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25B1 -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25B1
KR102349725B1 KR1020210002083A KR20210002083A KR102349725B1 KR 102349725 B1 KR102349725 B1 KR 102349725B1 KR 1020210002083 A KR1020210002083 A KR 1020210002083A KR 20210002083 A KR20210002083 A KR 20210002083A KR 102349725 B1 KR102349725 B1 KR 10234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evices
information
control de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118A (ko
Inventor
김준형
천재익
공동건
김세훈
배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0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06F21/335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for accessing specific resources, e.g. using Kerberos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7Managing security policies for mobile devices or for controlling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해서 등록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동시에 수신할 기기들을 하나의 모드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모드 별 선택된 기기 및 해당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모드 별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기들과 전달하는 과정과, 구성 정보를 생성한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의 실행 지시를 상기 기기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FOR A SMART HOME SERVICE}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발전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기, 전자 제품이 유무선 시스템 하나로 연결되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지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 폰(smart phone)이 등장함에 따라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스마트 폰의 사용이 다양화됨에 따라 스마트 홈 서비스가 실질적인 생활에 이용되는 횟수가 빈번해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홈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개선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해서 등록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동시에 수신할 기기들을 하나의 모드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모드 별 선택된 기기 및 해당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모드 별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기들과 전달하는 과정과, 구성 정보를 생성한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의 실행 지시를 상기 기기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기기로부터 특정 모드로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하고 있는 구성 정보들 중 상기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모드의 구성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한 후, 상기 명령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어 기기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해서 등록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동시에 수신할 기기들을 하나의 모드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모드 별 선택된 기기 및 해당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모드 별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기들에게 전달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성 정보를 생성한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로의 실행 지시를 상기 기기들에게 전달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부를 통해서 제어 기기로부터 특정 모드로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하고 있는 구성 정보들 중 상기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모드의 구성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한 후, 상기 명령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어 기기에게 전달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서비스에 등록된 다수의 기기들에게 제어 기기가 사전에 설정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단일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기기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 생성 및 설정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귀가 모드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드 설정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영화 감상 모드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드 설정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response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에 의한 모드 서비스 실행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Activation Request/Response의 일 예,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모드 서비스 생성 및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기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모드 서비스 실행 절차의 일 예,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 기기의 구성도의 일 예,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피 제어 기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를 실행하는 피 제어 기기의 구성도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100)는 일 예로, 제어 기기(Controller device, 104)와, 피 제어 기기(Controlled device, 102), 연결 서버(Connectivity server, 102), 계정 서버(Account server, 108) 및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11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 기기(104)는 사용자가 스마트 홈 서비스에 이용할 가전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mobile) 기기나 TV(televis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피 제어 기기 (102)는 상기 제어 기기(104)에 의해서 제어되며, 세탁기,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기기 등이 해당한다. 상기 계정 서버(108)는 상기 제어 기기(104)의 사용자 계정 관리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단일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제어 기기(102)를 상기 연결 서버(106) 및 상기 서비스 서버(12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 서버(102)는 상기 제어 기기(104)와 상기 피 제어 기기(102) 간 메시지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을 구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서버(102) 및 계정 서버(108)는 스마트 홈 서비스 외 다른 서비스에도 활용될 수 있는 공용 서버이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스마트 홈 서비스만을 위해서 운용되는 서버로서, 스마트 홈 기기 정보 회람을 위해 스마트 홈 기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를 위한 모든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어 기기(104)에서 실행되는 스마트홈 앱(Smart Home Mobile App)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하여, 기기 정보를 새로이 등록하거나 회람할 수 있으며,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피 제어 기기들의 일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들을 등록, 회람 및 삭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홈 서비스에서 제어기기가 다수의 기기들을 단일 명령을 통해서 동시에 제어하는 모드 서비스 및 이를 실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는 해당 명령이 실행되어야 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명령을 수신한 가전 기기가 즉시 해당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수신한 단일 명령 내에 설정된 시간에 상응하게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서비스 내의 피 제어 기기들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는 사전에 설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번의 명령을 스마트 홈 서비스에 등록한 다수의 기기들에게 전달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기기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의 동작 절차는 설명의 편의상 모드 서비스 생성 절차, 모드 서비스 설정 절차, 및 모스 서비스 실행 절차의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서비스 생성 절차에서는, 제어기기가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가 용도 별로 동시에 제어를 원하는 다수의 기기들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기기의 동작 기능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핑된 그룹 별 구성하는 기기들의 정보(예를 들어, device ID)와, 해당 기기의 동작 기능을 포함하는 모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각 모드 별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모드 서비스 설정 절차에서는, 상기 제어기기기 상기 모드 서비스 생성 절차에 따라 생성된 모드 별 모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사전에 홈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기기들에게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에게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드 서비스 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모드 서비스 실행 절차에서, 상기 제어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모드 서비스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모드 서비스 명령을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상기 모드 서비스 명령에 대응하는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들 각각이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설정된 명령 실행 시점에서 해당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 생성 및 설정 절차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는 일 예로, 도 1의 구성을 따르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 계정 서버(108)에 로그인되어,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임을 가정한다. 상기 로그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02a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등록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Device Info. Request를 송신한다. 그리고, 202b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등록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의 정보(Devices info)를 포함하는 Device Info. Response를 수신한다.
