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98B1 -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 Google Patents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98B1
KR102350198B1 KR1020210143383A KR20210143383A KR102350198B1 KR 102350198 B1 KR102350198 B1 KR 102350198B1 KR 1020210143383 A KR1020210143383 A KR 1020210143383A KR 20210143383 A KR20210143383 A KR 20210143383A KR 102350198 B1 KR102350198 B1 KR 10235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olt
beam projector
coupled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근
황선희
황효연
이주용
정선호
금동민
조용찬
김민철
여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케이엠
Priority to KR102022000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서포트 프레임(1100);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상기 렌즈(LZ)에서 이미지를 현출하기 위한 빔을 발산할 때에 블랙 레벨을 차단하는 가림막(1200);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판(1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1200)은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상기 가림막(1200)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가림막(1200) 형태로 마련되어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하고, 고무 재질로 제작하고,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하여 곡면 투사 영역에 대해 손쉽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에 의하면, 빔프로젝터(BPT)의 빛이 나오는 렌즈(LZ)의 좌우 양쪽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림막(12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막아서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줌으로써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빔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므로,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서 빛이 나올 때에 블랙 색상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블랙 색상의 가림막(1200)이 산란광을 흡수하여 블랙레벨을 제거하여 블랙 오프셋을 확실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Beam projector electric driving type black offset adjustment device for deleting multiple projection overlay section black level}
본 발명은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프로젝터의 렌즈 가림막 형태로 마련되어 렌즈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하여 블랙 오프셋을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빔 프로젝터는 빛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 등을 스크린에 비추는 장치로서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션,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 시뮬레이터로서 사용된다..
빔 프로젝터 모듈은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LP) 방식으로 전원 장치와 레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DVD급 화질로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또한 피코(pico) 프로젝터라고 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와 연결하여 보고자 하는 콘텐츠를 빔 프로젝트 화면으로 방사하는 휴대용 영상 장비도 개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12655호의 프로젝터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레이트(310),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 하프미러모듈(330), 빔 프로젝터(340) 및 제어부(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전부(360) 및 시선추적기(3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은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 및 하프미러모듈(330)이 장착되며, 회전부(360)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플레이트(310)은 회전원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는 플레이트(310)에 설치되고,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스마트 폰, PDA, 테블릿 PC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게임 및 교육 영상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하프미러모듈(330)은 플레이트(310)에 설치되고,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을 반사 및 투과한다.
빔 프로젝터(340)는 2차원 영상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하프미러모듈(330)에 표시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을 설명하는 것일 수도 있고,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과 동기화된 메시지, 이미지 등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과 관련된 콘텐츠로서,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더하고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320) 및 빔 프로젝터(340)를 구동 및 제어하며, 시선추적기(370)의 시선 추적정보를 이용하여 회전부(360)를 제어하여 플레이트(회전원판, 310)를 회전시킨다. 제어부(350)는 영상데이터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손이나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32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제어 및 구동될 수도 있다.
회전부(360)은 플레이트(310)를 회전시키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성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거나 바퀴를 통한 기계식 방식으로 플레이트(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시선추적기(370, eye tracker)는 하프미러 모듈(330)을 보는 사용자의 눈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눈이 카메라 시야각(Field of View)의 중앙에 위치 하도록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예를 들어, 시선 추적은 고화질 카메라를 사용하여 눈에 빛을 투사하고 각막에서 반사되는 방향을 기록한 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구의 위치를 계산하고 초점이 맞춰진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6398호의 투사렌즈차단판이 구비된 빔프로젝터(100)는, 사각형상의 본체(102)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4)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원공급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0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06)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빔프로젝터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전원 온(ON) 엘이디(10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의 버튼(예를 들어, 구동파워버튼, 렌즈차단버튼 등)(도시는 생략함) 조작시, 조작된 리모컨의 버튼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해 줌과 아울러 제어부(106)의 제어신호를 리모컨으로 전달해 주는 통신부(110)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의 구동파워버튼 조작시,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투사렌즈(112)를 통해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투사부(114)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의 구동파워버튼 조작시,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빔프로젝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작동상태표시 엘이디(116)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의 구동파워버튼 조작시,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빔프로젝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엘시디표시창(118)과;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내측면 일측을 따라 설치되되, 일부가 본체(102)의 전면에 돌출된 "ㄷ"자 형상의 제1가이드(120)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전면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되, 상기 "ㄷ"자 형상의 제1가이드(120)에 연장형성된 "ㄷ"자 형상의 제2가이드(122)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모컨의 렌즈차단버튼(도시는 생략함) 조작시,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한 정/역 회전모터(124)와; 상기 정/역 회전모터(124)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정/역 회전모터(124)의 회전에 따라 투사렌즈(112)를 개폐하는 투사렌즈차단판(126)으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8026호의 마스크리스 노광기(1)는 베이스(110)와 수직프레임(120)을 갖는 지지프레임(100)과, 베이스(110)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피노광대상이 적재되는 피노광물 지지부(200)와, 수직프레임(12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빔프로젝터부(300)와, 빔프로젝터부(300)와 피노광물 지지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400)와, 피노광물 지지부(200)와 빔프로젝터부(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노광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피노광물 지지부(200)와 빔프로젝터부(3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지지프레임(100)은 피노광물 지지부(200)와 빔프로젝터부(300)의 위치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된 수직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2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Z축지지대(130)로 구성된다. 베이스(110) 상에는 피노광물 지지부(200)가 결합되고, 수직프레임(120)에는 빔프로젝터부(300)와 거리조절부(400)가 결합되고, Z축지지대(130)에는 빔프로젝터지지대(320)와 오목렌즈지지대(420)가 결합된다.
베이스(110) 상에는 피노광물 지지부(2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된다. Y축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X축 이동판(240)이 이동된다.
지지프레임(100)의 판면에는 Z축 가이드레일(121)이 구비된다. Z축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Z축 지지대(130)가 결합되어 Z축 구동모터(52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피노광물 지지부(200)는 베이스(110) 상에 위치되며 상면에 피노광물이 적재된다. 피노광물 지지부(200)는 피노광물이 진공흡착되는 흡착판(210)과, 흡착판(210)의 하부영역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판(220)과, 회전판(22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어 흡착판(210)과 회전판(22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흡착판이동부(230)와, 베이스(110)의 Y축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고 흡착판이동부(230)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X축 이동판(240)을 포함한다.
흡착판(210)은 유압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면에 적재된 피노광물을 진공흡착시킨다. 회전판(220)은 흡착판(2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X축 이동판(240)은 베이스(110)의 Y축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착판 이동부(230)는 X축 이동판(240) 상면의 X축 가이드레일(241)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X축 이동판(240)의 Y축 방향 이동거리와 흡착판이동부(230)의 X축 방향 이동거리는 호스트(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모터의 구동량으로 조절된다.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LM 가이드 방식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빔프로젝터부(300)는 피노광물 지지부(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피노광물로 패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투영하고, 노광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한다. 빔프로젝터부(300)는 호스트(600)로부터 공급된 패턴이미지를 피노광물로 투사한다. 이 때, 패턴이미지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되어야 할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흑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패턴이미지가 피노광물로 투사되면 검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외선이 투과하지 못하고 백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외선이 투과되어 경화되므로 종래 마스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설치 시, 조도가 낮은 콘텐츠의 경우, 다중 프로젝터의 중첩 영역에서 조도의 상승으로 인한 블랙레벨 현상이 발생한다.
