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113B1 -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113B1
KR102352113B1 KR1020200148094A KR20200148094A KR102352113B1 KR 102352113 B1 KR102352113 B1 KR 102352113B1 KR 1020200148094 A KR1020200148094 A KR 1020200148094A KR 20200148094 A KR20200148094 A KR 20200148094A KR 102352113 B1 KR102352113 B1 KR 10235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f
tai
gnb
tai list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태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콘텔라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텔라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의 TAI 정보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MF와 gNB가 공동으로 서비스 중인 TAI(Tracking Area Identifier)가 AMF의 TAI 목록에서 임의로 삭제된 경우에, AMF와 gNB가 삭제된 TAI 정보를 자동으로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AMF의 TAI 목록에서 TAI 정보가 임의로 삭제되고 관련된 gNB가 해당 사실을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삭제된 TAI로 정의되는 TA에 위치하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TAI Information Managing Method of AMF on Mobile Core Network}
본 발명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gNB가 공동으로 서비스 중인 TAI(Tracking Area Identifier)가 AMF의 TAI 목록에서 임의로 삭제된 경우에, AMF와 gNB가 삭제된 TAI 정보를 복원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에 의한 이동통신 코어망(Core Network)에 속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UE)이나 gNB로부터 세션 설정요청(Session Establishment Request)을 N1과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및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와 단말 사이에서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장비다.
도 1을 참조하면, gNB(20)는 NG-Setup Procedure를 통하여 AMF(10)와의 사이에 NG-C Interface를 구성하고, 단말(30)은 NG-C Interface를 통해서 AMF(10)와 NAS Signaling Connection을 구성한다. 단말(30)은 NAS Signaling Connection을 이용하여 코어망과 NAS Signaling을 교환함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AMF(10)는 자신의 고유한 TAI(Tracking Area Identifier) 목록을 관리한다. AMF(10)는 TAI를 이용하여 단말(30)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고 단말(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AI는 TA(Tracking Area)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와 TAC(Tracking Area Code)로 구성된다. PLMN ID는 통신사업자 고유 식별번호이고 TAC는 통신사업자가 부여한 TA별 코드이기 때문에, TAI를 이용하면 전세계의 모든 TA를 식별할 수 있다. gNB(20)는 AMF(10)와 NG-C Interface를 구성하고 단말(30)이 NAS Signaling Connection을 구성할 때, AMF(10)는 관리 중인 'TAI 목록'에 등록된 TAI를 가진 요청만 수락하여 구성한다.
도 2에서처럼, 만약 TAI 목록에서 특정 TAI(도 2에서 TAC가 3인 TAI)가 삭제되면, AMF(10)는 해당 TAC 3인 TA(Tracking Area)에 위치한 단말(30)에 대해 서비스할 수 없다. 우선, AMF(10)는 해당 TAI에 속해있는 gNB(20)에게 다운링크 페이징(Paging)을 전송할 수 없게 되어 해당 TAI에 위치한 단말(30)을 호출할 수가 없다. 반대로 단말(30)측에서 시도하는 등록(Registration) /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gNB(20)가 AMF(10)에게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한편, gNB(20)는 AMF(10)의 TAI 목록에서 해당 TAI가 삭제된 사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삭제된 TAI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30)은 해당 AMF(10)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본 발명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gNB가 공동으로 서비스 중인 TAI(Tracking Area Identifier)가 AMF의 TAI 목록에서 임의로 삭제된 경우에, AMF와 gNB가 삭제된 TAI 정보를 복원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5G 망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gNB가 특정 TAI에 대해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망에서 임의 삭제된 TAI 정보를 복원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AMF가 관리하는 TAI 목록을 'AMF-TAI 목록'이라 하고, gNB가 관리하는 TAI 목록을 'gNB-TAI 목록'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MF가 관리 중인 AMF-TAI 목록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사항을 gNB에게 제공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요청단계와; 상기 gNB가 상기 변경된 사항을 자신의 gNB-TAI 목록과 비교하여, 상기 gNB-TAI 목록에 있는 TAI 중에서 상기 변경된 AMF-TAI 목록에서 포함되지 않고 삭제된 TAI가 있는 경우에 상기 gNB-TAI 목록을 상기 AMF에게 제공하여 복원를 요청하는 복원요청단계와; 상기 AMF가 상기 gNB가 제공한 상기 gNB-TAI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TAI를 상기 AMF-TAI 목록에 복원하는 복원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확인요청단계에서, 상기 AMF는가 관리 중인 AMF-TAI 목록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AMF-TAI 목록을 gNB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확인요청단계에서, 상기 AMF는 N2 Message인 AMF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상기 변경된 TAI 목록을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원요청단계에서, 상기 gNB는 RAN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상기 gNB-TAI 목록을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서 관리 중인 TAI 정보가 삭제되는 등 변경되더라도 AMF와 gNB가 관리하는 TAI(Tracking Area Identifier) 정보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AMF의 TAI 목록에서 TAI 정보가 임의로 삭제되고 관련된 gNB가 해당 사실을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삭제된 TAI로 정의되는 TA에 위치하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3GPP 표준의 이동통신망에서 AMF와 gNB 사이의 네트워킹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AMF에서 TAI 정보가 삭제된 경우에 AMF와 gNB 사이의 네트워킹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AMF와 gNB 사이의 TAI 정보 관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3GPP 시스템으로 개시된 표준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AMF(310)와 gNB(33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AMF(310)에 하나의 gNB(33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AMF(310)에는 gNB(330)를 포함해 복수 개의 gNB가 연결될 수 있으며, gNB(330)도 AMF(310)를 포함해 복수 개의 AMF와 연결될 수 있다.
