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79B1 -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79B1
KR102351779B1 KR1020190163535A KR20190163535A KR102351779B1 KR 102351779 B1 KR102351779 B1 KR 102351779B1 KR 1020190163535 A KR1020190163535 A KR 1020190163535A KR 20190163535 A KR20190163535 A KR 20190163535A KR 102351779 B1 KR102351779 B1 KR 10235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insert
nut member
insert nut
ph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3076A (en
Inventor
전용성
신재호
염상용
Original Assignee
(주)삼일씨엔에스
신재호
염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씨엔에스, 신재호, 염상용 filed Critical (주)삼일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6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79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흙막이 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PHC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PC 강선이 내장된 파일 본체, 상기 파일 본체의 표면에 너트홀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파일 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된 인서트 너트 부재,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PHC 파일의 시공 후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인서트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C fil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and the pil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are embedded, the pile so that the nut hole part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An insert nut member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and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Resistance to th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insert nut member after construction of the PHC pile and an insert reinforcing member supporting the insert nut member to do so.

Description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PHC pile for retaining wall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PHC 파일의 강도를 보강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PHC 파일에 띠장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C pile for a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C file for a retaining wall, which can prevent damag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PHC pile, and can stably install a wale on a plurality of PHC piles. .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의 기초부가 연약한 지반에 배치되는 경우, 깊은 기초인 파일(pile)을 지지층까지 매립 설치함으로써 지지력을 확보하고 기초를 안정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일의 종류는 나무, 강재 및 콘크리트 등과 같이 소재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또한, 파일은 항타, 터파기 후 항타 등과 같은 다양한 시공법에 의해서 설치되고 있다. When the foundation of a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placed on a soft ground, a pile, which is a deep foundation, is buried up to the support layer to secure bearing capacity and stabilize the foundation. The types of piles as described above are very diverse according to materials such as wood, steel, and concrete. In addition, the piles are installed by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driving, driving after excavation, and the like.

한편, 흙막이 공법은 배면부 토사의 자립을 유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의 종류 및 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보(버팀재)의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method is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retaining wall for maintaining the independence of the soil at the back and the type of support (bracing) for structurally supporting it.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흙막이 벽체로는, H-형강+토류관(목재), 강널파일(Sheet Pile),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C.I.P: Cast In Place), 주열식 흙 시멘트 흙막이 벽체(S.C.W: Soil Cement Wall), 지하 연속벽체(Diaphragm Wall, Slurry Wall) 등이 있고, 지보공법의 종류로는 버팀대 공법, 그라운드 앵커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등이 있다. The currently widely used retaining walls include H-beam steel + earth pipe (wood), sheet pile, cast in place concrete pile (CIP), and cast-in-place soil cement retaining wall (SCW: Soil Cement Wall). ), underground continuous walls (Diaphragm Wall, Slurry Wall), and the like.

H-형강+토류판은, 지하수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지하수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그 나머지 공법 등이 사용된다. H-형강+토류판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는,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천공하여 H-형강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착면 경계를 따라서 근입 설치하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양쪽 H-형강 사이에 끼워 흙막이벽으로 이용하는 공법으로 토류판으로는 주로 목재가 사용되고 있다.H-beam steel + earth plate is installed where groundwater does not exist, and the rest of the construction methods are used where groundwater exists. For the retaining wall composed of H-beam steel + earth plate, the ground is drilled using auger equipment, and H-beam steel is installed along the excavation surface boundar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a wall method, wood is mainly used for earth plates.

강널파일은, 쉬트파일 형강을 진동햄머 드릴로 지중에 근입, 서로 물리도록 연속되게 설치하여 흙막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The steel pile pile is a method of form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by continuously installing sheet pile sections into the ground with a vibrating hammer drill so that they bite each other.

현장타설 콘크리트 파일(C.I.P)은,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천공하고 H-형강을 소정의 간격으로 굴착면 경계를 따라서 근입 설치하고, 그 사이에 같은 방법으로 천공한 후 철근 망을 조립하여 삽입하고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파일을 만들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For cast-in-place concrete piles (CIP), the ground is drilled using auger equipment, and H-beams are drilled along the excavation surface boundary at predetermined intervals, drilled in the same way in between, and assembled and inserted with a reinforcing bar network.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temporary walls by making piles by pouring cement mortar or concrete on site.

주열식 흙 시멘트 흙막이 벽체(S.C.W)는, 삼축 오거장비를 이용해 지반을 3공씩 천공함과 동시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첨가, 교반하여 흙 시멘트 혼합파일을 지중에 형성하고, 그 하나의 구멍에는 H-형강을 격간으로 근입하여 한공씩 물리도록 반복 시공하면서 주열식 흙막이 가설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Cast-heated soil-cement retaining wall (SCW) uses a triaxial auger equipment to drill three holes in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add and stir cement mortar to form a soil-cement mixed pile in the ground, and put H-beam steel in one hole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 temporary retaining wall by inserting at intervals and repeatedly constructing it so that it is bitten one by one.

