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139B1 -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139B1
KR102353139B1 KR1020210146386A KR20210146386A KR102353139B1 KR 102353139 B1 KR102353139 B1 KR 102353139B1 KR 1020210146386 A KR1020210146386 A KR 1020210146386A KR 20210146386 A KR20210146386 A KR 20210146386A KR 102353139 B1 KR102353139 B1 KR 10235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erver
clou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상영
Original Assignee
맹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상영 filed Critical 맹상영
Priority to KR102021014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87Isolation or security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91Monitoring or debugg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으로서,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하고,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A cloud-managed platform implementation system for multi-cloud real-time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and monitoring}
본 발명은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공급이 확대되고 모바일 컨텐츠시장이 이동통신사 위주의 시장에서 오픈마켓으로 급전환 성장함에 따라 시장 진입 장벽은 사라지고 스마트폰용 컨텐츠 개발사들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 방대한 컨텐츠와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고성능 그래픽의 고퀄리티 컨텐츠 개발에 개발사 또는 유통사 등은 앞 다투어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의 높은 퀄리티에 대한 요구로 인해 오류 분석 및 검증이라는 과정은 프로젝트의 시장 성패를 가름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다만, 중·소 개발사들은 높은 비용이 발생되는 검증 과정에 예산을 사용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8-00355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적 및 시간적 비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서버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하고,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날짜, 위치, 인물 또는 배경을 포함하는 분류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분류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기존 데이터 및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에 백업되는 상기 신규 데이터 중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악성코드가 검출되는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자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발생하는 신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수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백업 입력을 받아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발생한 신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서버를 통해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된 신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안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버랙은, 내부에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내장 가능하도록 양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단 플레이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유출구조로 형성되는 후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형성된 그립부를 통해 제1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단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개폐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내측면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는, 상기 개폐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회전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취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회전부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출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상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서버로부터 로그인 또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서버의 로그인 또는 인증이 가능하도록 인증 토큰을 제공하는 로그인 서버 및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그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로그인 또는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 토큰을 상기 사용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요청되는 상기 사용자 서버의 로그인 또는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서버의 로그인 또는 인증이 가능한 인증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로 제공하는 인증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토큰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 서버의 인증 정보 및 인증 기록을 저장하는 제1 인증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토큰을 전달받고, 상기 제1 인증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토큰에 기초한 상기 사용자 서버에 관한 인증을 처리하는 제2 인증부;를 포함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그인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증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버랙은, 내부에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내장 가능하도록 양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단 플레이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유출구조로 형성되는 후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형성된 그립부를 통해 제1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단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개폐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내측면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는, 상기 개폐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회전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취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회전부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출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상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은 인적 및 시간적 비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서버 성능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내입되어 서버랙 개폐부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하는 경우, 완충을 조절하는 완충부재 내에 완충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수지재를 입설하여 서버랙의 하단 플레이트와의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의 수지부는 수지재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층을 형성되며, 공기층이 형성된 공간에 보조지지부를 설치함으로서 충분한 단열 및 충격완충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완충부재의 충격 흡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서버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서버랙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의 공급이 확대되고 모바일 컨텐츠 시장이 이동통신사 위주의 시장에서 오픈마켓으로 급전환 성장함에 따라 시장 진입 장벽은 사라지고 스마트폰용 컨텐츠 개발사들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방대한 컨텐츠와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고성능 그래픽의 고 퀄리티 컨텐츠 개발에 개발사 또는 유통사 등은 앞 다투어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의 높은 퀄리티에 대한 요구로 인해 오류분석 및 검증이라는 과정은 프로젝트의 시장 성패를 가름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다만, 중·소 개발사들 은 높은 비용이 발생되는 검증 과정에 예산을 사용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상술한 시장의 흐름과 사용자의 만족성을 높이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오류 분석 및 성능 검증에 대한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시장에는 스마트 단말기용 컨텐츠를 위한 최적화된 오류 검출 및 부하 검증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세하게, 스마트 단말기용 컨텐츠 개발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기획, 구현, 테스트, 상용화로 이루어진다.
