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89B1 -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89B1
KR102349389B1 KR1020190172979A KR20190172979A KR102349389B1 KR 102349389 B1 KR102349389 B1 KR 102349389B1 KR 1020190172979 A KR1020190172979 A KR 1020190172979A KR 20190172979 A KR20190172979 A KR 20190172979A KR 102349389 B1 KR102349389 B1 KR 10234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intake
intake 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909A (ko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19017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구(11)로 바람을 불어 용변부(26)의 공기를 회류하고, 흡기구(14)로 악취를 빨아들여 지하배수구(27)로 배출하는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Air circulation type odor discharger for toilet stools}
본 발명은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에 송품구와 흡기구를 구성하여 공기순환을 통해 악취를 포집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세식 양변기는 위생적으로 대소변을 정화조로 보내는 기능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는 기능은 전무하여 화장실에 설치된 환기구로 배출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화장실 내부공간에 악취가 퍼지는 것을 막는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양변기에서 직접 악취를 모아 배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717호 '악취제거변기'가 있다.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변기 세척시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14)을 공용하여 악취를 분사공(14)으로 흡입한 후, 흡입팬(62)이 작동하여 흡입관(60)을 통과한 후 배기덕트(50) 또는 실내 천장에 위치한 환기구(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도면 3에서 보듯이, 배기덕트(50)는 양변기 뒷쪽의 화장실 벽안에 있어서 배기덕트(50)를 설치하려면 벽을 허물어야 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진다.
환기구(80)를 통해 배출하는 것이 현실적이지만 환기구와 양변기가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흡기관(60)을 길게 설치해야 하여 설치가 어렵고 미관상 좋지 않다.
예를 들면, 공중화장실의 경우 환기구가 양변기마다 하나씩 있지 않고 넓은 화장실의 한쪽에 다수의 환기구를 몰아서 설치하는 경우도 많아서 흡기관(60)을 환기구까지 연장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양변기마다 악취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물을 분출하는 분사공(14)으로 악취를 흡입하다보니, 저수탱크(30)에서 배출로(40)로 유동하는 용수가 흡입관(60)으로 역류되어 흡입팬(62)으로 물이 들어가 전기합선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그 해결책으로 사용자가 물내림버튼(미도시)을 사용시 흡입팬(62) 동작이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제시하였으나, 만약 노후 또는 고장으로 인해 흡입팬(62)이 오프(OFF)되지 않을 경우에 안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717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변기의 하부에 있는 지하배수구에 악취를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물을 흡입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는 크게 악취배출장치(10)와 변기몸체(20)로 구성된다.
변기몸체(20)는 대소변을 수용하는 용변부(26), 상기 용변부(26) 위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23), 상기 좌대(23)를 덮는 커버(21), 상기 좌대(23)와 커버(21)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24)를 포함한다.
악취배출장치(10)는 용변부(26)에 바람을 불어넣어 회류시키는 송풍구(11), 상기 송풍구(11)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펌프(13)와 송풍관(12), 상기 용변부(26) 내에서 회류하는 공기와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구(14), 상기 흡기구(14)의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기펌프(16)와 흡기관(15), 상기 흡기구(14)가 빨아들인 악취를 지하배수구(27)로 이송하는 배출관(17)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송풍구(11)와 흡기구(14)로 공기를 회류시켜 포집한 악취를 지하배수구(27)로 배출하여 용변부(26)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구(14)에 물이 들어가지 않아 전기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을 위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4 (a)는 공기역류방지구(18)가 출구(18a)를 열어 악취를 배출하는 모습
(b)는 악취 배출후 출구(18a)가 닫히는 모습의 사시도
도5는 커버(21)와 좌대(23)가 열린 상태로 자외선살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6은 커버(21)와 좌대(23)가 닫힌 상태로 자외선살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을 참조하여 변기몸체(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변기몸체(20)는 대소변을 수용하는 용변부(26)와, 용변부(26) 위에 엉덩이를 걸터 앉을 수 있는 좌대(23)와, 좌대(23)를 덮는 커버(21)와, 좌대(23) 및 커버(21)를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24)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악취배출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에서 보듯이, 악취배출장치(10)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구성은 송풍구(11)와 흡기구(14) 뿐이고, 다른 구성은 변기몸체(20) 안이나 뒷쪽에 감추어져 보이지 않는다.
도2와 도3에서 보듯이, 송풍구(11)와 흡기구(14)는 힌지(24) 사이에 설치하되, 좌대(23) 아래를 지나도록 납작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끝은 용변부(26)를 향해 약간 경사지게 ㄱ자형태로 내려오되 45도 가량 바깥쪽을 향해 있다. 참고로 ㄱ자 형태로 아래를 향해 구부러진 구조 덕분에 변기를 물청소 하더라도 송풍구(11)나 흡기구(14) 안으로 물이 들어가기 어렵다.
도1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온오프스위치(25)를 조작하여 송풍펌프(13)와 흡기펌프(16)가 작동하면, 바람이 송풍관(12)을 타고 송풍구(11)에서 나와 용변부(26)의 내주면을 따라 회류하고, 흡기구(14)가 회류하는 공기와 악취를 진공청소기처럼 빨아들이게 된다.
참고로 송풍압력이 흡기압력보다 강하면 용변부(26) 밖으로 악취를 밀어낼 수 있으므로 송풍펌프(13)의 출력은 작고, 반대로 흡기펌프(16)의 출력은 강한 것이 좋다. 이때 송풍압력과 흡기압력은 30:70 정도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빨아들인 악취는 흡기관(15)을 타고 흡기펌프(16)를 지나 배출관(17)을 통해 지하배수구(27)로 배출된다.
도4 (a),(b)에서 보듯이 배출관(17)의 끝에는 공기역류방지구(18)가 설치되어 있는데, 연질 실리콘으로 제작하되 출구(18a) 부분이 오므라들게 성형하여, 악취를 배출할 때는 출구(18a)가 풍압에 의해 열리고, 악취를 배출하지 않으면 저절로 닫혀서 지하배수구(27)의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여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5와 도6에서 보듯이, 자외선 살균램프(22)를 커버(21)의 안쪽 테두리에 다수 설치한다. 좌대(23)와 커버(21)가 겹쳐 있으면 자외선을 조사하여 좌대(23)를 살균하게 되는데, 도5처럼 좌대(23)와 커버(21)가 겹쳐진 채로 열려 있거나 도6처럼 닫혀 있을 때 자외선 살균램프(22)가 작동한다. 자외선 살균램프(22)는 2~5분간 충분히 살균한 뒤 자동으로 꺼지도록 시간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악취배출장치 11: 송풍구 12: 송풍관
13: 송풍펌프 14: 흡기구 15: 흡기관
16: 흡기펌프 17: 배출관 18: 공기역류방지구
18a: 출구 20: 변기몸체 21: 커버
22: 자외선 살균램프 23: 좌대 24: 힌지
25: 온오프스위치 26: 용변부 27: 지하배수구

