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378B1 -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378B1
KR102350378B1 KR1020210098286A KR20210098286A KR102350378B1 KR 102350378 B1 KR102350378 B1 KR 102350378B1 KR 1020210098286 A KR1020210098286 A KR 1020210098286A KR 20210098286 A KR20210098286 A KR 20210098286A KR 102350378 B1 KR102350378 B1 KR 10235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rror
striking
laser
wea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인
김태우
이형민
유준상
이용수
조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1009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43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 F41H13/005Directed energy weapons, i.e. devices that direct a beam of high energy content toward a target for incapacitating or destroying the target the high-energy beam being a laser b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6Aiming or laying means with rangefinder
    • F41G3/065Structural association of sighting-devices with laser tele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41G3/145Indirect aiming means using a target illumin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83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with reflection of the beam on the target back to the weapon
    • F41G3/2688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with reflection of the beam on the target back to the weapon using target range measurement, e.g. with a laser rangefin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3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laser discharge tubes
    • H01S3/034Optical devices within, or forming part of, the tube, e.g. windows,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Sens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and a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The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comprises: a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mounted on a laser weapon, and for striking a target by reflecting a laser beam for striking;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a posi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laser weapon, and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by using a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to keep the aiming point of the laser beam for striking reflected by the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so that the laser beam for striking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Therefore, the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can maintain the aiming point of the laser beam to provide laser weapons which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 and can fire a high-power laser,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laser weapon, and enables supply of low-cost laser weapons that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 to intercept close-range explosives or unmanned aerial vehicles.

Description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레이저 무기{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Aiming point hold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레이저 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 무기에서 조준점을 유지하여 목표물의 한 지점에 지속적인 타격용 레이저 빔을 타격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레이저 무기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intaining an aiming point for a laser weapon and a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ing an aiming point for a laser weapon that can strike a laser beam for continuous striking at a point on a target by maintaining the aiming point in a laser weap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레이저 무기는 표적에 레이저 빔을 집광하여 표적을 빠르게 타격하는 신개념의 무기체계이다.In general, a laser weapon is a weapon system of a new concept that rapidly strikes a target by focusing a laser beam on a target.

레이저 무기는 중력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빛의 속도로 에너지를 표적에 전달한다. Laser weapons deliver energy to the target at the speed of light, unaffected by gravitational fields.

지향성 에너지 무기인 레이저 무기는 비선형 및 소규모 분산형 전투, 비 살상전, 비 접적 및 원격대리전, 그리고 우주전의 특징을 가지는 미래전에서 전쟁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신개념의 무기로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The laser weapon, a directional energy weapon, is being developed as a new concept weapon that can change the paradigm of warfare in future warfa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and small-scale distributed combat, non-lethal warfare, non-contact and remote proxy warfare, and space warfare. .

특히, 원거리에서 침투하는 다수의 드론, 무인기등을 요격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에너지 레이저무기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In particular, high-energy laser weapons are in the spotlight as a method for intercepting a large number of drone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infiltrating from a distance.

더욱이 레이저 무기는 재래식 무기와 비교해 목표물의 요격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피해가 적어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 무기로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Moreover, compared to conventional weapons, laser weapons have less incidental damage in the process of intercepting targets, so continuous development is expected as a safe and clean future weapon.

레이저 무기는 목표물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는 출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기존의 트레일러나 선박 비행기 등의 플랫폼에 탑재되는 대형의 고출력 레이저 무기로 주로 개발되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 개인이 휴대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하여 무기로 사용하는 레이저 소형 화기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Laser weapons are mainly developed as large, high-power laser weapons mounted on platforms such as trailers or ships and airplanes in order to secure the power to strike and destroy the target. Therefor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laser firearms used as weapons is gradually increasing.

레이저 소형 화기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적 한지점에 지속적인 레이저 발사가 중요하고, 즉, 한지점에 지속적으로 레이저 빔을 발사하여 레이저 빔의 열을 전달하는게 중요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aser miniaturization,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fire a laser at a target point, that is, to continuously fire a laser beam at a single point to transfer the heat of the laser beam.

그러나, 플랫폼에 탑재되는 대형의 고출력 레이저 무기는 영상추적/조준기반으로 영상을 통하여 조준점을 유지하고, 휴대용 레이저 소형 화기의 경우 개인이 휴대하여야 때문에 영상측정용 카메라와 영상처리용 컴퓨터의 탑재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impossible to mount a camera for image measurement and a computer for image processing because the large, high-power laser weapon mounted on the platform maintains the aiming point through the image based on image tracking/aiming, 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laser small firearm, it must be carried by an individual. There was one problem.

따라서 휴대용 레이저 소형 화기는 조준점 유지를 위해 바이 포트 또는 트리 포트 등의 거치대를 이용해 거치되여 운용되고 있고, 조준을 위한 바이 포트 트리 포트 등의 거치대 무게 등에 의해 최소 2인 이상이 운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a portable laser small firearm is mounted and operated using a cradle such as a bi-port or a tree port to maintain the aiming poi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t least two people must operate it due to the weight of the cradle such as a bi-port tree port for aiming.

또한, 휴대용 레이저 소형 화기는 바이 포트 트리 포트 등의 거치대를 이용해 거치 후 사용해야 하므로 목표물이 발견되는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laser small firearm must be used after being mounted using a cradle such as a bi-port tree port, it is very difficult to respond immediately when a target is found.

