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27B1 -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27B1
KR102348827B1 KR1020200010561A KR20200010561A KR102348827B1 KR 102348827 B1 KR102348827 B1 KR 102348827B1 KR 1020200010561 A KR1020200010561 A KR 1020200010561A KR 20200010561 A KR20200010561 A KR 20200010561A KR 102348827 B1 KR102348827 B1 KR 10234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l
foramen
information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263A (ko
Inventor
김연민
Original Assignee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27B1/ko
Priority to US17/162,275 priority patent/US11699230B2/en
Publication of KR2021009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6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8B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8Bone
    • G06T2207/30012Spine; Backb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영상촬영부가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척추영상을 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정보추출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정보추출부가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정보저장부가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d) 정보산출부가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이용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출력부가 척추공 면적정보 중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에 대한 척추공 각도 및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A method for foraminal stenosis ratio using 3-dimensional CT}
본 발명은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척수 사이의 공간인 척추공의 면적에 대한 픽셀값을 기반으로 추출한 환자의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로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추관 협착(spinal canal stenosis) 및 신경공 협착은 모든 연령대의 비교적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침범하는 매우 흔한 척추 질환이다. 척추 협착은 척추관 및/또는 신경공 공간(neuroforaminal space)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유발되는 척추 질환으로 따라서 신경 요소(neural elements)에 대한 공간 또는 여지를 제한하거나 한정한다.
관 협착은 척추관 내 후방 및/또는 전방 요소 모두의 비대에 기인될 수 있다. 관 협착은 또한 관 내부에서 뼈조직, 황색 인대, 연조직 또는 종양이 과잉 성장되어 일어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노인성 질환은 여명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며 척추관 협착의 발생도 마찬가지로 증가하고 있다. 젊은 인구에서는 척추관 협착의 발생은 짧은 척추경(short pedicles)에 부차적인 관련 관 협착과 같은 선천성 이상, 외상 또는 다른 인자들로 나타날 수 있다. 증상 및 질병이 진전됨에 따라 신경요소가 눌려 통상 추가적으로 통증, 쇠약, 무감각, 작열감, 저림이 나타나고/거나 심한 경우 방광 및 창자 불안증, 방광 및 창자 이상 및/또는 침범된 척추 레벨에 따라 상체 및/또는 하체의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신경공 협착은 척수공이 좁아져 척추를 빠져 나오는 척수 신경을 병적으로 압박하는 질환이다. 또한 신경공 협착은 중심관 협착에 관련될 수도 있고 또는 독립적인 병리일 수 있다.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en)은 척수신경이 척추관을 나갈 수 있게 하는 보호적 출구 터널을 제공한다. 추간공은 후방으로 하부 추골의 상부 관절 돌기 및 상부 추골의 하부 관절 돌기에 의해, 전방으로 척추체 및 개재추간판에 의해, 그리고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의 척추 페디클에 의해 형성된다. 신경공 협착은 추간공이 좁아지는 것을 지칭한다. 이는 주로 후방으로 퇴행성 관절 돌기 비대, 전방으로 후외측 추간판 팽창 및 후외측 척추체구순화(골증식체), 및 상방으로 퇴행성 디스크 질환 동안 추간판 탈수 및 붕괴와 함께 하방으로 움직이는 척추현재 척추사이구멍의 협착율은 문헌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페디클에 의해 기인된다.
