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900B1 -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900B1
KR102350900B1 KR1020200091588A KR20200091588A KR102350900B1 KR 102350900 B1 KR102350900 B1 KR 102350900B1 KR 1020200091588 A KR1020200091588 A KR 1020200091588A KR 20200091588 A KR20200091588 A KR 20200091588A KR 102350900 B1 KR102350900 B1 KR 10235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oor lock
front cover
digital do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 재질의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밀착되게 결합하고, 3×4 배열의 키 패드를 형성하는 숫자와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광 차단부를 구성하는 키 패드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FRONT COVER FOR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면 커버의 디자인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터치 패드를 구성함에 있어 생산성이 높고 불량이나 고장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에 관한 것이다.
현관이나 대문 등의 주된 출입문이나 중요 물품을 보관하는 방의 출입문에는 안전과 보안을 위해 시건장치(施鍵裝置)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열쇠로 시정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도어락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근래에는 열쇠를 지참할 필요가 없다는 편의성이 높고, 반면에 열쇠의 분실이나 복제로 인한 보안상의 위험은 낮으면서 자동으로 시정이 이루어진다는 등의 여러 장점으로 인해 주요한 출입문에는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디지털 도어락은 접촉식 전자키, 또는 고장시 강제로 해정하기 위한 기계식 비상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4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정을 하게 된다.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3×4 배열의 키 패드(0∼1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 * 및 #의 특수문자)를 제공한다. 그런데, 예전에는 키 패드에 기계식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뤘지만, 요즘에는 반복 입력에 의한 기계식 버튼 표면의 마모 흔적으로 인해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터치 패드 방식의 3×4 키 패드를 채용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터치 패드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보통 그 전면 커버에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터치 스크린은 3×4 키 패드를 구성하기 위해 숫자나 기호가 발광하는 부위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부로 구성하는 한편 투광부의 주변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도전성 박막층을 인쇄하여 만든다. 터치 스크린의 뒤쪽으로는 숫자나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로 빛을 발광하기 위한 도광판과 LED 소자가 배치되고, 또한 도전성 박막층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및 터치전용 IC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는 3×4 키 패드의 터치 스크린, 특히 투광부와 도전성 박막층을 형성하기 위해 아크릴 판을 사용하게 되는데, 매끄러운 아크릴 판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을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이 그대로 남아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아크릴 판은 그 성질상 곡면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각이 진 입방체의 거의 획일적인 구조로 전면 커버를 디자인하게 된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하나의 아크릴 판에 대해 숫자나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만 빛을 통과하면서 그 주변을 도전성 박막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공정상 복잡함을 만든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아크릴 이외의 합성수지 소재로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를 만듦으로써 디자인의 한계를 타파하고, 지문 노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헤어라인이 형성된 필름을 금형에 넣고 필름의 후면에 수지를 투입하여 전면 커버를 제조하는 인몰드 사출방식을 활용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몰드 사출방식은 두께가 얇은 필름에 정전기가 다량 발생하여 미세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경우가 많고, 필름과 레진 성형층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설치 후 얼마 되지 않아 필름이 들뜨게 되는 등 불량품이 다량 발생하는 등 인몰드 사출기술의 개발수준에 많은 영향을 받아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866호 (2011.11.17.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의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높고, 터치 패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이 높고 불량이나 고장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 재질의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밀착되게 결합하고, 3×4 배열의 키 패드를 형성하는 숫자와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광 차단부를 구성하는 키 패드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헤어라인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키 패드 필름은, 상기 투광부를 제외한 광 차단부가 핫 스탬핑에 의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전사되어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 패드 필름의 배면으로, 상기 키 패드 필름의 투광부에 대면하는 확산부를 구비하는 확산 필름과, 상기 확산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LED 기판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 기판은, 상기 LED 기판에 구비된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이 상기 확산 필름으로 통과할 수 있는 투명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기판과 LED 기판 사이에 러버 패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터치 기판과 LED 기판을 서로 공간적, 전기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와 상기 터치 기판의 투명부 및 상기 확산 필름의 확산부에 대해 정렬 배치되는 제2 투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을 투과한다.
