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02B1 -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02B1
KR102350602B1 KR1020200032486A KR20200032486A KR102350602B1 KR 102350602 B1 KR102350602 B1 KR 102350602B1 KR 1020200032486 A KR1020200032486 A KR 1020200032486A KR 20200032486 A KR20200032486 A KR 20200032486A KR 102350602 B1 KR102350602 B1 KR 10235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d
fixing device
doo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963A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20003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04F21/001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for mount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는, 건물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창호를 시공할 때 상기 창호가 풍압에 의해 건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건물벽에 상기 창호를 임시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벽과 상기 창호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측에서 상기 건물의 내부에 노출되는 타측까지 연장되는 로드; 상기 일측에서 상기 창호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호를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벽과 대면하도록 연장되는 벽지지부; 및 상기 벽지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벽지지부는, 상기 로드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멤버의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상기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벽지지부와 접촉하는 핀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FIXING METHOD FOR WINDOW CONSTRUCTION USING A FIXING DEVICE FOR WINDOW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창호틀과 건물벽 사이에 삽입되어 창호틀을 고정하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호틀의 설치는 보편적으로 건축시공시 출입문이나 창문이 설치되는 장소에 창호틀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벽돌을 쌓아 올린후, 주어진 공간의 벽체에 수평수직을 잡아 창호틀을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몰드로 마감작업을 하여 벽체에 창호틀을 고정 설치해 출입문과 창문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창호틀을 콘크리트나 벽돌이 쌓아 올려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은 도면에 도시한 도 1과 같이 창호틀(1)을 벽체(2)의 주어진 공간에 수직수평이 맞도록 놓고 창호틀(1)과 벽체(2)의 틈에 상하 간격을 두고 수개씩의 간격부재(5)를 끼워서 창호틀(1)의 유동을 방지한 후, 창호틀(1)의 양측 중간부분 안쪽에서 드릴로 창호틀(1)과 간격부재(5) 및 벽체(2)에 관통되는 구멍을 천공하고 스트롱앵커볼트(4)를 박아 창호틀(1)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측과 하측에 끼워진 간격부재(5)를 관통하여 벽체(2)에 박히도록 콘크리트용 못(3)을 박아 창호틀(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창호틀(1)과 벽채(2)의 틈에 콘크리트몰드로 마감작업을 하여 창호틀을 설치하고 출입문이나 창문을 장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창호틀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창호틀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창호틀와 유리 윈도우가 일체로 형성되는 창호의 경우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창호틀의 설치시 건물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에 의해 작업자가 건물 외부로 빨려나가는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공방법이나 새로운 방식의 고정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6035호 (1999.10.23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창호를 건물벽에 고정하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는, 건물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창호를 시공할 때 상기 창호가 풍압에 의해 건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건물벽에 상기 창호를 임시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건물벽과 상기 창호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측에서 상기 건물의 내부에 노출되는 타측까지 연장되는 로드; 상기 일측에서 상기 창호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호를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벽과 대면하도록 연장되는 벽지지부; 및 상기 벽지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벽지지부는, 상기 로드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멤버의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상기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벽지지부와 접촉하는 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는 창호의 손상이 없이 창호를 건물벽에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혼자서 용이하고 빠르게 창호를 건물벽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창호틀과 창이 일체로 형성되는 창호의 설치에도 창호나 창의 손상없이 창호를 건물벽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창호틀 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창호는 문과 문틀 또는 창호틀과 창을 포함하고, 문 또는 창은 적어도 일부가 유리, 나무,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문틀이나 창호틀은 목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는 로드(110), 창호지지부(130), 벽지지부(120) 및 고리부(123)를 포함한다.
로드(110), 창호지지부(130), 벽지지부(120) 및 고리부(123)는 일정 하중을 버텨야 하기에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110)는 건물벽(101)과 창호(104) 사이의 틈(103)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로드(110)는 틈(103)에 삽입 후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로드(110)는 일 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110)의 일측은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고, 로드(110)의 타측은 건물 내부에 노출된다. 건물은 건물벽(101)을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로 그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창호지지부(130)는 로드(110)의 일측에서 창호(104)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창호(104)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창호지지부(130)는 제3 멤버(131)와 제4 멤버(1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로드(110), 제3 멤버(131) 및 제4 멤버(132)가 삼각형의 각 변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멤버(131)는 로드(11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멤버로서 건물 외부로 노출된 창호(104)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벽지지부(120)는 로드(110)의 타측에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가 건물벽(101)을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벽지지부(120)는 제1 멤버(121)와 제2 멤버(122)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멤버(121)는 로드(11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제2 멤버(122)는 로드(110)의 타측 단부에서 제1 멤버(121)의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로드(110), 제1 멤버(121) 및 제2 멤버(122)는 삼각형의 각 변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멤버(121)와 제2 멤버(122)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고리부(123)가 형성된다.
고리부(123)는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숫나사 형태의 핀부(124)가 고리부(123)에 삽입된다. 핀부(124)를 회전시켜 벽(101)과 벽지지부(1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면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가 벽(101)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창호(104)를 임시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창호(104)와 건물벽(101) 사이의 틈(103)으로 창호지지부(1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로드(1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틈(103)으로 로드(110)를 삽입한다. 그리고, 로드(110)를 다시 회전시켜 창호지지부(130)가 창호(104)와 대면하도록 한다. 핀부(124)를 창호지지부(130)에 삽입한 후 핀부(124)의 일단이 건물벽(101)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일정한 압력으로 핀부(124)가 건물벽(101)을 가압할때까지 회전시키면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가 건물벽(101)에 그 위치가 고정되며, 창호(104)가 건물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에 의해 지지된다. 창호(104)의 다른 지점에서도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창호(104)를 복수의 지점에서 고정한다.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콘크리트 몰드 등으로 마감작업을 하고, 어느 정도 마감작업이 이루어지면, 핀부(124)의 가압을 해제하고, 로드(110)를 회전시켜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100)를 창호(104)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104)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사용자 혼자서 용이하고 빠르게 창호(104)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200)는 로드(210), 창호지지부(230), 벽지지부(220), 고리부(223) 및 보조벽지지부(220)를 포함한다.
로드(210), 창호지지부(230), 벽지지부(220), 고리부(223)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기에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보조벽지지부(240)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가 클 때 사용될 수 있다. 보조벽지지부(240)도 제5 멤버(241)와 제6 멤버(242)를 구비하여 로드(210)와 함께 삼각형의 각 변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300)는 로드(310), 창호지지부(330), 벽지지부(320), 고리부(323) 및 보조창호지지부(330)를 포함한다.
로드(310), 창호지지부(330), 벽지지부(320), 고리부(323)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기에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보조창호지지부(350)는 창호(104)의 크기가 크고 그 중량이 클 때 사용될 수 있다. 보조창호지지부(350)는 제7 멤버(351), 제8 멤버(352)를 구비하여 로드(110)와 함께 삼각형의 각 변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7 멤버(351)와 제8 멤버(352)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보조고리부(353)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