그러면, 204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 기기들의 정보를 통해서, 자신이 위치한 홈 네트워크 일 예로, 도 1의 홈 네트워크(100) 내에 등록된 피 제어 기기의 상세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Device discovery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상세 정보는, 해당 기기의 모델명, 제조사 및 사양 등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상태 정보는 해당 기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 운용 상태, 이용 가능 상태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evice discovery 동작을 통해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홈 네트워크 내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기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206단계에서 상기 제어기기(104)는 상기 획득한 기기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 별로 동시에 동작시키기 원하는 기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 각각이 수행해야 할 동작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상황 별로 선택된 기기들과, 해당 기기들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해당 그룹 별로 해당 상황에 상응하는 모드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황에 대응하는 모드는 해당 사용자가 외출하였다가 홈 네트워크로 돌아오는 귀가(away made) 모드,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를 떠나는 외출 모드, 홈 네트워크 내에서 취침 또는 기상을 위한 취침/귀가 모드, 홈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가 영화를 관람하는 영화 감상 모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206단계에서의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모드 별 선택된 기기 및 기기가 수행해야 하는 동작 등을 모드 설정 정보(Mode configuration)로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귀가 모드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드 설정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귀가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는 일 예로, 속성(attribute) 및 명령 각각을 위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로는, 귀가 모드의 명칭을 설명하는 "description"과, 각 기기의 해당 명령의 즉각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enabled" 과, 해당 명령의 재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Dsiposable" 각각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enable은 해당 명령에 대해 서비스 요청 시 실행할 것을 지시하는 "false"로 설정되어 있고, "disposable"은 해당 명령을 실행 후 삭제하지 말고 유지하라는 "false"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만약, 상기 enable이 "true"로 설정된 경우, 해당 명령에 대해 즉각 실행의 지시를 의미하며, "상기 disposable가 "false"로 설정될 경우, 해당 명령 실행 후 바로 삭제하라는 1회성 지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속성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은 상기 귀가 모드를 위해서 선택된 기기 일 예로, 3개의 기기 즉, 에어컨, 조명 및 TV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기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상기 속성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명령의 경우, 일 예로, 상기 선택된 3개의 기기 각각에 대해 기기 정보인 "device" 와 실행해야 하는 동작 정보 "action"을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기 3개의 기기들 모두의 action이 "전원을 켜는 것(power on)"으로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각 기기 별로 상이한 action이 설정될 수도 있고, 일부 기기들의 action 만이 중복되는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영화 감상 모드에 대해 설정 가능한 모드 설정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화 감상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 역시 속성 및 명령 각각을 위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로는, "watching movie"로 설정된 "description"과, 모두 "false"로 설정된 "enabled" 및 "Disposable"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성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은 상기 귀가 모드를 위해서 선택된 기기 일 예로, 2개의 기기 즉, 조명 및 스피커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기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상기 속성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명령의 경우, 상기 조명 및 스피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된 "action"을 포함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조명의 액션은, 영화 감상을 위해서 미리 설정된 어두운 조명 상태를 지시하는 "Dim2"로 설정되고, 상기 스피커의 액션은 파워 온과 함께 설정된 볼룸 크기 "Volume 5"로 설정되어 있다.
