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089B1 -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 Google Patents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089B1
KR102348089B1 KR1020210069299A KR20210069299A KR102348089B1 KR 102348089 B1 KR102348089 B1 KR 102348089B1 KR 1020210069299 A KR1020210069299 A KR 1020210069299A KR 20210069299 A KR20210069299 A KR 20210069299A KR 102348089 B1 KR102348089 B1 KR 10234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ing control
specific content
brightnes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7995A (en
Inventor
배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89B1/en
Publication of KR2021006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key data for rea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ach reproduction screen in HDR technology to control the lighting system of multiple lights arranged for the viewing environment, so that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can achieve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content and It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device realizing a technology for finely controlling to be interlocked,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Figure R1020210069299
Figure R1020210069299

Description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A lighting control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 관련이 있는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ed to a media viewing environment for viewing media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capable of focusing more on media viewing.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Recently, as digital-based digital television technology has been commercialized,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onnected to each home, and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재생서비스가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일 것이다.In the IPTV service,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o IPTV service subscribers through a set-top box installed in a designated space such as a home. A content playback service that allows viewers to watch is probably the most basic service.

이러한 컨텐츠재생서비스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 및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ntent reproduction service may be divided into a service for reproducing real-time content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providing an IPTV service and a service for reproducing video on demand (VoD) content.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및 IPTV 서비스를 위한 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미디어 특히 재생 화면의 화질을 표현하는 기술은 HD(High Definition) 기술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 4K,8K 기술로 진화하고 더 나아가 HDR(High Dynamic Range)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picture quality of display devices and IPTV service, the technology to express the picture quality of media, especially the playback screen, has evolved from HD (High Definition) technology to UHD (Ultra High Definition) 4K, 8K technology. Furthermore, it is evolving into HDR (High Dynamic Range) technology.

HDR 기술이 이전 HD/UHD 4K,8K 기술 대비 진화한 점 중 하나는,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함으로써, 시청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이다.One of the things that HDR technology has evolved from previous HD/UHD 4K and 8K technologies is that it can improve viewing quality by expressing bright areas in the playback scene brighter and dark areas darker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 characteristic of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playback screen).

한편, 최근에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등장하였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media is viewed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trol the lighting around the display device to focus more on media view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HDR 기술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media is viewed according to content playback, HDR technology utilizes the brightness expression feature for each playback screen in which bright areas in the playback scene are brighter and dark areas are darker. , we would like to propose a new technology to provide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that can focus more on media viewing.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Scene)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the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HDR technology, and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that can focus more on media viewing To provide technology to realiz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명제어부;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adata check unit for checking the metadata related to the screen brightness of a specific content; a lighting control unit generating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mplemented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and a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data to the lighting system so tha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the lighting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in the lighting system is linked with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ght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as an origin.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adata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in a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lighting control data includes,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plurality of lights. It may have a structure indica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may be mapped to at least one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adata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in a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lighting controller includes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Based on the star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 in the lighting system.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환경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spatial information on a spa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ime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weather information at a time poin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ghting control unit,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area and the darkest coordinate area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ach in the lighting syst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for the illumin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ghting controller may include,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based on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in the lighting system, based on at least one of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level value can be determi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데이터전달단계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etadata checking step of check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of a specific content; a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mplemented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and a data transfer step of transmitting the lighting control data to the lighting system so tha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the lighting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in the lighting system is linked with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ght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as an origin.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etadata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in a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lighting control data includes,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plurality of lights. It may have a structure indica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ta generation step may determine the lighting level for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Scene)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조명시스템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재생 화면의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by uti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feature for each playback screen (Scene) of the HDR technology,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is displayed on the playback screen It can be precisely controlled to be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of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재생 화면의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is controlled in detail so as to be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of the playback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조명시스템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dia viewing environment to which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ighting arrangement of a lighting system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dia viewing environment to which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셋탑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media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t-top box that outputs content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an IPTV service and plays it on the display device 10 . (20) may be includ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IPTV 서비스 가입자 즉 시청자(1)가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위해 구비되는 조명시스템(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Furthermore, the media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ghting system 30 provided for the IPTV service subscriber, that is, the viewer 1 to view media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셋탑박스(20)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가정)에 설치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 자신과 연결된 무선중계장치(미도시)를 통해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예: Broadcast)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t-top box 20 refers to a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home) to receive an IPTV service, and is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through a wireless repea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t-top box itself. Receives and outputs various contents (eg, broadcast) so that they can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