상기한 신경공협착과 관련하여 의학계에서는 환자의 척추 상태에 따라 등급 0(협착 없음), 등급 150% 미만 협착) 및 등급 2(50% 이상 협착)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진단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43522호(2006.01.09.)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090375호(2011.11.30.)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이웃하는 척수 사이의 공간인 척추공의 면적에 대한 픽셀값을 기반으로 추출한 환자의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로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영상촬영부가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척추영상을 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정보추출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정보추출부가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정보저장부가 상기 척추경계정보 및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d)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영상, 상기 척추경계정보 및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이용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출력부가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중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에 대한 척추공 각도 및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상기 척추영상에서 후관절과 극상돌기를 프로그램으로 제거한 상기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척추뼈 사이의 척추공을 검출하여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정보추출부가 상기 척추영상을 Y축 방향으로 1° 회전 후 상기 척추영상의 척추를 중심으로 1°씩 360°를 회전시켜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정보촬영부가 상기 정보저장부로 상기 척추공의 각도,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따른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영상은 상기 Y축 방향으로 30°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출력부로 상기 정보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출력부로 상기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3)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중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일 때의 척추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수학적으로 추정하는 단계; 및 (d4)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경계정보의 라운드니스값을 기설정된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를 딥러닝한 정상모형을 저장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라운드니스값이 0.5 미만으로 협착율을 계산하기 어려울 경우, (d5) 상기 척추공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척추공을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d6)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정상모형과 상기 척추공을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 상기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환자에게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와 함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신경공협착율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에 촬영한 CT 검사 영상을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방사선에 대한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척추수술 후 평가에서 협착 개선을 정량적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척추수술로 제거하게 될 자라난뼈(돌출뼈, bone spur)의 총 체적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수술계획, 로봇수술이나 중재적시술(수술)을 진행할 경우 병변의 접근 각도와 면적을 제공하여 수술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경공협착율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의 (a) 단계 내지 (c)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의 (d) 단계 내지 (e)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신경공협착율 측정장치(100)의 구성요소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경공협착율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경공협착율 측정장치(100)는 입력부(110), 영상촬영부(120), 정보추출부(130), 정보저장부(140), 정보산출부(150), 제어부(16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의사가 환자의 척추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영상촬영부(120), 정보추출부(130), 정보저장부(140), 정보산출부(150) 및 출력부(170)로 전송된다.
영상촬영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환자의 척추를 촬영하고, 촬영된 척추영상은 정보추출부(130)로 전송된다. 이를 위한 영상촬영부(120)는 예시적으로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CT)나 스캐너일 수 있다.
정보추출부(130)는 영상촬영부(120)로부터 촬영된 환자의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여 정보저장부(140)로 전송한다.
정보저장부(140)는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정보산출부(150)의 요청이 있을 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정보산출부(15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저장부(140)는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를 딥러닝한 정상모형을 저장할 수 있다. 정상모형은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딥러닝한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에 대한 평균값(=정상범주의 기준값)일 수 있다.
정보산출부(150)는 환자의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이용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여 출력부(17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촬영부(120), 정보추출부(130), 정보저장부(140), 정보산출부(150) 및 출력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출력부(170)는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2.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은 (a) 영상촬영부(120)가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척추영상을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정보추출부(130)로 전송하는 단계(S100), (b) 정보추출부(130)가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 (c) 정보저장부(140)가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00), (d) 정보산출부(150)가 척추영상,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이용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S400) 및 (e) 출력부(170)가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중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에 대한 척추공 각도 및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의 (a) 단계 내지 (c)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부(110)는 의사가 환자의 척추를 촬영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영상촬영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다. 촬영된 환자의 척추영상은 정보추출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b) 단계에서, 정보추출부(130)는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척추영상에서 후관절과 극상돌기를 프로그램으로 제거한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척추뼈 사이의 척추공을 검출하여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한 정보추출부(130)는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척추경계정보를 기반으로 이웃하는 척추경계정보 사이에 위치하는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b) 단계는, (b1) 정보추출부(130)가 척추영상을 Y축 방향으로 1° 회전 후 척추영상의 척추를 중심으로 1°씩 360°를 회전시켜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정보촬영부(130)가 정보저장부(140)로 척추공의 각도,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따른 척추공 면적정보 및 척추공 최대면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Y축 방향은 척추와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척추영상은 Y축 방향으로 30°까지 회전된다.
