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79B1 - 강아지 보호 기구 - Google Patents

강아지 보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79B1
KR102350479B1 KR1020190139863A KR20190139863A KR102350479B1 KR 102350479 B1 KR102350479 B1 KR 102350479B1 KR 1020190139863 A KR1020190139863 A KR 1020190139863A KR 20190139863 A KR20190139863 A KR 20190139863A KR 102350479 B1 KR102350479 B1 KR 10235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dog
vertical
puppy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131A (ko
Inventor
이승우
이솔잎
Original Assignee
(주)팜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메이커 filed Critical (주)팜메이커
Priority to KR102019013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01K1/034Dog-ke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집(1)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2)를 어미 개(3) 등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강아지 보호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개집(1) 내부의 벽면에 근접하여 안착되는 수직보호대(11)와 개집(1)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여 안착되면서 양측에 수직보호대(11)를 수용 가능한 삼각보호대(12)를 구비하고, 각보호대(12)는 개집(1)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대와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 가능하게 관통공(13)을 구비하는 보호구(10); 상기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연질의 완충구(21)와 완충구(21)의 하부로 일체 또는 분리 형태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구(22)를 구비하는 완충수단(20); 상기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 상에 수직보호대(11)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직보호대(11)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삼각보호대(12)의 내측 공간면(12a)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부(31)를 구비하는 고정수단(30); 및 상기 보호구(10) 상에 보호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게 삼각보호대(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41)과, 수용홈(41) 상에 삽설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42)와, 수용홈(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조절대(42)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다수개의 조절돌부(43)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집, 일반 가정, 건물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가 어미 개의 몸부림 등에 의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아지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어미 개 또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아지 보호 기구{puppy protection Instrument}
본 발명은 강아지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집, 일반 가정, 건물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가 어미 개의 몸부림 등에 의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아지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어미 개 또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아지 보호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갓 태어난 강아지는 보통 2주차쯤에 눈을 뜨게 되는데 12일에서 17일 정도에 이루어진다. 물론 소, 중, 대형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조금씩 차이는 발생한다. 하지만 어미 개가 다수의 강아지를 낳은 상태에서 각각의 강아지에게 젓을 물리거나 할 때,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강아지는 어미 개의 몸부림 등에 의해 밟히거나 압사 등이 발생하여 부상 및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일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324181호에 따르면, '개집 (1)전체 틀 자체에 (2)배변실과 (4)개집 그리고 다른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가 되있는 개집 전체 틀과 ; 상기 (1)개집 전체 틀에 애완견이 배변을 볼수 있도록 (3)배변용 받침대가 있는 (2)배변실과; 상기 (1)개집 전체 틀에 (4)이동식 개집과 (10)이동식 먹이통 (17)개줄 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개집 구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애완견용 개집 구조는 갓 태어난 강아지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957984호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들어가 쉴 수 있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스 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전면에는 하우스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스의 전면에는 스마트기기의 후면에 설치된 후방카메라가 상기 관통공에 위치되도록 스마트기기를 하우스의 전면에 거치시키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는 하우스의 공간부를 상기 관통공 측으로 반사하여 보여주는 반사경이 설치되어,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하우스의 공간부가 관통공을 통해 스마트기기의 후방카메라에 촬영되면서 스마트기기 전면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하우스의 외부에서 하우스의 공간부를 관찰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하우스는 전면판, 후면판, 측면판, 바닥판 및 상판으로 구성되어 박스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기기 거치대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전면판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이 형성된 거치용 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양단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면에 스마트 기기가 안착되어 거치용 프레임 상에서 스마트기기가 높이 조절되면서 거치시키는 받침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거치용 프레임의 안쪽에 일측으로 상기 전면판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경은 하단이 상기 후면판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상판의 