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830B1 -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830B1
KR102349830B1 KR1020190156885A KR20190156885A KR102349830B1 KR 102349830 B1 KR102349830 B1 KR 102349830B1 KR 1020190156885 A KR1020190156885 A KR 1020190156885A KR 20190156885 A KR20190156885 A KR 20190156885A KR 102349830 B1 KR102349830 B1 KR 10234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server
user terminal
share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358A (ko
Inventor
팽동은
손명균
강재윤
박상우
노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5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8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 수신시, 시야 확인 가능 여부에 따라 수거 출동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패널티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Shared kickboard theft and loss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 가능한 간편 이동수단은 자전거,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이동수단과 공공으로 사용 가능한 공공이동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이동수단은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ㆍ반납 체계를 갖춰 주민들에게 빌려 주는 이동수단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는 자전거가 있다. 이외에도 전동 킥보드 등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들도 이용할 수 있다. 자전거를 예로 설명하면, 공공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 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 자전거 공유 서비스는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한 2000년대 이후에 전세계에서 시행되고 있다. 국내의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는 서울시의 서울 자전거 따릉이, 경기도 고양시의 피프틴, 안산시의 페달로(Pedalro), 세종특별자치시의 어울링, 대전광역시의 타슈, 경상남도 창원시 누비자, 전라남도 여수시의 유바이크(U-Bike) 등이 있다. 외국의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는 중국의 오포(Ofo), 모바이크(Mobike), 프랑스 파리의 벨리브(Velib), 캐나다 몬트리올의 빅시(Bixi), 미국 보스턴의 허브웨이(Hubway), 미국 시카고의 디비(Divvy) 등이 있다.
공유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전용 거치대에서만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고, 차체에 GPS를 탑재해 전용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어디에서나 빌릴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고, 차체의 QR 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스캔해 자물쇠를 열고, 자전거를 이용한 후, 전용 거치대에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하여 세워두는 기술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공유 자전거 대여 서비스는 자전거 크기로 인하여 전용 거치대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전용 거치대의 면적 제한으로 인하여 많은 지역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유 자전거 대여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최근 공유 킥보드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공유 자전거와 달리 공유 킥보드 서비스는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치 않으며, 지정된 거치대에 공유 자전거를 반납할 필요 없이 반납 및 대여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층의 호응이 매우 좋다.
이러한 공유 킥보드의 경우 지정된 위치에서 반납 및 대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악용하여 불법적으로 공유 킥보드를 사유화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0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33114호
본 발명은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이용이 불가능한 공유 킥보드에 대한 사유를 신고받아 도난 및 분실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유 킥보드를 일부 사용자들이 사유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 수신시, 시야 확인 가능 여부에 따라 수거 출동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패널티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야 확인 불가 메시지 수신시 수거 단말로 수거 출동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수거 단말에 의해 미발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최종 사용자 단말로 반납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 단말에 의해 발견 메시지 수신시, 상기 수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야 확인 가능에 따른 사유화 의심 신고 메시지 수신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크레딧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유화 의심 신고 메시지 수신시,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최종 사용자의 단말로 반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사용자에 상응하여 누적 신고 횟수에 따라 상이한 패널티를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티는, 경고, 일정 기간 이용 정지, 영구 정지 및 추가 가입 제한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표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가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기준 거리 초과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a)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 수신시, 시야 확인 가능 여부에 따라 수거 출동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패널티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야 확인 불가 메시지 수신시 수거 단말로 수거 출동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수거 단말에 의해 미발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최종 사용자 단말로 반납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유 킥보드의 도난 및 분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사용자에 의해 공유 킥보드가 사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이용 및 신고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복수의 공유 킥보드(120) 및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와 연동되어 공유 킥보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킥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당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와 연동되어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공유 킥보드 정보를 출력하며,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와 연동되어 선택한 공유 킥보드에 대한 알람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유 킥보드를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30)에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한 위치에 당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유 킥보드가 보이지 않거나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이를 통지할 수도 있다.
