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74B1 -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74B1
KR102348774B1 KR1020200042621A KR20200042621A KR102348774B1 KR 102348774 B1 KR102348774 B1 KR 102348774B1 KR 1020200042621 A KR1020200042621 A KR 1020200042621A KR 20200042621 A KR20200042621 A KR 20200042621A KR 102348774 B1 KR102348774 B1 KR 10234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smart contract
block chain
user interface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215A (ko
Inventor
전광길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계약의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마트 계약과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결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며,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모델의 규칙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Blockchain Nodes and Blockchai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결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 체인은 주로 금융 거래로 알려져 있으며, 블록 체인 사용을 금융 기관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블록 체인은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탈카르텔화된(Decartelized)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블록 체인은 암호 화폐, 분산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 계약 및 기타 기반 기술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호스팅 할 수 있게 되었다.
블록 체인은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신뢰, 투명성, 자율성, 불변성과 같은 문제를 제거한다. 이러한 속성은 블록 체인을 보다 안전하게 만들고 비즈니스가 블록 체인 기반 기술로 이동하는 주된 이유이다.
블록 체인이 피어 노드에서 정보 또는 원장을 공유함에 따라 블록 체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기술적으로, 언급한대로 특정 정보를 변경하려면 블록 체인에서 노드의 51% 이상을 공격해야 한다.
인기와 보안은 비즈니스가 블록 체인을 채택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 일 수 있지만 비즈니스에는 자체 모델과 프레임 워크가 있다.
이러한 모델과 프레임 워크는 비즈니스 또는 조직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의 전환을 더욱 잘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기술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해야 한다.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많은 모델이 있지만 고객 대 비즈니스 및 고객 대 고객과 같은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델은 가치 기반 비즈니스 모델, 수요 기반 비즈니스 모델, 리소스 기반 비즈니스 모델, 네트워크 기반 비즈니스 모델, 고객 중심 비즈니스 모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비즈니스가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모델은 비즈니스에서 설정한 비즈니스 규칙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가 블록 체인의 일반화 프레임 워크를 만들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며, HCI가 도입될 수있는 지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초기 단계에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2583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계약의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스마트 계약과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결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계약의 정보에 대한 소스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소스코드를 EVM(Ethereum Virtual Machine)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EVM 바이트 코드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의 생성 시 특정 영역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속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노드에 있어서,
계약의 정보에 대한 소스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소스코드를 EVM(Ethereum Virtual Machine)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EVM 바이트 코드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의 생성 시 특정 영역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는 특정 영역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클라이언트에 노출하는 사용자 모듈(User Module); 및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중요 정보가 포함된 조직 모듈(Organization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모델의 규칙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결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사용자 모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데이터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한 컴퓨팅장치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스템은 임의의 중앙관리자가 있어 쌍방 간의 데이터를 확정하고 청산하며 거래기록을 보관하는 역할을 했지만, 블록체인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중앙관리자의 역할을 불필요하게 만들어 시스템의 인프라 비용이 적고, 블록체인에 참여한 컴퓨팅장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무결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기술기반을 이용하여 상호 합의이행 및 검증과정이 네트워크로 자동화되는 것이다. 이해 당사자간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계약과 계약 결과에 대한 신뢰를 쌓아 나가는 기반 하에 자동화된 계약처리 형태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팅장치 모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 기록, 보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 또는 협상의 실행 및 시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말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 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결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10) 및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20)는 사용자 또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포함된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에 액세스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에 사용된다. 암호화폐의 거래 과정은 탈중앙화된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각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여기서, 거래는 재화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행위를 넘어서 모든 종류의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는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포함된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 구성, 그리고 화폐 제도로 네트워크의 기록 보관 및 보안을 보장하고 트랜잭션 인증토큰으로 전체 네트워크가 설계된 규칙(블록체인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디지털 거래에 필수적인 고유한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트랜잭션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인증 및 권한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블록 체인의 코딩에 사용되는 언어를 이용하여 계약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을 이용함으로써 계약의 진정성을 증명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상호 서명 인증을 통해서 계약을 수행함으로써 완전한 디지털 계약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스마트 컨트랙트 방식으로 계약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약을 인증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생성된 계약을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합의에 의해 계약을 갱신하거나 파기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에 의해 비대면 계약이 수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전자상거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전자상거래에 필용한 계약, 이행, 취소, 환불 등의 트랜잭션을 비대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행된 트랜잭션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따라서, 당사자 간의 사기나 일방적인 계약 파기 등은 방지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1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10)는 제1 블록체인 노드(111), 제2 블록체인 노드(112) 및 제3 블록체인 노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20)는 제1 블록체인 노드(111), 제2 블록체인 노드(112) 및 제3 블록체인 노드(113)에 연결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120)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10)에 연결시키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계약의 정보에 대한 소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소스코드로 변환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일반 사용자의 블록체인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고, 정보를 블록체인에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소스코드를 EVM 바이트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은 프로그램의 상태(State)와 로직(Logic)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각자 다른 상태와 로직을 포함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는 바이트 코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이트 코드는 EVM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스코드로부터 변환된 EVM 바이트 코드는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에 포함된 EVM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EVM 바이트 코드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란 스마트 계약이라고도 지칭되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구현될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좌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끼리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제 3자의 개입이 없이 트랜잭션이 수행될 수 있다.
