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23B1 -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23B1
KR102352523B1 KR1020167033367A KR20167033367A KR102352523B1 KR 102352523 B1 KR102352523 B1 KR 102352523B1 KR 1020167033367 A KR1020167033367 A KR 1020167033367A KR 20167033367 A KR20167033367 A KR 20167033367A KR 102352523 B1 KR102352523 B1 KR 102352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all
movable
compartment
box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303A (ko
Inventor
스테파노 캐밸러리
세르게이 크라시에브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2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2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241/00Making bags or boxes intended for a specific use
    • B31B2241/003Making cigarett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소비재용 용기(20)가 제시되며, 용기(20)은 최하부 벽, 2개의 측벽, 후방 벽(30), 및 전방 벽(124)을 포함하는 박스(22)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20)는 상기 박스(22)로부터 제1 접철 선(32)을 따라 결정되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접철 선(3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박스 후방 벽(3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뚜껑(24)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으로부터 경첩 선(26)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격실(34)은 상기 박스(22) 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24)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가능하며,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2 격실(36)은 상기 박스(22) 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24) 및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이 각자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CONTAINER HAVING A MOVABLE WALL}
본 발명은 소비재를 수용하고 이동식 벽을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소비재를 수용하고 이동식 벽을 포함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궐련과 같은 세장형 흡연 물품을 위한 용기로서의 특정한 응용예가 있다.
접철식 박층 블랭크로 형성된 용기 내에 예를 들면 세장형의 흡연 물품 및 다른 소비재를 포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궐련 및 여송연과 같은 세장형의 흡연 물품은 통상적으로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박스 및 용기의 후방 벽을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경첩 선에 대해 박스에 연결된 뚜껑을 갖는 경첩식 뚜껑 팩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팩은 통상적으로 박층 판지 블랭크로 구성된다. 사용 시에는, 상기 뚜껑이 경첩 선에 대하여 축회전(pivot)되어 팩을 개방하고, 이렇게 해서 상기 박스 내에 보관된 한 묶음의 흡연 물품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용기와 비교할 때 추가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신규한 소비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존 제조 공정이나 포장 장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소비재용 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용기는 최하부 벽, 2개의 측벽, 후방 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는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박스에서부터 제1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접철 선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이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 후방 벽 위에 가로놓이게 된다. 뚜껑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에서부터 경첩 선을 따라 결정되며, 상기 뚜껑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격실은 박스 내에 위치하되, 이 제1 격실은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가능하고,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2 격실도 박스 내에 위치하되, 이 제2 격실은 뚜껑과 이동식 용기 후방 벽 모두가 이들 각자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접근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식 뚜껑 용기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경첩식 뚜껑 용기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경첩식 뚜껑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박층 블랭크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2의 경첩식 뚜껑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박층 블랭크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2의 경첩식 뚜껑 용기 내부에 격실을 형성하는 블랭크를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12는 도 2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도 4, 도 5 및 도 6의 블랭크들을 조립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들의 구성성분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어 “전방(front)”, “후방(back)”, “상부(upper)”, “하부(lower)”, “측부(side)”, “최상부(top)”, “최하부(bottom)” 및 기타 용어들은 최상부 말단에 뚜껑이 있고 최하부에 박스 최하부 벽이 있는, 후방에 경첩을 갖는 직립 자세의 용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이들 용어들은 이 용기의 배향을 설명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사용된다. 축회전 이동에 의해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게 하는 경첩 선은 용기의 “후방”에 위치한다. 반대로, 용기의 “전방”은 용기의 “후방”과 반대인 용기의 면(facet)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패널"이라는 용어는 물질의 단일 연속 부분으로 형성된 용기의 일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패널에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철 선을 따라 패널이 결정될 수 있다. 용어 “플랩”은 오로지 하나의 다른 패널에서부터 오로지 하나의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패널을 지칭한다.
용어 “벽”은 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면을 지칭하며, 벽은 단일 패널 또는 플랩에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인접 또는 중첩하는 패널 또는 플랩에서 형성될 수 있다.
용어 “경첩 선”은 2개의 구성요소가 이 선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축회전될 수 있는 선을 지칭한다. 경첩 선은, 예를 들면 상기 용기의 후방 벽면 내의 접지선 또는 괘선일 수도 있다. 벽 또는 패널 내의 접철 선, 천공 선 또는 스코어라인일 수 있다. 대안으로, 2개의 구성요소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구성요소에 의해 함께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패널들은 절단선을 가로질러 2개의 패널 사이로 연장하는 라벨 또는 스티커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라벨 또는 스티커는 절단선을 따라 2개의 패널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이 경우, 라벨 또는 스티커는 경첩을 형성하고 절단선은 경첩 선을 형성한다.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격실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이들이 외부 형상이 종래의 용기와 유사하면서도 용기보다 상당히 작을 수 있는 소비재를 수용하기에 여전히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용기는 세장형 흡연 물품을 위한 종래의 경첩식 뚜껑 팩과 유사하면서도 종래의 필터 궐련보다 상당히 작은 제1 및 제2 격실 내부에 소비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더욱 종래 용기의 외부 외형과 치수를 유지시킬 수 있어서, 용기의 래핑과 포장 및 판매 시에 용기의 전시와 같은 하류 과정(downstream process)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추가로, 제1 및 제2 격실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재를 수용하기 위해 단일의 커다란 격실을 갖는 종래 용기에 비교해서 소비재의 하나 또는 몇 개를 제거할 때 남아 있는 소비재의 원치 않는 이동을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에 의해 종래 용기와 비교해서 추가된 기능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서 메시지, 표시 또는 다른 정보를 소비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우발적 혹은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바람직하게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은 이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박스 전방 벽의 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전방 벽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뚜껑 전방 벽과 박스 전방 벽 사이의 중첩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에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개구는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격실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격실이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박스 후방 벽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한다.
