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94B1 -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94B1
KR102349594B1 KR1020150061876A KR20150061876A KR102349594B1 KR 102349594 B1 KR102349594 B1 KR 102349594B1 KR 1020150061876 A KR1020150061876 A KR 1020150061876A KR 20150061876 A KR20150061876 A KR 20150061876A KR 102349594 B1 KR102349594 B1 KR 10234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guide plate
imag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0830A (en
Inventor
이창호
김한석
정보균
탁윤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polarized light, e.g. by converting a polarisation component into another 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패널과, 상기 영상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복수의 출광패턴이 구비된 입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과,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anel,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side surfaces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Provided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and selectively driven.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light unit capable of selectively realizing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최근에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의 발달 및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장치가 대두되고 있다.Recently,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has emer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desire of consumers.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영상의 입체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식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한 안경을 착용하는 기술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이 알려졌다.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has been introduced to a method of allowing a stereoscopic effect of an image to be felt by using binocular parallax. For example, a technique for wearing glasses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method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out wearing glasses have been known.

안경을 착용하여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양쪽 눈에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각각 착용하는 아나글리프(anaglyph) 방식, 양쪽 눈에 편광이 다른 안경을 각각 착용하는 편광 방식, 그리고 시간 분할된 편광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화한 편광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착용하는 시분할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The three-dimensional effect by wearing glasses is an anaglyph method in which blue and red sunglasses are worn in both eyes, a polarization method in which glasses of different polarization are worn in both eyes, and time-divided polarization. A time-division method in which spectacles with polarization shutters that are periodically repeated and synchronized with the cycle are worn are known.

그러나, 안경에 의해 입체감을 구현하는 방식은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로 화상 이외의 다른 사물을 관찰하는데 지장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using glasses has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wearing glasses, and difficulty in observing objects other than images while wearing glasses.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감을 구현하는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out wearing glasses have been developed.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감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렌티큘러 (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과, 슬릿(slit)이 형성된 마스크(mask)를 이용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Representative methods of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out wearing glasses include a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and a parallax barrier method using a mask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 구현 방식에 따르면, 영상패널과 광원 사이에 렌티큘러 렌즈가 배치되며, 이 렌티큘러 렌즈는 광원에서 발산된 광의 경로를 변조하여 영상패널에 조사되도록 한다.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a lenticular lens is disposed between an image panel and a light source, and the lenticular lens modulates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be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렌티큘러 렌즈에 의해 광 경로가 변조됨으로써, 관찰자의 두 눈에 도달하는 광의 경로가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관찰자의 양쪽 눈에 보이는 액정패널의 픽셀 영역이 미세하게 달라진다.As the light path is modulated by the lenticular lens, the path of light reaching both eyes of the observer i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pixel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visible to both eyes of the observer is slightly changed.

이와 같은 관찰자의 양쪽 눈에 보이는 픽셀 영역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관찰자의 뇌는 입체(3D) 영상을 느끼게 된다.The observer's brain feels a stereoscopic (3D) image due to such a subtle difference in the pixel area visible to both eyes of the observer.

한편,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에 따르면, 영상 패널의 전방에 투명 슬릿(slit)과 불투명 슬릿(slit)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마스크(mask)가 배치된다. 관찰자가 마스크의 투명 슬릿을 통해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게 되는데, 이때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투명 슬릿을 통하더라도 영상패널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각각 보게 된다. 이러한 관찰자의 양쪽 눈에 보이는 영역의 미세한 차이에 의한 관찰자의 뇌는 입체 영상을 느끼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arasitic barrier method, a mask in which transparent slits and opaque slits are repeatedly forme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panel. The observer se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panel through the transparent slit of the mask. At this time, the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areas of the image panel, respectively, even through the same transparent slit. The observer's brain feels a three-dimensional image due to the minute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visible to both eyes of the observer.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종래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입체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을 뿐 평면 영상을 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 stereoscopic image without wearing glasses can only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but has difficulty in displaying a flat image.

최근에는 2차원 평면 영상 및 3차원 입체 영상의 전환이 가능한 스위칭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이 스위칭 3D 디스플레이 기술의 대표적인 구현 방식으로는 편광 렌즈 방식과 하나의 셀 액티브 렌즈(1-cell Active lens) 방식을 들 수 있다.Recently, a switching 3D display technology capable of converting a 2D flat image and a 3D stereoscopic image has been proposed. Representativ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is switching 3D display technology include a polarized lens method and a 1-cell active lens. method can be found.

이들 방식 중에서, 편광렌즈 방식은 영상패널(image panel) 상의 편광 투과축에 의한 선 편광 방향을 편광제어 셀을 통해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각 선 편광 방향에 따른 RM 렌즈의 굴절률 차(Δn)에 의해 렌즈 효과의 유무가 결정되도록 하여 평면 모드와 입체 모드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Among these methods, the polarization lens method operates by switching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by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on the image panel through the polarization control cell, an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Δn) of the RM lens according to each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It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ens effect is determined by , so that the planar mode and the stereoscopic mode are selectively operated.

그리고, 하나의 셀 액티브 렌즈(1-cell Active lens) 방식은 영상패널 상측에 렌즈 형상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액정 셀이 부착된 구조이며, 액정 셀에 대한 전압 인가 여부에 따른 굴절률 이방성(Δn)에 의한 렌즈 효과 유무가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one-cell active lens method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crystal cell having a lens-shaped cavity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image panel,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 means a method to show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ens effec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전환이 가능한 스위칭 3D 디스플레이 기술의 문제점으로는 기술 구현을 위해 높은 재료비와 함께 평면(2D) 화질 열화 문제를 들 수 있다.However, a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witching 3D display technology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there is a problem of high material cost and deterioration of flat-panel (2D) image quality for implementing the technology.

특히, 위에서 언급된 종래의 스위칭 3D 디스플레이 구조는 기본적으로 액정의 편광 특성을 이용한 방식으로 편광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부가적인 액정 셀 및 일부 중합성 렌즈층을 필요로 한다.In particula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witching 3D display structure basically requires a separate additional liquid crystal cell and some polymerizable lens layer for controlling the polarization in a manner using the polarization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따라서, 이러한 액정 셀의 제작 및 부착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는 이들 기술의 제품화에 중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근본적으로 액정의 편광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해결이 쉽지 않다.Therefore, the problem of increasing costs due to the manufacture and attachment of such liquid crystal cell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se technologies, but fundamentally, it is not easy to solve by using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crystals.

그리고,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스위칭 3D 디스플레이 구조의 경우, 뷰 (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평면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에 의한 화질 열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nd, in the case of the switching 3D display structure being studied so far, substrates that serve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for example, par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re the top layer of the display screen. Since it is attached to the plane mode, there is a problem of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switching the plane mode.

본 발명의 목적은 화질의 열화없이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light unit capable of selectively realizing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withou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시청거리 환경에 따라 각각의 도광판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입체(3D) 영상의 시청 거리 조정이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viewing distance of a stereoscopic (3D) image by driving each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environment of a display us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 도광판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여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의 입체(3D) 영상 화질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stereoscopic (3D) image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by blocking light leaking under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By providing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and selectively driven, a stereoscopic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 제1 광원은 입체 도광판을 통한 입체 영상 구현시 구동되며, 제2 광원은 평면 도광판을 통한 평면 영상 구현시 구동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driven when a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driven when a flat image is realized through the flat light guide plate.

상기 입체 도광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guide plat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영상패널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an image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the lower surface,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By provid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is provided and selectively driven, a stereoscopic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 입체 도광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guide plate.

상기 입체 도광판은 상, 하로 적층된 제1, 2, 3 입체 도광판으로 구성된 경우, 제1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D1으로 할 때, 제2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의 사용자의 시청거리(D2)는 D1 × 2 값을 가지며, 제3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의 사용자의 시청거리(D3)는 D1× 3 값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stacked up and down, when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when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s driven is D1, the user when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s driven The viewing distance D2 may have a value of D1×2, and the viewing distance D3 of the user when the thir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is driven may have a value of D1×3.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 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과 평면 도광판 사이에 개재된 차광필름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 light blocking film inter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by providing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s and are selectively driven.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영상패널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광필름과, 상기 차광필름의 하부에 구비되는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And,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image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the lower surface,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a flat surface provided under the light blocking film By provid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dispos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selectively driven, a stereoscopic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 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차광패턴이 있는 배리어필름과, 상기 배리어필름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barrier film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barrier film, and By providing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are selectively driven,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flat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은 상기 출광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going pattern.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영상패널 하부에 구비되며.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과, 상기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차광패턴이 있는 배리어필름과, 상기 배리어필름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under the image panel.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its lower surface, a barrier film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barrier film, and on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By provid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de and selectively driven, a stereoscopic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은 상기 출광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going pattern.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 과,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에 구비된 차광막과, 상기 입체 도광판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inside the light output pattern,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By providing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and selectively driven, a stereoscopic image and a planar imag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상기 차광막은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 전체에 매립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or may be embedd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light exit pattern.

또 다른 측면에서, 영상패널 하부에 구비되며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입체 도광판과,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에 구비된 차광막과, 상기 입체 도광판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image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inside the light exit pattern,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a flat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light guide plate and selectively driven.

상기 차광막은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출광패턴의 내부 전체에 매립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or may be embedd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light exit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두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써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by selectively driving two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2D) 영상 및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prior art for realization of a planar (2D) image and a stereoscopic (3D) image,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for example For example, par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becom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평면(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used in the prior art.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display screen, image quality deteriorati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plan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영상(3D)의 시청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입체 도광판을 복수 개 적층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시청거리 환경에 따라 각각의 도광판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입체 (3D) 영상의 시청 거리 조정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stack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that affect the viewing distance of a stereoscopic image (3D) so that each light guide plate is driven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environment of the display us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iewing distance of stereoscopic (3D) images.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특정 투과율을 갖는 차광필름(shading film)을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누설 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의 입체(3D) 영상 화질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평면 도광판으로의 누설되는 광의 감소로 인해 비패턴부(Non Patterning)에 의한 광차단 효과가 증가함에 따라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 (crosstalk)가 크게 감소하게 됨으로써 입체 영상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leakage light by arranging a shading film having a specific transmittance under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can improve In particular, as the light blocking effect due to non-patterning increases due to a decrease in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the crosstalk of the stereoscopic image is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배리어필름을 배치하여 이 배리어필름에 형성되는 차광패턴이 상기 입체 도광판의 출광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 출광패턴을 통해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광학시트 쪽으로 누설되는 광이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됨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rier film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light blocking pattern formed on the barrier film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put patter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ince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ptical sheet is physically blocked or reduced by 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있는 출광패턴의 외면에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어, 출광패턴을 통해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광학시트 쪽으로 누설되는 광이 차광막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됨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blocking film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ptical sheet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is physically blocked or By being reduced,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의 하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의 하면에 구비된 다수의 도트패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 및 도트패턴들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도광판을 통해 평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입체 영상 구현시에 좌안 및 우안에서의 뷰(View) 간 분리가 발생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평면 영상 구현시에 광학필터 역할을 담당하는 도광판이 영상패널의 하측 배치에 따른 평면 화질 열화 여부를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입체 도광판의 두께와 사용자의 시청 거리(D)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실제 배리어 (Rear Barrier)의 기본 구조 및 매개변수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로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최 상측의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두 번째 적층된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최 하측의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입체 도광판 하부에 배치된 배리어필름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A"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입체 도광판의 하면 내측에 구비된 출광패턴 하부에 배리어필름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입체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B"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입체 도광판에 구비된 출광패턴의 외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ot pattern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dot patterns.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t image is realized through a flat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view occurs in the left eye and the view in the right eye when a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imulating whether a light guide plate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when realizing a planar imag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iorates in planar image quality due to the lower arrangement of the image pane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and the user's viewing distance (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structure and parameters of an actual barrier (Rear Barrier) It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viewing distance when an uppermo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is driven.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viewing distance when a second stacke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1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viewing distance of a user when the lowermo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tribution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guide plat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barrier films disposed under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A” of FIG. 18 ,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rrier film is disposed under a light exit pattern provided inside a lower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B” of FIG. 23 ,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film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light exit patter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과는 상이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but identical ele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part names of the actual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implement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설명은 별도로 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Since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eparately described. be replaced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D) 영상 또는 입체(3D)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패널(110)과, 영상패널 (1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anel 110 on which a flat (2D) image or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and an image panel 110 . ) includes a backlight unit 120 that provides light.

