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27B1 -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27B1
KR102348727B1 KR1020210134152A KR20210134152A KR102348727B1 KR 102348727 B1 KR102348727 B1 KR 102348727B1 KR 1020210134152 A KR1020210134152 A KR 1020210134152A KR 20210134152 A KR20210134152 A KR 20210134152A KR 102348727 B1 KR102348727 B1 KR 10234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ersonal
image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이현민
강윤정
이영서
서유진
이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네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네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네이션
Priority to KR102021013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27B1/ko
Priority to KR1020220000994A priority patent/KR20230051033A/ko
Priority to KR1020220000979A priority patent/KR102553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으로서,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e broadcasting platform supporting product sales mode}
본 발명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방송인에 의해 개인 방송 단말에서 상품 판매 모드가 ON/OFF될 수 있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튜브(youtube),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등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로 일컫어지는 웹사이트에서 라이브(Live) 방송을 지원하면서 그 사용영역이 일반인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다.
다만, SNS에서 제공되는 라이브 방송 기능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일반인들은 방송 편집을 위해서는 별도의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유튜브, 페이스북 등의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과거 어느 시점의 영상을 공유해서 볼 수 밖에 없으며, 라이브 방송 참여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에서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브 방송 화면에 대한 실시간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판매 모드의 ON/OFF를 통해 방송 진행 중에 일반 방송 및 판매 방송을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업체들에게 개인 방송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품 판매에 최적화된 개인 방송인을 선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어로 방송을 진행하지 않아도 방송 플랫폼 내에서 번역을 제공해줌으로써 외국어 능력 없이 해외를 타겟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개인 방송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시청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단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서버(이하, 서버(100)), 개인 방송 단말(200), 시청자 단말(300) 및 판매업체 단말(40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 단말(200)은 개인 방송 또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방송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주체의 단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청자 단말(300)은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판매업체 단말(400)은 개인 방송 단말(200)에게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를 의뢰하는 업체에 대응되는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개인 방송 단말(200)은 복수의 판매업체 단말(4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상품 판매를 의뢰받아 복수의 시청자 단말(3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시청자에게 의뢰받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 단말(300)은 복수의 개인 방송 단말(200)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개인 방송 단말(200)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중 적어도 일부를 구매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품의 판매는 개인 방송 단말(200)의 모드 선택에 의해 상품 판매 모드일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으며, 상품 판매 모드의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품 판매는 수행되지 않고 일반 개인 방송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 단말(200), 시청자 단말(300) 및 판매업체 단말(400)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이라 지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통신 가능하며 컴퓨팅 가능한 전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 단말(200)의 경우, 방송을 위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탑재한 장치로 한정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장치와 연동되어 방송을 위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도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장치(100)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라이브 방송 플랫폽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송수신 장치(1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 방송 플랫폽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 또는 저장 장치(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명령,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명령,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명령,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명령,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하는 명령,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명령,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명령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명령,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명령,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명령,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명령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개인 방송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개인 방송 단말(200)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영상을 개인 방송 단말(200)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300)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방송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개인 방송 단말(200)에게 현재 촬영 중인 영상에 대한 정보 및 편집 가능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개인 방송 단말(200)에게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을 보여주는 재생 영역(210) 및 콘텐츠의 편집 등을 통해 영상을 수정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 영역(220)을 제공할 수 있다.