지하 연속벽체는, 굴착면 붕괴와 지하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액(벤토나이트)을 투입하면서 벽체부분의 지반을 굴착하고, 조립 철근망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 콘크리트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In order to prevent excavation surface collapse and groundwater penetration, the ground of the wall part is excavated while injecting stabilizing liquid (bentonit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continuous wall is formed in the ground by inserting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network and then pouring concrete. it's a technique

상기와 같은 흙막이 벽체는 지하 구조물을 축조할 목적으로 지하 터파기 공사 중의 토압과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고 주변 지반의 침하와 인접 구조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가설 구조물이다. 흙막이 벽체가, 최근에 도심지 구간 굴착 공사가 빈번해짐에 따라 주변의 지반침하나 건물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이용 목적이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이다.The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is a temporary structur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resisting later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during underground excavation co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for the purpose of subsidence of the surrounding ground and protection of adjacent structures. Retaining walls are being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subsidence of the surrounding ground or building protection as excavation works in downtown areas have become more frequent in recent years.

한편, 다양한 종류의 파일 중에서 나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PC pile)은 경제성 및 시공성이 낮기 때문에 현재는 시공성 및 안정성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PHC 파일(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PHC 파일은 건축용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으로서, 수평력이 적고 수직력을 주로 지지하는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최근에는 PHC 파일의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various types of piles, wood and precast concrete piles (PC piles) have low economic efficiency and workability, so PHC piles (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pile) having relatively excellent workability and stability are used a lot. In particular, PHC piles are high-strength concrete piles for construction, and are widely used in buildings and civil structures that mainly support vertical forces with little horizontal force.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10-0913569호(발명의 명칭: 흙막이벽용 피에이치씨 파일, 등록일: 2009.08.17)에는, 단면의 형상과 구조를 변경하여 간편하게 연속된 흙막이벽체를 구축할 수 있는 피에이치씨 파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Korean Patent No. 10-0913569 (title of invention: PHC file for retaining wall, registration date: August 17, 2009), PHC that can easily construct a continuous retaining wall by chang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A technology related to a file is disclosed.

참고로, 최근에는 PHC 파일의 사용시 PHC 파일의 작은 수평저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합 파일이나 합성 파일의 사용이 빈번해 지고 있다. 복합 파일은, 휨 및 전단 단면력이 크게 작용하는 상부에 강판을 적용함과 아울러 축방향력만 작용하는 하부에 PHC 파일을 적용한 상태로 양자를 결합한 구조이다. 합성 파일은, PHC 파일의 상부 내부에 전단 연결재를 설치한 상태로 파일을 제작한 후에 철근을 보강하고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휨과 전단을 보강한 구조이다. For reference, recently, when using PHC piles, composite piles or composite piles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overcome the small horizontal resistance of PHC piles. The composite pile has a structure combining both with a steel plate applied to the upper part where bending and shearing sectional forces are large, and a PHC pile applied to the lower part where only axial force is applied. Composite pile is a structure in which bending and shearing are reinforced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filling concrete after the pile is manufactured with the shear connector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PHC pile.

상기와 같이 흙막이 벽체 조성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PHC 파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PHC 파일은 띠장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복수개의 PHC 파일을 띠장으로 연결한 구조로 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띠장 또는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브래킷을 간편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띠장 또는 띠장 브래킷의 설치 구조를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한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a lot of PHC piles are used in carrying out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work, and the PHC piles are construc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HC pile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using a wale are connected with a wale. In recent year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technology for mak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le or wale bracket more robust and stable as well as the convenient installation of the wale or wale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PHC 파일에 띠장 또는 띠장 브래킷을 매우 견고하게 설치하여 고하중의 띠장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C pile for a retaining wall that can stably use a high-load wale by installing a wale or a wale bracket in a plurality of PHC piles forming a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띠장 또는 띠장 브래킷을 PHC 파일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 부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C pile for a retaining wall that can easily install a wale or wale bracket to the insert nut member embedded in the PHC pile, and can stably support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 변경 및 약간의 비용 추가만으로도 PHC 파일의 강도를 대폭 보강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C pile for a retaining wall, which can significantl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PHC pile only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and a small addition of co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흙막이 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PHC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복수개의 PC 강선이 내장된 파일 본체, 상기 파일 본체의 표면에 너트홀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파일 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된 인서트 너트 부재,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PHC 파일의 시공 후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인서트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lates to a PHC pil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and the PHC file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are embedded, the pile body The insert nut member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so that the nut hole part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is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and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after construction of the PHC pile and an insert reinforcing member supporting the insert nut member to resist a pulling force acting on the insert nut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PC 강선들 중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PC 강선에 걸려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insert nut member by being caught by at least one first PC steel wire disposed adjacent to the insert nut member among the PC steel wires.

여기서, 상기 PC 강선들은, 상기 파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파일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는 상기 PC 강선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C steel wires are arrang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The insert nu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C steel wires.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PC 강선들보다 상기 파일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배치될 수 있고, 양단부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PC 강선들과 교차될 수 있다.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than the first PC steel wire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and both ends extend longer and the first PC steel wires and can be crossed.

또한, 상기 너트홀부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들의 이격 간격보다 양단부가 더 길게 연장된 바 형상 또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t hole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or a rod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lon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PC steel wires.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의 양단부 사이의 부분은,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용접 또는 체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관통 형성된 조립홀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A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may be connected by welding or fastening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or may be connected in a manner that is fitted into an assembly hole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PC 강선에 전달되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인발력을 분산 지지하도록 상기 제1 PC 강선을 다른 PC 강선과 연결하는 강선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nut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C steel wire by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irst PC steel wire and other PC steel wire to support the dispersion of the pulling force.

