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134B1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134B1
KR102347134B1 KR1020210036495A KR20210036495A KR102347134B1 KR 102347134 B1 KR102347134 B1 KR 102347134B1 KR 1020210036495 A KR1020210036495 A KR 1020210036495A KR 20210036495 A KR20210036495 A KR 20210036495A KR 102347134 B1 KR102347134 B1 KR 10234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amera
image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6887A (en
Inventor
홍삼열
권성두
김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450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2657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134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06K9/206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마커가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외부에서 상기 드로워를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 정도, 인출 여부, 이동 방향,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워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even if a user does not open a do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room;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marker;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drawer from the outside of the drawer; And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the photos continuously taken through the camera, the drawer'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rawer's withdrawal degree, whether the drawer is drawn out, the moving direction, the stationary state or the moving state is determin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even if a user does not open a do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upplying cold air generated by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and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t could simply perform a function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ood storage function is increasing.

냉장고는 일정 수납물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장치로서,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도어를 열어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려고 할 때에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양과 종류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동일한 식품을 중복해서 사거나, 필요한 식품을 사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The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toring and storing certain items, and in order to check the inside, there is no choice but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In addition, when a user tries to buy a product at a market or a mart, if he or she does not know the amount and type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buying the same food repeatedly or not being able to buy necessary food.

종래 기술인 일본특허공보 특허제3450907호와, 특허공개공보 특개2004-183987에 따르면 카메라가 도어에 설치되어 냉장고의 고내를 촬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2001-294308호에 따르면 카메라가 고내, 드로워 내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450907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83987, which are prior art, disclose a technology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 door to photograph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94308 discloses a technology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 cabinet, a drawer, and a door, respectively.

그러나 검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냉장고 고내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저장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viewed prior art, since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cameras must be used to photograph various storage areas.

따라서 고내에 설치한 카메라의 수를 줄이는 반면에, 카메라에 촬영된 영역의 범위를 증가시켜 카메라의 촬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cameras installed in the house, while increasing the range of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improve the shooting efficiency of the camera.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드로워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데에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카메라에 발생되는 결로에 대한 고민, 카메라에 의한 소비 전력 개선을 위한 고민 등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in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drawer. For example, a specific method for obtaining a picture taken at a desired point in time, concerns about condensation generated by the camera, and concerns for improving power consumption by the camera have not been made in detail.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내에 드로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저장 영역이 있는 경우, 각 영역의 특수성과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including drawers in the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cificity for providing optimal information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and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area is lacking.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asical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의 저장실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compartment display device for a refrigerator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refrigerator do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ill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저장실 내의 복수 개의 저장 영역 각각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rough which a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in a storage room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저장 영역 사이의 위치 관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각적인 관점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보관된 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and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stored food information substantially consistent with the user's visual point of view, and a refrigerator and the same We want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카메라의 구동 시점과 카메라의 촬영 시점을 도어의 개방 및/또는 도어의 회전 각도와 연동시켜, 카메라로 인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최적의 시점에서 카메라를 통한 식품 저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time of th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camera are linked with the door opening and/or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he camera and providing food through the camera at an optimal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cquiring storage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결로에 의해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dew condens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의 영역을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직접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의 식품 저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ministrator or a user can directly correct an area of a picture displayed to a user, thereby providing food storage information in an optimal stat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고정된 본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최적의 식품 저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optimal food storage information to a user by installing a camera on a fixed body and preventing the camera from shakin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상태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파악하여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드로워 내의 식품 저장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effectively identify and provide food storage information in the drawer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by grasp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rawer through softwa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카메라를 통한 연속 촬영으로 드로워를 포함하는 저장실 내부의 복수 개의 저장 영역 각각에 대한 최신의 식품 저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the latest food storag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inside a storage room including a drawer through continuous shooting through one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want 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내부 공간과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다른 저장 영역 또는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과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다른 드로워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식품 저장 정보를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stored in another storage area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overlaps up and down or another drawer inner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overlaps up and dow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stored information using a single camera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결로에 의해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dew condens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고내에 설치하는 카메라를 한 대로 제한해서 냉장고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of the refrigerator by limiting the number of camera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o 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카메라로 인한 소비 전력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e to a camera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제어부와 메모리부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연속 촬영되는 사진들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load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emory unit, an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processing continuously taken picture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마커가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외부에서 상기 드로워를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 정도, 인출 여부, 이동 방향,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워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room;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marker;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drawer from the outside of the drawer; And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the photos continuously taken through the camera, the drawer'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rawer's withdrawal degree, whether the drawer is drawn out, the moving direction, the stationary state or the moving state is determin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단일 사진 중에서 상기 마커가 위치될 수 있는 기설정 범위 내의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만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nly on a region within a preset range in which the marker may be located in a single photo.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커가 이동 가능한 경로에 대한 기준 좌표에서 상기 촬영된 사진 내에서의 마커의 좌표값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in the photographed picture from reference coordinates for a path on which the marker is movable.

상기 기준 좌표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일차원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워가 닫혀있는 상태 그리고 드로워가 유효하게 열리기 직전의 상태에서의 좌표값을 0이라 하면, 좌표값이 증가됨에 따라 드로워가 더욱 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reference coordinates may be one-dimensional coordinates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For example, if a coordinate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closed and in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drawer is effectively opened is 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more open as the coordinate value increases.

상기 제어부는, 연속 촬영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해서, 마커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드로워의 이동 여부와 이동 방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값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드로워가 열리는 중이라 판단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닫히는 중이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좌표값이 불변하는 경우에는 드로워가 정지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mpare two pictures taken continuously,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ove the drawer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rker. For example, when the coordinate value is increas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being opened, and in the opposite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being closed. And, when the coordinate value does not ch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in a stationary state.

상기 드로워가 인입 상태에서 소정 거리 인출된 상태에 이르는 구간(제1구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한 장의 사진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 거리 인출된 상태에서 최대 인출되는 상태에 이르는 구간(제2구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해서 마커의 위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In a section (first section) in which the drawer reache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one picture, and reache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ction (second sec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rker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photos.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ection is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ection.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시간 간격은, 상기 제어부에서 연속된 두 장의 사진에서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한 마커의 위치를 비교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동일하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interval for capturing the camera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to compare the positions of the markers located in the second section in the two consecutive photos.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시간 간격은 상기 제어부에서 마커의 위치를 판단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동일하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interval for capturing the camera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arker.

마커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벽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ark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의 좌우 중심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와 우측에 배치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는 각각의 드로워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rawer includes a drawer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 drawer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storage compartment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marker may be installed in each drawer.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실의 좌우 중심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의 상부 천장에 고정되며, 상기 마커는 상기 두 개의 드로워 각각에서 상기 저장실의 좌우 중심 위치에 가깝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amera may be fixed to the upper ceiling of the drawer at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sitions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marker may be provided close to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sitions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each of the two drawers.

마커는 마커의 경계에 위치한 드로워의 색과 다른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The marker may include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drawer positioned at the border of the marker. In this way, the marker can be recognized more effectively.

마커는 드로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정의되는 세로 변과 드로워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정의되는 가로 변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변은 상기 세로 변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rker includes a vertical side defined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and a horizontal side defined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and the horizontal side is longer than the vertical side.

상기 마커는 제1색상부 그리고 상기 제1색상부와 상이한 색을 가지는 제2색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색상부와 상기 제1색상부는 번갈아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rker includes a first color part and a second color part having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color part, and the first color part and the first color part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마커는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색상이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rkers are repeatedly arranged and include at least one shape having different colors.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 상기 저장실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마커가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의 외부에서 상기 드로워를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 정도, 인출 여부, 이동 방향,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드로워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room;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marker; a camera which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storage chamber and is provid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drawer from the outside of the drawer; And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the photos continuously taken through the camera, the drawer'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rawer's withdrawal degree, whether the drawer is drawn out, the moving direction, the stationary state or the moving state is determin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의 마커 위치를 기준으로, 연속 촬영된 사진 내에서의 상기 마커 위치가 가변됨을 감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rawer by detecting that the marker position in the continuously taken pictures is changed based on the marker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lly retracted.

상기 드로워가 인입 상태에서 소정 거리 인출된 상태에 이르는 구간(제1구간)과 상기 소정 거리 인출된 상태에서 최대 인출되는 상태에 이르는 구간(제2구간)에서, 상기 제어부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에서의 상기 마커 추적 및 영상 처리 방법과 촬영된 영상의 저장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control unit in the section (first section) from the drawn-in state to the drawn-out st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tion (second section) from the drawn-out state to the maximum withdrawal state (second section), The marker tracking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n the controller and whether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may be different.

상기 제2구간에서 촬영된 사진 중에서, 상기 드로워가 닫히기 직전에 촬영된 사진이 캡쳐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이 때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사진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Among the photos taken in the second section, a photo taken just before the drawer is closed may be captured and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the picture for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updated using the picture taken at this time.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에 비해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ection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first section.