한국특허공개 제1991-0012648호 "레이저 광선 무기"(1991.08.08.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991-0012648 "Laser beam weapon" (published on Aug. 8, 1991)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내부에 위치 감지센서를 위치시켜 레이저 발사 시 소총 본체의 흔들림을 파악하고, 이를 조준거울에 반영하여 조준점을 유지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레이저 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cat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ide a portable laser weapon to detect the shaking of the rifle body when the laser is fired, and reflect this on the aiming mirror to maintain the aiming point for a laser weapon, and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Providing laser weap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는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상기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laser weapon and reflects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the target by reflecting the striking laser beam, and tilting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for reflection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laser weapon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and a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aiming point of the striking laser beam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는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weapon body that is held and used by an individual and that oscillates a laser beam for striking,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portable weapon and reflect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A reflective mirror for hitting a target, a reflective angle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a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ve mirror for hitting, a position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movemen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The laser beam for striking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with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unit for striking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aiming point of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이저 무기 또는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는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는 소총 또는 권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weapon or the portable weapon body portion may have a rifle or pistol shape that an individual holds and uses.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이저 무기 또는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광섬유 케이블부재에서 발진되는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전달하는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unted inside the laser weapon or the portable weapon body portion and reflect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hat is oscillated from the fiber optic cable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mirror for transmitting the beam to the reflection mirror for striking.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흔들림에 의한 3축 방향의 위치변화(거리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istance and angle) in the 3-axis direction due to the shaking of the portable weapon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may correct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by rotating the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in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무기 또는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만큼 동일하게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위치를 역진연산좌표를 통해 역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inverse calculation coordinates in the same way as the position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or the portable weapon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격용 반사 거울부가 장착되는 거울 장착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거울 틸팅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2거울 틸팅부 및 상기 거울 장착부를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거울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is a base member, a mirror mounting unit that is tiltably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bout a main hinge axis and mounted with a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a first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X-axis direction , a second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third mirror tilting unit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about the Z-axis direc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Y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X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rror tilting part is disposed on the Y-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both end sid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sid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to move the mirror mounting part in the X-axis direction A pair of first telescopic actuators for tilting are included, and the second mirror tilting part is disposed on the X-axis line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respectively,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side,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telescopic actuators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멤스(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반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pansion actu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 may be a piezoelectric actuator or a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based actuator.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힌지축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거나, 볼조인트를 통해 거울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가 360도 전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hinge shaft may be made of a freely bendable material, or may be connected to the mirror mounting unit through a ball joint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mounting unit can be tilted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본 발명에서 상기 제3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축방향인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울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mirror tilting unit may include a rotation motor unit for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about a rotation ax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axis.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탄성적으로 당기는 작동을 하는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irror operation spring members each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side, and elastically pulling the reflective mirror unit for hitt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may include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unit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for turning on/off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센서와 조준 거울을 통해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할 수 있어 개인 보병이 운용가능한 고출력의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제공하여 레이저 무기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ser weapon capable of firing a high-power laser that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men by maintaining the aiming point of a striking laser beam throug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a sighting mirror installed inside the portable laser weapon.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usability.

본 발명은 개인 보병이 운용하여 근거리의 폭발물이나 무인기등을 요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레이저 무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레이저 무기의 보급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enetration rate of laser weapons by enabling the supply of inexpensive laser weapons that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men to intercept close-range explosives or unmanned aerial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발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 각도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예를 예시한 개략도.
1 shows an embodiment of a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aser oscillator in one embodiment of the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aiming point maintain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aiming point maintaining device for laser weap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발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ser oscillation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a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는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weapon body that is held and used by an individual and emits a laser beam for striking.

휴대용 무기 몸체부는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는 소총 형태의 몸체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총, 권총 등 다양한 형태의 총기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is noted that the portable weapon body part is a rifle-type body part that an individual holds and uses as an example,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to various types of firearms such as a rifle and a pistol that an individual can carry and us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일 실시예는 고출력의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시키는 레이저 발진부를 포함하고, 레이저 발진부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개인이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 내에 장착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ortable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oscillation unit that oscillates a high-power striking laser beam, and the laser oscillation unit may be located in the body of the portable weapon, and is mounted in a wearing unit that can be worn by an individual It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착용부는 개인이 어깨에 메서 등에 착용하는 백팩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wearing unit has a backpack shape that an individual wears on a shoulder or the like.

착용부(200)는 내부에 레이저 발진부(100)가 위치되며 등에 착용되는 백팩 케이싱부재(210), 백팩 케이싱부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며 개인의 어깨에 메는 어깨 벨트부재(220)를 포함한다. The wearing unit 200 includes a backpack casing member 210 that has a laser oscillation unit 100 positioned therein and is worn on the back, a shoulder belt member 220 that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ackpack casing part and is worn on an individual's shoulder.

착용부(200)는 개인이 어깨에 메서 등에 착용하는 백팩 형태를 가져 레이저 발진부(100)를 포함한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earing unit 200 is in the form of a backpack worn by an individual on a shoulder strap, so that an individual can stably carry a weight including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

착용부(200)는 어깨에 메서 등에 착용하는 공지의 백팩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earing unit 2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 known backpack structure to be worn on the shoulder, etc.

