시험지를 만들 수도 있다.The customized content may be, for example, problems related to specific Korean knowledge that may be extracted from a question bank included in the EPS-TOPIK database 321 . Based on the problems extracted in this way, various types of problems such as multiple choice, O/X, short answer, and narrative types can be asked in the customized problem generation unit of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200 in relation to specific Korean knowledge, and randomly You can combine them to make a test paper.

또한, 맞춤형 콘텐츠는 특정 한국어 지식 관련의 문제 해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남아 국가들은 문화적 차이에 의해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 중 상황별 대화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경어체에 대한 이해가 용이할 수 있어, 문화차이 관련 지식이 맞춤형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stomized content may include explanations of problems related to specific Korean knowledge. For example, Southeast Asian countries tend to lack understanding of dialogues for each situation among the 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ccordingly, by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t can be easy to understand the honorific language, and knowledge related to cultural differences can be included in customized content.

국가별로 설정된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이와 같은 맞춤형 콘텐츠에 포함될 내용이 결정될 수 있다. 대화체 문제 해설을 위해 문화차이 관련 지식이 맞춤형 콘텐츠에 포함될 경우에는 대화체 데이터베이스(323)로부터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LMS(311) 및 국가별 모듈들(200) 중 하나의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customized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set for each country. When cultural difference-related knowledge is included in the customized content to explain the interactive problem, data from the interactive database 323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one of the LMS 311 and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

또한, 국가별 모듈들(200)은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여 실질적인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의 현지화된 UI/UX의 설계, 현지에 적합한 과금 체계의 설계 및 현지 학습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추가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다. 즉,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서 실질적인 웹 페이지의 개발, 변경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nclude a custom function creation unit, the design of a localized UI/UX of a web page dedicated to each country, design of a billing system suitable for the local area, and addi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local learners Content cre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development, change, and management of the actual web page may be performed in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학습자의 니즈를 분석하는 데에 있어 인공지능 모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국가별 모듈들(200)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인공지능 모델(이하,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이라 지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used to analyze a learner's needs. That is,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further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은 해당 국가의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 셋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학습자 관련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역사적으로 유사한 행보를 보인 타국가의 학습자들의 데이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국가별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에 맞춰서 맞춤형 문제 생성부에서 모의 시험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A country-specific AI model can be created by using data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tendency of learners in that country as a data set. If learner-related data is insufficient, data from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who have historically taken similar steps may be u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mock exam in the customized problem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tendency of learners by country.

국가별 모듈들(200)은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로부터 추출된 맞춤형 콘텐츠가 저장되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 DB(데이터베이스)(이하, 국가별 콘텐츠 DB라 지칭)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국가별 콘텐츠 DB에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될 수 있다.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further include a Korean education content DB (database) in which customized content extracted from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320 is sto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untry-specific content DB). AI models for each country may be stored in the country-specific content DB.

공통 모듈(3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 및 국가별 콘텐츠 DB에 저장된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가 구성 및 제작될 수 있다.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of the common module 300 and th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tored in the country-specific content DB, th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may be configured and produced by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예를 들어,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파악된 해당 국가의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에 맞춘 효율적인 교육 및 문제풀이의 이해를 위해 캐릭터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특정 만화 캐릭터 또는 연예인 캐릭터와 같은 시각 자료가 활용될 수 있다. 국가별 모듈들(200)의 맞춤형 기능 생성부는 이와 같은 다양한 분석 결과 및 자원을 토대로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For example, visual data such as a specific cartoon character or celebrity character from the character database 324 are utilized for efficient education and problem-solving understanding tailored to the problem-solving tendencies of learners in the country identified through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of the modules for each country 200 may produc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such various analysis results and resources.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맞춤형 기능 생성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 데이터들을 입력 값으로 하여 가공함으로써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의 새로운 구성으로서 추가되어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열람 및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In producing th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may generate new content by processing specific data as input values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This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may be added as a new configuration of a web page dedicated to each country so that it can be viewed and access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국가별 맞춤형 콘텐츠로서, 책자 형식이나 엽서카드 형식의 교재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교재는 QR 코드와 같은 코드를 포함하여, AR(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기능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s are customized contents for each country, and can also be produced as textbooks in the form of booklets or postcards. These textbooks, including codes such as QR codes, may be configured to work with applications in which AR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functions are configured.

예를 들어, 교재에 인쇄된 코드를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과 같은 기기로 스캔할 시에 캐릭터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특정 만화 캐릭터가 학습자 단말기(110)의 화면상에서 학습자와 상호 대화하며 복습 퀴즈를 제공하거나 수업 진도를 확인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의 교육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code printed on the textbook is scanned with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PC tablet, a specific cartoon character from the character database 324 interacts with the learner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provides a review quiz Or, it is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 in the form of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checking the progress of the class.

