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82B1 -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82B1
KR102350182B1 KR1020200106567A KR20200106567A KR102350182B1 KR 102350182 B1 KR102350182 B1 KR 102350182B1 KR 1020200106567 A KR1020200106567 A KR 1020200106567A KR 20200106567 A KR20200106567 A KR 20200106567A KR 102350182 B1 KR102350182 B1 KR 10235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rtual fitting
user
top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돈
양인성
최경찬
김대성
조은진
문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0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2005/2726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for simulating a person's appearance, e.g. hair style, glasses,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는, 가상 피팅을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가상 피팅을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가상 피팅을 위해 선택된 의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제1 타임스탬프에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제1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의상 정보 및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의상 정보, 제1 타임스탬프와 다른 제2 타임스탬프에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제2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를 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VIRTUAL FITTING SERVICE AND METHOD OF THEREOF}
실시예는,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옷을 오프라인으로 구매할 경우, 옷을 보는 것만으로는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직접 매장에서 옷을 입어보게 되는데, 가상 피팅 서비스는 실제로 옷은 입었다 벗었다 반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현재 서비스되는 가상 피팅 서비스는 대부분 전용 키오스크를 통해 나를 닮은 가상 아바타가 가상의 옷을 입는 서비스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전용 키오스크가 필수적이며, 가상의 아바타가 제공되므로 실제 영상에 대비하여 몰입도가 떨어진다. 또한, 가상 피팅 서비스의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움직일 시, 프로세스에 의한 딜레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상 피팅 서비스의 종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1263호 “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전용 키오스크 없이 XR 기술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하게는, 영상 인식 기술 및 라이다(Lidar), ToF(Time to Flight) 센서를 결합하여 신체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아바타 대신 실사 이미지에 가상 의류를 합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MEC(Mobile Edge Computing)을 이용하여 실시간에 가까운 가상 피팅 서비스의 스트리밍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서비스는 전용 키오스크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으로 제공되는 앱(110), MEC의 서비스 서버(120), 3D 심도(depth) 카메라(130), 셋톱박스(140) 및 TV(150)를 통해 실감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앱(110)을 통해 가상 피팅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110)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피팅을 위한 의상과 배경에 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정보는 MEC 기반의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앱(110)으로부터 가상 피팅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하면, 카메라(130)를 동작시킴으로써 카메라(130)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MEC(mobile edge computing) 기반으로 운영되어 서비스를 위한 딜레이(Delay)를 줄일 수 있다.
카메라(130)는 독립형 depth 카메라에 해당할 수 있고, RGB 카메라와 ToF(Time of Flight) 센서, 라이다(Lidar) 센서(Structured Light 방식), 풍속 및 풍향 센서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Visual odometry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검색하고, 전방의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고, 센서로부터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Lidar 센서 및/또는 ToF센서를 이용하여 허리, 가슴, 엉덩이 등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사용자를 촬영하고,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카메라(130)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사용자에 대한 촬영 영상, 센서 값 등의 부가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카메라(130)는 동일한 타임스탬프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셋톱박스(14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20) 및 셋톱박스(140)는 각각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120) 및 셋톱박스(140)는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고 신체 윤곽선을 기준으로 배경과 피팅 대상을 구분하여 분리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가상 의류를 가상으로 합성함으로써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20) 및 셋톱박스(140)는 동일한 타임스탬프에 대응하는 영상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나, 서비스 서버(120)는 MEC 기반의 높은 컴퓨팅 능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고, 셋톱박스(140)는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서버(120) 및 셋톱박스(140)는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에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자원(resource)의 양은 셋톱박스(140)에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자원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20)는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셋톱박스(14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14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 및 셋톱박스(140)에서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여, 둘 중 하나의 가상 피팅 영상을 TV(15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 피팅 영상은 스트리밍 형식으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셋톱박스(140)는 셋톱박스(140)에서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과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여 둘 중 하나의 가상 피팅 영상을 TV(15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140) 및 서비스 서버(120) 각각에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이하고, 서비스 서버(120)에서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이 셋톱박스(140)로 전송되는 데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셋톱박스(140)에서 비교하는 두 가상 피팅 영상의 타임스탬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140)에서 생성된 제1 가상 피팅 영상이 제1 타임스탬프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제2 가상 피팅 영상은 제1 타임 스탬프와 다른 제2 타임스탬프에 대응하여 생성된 것이다. 제1 타임 스탬프는 제2 타임 스탬프의 이전 또는 이후가 될 수 있다.