그리고,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제2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를 제조한 다음에 키 패드 필름을 이용해 키 패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면 플레이트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각진 디자인이 아닌 곡면을 가진 유려한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금형에 헤어라인을 미리 만들어 놓음으로써 사출 성형 과정에서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에 헤어라인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는 핫 스탬핑에 의해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전사되는 방식으로 키 패드 필름을 결합할 수 있다. 투광부를 제외한 광 차단부를 핫 스탬핑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전사하면, 전사 후 필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얼마 되지 않아 필름이 들뜨게 되는 불량의 위험이 사라진다. 또한, 필름이 없어진 만큼 키 패드는 전면 플레이트 본연의 광 투과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터치 패드를 구성하는 구조가 키 패드 필름과 확산 필름, 터치 기판, 러버 패드 및 LED 기판의 적층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기에, 생산성이 높고 불량이나 고장의 위험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면 플레이트에 대해 결합하는 각종 부품을 아래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면 플레이트에 대해 결합하는 각종 부품의 적층 순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각종 부품이 전면 플레이트에 대해 적층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의 완성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결합하는 각종 부품을 아래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이하, "전면 커버"라 줄여서 지칭할 수 있음)는 몸체를 이루는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여러 부품이 층을 이루도록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전면 커버(10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면 커버(100)는,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투광성의 키 패드(110)를 형성하는 구성과, 이러한 키 패드(110)에 대해 터치 기능과 발광 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투광성의 키 패드(110)를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 재질의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키 패드 필름(20)이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밀착 결합된다. 키 패드 필름(20)은 터치 방식의 키 패드(110)에 구비되는 입력창, 즉 3×4 배열의 키 패드(110)를 형성하는 숫자와 기호의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물론 3×4 배열의 숫자와 기호 이외의 다른 표시 기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키 패드 필름(20)은 3×4 배열의 키 패드(110)를 형성하는 숫자와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22)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투광부(2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광 차단부(24)를 구성하고 있다. 비쳐 보이는 반투명 재질로 전면 플레이트(10)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키 패드 필름(20)이 밀착 결합하면, 밖에서 보았을 때 투광부(22)만 비쳐 보이고 나머지 광 차단부(24) 부분은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어두운 영역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면 커버(10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10)를 제조한 다음에 키 패드 필름(20)을 부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인몰드 사출방식에서 두께가 얇은 필름에 정전기가 다량 발생하여 미세한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필름과 레진 성형층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투광부(22)를 제외한 광 차단부(24)가 핫 스탬핑에 의해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전사되는 방식으로 키 패드 필름(20)을 결합할 수 있다. 즉, 키 패드 필름(20)에 인쇄되어 있는 얇은 층의 광 차단부(24)를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전사시키면, 투광부(22)의 형태는 인쇄되지 않은 빈 영역으로 남게 되고, 따라서, 인쇄의 모재가 된 필름은 남기지 않고도 전면 플레이트(10)에 키 패드(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투광부(22)를 제외한 광 차단부(24)를 핫 스탬핑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전사하면, 전사 후 필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얼마 되지 않아 필름이 들뜨게 되는 불량의 위험이 사라진다. 또한, 필름이 없어진 만큼 키 패드(110)는 전면 플레이트(10) 본연의 광 투과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10)를 제조한 다음에 키 패드 필름(20)을 이용해 키 패드(11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면 플레이트(10)의 설계가 자유로워지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각진 디자인이 아닌 곡면을 가진 유려한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금형에 헤어라인을 미리 만들어 놓음으로써 사출 성형 과정에서 전면 플레이트(10)의 전면에 헤어라인(12)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전면 플레이트(10)는 강도와 성형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광 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구성된 키 패드(110)에 대해 터치 기능과 발광 기능을 부여하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여러 각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결합하는 각종 부품의 적층 순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각종 부품이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적층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의 완성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4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면 플레이트(10)에 대해 키 패드 필름(20)이 결합하면, 그 배면쪽으로 키 패드 필름(20)의 투광부(22)에 대면하는 확산부(32)를 구비하는 확산 필름(30)과, 상기 확산 필름(30)의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 기판(40)과, 상기 터치 기판(40)의 배면에 배치되는 LED 기판(6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확산 필름(30)은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LED 기판(60)에 구비된 LED 소자(62)에서 방출하는 빛을 투광부(22)의 각 숫자와 기호 형태 전체에 골고루 퍼트리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터치 기판(40)은 전면 플레이트(10)의 키 패드(110) 영역에 접촉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이는 공지의 구성요소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확산 필름(30)과 LED 기판(60) 사이에 개재된 터치 기판(40)은, LED 기판(60)에 구비된 LED 소자(62)에서 방출하는 빛이 확산 필름(30)으로 원활히 통과할 수 있는 투명부(42)를 구비한다.
그리고, 터치 기판(40)과 LED 기판(60) 사이에는 러버 패드(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러버 패드(50)는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판으로서, 서로 인접 배치된 터치 기판(40)과 LED 기판(60)을 공간적으로 이격시키고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또한, 러버 패드(50)는 적층된 확산 필름(30), 터치 기판(40), LED 기판(60)의 전체 구조가 서로 탄력을 가지고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러버 패드(50)는, LED 기판(60)의 LED 소자(62)와 터치 기판(40)의 투명부(42) 및 상기 확산 필름(30)의 확산부(32)에 대해 정렬 배치되는 제2 투광부(52)를 구비한다. 이로써 LED 기판(60)의 LED 소자(62)에서 방출하는 빛은 러버 패드(50)의 제2 투광부(52)를 거쳐 확산 필름(30)에 정확히 도달한다.