이와 같이 학습자 단말기(110), 공통 모듈(300), 강사 단말기(140)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양한 교육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educational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110 , the common module 300 , and the instructor terminal 140 .

또한, 국가별 모듈들(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운영자 단말기(120)에 의해 공통 모듈(300)과 독립되게 운영되며, 국가별 모듈들(200)은 분양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130)에 의해 공통 모듈(300)을 통해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공통 모듈(300)로 복수 개의 국가별 모듈들(200)이 통합 관리됨으로써 결국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의 기술적 고도화 및 방향성은 관리자 단말기(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re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common module 300 by the operator terminal 120 as described above. Integrated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common module 300 by A plurality of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re integrated and managed as a common module 300 , so that the technical advancement and direction of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may be determined by the manager terminal 130 .

한국어 Korean 이러닝e-learning 제공 방법 How to provide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은, 공통 모듈(300)이 구성되는 단계(S100); 국가별 모듈들(200)이 구성되는 단계(S200);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수집되는 단계(S300); 및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figuring a common module 300 (S100); a step in which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re configured (S200); The user experience data is collected (S300); and a step (S400) of configuring customized content.

더 상세하게는, 공통 모듈(300)이 구성되는 단계(S100)에서 공통 모듈(300)은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311)와 LCMS(312)로 구성된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온라인 교육 플랫폼(310)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가 활용되어 설계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in the step (S100) in which the common module 300 is configured, the common module 300 is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and Korean education content ( 320). Here,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310 may be designed by utilizing a global cloud infrastructure.

국가별 모듈들(200)이 구성되는 단계(S200)에서 국가별 모듈들(200)은 다수의 국가에 대해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포함하도록 상기 LMS를 가변적으로 구축하는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step (S200) in which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re configured,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nclude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that variably builds the LMS to inclu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for a plurality of countries. is configured to include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다수의 국가별 모듈 중 학습자 단말기(110)가 속한 국가의 국가별 모듈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국가별 모듈들(200) 중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사용될 모듈이 결정된다. 복수의 국가별 모듈 별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할 소스인 학습자 단말기(110)가 대응된다.A country-specific module of a country to which the learner terminal 110 belongs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ountry-specific modules by the learner terminal 110 . Accordingly, a module to be us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amo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s determined. The learner terminal 110, which is a source for collecting user experience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untry-specific modules, corresponds.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수집되는 단계(S300)에서는 해당 국가별 모듈들(200) 에 의해 대응하는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수집된다. In the step S300 in which the user experience data is collected, the user experience data is col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learner terminal 110 by the modules 200 for each country.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되는 단계(S400)에서는 공통 모듈(3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된다. In the step of configuring the customized content ( S400 ), the customized content is configured by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of the common module 300 and user experience data.

이때, 국가별 모듈들(200)이 구성되는 단계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언어의 사전 데이터베이스, 및 맞춤형 기능 생성부가 각각 구성되는 단계; 국가별 모듈들(200)에서 사용될 과금 체계가 설정되는 단계;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가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ep of configuri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ncludes: configuring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user experience data is stored, a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and a custom function generating unit, respectively; Setting a billing system to be used 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and configuring a machine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using user experience data.

즉, 맞춤형 콘텐츠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customized contents may be configured by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and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국가별 모듈들(200)에서 사용될 과금 체계가 설정되는 단계(S200)에서는, 해당 국가에서 가장 편리하게 대중이 사용하는 과금 체계로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의 과금 체계가 설정되어 설계된다. 예를 들어, 국가별 모듈들(200) 중 모듈이 필리핀 모듈(210)로 결정된 경우, 필리핀에서 가장 편리하게 대중이 사용하는 과금 체계로 필리핀 전용 웹 페이지의 과금 체계가 설정되어 설계된다.In the step (S200) in which the billing system to be used 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s set, the billing system of the country-specific web page is set and designed as the most convenient billing system used by the public in the corresponding country. For example, when the module of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s determined to be the Philippine module 210, the billing system for the Philippines dedicated web page is set as the most convenient billing system used by the public in the Philippin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은,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S310), 국가별 모듈들(2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 DB(국가별 콘텐츠 DB)에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되는 단계(S320), 및 공통 모듈(3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 및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는 단계(S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ry-by-country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generated ( S310 ),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DB (country-specific content DB) of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s country-by-country. The step of stor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320), and the step (S410) of configuring th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of the common module 300 and th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410)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자의 니즈를 분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국가별 모듈들(200)의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포함된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기계 학습부에는 해당 국가의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 관련 데이터로서, 사전에 수집된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데이터 셋으로 입력되어 기계 학습이 수행됨으로써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S310). 사전에 수집된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부족할 경우, 역사적으로 유사한 행보를 보인 타국가의 학습자들의 데이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Th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used to analyze the needs of learners, and may be generated by the machine learning unit included in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on unit of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 In the machine learning unit, user experience data collected in advance as data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tendency of learners in a given country is input as a data set, and machine learning is performed to gener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ach country (S310). If the amount of user experience data collected in advance is insufficient, data of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who have historically taken similar steps may be used.