상기 영상패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이미지셀(image cell)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110a)과 TFT 어레이 기판(110b)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image panel 110 may be an image cel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color The filter substrate 110a and the TFT array substrate 110b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영상패널(110)은 액정의 배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극(미도시),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소스전극, 드레인 전극 및 공통전극 등의 전극과, 블랙매트릭스(112) 및 컬러필터(11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패널(110)의 상, 하면에는 편광판(118a, 118b)이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114)는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114r, 114g, 114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age panel 110 includes various electrod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for example, electrodes such as a gate line, a data line,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black matrix 112 . ) and a color filter 114 , and polarizing plates 118a and 118b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age panel 110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114 includes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114r, 114g, and 114b.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패널(110)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image panel. Since the image panel 11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욱이, 백라이트 유닛(120)은 일반적인 에지(edge) 형 백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기존의 도광판이 두께 방향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2개의 도광판 즉, 입체 도광판(130)과 평면 도광판(140)이 적용되며, 각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어레이, 즉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 역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모드에 맞게 선택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Furthermore, the backlight unit 1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edge-type backlight, but the existing light guide plate is div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wo independent light guide plates,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are provided. It is applied, and the light source array that provides light to each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also independent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or a flat image mode.

특히,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20)은 영상패널(110)로 광을 조사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체(3D) 영상 및 평면(2D) 영상 표시모드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그에 따라 면 광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선형 광을 영상패널(110)로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backlight unit 120 irradiates light to the image panel 110, and when any one of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flat (2D)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urface light or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rradiate a plurality of linear lights extending to the image panel 110, respectively.

백라이트 유닛(120)의 작동은 영상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광원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1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image panel 110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vided light source control unit.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두 개의 도광판과 두 개의 광원, 즉 입체 도광판(130) 및 평면 도광판(140)과 제1, 2 광원(132, 142)을 구비한다.1 and 2 , the backlight unit 120 includes two light guide plates and two light sources, that i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140 and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to selectively emit different types of light. Light sources 132 and 142 are provided.

상기 입체 도광판(130)은 영상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도광판(140)은 입체 도광판(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130) 및 평면 도광판(140)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is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110 ,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may be respective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의 하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of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의 하면에 구비된 다수의 도트패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 및 도트패턴들을 확대한 사진이다.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ot pattern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dot pattern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도광판(130)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출광패턴(scattering pattern)(134)들이 선형(line)으로 제1 광원(132)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즉 입체 도광판(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형을 이루며, 선형의 복수 개의 출광패턴(134)들은 입체 도광판(1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134)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광패턴(134)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134)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및 관찰자의 시청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이때, 제1 광원(132)의 점등시에 상기 출광패턴들(134)은 전면에서 볼 경우 산란(scattering)에 의해 발광영역에 해당되며,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134) 사이의 영역(136)은 내부 전반사 영역으로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a plurality of scattering patterns 134 are linear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that i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to form a linear shape, and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13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ca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a pix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a viewing distance of an observer.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turned on, the light exit patterns 134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due to scatter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area 136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134 . ) is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region and appears dark.

그리고, 상기 출광패턴(134) 사이의 영역(136)은 내부 전반사를 위한 거울 반사면이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 도광판(130)의 출광패턴들(134) 부분만 밝게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the region 136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134 allows a mirror reflection surface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be generated. Accordingly, only portions of the light exit patterns 134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ppear br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도광판(13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광패턴(134)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 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but rather of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130 .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re used,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such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par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is unnecessary.

그리고, 복수의 출광패턴(134)은 광을 난반사하여 산란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패턴(134)은 예를 들어 오목패턴, 돌출패턴, 또는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출광패턴(134)은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무(haze) 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출광패턴(134)이 음각의 도트(dot) 패턴 형태로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may be formed in any pattern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and scattering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or a dot pattern, and the light exit pattern 134 may be haze-treated to increase the scattering effect. may b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are designed in the form of an intaglio dot patter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평면 도광판(140)은 일반적인 평면(2D) 영상 모델용 도광판과 동일한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160)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170)로 인해 균일한 면 광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130)은 투명 기재이므로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has the same light profile as a light guide plate for a general planar (2D) image model, and has a uniform surface due to the optical sheet 160 disposed on it and the reflective sheet 170 disposed below it. It will act as a light source. In this case, sinc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is a transparent substrat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ransmittance is insignificant.

한편, 상기 제1 광원(132)은 입체 도광판(13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입체 도광판(130)의 측면, 즉 제1 입광면(130a)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142)은 평면 도광판(140)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평면 도광판 (140)의 측면, 즉 제2 입광면(140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Meanwhile,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that is, the first light incident surface 130a, so as to irradiate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and the second light source Reference numeral 14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that is,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140a so as to radiate light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그리고, 상기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은 LED(light emitted diode),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ed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light emitted diode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은 입체 도광판(130) 및 평면 도광판(140)의 측면(즉, 입광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광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복수의 광원이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ie,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and each light source is one light source. may be formed, and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arranged in a line.

도 1은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이 각각 세 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의 개수 및 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이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1 shows that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are provided with three each, there is a special limitation i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However,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may be provided one by one.

상기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은 각각 별도로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turned on. That is, if necessary, only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may be turned on and the other one may be controlled to be off.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132)이 온(on)되고 제2 광원(142)은 오프 (off)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132)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142)은 온(on)된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turned off ( off), an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flat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turned on ( on) will be

그리고, 상기 제2 도광판(130)의 상부에는 광학시트(16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학시트(16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sheet 160 is disposed on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130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tical sheet 160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protection sheet.

이러한 광학시트(160)는 평면 도광판(140)에 의해 입사되어 제2 출광면 (140b)으로 나온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영상패널(110)의 전체 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광학시트(160)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tical sheet 160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mage panel 110 in a more uniform state to light incident by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and exiting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140b. As such, since the optical sheet 160 itself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평면 도광판(140)의 하부에는 반사시트(170)가 배치된다. 반사시트 (170)는 평면 도광판(140)의 내부로 유입된 광 중 평면 도광판(140)의 하면으로 나온 광을 반사시켜 다시 평면 도광판(14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줄여 전체적인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A reflective sheet 170 is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The reflective sheet 17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to flow back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thereby reducing light loss and overall light efficiency. functions to increas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130)의 경우, 입체 도광판(130)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13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134) 사이의 영역(136)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입체 도광판(130)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134)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134)을 통해 입체 도광판(130)의 제1 출광면(130b)의 외부로 발산된다.In the cas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are not formed That is, the light reaching the region 136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that are linear, respectively, is reflected and travels back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 and the light reaching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134 is The scattered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exit surface 130b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134 .

이에 따라, 입체 도광판(1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선형 출광패턴(134)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110)로 입사된다. 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output patterns 134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110 .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평면 도광판(140)의 경우, 제2 입광면(140a)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142)으로부터 유입된 광을 평면 도광판(140)의 상면, 즉 제2 출광면(140b)의 전체에 걸쳐 면 발광시켜 상기 영상패널(110)을 향해 발산되도록 한다. 즉, 평면 도광판(140)은 기존의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과 유사하게 제2 출광면(140b)의 전체에 걸쳐 분포되는 광을 발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ntroduc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142 facing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140a is converted into a flat surface. Surface light is emitt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40 , that is,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140b to be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110 . That is,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emits light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econd light exit surface 140b, similar to a light guide plate used in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를 위해, 평면 도광판(140)의 상면에 광을 산란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패턴은 프리즘 패턴,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패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광학시트(160)에 의해 평면 도광판(140)에서 발산된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변환된 후 영상패널(110)로 조사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ttern for scattering ligh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140 , and such a patter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a prism pattern and a dot patter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may be converted into a more uniform state by the optical sheet 160 described above and then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11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이 선택적으로 온(on)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입체(3D) 영상과 평면(2D)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ar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turned on, thereby displaying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planar (2D) image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이러한 입체 영상과 평면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ase in which the stereoscopic image and the flat image are selectively implement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도광판을 통해 평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t image is realized through a flat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입체 도광판(130) 또는 평면 도광판(140)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이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제1 광원(132) 및 제2 광원(142)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입체 도광판(130) 및 평면 도광판(140)의 사이즈가 동일할 경우, 제1 광원(132)과 제2 광원(142)의 부하 용량은 동일하므로 광원 드라이버(driver)는 별도로 적용할 필요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 방향만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re selectively oper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or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is used, which is the first light source 132 . ) and a method of selectively lighting the second light source 142 can be implemented. In particular, wh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have the same size, the load capacity of the first light source 13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the same, so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pply a light source driver. It can be used in common, and only the output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designed.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132)이 온(on)되고 제2 광원(142)은 오프(off)된다. 이 경우, 입체 도광판(130)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입체 도광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134)을 통하여 복수의 선형 광이 출사되고, 이 출사된 광이 영상패널(110)로 입사된다. When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turned off. In this case, a plurality of linear light is e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13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0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emitted light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anel 110 . is entered into

이에 따라, 각 출광패턴들(134)로부터 굴절된 광이 영상패널(110)의 서로 다른 화소 영역을 통과한 후 관찰자의 좌안(182)과 우안(184)에 각각 도달하게 된다. 즉, 관찰자의 좌안(182)에 도달하는 광은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지나게 되고, 관찰자의 우안(184)에 도달하는 광은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지니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refracted from each of the outgoing light patterns 134 passes through different pixel areas of the image panel 110 and then reaches the left eye 182 and the right eye 184 of the viewer, respectively. That is, light reaching the observer's left eye 182 passes through a path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light reaching the observer's right eye 184 has a path indicated by a solid lin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입체 영상 구현시에 좌안 및 우안에서의 뷰(View) 간 분리가 발생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view occurs in the left eye and the view in the right eye when a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은 상이한 영상, 즉 좌안(미도시, 도 5의 182 참조)에서는 칼라 색상의 영상을 보게 되고 우안(미도시, 도 5의 184 참조)에서는 어두운 영상을 보게 됨으로써 뷰(view) 간 분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관찰되는 영상 차이에 의해 관찰자는 입체(3D) 영상을 느끼게 된다. 이때, 동일한 출광패턴(134)에서 출사되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도달하는 광이 각각 지나는 경로에 위치하는 영상패널(110)의 화소영역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see a color image in different images, that is, the left eye (not shown, see 182 of FIG. 5 ) and the right eye (not shown, see 184 of FIG. 5 ). In , when viewing a dark image, a separation between views occurs, and the observer feels a stereoscopic (3D) image due to the observed image difference. At this time, pixel regions of the image panel 110 positioned in path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ame light exit pattern 134 and reaching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passes are driven to display different images.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제1 광원(132)은 오프(off)되고, 제2 광원(142)이 온(on)된다. 상기 제2 광원(142)에서 나온 광은 평면 도광판(140)의 제2 출광면(140b)의 전면을 통해서 출사되고, 입체 도광판 (130)을 통과한 후 영상패널(110)로 조사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when realizing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13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turn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emit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140b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140 , passes through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130 , and then is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110 .