내면에 결합되어 하우스의 후측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경사판은 그 하단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전면판 측으로120도 내지 125도 기울기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기 경사판의 상측으로는 공유기 및 전원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원격 제어 앱을 실행하여 스마트기기의 양방향 카메라를 통해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를 감시, 화상통화,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현하게 구성되며, 상기 후면판은 상부후면판 및 하부후면판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부분이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하부후면판에 대해 상부후면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경사판의 상측으로 형성된 설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후면판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공유기 및 전원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경사판의 상면에는 격자 형태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배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는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경사판에 안착된 공유기 및 전원의 외측을 지지하게 구성되고, 상기 반사경은 후면 중앙에 반원형상의 지지구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구는 경사판에 고정된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의 후면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가이드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부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부에 치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정역회전에 의해 구동기어부에 치합된 가이드기어부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구에 결합된 반사경이 경사판에 대해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에 경우에도 갓 태어난 강아지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324181호 "애완견용 개집 구조" 한국 등록 특허 제1957984호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집, 일반 가정, 건물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가 어미 개의 몸부림 등에 의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아지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어미 개 또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아지 보호 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집 내부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를 어미 개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강아지 보호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개집 내부의 벽면에 근접하여 안착되는 수직보호대와 개집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여 안착되면서 양측에 수직보호대를 수용 가능한 삼각보호대를 구비하는 보호구; 상기 보호구의 수직보호대와 삼각보호대의 상부에 어미 개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를 보호 가능하게 구비하는 완충수단; 상기 보호구의 삼각보호대 상에 수직보호대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수단; 및 상기 보호구 상에 보호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보호구의 삼각보호대는 개집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대와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 가능하게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완충수단은 수직보호대와 삼각보호대의 상부에 어미 개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를 보호 가능하게 연질의 완충구와 완충구의 하부로 일체 또는 분리 형태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수단은 삼각보호대 상에 수직보호대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직보호대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삼각보호대의 내측 공간면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보호구의 삼각보호대 상에 보호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삼각보호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수용홈 상에 삽설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와, 수용홈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조절대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다수개의 조절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집, 일반 가정, 건물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가 어미 개의 몸부림 등에 의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아지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어미 개 또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의 보호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의 보호구를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보호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집(1) 내부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2)를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강아지 보호 기구에 관련되며, 보호구(10), 완충수단(20), 고정수단(30), 높이조절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10)는 상기 개집(1) 내부의 벽면에 근접하여 안착되는 수직보호대(11)와 개집(1)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여 안착되면서 양측에 수직보호대(11)를 수용 가능한 삼각보호대(12)를 구비한다. 보호구(10)는 개집(1)의 내부 벽면 상에 안착되는 일자 형태의 수직보호대(11)와 개집(1)의 모서리 상에 안착되는 삼각보호대(12)로 이루어져 형성하게 되고,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하는 고정수단(30)에 의해 서로 고정과 길이 조절이 가능함으로 개집(1) 등의 어떠한 공간에서도 길이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는 하부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오물로부터 세척이 가능하게 고무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밑판(1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는 강아지(2)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물로부터 보호구(10)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세척이 가능하게 하부에 밑판(14)을 형성한다. 