상기한 정보저장부(140)는 추가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를 딥러닝한 정상모형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의 (d) 단계 내지 (e)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d) 단계는, (d1) 정보산출부(150)가 출력부(170)로 정보저장부(430)로부터 전송되는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d2) 정보산출부(150)가 출력부(170)로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3) 정보산출부(150)가 척추공 면적정보 중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일 때의 척추영상을 기준으로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수학적으로 추정하는 단계 및 (d4) 정보산출부(150)가 척추경계정보의 라운드니스값을 기설정된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한 (d3) 단계 및 (d4)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척추경계정보의 원형성인 라운드리스값이 0.5보다 작을 경우에는 하기의 (b5) 단계 및 (d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d) 단계는, 라운드니스값이 0.5 미만으로 협착율을 계산하기 어려울 경우, (d5) 척추공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척추공을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d6) 정보산출부(150)가 정상모형과 척추공을 비교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e) 단계에서, 출력부(170)는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출력부(170)에서는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영상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정면의 반대편(정면에서 180° 회전)에 위치한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도 출력한다. 이로써, 의사는 환자에게 척추 관련 정보를 정면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반대편의 척추 관련 정보도 함께 제공하므로 환자에게 설명하기 편리하고 환자도 현재 상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신경공협착율 측정장치
110: 입력부
120: 영상촬영부
130: 정보추출부
140: 정보저장부
150: 정보산출부
160: 제어부
170: 출력부

Claims (7)

  1. (a) 영상촬영부가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척추영상을 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정보추출부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정보추출부가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척추경계정보 및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정보저장부가 상기 척추경계정보 및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d)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영상, 상기 척추경계정보 및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이용하여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출력부가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중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에 대한 척추공 각도 및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환자의 척추를 촬영한 상기 척추영상에서 후관절과 극상돌기를 프로그램으로 제거한 상기 척추영상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척추뼈 사이의 척추공을 검출하여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정보추출부가 상기 척추영상을 Y축 방향으로 1° 회전 후 상기 척추영상의 척추를 중심으로 1°씩 360°를 회전시켜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정보추출부가 상기 정보저장부로 상기 척추공의 각도,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따른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영상은 상기 Y축 방향으로 30°까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출력부로 상기 정보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출력부로 상기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3)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 중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일 때의 척추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수학적으로 추정하는 단계; 및
    (d4)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척추경계정보의 라운드니스값을 기설정된 척추공 면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척추공에 대한 영상정보를 딥러닝한 정상모형을 저장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라운드니스값이 0.5 미만으로 협착율을 계산하기 어려울 경우,
    (d5) 상기 척추공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척추공을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d6) 상기 정보산출부가 상기 정상모형과 상기 척추공을 비교하여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7. 제4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척추공 최대면적정보 및 상기 척추공의 각도에 대한 영상, 상기 척추영상 중 180°로 회전했을 때의 척추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신경공협착율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KR1020200010561A 2020-01-29 2020-01-29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KR10234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61A KR102348827B1 (ko) 2020-01-29 2020-01-29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US17/162,275 US11699230B2 (en) 2020-01-29 2021-01-29 Method for foraminal stenosis ratio using 3-dimensional 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61A KR102348827B1 (ko) 2020-01-29 2020-01-29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263A KR20210097263A (ko) 2021-08-09
KR102348827B1 true KR102348827B1 (ko) 2022-01-07

Family

ID=7697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61A KR102348827B1 (ko) 2020-01-29 2020-01-29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99230B2 (ko)