이에 따라, 관찰자는 통상의 영상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2차원(2D) 적인 평면 영상으로 느끼게 된다.Accordingly, the observer perceiv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a two-dimensional (2D) flat image in the same way as in the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평면 영상 구현시에 광학필터 역할을 담당하는 도광판이 영상패널의 하측 배치에 따른 평면 화질 열화 여부를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imulating whether a light guide plate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when realizing a planar imag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iorates in planar image quality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ower side of the image pane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평면 영상 구현시에 광학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담당하는 평면 도광판 (140)이 영상패널(110)의 하측에 배치되더라도 도광판에 의한 평면(2D)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a flat light guide plate 140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when realizing a flat imag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image panel 110 . It can be seen that, even if it is disposed in the , the deterioration of the plane (2D) image quality due to the light guide plate does not occu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두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 인해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by selectively driving two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for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 separate polarization material,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And,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displayed.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screen,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한편,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을 적용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입체 도광판의 두께와 사용자의 시청 거리(D)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실제 배리어 (Rear Barrier)의 기본 구조 및 매개변수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and a user's viewing distance (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structure and parameters of an actual barrier (Rear Barrier) It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거리(D)의 설계는 입체 도광판의 두께에 따라 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 the design of the viewing distance 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입체 영상용 도광판이 입체(3D) 영상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존재하게 되며, 이 입체 도광판은 실제 배리어(Rear Barrier) 설계 방식을 기준으로 제작하게 된다.A light guide plate for a stereoscopic image exist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mode, and this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is manufactured based on an actual rear barrier design method.

식(1) ---- D = (ES/P - S)/n, Formula (1) ---- D = (ES/P - S)/n,

식(2) ---- Q = (1+B/P - 2R/E) / (1/P - 1/E)Formula (2) ---- Q = (1+B/P - 2R/E) / (1/P - 1/E)

식(3) ---- M = (1-B/P + 2R/E) / (1/P - 1/E)Formula (3) ---- M = (1-B/P + 2R/E) / (1/P - 1/E)

여기서, E는 설계시 적용되는 양안, 즉 좌안과 우안 간 간격, 예를 들어 60 ∼ 65 mm를 의미하며, P는 영상패널에서 입체(3D) 영상의 단위 피치(Unit Pitch)를 의미하며, 선정 모델에 따라 고정된다. Here, E means both eyes applied during desig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for example, 60 ~ 65 mm, P means the unit pitch of the stereoscopic (3D) image on the image panel, fixed according to the model.

그리고, B는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의미하며, P와 함께 선정 모델에 따라 고정된다. n은 기판의 굴절률이며, 광의 굴절에 의한 시청거리 계산시에 적용된다. 더욱이, M은 배리어 패턴(barrier pattern) 폭을 의미하며, D는 영상 셀과 시청지점 간 거리(즉, 적정 3D 시청거리)를 의미한다. And, B means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and it is fixed together with P according to the selection model.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is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viewing distance by refraction of light. Moreover, M denotes a barrier pattern width, and D denotes a distance between an image cell and a viewing point (ie, an appropriate 3D viewing distance).

입체 도광판을 제작함에 있어, 매개변수(Parameter)는 두께(T)와 패턴 폭(W)일 수 있다. 상기의 식 (1)에서와 같이, 입체 도광판의 두께(T)는 시청 거리(D)와 관계가 있으며, 도트패턴의 폭(W)은 입체(3D) 영상의 시청 마진(Margin) (2R)과 관련이 있다. In manufacturing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parameters may be a thickness (T) and a pattern width (W). As in Equation (1) above, the thickness (T) of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is related to the viewing distance (D), and the width (W) of the dot pattern is the viewing margin (2R) of the stereoscopic (3D) image. is related to

식(1)에서와 같이, 도광판의 두께(T)가 변동되면 배리어 패턴, 즉 도트패턴과 영상패널 간 간격(S) 값이 변동되며, 입체(3D) 영상의 시청거리(D)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As shown in Equation (1), when the thickness (T) of the light guide plate is changed, the value of the barrier pattern, that is, the distance (S) between the dot pattern and the image panel, changes, and affects the viewing distance (D) of the stereoscopic (3D) image. go crazy

그리고, 식(2)에서와 같이, (Q + M)은 선정 모델에 따라 항상 동일하며, 입체 도광판의 발광부 비율, 즉 도트 패턴의 폭을 조절시에 시청 마진(2R)이 변하게 된다.And, as in Equation (2), (Q + M) is always the same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l, and the viewing margin 2R is changed when the ratio of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width of the dot pattern is adjusted.

이러한 도광판의 두께와 사용자의 시청 거리의 관계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as follows.

여기서는 상하로 3개의 입체 도광판을 적층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3개의 입체 도광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상, 하로 적층되는 입체 도광판의 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Here, a case in which thre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re stacked up and dow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re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D) 영상 또는 입체(3D)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패널(210)과, 영상패널 (2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anel 210 on which a flat (2D) image or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and an image panel 210 ) and a backlight unit 220 that provides light.

상기 영상패널(21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영상 셀(image cell)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미도시)과 TFT 어레이 기판(미도시)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anel 210 may be an image cel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a color filter substrate (not shown) and a TFT. It may include an array substrate (not shown)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therebetween.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영상패널(210)은 액정의 배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극(미도시),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소스전극, 드레인 전극 및 공통전극 등의 전극과,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및 컬러필터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패널(210)의 상, 하면에는 편광판(미도시)이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mage panel 210 includes various electrod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for example, electrodes such as a gate line and a data line,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black matrix (not shown) and a color filter (not shown), and a polarizing plate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age panel 210 ,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200)는 영상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image panel.

더욱이, 백라이트 유닛(220)은 일반적인 에지(edge) 형 백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상, 하로 적층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232, 234, 236) 및 최 하측 입체 도광판(236) 하부에 배치되는 평면 도광판(250)과, 각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어레이, 즉 제1광원(262)과 제2 광원(26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광원(262)과 제2 광원(264)은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모드에 맞게 선택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Moreover, the backlight unit 2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edge-type backlight, but is disposed under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236 and the lowermo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stacked up and down. It includes a flat light guide plate 250 and a light source array that provides light to each light guide plate, that is, a first light source 262 and a second light source 264 .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source 2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have a structure in which light is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or a flat image mode.

상기 입체 도광판들(232, 234, 236)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D)의 변경에 따라 입체 도광판들을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 하로 적층되어 있다.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are stacked vertically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can be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viewing distance D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입체 도광판들(232, 234, 236)은 동일한 두께의 입체 도광판을 적층하는 것 외에 설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D; Distance)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의 도광판과 광원 어레이(LED Array)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and 236 have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distance (D), in addition to stacking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of the same thickness and a light source array (LED Array). It is possible to use

사용자의 시청 거리(미도시, 도 9의 D 참조)는 상기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수에 비례한다. 즉, 제1 입체 도광판(232)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D1으로 가정할 때, 제2 입광 도광판(234)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 거리 (D2)는 D1 × 2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제3 입체 도광판(236)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 거리(D3)는 D1 × 3의 값을 갖는다. A user's viewing distance (not shown, see D of FIG. 9 )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 That is, assuming that the user's viewing distance is D1 when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is driven, the user's viewing distance D2 has a value of D1 × 2 when the second light incident light guide plate 234 is driven . In addition, when the thir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6 is driven, the user's viewing distance D3 has a value of D1×3.

이때, 각각의 입체 도광판(232, 234, 236)에 적용되는 광원 어레이가 하나씩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특히, 사용자와 화면, 즉 영상패널(200)과의 거리(미도시, 도 11의 S 참조)에 따라 동작하는 광원 어레이가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arrays applied to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should be selectively driven one by one. In particular, the light source array operating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creen, that is, the image panel 200 (not shown, see S of FIG. 11 ) may be changed.

특히, 백라이트 유닛(220)은 영상패널(210)로 광을 조사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체(3D) 영상 및 평면(2D) 영상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그에 따라 면 광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선형 광을 영상패널(210)로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particular, the backlight unit 220 irradiates light to the image panel 210, and when any one of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flat (2D)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backlight unit 220 emits light in the plane light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rradiate a plurality of extended linear lights to the image panel 210, respectively.

백라이트 유닛(220)의 작동은 영상패널(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광원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2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image panel 210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vided light source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평면 도광판(250)의 상부에는 광학시트(24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학시트(2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optical sheet 240 is disposed on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tical sheet 240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protection sheet.

이러한 광학시트(240)는 평면 도광판(250)에 의해 입사되어 제2 출광면 (미도시)으로 나온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영상패널(210)의 전체 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광학시트(240)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tical sheet 240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mage panel 210 in a more uniform state, such as light incident by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and emitted to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not shown). . As such, since the optical sheet 240 itself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평면 도광판(250)의 하부에는 반사시트(270)가 배치된다. 반사시트 (270)는 평면 도광판(250)의 내부로 유입된 광 중 평면 도광판(250)의 하면으로 나온 광을 반사시켜 다시 평면 도광판(2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줄여 전체적인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A reflective sheet 270 is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The reflective sheet 27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to flow back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light and reducing overall light efficiency.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ncreas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로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최 상측의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1 is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viewing distance when an uppermo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is drive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두 번째 적층된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viewing distance when a second stacke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 중에서 최 하측의 입체 도광판을 구동한 경우에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distance of a user when the lowermo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mo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220)은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상하로 적층된 제1, 2, 3 입체 도광판(232, 234, 236)과, 평면 도광판(350) 및, 제1, 2 광원(262, 264)을 구비한다. 11 to 13 , the backlight unit 22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and 236 stacked vertically to selectively emit different types of light,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350 . ) and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262 and 264 .

상기 제1, 2, 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은 영상패널(210)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평면 도광판(250)은 제3 입체 도광판(236)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2, 3 입체 도광판(232, 234, 236) 및 평면 도광판(250)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are vertically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210 ,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is disposed under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 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236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ar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ethacryl resin, a styrene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respectively. can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출광패턴(scattering pattern)(232a, 234a, 236a)들이 제1 광원(262)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즉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형을 이루며, 선형의 복수 개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들은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11 to 13,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and 236, a plurality of scattering patterns 232a, 234a, 236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62, that 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236,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234, and 236.