휴대용 무기 몸체부는 개인이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손잡이부에는 레이저 발진부(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타격용 레이저 빔의 발사를 제어하는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가 위치된다. The portable weapon body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held and used by an individual, and a beam emission control switch unit 300a for controlling the firing of the laser beam for striking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is located on the handle portion. .

즉,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는 레이저의 발진 신호를 인가하거나 레이저의 발진기의 정지 신호를 인가하는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가 위치되며,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는 레이저 발진부(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타격용 레이저 빔의 발사를 제어하고, 타격용 레이저 빔이 연속 또는 준-연속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a beam emission control switch unit 300a for applying a laser oscillation signal or a stop signal for a laser oscillator is located in the portable weapon body portion, and the beam emission control switch unit 300a is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 The operation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firing of the striking laser beam,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can be fired continuously or quasi-continuously.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는 버튼식 스위치로 버튼이 눌러지거나 방아쇠 형태의 누름부가 눌러지면 레이저 발진부(100)를 작동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이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의 출구를 통해 발사될 수 있도록 하고, 버튼 또는 누름부를 눌렀던 힘이 해제되면 레이저 발진부(1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beam firing control switch unit 300a operates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when a button is pressed with a button-type switch or a trigger-type press unit is pressed, so that a striking laser beam is emitted through the outle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300.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when the force pressing the button or the pressing unit is released.

레이저 발진부(100)는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시키는 레이저 발진기(110), 레이저 발진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120), 레이저 발진기(110)와 제어보드(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130)를 포함한다. The laser oscillator 100 supplies power to the laser oscillator 110 for oscillating a laser beam for striking, the control board 1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oscillator 110 , the laser oscillator 110 and the control board 120 . and a rechargeable battery 130 .

레이저 발진기(110)는 연속발진이 가능하고, 고출력의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시키는 공지의 레이저 발진기(110)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laser oscillator 110 is a known laser oscillator 110 that is capable of continuous oscillation and oscillates a high-power striking laser beam,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레이저 발진부(100)는 레이저 발진기(11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40)를 더 포함하고, 냉각부(140)는 공냉식 냉각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laser oscillator 100 further includes a cooling unit 140 for cooling the laser oscillator 110 , and the cooling unit 140 is an air-cooled cooler as an example.

공냉식 냉각기는 외부의 공기를 착용부(200)의 내부로 흡입하고, 착용부(2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송풍팬(141)을 포함한다.The air-cooled cooler includes a blower fan 141 that sucks in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of the wearing part 200 and discharges the internal air of the wearing part 200 to the outside.

또한, 공냉식 냉각기는 레이저 발진기(110)의 외측에 부착되는 방열핀(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cooled cooler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fin 142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

공냉식 냉각기는 송풍팬(141)과 방열핀(142)을 포함한 공냉 구조 이외에도 전도 냉각 구조 등 공지의 다른 공냉기를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ir-cooled cooler may use other well-known air coolers such as conduction cooling in addition to the air-cooling structure including the blower fan 141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142 .

공냉식 냉각기는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21)를 포함하고, 제어보드(120)와 연결되어 제어보드(1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The air-cooled cool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21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120 ,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board 120 .

즉, 충전 배터리(130)는 레이저 발진기(110)와 제어보드(120) 및 공냉식 냉각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보드(120)는 레이저 발진기(110)와 공냉식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supplies power to the laser oscillator 110 , the control board 120 , and the air-cooled cooler, and the control board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ser oscillator 110 and the air-cooled cooler.

제어보드(120)는 레이저 발진기 제어 케이블(120a)을 통해 레이저 발진기(110)와 연결되어 레이저 발진기(110)의 전체 운용 상태를 제어하고 장비의 운용 및 이상 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120 may be connected to the laser oscillator 110 through the laser oscillator control cable 120a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stat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and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 state of equipment.

또한, 제어보드(120)는 공냉식 냉각기와 냉각 제어 케이블(120d)을 통해 연결되고, 온도 감지센서(121)와 센싱용 케이블(120b)을 통해 연결되어 공냉식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board 120 is connected through the air-cooled cooler and the cooling control cable 120d, is conn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21 and the sensing cable 120b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cooled cooler, and a laser oscillator ( 110) can be controlled.

제어보드(120)는 온도 감지센서(121)로부터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공냉식 냉각기를 작동시켜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공냉식 냉각기를 정지시킨다. The control board 120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laser oscillator 110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21 in real time and operates an air-cooled cool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i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to operate the laser oscillator ( The temperature of the 110) is not heated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so that it can be operated stably,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is below the preset temperature, the air-cooled cooler is stopped.

또한, 공냉식 냉각기는 상시 운전되는 경우 충전 배터리(130)의 전력을 많이 소모하게 되므로 레이저 발진기(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작동되어 충전 배터리(13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레이저 발진기(110)의 작동 가능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air-cooled cooler consumes a lot of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when operated all the time, it operates on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is above a preset temperatur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and the laser It is to ensure that the oscillator 110 can be operated for a sufficient time.

충전 배터리(130)는 제어보드(120)와 전력 케이블(120c)로 연결되어 제어보드(12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보드(120)를 통해 레이저 발진기(110), 공냉식 냉각기,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 등의 타격용 레이저 빔의 발사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120 and the power cable 120c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board 120 , and control the laser oscillator 110 , the air-cooled cooler, and the beam emission through the control board 120 . Power is supplied to a device used for emitting a laser beam for striking, such as the switch unit 300a.

