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050B1 -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050B1
KR102351050B1 KR1020200030321A KR20200030321A KR102351050B1 KR 102351050 B1 KR102351050 B1 KR 102351050B1 KR 1020200030321 A KR1020200030321 A KR 1020200030321A KR 20200030321 A KR20200030321 A KR 20200030321A KR 102351050 B1 KR102351050 B1 KR 10235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online document
document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763A (ko
Inventor
전명산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셜인프라테크 filed Critical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to KR102020003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50B1/ko
Priority to PCT/KR2021/001998 priority patent/WO2021182764A1/ko
Publication of KR2021011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6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ource of the receiv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플랫폼상에서 운영되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는 어젠더 유닛;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어 어젠더 유닛의 온라인 문서를 공유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 유닛; 및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정보를 통해 지정된 권한처리를 수행하는 매니지먼트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Group management system of data processing by using blockchain-based electronic document of agreement}
본 발명은 합의 문서에 기반한 전자적 시스템 변화 구현을 위한 그룹 관리 메커니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 및 권한을 처리하며, 온라인 문서의 수정, 변동에 따라 일부 시스템 제어 및 그룹원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며, 합의된 내용이 합의체 내 메커니즘을 따라 이행되어 온라인 문서에서 합의된 내용에 대한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기술분야이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은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이 2025년 세계 GDP의 약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IT기술 전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er)는 블록체인의 부가 가치가 2017년 40억 달러에서 2025년엔 1,760억 달러, 2030년 3조 1,6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술분야이며, 4차산업혁명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현재 세계 각국은 블록체인 기술의 이 같은 잠재력을 고려하여 금융, 물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고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블록체인의 4가지 기술적 특성은 탈중앙성, 투명성, 불변성, 가용성이 기술적 특성으로 나타난다. 블록체인의 투명성이라는 기술적 특성은 특히 여러 주체가 공동의 목적을 위해 함께 일할 때도 서로에 대한 믿음을 높여주며, 협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그 정보를 확인하거나 검증할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블록체인과 관련하여 가장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는 금융분야 에서는 한국 기업 중 카카오페이가 2017년 6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비스를 상용화하였으며, 하나은행은 2017년 12월 민관 합동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과 공동으로 이더리움 기반 무역금융 블록체인 시범적용을 완료하였다.
또한, 공공서비스 분야에서는 전자투표 및 공문서에 대한 조작이나 해킹을 방지하고,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것이며,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 외교부 협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재외공관 공증 발급체계 구축'을 통해 재외공관에서 공증을 받은 종이 위임장의 진위여부 및 발급 여부에 대한 위변조의 취약점을 강화하도록 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블록체인을 기반한 문서 또는 정보에 대한 기술의 접목과 기술의 발달이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서 관리 서버(등록번호 제10-1954268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문서 관리 서버의 문서 등록 요청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문서 생성 스마트 컨트렉트를 실행하여 등록 요청된 문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그에 따른 트랜잭션 아이디를 획득하고,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문서 정보 테이블에 문서 식별값에 대응되는 문서 상태 정보를 등록하며,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버전 정보 테이블에 문서 식별값에 대응되는 버전 상태 정보를 등록하며, 문서의 등록 결과 정보를 문서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서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을 기반한 전자투표에 대한 선행 공개문헌으로는 "합의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공개번호 제10-2019-0118630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합의 네트워크 내 제1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구현 가능한 합의 검증을 위한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트랜잭션 요청을 수신하고, 그리고 트랜잭션 요청에 관한 제1 보안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트랜잭션 요청이 제1 보안 검증을 통과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트랜잭션 요청을 저장하고, 그리고 트랜잭션 요청을 합의 네트워크 내 제2 블록체인 노드의 각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제2 블록체인 노드가 트랜잭션 요청이 제2 보안 검증을 통과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2 블록체인 노드가 트랜잭션 요청을 저장하게 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트랜잭션 요청에 관한 전처리를 수행하여, 전처리된 블록을 획득 및 저장하는 단계; 및 획득된 전처리된 블록을 제2 블록체인 노드로 브로드캐스팅하여, 제2 블록체인 노드가 획득된 전처리된 블록에 관한 합의 검증을 수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선행 공개문헌으로는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등록번호 제10-1893729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은 관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별로 사용자 정보 및 해쉬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블록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저장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대한 저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제2 사용자로부터 특정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저장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공개문헌의 경우, 블록체인을 통한 문서 관리만을 제공할 뿐 문서가 직접적인 효력을 발생하여 합의체 또는 공동체 내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문서 생성 및 관리 시점 및 이력 기록, 무결성과 위변조 불가능성 확보, 문서 인증 기능 제공 등 디지털 문서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기술이다. 