블랙레벨 현상은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도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하는 주된 요소로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5094호는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프셋(offset)을 조정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즉, 제품 생산 단계에서 고정된 오프셋 값을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색 계조 표현을 통해 실제 입력되는 신호에서 어두운 부분이 묻히는 현상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화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검출하는 블랙 레벨 검출부(10)와,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과 기 저장된 오프셋 값에 따른 블랙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20)와, 상기 비교부(2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오프셋(offset)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오프셋(offset) 값을 토대로 상기 영상 신호를 조정하는 영상처리부(30)와, 상기 영상처리부(30)를 통해 조정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을 토대로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오프셋(offset) 값이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된 오프셋(offset) 값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의하면,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픽셀 별 밝기 레벨을 검출하여,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검출한다.
상기 블랙 레벨은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픽셀별 밝기 레벨에서 가장 낮은 레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입력 신호의 종류(RF, PC 신호 등등) 및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비디오 카드(video card)에 따라서도 편차가 발생한다.
즉, 제품 생산 단계에서 최적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오프셋 값을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오프셋 값이 적용되는 입력신호의 종류, 비디오 카드의 종류 및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주위 환경 등에 따라서 현재 실제 입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에는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품 생산 단계에서 최적의 오프셋 값을 설정했다 하더라도 현재 실제 입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을 따라서 정확한 색 계조를 표현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실제 표현되어야 할 어두운 부분이 묻히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50)는 실제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기존에 설정된 오프셋 값이 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처리부(30)를 통해 현재 적용할 오프셋 값이 조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3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된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적용할 오프셋 값을 설정한다.
즉, 상기 영상 처리부(20)는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가장 낮은 신호 레벨이 표현되도록 상기 가장 낮은 신호 레벨인 블랙 레벨을 토대로 오프셋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조정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를 통해 조정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에 오프셋 조정 요청 신호를 입력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항상 출력할 수도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비교부(2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품 생산단계에 설정된 오프셋 값은 상기 영상 처리부(30)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영상 처리부(30) 내부 이외에도 상기 비교기(20) 또는 제어부(50)에 구비된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비교부(2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과 상기 영상 처리부(30)에 기 저장된 오프셋 값에 따른 블랙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50)에 오프셋 조정 요청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비교부(20)는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이 상기 영상 처리부(30)에 기 저장된 오프셋 값에 따른 블랙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50)에 현재 기 설정된 오프셋 값의 유지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30)를 통해 오프셋 조정 없이 상기 영상신호의 신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20)는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이 상기 영상 처리부(30)에 기 저장된 오프셋 값에 따른 블랙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설정된 오프셋 값을 조정하기 위한 오프셋 조정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교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오프셋 조정 요청 신호를 토대로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에 따른 오프셋 값이 설정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3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레벨 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조정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조정한다.
즉,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 범위가 현재 설정된 오프셋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신호의 어두운 부분(레벨이 낮은 부분)은 표현되지 못하고 묻히므로, 상기 실제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색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마다 사용하는 비디오 카드가 다르고, 또한 실제 입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이 조금씩 차이가 나며, 이로 인해 모니터마다 초기에 설정된 오프셋 값보다 레벨이 낮은 영상이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오프셋을 조정해줌으로써, 실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 블랙 부분이 묻히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정확한 색 계조 표현을 통해 최적의 화질로 해당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오프셋 조정 방법은 먼저 생산 단계에서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최적의 오프셋 값을 조정한다.
이어서 상기 조정된 오프셋 값을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오프셋 값은 고정되어 출시되며, 실제로 현재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오프셋 값을 유지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실제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랙 레벨을 검출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가장 낮은 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적용할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고정된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오프셋 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과 상기 제품 생산시 저장된 오프셋 값에 따른 블랙 레벨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이 상기 기 저장된 블랙레벨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이 상기 기 저장된 블랙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현재 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조정한다. 즉,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 범위가 모두 표현될 수 있는 오프셋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된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조정한다.
이어서, 상기 조정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 상기 검출된 블랙 레벨이 상기 기 저장된 블랙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기 저장된 오프셋 값을 유지하고 상기 단계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표시기기 및 오프셋 조정 방법은 모니터마다 사용하는 비디오 카드가 다르고, 또한 실제 입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이 조금씩 차이가 나며, 이로 인해 모니터마다 초기에 설정된 오프셋 값보다 레벨이 낮은 영상이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신호의 블랙 레벨을 기준으로 오프셋을 조정해줌으로써, 실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 블랙 부분이 묻히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정확한 색 계조 표현을 통해 최적의 개선된 화질로 해당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2191529호는 블랙 오프셋을 최소화하기 위한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프로젝터에 대하여 각각의 ITF(Intensity Transfer Function)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ITF 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젝터에 대한 최적의 블랙 오프셋(black offset)의 임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의 블랙 오프셋의 임계값을 상기 각각의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젝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복수의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이 투영된 스크린을 나타낸다. 프로젝터 1(210), 프로젝터 2(220), 프로젝터 3(230)의 3개의 프로젝터로 투영된 영역은 각각 영역 1(250), 영역 2(260), 영역 3(27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터 1(210)과 프로젝터 2(22)에 의해 투영된 영역은 중첩영역 1(255)을 갖고, 프로젝터 2(220)와 프로젝터 3(230)에 의해 투영된 영역은 중첩영역 2(265)를 갖는다.
이때, 블랙 오프셋 최소화 방법을 이용하여 중첩 영역 1(255)과 중첩 영역 2(265)의 밝기를 최대한 매끄럽게(seamless) 할 수 있다.