상기 제2구간에서는 연속 촬영된 두 개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마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e second section, the position of the marker may be detected by sequentially comparing two pictures taken continuously.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에, 고정된 단열벽에 의해서 형성되고, 개구부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 내의 식품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 스위치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대기모드와 촬영을 시작하기 위한 구동모드 사이의 전환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도어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촬영된 사진들 중 업데이트를 위한 유효 사진을 선택하는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formed by a fixed heat insulating wal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camera fix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order to update food information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switch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door sensor for detecting an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switch, a switching time between the standby mode of the camera and the driving mode for starting shooting is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sensor, a valid photo for updating among the captured photos A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reference time point for selecting .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에, 고정된 단열벽에 의해서 형성되고, 개구부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1영역)과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2영역)을 함께 촬영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함께 촬영된 사진의 촬영 시점을 통하여, 상기 사진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한 부분(제1영역 사진)과 제2영역에 대한 부분(제2영역 사진)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구분 및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formed by a fixed heat insulating wal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eil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photograph an area (first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space outside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area (second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camera provided to be fixed to the; And through the shooting time of the photo in whic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taken together, the part for the first area (photo of the first area) and the part for the second area (photo of the second area) in the photo Separately,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separately classifying and storing.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에, 고정된 단열벽에 의해서 형성되고, 개구부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1영역)과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2영역)을 함께 촬영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함께 촬영된 사진의 촬영 시점을 통하여, 상기 사진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한 부분(제1영역 사진)과 제2영역에 대한 부분(제2영역 사진)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구분 및 저장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1영역 사진과 제2영역 사진을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formed by a fixed heat insulating wal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eil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photograph an area (first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space outside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area (second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camera provided to be fixed to the; A part for the first area (a photo of the first area) and a part for the second area (a photo of the second area) are separated from the photo through the shooting time of the photo in whic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taken together. a control unit that separates and stores them individual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photo of the first area and the photo of the second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에, 고정된 단열벽에 의해서 형성되고, 개구부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1영역)과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2영역)을 함께 촬영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 후 닫히는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한 부분(제1영역 사진)을 분리하고, 상기 드로워가 인출 후 인입되는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제2영역에 대한 부분(제2영역 사진)을 분리하여, 상기 제1영역 사진과 제2영역 사진을 서로 개별적으로 분리, 구분,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formed by a fixed heat insulating wal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eil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photograph an area (first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space outside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area (second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camera provided to be fixed to the; And the second area in the picture take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the drawer is drawn in after the drawer is pulled out and separated by separating the part (first area picture) of the first area from the picture taken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separates, separates, stores, and updates the photo of the first area and the photo of the second area by separating a part (a photo of the second area) for .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에, 고정된 단열벽에 의해서 형성되고, 개구부가 마련된 저장실;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그리고 상기 드로워의 외측 상부 공간에 상기 선반에 의해서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1영역) 그리고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제2영역)을 상기 저장실 내에서 함께 촬영하도록, 상기 선반의 전단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상기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formed by a fixed heat insulating wall,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t least one shelf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ositioned above the drawer; And an area (first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by the shelf in the outer upper space of the drawer and an area (second area)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are photographed togeth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refrigerator including a camera may be provided so as to b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helf and the opening.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각각의 특징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s long as they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contradictory.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서, 저장실에 수용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냉기 손실을 막아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open the doo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d air contain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leak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by preventing unnecessary cold air los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품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 reliability of the foo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서 다양한 위치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만이 부가될 뿐이어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various locations can be provided by one camera, only a structure for installing one camera is added, so that design can be made easily. In particular, the cost incurred due to the use of the camera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에 설치된 카메라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어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이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w is prevented from forming on the camera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so that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can be stably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 따르면, 개인이 원격으로 현재 냉장고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외부 사업자로부터 개인에게 필요한 식품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vidual can remotely grasp the current internal situ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can receive food-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dividual from an external business operato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워의 내부에 대해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할 때에 실제로 보는 모습과 유사한 형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 in a form similar to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inside of the drawer is actually seen when the user uses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배치상 중첩되기 때문에 한 번에 볼 수 없는 위치를 하나의 화면에 평면적인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 location that cannot be viewed at once as a flat image on one screen because they overlap in spatial arran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카메라의 화각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카메라에 찍힌 화면.
도 8은 카메라의 위치 선정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어 센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좌측 힌지부와 우측 힌지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도 13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카메라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단면도.
도 17은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18은 카메라가 냉장고에 상하 방향으로 틀어져서 장착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을 설명한 도면.
도 19는 카메라가 냉장고에 수평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카메라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1하우징의 정면도.
도 22는 제2하우징의 정면도.
도 23은 제1하우징에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도 23의 측단면도.
도 25는 카메라 하우징가 인너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의 소모 전력을 비교한 표.
도 27은 공급되는 대기 전류와 구동 전류를 비교한 도면.
도 28과 도 29는 카메라의 사진 촬영 시작 시점 및 카메라의 연속 촬영에 대해 설명한 도면.
도 30은 드로워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도 30의 드로워 감지부에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32는 드로워에 마커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3(a)는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33(b)는 좌측 드로워는 인입되고, 우측 드로워는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인식 및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인출입 시점 감지를 위한 마커를 설명하기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닫힘 동작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닫힘 동작의 완료 감지시 수행되는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시점에 촬영된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1은 마커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마커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43은 드로워가 개방된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44는 마커의 이동을 설명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46은 도 45의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
도 47은 도 46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
도 48은 도 45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
도 49는 도 45를 다르게 변형한 변형례.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51은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두 개의 도어와, 두 개의 드로워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ladder diagram).
도 5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
도 5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
도 56은 카메라의 히터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57은 카메라의 투명창에 온도별로 발생되는 결로에 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 도면.
도 58은 투명창의 단면도.
도 59와 도 60은 카메라가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62는 도 61에 따른 냉장고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도 63은 도 61에 따른 냉장고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third area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storage room;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of view of a camera;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7 is a screen taken by the camera in the state of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ing of the camera.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efrigerator.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door sensor.
11 is a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a left hinge part and a right hinge part;
12 is a screen provided to a user;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picture taken by a camera.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amera;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Fig.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cture taken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refrigerator.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cture taken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turned horizontally in the refrigerator;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housing is assembled;
21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housing;
22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housing;
2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Fig. 2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3;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housing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26 is a table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amera in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diagram comparing the supplied standby current and the driving current;
28 and 2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rt point of the camera taking pictures and continuous shooting of the camera.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rawer sensing unit.
FIG.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a drawer in the drawer sensing unit of FIG. 30;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rker is displayed on the drawer.
Figure 33 (a)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 of the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rawers are withdrawn.
33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drawer is drawn in, and the right drawer is drawn out.
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rker recognition and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rker for detecting the withdrawal/input timing of the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a drawer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performed when the completion of a drawer closing opera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of a specific area inside a refrigerator captu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markers;
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rker position recognition method;
43 is a view showing the degree to which the drawer is opened.
Fig. 4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marker;
45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6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Fig. 45;
Fig. 47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46;
Fig. 48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45;
Figure 49 is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45 differently.
50 is 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updating an image in a state in which two doors and two drawers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torage room;
52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3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4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5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of the camera;
5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erimental results regarding the dew condensation generated by temperature on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camera.
5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parent window;
59 and 60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n inner case.
61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efrigera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62 is a screen provided to a user from the refrigerator of FIG. 61;
6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picture taken by a camera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FIG. 61;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with the door opened in FIG. 1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which are storage compartments in which food is stored, are partitioned up/down,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artitioned into left/right sides. The same can be applied to side-by-side-type refrigerators.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bottom freezer type (Bottom Freezer-Type)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artitioned up/down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dispos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냉장고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실(2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가 외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n outer case 10 that forms an overall appearance when viewed by a user from the outside, and an inner case 12 that forms a storage compartment 22 in which food is stored.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2 to form a passage for circulating cool air. Meanwhil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2 so that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can mainta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사이클장치가 설치된다.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될 수 있다. 냉매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machine room (not shown)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2, a refrigerant cycle device for generating cool air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s installed. The freshness of foods stored in the refrigerator can be maintained by keep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t a low temperature using the refrigerant cycle device. The refrigerant cycle device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an evaporator (not shown) for converting a liquid refrigerant into a gaseous state to exchange heat with the outside.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 30)가 구비된다. 이때 도어는 각각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doors 20 and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t this time, each door ma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 and each doo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by a hinge at one end there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may be installed in a form that is opened around both corners of the refrigerator toward the front.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발포제가 충진되어서, 외부와 상기 저장실(22)의 사이에는 단열될 수 있다. A foaming agent may be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2 to insulate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storage chamber 22 .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단열된 공간을 이룬다.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단열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다시 말하면, 상기 저장실(22)은 도어(20)에 의한 단열벽 그리고 케이스(10, 12)에 의한 단열벽을 통해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The storage chamber 22 forms a space insu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inner case 12 and the door 20 . When the door 20 seals the storage chamber 22 , the storage chamber 22 may form a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insulated. In other words, the storage chamber 22 is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sulation wall and the insulation wall by the case (10, 12).

상기 저장실(22) 내에는 기계실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곳곳으로 유동가능해서, 상기 저장실(22) 내에 보관되는 식품이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machine room can flow everywhere in the storage chamber 22 ,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2 can maintain a low temperature state.

상기 인너 케이스(12)는 상기 저장실(22)의 바닥에 베리어(6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의 하단에는 베리어(Barrier)(60)가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2 may constitute a barrier 60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 A barrier 6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to distinguish the freezing compartment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barrier 6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in the inner case 12 . The barrier 60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저장실(22)에는 상측에 식품이 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선반(40)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22 may include a shelf 40 on which food is mount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helves 40 may be provided, and food may be placed on each shelf 40 . The shelf 40 may partition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저장실(22)에는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5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50)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저장실(22) 내에 좌우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좌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좌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우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우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A drawer 50 capable of being drawn in or drawn out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22 . Food and the like are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drawer 50 . Two drawers 4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storage chamber 22 . The user may open the left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in order to access the drawer disposed on the left side.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user to access the drawer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right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may be opened.

상기 베리어(6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지 않고,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마련되기 때문에, 도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식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A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60 . Since the barrier 60 is not provided on the door, but on the inner case 12, it is not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and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ccordingly, the user can store or withdraw food stably.

상기 저장실(22) 내에는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상기 베리어(60)에 형성되는 공간 등으로 구분되어서,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22 is divided into a space positioned above the shelf 40 , a space formed by the drawer 50 , a space formed in the barrier 60 , etc., and a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I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se.

이때 각각의 공간은 하나의 저장실(storage compartment)(2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가 각각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공간은 서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구획되기 때문에, 앞에서 서술한 저장실과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In this case, each space is a storage space disposed inside one storage compartment 22 , and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22 may be moved to each space. In other words, since each space is partitioned to the extent that cold air can be moved to each other, i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storage room described above.

특히 각각의 공간은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는 저장실과는 달리, 하나의 저장실 내에서 온도 차이는 존재할 수 있지만 서로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지는 않는다.In particular, each space does not form a space insulated from each other, although a temperature difference may exist in one storage room, unlike the storage room forming a space insulated.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다른 저장실로 자유롭게 이동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하나의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구획되는 공간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기는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가능하다.The cold air supplied to one storage chamber does not freely move to another storage chamber, but the cold air supplied to one storage chamber may freely move to each partitioned space installed inside one storage chamber. That is, the cold air positioned above the shelf 40 is movable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drawer 50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되어서, 동일한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ngle camera 70 for taking a pic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22). At this time, the camera 70 is provided to maintain a fix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same part.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벽에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의 모습은 사용자가 내려다본 형태, 즉 실제 냉장고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바라보는 형태의 모습을 가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mera 70 is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inner case 12 to face down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 The shape of the photographed picture may have a shape viewed by the user, that is, a shape viewed by the user when the refrigerator is actually used.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드로워 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가 드로워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것과 유사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mera 70 is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in the fully open state, and the photographed picture can provide a screen similar to that seen by the user when the inside of the drawer is viewed from above.

이때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선반(40)에 식품이 거치되는 제1영역(42), 상기 드로워(50)의 내측 공간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2영역(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과 제2영역과는 다른 저장 공간인,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52)에 중첩되는 제3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case, the storage compartment 22 may include a first area 42 in which food is placed on the shelf 40 and a second area 52 defined by an inner space of the drawer 50 . In addition, a storage space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include a third area 62 overlapping the second area 52 when the drawer 50 is withdrawn. This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은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전체적으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의 순서로 낮아질 수 있다. The first region 42 and the second region 52 may have different heights as a whole in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first region 42 and the second region 52 may be lowered in the order.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냉장고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냉장고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14)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서 냉장고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or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4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Also, the user may control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display 14 .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위치하는 냉기는 다른 영역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The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22 may move to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 and the cold air located in each area may move to other areas.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view showing a third area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storage room.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상기 베리어(60)에는 함몰된 부분을 마련해서, 해당 부분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을 상기 제3영역(62)이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62)는 상기 베리어(60)에 형성되는 공간이다.A recessed portion is provided in the barrier 60 to store foo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is area may be referred to as the third area 62 . The third region 62 is a space formed in the barrier 60 .

이때 상기 제3영역은 제1영역, 제2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저장 공간으로 사용자에게 식품 저장을 위한 또 다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area is a storage space disposed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may provide a user with another space for storing food.

상기 제3영역(62)에는 달걀과 같은 사용빈도가 높은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영역(62)을 개폐하는 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68)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카메라(70)가 상측에서 촬영을 할 때에 상기 커버(68)가 가리더라도, 상기 제3영역(62)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ossible to store foods with high frequency of use, such as eggs, in the third area 62 , and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cover 6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area 62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68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when the camera 70 is photographing from the upper side, even if the cover 68 is covered, the food stored in the third area 62 can be photographed. .

