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32B1 -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 Google Patents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32B1
KR102349032B1 KR1020200016942A KR20200016942A KR102349032B1 KR 102349032 B1 KR102349032 B1 KR 102349032B1 KR 1020200016942 A KR1020200016942 A KR 1020200016942A KR 20200016942 A KR20200016942 A KR 20200016942A KR 102349032 B1 KR102349032 B1 KR 10234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ole
contents
se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2659A (en
Inventor
백연화
Original Assignee
(주)유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젠 filed Critical (주)유니젠
Priority to KR102020001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3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거나 내용물이 내부에 남은 경우 보관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이 열융착되는 테두리의 양측 내부에 폴대가 내입되도록 열융착함으로써, 내용물을 일부만 사용한 후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과 후면의 하부말단을 하부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전방과 후방이 지면에 밀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폴대를 파지하여 쉽게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that is easily discharged or stored when the contents are left inside. In more detail, a seating par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so that it can stand on its own, and the front and the back are heat-sealed. By heat-sealing the poles inside both sides of the rim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contents are used and then stored upright,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are curved to protrude downward, so th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part are Disclosed is a technical field relating to a pouch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o maintain a more stable standing state, and is easy to use and manage because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by gripping the pole.

Description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Easy to use and manage pouch}Easy to use and manage pouch

본 발명은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거나 내용물이 내부에 남은 경우 보관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이 열융착되는 테두리의 양측 내부에 폴대가 내입되도록 열융착함으로써, 내용물을 일부만 사용한 후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과 후면의 하부말단을 하부방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착부의 전방과 후방이 지면에 밀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폴대를 파지(손으로 잡아)하여 쉽게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that is easily discharged or stored when the contents are left inside. In more detail, a seating par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so that it can stand on its own, and the front and the back are heat-sealed. By heat-sealing the poles inside both sides of the rim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contents are used and then stored upright,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are curved to protrude downward, so th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part are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pouch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more stable standing state, while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by gripping the pole (by hand),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manage.

일반적으로, 각종 액체 세제(세안용세제, 세탁용세제, 샴푸 등) 또는 화장액 또는 음료 등은 플라스틱을 이용한 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을 재료로 한 용기는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기 제작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로 소비자 가격이 상승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전량 사용한 후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됨에 따라 자원낭비는 물론,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various liquid detergents (facewash, laundry detergent, shampoo, etc.) or cosmetics or beverages are mainly used in plastic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the plastic container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use,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onsumer price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 due to the production of the container, and it is not reused after using the entire contents As it is discarded,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only wasting resources, but also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isposal.

이에 따라 내용물을 전량 사용한 후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제작원가가 낮고, 원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처분시 부피가 작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파우치형 리필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a pouch-type refill containe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reduce waste of raw materials as well as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its small volume when disposed of as one of the methods to recycle the container after using the entire contents. It is filled with contents and provided to consumers.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일반적인 플라스틱 용기와 다르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쉽게 세워지지 않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정품용기에 내용물을 리필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unlike a general plastic container,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it is not easily erected.

아울러, 음료 또는 화장액이 파우치형 리필용기에 충진되어 사용되는 경우 한꺼번에 사용되지 않고 일부만 사용한 후 다시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에 보관을 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세워두기 어려워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beverage or cosmetic liquid is filled in a pouch-type refill container and used, it is not used all at once, but only partially used and then stored in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again. There were possible problems.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9014호에는 파우치형 리필용기를 한 쌍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거치대에 의하여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우치형 리필용기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으나, 파우치 자체적으로 세우는 방법이 아닌 보조수단으로 활용되는 제품이므로 쉽게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drawback,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99014 proposes a pouch-type refill container holder that allows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to be us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by a holder made of a pair of combined bodies. Since it is a product that is used as an auxiliary means rather than a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t easily.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기술로는 제1,2시트의 테두리가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파우치형 리필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2시트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3시트의 전후방을 상기 제1,2시트와 각각 열융착하고, 내용물에 의해 상기 제3시트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2시트의 하부가 이격되어 타원형의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우치형 리필용기 자체가 세워질 수 있는 기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nother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bove disadvantages, th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formed by heat-sealing, and the third shee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By heat-sealing the front and back sides with the first and second sheets,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sheet is unfolded by the contents,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spaced apart to form an elliptical seating portion, so that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itself can be erected. The available technology is in general use.