이후, 208a단계 내지 208b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206단계에서 생성하여 저장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들을 포함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를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가 생성한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들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송하는 동작은, 방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등록된 기기들이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들을 포함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가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 모두에게 전송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한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은 등록된 기기들 각각에게 미리 결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전송되거나, 릴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에 대한 제어기기(104)의 전송 방식은, 후술될 도 9a 내지 도 10c를 통해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를 통해서 모드 설정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는, 상기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를 통해서 획득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들을 저장한다.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한 피 제어 기기는 해당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한 모드 설정 정보 중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된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가 상기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를 통해서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귀가 모드와 영화 감상 모드 각각에 대한 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모두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의 디바이스 ID를 포함한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는 상기 귀가 모드와 영화 감상 모드 각각에 대한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 에에 따라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 모두 상기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홈 네트워크(100)의 홈 서비스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는 다른 제어 기기로부터 다른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 기기(104)를 통해서 이전에 설정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동일 모드에 대해 다른 제어 기기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는 동일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들을 사용자 또는 제어 기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 식별자를 매핑시킬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사용자가 피 제어 기기에게 특정 모드에 대한 실행 지시에 자신의 식별자 또는 제어 기기의 식별자를 포함시켜 전송함에 따라, 피 제어 기기는 저장하고 있는 동일 모드의 모드 설정 정보 중 해당 사용자 또는 제어 기기의 모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드 설정 정보에 상응하게 해당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피 제어 기기(104)로부터 송신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의 수신에 대한 확인의 의미로,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는 각각 210a 단계 내지 210b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에게 Mode Configuration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response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의 경우, 일 예로, 새로운 모드로 외출 모드(away mode)의 생성을 요청하고 있으며, 상기 홈 네트워크 내에 등록된 기기들 각각을 지정하는 device ID와, 실행 동작을 "power off"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각 액션의 속성값으로, 앞서 설명한, "enable" 및 "disposable" 모두 "false"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Mode Configuration Setup response의 경우, 상기 외출 모드에 대한 모드 설정 정보를 설정한 기기가 Location 헤더에 상기 외출 모드에 대해 할당한 모드 ID(일 예로, ID는 "4"인 경우)를 포함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와 피 제어 기기들은 상기 제어 기기에 의해서 생성된 모드 설정 정보들이 미리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212a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서비스 서버(110)에게 206단계에서 생성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들을 포함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게 송신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는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송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quest와 달리, 각 기기로부터 모드 설정 정보 설정 후 수신한 Mode Configuration Setup response를 통해서 획득한 모드별 할당된 모드 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212b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수신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212c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모드 설정 정보를 설정한 상기 제어 기기(104)에게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를 Mode Configuration Setup response로서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자신에게 정보 접속 권한을 가지는 다른 스마트 폰들에게도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Mode Configuration Setup response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서 각 모드 ID 정보는 해당 액션의 명칭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별 할당된 모드 ID 정보를 통해서 해당 모드를 제어 기기 및 피 제어 기기들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가 수행하는 모드 서비스 실행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는 일 예로, 도 1의 구성을 따르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가 제어 기기가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등록된 피 제어 기기들 및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후 서비스 서버(110)로의 접속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제어 기기 일 예로, 스마트 폰은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 내에 이미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정보 수신을 할 필요는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에서 제어기기(104)는 상기 계정 서버(108)에 로그인된 상태이며,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인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기(104)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모드 설정 정보들을 전달한 도 2의 제어기기(104)와 동일한 제어기기일 수도 있고, 도 2의 방식으로 모드 설정 정보들을 전달한 상태인,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 권한을 갖는 도 2의 제어 기기(104)와는 상이한 제어 기기일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 역시 저장하고 있는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에 대해 사용자 식별자를 매핑시켜 사용자 또는 제어 기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602a단계에서 상기 제어기기(104)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저장된 모드 설정 정보들에 대응하는 모드들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Mode List request를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기기(104)는 사용자 식별자를 상기 Mode List request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Mode List request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Mode List request 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된 모드별 모드 구성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드 구성 정보들에 대응하는 모드들을 mode list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602b단계에서 상기 제어기기(104)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mode list를 수신한다.
상기 mode list는 상기 제어 기기(104)의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면, 604단계에서 상기 제어기기(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Mode List들 중 실행하고자 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606a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104)는 상기 선택된 모드의 실행을 요청하는 "Mode Activation Request"를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의 실행 요청 역시 208a단계 내지 208b단계에서의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와 같이 등록된 기기들에게 방송하는 형태로 전송되거나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되거나 릴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 제어 기기1(102a) 및 피 제어 기기2(102b)에 대한 제어기기(104)의 전송 방식은, 후술될 도 9a 내지 도 10c를 통해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등록된 기기들이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 모두 "Mode Activation Request"를 수신한다. 이때, 선택된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해 할당된 모드 ID를 포함시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Mode Activation Request"를 수신한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 각각은 상기 "Mode Activation Request"에 포함된 모드 ID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 각각은 저장하고 있는 모드 설정 정보들 중 상기 모드 ID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피 제어 기기는 Mode Activation Request의 "Action" 속성 정보에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 모두 상기 모드 ID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608a 내지 608b단계 각각을 통해서, 상기 피 제어 기기1(102a)와, 상기 피 제어 기기2(102b) 는Mode Activation Request의 "Action" 속성 정보에 상응하는 동작의 실행 완료를 나타내는 Mode Activation Response를 상기 제어기기(104)에게 전달한다.