한편 상기 베리어(60)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awer 50 is disposed above the barrier 60 . Accordingly, the user can access the third area 62 while the drawer 50 is drawn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의 상측에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3영역(62)에 접근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er 50 is withdrawn from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the drawer 50 is disposed above the third area 62 , and the user approaches the third area 62 . Can not.

즉 상기 드로워(50)가 사용자를 향해서 인출된 상태에는 상기 드로워(50)와 상기 제3영역(62)이 서로 중첩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50)를 내려다 보게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제3영역(62)은 보여지지 않고, 상기 드로워(50)의 내부가 보여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drawer 50 is drawn out toward the user, the drawer 50 and the third area 62 overlap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looks down on the drawer 50 , the third area 62 is not shown to the user, but the inside of the drawer 50 may be seen.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사용자를 향해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드로워(50)와 상기 제3영역(62)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3영역(62)을 내려다 보게 되면, 상기 드로워(50)의 내부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고, 상기 제3영역(62)만이 도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not drawn out toward the user, the drawer 50 and the third area 62 ar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the user looks down on the third area 62 , the inside of the drawer 50 is not shown to the user, and only the third area 62 may be shown.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은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전체적으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의 순서로 낮아질 수 있다. The first region 42 , the second region 52 , and the third region 62 may have different heights as a whole in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first region 42 , the second region 52 , and the third region 62 may be lowered in this order.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위치하는 냉기는 다른 영역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The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22 may be moved to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and the cold air located in each area goes to another area. can also be moved.

즉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되는 영역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복수 개의 저장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하나의 저장실(22) 내부에 관한 사진을 촬영하지만, 하나의 사진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구획된 저장 공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70 may be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side the storage chamber 22 .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of the inside of one storage chamber 22, but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artitioned storage spaces may be included in the inside of one picture.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이 한 장의 사진에 담기도록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한 장의 사진에는 촬영되는 시간에 따라 다른 저장공간이 촬영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amera 70 may take a picture so that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re included in one pictur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take a different storage space depending on the time taken for one photo.

예를 들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된 카메라는, 사진이 촬영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드로워의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촬영하거나, 제2영역과 제3영역을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For example, a camera disposed in a fixed form may photograp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r selectively select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point at which a picture is taken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or the drawer. It is possible to shoot with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4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A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하나의 사진을 복수 개의 이미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가공 또는 보정된 사진의 일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 that manages a singl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images. In this case, the image may mean a part of the photo processed or corrected by the controller 100 .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을 전송받을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may command the camera 70 to take a picture, and may receive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나누어진 이미지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냉장고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장치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핸드폰과 같은 외부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2)에 관한 이미지를 전송받고,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provide a portion of the divided image to the display 14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 In this case, the display 14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or it may be a separate devic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receive the image related to the storage room 22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obtain information.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찍힌 사진을 각각의 영역별로 구획하고, 복수 개의 독립된 이미지로 구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선택되는 사진은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상기 저장실(22)에 접근해서, 저장실에서 식품을 인출하거나 식품을 입고한 최근 저장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may divide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for each area, classify it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images,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14 . In this case, the photo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recent storage room state in which the user finally accesses the storage room 22 and takes out food from the storage room or puts food into i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폐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스위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스위치(1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마련되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상기 도어(20)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상기 도어(20)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switch 110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20 opens or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22 . At this time, the door switch 110 is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 , and when the door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ase 10 , it is sensed that the door 20 seals the storage chamber 22 . can do. Also, when the door 20 does not contact the outer case 10 , it may be detected that the door 20 opens the storage compartment 22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도어(2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센서(120)는 상기 도어(20)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도어(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도어 센서(120)에 변화가 발생해서,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의 변화를 감지해서 상기 도어(2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어 센서(120)는 상술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sensor 120 that detects a rotation angle of the door 20 . In this case, the door sensor 120 may detect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20 and a rotation angle of the door 20 . For example, when the door 20 is rotated by more than a certain angle, a change occurs in the door sensor 120 , and the door sensor 120 detects that the door 20 is rotated by more than a certain angle have. In addition, when the door 20 is rotated in a specific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ns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20 by detecting a change in a pul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ourse, the door sensor 12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이 외에도 상기 도어 센서(1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해서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부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상기 도어(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is, the door sensor 12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us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20 .

특히 상기 도어 센서(120)는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구동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oor sensor 120 may be driven only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rmines that the door 20 has opened the storage compartment 22 .

한편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특정 각도로 회전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카메라(70)가 사진 촬영을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특정 각도에 도달한 경우에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door sensor 120 determines that the door 20 is rotated at a specific angle,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70 . In this case, even if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door 20 is opened, the camera 70 does not immediately start taking a picture, but takes a picture when the door sensor 120 reaches a specific angle. will be filmed

상기 카메라(70)는 촬영을 시작하게 되면, 소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만큼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한 장의 사진이 아닌, 사진 촬영 중지 명령이 제공될 때까지 계속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camera 70 starts shooting, it is also possible to continuously take pictur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f course, if the door sensor 120 determines that the door 20 is opened by a certain angle, the camera 70 can continue to take pictures until a command to stop taking pictures is provided, instead of a single picture. do.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드로워(50)의 인출 또는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드로워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이 상기 제어부(100) 내에서 영상을 판독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은 물론,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방향까지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drawer detection unit 130 that detects whether the drawer 50 is drawn out or retracted. In this case,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refer to a portion in which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reads an image in the control unit 100 . The drawer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as well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50 .

특히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촬영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awer 50 by using information captured from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상기 드로워(50)에는 마커라는 인식표시를 구비해서, 상기 마커가 촬영된 사진을 통하여 상기 드로워(50)가 특정 구간으로 진입했는지, 진입했다면 정지했는지, 정지 후에는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상기 마커에 대해서는 추후에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한다.The drawer 50 is provided with a recognition mark called a marker, and whether the drawer 50 has entered a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photograph in which the marker is taken, whether it has entered, whether it is stopped, or whether the movement direction is changed after stopping information can be found about The mark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마커는 상기 드로워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50)와 동일한 움직임을 가진다. 따라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의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ince the marker is marked on the drawer, it has the same movement as the drawer 50 . Accordingly,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without a sepa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awer.

상기 카메라(70)에서 찍힌 사진은 저장부(18)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8)는 냉장고에 마련될 수도 있고, 냉장고와는 별도의 다른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디스플레이(14)와 함께 냉장고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14)와 함께 냉장고와는 다른 장치, 냉장고와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또는 냉장고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8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or may be provided in a device separate from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8 may be disposed in a refrigerator together with the display 14, or may be provided in a device other than the refrigerator together with the display 14, a server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and a network, 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and a network. have.

이때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찍힌 모든 사진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특정 사진을 선택하라는 명령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앞에서 찍혀서 저장된 사진을 삭제하고 현재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In, First Out).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찍힌 사진 중 일부만 저장해서,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8 may not store all the photos taken by the camera 70 . For example, when a command to select a specific picture does not occur in the control unit 100, the storage unit 18 may delete a previously taken picture and store the currently taken picture (First In). , First Out). The storage unit 18 may reduce the storage capacity by storing only some of the photos taken by the camera 70 .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4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B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dified for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B.

도 4b에서는 도 4a와는 달리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In FIG. 4B , unlike in FIG. 4A ,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separately without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예를 들어,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복수 개의 홀 센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홀 센서가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홀 센서가 각각 변화되는 것을 감지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awer sensing unit 130 may have the same shape as a plurality of Hall sensors. A plurality of Hall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drawer 50 . When the drawer 50 is moved,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respectively, to detect a position and a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50 .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해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에 상기 카메라(70)가 찍은 사진에 상기 드로워의 내부 모습이 담기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에 상기 드로워 내부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현될 수 있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when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it is possible to grasp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inside of the drawer is included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 That is,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a point in time at which information about an item stored in the drawer can be expressed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해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를 사용한 후에 최신 상태라고 판단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에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의 사용을 마친 최신 정보를 포함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물품의 입출고의 완료 시점 또는 물품 업데이트의 종료 시점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may detect a point in time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drawer is in the latest state after using the drawer. That is,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a point in time including the latest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finished using the drawer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That is,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determine the completion time of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goods or the end time of the update of the goods.

도 5는 카메라의 화각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of view of a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드로워(50)는 인출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제2영역(52)을 촬영할 수 있고, 선반은 생략한 도면이다.In FIG. 5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rawer 50 is withdrawn so that the camera 70 can photograph the second area 52 , and the shelf is omitted.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벽에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방 벽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wall of the inner case 12 to be inclined toward the rear wall of the inner case 12 .

한편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에 따른 수평 화각(angle of view)과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 화각(angle of view)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may have a horizontal angle of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orage chamber 22 and a vertical angle of vie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카메라(70)에 따른 수평 화각은 두 개의 드로워(50)가 인출된 상태에서 두 개의 드로워(50)의 내측 공간 즉 상기 제2영역(52)에 저장된 식품이 보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camera 70 is provided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wo drawers 50, that is, the second area 52, can be seen in the state where the two drawers 50 are drawn ou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카메라(70)에 따른 수평 화각의 범위는 상기 선반(40)의 좌우 양단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거치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려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선반(40)의 양단까지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range of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camera 70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helf 40 .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o photograph from the camera 70 to both ends of the shelf 40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40 .

상기 카메라(70)의 화각이 변화됨에 따라 사진에서 도시되는 상기 저장실 내부의 범위가 변화된다.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is changed, the range inside the storage chamber shown in the picture is changed.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카메라에 찍힌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and FIG. 7 shows a screen taken by the camera in the state of FIG. 6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상기 인너 케이스(12)에는 상기 저장실(22)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22)로 식품을 넣거나, 상기 저장실(22)로부터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개구부(14)를 개폐할 수 있다.An opening 14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2 so that a user can access the storage compartment 22 . Through the opening 14 , a user can put foo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22 or take out foo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22 . The door 20 ma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4 .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이동되거나 정지되는 동안 사진을 촬영해서 상기 드로워의 열림 상태, 닫힘 상태, 이동 상태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가 연속 촬영을 하면 상기 카메라(70)가 촬영한 사진에는 촬영 시점에 따라 상기 드로워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의 모습이 표현될 수 있다.The camera 70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rawer to take pictures while the drawer is moved or stopped to take pictures of the open state, the closed state, and the moving state of the drawer. That is, when the camera 70 continuously takes pictures, the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aw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ooting time can be expressed in the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70 .

또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의 내부 물품의 최근 입출고 상태를 포함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7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screen including the recent arrival and departure status of the items inside the storage room 22 .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개구부(14)와 상기 선반(40)의 전단 사이의 범위(l)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40)이 복수 개인 경우 전단들 중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과 상기 개구부(14) 사이의 영역(l, 도 8 참조)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영역에 해당되는 저장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52) 또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사진을 선택적으로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선반(40)의 전단 보다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벽으로 이동될 수 없다.The camera 70 is preferably installed within a range l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40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helves 40,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a region (l, see FIG. 8)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opening 14, which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front end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torage room corresponding to this area. Since the camera 70 has to selectively take picture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52 or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62 , it is better than the front end of the shelf 40 . It cannot be moved to the rear wall of the inner case 12 .