이러한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은 국가별 콘텐츠 DB에 저장될 수 있다(S320). Thes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stored in the country-specific content DB (S320).

이에 따라 공통 모듈(300)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320) 및 국가별 콘텐츠 DB에 저장된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 즉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 및 제작될 수 있다(S410).Accordingly,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320 of the common module 300 and th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tored in the country-specific content DB,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optimized by the custom function generating unit, that is, customized content can be configured and produced. There is (S410).

즉, 국가별 모듈들(200)의 맞춤형 기능 생성부는 학습자들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들 및 한국어 관련 정보 및 자원을 토대로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That is,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of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may produc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various analysis results for learners and Korean-related information and resources.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맞춤형 기능 생성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특정 데이터들을 입력 값으로 하여 가공함으로써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된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의 새로운 구성으로서 추가되어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열람 및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In producing the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may generate new content by processing specific data as input values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This optimized Korean education content may be added as a new configuration of a web page dedicated to each country so that it can be viewed and access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의 작동 흐름의 예시를 설명한다. An example of the operational flow of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국가가 선택된다(S10). 예를 들어, 학습자 단말기(110)가 필리핀 모듈(210)에 의해 구축된 필리핀 전용 웹 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국가별 모듈들(200) 중 한국어 이러닝에 사용될 모듈은 필리핀 모듈(210)로 결정된다(S). First, a country is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S10). For example, when the learner terminal 110 accesses a web page dedicated to the Philippines built by the Philippine module 210, the module to be used for Korean e-learning amo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is determined as the Philippine module 210 ( S).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학습자의 제1 언어가 선택될 수 있으며, 국가별 모듈들(200) 중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모듈이 결정되어 학습자 단말기(110)상에서 국가별 전용 웹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learner's first language may be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 and a module of a country using the corresponding language is determined among the country-specific modules 200 to determine the learner terminal 110 . can be linked to a web page dedicated to each country.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해당 국가의 학습자 모듈(110)로 제공함으로써 현지 학습자들에게 편리하고 적절한 교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맞춤형 기능은 예를 들어, 현지화된 UI/UX 설계, 현지에 적합한 과금 체계 설계 및 현지 학습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추가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제작을 포함할 수 있다. By providing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o the learner module 110 of the country, convenient and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to local learners. The customized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localized UI/UX design, designing a charging system suitable for the local area, and production of addi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to meet the needs of local learners.

도 6은 현지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알고리즘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학습자 단말기(110)에 의해 국가가 선택되고(S10), 해당 국가의 모듈(210, 220, 230, 240, 250 등)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한국어와 같이 경어체를 사용하는지 판단되는 단계(S20)를 통해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대화체 개념의 설명이 필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6 shows an example of an algorithm by which an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local learner. A country is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110 (S10), and a step (S20) of determining whether the language used in the module (210, 220, 230, 240, 250, etc.) of the country uses a polite language such as Korea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ether learners need to explain the concept of conversational language in Korean.

선택된 국가에서 경어체를 사용할 경우, 경어체 관련하여 한국어 표현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S40), 이에 대한 한국어 교육 강의가 제공되고(S50), 문제 및 문제풀이가 제공(S50)됨으로써 경어체 관련 한국어 교육이 종료될 수 있다. When a selected country uses a polite language, the difficulty of Korean expression can be selected (S40), a Korean education lecture is provided for it (S50), and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are provided (S50), so that Korean education related to honorific language is provided. can be terminated

선택된 국가에서 경어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한국과 선택된 국가 간의 문화차이를 이해함으로써 경어체의 필요성과 적절한 사용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어체 사용 여부 판단 단계(S20)에서 선택된 국가가 경어체를 사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난이도 선택 단계(S40) 이전에 문화차이 이해를 위한 자료가 먼저 제공될 수 있다(S30).
If the selected country does not use the honorific font, by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selected countr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necessity and proper use of the honorific font.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ry selected in the step S20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polite language does not use the honorific fo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fference may be provided first before the difficulty selection step S40 (S30).