여기서, 상기 강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 및 상기 제1 PC 강선에 이웃하는 제2 PC 강선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PC 강선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연결 고리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PC 강선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연결 고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PC steel wire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adjacent to the first PC steel wire. A first connecting ring for connecting to the first PC steel wire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second PC steel wir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can be

또한,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상기 제2 연결 고리부는, 상기 제1 PC 강선 또는 상기 제2 PC 강선에 각각 걸 수 있도록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양단부를 절곡시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are bent so that they can be respectively hung on the first PC steel wire or the second PC steel wire.

상기 강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 및 상기 제2 PC 강선과의 조립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고리부 중 어느 하나를 제1 길이로 절곡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고리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절곡할 수 있다.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may bend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to a first length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with the first PC steel wire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and the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may be bent to a second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PHC 파일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 부재를 이용하여 띠장 또는 띠장 브래킷을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에 마련된 인서트 보강 부재가 인서트 너트 부재를 보강하여 띠장 또는 띠장 브래킷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le or wale bracket can be installed very simply by using an insert nut member embedded in a plurality of PHC piles forming a retaining wall, and insert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insert nut member By reinforcing the insert nut member, the member can firmly and stably support the wale or wale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인서트 너트 부재에 인서트 보강 부재를 연결한 후 파일 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한 구조이므로, 인서트 너트 부재와 파일 본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켜 인서트 너트 부재가 파일 본체에서 비정상적으로 뽑혀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after connecting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to the insert nut memb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pile body is further increased. By improv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ert nut member from being pulled out abnormally from the pil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파일 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인서트 너트 부재와 인서트 보강 부재를 매립 설치하되, 인서트 보강 부재가 인서트 너트 부재의 양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들에 걸리는 구조이므로,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증가하여 인서트 너트 부재의 배치 구조가 매우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and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 Because th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PC steel wires,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the load that the insert nut member can support increases, s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sert nut member can be implemented very stably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인서트 너트 부재의 양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 및 제1 PC 강선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2 PC 강선을 강선 연결 부재로 연결한 구조이므로,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강선 연결 부재로 연결된 제2 PC 강선이 함께 지지해 줄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증가시켜 복수개의 PHC 파일에 고하중의 띠장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PC steel wir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C steel wire with a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Since it is a single structure, the second PC steel wire connected to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can support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together, and thereby increase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thereby providing a high-load wale on a plurality of PHC piles.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은, 인서트 너트 부재에 인서트 보강 부재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 PC 강선과 제2 PC 강선에 강선 연결 부재를 연결한 구조이므로, 인서트 보강 부재와 강선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PHC 파일의 구조적인 강도를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고, PHC 파일의 보강 구조를 저렴한 비용으로 매우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C steel wire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so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Structural strength of PHC piles can be easily reinforced with a simple operation of installing a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with a PHC pile, and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PHC piles can be implemented very robustly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너트 부재와 인서트 보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너트 부재와 인서트 보강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강선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의 주요 구성에 대한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의 주요 구성에 대한 배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HC pile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PHC file for retaining wall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shown in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shown in FIG. 3 .
6 is a view showing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HC pile for retaining wall shown in FIG. 3 .
8 and 9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HC pile for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3 .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C pile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1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강선 연결 부재(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주요 구성에 대한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주요 구성에 대한 배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10 using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HC f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shown in FIG. 3 , and FIG. 5 is another exampl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shown in FIG. 3 . ,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shown in FIG. 3 . 7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3, and FIGS. 8 and 9 ar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은 흙막이 벽체(10)의 시공에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HC pile 100 for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10 .

일반적으로, 흙막이 벽체(10)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 띠장(20), 및 띠장 브래킷(30)을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10 may include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the wale 20, and the wale bracket 30 .

여기서, 본 실시예의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은 지반(미도시)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는 PHC 파일(100)의 개수는 조성하고자 하는 흙막이 벽체(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PHC piles 100 for retaining wall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ground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PHC piles 100 installed in the grou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taining wall 10 to be created.

복수개의 PHC 파일(100)은 지반의 원하는 경계를 따라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PHC 파일(100)은 서로 이웃하는 다른 PHC 파일(100)들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HC piles 100 may be installed in a line along a desired boundary of the ground. In this case, the PHC file 1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other PHC fil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띠장(20)은 복수개의 PHC 파일(100)의 적당한 높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PHC 파일(100)은 띠장(20)에 의해서 서로 결속되어 지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e 20 may b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appropriat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are bound to each other by the wale 20 and may be stably disposed on the ground.

상기와 같은 띠장(20)은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체결 부재(미도시)로 직접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띠장(20)이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배치된 띠장 브래킷(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띠장(20)은 띠장 브래킷(30)을 매개로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wale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rectly installed as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to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but in this embodiment the wale 20 is a wale bracket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30). That is, the band 2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via the band band bracket 30 .

또한, 띠장 브래킷(30)은 띠장(2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띠장 브래킷(30)은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개별적으로 모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PHC 파일(100) 중 일정 개수 마다 띠장 브래킷(30)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띠장 브래킷(30)의 사용 개수 및 설치 작업의 공수가 심각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e bracket 30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HC piles 100 connected by the wale 20 . The wadding bracket 30 as described above may be all individually arranged in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but in this embodiment, the wale band bracket 30 is selectively arranged for every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ri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 and installation work of the wadding bracket 30 .