무선중계장치(예: 공유기)는, 셋탑박스(2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20)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 등)에 대해서도 무선 통신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 wireless repeater (eg, a router) refers to a device for providing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to the set-top box 20 , and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0 by wire, as well as a user terminal (eg, smart) located within the coverage area.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nternet access environment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for phones, etc.).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IPTV 서비스 가입자 즉 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 및 재생하여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an IPTV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PTV service subscriber, that is, a viewer, can search for and play a desired content and view media according to the content reproduc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및 IPTV 서비스를 위한 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미디어 특히 재생 화면의 화질을 표현하는 기술은 HD(High Definition) 기술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 4K,8K 기술로 진화하고 더 나아가 HDR(High Dynamic Range)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picture quality of display devices and IPTV service, the technology to express the picture quality of media, especially the playback screen, has evolved from HD (High Definition) technology to UHD (Ultra High Definition) 4K, 8K technology. Furthermore, it is evolving into HDR (High Dynamic Range) technology.

HDR 기술이 이전 HD/UHD 4K,8K 기술 대비 진화한 점 중 하나는,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함으로써, 시청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이다.One of the things that HDR technology has evolved from previous HD/UHD 4K and 8K technologies is that it can improve viewing quality by expressing bright areas in the playback scene brighter and dark areas darker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 characteristic of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playback screen).

한편, 최근에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등장하였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media is viewed according to content reproduc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trol the lighting around the display device to focus more on media view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미디어를 시청하는 미디어 시청 환경에서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technology for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that can focus more on media viewing by uti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feature of each playback screen of the HDR technology in a media viewing environment for viewing media according to content playback. I would like to sugge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실현하는 조명제어장치(100)를 제안한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ighting control device 100 that realize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that can focus more on media viewing by uti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ach playback screen of the HDR technology.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메타데이터확인부(110), 조명제어부(120), 전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etadata check unit 110 , a lighting control unit 120 , and a transmission unit 130 . hav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0 .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20) 및 조명시스템(30)과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 charge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set-top box 20 and the lighting system (30).

이러한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a software module,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are combined.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조명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조명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command executed by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s with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se commands may have a form mounted in a memory with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will be.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HDR 기술이 갖는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조명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fter al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that can focus more on media viewing by uti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HDR technology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following, each configuration 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for realiz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metadata check unit 110 is responsible for check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of specific content.

여기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된 컨텐츠로서, 실시간 또는 임의의 선택 시간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Here, the specific content means content that is configured in a form hav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and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in real time or at an arbitrary selected time.

이러한 특정 컨텐츠를 예를 들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 있고, 이 경우 실시간 방송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컨텐츠(예: 방송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는 VoD(Video on Demand)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VoD 컨텐츠(예: 드라마, 영화 등)일 수 있다. Such specific content may be, for example, content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an IPTV service, and in this case, may be real-time content (eg, a broadcast program) provided through a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 or VoD It may be VoD content (eg, drama, movie, etc.) provided through (Video on Demand) service.

또는, 특정 컨텐츠는, IPTV 서비스와 무관하게 셋탑박스(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 또는 별도 저장장치(미도시) 등 디바이스에 저장된 후, 셋탑박스(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 의해 호출 및 재생되는 컨텐츠(예: 드라마, 영화 등)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specific content is stored in a device such as the set-top box 20 or the display device 10 or a separate storage device (not shown) regardless of the IPTV service, and then called by the set-top box 20 or the display device 10 . and content to be played (eg, drama, movie, etc.).

이에,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셋탑박스(20) 또는 특정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adata check unit 110 may obtain and confirm metadata related to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set-top box 20 or the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stored.

일 예를 들면, 특정 컨텐츠가 IP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인 경우, 메타데이터확인부(11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를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는 셋탑박스(20)와 연동하여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pecific content is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provided through an IPTV service, the metadata check unit 110 transmits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o a service server (not shown). ), it is possible to obtain and check metadata related to the screen brightness of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by interworking with the set-top box 20 received from it.