QA는 기획에서 테스트 단계 까지라고 할 수 있고 테스트 단계에서는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상용화 이전에 예상하지 못한 문제를 확인하여 해결하는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을 소모하게 된다. 특히, 테스트 단계에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게임의 경우 대부분의 개발사 및 유통사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클로즈 베타(Close Beta Service) 또는 오픈 베타서비스 (Open BetaService)를 통해 컨텐츠의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공개된 베타 서비스가 사용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게임은 정식 상용화가 되기도 전에 흥행에 큰 타격을 입는다.
또한, 대형 게임 개발사의 웹 서버 검증 솔루션(HP사의 로드러너 등)을 이용하여 검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시나리오에 의한 검증이고 웹 서버 중심의 검증이기 때문에 미리 입력한 시나리오 외 상황과 클라이언트에서의 문제까지는 검증하기 어렵다. 즉, 스마트 단말기용 게임의 검증 및 분석이라기 보다 웹 서버 부하 테스트로 볼 수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경우 웹 서버 검증 솔루션의 이용 또한 비용적으로 매우 큰 부담이다.
때문에기업 내 인력으로만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현재 스마트폰 게임 업계의 상황이고 이러한 검증은 정확한 분석이 어려우며 사용되는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중소 개발 업체들의 경우 이런 부담으로 인해 아무런 검증 없이 문제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며 상용 서비스를 하고 있다. 더 나아가, 개인 개발자의 경우 제대로된 테스트조차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며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게임이 서비스 안정성 문제로 사장되는 사례까지 빈번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고비용 비효율적인 게임 분석과 검증을 진행함에 있어 스마트 단말기용 클라이언트 및 서버 성능 검증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폰 게임 테스트는 데이터 중심의 시나리오 테스트로 이루어졌다. 시나리오 기반의 테스트를 하였기 때문에 사전에 정하지 않은 예외 상황에 대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 인력을 사용한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함께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하면 동시 다발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패킷 정보를 주고받는다.
이때에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QA(Quality Assurance), FGT(Focus Group Testing)을 대행해 주는 업체도 있으나 많은 중·소 업체에게는 비용의 부담이 따른다.
일례로, FGT의 경우 게임 테스트 전문 10인 기준 1주 플레이를 통한 검증 방법에 견적은 약 1,500만원으로서 가격적 부담으로 인해 대행 업체를 이용하기에 중소기업으로써 어렵다.
더불어 컨텐츠의 내용이 바뀔 때 마다 매번 이 비용을 들여 테스트를 진행해야만 한다. 스마트 단말기용 컨텐츠(게임)는 기본적으로 시나리오와 다양한 플로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웹 서버 중심의 검증은 웹 서버에 특정 접속 인원을 셋팅하고 쿼리 등의 기능이 작동하는지 또한 접속 인원에 대한 부하의 양 등을 검증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컨텐츠(게임)의 시나리오와 플로우를 검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정 기능별 인원과 게임 이용자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분석 검증하기 위해서는 게임의 기본 구조에 적합하고 이벤트별 시나리오를 적합하게 셋팅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고가의 외산 웹 서버검증 솔루션을 도입하더라도 전문 운용 인력의 부재와 컨텐츠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시나리오 업데이트의 불편으로 인해 비용과 시간이 동시에 소모되는 현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용적인 어려움으로 창업 1~2년 내의 상용서비스를 아직 하지 못한 개발사가 스마트 단말기용 컨텐츠(게임)의 기능 분석 및 검증을 직접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용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과 오픈 초기의 사용자의 집중적인 서버접속으로 인한 부하에 대해서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빠르게 대응하기 어렵다.