이때,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및 관찰자의 시청 거리(D)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이때, 상기 제1 광원(262)의 점등시에 제1 입광 도광판(232)의 출광패턴들 (232a, 234a, 236a)은 전면에서 볼 경우 산란(scattering)에 의해 발광영역에 해당되며,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 사이의 비패턴 영역(232b, 234b, 236b)은 내부 전반사 영역으로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 234a , and 236a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 234a , 236a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variously changed. can be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the pix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viewing distance D of the viewer.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the light outgoing patterns 232a , 234a and 236a of the first light incident light guide plate 232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due to scatter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The non-patterned areas 232b, 234b, and 236b between the outgoing ligh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appear dark as total internal reflection areas.

그리고, 상기 출광패턴(232a, 234a, 236a) 사이의 비패턴 영역(232b, 234b, 236c)은 내부 전반사를 위한 거울 반사면이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출광패턴들(232a, 234a, 236a) 부분만 밝게 나타나게 된다. In addition, the non-patterned regions 232b, 234b, and 236c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generate a mirror reflection surface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Accordingly, only portions of the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and 236 are brightly display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200)는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 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200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rol using the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prior art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but rather the first, second and Since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236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234, 236 are used,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such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etc. will become unnecessary

그리고,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은 광을 난반사하여 산란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은 예를 들어 오목패턴, 돌출패턴, 또는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출광패턴(232a, 234a, 236a)은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무(haze)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출광패턴(232a, 234a, 236a)이 음각의 도트패턴 (dot pattern) 패턴 형태로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 234a , and 236a may be formed in an arbitrary pattern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and scattering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or a dot pattern, and the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236a exhibit a scattering effect. It may also be haze to heighte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234a, and 236a are designed in the form of an intaglio dot patter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평면 도광판(250)은 일반적인 평면(2D) 영상 모델용 도광판과 동일한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240)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270)로 인해 균일한 면 광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은 투명 기재이므로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has the same light profile as the light guide plate for a general planar (2D) image model, and due to the optical sheet 240 disposed on it and the reflective sheet 270 disposed below it, a uniform surface light source is formed. will take on the rol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are transparent substrates, it can be seen that they have little effect on transmittance.

한편, 상기 제1 광원(232)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 중 하나의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1, 제2 및 제3 입체 도광판(232, 234, 236)의 측면, 즉 제1 입광면(미도시)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 (264)은 평면 도광판(250)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평면 도광판(250)의 측면, 즉 제2 입광면(미도시)에 대응하여 배치된다.Meanwhile, the first light source 232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 The side surfaces of 232 , 234 , and 236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ight incident surface (not show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a flat light guide plate 250 to irradiate light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of the , that is,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not shown).

그리고, 상기 제1 광원(262)과 제2 광원(264)은 LED(light emitted diode),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2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ed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light emitted diode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1 광원(262)과 제2 광원(264)은 입체 도광판(232, 234, 236) 및 평면 도광판(250)의 측면(즉, 입광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광원 어레이 또는 각각 하나의 광원 어레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2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ie,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236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 arrays or one light source array each.

상기 제1 광원(262)과 제2 광원(264)은 각각 별도로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광원(262)과 제2 광원(264)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source 2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turned on. That is, if necessary, either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2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the other one may be turned off.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는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262)이 온(on)되고 제2 광원(264)은 오프(off)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262)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264)은 온(on)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turned on. is off, an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turned off. is made possible by turning it 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의 최 상측의 제1 입체 도광판(232)을 통해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262)이 제1 입체 도광판(232)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온(on)되고, 평면 도광판(250)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광원(264)은 오프(off)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200)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262)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264)은 온(on)된다. 11 is a case in which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first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2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is off (off). At this tim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turns on

이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상측의 제1 입체 도광판(232)을 통해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광원(262)이 상기 제1 입체 도광판 (232)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온(on)되게 되면, 제1 입체 도광판(232)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232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232a) 사이의 비패턴 영역(232b)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제1 입체 도광판(232)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 (232a)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232a)을 통해 제1 입체 도광판(232)의 상측의 영상패널(210) 측으로 발산된다.11, in order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rough the uppermost first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2, the first light source 262 When turned on in a state disposed opposite to one side,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are not formed, that is, a plurality of linearly formed portions. The light reaching the non-patterned area 232b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232a is reflected, and then travels back to the inside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 and the light reaching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2a is scattered to form an exit pattern. The light is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210 above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through 232a.

이에 따라, 제1 입체 도광판(232)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출광패턴들 (232a)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 (210)로 입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입체(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light exit patterns 232a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210, so that the user can view stereoscopic (3D) images.

따라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232, 234, 236) 중에서 제1 입체 도광판 (232)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D1)는, 도 9의 식(1)에서와 같이, 제1 입체 도광판(232)의 출광패턴(232a)과 영상패널(210) 간 거리(S1)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Accordingly, the viewing distance D1 of the user when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is, as in Equation (1) of FIG. 9 ,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S1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 232a of 232 and the image panel 210 .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의 중앙 측의 제2 입체 도광판(234)을 통해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262)이 제2 입체 도광판(234)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온(on)되고, 평면 도광판(250)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광원(264)은 오프(off)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 (262)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264)은 온(on)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FIG. 12 is a case in which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secon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4 on the central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264) is off. At this tim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turned on. It is made possible by making it (on).

이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의 제2 입체 도광판(234)을 통해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광원(262)이 상기 제2 입체 도광판(234)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온(on)되게 되면, 제2 입체 도광판 (234)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234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234a) 사이의 비패턴 영역(234b)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제2 입체 도광판(234)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 (234a)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234a)을 통해 제1 입체 도광판(232)의 상측의 영상패널(210) 측으로 발산된다.As such, as shown in FIG. 12 , in order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rough the secon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4 on the central sid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he secon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4 . When turned on in a state disposed opposite to one side,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4a are not formed, that is, a plurality of linearly formed portions. The light reaching the non-patterned area 234b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234a is reflected, and then travels back into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 and the light reaching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4a is scattered to form an exit pattern. It is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through 234a.

이에 따라, 제2 입체 도광판(234)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출광패턴들 (234a)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 (210)로 입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입체(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light exit patterns 234a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210, so that the user can view stereoscopic (3D) images.

따라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232, 234, 236) 중에서 제2 입체 도광판 (234)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D2)는, 도 9의 식(1)에서와 같이, 제2 입체 도광판(234)의 출광패턴(234a)과 영상패널(210) 간 거리(S2)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상기 제2 입체 도광판(234)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 (D2)는, 제1 입체 도광판(232)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D1)의 두 배가 된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viewing distance D2 of the user when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is, as in Equation (1) of FIG. 9 ,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S2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 234a of 234 and the image panel 210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iewing distance D2 when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4 is applied is twice the user's viewing distance D1 when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is applied. .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의 최 하측의 제3 입체 도광판(236)을 통해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로서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262)이 제3 입체 도광판(236)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온(on)되고, 평면 도광판(250)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광원(264)은 오프(off)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262)이 오프 (off)되고, 제2 광원(264)은 온(on)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13 is a case in which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thir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6 on the lowermost si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250 ( 264) is off. At this tim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64 is It is made possible by turning it 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의 제3 입체 도광판(236)을 통해 입체 (3D)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광원(262)이 상기 제2 입체 도광판(236)의 일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1 광원(262)을 온(on)하게 되면, 제3 입체 도광판(236)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236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236a) 사이의 비패턴 영역(236b)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제2 입체 도광판(236)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 (236a)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236a)을 통해 제1 입체 도광판 (232)의 상측의 영상패널(210) 측으로 발산된다.As shown in FIG. 13 , in order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rough the thir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6 on the central side, a first light source 26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236 .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62 is turned on while facing each other,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6a are not formed, i.e., they are linear. Light reaching the non-patterned area 236b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236a forming The scattered light is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210 above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236a.

이에 따라, 제3 입체 도광판(236)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출광패턴들 (236a)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 (210)로 입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입체(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light exit patterns 236a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210, so that the user can view stereoscopic (3D) images.

따라서, 복수 개의 입체 도광판(232, 234, 236) 중에서 제3 입체 도광판 (236)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D3)는, 도 9의 식(1)에서와 같이, 제3 입체 도광판(236)의 출광패턴(236a)과 영상패널(210) 간 거리(S3)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상기 제3 입체 도광판(236)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 (D3)는, 제1 입체 도광판(232)을 적용하였을 때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D1)의 세 배가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viewing distance D3 of the user when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is a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232 , 234 , and 236 is, as in Equation (1) of FIG. 9 ,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S3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 236a of 236 and the image panel 210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iewing distance D3 when the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6 is applied can be three times the user's viewing distance D1 when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232 is applied.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복수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 인해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by selectively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for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 separate polarization material,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And,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displayed.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screen,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선택적으로 온(on)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입체(3D) 영상과 평면 (2D)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됨은 물론, 입체 영상(3D)의 시청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입체 도광판들을 상하로 적층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시청거리 환경에 따라 각각의 도광판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입체(3D) 영상의 시청 거리 조정이 가능하다.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planar (2D) image are selectively realized as well as a stereoscopic image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to be turned 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iewing distance of a stereoscopic (3D) image by designing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that affect the (3D) viewing distance to be stacked up and down so that each light guide plate is driven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environment of the display user.

한편, 입체 도광판과 평면 도광판 사이에 차광필름을 개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light blocking film inter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as follows.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tribution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guide plat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D) 영상 또는 입체(3D)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패널(310)과, 영상패널 (3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3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4 ,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anel 310 on which a flat (2D) image or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and an image panel 310 ) and a backlight unit 320 that provides light.

상기 영상패널(31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이미지셀(image cell)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미도시, 도 2의 110a 참조)과 TFT 어레이 기판(미도시, 도 2의 110b 참조)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 panel 310 may be an image cel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may be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a color filter substrate. (not shown, see 110a of FIG. 2 ) and a TFT array substrate (not shown, see 110b of FIG. 2 )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therebetween.

또한, 영상패널(310)은 액정의 배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극(미도시),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소스전극, 드레인 전극 및 공통전극 등의 전극과,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도 2의 112 참조) 및 컬러필터(미도시, 도 2의 114 참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패널(110)의 상, 하면에는 편광판 (미도시, 도 2의 118a, 118b 참조)이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 (114)는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미도시, 도 2의 114r, 114g, 114b 참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age panel 310 includes various electrod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for example, electrodes such as a gate line, a data line,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black matrix (not shown). , 112 in FIG. 2) and a color filter (not shown, see 114 in FIG. 2), etc., and polarizing plates (not shown, see 118a and 118b in FIG. 2)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age panel 110) Each of these may be attached.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114 includes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not shown, refer to 114r, 114g, and 114b of FIG. 2 ).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300)는 영상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패널(310)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image panel. Since the image panel 31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더욱이, 백라이트 유닛(320)은 일반적인 에지(edge) 형 백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기존의 도광판이 두께 방향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2개의 도광판 즉, 입체 도광판(330)과 평면 도광판(350)이 적용되며, 각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어레이, 즉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 역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모드에 맞게 선택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Moreover, the backlight unit 3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edge-type backlight, but the existing light guide plate is div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wo independent light guide plates,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are The light source array that provides light to each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are also independent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lit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or a planar image mode.

