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541B1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Google Patent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541B1
KR102351541B1 KR1020210072599A KR20210072599A KR102351541B1 KR 102351541 B1 KR102351541 B1 KR 102351541B1 KR 1020210072599 A KR1020210072599 A KR 1020210072599A KR 20210072599 A KR20210072599 A KR 20210072599A KR 102351541 B1 KR102351541 B1 KR 10235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press
panel
temperature
buildin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선우
Original Assignee
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선우 filed Critical 엄선우
Priority to KR102021007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mart device group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a network,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a smart control unit group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a big data server, and a storage unit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is accommodated and stored. The storage unit includes a driving plate, a movable panel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driving plate and having a first server receptor and a second server receptor on which the big data server is built, respectively; a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for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big data server; and a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formed on the other s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and performing temperature management on the big data server.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cools the big data server through a first cooling module installed on an inner wall, respectively.

Description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건물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을 시간에 따라 분리하여 냉방, 난방, 급탕 등의 운전을 선택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되, 이러한 관리시스템의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구축과 운영을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온오프라인 전반의 효과적 운영과 비용손실을 예방 등이 가능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 use is separated according to time and operation such as cooling,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is selected to save energy, but the structure for continuous and reliabl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is management system is applied to effectively It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vent operation and cost loss.

에너지의 절감 및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요구 및 규제가 더욱 커지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 냉방 및 난방 에너지의 절감 및 효율적이 사용에 대한 요구 및 규제 또한 매우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가정, 영업소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축사 및 돈사 등인 구조적으로 냉방 및 난방 에너지의 절감 및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진단뿐만 아니라, 인프라 구축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최적화된 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Demands and regulations for energy saving and efficient use are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for the efficient use and reduction of cooling and heating energy are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s well as for diagnosis to enable saving and efficient use of cooling and heating energy structurally, such as houses and business offices, as well as buildings such as livestock and pig house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n optimized management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117806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806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을 시간에 따라 분리하여 냉방, 난방, 급탕 등의 운전을 선택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축사 및 돈사 등인 경우, 축사 및 돈사 등의 냄새 및 일정 온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save energy by selecting the operation of cooling, heating, hot water supply, etc. by separating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use according to time, but also to save energy when the building is a livestock house, pig house, etc. It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o maintain the smell and constant temperature of

또한, 본 발명은 축냉 탱크 및 축열 탱크를 열-전기에너지 변환 단위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축냉 탱크와 축열 탱크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 자동으로 제어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nergy efficiency while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s of the cooling storage tank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to a preset temperature range as well as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by configuring the cooling tank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as a thermal-electrical energy conversion unit unit. It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또한, 이러한 에너저 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 중요 구성부를 다양한 환경에서 각종 충격과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 오류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시스템상의 막대한 금전적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uch an energy management system,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prevents damage, errors, etc. from occurring due to various shocks and vibra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huge financial damage to the system is to provide

또한, 주요 구성들 중 스펙과 용도 등이 상이한 서버를 각각의 최적화된 조건으로 제공할 수 있어, 그 동작의 안정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server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uses among the main components under each optimized condition,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operation.

또한, 이러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대응하여 환경조건에 의한 부정적 영향을 억제하고, 다채로운 환경(예: 지진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온도, 기후 등이 상이한 지역 등)에서 모두 안정적이고 동일한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서버를 취급할 수 있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systems are installed, negative influences caus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uppressed, and stable and identical system oper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eg, regions where earthquakes occur frequently, region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and climates, etc.) This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handle the server to make this possib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으서,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 네트워크,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 그리고 빅데이터서버 및 상기 빅데이터서버가 수용보관되는 보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유닛은,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구동플레이트상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빅데이터서버가 각각 내장되는 제1서버수용체와 제2서버수용체가 거치되는 가동패널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1온도관리패널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2온도관리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과 상기 제1-2온동관리패널은 내벽에 각각 설치된 제1냉각모듈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서버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 smart devic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a network,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a smart control unit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and a big data server and the big data server are accommodated It includes a storage unit to be stored, wherein the storage unit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driving plate and the driving plate, and the first server receptor and the second server receptor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is built, respectively, are mounted on the top of the storage unit. a movable panel, a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and configured to perform temperature management on the big data server; and a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for performing temperature management, wherein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ig data server through a first cooling module. Provides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cooling f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설치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대상 건출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 네트워크,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 그리고 빅데이터서버 및 상기 빅데이터서버가 수용보관되는 보관유닛을 포함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stallation plan; install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management of a target building; and operat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smart devic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a network,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a smart control unit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and a big data server and a storage unit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is accommodated and stored,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건축물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을 시간에 따라 분리하여 냉방, 난방, 급탕 등의 운전을 선택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축사 및 돈사 등인 경우, 축사 및 돈사 등의 냄새 및 일정 온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aves energy by separating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use according to time and selects the operation of cooling, heating, hot water supply,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o maintain it.

또한, 본 발명은 축냉 탱크 및 축열 탱크를 열-전기에너지 변환 단위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축냉 탱크와 축열 탱크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 자동으로 제어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nergy efficiency while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s of the cooling storage tank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to a preset temperature range as well as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by configuring the cooling tank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as a thermal-electrical energy conversion unit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o

또한, 이러한 에너저 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 중요 구성부를 다양한 환경에서 각종 충격과 진동 등에 의하여 파손, 오류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시스템상의 막대한 금전적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uch an energy management system,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prevents damage, errors, etc. from occurring due to various shocks and vibra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huge financial damage to the system can provide

또한, 주요 구성들 중 스펙과 용도 등이 상이한 서버를 각각의 최적화된 조건으로 제공할 수 있어, 그 동작의 안정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er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uses among the main components under each optimized condition, thereby provid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enhances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its operation.