개인이 개인에게 트랜잭션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이 다수에게 또는 개인이 또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에게 트랜잭션을 만들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3자는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를 이용하여 블록의 채굴을 수행할 수 있다.
채굴의 방식은 POW(Proof of Work), POS(Proof of Stake) 또는 DPOS(Delegated Proof of Stak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사용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사용자 모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111, 112, 113)는 메모리부(114), 제어부(115), 통신부(116) 및 블록체인 프로세스(130)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프로세스(130)는 블록 생성부(131), 블록체인 제어부(132), 블록 전파부(133) 및 블록 검증부(134)를 포함한다.
블록 생성부(131)는 미리 정의된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관련 거래 내역(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생성부(131)는 거래 관련의 기본 정보가 함께 포함되도록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제어부(132)는 새로운 블록이 자신의 블록체인(Blockchain)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제어부(312)는 개인정보 관련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들이 체인(Chain)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Blockchain)에 새로운 블록이 추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블록 전파부(133)는 자신의 블록체인에 연결된 새로운 블록의 유효성(verify) 검증을 위해 새로운 블록을 네트워크로 전파(broadcas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전파부(133)는 새로운 블록을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예컨대,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 데이터 브로커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네트워크로 전파된 새로운 블록은 새로운 블록을 수신한 블록체인 노드에서 해당 블록의 유효성(verify)을 검증하고, 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해당 노드의 블록체인에 추가 연결될 수 있다.
블록 검증부(134)는 네트워크를 형성한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생성된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검증부(134)는 수신된 블록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블록체인 노드에서 디지털 서명된 블록을 대상으로 공개키 및 해시값에 기초하여 해당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블록체인 노드는 암호화폐와 Decartelized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클라이언트(120)와의 상호 작용이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로 제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할 수 없으며,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고려하여 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 체인에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을 도입한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P2P 네트워크, 합의를 기반으로 한다.
제어부(115)는 계약의 정보에 대한 소스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소스코드를 EVM(Ethereum Virtual Machine)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EVM 바이트 코드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140)를 생성하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140)의 생성 시 특정 영역을 클라이언트(120)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15)는 특정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140)를 구성할 때, 스마트 계약의 특정 영역을 클라이언트(120)에 노출하기 위하여 특정 모듈로 나눈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특정 계약을 스스로 수립, 검증, 이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토콜입니다.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이더리움의 상태를 변경할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블록(101)에 포함되어 각 노드에 전파되고, EVM(Ethereum Virtual Machine)에서 작동되어 상태 전이를 발생시킨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블록 헤더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특정값이나 발신자 및 수신되는 메시지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등 이더리움의 상태 변화와 데이타 저장 등이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Solidity 언어로 프로그래밍된다.
Solidity 언어로 프로그래밍된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컴파일러(solc)에 의해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된다.
컴파일된 바이트 코드는 블록(101)에 포함되어 EVM에 의해 실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5)는 스마트 컨트랙트(140)의 생성 시 특정 영역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클라이언트(120)에 노출하는 사용자 모듈(User Module)(141)과 연락처 등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중요 정보가 포함된 조직 모듈(Organization Module)(142)을 형성한다. 사용자 모듈(141)의 특정 영역은 암호화폐와 디카르텔화(Decartellized Applications) 응용 프로그램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부(115)는 암호화폐,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 컨트랙트(140)의 생성, 블록(101)의 생성 등을 메모리부(114)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통신부(116)를 통해 다른 블록체인 노드로부터 새로운 블록을 수신하거나 새로운 블록이나 스마트 컨트랙트(140)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140)는 블록 체인에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을 도입하는 것이다.