블랙 오프셋 최소화 방법은 각 프로젝터의 ITF(Intensity Transfer Function)를 추정하는 단계(S310), 프로젝터별 최적(optimal)의 블랙 오프셋 임계값(threshold)을 계산하는 단계(S320), 최적의 블랙 오프셋 값을 프로젝터로 투영할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각 프로젝터의 ITF(Intensity Transfer Function)을 추정하는 단계(S310)는 각 프로젝터에서 패턴 영상을 투영하고 스틸 카메라로 촬영한 후, ITF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영상은 프로젝터의 R,G,B 값의 밝기를 0에서 255까지 15씩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즉, (R,G,B)=(0,0,0), (R,G,B)=(15,15,15), (R,G,B)=(255,255,255)로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베이스 오프셋(base_offset) 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우선, 모든 프로젝터에서 동시에 퓨어 블랙(pure black) 영상((R,G,B)=(0,0,0))을 스크린에 투영하고, 스틸 카메라로 캡쳐한 후, 캡쳐된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젝터에 대한 모든 중첩영역(overlapping region 또는 O)과 비중첩영역(Non-overlapping region 또는 NB)의 평균 강도(intensity) 값을 계산하면, 이 평균 강도(intensity) 값이 base_offset 값이 된다. 이 평균 강도(intensity) 값을 base_offset에 대입하면, 프로젝터로 투영된 영상의 밝기와 ITF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좌측 영상(510) 및 우측 영상(550)의 밝기 강도를 조절하여 블랙 오프셋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로젝터별 최적(optimal)의 블랙 오프셋 임계값(threshold)을 계산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최적의 블랙 오프셋 임계값은 각각의 프로젝터에 대한 모든 중첩 영역의 평균 강도(intensity) 값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최적의 블랙 오프셋 값을 프로젝터로 투영할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S330)는 추정된 최적의 블랙 오프셋(black offset) 값을 각각의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에 적용한다. 일례로, 프로젝터 1의 최적 임계값(optimal threshold)이 20인 경우, 프로젝터 1에서 투영할 비중첩영역의 픽셀 중에서 RGB 값이 20 이하인 픽셀값을 20으로 변환한 후 스크린에 투영함으로써 블랙 오프셋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영할 비중첩영역의 픽셀 중에서 RBG 값이 (R,G,B)=(10,10,10)인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R,G,B)=(20,20,20)으로 변환하여 중첩 영역의 블랙 오프셋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은 스크린(610), 프로젝터(630), 스틸 카메라(650), 프로세서 모듈(6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610)은 복수의 프로젝터(630)를 이용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화면이다. 상기 스크린(610)에는 복수의 프로젝터(630) 영상들이 일렬로 표시될 수 있으며, 끊김 없는 자연스러운 영상 표시를 위하여 일부 영역에서는 프로젝터(630) 영상들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젝터(630)는 스크린(610)에 영상을 표시한다. 하나의 스크린(610)에는 복수의 프로젝터(631, 633, 635)들이 영상을 투영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각 프로젝터(621, 623)는 영상 투영에 따른 복수의 중첩되는 영역(255,26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630)는 각각의 프로젝터(631, 633, 635)에 대한 ITF(Intensity Transfer Function)를 추정하기 위하여 스크린(610)에 패턴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스틸 카메라(650)는 프로젝터(630)에서 패턴 영상을 투영하면, 각 프로젝터(631, 633)의 ITF를 구하기 위하여, 패턴 영상이 투영된 스크린(610)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670)은 스틸 카메라(650)에 의해 패턴 영상이 투영된 스크린(610)[0045] 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의 밝기 강도(intensity)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젝터(631, 633, 635)에 대한 ITF를 추정한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670)은 각각의 프로젝터(631, 633, 635)에 대한 최적(optimal)의 블랙 오프셋의 임계값(threshold)을 계산한다. 프로세서 모듈(670)에 의하여 블랙 오프셋의 임계값이 계산되면, 각각의 프로젝터(631, 633, 635)에서 영상 투영 시, 계산된 임계값(threshold) 이상의 밝기를 갖는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블랙 오프셋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크린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투영할 때 일어나는 블랙 오프셋(black offset) 현상을 최소화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매끄럽게(seamless) 투영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발명들은 완전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블랙레벨을 고정하는 기기라서 구조 자체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12655호(2021년09월15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206398호(2012년11월23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78026호(2011년10월24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빔프로젝터의 렌즈 가림막 형태로 마련되어 렌즈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하여 블랙 오프셋을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빔프로젝터의 렌즈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빔프로젝터의 상기 렌즈에서 이미지를 현출하기 위한 빔을 발산할 때에 블랙 레벨을 차단하는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빔프로젝터의 렌즈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은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각각 하나씩 상기 가림막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한 쌍의 가림막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의 렌즈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된 너트;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된 상기 너트에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프로젝터의 렌즈 앞쪽에 배치되는 마스킹 플레이트를 렌즈에 가까워지도록 후진시키거나 렌즈에서 멀어지도록 전진시켜서 블랙레벨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구비된다.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과 상기 연결 프레임판은 금속재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이고, 상기 가림막은 고무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는 장홀이 구비되고, 상기 장홀은 연결 프레임판의 좌측단과 우측단 방향 사이에서 길게 연장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는 상기 장홀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로 배치된 상기 장홀은 상기 연결 프레임판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두 개의 열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프레임판의 세로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 가로 방향으로 두 개 열과 세로 방향으로 두 개 행으로 상기 장홀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 총 네 개의 장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은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직립 프레임판 내부의 채널 공간부에 상기 가림막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직립 프레임판과 상기 가림막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은 서로 나란한 전방 채널편과 후방 채널편이 연결 채널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채널 공간부를 구비한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채널편에는 상기 후방 채널편보다 상부로 더 길게 연장된 결합 지지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지지판부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구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판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 삽입홀에 체결구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판의 장홀에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직립 프레임판이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에는 교차되도록 뒤쪽으로 연장된 고정 지지 프레임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에는 고정 가이드 장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장홀은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좌측단과 우측단 방향 사이에서 길게 연장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에는 상기 고정 가이드 장홀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로 배치된 상기 고정 가이드 장홀은 상기 고징 지지 프레임판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두 개의 열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징 지지 프레임판의 세로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에 가로 방향으로 두 개 열과 세로 방향으로 두 개 행으로 상기 고정 가이드 장홀이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에 총 네 개의 고정 가이드 장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의 상기 전방 채널편의 상기 결합 지지판부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부에는 교차되도록 뒤로 연장된 받침 지지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 지지판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판의 뒤쪽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을 아래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된 너트;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된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결합된 결합 가이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반절 볼트편;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상기 볼트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는 볼트 결합 해제 부재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외주면에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벌어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는 상기 볼트 결합 해제 부재가 상기 반절 볼트편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리트릿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리트릿 스프링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 해제 부재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가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이 벌어져서 상기 볼트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볼트가 상기 가림막에 내장된 상기 너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림막이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한 쌍의 가림막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의 렌즈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반절 다각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볼트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볼트 다각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 내부의 핸들측 볼트 결합홀의 내주면 일부에는 핸들측 다각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에 의해 한 쌍의 반절 볼트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볼트가 진원형 볼트로 유지되고, 상기 반절 다각형부는 상기 핸들측 다각형부에 걸려져서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을 돌림에 따라 상기 볼트도 같이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기단부에는 지지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의 내부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으로 구성된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핸들측 볼트 결합홀과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에 이어지되 그 직경은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의 직경보다 더 큰 지지 플랜지부 삽입홀과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과 상기 지지 플랜지부 삽입홀이 이어지는 부분에 지지 플랜지부 걸림 단차부와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의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과 상기 지지 플랜지부와 상기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는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 내부의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과 상기 지지 플랜지 삽입홀과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의 선단부에는 부재측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 플랜지 삽입홀과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부재 슬라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부재 슬라이드홀의 직경은 상기 지지 플랜지 삽입홀의 직경보다 더 작아서 상기 부재 슬리이드홀과 상기 지지 플랜지 삽입홀이 이어지는 부분에 리트릿 스프링 결합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의 내부에는 상기 부재 슬라이드홀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부재측 플랜지부에 연결된 리트릿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리트릿 스프링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가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상기 지지 플랜지부의 반대쪽으로 당겨서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 내부의 상기 테이퍼부가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의 상기 지지 플랜지부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를 누름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을 눌러서 상기 반절 볼트편 외주면의 나사부가 상기 너트의 나사부에서 벗어나서,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걸림턱(1502)을 구비한 삽입 지지부재;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에 구비된 상기 삽입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삽입 지지핀; 상기 삽입 지지핀에 결합된 결합 가이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 지지핀은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결합 걸림편(1520CST)이 구비된 한 쌍의 반절 핀부재;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상기 삽입 지지핀이 원형 핀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삽입 지지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벌어지는 언록킹 부재측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에는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의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반절 핀부재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이 구비되며, 상기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에 의해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 내주면의 상기 언록킹 부재측 테이퍼부가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 사이에 개재된 상기 삽입 지지핀 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가 벌어져서 상기 삽입 지지핀이 원형 핀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삽입 지지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 외주면의 결합 걸림편(1520CST)이 상기 가림막에 내장된 상기 삽입 지지부재의 걸림턱(1502)에 걸려서 결합됨으로써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림막이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한 쌍의 가림막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의 렌즈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를 누름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을 눌러서 상기 삽입 지지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 외주면의 결합 걸림편(1520CST)이 상기 가림막에 내장된 상기 삽입 지지부재의 걸림턱(1502)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의 렌즈 가림막 형태로 마련되어 렌즈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하고, 고무 재질로 제작하고,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하여 곡면 투사 영역에 대해 손쉽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에 의하면, 빔프로젝터의 빛이 나오는 렌즈의 좌우 양쪽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림막은 빔프로젝터의 렌즈 투사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막아서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줌으로써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빔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므로, 빔프로젝터의 렌즈에서 빛이 나올 때에 블랙 색상의 직립 프레임판과 연결 프레임판과 블랙 색상의 가림막이 산란광을 흡수하여 블랙레벨을 제거하여 블랙 오프셋을 확실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빔프로젝터를 활용한 상설전시장 공간 구성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체험전시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 2는 항해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이미지와 해군 가상훈련 함교 목업 3D 이미지,