한국어 Korean 이러닝e-learning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is recorded.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분양형 LMS를 사용하여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전달·평가·관리가 가능하며,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같이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은 다양한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orean e-lear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develop, deliver, evaluate, and manage Korean education contents using a pre-sale type LM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manage the overall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who are distributed in various countries with high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Southeast Asian countries.

100: 사용자 단말기
110: 학습자 단말기
120: 운영자 단말기
130: 관리자 단말기
140: 강사 단말기
200: 국가별 모듈들
210: 필리핀 모듈
220: 베트남 모듈
230: 네팔 모듈
240: 인도네시아 모듈
250: 캄보디아 모듈
300: 공통 모듈
310: 온라인 교육 플랫폼
311: LMS
312: LCMS
320: 한국어 교육 콘텐츠
321: EPS-TOPIK 데이터베이스
322: 회화 초/중/고급 데이터베이스
323: 대화체 데이터베이스
324: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325: 인공지능 모델 데이터베이스
100: user terminal
110: learner terminal
120: operator terminal
130: manager terminal
140: instructor terminal
200: country-specific modules
210: Philippines module
220: Vietnam module
230: Nepal module
240: Indonesian module
250: Cambodia module
300: common module
310: Online Education Platform
311: LMS
312: LCMS
320: Korean education content
321: EPS-TOPIK database
322: Conversation Elementary/Intermediate/Advanced Database
323: dialog database
324: character database
325: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atabase

Claims (10)

학습자 단말기, 국가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공통 모듈;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공통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공통 모듈을 통해 통합 관리되는 국가별 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는,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되며,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가 활용되어 설계되고,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 및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LCMS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으로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LMS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로부터 맞춤형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LMS로 전달하고,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평가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요청부 및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학습자의 니즈를 분석하기 위해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은 해당 국가의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 셋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국가의 학습자 관련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역사적으로 유사한 행보를 보인 타국가의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상기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세계 곳곳에 위치하는 캐시서버 중 국가별 모듈과 학습자 단말기와 가까운 서버에서 먼저 콘텐츠를 전송받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cluding a learner terminal, at least one operator terminal set for each country,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Common module including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and
I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receives data from the common module, and includes country-specific modules that are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the common module,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re:
It is variably constructed by the operator terminal to provide the learner terminal with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generated using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user experience data collec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is designed by utilizing the global cloud infrastructure,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includes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LCMS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e LCMS develops, stores and manages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media streaming service, extracts customized content from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MS and delivers it to the LMS,
The country-specific modules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an online evaluation system, a customized content request unit, and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ion unit,
The Korean education contents includ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re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analyze the needs of learner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ach country can be created by using data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tendency of learners in that country as a data set,
If data on learners in that country are insufficient, data from learners in other countries who have historically shown similar behavior are used,
Utilizing the global cloud infrastructure to provide content to the learner terminal in a way that first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erver close to the module and learner terminal among the cache servers located all over the world,
Korean e-lear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통 모듈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강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urther comprising an instructor terminal for inputting data to the common module,
Korean e-learn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MS는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로서, 상기 공통 모듈에서 구축된 핵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상기 운영자 단말기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MS is a cloud-based pre-sale LMS, and includes core functions built in the common module, and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re variably built by the operator terminal to further include the customized function,
Korean e-learn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클라우드 기반 분양형 LMS와 LCMS로 구성된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및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공통 모듈이 구성되는 단계;
다수의 국가에 대해 국가별 문화적 특색에 따른 맞춤형 기능을 포함하도록 상기 LMS를 가변적으로 구축하는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는 국가별 모듈들이 구성되는 단계;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상기 국가별 모듈들에 의해 수집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모듈의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맞춤형 콘텐츠가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가 활용되어 설계되고,
상기 맞춤형 콘텐츠는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 및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에 기초하여 맞춤형 기능 생성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가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CMS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으로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LMS의 요청에 따라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로부터 맞춤형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LMS로 전달하고,
상기 국가별 모듈들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평가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요청부 및 맞춤형 기능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국어 교육 콘텐츠는 학습자의 니즈를 분석하기 위해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된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 인공지능 모델은 해당 국가의 학습자들의 문제풀이 경향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 셋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국가의 학습자 관련 데이터가 부족할 경우, 역사적으로 유사한 행보를 보인 타국가의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상기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세계 곳곳에 위치하는 캐시서버 중 국가별 모듈과 학습자 단말기와 가까운 서버에서 먼저 콘텐츠를 전송받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
A step of configuring a common module including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composed of cloud-based pre-sale LMS and LCMS;
A step of configuring country-specific modules including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for variably constructing the LMS to include customized functions according to country-specific cultural characteristics for a plurality of countries;
collecting user experience data from the learner terminal by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nd
Constructing customized contents by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contents and the user experience data of the common module;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 is designed by utilizing the global cloud infrastructure,
The customized content is configured by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or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onstructing a machine learning unit that gene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ach country using the user experience data;
The LCMS develops, stores and manages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media streaming service, extracts customized content from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MS and delivers it to the LMS,
The country-specific modules includ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a language dictionary database, an online evaluation system, a customized content request unit, and a customized function generation unit,
The Korean education contents include country-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re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analyze the needs of learner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ach country can be created by using data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tendency of learners in that country as a data set,
If data on learners in that country are insufficient, data from learners in other countries who have historically shown similar behavior are used,
Utilizing the global cloud infrastructure to provide content to the learner terminal in a way that first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erver close to the module and learner terminal among the cache servers located all over the world,
How to provide Korean e-learn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별 모듈들이 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언어의 사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맞춤형 기능 생성부가 각각 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국가별 모듈들에서 사용될 과금 체계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in which the country-specific modules are configured,
configuring a user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he user experience data is stored, a dictionary database of the language, and the customized function generating unit, respectively; and
Including; setting a billing system to be used in the country-specific modules;
How to provide Korean e-learning.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르는 한국어 이러닝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Korean e-learning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KR1020190102629A 2019-08-21 2019-08-21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KR102353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29A KR102353548B1 (en) 2019-08-21 2019-08-21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29A KR102353548B1 (en) 2019-08-21 2019-08-21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22A KR20210024322A (en) 2021-03-05
KR102353548B1 true KR102353548B1 (en) 2022-02-07