용어 “연결된”은 단일 피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용기의 2개 이상의 부분들, 또는 개별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개별의 부분들은 함께 2개 이상의 부분들을 직접 고정시키도록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부분들 사이에 고정되어 연장하는 라벨 또는 스티커와 같은 추가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용기는 바람직하게 개구의 에지에서 상기 박스에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일부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들을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상기 파열 부분들은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먼저 이동시켜서 파열될 때 까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파열 부분들은 이용자가 제2 격실에 접근하고자 할 때 까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이른 시기의 또는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제1 격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제거하고자 할 수 있고, 제1 격실 내부에 소비재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만 제2 격실에 접근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조차도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우발적인 개방을 파열 부분들이 방지하는 한편 제1 격실에 접근하도록 뚜껑을 개방할 수 있다.
이 파열 부분들은 일련의 통공부와 각 쌍의 연속하는 통공부 사이의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공선은 바람직하게 개구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각 통공부의 길이는 절단되지 않은 물질의 인접 세그먼트들의 길이보다 바람직하게 상당히 크지 않아서 통공선은 비교적 적은 수의 비절단 물질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절단되지 않은 물질 세그먼트의 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이용자가 처음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쉽게 개방하게 해 준다. 예를 들면, 통공선은 바람직하게 1 내지 10개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 바람직하게 1 내지 5개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의 에지를 형성하는 파열 부분들의 대안으로서, 파열 부분들이 용기의 상이한 위치에서 박스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과 박스 측벽 사이에서 용기의 에지를 따라 박스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일부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들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용기는 박스 후방 벽 및 이동식 용기 후방 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저점착성 접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점착성 접착제는 폐쇄 위치에서 이동식 부분을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킨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용기는 박스의 적어도 일부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적어도 일부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처음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전에는 용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를 제거해야 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우발적인 성급한 개방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는 이용자가 사전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조작 증거를 제공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용기는 폐쇄 위치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이동식 용기 후방 벽과 박스 사이에 자석 마개 또는 후크 및 루프 마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용기는 우연한 또는 시기상조의 뚜껑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과 박스 사이에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 저점착성 접착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 자석 마개, 및 후크 및 루프 마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2 격실은 이용자에 의해 밀봉이 깨지거나 개방될 때까지 밀봉,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기밀 밀봉될 수 있다. 밀봉은 제2 격실과 박스의 일부 사이로 연장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처음 개방 위치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이동시키는 경우 밀봉이 자동으로 깨지거나 개방된다. 바람직하게, 밀봉은 재밀봉가능해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및 폐쇄되면서 밀봉이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예를 들면, 밀봉은 박스와 제2 격실 사이로 연장하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격실을 덮는 라벨 또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라벨 또는 플랩에는 제2 격실과 마주하는 측면에 저점도 접착제가 제공되며, 이 저점도 접착제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고 저점도 접착제가 제2 격실과 접촉하게 될 때 마다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밀봉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위치로 이동된 후에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박스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2 격실에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제2 격실에 접근하고자 결정할 때까지 환경으로부터 제2 격실을 유리하게 고립시키는 한편 동시에 제1 격실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소비재에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비재가 제1 및 제2 격실 모두에 수용되는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제1 격실에서 모든 소비재를 제거할 때까지 제2 격실 내의 소비재의 신선함이 유지될 수 있다.