여기서, 특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data check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ntent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에서 시청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점 즉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는 기술이다.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viewing quality in HDR technology, bright areas in the playback scene are expressed more brightly and dark areas are expressed darker, that is,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layback screen are utilized. is a technique to

따라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로서, HDR 기술에서 정의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data in a format defined in HDR technology as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that is, core data for realizing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in HDR technology.

그 포맷의 일 예로서,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ormat, the metadata may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specific content and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within the playback screen.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에 특정 컨텐츠로서 IP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1 , it can be assumed that a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provided through an IPTV service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 as specific content.

이 경우,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메타데이터에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전체 재생구간을 N개(예: 500개)의 재생 화면(Scene)으로 구분하고 재생 화면(Scene) 내 좌표영역을 M개(예: 6개/a,b,c,d,e,f)로 정의한다고 가정할 때, N개(예: 500개)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2차원 좌표영역(a,b,c,d,e,f)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metadata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entire playback sectio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divided into N (eg, 500) playback screens, and the playback screen Assuming that the coordinate area within (Scene) is defined as M (eg, 6/a,b,c,d,e,f), 2 for each N (eg, 500) playback screen (Scene) It may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dimensional coordinate area (a, b, c, d, e, f).

이에, 도 1게 도시된 가정 하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경우,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a,b,c,d,e,f) 각각은 해당 좌표영역의 밝기정보에 따라 밝은 영역일수록 더 밝게 표현되고 어두운 영역일수록 더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under the assumption shown in FIG. 1 , when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based on the metadata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Each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a, b, c, d, e, f) in the playback screen (Scene) for each playback screen (Scene) of the content_movie) is expressed brighter the brighter the region i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r the area, the darker it can be expressed.

물론,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을 구분하는 개수 및 구분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을 구분하는 개수 및 구분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으며, 심지어 재생 화면(Scene) 내 2차원 좌표영역은 단일 픽셀 단위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number and type of division of the 2D coordinate area in the scene shown in FIG. 1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and type of division of the 2D coordinate area within the scene vary. Modification can be implemented/implemented, and even a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in a playback scene can be divided into a single pixel unit.

조명제어부(120)은, 메타데이터확인부(110)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3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a lighting contro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system 30 implemented for the display device 20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of the specific content checked by the metadata check unit 110 . Responsible for generating data.

이때, 조명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해 둘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related lighting control data at a time point when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and control related lighting regardless of a time point when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You can also create data in advance.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청 환경은, 시청자(1)의 시청을 돕기 위해 구비되는 조명시스템(30)을 더 포함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media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ing system 30 provided to assist the viewer 1 in viewing.

이때, 조명시스템(30)은,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ighting system 3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ights dispos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그 일 예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시스템(30)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As an example, FIG. 2 shows a lighting arrangement of a lighting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각기 다른 위치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sets the display device 10 to the origin (x, y, z = 0, 0). ,0) and can be arranged in a circle at different positions.

이에,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3차원 배치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x, y, z = 0, 0, 0), It can be expressed as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circular arrangement.

물론,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각도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조명2의 경우 각도좌표 θ2로 표현될 수 있다.Of course,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may be expressed as angular coordinates according to a circular arrangement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for examp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llumination 2, it can be expressed as angular coordinate θ2.

한편,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명시스템(30) 내 다수 조명의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number and arrangement form of a plurality of lights in the lighting system 30 shown in FIG. 3 is only an example, and the arrangement number and arrangement form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implemented.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메타데이터확인부(110)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based on the metadata of the specific content confirmed by the metadata confirmation unit 110, a plurality of lights in the lighting system 30 (eg, lighting 1, 2, ..., 6)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each.

이때, 조명제어부(120)에서 생성하는 조명제어 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포맷)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ighting control data generated b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is three-dimensio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a specific content.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format) indicating the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arrangement coordinate.

이를 위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s in the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and It is desirable to be mapped.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함으로써,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utilizes the metadata of specific content, that is, core data for rea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feature for each playback screen in HDR technology, and uses multiple lights (eg: Lighting 1, 2, ..., 6) by determining the lighting level for each of the 3D arrangement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2D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playback screen that is mapped, lighting for each playback screen of specific cont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ghting control data represen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system 30 .