복수의 공유 킥보드(120)는 GPS 모듈이 장착되며,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유 킥보드(120)는 GPS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 킥보드(12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로부터 알람 표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공유 킥보드(120)는 시청각 정보의 형태로 알람 표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공유 킥보드(120)는 알람 표출 신호에 따라 알람 소리를 표출할 수 있으며, 전조등(또는 LED 라이트)가 깜빡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유 킥보드(120)는 다양한 구성을 구비하되, 서버(130)의 다양한 형태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서버(130)는 공유 킥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 및 공유 킥보드(120)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 인접한 공유 킥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어느 하나의 공유 킥보드가 선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이용 및 결제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킥보드에 대한 이용 및 결제 방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주요 논지인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기준 거리(예를 들어, 50m) 이내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 공유 킥보드는 서버(130)의 알람 표출 신호에 따라 시청각 정보의 형태로 알람을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가 알람을 표출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인접 위치의 공유 킥보드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신고에 따른 사유에 기반하여 해당 공유 킥보드의 직전 사용자의 단말로 반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패널티를 부과할 수도 있다.
또한, 이용 불가 신고한 사용자 단말(110)에 상응하여 크레딧을 부여할 수도 있다.
서버(130)는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신고에 따른 사유가 시야 확인 불가인 경우, 수거 단말로 수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거 요청은 위치 수거 대상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수거 요청에 상응하여 수거 단말로부터 미발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수거 대상 공유 킥보드를 최종 사용한 사용자 단말(110)로 반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30)는 동일 사용자가 동일 사유로 정상적으로 공유 킥보드를 반납하지 않는 경우 사용 제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사용자의 공유 킥보드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이용 및 신고를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단계 210에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130)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한 공유 킥보드 정보(예를 들어,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당해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유 킥보드의 대략적인 위치를 출력하여 공유 킥보드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110)상에 출력된 킥보드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버(130)는 지도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내에 위치한 공유 킥보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10)은 자신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내에 위치한 공유 킥보드를 검색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 킥보드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방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215에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알람 표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도 4과 같이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공유 킥보드를 선택하여 "소리 내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알람 표출 요청을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알람 표출 요청은 타겟 공유 킥보드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알람 표출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215에서 대기하거나 단계 225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알람 표출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계 220에서 서버(130)는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한다.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타겟 공유 킥보드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예를 들어, 50m) 이내인 경우에만 알람 표출 신호를 타겟 공유 킥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 거리 초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는 공유 킥보드와의 거리 초과로 인한 안내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출력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알람 표출 요청에 포함된 타겟 공유 킥보드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버(130)는 타겟 공유 킥보드가 알람을 표출할 수 있도록 알람 표출 신호를 타겟 공유 킥보드로 전송한다.
서버(130)에 의해 알람 표출 신호가 전송된 타겟 공유 킥보드는, 해당 알람 표출 신호에 따라 알람을 시청각 정보의 형태로 표출할 수 있다. 즉, 타겟 공유 킥보드는 소리를 출력하고, 전조등을 켜거나 깜빡이며 알람을 표출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타겟 공유 킥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경우, 단계 230에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용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타겟 공유 킥보드(120)의 잠금을 해제하여 타겟 공유 킥보드를 이용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킥보드의 이용을 위한 절차 및 이에 따른 과금 등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주요 논지와 관련이 있는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만일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계 235에서 서버(130)는 시야 확인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타겟 공유 킥보드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고 사유를 포함하는 신고 메뉴를 포함하는 UI가 사용자 단말(110)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신고 메뉴가 시야 확인 불가능 신고 메뉴인 "보이지 않아요"와 사유화 의심 신고 메뉴인 "사유화가 의심돼요"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신고 메뉴는 이 외에도 더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만일 서버(130)는 시야 확인 불가능 신고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계 240에서 서버(130)는 오차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수거 단말로 수거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수거 요청은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거 요청에 따라 수거반이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에 따라 출동할 수 있다.
즉, 타겟 공유 킥보드가 보이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보이지 않아요"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시야 확인 불가능 신고 메시지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불가능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단계 245에서 서버(130)는 수거 단말로부터 발견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수거 단말로부터 발견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즉, 타겟 공유 킥보드 미발견시), 단계 250에서 서버(130)는 최종 사용자 단말로 반납 위치 확인 문자를 전송한다.
또한, 서버(130)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해당 타겟 공유 킥보드의 QR 코드 스캔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그러나, 만일 발견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계 255에서 서버(130)는 수거 단말로부터 타겟 공유 킥보드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업데이트 한다.