용어 “실질적으로 기밀식 밀봉”은 밀봉된 격실 또는 하나 이상의 밀봉된 소비재와 같은 밀봉을 의미하는데 사용되며, 밀봉 내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비재의 오븐 휘발성 함량은 밀봉이 온전히 유지되거나 폐쇄되는 2주 기간 동안 소비재의 약 4 중량% 이상 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소비재의 오븐 휘발성 성분은 2주 기간동안 하나 이상의 소비재의 약 2 중량% 이상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묶음의 흡연 물품은 제조 시에 흡연 물품의 약 13 중량%의 오븐 휘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연 물품이 격실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기밀식 밀봉되는 실시예에서, 흡연 물품이 격실 내부에서 밀봉된 후 2주 지나 흡연 물품의 오븐 휘발성 성분은 약 9% 내지 약 17%, 바람직하게 약 11% 내지 15% 일 것이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격실은 제1 격실 내부의 임의의 소비재와 별도로 밀봉된, 바람직하게 기밀하게 밀봉되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격실은 하나 이상의 개별적으로 밀봉된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격실은 단일 묶음으로서 밀봉되는 한 묶음의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실은 하나 이상의 밀봉된 소비재를 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용기는 제1 격실 및 제2 격실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기는 제1 및 제2 격실 모두에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소비재는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포함한다. 용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가열된 경우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은 공기와 같은 기체 속의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의 현탁물이다. 에어로졸은 공기와 같은 기체 속의 고체 입자와 액체 방울의 현탁물일 수도 있다. 예컨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물품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담배, 또는 기재가 가열되면 니코틴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다른 니코틴 함유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필터 궐련과 같은 추가의 종래 흡연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확장된다. 그러므로, 제2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비재용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격실을 형성하도록 제1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 및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2 격실을 형성하도록 제2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격실은 제3 박층 블랭크에 고정되며 제3 박층 블랭크는 제1 및 제2 격실 주위로 접철되어, 바닥 벽, 2개의 측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는 박스를 형성한다. 접철된 제3 박층 블랭크는 제4 박층 블랭크에 고정되고 제4 박층 블랭크는 접철되어 이동식 용기 후방 벽 및 뚜껑을 형성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박스로부터 제1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접철 선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뚜껑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으로부터 경첩 선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1 격실은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접근가능하며, 제2 격실은 뚜겅과 이동식 용기 후방 벽 모두가 각각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접근가능하다.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 격실을 제공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저장될 수 있는 소비재의 크기, 형상 및 유형에 대해 보다 큰 유연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양 측면에서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와 유사한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제1 및 제2 격실은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 내부에 통상적으로 저장되는 소비재보다 작은 소비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격실을 갖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박층 블랭크를 사용함으로써 완성된 용기의 상대적인 복합성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단한 생산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뚜껑 부분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용기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우발적이거나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박층 블랭크가 접철되어 뚜껑은 이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박스 전방 벽의 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전방 벽을 포함한다. 이 경우, 뚜껑 전방 벽과 박스 전방 벽 사이의 중첩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폐쇄 위치에 유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스를 형성하도록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박스 후방 벽을 형성하도록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이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박스 후방 벽과 중첩한다. 유리하게, 박스 후방 벽을 형성하는 것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용기의 강성도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는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연약 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격실을 상기 제3 박층 블랭크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격실 각각의 후방 벽을 상기 제3 박층 블랭크의 제1 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박스 후방 벽 및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격실 둘레에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은 제1 접철 선 및 연약 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제1 격실은 박스 후방 벽에 고정되고 제2 격실은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에 고정된다. 제4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제2 이동식 후방 패널로부터 결정되는 뚜겅 및 제2 이동식 후방 패널을 형성하도록 제4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박층 블랭크에 접철된 제3 박층 블랭크를 고정시키는 단계는 제3 박층 블랭크의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의 제2 측면에 제4 박층 블랭크의 제2 이동식 후방 패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단 고정되면, 제1 및 제2 이동식 후방 패널은 함께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형성한다.
제3 박층 블랭크 내에 연약 선을 포함하는 이들 실시예에서, 연약 선은 박스 후방 벽에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열 부분은 폐쇄 위치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유지시키며, 이 파열 부분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개방 위치로 우선 이동시키면 파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은 각 쌍의 연속하는 통공부 사이의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을 포함하는 통공과 같은 연약 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통공부의 길이는 절단되지 않은 물질의 인접 세그먼트들의 길이보다 바람직하게 상당히 크지 않아서 통공선은 비교적 적은 수의 비절단 물질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절단되지 않은 물질 세그먼트의 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이용자가 처음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쉽게 개방하게 해 준다. 예를 들면, 통공선은 바람직하게 1 내지 10개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 바람직하게 1 내지 5개 세그먼트의 비절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박층 블랭크 내에 연약 선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의 에지가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에 바람직하게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구를 덮고, 상기 개구는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격실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 용기가 개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로 이동될 때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의 상기 개구를 통해 바람직하게 이동한다.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제3 및 제4 박층 블랭크가 접철된 후 저점착성 접착제가 폐쇄 위치에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제3 및 제4 박층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 저점착성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박스의 적어도 일부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적어도 일부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처음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전에는 용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를 제거해야 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우발적인 성급한 개방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는 이용자가 사전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조작 증거를 또한 제공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폐쇄 위치에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이동식 용기 후방 벽과 박스 사이에 자석 마개 또는 후크 및 루프 마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우연한 또는 시기상조의 뚜껑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과 박스 사이에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 저점착성 접착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띠, 자석 마개, 및 후크 및 루프 마개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2 격실은 이용자에 의해 밀봉이 깨지거나 개방될 때까지 밀봉,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기밀 밀봉될 수 있다. 