또한, 이러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대응하여 환경조건에 의한 부정적 영향을 억제하고, 다채로운 환경(예: 지진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온도, 기후 등이 상이한 지역 등)에서 모두 안정적이고 동일한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서버를 취급할 수 있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systems are installed, negative influences caus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uppressed, and stable and identical system oper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eg, regions where earthquakes occur frequently, region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and climates, etc.) To make this possibl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handle the server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 중 센싱부(490a)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축냉 탱크(440)와 축열 탱크(450)에 의한 열-전기에너지 변환 단위 유닛(400u)이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구축 혹은 운용 등을 위한 주요 수단이 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sensing unit 490a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of FIG. 2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thermal-electrical energy conversion unit unit 400u is configured by the cooling tank 440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serving as a main means for building or operat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에너지 관리시스템(1)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400g), 그리고 빅데이터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1 is a view show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smart device group 100g comprising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100 , a network 200 ,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 and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400 . ) may include a smart control unit group (400g) consisting of, and a big data server (500).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400g), 그리고 빅데이터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network 20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When the network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etwork 2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P-based IP networks. Network 200 is a smart device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100),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a smart control unit group (4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400), and big data It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server 500 and other system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 중 센싱부(490a)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제어 유닛(400)은 지중열교환기(410), 공기열교환기(420), 수열교환기(430), 축냉 탱크(440), 냉각 회전 튜브(440a), 축열 탱크(450), 온열 회전 튜브(450a), 급기팬(460), 펠티어소자(470), 약품분사기(480), 센싱부(490a), 컨트롤러(490b), 송수신 안테나(490c)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sensing unit 490a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of FIG. 2 . 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control unit 400 includes an underground heat exchanger 410 , an air heat exchanger 420 , a water heat exchanger 430 , a cooling tank 440 , a cooling rotating tube 440a , and a heat storage tank 450 . , a heated rotating tube 450a, an air supply fan 460, a Peltier element 470, a chemical sprayer 480, a sensing unit 490a, a controller 490b, and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490c.

지중열교환기(410)는 지중에 매립된 복수 개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로부터 연장된 지열관을 따라 냉각 또는 가열을 수행하며, 냉각 작동시 냉각형 열교환을 위한 보조 열교환 단위 유닛으로부터 보조적으로 냉각 작용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가열 작동시 가열형 열교환을 위한 보조 열교환 단위 유닛으로부터 보조적으로 가열 작용을 제공받으며, 냉각 작동과 가열 작동에 따라 구분된 영역을 활용하여 각기 다른 냉각 펌프(410a) 및히트 펌프(410b)에 의해 축냉 탱크(440) 및 축열 탱크(450)에 냉기 및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열교환기(420)는 냉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조기로 냉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와 냉매간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축열된 냉매의 열에너지를 응축기와 연결된 축냉 탱크(400)로 냉각 펌프(420a)를 활용해 제공하며, 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와 냉매간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축열된 냉매의 열에너지를 기화기와 연결된 축열 탱크(500)로 히트 펌프(420b)를 활용해 제공할 수 있다.The geothermal heat exchanger 4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pes buried in the ground, and performs cooling or heating along a geothermal tube extending from the pipe, and is auxiliary from an auxiliary heat exchange unit for cooling type heat exchange during cooling operation. A cooling action may be provided, and a heating action is provided from an auxiliary heat exchange unit unit for heating type heat exchange during a heating operation, and different cooling pumps 410a and Cold air and hot air may be provided to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by the heat pump 410b. The air heat exchanger 420 is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ir-conditioning and cooling operation. In order to perform a cooling operation, the heat energy of the refrigerant stor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is provided by utilizing the cooling pump 420a to the cooling tank 400 connected to the condenser. In order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heat energy of the refrigerant stor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may be provided to the heat storage tank 500 connected to the vaporizer by utilizing the heat pump 420b.

수열교환기(430)는 외부의 액체 파이프로부터 제공된 냉기를 냉각 히트 펌프를 통해 축냉 탱크(440)로 제공하며, 외부의 액체 파이프로부터 제공된 온기를 온열 히트 펌프를 축열 탱크(45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냉각 작동과 가열 작동에 따라 구분된 영역을 활용하여 각기 다른 냉각 펌프(430a) 및 히트 펌프(430b)에 의해 축냉 탱크(440) 및 축열 탱크(450)에 냉기 및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축냉 탱크(440)는 냉각 회전 튜브(440a)와 사이에 형성된 냉각 히트 펌프를 통해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으로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하는 냉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축열 탱크(450)는 온열 회전 튜브(450a)와 사이에 형성된 온열 히트 펌프를 통해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으로 온기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온도 하락을 억제하도록 하는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heat exchanger 430 may provide cold air provided from an external liquid pipe to the cooling tank 440 through a cooling heat pump, and may provide warmth provided from the external liquid pipe to the heat storage tank 450 with a warm heat pump, , it is possible to provide cold air and hot air to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by different cooling pumps 430a and heat pumps 430b by utilizing regions divided according to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The cooling tank 440 may provide a cooling function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in the preset area by providing cold air to a preset area of the building through the cooling rotation tube 440a and a cooling heat pump formed therebetween. .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may provide a heating function to suppress the temperature drop in the preset region by providing heat to a preset area of the building through the heating rotation tube 450a and a thermal heat pump formed between it. .

급기팬(460)은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외부와의 공기 교환을 위한 팬에 해당한다. 펠티어소자(470)는 미리 설정된 구역에서 특수한 목적을 위해 세부 온도 조절이 필요한 설정 영역에 대한 냉온온도 조절, 특히 급냉 온도 설정을 위해 사용되기 위해 형성되며, 설정 영역에 대한 외부 전력을 이용해 컨트롤러(490b)의 제어에 따라 온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펠티어소자(470)는 온열 회전 튜브(450a)가 형성된 건축물 상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탱크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사용되는 펠티어소자(470)는 모듈 형태로 펠티어 소자와 급수탱크 표면의 온도센서, 아두이노 기판을 활용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 급수탱크에 대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약품분사기(480)는 컨트롤러(490b)에 의해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냄새가 난다고 센싱부(490a)에 의해 센싱된경우 천연 방향제를 분사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460 corresponds to a fan for exchanging air with the outside for a preset area of the building. The Peltier element 470 is formed to be used for cold/hot temperature control for a setting area that requires detailed temperature control for a special purpose in a preset area, in particular, for setting a rapid cooling temperature, and uses external power for the setting area to control the controller (490b). ) can be controlled by temperature control. In particular, the Peltier element 470 may b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hot water on the building in which the heating rotation tube 450a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Peltier element 470 used here is in the form of a module, and by utilizing the Peltier element, the temperature senso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Arduino boar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for the water supply tank in a preset temperature range Chemical sprayer 480 may be formed to spray a natural fragrance when it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490a that there is an odor for an area preset by the controller 490b.