도 3은 블랙레벨 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3은 블랙레벨 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4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과 엣지블랜딩기술이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정면 3D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후면 3D 이미지로서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의 현장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에 의해 블랙레벨이 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 중에서 한 쪽의 직립 프레임판의 안쪽 측면과 안쪽면 및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 중에서 다른 쪽의 직립 프레임판의 안쪽 측면과 안쪽면 및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가림막의 정단면과 측면과 평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연결 프레임판의 정면과 평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정면과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연결 프레임판의 정면과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과 좌우 가림막 및 복수개의 볼트를 분해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프레임판과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9는 도 18의 연결 프레임판과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하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0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한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1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다른 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의 일부와 가림막의 일부와 가림막에 내장된 너트와 볼트와 볼트 결합 해제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볼트 결합 해지 부재를 눌러서 너트와 볼트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의 일부와 가림막의 일부와 가림막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와 삽입 지지핀과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와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를 눌러서 삽입 지지부재와 삽입 지지판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전동모듈의 주요부인 서보모터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정면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보여줄 때에 렌즈에서 빛이 나오는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3은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의 일부를 정면 아래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4는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를 일측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가 결합된 상태와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정면 3D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후면 3D 이미지로서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의 현장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에 의해 블랙레벨이 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 중에서 한 쪽의 직립 프레임판의 안쪽 측면과 안쪽면 및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 중에서 다른 쪽의 직립 프레임판의 안쪽 측면과 안쪽면 및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가림막의 정단면과 측면과 평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연결 프레임판의 정면과 평면 및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정면과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인 연결 프레임판의 정면과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좌우 직립 프레임판과 좌우 가림막 및 복수개의 볼트를 분해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 프레임판과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9는 도 18의 연결 프레임판과 고정 지지 프레임판의 하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0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한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1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교정기의 다른 쪽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의 일부와 가림막의 일부와 가림막에 내장된 너트와 볼트와 볼트 결합 해제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볼트 결합 해지 부재를 눌러서 너트와 볼트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의 일부와 가림막의 일부와 가림막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와 삽입 지지핀과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와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를 눌러서 삽입 지지부재와 삽입 지지판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전동모듈의 주요부인 서보모터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동모듈과 빔프로젝터 및 마스킹 플레이트의 일부를 정면과 아래쪽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보여줄 때에 렌즈에서 빛이 나오는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3은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의 일부를 정면 아래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4는 도 28에 도시된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를 일측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3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마스킹 플레이트와 빔프로젝터가 결합된 상태와 빔프로젝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는 서포트 프레임(1100)과, 블랙 레벨 차단을 위한 가림막(1200)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가림막(1200)은 서포트 프레임(110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서 이미지를 현출하기 위한 빔을 발산할 때에 블랙 레벨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연결 프레임판(11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판(1130)을 포함한다. 서포트 프레임(1100)의 좌우 양쪽 측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볼트(1330)와 같은 연결구를 매개로 각각 하나씩 직립 프레임판(1120)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이 연결된 것을 프레임 조립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앞에서 볼 때에 디귿자의 개구된 부분이 밑으로 향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이 빔프로젝터(BPT)에 브라켓과 볼트(1330)와 같은 장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이 빔프로젝터(BPT)에 고정되고,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다. 빔프로젝터(BPT)가 지지 포스트와 지지 브라켓 등의 천정 고정부재에 의해 천정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이 천정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이 빔프로젝터(BPT)에 고정되고,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이 천정에 직접 지지 포스트와 지지 브라켓 등의 천정 고정부재에 의해 천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림막(1200)은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배치된다. 직립 프레임판(1120)은 내측단에 개방부가 있는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림막(1200)이 직립 프레임판(1120)의 내부 채널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직립 프레임판(1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너트(1320)와 볼트(1330)로 구성된다. 고정수단은 결합 가이드 핸들(1340)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1320)는 한 쌍의 가림막(1200)에 각각 구비된다. 너트(1320)가 각각의 가림막(1200)에 내장된 구조가 될 수 있다. 각각의 가림막(1200)에 복수개의 너트(132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Ю막? 배치된다.
상기 볼트(1330)는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가림막(1200)에 구비된 너트(1320)에 결합된다. 직립 프레임판(1120)은 전방 프레임편(1122)과 후방 프레임편(1124)에 측단 프레임편(1126)이 연결된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측단 프레임판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의 나사부에 상기 볼트(1330)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볼트(1330)가 가림막(1200)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로 들어와서 상기 너트(13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볼트(1330)에 의해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가림막(1200)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가림막(1200)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330)와 너트(1320)에 의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가림막(1200)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은 너트(1320)와 볼트(1330) 및 결합 가이드 핸들(13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볼트(1330)와 너트(1320)에 의해 한 쌍의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한 쌍의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직립 프레임판(1120)의 재질은 금속이면서도 색상은 블랙이고 가림막(1200)의 재질은 고무이면서도 색상은 역시 블랙이다. 상기 가림막(1200)의 일부는 직립 프레임판(1120)의 내측단에서 안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에서 한 쌍의 서로 마주하는 가림막(1200)의 일부가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의 내측단에서 더 안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은 볼트(1330)에 결합된다. 볼트(1330)의 기단부에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이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사람이 손으로 잡고 돌려서 볼트(1330)를 돌릴 때에 복수개의 홈에 손가락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돌릴 수 있으므로, 볼트(1330)를 돌리기가 수월하다.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연결 프레임판(1130)은 금속재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이고, 상기 가림막(1200)은 고무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으로 구성된다.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서 빛이 나올 때에 블랙 색상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블랙 색상의 가림막(1200)이 산란광을 흡수하여 블랙레벨을 제거하여 블랙 오프셋을 더 확실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에는 장홀이 구비되고, 상기 장홀은 연결 프레임판(1130)의 좌측단과 우측단 방향 사이에서 길게 연장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에는 장홀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다.
복수개로 배치된 장홀은 연결 프레임판(1130)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두 개의 열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의 세로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에 가로 방향으로 두 개 열과 세로 방향으로 두 개 행으로 장홀이 배치되어 연결 프레임판(1130)에 총 네 개의 장홀이 배치된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은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 내부의 채널 공간부에 가림막(1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직립 프레임판(1120)과 상기 가림막(1200)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은 서로 나란한 전방 프레임편(1122)과 후방 프레임편(1124)이 측단 프레임편(11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채널 공간부를 구비한 채널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편(1122)에는 후방 프레임편(1124)보다 상부로 더 길게 연장된 결합 지지판부(1122SP)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지지판부(1122SP)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체결구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판부(1122SP)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에 체결구(볼트(1330) 등이 될 수 있음)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의 장홀에 체결구를 결합하여,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이 연결 프레임판(113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이 연결된 것을 프레임 조립체라 할 수 있으며, 프레임 조립체는 앞에서 볼 때에 디귿자에서 개방된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의 결합 지지판부(1122SP)에 형성된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1330) 등)가 연결 프레임판(1130)의 장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의 좌우 양쪽 측단부와 인접한 전면에 각각 하나씩 직립 프레임판(11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의 장홀을 따라 상기 체결구와 직립 프레임판(1120)을 옮겨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가림막(1200)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의 규격에 대응하여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가림막(1200)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에는 교차되도록 뒤쪽으로 연장된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에는 고정 가이드 장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장홀은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의 좌측단과 우측단 방향 사이에서 길게 연장된 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에는 고정 가이드 장홀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다.