AMF(310)와 gNB(330)는 3GPP 시스템으로 개시된 표준문서들에 지정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AMF(310)와 gNB(330) 사이의 TAI 정보 동기화방법을 설명한다.
<AMF가 관리하는 TAI 목록의 변경: S401>
AMF(310)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TAI 목록을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AMF(310)가 관리하는 TAI 목록을 'AMF-TAI 목록'이라 하고, gNB(330)가 관리하는 TAI 목록을 'gNB-TAI 목록'이라 한다. AMF(310)의 AMF-TAI 목록과 gNB(330)의 gNB-TAI 목록은 망 사업자의 관리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되면서 TAI가 목록에 추가되거나 삭제된다. AMF(310)는 복수 개의 gNB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AMF-TAI 목록은 연결된 gNB별로 마련되고, gNB(330)도 복수 개의 AMF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gNB-TAI 목록도 연결된 AMF별로 마련된다.
도 3에서, AMF(310)가 관리하는 AMF-TAI 목록에는 5개의 TAI가 등록되어 관리 중이다. 각 TAI의 PLMN ID는 '45005'로 동일하고, TAC는 1, 2, 3, 4, 5로 5개이다. 도 3에 AMF(310)와 연결된 gNB(330)가 관리하는 gNB-TAI 목록에는 AMF(310)에서 서비스 중인 TAI 중에서 3개의 TAI(TAC 1, 2, 3)가 등록되어 관리 중인 상태이다.
<변경된 사항의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요청단계: S403, S405>
AMF(310)는 AMF-TAI 목록에 특정 TAI가 추가되거나 AMF-TAI 목록에 포함되어 있던 TAI가 삭제되어 AMF-TAI 목록이 변경되면, 해당 변경 사항을 gNB(330)에게 제공하여 확인을 요청한다. 도 4의 예에서 AMF-TAI 목록에서 TAC 3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삭제된 이후에는 TAC가 '3'인 TA에 위치하는 단말(30)은 AMF(310)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었다.
AMF(310)는 AMF-TAI 목록의 변경사항의 확인을 gNB(330)에게 요청하기 위해, 변경된 사항만을 gNB(330)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AMF-TAI 목록 자체를 gNB(330)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처럼 AMF(310)는 N2 Message인 AMF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변경된 AMF-TAI 목록을 예비 필드(Reserved Field)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고, gNB(33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MF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메시지를 AMF(310)에게 제공하여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변경사항 확인: S407>
gNB(330)는 S403 단계를 통해 AMF(310)로부터 AMF-TAI 목록의 변경사항을 제공받으면, 해당 변경된 사항을 자신의 gNB-TAI 목록과 비교하여, 자신의 gNB-TAI 목록에 있는 TAI 중에서 삭제된 것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AMF(310)가 변경된 AMF-TAI 목록을 제공하는 경우에, gNB(330)는 자신의 gNB-TAI 목록에 있는 것 중에서 변경된 AMF-TAI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TAI(다시 말해, 변경되면서 삭제된 TAI)가 있는지 확인한다. 도 3 및 도 4의 예에서, gNB-TAI 목록에는 TAC가 '3'인 TAI가 포함되어 있는데, AMF-TAI 목록에는 TAC가 '3'인 TAI가 삭제된 상태이다. gNB(330)는 gNB-TAI 목록과 변경사항을 비교함으로써 gNB-TAI 목록에 있던 TAC가 '3'인 TAI가 삭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MF-TAI 목록의 변경사항이 새로운 TAI를 추가한 것이면 새로운 망관리정책이 수립되거나 변경된 것이고 gNB(330)가 임의로 변경사항을 반영할 수 없는 것이므로, gNB(330)는 S403 단계의 확인요청을 무시하고 본 발명이 제시하는 아래의 추가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TAI 목록의 복원요청단계: S409 내지 S413>
S407 단계의 확인결과 AMF-TAI 목록에서 삭제된 TAI가 있으면, gNB(330)는 삭제된 TAI의 복원을 AMF(310)에게 요청한다. AMF(310)는 gNB(330)가 복원 요청에 따라 자신의 AMF-TAI 목록에서 삭제한 TAI를 다시 복원한다. 도 4의 예에서, TAC가 '3'인 TAI가 AMF-TAI 목록에서 다시 복원된다.