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모드 ID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에 디바이스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해당 피 제어기기는 아무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자신이 Mode Activation Request의 "Action" 속성 정보에 상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대상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Mode Activation Response를 상기 제어기기(104)에게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ode Activation Request/Response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ode Activation Request는 일 예로, Away mode의 액션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헤더 정보에 상기 Away mode의 모드 ID가 1.1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Mode Activation Response는 상기 Mode Activation Request를 수신한 해당 피 제어 기기가 상기 모드 ID 1.1에 대응하는 상기 away mode의 모드 설정 정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없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모드 ID 1.1에 대한 동작 대상이 아님을 나타내는 No content를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모드 서비스 생성 및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기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800단계에서 서비스 서버와 로그인 상태인 제어 기기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홈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기기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기기들에 대해 모드 서비스를 수행할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모드 서비스 생성 절차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802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상기 획득한 기기들에게 전달한다. 상기 모드 설정 정보의 전달 방식은 실시 예에 따라 방송되거나 순차적으로 전송되거나 릴레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기기들로부터 상기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의 수신 확인에 대한 수신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수신 확인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확인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 확인을 수신하면, 806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는 서비스 서버에게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의 수신 확인을 수신함에 따라 모드 서비스 생성 및 설정 절차를 완료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의 모드 서비스 실행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810단계에서 서비스 서버와 로그인 상태인 제어 기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모드 설정 정보들에 대응하는 모드 리스트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모드 리스트를 수신하면, 812단계에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모드 리스트가 포함하는 모드들 중 실행하고자 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의 실행 요청을 상기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행 요청 역시 실시 예에 따라 방송되거나 순차적으로 전송되거나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는 앞서 설명한 과정들을 통해서 획득한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와, 상기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한 모드의 실행 요청 등을 한번에 해당 피 제어 기기들에게 방송하는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가 모드 설정 정보 및 모드의 실행 요청을 피 제어 기기들에게 방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일 예로, 홈 네트워크(900)는 상기 홈 네트워크(900)에 포함된 피 제어기기들(904 내지 906)에게 모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기기(90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기기(902)는 일 예로, 냉장고인 피 제어기기1(904)와, 에어컨인 피 제어기기2(906) 및 로봇 청소기인 피 제어 기기3(908) 각각에게 도 2 내지 도 8b의 실시 예에 따라 획득한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방송하는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는 특정한 피 제어 기기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피 제어 기기가 다른 피 제어기기에게 다시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하는 릴레이(relay)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가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릴레이 방식으로 전달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b의 홈 네트워크가 도 9a의 홈 네트워크(9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도 9b를 참조하면, 제어기기(902)가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일 예로, 피 제어기기1(904)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피 제어기기1(904)는 피 제어 기기2(906)에게 수신된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이를 수신한 피 제어 기기2(906) 역시 피 제어 기기3(908)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릴레이 방식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각 피 제어 기기를 통해서 다른 피 제어기기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실행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순서를 기반으로 하는 릴레이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도 9c의 홈 네트워크가 도 9a의 홈 네트워크(9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해당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기기(902) 및 피 제어기기1~3(904~908) 각각에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이 전달되는 순서인 경로 설정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일 예로, 상기 경로 설정 정보가, 피 제어기기1(904), 피 제어기기2(906) 및 피 제어기기(908) 순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제어기기(902)가 상기 경로 설정 정보의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순서인 피 제어기기1(904)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상기 피 제어 기기1(904)가 상기 순서에 따라 두 번째 순서인 상기 피 제어 기기2(906)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피 제어 기기2(906)는 자신의 다음 순서인 피 제어기기3(908)에게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전달한다.
상기한 경로 설정 정보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기에 의한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해당 피 제어 기기들은 모드 설정 정보에 포함된 경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피 제어 기기의 식별자를 자신이 실행 명령을 전달할 피 제어 기기로 인지하고, 해당 피 제어 기기에게 실행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설정된 경로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릴레이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상, 도 9d의 홈 네트워크 역시 도 9a의 홈 네트워크(9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도 9d를 참조하면, 제어기기(902)가 모드 설정 정보를 등록된 피 제어 기기들 중 하나인 피 제어기기1(904a)에게 전달한다. 이때, 상기 모드 설정 정보(904b)의 타겟 디바이스 ID는 상기 피 제어 기기1(904a)의 ID인 'xxx'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모드 설정 정보를 전달할 다음 디바이스의 ID가 상기 피 제어 기기2(906a)의 'yyy'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피 제어 기기2(906a)는 상기 모드 설정 정보(904b)의 다음 디바이스 ID에 대응하는 상기 피 제어기기2(906a)에게 모드 설정 정보(906b)를 전달한다. 상기 모드 설정 정보(906b) 역시, 상기 모드 설정 정보(906b)의 타겟 디바이스 ID 및 다음 디바이스 ID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모드 설정 정보(906b)의 다음 디바이스 ID가 피 제어 기기3(908a)를 지시하는 'zzz'임을 확인하면, 상기 피 제어 기기2(906a)는 상기 피 제어 기기3(908a)에게 모드 설정 정보(908b)를 전달한다. 상기 피 제어 기기3(908a)에게 전달된 모드 설정 정보(908b)의 경우 더 이상 모드 설정 정보를 전달할 피 제어 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음 디바이스 id를 'null'로 설정한 상태이다.
도 9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가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이 릴레이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e의 홈 네트워크 역시 도 9a의 홈 네트워크(9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도 9e를 참조하면, 제어기기(902)는 도 9b의 홈 네트워크가 도 9a의 홈 네트워크(9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도 9e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 기기(902)가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최초에 전달할 피 제어 기기 일 예로, 피 제어 기기1(904)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이 순차적으로 전달할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예를 들어, 상기 라우팅 테이블이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이 전달될 피 제어 기기들의 디바이스 ID들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일 예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이, 'xxx->yyy->zzz'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최초로 수신한 디바이스 ID 'xxx'에 대응하는 피 제어 기기1(904)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의 순서에 따라 자신의 디바이스 ID 다음에 위치한 디바이스 ID 'yyy'에 대응하는 다음 피 제어 기기 즉, 상기 피 제어 기기2(906)에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과 함께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상기 피 제어기기2(906) 역시 자신의 디바이스 ID 다음에 위치한 디바이스 ID 'zzz'에 대응하는 피 제어기기3(908)에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을 상기 라우팅 테이블과 함께 전달한다.