이하에서는,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plurality of lights in the lighting system 30 (eg, lights 1, 2, ..., 6 )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ighting level for ea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brightness of a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for each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playback screen, and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within a playback screen for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

이를 위해,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에 대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에, 필요한 외부 환경정보를 획득 및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o this e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0 acquires and confirms necessary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generates lighting control data for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이때의 외부 환경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is installed, time information about a time at which a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즉,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에 대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에 트리거(Trigger) 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간이 오전인지 또는 오후인지 또는 밤인지 또는 새벽인지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가 맑은지 또는 흐린지 또는 비/눈이 오는지에 날씨정보 등을, 기 탑재된 센서 또는 기 등록된 DB 또는 관련기관(예: 기상청)의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0 is triggered by the operation of generating lighting control data for a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n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 the display device 10 ), spatial information on whether the installed space is indoors or outdoors, and whether specific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 is morning, afternoon, night, or dawn. information, whether the weather at the time specific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is clear or cloudy, or rain/snow, a pre-installed sensor or pre-registered It can be acquired and confirmed by linking with a DB or server of a related organization (eg,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이 경우, 조명제어부(120)에서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와 관련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시점인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generates lighting control data related to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 It is preferable to assume that it is a starting point.

이에, 조명제어부(12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ler 120 controls the brightness inform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within the playback screen of a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Example: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즉, 조명제어부(12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lighting controller 120 corresponds to the lighting level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ing 1, 2, ..., 6)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in the corresponding reproduction scree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mapped with the 3D arrangement coordinates of lighting.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ighting controller 120 controls the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fference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verage illumination level for each light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

예를 들면,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큰 차이가 나는지 또는 임계값 미만으로 작은 차이가 나는지 또는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각 임계값을 근거로 어느 정도 차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ler 120 compares the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and the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large difference above the threshold value or a small difference below the threshold value, or how much difference there is based on each threshold value that is divided step by step.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ler 12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based on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the lighting system ( 30)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may be determined primarily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또는,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based on the lighting system (30)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may be determined primarily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평균적으로 적용할 기준 조명레벨(평균 조명레벨)을 해당 재생 화면 내 밝기 차이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1차로 결정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reference lighting level to be applied on average to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 (Average lighting level) is prim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within the playback screen or the external environment.

이후, 조명제어부(120)은,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n,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the lighting system 30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the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playback screen,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in the playback scree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 in the light (eg, lights 1, 2, ..., 6) based on the average light level may be determined.

예를 들면,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으로 조정할 오프셋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within the playback scree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 Based on 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the offset to be adjusted based on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 (eg, lights 1, 2,..., 6) in the lighting system 30 is adjusted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can decide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결정한 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으로서 2차(최종)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ler 120 determines the average lighting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contents (eg, VoD contents_movie). Level + offset may be secondarily (finally) determined as the lighting level value based on the average lighting level.

즉, 조명제어부(12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최종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lighting level valu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ing 1, 2, ..., 6) + offset)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2D coordinate area in the playback screen that is mapped with the 3D arrangement coordinates of the lighting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A final decision can be made based on

이에, 조명제어부(120)은, 전술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하면,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or second embodiment, for each playback screen (Scene) of a specific content,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respectively If the lighting level (value) for the light is determined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2D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reproduction screen mapped with the 3D arrangement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the lighting system 30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a specific content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ghting control data represen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전달부(130)는, 조명제어부(120)에서 생성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조명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The transmission unit 130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data generated by the lighting control unit 120 to the lighting system 30 .

본 발명의 조명제어장치(100)로부터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할 것이다.The lighting system 30 that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data from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control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

만약,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전달한 경우라면,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I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and transmits lighting control data when a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the lighting system 30 immediately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By performing lighting control, lighting control synchronized with reproduction in the display device 20 will be possible.

한편,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한 경우라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 생성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 및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면 조명제어 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하고,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generates related lighting control data in advance regardless of the timing at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 . When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reproduc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at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re compared and if they are the same,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transmitted as it is, and the lighting system 30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data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lighting control data. By performing the lighting control according to th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tion in the display device (20).

만약, 조명제어장치(100)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한 경우,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조명제어 데이터 생성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 및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다면 재생 시점의 외부 환경정보를 근거로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정한 후 전달하고,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른 조명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의 재생과 동기화된 조명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If, 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 the related lighting control data is generated in advance regardless of the point in time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 . At the time of reproduc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lighting control data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re compared, and if they are not the same,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correct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nd the lighting system 30 Upon receiving the lighting control data, the lighting control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performed, so that the lighting control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tion in the display device 20 will be possible.