도 6에서는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을 도시하는데, 수직 화각의 일단(전단)은 상기 드로워(5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50)의 전단부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직 화각의 타단(후단)은 가장 최상측의 선반의 후단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 shows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one end (front end) of the vertical angle of view is preferably arranged so that the drawer 50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front end of the drawer 50 in an open state. do. In additio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vertical angle of view is preferably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photograph up to the rear end of the uppermost shelf.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의 범위에 상기 드로워(50)에 의한 상기 제2영역(52)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area 52 by the drawer 50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 the camera 70 allows the us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cond area 52 . can be obtained.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한 장의 사진으로 상기 제1영역(42) 및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좌우측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드로워(50)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선반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선반으로 구획되는 제1영역(42)과 제2영역(52)을 함께 촬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camera 70 may take pictures of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as a single picture. At this time, the camera 70 may take pictures of the two drawers 5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a plurality of shelves are provided,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divided by the plurality of shelves can be photographed together.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저장실(22) 내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는다. 즉, 일반적으로 항상 고정되는 본체의 저장실에 고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카메라 자체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에 상기 카메라(70)는 항상 정지된 상태이다.The camera 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22 to take a pictur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22 . Since the camera 70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it does not move. That is, the camera itself does not move because it is generally fixedly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which is always fixed. Therefore, when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the camera 70 is always in a stopped state.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되는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2영역(52)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3영역(62)을 포함한다.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includes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 or includes the first area 42 and the third area 62 .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2영역(52)을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사용자는 해당 사진을 통해서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저장되는 식품과 상기 드로워(50)의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including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 the user can view the food sto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40 and the deed through the corresponding picture.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lower 50 may be acquired.

반면에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3영역(62)을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사용자는 해당 사진을 통해서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저장되는 식품과 상기 베리어(60)에 저장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including the first area 42 and the third area 62 , the user uses the picture to store food sto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40 and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barrier 60 may be obtained.

상기 카메라(70)는 하나의 저장실(22)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100)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70 captures the inside of one storage chamber 22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picture, and the control unit 100 may obtai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아래쪽을 내려다보면서 사진을 촬영한다.The camera 7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and takes pictures while looking down.

도 8은 카메라의 위치 선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ing of the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는 L1, L2, L3, L4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8 , the camera may be mounted at positions L1, L2, L3, and L4.

L1은 상기 저장실(22)의 외부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의해 구획되는 외부 공간이다. 카메라가 L1의 위치에 설치되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22)에 접근하면서 냉장고를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에 의해서 카메라가 가려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1 is an external space partitioned by the outer case 10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L1, the user uses the refrigerator while accessing the storage compartment 22 with the door open, but a problem that the camera is covered by the user may occur.

상기 공개된 일본 특허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냉장고의 고외에 설치하여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의한 영상 간섭이 너무 크고, 특히 드로워가 가려져 드로워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없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고자 하는 드로워 내부 영상과 드로워의 움직임 상태를 함께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L1 위치는 도어에 카메라가 위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는 이동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촬영 시 카메라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선명한 사진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As disclosed in the published Japanese patent,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outside the refrigerator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the image interference by the user is too great, and in particular, the drawer is blocked and the movement of the drawer cannot be track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impossible to grasp the image of the drawer inside and the movement state of the drawer together. In addition, the L1 position may mean that the camera is located on the door. In this case, since the door is a movable configuration, the camera may be moved during shoot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 stable and clear picture.

L2는 상기 저장실(22)의 내부이고, 상기 저장실(22)의 상측벽, 즉 천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데, 사용자에 의해서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저장실(22)의 상측벽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해당되기 때문에 카메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배치하는 데에 편리하다. 그리고, 인너 케이스(12)는 일반적으로 항상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카메라가 고정되는 구성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L2 is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22 , and refers to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ceil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rresponds to a location where the camera is installed, but there is no problem of being obscured by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corresponds to the inner case 12, it is convenient to arrange a wir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camera. And, since the inner case 12 is generally always fixed configuration, it can be stably moun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mera is fixed.

L3는 상기 저장실(22)의 내부이고, 상기 저장실(22)의 측벽이다. 이때 카메라는 상기 저장실(22)의 일측에서 상기 저장실(22)의 타측을 향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카메라가 상기 저장실(22)의 최상단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22)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되려면,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측벽에 설치될 수 밖에 없다.L3 is an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an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 At this time, the camera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to take a picture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 In order for the camera to be disposed in the middle based on the height of the storage chamber 22 rat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storage chamber 22 , it has to b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inner case 12 .

카메라가 일측벽에 설치되면, 카메라 렌즈가 타측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의 모습이 좌우측 거리 차이로 인해서 비대칭적인 영상이 획득된다는 문제가 있다.When the camera is installed on one wall, the camera lens is inevitably installed to face the other wall,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symmetrical image is obtain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22 .

L4는 상기 저장실(22)의 내부이고, 상기 선반(40)의 일단을 의미한다. 카메라가 상기 저장실(22)의 높이를 기준으로 배치되려면, 특정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카메라는 상기 선반(4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L4 is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and means one end of the shelf 40 . In order for the camera to be disposed based o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 it must be supported by a specific structure. In this case, the camera may be fixed to one end of the shelf 40 .

이 경우에는 상기 드로워(50)와 카메라의 거리가 L2에 비해서 짧기 때문에, L2의 상태에 비해 큰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얻어지는 사진의 왜곡도가 심해진다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선반(40)에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선을 설치하는 등의 외관상 사용자에게 불편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40)은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따라서, 식품을 선반에 놓을 때 카메라 자체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drawer 50 and the camera is shorter than that of L2,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amera having a larger angle of view than that of L2 should be used.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distortion of the obtained picture becomes severe. In addition, various problems tha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may occur in appearance, such as installing the electric wire supplied to the camera on the shelf 40 . And, the shelf 40 is generally movable.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amera itself shakes when food is placed on the shelf.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카메라는 화각 120도이고, VGA급으로, 20fps의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amera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gle of view of 120 degree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performance of 20 fps in the VGA level.

도 9는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refrigerato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바스켓(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21)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바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A basket 21 for storing food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20 . The basket 21 may be installed on a surface where the door 20 faces the storage compartment 22 .

상기 카메라(70)가 촬영한 사진에 상기 바스켓(21)이 도시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센서(12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 이상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해서, 상기 카메라(70)를 통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감지된 시점에 인접한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도록, 해당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basket 21 is shown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oo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or more through the door sensor 120 , and take a picture through the camera 7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to the control unit 100 from the door sensor 120 so as to select a picture taken at a time point adjacent to the time point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20 .

예를 들어 일정 각도(θ)는 60도에서 80도인 것이 가능하다. 물론 각도는 냉장고의 용량이나 도어의 크기 또는 바스켓(21)의 전후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angle θ may be 60 to 80 degrees. Of course, the angl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the size of the door, or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asket 21 .

이때 일정 각도(θ)는 상기 카메라(70)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해당 사진에 상기 바스켓(21)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일정 각도(θ)는 상기 바스켓(21)의 좌우 폭과 전후 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θ may mean an angle at which the basket 21 may not appear in the picture when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and this predetermined angle θ is the It can vary depending on the left and right width and front and rear length.

상기 도어(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110)는 냉장고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스위치(110)는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눌려지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한다고 감지하고, 상기 도어(20)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한다고 감지할 수 있다.The door switch 110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or close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At this time, when the door switch 110 is pressed by the door 20, it is sensed that the door 20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not pressed by the door 20, the door 20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You can sense it's open.

좌측 도어(20)를 냉장고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좌측 힌지부(300)가 구비되고, 우측 도어(20)를 냉장고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우측 힌지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힌지부(300)와 상기 우측 힌지부(32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가능한 회전축이 마련되어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부분과, 두 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어 결합부(300c, 302c), 아우터 케이스 결합부(300a, 320a)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00b, 320b)로 구분될 수 있다.A left hinge part 300 for rotatably installing the left door 20 to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and a right hinge part 320 for rotatably installing the right door 20 to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The left hinge part 300 and the right hinge part 320 ar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on which the door 20 can rotate and are coupled to the door 20, and a part installed in the outer case 10; It may be divided into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wo parts. That is, it may be divided into door coupling parts 300c and 302c, outer case coupling parts 300a and 320a, and connecting parts 300b and 320b connecting them.

상기 좌측 힌지부(300)에는 상기 좌측 도어(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좌측 도어 센서(120L)이 설치될 수 있다.A left door sensor 120L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left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left hinge part 300 .

상기 우측 힌지부(320)에는 상기 우측 도어(20)의 회전을 감지하는 우측 도어 센서(120R)이 설치될 수 있다. A right door sensor 120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right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right hinge part 320 .

상기 좌측 도어 센서(120L)과 상기 우측 도어 센서(120R)은 각각의 도어의 회전 각도를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The left door sensor 120L and the right door sensor 120R may independently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each door.

도 10은 도어 센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door senso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상기 도어 센서(120)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122)와 상기 발광부(122)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sensor 12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22 for irradia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124 for receiv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2 .

상기 발광부(122)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도어(20)의 상면을 통해서 반사가 되어서 상기 수광부(124)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빛의 반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사가 잘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2 may be reflec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20 and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mposed of a material that reflects well so that light reflection can be stably made.

상기 발광부(122)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124)로 전달되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도어 센서(120)가 설치된 각도 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거나,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2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 it may be detected that the door 20 is rotated by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at which the door sensor 120 is installed. That is, it may mean that the door 20 is rotated at an angl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θ, or that the storage chamber 22 is not rotated in a sealed state.

반면에 상기 발광부(122)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124)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도어 센서(120)가 설치된 각도 보다 큰 각도 만큼 회전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보다 큰 상태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에 접근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2 is no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 it may be detected that the door 20 is rotated by an angle greater than the angle at which the door sensor 120 is installed. That is, the door 20 is rotated in a stat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θ, which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access the storage chamber 22 .

이를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힌지부(300)와 우측 힌지부(320)는 본체의 아우터 케이스(10)의 최상면과 도어(20)의 최상면 걸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회전 중심(302, 322)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어의 최상면 또는 도어의 상면 중 일부분(예를 들어 단차지는 부분)이 수광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좌측 도어 센서(120L)과 우측 도어 센서(120R)은 각각의 연결부(300b, 320b)에 설치되어 발광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20L, 120R)와 도어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센서(120L, 120R)은 도어가 열리면서 일정 각도(θ) 이상 열리는 시점과 도어가 닫히면서 일정 각도(θ)로 닫히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the left hinge part 300 and the right hinge part 320 may be mounted over the top surface of the outer case 10 of the body and the top surface of the door 20 . Accordingly, as the door 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s 302 and 322 ,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door or a portion (eg, a stepp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may function as a light receiving unit. Of course, the left door sensor 120L and the right door sensor 120R may b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onnection units 300b and 320b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Du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s 120L and 120R and the door, the sensors 120L and 120R determine when the door opens at a certain angle (θ) or more and when the door closes at a certain angle (θ) can

도 11은 좌측 힌지부와 우측 힌지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냉장고의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1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left hinge part and a right hinge part. 11 , other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상기 도어 센서는 상기 도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전면, 즉 상기 개구부보다 전방(즉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senso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inner case, that is, in front of the opening (ie, a position where the user stands) in order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door.

상기 좌측 힌지부(300)에는 상기 좌측 도어(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좌측 도어 센서(120L)가 설치될 수 있다. A left door sensor 120L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left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left hinge part 300 .

상기 우측 힌지부(320)에는 상기 우측 도어(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우측 도어 센서(120R)가 설치될 수 있다.A right door sensor 120R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ight do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right hinge part 320 .