셋톱박스(140)는 타임스탬프가 상이한 두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TV(150)로 전송하고, 반대로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경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TV(150)로 전송함으로써 딜레이가 적은 실시간 스트리밍 형식의 영상 합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딘계(201)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은 사용자로부터 의상 정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의상들 중 사용자가 가상 피팅을 원하는 의상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202)에서 앱은 의상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로 가상 피팅 요청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해당 신호는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203)에서 가상 피팅 요청을 받은 카메라는 사용자를 추적 및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은 이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204)에서 카메라는, 단계(203)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영상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신체 사이즈, ToF(Time of Flight) 센서 정보, 라이다(Lidar) 센서 정보, 풍향 및 풍속 센서 정보를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영상 및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HDMI, Wi-Fi, RJ45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는 각각 전송받은 영상 및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205)에서 셋톱박스는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신체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더불어, 셋톱박스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가상 의류와 합성하여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셋톱박스는 추출된 신체 윤곽선에 대응하여 가상 의류의 위치를 결정하고 실사인 영상에 합성을 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가상 의류에 풍향 및/또는 풍속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옷감의 흔들림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셋톱박스는 의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의류의 합성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206)에서 서비스 서버는,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카메라에서 전송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영상으로부터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거나 골격 인식을 통해 가상 의류의 위치를 결정하고, 실사 영상에 대해서 가상 의류를 합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가상 의류에 풍향 및/또는 풍속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옷감의 흔들림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영상 인식을 통해 해당 영상이 사용자의 전면인지 후면인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후면으로 인식되는 경우,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스마트폰의 앱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가상 피팅된 후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207)에서 서비스 서버는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셋톱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가상 피팅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제1 가상 피팅 영상,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을 제2 가상 피팅 영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208)에서 셋톱박스는 두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고, TV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피팅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는 동일한 타임스탬프에 대응하는 영상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나, 서비스 서버는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고, 셋톱박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는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 및 서비스 서버 각각에서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이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가상 피팅 영상이 셋톱박스로 전송되는 데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셋톱박스에서 실시간으로 비교하게 되는 두 가상 피팅 영상의 타임스탬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제1 가상 피팅 영상이 제1 타임스탬프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가상 피팅 영상은 제1 타임 스탬프와 다른 제2 타임스탬프에 대응하여 생성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신체 윤곽선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전송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신체 윤곽선을 비교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신체 윤곽선의 차이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두 가상 피팅 영상 각각의 신체 윤곽선을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해당 비율에 따라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비교 결과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선택하고, 반대로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경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209)에서 셋톱박스는, 두 가상 피팅 영상에 대해서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선택된 가상 피팅 영상을 TV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비교 결과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TV로 전송하고, 반대로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경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TV로 전송함으로써 딜레이가 적은 실시간 스트리밍 형식의 영상 합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TV는,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을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TV는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가상 피팅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가상 피팅 요청 이후에 카메라(300)의 정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해 손끝 위치(301)를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 가슴, 엉덩이 등에 대해서 손끝 위치(301)를 조정할 수 있고, 카메라(300)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손끝 위치(301)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의 앱은 가상 피팅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해 손끝 위치(301)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안내 문구, 안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300)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300)는 손끝 위치(301)를 고려하여 카메라를 Tilt, Pan, Roll함으로써 라이다(Lidar) 및 ToF(Time of Flight) 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라이다 및 ToF 센서는 해상도가 낮으므로, 사용자와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된 카메라의 위치에서 라이다 센서 및/또는 ToF 센서를 통해 손끝 위치(301) 및 카메라(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두 센서 중 신뢰도가 높은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Lidar(Structured Light 방식) 센서는 ToF 센서보다 사용 가능한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고 거리 측정이 정확하나 빛이 없는 어두운 곳이나 밝은 햇볕을 등져 역광이 생기는 경우 인식이 잘 되지 않는다. 카메라는 Lidar센서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ToF센서 값을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300)에서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손끝 위치(301)에 골무를 착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골무는 표면에 특정 디자인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300)는 풍속, 풍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풍속, 풍향 센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시 합성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영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으로부터 신체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나 손끝 위치를 알아낼 수 있고,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에 대해 Tilt, Pan, Roll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로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카메라의 위치는 카메라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410)는 원본 영상, 예컨대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해당하고, 영상(420)은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를 통해 신체 윤곽선이 추출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는 영상(410)에 대해서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는 손끝 위치에 기초하여 신체 둘레,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암(Upper