컨텐츠(게임)의 출시 전 후에 수십종류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오류 사항, 초기 집중적인 부하에 대한 부하 분산 및 대응, 컨텐츠(게임)의 시나리오 기본과 예외적인 플로우에 대한 오류 검증은 초기 기업에게 매우 어려운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10)은 단말기(500)와 통신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는 단말기(500)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110) 및 동기화된 데이터 또는 동기화 중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보안 서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10)는 단말기(500)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날짜, 위치, 인물 또는 배경을 포함하는 분류기준을 생성하고, 분류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기(500)를 통해 백업되는 기존 데이터 및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안 서버(190)는 클라우드 서버(110)에 백업되는 신규 데이터 중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고, 악성코드가 검출되는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는 단말기(500)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자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110)를 통해 단말기(500)에 발생하는 신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기(500)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수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단말기(500)로부터 백업 입력을 받아 클라우드 서버(110)를 통해 단말기(500)에 발생한 신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는 보안 서버(190)를 통해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된 신규 데이터를 단말기(500)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30)은 사용자 서버(700)와 통신하는 클러스터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 서버(300)는 사용자 서버(700)로부터 로그인 또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서버(700)의 로그인 또는 인증이 가능하도록 인증 토큰을 제공하는 로그인 서버(310) 및 사용자 서버로부터 인증 토큰을 수신하여 사용자 서버(700)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서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로그인 서버(310)는 사용자 서버(700)와 통신하여 사용자 서버(700)로부터 로그인 또는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 토큰을 사용자 서버(700)로 제공하는 제1 통신부(311) 및 제1 통신부를 통해 요청되는 사용자 서버(700)의 로그인 또는 인증 요청에 따라 사용자 서버(700)의 로그인 또는 인증이 가능한 인증 토큰을 생성하여 제1 통신부(311)로 제공하는 인증처리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390)는 사용자 서버(700)와 통신하여 사용자 서버(700)로부터 인증 토큰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391),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각 사용자 서버의 인증 정보 및 인증 기록을 저장하는 제1 인증부(395) 및 제2 통신부(391)를 통해 사용자 서버(700)로부터 수신한 인증 토큰을 전달받고, 제1 인증부(395)를 이용하여 인증 토큰에 기초한 사용자 서버(700)에 관한 인증을 처리하는 제2 인증부(39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서버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서버랙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 클라우드 서버(110), 보안 서버(190), 클러스터 서버(300), 로그인 서버(310) 및 인증 서버(390)를 내장할 수 있는 서버랙(40)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랙(40)은 클라우드 관리 서버(100), 클라우드 서버(110), 보안 서버(190), 클러스터 서버(300), 로그인 서버(310) 및 인증 서버(390)를 둘러싸는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랙은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 상단 플레이트(420), 하단 플레이트(430), 후면 플레이트(440), 개폐부(450), 개폐회전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의 후방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서버랙의 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즉, 후면 플레이트(440)는 서버랙의 후면을 이루게 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는 후면 플레이트(440)를 통해 서버랙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출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450)는 측면 플레이트(41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450)가 측면 플레이트(4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서버랙의 제1 개방부(451)는 개폐부(4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개폐부(450)는 개폐부(450)를 통해 서버랙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450)에는 그립부(45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에는 개폐부(4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슬라이딩부(4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측면 플레이트(410)의 내측면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별도의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플레이트(4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개폐부(4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측면 플레이트(410)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50)의 양측단부는 개폐 슬라이딩부(411)에 삽입되어 개폐 슬라이딩부(411) 상을 이동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는 측면 플레이트(410), 상단 플레이트(420) 및 후면 플레이트(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가 측면 플레이트(4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상단 플레이트(420) 또는 후면 플레이트(44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는 개폐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회전부(4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개폐부(450)는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회전부(47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므로, 제1 개방부(451)는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회전부(47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서 권출되므 로, 제1 개방부(451)는 폐쇄될 수 있다.
즉,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는 정도에 따라 제1 개방부(451)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완전 권취되면 제1 개방부(451)는 완전 개방되고,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서 완전 권출되면 제1 개방부(451)는 완전 폐쇄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회전부(470)의 회전축이나 회전축과 연결된 부분이 측면 플레이트(4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폐회전부(470)는 그립부(453)를 이용하여 개폐부(450)가 상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어 제1 개방부(451)는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회전부(470)는 그립부(453)를 이용하여 개폐부(450)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출되어 제1 개방부(451)는 폐쇄될 수 있다.
서버랙(40)은 개폐부(450)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 개방부(451)를 개폐하므로 서버랙(40)의 전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랙은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 상단 플레이트(420), 하단 플레이트(430), 후면 플레이트(440), 개폐부(450), 개폐회전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50)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의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고, 서버랙의 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즉, 개폐부(450)는 서버랙의 전면을 이루게 될 수 있다.