상기 좌측 도어 센서 또는 상기 우측 도어 센서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각각의 힌지부의 각각의 회전 중심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힌지부의 연결부(300b, 320b)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eft door sensor or the right door sensor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opening and the respective rotation centers of the respective hinges. That is, it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ng portions 300b and 320b of each hinge portion.

상기 도어 센서(120)는 전기를 공급받거나, 외부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커넥터(c)와 와이어(wire)에 의해서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센서(120)는 상술한 제어부(100)에 연결되어서 획득한 신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oor sensor 120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by a connector c and a wire in order to receive electricity or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door sensor 120 may provide signal information obtained by being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00 .

상기 좌측 힌지부(300)는 상기 좌측 도어(20)가 회전되는 회전 중심(3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도어 센서(120L)는 상기 회전 중심(302)에 대해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302)으로부터 우측 공간은 좌측 도어(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좌측 도어(20) 특히 좌측 도어(20)의 상면이 상기 좌측 도어 센서(120L)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을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좌측 도어 센서(120L)는 상기 좌측 힌지부(300)의 연결부(300b)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도어의 사이즈나 바스켓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일정 각도(θ)를 탄력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부(300b)의 우측 공간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b)에서의 좌측 도어 센서(120L)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left hinge part 300 may have a rotation center 302 through which the left door 20 is rotated. In this case, the left door sensor 120L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302 . The space on the right from the rotation center 302 may or may not be located below the left door sensor 120L,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door 20,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door 20, particularly the left door 20, is located below the left door sensor 120L. It is a space that can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door sensor 120L is 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art 300b of the left hinge part 300 . Through this, when the size of the door or the size of the basket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hange the predetermined angle θ. That is, the space on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00b can be easily changed,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left door sensor 120L in the connection part 300b can be easily changed.

상기 좌측 도어 센서(120L)에 연결되는 와이어(w)는 상기 회전 중심(302)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를 통해서 냉장고 본체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ire w connected to the left door sensor 120L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rotation center 302 . Also, the wire w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body through the outer case 10 .

상기 우측 힌지부(320)는 상기 우측 도어(20)가 회전되는 회전 중심(3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도어 센서(120R)는 상기 회전 중심(322)에 대해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322)로부터 좌측 공간은 우측 도어(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우측 도어(20)가 상기 우측 도어 센서(120R)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을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마찬가지 이유로, 우측 도어 센서(120R)는 우측 힌지부(320)의 연결부(320b)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right hinge part 320 may have a rotation center 322 through which the right door 20 is rotated. In this case, the right door sensor 120R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322 . The space left from the rotation center 322 is a space in which the right door 20 may or may not be located under the right door sensor 120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right door 20 . Therefore, for the same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ight door sensor 120R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320b of the right hinge part 320 .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감지된 시점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각각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영역(42) 또는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사진의 캡쳐 시점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감지된 시점은 상기 드로워(50)의 외부 저장 공간을 촬영한 사진의 캡쳐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The time point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20 may be a capture point of a picture for each area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22 , specifically, the first area 42 or the third area 62 . . That is, the time sensed by the door sensor 120 may mean a capture time of a picture taken in the external storage space of the drawer 50 .

한편 상기 도어 센서(120)는 빛을 조사하고 수신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 센서(120)는 빛을 하방으로 조사하게 된다. 하방으로 조사된 빛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다시 상측으로 반사된다.Meanwhile, since the door sensor 120 irradiates and receives light, the door sensor 120 irradiates the light downward. The downwardly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upward again by the door 20 .

상기 도어 센서(120)와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충분한 양의 빛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짧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센서(120)와 상기 도어(20)의 수직 간격은 최대 20mm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oor sensor 120 and the door 20 may maintain a short distance to receiv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from the door sensor 120 .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door sensor 120 and the door 20 at a maximum of 20 mm.

도 12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일례들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12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a us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a에서는 제1영역(42), 제2영역(52) 및 제3영역(62)이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이고, 도 12b는 제2영역(52)과 제3영역(62)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이며, 도 12c는 제1영역(42)과 제2영역(52)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이다.In FIG. 12A ,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are all provided to the user, and in FIG. 12B , the second area 52 and the third area 62 ar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provided to the user, FIG. 12C shows the form in which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are provided to the user.

우선 도 12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Firs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A.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영역(52)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영역(62)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한 장의 사진 또는 복수 개의 사진은 영역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미지, 상기 제2이미지, 상기 제3이미지는 각각 촬영된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해당 영역을 도시하는 범위로 잘려진(cut)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On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shows a first image showing the first region 42 , a second image showing the second region 52 , and the third region 62 . It can be divided into a third image that That is, one picture or a plurality of pictures may be divided by area. In this case,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may mean a shape cut in a range showing a corresponding area from a single photographed photo.

이렇게 구분된 사진은 도 12a에서와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해당 영역에 대한 사진이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서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The divided photo may be independently provided to the user as shown in FIG. 12A . That is, a picture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provided to the user individual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복수 개의 저장 영역이 프레임 내에 도시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The display 14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can be displayed in a frame.

즉 하나의 사각 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제2영역(52)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사각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제3영역(62)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That is, the second image showing the second region 52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ide of one rectangular frame, and the third image showing the third region 62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on the left and to the right, respectively.

복수 개의 영역들이 상기 디스플레이(14)에 하나의 프레임에 동일한 폭을 가지는 이미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사진을 자르고, 크기를 보정해서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정된 이미지는 프레임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시되게 된다. A plurality of regions may be arranged as an image having the same width in one frame on the display 14 . To this end, the controller may crop the photographed picture, correct the size,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14 . At this time, the corrected image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rame.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보정되어서, 사용자가 실제 냉장고 도어를 연 상태에서 저장실을 바라본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갖게 하는 것으로 평면적 배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images provided on the display are corrected to have the same width, so that the user has a feeling similar to looking at the storage room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actually opened, thereby having a planar arrangement effect.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두 개의 중첩된 영역을 하나의 화면을 통해서 제공해서, 실제 사용자가 한 번에 볼 수 없는 상태의 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14 may provide two overlapping regions through one screen to provide food information in a state that an actual user cannot see at once.

특히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는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두 개의 저장공간의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두 개의 저장 공간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spaces arranged to overlap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withdrawn, the user cannot simultaneously acquire information of the two storage spaces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withdrawn. However, the display 14 may simultaneously provide two pieces of storage spac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00)는 각각의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업데이트(교체)해서 사용자에게 각각의 영역에 수용된 식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may update (replace) each image individually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accommodated in each area.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제2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업그레이드되고, 제3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2이미지만 교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is upgraded through the photo taken by the camera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rd image does not need to be upgraded, only the second image may be replaced.

이와는 반대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제3이미지에 해당되는 부분은 업그레이드되고, 제2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3이미지만 교체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rd image is upgraded through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oes not need to be upgraded, only the third image may be replaced.

하나의 프레임에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가 서로 독립적으로, 다른 이미지에 무관하게 업그레이드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in one fram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regardless of other images.

그리고 좌우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이미지 중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제2이미지만 업그레이드되거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이미지만 업그레이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3이미지도 좌측과 우측에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도 가능하다.And it is also possible that only the second imag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two second image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s upgraded, or only the second image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upgraded. In this case, the third image may also be individually upgra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즉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복수 개의 이미지가 제공되는 프레임을 제공해서, 사용자에게 저장실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되, 복수 개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와 무관하게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는 서로 다른 사진에서 선택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해당 사진이 어떤 영역을 표현하는지를 판단해서, 각각의 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display 14 provide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item stored in the storage room to the user, but the plurality of images can be individually upgraded regardless of other images.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images selected from different photo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ich region the corresponding photo represents, and it is possible to upgrade each image.

이때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진에서 획득된 제2이미지와 제3이미지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제어부의 보정에 의해서 폭이 동일한 크기로 변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may have the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width. That is,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obtained from the photo may be converted to the same width by the correction of the controller and provided to the display.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사진에서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의 픽셀수, 즉 픽셀에 따른 크기를 다르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를 동일한 픽셀수로 선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4)에 표현될 때에는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izes of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pixels of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in the corresponding photo, that is,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pixels, may be selecte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with the same number of pixels and correct them in the control unit to have different sizes when displayed on the display 14 .

상기 제2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를 상하로 배치해서 상하 배열의 평면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래 상기 제2이미지에 의해서 도시되는 영역은 상기 제3이미지에 의해서 도시되는 영역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의해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서, 이미지가 제공하는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By arranging the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have a flat feel of the vertical arrangement. The area originally shown by the second image is disposed above the area shown by the third 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and thus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mage.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가 동시에 대체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3이미지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제2이미지만 대체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display 14 may provide the user with a screen in which the first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simultaneously replaced. On the contrary, a screen in which only the second image is replace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while the first image and the third image remain the same.

도 12a에 도시된 냉장실 선반은 상기 제1영역(42)을 의미하고, 야채실은 상기 제2영역(52)을 의미하며, 멀티수납코너는 상기 제3영역(62)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호도나 이미지 제공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배치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shelf shown in FIG. 12A may mean the first area 42 , the vegetable compartment may mean the second area 52 , and the multi-storing corner may mean the third area 62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have various arrangements and to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or the convenience of the image provider.

한편 도 12a의 화면은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4)에도 제공될 수 있지만, 냉장고가 아닌 별도의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 장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에서 외출을 한 상태에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쇼핑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은 하나의 저장실을 복수 개의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저장실에 각각의 위치에 저장된 식품을 서로 위치별로 분류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Meanwhile, the screen of FIG. 12A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14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ut may also be provided to a separate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an external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ccordingly,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while going out of the house, and use it for shopping.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rmine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door.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one storage room into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btain information classified by each location on the food stored at each location in one storage room.

이때 야채실에 도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드로워(50)을 인출했을 때, 상하로는 상기 드로워(50)의 전단부터 상기 선반(40)의 전단까지의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 멀티수납코너에 도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인입된 경우에 중첩되는 부분의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 선반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선반(40)의 상측의 영역을 도시한다.At this time, the image shown in the vegetable compartment shows an area from the front end of the drawer 50 to the front end of the shelf 40 vertically when the drawer 50 is withdrawn. The image shown in the multi-storage corner shows the area of the overlapping portion when the drawer 50 is retracted in a state not covered by the door 20 . The shelf shows the user the area above the shelf 4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이 하나의 저장실을 그대로 도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분리된 각각의 부분에 분리된 이미지를 배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에서 도시된 사진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진에서 각각의 영역을 분리하여 독립적 그리고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does not show one storage room as it is, but separate images are arranged in each part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tain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photo shown in FIG. 7 is not used as it is, but each area is separated from one photo and used independently and individually.

도 12b와 같이 도 12a와 다른 형태의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2영역(52)과 상기 제3영역(62)을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 모두를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두 개의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2B , a screen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FIG. 12A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camera 70 may take a picture including the second area 52 and the third area 62 . Otherwise, even if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including all of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wo areas are provided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도 12c와 같이 또 다른 형태의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2영역(52)을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 모두를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하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두 개의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nother type of screen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2C . In this case, the camera 70 may take a picture including the first area 42 and the second area 52 . Otherwise, even if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including all of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wo areas are provided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영역을 모두 촬영한 후에 관련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 12b와 도 12c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드로워의 내부 저장 영역, 즉 제2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제2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elated image to the user after photographing all three areas. However, as shown in FIGS. 12B and 12C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t leas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torage area of the drawer, that is, the second area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area other than the second area.