한편, 전술에서 설명한 메타데이터확인부(110), 조명제어부(120), 전달부(130), 외부환경정보확인부(140) 전체 또는 이들 중 일부 구성의 기능은, 조명제어장치(100)에 결합되는 컴퓨터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of all or some of the above-described metadata confirmation unit 110 , lighting control unit 120 , delivery unit 130 ,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0 or some of them are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ed computer progra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 재생 화면 내 영역별 밝기정보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ey for realizing th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area within the reproduction scree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content, that is, the brightness expression feature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in HDR technology. By controlling the lighting system of multiple lights arranged for the viewing environment by us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to be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content.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is controlled in detail so as to be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content.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미디어 시청 환경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media viewing environment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한다(S10).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checks the metadata related to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S1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셋탑박스(20) 또는 특정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다(S10).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may obtain and confirm metadata related to the screen brightness of a specific content from the set-top box 20 or a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stored (S10).

여기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된 컨텐츠로서, 실시간 또는 임의의 선택 시간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Here, the specific content means content that is configured in a form hav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and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in real time or at an arbitrary selected time.

그리고 특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data check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ntent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HDR 기술에서 시청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생 화면(Scene) 내 밝은 영역은 더욱 밝게 표현하고 어두운 영역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는 점 즉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활용하는 기술이다.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viewing quality in HDR technology, bright areas in the playback scene are expressed more brightly and dark areas are expressed darker, that is,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layback screen are utilized. is a technique to

따라서, 특정 컨텐츠는,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로서, HDR 기술에서 정의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specific content may include data in a format defined in HDR technology as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that is, core data for realizing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in HDR technology.

그 포맷의 일 예로서, 메타데이터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ormat, the metadata may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specific content and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within the playback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S10단계에서 확인한 특정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3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S20~S50).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is implemented for the display device 20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of the specific content checked in step S10. It generates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system 30 (S20 to S50).

이때,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에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재생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관련 조명제어 데이터를 미리 생성해 둘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may generate related lighting control data at a time point at which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and related lighting regardless of the time point at which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20 . Control data may be created in advanc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명시스템(30)은, 각기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lighting system 3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ights dispos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lighting of

그 일 예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시스템(30)의 조명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As an example, FIG. 2 shows a lighting arrangement of a lighting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각기 다른 위치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sets the display device 10 to the origin (x, y, z = 0, 0). ,0) and can be arranged in a circle at different positions.

이에,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x,y,z=0,0,0)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3차원 배치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x, y, z = 0, 0, 0), It can be expressed as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circular arrangement.

물론,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원점으로 하여, 원형 배치에 따른 각도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Of course,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may be expressed as angular coordinates according to a circular arrangement with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origin.

한편,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명시스템(30) 내 다수 조명의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배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number and arrangement form of a plurality of lights in the lighting system 30 shown in FIG. 3 is only an example, and the arrangement number and arrangement form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implemented.

일 예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에, 필요한 외부 환경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설치된 공간이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에 대한 공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간이 오전인지 또는 오후인지 또는 밤인지 또는 새벽인지에 대한 시간정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특정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가 재생되는 시점의 날씨가 맑은지 또는 흐린지 또는 비/눈이 오는지에 날씨정보 등을, 기 탑재된 센서 또는 기 등록된 DB 또는 관련기관(예: 기상청)의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 및 확인할 수 있다(S20).According to an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played, whether the spa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is installed is indoors or outdoors. spatial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10 , time information on whether specific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device 10 is morning or afternoon, night or dawn, and specific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10 . (Example: VoD content_movie) Whether the weather is sunny, cloudy, or raining/snowy at the time of playback, the weather information, etc., from a pre-installed sensor or a pre-registered DB or related organization (eg,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can be obtained and confirmed by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S20).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30).And,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verage illumination level for each illumination (eg, illumination 1, 2, ..., 6) in the illumination system 30 (S3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큰 차이가 나는지 또는 임계값 미만으로 작은 차이가 나는지 또는 단계적으로 구분되는 각 임계값을 근거로 어느 정도 차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compares the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and th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difference is a large difference above the threshold value, a small difference below the threshold value, or how much difference the difference is based on each threshold value that is divided in stages.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lighting system based on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in the playback screen (30)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may be determined primarily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또는,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평균 조명레벨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1차로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illuminates based o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system 30 may be prim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policy.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평균적으로 적용할 기준 조명레벨(평균 조명레벨)을 해당 재생 화면 내 밝기 차이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1차로 결정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reference lighting level to be applied on average to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 (average lighting level) is prim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in the corresponding playback screen or the external environment.