따라서 불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합의 구조에 기반한 전자 문서의 생성/변경/관리 및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면 사회가 안정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수행하며 신뢰도 높은 사회로 이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등록번호 제10-1954268호 공개번호 제10-2019-0118630호 등록번호 제10-1893729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문서 안의 계약이나 규칙 안에 존재하는 파라미터들이 내용과 관련된 업무처리 시스템 및 외부시스템과 연결되어 계약이나 규칙이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합의된 사항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며, 합의된 계약이나 규칙이 투명하고 안전하게 작동되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계약이나 규칙들이 실행되며 효력을 발생하여 공동체, 결사체 또는 합의체들이 합의에 대한 규칙이나 계약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블록체인 플랫폼(blockchain platform)상에서 운영되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는 어젠더 유닛(agenda unit);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어젠더 유닛의 온라인 문서를 공유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 유닛(terminal unit);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정보를 통해 지정된 권한처리를 수행하는 매니지먼트 유닛(management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어젠더 유닛은, 상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에 의해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도록 하는 의견제시부; 상기 의견제시부에 제시된 상기 의견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의 의결을 진행하는 보팅(voting)부; 및 상기 보팅부를 통해 결정된 상기 의견에 대하여 상기 온라인 문서가 수정되도록 하는 어멘드먼트(amendmen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어젠더 유닛은, 상기 보팅부에서 진행된 의결에 대하여 상기 어멘드먼트부는 상기 온라인 문서를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이 미리 설정된 발효시점에서 전산적인 효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어젠더 유닛으로부터 효력을 가지는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획득부; 및 상기 정보획득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기반하여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효력을 발생시키는 엑스큐팅(execut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권한지정정보, 기한지정정보, 조건지정정보, 권한자지정정보, 권한내용지정정보, 효력지정정보, 효력발생지정정보, 업무처리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어멘드먼트부에 의한 상기 온라인 문서 수정 여부에 따라 갱신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갱신된 온라인 문서의 갱신시점에 따라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가진 권한자에게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권한자는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엑스큐팅부는, 상기 권한자에 의해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하도록 하며,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이 통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권한자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경우, 변경된 권한자에게 권한을 위임하도록 하며,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권한 위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효력이 발효되는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에 의해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실행 여부가 감시되도록 하며,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을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상기 의견제시부에 미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어젠더 유닛에서 합의에 의하여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이 매니지먼트 유닛에게 제공되어 직접적인 효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계약이나 규칙에 대한 변동에 따라 일부 시스템 제어 및 그룹원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내부 메커니즘을 관리하여 효력의 규칙 및 계약이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계약이나 규칙에 대한 효력이 발생되면, 효력에 대하여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계약이나 규칙에 따라 실행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단체, 조직 및 공동체들이 현재 오프라인으로 관리하는 문서에 대하여 전자적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통해 문서관리 및 처리 작업이 디지털화 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에 대한 화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의견제시부에 대한 화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권한자가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제공하여 다수의 단말 유닛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매니지먼트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에 대한 화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의견제시부에 대한 화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권한자가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제공하여 다수의 단말 유닛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매니지먼트 유닛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들은 체인형태의 분산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모든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젠더 유닛(agenda unit, 100), 다수의 단말 유닛(terminal unit, 200), 매니지먼트 유닛(management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어젠더 유닛(100)은 블록체인 플랫폼(blockchain platform)상에서 운영되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젠더 유닛(100)의 온라인 문서는 개인의 자격이나 인증을 담은 문서, 개인들 사이의 계약을 담은 문서, 기업들 사이의 계약을 담은 문서가 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정당, 아파트 주민회의나 마을자치회 같은 지역별 자치회 및 각종 사회단체, 비영리기관, 주식회사, 협동조합 등과 같은 개인연대체, 공동체, 결사체 또는 협의체들의 계약과 약속을 담은 문서로 하며, 예컨대, 한 명 이상의 공동체의 규약이나 내규, 정관, 약관 등을 포함하는 문서에 해당될 수 있다.