제어보드(120)는 전력 케이블(120c)을 통해 충전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충전 배터리(130)의 충/방전 상태 및 배터리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control board 120 may receive power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through the power cable 120c and monitor the charging/discharging state and the battery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

제어보드(120)는 충전 배터리(130)의 충방전 상태등의 상태정보 즉, 충전 배터리(130)의 잔량 등을 확인하여 레이저 발진기(110)의 타격용 레이저 빔을 연속적으로 발진하거나 준-연속 발진 즉,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발진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board 120 continuously oscillates or quasi-continuously oscillate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of the laser oscillator 110 by checking the state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e/discharg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 that i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 I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oscillate, that is, to oscil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어보드(120)는 충전 배터리(130)의 잔량이 기설정된 잔량 이상인 상태에서 발사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타격용 레이저 빔이 연속적으로 발진될 수 있도록 하고, 충전 배터리(130)의 잔량이 기설정된 잔량 미만인 상태에서 발사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타격용 레이저 빔이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발진하도록 제어하여 충전 배터리(13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레이저 발진기(110)의 작동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The control board 120 allows the striking laser beam to be continuously oscillated when a firing signal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maining amount,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is a preset remaining amount When the firing signal is applied in the state of less than, the laser beam for striking is controlled to oscil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operating time of the laser oscillator 110 can be maximized by efficiently us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

또한, 충전 배터리(130)는 충전 케이블 또는 충전 어댑터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음을 밝혀두며, 충전 케이블과 충전 어댑터는 공지의 충전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130 reveals that the charging cable or the charging adapter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be charged, and the charging cable and the charging adapter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 known charging structure.

한편, 빔전달 케이블부(400)는 레이저 발진부(100)에서 발진된 타격용 레이저 빔을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로 전달하는 광섬유 케이블부재(410), 제어보드(120)와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를 연결하는 발사제어 케이블부재(42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eam delivery cable unit 400 includes an optical fiber cable member 410 for transmitting the striking laser beam oscillated from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to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300 , the control board 120 , and the beam emission control switch. and a firing control cable member 420 connecting the part 300a.

광섬유 케이블부재(410)는 레이저 발진부(100)에서 발진된 타격용 레이저 빔을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로 전달하여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를 통해 타격용 레이저 빔이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optical fiber cable member 410 transmits the striking laser beam oscillated from the laser oscillation unit 100 to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300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can be fired through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300 .

빔전달 케이블부(400)는 광섬유 케이블부재(410)와 발사제어 케이블부재(420)를 감싸는 외피부재(430)를 포함한 광·제어 통합 케이블로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로 타격용 레이저 빔을 전달함과 아울러 아울러 휴대용 무기 몸체부(300)의 발사 신호를 제어보드(120)로 전달한다.The beam delivery cable part 400 is an integrated light and control cable including an optical fiber cable member 410 and an outer skin material 430 surrounding the firing control cable member 420, and a laser beam for striking with the portable weapon body part 300.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the firing signal of the portable weapon body part 3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120 .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가 위치된다. The aiming point hold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portable weapon body.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는 소총, 권총 등의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총기 형태의 레이저 무기 즉,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움직임이 발생하는 레이저 무기에서 설치되어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laser weapon in the form of a firearm that can be carried and used by an individual such as a rifle or a pistol, that is, installed in the body of a portable weapon, and in addition, in a laser weapon in which movement occurs It has been installed and indicated that it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는 타격용 레이저 빔으로 목표물을 타격하는 레이저 무기 중 타격하는 중에 레이저 무기에 움직임이 발생하여 목표물의 조준점이 흔들릴 수 있는 레이저 무기에 설치되어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목표물에 지속적으로 타격용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aser weapon that can shake the aiming point of the target due to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while the laser weapon hits a target with a striking laser beam,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is reduced. Even if it occurs, the aiming point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constantly maintained so that the target can be continuously irradiated with the striking laser beam.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는 레이저 무기 즉, 휴대용 무기 몸체부 내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500),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600), 위치 감지센서부(600)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반사 각도 조절부(500)의 작동을 제어하여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로 반사된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ser weapon, that is, a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that is mounted in a portable weapon body and reflects a laser beam for striking to hit a target, and a reflection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00 for adjusting the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 that is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and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00 with a position signal detected in and a driving control unit 700 .

또한,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 장치는 레이저 무기 즉,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광섬유 케이블부재에서 발진되는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로 전달하는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8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the laser weapon is mounted inside the laser weapon, that is, the portable weapon body, and reflects the striking laser beam oscillated from the fiber optic cable member and transmits it to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450. A reflective mirror for beam delivery A portion 800 is further included.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800)는 레이저 무기 즉,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내부에 고정된 위치로 장착되어 빔전달 케이블부(400) 즉, 광섬유 케이블부재에서 발진되는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 각도 조절부(500)에 의해 틸팅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로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The reflective mirror unit 800 for beam transmission is mounted at a fixed position inside the laser weapon, that is, the portable weapon body, and reflect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hat is oscillated from the beam transmission cable unit 400, ie, the fiber optic cable member. It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hitting that is tilted by the 500 .

위치 감지센서부(600)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 즉, 흔들림에 의한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로 3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흔들림에 의한 3축 방향의 위치변화 즉, 거리 및 각도를 포함한 3축 방향의 위치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unit 600 is a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that is, a change in position due to shaking, and include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a change, that is, a position change in the three-axis direction including distance and angle.