센싱부(49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온도센싱단(491a), 제 2 온도센싱단(492a), 냄새 센싱단(493a)및 온습도센싱단(494a)을 포함하며, 제 1 온도센싱단(491a)은 축냉 탱크(440) 내부에 열매와 맞닿아 형성되며,제 2 온도센싱단(492a)은 축열 탱크(450) 내부에 냉매에 맞닿아 형성되며, 냄새 센싱단(493a) 및 온습도센싱단(494a)은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90a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nd 491a,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end 492a, an odor sensing end 493a, and a temperature-humidity sensing end 494a as shown in FIG. The temperature sensing end 491a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heat medium inside the cooling tank 440,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nd 492a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inside the heat storage tank 450, and the odor sensing end 493a. And the temperature-humidity sensing end 494a may be formed at a designated location in a preset area of the building.

컨트롤러(490b)는 스마트 제어 유닛(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송수신안테나(490c)를 통해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각 스마트 디바이스(100), 빅데이터서버(5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90b performs control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mart control unit 400, as well as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200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490c, and each smart device ( 100 ), the big data server 50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 중 축냉 탱크(440)와 축열 탱크(450)에 의한 열-전기에너지 변환 단위 유닛(400u)이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thermal-electrical energy conversion unit unit 400u is configured by the cooling tank 440 and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in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조하면,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센싱 듈(321), 에너지 순환 모듈(322), 온도 컨트롤 모듈(323), 공기 컨트롤 모듈(324) 및 피드백 컨트롤 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321)은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센싱부(490a) 중 축냉 탱크(440)에 형성된 제 1 온도센싱단(491a)와 축열 탱크(450)에 형성된 제 2 온도센싱단(492a)으로부터 각각 제 1 온도센싱정보 및 제 2 온도센싱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실시간 시간 정보와 제 1 및 제 2 온도센싱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321)은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센싱부(490a) 중 미리 설정된 구역에 형성된 온습도센싱단(494a)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역의 제 3 온도센싱정보 외에 습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제 3 온도센싱정보 외에 습도 정보를 제 1 및 제 2 온도센싱정보와 함께 각 스마트제어 유닛(40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transceiver 310 , a control unit 320 , and a database 330 , and the control unit 320 includes a sensing module 321 and an energy circulation module 322 . ,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 an air control module 324 , and a feedback control module 325 . The sensing module 321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ing stage 491a formed in the cooling tank 440 among the sensing units 490a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stage 492a formed in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 ),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from each smart control unit ( 400) can be stored as metadata. In addition, the sensing module 321 transmits humidity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thir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of the preset area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terminal 494a formed in the preset area among the sensing units 490a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to the network 20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through ),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thir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can be stored as metadata. have.

또한, 센싱 모듈(321)은 센싱부(490a) 중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형성된 배출되는 가스를 제공받아서 가스의 화학성분을 센싱(sensing)하는 냄새 센싱단(493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냄새 발생여부를 분석한뒤, 냄새 발생여부 정보를 제 1 및 제 2 온도센싱정보, 제 3 온도센싱정보 및 습도 정보와 함께 각 스마트 제어유닛(400)의 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함께 모니터링 정보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 순환 모듈(322)은 각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추출한 뒤,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모니터링 정보 단위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에너지 순환 모듈(322)은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제 1 내지 제 3 온도센싱정보에 따른 "시간대별 온도구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스마트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odule 321 receives the discharged gas formed in a preset area of the building among the sensing unit 490a and sens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as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dor sensing terminal 493a. After analyzing the occurrence of od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the thir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humidity information is converted to the odor occurrence information as metadata as a monitoring information unit can be saved as The energy circulation module 322 extra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MEI) of the smart device 100 that is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smart control unit 400 and is then monitored with the smart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The transceiver 31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unit through the network 200 . Thereafter, the energy circulation module 322 transmits/receives the "temperature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for the preset area from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rough the network 200 . ),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mart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30 together as metadata.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1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 미만인 경우, 축냉 탱크 온도 범위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냉매(冷媒)를 축냉 탱크(440)로 공급함과 동시에 축냉 탱크(440)와 연결된 배출 밸브에 대한 제어를 통해 냉매(冷媒)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온도센싱 정보가 축냉 탱크 온도 범위에 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supplies a refrigerant exceeding a preset temperature from the cold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o the cold storage tank 440 and simultaneously cools the storage tank 440 .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valve connected to the tank 440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to fall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cooling tan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1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미만이고, 제 2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열 탱크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축냉 탱크(440)에서 축열탱크(450)로의 냉매(冷媒) 제공과 함께 축냉 탱크 온도 범위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새로운 냉매(冷媒)를 축냉 탱크(440)로 공급을 통해 제 1 온도센싱정보가 축냉 탱크 온도 범위에 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1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중열교환기(410), 공기열교환기(420) 및 수열교환기(430) 중 현재 냉각 펌프(410a, 420a, 430a)와 히트 펌프(410b,420b, 430b) 중 히트 펌프(410b, 420b, 430b)가 동작하는 것이 있는 경우 히트 펌프(410b, 420b, 430b)에 대해서 중단시키고, 히트 펌프(410b, 420b, 430b)가 중단된 열교환기(410, 420, 430)와 연결된 냉각 펌프(410a, 420a, 430a)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축냉 탱크 온도 범위 내로 속할 때까지 온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축냉 탱크(440)에 대한 지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로 온도가 항상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thermal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may , a first temperature sensing through supplying a new refrigerant exceeding a preset temperature from the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to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together with the provision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ooling tank 440 to the thermal storage tank 45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ormation to fall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torage tank.]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the underground heat exchanger 410, the air heat exchanger Among the current cooling pumps 410a, 420a, 430a and the heat pumps 410b, 420b, and 430b among the 420 and the water heat exchanger 430, the heat pumps 410b, 420b, 430b operate when the heat pump 410b , 420b, 430b), and the heat pumps (410b, 420b, 430b) are connected to the stopped heat exchangers (410, 420, 430) and the cooling pumps (410a, 420a, 430a) connected to operat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 storage tank By performing temperature control until it fall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temperature is always maintained in the specified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for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