밀봉은 제2 격실과 박스의 일부 사이로 연장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처음 개방 위치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이동시키는 경우 밀봉이 자동으로 깨지거나 개방된다. 바람직하게, 밀봉은 재밀봉가능해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및 폐쇄되면서 밀봉이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예를 들면, 밀봉은 박스와 제2 격실 사이로 연장하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격실을 덮는 라벨 또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라벨 또는 플랩에는 제2 격실과 마주하는 측면에 저점도 접착제가 제공되며, 이 저점도 접착제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고 저점도 접착제가 제2 격실과 접촉하게 될 때 마다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밀봉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위치로 이동된 후에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박스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2 격실에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제2 격실에 접근하고자 결정할 때까지 환경으로부터 제2 격실을 유리하게 고립시키는 한편 동시에 제1 격실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소비재에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비재가 제1 및 제2 격실 모두에 수용되는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제1 격실에서 모든 소비재를 제거할 때까지 제2 격실 내의 소비재의 신선함이 유지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격실은 제1 격실 내부의 임의의 소비재와 별도로 밀봉된, 바람직하게 기밀하게 밀봉되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격실은 하나 이상의 개별적으로 밀봉된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격실은 단일 묶음으로서 밀봉되는 한 묶음의 소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실은 하나 이상의 밀봉된 소비재를 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재 둘레에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 주위에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 모두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소비재는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포함한다. 용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가열된 경우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은 공기와 같은 기체 속의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의 현탁물이다. 에어로졸은 공기와 같은 기체 속의 고체 입자와 액체 방울의 현탁물일 수도 있다. 예컨대,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물품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담배, 또는 기재가 가열되면 니코틴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다른 니코틴 함유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필터 궐련과 같은 추가의 종래 흡연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 모두에 따른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의 어떤 것에 따른 용기는 각각 두 개의 좁은 벽에 의해 이격된 두 개의 넓은 벽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넓은 벽은 일반적으로 상기 전방 벽면과 후방 벽면이며, 상기 두 개의 좁은 벽은 일반적으로 측벽이다.
상기 용기는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지만, 판지(cardboard), 보드지(paperboard), 플라스틱, 금속,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접철된 박층 판지 블랭크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지는 약 100 g/m2 내지 약 350 g/m2 사이의 평량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조립되고 충전된 용기는 외부 래퍼에 포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래퍼는 예를 들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염화 폴리비닐리덴,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그들의 조합의 투명한 폴리머 필름이고, 상기 외부 래퍼는 종래 방식으로 적용된다. 상기 외부 래퍼는 개봉 테이프(tear tape)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래퍼에는 이미지, 소비자 정보 또는 기타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고, 직각의 길이 방향 및 직각의 가로 방향 에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용기는 하나 이상의 둥근 길이방향 에지들, 둥근 가로방향 에지들, 경사진(bevelled) 길이방향 에지들 또는 경사진 가로방향 에지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용기가 하나 이상의 경사진 에지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진 에지는 약 1 mm와 약 10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2 mm와 약 6 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용기는 2개의 구별되는 사선(bevel)이 용기의 에지 상에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있는 3개의 평행한 점선 또는 괘선에 의해 형성된 이중 사선(double bevel)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용기는 비-직사각형의 횡단면, 예를 들면 삼각형이나 육각형,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과 같은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면 궐련, 엽궐련(cigars), 가는 엽궐련(cigarillo) 같은 에어로졸 형성 물품, 또는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 내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위한 팩으로서의 구체적인 응용예를 찾을 수 있다. 치수들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제1 및 제2 격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이한 개수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소비재들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40 mm와 약 100 mm 사이의 폭,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mm와 약 90 mm 사이의 폭을 가지며, 여기서 이 폭은 용기의 일 측벽으로부터 다른 측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들은 약 6 mm와 약 150 mm 사이의 깊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mm와 약 25 mm 사이의 깊이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깊이는 용기의 전방 벽면으로부터 후방 벽면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높이의 비는 약 1 대 1과 약 10 대 1의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대 1과 5 대 1 사이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폭의 비는 약 1 대 1과 약 10 대 1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3 내지 1 사이이다.
용기가 에어로졸 형성 물품들을 수용한다면, 에어로졸 형성 물품들은 제1 및 제2 격실 모두에 수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들은 격실들 중 오로지 하나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격실이 재 또는 꽁초와 같은 폐기물, 또는 예컨대 성냥, 라이터, 소화 수단, 입냄새 제거제 또는 전자제품과 같은 다른 소비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격실은 용기 내에서 동일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격실 모두는 용기의 최상부와 마주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및 제2 격실은 상이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격실은 용기의 최상부와 마주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제2 격실은 용기의 측면과 마주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를 용이하게 구성하기 위해,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이를 중심으로 이동가능한 제1 접철선은 박스 최하부 벽과 이동식 용기 후방 벽 사이에서의 접철선일 수 있다. 즉, 접철선은 박스 최하부 벽이 이동식 용기 후방 벽과 만나는 용기의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접철 선은 용기 상의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철 선은 박스 측벽 중 하나와 이동식 용기 후방 벽 사이의 접철 선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접철 선은 용기의 후방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어서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박스 후방 벽으로부터 제1 접철선을 따라 결정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박스 후방 벽 위의 제1 접철 선의 높이는 뚜껑 후방 벽의 높이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개방 위치에서 이동식 용기 후방 벽과 뚜껑을 갖는 평편면 상에 용기가 위치될 때 박스 최하부 벽과 뚜껑 최상부 벽이 평편면 상에 지지되고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뚜껑과 박스 후방 벽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수평의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이용자가 용기로부터 소비재를 제거 또는 소모하는 동안 물품을 위에 위치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가 하나 이상의 흡연 물품을 수용하는 실시예들에서, 수평 플랫폼은 이용자가 흡연 물품 중 하나를 소모하는 동안 재떨이를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격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제2 격실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재 또는 담배 꽁초와 같은 폐기물을 수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로서만 더욱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한 묶음의 궐련과 같은 복수의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10)를 도시한다. 이 용기(10)는 박스(12) 및 이 박스(12)의 후방 벽에서부터 경첩 선을 따라 지지되는 박스(12) 및 뚜껑(14)을 포함한다. 박스(12)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수용되는 단일 격실을 형성한다.