그러나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는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충격에 의한 내용물의 유동과 상기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넘어지는 문제가 있어 사용이 불편하고, 이와 더불어 제1,2시트의 하부가 이격되어 타원형의 안착부를 형성할 때, 일반적인 제1,2시트의 하부말단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2시트의 하부말단이 지면과 이격되며, 이에 따라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균형을 잡지 못하고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inconvenient to use due to the flow of the contents due to the impact and the problem of easily deforming and falling due to the impact. When forming the part, since the lower ends of the general first and second sheets are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us,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us the balance cannot be easily obtained even by a small impact. There is this.

부가하여,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는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제1,2시트가 열융착되는 테두리가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경도가 높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쉽게 구부러져 내용물을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통해 쉽게 따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portion where the rim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heat-sealed are higher, but when the user holds it by hand, it is easily bent and the contents are not easily pour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formed on the top.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9014호(2002.12.1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99014 (2002.12.1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일부만 사용한 후 세워 보관하는 경우 작은 충격에도 쉽게 넘어지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쉽게 구부러져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워 사용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the conventional pouch-type refill contain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when stored upright after using only a portion of the contents, it easily falls over even with a small impact, and when the user holds it Because it is easily bent,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contents, resulting in inconvenient use and storage.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면과 후면이 열융착되는 테두리의 내부에 폴대를 내입하여 열융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워서 보관이 용이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말단을 하부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과 후면의 하부가 이격되어 안착부가 형성될 때, 상기 안착부의 전방과 후방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상기 폴대를 파지하여 파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우치가 직립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a pole is inserted inside the rim where the front and rear are heat-sealed and heat-sealed, so that it can be stably maintained upright for easy storage, and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are tur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spaced apart,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a more stable upright state can be maintained while the user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pouch that is easy to grip by gripping the pole and is easy to use and manag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more stably and smoothly while the pouch is in an upright st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가 열융착되되, 상기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에 각각 안착부의 전방과 후방이 열융착되고, 상부에 개폐부가 형성되는 파우치몸체와 상기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파우치몸체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에 내입되는 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를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desired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edges are heat-sealed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rein,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portion are heat-sealed to the lower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the upper A pole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uch body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uch body, which is located on one or mor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uch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rim as the rims of the front and rear are heat-sealed It presents a pouch that is easy to use and ma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폴대는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curved portion formed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는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전방과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후방이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전방 사이 또는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후방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입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asy-to-use and manage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ny one or more of between the front and the seating part or between the rear and the seating part, and the front of the front and the seating part and the rear of the rear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are heated. As it is fused,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r more between the front of the front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or between the rear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pole formed in a shape curved forward or back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면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후면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lower direction.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는 몸체에 해당하는 파우치부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이 열융착되는 테두리의 내부에 폴대가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폴대에 의해 직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한 효과;와The easy-to-use and manage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described above stabilizes the upright state by the pole by allowing the pole to be inserted inside the rim where the front and back sides forming the pouch part corresponding to the body are heat-sealed. Effect of easy storage by allowing it to be maintained; and

상기 전면과 후면의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과 후면의 하부가 안착부에 의해 이격될 때 지면과 밀착되어 직립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더 보관이 용이한 효과;와By allowing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protrude in a downwardly curved shape, when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spaced apart by the seating par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more stably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This facile effect; and

사용자가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내용물이 배출되는 개폐부가 캡, 지퍼, 절취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폴대부위를 잡고 안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폴대를 포함한 테두리 부분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안정하게 배출하거나 따르는 것이 용이한 효과; 및When the user discharges the content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s formed of any one of a cap, a zipper, and a cutout,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poles formed on the edges of the front and back and discharge them stably. , Effect of stably discharging or pouring contents by using a rim including a pole that can serve as a handle; and