밑판(14)은 고무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고,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해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 상에 고정이 원할하며, 톰슨가공을 통해 사이즈 별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어 제조의 원활함 까지 가져온다. 또한, 밑판(14)은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와의 일체로 형성도 가능하며, 밑판(14)이 사출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함으로 야외에서 어미 개(3)와 강아지(2)가 지면이 아닌 별도의 바닥면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는 개집(1)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대와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 가능하게 관통공(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구(10)에 경우 개집(1)의 내부에 안착되는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삼각보호대(12)에는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을 통해 개집(1)의 내부를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13)을 형성하여 관통공(13)에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을 수용한 상태로 묶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보호구(10)에 경우 개집(1) 등의 내부에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개집(1) 등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20)은 상기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구비한다. 완충수단(20)은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뒤척임에 따라 갓 태어난 강아지(2)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성이다. 이는 완충수단(20)의 경우 압력을 당하는 강아지(2)에는 물론이고 압력을 가하는 어미 개(3)에게도 충격이 없어야 함으로 완충이 가능해야 한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20)은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연질의 완충구(21)와 완충구(21)의 하부로 일체 또는 분리 형태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구(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수단(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당하는 강아지(2)에는 물론이고 압력을 가하는 어미 개(3)에게도 충격이 없어야 함으로 완충이 가능해야 함으로 상부에 완충구(21)가 형성된다. 완충구(21)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공기층(미도시)을 형성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어미 개(3)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완충구(21)의 하부에 일체 또는 분리 형태로 연결되는 지지구(22)가 개집(1)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은 상기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 상에 수직보호대(11)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고정수단(30)은 삼각보호대(12)에 상에 수직보호대(11)가 수용된 상태로 개집(1)의 내부 면적에 따라 수용되는 길이를 조절하면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다양한 공간의 면적에 맞게 사용자가 길이를 조절하면서 면밀한 고정력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삼각보호대(12) 상에 수직보호대(11)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직보호대(11)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삼각보호대(12)의 내측 공간면(12a)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부(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30)은 삼각보호대(12)에 형성된 한 쌍의 내측 공간면(12a) 상에 수직보호대(11)를 각각 삽설된 상태로 개집(1)의 내부 면적에 맞게 수용됨을 조절하고, 삼각보호대(12)의 내측 공간면(12a)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부(31)의 억지끼움을 통해 수직보호대(11)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돌부(31)는 일렬로 다수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보호대(11)가 삼각보호대(12)의 공간면(12a)에 삽설함에 따라 수용되는 길이만큼 고정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보호구(10) 상에 보호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수단(40)은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높이 조절은 소, 중, 대형견의 강아지(2)에 따라 그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이를 위해 높이를 조절하여 강아지(2)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 상에 보호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삼각보호대(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41)과, 수용홈(41) 상에 삽설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42)와, 수용홈(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조절대(42)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다수개의 조절돌부(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수단(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여 강아지(2)의 크기에 맞게 조절 가능하게 개집(1)의 내부 모서리부분에 안착되는 삼각보호대(12)의 하부에 수용홈(41)이 형성되고, 수용홈(41)의 내부에 삽설되어 개집(1) 내부면을 지지하는 조절대(42)가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홈(41)에 삽설된 조절대(42)는 수용홈(41)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돌부(43)를 통해 조절대(42)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조절대(42)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면밀한 고정력으로 보호구(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도 1 내지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강아지 보호 기구에 있어서, 먼저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를 각각 개집(1)의 내부 모서리 상에 각각 안착시킨 상태로 수직보호대(11)를 공간면(12a) 상에 각각 삽설한 상태로 고정수단(30)의 고정돌부(31)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40)을 통해 갓 태어난 강아지(2)의 크기에 맞게 조절대(42)를 다수개의 조절돌부(43)에 의해 높이를 설정하여 사용하게 됨으로 강아지(2)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미개(3)와 강아지(2)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많은 반려 동물과 사육 동물 등에 활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집, 일반 가정, 건물 내부 등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가 어미 개(3)의 몸부림 등에 의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아지의 생명을 보호하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어미 개 또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개집 2: 강아지