위치 감지센서부(600)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이외에도 움직임의 변화를 3축 방향에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o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a known position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change in movement in the 3-axis direction.

반사 각도 조절부(500)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보정한다.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00 corrects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by rotating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in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그리고, 구동 제어부(700)는 역진연산좌표를 통해 위치 감지센서부(600)에서 감지된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의 역방향으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틸팅되도록 반사 각도 조절부(500)를 조절한다. Then, the driving control unit 700 is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00 so that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is til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position change of the portable weapon body part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 through the inverse calculation coordinates. adjust the

구동 제어부(700)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가 움직인 위치 변화만큼 동일하게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위치를 역방향으로 변화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The driving control unit 70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ame amount as the position change in which the portable weapon body moves, thereby constantly maintaining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 각도 조절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반사 각도 조절부(500)는 베이스부재(510), 베이스부재(510)에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장착되는 거울 장착부(520), 거울 장착부(520)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거울 틸팅부(530), 거울 장착부(520)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2거울 틸팅부(540), 거울 장착부(520)를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거울 틸팅부(550)를 포함한다.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in an embodiment of the aiming point maintaining device for a laser weap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is a base member 510, a mirror mounting unit 520, a mirror mounting unit 520 that is tiltably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510 about the main hinge axis and mounted with a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X The first mirror tilting unit 530 for tilt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mirror tilting unit 540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rotating mirror mounting unit 520 about the Z-axis direction. It includes a three-mirror tilting unit 550 .

또한, 제1거울 틸팅부(530)는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Y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베이스부재(510)와 거울 장착부(520)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거울 장착부(520)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mirror tilting unit 530 is disposed on the Y-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respectively, both end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51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side, respectively, and stretched so that the mirror mounting unit ( 520) including a pair of first elastic actuators for tilting in the X-axis direction.

그리고, 제2거울 틸팅부(540)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수직인 방향 즉,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X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베이스부재(510)와 거울 장착부(520)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거울 장착부(520)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irror tilting unit 540 is disposed on the X-axis lin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uators,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so that both ends have the base member 51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 520) is connected to the side, and includes a pair of second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uators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n the Y-axis direction.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는 메인 힌지축의 중심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중심을 지나는 Y축선 상에 위치되어 신축 작동으로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A pair of first telescopic actuators are located on the Y-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hinge axis, that is,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hitting,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520, 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hitting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거울 장착부(520)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 제1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신장되고 다른 한 제1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단축되면서 X축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may be tilted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the length of one of the first expansion actuators is extended and the length of the other first expansion actuator is shortened among the pair of first expansion actuators.

또한,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메인 힌지축의 중심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중심을 지나는 X축선 상에 위치되어 신축 작동으로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elastic actuators are located on the X-axis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hinge axis, that is,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hitting,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520 , 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hitting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 is rotated in the Y-axis direction.

거울 장착부(520)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신장되고 다른 한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단축되면서 Y축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may be tilted in the Y-axis direction while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expansion actuators is extended and the length of the other second expansion actuator is shortened.

즉,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메인 힌지축의 중심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중심에서 서로 수직 방향 즉, 십(十)자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되면서 거울 장착부(520) 및 거울 장착부(520)에 장착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틸팅 시키거나 거울 장착부(520) 및 거울 장착부(520)에 장착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틸팅시킨다. That is, the pair of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uators and the pair of second expansion actuator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main hinge axis,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part 450 for striking, that is, in a ten-shape shape, respectively. While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and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mounted on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based on the X-axis direction, or the reflection mounted on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for hitting The mirror unit 450 is tilted based on the Y-axis direction.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압전효과나 전왜(電歪)효과에 의한 물질의 신축을 응용한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멤스(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반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first expansion actu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 are a piezoelectric actuator or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based actuator to which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terial is applied by a piezoelectric effect or an electrostrictive effect.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또는 멤스(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반 액추에이터로 신축 작동의 반응 시간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의 역방향으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고속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The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u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 are piezoelectric actuators or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based actuators,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can be made at high speed. 450) can be tilted at high speed.

메인 힌지축은 X축 방향의 축선과, Y축 방향의 축선이 만나는 지점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중심에 위치된다. The main hinge axis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axi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axis in the Y-axis direction meet,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메인 힌지축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360도 전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main hinge shaf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freely, so that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 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has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tilted in all directions by 360 degrees.

또한, 메인 힌지축은 볼조인트를 통해 거울 장착부(520)에 연결되어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360도 전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360도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틸팅 가능한 공지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main hinge shaft is connected to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through a ball joint, so that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 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tilted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and in addition to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 That is, the reflection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can be variously modified using a known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tilted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거울 틸팅부(550)는 메인 힌지축의 축방향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거울 장착부(520)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부를 더 포함한다. The third mirror tilting unit 55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motor unit that rotates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axis, that is, the rotation ax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회전 모터부는 베이스부재(510)를 회전시켜 거울 장착부(520) 및 거울 장착부(520)에 장착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The rotation motor rotates the base member 510 to rotate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and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mounted on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about the Z-axis.