재생 영역(210)은 현재 개인 방송 단말(200)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영상은 후술하는 콘텐츠 편집 영역(220)과 다르게 시청자 단말(300)에도 동일하게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 단말(200)이 복수의 촬영 장치를 탑재하고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개인 방송 단말(200)에 의해 복수의 영상이 선택됨에 따라 복수의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복수의 영상에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생 영역(210)은 복수의 영상의 개수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개인 방송 단말(200)이 하나의 촬영 장치를 탑재하고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한 개인 방송인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하나의 영상 내의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이 재생 영역(210)에서 분할되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 및 다른 일부 영역은 서로 중복되는 영역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 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 또는 하나의 영상을 재생 영역(210) 내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경우, 분할되는 영역들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는 개인 방송인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개인 방송인에 의해 분할되는 영역의 상대적인 크기가 개인 방송인에 의해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해 변경되는 경우 이는 재생 영역(210) 내의 영상이 변경되는 것인 바,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시청자 단말(300)에서도 변경된 분할되는 영역의 상대적인 크기가 곧바로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개인 방송인은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해 위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분할된 화면을 하나의 화면만 남기고 나머지 화면을 제거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서버는 개인 방송 단말(200)에 표시되는 재생 영역(210)에서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과 함께 후술하는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의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를 영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영역(220)은 영상 내의 특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개인 방송인은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의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를 영상 내의 일부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삽입 방법은 개인 방송 단말(200)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트린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인 경우,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의 적어도 일부 콘텐츠를 재생 영역(210) 내의 일부 영역으로 드래그 함으로써 영상 내의 콘텐츠를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는 콘텐츠 편집 영역(200)에서 개인 방송인에 의해 수정된 이후 영상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는, 영상 내에 삽입된 후에도 삽입된 콘텐츠는 콘텐츠 편집 영역(20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콘텐츠 편집 영역(200) 내에서 이미 삽입된 콘텐츠를 수정할 경우 영상 내의 대응되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수정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영역(220)은 영상의 일부 영역에 콘텐츠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에 관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판매 모드에 관한 상품 즉, 판매할 상품을 선택하여 판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영역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개인 방송인은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방송하며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인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업체 단말(400)을 통해 제공된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 외의 판매 가능한 상품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 활성화는 도 3에서 나타낸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의 좌측의 판매 가능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한 후 하단의 활성화가 선택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인 방송인은 판매업체 단말(400)로부터 의뢰된 또는 제공된 복수의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특정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방송인은 복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편집 영역(200) 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한 후 특정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특정 상품에 관한 콘텐츠가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에 추가로 생성될 수 있으며, 개인 방송인은 생성된 특정 상품에 관한 콘텐츠를 재생 영역(210)으로 드래그하여 영상 내의 판매를 위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잇다. 여기서, 특정 상품에 관한 콘텐츠는 특정 상품에 관한 소개 정보 외에 특정 상품의 구매 또는 주문을 위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방송인은 생성된 특정 상품에 관한 콘텐츠도 상술한 다른 콘텐츠와 동일하게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한 후 콘텐츠를 영상에 표시할 수 있고, 영상에 표시한 상태에서도 콘텐츠 편집 영역(200)에서 해당 콘텐츠를 수정함으로써 영상 내의 콘텐츠를 수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인은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를 활성화하였다가 비활성화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상품에 관한 콘텐츠를 개인 방송인의 별도 동작 없이 영상 내 및/또는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에서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낸 콘텐츠 편집 영역(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활성화는 현재 판매 모드가 진행 중인 경우, 비활성화라고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의 비활성화는 비활성화라고 표시된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시청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시청자 단말(300)에게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의 방송에 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의 방송에서 현재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시청자 단말(300)에게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의 방송을 제공하는 라이브 방송 영역(310) 및 방송에서 현재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판매 영역(32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판매 영역(320)은 시청자가 시청자 단말(300)을 통해 라이브 방송 영역(310) 내의 특정 개인 방송인의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하며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품이 방송의 판매 모드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방송 내에서 구매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없을 수도 있는 바, 현재 방송 중인 개인 방송인이 이번 방송을 통해 판매 모드를 활성화하였었던 상품이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방송 영역(310)은 현재 진행 중인 개인 방송인의 방송 각각에 대한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은 개인 방송 단말(200)을 통해 방송 시작 시 또는 방송 중간에 개인 방송인에 의해 특정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썸네일은 특정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동영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더불어, 라이브 방송 영역(310) 내의 각 방송의 썸네일은 방송이 현재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썸네일의 하단에 오버랩(overlap)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썸네일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하단에 특정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하여 특정 상품이 함께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이미지가 썸네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라이브 방송 영역(310) 내에 썸네일만 확인하여도 시청자는 현재 해당 방송이 판매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비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0 동작에서 서버는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S520 동작에서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영상 내의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S530 동작에서 서버는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콘텐츠를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할 수 있으며, S540 동작에서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2 콘텐츠가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영상 내의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콘텐츠는 제1 상품에 관한 소개 정보 외에 제1 상품의 구매 또는 주문을 위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550 동작에서 서버는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제2 콘텐츠를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영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10 동작에서 서버는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S620 동작에서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할 수 있고, S63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는 제2 상품의 종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종류 정보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품 카테고리들 중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상품 카테고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에 관한 과거 판매 이력 정보 및 