띠장(20)은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보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고, 띠장 브래킷(30)은 띠장(20)을 지지하는 보 걸이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띠장 브래킷(30)은, 보 형상의 띠장(20)을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wale 20 is a member performing a beam function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ale bracket 30 is a member performing a beam hanging function to support the wale 20. The wale bracket 30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wale belt 20 in the form of a beam,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띠장 브래킷(30)은, 후술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 방식으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띠장 브래킷(30)은 고하중의 띠장(20)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흙막이 벽체(10)의 시공 방법 중에서 고하중의 띠장(20)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고하중의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band-length bracket 30 may be very firmly fixed by welding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nut hole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band belt bracket 30 can support the high load band belt 20 very stably.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he retaining wall 10,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high load wale 20 must be appli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to which the wale 20 or the wale bracket 3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the wale 20 or the wale bracket 30 of a high load is sufficiently stable. can be supported by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은, 파일 본체(110), 인서트 너트 부재(120), 인서트 보강 부재(130), 및 강선 연결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body 110, the insert nut member 120,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and the steel wire connection A member 140 may be included.

여기서, 파일 본체(110)는 콘크리트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 및 강선 연결 부재(140)는 금속 소재와 같은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파일 본체(10)의 일부를 금속 소재로 형성하거나 파일 본체(10)의 일부분에 보강 구조를 추가할 수도 있다.Here, the pile body 110 may be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insert nut member 120,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such as a metal material.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 part of the pile body 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reinforcement structure may be added to a part of the pile body 10 . have.

또한, 본 실시예의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을 인서트 보강 부재(130)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은 필요에 따라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of this embodiment can be fastened to the wale 20 or the wale bracket 30 by using a fastening member to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the wale 20 or the wale bracket 30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if necessar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일 본체(110)는,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일 본체(110)는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를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흙막이 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1 to 3 , the pile body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The pil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may form a retaining wall 1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m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파일 본체(110)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수직으로 작용되는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은 매우 우수지만, 수평으로 작용되는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 본체(11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소재보다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우수한 금속 소재를 매립 설치하여 파일 본체(110)의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Since the pile body 110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column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he resistance to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vertically is very good, but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horizontally may be relatively wea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of the pile body 110 by embedd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very excellent resistance to horizontal force than a concrete material inside the pile body 110 .

예를 들면, 파일 본체(110)는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 PC 강선(114), 및 띠 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le body 110 may include a concrete pile body 112 , a PC steel wire 114 , and a band band 116 .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2a)는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crete pile body 112 is a cylindrical member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a hollow portion 112a may be formed inside the concrete pile body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low part (112a) may be form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C 강선(114)은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에 작용되는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보강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매립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PC 강선(114)은 인장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에 매립 설치하여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일 본체(110)의 인장 응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The PC steel wire 114 is a member for reinforcing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concrete pile body 112 , and may be disposed in a structure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 In particular, the PC steel wire 114 can provide prestress to the concrete pile body 112 by installing it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in a tensioned state, and accordingly, the pile body 110 to the tensile stress of the pile body 110 . strength can be reinforced.

PC 강선(114)은,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PC 강선(114)에는 철선(미도시)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용접 고정될 수 있다. PC steel wire 114 may be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a plurality of them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ron wire (not shown) may be fixed by welding while spirally wound to the plurality of PC steel wires 114 as described above.

띠 밴드(116)는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상단부에 마련된 부재로서, 파일 본체(110)의 상단부를 마감 처리하기 위하여 금속 소재의 밴드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nd band 116 is a memb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 and may be formed in a band shape or a band shape of a metal material to finish the upper end of the pile body 110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서트 너트 부재(120)는 파일 본체(110)의 표면에 너트홀부(122)가 노출되도록 파일 본체(11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서트 너트 부재(120)는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일측부에 매립된 구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PHC 파일 몰드의 내부에 복수개의 인서트 너트 부재(120)를 미리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파일 본체(110)가 복수개의 인서트 너트 부재(120)를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에 매립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1 to 5 , the insert nut member 120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110 so that the nut hole 122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110 . have.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a structure embedded in one side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 As an example,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sert nut members 120 are previously disposed inside the PHC pile mold, the pile body 110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plurality of insert nut members 120 into the concrete pile body 112 . ) can be manufactured in a buried state.

인서트 너트 부재(120)는, 파일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PC 강선(114)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 중 어느 한 공간에 배치되되, 파일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는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일측부의 표면에 파일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insert nut member 120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PC steel wires 114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110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100 . A plurality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That is, a plurality of nut hole portions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110 on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

여기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일단부에는 너트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너트홀부(122)의 내부에는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암사나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 부재는 수나사부를 갖는 볼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는 체결 부재의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a nut hole 12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The inside of the nut hole part 122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for screwing with a bolt-shaped fastening member.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bolt structure having a male screw portion, and the nut hole portion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nut structure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fasten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그리고,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타단부에는 인서트 보강 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타단부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타단부에는 인서트 보강 부재(130)가 연결되기 위한 보강 부재 연결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 연결부(124)가 인서트 보강 부재(130)와 용접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is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and may be disposed to be completely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 A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124 for connecting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124 is connected to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by welding in this embodiment.

도 3 내지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시공 후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해 저항하는 보강용 부재로서,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의 하중에 의해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고,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3 to 5 and 7,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of this embodiment is for reinforcing resistance against th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insert nut member 120 after construction of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s a member, the pull-out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by the load of the belt belt 20 or the belt belt bracket 30 may be stably supporte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and may b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in a state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즉,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함께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매립되므로, 인서트 너트 부재(120)만 단독으로 매립되는 경우보다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와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인발력이 작용되면 PC 강선(114)들 중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120)가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외부로 빠져 나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120, the insert nut member 120 alone is embedded with the concrete pile body 112 than when the insert nut member 120 is embedded alone. The binding force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caught on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disposed adjacent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among the PC steel wires 114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Since it is a fix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ert nut member 120 from coming out of the concrete pile body 112 .