상기 폴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형성하여 폴대 부위를 손으로 잡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이 보다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By forming at least one curved part on the pole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ole part can be held more stably without slipping when the pole part is held by hand, the effect of discharging the contents more easil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경사진 형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세운 형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에 지퍼와 폴대가 형성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에서 삽입홀에 폴대가 삽입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와 폴대를 나탄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와 한쌍의 폴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에서 다양한 폴대 형상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에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clined for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a form in which the pouch is ere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n which a zipper and a pole are formed in a p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pole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in a p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ouch and a p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pouch and a pair of po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various pole shapes in a p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the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거나 내용물이 내부에 남은 경우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하기 위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연한 재질의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되되,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하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안착부(16)가 열융착되어 자립하여 세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하방향으로 내입되는 폴대(20)에 의해 더욱더 안정적으로 자립하여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내부에 남은 경우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때, 상기 폴대(20)를 파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for easily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or for stably standing up and storing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remain inside. 13 is heat-sealed, and the seating portion 16 is heat-sealed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can be spaced apart so that they stand on their own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 is made to stand up more stably by the pole 20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or more of the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rame 13 to be heat-seal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store when the contents remain inside. , a technology related to an easy-to-use and manage pouch that allows a user to discharge and use the contents stably and efficiently by gripping the pole 20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us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되되, 상기 전면(12) 하부와 후면(14) 하부에 각각 안착부(16)의 전방과 후방이 열융착되고, 상부에 개폐부(18)가 형성되는 파우치몸체(10);와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13)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s 13 of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are heat-sealed so as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rein, the front 12 lower and the rear 14 lower The pouch body 10 in which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6 are heat-sealed to each oth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8 is formed thereon; At least one pole 20 positioned on one or mor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and inserted into the rim 13 as the rim 13 of the front 12 and rear 14 is thermally fused.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폴대(20)는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t least one curved portion 22 formed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는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전방과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후방이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전면과 안착부의 전방 사이 또는 상기 후면과 안착부의 후방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입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asy-to-use and manage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ny one or more of between the front and the seating part or between the rear and the seating part, and the front of the front and the seating part and the rear of the rear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are heated. As it is fused,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r more between the front of the front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or between the rear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pole formed in a shape curved forward or back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면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면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은 종래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필용기를 사용할 때, 작은 하중 또는 압력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가 구부러지거나 넘어지게되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일부만 사용한 후 남아 있는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를 세워서 보관하려고 할 때, 작은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져 내용물이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때 상기 파우치형 리필용기가 구부러져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이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conventional pouch-type refill contain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bends or falls due to a small load or pressure,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and only a portion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is used. When trying to store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upright to store the remaining contents, it prevents the contents from leaking and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s by falling easily due to a small impact, while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for use. When the pouch-type refill container is b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discharge the contents, and this is a technology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도 1,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파우치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부착 또는 열융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12) 하부와 후면(14) 하부에 각각 안착부(16)의 전방과 후방이 열융착되어 상기 전면(12) 하부와 후면(14) 하부가 이격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안착부(16)가 상부방향 즉, 상기 파우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 보관할 수 있고, 세워서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하중 또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부(16)가 펼쳐져 상기 안착부(16)가 개략적으로 타원형상을 이루어짐으로써, 자립하여 세워져 보관되는 한편, 상부에 개폐부(18)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 또는 남은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1 and 2,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ouch body 10 has a border 13 of the front 12 and rear 14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rein. It is attached or thermally fused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6 are thermally fu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respectively,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are lower. are spaced apart, and in normal times, the seating part 16 is folded in the upper direction, that i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ouch body 10, and as shown in FIG. As shown, the seating part 16 is spread out by the load of the contents or the user's pressing force, and the seating part 16 is roughly oval in shape, so that it stands upright and is stored, while the opening/closing part 18 on the upper part is form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and used or leftover contents can be stored.

이때, 상기 전면(12)과 후면(14) 및 안착부(16)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종래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용기보다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원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폐기처분시 부피가 작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12, the rear 14 and the seating portion 16 are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plastic or metal container, and waste of raw materials can be reduced. , it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its small volume when disposing of it.

또한, 도 3, 도 5을 참고로 개폐부(18)를 설명하면, 개폐부(18)는 합성수지 재질의 캡, 지퍼(지퍼백에 사용되는 지퍼백용지퍼), 절취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손쉽게 개폐가 가능하며 제조단가가 적은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상부 중앙 또는 상부 일측 모서리 또는 상부 타측 모서리 또는 상부 전체(지퍼백용지퍼일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18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the opening/closing unit 18 is composed of any one of a synthetic resin cap, a zipper (zipper for a zipper bag used in a zipper bag), and a cutout, so that i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it may be made of anything that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er or upper one corner or the upper other corner or the entire upper part (in the case of a zipper bag zipper) of the pouch body 10 .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기 폴대(20)는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13)의 내부에 내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파우치몸체(10)가 하중 또는 작은 충격 등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pole 20,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and is located on one or mor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uch body 10, As the rim 13 of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of the pouch body 10 is heat-sealed, it is made inside the rim 13, and the pouch body 10 is subjected to a load or a small impact. It realizes the effect of minimizing bending or falling due to the back.