어젠더 유닛(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문서를 다수의 단말 유닛(200)과 공유하며, 블록체인 플랫폼을 공유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 유닛(200)을 통해 블록체인을 통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단말 유닛(200)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어 어젠더 유닛(100)의 온라인 문서를 공유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해당될 수 있다.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용자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연결되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통상의 컴퓨터 단말이나 전용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정보를 통해 지정된 권한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200) 및 어젠더 유닛(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데, 네트워크는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컨대,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니지먼트 유닛(300)이 제공받는 정보의 경우, 어젠더 유닛(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매니지먼트 유닛(300)은 관련된 그룹웨어 또는 EPR(Enterprise Resource Planning)등의 업무처리 시스템 및 해당 온라인 문서에 정의된 내용과 관련된 외부시스템과 관련된 전자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1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견제시부(110), 보팅부(120), 어멘드먼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의견제시부(11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며,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 의해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의견제시부(1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온라인 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임의로 지정되어,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의견제시부(110)의 의견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 유닛(200)에 의해 제안되며, 의견제시부(110)에 제안된 의견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과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되며 저장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팅부(120)는 입력된 제안의견에 대하여 다수의 단말 유닛(200)으로부터 의결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는데, 보팅부(120)는 진행되는 결과에 따라, 가결 또는 부결로 종결되며, 가결 의견에 대하여 어멘드먼트부(130)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보팅부(120)는 소정의 조건에 대한 투표율과 득표율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 유닛(200)의 최소 투표 참석자 수를 미리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과반수 이상의 참석자가 투표에 참가해야 하는 최소의 정족수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득표율 설정 또한 소정의 득표율을 설정하여 투표에 대한 가결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투표율 및 득표율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 의해 합의로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전 정의된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멘드먼트부(130)의 경우, 보팅부(120)를 통해 결정된 의견에 대하여 온라인 문서가 수정되도록 할 수 있다.
어멘드먼트부(130)는 보팅부(120)에서 가결된 의견에 대하여 기존 온라인 문서에서 가결된 의견으로 수정되어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어멘드먼트부(130)에서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하여 다수의 단말 유닛(200)은 수정된 온라인 문서를 공유하며, 온라인 문서의 수정 여부에 대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하게 되며,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이력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 및 어젠더 유닛(100)과 연결된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합의를 위해 오프라인 공간에 모이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합의나 공동체 내부의 합의가 필요한 사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구성원들의 참여 수준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어젠더 유닛(100)의 경우, 보팅부(120)에서 진행된 의결에 대하여 어멘드먼트부(130)는 온라인 문서를 수정하고,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이 미리 설정된 발효시점에서 전산적인 효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해서는, 합의에 의하여 보팅이 진행되었으며,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 의하여 결정된 사항임이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되므로,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은 미리 설정된 발효시점에서 전산적 효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발효시점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이 설정한 소정의 발효시점 또는 어멘드먼트부(130)에 의해 온라인 문서가 수정된 시점이 될 수 있으며, 발효시점에 대하여서는 다수의 단말 유닛(200)의 합의 또는 특정 기준에 따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전산적인 효력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획득부(310), 엑스큐팅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310)의 경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어젠더 유닛(100)으로부터 효력을 가지는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획득부(310)는 어멘드먼트부(130)에서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데, 이때 제공받는 정보의 경우, 온라인 문서 중 규약, 내규, 정관, 약관 등에 대한 변경된 정보에 해당하며, 합의된 수정 정보에 대하여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유닛(200)이 정당 당원 당비를 1만원에서 3만원으로 변경하는 의견을 당원이 발의하고, 다수의 단말 유닛(200)이 전자적인 투표를 통하여 합의하면, 해당 조직의 당비 관련 내용이 어멘드먼트부(130)에 의해 새로 합의된 내용으로 변경되며, 또한 매니지먼트 유닛(300)에서 당비와 관련된 파라미터 값들이 연동되어 변경되는 것이다.