내부 프레임(16)이 박스(12)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박스(12)의 최상부 에지 위로 연장한다. 내부 프레임(16)은 개구(18)를 형성하는데, 뚜껑(1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이 개구(18)를 통해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제거될 수 있다. 뚜껑(14)은 도 1에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박스(12) 및 뚜껑(14)은 제1 박층 블랭크로 형성되며, 내부 프레임(16)은 제2 박층 블랭크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경첩 뚜껑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20)는 이 용기(20)의 이동식 후방 벽(28)에서 경첩 선(26)을 따라 지지되는 박스(22) 및 뚜껑(24)을 포함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은 도 3에 박스 후방 벽(30)과 함께 보다 명확히 도시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은 박스(22)의 최하부 벽에서 접철 선(32)을 따라 그 최하부 에지에서 지지되며, 뚜껑(24)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의 최상부 에지에서 경첩 선(26)을 따라 결정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은 박스 후방 벽(30)에 대항하여 놓이는 폐쇄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접철 선(32)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하다.
박스 후방 벽(30) 상에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1 격실(34)이 제공되며, 이 제1 격실(34)은 박스(22)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 상에는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수용하는 제2 격실(36)이 제공되며, 이 제2 격실(36)은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박스 후방 벽(30)의 개구(38)를 통해 박스(22)의 하부 부분 안으로 연장된다.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이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격실(36)은 개구(38)를 통해 박스(22)의 하부 부분의 외부에 이동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경첩식 뚜껑 용기(20)는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10)와 동일한 외부 치수 및 외형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경첩식 뚜껑 용기(20)의 제1 및 제2 격실(34, 36)은 종래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소비재보다 작은 소비재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격실(34, 36)은 종래의 경첩식 뚜껑 용기(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종래의 필터 담배보다 상당히 짧을 수 있는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격실(34)에 접근하기 위해, 이용자는 단지 경첩식 뚜껑 용기(20)의 뚜껑(24)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제2 격실(36)에 접근하기 위해, 이용자는 먼저 뚜껑(24)을 개방한 다음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경첩식 뚜껑 용기(20)의 뚜껑(24),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 및 제1 박스 최하부 패널을 형성하는 외부 박층 블랭크(40)를 도시한다. 점선은 접철 선을 나타내며, 실선은 블랭크의 에지와 절단선을 나타낸다.
외부 박층 블랭크(40)는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 이동식 부분 플랩(44), 및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의 최하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지지되는 제1 박스 최하부 패널(46)을 포함한다. 뚜껑 후방 패널(48)은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지지되며, 뚜껑 최상부 패널(50)은 뚜껑 후방 패널(48)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지지되고, 뚜껑 전방 패널(52)은 뚜껑 최상부 패널(50)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지지되며, 보강 하부 패널(54)은 뚜껑 전방 패널(52)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된다. 제1 세트의 뚜껑 측면 플랩(56)은 뚜껑 후방 패널(48)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지지되며, 제2 세트의 뚜껑 측면 플랩(58)은 뚜껑 전방 패널(52)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된다. 뚜껑 최상부 플랩(60)은 뚜껑 최상부 패널(50)로부터 접철 선들을 따라 결정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경첩식 뚜껑 용기(20)의 박스(22)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박층 블랭크를 도시한다. 점선은 접철 선을 나타내며, 실선은 블랭크의 에지와 절단선을 나타낸다.
내부 박층 블랭크(70)는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 및 이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의 최하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박스 전방 패널(74)을 포함한다. 후방 패널(76)은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의 최상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며, 후방 패널(76)은 통공 선(80)을 포함한다.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의 최상부 에지를 따라 접철 선(78) 및 통공 선(8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후방 패널(76)의 부분은 내부 이동식 후방 패널(82)을 형성한다. 후방 패널(76)의 나머지가 박스 후방 벽(84)을 형성한다.
박스 측면 플랩(86)은 박스 전방 패널(74)의 측면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며, 내부 프레임 측면 패널(88)은 박스 후방 벽(84)의 측면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된다. 내부 프레임 전방 플랩(90)은 내부 프레임 측면 패널(88)의 측면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연장한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경첩식 뚜껑 용기의 격실을 형성하는 박층 블랭크(100)를 도시한다. 점선은 접철 선을 나타내며, 실선은 블랭크의 에지와 절단선을 나타낸다.