즉, 본 발명의 폴대(20)는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가 열융착됨에 따라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상승되어도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나 상기 테두리(13)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파우치몸체(10)가 세워진 상태 즉,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bent depending on the thickness or material even if the strength is increased compared to other parts as the rim 13 to which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are heat-sealed is heat-sealed. By preventing the rim 13 from being bent, the pouch body 1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that is, in an upright state.

이때, 본 발명의 폴대(20)는 상기 전면(12)과 후면(14) 보다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나무 및 비철금속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열융착시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12)과 후면(14)보다 경도가 높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y one or mor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etal, wood, non-ferrous metal, etc., which is harder tha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but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 14),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during thermal f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12 and rear surface 14 be made of a ductile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at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폴대(20)는 약한 압력을 받았을 때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빈 중공형태 또는 중공이 없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가 빈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될 때 상기 테두리(13)에 내입되어 함께 열융착되거나 상기 테두리(13)가 열융착될 때 형성되는 삽입홀(13a)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12)과 후면(1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전후방으로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강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restored when subjected to a weak pressure, and may be made of a hollow hollow shape or a hollow rod shape with an interior. In the case of an empty hollow shape, when the edges 13 of the front 12 and rear 14 are heat-sealed, they are inserted into the edge 13 and heat-sealed together, or formed when the edge 13 is heat-sea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a) and being pressed by the front surface (12) and rear surface (14), elastic force is exe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dge (13) to which the front surface (12) and rear surface (14) are thermally fused. The effect of increasing more efficiently can be obtained.

아울러, 본 발명의 폴대(20)는 상기 파우치몸체(1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열융착되는 테두리(13)에 내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부면 전체에 개폐부(18)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18)의 하부부터 길이가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s the length of the pouch body 1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one or mor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uch body 10, and the front side 12 and the rear side ( 14)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heat-sealed edge 13, and when the opening/closing part 18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length is form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closing part 18.

도 4는 상기 폴대(20)를 삽일홀(13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파우치의 양 측면에 상기 폴대(20)를 한쌍으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a,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pole 20 is form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pouch.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폴대(20)는 도 7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만곡부(22)가 형성되어도 앞서 설명된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내부에 위치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만곡부(22)는 사용자가 상기 테두리(13)와 함께 폴대(20)를 파지하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의 배출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curved portion 22 formed in one side or the other direction as shown in FIGS. 7 a) to d), the curved portion Even if 22 is forme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ront 12 and rear 14 described above are located inside the rim 13 to which they are heat-sealed, and the curved portion 22 allows the user to use the rim 13 together with When the pole 20 is gripped, it prevents slipping and realizes the effect of more easily discharg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또한, 본 발명 폴대(20)의 단면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V자형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V"자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어느 하나의 꼭짓점(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경우) 또는 모서리("V"자 형태의 경우)가 상기 파우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폴대(20)를 잡은 후 상기 파우치몸체(10)를 기울일 때, 상기 파우치몸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y one configuration of a circle, a triangle, a square, a polygon, an oval, and a V shape, and as shown in FIG. 8 , the cross section is a triangle, a square, a "V" shape In the case of any one of them, any one of the vertices (in the case of a triangle or a square) or corner (in the case of a "V" shape) is position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ouch body 10, but the front 12 and the rear surface ( 14)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im 13 to be heat-sealed, which makes the pouch body 10 more stable when the user tilts the pouch body 10 after holding the pole 20 You can ge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hold it by hand.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폴대(20)의 단면이 삼각형상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거나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폴대(20)를 잡고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파우치몸체(10)를 기울이게되면 상기 폴대(2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된 두개의 변 또는 면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게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po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bar or in a "V" shape, the user holds the pole 20 and tilts the pouch body 10 to discharge the contents. When the user's fingers are caught by the two sides or surfaces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pole 20, slipping is prevented,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stably discharging the contents.

또한, 도 9, 도 10, 도 11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설명하면, 파우치몸체(10)의 전면(12)과 후면(14)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23)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파우치몸체(10)를 세워져 안착부(16)가 개략적인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지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파우치몸체(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10 and 11 ,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of the pouch body 10 are curved portions 23 so that the lower ends protrude downward. When the pouch body 10 is erected and the seating portion 16 is formed in a rough oval shape, the pouch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pouch body 10 can be maintained in a more stable standing state. make it come true