정보획득부(310)가 제공하는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후술하기로 한다.
엑스큐팅부(320)의 경우, 정보획득부(3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기반하여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효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엑스큐팅부(320)는 정보획득부(310)로부터 받은 정보를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로 바꾸어 기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시스템에 미리 제공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동된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값이 변경되는 것을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권한지정정보, 기한지정정보, 조건지정정보, 권한자지정정보, 권한내용지정정보, 효력지정정보, 효력발생지정정보, 업무처리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매니지먼트 유닛(300)에 제공되어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엑스큐팅부(320)에 의하여 수정된 온라인 문서의 정보에 대한 효력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입력하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입력에 대한 기한이 정해질 수 있으며,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입력이 장기간 진행되지 않을 경우, 특정 온라인 문서의 정보에 대한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매니지먼트 유닛(300)에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정보획득부(310)의 경우, 어멘드먼트부(130)에 의한 온라인 문서 수정 여부에 따라 갱신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갱신된 온라인 문서의 갱신 시점에 따라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매니지먼트 유닛(300)에 기 저장된 정보에 대하여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가 효력을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 기 정보에 대한 효력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동시에 어멘드먼트부(130)에서 제공되는 갱신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정보획득부(310)는 획득할 수 있다.
정보획득부(310)의 경우, 갱신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받으며, 효력 발생은 엑스큐팅부(320)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정보획득부(310)의 경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가진 권한자(P)에게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권한자(P)는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입력하여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310)의 경우, 시스템에 의한 자동통제를 기본으로 하고, 자동통제가 포괄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권한자(P)가 개입할 수 있다.
정의하자면, 권한자(P)는 개인 또는 규약에 기초한 권한을 부여한 추상적 주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아울러, 권한자(P)는 규약에 따른 시스템 상의 룰 자체가 주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스템에서의 처리 및 실행이 곤란할 경우, 경우에 따라 합의체 또는 공동체 내에서 합의하여 권한이 부여된 권한자(P)에 해당할 수도 있다.
권한자(P)는 다수의 단말 유닛(200)의 의견에 따라 규정된 온라인 문서에 기초한 효력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한자(P)는 매니지먼트 유닛(300)에 접근 또는 입력 권한을 부여받으며,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하여 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엑스큐팅부(320)는, 권한자(P)에 의해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하도록 하며,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 발생여부에 따라 다수의 단말 유닛(200)이 통제되도록 할 수 있다.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200)은 효력 발생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하여 통제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한 공동체 내에서 해당 회원들의 회비를 1천원에서 3천원으로 인상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200)은 회비가 3천원으로 인상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공받은 것이 확인된 각각의 단말 유닛(200)은 인상된 회비에 대하여 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인상된 회비에 대하여 납부하지 아니한 단말 유닛(200)에 대하여서는 각각의 단말 유닛(200) 및 권한자(P)에 의하여 통제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 유닛(200) 및 권한자(P)는 변경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이행되도록 통제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단말 유닛(200)은 효력이 발생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합의된 약속 및 규약에 규약 불이행 사례가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경우, 권한자(P)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경우, 변경된 권한자(P)에게 권한을 위임하도록 하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권한 위임을 제공할 수 있다.