박층 블랭크(100)는 격실 전방 패널(102), 격실 전방 패널(102)의 최하부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격실 최하부 패널(104), 및 격실 최하부 패널(104)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제1 격실 후방 플랩(106)을 포함한다. 격실 측면 패널(108)은 격실 전방 패널(102)의 측면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며, 제2 및 제3 격실 후방 플랩(110, 112)은 격실 측면 패널(108)의 측면 에지로부터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된다.
경첩식 뚜껑 하우징(20)에 대한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 박층 블랭크(100)는 격실 최하부 패널(104)이 격실의 최하부 벽을 형성하고 격실 측면 패널(108)이 격실의 측벽들을 형성하도록 접철된다. 박층 블랭크(100)는, 제2 및 제3 격실 후방 플랩(110, 112)이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될뿐만 아니라 제1 격실 후방 플랩(106)과 중첩되도록 또한 접철된다. 제1, 제2 및 제3 격실 후방 플랩(106, 110, 112)은 함께 격실의 후방 벽을 형성한다. 제2 및 제3 격실 후방 플랩(110, 112)은 접철된 상태에서 박층 블랭크(100)를 유지시키도록 제1 격실 후방 플랩(106)에 고정된다. 도 7에는 격실을 형성하는 접철된 박층 블랭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식 뚜껑 용기(20)를 형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격실이 제공되며, 격실들 중 적어도 하나가 하나 이상의 소비재를 수용한다.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 박층 블랭크(100)가 접철된 후 소비재가 격실 안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격실을 형성하면 하나 이상의 소비재 주위로 박층 블랭크(100)가 접철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격실이 내부 박층 블랭크(70) 상에서 후방 패널(76)에 고정된다. 제1 격실(34)을 형성하도록 격실들 중 하나가 박스 후방 벽(84)에 고정되며, 제2 격실(36)을 형성하도록 다른 격실이 내부 이동식 후방 패널(82)에 고정된다. 격실들은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부 박층 블랭크(70)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박층 블랭크(70)의 내부 프레임 전방 플랩(90) 및 내부 프레임 측면 패널(88)이 이때 제1 및 제2 격실(34, 36) 둘레로 접철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 부분(120, 122)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이 제2 격실(36) 밑으로 접철되고, 박스 전방 패널(74)이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 부분(120, 122) 위로 접철되어 이들이 함께 박스 전방 벽(124)을 형성한다. 박스 측면 플랩(86)은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 부분(120, 122)의 측면들 둘레로 접철되어 이들이 함께 박스 측면 벽을 형성한다.
접철된 내부 박층 블랭크(70)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박층 블랭크(40)를 준비하기 위해, 이동식 부분 플랩(44)이 위로 접철되고 바람직하게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을 보강한다.
접철된 내부 박층 블랭크(70)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박층 블랭크(40)를 추가로 준비하기 위해, 보강 하부 패널(54)이 위로 접철되고 바람직하게 뚜껑 전방 패널(52)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뚜겅 최상부 플랩(60)이 위로 접철되며 바람직하게 뚜껑 최상부 패널(50)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격실(34, 36)을 포함하는 접철된 내부 박층 블랭크(70)는 준비된 외부 박층 블랭크(4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이동식 후방 패널(82)의 외부면은 접철된 이동식 부분 플랩(44) 및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제2 박스 최하부 패널(72)의 외부면은 제1 박스 최하부 패널(46)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42), 접철된 이동식 부분 플랩(44) 및 내부 이동식 후방 패널(82)은 함께 이동식 용기 후방 벽(28)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박스 최하부 패널(46, 72)은 함께 박스의 최하부 벽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뚜껑 최상부 패널(50), 뚜껑 전방 패널(52), 및 제1 및 제2 세트의 뚜껑 측면 플랩(56, 58)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4)을 형성하도록 접철된다. 접철된 위치에서 뚜껑 패널 및 플랩들을 유지시키기 위해, 제2 뚜껑 측면 플랩(58) 각각은 중첩되며 대응하는 제1 뚜껑 측면 플랩(56)에 고정되어 뚜껑 측벽을 형성한다.