Claims (3)

  1. 대소변을 수용하는 용변부(26), 상기 용변부(26) 위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23), 상기 좌대(23)를 덮는 커버(21), 상기 좌대(23)와 커버(21)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24)로 구성된 변기몸체(20)와,
    용변부(26)에 바람을 불어넣어 회류시키는 송풍구(11), 상기 송풍구(11)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펌프(13)와 송풍관(12), 상기 용변부(26) 내에서 회류하는 공기와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구(14), 상기 흡기구(14)의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기펌프(16)와 흡기관(15), 상기 흡기구(14)가 빨아들인 악취를 지하배수구(27)로 이송하는 배출관(17)으로 구성된 악취배출장치(10)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11)와 흡기구(14)는 힌지(24) 사이에 설치하되, 좌대(23) 아래를 지나도록 납작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끝은 용변부(26)를 향해 약간 경사지게 ㄱ자형태로 내려오되 45도 가량 바깥쪽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72979A 2019-12-23 2019-12-23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KR10234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79A KR102349389B1 (ko) 2019-12-23 2019-12-23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79A KR102349389B1 (ko) 2019-12-23 2019-12-23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09A KR20210080909A (ko) 2021-07-01
KR102349389B1 true KR102349389B1 (ko) 2022-01-07

Family

ID=7686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979A KR102349389B1 (ko) 2019-12-23 2019-12-23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78Y1 (ko) * 2004-04-02 2004-06-24 신동승 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27889Y1 (ko) * 2006-07-05 2006-10-02 곽왕규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43A (ko) * 2000-05-03 2001-11-16 최흥문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432717Y1 (ko) 2006-09-13 2006-12-07 유상동 악취제거변기
KR101367329B1 (ko) * 2012-03-27 2014-02-28 공주석 다기능 비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78Y1 (ko) * 2004-04-02 2004-06-24 신동승 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27889Y1 (ko) * 2006-07-05 2006-10-02 곽왕규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09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009A (en)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KR101841104B1 (ko) 악취제거 변기
JP6072309B2 (ja) 衛生便器
KR20070082574A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조립체
KR102349389B1 (ko)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GB2097029A (en) W.C. odour extractor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101270214B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N106638857A (zh) 一种卫生间通风系统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100492328B1 (ko) 방음판 및 역풍차단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KR20220070622A (ko)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악취 배출장치를 가진 양변기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JP2022027402A (ja) トイレ便座の臭気対策装置
KR101485132B1 (ko) 양변기 악취 배출장치
KR20021259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JP2005139618A (ja) トイレ装置
KR102272300B1 (ko) 좌변기 냄새 배출장치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100438217B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1728672B1 (ko) 악취제거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