도 9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기기가 릴레이 순서를 무작위로 선정한 디바이스 ID 목록을 전달하는 릴레이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f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 기기(902)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이 전달될 피 제어 기기들의 디바이스 ID로 디바이스 ID 목록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기기(902)가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에 포함된 피 제어 기기들 중 하나의 피 제어 기기를 임의로 선정하여 상기 디바이스 목록을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과 함께 전달한다. 상기 제어 기기(902)가 디바이스 ID 목록을 전달할 피 제어 기기를 피 제어 기기1(904b)로 선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피 제어 기기1(904b)는 상기 디바이스 ID목록 내에서 자신의 디바이스 ID인 'xxx'를 삭제한 목록 1(904b)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피 제어 기기1(904b)는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1(904b) 중 남아있는 디바이스 ID들 즉, 'yyy' 및 'zzz' 중에서 임의의 디바이스 ID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 ID가 'yyy'임을 가정하면, 이에 대응하는 피 제어 기기2(906a)에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과 함께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 1(904)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피 제어 기기2(906a) 역시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1(904b)에서 자신의 디바이스 ID인 'yyy'를 삭제하여 디바이스 ID 목록 2(906b)를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피 제어 기기2(906a)는 상기 목록 2(906b) 내에 남은 ID가 'zzz'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피 제어 기기3(908b)에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또는 해당 모드의 실행 요청과 함께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2(906b)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피 제어 기기 3(908b) 역시 상기 디바이스 ID 목록2(906b)에서 자신이 ID를 삭제한 디바이스 ID 목록 3(908b)을를 구성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서, 디바이스 ID 목록이 3개의 피 제어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해당 실시 예에서는 디바이스 ID 목록이 포함하는 ID가 모두 삭제될 때까지 상기한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가 전달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홈 네트워크 내에 설치된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전달되는 방안 역시 고려해볼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도 게이트 웨이가 피 제어 기기들에게 직접적으로 모드 설정 정보를 전달하거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 웨이가 제어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모드 설정 정보를 홈 네트워크 내에 피 제어 기기들에게 방송하는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가 구성한 모드 설정 정보가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피 제어 기기들에게 방송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1000)는 제어 기기(1002)와 피 제어기기 1 내지 3(1006~1010) 외에 게이트 웨이(10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0a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기기(1002)는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되는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기기(1002)는 상기 홈 네트워크(1000) 내에 설치된 게이트 웨이(1004)에게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전달한다. 이 경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는, 도 3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게이트 웨이(1004)가 상기 제어 기기(1002)로부터 모드별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드별 구성 정보를 구성한 소유자를 표기하는 형태로 모드 설정 정보를 수정하여 일 예로, 도 10b에서와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b는 게이트 웨이가 저장하는 수정된 모드 설정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해당 실시 예의 모드 설정 정보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설정 정보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만, 해당 모드 설정 정보를 구성한 소유자의 디바이스 I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유자 디바이스 ID는 상기 제어 기기(1002)로 설정된다.
그러면,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상기 수정된 모드 설정 정보를 피 제어 기기1내지 3(1006~1010)에게 방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드 설정 정보의 송신은 상기 게이트 웨이(1004)가 상기 제어 기기(1002)로부터 수신한 시점에서 수정하여 저장 후 바로 방송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유자가 동일한 모드 설정 정보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소유자의 디바이스 ID가 동일한 모드 설정 정보를 묶어서 피 제어 기기 1~3(1006~1010)에게 방송할 수도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가 구성한 모드 설정 정보가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피 제어 기기들에게 릴레이 방식으로 전달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c의 홈 네트워크 여시 도 10a의 홈 네트워크(100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도 10c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제어 기기(1002)가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를 구성하여 게이트 웨이(1004)에게 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상기 모드 설정 정보의 소유자를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 기기(1002)의 디바이스 ID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도 9c 내지 도 9f에 예시한 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 웨이는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를 피 제어 기기들을 통해서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방식은, 미리 결정된 순서를 기반으로 릴레이하거나,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설정된 경로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기기(1002)가 설정한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릴레이되거나, 디바이스 ID 목록을 통해서 무작위로 선정한 디바이스 ID 목록을 기반으로 릴레이될 수도 있다.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c 내지 도 9f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모드 설정 정보가 상기 피 제어 기기1~3(1006~1010) 각각에게 저장된 후, 상기 제어 기기(1002)는 모드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을 상기 게이트 웨이(10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 제어 기기의 디바이스 ID를 확인한다.