그리고, 조명제어장치(100)는, 특정 컨텐츠 예컨대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한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을 결정할 수 있다(S40).And,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is a lighting system (for example, VoD content_movie) based on at least one of brightness inform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a specific content, for example, a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a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within a playback screen. 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illumination level value based on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for each illumination (eg, illumination 1, 2, ..., 6) (S40).

예를 들면,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기초하여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상기 평균 조명레벨 기준으로 조정할 오프셋을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Based on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the offset to be adjusted based on the average lighting level for each light (eg, lights 1, 2,..., 6) in the lighting system 30 is set in a preset policy. can be decided accordingly.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각 조명(예: 조명1,2,...,6)에 대하여 결정한 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평균 조명레벨 기준의 조명레벨값으로서 2차(최종)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average determined for each lighting (eg, lighting 1, 2, ..., 6) in the lighting system 30 The illumination level + offset may be secondarily (finally) determined as the illumination level value based on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즉, 조명제어장치(100)는, 컨텐츠(예: VoD 컨텐츠_영화)의 재생 화면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평균 조명레벨+오프셋)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해당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예: 공간정보_실내, 시간정보_오후, 날씨정보_화창 등)에 근거하여 최종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content (eg, VoD content_movie), the lighting level value (average lighting) for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ing 1, 2, ..., 6) level + offset),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2D coordinate area in the playback screen that is mapped to the 3D arrangement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spatial information_indoor, time information_afternoon, weather information_sunshine, etc.) A final decision can be made based on

이에, 조명제어장치(100)는, 전술의 S30,S40단계를 수행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조명레벨(값)을 해당 조명의 3차원 배치좌표와 매핑되는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정보의 밝기정보를 근거로 결정하면,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조명시스템(30) 내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steps S30 and S40 to illuminate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for each playback screen (Scene) of a specific content. When the leve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reproduction screen mapped with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 plurality of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ghting control data indica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the lights (eg, lights 1, 2, ..., 6) (S5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명제어장치(100)는, S50단계에서 생성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조명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S60).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data generated in step S50 to the lighting system 30 (S60).

본 발명의 조명제어장치(100)로부터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시스템(30)은,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조명(예: 조명1,2,...,6) 각각을 제어할 것이다.The lighting system 30 that receives the lighting control data from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control each of a plurality of lights (eg, lights 1, 2, ..., 6)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 재생 화면 내 영역별 밝기정보 즉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area within a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content, that is, core data for realizing a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 for each playback screen in HDR technology, is utilized and arranged for a viewing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lighting system of multiple lights,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can be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is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of each content playback screen.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시스템의 조명이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시청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미디어 시청 집중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providing a media viewing intensive environment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system is controlled in detail so as to be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content.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mplemented as digital electronic circuit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or at least one of these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one or more modules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on or execution by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a control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 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ter that affects a machine 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ystem” or “device” encompasses all devices, devices and machines for controll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multiple processors or computers. The control system may include, in addition to hardware, code forming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upon request, such as, for example, code constituting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ny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ortion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EPROMs, EEPROMs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CDs. -Can include all types of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tegrated into,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a web browser or graphical user, such as a user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t may be implemented in a front-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having an interface, or in a computing system including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descriptions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particular inventions. should be understood Likewise,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claimed as such,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Also,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results.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HDR 기술에서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 특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청 환경을 위해 배치되는 다수 조명의 조명시스템을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 밝기표현과 연동되도록 세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of multiple lights arranged for the viewing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core data for realizing the brightness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in HDR technology In terms of presenting a technology to control the system in detail so that it is linked with the brightness expression of each content playback screen,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not just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as i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technology Not only is it sufficient, but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can be practically and clearly implemented.