개폐부(450)는 개폐부(450)를 통해 서버랙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는 측면 플레이트(4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가 측면 플레이트(4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서버랙의 제2 개방부(미도시)는 후면 플레이트(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는 후면 플레이트(440)를 통해 서버랙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출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플레이트(440)에는 후면그립부(44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410)에는 후면 플레이트(4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슬라이딩부(4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측면 플레이트(410)의 내측면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별도의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플레이트(4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개폐 슬라이딩부(411)는 후면 플레이트(4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측면 플레이트(41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40)의 양측단부는 개폐 슬라이딩부(411)에 삽입되어 개폐 슬라이딩부(411) 상을 이동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는 측면 플레이트(410), 상단 플레이트(420) 및 개폐부(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개폐회전부(470)가 측면 플레이트(4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상단 플레이트(420) 또는 개폐부(45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회전부(470)는 후면 플레이트(44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회전부(4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후면 플레이트(440)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회전부(47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후면 플레이트(440)이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 므로, 제2 개방부(미도시)는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회전부(47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후면 플레이트(440)이 개폐회전부(470)에서 권출되므로, 제2 개방부(미도시)는 폐쇄될 수 있다.
즉, 후면 플레이트(44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는 정도에 따라 제2 개방부(미도시)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후면 플레이트(440)가 개폐회전부(470)에 완전 권취되면 제2 개방부(미도시)는 완전 개방되고, 후면 플레이트(440)가 개폐회전부(470)에서 완전 권출되면 제2 개방부(미도시)는 완전 폐쇄될 수 있다.
한편, 개폐회전부(470)는 그립부(453)를 이용하여 개폐부(450)가 상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취되어 제2 개방부(미도시)는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회전부(470)는 그립부(453)를 이용하여 개폐부(450)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450)가 개폐회전부(470)에 권출되어 제2 개방부(미도시)는 폐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랙(40)의 하단 플레이트(430)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완충부재(200)는 상단지지대(201)에 체결되는 체결기둥(210), 체결기둥(2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끼움기둥(220), 체결기둥(2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230), 제2 체결부(230)에 입설되는 수지부(240) 및 프레임(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기둥(210)은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단지지대(201)와 체결되는 결합부(211)가 구성되고, 이와 일체로 하부는 프레임(250)에 내설되어 제2 체결부(230)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212)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지지대(201)는 통상의 서버랙의 하단과 맞닿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기둥(210)의 결합부(211)를 삽입 고정할 수 있다.
끼움기둥(220)은 체결기둥(210)의 제1 체결부(212) 외주면에 삽입 끼워지며, 프레임(250)에 밀착 삽입되어 프레임(250)의 고정턱 형성부(255)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기둥(210)이 프레임(250)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프레임(250)의 상부 일측에 고정나사 나사결합홈(252)이 형성되고, 고정나사 나사결합홈(252)에 나사부(2521)가 끼움기둥(220)을 지지하도록 체결되어, 끼움기둥(2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서버랙의 개폐부재 하강 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서버랙 및 개폐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결기둥(210)이 프레임(250)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제1 체결부(212)의 외주면이 6각 형으로 형성되고, 제1 체결부(21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끼움기둥(220)도 6각형의 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30)는 체결기둥(210)의 제1 체결부(2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나사산(310)이 형성되고, 타단은 체결부 헤드(23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지부(240)는 제2 체결부(230)의 체결부 헤드(232)와 체결기둥(210) 사이에 입설되며, 완충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체결기둥(21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종래는 와 같은 충격의 흡수 및 완충역할을 탄성력 있는 스프링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완충 시 충격이 부드럽지 못하며 부식 또는 고장에 의해 장기간의 사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완충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면 완충 시 충격이 부드러우며,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부로는 수지부(240)와 체결기둥(210) 사이에, 하부로는 수지부(240)와 체결부 헤드(232) 사이에 밀착결합편(241, 24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230)에서 체결부 헤드(232)를 오른쪽으로 조이게 되면, 말단부에서 체결기둥(210)과의 결합간격 이 좁아지게 되며, 결국 그 사이에 입설된 수지부(24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완충력이 낮아진다.