반사 각도 조절부(500)는 양 단부 측이 각각 베이스부재(510)와 거울 장착부(520) 측에 연결되고, 탄성 복원력으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를 탄성적으로 당기는 작동을 하는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has a plurality of end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510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side, respectively, and elastically pulling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It further includes a spring member for operating the mirror.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는 연결핀으로 양 단부 측이 각각 베이스부재(510)와 거울 장착부(520) 측에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된다. A plurality of mirror operation spring member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510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520 at both ends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hinge axis. .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는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90°간격으로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mirror operation spr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pansion actu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 and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90° with respect to the main hinge axis as an example.

즉,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는 각각 제1신축 액추에이터의 양 측에 배치되고, 각각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양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한쌍의 제2신축 에이터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단축될 때 탄성 복원력으로 단축되는 곳을 당겨 거울 장착부(520)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고, 거울 장착부(520)의 지지면이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안정적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at is, the plurality of mirror actuation spring member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astic actuator and have a structu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lastic actuator, respectively, any one of a pair of first elastic actuators or a pair of second When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telescoping actuators is shortened,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can be smoothly tilted by pulling the shortened area by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s a pair of first telescoping actuators and a pair of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 that is,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hitting, may be stably til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lescoping actuator, respectively.

일 예로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는 제1신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 제1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늘어날 때 즉,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늘어날 때 다른 제1신축 액추에이터 즉,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때 길이가 줄어드는 측을 탄성 복원력으로 당겨 거울 장착부(520)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게 하고, 거울 장착부(520)의 지지면이 단축되는 제1신축 액추에이터의 단부 측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켜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반사 위치가 안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the spring member for mirror operation is when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first expansion actuators of the first expansion actuators increases,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ncreases, the length of the other first expansion actuators, that is,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reduced. By pulling the reduced side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can be smoothly tilted,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shortened first telescopic actuator to keep it in contact with the mirror mounting unit ( 520) that is, the reflection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can be changed stably.

또한,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는 제2신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늘어날 때 즉,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늘어날 때 다른 제2신축 액추에이터 즉, 압전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때 길이가 줄어드는 측을 탄성 복원력으로 당겨 거울 장착부(520)가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게 하고, 거울 장착부(520)의 지지면이 단축되는 제2신축 액추에이터의 단부 측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켜 거울 장착부(520) 즉,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반사 위치가 안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for mirror operation is when the length of any one of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s of the second expansion actuators is increased,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other second expansion actuator, that is,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reduced. By pulling the reduced side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can be smoothly tilted,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mirror mounting unit 5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shortened second telescopic actuator to keep it in contact with the mirror mounting unit ( 520) that is, the reflection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can be changed stably.

구동 제어부(700)는 역진연산좌표를 통해 위치 감지센서부(600)에서 감지된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위치 변화의 역방향으로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가 틸팅되도록 반사 각도 조절부(500) 즉,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 또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 회전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driving control unit 700 is configured to tilt the reflection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weapon body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600 through the inverse calculation coordinates. The pair of first expansion actuators or the pair of second expansion actuator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otor unit.

구동 제어부(700)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가 움직인 3축 방향 즉, X축, Y축, Z축의 위치 변화만큼 동일하게 타격용 반사 거울부(450)의 위치를 3축 방향 즉, X축, Y축, Z축의 위치변화만큼 역방향의 변화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The drive control unit 700 sets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unit 450 for striking in the same three-axis direction as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moves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the X-axis, the Y-axi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xis and Z axi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maintained as constant as possible.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구동 제어부(700)는 반사 각도 조절부(500)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301)를 더 포함하고,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301)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위치되되,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의 근처에 위치되어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300a)을 조작하는 손가락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위치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driving control unit 700 further includes a switch unit 301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that turns on/off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 and the switch unit 301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is portable It is located in the body of the weapon, it is located near the beam firing control switch unit 300a, and is operably positioned with a finger other than a finger for operating the beam firing control switch unit 300a.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301)는 개인 즉, 사용자가 타격용 레이저 빔이 목표물을 타격한 상태 즉, 타격용 레이저 빔이 목표물에 조준된 상태에서 반사 각도 조절부(500)의 작동을 용이하게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aiming position check switch unit 301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in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that is, the user hit the target with the striking laser beam, that is, the striking laser beam is aimed at the target. to be turned on and off.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준 망원경 또는 표적에 표적 표시용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에이머 등 타격용 레이저 빔을 사용자인 개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준 위치 확인부가 구비되고, 조준 위치 확인부를 통해 타격용 레이저 빔이 목표물에 조준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한 후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301)로 반사 각도 조절부(500)를 ON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이 최대한 일정한 조준점을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body of the portable weapon, an aiming position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such as an aiming telescope or a laser aimer that irradiates a target marking laser to the target, can confirm the laser beam for striking by an individual user, and strikes through the aiming positioning unit After easily checking the state in which the laser beam is aimed at the target,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500 is turned on with the switch unit 301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can maintain a constant aiming point as much as possible.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301)는 조준 위치 확인부와 연결되어 조준 위치 확인부에서 타격용 레이저 빔이 목표물에 조준된 상태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반사 각도 조절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switch unit 301 for aiming position confirmation is connected to the aiming position confirmation unit, and when the aiming position confirmation unit detects a state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is aimed at the target,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00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make it clear