여기서,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들보다 파일 본체(110)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제1 PC 강선(114a, 114b)에 간섭될 수 있고, 제1 PC 강선(114a, 114b)과의 간섭에 의해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Here,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110 than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That is,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interfere with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ll-out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is applied, and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Interference with Thus,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 사이의 부분에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타단부에 연결된 보강 부재 연결부(12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에 의해 제1 PC 강선(114a, 114b)에 걸리도록 제1 PC 강선(114a, 114b)들과 교차될 때까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12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to be caught by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when intersected with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114b) can be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제1 PC 강선(114a, 114b)들의 이격 간격(G)보다 좌우 방향의 길이(L1)가 더 길게 형성된 바 또는 봉 중 어느 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 사이의 부분은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보강 부재 연결부(124)에 용접 방식, 볼트와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한 체결 방식, 또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끼워져 조립되는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provided in any one shape of a bar or a rod in which the length L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spacing G of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is a welding method to the reinforcing member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 fastening method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a rivet, or an insert nut member 120 ) and can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serted and assembled.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보강 부재(130)가 얇은 두께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의 평철 부재로 마련되어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보강 부재 연결부(124)에 용접 방식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는 서로 용접된 상태로 하나의 부품처럼 사용될 수 있다.3 and 4 ,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provided as a bar-shaped flat iron member formed with a thin thickness and is welded to the reinforcing member connection portion 124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n a welding method. can be firmly connected to Accordingly,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used as one component in a state of being welded to each other.

상기와 다르게, 도 5에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보강 부재 연결부(124)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조립홀부(126)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보강 부재(132)는 조립홀부(126)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인서트 보강 부재(132)는 조립홀부(126)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2)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제작 현장에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는 제1 PC 강선(114a, 114b)을 감싸 걸리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Unlike the above, another exampl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shown in FIG. 5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reinforcing member connection part 124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may be provided with an assembly hole 126 penetr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to be inserted through the assembly hole 126 .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it is fitted into the assembly hole 126 . Therefore,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assembled and used by a worker at the manufacturing site of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if necessary.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may be bent in a shape that wraps around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한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이 일반적인 현장에서 일반가시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만으로도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지만,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이 탑다운 현장 등과 같은 대형시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하중의 대형 띠장(20)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더 안정적으로 저항하기 위한 보강 구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탑다운 현장 등에서 고하중의 대형 띠장(20)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의 강선 연결 부재(14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is used for general facilities in a general field, only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can sufficiently resist th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insert nut member 120. However, when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is used for large facilities such as top-down sites, it more stably resists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because the large wale 20 of high load is used. An additional reinforcement structure is required to do this.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use the large wale 20 of high load at the top-down site,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install the lower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

도 3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강선 연결 부재(140)는, 인서트 보강 부재(130)에 의해 제1 PC 강선(114a, 114b)에 전달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을 제1 PC 강선(114a, 114b)과 인접한 다른 PC 강선(114c, 114d)으로 분산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강선 연결 부재(14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 및 인서트 보강 부재(130)와 함께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강선 연결 부재(140)는 제1 PC 강선(114a, 114b)을 제1 PC 강선(114a, 114b)과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제2 PC 강선(114c, 114d)과 연결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3 to 9,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of this embodiment is the insert nut member 120 tha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by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to remove the pulling force. 1 PC steel wire (114a, 114b) and adjacent to the other PC steel wire (114c, 114d) is a member for supporting dispersedly.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re connected to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other second PC steel wires 114c and 114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즉, 강선 연결 부재(140)의 일단부에는 제1 PC 강선(114a, 114b)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연결 고리부(142)가 마련되고, 강선 연결 부재(140)의 타단부에는 제2 PC 강선(114c, 114d)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연결 고리부(144)가 마련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ring 142 for connecting to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second PC. A second connection ring portion 144 for connecting to the steel wire (114c, 114d)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1 연결 고리부(142)와 제2 연결 고리부(144)는, 제1 연결 고리부(142) 또는 제2 연결 고리부(144)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연결한 상태에서 제1 연결 고리부(142) 또는 제2 연결 고리부(144) 중 다른 하나를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 고리부(144)를 제2 PC 강선(114c, 114d)에 연결한 상태에서 강선 연결 부재(140)를 회전시켜 제1 연결 고리부(142)를 제1 PC 강선(114a, 114b)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the first connection ring portion 142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portion 144 is a first connection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ring portion 142 or the second connection ring portion 144 is connected first. The ring portion 142 or the second connection ring portion 144 may be provided to connect or separate the other one.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by rotating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144 is connected to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142 is connected to the first PC It will be described as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steel wires (114a, 114b).