반대로, 체결부 헤드(232)를 왼쪽으로 풀게되면, 말단부에서 체결기둥(210)과의 결합간격이 넓어지게 되며, 결국 그 사이에 입설된 수지부(240)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서 완충력은 높아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2 체결부(230)의 체결부 헤드(232)를 돌려서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250)은 체결기둥(210), 끼움기둥(220), 제2 체결부(230) 및 수지부(240)가 내설 되고, 끼움기둥(220)을 고정하는 고정턱 형성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250)의 상부에는 제1 끼움편(253)을 체결기둥(210)에 끼우고, 프레임삽입부(251)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하부도 개방된 프레임(250)의 하부에도 제2 끼움편(254)을 밀착결합편(242) 하부에 결합하고, 프레임(250)의 하단부는 체결부 헤드(232)만 노출시킬 수 있도록 내경을 좁게 형성하여 수지부(240)가 프레임(250)의 하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서버랙 완충부재(200)의 고정턱 형성부(255)까지 안장파이프(30)에 내입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프레임(250)의 노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노출 길이에 따라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랙 완충부재(200)는 안장을 통해 체결기둥(210)까지 전달된 충격을 수지부(240)에 전달하고, 체결기둥(210)의 너트부에 체결된 제2 체결부(230)만이 충격에 따라 프레임(250)의 하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서버랙 완충부재(200)의 프레임(250) 내부에서는 제2 체결부(230)가 체결기둥(210)의 제1 체결부(212)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30)에는 체결부 헤드(232)와, 제1 체결부(212)에 체결된 체결기둥(210)과의 사이에 수지부(240)가 입설될 수 있다.
체결기둥(210)의 제1 체결부(212) 외주면에는 끼움기둥(220)이 끼워져 체결기둥(210)이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250)의 상부에는 프레임삽입부(251)가 삽입되고, 노출된 체결기둥(210)의 결합부(211)는 서버랙의 상단지지대(201)에 삽입고정이 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200)의 일부 구성인 수지부(240)는 도 9에 도시된 충격흡수부재(60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재(600)는 본체부(610),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610)의 몸체를 이루는 본체중앙부(611)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내측패널(6112)과 내측패널(6112)보다 그 직경과 높이가 모두 크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외측패널(6114)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패널(6112)은 외측패널(6114)과 동심을 이루도록 외측패널(6114)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내측패널(6112)과 외측패널(6114)의 각 상면은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패널(6112)의 저면은 외측패널(6114)의 바닥으로부터 떠 있게 될 수 있다. 내측패널(6112) 내측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패널(6112)과 외측패널(6114)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의 상면은 외부로부터 폐쇄되는데, 내측패널(6112)과 외측패널(6114) 사이에는 또 다시 원통 형상의 중앙패널(6116)이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패널(6116)에 의하여 환형 공간은 동심을 이루는 두 개의 격리된 공간인 격리공간(6118, 612)으로 분할 될 수 있다.
내측에 위치한, 즉 내측패널(6112)과 중앙패널(6116) 사이에 위치한 제1 격리공간(6118)에는 내측패널(6112)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6124)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에 위치한, 즉 외측패널(6114)과 중앙패널(6116) 사이에 위치한 제2 격리공간(612)은 공기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는 매우 낮은 열전도 특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제2 격리공간(612)이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610)는 그 내부에 상단지지부(6152)가 격납되어 있는 상단커버부(6150)를 포함하고, 상단커버부(6150)는 본체중앙부(611)의 상면을 덮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단커버부(6150)의 체결은 볼트 체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단커버부(6150)와 본체중앙부(611)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도록, 본체중앙부(611)의 제1 격리공간(6118)의 상부 일부에는 제1 격리공간(6118)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단차진 턱을 만들고, 상단지지부(6152)가 격납된 상단커버부(6150) 부분을 턱에 끼워지게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중앙부(611)의 상면과 상단커버부(6150)의 접촉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톤 오링과 같은 끼움부재(6134)이 설치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본체중앙부(611)의 상면 또는 상단커버부(6150)의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여기에 바이톤 오링과 같은 끼움부재(6134)을 끼워 넣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에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편의상 상단흡수부(620)의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상단흡수부(620)는 원기둥체 형상을 가지는데, 원형의 상하면 중 일면에는 그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오목하게 단차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흡수부(620)의 단차진 원형으로 형성된 상하면 중 일면에 본체부(610) 상부가 삽입되면 본체부(610)의 상면 및 이에 인접한 측면의 일부를 감싸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흡수부(620) 중 본체부(610)의 상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공간 안에는 완충격납부(6212)가 격납되고, 나머지 부분, 즉 본체부(610)의 측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공간 안에는 공간형성층(62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충격완충체(300)는 상단흡수부(6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그 동일한 구조를 가진 일면에는 본체부(610)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충격완충체(300) 역시 본체부(610)의 하면 및 이에 인접한 측면의 일부를 감싸게 될 수 있다.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에 격납된 완충격납부(6212, 6312)는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되, 되도록이면 경량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될 수 있다.