본 발명은 휴대용 레이저 무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센서와 조준 거울을 통해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할 수 있어 개인 보병이 운용가능한 고출력의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제공하여 레이저 무기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ser weapon capable of firing a high-power laser that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men by maintaining the aiming point of a striking laser beam throug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a sighting mirror installed inside the portable laser weapon. The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은 개인 보병이 운용하여 근거리의 폭발물이나 무인기등을 요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레이저 무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레이저 무기의 보급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enetration rate of laser weapons by enabling the supply of inexpensive laser weapons that can be operated by individual infantrymen to intercept close-range explosives or unmanned aerial vehicle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레이저 발진부 110 : 레이저 발진기
120 : 제어보드 120a : 레이저 발진기 제어 케이블
120b : 센싱용 케이블 120c : 전력 케이블
120d : 냉각 제어 케이블 121 : 온도 감지센서
130 : 충전 배터리 140 : 냉각부
141 : 송풍팬 142 : 방열핀
200 : 착용부 210 : 백팩 케이싱부재
220 : 어깨 벨트부재 300 : 휴대용 무기 몸체부
300a : 빔 발사 제어 스위치부 301 :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
310 : 소총 몸체부 320 : 거리 측정부
330 : 초점 조절부 340 : 자동초점 보정 제어선부
400 : 빔전달 케이블부 410 : 광섬유 케이블부재
420 : 발사제어 케이블부재 430 : 외피부재
450 : 타격용 반사 거울부 500 : 반사 각도 조절부
510 : 베이스부재 520 : 거울 장착부
530 : 제1거울 틸팅부 540 : 제2거울 틸팅부
550 : 제3거울 틸팅부 600 : 위치 감지센서부
700 : 구동 제어부 800 :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
100: laser oscillator 110: laser oscillator
120: control board 120a: laser oscillator control cable
120b: sensing cable 120c: power cable
120d: cooling control cable 121: temperature sensor
130: rechargeable battery 140: cooling unit
141: blow fan 142: heat dissipation fin
200: wearing part 210: backpack casing member
220: shoulder belt member 300: portable weapon body
300a: beam emission control switch unit 301: switch unit for aiming position confirmation
310: rifle body 320: distance measurement unit
330: focus control unit 340: auto focus correction control line unit
400: beam transmission cable part 410: fiber optic cable member
420: firing control cable member 430: outer skin member
450: reflection mirror for hitting 500: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510: base member 520: mirror mounting portion
530: first mirror tilting unit 540: second mirror tilting unit
550: third mirror tilting unit 600: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700: driving control unit 800: reflective mirror unit for beam transmission

Claims (25)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상기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및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보정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만큼 동일하게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위치를 역진연산좌표를 통해 역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It is mounted on a laser weapon, and a reflection mirror unit for striking by reflecting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o hit the target;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on mirror unit for hitt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laser weapon and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and
The aiming point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maintained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with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t includes a drive control unit to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rotates the reflection mirror for striking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to correct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control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inverse calculation coordinates in the same way as the position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무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광섬유 케이블부재에서 발진되는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전달하는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laser weapon and further comprises a reflective mirror for beam transmission that reflect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hat is oscillated from the fiber optic cable member and transmits it to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레이저 무기의 흔들림에 의한 거리 및 각도를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in a 3-axis direction including a distance and an angle due to shaking of the laser weap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레이저 무기에 장착되며 상기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및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격용 반사 거울부가 장착되는 거울 장착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거울 틸팅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2거울 틸팅부; 및
상기 거울 장착부를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거울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It is mounted on a laser weapon, and a reflection mirror unit for striking by reflecting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o hit the target;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on mirror unit for hitt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laser weapon and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and
The aiming point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maintained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with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t includes a driving control unit to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base member;
a mirror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to be tiltable about the main hinge axis and mounted with a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a first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X-axis direction;
a second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and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laser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mirror tilting part for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about the Z-axis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Y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X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mirror tilting unit is disposed on the Y-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both end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respectively, a pair of stretching and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X-axis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expansion actuator of
The second mirror tilting part is disposed on the X-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both end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respectively, a pair of stretching and til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in the Y-axis direction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laser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elescopic actuator of.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멤스(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반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a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astic actuator and the second elastic actuator are a piezoelectric actuator or a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based actuat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 힌지축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거나, 볼조인트를 통해 거울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가 360도 전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hinge shaf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reely bent, or is connected to the mirror mounting part through a ball joint, and the aiming point maintaining device for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mounting part can be tilted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축방향인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울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rd mirror tilting part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for laser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about a rotation ax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shaf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탄성적으로 당기는 작동을 하는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side, respectively, both end sides,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irror operation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pulling the reflection mirror for strik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iming point holding device for laser weapon featur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무기용 조준점 유지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driving control unit is a laser weapon aiming point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unit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to turn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및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 위치를 보정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레이저 무기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만큼 동일하게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위치를 역진연산좌표를 통해 역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A portable weapon body part that is used by an individual in a hand and oscillates a laser beam for striking;
a reflection mirror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and configured to strike a target by reflecting a striking laser beam;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on mirror unit for hitt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movemen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and
The aiming point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maintained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with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t includes a drive control unit to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rotates the reflection mirror for striking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to correct the aiming position of the striking laser beam,
The driving control unit is a portable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reverse calculation coordinates in the same way as the position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laser weap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는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는 소총 또는 권총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rtable weapon body portion is a portable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shape of a rifle or a pistol used by an individual in his/her han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광섬유 케이블부재에서 발진되는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전달하는 빔 전달용 반사 거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rtable laser weapon, which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portable weapon body, reflects the laser beam for striking that is oscillated from the fiber optic cable member and further comprises a reflective mirror for beam transmission that transmits it to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흔들림에 의한 거리 및 각도를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in a 3-axis direction including a distance and an angle due to shaking of the portable weapo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개인이 손에 들고 사용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휴대용 무기 몸체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타격용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하는 타격용 반사 거울부;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틸팅시켜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 각도 조절부;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휴대용 무기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부; 및
상기 위치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로 반사된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이 해당 목표물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타격용 레이저 빔의 조준점을 유지시키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격용 반사 거울부가 장착되는 거울 장착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거울 틸팅부;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2거울 틸팅부; 및
상기 거울 장착부를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3거울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A portable weapon body part that is used by an individual in a hand and oscillates a laser beam for striking;
a reflection mirror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and configured to strike a target by reflecting a striking laser beam;
a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eflection angle by tilting the reflection mirror unit for hittin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position due to movement of the portable weapon body unit; and
The aiming point of the striking laser beam is maintained so that the striking laser beam reflected by the striking reflective mirror unit continuously strikes the targe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with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It includes a drive control unit to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base member;
a mirror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to be tiltable about the main hinge axis and mounted with a reflective mirror unit for striking;
a first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X-axis direction;
a second mirror tilting unit for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ortable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mirror tilting part for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about the Z-axis direction.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Y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1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양 측에서 각각 X축선 상에 배치되어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신축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를 Y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한쌍의 제2신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mirror tilting unit is disposed on the Y-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both end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unit, respectively, a pair of stretching and tilting the mirror mounting unit in the X-axis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expansion actuator of
The second mirror tilting part is disposed on the X-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hinge axis, both end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part, respectively, a pair of stretching and til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in the Y-axis direction A portable laser weapon comprising a second telescoping actuator.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신축 액추에이터는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멤스(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반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rst telescoping actuator and the second telescoping actuator are a piezoelectric actuator or a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based actuator.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메인 힌지축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거나, 볼조인트를 통해 거울 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거울 장착부가 360도 전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main hinge shaf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reely bent, or is connected to the mirror mount through a ball joint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mount can be tilted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3거울 틸팅부는 상기 메인 힌지축의 축방향인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울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third mirror tilting part portable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mirror mounting part about a rotation ax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flective mirror for strik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hinge shaft.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울 장착부 측에 연결되고,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타격용 반사 거울부를 탄성적으로 당기는 작동을 하는 복수의 거울 작동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lection angle adjust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mirror mounting side, respectively, both end sides,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irror operation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pulling the reflection mirror for striking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Features a portable laser weapon.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반사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조준 위치 확인용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20. The method of claim 13 or 19,
The driving control unit is a portable laser weap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unit for checking the aiming position to turn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angle adjusting unit.
KR1020210098286A 2021-07-27 2021-07-27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KR102350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86A KR102350378B1 (en) 2021-07-27 2021-07-27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86A KR102350378B1 (en) 2021-07-27 2021-07-27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378B1 true KR102350378B1 (en) 2022-01-11