한편, 모드 설정 정보 내에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의 이름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엘리먼트인 description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므로, 동일한 description을 가진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게이트웨이(1004)는 실행 명령의 전달을 요청받은 경우, 동일한 description을 가진 모드 설정 정보들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다. 만약, 동일한 description을 가진 모드 설정 정보들이 다수개 존재할 경우,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 기기의 device ID를 이용해, 어느 사용자 기기가 설정한 모드 설정 정보를 실행시켜야 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웨이(1004)는 상기 device ID를 기반으로 동일한 description을 가진 모드 설정 정보들 중 소유자가 상기 device ID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선택하고, 앞서 설명한 방식들에 따라 실행 명령을 방송하거나 릴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 기기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기기(1120)는 일 예로, 제어부(1122)와, 송수신부(1124)와, 모드 설정 정보 생성부(1126) 및 모드 실행부(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기(1120)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한 것일 뿐, 사업자의 의도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기기(1120)를 구성하는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거나 다수의 서브 유닛들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1120)가 모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작들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22)는 서비스 서버와의 로그인 상태에서 스마트 홈 서비스 내에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1124)를 통해서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2)는 상기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앞서 설명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생성 및 설정하도록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생성부(1126)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2)는 상기 송수신부(1124)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에게 서비스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모드 설정 정보들에 대응하는 모드 리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22)는 상기 모드 실행부(1128)가 상기 모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드들 중 실행할 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모드의 실행 요청을 상기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달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124)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22)가 모드 설정 정보 및 실행 요청 등을 상기 등록된 기기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도 9a 내지 도 10c의 실시 예에 따라 방송하거나 릴레이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피 제어 기기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1200단계에서 피 제어기기는 자신이 속한 홈 네트워크 내의 제어 기기를 통해서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1202단계에서 상기 피 제어 기기는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제어 기기에게 상기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의 수신 확인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동일 모드에 대해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기기 또는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수신되는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방송 형태로 수신되거나, 릴레이 방식에 따라 이전 피 제어 기기 등을 거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신과정은, 도 9a 내지 도 10c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후, 1204단계에서 상기 피 제어 기기는 제어 기기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1206단계로 진행한다. 1206단계에서 상기 피 제어 기기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와, 상기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선택된 모드 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는 존재하지만,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1208단계에서 상기 피 제어 기기는 상기 선택된 모드의 실행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선택된 모드 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ID가 포함된 경우, 1210단계에서 상기 피 제어 기기는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에 설정된 명령을 설정된 시점에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결과를 상기 제어 기기에게 전달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서비스를 실행하는 피 제어 기기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피 제어 기기(1220)는 일 예로, 송수신부(1222)와, 모드 실행부(1224) 및 모드 설정 정보 저장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 제어 기기(1200)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한 것일 뿐, 사업자의 의도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 제어 기기(1200)를 구성하는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거나 다수의 서브 유닛들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28)는 실시 예에 따라 제어 기기 또는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송신된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가 상기 송수신부(1222)를 통해서 수신됨을 확인한다. 이때, 그리고, 제어 기기 또는 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수신되는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방송 형태로 수신되거나, 릴레이 방식에 따라 이전 피 제어 기기 등을 거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신과정은, 도 9a 내지 도 10c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228)는 상기 모드 별 모드 설정 정보를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저장부(1226) 내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222)를 통해서 제어 기기가 선택한 모드의 실행 요청을 상기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228)는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저장부(1226)에 저장된 모드별 모드 설정 정보 중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설정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228)는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아이디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자신의 디바이스 아이디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228)는 상기 모드 실행부(1224)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내에 자신의 디바이스 아이디에 매핑된 액션을 상기 액션을 실행할 시점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28)는 상기 선택된 모드의 실행 요청을 무시하도록 상기 모드 실행부(1224)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5)

  1.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 및 상기 기기들 각각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모드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제1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명령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기기들에 상기 제1 모드 실행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실행을 위한 요청은,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제1 기기에 의해 수행될 제1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제2 기기에 의해 수행될 제2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상기 모드의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기기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제1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선택된 기기들 각각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에 상기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명령은, 상기 리스트 내의 상기 제1 모드의 한번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동작들의 적어도 하나의 수행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수행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기기들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및 상기 요청 중 적어도 하나는, 브로드캐스트되는 것인,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및 상기 요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정의된 릴레이 순서에 기반하여 릴레이로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전송되는 것인,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 정보의 릴레이를 위한 릴레이 순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 또는 상기 구성 정보가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게이트 웨이가 상기 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전송하도록,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게이트 웨이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에 의해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26.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들 및 상기 기기들 각각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모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제1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명령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기기들에 상기 제1 모드 실행을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실행을 위한 요청은,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제1 기기에 의해 수행될 제1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제2 기기에 의해 수행될 제2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상기 모드의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기기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제1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선택된 기기들 각각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에 상기 모드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수신하는 제어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명령은, 상기 리스트 내의 상기 제1 모드의 한번의 선택을 포함하는 제어 기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동작들의 적어도 하나의 수행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기기들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 기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및 상기 요청 중 적어도 하나는, 브로드캐스트되는 것인, 제어 기기.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및 상기 요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정의된 릴레이 순서에 기반하여 릴레이로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전송되는 것인, 제어 기기.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구성 정보의 릴레이를 위한 릴레이 순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 또는 상기 구성 정보가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어 기기.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게이트 웨이가 상기 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선택된 기기들에 전송하도록,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게이트 웨이에 전송하는, 제어 기기.