10: 뚜껑 용기
12: 박스
14: 뚜껑
16: 내부 프레임
18: 개구
20: 용기
22: 박스
24: 뚜껑
26: 경첩 선
28: 용기 후방 벽
30: 박스 후방 벽
32: 접철 선
34: 제1 격실
36: 제2 격실
38: 개구
40: 외부 박층 블랭크
42: 외부 이동식 후방 패널
44: 이동식 부분 플랩
46: 제1 박스 최하부 패널
48: 뚜껑 후방 패널
50: 뚜껑 최상부 패널
52: 뚜껑 전방 패널
54: 보강 하부 패널
56: 제1 세트 뚜껑 측면 플랩
58: 제2 세트 뚜껑 측면 플랩
60: 뚜껑 최상부 플랩
70: 내부 박층 블랭크
72: 제2 박스 최하부 패널
74: 박스 전방 패널
76: 후방 패널
78: 접철 선
80: 통공 선
82: 내부 이동식 후방 패널
84; 박스 후방 벽
86: 박스 측면 플랩
88: 내부 프레임 측면 패널
90: 전방 플랩
100: 박층 블랭크
102: 격실 전방 패널
104: 격실 최하부 패널
106: 제1격실 후방 플랩
108: 격실 측면 패널
110: 제2 격실 후방 플랩
112: 제3 격실 후방 플랩
120: 제1 내부 프레임 부분
122: 제2 내부 프레임 부분
124: 박스 전방 벽

Claims (12)

  1. 소비재용 용기로서,
    최하부 벽, 2개의 측벽, 후방 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는 박스;
    상기 박스로부터 제1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으로서,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접철 선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박스 후방 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이동식 용기 후방 벽;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으로부터 경첩 선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뚜껑;
    상기 박스 내에 위치하며, 소비재를 수용하고, 상기 뚜껑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가능한 제1 격실; 및
    상기 박스 내에 위치하며, 소비재를 수용하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각자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가능한 제2 격실을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에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개구는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격실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소비재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박스 후방 벽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하는, 소비재용 용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에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의 일부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열 부분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파열 부분은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먼저 이동시키면 파열되는, 소비재용 용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격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에어로졸 형성 물품을 더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
  6. 소비재용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소비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격실을 형성하도록 제1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
    소비재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격실을 형성하도록 제2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격실을 제3 박층 블랭크에 고정시키는 단계;
    최하부 벽, 2개의 측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는 박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격실 둘레로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
    상기 접철된 제3 박층 블랭크를 제4 박층 블랭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이동식 용기 후방 벽 및 뚜껑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4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박스로부터 제1 접철 선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철 선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으로부터 경첩 선을 따라 결정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격실은 상기 뚜껑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 가능하고,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각자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접근 가능한,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박스 후방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박스 후방 벽과 중첩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는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연약 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격실을 상기 제3 박층 블랭크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격실 각각의 후방 벽을 상기 제3 박층 블랭크의 제1 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박층 블랭크를 접철시키는 단계는:
    박스 후방 벽 및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격실 둘레로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은 상기 연약 선 및 상기 제1 접철 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제1 격실이 상기 박스 후방 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격실이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에 고정되는, 상기 제3 박층 블랭크를 접철시키는 단계; 및
    제2 이동식 후방 패널, 및 상기 제2 이동식 후방 패널로부터 결정되는 뚜껑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4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된 제3 박층 블랭크를 상기 제4 박층 블랭크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식 후방 패널이 함께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박층 블랭크의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의 상기 제2 측면에 상기 제4 박층 블랭크의 상기 제2 이동식 후방 패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 선은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을 상기 박스 후방 벽에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파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파열 부분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파열 부분은 먼저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을 이동시키면 파열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식 후방 패널의 에지가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에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구를 덮고, 상기 개구는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격실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이동식 용기 후방 벽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로 이동될 때 상기 박스 후방 벽 내의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를 접철하는 단계는 에어로졸 형성 물품 둘레로 상기 제1 및 제2 박층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를 접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 제조 방법.
KR1020167033367A 2014-06-27 2015-06-26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 KR102352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4787.3 2014-06-27
EP14174787 2014-06-27
PCT/EP2015/064617 WO2015197864A1 (en) 2014-06-27 2015-06-26 Container having a movable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303A KR20170028303A (ko) 2017-03-13
KR102352523B1 true KR102352523B1 (ko) 2022-01-18

Family

ID=511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367A KR102352523B1 (ko) 2014-06-27 2015-06-26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351336B2 (ko)
EP (1) EP3160869B1 (ko)
JP (1) JP6688232B2 (ko)
KR (1) KR102352523B1 (ko)
CN (1) CN106458432B (ko)
CA (1) CA2948744A1 (ko)
ES (1) ES2687271T3 (ko)
IL (1) IL248644A0 (ko)
MX (1) MX2016016522A (ko)
PL (1) PL3160869T3 (ko)
PT (1) PT3160869T (ko)
RU (1) RU2672635C2 (ko)
WO (1) WO2015197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02044A (es) * 2014-08-14 2017-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enedor para articulos de consumo con armazon interno profundo.