이와 동일하게,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2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열 탱크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축열 탱크 온도 범위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미달하는 열매(熱媒)를 축열 탱크(450)로 공급함과 동시에 축열 탱크(450)와 연결된 배출 밸브에 대한 제어를 통해 열매(熱媒)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 2 온도센싱정보가 축냉 탱크 온도 범위에 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2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 미만인 경우, 축열 탱크(450)에서 축냉 탱크(440)로의 열매(熱媒) 제공과 함께 축열 탱크 온도 범위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미달하는 초과하는 새로운 열매(熱媒)를 축열 탱크(450)로 공급을 통해 제 2 온도센싱정보가 축냉 탱크 온도 범위에 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thermal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transfers heat from the thermal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o the heat storage tank ( 450)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the discharge valve connected to the heat storage tank 450 to discharge the heat medium to the outside, so that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falls within the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can d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when it is less than a preset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 along with providing heat from the heat storage tank 450 to the cooling tank 440 and supplying new heat that exceeds the preset temperature from the heat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o the heat storage tank 450 through supp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to fall within the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제 2 온도센싱정보가 미리 설정된 "축열 탱크 온도 범위"의 최저값에 미치지 못한 경우, 지중열교환기(410), 공기열교환기(420) 및 수열교환기(430) 중 현재 냉각 펌프(410a, 420a, 430a)와 히트펌프(410b, 420b, 430b) 중 냉각 펌프(410a, 420a, 430a)가 동작하는 것이 있는 경우 냉각 펌프(410a, 420a, 430a)에 대해서 중단시키고, 냉각 펌프(410a, 420a, 430a)가 중단된 열교환기(410, 420, 430)와 연결된 히트펌프(410b, 420b, 430b)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축열 탱크 온도 범위 내로 속할 때까지 온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축냉 탱크(440)에 대한 지정된 축냉 탱크 온도 범위로 온도가 항상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information does not reach the lowest value of the preset “thermal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is a current cooling pump among the underground heat exchanger 410 , the air heat exchanger 420 and the water heat exchanger 430 . (410a, 420a, 430a) and the heat pumps (410b, 420b, 430b), if any of the cooling pumps (410a, 420a, 430a) are operating, the cooling pumps (410a, 420a, 430a) are stopped, and the cooling pump ( 410a, 420a, 430a) by controlling the heat pumps 410b, 420b, 430b connected to the stopped heat exchangers 410, 420, 430 to operate, by performing temperature control until it falls within the storage tank temperature range, thereby cooling storag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is always maintained in the specified cooling tank temperature range for the tank 440 .

또한,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에너지 순환 모듈(32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시간대별 온도구축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해서 냉방, 난방, 급탕 중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한 뒤, 각 시간대의 출발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냉방, 난방, 급탕 각각에 대해서 설정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에너지 순환 모듈(32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시간대별 온도구축 정보"가 없는 경우 지역별 전기 요금 할인 시간대에 대해서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전기 요금 할인 시간대에 축냉 탱크(440) 및 축열 탱크(450)와 연결된 전기를 기반으로 한 냉각장치 및 온열장치에 대한 제어를 통해 축냉 탱크(440) 및 축열 탱크(45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의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냉방의 경우, 축냉 탱크(440)와 냉각 회전 튜브(440a) 사이에 형성된 냉각 펌프(441)에 대한 제어를 통해 축냉 탱크(440)로부터 냉각 회전 튜브(440a)로 냉매로 인해 미리 설정된 냉방 온도가될 때까지 냉매가 냉각 회전 튜브(440a)로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extracts relevant information among cooling,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for a preset temperature from “time-based temperature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by the energy circulation module 322, and then each Temperature information set for each of cooling,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before a preset time from the departure time of the time zone may b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330 .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transmits a request to the big data server 500 for the regional electricity rate discount time period when there is no "time zone temperature constru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by the energy circulation module 322. Pre-set temperature for the cooling tank 440 and the heat storage tank 45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based on electricity connected to the cooling tank 440 and the heat storage tank 450 during the electricity rate discount period through It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homeostasis in range. Then, in the case of cooling,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controls the cooling pump 441 formed between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and the cooling rotation tube 440a from the cooling storage tank 440 to the cooling rotation tube 440a.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refrigerant is continuously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cooling rotation tube 440a until a preset cooling temperature is reached due to the refrigerant.

또한,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난방의 경우, 축열 탱크(450)와 온열 회전 튜브(450a) 사이에 형성된 히트 펌프(451)에 대한 제어를 통해 축열 탱크(450)로부터 온열 회전 튜브(450a) 로 열매로 인해 미리 설정된 난방 온도가 될 때까지 열매가 온열 회전 튜브(450a)로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컨트롤 모듈(323)은 급탕의 경우, 축열 탱크(450)와 온열 회전 튜브(450a) 사이에 형성된 히트 펌프(451)에 대한 제어를 통해 축열 탱크(450)로부터 온열 회전 튜브(450a) 로 열매로 인해 미리 설정된 난방 온도가 될 때까지 열매가 온열 회전 튜브(450a)로 지속적으로 순환 공급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온열 회전 튜브(450a)와 연결된 건축물 상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탱크의 벽면에 형성된 펠티어소자(470)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미리 설정된 급탕 온도 범위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heating,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controls the heat pump 451 formed between the heat storage tank 450 and the heat rotation tube 450a from the heat storage tank 450 to the heat rotation tube 450a.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heat medium is continuously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heating rotation tube 450a until a preset heating temperature is reached due to the furnace heat. In addition, in the case of hot water supply, the temperature control module 323 controls the heat pump 451 formed between the heat storage tank 450 and the heat rotation tube 450a from the heat storage tank 450 to the heat rotation tube 450a. Not only control so that the heat is continuously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heated rotary tube 450a until it reaches a preset heating temperature due to the furnace heat, but also on the wall of the water supply tank that supplies hot water on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heated rotary tube 450a. Through the control of the formed Peltier element 470,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adjust the temperature to a preset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range.