KR1020210002083A 2013-09-23 2021-01-07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9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1114P 2013-09-23 2013-09-23
US61/881,114 2013-09-23
KR1020140059632A KR102202660B1 (ko) 2013-09-23 2014-05-19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32A Division KR102202660B1 (ko) 2013-09-23 2014-05-19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118A KR20210008118A (ko) 2021-01-20
KR102349725B1 true KR102349725B1 (ko) 2022-01-11

Family

ID=584537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32A KR102202660B1 (ko) 2013-09-23 2014-05-19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02083A KR102349725B1 (ko) 2013-09-23 2021-01-07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32A KR102202660B1 (ko) 2013-09-23 2014-05-19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86094B2 (ko)
EP (1) EP3050253B1 (ko)
KR (2) KR102202660B1 (ko)
CN (2) CN111856955B (ko)
WO (1) WO2015041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289B2 (en) * 2013-10-28 2020-08-18 Virtual Power Systems, Inc. Data center power manipulation
KR102401645B1 (ko) * 2015-05-22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게이트웨이와 그 제어 방법
CN105629745A (zh) * 2015-06-19 2016-06-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及系统、智能家居控制中心设备、终端
KR102390365B1 (ko) 2015-09-25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204477B (zh) * 2015-10-19 2018-01-09 泰凌微电子(上海)有限公司 无线网络内的同步控制方法、无线网络及智能家居设备
CN105553688A (zh) * 2015-10-29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置设备工作状态的方法、装置及系统
US9653075B1 (en) * 2015-11-06 2017-05-16 Google Inc. Voice commands across devices
CN105871973A (zh) * 2015-11-16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基于发布订阅机制的设备控制方法及装置、路由器
KR102418668B1 (ko) * 2015-12-15 2022-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사물인터넷 환경을 위한 시스템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10891681B2 (en) * 2015-12-2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tem purchase, item purchase method and refrigerator
EP3400700B1 (en) * 2016-01-04 2020-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operating a user device in a user device group and related user devices and control servers
US9521009B1 (en) 2016-01-20 2016-12-13 Creston Electronics, Inc. Auto-configuration and automation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003147B2 (en) 2016-06-12 2021-05-11 Apple Inc. Automatically grouping accessories
US10511456B2 (en) 2016-06-12 2019-12-17 Apple Inc. Presenting accessory group controls
US10310725B2 (en) * 2016-06-12 2019-06-04 Apple Inc. Generating scenes based on accessory state
US10498552B2 (en) 2016-06-12 2019-12-03 Apple Inc. Presenting accessory state
US10572530B2 (en) 2016-07-03 2020-02-25 Apple Inc. Prefetching accessory data
US10444717B2 (en) 2016-09-16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oordination of control modes among appliances and utilities
US10764153B2 (en) 2016-09-24 2020-09-01 Apple Inc. Generating suggestions for scenes and triggers
US10469281B2 (en) 2016-09-24 2019-11-05 Apple Inc. Generating suggestions for scenes and triggers by resident device
US10298411B2 (en) 2016-10-24 2019-05-21 Crestron Electronics,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building utilization
US11398922B2 (en) 2017-03-28 2022-07-26 Newtonoid Technologies, L.L.C. Fixture
WO2018183576A1 (en) * 2017-03-28 2018-10-04 Newtonoid Technologies, L.L.C. Fixture
KR102314690B1 (ko) 2017-04-11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7529169B (zh) * 2017-08-21 2019-10-08 深圳市欧瑞博电子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和装置
KR102347208B1 (ko) 2017-09-07 202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EP3460594A1 (en) * 2017-09-26 2019-03-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KR102020124B1 (ko) * 2017-11-23 2019-1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1715B1 (ko) * 2017-12-29 2019-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8833237B (zh) * 2018-07-20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网关及其管控方法
CN112335204B (zh) * 2018-10-08 2022-06-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由助理客户端设备本地控制和/或注册智能设备
US10938821B2 (en) * 2018-10-31 2021-03-02 Dell Products L.P. Remote access controller support registration system
US10593174B1 (en) * 2018-12-13 2020-03-17 Amazon Technologies Automatic setup mode after disconnect from a network
CN114258542A (zh) * 2019-08-16 2022-03-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远程命令
US11763809B1 (en) * 2020-12-07 2023-09-19 Amazon Technologies, Inc. Access to multiple virtual assistants
US11825574B2 (en) 2020-12-29 2023-11-21 Crestron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commissioning a building control system
KR102622775B1 (ko) 2022-11-22 2024-01-09 주식회사 오성전자 리모컨에서 피제어기기 등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2666C (en) * 1997-06-25 2008-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home network auto-tree builder
KR100667742B1 (ko) * 2000-08-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기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 제어 방법
US7430591B2 (en) * 2001-10-19 2008-09-30 Renesas Technology America, Inc.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onfiguring functional networks
KR100474485B1 (ko) * 2002-03-11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독립망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40068756A1 (en) * 2002-10-02 2004-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rtual link between CE devices
US7668990B2 (en) * 2003-03-14 2010-02-23 Openpeak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o perform an activity-based or an experience-based operation
US20060154642A1 (en) * 2004-02-20 2006-07-13 Scannell Robert F Jr Medication & health, environmental, and security monitoring, alert, intervention, information and network system with associated and supporting apparatuses
CN1988489B (zh) * 2006-11-30 2010-05-12 中国电信集团公司 一种智能家居监控的系统和方法
US8886521B2 (en) * 2007-05-17 2014-11-11 Redstar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of dictation for a speech recognition command system
US20110046805A1 (en) * 2009-08-18 2011-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ext-aware smart home energy manager
US8412798B1 (en) * 2009-10-03 2013-04-02 Frank C. Wang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611296B1 (ko) * 2010-02-09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R2956757B1 (fr) * 2010-02-25 2012-09-21 Somfy Sas Affectation de scenarios a des boutons de commande.