부가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파우치형 리필용기는 전면에 위치하는 제1시트(미표시)와 후면에 위치하는 제2시트(미표시)의 하부말단이 지면과 평평하게 즉, 일직선상으로 절단되어 최종 생산되는데,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안착부(16)가 개략적인 타원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부말단이 지면과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파우치몸체(10)를 세우게 되면 전면(12) 또는 후면(14)의 하부말단 중 어느 하나가 지면과 이격되고, 다른 어느 하나는 지면과 밀착되어 작은 충격에도 상기 파우치몸체(10)가 뒤뚱거리는 즉,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작은 충격에도 쉽게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uch-type refill container,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heet (not shown)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sheet (not shown) located on the back side are cut flat with the ground, that is, in a straight line, and finally produc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lower seating portion 16 is spread out in a schematic oval shape,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low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is occurs when the pouch body 10 is erected. One of the lower ends of the front 12 or the rear 14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the oth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pouch body 10 wobbles even with a small impact, that is, shakes back and forth. , the problem of falling easily occurs even with a small impact.

그러나 본 발명의 파우치몸체(10) 즉, 전면(12)과 후면(14)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안착부(16)가 개략적인 타원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에도 지면과 밀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파우치몸체(10)가 흔들림 없이 세워진 상태를 유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However, as the lower end of the pouch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is formed in a downwardly curved shape, the seating portion 16 is expanded in a schematic oval shape. Even in the cas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 pouch body 10 more stably realize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tanding state without shaking.

이때, 상기 전면(14)과 후면(16)의 하부말단은 상기 안착부(16)의 폭(W) 즉, 타원의 장축의 길이에 비례하여 돌출되는 길이(L)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안착부(16)의 폭(W)의 길이에 따라 지면과 이격되는 전면(14)과 후면(16)의 거리가 변화되므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ends of the front surface 14 and the rear surface 16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W of the seating portion 16, that is, the length L protruding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ellipse increases, This is preferably form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14 and the rear surface 16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dth W of the seating portion 16 .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도 12, 도 13,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강폴대(30)는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12)의 하부 후방과 안착부(16)의 전방, 상기 후면(14)의 하부 전방과 안착부(16)의 후방이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전방 사이 또는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후방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입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착부의 개략적인 형상인 타원형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파우치몸체(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12, 13, and 14,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ole 30 is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art 16 or the rear surface 14 It is located in any one or more of between and the seating portion 16, and the lower rear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16, the lower front of the rear surface 14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6 are As it is heat-sealed,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r more between the front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art 16 or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16, and is curved forward or backward. As a result, the oval shape, which is the schematic shape of the seating part, is stably formed,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allowing the pouch body 10 to more stably stand on its own and maintain an erected state.

즉, 본 발명의 보강폴대(30)는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입되는 경우 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6)의 개략적인 형상인 타원형상의 전방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입되는 경우 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6)의 개략적인 형상인 타원형상의 후방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착부(16)에 의해 종래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되어 세워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reinforcing po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ortion 16 and is formed in a forward curved shape when inserted into an elliptical shape that is a schematic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16 . To be able to form the front shape of the upper surface,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seating part 16 and is formed in a backward curved shape when it is inserted into an oval shape that is a schematic shape of the seating part 16 By allowing the rear shape to be formed,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erected form is realized by being more stably independent than the prior art by the seating portion 16 .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강폴대(30)는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내입되어도 안착부(16)의 개략적인 형상인 타원형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나, 상기 전면(12)과 안축부(16)의 사이와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사이 모두에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착부(16)가 보다 안정적으로 타원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ortion 16 or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seating portion 16. 16) can be induced to be stably formed in the oval shape, which is a schematic shape, but by making it internal both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optic shaft 16 and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seating portion 16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16 forms an elliptical shape more stably.

아울러, 본 발명의 보강폴대(30)는 앞서 설명된 폴대(20)와 같이 상기 전면(12)이나 후면(14) 보다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나무 및 비철금속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가 빈 중공형태(빨대 형태) 또는 중공이 없는 막대형태일 수 있으며, 일예로, 내부가 빈 중공형태인 빨대와 같은 경우에는 손으로 잡거나 약한 압력을 받았을 때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y one or mor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etal, wood, and non-ferrous metal, which is harder than the front 12 or the rear 14, like the pole 20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straw with an empty hollow inside (straw type) or a bar shape without a hollow inside, the elasticity can be restored so that it can be restored when held by hand or under a weak pressure. The branch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t may be more effective to have a hollow insid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는 종래와 같이 하부에 안착부(16)를 형성하여 자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하되,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내부에 폴대(20)를 내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폴대(20)를 파지하여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easy-to-use and manage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ating portion 16 on the lower portion as in the prior art so that it can stand on its own, but the front 12 and rear 14 are heat-sealed rim 13 ), by inserting the pole 20 in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by being more stably independent and at the same time gripping the pole 20 to discharge the contents to be used or transported,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manage one effect can be obtained.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10 : 파우치몸치
12 : 전면
13 : 테두리
13a : 삽입홀
14 : 후면
16 : 안착부
20 : 폴대
22, 23 : 만곡부
30 : 보강폴대
10: pouch body
12: front
13 : border
13a: insertion hole
14: rear
16: seating part
20: Pole
22, 23: curved part
30: reinforcement pole