복수개로 배치된 고정 가이드 장홀은 고징 지지 프레임판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두 개의 열로 배치됨과 동시에 고징 지지 프레임판의 세로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에 가로 방향으로 두 개 열과 세로 방향으로 두 개 행으로 고정 가이드 장홀이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에 총 네 개의 고정 가이드 장홀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의 장홀에는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1330) 등)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의 장홀에 삽입된 상기 볼트(1330)는 천정이나 빔프로젝터(BPT)에 구비된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이 빔프로젝터(BPT)에 고정되고,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이 빔프로젝터(BPT)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과 연결 지지 프레임판(1131)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및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빔프로젝터(BPT)에 고정되도록 지지되고,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한 쌍의 가림막(12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의 좌우 양쪽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의 장홀을 따라 상기 체결구를 이동시켜서 연결 지지 프레임판(1131)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및 한 쌍의 가림막(1200)을 위치를 손쉽게 옮겨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의 전방 프레임편(1122)의 상기 결합 지지판부(1122SP)의 양쪽 측단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측단부에는 교차되도록 뒤로 연장된 받침 지지판부(1122LSP)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 지지판부(1122LSP)는 연결 프레임판(1130)의 뒤쪽으로 연장된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을 아래에서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과 연결 지지 프레임판(1131)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사이의 결합 구조가 상기 받침 지지판부(1122LSP)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빔프로젝터(BPT)에 상기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과 연결 지지 프레임판(1131)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및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빔프로젝터(BPT)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에 의하면, 빔프로젝터(BPT)의 빛이 나오는 렌즈(LZ)의 좌우 양쪽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림막(12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막아서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줌으로써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빔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므로,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서 빛이 나올 때에 블랙 색상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연결 프레임판(1130)과 블랙 색상의 가림막(1200)이 산란광을 흡수하여 블랙레벨을 제거하여 블랙 오프셋을 확실하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빔프로젝터(BPT)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설치 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빔프로젝터(BPT)를 활용한 전시공간에서 조도가 낮은 콘텐츠가 구현되는 공간의 경우, 다중 프로젝터 구성 시, 중첩되는 영역에서 조도의 상승으로 인한 블랙레벨 현상이 발생한다.
실제 환경에 가까운 요구 조건에서 훈련에 임하게 되는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에서 블랙레벨 현상은 많은 문제점이 되고 있다.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도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하는 주된 요소로 블랙레벨 현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을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BPT) 가동시에 완벽한 블랙레벨 제거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라이즈 기능을 통해 원격으로 쉽게 컨트롤이 가능하다. 모터라이즈 기능은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연결 프레임판(1130)과 천정이나 빔프로젝터(BPT)에 구비된 브라켓 등의 연결 지지 브라켓 사이에 모터를 장착하고, 모터의 모터축에 커넥터를 매개로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 또는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을 연결하고, 모터의 모터축은 원격 컨트롤러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원격에서 컨트롤러에 의해 모터의 모터축은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 또는 고정 지지 프레임판(1135)이 빔프로젝터(BPT)를 기준으로 각도가 회전되고, 연결 프레임판(1130)에 연결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한 쌍의 가림막(1200)의 각도도 회전됨으로써, 모터라이즈 기능을 통해 원격으로 쉽게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용화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 관리 솔루션에 옵션으로 기능 연동이 된다.
본 발명은 완전하지 못한 현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엣지 블랜딩 기술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광 등 조도가 현저히 낮은 공간에서 블랙레벨이 발생하는 곳에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효과를 연출한다.
설정을 통해 조도가 낮은 콘텐츠에서는 작동하고 조도가 높은 콘텐츠에서는 개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조절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으로 개발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BPT)를 활용한 전시 및 체험 공간을 제공한다.
빔프로젝터(BPT) 설치 시,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영업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목표는 블랙레벨에 대해 해외 파트너와 동일한 고민을 하고 있었으며, 모터라이즈 기능을 보완 완료된 시제품 출시 이후, 협의를 통해 수출 진행 예정이다.
본 발명의 제품 서비스의 개발동기는 다음과 같다.
현실처럼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환경을 구성한다.
전시 기술 및 가상체험 솔루션의 발전으로 현실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체험의 기회가 활발해 짐에 따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융복합 문화산업이자 미래 성장 동력의 킬러 콘텐츠로 성장하고 있다.
그 중 몰입 체감 등 신체 감각기관의 자극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가상현실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빔프로젝터(BPT)를 활용한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더욱더 현실감을 향상시켜준다. 도 1은 빔프로젝터(BPT)를 활용한 상설전시장 공간 구성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체험전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문화산업의 한 분야를 뛰어 넘어 국방 산업의 핵심 분야로 도약하고 있다.
실전과 같은 훈련이 가능한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의 등장으로 군사훈련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는 핵심 분야로 성장되고 있다.
특히, 해군, 공군 등 훈련 공간의 제약이 있는 병과에서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사업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도 2는 항해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이미지와 해군 가상훈련 함교 목업 3D 이미지이다.
빔프로젝터(BPT)를 사용한 공간 조성 시, 블랙레벨이 발생한다.
다수의 빔프로젝터(BPT)를 사용하여, 다중 화면을 구성할 때, 화면이 중첩되는 구간은 단일 화면보다 밝기가 상승한다.
이때. 중첩구간에서 밝아지는 현상을 블랙레벨이라고 표현한다. 도 3은 블랙레벨 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제품 내지 서비스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실감형 콘텐츠 체험 시,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중화면 구성 시, 블랙레벨 현상은 자연스러운 연속 화면이 아닌 단절된 느낌을 전달한다.
이로 인한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한다.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 되었으나, 그 효과는 미비하였다.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으로는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공간 조성 시, 효과가 있고, 주변 환경이 밝은 공간 조성 시,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엣지 블렌딩 기술이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으로는 주변 환경이 밝은 공간 조성 시, 효과가 있으나,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공간 조성 시, 효과가 있으나 어두운 블랙을 표현하기가 어렵다. 도 4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과 엣지블랜딩기술이 탑재된 하드웨어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현재까지 고비용 대비 저효율의 방법으로 대부분 구성 및 운영을 한다.
본 발명의 개발 방안으로는 제품 기능 보완 및 양산제품 출시한다.
프로토타입 디자인 보정 및 고정 기능 보완해서 제품을 출시한다.
전동 파트 추가된 시제품을 출시한다. 상기 모터라이즈 기능의 추가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다.
강한 내구성과 정밀 조정이 가능한 DC 모터를 선정하여 기존 모델 구조를 변경한다.
전동 모터 조정을 위한 PC 베이스 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개발 및 내구성/ 정밀 조정 한계점 테스트를 실시한다.
본 발명은 현 프로토타입 기능 보완 및 양산 제품을 출시한다.
제어보드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한다.