CA2791150A1 (en) * 2010-02-26 2011-09-01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Dynamically configurable clusters of apparatuses
US8667112B2 (en) *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JP2013003661A (ja) * 2011-06-13 2013-01-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98909B2 (en) * 2011-06-20 2018-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3rd generation direct tunnel (3GDT) optimization
KR101955976B1 (ko) 2011-08-25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장치의 활성화
KR101845290B1 (ko) 2011-08-25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명령을 통한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1958902B1 (ko) * 2011-09-30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WO2013052692A2 (en) * 2011-10-04 2013-04-11 Advanergy, Inc. Data server system and method
KR101544477B1 (ko) * 2011-12-13 2015-08-18 주식회사 케이티 최대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130159490A1 (en) * 2011-12-16 2013-06-20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home service based on cloud
KR101844211B1 (ko)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20130176864A1 (en) * 2012-01-09 2013-07-11 Qualcomm Incorporated Rate and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208623B2 (en) * 2012-07-09 2015-12-08 Digi International Inc. Vehicle bus access point system and method
US9679491B2 (en) * 2013-05-24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device for teaching learning devices
US20150026779A1 (en) * 2013-07-16 2015-01-22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Performing remote wi-fi network configuration when a network security protocol is unknown
US9253317B2 (en) * 2013-09-03 2016-02-02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track and lo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ll status when the device is not in possession
US20150071216A1 (en) * 2013-09-09 2015-03-12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Allowing mass re-onboarding of headless devices
US20150071052A1 (en) * 2013-09-09 2015-03-12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Reconfiguring a headless wireless device
US9801137B2 (en) * 2013-10-08 2017-10-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w power sensor network
KR102121918B1 (ko) * 2013-12-20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0253A4 (en) 2017-05-17
CN105580313A (zh) 2016-05-11
US20150087278A1 (en) 2015-03-26
US9686094B2 (en) 2017-06-20
CN111856955A (zh) 2020-10-30
KR20150033513A (ko) 2015-04-01
EP3050253B1 (en) 2020-11-25
WO2015041424A1 (en) 2015-03-26
EP3050253A1 (en) 2016-08-03
KR20210008118A (ko) 2021-01-20
CN105580313B (zh) 2020-08-14
KR102202660B1 (ko) 2021-01-13
CN111856955B (zh) 2023-09-05
US20170250835A1 (en) 2017-08-31
US10020957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25B1 (ko)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702389B (zh) 用于遥控iot(物联网)设备的架构
TWI488463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107430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communication devices with output devices
JP2019537322A (ja) 家電機器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家電機器および家電システム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6072132B2 (ja) モバイル端末の中継サーバー能動接続を用いた通信路の開設方法
EP2963933A1 (en) Remote control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3338231A (zh) 一种智能终端对目标被控端进行控制的方法
JP2018524645A (ja) スマート家電装置のアップロードデータの制御及び取得方法並びにその機器
CN103973748A (zh) 智能家居系统及其监控方法
US9215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component using personal network
US11197053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30191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of Diverse Devices
CN107968725B (zh) 家庭网关单元型终端设备配置信息返回及配置方法、设备
CN111866856B (zh) Mesh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1017053A1 (zh) 配网控制方法、配网控制装置、家电设备和存储介质
KR10208511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스마트 모듈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98982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094035A1 (e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CN107807619A (zh) 基于虚拟服务器模块的智能家居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US2018009818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pplication chaining and for displaying customized content in a welcome screen
US11653049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17412310A (zh) 终端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