도 13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picture taken by a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도 13은 상기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냉장고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도 13은 냉장고를 제조할 때에 작업자의 별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핸드폰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13 may be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4 . Of course, if the refrigerator is not provided with a display, FIG. 13 may mean a screen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of an operator when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It may also be a screen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phone.

상기 카메라(7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조립 공차로 인해서, 상기 카메라(70)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70 is installed, the camera 70 may not be accurately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due to assembly tolerance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하는 사진 또는 영상을 통해서 각각의 영역을 구획하는 조정선(15)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n operator or a user to change the control line 15 that divides each area through a picture or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70 .

조정선(15)은 수직 조정선과 수평 조정선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조정선은 이미지의 중앙 또는 양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도시된 버튼을 통해서 수직 조정선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수평 조정선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되는 이미지가 잘려지는 부분을 선정할 수 있다.The adjustment line 15 may include a vertical adjustment line and a horizontal adjustment line.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may be placed at the center or both ends of the image. The user may select a portion from which the image provided on the display 14 is cut by moving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up and down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left and right through the buttons shown on the screen.

한편 상기 조정선(15)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한정하는 한계선(16)도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계선(16)은 수직 조정선을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계선(16)은 수평 조정선을 중심으로 상하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 limit line 16 that limits the movable range of the adjustment line 15 may also be shown. In this case, the limit line 16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In addition, the limit line 16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상기 한계선(16)을 구비해서, 상기 조정선(15)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정도의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7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limit line 16 , if an image of a desired degree is not obtained despite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line 15 ,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defective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70 can be adjusted.

도 13과 같이 상기 저장실에 두 개의 드로워가 구비되는 형태에서는 수직 조정선은 두 개의 드로워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 form in which two drawers ar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s shown in FIG. 13 ,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drawers.

그리고 수평 조정선은 상기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helf.

수평 조정선과 수직 조정선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 조정선과 상기 수직 조정선의 교차점의 좌측 하단은 제2영역 또는 제3영역의 좌측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는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 조정선으로부터 특정 개수의 픽셀까지일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수직 조정선으로부터 특정 개수의 픽셀까지일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and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are moved,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and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may constitute an image of the left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r the third region.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image may extend from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to a specific number of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extend from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to a specific number of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평 조정선과 상기 수직 조정선의 교차점의 우측 하단은 제2영역 또는 제3영역의 우측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는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 조정선으로부터 특정 개수의 픽셀까지일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수직 조정선으로부터 특정 개수의 픽셀까지일 수 있다.A lower right corner of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and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may constitute an image of a right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r the third region.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image may extend from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to a specific number of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extend from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to a specific number of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평 조정선의 상측은 상기 제1영역의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는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수평 조정선으로부터 특정 개수의 픽셀까지일 수 있다.An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may constitute an image of the first region.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image may extend from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to a specific number of pix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야채칸에 해당되는 제3영역의 좌우측 사진을 별도로 도시해서, 드로워에 해당되는 부분의 사진 획득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show the left and right photos of the third area corresponding to the vegetable compartment to check whether a photo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awer is obtained.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한 조정이 완료되면 입력 완료 버튼을 클릭해서, 상기 조정선(15)의 이동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설치 오차가 작은 경우에는, 촬영된 사진에서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는 수직선 및/또는 수평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들이 명확히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하로 구획되거나 좌우로 구획되는 영역들이 다수 개인 경우 전술한 수평 조정선이나 수직 조정선은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adjustment by the user or operator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input that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line 15 is completed by clicking the input completion button. Accordingly, when the installation error of the camera is smal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s of vertical and/or horizontal lines dividing each area in the photographed picture. Through this, part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can be clearly displayed. Of cour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 plurality of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or vertical adjustment lines may be provided.

도 14는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카메라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FIG. 15 is a view showing an essential part of the camera,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6 .

상기 카메라(70)는 카메라 렌즈(71a) 및 몸체(71b)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71)과, 상기 카메라 모듈(71)이 수용되는 케이스(73, 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7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71 including a camera lens 71a and a body 71b, and cases 73 and 74 in which the camera module 71 is accommodated.

상기 카메라 모듈(7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71a)를 통과한 영상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71 may include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image information passing through the camera lens 71a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케이스는 제1케이스(73)와, 상기 제1케이스(73)에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73)와 상기 제2케이스(74)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71b)와 카메라 렌즈(7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73)와 상기 제2케이스(74)의 사이에는 내부로 습기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실링 부재에 의해서 결합도가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73 and a second case 74 coupled to the first case 73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The camera body 71b and the camera lens 71a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ase 73 and the second case 74 . The coupling degree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case 73 and the second case 74 by a separate sealing member to prevent moisture or dust from entering the inside.

상기 카메라 몸체(71b)와 카메라 렌즈(71a)는 상기 제1케이스(73) 및 상기 제2케이스(74)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의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제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71)은 상기 저장실(22)에 수용된 냉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Since the camera body 71b and the camera lens 71a ar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case 73 and the second case 74, the inner case 12 and the outer case 10 )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aming agent filled in between.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71 may be protect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cold ai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22 .

상기 제1케이스(73)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71a)의 전단에 설치되는 투명창(80)과, 상기 투명창(80)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8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ase 73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8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camera lens 71a and a heater 84 providing heat to the transparent window 80 .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히터(84)에 의해서 제공된 열에 의해서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by the heat provided by the heater 84 .

만약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렌즈(71a)에 상기 히터(84)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71a)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에 의한 수차 발생 및 영구적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창(80)을 상기 카메라 렌지(71a)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는다.If the heater 84 is installed on the camera lens 71a to prevent dew formation, the camera lens 71a may be deformed. Since the occurrence of aberration and permanent damage due to such deformation increas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window 8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amera range 71a.

상기 투명창(8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모두 카메라 영상 취득 입장에서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플라스틱이 열 전도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면 유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material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both plastic and glass can be applied from a camera image acquisition point of view, but plastic has poor thermal conductivity. Therefore, when plastic is used as the transparent window 80, power consumption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using glass. Therefore,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preferably made of a glass materi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열 전도율이 커지면 상기 히터(84)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이 상기 투명창(80)에서 상기 히터(84)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부분까지 쉽게 전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율이 낮아지면 상기 히터(84)에 인접한 부분은 온도가 높은 반면에, 상기 히터(84)에서 멀어지는 부분에는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결로를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더 많은 열에너지가 상기 히터(84)에 의해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is increased,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84 may be easily conducted from the transparent window 80 to a portion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er 84 . For example, 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ered,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heater 84 is high,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away from the heater 84 is lower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dew condensation. Also, since more heat energy must be supplied by the heater 84, energy efficiency is reduced.

한편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에 직접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heater 84 directly makes a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window 80, heat transfer efficiency may be improved.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이 상기 저장실(22)에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서, 상기 히터(84)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투명창(80)을 거치지 않고, 상기 저장실(22)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ater 84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where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exposed to the storage chamber 22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84 does not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80 , and the storage chamber (2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특히 상기 히터(84)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 코일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열선 코일은 상기 투명창(80)에 면접촉을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heater 84 may include a hot wire coil for generating heat, and the hot wire coil may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window 80 .

또한 상기 투명창(80)과 상기 카메라 렌즈(71a)는 소정의 간격(g)를 두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투명창(80)에 열이 공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이나, 조립 공차를 고려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window 80 and the camera lens 71a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g. This is to consider deformation that may be generated by supplying heat to the transparent window 80 or assembly tolerance.

또한 상기 카메라(7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공급받고, 획득된 사진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7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79)은 상기 카메라 모듈(71)을 외부의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70 may include a cable 79 that receives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a signal related to the acquired picture. The cable 79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camera module 71 to an external component.

한편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카메라(70)을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할 수 있는 제1안착편(75)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편(75)은 상기 제1케이스(73) 또는 상기 제2케이스(74) 중 어느 곳에 마련되어서 무관하다.Meanwhile,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piece 75 capable of fixing the camera 70 to other components. At this time, the first seating piece 75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case 73 or the second case 74 and is irrelevant.

상기 제1안착편(75)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을 포함해서, 상기 카메라(70)를 원하는 설치 위치에 원하는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iece 75 may include a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camera 70 may be disposed at a desired installation position to have a desired angle of inclination.

상기 제1안착편(75)은 상기 카메라(70)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카메라(70)는 외부 구성요소에 의해서 좌우측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iece 7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mera 70, so that the camera 70 can be fix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external components.

상기 제2케이스(74)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고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2안착편(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편(76)은 상기 제1안착편(75)과 다른 부분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1안착편(75)과 마찬가지로 상기 카메라(70)가 다른 구성요소에 특정 위치에 소정 각도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안착편(75)과 제2안착편(76)을 통해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 3점 이상의 지지점으로 소정 각도로 갖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의 지지구조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A second seating piece 76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o be stepp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ase 74 . The second seating piece 76 is provided in a different part from the first seating piece 75, so that the camera 70 is positioned at a specific location an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ther components, similarly to the first seating piece 75 . to ensure stable bonding. Accordingly, the camera 70 may be fixed to have three or more supporting points with respect to other components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first seating piece 75 and the second seating piece 76 . Details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amera 7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카메라(70)는 해상도는 VGA Resolution급을 적용할 수 있고, 해상도는 영상 데이터 전송 속도와 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VGA(640x480), 30만화소 급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amera 70 may have a resolution of VGA Resolution, and a resolution of VGA (640x480) or 300,000 pixels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image data transmission speed and processing time.

상기 카메라(70)의 Interface는 USB Type이며 5V, 500mA USB 전원을 이용해서 구동될 수 있다. The interface of the camera 70 is a USB type and can be driven using 5V, 500mA USB power.

또한 상기 카메라(70)에 공급되는 전류값은 대기 모드 시에는 87mA, 동작 모드시에는 187mA (히터는 67mA)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류값에 비례하는 소비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의 동작은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투명창(80)의 표면에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84)에는 상시 전원을 인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camera 70 may be 87 mA in the standby mode and 187 mA (67 mA in the heater) in the operation mode.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proportional to the supplied current value may be consum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amera 70 is divided into a standby mode and an operation mode, and it is possible to always apply power to the heater 84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

한편 상기 카메라(70)는 정격 전압이 인가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동작 모드로 전환되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즉,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카메라는 대기 모드로 동작을 하며,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진 촬영을 위한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70 operates in a standby mode when a rated voltage is applied, and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door 20 is opened, the camera 70 can be switched to an operation mode to take a picture.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the camera operates in a standby mode, and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door 20 is opened, it can be switched to an operation mode for taking a picture.

도 17은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상기 카메라(70)는 촬영각이 수평 화각은 115°, 수직 화각은 95°, 대각 화각은 145°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수평 화각이 수직 화각보다 크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 길이(도 17에서 수평 방향)가 상기 저장실(22)의 전후 방향 길이(도 17에서 수직 방향)보다 긴 경우에 상기 저장실(22)에 관한 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70 may have a horizontal angle of view of 115°, a vertical angle of view of 95°, and a diagonal angle of view of 145°. That is,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camera 70 so that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is larger than the vertical angle of view. Through this arrangement, when the width direction length (horizontal direction in FI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is long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vertical direction in FI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through this arrangement, food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compartment 22 It is possible to obtain a photograph that can provide

한편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히터(84)는 상기 카메라(70)의 화각을 가리지 않도록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er 84 may be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 In this case, the heater 84 may be arranged to form a rectangle so as not to block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

또한 상기 히터(84)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면, 상기 투명창(80)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히터(84)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ter 84 has a rectangular shape, heat can be supplied to the transparent window 80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er 84 can be improved.