Family

ID=7935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86A KR102350378B1 (en) 2021-07-27 2021-07-27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37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648A (en) 1989-12-29 1991-08-08 김영주 Laser beam weapon
JP6653392B2 (en) * 2016-09-20 2020-02-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Shooting training system
KR102077596B1 (en) * 2019-05-08 2020-04-07 주식회사 한화 Beam path change device, laser weap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laser weapon system
KR102124086B1 (en) * 2019-11-22 2020-06-17 주식회사 한화 Multi-wavelength optical fiber laser pow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648A (en) 1989-12-29 1991-08-08 김영주 Laser beam weapon
JP6653392B2 (en) * 2016-09-20 2020-02-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Shooting training system
KR102077596B1 (en) * 2019-05-08 2020-04-07 주식회사 한화 Beam path change device, laser weap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laser weapon system
KR102124086B1 (en) * 2019-11-22 2020-06-17 주식회사 한화 Multi-wavelength optical fiber laser pow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849B2 (en) Fire-control system
KR101569735B1 (en) Multi-weapons system
US7472830B2 (en) Compact laser aiming assembly for a firearm
KR100906159B1 (en) The dot-sight device with large caliber
US5359779A (en) Illumination and laser sighting device for a weapon
US5052801A (en) Compact laser-assisted weapon sight
US794620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ntering a projectile
US7174835B1 (en) Covert tracer round
US20090051906A1 (en) Optical tracking device employing a three-axis gimbal
US11340046B2 (en) Laser weapon system
US6244535B1 (en) Man-packable missile weapon system
US20140026464A1 (en) Fire-control system
US20190105548A1 (en) Robotic cannon with laser
US6643969B1 (en) Optical sight apparatus for firing from cover positions
KR102350378B1 (en) Aiming point keeping device for laser weapon and portable laser weapon having the same
KR102190610B1 (en) Portable laser weapon
KR900000322B1 (en) Two-axis optical interical system using a gyro rotor as a stable reference
EP4229351A2 (en) Fire control system
US9360680B1 (en) Electromagnetic beam or image stabilization system
US10788291B2 (en) Ultrasonic electro-optic seeker
US7257920B1 (en) Aiming device
US68533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gimbal-locking
KR102137265B1 (en) Raser shot system
US20140231652A1 (en) Semi-Active Laser (SAL) Beacon
CA2024173C (en) Thermal beac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