한편, 건축물 상에서 냉각 회전 튜브(440a)와 온열 회전 튜브(450a)는 지상에 각기 이격된 위치에 중첩되지 않게 형성하되 미리 설정된 구역에 고르게 분포하여 형성되거나, 건축물 상에서 지하에 형성되고 지상과 연결된 배구기와 팬을 통해 냉기 및 온기를 지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컨트롤 모듈(324)은 도 5와 같이 축냉 탱크(440)에 제 1 패널(10)을 연결하고, 축열 탱크(450)에 제 2 패널(20)을 연결하고,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의 양 끝을 접합한 뒤,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20)의 온도차에 따라 열기전력을 일으키는 제벡효과(Seebeck effect)에 의해 획득된 전류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 배터리(410u)를 활용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센싱부(490a), 컨트롤러(490b), 급기팬(460), 약품분사기(480)등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건축물의 미리 설정된 구역에 대한 공기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rotation tube 440a and the heating rotation tube 450a on the building ar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in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round, but are evenly distributed in a preset area, or are formed underground on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ground. It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supply cold air and warmth to the ground through a tile and a fan. The air control module 324 connects the first panel 10 to the cooling tank 440 as shown in FIG. 5 , connects the second panel 20 to the heat storage tank 450 , and the first panel 10 and After bonding both ends of the second panel 20 , electric energy by current obtained by the Seebeck effect that generates thermo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nel 10 and the second panel 20 . B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sensing unit 490a, the controller 490b, the air supply fan 460, the chemical sprayer 480, etc. using the electric energy using the battery 410u storing Air control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2)은 각각 N형과 P형으로 도핑된 두 종류의 반도체 양 끝을 접합해 온도 차를 주어 온도가 높은 쪽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지는 원리인 제벡 효과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하들이 이동함으로써, 양극에 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컨트롤 모듈(324)은 온습도센싱단(494a)에 의한 미리 설정된 구역의 습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습도 범위 미만이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서버(500)로 액세스를 통한 현재의 미리 설정된 구역의 대기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그 밖의 냄새 센싱단(493a)에 의한 미리 설정된 구역에서 가스의 화학성분을 센싱하되, 가스로 탄산가스(CO2)를 비롯해서 암모니아 가스, 휘발성 아미노산과 유기산(알데하이드(Aldehyde), 케톤(Keton) 등), 수증 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센싱하여 가스의 화학성분들의 함량과 비율에 대해서 미리 산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냄새가 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급기팬(460)에 대한온(ON)과, 약품분사기(480)에 대한 구동(Actuation)을 시작하고 미리 설정된 습도 범위 내로 속하거나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분석될 때까지에 대한 유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10 and the second panel 2 attach the ends of two types of semiconductors doped with N-type and P-type, respectively, to give a temperature difference, so that the energy of the higher temperature is applied. The Seebeck effect, which is a principle of increasing the level, can be used, and thus charges move from the high energy level to the low energy level, so that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at the anode. Accordingly, the air control module 324 determines that the humidity information of the preset area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stage 494a is less than the preset humidity range, and the current through access to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When the atmospheric humidity of the preset area exceeds the preset humidity rang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as is sensed in the preset zone by the other odor sensing stage 493a, but carbon dioxide (CO2) as gas, ammonia gas, Sensing at least one component among volatile amino acids, organic acids (aldehydes, ketones, etc.) and water vap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odors are generated based on data calculated in advance for the content and ratio of chemical components of the gas You can control the ON of the supply fan 460 and the maintenance of the chemical sprayer 480 until it starts to operate and falls within the preset humidity range or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no smell. have.

피드백 컨트롤 모듈(325)은 건축물이 축사 또는 돈사 등인 경우, 스마트 제어 유닛(400)의 구성과 원격의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에 의해 가축이 사육된 뒤, 각 가축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 가축명,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의 식사량, 가축 체내의 혈액의 상태가 변화 정보 등을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building is a livestock barn or a pig house, the feedback control module 325 uses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ontrol unit 400 and the remot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to raise livestock, and then displays the livestock name as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livestock. , information on changes in the amount of food in the body of the animal and the amount of food for a preset period may be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100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a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mart device 100 .

이후, 피드백 컨트롤 모듈(325)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서버(500) 상에 피드백 정보가 각 가축별로 저장된 뒤, 빅데이터서버(500)의 인공지능 학습에 따른 최적의 가축별 온도 및 환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각가축별 스마트 제어 유닛(400)에 대한 제어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서버(5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각 가축별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각 온도 및 환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서버(5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Thereafter, the feedback control module 325 controls the transceiver 310 to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to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so that the After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livestock, it can be used as control information for the smart control unit 400 for each livestock by acquiring optimal temperature and ventilation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livestock according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of the big data server 500 . On the other hand, the big data server 500 may analyze the collected data distributed and stored for each livestock in the DCS DB by a distributed file program through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generate each temperature and ventilation control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ed in the big data server 500 may be one of a decision tree (DT) classification algorithm,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빅데이터서버(5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big data server 500 analyzes the collected data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DCS DB by a distributed file program, extracts a plurality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us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of learning.

즉, 빅데이터서버(500)는 각 온도 및 환기 제어 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데이터 저장장치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at is, the big data server 500 may apply an ensembl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lementar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the accuracy of each temperature and ventilation control information. The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lgorithm is a method of deriving results by learning in a tree structure, making it eas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results, fast data processing speed, and may be able to derive rules based on a search tree. RF can be applied as a method to improve the low classification accuracy of DT. The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lgorithm slaughters the results of learning multiple DTs as an ensemble,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sults than DT, but the accuracy of the results may be higher than that of DT. SVM can be applied as a way to improve overfitting that can occur through DT or RF learning. The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classifies data belonging to different classifications on a plane-based basis, and generally has high accuracy and may have low sensitivity to structural overfit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data storage, etc. includ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6 내지 도 7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구축 혹은 운용 등을 위한 주요 수단이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400g), 그리고 빅데이터서버(500) 및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수용보관되는 보관유닛(1000)을 포함한다.6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serving as a main means for construction or operation of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Referring to FIGS. 6 to 7 based on the forego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A smart device group (100g) consisting of a smart device 100, a network 200,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a smart control unit group (4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400, and a big data server ( 500) and a storage unit 1000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500 is accommodated and stored.

여기서, 상기 보관유닛(1000)은, 구동플레이트(1100)와,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상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각각 내장되는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제2서버수용모듈(M2)가 거치되는 가동패널(11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은 내벽에 각각 설치된 제1냉각모듈(C1)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한다. Here, the storage unit 1000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driving plate 1100 and the driving plate 1100, and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 M1) and a movable panel 1110 on which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s moun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1100, and is formed on one side for temperature management of the big data server 500 A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and a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formed on the other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plate 1100 to perform temperature management for the big data server 500 are provided. include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perform cooling of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a first cooling module C1 installed on an inner wall, respectively. .