특히 도 16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71a)와 상기 투명창(80) 사이에 간극(g)가 마련된 경우에는 도 17과 같이 상기 투명창(80)에 대한 화각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만일 간극(g)가 없고, 상기 투명창(80)과 상기 카메라 렌즈(71a)가 맞닿아 있다면,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의 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렌즈(71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길이의 변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 gap g is provided between the camera lens 71a and the transparent window 80 as shown in FIG. 16 , the angle of view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window 80 form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7 . If there is no gap g and the transparent window 80 and the camera lens 71a are in contact, the heater 84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so that the camera lens 71a )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having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g)이 존재하고, 수직 화각과 수평 화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84)는 어느 한 변이 다른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ap g exists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view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heater 84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one side longer than the other side.

도 18은 카메라가 냉장고에 상하 방향(전후 방향)으로 틀어져서 장착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9는 카메라가 냉장고에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8 is a view illustrating a picture taken while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with the camera twi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nt and back direction), and FIG. 19 is a picture taken while the camera is rotated horizontally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refrigerator It is a drawing.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

도 18a는 카메라가 상측으로 5도 만큼 상측으로 돌아간 상태이고, 도 18b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이며, 도 18c는 하측으로 5도 만큼 돌아간 상태이다. 도 18에 도시된 정도의 사진은 사용자에게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더 큰 각도로 틀어지게 된다면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18A i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rotated upward by 5 degrees, FIG. 18B is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and FIG. 18C i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rotated downward by 5 degrees. The picture shown in FIG. 18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room, but if it is deviated at a larger angle, the desired information may not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9a는 카메라가 좌측으로 4도 만큼 돌아간 상태이고, 도 19b는 카메라가 좌측으로 2도 만큼 돌아간 상태이며, 도 19c는 카메라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태이다. 19A i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turned to the left by 4 degrees, FIG. 19B i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turned to the left by two degrees, and FIG. 19C i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도 18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카메라가 돌아가도록 설치된 사진과 비교했을 때에 도 19에서와 같이 카메라가 수평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에 설치되지 않은 사진은 상대적으로 크게 왜곡된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When compared to a pictur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a picture in which the camera is not installed at a desired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provides a relatively large distorted screen.

도 18 및 도 19에서 볼 수 있듯이 카메라의 설치 각도는 미세한 차이이더라도, 촬영되는 사진의 왜곡을 크게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설치 각도에 조립 공차가 가능하면 적게 발생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미세한 오차는 도 13을 통해 설명된 조정선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어, 최적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in FIGS. 18 and 19 , even i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is slightly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so that the assembly tolerance is as small as possible, since it may cause distortion of the photographed picture. Of course, minute errors can be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lin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so that an optimal picture can be provided.

도 20은 카메라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제1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2는 제2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제1하우징에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측단면도, 도 25는 카메라 하우징이 인너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0 is a view showing the camera housing is assembled, FIG. 21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housing, FIG. 22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housing, and FIG. 2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and FIG. 2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3, and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housing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5 .

상기 카메라(70)를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설치하기 위해서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카메라를 수용하고, 상기 카메라를 저장실의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A camera housing may be provided to install the camera 70 to the inner case 12 . That is, a camer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shown in FIG. 14 and fixing the camera to the ceiling of the storage room may be provided.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400),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410), 상기 제1하우징(400)에 결합되는 제3하우징(420) 및 제4하우징(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400)은 저장실의 천정 상면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The camera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40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a second housing 41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and the first housing 400 ) may include a third housing 420 and a fourth housing 430 coupled to. Here, the first housing 400 may be sai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storage room.

상기 제3하우징(420)는 상기 카메라(70)의 투명창(80)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상기 저장실(22)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70)의 전방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하우징(420)는 상기 카메라(70)의 전면을 가리는 커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20)와 상기 제4하우징(43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4하우징(430)은 상기 제3하우징(320)과 제1하우징(400) 사이에 개재되는 데코 하우징일 수 있다.The third housing 420 may close the front of the camera 70 so that parts other than the transparent window 80 of the camera 70 are not directly exposed to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third housing 420 may function as a cover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camera 70 . In this case, the third housing 420 and the fourth housing 430 may be formed of one component. Of course, the fourth housing 430 may be a decorative housing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housing 320 and the first housing 400 .

상기 제1하우징(400)에는 상기 카메라(70)가 조립되어서, 상기 카메라(70)의 좌우측 기울어짐 정도(수평방향 기울어짐 정도)와 전후측 기울어짐 정도(수직방향 기울어짐 정도)를 관리할 수 있다. The camera 70 is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400 to manage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horizontal inclination) and front and back inclination (vertical inclination) of the camera 70. ca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400)은 상기 카메라(70)의 상기 제1안착편(75)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402)는 두 개가 마련되어서 상기 좌우의 제1안착편(75)이 각각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 the first housing 400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art 402 on which the first seating piece 75 of the camera 70 is mounted. In this case, two first seating parts 402 are provid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first seating pieces 75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상기 제1안착편(75)은 상기 카메라(70)의 좌우측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설치된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iece 75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mera 70 , and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desired angle while the camera 70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12 . .

상기 제1안착부(402)에는 체결공(404)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1안착편(75)과 상기 제1안착부(402)는 스크류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안착부(402)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카메라(7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 fastening hole 404 is provided in the first seating part 402 , so that the first seating piece 75 and the first seating part 402 can be fixed by a screw. The first seating part 402 is provid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amera 70 can be stably fixed.

상기 제1하우징(400)은 상기 카메라(70)의 상기 제2안착편(76)이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부(40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안착부(408)도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2안착편(76)과 면접촉을 하면서 상기 카메라(70)의 기울어진 정도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400 may include a second seating part 408 on which the second seating piece 76 of the camera 70 can be mounted. At this time, the second seating part 408 is also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camera 70 can be fixed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seating piece 76 .

즉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하우징(400)와 복수 개의 면에 의해서 접촉하면서 결합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3개소 이상의 지지점을 갖도록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400)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갖도록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수평 각도는 상기 제1하우징(400)과 나란하도록 고정될 수 있고, 수직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camera 7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400 whil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rfaces, thereby performing a function of fixing the camera 70 to be inclined at a desired angle. In other words, while being fixed to have three or more supporting points, it may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400 . Of course, the horizontal angle may be fix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housing 400 , and the vertical angle may be fixed to be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1하우징(400)은 상기 제2하우징(410)와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406)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400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406 to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10 by a screw.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의 상면에 면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41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접촉면(416)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넓게 분포되어서, 상기 제2하우징(410)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410)의 접촉면(416)의 인너 케이스(12)의 천정과 나란한 면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의 설치 각도에 대한 기준선 또는 기준면이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면과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 the second housing 410 has a contact surface 416 that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 At this time, the contact surface 416 is widely distributed while forming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second housing 41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Accordingly, the second housing ( It has a surface parallel to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of the contact surface 416 of the 410). Through this, the reference line or reference plane for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may be the same as the ceiling surface of the inner case 12 .

상기 제2하우징(410)는 상기 카메라(70)의 케이블(79)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4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412)의 일측에는 관통공(418)이 형성되어서, 냉장고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수용 공간(412)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 공간(412)에서 냉장고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케이블(79)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는 상기 케이블(79)을 통해서 전기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 대한 신호가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4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412 in which the cable 79 of the camera 70 can be accommodated. A through hole 41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2 , so that electric wires connected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may be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412 . In this case, in the accommodating space 412 , the electric wire connected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able 79 may be connected. Accordingly, electricity may be supplied to the camera 70 through the cable 79 , and a signal for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may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제1하우징(400)에 결합되는 체결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14)는 상기 체결공(406)과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14)는 상기 체결공(406)과 결합될 때에 조립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406)과 면접촉이 되도록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 fastening part 414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40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410 . The fastening part 414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406 by a screw. When the fastening part 414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406, it is preferable that an error due to assembly does not occur.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astening hole 406 .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제1하우징(400)에 조립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설정된 각도 만큼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처럼, 상기 제1하우징(400)의 일측면(400a)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접촉될 수 있도록 평면을 이루는 형상이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하우징(400)의 일측면(400a)과 대비했을 때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면(400a)는 제2하우징(410)의 접촉면(416)과 나란하도록 상기 인터 케이스(12)의 천정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카메라(70)을 제1하우징(400)에 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400)을 제2하우징(420)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저장실의 천정면에 대한 상기 카메라(70)의 설치 각도의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 when the camera 70 is assembled to the first housing 400 , the camera 7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by a set angle. As shown in FIG. 24 , one side 400a of the first housing 400 has a flat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12 . The camera 7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compared to one side 400a of the first housing 400 . And the one side 400a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inter-case 1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ontact surface 416 of the second housing 410 . Accordingly, as the camera 7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400 , and the first housing 400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20 ,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70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room err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4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부, 즉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의 사이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는 상기 저장실(22)의 외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접착되어 위치가 가고정된 후에,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의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액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the second housing 41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space filled with the foaming liqui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2 , that i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2 and the outer case 10 . do. The second housing 410 is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chamber 22 , but is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outer case 10 . After the second housing 410 is attached to the inner case 12 and temporarily fixed in position, the second housing 410 is finally fixed by the foaming liquid filled between the inner case 12 and the outer case 10 . can

상기 인너 케이스(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하우징(400)는 상기 제2하우징(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0)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400)가 상기 제2하우징(41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7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With the inner case 1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housing 4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10 . Since the first housing 400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1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410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inner case 12, the position of the camera 70 is can be fixed.

상기 제1하우징(400)에 상기 카메라(70)가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3하우징(420)와 상기 제4하우징(430)가 상기 제2하우징(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하우징(420)와 상기 제4하우징(43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하우징(400)에 상기 제3하우징(420)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70 is inclined to the first housing 400 at a specific angle, the third housing 420 and the fourth housing 4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10 . .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housing 420 and the fourth housing 430 are made of one component, and the first housing 40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third housing 420 .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only

상기 제3하우징(420)는 상기 카메라(70)의 상기 투명창(80)만이 상기 저장실(22)로 노출되도록 하고, 다른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저장실(22)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먼지, 냉기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housing 420 may allow only the transparent window 80 of the camera 70 to be exposed to the storage chamber 22 , and may prevent other portions from being expo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mera 70 from being affected by moisture, dust, cold air, etc. existing in the storage chamber 22 .

카메라의 하우징의 구조와 상기 인너 케이스에 대한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 방향, 설치 형태 등은 상기 투명창(80)에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적 의미를 또한 가진다.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에 한다.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of the camera,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housing relative to the inner case, the installation form, etc. also have a technical meaning for reducing the condensation phenomenon occurring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 A relate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도 26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의 소모 전력을 비교한 표이고, 도 27은 공급되는 대기 전류와 구동 전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6a는 비교례에서 카메라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27b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26 is a table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amer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 diagram comparing the supplied standby current and the driving current. 26A shows a state in which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i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FIG. 27B shows a state in which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in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and 27 .