특히,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320)은 영상패널(310)로 광을 조사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체(3D) 영상 및 평면(2D) 영상 표시모드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그에따라 면 광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선형 광을 영상패널(310)로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backlight unit 320 irradiates light to the image panel 310, and when any one of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flat (2D)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urface light or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rradiate a plurality of linear lights extending to the image panel 310, respectively.

백라이트 유닛(320)의 작동은 영상패널(3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광원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3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image panel 310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vided light source control uni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320)은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두 개의 도광판과 두 개의 광원, 즉 입체 도광판 (330) 및 평면 도광판(350)과 제1, 2 광원(362, 364)을 구비한다.14 , the backlight unit 320 includes two light guide plates and two light sources, that i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350 and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to selectively emit different types of light. Light sources 362 and 364 are provided.

상기 입체 도광판(330)은 영상패널(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도광판(350)은 입체 도광판(3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330) 및 평면 도광판(350)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is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310 ,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may be respective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도광판(330)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출광패턴(scattering pattern)(330a)들이 선형(line)으로 제1 광원(362)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즉 입체 도광판(3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형을 이루며, 선형의 복수 개의 출광패턴 (330a)들은 입체 도광판(3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 a plurality of scattering patterns 330a are linearly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36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ross direction, that i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to form a linear shape, and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330a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can

이때,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330a)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광패턴(330a)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330a)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및 관찰자의 시청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이때, 제1 광원(362)의 점등시에 상기 출광패턴들(330a)은 전면에서 볼 경우 산란(scattering)에 의해 발광영역에 해당되며,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330a) 사이의 영역(미도시)은 내부 전반사 영역으로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a pix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a viewing distance of an observer.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ight source 362 is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patterns 330a correspond to a light emitting area due to scatter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reg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emitting patterns 330a (not shown). H) appears dark as a total internal reflection area.

그리고, 상기 출광패턴(330a) 사이의 영역은 내부 전반사를 위한 거울 반사면이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 도광판(330)의 출광패턴들(330a) 부분만 밝게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the region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330a is such that a mirror reflection surface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is generated. Accordingly, only portions of the light exit patterns 330a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ppear br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300)는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도광판(33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광패턴(330a)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 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but rather of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330 .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re used,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such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par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is unnecessary.

그리고, 복수의 출광패턴(330a)은 광을 난반사하여 산란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패턴(330a)은 예를 들어 오목패턴, 돌출패턴 , 또는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출광패턴(330a)은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무(haze)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출광패턴(330a)이 음각의 도트(dot) 패턴 형태로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may be formed in any pattern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and scattering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or a dot pattern, and the light exit pattern 330a may be haze-treated to increase the scattering effect. may b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330a are designed in the form of engraved dot patter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입체 도광판(330) 하측에 배치되는 평면 도광판(350)은 일반적인 평면 (2D) 영상 모델용 도광판과 동일한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340)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370)로 인해 균일한 면 광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330)은 투명 기재이므로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3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dispos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has the same light profile as that of a general planar (2D) image model light guide plate, and the optical sheet 340 disposed on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350 and the reflective sheet disposed thereunder Due to (370), it plays the role of a uniform planar light source. In this case, sinc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is a transparent substrat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ransmittance is insignifica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tical sheet 340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protection sheet.

이러한 광학시트(340)는 평면 도광판(350)에 의해 입사되어 출광면(미도시)으로 나온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영상패널(310)의 전체 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광학시트(340)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tical sheet 340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mage panel 310 in a more uniform state to light incident by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and exiting the light exit surface (not shown). As such, since the optical sheet 34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평면 도광판(350)의 하부에는 반사시트(370)가 배치된다. 반사시트 (370)는 평면 도광판(350)의 내부로 유입된 광 중 평면 도광판(350)의 하면으로 나온 광을 반사시켜 다시 평면 도광판(3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줄여 전체적인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A reflective sheet 370 is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 The reflective sheet 37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to flow back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350 ,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light and reducing overall light efficiency. functions to increase

그리고, 상기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은 LED(light emitted diode),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ed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light emitted diode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은 입체 도광판(330) 및 평면 도광판(350)의 측면(즉, 입광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광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광원이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ie,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350 , each of one light source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arranged in a line.

상기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의 개수 및 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이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one first light source 362 and one second light source 364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은 각각 별도로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광원(362)과 제2 광원(364)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turned on. That is, if necessary, either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36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the other one may be turned off.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330)가 입체(3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362)이 온(on)되고 제2 광원(364)은 오프(off)되며, 영상표시장치 (300)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 제1 광원(362)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364)은 온(on)된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330 operate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362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is turned off, and the image is displayed. When the device 300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36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64 is turned on.

그리고,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 도광판(330)과 광학시트(340) 사이에는 차광필름(shading film, 380)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차광필름(380)은 상기 입체 도광판(330)의 출광패턴들(330)과 광학시트(340) 사이로 누설되는 광을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And, as shown in FIGS. 14 and 15 , a shading film 380 is dis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optical sheet 340 . In this case, the light blocking film 380 plays a role of physically blocking or reducing light leaking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330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optical sheet 340 .

이와 같이, 상기 차광필름(shading film, 380)이 상기 입체 도광판(330)과 광학시트(34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입체 영상표시장치(300)의 크로스 토크(CT; Cross Talk) 수준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차광필름(380)의 투과율(α)이 작을수록 영상표시장치의 크로스 토크(3D CT)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As such, since the shading film 380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330 and the optical sheet 340 , the level of cross talk (CT)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300 is greatly improved. can be In particular, as the transmittance α of the light blocking film 380 decreases, the crosstalk (3D C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greatly reduced.

식 (4) --- 3D CT(크로스 토크) = (BLWR - BLBR) / (WLBR - BLBR) × 100Equation (4) --- 3D CT (Crosstalk) = (B L W R - B L B R ) / (W L B R - B L B R ) × 100

이는 식(4)에서와 같이, 현재의 2 뷰(View) 구조의 무 안경 3D 크로스 토크(CT)의 계산식에서 오프-셋(Off-set) 휘도(BB) 수준을 누설 광량 × (α)2의 크기로 감소시키는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As shown in Equation (4), it is the amount of leakage light × (α) 2 This is because it acts as a factor that reduces the size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두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 인해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by selectively driving two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for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 separate polarization material,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And,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displayed.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screen,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특정 투과율을 갖는 차광필름(shading film)을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누설 광을 감소킬 수 있어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의 입체(3D) 영상 화질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그 하부의 평면 도광판으로 누설되는 광의 감소로 인해 비패턴 영역(Non-Pattern Region)에 의한 광차단 효과가 증가함에 따라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크게 감소하게 됨으로써 입체 영상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leakage light by arranging a shading film having a specific transmittance under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so that stereoscopic (3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improve image quality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s the light blocking effect by the non-pattern region increases due to a decrease in light leaking from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below it, the cross-talk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greatly reduced. The qu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may be improved.

하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적용한 차광필름은 입체 도광판으로부터의 누설 광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투과율이 다소 낮기 때문에 평면 영상 구현시에 평면 도광판을 통한 평면 휘도의 일부가 손실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light-shielding film appli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light leakage from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the transmittance is rather low, so that a part of the flat luminance through the flat light guide plate may be lost when realizing a flat image. .

그러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4 및 5 실시 예는 입체 도광판으로부터의 누설 광의 감소는 물론 평면 영상 구현시에 평면 휘도의 일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light leakage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and prevent loss of a part of the plane luminance when realizing a plane image.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도 16 내지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0 as follows.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400)는,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D) 영상 또는 입체(3D)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패널(410)과, 영상패널(4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4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anel 410 on which a flat (2D) image or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and an image panel and a backlight unit 420 providing light to 410 .

상기 영상패널(41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이미지셀(image cell)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410a)과 TFT 어레이 기판(410b)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the image panel 410 may be an image cel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color The filter substrate 410a and the TFT array substrate 410b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therebetween.

상기 영상패널(410)은 액정의 배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극(미도시),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소스전극, 드레인 전극 및 공통전극 등의 전극과,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및 컬러필터(41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패널(110)의 상, 하면에는 편광판(418a, 418b)이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414)는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The image panel 410 includes various electrod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for example, electrodes such as a gate line, a data line,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black matrix (not shown). and a color filter 414 , and polarizing plates 418a and 418b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age panel 110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414 includes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not shown).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400)는 영상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패널(410)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image panel. Since the image panel 41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백라이트 유닛(420)은 일반적인 에지(edge) 형 백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기존의 도광판이 두께 방향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2개의 도광판 즉, 입체 도광판(430)과 평면 도광판(460)이 적용되며, 각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어레이, 즉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 역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모드에 맞게 선택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light unit 4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edge-type backlight, but the existing light guide plate is div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wo independent light guide plates,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are The light source array that provides light to each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are also independent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lit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or a planar image mode.

특히,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420)은 영상패널(410)로 광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체(3D) 영상 및 평면(2D) 영상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그에따라 면 광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선형 광을 영상패널(410)로 각각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420)의 작동은 영상패널(4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광원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backlight unit 420 provides light to the image panel 410, and when any one of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flat (2D)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urface light or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s extending to the image panel 410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4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image panel 410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vided light source control unit.

백라이트 유닛(420)은,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두 개의 입체 도광판(430) 및 평면 도광판(460)과, 선택 구동되는 제1, 2 광원(434, 464) 및, 상기 입체 도광판(430)과 평면 도광판 (460) 사이에 개재되어 입체 도광판(430)의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필름(Barrier Film; 440)과, 이 배리어필름(440) 하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450)과, 상기 광학시트(450) 하부에 배치되는 평면 도광판(450)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backlight unit 420 includes two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430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460 to selectively emit different types of light, and first and second selectively driven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Light sources 434 and 464 and a barrier film 440 inter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to block light leak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It includes an optical sheet 450 disposed under the barrier film 440 , and a reflective sheet 470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450 disposed under the optical sheet 450 .

상기 입체 도광판(430)은 영상패널(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도광판(460)은 입체 도광판(4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430) 및 평면 도광판(460)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is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410 ,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may be respective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그리고, 평면 도광판(460)은 일반적인 평면(2D) 영상 모델용 도광판과 동일한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450)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70)로 인해 균일한 면 광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430)은 투명 기재이므로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has the same light profile as the light guide plate for a general planar (2D) image model, and has a uniform surface due to the optical sheet 450 disposed on it and the reflective sheet 470 disposed below it. It will act as a light source. In this case, sinc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is a transparent substrat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ransmittance is insignificant.

제1 광원(434)은 입체 도광판(43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입체 도광판(430)의 측면, 즉 제1 입광면(430a)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 (464)은 평면 도광판(460)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평면 도광판(460)의 일 측면, 즉 제2 입광면(460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hat is, the first light incident surface 430a, so as to irradiate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460 , that is,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460a to irradiate light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

그리고, 상기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은 LED(light emitted diode),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ed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light emitted diode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은 입체 도광판(430) 및 평면 도광판(460)의 측면(즉, 입광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광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6에서와 같이, 복수의 광원이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ie,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 each of one light source may be formed, and as shown in FIG. 16 ,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arranged in a line.