  1. 건물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창호틀과 창이 일체로 형성된 창호로 시공할 때 상기 창호가 풍압에 의해 건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건물벽에 상기 창호를 임시 고정하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창호를 시공하는 창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는,
    상기 건물벽과 상기 창호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측에서 상기 건물의 내부에 노출되는 타측까지 연장되는 로드;
    상기 일측에서 상기 창호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호를 지지하는 창호지지부;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물벽과 대면하도록 연장되는 벽지지부; 및
    상기 벽지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 시공방법은,
    상기 창호와 상기 건물벽 사이의 틈으로 상기 창호지지부가 통과되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킨 후 상기 틈으로 상기 로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창호지지부가 상기 창호와 대면하고 상기 벽지지부가 상기 건물벽과 대면하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창호가 상기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건물벽에 지지되도록 상기 벽지지부에 형성된 핀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가 삽입되지 않은 상기 건물벽과 상기 창호의 틈에 마감작업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지지부는,
    상기 로드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멤버의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상기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부는 상기 고리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벽지지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KR1020200032486A 2020-03-17 2020-03-17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KR10235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86A KR102350602B1 (ko) 2020-03-17 2020-03-17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86A KR102350602B1 (ko) 2020-03-17 2020-03-17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63A KR20210115963A (ko) 2021-09-27
KR102350602B1 true KR102350602B1 (ko) 2022-01-11

Family

ID=7792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486A KR102350602B1 (ko) 2020-03-17 2020-03-17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759A1 (en) * 2010-01-28 2011-08-04 Winfix Ab A mounting tool for mounting/demounting of windows, doors and similar in a wall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35Y1 (ko) 1999-07-03 2000-02-15 안동기 창호틀 고정장치
KR101693323B1 (ko) * 2015-03-31 2017-01-05 (주)비엔에프 창호시공용 창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759A1 (en) * 2010-01-28 2011-08-04 Winfix Ab A mounting tool for mounting/demounting of windows, doors and similar in a wall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63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148B2 (en) Wall structures
US8495843B1 (en) Buck system
KR102439533B1 (ko)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KR102350602B1 (ko)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CN102979297B (zh) 悬挂式梯井作业平台机构及其施工方法
CN213868477U (zh) 一种方便安装的金属幕墙板
CN207003673U (zh) 一种梁与墙板的连接节点
US20180112388A1 (en) Precast thermally separated cantilevered balcony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30088070A (ko)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US20080134599A1 (en) Swedge interlok system
KR102439534B1 (ko)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CN210858012U (zh) 一种土木工程用建筑模板连接架
CN110130481B (zh) 装配式建筑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CN111663707A (zh) 一种室内吊顶轻钢龙骨架
CN214303239U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防护装置
US20130276404A1 (en) Buck Bracket
CN204738420U (zh) 一种套卡式顶固装置
CN105756477A (zh) 附框施工安装方法及配套固定件
CN217841008U (zh) 一种剪力墙节点混凝土强度不足的加固结构
CN216142628U (zh) 一种装配式凸窗结构
CN113863651B (zh) 可周转免预埋的爬架附墙支座
CN210249484U (zh) 一种装配式施工窗帘盒
CN215054012U (zh) 一种悬挑钢梁的预埋锥型螺纹套筒锚固结构
DE19934865C2 (de) Vertikal verspanntes Holzbausystem zur Errichtung von Gebäudewän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