그리고, 강선 연결 부재(140)는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의 이격 간격(G)보다 좌우 방향의 길이(L2)가 더 길게 형성된 바 또는 봉 중 어느 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고리부(142) 또는 제2 연결 고리부(144)는, 강선 연결 부재(140)의 양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절곡시켜 제1 PC 강선(114a, 114b) 또는 제2 PC 강선(114c, 114d)에 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is a bar or bar formed with a length L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onger than the spacing G of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142 or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144 is a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or a second PC steel wire (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hung on 114c and 114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강선 연결 부재(140)가 제1 PC 강선(114a, 114b) 및 제2 PC 강선(114c, 114d)과의 조립 편의성을 증가시키도록 제1 연결 고리부(142)와 제2 연결 고리부(144)가 서로 다른 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 고리부(144)는 제2 PC 강선(114c, 114d)에 제1 길이(B1)로 절곡될 수 있고, 제1 연결 고리부(142)는 제1 PC 강선(114a, 114b)에 제1 길이(B1)보다 짧은 제2 길이(B2)로 절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142 and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142 to increase the assembly convenience with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Two connecting ring portions 144 may be bent to different lengths.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ring portion 144 may be bent to a first length (B1) to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the first connection ring portion 142 is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 may be bent to a second length B2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B1.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강선 연결 부재(14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선 연결 부재(140)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3 and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a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a second PC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on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respectively. Although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e by one on the steel wires 114c and 114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variously changed.

일례로, 도 8과 도 9에는 강선 연결 부재(140)가 배치되는 다른 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disposed is shown in FIGS. 8 and 9 , respectivel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연결 부재(14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강선 연결 부재(140)들은,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에 파일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인서트 보강 부재(130)와 제1 PC 강선(114a, 114b)의 연결 부위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보강 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은, 복수개의 강선 연결 부재(140)에 의해 분산되어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의 복수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8,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a plurality of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disposed adjacent to each side on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respectively. may be placed. At this time,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s 140,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110,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 130) and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ly, the pull-out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transmitted through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dispersed by the plurality of steel wire connecting members 140 to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114c. , 114d) can be supported at multiple position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연결 부재(140)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고, 그 뿐만 아니라 제2 PC 강선(114c, 114d) 및 제2 PC 강선(114c, 114d)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제3 PC 강선(114e, 114f)을 연결하도록 제2 PC 강선(114c, 114d)과 제3 PC 강선(114)에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보강 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은,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 및 제3 PC 강선(114)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respectively, one for each of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s 114c and 114d. a second PC steel wire ( 114c, 114d) and the third PC steel wire 114 may also be arranged one by one. Accordingly,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transmitted through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is applied to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s 114c and 114d and the third PC steel wire 114 .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10)의 시공 과정 및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taining wall 10 using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C file 100 for retaining wal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를 사용하여 흙막이 벽체(10)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First,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10 using the PHC pile 100 for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지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PHC 파일(100)을 설치하고, 지반에 대한 터파기 공사를 실시한다. 터파기 공사는 토압이 가해지지 않는 PHC 파일(100)의 일측에서 실시한다.A plurality of PHC piles 10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excava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ground. The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on one side of the PHC pile 100 where earth pressure is not applied.

그리고,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띠장 브래킷(30)을 설치하고, 띠장 브래킷(30)에 띠장(20)을 설치하여 복수개의 PHC 파일(100)을 안정적으로 결속시켜 지지한다. 띠장 브래킷(30)과 띠장(20)은 터파기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복수개의 PHC 파일(100)에 일정 높이마다 순차적으로 설치한다.Then, the wale bracket 30 i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and the wale 20 is installed in the wale bracket 30 to stably bind and support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 The wale bracket 30 and the wale belt 20 are sequenti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plurality of PHC piles 100 as the excavation construction progresses.

띠장 브래킷(30)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PHC 파일(100)의 파일 본체(110)의 표면에 노출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띠장 브래킷(30)을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고정한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le bracket 30, using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nut hole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110 of the PHC pile 100, 30) is fix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상기와 같이 띠장 브래킷(30)이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고정되면, 띠장 브래킷(30)에 띠장(20)을 설치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lt belt 30 is fix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the belt belt 20 is installed on the belt belt bracket 30 .

이때, 띠장(20) 및 띠장 브래킷(30)의 하중이 체결 부재를 매개로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데, 띠장(20) 및 띠장 브래킷(30)의 하중은 인서트 너트 부재(120)를 뽑아내는 인발력으로 작용한다.At this time, the load of the belt belt 20 and the belt belt bracket 30 is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the load of the belt belt 20 and the belt belt bracket 30 is the insert nut member 120 It acts as a pulling force.

한편,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은 파일 본체(110)에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을 뽑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연결된 인서트 보강 부재(130)가 파일 본체(110)의 콘크리트 파일 몸체(112)에 매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특히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가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인접한 제1 PC 강선(114a, 114b)들에 걸려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에 저항한다.On the other hand,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cts in a direction to pull the insert nut member 120 from the pile body 110 , but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is the pile body 110 . Because i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pulling force, in particular,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30 ar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first It is caught on the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to resist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따라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 및 제1 PC 강선(114a, 114b)들이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충분히 지지하여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ert nut member 120,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sufficiently support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to prevent the insert nut member 120 from being pulled out. can be prevented

한편, 일반적인 현장에서는 일반가시설용으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만으로도 인서트 너트 부재(120)에 작용되는 인발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다. 하지만, 탑다운 현장 등과 같은 대형시설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하중의 대형 띠장(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인발력을 더 안정적으로 저항하기 위한 보강 구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Meanwhile, in a general field, only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for general temporary facilities can sufficiently resist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insert nut member 120 . However, when used for large facilities such as top-down sites, a reinforcing structure is additionally required to more stably resist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arge wale 20 of high load.