시제품 작동 및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원격 제어 솔루션 개발을 진행한다.(PC 베이스 제어 소프트웨어/ 모바일 기반 제어 앱 개발)
블랙레벨이 이슈가 되고 있는 국방 교육시설 및 일반 상설 전시장, 박물관, 미술관 등의 사이트 방문 영업을 통한 수익 창출 구조를 개발한다.
옥외용 시제품 개발 진행한다. 시제품에서 방진/방수 등급 IP66 이상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옥외 설치된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시제품을 개발한다.
본 발명은 현실처럼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환경 구성하고자 한다.
전시 기술 및 가상체험 솔루션의 발전으로 현실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체험의 기회가 활발해 짐에 따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융복합 문화산업이자 미래 성장 동력의 킬러 콘텐츠로 성장하고 있다.
그 중 몰입 체감 등 신체 감각기관의 자극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가상현실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빔프로젝터(BPT)를 활용한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더욱더 현실감을 향상 시켜준다.
문화산업의 한 분야를 뛰어 넘어 국방 산업의 핵심 분야로 도약하고 있다.
실전과 같은 훈련이 가능한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의 등장으로 군사훈련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는 핵심 분야로 성장되고 있다.
특히, 해군, 공군 등 훈련 공간의 제약이 있는 병과에서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사업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빔 프로젝터를 사용한 공간 조성 시, 블랙레벨 발생한다.
다수의 빔프로젝터(BPT)를 사용하여, 다중 화면을 구성할 때, 화면이 중첩되는 구간은 단일 화면보다 밝기가 상승한다.
이때 중첩구간에서 밝아지는 현상을 블랙레벨이라고 표현한다.
블랙레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이 등장이 필요하다.
빔프로젝터(BPT) 내 밝기에 해당하는 명도를 낮추고 색깔을 하나로 맞추기 위한 엣지블렌딩(Edge Blending) 기술이 개발되어 탑재된 하드웨어가 출시되는 것이 필요하다.
블랙레벨을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도 출시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될 수 있는 가림막(1200) 설치 방안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다.
현장에 가림막(1200) 설치 방안조차 시공하는 업체도 소수에 불과하다.
초기 방안의 문제점으로는 설치 방법이 어렵고 각도조절이 불가능하며, 한번 설치 이후 조절이 어렵다.
본 발명은 블랙 오프셋 보정기로 개발되었다.
아직까지 상용화된 시제품이 없고 본 개발사의 수많은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통해 프로토타입 개발이 완료된다.
고무재질로 가림막(1200)을 제작,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하여 곡면 투사 영역에 대해 커버가 손쉽게 가능하다.
실제 사업에 프로토타입 적용으로 인해 블랙레벨 현상 해소의 최고의 효과를 취득할 수 있다.
빔프로젝터(BPT)는 빛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 등을 스크린에 비추는 장치로서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션,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 시뮬레이터로서 사용된다.
빔프로젝터(BPT) 모듈은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LP) 방식으로 전원 장치와 레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DVD급 화질로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또한 피코(pico) 프로젝터라고 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와 연결하여 보고자 하는 콘텐츠를 빔 프로젝트 화면으로 방사하는 휴대용 영상 장비도 개발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빔프로젝터(BPT)는 빛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 등을 스크린에 비추는 장치이다.
세부 내용을 보면, 빔프로젝터(BPT)는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 시뮬레이터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 기술의 단점으로는 빔프로젝터(BPT)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설치 시, 조도가 낮은 콘텐츠의 경우, 다중 프로젝터의 중첩 영역에서 조도의 상승으로 인한 블랙레벨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인데, 블랙레벨 현상은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도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하는 주된 요소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한 본 발명에서는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를 가리는 가림막(1200) 형태로 구현하였다.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한다. 가림막(1200)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하여, 곡면 투사 영역에 대해 손쉽게 커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모터라이즈 기능을 통해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터라이즈 기능은 원격으로 주요부인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과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을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연결 프레임판(1130) 또는 연결 지지 프레임판(1131)에 모터의 모터축과 같은 조정 장치를 결합하고, 원격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정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종래의 문제로는 빔프로젝터(BPT)를 이용한 시뮬레이터 설치 시, 조도가 낮은 콘텐츠의 경우, 다중 프로젝터의 중첩 영역에서 조도의 상승으로 인한 블랙레벨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블랙레벨 현상은 국방 관련 가상훈련 시뮬레이터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박물관, 미술관, 상설 전시장 등에서도 관람객의 몰입감을 방해하는 주된 요소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가림막(1200) 형태로 마련되어 렌즈(LZ) 투사각을 물리적으로 막아 중첩되는 구간을 분리시켜 전체 면적이 균일한 밝기로 투사되도록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가림막(1200)은 고무 재질로 제작하고,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하여 곡면 투사 영역에 대해 손쉽게 커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모터라이즈 기능을 통해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컨트롤 시에 신속하고 원활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서포트 프레임(110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서 이미지를 현출하기 위한 빔을 발산할 때에 블랙 레벨을 차단하는 가림막(1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주요 특성인데,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과, 한 쌍의 집립 프레임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판(1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1200)은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인 복잡한 구성이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보다 심플한 구조에 의해서 빔프로젝터 작동시 블랙레벨을 제거한 것에서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정면 3D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 후면 3D 이미지로서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 프로토타입의 현장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블랙 오프셋 보정기에 의해 블랙레벨이 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가림막(1200)에 구비된 너트(1320)와,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에 구비된 상기 너트(1320)에 결합되는 볼트(1330)와, 상기 볼트(1330)에 결합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볼트(1330)는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과,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상기 볼트(1330)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을 포함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1120)의 일부와 가림막(1200)의 일부와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와 볼트(1330) 및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외주면에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벌어지는 테이퍼부(TPP)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가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리트릿 스프링(1460)이 구비되며, 상기 리트릿 스프링(1460)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 내주면의 테이퍼부(TPP)가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도록 밀려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에 의해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이 벌어져서 볼트(1330)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볼트(1330)가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반절 다각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볼트(1330)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볼트(1330) 다각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 내부의 핸들측 볼트 결합홀의 내주면 일부에는 핸들측 다각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에 의해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볼트(1330)가 진원형 볼트(1330)로 유지되고, 상기 반절 다각형부는 핸들측 다각형부에 걸려져서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돌림에 따라 상기 볼트(1330)도 같이 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돌림에 따라 볼트(1330)가 같이 돌아가면,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되어 있는 너트(1320)에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으로 이루어진 상기 볼트(1330)가 결합된다.