사용자 모듈(User Module)(141)은 특정 영역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모듈(14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을 위한 선택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15)는 사용자 모듈(14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에 필요한 입력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를 컴파일하여 실행되는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120)는 사용자 모듈(14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모듈(14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이고, 레벨 1, 레벨 2, 레벨 3 옵션은 사용자 선택 및 스마트 계약 작성을 위해 조직이 제공한 레벨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와 이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블록 체인에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도입한 취지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블록체인 시스템 101: 블록
110: 블록체인 네트워크 111: 제1 블록체인 노드
112: 제2 블록체인 노드 113: 제3 블록체인 노드
120: 클라이언트 130: 블록체인 프로세스
140: 스마트 컨트랙트 141: 사용자 모듈
142: 조직 모듈

Claims (8)

  1. 하나 이상의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계약의 정보에 대한 소스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소스코드를 EVM(Ethereum Virtual Machine)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EVM 바이트 코드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의 생성 시 특정 영역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는 특정 영역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클라이언트에 노출하는 사용자 모듈(User Module); 및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중요 정보가 포함된 조직 모듈(Organization Module)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모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암호화폐와 디카르텔화(Decartellized Applications) 응용 프로그램에 결합되고, 메뉴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을 위한 선택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이고, 레벨 1, 레벨 2, 레벨 3 옵션은 사용자 선택 및 스마트 계약 작성을 위해 조직이 제공한 레벨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와 이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블록 체인에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사용자 모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에 필요한 입력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를 컴파일하여 실행되는 맞춤형 스마트 컨트랙트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42621A 2020-04-08 2020-04-08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4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21A KR102348774B1 (ko) 2020-04-08 2020-04-08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21A KR102348774B1 (ko) 2020-04-08 2020-04-08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15A KR20210125215A (ko) 2021-10-18
KR102348774B1 true KR102348774B1 (ko) 2022-01-07

Family

ID=7827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21A KR102348774B1 (ko) 2020-04-08 2020-04-08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KR102057669B1 (ko) * 2019-01-14 2019-12-19 빅픽처랩 주식회사 지역 커뮤니티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37B1 (ko)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669B1 (ko) * 2019-01-14 2019-12-19 빅픽처랩 주식회사 지역 커뮤니티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2008001B1 (ko) * 2019-02-21 2019-08-06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15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utta et al. A survey on blockchain technology: Evolution, architecture and security
Tasca et al. Taxonomy of blockchain technologies. Principles of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Mosakheil Security threats classification in blockchains
US20200327498A1 (en) Business Process Execution on a Blockchain Platform
Komalavalli et al. Overview of blockchain technology concepts
Forte et al. Beyond Bitcoin-Part I: A critical look at blockchain-based systems
Elrom The blockchain developer
Lu Implementing blockchain in information systems: a review
Ali et al. Blockchain and the future of the internet: A comprehensive review
ul Hassan et al. Blockchain and the future of the internet: a comprehensive review
WO2020139190A1 (en) Hybrid blockchain architecture with computing pool
Hossain Blockchain computing: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Kwak et al. A study on the design of efficient private blockchain
Aggarwal et al. Basics of blockchain
CN115705571A (zh) 保护可审计的帐户的隐私
Idrees et al. Explor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Issues, Applications and Research Potential.
Fikri et al. A blockchain architecture for trusted sub-ledger operations and financial audit using decentralized microservices
Diro et al. Leveraging zero knowledge proofs for blockchain-based identity sharing: A survey of advancemen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ang et al. A fair and privacy-preserving image trad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and group signature
Bil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Opportunities & challenges
Cai et al. Introduction to blockchain basics
Anthony Jnr Enhancing blockchain interoperability and intraoperability capabilities in collaborative enterprise-a standardized architecture perspective
KR102348774B1 (ko) 블록체인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Mohapatra et al. A brief overview of blockchain algorithm and its impact upon cloud-connected environment
Tripathi et al. Business Service Management using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