한편,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은,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설치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대상 건출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teps of establish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stallation plan; install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management of a target building; and operat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여기서,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400g), 그리고 빅데이터서버(500) 및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수용보관되는 보관유닛(1000)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유닛(1000)은, 구동플레이트(1100)와,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상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각각 내장되는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제2서버수용모듈(M2)가 거치되는 가동패널(11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을 포함한다.Here,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smart device group 100g comprising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100 , a network 200 ,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 and a smart control comprising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400 . a unit group 400g, and a big data server 500 and a storage unit 1000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500 is accommodated and stored, wherein the storage unit 1000 includes a driving plate 1100 and the A movable panel 1110 installed on the driving plate 1100 to move up and down, and on which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500 is built, respectively, are mounted. ), a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1100 for performing temperature management on the big data server 500 , and the driving plate 1100 .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n the upper side and includes a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for performing temperature management for the big data server 500 .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은 내벽에 각각 설치된 제1냉각모듈(C1)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가동패널(1110)은,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의 좌측에 구비되며, 제1상부압입체(1312)와, 제1하부압입체(1313)를 통하여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를 압입하는 제1지지패널(1311)과,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의 우측에 구비되며, 제2상부압입체(1412)와, 제2하부압입체(1413)를 통하여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압입하는 제2지지패널(1411)과,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 사이에 구비되며, 제3상부압입체(1511)를 통해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를 압입하며, 제3하부압입체(1512)를 통해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압입하는 제3지지패널(1510)을 포함한다.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perform cooling of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the first cooling module C1 installed on the inner wall, respectively, , The movable panel 111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through the first upper press-fit body 1312 and the first lower press-fit body 1313 (M1)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pport panel 1311,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he second upper press-fitted body 1412 and the second lower press-fit body 1413 through A second support panel 1411 for press-fitt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a third upper press-in body A third support panel 1510 for press-fitting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hrough 1511 and press-fitt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hrough a third lower press-fit body 1512 is included. .

여기서,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은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1-1가변체(M11)와,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1-2가변체(M12)와, 상기 제1하부압입체(1313)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1-3가변체(M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가변체(M11)와 상기 제1-3가변체(M13)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기 제1-2가변체(M1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한다.Here,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is positioned above the 1-1 deformable body (M11) positioned above the first upper press-in body (1312), and the first upper press-in body (1312). A first-second deformable body M12 to be used and a first-to-third deformable body M13 positioned below the first lower press-fit body 1313 are provided, and the 1-1 deformable body M11 and The 1-3 deformable body M13 flows from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ward the 1-2 deformable body M12 to apply a press-fitting force.

상기 제1-2가변체(M12)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하며,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는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2-1가변체(M21)와,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2-2가변체(M2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2-3가변체(M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가변체(M21)와 상기 제2-3가변체(M23)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기 제2-2가변체(M2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하는 압입모드로 동작된다.The 1-2 deformable body (M1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 provide a contact fixing force with the first upper press-in body 1312 and the second lower press-in body 1413 Reinforc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s a 2-1 deformable body (M21) positioned above the second upper press-in body (1412),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upper press-in body (1412) A 2-2 deformable body M22 positioned and a 2-3 th deformable body M23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ower press-fit body 1413 are provided, and the 2-1 deformable body M21 is provided. and the 2-3rd deformable body M23 are operated in a press-in mode in which a press-fitting force is applied by flowing from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ward the 2-2nd deformable body M22.

아울러, 상기 제2-2가변체(M22)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한다.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은 상기 제3상부압입체(1511)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3-1가변체(M31)와, 상기 제3상부압입체(1511)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3-2가변체(M32)와, 상기 제3하부압입체(1512)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3-3가변체(M33)가 구비되며, 상기 제3-1가변체(M31)와 상기 제3-3가변체(M33)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기 제3-2가변체(M3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하는 압입모드로 동작된다.In addition, the second-second deformable body M22 is rotationally flo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press-in body 1412 and the second lower press-in body 1413 . strengthen the holding force.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includes a 3-1 th variable body M31 positioned above the third upper press-in body 1511, and a third upper press-fit body 1511 positioned above the third upper press-in body 1511. A 3-2 deformable body M32 and a 3-3 deformable body M33 positioned below the third lower press-fit body 1512 are provided, and the 3-1 deformable body M31 and the third deformable body M31 are provided. The 3-3 deformable body M33 is operated in a press-in mode in which a press-fitting force is applied by flowing from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ward the 3-2 deformable body M32.

상기 제3-2가변체(M32)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3상부압입체(1511)와 상기 제3하부압입체(1512)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하며,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는 상기 제4상부압입체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4-1가변체(M41)와, 상기 제4상부압입체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4-2가변체(M42)와, 상기 제4하부압입체(1523)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4-3가변체(M43)가 구비되며, 상기 제4-1가변체(M41)와 상기 제4-3가변체(M43)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기 제4-2가변체(M4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하는 압입모드로 동작된다.The 3-2 deformable body M3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 provide a contact fixing force between the third upper press-in body 1511 and the third lower press-in body 1512. Reinforc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ncludes a 4-1th variable body (M41) positioned above the fourth upper press-in body, and a 4-2th unit positioned above the fourth upper press-in body. A deformable body M42 and a fourth-third deformable body M43 positioned below the fourth lower press-fit body 1523 are provided, and the 4-1 deformable body M41 and the 4-3th variable body M41 are provided. The deformable body M43 is operated in a press-in mode in which a press-fitting force is applied by flowing from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 the 4-2th deformable body M42.

여기서, 상기 제4-2가변체(M42)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4상부압입체와 상기 제4하부압입체(1523)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하며, 상기 제1지지패널(1311) 내지 상기 제3지지패널(1510)은 적어도 상기 압임모드의 동작 이후에,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상에서 일정범위로 하강하여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하부로 고정시킨다.Here, the 4-2 deformable body M4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 reinforce the contact fixing force between the fourth upper press-in body and the fourth lower press-in body 1523 . And, the first support panel 1311 to the third support panel 1510 at least 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mode, descending on the driving plate 1100 in a certain range to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s fixed to the lower side.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1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2온도관리패널(16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2-2온도관리패널(1620)의 내벽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제2냉각모듈(C2)이 각각 구비된다.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s located above the 2-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10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positioned above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 and a 2-2 second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20 that becomes (C2) is provided,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2-2온도관리패널(1620)은, 상기 가동패널(1110)이 승강하여 상기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2-2온도관리패널(1620)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제2냉각모듈(C2)로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냉각하되, 상기 제1냉각모듈(C1)보다 저온의 온도값으로 냉각한다.In addition, the 2-1 th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10 and the 2-2 th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20 have the movable panel 1110 ascending and descending to form the 2-1 th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10 and the th th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10 . When positioned between the 2-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20,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re cooled with the second cooling module (C2), but the first cooling It is cooled to a temperature value lower than that of the module (C1).