경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특정 상품 카테고리의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상품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개인 방송인을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서버는 시청자의 주된 연령층이 타겟 연령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방송인을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로 결정할 수도 있고, 시청자의 주된 성별이 타겟 성별 정보에 대응되는 개인 방송인을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된 연령층은 10살 단위로 구분된 연령 단위를 기준으로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포함되는 연령 단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주된 성별은 남녀 중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포함되는 성별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특정 상품 카테고리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가 모두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 상품 카테고리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상품에 관한 판매 적합도 지수를 개인 방송인 별로 산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더불어, 판매 적합도 지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개인 방송인을 나열하여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여 판매업체가 제2 상품의 판매를 의뢰할 개인 방송인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적합도 지수는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115810733-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is는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특정 상품(예를 들어, 제2 상품)의 판매 적합도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ic는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특정 상품의 카테고리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wc는 카테고리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고, ia는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특정 상품의 타겟 연령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wa는 타겟 연령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고, ig는 특정 개인 방송에 대한 특정 상품의 타겟 성별 지수를 나타낼 수 있고, wg는 타겟 성별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낼 수 있다. wc, wg, wa는 3가지 중 주요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또는 판매업체 단말에게 3가지 중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wc, wg, wa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c는 미리 설정된 상품의 카테고리 및 카테고리의 하위에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서브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1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는 아니지만 상위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2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a는 10살 단위로 구분된 연령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설정된 타겟 연령 단위와 특정 개인 방송인의 주된 연령층의 연령 단위가 동일한 경우, 1로 결정될 수 있으며, 1개의 단위(10살 위의 단위 또는 10살 아래의 단위)가 차이나는 경우, 2로 결정될 수 있으며, 2개의 단위(20살 위의 단위 또는 20살 아래의 단위)가 차이나는 경우, 3로 결정될 수 있다. 즉, 1개의 연령 단위가 차이날 때마다 +1씩 ia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ig는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설정된 타겟 성별과 특정 개인 방송인의 주된 성별이 동일한 경우, 1로 결정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경우 2로 결정될 수도 있다.
S640 동작에서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될 수 있으며, S650 동작에서 서버는 제2 상품을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개인 방송인에게 판매업체가 판매를 의뢰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에서 콘텐츠 편집 영역(220) 내의 좌측과 같이 판매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상품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는 언어 변환에 관한 동작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제1 글자를 선택된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언어 변환 모드에 따라 현재 표시되거나 편집된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에 포함된 언어를 변환 요청되는 언어로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는 콘텐츠에 관한 자동 언어 변환뿐만 아니라, 영상 내의 음성에 대한 자동 언어 추출 및 변환을 통해 자막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영상에 포함된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글자를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음성에 대응되는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에 대한 글자 추출은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도출된 글자에 대한 언어의 변환은 상술한 콘텐츠 내의 글자를 변환하는 구성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생성한 자막을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은 영상의 중앙 하단을 나타낼 수 있으나, 개인 방송인에 의해 자막의 위치 또는 영역이 영상 내에서 이동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으로서,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의 소개 정보 및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정보를 포함하고,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종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 정보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는 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판매 적합도 지수를 기반으로 도출되고,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판매 적합도 지수는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고,
    Figure 112021145260960-pat00008
    ,
    상기 is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판매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ic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카테고리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c는 상기 카테고리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연령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a는 상기 타겟 연령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g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성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g는 상기 타겟 성별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wc, 상기 wg 및 상기 wa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ic는 상기 제2 상품의 상기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이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또는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서브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타겟 연령 정보 및 10살 단위의 연령 단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령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ig는 상기 타겟 성별 정보 및 남녀 성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성별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상기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6.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의 소개 정보 및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정보를 포함하고,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종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 정보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는 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판매 적합도 지수를 기반으로 도출되고,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판매 적합도 지수는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고,
    Figure 112021145260960-pat00009
    ,
    상기 is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판매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ic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카테고리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c는 상기 카테고리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연령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a는 상기 타겟 연령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g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성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g는 상기 타겟 성별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wc, 상기 wg 및 상기 wa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ic는 상기 제2 상품의 상기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이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또는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서브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타겟 연령 정보 및 10살 단위의 연령 단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령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ig는 상기 타겟 성별 정보 및 남녀 성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성별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서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상기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실행되는,
    서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실행되는,
    서버.