DE202016102117U1 (de) * 2016-04-21 2017-04-25 Mayr-Melnhof Karton Ag Verpackung und Zuschnitt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IT201700078916A1 (it) * 2017-07-13 2019-01-13 Tecniplast Spa Coperchio per gabbietta per animali da laboratorio e gabbietta per animali da laboratorio comprensiva del detto coperchio
US11691781B2 (en) * 2017-12-08 2023-07-04 Jt International S.A. Hinged-lid packaging
GB201813734D0 (en) * 2018-08-23 2018-10-1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Packaging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US20200077698A1 (en) * 2018-09-06 2020-03-12 GreenCigPack Package for holding cigaret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e for holding cigarettes
CN109515933A (zh) * 2018-12-06 2019-03-26 汕头东风印刷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包装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7738A1 (en) 2000-05-15 2001-11-22 Imperial Tobacco Limited Pack for smokers articles
JP2007535449A (ja) 2004-04-30 2007-12-06 ジ・ディ・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タバコ製品の強固なヒンジ式フタ付きパッケージ
JP2010534169A (ja) 2007-07-20 2010-11-0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一体型コネクタを備えた二重パック
WO2013102841A1 (en) 2012-01-03 2013-07-11 Gima Tt S.R.L. Pocket-sized packet to contain small-sized products
WO2013132411A1 (en) 2012-03-07 2013-09-12 G.D S.P.A. Packet for tobacco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4451A (en) * 1936-04-06 1937-03-23 Berberian Levon Martin Box
US2410987A (en) * 1943-11-29 1946-11-12 George G Mevi Combination cigarette and card case
US2958417A (en) * 1958-02-12 1960-11-01 Arthur B Adams Combined cigarette package and ash tray
US3028950A (en) * 1958-05-29 1962-04-10 Nolte Albert C Jr Cigarette container
US3090482A (en) * 1959-01-28 1963-05-21 George U Sandacz Cigarette package construction
FR2625077B1 (fr) * 1987-12-23 1991-07-12 Neyret Stephane Boite de cigarettes incorporant un tiroir a allumettes
EP0350739A1 (de) * 1988-07-14 1990-01-17 Josef Sattler Raucherwarenbehältnis
CN2226043Y (zh) * 1994-04-02 1996-05-01 王海洋 香烟、打火机组合抽屉式包装盒
IT1292603B1 (it) * 1997-06-06 1999-02-08 Gd Spa Pacchetto rigid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er elementi di forma allungata.
ITBO20040275A1 (it) * 2004-04-30 2004-07-30 Gd Spa Incarto rigido per articoli da fum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L206532B1 (pl) * 2004-09-17 2010-08-31 Wojciech Mazur Pudełko do papierosów i jego wykrój
JP5463556B2 (ja) 2009-07-21 2014-04-09 ジーマ ティーティー ソシ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ダ 煙草製品のための箱とそれに対応するボール紙のブランク
WO2014166057A1 (zh) * 2013-04-09 2014-10-16 Liu Qiuming 电子烟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7738A1 (en) 2000-05-15 2001-11-22 Imperial Tobacco Limited Pack for smokers articles
JP2007535449A (ja) 2004-04-30 2007-12-06 ジ・ディ・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タバコ製品の強固なヒンジ式フタ付きパッケージ
JP2010534169A (ja) 2007-07-20 2010-11-0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一体型コネクタを備えた二重パック
WO2013102841A1 (en) 2012-01-03 2013-07-11 Gima Tt S.R.L. Pocket-sized packet to contain small-sized products
WO2013132411A1 (en) 2012-03-07 2013-09-12 G.D S.P.A. Packet for tobacco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432B (zh) 2018-11-02
RU2017102482A (ru) 2018-07-30
MX2016016522A (es) 2017-05-01
RU2017102482A3 (ko) 2018-09-18
PL3160869T3 (pl) 2019-01-31
IL248644A0 (en) 2017-01-31
JP6688232B2 (ja) 2020-04-28
RU2672635C2 (ru) 2018-11-16
US10351336B2 (en) 2019-07-16
WO2015197864A1 (en) 2015-12-30
ES2687271T3 (es) 2018-10-24
EP3160869A1 (en) 2017-05-03
CA2948744A1 (en) 2015-12-30
CN106458432A (zh) 2017-02-22
US20170137209A1 (en) 2017-05-18
PT3160869T (pt) 2018-11-28
JP2017523093A (ja) 2017-08-17
EP3160869B1 (en) 2018-08-15
KR20170028303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523B1 (ko) 이동식 벽을 갖춘 용기
RU2692434C2 (ru) Тара с настраиваемым механизмом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внутренней упаковки
KR102650324B1 (ko) 용기용 재밀봉 가능한 내부 패키지
US20150034509A1 (en) Container with adhesive label with adhesive free area
US8899414B2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having tamper evident seal
JP2008545596A (ja) ばら詰め喫煙可能材料を収容する箱
US11724871B2 (en) Rigid packs for smoking articles with a double hinged lid and blanks to manufacture said rigid pack for smoking articles
WO2016083608A1 (en) Container with adhesive label including detachable portion
JP6732956B2 (ja) 容器、方法
KR20170063533A (ko) 개봉-흔적 뚜껑을 갖춘 소비자 물품용 용기
KR102520340B1 (ko) 폐쇄 플랩을 구비한 접근 개구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KR102442258B1 (ko) 이격된 후면 벽면이 있는 내부 프레임을 가진 용기, 대응하는 내부 프레임 및 릴
TW201331099A (zh) 具有一體連接之收容器的容器
WO2017148962A1 (en) Container comprising a re-sealable inner package
WO2010099814A1 (en) Hinge lid container
WO2014067659A1 (en) Container with removeable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