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 외주면의 나사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나사산이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 내주면의 나사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을 포함하는 상기 볼트(1330)가 가림판 내부의 너트(1320)에 볼트(1330)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볼트(1330)와 너트(1320)에 의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내부의 채널 공간부에 한 쌍의 가림판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가림판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330PFF)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으로 구성된 볼트(1330)가 삽입되는 핸들측 볼트 결합홀과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에 이어지되 그 직경은 핸들측 볼트 결합홀의 직경보다 더 큰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과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이 이어지는 부분에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걸림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1330)의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은 결합 가이드 핸들(1340) 내부의 핸들측 볼트 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1330)의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330PFF)(정확하게는, 반절 볼트편(1330HBP)의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330PFF)이지만 편의상 볼트(1330)의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330PFF)라 함)는 결합 가이드 핸들(1340) 내부의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에 이어지면서 동시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므로, 상기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으로 이루어진 상기 볼트(1330)가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선단부에는 부재측 플랜지부(1453)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핸들측 볼트 결합홀에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부재 슬라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부재 슬라이드홀의 직경은 상기 핸들측 볼트 결합홀의 직경보다 더 커서 상기 부재 슬리이드홀과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외주면 사이에 리트릿 스프링 결합홀이 확보되고, 상기 리트릿 스프링 결합홀에는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외주면에 결합된 리트릿 스프링(146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상기 리트릿 스프링 결합홀에서부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푸시 작동홀(PDH)이 구비되고, 상기 푸시 작동홀(PDH)의 직경은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기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부재측 플랜지부(1453)의 직경보다 더 작아서, 상기 푸시 작동홀(PDH)의 내부 주위벽이 부재측 플랜지부 걸림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부재측 플랜지부(1453)가 상기 푸시 작동홀(PDH) 주위의 상기 부재측 플랜지부 걸림턱에 걸려지므로,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가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상기 부재 슬라이드홀에 내장됨과 동시에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동시에 부재측 플랜지부(1453)의 안쪽면에 걸려지는 리트릿 스프링(1460)이 구비되어, 상기 리트릿 스프링(1460)에 의해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가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반대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 내부의 상기 테이퍼부(TPP)가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전진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3은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를 눌러서 너트(1320)와 볼트(1330)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를 누름에 따라 테이퍼부(TPP)가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을 눌러서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 외주면의 나사부가 너트(1320)의 나사부에서 벗어나도록 하므로, 상기 볼트(1330)가 너트(1320)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볼트(1330)가 가림막(1200)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너트(1320)에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330)와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너트(1320)에서 빠지도록 당겨주면,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에서 볼트(1330)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서 가림막(12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림막(1200)을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볼트(1330)를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를 눌러주기만 하면,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에서 상기 볼트(133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림막(1200)을 직립 프레임판(1120)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볼트(1330)를 가림막(1200)에 내장된 너트(1320)에서 분리할 때에 사용자가 손으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손으로 잡고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를 눌러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주요부인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한 쌍의 가림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가림막(1200)에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걸림턱(1502)을 구비한 삽입 지지부재(1500)와,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가림막(1200)에 구비된 삽입 지지부재(15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20HPM)를 구비한 삽입 지지핀(1520)과, 상기 삽입 지지핀(1520)에 결합된 결합 가이드 핸들(1340)과,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와,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 내장되어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테이퍼부(TPP)가 반절 핀부재(1500HPM)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지하는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 지지핀 스프링(1520SPS)에 의해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20HPM)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삽입 지지핀(1520)의 진원형 핀으로 유지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직립 프레임판(1120)의 일부와 가림막(1200)의 일부와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와 삽입 지지핀(1520)과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와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은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결합 걸림편(1520CST)이 구비된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와,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삽입 지지핀(1520)이 원형 핀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삽입 지지핀 스프링(1520SPS)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의 외주면에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벌어지는 언록킹 부재측 테이퍼부(TPP)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테이퍼부(TPP)가 반절 핀부재(1500HPM)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지하는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1560)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가 구비(정확하게는, 반절 핀부재(1500HPM)의 기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가 구비되는데, 편의상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가 삽입 지지핀(1520)의 외주면에 구비된 것으로 기술하는 경우가 있음)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1500HPM)로 구성된 삽입 지지핀(1520)이 삽입되는 핸들측 핀결합홀과 상기 핸들측 핀결합홀에 이어지되 그 직경은 핸들측 핀결합홀의 직경보다 더 큰 핸들측 핀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측 핀결합홀과 핸들측 핀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이 이어지는 부분에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걸림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의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는 결합 가이드 핸들(1340) 내부의 핸들측 핀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의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정확하게는, 반절 핀부재(1500HPM)의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이지만 편의상 삽입 지지판의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1520PFF)라 함)는 결합 가이드 핸들(1340) 내부의 상기 핸들측 핀결합홀에 이어지면서 동시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핸들측 핀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므로, 상기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로 이루어진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이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선단부에는 부재측 플랜지부(1543)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핸들측 핀결합홀에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부재 슬라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부재 슬라이드홀의 직경은 상기 핸들측 핀결합홀의 직경보다 더 커서 상기 부재 슬리이드홀과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외주면 사이에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 결합홀이 확보되고, 상기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 결합홀에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외주면에 결합된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156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내부에는 상기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 결합홀에서부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핀푸시 작동홀(PDH)이 구비되고, 상기 핀푸시 작동홀(PDH)의 직경은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기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부재측 플랜지부(1453)의 직경보다 더 작아서, 상기 핀푸시 작동홀(PDH)의 내부 주위벽이 부재측 플랜지부 걸림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의 부재측 플랜지부(1543)가 상기 푸시 작동홀(PDH) 주위의 상기 부재측 플랜지부 걸림턱에 걸려지므로,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가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의 바깥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1556)에 의해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 내주면의 상기 언록킹 부재측 테이퍼부(TPP)가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반절 핀부재(1500HPM) 사이에 개재된 삽입 지지핀 스프링(1520SPS)에 의해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가 벌어져서 삽입 지지핀(1520)이 원형 핀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 외주면의 결합 걸림편(1520CST)이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의 걸림턱(1502)에 걸려서 결합됨으로써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의 외주면에는 결합 지지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로 이루어진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이 가림판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에 상기 걸림턱(1502)과 상기 결합 걸림편(1520CST)의 맞결합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의 측면 프레임편에 형성된 핀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의 측면 프레임판의 바깥면에 상기 삽입 지지핀(1520) 외주면의 상기 결합 지지 걸림턱(1502)이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 내부의 채널 공간부에 들어와서 결합되어 있는 상기 가림판이 직립 프레임판(1120)의 상기 채널 공간부에서 안쪽으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4 참조.