  9.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의 소개 정보 및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종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 정보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는 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판매 적합도 지수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판매 적합도 지수는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고,
    Figure 112021145260960-pat00010
    ,
    상기 is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판매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ic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카테고리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c는 상기 카테고리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연령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a는 상기 타겟 연령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g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성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g는 상기 타겟 성별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wc, 상기 wg 및 상기 wa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ic는 상기 제2 상품의 상기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이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또는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서브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타겟 연령 정보 및 10살 단위의 연령 단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령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ig는 상기 타겟 성별 정보 및 남녀 성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성별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상기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서버에서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영상이 재생되는 재생 영역 및 콘텐츠 편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제1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1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관련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내의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재생 영역 내의 제2 위치에 드래그되는 경우, 상기 영상 내의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편집 영역 및 상기 영상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연결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을 시청 중인 시청자 단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제1 상품의 소개 정보 및 상기 제1 상품의 주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제1 이미지를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의 방송의 썸네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하단에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소개 정보를 오버랩(overlap)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매업체 단말로부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인 후보 중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품을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복수의 상품들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종류 정보, 타겟 연령 정보 및 타겟 성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 정보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방송 후보는 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판매 적합도 지수를 기반으로 도출되고,상기 복수의 개인 방송인들 중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판매 적합도 지수는 상기 제2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고,
    Figure 112021145260960-pat00011
    ,
    상기 is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판매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ic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카테고리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c는 상기 카테고리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연령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a는 상기 타겟 연령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ig는 상기 특정 개인 방송에 대한 제2 상품의 타겟 성별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wg는 상기 타겟 성별 지수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wc, 상기 wg 및 상기 wa는 상기 판매업체 단말에 의해 획득되는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ic는 상기 제2 상품의 상기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이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또는 상기 제2 상품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품을 판매한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서브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분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ia는 상기 타겟 연령 정보 및 10살 단위의 연령 단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령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ig는 상기 타겟 성별 정보 및 남녀 성별 중 상기 특정 개인 방송인의 시청자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성별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프로그램.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개인 방송인에게 의뢰된 상기 복수의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들 중 상기 제1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판매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게 복수의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개인 방송 단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제1 언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한 언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내의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제1 글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현재 언어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제2 글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글자를 상기 제1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언어의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을 상기 영상 내의 미리 설정된 자막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
KR1020210134152A 2021-10-08 2021-10-08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4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52A KR102348727B1 (ko) 2021-10-08 2021-10-08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94A KR20230051033A (ko) 2021-10-08 2022-01-04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79A KR102553332B1 (ko) 2021-10-08 2022-01-04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52A KR102348727B1 (ko) 2021-10-08 2021-10-08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94A Division KR20230051033A (ko) 2021-10-08 2022-01-04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79A Division KR102553332B1 (ko) 2021-10-08 2022-01-04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27B1 true KR102348727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52A KR102348727B1 (ko) 2021-10-08 2021-10-08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79A KR102553332B1 (ko) 2021-10-08 2022-01-04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94A KR20230051033A (ko) 2021-10-08 2022-01-04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79A KR102553332B1 (ko) 2021-10-08 2022-01-04 라이브 방송 플랫폼에서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0994A KR20230051033A (ko) 2021-10-08 2022-01-04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48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82B1 (ko)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73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시어스랩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KR102276814B1 (ko) * 2020-03-10 2021-07-12 탁기영 인터넷 방송 및 온라인 쇼핑의 연계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73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시어스랩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KR102276814B1 (ko) * 2020-03-10 2021-07-12 탁기영 인터넷 방송 및 온라인 쇼핑의 연계시스템 및 그 연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82B1 (ko)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332B1 (ko) 2023-07-10
KR20230051032A (ko) 2023-04-17
KR20230051033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621B2 (en) Video processing for embedded information card localization and content extraction
US9467750B2 (en) Placing unobtrusive overlays in video content
US89387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urring content searches and viewing window notification
US8977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ioritization of content listings
US92885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prioritization
US20130262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ioritization of Content Through Interactive Browsing
US20130262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Recommending Content
US201302629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Secondary Screen
US201302631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US11288727B2 (en) Content creation suggestions using failed searches and uploads
US20100312596A1 (en) Ecosystem for smart content tagging and interaction
US201500588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interaction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US20150319493A1 (en) Facilitating Commerce Related to Streamed Content Including Video
US9171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n automatic license for mashups
US8798437B2 (en) Mov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thumbnail image generation program, and thumbnail image generation method
US20150189384A1 (en) Presenting information based on a video
US20140344070A1 (en) Context-aware video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US20130262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ontent Requests and Playlist Information
WO20150782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Švelch Redefining screenshots: Toward critical literacy of screen capture practices
KR102348727B1 (ko)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019300B1 (en) Providing soundtrack information during playback of video content
CN112784103A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07437196B (zh) 智能手机的使用说明影像内容和广告提供系统
KR20220064741A (ko) 전자상거래 기능이 결합된 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