상기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은 각각 별도로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turned on. That is, if necessary, either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the other one may be turned off.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체(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작동하는 경우, 제1 광원(434)이 온(on)되고 제2 광원(464)은 오프 (off)되며,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작동하는 경우, 제1 광원(434)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464)은 온(on)된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turned off. (off),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turns on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과 배리어필름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a barrier fil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도 18의 A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입체 도광판의 하면 내측에 구비된 출광패턴 하부에 배리어필름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8 ,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rrier film is disposed under a light exit pattern provided inside a lower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도광판(430)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출광패턴(scattering pattern)(432)들이 선형(line)으로 제1 광원(434)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즉 입체 도광판(4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형을 이루며, 선형의 복수 개의 출광패턴 (432)들은 입체 도광판(4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8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a plurality of scattering patterns 432 are linearly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ross direction,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o form a linear shape, and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4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o be formed. can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432)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광패턴(432)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432)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및 관찰자의 시청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a pix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and a viewing distance of an observer.

그리고, 제1 광원(434)의 점등시에 상기 출광패턴들(432)은 전면에서 볼 경우 산란(scattering)에 의해 발광영역에 해당되며,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432) 사이의 비패턴 영역(136)은 내부 전반사 영역으로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patterns 432 correspond to a light emitting area due to scatter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re non-pattern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emitting patterns 432 . (136) appears dark as a total internal reflection region.

더욱이, 상기 출광패턴들(432) 사이의 비패턴 영역(436)은 내부 전반사를 위한 거울 반사면이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 도광판(430)의 출광패턴들 (432) 부분만 밝게 나타나게 된다.Moreover, the non-patterned area 436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432 allows a mirror reflection surface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be generated. Accordingly, only portions of the light exit patterns 432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re brightly displayed.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400)는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도광판(43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광패턴(432)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 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The image display device 400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rather than controlling it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are used,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such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componen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is unnecessary.

그리고, 복수의 출광패턴(432)은 광을 난반사하여 산란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패턴(432)은 예를 들어 오목패턴, 돌출패턴, 또는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출광패턴(432)은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무(haze) 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출광패턴(432)이 음각 형태인 도트패턴(dot pattern) 형태로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may be formed in any pattern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and scattering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or a dot pattern. may b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are designed in the form of an intaglio dot patter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입체 도광판(430)의 하부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필름(440)이 배치되어 있으며, 배리어필름(440) 영역 중 상기 입체 도광판(430)의 출광패턴(432)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차광패턴(4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차광패턴(442)은 상기 출광패턴(432)과 대응되는 지역, 즉 오버랩되는 배리어필름(440) 부분에 형성된다. 이는 출광패턴(432)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일부가 하부로 누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누설되는 광을 상기 차광패턴(442)이 차단하여 입체 도광판(430) 쪽으로 재반사시키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s shown in FIG. 19, a barrier film 440 is disposed, and in th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he light exit pattern 432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is disposed. A light blocking pattern 442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n this case,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xit pattern 432 , that is, in the overlapping barrier film 440 . This is because part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432 may leak downward, so that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blocks the light leaking and reflects it back toward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그리고, 상기 차광패턴(442)들 사이의 투과영역(446)은 평면 도광판(46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입체 도광판(430) 내부로 투과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ve region 446 between the light blocking patterns 442 allows light incident from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to be transmit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상기 배리어필름(440)의 투과영역(446)은 약 8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지며, 차광패턴(442)은 입체 도광판(430)의 출광패턴(4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차광패턴(442)은 상기 출광패턴(4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누설된 광을 재반사시켜 입체 도광판(43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nsmission region 446 of the barrier film 440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80% or more, a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blocks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exit pattern 432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In particular,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serves to block the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exit pattern 432 ,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leaked light to be incident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따라서, 배리어필름(440)은 차광패턴(442)을 통해 상기 입체 도광판(430)으로부터 광학시트(45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 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rrier film 440 physically blocks or reduces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430 toward the optical sheet 450 through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thereby Talk) can be grea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배리어필름(440)의 하부에는 광학시트(45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학시트(45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optical sheet 450 is disposed under the barrier film 440 . In this case, the optical sheet 450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protection shee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광학시트(450)는 평면 도광판(460)에 의해 입사되어 제2 출광면(460b)으로 나온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영상패널(410)의 전체 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광학시트(450)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tical sheet 450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mage panel 410 in a more uniform state to light incident by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and exiting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460b. At this time, since the optical sheet 45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평면 도광판(460)의 하부에는 반사시트(470)가 배치된다. 반사시트 (470)는 평면 도광판(460)의 내부로 유입된 광 중 평면 도광판(460)의 하면으로부터 나온 광을 반사시켜 다시 평면 도광판(46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줄여 전체적인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A reflective sheet 470 is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 The reflective sheet 47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so that it flows back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 thereby reducing light loss and overall light efficiency. functions to increas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430)의 경우, 입체 도광판(430)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43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432) 사이의 비패턴 영역(436)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입체 도광판(430)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432)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432)을 통해 입체 도광판(430)의 제1 출광면(430b)의 외부로 발산된다.In the cas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are not formed That is, the light reaching the non-patterned area 436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that are linear, respectively, is reflected and travels back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and reaches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432 . The light is scattered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exit surface 430b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432 .

이에 따라, 입체 도광판(4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선형 출광패턴(434)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410)로 입사된다.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output patterns 434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410 .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400)의 평면 도광판(460)의 경우, 제2 입광면(460a)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462)으로부터 유입된 광을 평면 도광판(460)의 상면, 즉 제2 출광면(460b)의 전체에 걸쳐 면 발광시켜 상기 영상패널(410)을 향해 발산되도록 한다. 즉, 평면 도광판(460)은 기존의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과 유사하게 제2 출광면(460b)의 전체에 걸쳐 분포되는 광을 발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ntroduc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462 facing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460a is converted into a flat surface. Surface light is emitt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460 , that is,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460b to be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410 . That is,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emits light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econd light exit surface 460b, similar to a light guide plate used in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를 위해, 평면 도광판(460)의 상면에 광을 산란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패턴은 프리즘 패턴,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패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광학시트(450)에 의해 평면 도광판(460)에서 발산된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변환된 후 영상패널(410)로 조사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ttern for scattering ligh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460 , and such a patter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a prism pattern and a dot patter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may be converted into a more uniform state by the optical sheet 450 described above and then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41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400)는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이 선택적으로 온(on)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입체(3D) 영상과 평면(2D)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ar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turned on, thereby displaying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planar (2D) image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400)는 입체 도광판(430) 또는 평면 도광판(460)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이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제1 광원(434) 및 제2 광원(464)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입체 도광판(430) 및 평면 도광판(460)의 사이즈가 동일할 경우, 제1 광원(434)과 제2 광원(464)의 부하 용량은 동일하므로 광원 드라이버(driver)는 별도로 적용할 필요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 방향만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in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re selectively operated depending on whether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or a flat light guide plate 460 is used. This can be implemented by selectively lighting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 In particular, wh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have the same size, the load capacity of the first light source 4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the same, so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pply a light source driver. It can be used in common, and only the output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designed.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434)이 온(on)되고 제2 광원(464)은 오프(off)된다. 이 경우, 입체 도광판(430)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입체 도광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432)을 통하여 복수의 선형 광이 출사되고, 이 출사된 광이 영상패널(410)로 입사된다. When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as shown in FIG. 20 ,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turned off. In this case, a plurality of linear light is e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43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emitted light is the image panel 410 . is entered into

이때, 상기 배리어필름(440)에 구비된 차광패턴(442)은 상기 출광패턴(432)과 대응되는 지역, 즉 오버랩되는 배리어필름(440)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출광패턴(432)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 중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여 입체 도광판 (430) 쪽으로 재반사시켜 입체 도광판(430) 내부로 투과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provided in the barrier film 440 is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xit pattern 432 , that is,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barrier film 440 , and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432 . The light leaking to the lower part of the light is blocked and reflected back toward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to be transmit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따라서, 배리어필름(440)은 차광패턴(442)을 통해 상기 입체 도광판(430)으로부터 광학시트(45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 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rrier film 440 physically blocks or reduces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430 toward the optical sheet 450 through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thereby Talk) can be greatly improved.

이에 따라, 각 출광패턴들(432)로부터 굴절된 광이 영상패널(410)의 서로 다른 화소 영역을 통과한 후 관찰자의 좌안(482)과 우안(484)에 각각 도달하게 된다. 즉, 관찰자의 좌안(482)에 도달하는 광은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490a)를 지나게 되고, 관찰자의 우안(484)에 도달하는 광은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490b)를 지나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refracted from each of the outgoing light patterns 432 passes through different pixel areas of the image panel 410 and then arrives at the viewer's left eye 482 and right eye 484 , respectively. That is, light reaching the viewer's left eye 482 passes through a path 490a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light reaching the viewer's right eye 484 passes through a path 490b indicated by a solid line.

따라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은 상이한 영상, 즉 좌안(482)에서는 칼라 색상의 영상을 보게 되고 우안(484)에서는 어두운 영상을 보게 됨으로써 뷰(view) 간 분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관찰되는 영상 차이에 의해 관찰자는 입체(3D) 영상을 느끼게 된다. 이때, 동일한 출광패턴(432)에서 출사되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도달하는 광이 각각 지나는 경로에 위치하는 영상패널(410)의 화소영역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된다. Accordingly, the observer's left eye and right eye see a different image, that is, a color image is viewed in the left eye 482 and a dark image is viewed in the right eye 484 , so that separation between views occurs, and the observed image difference By this, the observer feels a stereoscopic (3D) image. In this case, pixel areas of the image panel 410 located in path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ame light exit pattern 432 and reaching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passes are driven to display different images.

한편,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제1 광원(434)은 오프(off)되고, 제2 광원(464)이 온(on)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원(464)에서 나온 광은 평면 도광판 (460)의 제2 출광면(460b)의 전면을 통해서 출사되고, 입체 도광판(430)을 통과한 후 영상패널(410)로 조사된다.Meanwhile, when realizing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43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turned on. T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464 is emit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460b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460 , passe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and then is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410 . .

이에 따라, 관찰자는 통상의 영상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2차원(2D) 적인 평면 영상으로 느끼게 된다.Accordingly, the observer perceiv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a two-dimensional (2D) flat image in the same way as in the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이때, 상기 배리어필름(440)의 차광패턴(442)에 의해 암부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입체 도광판(430) 용 제1 광원(434)을 동시에 점등해 줌으로써 암부를 보상할 수 있다.At this time, a dark portion may be generated by the light blocking pattern 442 of the barrier film 440 . In this case, the dark portion may be compensated by simultaneously lighting the first light source 434 fo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43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복수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 인해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by selectively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for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 separate polarization material,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And,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displayed.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screen,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배리어필름을 배치하여 이 배리어필름에 형성되는 차광패턴이 상기 입체 도광판의 출광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 출광패턴을 통해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광학시트 쪽으로 누설되는 광이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됨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rier film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light blocking pattern formed on the barrier film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put patter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ince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ptical sheet is physically blocked or reduced by 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도 21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5 as follows.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결합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500)는,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D) 영상 또는 입체(3D)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패널(510)과, 영상패널(5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5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and 22 ,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anel 510 on which a flat (2D) image or a stereoscopic (3D) image is implemented, and an image panel and a backlight unit 520 providing light to the 510 .