arm), 소매 길이(Sleeve length), 가슴 둘리, 허리 둘레, 허벅지 둘레, 안쪽 솔기(Inseam) 등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에서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손끝 위치에 골무를 착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골무는 표면에 특정 디자인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제어 명령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점선 화살표는 제어 명령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며, 진한 화살표는 미디어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510), 서비스 서버(520), 카메라(530), 셋톱박스(540) 및 TV(550)는 각각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 메모리(미도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미도시)를 포함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510)은 설치된 앱의 사용자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해당 UI를 통해 가상 피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을 위한 배경 및 의상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포함할 수 있고, UI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20)는, MEC 기반으로 운영되어 신호 처리의 딜레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가상 의류 피팅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20)는 수신된 가상 피팅 요청 신호를 카메라(5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530)를 동작시킴으로써 가상 피팅을 위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카메라(53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이나 손끝 위치 등을 추출할 수 있고, 카메라(530)를 tilt/pan/roll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여 카메라와 사용자 간 거리 측정을 위한 최적의 각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카메라와 사용자 간 거리가 최소 값이 되는 각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530)는 RGB 카메라와 ToF(Time of Flight)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고, 풍속 및 풍향 센서를 독립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530)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위치를 tilt/pan/roll/zoom이 가능할 수 있다. 카메라(530)의 동작은 서비스 서버(520)의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카메라(530)는 손끝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손끝 위치를 기반으로 카메라를 tilt/roll/zoom함으로써 ToF 센서와 Lidar 센서가 사용자와 카메라(5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530)는 촬영된 영상 및 관련된 부가 정보를 서비스 서버(520) 및 셋톱박스(54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20)는 카메라(5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영상 및 ToF 센서, Lidar 센서 정보)를 통해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고,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할 수 있다. 배경이 제거된 신체 윤곽선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배경과 가상의류가 합성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20)는 합성된 가상 피팅 영상을 셋톱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540)는 서비스 서버(520)로부터 받은 가상 피팅 영상을 디코딩하여 TV(또는 모니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DMI 등의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셋톱박스(540)는 서비스 서버(520)로부터 가상 피팅을 위한 의상 정보를 수신하고 카메라(530)로부터 영상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셋톱박스(540)는 카메라(530)에서 받은 영상에서 신체 윤곽선 추출하고 신체 윤곽선의 변화 추이를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은 경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가상 피팅 영상을 TV(55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셋톱박스(540)에서 합성한 영상을 TV(55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두 가상 피팅 영상의 신체 윤곽선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두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을 TV(550)로 전송할 수 있다.
TV(550)는, 셋톱박스(540)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영상은 가상 피팅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을 위한 시스템의 스마트폰(510), 서비스 서버(520), 카메라(530), 셋톱박스(540) 및 TV(550)의 동작은 도 2의 설명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 기술이 활용되어 가상 피팅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610)의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의상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과 비슷한 의상을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610)을 통해 비슷한 의상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620)는 방송 서버(630), 예컨대 IP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대해서 해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서버(630)는 실시간 방송 및 VOD를 셋톱박스(64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송 서버(630)는 수신된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요청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의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메타 데이터로 실시간 방송 및/또는 VOD를 검색하여 특정 장면을 찾아낼 수 있다. 방송 서버(630)는 셋톱박스(640)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을 압축 및 변환하고 암호화하여 관리 및 배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640)는 방송 서버(630)로부터 검색된 장면, 즉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의상과 비슷한 의상이 검색된 장면을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또는 VOD를 수신하고, 가상 피팅 영상과 동기화하여 TV(6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또는 VOD와 전송될 가상 피팅 영상을 TV(650)로 동시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셋톱박스(640)는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방송과 전송될 가상 피팅 영상을 TV(65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에, TV(650)는, 스포츠 중계 화면과 가상 피팅 영상을 동시에 스트리밍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비슷한 의상이 검색된 VOD(예컨대, 드라마의 영상 등)과 가상 피팅 영상을 동시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셋톱박스(640)는 사용자의 앱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에 대응하여 단순히 사용자의 현재 모습을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예에서,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해 가상 피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710)의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 정보를 검색하여 가상 피팅 영상의 합성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710)을 통해 배경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배경 설정의 요청 시점은, 의상 정보의 선택과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서버(720)는 방송 서버(730), 예컨대 IP 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대해서 해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서버(730)는 배경 설정 요청에 대응하여 실시간 방송 및 VOD를 셋톱박스(740)로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서버(730)는 수신된 배경 설정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배경 요청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로 실시간 방송 및/또는 VOD를 검색하여 특정 장면 또는 특정 배경을 찾아낼 수 있다. 방송 서버(730)는 셋톱박스(740)로 전송하기 위해 검색된 영상을 압축 및 변환하고 암호화하여 관리 및 배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740)는 방송 서버(730)로부터 검색된 배경이 포함되는 실시간 방송 또는 VOD를 수신하고, 가상 피팅 영상에 합성하여 TV(7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화면을 가상 피팅 영상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TV(75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가상 피팅을 위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가상 피팅을 위해 선택된 의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제1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1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의상 정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와 다른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를 TV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의 제1 신체 윤곽선과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제2 신체 윤곽선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체 윤곽선과 상기 제2 신체 윤곽선 사이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타임스탬프와 상기 제2 타임스탬프 사이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를 TV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임스탬프와 상기 제2 타임스탬프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상기 TV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임스탬프와 상기 제2 타임스탬프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상기 TV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풍향 및 풍속 정보를 반영한 옷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서 감지된 풍향 센서 정보 및 풍속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및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는,