상기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2-2온도관리패널(1620)의 상부에는 덮개패널(1710)이 구비되되, 상기 덮개패널(1710)은, 제1연결체(1711)를 매개로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의 상부를 냉각하는 제1덮개플레이트(1712)와, 제2연결체(1713)를 매개로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의 상부를 냉각하는 제2덮개플레이트(1714)가 구비된다.A cover panel 17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2-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10 and the 2-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20 , and the cover panel 1710 includes a first connector 1711 . A first cover plate 171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via A second cover plate 1714 for coo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s provided.

이때, 상기 제2덮개플레이트(1714)와 상기 제2덮개플레이트(1714)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에 대한 상기 제2냉각모듈(C2)의 냉각에 기반하는 온도값의 오차를 보정하거나 냉각온도를 보강하도록 냉각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late 1714 and the second cover plate 1714 are the second cooling module C2 for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Cooling is performed to correct the error of the temperature value based on cooling or to reinforce the cooling temperature.

상기 제1덮개플레이트(1712)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 상부를 눌러 가압하며, 상기 제2덮개플레이트(1714)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 상부를 눌러 가압하며, 상기 가동패널(1110)은 승강봉(1810)을 통해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에서 승강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는, 상기 가동패널(1110)이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패널(11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방지지체(1820)와, 타측을 지치지하는 제2상방지지체(1830)가 구비된다.The first cover plate 1712 presses and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cover plate 1714 presses and presse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the movable The panel 1110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driving plate 1100 through the lifting rod 1810, and the driving plate 1100 has one side of the movable panel 1110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panel 1110 is lifted. A first phase-prevention support member 1820 for supporting and a second phase-blocking member 1830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are provided.

여기서, 상기 가동패널(1110)이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제1-2온도관리패널(1220) 사이의 저층공간(LS)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1온도관리패널(1610)과 상기 제2-2온도관리패널(1620) 사이에는 상기 저층공간(LS)을 상부와 구획하는 차단패널부(SP)가 구비되며어, 상기 저층공간(LS)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보관유닛(1000)에 대한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movable panel 1110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LS between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the 2-1 temperature A blocking panel part SP is provided between the management panel 1610 and the 2-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620 to partition the lower space LS from the upper part, and th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oling effect on the storage unit (1000).

한편, 상기 제1상방지지체(1820)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에서 출몰식으로 승강되는 제1상방본체(1821)와, 상기 제1상방본체(1821)에서 출몰하여 상기 가동패널(1110)이 하부로 삽입되는 제1상방삽입체(182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상방지지체(1830)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에서 출몰식으로 승강되는 제2상방본체(1831)와, 상기 제2상방본체(1831)에서 출몰하여 상기 가동패널(1110)이 하부로 삽입되는 제2상방삽입체(1832)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upper preventing member 1820 includes a first upper body 1821 that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driving plate 1100, and a first upper body 1821 that protrudes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upper body 1821 to the movable panel 1110. A first upper insert 1822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The second upper body 1830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1831 that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driving plate 1100, and a second upper body 1831 that protrudes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upper body 1831 so that the movable panel 1110 is lowered. A second upper insert (1832) inserted into the is provided.

상기 제1상방지지체(1820)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에서 좌우로 위치가변 가능하며, 상기 제2상방지지체(1830)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에서 좌우로 위치가변 가능하되,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는. 상기 제1상방지지체(1820)의 유동을 홀딩시키는 제1홀딩돌출부(1840)와, 상기 제2상방지지체(1830)의 유동을 홀딩시키는 제2홀딩돌출부(1850)가 각각 상부로 승강되어, 상기 제1상방지지체(1820)와 상기 제2상방지지체(1830)를 걸림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방삽입체(1822)와 상기 제2상방삽입체(1832)는 상기 가동패널(1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가동패널(1110)을 홀딩시킨다.The first phase-blocking member 1820 is variable in position from side to side in the driving plate 1100, and the second phase-blocking member 1830 is movable from side to side in the driving plate 1100, but the driving plate ( 1100). The first holding protrusion 1840 for holding the flow of the first phase-blocking member 1820 and the second holding protrusion 1850 for holding the flow of the second phase-blocking member 1830 are lifted upwards, respectively, and the The first upper support body 1820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body 1830 are caught and fixed, and the first upper insert body 1822 and the second upper insert body 1832 are inserted into the movable panel 1110. In this state, the movable panel 1110 is held through rotation.

이러한,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는, 외측일방에 제1구동몸체(1911)와, 상기 제1구동몸체(1911)에서 승하강되는 제1승하강몸체(1912)와, 상기 제1승하강몸체(1912)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패널(1710)의 상부를 누르는 제1누름부(1913)를 포함하는 제1보조고정모듈과, 외측타방에 제2구동몸체(1911)와, 상기 제2구동몸체(1911)에서 승하강되는 제2승하강몸체(1912)와, 상기 제2승하강몸체(1912)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패널(1710)의 상부를 누르는 제2누름부(1923)를 포함하는 제2보조고정모듈을 포함한다. The driving plate 1100 includes a first driving body 1911 on one side of the outside, a first elevating body 1912 elevating and lowering from the first driving body 1911, and the first elevating body A first auxiliary fixing module including a first pressing part 1913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panel 1710 to press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nel 1710, a second driving body 1911 on the other side of the outside, and the second A second elevating body 1912 elevating from the driving body 1911, and a second pressing part 1923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elevating body 1912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anel 1710 It includes a second auxiliary fixing module comprising a.

이상에서 전술한 냉각방식은 기존 공지기술 혹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방식으로서 접촉과 비접촉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 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의 기본원리는 기존 다양한 방식에 기반하여 동일방식 혹은 응용된 방식으로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oling method described above includes both a contact and a non-contact method as a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an existing known technology or the same. 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physical components is based on a motor, an actuator, and the like,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 movement are made,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component may be variously selec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and materials to be implemented.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asic principle of cooling can be applied in the same or applied manner based on various existing method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건축물 에너지 절약 시스템
100 : 스마트 디바이스
100g :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센싱 모듈
322 : 에너지 순환 모듈
1: Building energy saving system
100: smart device
100g: smart device group
200: network
300: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10: transceiver
320: control unit
321: sensing module
322: energy circulation module

Claims (3)