KR (1) KR102348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8717B2 (en) * 2019-05-22 2022-11-01 Theseus AI, Inc.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spine anatomy and spine dise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048A (ja) 2003-10-09 2007-04-05 コンピューテーショナル バイオダイナミクス, エルエルシー ヒト中枢神経系への損傷を測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
JP2010029482A (ja) 2008-07-29 2010-02-12 Univ Of Tsukuba Mriを用いた脊椎・椎体病変の経過観察レポート自動作成診断支援システム
KR101090375B1 (ko) 2011-03-14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초기화를 기반으로 흉곽 변형 정도의 평가 인덱스 계산을 자동화한 ct 영상 분석의 자동화 방법, 기록 매체 및 장치
WO2014065317A1 (ja) * 2012-10-23 2014-05-01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画像処理装置及び脊柱管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8657B2 (en) * 2012-06-12 2015-12-22 Country View Medical Center Method of obtaining and analyzing data from an upright MRI from the spinal region of a subject
US11488717B2 (en) * 2019-05-22 2022-11-01 Theseus AI, Inc.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spine anatomy and spine dise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048A (ja) 2003-10-09 2007-04-05 コンピューテーショナル バイオダイナミクス, エルエルシー ヒト中枢神経系への損傷を測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
JP2010029482A (ja) 2008-07-29 2010-02-12 Univ Of Tsukuba Mriを用いた脊椎・椎体病変の経過観察レポート自動作成診断支援システム
KR101090375B1 (ko) 2011-03-14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초기화를 기반으로 흉곽 변형 정도의 평가 인덱스 계산을 자동화한 ct 영상 분석의 자동화 방법, 기록 매체 및 장치
WO2014065317A1 (ja) * 2012-10-23 2014-05-01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画像処理装置及び脊柱管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9230B2 (en) 2023-07-11
KR20210097263A (ko) 2021-08-09
US20210233237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7061B2 (en) Spinal balance assessment
US1100033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spines and treating spines based on spine models
Ozturk et al. Short-term X-ray results of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in severe congenital kyphosis, scoliosis, and kyphoscoliosis
JP2017532165A (ja) 脊椎不安定性を測定して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124836B (zh) 髋臼骨缺损处理方式的确定方法及装置
Brink et al. Asymmetry of the vertebral body and pedicles in the true transverse plane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 CT-based study
Modi et al. Posterior multilevel vertebral osteotomy for severe and rigid idiopathic and nonidiopathic kyphoscoliosis: a further experience with minimum two-year follow-up
Chen et al. Cortical bone trajectory screws fixation in lumbar adjacent segment disease: a technique note with case series
KR102348827B1 (ko)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공협착율 제공방법
Nemani et al. Osteotomies in the cervical spine
Kim et al. Partial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spinal sagittal deformity correction
LeVasseur et al. The effects of age, pathology, and fusion on cervical neural foramen area
Yang et al. Influences of different lower cervical bone graft heights on the size of the intervertebral foramen: multiple planar dynamic measurements with laser scanning
CN116958067A (zh) 一种骨结构目标减压区域确定方法、骨结构减压路径自动规划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Güvençer et al. Morphometric evaluation of the uncinate process and its importance in surgical approaches to the cervical spine: a cadaveric study
Janjua et al. Photogrammetric analysis: an objective measure to assess the craniocervical range of motion after cervical laminoplasty surgeries
Dai et al. Evaluation of traumatic spinal canal stenosis in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a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measuring the percent canal occlusion
Koompairojn et al.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lumbar spine X-ray images
Singhatanadgige et al. Indirect effects on adjacent segments after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Sweet et al. Transforaminal anterior release for the treatment of fixed sagittal imbalance and segmental kyphosis, minimum 2-year follow-up study
Masamoto et al. Utility of thoracolumbar low-dose CT with model-based iterative reconstruction for measuring pedicle diameter using a radiation dose less than a one-time lumbar X-ray
US20240115321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suitability of spinal implants
Atıcı et al. Radiologic Outcomes and Complication Analysis of the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Previously Operated Severe Kyphoscoliosi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Sun et al. The effect of large channel-based foraminoplasty on lumbar biomechanics in percutaneous endoscopic discectomy: a finite element analysis
Bayram et al. A SURGICAL ERROR RESULTING IN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IN TREATMENT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