    상기 사용자의 손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손끝 위치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끝 위치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단계
    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서 계산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를 TV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 및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TV로 동시에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요청된 배경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와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TV로 동시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영상에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가 합성된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1. 가상 피팅을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가상 피팅을 위해 선택된 의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제1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1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가상 피팅 영상과 비교되어,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가 TV로 전송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풍향 및 풍속 정보를 반영한 옷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제1 타임스탬프에서 감지된 풍향 센서 정보 및 풍속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는,
    상기 사용자의 손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손끝 위치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끝 위치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단계
    를 통해 계산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배경 영상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신호를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박스에서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배경 영상에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가 합성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7. 가상 피팅을 위한 카메라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신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피팅 영상이 생성되도록 서비스 서버 및 셋톱박스로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의 타임스탬프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셋톱박스에서 각각 상기 영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가 TV로 전송되는,
    카메라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손끝 위치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손끝 위치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동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타임스탬프에서 감지된 풍향 센서 정보 및 풍속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동작 방법.
  2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가상 피팅을 위한 셋톱박스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단말에 의해 가상 피팅을 위해 선택된 의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제1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1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의상 정보, 상기 제1 타임스탬프와 다른 제2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2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를 TV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셋톱박스
  22. 가상 피팅을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가상 피팅을 위해 선택된 의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제1 타임스탬프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제1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상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을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제2 타임스탬프의 촬영 환경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가상 피팅 영상과 비교되어,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 중 하나가 TV로 전송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가상 피팅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서비스 서버.
KR1020200106567A 2020-08-24 2020-08-24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67A KR102350182B1 (ko) 2020-08-24 2020-08-24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567A KR102350182B1 (ko) 2020-08-24 2020-08-24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82B1 true KR102350182B1 (ko) 2022-01-11

Family

ID=7935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567A KR102350182B1 (ko) 2020-08-24 2020-08-24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621B1 (ko) 2023-05-18 2023-12-14 김광훈 가상 피팅 기능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372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정지영상 프레임 표시방법
KR20120076492A (ko) * 2010-11-26 2012-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 인식 기반의 가상 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93087B1 (ko) * 2020-01-13 2020-03-24 최정훈 의류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372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정지영상 프레임 표시방법
KR20120076492A (ko) * 2010-11-26 2012-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 인식 기반의 가상 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93087B1 (ko) * 2020-01-13 2020-03-24 최정훈 의류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621B1 (ko) 2023-05-18 2023-12-14 김광훈 가상 피팅 기능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459B1 (ko) 라이브 방송의 특수 효과 처리 방법, 장치 및 서버
US10488195B2 (en) Curated photogrammetry
US1029325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sition detection
CN102467661B (zh) 多媒体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70180680A1 (en) Object following view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US1038267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7033853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80182114A1 (en) Generation apparatus of virtual viewpoint image,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50294492A1 (en) Motion-controlled body capture and reconstruction
WO2017043332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50310619A1 (en) Single-Camera Distance Ranging Method and System
US2021008423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camera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9997171B (zh) 显示装置以及存储有程序的记录介质
CN103475805A (zh) 主动式距离对焦系统及方法
KR101758271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자 제스쳐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102350182B1 (ko) 가상 피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3019375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光标控制方法及其系统
CN106370883B (zh) 一种测速方法及终端
US202003426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encoding from media for mechanical output
US201403105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media information
KR102299565B1 (ko) 실시간 방송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인물 객체를 인식하고 영상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07667522A (zh) 调整活动图像的长度
KR101273634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복수 객체 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220245885A1 (en) Volumetric Imaging
KR20120050614A (ko) 멀티미디어 장치와 복수 개의 이종 이미지 센서 그리고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