Family

ID=7516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629A KR102353548B1 (en) 2019-08-21 2019-08-21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5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802B1 (en) * 2023-04-21 2024-01-15 김미선 Study books with Korean language practice guide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78B1 (en) * 2022-09-27 2023-08-18 주식회사 밥스엉클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of Foreign Langu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85B1 (en) * 2018-01-03 2019-07-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Global Education Contents System Based on Online Platform with Tree Track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22A (en) * 2007-02-03 2009-01-07 임영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KR20120089021A (en) * 2011-02-01 2012-08-09 최영민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Multi-language Contents for Multi-national Learners
KR101390968B1 (en) 2013-10-22 2014-05-02 (주)나라소프트 Smart edu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85B1 (en) * 2018-01-03 2019-07-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Global Education Contents System Based on Online Platform with Tree Track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802B1 (en) * 2023-04-21 2024-01-15 김미선 Study books with Korean language practice guide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22A (en)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ng et al. New realit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ourism research
Okonkwo et al. Chatbots applications in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Vlachopoulos Assuring quality in e-learning course design: The roadmap
Graf et al. Supporting teachers in identifying students' learning style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 automatic student modelling approach
Martínez-Torres et al.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variables of eLearning tools
Toyoda et al. VR-based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 various high-risk engineering industries: a literature review
KR102353548B1 (en) Korean e-learning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in for executing the same
Monasor et al. Cultural and linguistic problems in GSD: a simulator to train engineers in these issues
Reinders et al. A trade-off in learning: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language learning
Bell et 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Masneri et al. Work-in-progress—arete-a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bbas et al. Ready, trainer… one*! discovering the entanglement of adaptive learning with virtual reality in industrial training: a case study
Shrestha Exploring mobile learn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pal: the potential of open-source platforms
KR201300570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s
Lee et al. Personalizing VR Educational Tool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Alber et al. Automated assessment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Doğan et al. Modeling of a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in three-dimensional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s
Salvador-Ullauri et al. Development of an accessible video gam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test of Honey-Alonso
KR101102553B1 (en) On-line study-abroad system by which students can learn from foreign professor by submitting task in art course and method thereof
Nayar Teaching and learning in technology empowered classrooms—Issues, Contexts and Practices
Hockly Researching with technology in ELT
Tynkaliuk et al. Virtua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haping strategies for professional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future software engineers
Madhavan et al. Predictive data analytic approaches for characterizing design behaviors in design-build-fly aerospace and aeronautical capstone design courses
THUKU et al. Cloud based tutorial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student participation in learning
Lessa et al. Critical evaluation and use of digital information sources by distance library students from the Universidade Federal da Bahia: an analysis based on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ACR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