한편, 본체중앙부(611)의 제2 격리공간(612), 즉 공기층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지지부(61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조지지부(6126)는 충격 흡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보조지지부(6126)에는 다수의 완충홈(6128)이 형성되는데, 이는 제1 보조지지부(6126)의 탄성 특성을 증대시켜 완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조지지부(6126)는 제2 격리공간(612) 상에 다수개가 등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다만 제1 보조지지부(6126)의 갯수가 너무 많아지면 단열기능을 수행할 공기층의 부피는 작아지고 본체중앙부(611)의 무게는 무거워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갯수를 설치하여야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공기층이 형성된 측면 공간에도 그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지지부(6216, 63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제2 보조지지부(6216, 6316) 역시 본체중앙부(611)에 구비된 완충홈(612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그 재질 역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610) 상하면의 원형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하여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외측의 모서리도 둥글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한데, 이는 모서리 낙하 시의 충격흡수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체부(610)와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외측으로 노출된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원형의 외면에 그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원형부(6226, 6326)를 형성하면, 충격흡수부재(600)가 바닥에 닿는 면적이 줄어 들어 오염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충격흡수부재(600)는, 본체중앙부(611) 외주면의 상하부에 관통된 체결홈(6132)이 형성된 체결부재(613)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상단흡수부(620)의 단차진 원형으로 형성된 상하면 중 일면과, 하부 충격완충체(300)의 상단흡수부(6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일면에의 외측으로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나사(622, 632)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출 배치된 제1 나사(622, 632)가 가이드 핀 역할을 하여, 체결부재(613)에 뚫려 있는 체결홈(6132)에 제1 나사(622, 63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610)와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를 체결하는데 있어, 이들을 수평 또는 수직 상태에서 정확히 정렬하는 사전 작업이 필요 없다. 체결부재(613)의 체결홈(6132)에 삽입되어 돌출된 제1 나사(622, 632)에 나사체결부(6222, 6322)를 끼워 체결하면, 본체부(610)와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결합이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613)와 제1 나사(622, 632)를 통 한 본체부(610)와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결합을 보여준다. 제1 나사(622, 632)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부재(613)의 체결홈(6132)을,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네 개 정도, 즉 90°원주각을 이루도록 네 개를 배치하였다.