Claims (5)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되되, 상기 전면(12) 하부와 후면(14) 하부에 각각 안착부(16)의 전방과 후방이 열융착되고, 상부에 개폐부(18)가 형성되는 파우치몸체(10);와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파우치몸체(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의 테두리(13)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테두리(13)에 내입되는 폴대(20);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20)는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전방과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후방이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전면(12)과 안착부(16)의 전방 사이 또는 상기 후면(14)과 안착부(16)의 후방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입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폴대(30);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20)는 내부가 빈 중공형태 또는 중공이 없는 막대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V"자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꼭짓점 또는 모서리가 상기 파우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전면(12)과 후면(14)이 열융착되는 테두리(13)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
The edges 13 of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are heat-sealed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seating units 16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The pouch body 10 is heat-sealed and the opening/closing part 18 is formed thereon; and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and is located on one or mor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uch body 10, and the rim 13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rear surface 14 is Including;;
The pole 20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portion 22 formed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includes,
It is located in any one or more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art 16 or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seating part 16, and the front of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seating part 16 and the As the rear surface 14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6 are thermally fused, any one or more of between the front surface 12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16 or between the rear surface 14 and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16 At least one reinforcing pole 30 that is inserted into and is formed in a shape curved forward or rearward; includes;
The pole 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hollow shape or a bar shape without a hollow inside, and has a cross section of any one of a triangle, a square, and a "V" shape, but any vertex or corner is the pouch body ( 10) to be positioned in the inward direction, but the front 12 and the rear 14 are heat-sealed to the inside of the rim 13, and the pouch is easy to use and man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12)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surface 12 is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2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14)은
하부말단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
5.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rear surface 14 is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2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KR1020200016942A 2020-02-12 2020-02-12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KR102349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42A KR102349032B1 (en) 2020-02-12 2020-02-12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42A KR102349032B1 (en) 2020-02-12 2020-02-12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659A KR20210102659A (en) 2021-08-20
KR102349032B1 true KR102349032B1 (en) 2022-01-10

Family

ID=7746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942A KR102349032B1 (en) 2020-02-12 2020-02-12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30A (en)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스탠드팩 Stand-type liquid storage shaped pou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9539A (en) * 2015-08-21 2017-02-23 凸版印刷株式会社 Package with spou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0740A (en) 1993-09-15 1995-05-30 Eaton Corporatio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immunity to wide band noise
KR102037707B1 (en) * 2018-02-27 2019-10-29 주식회사 코스모스패키징 A self-standing pou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9539A (en) * 2015-08-21 2017-02-23 凸版印刷株式会社 Package with sp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659A (en)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482B1 (en) Container blank and container made thereof
US8910834B2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a grip
FR2691133A1 (en) Folding container in the shape of a bottle.
JP6305843B2 (en) Refill container set
JPH08244747A (en) Plastic bottle
JPH03187842A (en) Pack having peripheral seam for fluid content
KR102349032B1 (en) Easy to use and manage pouch
US6796712B1 (en) Butt-ended bag with a buckle-over closing element
JP6340256B2 (en) Pouch container
JP3188214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2002193232A (en) Liquid refill container
JPH06278744A (en) Refilling container
KR102037707B1 (en) A self-standing pouch
JP2000335596A (en) Self-supporting type bag-shaped container having enhanced self-supporting properties
JP2007008510A (en) Squeezing-out container
JP5348838B2 (en) Bottle with handle
JP2012140145A (en) Soft package gusset bag container
JP4117638B2 (en) Tube container primary molded product and tube container
CN212980999U (en) Liquid bag holder and liquid bag unit
JP4263640B2 (en) Thin container
HRP20030835A2 (en) Multiple container
KR200231564Y1 (en) A shrinkable portable type cup
JP5557138B2 (en) Synthetic resin housing
KR100784292B1 (en) Krill bag
JP3725315B2 (en) Thi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