권한자(P)에 대한 변경이 발생되면, 매니지먼트 유닛(300)은 이전 권한자(P)에 대한 접근 또는 입력 권한을 차단하도록 하며, 차단된 권한자(P)에게는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하여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된 권한자(P)는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하여 해당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일 뿐, 매니지먼트 유닛(300)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효력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서는 다수의 단말 유닛(200)과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변경된 권한자(P)에 대하여서는 매니지먼트 유닛(300)의 접근 또는 입력 권한이 오픈되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권한자(P)에 대하여서는 다수의 단말 유닛(200)을 통해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투표로 선출할 수도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선출하는 경우,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하여 투표하여 보다 투명하게 선출할 수도 있다.
권한자(P)에 대하여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경우, 권한자(P)는 마감일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권한이 차단되어, 기한 경과 후에는 매니지먼트 유닛(300)에 접근 또는 입력 권한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매니지먼트 유닛(300)은,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효력이 발효되는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에 의해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실행 여부가 감시되도록 하며,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을 구비하여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의견제시부에 미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하여 발효되는 소정의 기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수정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충분한 발효기간 및 보장 기간을 유지하기 위함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을 통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권한자(P)에 의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은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게 제공되어 정해진 효력 발효 기간 중에는 의견의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의견이 제시되는 경우, 미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을 거친 의견의 경우, 의견에 대한 제안 의견이 입력되어 다수의 단말 유닛(200)에게 공개되어질 수 있으며, 입력된 제안 의견은 투표로 찬반을 결정하여 가결된 의견은 매니지먼트 유닛(300)을 통해 또 다른 효력을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은 제안 의견에 따라 다수의 단말 유닛(200)이 결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말 유닛(200)의 결정에 따라 효력 발효 기간을 구비하지 않는 제안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의 경우, 보통 사람들이 제어할 수 없을 것 같은 디지털 기기와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해당 기기에 이해관계를 가진 개인들의 집합체 혹은 구성원들이 해당 기기들의 작동 규칙을 합의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치권을 가진 마을 자치회에서 스쿨존의 주행속도를 줄이기로 합의한다면, 합의에 따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숫자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며, 아울러 속도 위반 측정기의 수치도 변경되게 함으로 구성원들이 디지털 기기나 사물 인터넷을 통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통 사람들의 의해 제어될 수 없는 디지털 기기와 사물인터넷 기기들에 대한 이해 관계를 가진 개인들의 집합체 혹은 구성원들이 합의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될 것이다. 이는 사회 및 생활 전반에 디지털 기술이 침투하고 틈입되어가는 디지털 전환 사회에서 다수의 개인들의 합의로 디지털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디지털 기술을 구성원들의 의지와 요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참여 및 합의의 결과가 바로 확정됨과 더불어 바로 실행 내지 작동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결정한 사항, 구성원들의 의지가 반드시 반영하도록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P: 권한자
100: 어젠더 유닛
110: 의견제시부
120: 보팅부
130: 어멘드먼트부
200: 단말 유닛
300: 매니지먼트 유닛
310: 정보획득부
320: 엑스큐팅부

Claims (10)

  1. 블록체인 플랫폼(blockchain platform)상에서 운영되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는 어젠더 유닛(agenda unit);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어젠더 유닛의 온라인 문서를 공유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 유닛(terminal unit);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정보를 통해 지정된 권한처리를 수행하는 매니지먼트 유닛(management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어젠더 유닛은,
    상기 온라인 문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에 의해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도록 하는 의견제시부;
    상기 의견제시부에 제시된 상기 의견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의 의결을 진행하는 보팅(voting)부; 및
    상기 보팅부를 통해 결정된 상기 의견에 대하여 상기 온라인 문서가 수정되도록 하는 어멘드먼트(amendment)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젠더 유닛은,
    상기 보팅부에서 진행된 의결에 대하여 상기 어멘드먼트부는 상기 온라인 문서를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이 미리 설정된 발효시점에서 전산적인 효력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어젠더 유닛으로부터 효력을 가지는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획득부; 및
    상기 정보획득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기반하여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의 내용에 대한 효력을 발생시키는 엑스큐팅(executing)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는,
    권한지정정보, 기한지정정보, 조건지정정보, 권한자지정정보, 권한내용지정정보, 효력지정정보, 효력발생지정정보, 업무처리지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어멘드먼트부에 의한 상기 온라인 문서 수정 여부에 따라 갱신된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갱신된 온라인 문서의 갱신시점에 따라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 권한을 가진 권한자에게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권한자는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에게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엑스큐팅부는,