또한, 러버 패드(50)는 제2 투광부(5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LED 기판(60)의 LED 소자(62)에서 방출하는 빛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러버 패드(50)는 터치 기판(40)과 LED 기판(60)의 공간적 이격과 전기적 절연, 밀착 유지 및 충격 흡수의 기능 외에, LED 소자(62)의 빛이 키 패드(110) 이외로 번지는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100)는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고, 터치 패드를 구성하는 구조가 키 패드 필름(20)과 확산 필름(30), 터치 기판(40), 러버 패드(50) 및 LED 기판(60)의 적층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기에,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면서 생산성이 높고 불량이나 고장의 위험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디지털 도어락용 전면 커버
110: 키 패드
10: 전면 플레이트 12: 헤어라인
20: 키 패드 필름 22: 투광부
24: 광 차단부 30: 확산 필름
32: 확산부 40: 터치 기판
42: 투명부 50: 러버 패드
52: 제2 투광부 60: LED 기판
62: LED 소자

Claims (10)

  1.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 재질의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밀착되게 결합하고, 3×4 배열의 키 패드를 형성하는 숫자와 기호의 형태를 가진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광 차단부를 구성하는 키 패드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키 패드 필름은, 상기 투광부를 제외한 광 차단부가 핫 스탬핑에 의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전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투광부의 형태는 인쇄되지 않은 빈 영역으로 남고 인쇄의 모재가 된 필름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헤어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필름의 배면으로,
    상기 키 패드 필름의 투광부에 대면하는 확산부를 구비하는 확산 필름과,
    상기 확산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는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는 LED 기판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터치 기판은,
    상기 LED 기판에 구비된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이 상기 확산 필름으로 통과할 수 있는 투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치 기판과 LED 기판 사이에 러버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터치 기판과 LED 기판을 서로 공간적,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와 상기 터치 기판의 투명부 및 상기 확산 필름의 확산부에 대해 정렬 배치되는 제2 투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투광부는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을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제2 투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LED 기판의 LED 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KR1020200091588A 2020-07-23 2020-07-23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KR10235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88A KR102350900B1 (ko) 2020-07-23 2020-07-23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88A KR102350900B1 (ko) 2020-07-23 2020-07-23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900B1 true KR102350900B1 (ko) 2022-01-14

Family

ID=7934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588A KR102350900B1 (ko) 2020-07-23 2020-07-23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1133A (zh) * 2022-07-01 2022-09-23 任文进 一种锁壳的制备工艺
KR102625175B1 (ko) * 2023-06-27 2024-01-16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 몸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76B1 (ko) * 2008-09-02 2009-03-13 이상옥 변위형 비밀번호 입력부를 갖는 전자식 잠금장치
KR100967221B1 (ko) * 2009-09-29 2010-07-05 밀레시스텍(주) 도광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KR20110001965U (ko) * 2009-08-20 2011-02-28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터치스크린 구조
KR101772173B1 (ko) * 2017-05-26 2017-08-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이중 사출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76B1 (ko) * 2008-09-02 2009-03-13 이상옥 변위형 비밀번호 입력부를 갖는 전자식 잠금장치
KR20110001965U (ko) * 2009-08-20 2011-02-28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터치스크린 구조
KR200456866Y1 (ko) 2009-08-20 2011-11-23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터치스크린 구조
KR100967221B1 (ko) * 2009-09-29 2010-07-05 밀레시스텍(주) 도광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KR101772173B1 (ko) * 2017-05-26 2017-08-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이중 사출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1133A (zh) * 2022-07-01 2022-09-23 任文进 一种锁壳的制备工艺
KR102625175B1 (ko) * 2023-06-27 2024-01-16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 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786B2 (en) Integration of touch screen and fingerprint sensor assembly
KR102350900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 커버
US7486280B2 (en) Contoured capacitive touch control panel
TWI604484B (zh) 鍵盤膜、防水鍵盤、鍵盤膜的製作方法、防水按鍵總成及發光鍵盤
US7635819B2 (en) Keypad assembly having reflection pattern
CN201084588Y (zh) 键盘侧光结构
CN203377146U (zh) 背光装置及使用其的发光键盘
WO2024088365A1 (zh) 机动车辆、车门与发光玻璃总成
US20110267745A1 (en) Illuminant human interface device
CN106952768A (zh) 发光按键模组
CN108089774B (zh) 一种触控设备
KR101772173B1 (ko) 이중 사출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외측기 커버
KR200384840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TW201421517A (zh) 鍵帽發光的鍵盤
TW201702934A (zh) 用於指紋辨識板之框體及其製造方法、及使用該框體之導光結構
TWI830439B (zh) 一種適用於鍵盤之背光模組及鍵盤
CN207148857U (zh) 光学式生物辨识装置
CN206301350U (zh) 指纹模组及电子设备
CN106650607A (zh) 一种指纹模组的背光结构及电子设备
CN220438916U (zh) 一种物理按键与电阻触摸屏的组合面板
KR100817142B1 (ko) 플렉시블 이엘 시트 일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N101488405B (zh) 侧向发光键帽制造方法
CN101193141B (zh) 薄型导光结构与应用其的电子装置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TW202416316A (zh) 一種適用於鍵盤之背光模組及鍵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