즉, 탑다운 현장 등에서 고하중의 대형 띠장(20)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제1 PC 강선(114a, 114b)과 제2 PC 강선(114c, 114d)에 강선 연결 부재(14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제1 PC 강선(114a, 114b)에 걸리는 하중을 제2 PC 강선(114c, 114d)에 분산시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허용 인발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강선 연결 부재(140)의 설치로 인해서 고하중의 띠장(20) 또는 띠장 브래킷(30)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smoothly use the large wale 20 of high load at the top-down site, etc., the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14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s 114c and 114d. Thus,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is dispersed in the second PC steel wires 114c and 114d to increase the allowable pull-out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 Therefor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high-load wale 20 or the wale bracket 3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100)의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0 ,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C pile 100 for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파일 본체(11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PHC 파일 몰드(40, 50)를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PHC 파일 몰드(40, 5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한다. PHC pile molds 40 and 50 that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110 is poured are provided.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as described above ar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PHC 파일 몰드(40, 50)는 PHC 파일(100)의 제조상 편의를 위하여 상부 몰드(40)와 하부 몰드(50)로 분리되는 구조로 마련하되, 상부 몰드(40)와 하부 몰드(5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The PHC pile molds 40 and 50 ar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are separated for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the PHC pile 100, but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are It is elongated in a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상기와 같은 상부 몰드(40)에는 체결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고정용 볼트(60)가 설치되는 볼트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볼트홀은 파일 본체(110)의 표면에 노출되는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the upper mold 40 as described above, a bolt hole is formed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bolt 60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astening member is installed. The bolt hol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ut hole portion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110 .

위치 고정용 볼트(60)를 PHC 파일 몰드(40, 50)의 볼트홀들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위치 고정용 볼트(60)들의 수나사부는 PHC 파일 몰드(40, 50)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면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에 체결된다.The position fixing bolts 6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olt holes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 At this time, the male screw portions of the position fixing bolts 60 are fastened to the nut hole portion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while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

즉, 위치 고정용 볼트(60)들을 이용하여 인서트 보강 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 너트 부재(120)를 PHC 파일 몰드(40, 50)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다.That is,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insert nut member 1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using the position fixing bolts 60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

인서트 보강 부재(130)와 인서트 너트 부재(120)가 PHC 파일 몰드(40, 5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면, PHC 파일 몰드(40, 50)의 하부 몰드(50)에는 복수개의 PC 강선(114)를 배치한다. 복수개의 PC 강선(114)은 PHC 파일 몰드(40, 5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PHC 파일 몰드(40, 5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insert nut member 120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the lower mold 50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has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114 ) is placed.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114 are arrang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and are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PC 강선(114)은 편성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철선에 의해 나선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이다. 특히, 인서트 보강 부재(130)의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PC 강선(114a, 114b)에 걸리도록 인서트 너트 부재(120)가 두 개의 제1 PC 강선(114a, 114b) 사이에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PC steel wires 114 as described above are in a state of being wound in a spiral shape by an iron wire using a knitting machine (not shown). In particular, the insert nut membe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so that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are caught on the two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djacent to each other. .

그런 다음에,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제1 PC 강선(114a, 114b) 및 제1 PC 강선(114a, 114b)과 이웃하는 제2 PC 강선(114c, 114d)에 강선 연결 부재(140)를 연결한다.Then,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and the first PC steel wire (114a, 114b)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adjacent second PC steel wire (114c, 114d)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connected.

강선 연결 부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부 몰드(50)에 파일 본체(11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부 몰드(50)와 상부 몰드(4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몰드(40)와 하부 몰드(50)가 결합된 PHC 파일 몰드(40, 50)를 일정 시간 동안 원심 성형한다. 그에 따라서, PHC 파일 몰드(40, 50)에 가해진 원심력에 의하여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112a)가 형성된 파일 본체(110)를 제조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is completed,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110 is poured into the lower mold 50 , and the lower mold 50 and the upper mold 40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in which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are combined are centrifugally mold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the pile body 110 in which the hollow part 112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art by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PHC pile molds 40 and 50 is manufactured.

일정 시간 후에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부 몰드(40)에서 위치 고정용 볼트(60)를 제거하고, 상부 몰드(40)와 하부 몰드(50)를 분리한 후 PHC 파일(100)을 탈형한다.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osition fixing bolt 60 is removed from the upper mold 40,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are separated, and the PHC file 100 is demolded. .

따라서, 위치 고정용 볼트(60)에 의해 고정된 인서트 너트 부재(120)와 인서트 보강 부재(130), PC 강선(114)들, 및 제1 PC 강선(114a, 114b)들과 제2 PC 강선(114c, 114d)들에 연결된 강선 연결 부재(140)는 파일 본체(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배치된다. 또한, 인서트 너트 부재(120)의 너트홀부(122)는 파일 본체(110)의 표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노출된 상태이다.Accordingly, the insert nut member 120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130, the PC steel wires 114, and the first PC steel wires 114a and 114b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bolt 60 are fixed.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140 connected to the 114c and 114d is dispos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1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nut hole portions 122 of the insert nut member 120 are ex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11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흙막이 벽체
20: 띠장
30: 띠장 브래킷
100: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110: 파일 본체
112: 콘크리트 파일 몸체
114: PC 강선
114a, 114b: 제1 PC 강선
114c, 114d: 제2 PC 강선
120: 인서트 너트 부재
130, 132: 인서트 보강 부재
140: 강선 연결 부재
10: retaining wall
20: belt
30: wale bracket
100: PHC file for retaining wall
110: file body
112: concrete pile body
114: PC liner
114a, 114b: the first PC liner
114c, 114d: 2nd PC liner
120: insert nut member
130, 132: insert reinforcement member
140: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Claims (7)