    상기 권한자에 의해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이 발생하도록 하며,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효력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말 유닛이 통제되도록 하고,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권한자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경우, 변경된 권한자에게 권한을 위임하도록 하며, 상기 소정의 효력발생정보에 대한 권한 위임을 제공하며,
    상기 매니지먼트 유닛은,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효력이 발효되는 경우, 다수의 단말 유닛에 의해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실행 여부가 감시되도록 하며, 수정된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소정의 효력 발효 기간을 구비하여 상기 온라인 문서에 대한 의견이 상기 의견제시부에 미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메커니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0321A 2020-03-11 2020-03-11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KR10235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21A KR102351050B1 (ko) 2020-03-11 2020-03-11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PCT/KR2021/001998 WO2021182764A1 (ko) 2020-03-11 2021-02-17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21A KR102351050B1 (ko) 2020-03-11 2020-03-11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63A KR20210114763A (ko) 2021-09-24
KR102351050B1 true KR102351050B1 (ko) 2022-01-13

Family

ID=7767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321A KR102351050B1 (ko) 2020-03-11 2020-03-11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1050B1 (ko)
WO (1) WO20211827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8525A1 (en) * 2018-01-31 2019-08-01 Salesforce.Com,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super community and community sidechains with consent management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51304B2 (en) * 2012-04-27 2018-12-20 Intralinks, Inc.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tworked secure collaborative exchange
CN107196900B (zh) 2017-03-24 2020-04-2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共识校验的方法及装置
KR101908677B1 (ko) * 2017-09-29 2018-10-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투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268B1 (ko) 2017-10-24 2019-03-05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서 관리 서버
KR101893729B1 (ko) 2018-03-28 2018-10-04 주식회사 마크로젠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1925322B1 (ko) * 2018-04-10 2018-12-05 (주)우리메디컬컨설팅 전자인증, 전자서명 및 위변조방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6228B1 (ko) * 2018-06-11 2020-03-06 고하준 기밀보장 블록체인 중개서버를 통하여 블록체인 클라이언트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8525A1 (en) * 2018-01-31 2019-08-01 Salesforce.Com,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super community and community sidechains with consent management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764A1 (ko) 2021-09-16
KR20210114763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ranjanamurthy et al.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pros, cons and SWOT
Rauchs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 A conceptual framework
US1125707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machine learning models for smart contracts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CN111771194B (zh) 用于在分布式网络节点内生成和维护不可变的数字会议记录的系统和方法
US1070105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super community and community sidechains with consent management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US1003370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data exchange
US2019023656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document interface and collaboration using quipchain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US2019023831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intelligent consensus, smart consensus, and weighted consensus models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US2019023660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a virtual chain model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CN109416785B (zh) 管理共享数据库的访问以及访问的审计跟踪的方法和系统
DE112020005794T5 (de) Dynamische rechtevergabe und durchsetzung für transportprozess
US2015031018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data exchange
US20020107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billing allocation within an access controlled environment via a global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1187691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of networked data transactions
CN111798233A (zh) 令牌的链接
Anthony Jr Deployment of distributed ledger and decentralized technology for transition to smart industries
Xiao et al. Blockchain-enabled cyber-physical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A pilot implementation
CN114981773A (zh) 无冲突版本控制
KR102351050B1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 합의 문서를 이용한 그룹 전산 관리 시스템
Voto Blockchains and the civic nervous system
Singh et al. Development,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and Security of Blockchain Technology for Industry 4.0 IoT Application
Manu et al. Blockchain components and concept
Alves et al. Blockchain-based enterprise ballots in an oil and gas consortium
Cui et al. Improving Supply Chain Resilience with a Hybrid System Architecture
Singh et al. Decentralized group decision making using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