한편, 도 25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를 눌러서 삽입 지지부재와 삽입 지지핀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를 누름에 따라 테이퍼부(TPP)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서 삽입 지지핀(15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반절 핀부재(1500HPM) 외주면의 결합 걸림편(1520CST)이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의 걸림턱(1502)의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이 가림막(1200)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삽입 지지부재(1500)에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지지핀(1520)과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상기 삽입 지지부재(1500)에서 빠지도록 당겨주면,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에서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서 가림막(12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림막(1200)을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1540)를 눌러주기만 하면,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에서 상기 삽입 지지핀(152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림막(1200)을 직립 프레임판(1120)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수월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삽입 지지핀(1520)을 가림막(1200)에 내장된 삽입 지지부재(1500)에서 분리할 때에 사용자가 손으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손으로 잡고 삽입 지지핀(1520) 해제 부재를 눌러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주요부인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에 한 쌍의 가림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마스킹 플레이트(기존 3D 이미지) 파트에서 좌우측 레버를 통해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좌우측 레버는 좌우측 볼트(1330)이다.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는 서포트 프레임(1100)과 가림막(1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가 어두운 영상에서 효과가 있지만, 밝은 영상에서는 중첩구간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면 투사 영역에 그림자가 생기는 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쪽에 배치되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렌즈(LZ)에 가까워지도록 후진시키거나 렌즈(LZ)에서 멀어지도록 전진시켜서 블랙레벨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전동모듈을 장착하여, 어두운 영상일 때에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앞으로 밀어 블랙레벨 현상을 제거하고, 밝은 영상일때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렌즈(LZ)쪽으로 최대한 붙여서 블랙레벨 현상을 제거하도록 운영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모듈이 장착되어 기존의 수동 제품들과의 차별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는 엘엠 가이드와 같은 전후 이동 가이드 수단에 의해 빔프로젝터(BPT)를 지지하는 빔프로젝터 서포트 프레임(1710)에 장착되어,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에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가 배치되고, 상기 엘엠 가이드는 빔프로젝터 서포트 프레임(1710)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 레일편(1732)과,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레일편(17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레일편(17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동모듈은 상기 빔프로젝터 서포트 프레임(1710)에 장착되어 모터축이 빔프로젝터 서포트 프레임(17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서보모터(1740)와, 상기 서보모터(1740)의 모터축에 구비된 볼스크류와,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에 결합된 상기 이동 레일편(1734)에 장착되고 동시에 상기 볼스크류에 결합된 볼스크류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모듈에서 서보모터(174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스크류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스크류 너트와 이동 레일편(1734)과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쪽에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서보모터(1740)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볼스크류가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스크류 너트와 이동 레일편(1734)과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가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쪽에서 렌즈(LZ)와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모듈은 서보모터(1740)와 엘엠 가이드와 볼스크류 및 볼스크류 너트 이외에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에서 전진하거나 후진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전동모듈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전동모듈의 작동에 의해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에 보다 가까이 후진시키거나 렌즈(LZ)에서 보다 멀어지도록 전진시킬 수 있으므로, 어두운 영상일 때에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플레이트를 앞으로 밀어 블랙레벨 현상을 제거하고, 밝은 영상일때는 플레이트를 렌즈(LZ)쪽으로 최대한 붙여서 블랙레벨 현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모듈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기존에 수동 제품들과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0. 서포트 프레임 1120. 직립 프레임판
1122. 전방 프레임편 1122SP. 결합 지지판부
1122LSP. 받침 지지판부 1124. 후방 프레임편
1126. 측단 프레임편 1200. 가림막
1130. 연결 프레임판 1135. 고정 지지 프레임판
1320. 너트 1330. 볼트
1330HBP. 반절 볼트편 1330SPS. 스페이싱 스프링
1336. 볼트 결합 해제 부재 1340. 결합 가이드 핸들
1460. 리트릿 스프링 1500. 삽입 지지부재
1502. 걸림턱 1520. 삽입 지지핀
1520HPM. 반절 핀부재 1520CST. 결합 걸림편
1520PFF. 핀측 포지션 고정 플랜지부 1540. 삽입 지지핀 언록킹 부재
1556. 언록킹 리트릿 스프링

Claims (5)

  1.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서포트 프레임(1100);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상기 렌즈(LZ)에서 이미지를 현출하기 위한 빔을 발산할 때에 다중 프로젝터의 중첩 영역에서 조도의 상승으로 인한 블랙레벨 현상을 차단하는 가림막(1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은,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직립 프레임판(1120);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판(1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1200)은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상기 가림막(1200)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이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에 구비된 너트(1320);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에 구비된 상기 너트(1320)에 결합된 볼트(1330);
    상기 볼트(1330)에 결합된 결합 가이드 핸들(13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트(1330)는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반절 볼트편(1330HBP);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서 상기 볼트(1330)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의 외주면에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 해지 부재(145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벌어지는 테이퍼부(TPP)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핸들(1340)에는 상기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의 상기 테이퍼부(TPP)가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지하는 리트릿 스프링(1460)이 구비되며,
    상기 리트릿 스프링(1460)에 의해 상기 볼트 결합 해제 부재(1336) 내주면의 상기 테이퍼부(TPP)가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의 기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 사이에 개재된 상기 스페이싱 스프링(1330SPS)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반절 볼트편(1330HBP)이 벌어져서 상기 볼트(1330)가 원형 볼트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볼트(1330)가 상기 가림막(1200)에 내장된 상기 너트(13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림막(1200)이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100)에 한 쌍의 가림막(1200)이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와 인접한 좌우 양쪽 위치에 한 쌍의 상기 가림막(120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프로젝터(BPT)의 렌즈(LZ) 앞쪽에 배치되는 마스킹 플레이트(1100MSP)를 렌즈(LZ)에 가까워지도록 후진시키거나 렌즈(LZ)에서 멀어지도록 전진시켜서 블랙레벨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직립 프레임판(1120)과 상기 연결 프레임판(1130)은 금속재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이고, 상기 가림막(1200)은 고무이면서 동시에 색상은 블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5. 삭제
KR1020210143383A 2021-10-26 2021-10-26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KR10235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99A KR102385174B1 (ko) 2021-10-26 2022-01-06 빔프로젝터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오프셋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37 2021-10-26
KR20210143237 2021-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999A Division KR102385174B1 (ko) 2021-10-26 2022-01-06 빔프로젝터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오프셋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98B1 true KR102350198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83A KR102350198B1 (ko) 2021-10-26 2021-10-26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빔프로젝터 전동식 블랙 오프셋 교정기
KR1020220001999A KR102385174B1 (ko) 2021-10-26 2022-01-06 빔프로젝터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오프셋 교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999A KR102385174B1 (ko) 2021-10-26 2022-01-06 빔프로젝터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오프셋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0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084A (ko) 2022-04-28 2023-11-06 파콤 주식회사 전동 블랜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710A (ja) * 2000-11-07 2002-05-22 Olympus Optical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78026B1 (ko) 2011-04-19 2011-10-31 홍국선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마스크리스 노광기
KR101206398B1 (ko) 2011-02-07 2012-11-29 안덕근 투사렌즈차단판이 구비된 빔프로젝터
KR20210112655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빔 프로젝터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710A (ja) * 2000-11-07 2002-05-22 Olympus Optical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206398B1 (ko) 2011-02-07 2012-11-29 안덕근 투사렌즈차단판이 구비된 빔프로젝터
KR101078026B1 (ko) 2011-04-19 2011-10-31 홍국선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마스크리스 노광기
KR20210112655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빔 프로젝터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084A (ko) 2022-04-28 2023-11-06 파콤 주식회사 전동 블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174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5544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viewing surface dependent image correction
US4656506A (en) Spherical projection system
US6905218B2 (en) Panoramic and horizontally immersiv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5448287A (en) Spatial video display system
US9547228B2 (en) Method of correcting image-overlapped area, recording medium and execution device
US201102858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atrical followspot control interface
US20100188488A1 (en) Video customization and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RU2450477C2 (ru) Система окружающего освещения на основе проекторов
JP2007535215A (ja) 補助ビジュアル表示システム
CN105324995B (zh) 用于生成多投影图像的方法和系统
CA2944949C (en) Automatic chroma key background generator with incident key lighting
KR102385174B1 (ko) 빔프로젝터 다중프로젝션 중첩구간 블랙레벨 제거용 오프셋 교정기
WO2015038862A1 (en) Depth key compositing for video and holographic projection
KR20150066936A (ko) 영상 중첩 영역의 보정 방법, 기록 매체 및 실행 장치
TWI746466B (zh) 沉浸式顯示器外殼
KR101248909B1 (ko) 3d 정보 획득장치 및 이의 광원 구동방법, 그리고, 3d 정보 획득 시스템
CN109618089A (zh) 智能化的拍摄控制器、管理控制器及拍摄方法
US5313276A (en) Method for prepa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audiovisual system for displaying thereof
Lampi et al. An automatic cameraman in a lecture recording system
Akiyama et al. Robust reflectance estimation for projection-based appearance control in a dynamic light environment
US2016011961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US11922539B2 (en) Exercise instruction apparatus
JPH0421219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10185297A1 (en) Multi-spectral volumetric capture
Fukaya et al. An effective interaction tool for performance in the virtual studio-invisible light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