흙막이 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PHC 파일에 있어서,
복수개의 PC 강선이 내장된 파일 본체;
상기 파일 본체의 표면에 너트홀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파일 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된 인서트 너트 부재;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PHC 파일의 시공 후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인서트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PC 강선들 중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PC 강선에 걸려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PC 강선에 전달되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인발력을 분산 지지하도록 상기 제1 PC 강선을 다른 PC 강선과 연결하는 강선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 및 상기 제1 PC 강선에 이웃하는 제2 PC 강선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PC 강선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연결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PC 강선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연결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및 상기 제2 연결 고리부는, 상기 제1 PC 강선 또는 상기 제2 PC 강선에 각각 걸 수 있도록 상기 강선 연결 부재의 양단부를 절곡시킨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강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 및 상기 제2 PC 강선과의 조립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고리부 중 어느 하나를 제1 길이로 절곡하고, 상기 제1 연결 고리부 또는 상기 제2 연결 고리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In the PHC fil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 file body with a plurality of PC steel wires built-in;
an insert nut member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pile body so that the nut hole portion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pile body;
An insert reinforcing member connected to the insert nut member and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and supporting the insert nut member to resist th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insert nut member after the PHC pile is constructed including;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to support the insert nut member by hanging on at least one first PC steel wire disposed adjacent to the insert nut member among the PC steel wires,
The first PC steel wire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ogether with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first PC steel wire is connected to another PC steel wire to disperse and support the pulling force of the insert nut member transmitted to the first PC steel wire by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steel wire connection member;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PC steel wire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adjacent to the first PC steel wire,
A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first PC steel wir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second PC steel wir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are bent so that they can be respectively hung on the first PC steel wire or the second PC steel wire,
The steel wire connecting member is bent to a first length of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ng ring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with the first PC steel wire and the second PC steel wire, and the first PHC file for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or the second connecting ring portion is bent to a second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 강선들은, 상기 파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파일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는 상기 PC 강선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PC 강선들보다 상기 파일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PC 강선들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PC steel wires are arrang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The insert nu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PC steel wires,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le body than the first PC steel wire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insert nut member, both ends extend long and intersect with the first PC steel wires PHC file for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홀부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PC 강선들의 이격 간격보다 양단부가 더 길게 연장된 바 형상 또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인서트 보강 부재의 양단부 사이의 부분은,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용접 또는 체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인서트 너트 부재의 타단부에 관통 형성된 조립홀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nut hol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and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in a bar shape or a rod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lon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PC steel wires,
A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sert reinforc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in a manner that is welded or fastened, or is connected to an assembly hole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member in a manner that is fitted PHC file for retaining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63535A 2019-12-10 2019-12-10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102351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35A KR102351779B1 (en) 2019-12-10 2019-12-10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35A KR102351779B1 (en) 2019-12-10 2019-12-10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76A KR20210073076A (en) 2021-06-18
KR102351779B1 true KR102351779B1 (en) 2022-01-17

Family

ID=7662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535A KR102351779B1 (en) 2019-12-10 2019-12-10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018B1 (en) 2022-08-11 2023-07-24 김승범 PHC Pile with Impact Reduction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091B1 (en) * 2018-01-18 2018-09-20 배동지 Steel plate inserting PHC Pil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273A (en) * 1992-11-09 1994-05-27 Asahi Chem Ind Co Ltd Prc pile and combined member of its frame body
KR101542126B1 (en) * 2013-04-05 2015-08-06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PHC pile for Prestressed Concret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of PHC pile am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KR102070912B1 (en) * 2017-12-13 2020-03-02 신재호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mol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091B1 (en) * 2018-01-18 2018-09-20 배동지 Steel plate inserting PHC Pil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018B1 (en) 2022-08-11 2023-07-24 김승범 PHC Pile with Impact Reduction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76A (en)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20B1 (en) Composite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10142550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JP6703845B2 (en) Foundation structure
KR101177426B1 (en) Field infused pos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60092552A (en) The non-strut down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cast in place concrete pile
KR100553478B1 (en) The drilled shaf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application of perforated metal tubing as drilled shaft reinforcement
CA3050664A1 (en)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tensionless concrete pier foundation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138298B1 (en) Anchor typed concrete fille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3079B1 (en)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20120030493A (en) Method of reinforcing existing concrete footing structure using micropile and structure thereof
KR102351779B1 (en)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100803558B1 (en) A reinforcing single column drilled pier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31219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reinforcing end bearing capacity
KR101210368B1 (en) Uniting Method of Temporary earth wall with basement exterior Wall using Couplers and Bolts.
KR102319143B1 (en) Soil retaining wall for phc pile
KR102075437B1 (en)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102497458B1 (en) Cip Retaining Reinforcing Structur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KR102277470B1 (en) Basement Composite Wall Using Reta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347950B1 (en) Prestressed Cast in Place Concrete Pile Assembly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060511B1 (en)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102264594B1 (en)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KR102070912B1 (en)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mol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64595B1 (en) Self supporting type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90000818U (en) A cast-in place pile using multi-piled up metal nets
KR101255610B1 (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use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