다시 단계 235에서 시야 확인 가능한 경우, 단계 260에서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현장 사진을 업로드받고, 최종 사용자 단말로 반납 요청 문자를 전송한다. 도 8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출력되는 사유화 의심 신고 메뉴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유화 신고 유형, 사유, 위치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사유화 의심 신고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 크레딧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 단계 265에서 서버(130)는 최종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동일 사유 신고가 누적된 경우 누적 횟수에 따라 상이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티는 단순 경고, 1주일 이용 정지, 영구 정지 및 추가 회원 가입 제한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30)는 누적 횟수가 2회인 경우, 단순 경고로 패널티를 최종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으며, 누적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1주일 이용 정지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누적 횟수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영구 정지 및 추가 회원 가입 제한등의 패널티를 최종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즉, 서버(130)는 지속적으로 공유 킥보드를 사유화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공유 킥보드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70에서 서버(130)는 신고한 사용자 단말(110)에 크레딧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크레딧은 포인트로 부과될 수도 있으며, 무료 이용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에 주요 길목에 제공된 복수의 공유 킥보드를 관리자가 일일이 사유화 여부, 도난 및 분실 관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유 킥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신고를 받아 관리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이용에 따른 크레딧을 제공하여 서로간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통신부(910), 메모리(920) 및 프로세서(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9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 공유 킥보드(12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910)는 사용자 단말(110) 및 공유 킥보드(120)로부터 각각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9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910), 메모리(9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되, 프로세서(93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공유 킥보드
130: 서버

Claims (7)

  1. (a)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겟 공유 킥보드로 알람 표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이용 불가 확인 메시지 수신시, 서버가 시야 확인 가능 여부에 따라 수거 출동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패널티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야 확인 불가 메시지 수신시 수거 단말로 수거 출동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서버에 상기 수거 단말에 의해 미발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최종 사용자 단말로 반납 위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거 단말에 의해 발견 메시지 수신시, 상기 서버가 상기 수거 단말로부터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야 확인 가능에 따른 사유화 의심 신고 메시지 수신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크레딧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유화 의심 신고 메시지 수신시, 상기 서버가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최종 사용자의 단말로 반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최종 사용자에 상응하여 누적 신고 횟수에 따라 상이한 패널티를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티는, 경고, 일정 기간 이용 정지, 영구 정지 및 추가 가입 제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람 표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유 킥보드의 위치가 상기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기준 거리 초과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KR1020190156885A 2019-11-29 2019-11-29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85A KR102349830B1 (ko) 2019-11-29 2019-11-29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85A KR102349830B1 (ko) 2019-11-29 2019-11-29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58A KR20210067358A (ko) 2021-06-08
KR102349830B1 true KR102349830B1 (ko) 2022-01-11

Family

ID=7639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885A KR102349830B1 (ko) 2019-11-29 2019-11-29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15A (ko) 2021-10-20 2023-04-27 (주)수니크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30056210A (ko) 2021-10-20 2023-04-27 (주)수니크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14B1 (ko) 2010-04-16 2011-05-11 주식회사 빅텍 자전거 대여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디어 아직도 못 타봄 (2019.07.20. 공개), 출처 : https://blog.naver.com/hailey023/221590832234*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디어 이용후기 (2019.05.03. 공개), 출처 : https://blog.naver.com/wo__ok_/2215283248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58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7689B2 (en) Apparatus and system to manage monitored vehicular flow rate
US11301693B2 (en) Managed access system for traffic flow optimization
EP2750116B1 (en) Automatic regulated parking system and method
CN106710291B (zh) 停车场的停车位获取方法及装置
US20150221140A1 (en) Parking and tollgate payment processing based on vehicle remote identification
US20170230790A1 (en) Geospatial asset track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nipulating and presenting telematic metadata
US20170178511A1 (en) Determining parking status and parking availability
US10535021B2 (en) Application-based commercial groun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US20170294117A1 (en) Move over slow drivers
US20150142533A1 (en) Method for location-based vehicle parking management and parking-fee payment enforcement
KR102349830B1 (ko) 공유 킥보드 도난 및 분실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62145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
WO2012174590A1 (en) Digital identification device for vehicles
CN109671270B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Aljohani et al. A survey of parking solutions for smart cities
US20210224820A1 (en) Management of vehicles on public infrastructure
Alsaffar et al. Smart transportation system: a review of security and privacy issues
Lotlikar et al. Smart parking application
CN102915599A (zh) 一种无人值守校园自行车租赁系统
JP2018093318A (ja) 対象物特定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03700256A (zh) 一种用于卡口管理的方法和系统
JP2009294935A (ja) 違反態様入力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違反態様入力支援方法
Bala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the vehicle tracking and dispatch industry: an applied experience
US11917395B2 (en) Connected vehicle services privacy and protection
Jai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Cyber-Physical Transport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