3: 어미 개 10: 보호구
11: 수직보호대 12: 삼각보호대
12a: 공간면 13: 관통공
14: 밑판 20: 완충수단
21: 완충구 22: 지지구
30: 고정수단 31: 고정돌부
40: 높이조절수단 41: 수용홈
42: 조절대 43: 조절돌부

Claims (6)

  1. 개집(1) 내부에 움직임이 어렵고 눈을 뜨지 못한 갓 태어난 강아지(2)를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강아지 보호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개집(1) 내부의 벽면에 근접하여 안착되는 수직보호대(11)와 개집(1)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여 안착되면서 양측에 수직보호대(11)를 수용 가능한 삼각보호대(12)를 구비하고, 각보호대(12)는 개집(1)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대와 케이블타이 또는 끈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 가능하게 관통공(13)을 구비하는 보호구(10);
    상기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의 상부에 어미 개(3)의 하중으로부터 갓 태어난 강아지(2)를 보호 가능하게 연질의 완충구(21)와 완충구(21)의 하부로 일체 또는 분리 형태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구(22)를 구비하는 완충수단(20);
    상기 보호구(10)의 삼각보호대(12) 상에 수직보호대(11)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직보호대(11)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삼각보호대(12)의 내측 공간면(12a)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부(31)를 구비하는 고정수단(30); 및
    상기 보호구(10) 상에 보호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게 삼각보호대(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홈(41)과, 수용홈(41) 상에 삽설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42)와, 수용홈(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조절대(42)의 외부를 가압하여 억지 끼움 가능하게 다수개의 조절돌부(43)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아지 보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10)의 수직보호대(11)와 삼각보호대(12)는 하부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오물로부터 세척이 가능하게 고무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밑판(1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아지 보호 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39863A 2019-11-05 2019-11-05 강아지 보호 기구 KR10235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63A KR102350479B1 (ko) 2019-11-05 2019-11-05 강아지 보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63A KR102350479B1 (ko) 2019-11-05 2019-11-05 강아지 보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31A KR20210054131A (ko) 2021-05-13
KR102350479B1 true KR102350479B1 (ko) 2022-01-12

Family

ID=7591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863A KR102350479B1 (ko) 2019-11-05 2019-11-05 강아지 보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944A (en) * 1990-02-26 1991-03-05 Zook Linda D Kennel accessory
KR200302753Y1 (ko) 2002-10-23 2003-02-05 김재호 상 보호테
US20090266303A1 (en) 2006-10-13 2009-10-29 Colin Dunlop Animal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181B1 (ko) 1998-11-07 2002-06-20 권문구 경사지용트랙터
KR20120070997A (ko) * 2010-12-22 2012-07-02 강신우 애완동물의 새끼 보호용 보육장치
KR20170052361A (ko) * 2015-11-04 2017-05-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서리 보호대
KR101957984B1 (ko) 2017-10-20 2019-03-14 이건우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944A (en) * 1990-02-26 1991-03-05 Zook Linda D Kennel accessory
KR200302753Y1 (ko) 2002-10-23 2003-02-05 김재호 상 보호테
US20090266303A1 (en) 2006-10-13 2009-10-29 Colin Dunlop Animal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31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9187A1 (en) Animal bed assembly
US4177761A (en) Pet play house
US8286591B2 (en) Assemblies for allowing pet access through a panel
US3797461A (en) Pet house
US6360689B1 (en) Cat feeder
US4793290A (en) Pet food protecting device
EA016796B1 (ru) Мониторинг рождения и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для поросят
US4844016A (en) Pet enclosure
US20150216139A1 (en) Outdoor Pet Enclosure
US20190098871A1 (en) Method of using a dog toy container, and a dog toy container
KR102350479B1 (ko) 강아지 보호 기구
KR101957984B1 (ko) 스마트 반려동물 하우스
US20060042558A1 (en) Window-mounted pet enclosure
US4972800A (en) Pet litter box
US4996944A (en) Kennel accessory
JPH1056903A (ja) 齧歯類等の小動物の観賞用飼育器
US20020014969A1 (en) Pet wireless doorbell device
US20060272591A1 (en) Mirror bird toy
EP0005881A1 (en) Haybox
US5749322A (en) Animal stall
US1032747A (en) Sanitary stall.
US11178848B2 (en) Wiser whelper
KR101695637B1 (ko)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KR20190045000A (ko) 유아 및 애완동물용 돌침대
JP3124699U (ja) 間仕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