영상패널(510)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이미지셀(image cell)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기판, 즉 컬러필터 기판(510a)과 TFT 어레이 기판(510b)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 the image panel 510 may be an image cel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may be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a color filter. The substrate 510a and the TFT array substrate 510b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therebetween.

상기 영상패널(510)은 액정의 배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극(미도시),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소스전극, 드레인 전극 및 공통전극 등의 전극과,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및 컬러필터(51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패널(510)의 상, 하면에는 편광판(518a, 518b)이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514)는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The image panel 510 includes various electrode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for example, electrodes such as a gate line, a data line,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nd a black matrix (not shown). and a color filter 514 and the like, and polarizing plates 518a and 518b may b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age panel 510 .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514 includes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 filters (not shown).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500)는 영상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패널(510)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the image panel. Since the image panel 51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백라이트 유닛(520)은 일반적인 에지(edge) 형 백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지만, 기존의 도광판이 두께 방향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2개의 도광판 즉, 입체 도광판(530)과 평면 도광판(560)이 적용되며, 각 도광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어레이, 즉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 역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모드에 맞게 선택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light unit 52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edge-type backlight, but the existing light guide plate is div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wo independent light guide plates, that is,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560 , are provided. The light source array that provides light to each light guide plate, that is, 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are also independent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or a planar image mode.

특히,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520)은 영상패널(510)로 광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체(3D) 영상 및 평면(2D) 영상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그에따라 면 광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선형 광을 영상패널(510)로 각각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520)의 작동은 영상패널(5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광원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backlight unit 520 provides light to the image panel 510, and when any one of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flat (2D) image dis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urface light or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a plurality of linear lights extending to the image panel 510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backlight unit 5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image panel 510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vided light source control unit.

백라이트 유닛(520)은,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광을 선택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두 개의 입체 도광판(530) 및 평면 도광판(560)과, 선택 구동되는 제1, 2 광원(534, 564) 및, 상기 입체 도광판(530) 하면에 삽입된 차광막(540)과, 이 입체 도광판(530) 하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550)과, 상기 광학시트(550) 하부에 배치되는 평면 도광판(560)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and 22 , the backlight unit 520 includes two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530 and a flat light guide plate 560 to selectively emit different types of light, and first and second selectively driven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The light sources 534 and 564, the light blocking film 540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the optical sheet 550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 optical sheet 550 are disposed under the optical sheet 550 and a reflective sheet 470 disposed under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560 .

상기 입체 도광판(530)은 영상패널(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도광판(560)은 입체 도광판(5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530) 및 평면 도광판(560)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is disposed under the image panel 510 ,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may be respective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그리고, 평면 도광판(560)은 일반적인 평면(2D) 영상 모델용 도광판과 동일한 광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550)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반사시트(570)로 인해 균일한 면 광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 도광판(530)은 투명 기재이므로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has the same light profile as a light guide plate for a general planar (2D) image model, and has a uniform surface due to the optical sheet 550 disposed on it and the reflective sheet 570 disposed below it. It will act as a light source. In this case, since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is a transparent substrat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ransmittance is insignificant.

제1 광원(534)은 입체 도광판(53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입체 도광판(530)의 측면, 즉 제1 입광면(530a)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 (564)은 평면 도광판(560)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평면 도광판(560)의 일 측면, 즉 제2 입광면(560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that is, the first light incident surface 530a, so as to radiate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that is,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560a to irradiate light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그리고, 상기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은 LED(light emitted diode),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such as a light emitted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light emitted diode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은 입체 도광판(530) 및 평면 도광판(560)의 측면(즉, 입광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광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1에서와 같이, 복수의 광원이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ie,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and each light source is one light source. may be formed, and as shown in FIG. 21 ,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arranged in a line.

상기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은 각각 별도로 온(o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turned on. That is, if necessary, only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may be turned on and the other one may be controlled to be off.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체(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작동하는 경우, 제1 광원(534)이 온(on)되고 제2 광원(564)은 오프 (off)되며,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평면(2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작동하는 경우, 제1 광원(534)이 오프(off)되고 제2 광원(564)은 온(on)된다. For exampl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turned off. (off), an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implement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turns on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과 배리어필름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a barrier fil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도 23의 B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입체 도광판에 구비된 출광패턴의 외면에 차광막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23 ,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blocking film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light exit patter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도광판(530)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출광패턴(scattering pattern)(532)들이 선형(line)으로 제1 광원(534)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즉 입체 도광판(5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선형을 이루며, 선형의 복수 개의 출광패턴 (532)들은 입체 도광판(5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3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a plurality of scattering patterns 532 are linear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534 .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ross direction,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to form a linear shape, and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53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can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532)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출광패턴(532)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출광패턴(532)은 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및 관찰자의 시청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a pixel area of a display device and a viewing distance of an observer.

그리고, 제1 광원(534)의 점등시에 상기 출광패턴들(532)은 전면에서 볼 경우 산란(scattering)에 의해 발광영역에 해당되며,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532) 사이의 비패턴 영역(536)은 내부 전반사 영역으로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turned on, the light exit patterns 532 correspond to emission areas due to scatter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re non-patterned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532 . (536) appears dark as a total internal reflection region.

더욱이, 상기 출광패턴들(532) 사이의 비패턴 영역(536)은 내부 전반사를 위한 거울 반사면이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 도광판(530)의 출광패턴들 (532) 부분만 밝게 나타나게 된다.Moreover, the non-patterned area 536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532 allows a mirror reflection surface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be generated. Accordingly, only portions of the light exit patterns 532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ppear bright.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500)는 입체(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도광판(53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광패턴(532)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 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The image display device 500 using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rather than controlling it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to implement a stereoscopic (3D) image. Since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are used, a separate polarizing material such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components such as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is unnecessary.

그리고, 복수의 출광패턴(532)은 광을 난반사하여 산란할 수 있는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출광패턴(532)은 예를 들어 오목패턴, 돌출패턴, 또는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출광패턴(532)은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무(haze)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출광패턴(532)의 내부가 음각인 도트(dot) 패턴 형태로 설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음각의 출광패턴(532)의 내부는 오목 홈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may be formed in any pattern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and scattering light.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or a dot pattern, and the light exit pattern 532 may be haze-treated to increase the scattering effect. may b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is designed in the form of an intaglio dot patter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the inside of the engraved light exit pattern 532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한편, 상기 입체 도광판(530)의 출광패턴(532)의 내부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5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차광막(540)은 상기 출광패턴(532)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출광패턴(5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막(540)은 출광패턴(532) 하부로의 반사광을 차단할 수 있는 비투과 특성이 있는 물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비투과 특성이 있는 물질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은 비투과성 물질을 의미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4 , a light blocking film 540 is formed inside the light exit pattern 532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In this case, the light blocking layer 5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or is inserted and filled in the light exit pattern 532 .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film 540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a non-transmissive property capable of block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 The non-transmissive material means a non-transmissive material having a low visible light transmittance.

상기 차광막(540)은 마스킹(Masking)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마스킹 방식은 음각의 도트패턴 형태인 출광패턴(532)의 내부에 차광 물질을 코팅하거나 또는 차광 물질을 충진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film 540 may be formed by a masking method. This masking method includes a method of coating a light blocking material or filling the light blocking material inside the light exit pattern 532 in the form of an intaglio dot pattern. Available.

이는 출광패턴(532)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일부가 하부로 누설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누설되는 광을 상기 차광막(40)이 차단하여 입체 도광판(530) 내부 쪽으로 재반사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차광막(540)은 상기 출광패턴(5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누설된 광을 재반사시켜 입체 도광판(53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is is because a por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may leak downward, so that the light blocking film 40 blocks the light leaking and reflects it back toward the insid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In particular, the light blocking layer 540 blocks the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exit pattern 532 ,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the leaked light back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그리고, 상기 입체 도광판(530)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입체 도광판 (530)이 열팽창되어 그 크기가 변형되더라도 출광패턴(532)의 외면에 있는 차광막 (460)은 출광패턴(532)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변함이 없기 때문에, 상기 출광패턴(532)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누설된 광을 재반사시켜 입체 도광판(530) 내부로 입사시킬 수 있다.And,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even i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is thermally expanded and its size is deformed, the light blocking film 46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 Since there is no change in the attached state, the light leaking from the light exit pattern 532 can be effectively blocked, and the leaked light can be reflected back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따라서, 차광막(540)은 상기 입체 도광판(530)으로부터 광학시트(55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 (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film 540 physically blocks or reduces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530 toward the optical sheet 550 , thereby greatly improving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그리고, 상기 입체 도광판(530)의 하부에는 광학시트(55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학시트(55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optical sheet 550 is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In this case, the optical sheet 55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protection sheet.

광학시트(550)는 평면 도광판(560)에 의해 입사되어 제2 출광면(560b)으로 나온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영상패널(510)의 전체 면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광학시트(550)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tical sheet 550 performs a function of irradi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image panel 510 in a more uniform state such that light incident by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and exiting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560b is irradiated. At this time, since the optical sheet 550 itsel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평면 도광판(560)의 하부에는 반사시트(570)가 배치된다. 반사시트 (570)는 평면 도광판(560)의 내부로 유입된 광 중 평면 도광판(560)의 하면으로부터 나온 광을 반사시켜 다시 평면 도광판(56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줄여 전체적인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A reflective sheet 570 is disposed under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The reflective sheet 570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so that it flows back into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thereby reducing light loss and overall light efficiency. functions to increas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530)의 경우, 입체 도광판(530) 내부로 유입된 광 중에서, 복수의 출광패턴(53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각각 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출광패턴(532) 사이의 비패턴 영역(536)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입체 도광판(530) 내부로 진행하게 되고, 복수의 출광패턴(532)에 도달한 광은 산란되어 출광패턴(532)을 통해 입체 도광판(530)의 제1 출광면(530b)의 외부로 발산된다. In the cas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mong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are not formed That is, the light reaching the non-patterned area 536 between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that are linear, respectively, is reflected and travels back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and reaches the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532 . The light is scattered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exit surface 530b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532 .