gNB(330)는 AMF(310)에게 삭제된 TAI 정보만을 제공하여 복원을 요청할 수도 있고, gNB-TAI 목록을 모두 AMF(310)에게 제공하여 복원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처럼 gNB(330)는 S409 단계에서 RAN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gNB-TAI 목록을 예비 필드에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AMF(310)는 RAN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메시지를 gNB(330)에게 제공하여 수신여부를 확인하거나 복원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AMF(310)와 gNB(330)는 AMF(310)에서 임의 삭제된 TAI 정보를 자동으로 복원함으로써, 삭제된 TAI의 TA에 위치하는 단말(30)에게도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gNB가 특정 TAI에 대해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AMF가 관리 중인 AMF-TAI 목록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사항을 gNB에게 제공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요청단계;
    상기 gNB가 상기 변경된 사항을 자신의 gNB-TAI 목록과 비교하여, 상기 gNB-TAI 목록에 있는 TAI 중에서 상기 변경된 AMF-TAI 목록에서 포함되지 않고 삭제된 TAI가 있는 경우에 상기 gNB-TAI 목록을 상기 AMF에게 제공하여 복원를 요청하는 복원요청단계; 및
    상기 AMF가 상기 gNB가 제공한 상기 gNB-TAI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삭제된 TAI를 상기 AMF-TAI 목록에 복원하는 복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요청단계에서,
    상기 AMF는 관리 중인 AMF-TAI 목록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AMF-TAI 목록을 gNB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요청단계에서,
    상기 AMF는 N2 Message인 AMF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상기 변경된 TAI 목록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요청단계에서,
    상기 gNB는 RAN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상기 gNB-TAI 목록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I 정보 관리방법.
KR1020200148094A 2020-11-06 2020-11-06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KR10235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94A KR102352113B1 (ko) 2020-11-06 2020-11-06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94A KR102352113B1 (ko) 2020-11-06 2020-11-06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113B1 true KR102352113B1 (ko) 2022-01-18

Family

ID=8005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094A KR102352113B1 (ko) 2020-11-06 2020-11-06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113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23.737 v1.1.0 *
3GPP TR23.737 v17.1.0 *
3GPP TR23.742 v2.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83718B (zh) 一种会话管理方法、网络功能及网络系统
US20120066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algorithm selection processing, network entity, and communication system
US7383035B2 (en) Method of furnishing illegal mobile equipment user information
EP1337123A2 (en) Location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US201101350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key identity identifier when user equipment transfers
US11140737B2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terminal device
WO2016177106A1 (zh) 专用核心网的选择方法和装置
CN111083690A (zh) 用户面功能实体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
US10887754B2 (en) Method of registering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740297A (zh) 一种寻呼方法及寻呼装置、寻呼系统
EP1981295A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node used for the system
EP2196048B1 (en) Terminal trace activation in a wir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9804706B (zh) 用于建立移动终端到移动无线电通信网络的连接的方法和无线电接入网络组件
KR102352113B1 (ko)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의 tai 정보 관리방법
US20190098456A1 (en) Method for associating mission critical user with user equipment of mission critical user, and related device
CN111213352A (zh) 用于在电信网络中切换管理实体的方法
KR20010058742A (ko) 단문메시지 시스템의 이에스엠이별 연결 및 트래픽 관리방법
EP3570585B1 (en) Stickiness removal of transactions in a 5g network
KR101002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JP4274380B2 (ja) 在圏情報管理サーバ装置、sipサーバ装置、在圏情報管理方法
KR101263211B1 (ko)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18165B1 (ko) Nsrm 제공 시스템, 영업전산서버, 단말관리서버, 및 그 nsrm 정책 처리방법
JP5543570B2 (ja) アクセス制御管理装置、アクセス制御管理方法、アクセス制御管理システム
KR102353535B1 (ko) 이동통신 코어망의 AMF와 SMF에서의 PDU Session 관리방법
KR102118959B1 (ko) 5g 코어망 초기 접속과정에서 네트워크 함수의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