또한 본체부(610)의 상하면이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를 관통하는 제2 나사(6224, 6324)에 의하여 나사 결합되면, 본체부(610)와 상단흡수부(620) 및 하단흡수부(63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진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30: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

Claims (3)

  1.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하고, 관리하는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데이터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날짜, 위치, 인물 또는 배경을 포함하는 분류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분류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백업되는 기존 데이터 및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에 백업되는 상기 신규 데이터 중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악성코드가 검출되는 신규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하는 보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자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발생하는 신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할 때 신규 데이터 수동 백업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백업 입력을 받아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발생한 신규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서버를 통해 동기화 목록에서 제외된 신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안 서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형성된 서버랙의 비어 있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서버랙은,
    내부에 상기 클라우드 관리 서버를 내장 가능하도록 양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되,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단 플레이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유출구조로 형성되는 후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형성된 그립부를 통해 제1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 상기 상단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개폐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내측면에 홈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개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는,
    상기 개폐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 슬라이딩부 상을 이동하고,
    상기 개폐회전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취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회전부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권출되어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상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그립부를 이용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개폐회전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개방부는 폐쇄되는,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46386A 2021-10-29 2021-10-29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KR10235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386A KR102353139B1 (ko) 2021-10-29 2021-10-29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386A KR102353139B1 (ko) 2021-10-29 2021-10-29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139B1 true KR102353139B1 (ko) 2022-01-18

Family

ID=8005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386A KR102353139B1 (ko) 2021-10-29 2021-10-29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248B1 (ko) 2022-03-18 2022-09-13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된 DaaS의 자원 관리 및 자원 사용량에 대한 예측 시스템
KR102562585B1 (ko) * 2022-07-06 2023-08-02 김종철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9940A1 (en) * 2010-09-02 2012-03-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erminal device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KR20150052421A (ko) * 2013-11-04 2015-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클라우드 장치
US20160065672A1 (en) * 2014-05-30 2016-03-03 Box, Inc. Synchronization of permissioned content in cloud-based environments
US20180018345A1 (en) * 2016-07-18 2018-01-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ud Content States Framework
KR20180035515A (ko) 2016-09-29 2018-04-06 (주)웰데이타시스템 스마트 단말기용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성능 검증 방법
KR101847844B1 (ko) * 2017-07-03 2018-04-11 김인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9940A1 (en) * 2010-09-02 2012-03-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erminal device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KR20150052421A (ko) * 2013-11-04 2015-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클라우드 장치
US20160065672A1 (en) * 2014-05-30 2016-03-03 Box, Inc. Synchronization of permissioned content in cloud-based environments
US20180018345A1 (en) * 2016-07-18 2018-01-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ud Content States Framework
KR20180035515A (ko) 2016-09-29 2018-04-06 (주)웰데이타시스템 스마트 단말기용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성능 검증 방법
KR101847844B1 (ko) * 2017-07-03 2018-04-11 김인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248B1 (ko) 2022-03-18 2022-09-13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된 DaaS의 자원 관리 및 자원 사용량에 대한 예측 시스템
KR102562585B1 (ko) * 2022-07-06 2023-08-02 김종철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139B1 (ko) 멀티클라우드 실시간 통합자원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매니지드 플랫폼 구현 시스템
US20040229199A1 (en) Computer-based standardized test administration, scoring and analysis system
CN109089259A (zh) 一种在线差分升级系统
KR102403992B1 (ko) 멀티오케스트레이터 활용한 컨테이너클러스터 서비스 시스템
CN106127881B (zh) 便携式酒精检测影像记录仪及云计算酒精检测管理系统
Rogers et al. Cross‐validation of the five‐factor interpretive model of the suicide opinion questionnaire
Mocanu et al. Power spectral distribution of the BL Lacertae object S5 0716+ 714
Chou et al. Ballistic impact resistance of selected organic ophthalmic lenses
CN107767511A (zh) 一种基于二维码的门禁验证方法
Cocchiara et al. Data center topologies for mission-critical business systems
Muñiz Classical test models
Tylenda Planetary nebulae with massive nuclei. II-Discussion of observed candidates
Kisamore Distributional shapes and validity transport: A comparison of lower bounds
CN107705407A (zh) 一种基于二维码的门禁系统
Boz et al. A short assessment tool for small vessel disease with cognitive impairment: The Virtual Supermarket (VSM) Developing topics
Yan Computer‐Assisted Telephone and Personal Interviews
Espey et al. An Ionization-Dependent Baldwin Effect?
Cheng et al. Investigations of Serum Metabolomic Relationships between Lung Cancer and Alzheimer’s Diseas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Farhady et al. Assessing Farsi
GICQUEL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fter implantation of the CrystalensTM intraocular lens (IOL)
Cardenal et al. Randomized phase II study of sequential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RT) in poor-risk patients with inoperable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nterim analysis
Segen et al. Using an entorhinal cortex‐based virtual reality navigation task to differentiate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N113487175A (zh) 一种用于酒店的投影管理系统
CN115311115A (zh) 航空安保管理系统、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Gil Arribas et al. A comparison of perimetric results with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and HEP perimetry in a group of glaucomatous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