이에 따라, 입체 도광판(53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선형 출광패턴(532)에 의해 광을 선형 광의 형태로 발산하게 되고, 이 발산된 광은 영상패널(510)로 입사된다. 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emits light in the form of linear light by the plurality of linear light output patterns 53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on the image panel 510 .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500)의 평면 도광판(560)의 경우, 제2 입광면(560a)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562)으로부터 유입된 광을 평면 도광판(560)의 상면, 즉 제2 출광면(560b)의 전체에 걸쳐 면 발광시켜 상기 영상패널(510)을 향해 발산되도록 한다. 즉, 평면 도광판(560)은 기존의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과 유사하게 제2 출광면(560b)의 전체에 걸쳐 분포되는 광을 발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ntroduc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562 facing the second light incident surface 560a is converted into a flat surface. Surface light is emitt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560 , that is,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560b to be emitted toward the image panel 510 . That is,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emits light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econd light exit surface 560b, similar to a light guide plate used in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를 위해, 평면 도광판(560)의 상면에 광을 산란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패턴은 프리즘 패턴, 도트(dot) 패턴 등 다양한 패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광학시트(550)에 의해 평면 도광판(560)에서 발산된 광이 더욱 균일한 상태로 변환된 후 영상패널(510)로 조사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ttern for scattering ligh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and such a patter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a prism pattern and a dot patter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may be converted into a more uniform state by the optical sheet 550 described above and then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51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500)는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이 선택적으로 온(on)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입체(3D) 영상과 평면(2D)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tereoscopic (3D) image and A planar (2D) image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해 입체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through a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500)는 입체 도광판(530) 또는 평면 도광판(560)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이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제1 광원(534) 및 제2 광원(564)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입체 도광판(530) 및 평면 도광판(560)의 사이즈가 동일할 경우, 제1 광원(534)과 제2 광원(564)의 부하 용량은 동일하므로 광원 드라이버(driver)는 별도로 적용할 필요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 방향만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25, in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are selectively operated depending on whether a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or a flat light guide plate 560 is used. This can be implemented by selectively lighting 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 In particular, when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have the same size, the load capacity of the first light source 534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the same, so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pply a light source driver. It can be used in common, and only the output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designed.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534)이 온(on)되고 제2 광원(564)은 오프(off)된다. 이 경우, 입체 도광판(530)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며 입체 도광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선형의 복수의 출광패턴(532)을 통하여 복수의 선형 광이 출사되고, 이 출사된 광이 영상패널(510)로 입사된다. When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as shown in FIG. 25 , 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turned off. In this case, a plurality of linear lights are e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linear light exit patterns 53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emitted light is the image panel 510 . is entered into

이때, 상기 차광패턴(540)은 상기 출광패턴(532)의 내면에 이 출광패턴(532)과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어, 출광패턴(532)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 중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여 입체 도광판(530) 쪽으로 재반사시켜 입체 도광판(530) 내부로 투과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light blocking pattern 54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to correspond to the light exit pattern 532, and blocks the light leaking downward amo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532. It is reflected back toward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so as to be transmit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

따라서, 차광막(540)은 출광패턴(532)을 통해 상기 입체 도광판(530)에서 광학시트(55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film 540 physically blocks or reduces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530 toward the optical sheet 550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532 , thereby performing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can be greatly improved.

이에 따라, 각 출광패턴들(532)로부터 굴절된 광이 영상패널(510)의 서로 다른 화소 영역을 통과한 후 관찰자의 좌안(582)과 우안(584)에 각각 도달하게 된다. 즉, 관찰자의 좌안(582)에 도달하는 광은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590a)를 지나게 되고, 관찰자의 우안(584)에 도달하는 광은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590b)를 지나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refracted from each of the light exit patterns 532 passes through different pixel areas of the image panel 510 and then arrives at the viewer's left eye 582 and right eye 584 , respectively. That is, light reaching the observer's left eye 582 passes through a path 590a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light reaching the observer's right eye 584 passes through a path 590b indicated by a solid line.

따라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은 상이한 영상, 즉 좌안(582)에서는 칼라 색상의 영상을 보게 되고 우안(584)에서는 어두운 영상을 보게 됨으로써 뷰(view) 간 분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관찰되는 영상 차이에 의해 관찰자는 입체(3D) 영상을 느끼게 된다. 이때, 동일한 출광패턴(532)에서 출사되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도달하는 광이 각각 지나는 경로에 위치하는 영상패널(510)의 화소영역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된다. Accordingly, the observer's left eye and right eye see a different image, that is, a color image is viewed in the left eye 582 and a dark image is viewed in the right eye 584 , so that separation between views occurs, and the observed image difference By this, the observer feels a stereoscopic (3D) image. In this case, pixel regions of the image panel 510 located in path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ame light exit pattern 532 and reaching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passes are driven to display different images.

한편, 평면(2D)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제1 광원(534)은 오프(off)되고, 제2 광원(564)이 온(on)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원(564)에서 나온 광은 평면 도광판 (560)의 제2 출광면(560b)의 전면을 통해서 출사되고, 입체 도광판(530)을 통과한 후 영상패널(510)로 조사된다.Meanwhile, when realizing a planar (2D) image, the first light source 53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turned on. T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564 is emit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exit surface 560b of the flat light guide plate 560 , passe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530 and then is irradiated to the image panel 510 . .

이에 따라, 관찰자는 통상의 영상표시장치와 동일하게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2차원(2D) 적인 평면 영상으로 느끼게 된다.Accordingly, the observer perceiv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a two-dimensional (2D) flat image in the same way as in the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비용이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인 복수 개의 도광판을 선택 구동함으로 인해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by selectively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guide plates having a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평면 영상 및 입체 영상의 구현을 위해 기존과 같은 편광 성분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편광기재, 예를 들어 RM 렌즈 또는 편광제어필름 등과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trolled using a polarization component as in the conventional one for realization of a flat image and a stereoscopic image, a separate polarization material, for example, an RM lens or a polarization control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도광판들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뷰(view) 분할을 위한 광학 필터(optical filter) 역할을 하는 기재들이 표시 화면의 최상층에 부착되므로 인해 2D 모드 전환시에 부착된 광학 필터(optical filter)에 의해 발생하였던 화질 열화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And, 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guide plates serving as optical filters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substrates serving as an optical filter for view division are displayed. Since it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screen,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attached optical filter when the 2D mode is switched is eliminated.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도광판의 하부에 있는 출광패턴의 외면에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어, 출광패턴을 통해 입체 도광판으로부터 광학시트 쪽으로 누설되는 광이 차광막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됨으로써, 입체영상의 크로스토크(CT; Cross-Talk)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blocking film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light leaking from the stereo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ptical sheet through the light exit pattern is physically blocked or By being reduced,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cross-talk (CT) of a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항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details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영상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입체 도광판 132: 제1 광원
134: 출광패턴 132: 제1 광원 134: 제2 광원 140: 평면 도광판
142: 제2 광원 160: 광학시트
170: 반사시트 182: 좌안
184: 우안
110: image panel 120: backlight unit
130: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132: first light source
134: light output pattern 132: first light source 134: second light source 140: flat light guide plate
142: second light source 160: optical sheet
170: reflective sheet 182: left eye
184: right eye

Claims (29)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다수의 입체 도광판;
상기 입체 도광판 하부에 배치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입체 도광판 및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은 시청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에 선택적으로 광을 입사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an optical sheet dispos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optical sheet; and
and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which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planar light guide plate and are selectively driven;
The first light source is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selectively injects light onto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ccording to a viewing dista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입체 영상 구현시 구동되며, 상기 제2 광원은 평면 영상 구현시 구동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backlight unit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light source is driven when a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s driven when a flat image is realized. 삭제delete 영상패널;
상기 영상패널 하부에 구비되며, 하면에 다수의 출광패턴이 있는 다수의 입체 도광판;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 하부에 구비된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의 하부에 구비된 평면 도광판; 및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 및 상기 평면 도광판 각각의 일 측면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선택 구동되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은 시청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에 선택적으로 광을 입사하는 영상표시장치.
image panel;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provided under the image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xit patterns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optical sheet provided under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 flat light guide plate provided under the optical sheet; and
I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that are selectively driven,
The first light source selectively incident light o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ccording to a viewing distan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을 통한 입체 영상 구현시 구동되며,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평면 도광판을 통한 평면 영상 구현시 구동되는 영상표시장치.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4 , wherein the first light source is driven when a three-dimensional ima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s driven when a flat image is realized through the flat light guide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이 상, 하로 적층된 제1, 2, 3 입체 도광판으로 구성되며, 제1 입체 도광판의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D1이고 제2 입체 도광판의 사용자의 시청거리(D2)는 D1 × 2이며, 제3 입체 도광판의 사용자의 시청거리(D3)는 D1× 3인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re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stacked up and down, and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s D1 and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of the second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is D1. (D2) is D1×2, and the viewing distance D3 of the user of the third stereoscopic light guide plate is D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과 상기 평면 도광판 사이에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차광필름을 더 포함하는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과 상기 평면 도광판 사이에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차광필름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과 상기 평면 도광판 사이에 구비되고, 다수의 차광패턴이 있는 배리어필름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rrier film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삭제delet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은 상기 출광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backlight unit of claim 15 , wherein 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going patter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입체 도광판과 상기 평면 도광판 사이에 구비되고, 다수의 차광패턴이 있는 배리어필름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barrier film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s and the flat light guid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삭제delet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필름의 차광패턴은 상기 출광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영상표시장치.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18 , wherein the light blocking pattern of the barrier film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outgoing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에 구비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ccording to claim 1,
A backlight uni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inside the light output pattern.
삭제delete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출광패턴의 내부 전체에 매립된 영상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he backlight unit of claim 21 , wherein the light blocking lay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or is embedd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light exit patter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에 구비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film provided inside the light exit pattern.
삭제delete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출광패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출광패턴의 내부 전체에 매립된 영상표시장치.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24 , wherein the light blocking lay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ght exit pattern or is embedd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light exit pattern. 제4 항에 있어서, 입체 도광판의 상기 출광패턴 사이에는 내부 전반사영역이 형성되는 영상표시장치.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4 , wherein a total internal reflection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light exit patterns of the three-dimensional light guide plat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패턴은 오목패턴, 돌출패턴 및 도트패턴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4 , wherein the light exit pattern includes a concave pattern, a protruding pattern, and a dot patter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패턴은 헤이즈(haze)처리된 영상표시장치.

The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4 , wherein the light output pattern is haze-processed.

KR1020150061876A 2014-09-11 2015-04-30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3495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0359 2014-09-11
KR1020140120359 2014-09-11
KR1020140192573A KR20160030820A (en) 2014-09-11 2014-12-29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40192573 201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830A KR20160030830A (en) 2016-03-21
KR102349594B1 true KR102349594B1 (en) 2022-01-11

Family

ID=556509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73A KR20160030820A (en) 2014-09-11 2014-12-29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50061876A KR102349594B1 (en) 2014-09-11 2015-04-30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73A KR20160030820A (en) 2014-09-11 2014-12-29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3082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552B1 (en) 2016-11-28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679A (en)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토비스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viewing angle
KR101747297B1 (en) * 2010-08-04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2D and 3D image display system
JP4930631B2 (en) * 2010-09-27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3D display device
KR20140046525A (en) * 2012-10-04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830A (en) 2016-03-21
KR20160030820A (en)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190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CN203413464U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JP5045826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EP2856760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20120306861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KR20100026761A (en) Backlight unit and 2d/3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256974A1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and electronic unit
KR101800704B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30107146A1 (en) Display apparatus
TWI626481B (en) Backlight unit and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35946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349594B1 (en)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146060B2 (en) Display apparatus, 3D fil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62453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20108729A (en) Display device
KR101120581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both 3D and 2D image
KR102226239B1 (en)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201430391A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2042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ens
KR20060076609A (en) 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JP201305432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ptical control element
KR101728220B1 (en) Light guide plate for 3d image display
KR102410427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