삭제delete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으로서,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설치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대상 건축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건축물 에너지 관리 서버(300), 복수의 스마트 제어 유닛(400)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제어 유닛 그룹(400g), 그리고 빅데이터서버(500) 및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수용보관되는 보관유닛(1000)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유닛(1000)은,
구동플레이트(1100)와,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상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빅데이터서버(500)가 각각 내장되는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제2서버수용모듈(M2)가 거치되는 가동패널(11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1100)의 상부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온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1온도관리패널(1210)과 상기 제1-2온도관리패널(1220)은 내벽에 각각 설치된 제1냉각모듈(C1)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서버(50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며,
상기 가동패널(1110)은,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의 좌측에 구비되며, 제1상부압입체(1312)와, 제1하부압입체(1313)를 통하여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를 압입하는 제1지지패널(1311)과,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의 우측에 구비되며, 제2상부압입체(1412)와, 제2하부압입체(1413)를 통하여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압입하는 제2지지패널(1411)과,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와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 사이에 구비되며, 제3상부압입체(1511)와 제3하부압입체(1512)를 통해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를 압입하며, 제4상부압입체(1522)와 제4하부압입체(1523)를 통해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를 압입하는 제3지지패널(1510)을 포함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establish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stallation plan;
install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management of a target building; and
Includ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 smart device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100, a network 200,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300, a smart control unit group (4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control units 400, and big data It includes a server 500 and a storage unit 1000 in which the big data server 500 is accommodated and stored,
The storage unit 1000,
a driving plate 1100;
A movable panel (M1) and a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nstalled on the driving plate 1100 to move up and down, and on which the big data server 500 is built in, respectively, is mounted on the movable panel ( 1110) and
A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late 1100 and configured to perform temperature management for the big data server 500;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plate 1100 and includes a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for performing temperature management on the big data server 500,
The 1-1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10 and the 1-2 temperature management panel 1220 perform cooling of the big data server 500 through the first cooling module C1 installed on the inner wall, respectively, ,
The movable panel 1110,
A first support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press-fitting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hrough the first upper press-in body 1312 and the first lower press-in body 1313 a panel 1311;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press-fitt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hrough the second upper press-in body 1412 and the second lower press-in body 1413 a panel 1411;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nd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and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 Building energy including a third support panel 1510 press-fitting M1) and press-fitting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hrough the fourth upper press-in body 1522 and the fourth lower press-in body 1523 How to build a managemen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은,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1-1가변체(M11)와,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1-2가변체(M12)와,
상기 제1하부압입체(1313)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1-3가변체(M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가변체(M11)와 상기 제1-3가변체(M13)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기 제1-2가변체(M1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하며,
상기 제1-2가변체(M12)는 상기 제1서버수용모듈(M1)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1상부압입체(131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하며,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는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2-1가변체(M21)와,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의 상부로 위치되는 제2-2가변체(M2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의 하부로 위치되는 제2-3가변체(M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가변체(M21)와 상기 제2-3가변체(M23)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기 제2-2가변체(M22)측으로 유동하여 압입힘을 가하는 압입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2가변체(M22)는 상기 제2서버수용모듈(M2)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유동되어 상기 제2상부압입체(1412)와 상기 제2하부압입체(1413)와 접촉 고정력을 보강하는, 건축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A 1-1 deformable body (M11) positioned above the first upper press-fit body (1312), and
A 1-2 first deformable body (M12) positioned above the first upper press-fit body (1312),
A first 1-3 deformable body (M13) positioned below the first lower press-fit body (1313) is provided,
The 1-1 deformable body M11 and the 1-3 deformable body M13 flow from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 the 1-2 deformable body M12 side to apply a press-fitting force,
The 1-2 deformable body (M1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1) to provide a contact fixing force with the first upper press-in body 1312 and the second lower press-in body 1413 reinforce,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is
a 2-1 deformable body (M21) positioned above the second upper press-fit body (1412);
a second-second deformable body (M22) positioned above the second upper press-fit body (1412);
A 2-3rd deformable body (M23)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ower press-fit body (1413) is provided,
The second-first deformable body M21 and the second-third deformable body M23 flow from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ward the second-second deformable body M22 to apply a press-fitting force. mode works,
The second-second deformable body M2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cond server accommodating module M2 to provide a contact fixing force between the second upper press-in body 1412 and the second lower press-in body 1413. Reinforcing,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ethod.
KR1020210072599A 2021-06-04 2021-06-04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351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599A KR102351541B1 (en) 2021-06-04 2021-06-04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599A KR102351541B1 (en) 2021-06-04 2021-06-04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541B1 true KR102351541B1 (en) 2022-01-13

Family

ID=7934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599A KR102351541B1 (en) 2021-06-04 2021-06-04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54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792A (en) * 2006-06-26 2008-01-10 Sanyo Electric Co Ltd Low temperature storage
JP2009264598A (en) * 2008-04-22 2009-11-12 Ntt Facilities Inc Rack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178063B1 (en) 2011-06-21 2012-08-30 (주)엘씨씨코리아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ving preventive disaster modu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792A (en) * 2006-06-26 2008-01-10 Sanyo Electric Co Ltd Low temperature storage
JP2009264598A (en) * 2008-04-22 2009-11-12 Ntt Facilities Inc Rack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178063B1 (en) 2011-06-21 2012-08-30 (주)엘씨씨코리아 Building management system having preventive disaster modul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888B2 (en) Method for evaluating and optimizing performance of chiller system
CN109869867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 appliance, storage medium and electric appliance
KR102308574B1 (en) loc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US11644199B2 (en)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a thermal energy system
CN105509255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104977461A (en) Air-conditioner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1051379A2 (en) A water heater for heating domestic water
KR102351541B1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221821B1 (en) Energy saving system for structire
US20200363074A1 (en) Responsive power steering and redundancy
CN113531644A (en) Power grid dispatching and peak-shaving system of air source heat pump station
CN107181652A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device remote control administrative system
US9088018B2 (en) Water harvesting system
CN202066127U (en) Voltage dropp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CN109282416A (en) Adaptive valve control system
CN115066583A (en) Thermal energy assembly
CN106839802A (en) Heat recovery system and heat recovery method
CN102645939A (en) Temperature control cabinet of electronic equipment
CN107728512B (en) Intelligent device with intelligent monitoring function and double switchable transformers
CN210220299U (en) Summer air heat-supplementing heat exchanger system of ground-source heat pump ground-buried pipe
CN210345882U (en) Air energy heat pump water heater based on weather sensing
CN203396066U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 system thereof
CN112696803A (en) Intelligent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power machine room and storage medium
US10094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energy consumption of an HVAC system
CN205174630U (en) Energy -efficient solar energy air dewetting machi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