100 : 조명제어장치
110 : 메타데이터확인부 120 : 조명제어부
130 : 전달부 140 : 외부환경정보확인부
100: lighting control device
110: metadata confirmation unit 120: lighting control unit
130: transfer unit 140: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Claims (4)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명제어부;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이며,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한 평균 조명레벨이 결정되면,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해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에 따라 상기 평균 조명레벨을 조정한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a metadata check unit for check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of specific content;
a lighting control unit generating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mplemented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and
and a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lighting control data to the lighting system so that the lighting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in the lighting system is linked with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The lighting system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as the origin,
The metadata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it is a structure indica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The lighting control unit,
When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brightness of each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for each light in the lighting system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illumination level adjusted to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각각은,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the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ping with at least one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확인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컨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해 구현되는 조명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조명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조명시스템에서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이 상기 특정 컨텐츠의 화면 밝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데이터전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점으로 하여, 3차원 좌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Scene) 별로 재생 화면 내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정보를 나타내는 구조이며,
상기 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중 가장 밝은 좌표영역 및 가장 어두운 좌표영역 간 밝기 차이에 기초한 평균 조명레벨이 결정되면, 상기 조명시스템 내 각 조명에 대해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에 따라 상기 평균 조명레벨을 조정한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a metadat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metadata related to screen brightness of specific content;
a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ligh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implemented f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metadata; and
A data delivery step of transmitting the lighting control data to the lighting system so that the lighting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data in the lighting system is linked with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specific conten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reproduced;
The lighting system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to hav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ith the display device as the origin,
The metadata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in the playback screen for each playback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lighting control data i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it is a structure indicating lighting level information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The data generation step is
When the average illumination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brightest coordinate region and the darkest coordinate region among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the brightness of each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regions for each light in the lighting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lighting level adjusted to the average lighting lev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 화면 별로, 상기 2차원 좌표영역 별 밝기정보 및 외부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3차원 배치좌표 별 조명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generation step is
Method of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reproduction screen of the specific content, determining the lighting level for each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coordin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based 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area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
KR1020210069299A 2019-07-17 2021-05-28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KR102348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en) 2019-07-17 2021-05-28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en) 2019-07-17 2019-07-17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en) 2019-07-17 2021-05-28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56A Division KR20210009609A (en) 2019-07-17 2019-07-17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995A KR20210067995A (en) 2021-06-08
KR102348089B1 true KR102348089B1 (en) 2022-01-05

Family

ID=742383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en) 2019-07-17 2019-07-17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KR1020210069299A KR102348089B1 (en) 2019-07-17 2021-05-28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56A KR20210009609A (en) 2019-07-17 2019-07-17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960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497A (en) * 2021-10-20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75893A (en) * 2021-11-23 202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54805A (en) * 2022-10-19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Lighting appar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754A (en) * 2007-11-26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ighting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757A (en)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 home theater system having function to control lighting corresponding to brightness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100489B1 (en) * 2005-02-21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brightness of surrounding illumination system
KR101388133B1 (en) * 2007-02-16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3D model from 2D photograph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754A (en) * 2007-11-26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ighting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09A (en) 2021-01-27
KR20210067995A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89B1 (en) 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id thereof
US11917240B2 (en) Dynamic content serving using 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ACR) and digital media watermarks
US10956766B2 (en) Bit depth remapping based on viewing parameters
US10165316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media content distribution
CN106060578B (en) Generate the method and system of video data
CN101917568B (en) Streaming media technology-based network video player and playing system
US201400750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media content
US10574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live action alpha-numeric text to re-rendered and embedded pixel information for video overlay
CN101909160A (en) Broadcast control switching method and device in network video live broadcast
US11323768B2 (en) Reducing latency during service change and improving robustness i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system
US109248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storage
US20230269446A1 (en) Dynamic content serving using a media device
CN10549140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 of television interactive system
US20130024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experience adaptation of media content
US20220210246A1 (en) Managing data delivery
US201700063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rimary content and secondary content
US11962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 set-top box to retrieve missed content
US20210185381A1 (en) Reducing latency during service change and improving robustness i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system
US20180324480A1 (en) Client and Method for Playing a Sequence of Video Streams, and Correspon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90364307A1 (en) Recall and Triggering System for Control of On-Air Content at Remote Locations
US11153640B2 (en) Memory management of replacement content in digital TV system
KR20140117196A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2117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playback device for content display
KR101534189B1 (en) Smart display
CN112995752A (en) Full-view interactive live broadcast method, system,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