비교례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 대기 전류가 70mA가 공급되다가,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 50mA가 추가로 공급되어서 상기 카메라(70)에 구동 전류 120mA가 공급된다. 비교례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서 1일에 25회 개방되면 1달에 253Wh가 소모되고, 1일에 50회 개방되면 1달에 254Wh가 소모되는 결과가 발생한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70 mA of standby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 and 50 mA is additionally supplied when the door is opened, so that a driving current of 120 mA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 In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he camera 70 is opened 25 times a day, 253Wh is consumed per month, and when the camera 70 is opened 50 times a day, 254Wh is consumed per month.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 대기 전류가 20mA가 공급되다가,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 100mA가 추가로 공급되어서 상기 카메라(70)에 구동 전류 120mA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서 1일에 25회 개방되면 1달에 74Wh가 소모되고, 1일에 50회 개방되면 1달에 76Wh가 소모되는 결과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mA of standby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 and 100 mA is additionally supplied when the door is opened, so that 120 mA of driving current can be supplied to the camera 70 . When the camera 70 is opened 25 times a day, 74Wh is consumed per month, and when the camera 70 is opened 50 times a day, 76Wh is consumed per month.

두 개의 실험 결과를 비교해보면, 대기 전류를 낮추는 것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대략 70%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전류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대기 전류를 낮추는 것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왜냐하면, 24시간 연속으로 냉장고가 운전될 때 도어가 개방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매우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동 모드에서 촬영을 위해 필요한 전류값이 일정하다고 할 때, 대기 모드에서 카메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낮출수록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Comparing the two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consumed by the camera 70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70% by lowering the standby current.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wer consumed by the camera 70 can be greatly reduced by lowering the standby current under the premise that the driving current is the same. This is because, when the refrigerator is operated continuously for 24 hours, the time during which the door is opened is relatively short. Accordingly, assuming that the current value required for shooting in the operation mode is constant, the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camera in the standby mode is lowered.

대기 전류를 낮추게 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70)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이 늦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대기 전류값과 구동 전류값의 차이로 인해, 딜레이 타임이 증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대기 모드에서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곧바로 사진 촬영이 수행되지 않고 소정의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어 사진이 촬영될 수 밖에 없다. When the standby current is lowered, as shown in FIG. 27 , the time at which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is delayed. This is becaus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by current value and the driving current value, the delay time is inevitably increased. In other words, when the standby mode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picture is not taken immediately, but a picture is inevitably taken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실제로 사진이 촬영되는 시점이 늦어지게 된다. 상기 카메라(70)에 사진을 촬영하라는 명령이 전달된 시점과 실제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시점에 차이가 크면 실제로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에게 식품 정보를 바람직하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me at which a picture is actually taken by the camera 70 is delayed.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command to take a picture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70 and the time when the picture is actually taken by the camera 70, the picture actually taken by the camera 70 preferably provides food information to the user. may not be able to provide.

다시 말해서 대기 전류는 낮으면 낮을수록 상기 카메라(70)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카메라(7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로 상승시키는 데에 딜레이 타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데에 경과되는 통상의 시간을 산출해서, 해당 시간 보다는 딜레이 타임이 줄어들도록 대기 전류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전류값에서 구동 전류값으로 단계적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분한 딜레이 타임을 갖고 상대적으로 낮은 대기 전류값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전류값으로 인가되는 전류값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전류값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을 낮춤과 동시에 카메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ower the standby current is, the lower the power consumed by the camera 70 i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normal time elapsed for the user to be able to take a picture at a desired point in time, and select the standby current value so that the delay time is reduced rather than the corresponding time.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urrent applied step by step from the standby current value to the driving current value. That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pplied current value step by step from a relatively low standby current value to a relatively high driving current value with a sufficient delay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brupt increase in the current value. Therefor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camera stability can be achiev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8 및 도 29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70)를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시점에 구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어 스위치를 통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기 모드에서 구동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카메라가 촬영하는 사진 중에서 유효한 사진은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서 적어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이다. 왜냐하면, 도어가 열리고 사용자가 식품을 업데이트 하는 데에도 물리적으로 몇 초 이상 걸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즉 딜레이 타임이 길어지더라도 충분히 원하는 시점에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의 대기 모드에서 구동 모드로의 전환 시점은 도어 스위치의 감지 결과에 의해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효한 사진을 선택하는 기준 시점은 도어 센서의 감지 결과에 의해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8 and 29 , the camera 70 is controlled to start driving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it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driving mode. However, a valid photo among the photos taken by the camera is after at least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door is opened. This is because it takes physically more than a few seconds for the door to open and the user to update the food. In other words, even if the delay time is long, the picture can be acquired at the desired point in tim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switching time of the camera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driving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switch. And, it can be said that the reference time of selecting a valid photo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sensor.

도 28은 카메라의 사진 촬영 시작 시점 및 카메라의 연속 촬영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2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2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rt point of the camera taking pictures and continuous shooting of the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8 .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저장실(22)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상기 제어부(100)에서 명령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이동 또는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2)이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the door switch may be included.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storage chamber 22 is opened, the controller 100 may command the camera 70 to start taking a picture. That is, when the door 20 is moved or rotated to open the storage chamber 22 , the camera 70 may start taking a picture.

반면에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저장실(22)의 밀폐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상기 제어부(100)에서 명령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이동 또는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2)이 밀폐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storage chamber 22 is closed, the controller 100 may command the camera 70 to stop taking a picture. That is, when the door 20 is moved or rotated to seal the storage chamber 22 , the camera 70 may end photo taking.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냉장고에 외부 전원에 의한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대기 전류가 공급된다(S1).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대기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28 ,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standby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camera 70 ( S1 ). At this time, the camera 70 may be in a state of being driven in a standby mode. In the standby mode, the camera 70 does not take pictures.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될 수 있다(S10).Opening of the door 20 may be detected by the door switch 110 (S10).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S14).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20 opens the storage chamber 22 , the camera 70 may start taking a picture ( S14 ). In particular, the camera 70 may continuously take pictur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때 상기 카메라(70)에는 대기 모드에서 공급되던 전류보다 큰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70)는 구동 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를 구동하기 위해 대기 전류보다 큰 전류, 구동 전류가 공급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 즉 딜레이 타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즉 상기 카메라(7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려면 실제로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카메라(70)에 구동 모드 수행을 위한 전류가 공급된 후에 소정 시간의 딜레이 타임이 경과해야 한 후에, 상기 카메라(70)에는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서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비로소 촬영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a larger current than the current supplied in the standby mode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the camera 70 may be operated in the driving mode. In order to supply a current greater than a standby current and a driving current to drive the camera 70 ,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at is, a delay time, is inevitably generated. That is, it is because a certain amount of time is actually required for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camera 70 to increase. After a delay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current for performing the driving mode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mera 70 so that the camera 70 can only take pictures. .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촬영을 위한 구동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진이 촬영되는 시작 시점이 빨라서, 특정 시점에 사진을 촬영하지 못할 위험이 줄어든다. 만약 촬영을 원하는 시점 이전까지 대기 전류를 공급하다가, 원하는 시점에 전류값을 상승시킨다면 딜레이 타임으로 인해서 사진의 촬영 시점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Since the camera 7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for photographing from the time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start time at which a picture is taken is early, and thus the risk of not being able to take a picture at a specific time is reduced. This is because, if the standby current is supplied before the desired time point and the current value is increased at the desired time point, the time of taking the picture is delayed due to the delay time.

또한 상기 카메라(70)에서 1초에 촬영하는 사진의 장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서 1초에 30장의 사진을 촬영한다고 가정하면, 사진이 촬영되는 시간 간격 즉 1/30초 동안에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작기 때문이다. 상기 저장실(22)의 내부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사람은 상기 저장실(22)에 대해서 1/30초 동안 행위를 종료할 가능성은 적기 때문이다. 즉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되는 시간 간격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가의 상기 카메라(70)를 사용할 수 있어서, 냉장고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70 per second can be reduced. This is because, if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70 takes 30 pictures per second, the possibility that a change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22 occurs d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pictures are taken, that is, 1/30 second is extremely small.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22 can be changed by a user's action, because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a general person will finish an action for 1/30 secon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time interval for photographing by the camera 70 may be relatively increased. Accordingly, the relatively inexpensive camera 70 can be us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refrigerator.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될 수 있다(S16). 또한 상기 카메라(70)에서 1초 동안에 촬영되는 사진의 개수가 줄어들면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되는 사진의 장수도 줄어들게 되어서, 상기 저장부(18)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The photo taken by the camera 7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S16).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pictures taken in one second by the camera 70 is reduced, the number of pictur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is also decreased, so that the storage unit 18 can be operated more efficiently.

한편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특정 각도로 회전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S18). Meanwhile, the door sensor 12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20 is rotated at a specific angle (S18).

만약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회전되는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된 사진 중에서 소정 시간 이전의 사진은 삭제할 수 있다(S90). 즉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가공되지 않는 사진은 삭제해서, 상기 저장부(18)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door sensor 120 does not detect whether the door 20 is being rotated, the pictur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before a predetermined time may be deleted ( S90 ). That is, by deleting unprocessed photos to provide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unit 18 from increasing in capacity.

반면에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특정 각도로 회전되었다고 판단하면, 해당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선택한다(S92). 이때 선택된 사진은 유효사진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가공되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가공된 사진은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oor sensor 120 determines that the door 20 has been rotated at a specific angle, a picture taken at that time is selected (S92). In this case, the selected photo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00 as an effective photo and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photo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14 .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에 접근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해당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70)의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20)가 특정 각도에 회전된 시점에 사진이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원하는 시점에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In order for a user to access the storage compartment 22 , a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to rotate the door 20 . Since the delay time of the camera 70 elapses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a picture may be taken when the door 20 is rotated to a specific angl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0 may select a photo at a desired time.

만약 상기 도어 센서(120)가 감지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대기 모드에서 구동 모드로 전환된다면, 해당 시점보다 딜레이 타임이 경과된 후의 저장실 상태를 촬영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If the camera 70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driving mode to take a picture at the time the door sensor 120 detects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room state has to be taken after a delay time has elapsed from that point in time. can

한편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시점에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을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70)에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의 대기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 전류가 적게 공급되면, 구동 전류가 공급되기까지 딜레이 타임이 커지게 되지만, 상술한 제어 흐름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일찍 촬영을 시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시점에 사진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Meanwhile, since the camera 70 starts shooting when the door 2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supp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standby current to the camera 70 . When a small amount of standby current is supplied, the delay time until the driving current is supplied increases. However, in the control flow described above, since the camera 70 starts shooting early, there is no problem that a picture cannot be taken at a desired time. .

도 29는 카메라의 사진 촬영 시작 시점 및 카메라의 연속 촬영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2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rt time of the camera taking pictures and the continuous shooting of the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9 .

도 29는 도 28과 달리, 상기 도어(2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사진 선택 시점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로워(50)의 상태에 따라 사진 선택 시점이 정해진다는 차이가 있다. 이외의 부분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한다. 그러나, 드로워(50)의 조작은 도어(20)의 개방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사진을 선택하는 기준 시점은 도어 센서의 판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특정 사진 내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사진을 선택하는 기준 시점은 도어 센서의 판단과 드로워 감지부(130)의 판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느 경우나 유효 사진의 기준 시점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도어 센서의 판단 결과를 필요로 하게 된다.Unlike FIG. 28 , in FIG. 29 , the photo selection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rawer 50 , rather than the photo selection time being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door 20 . Other parts are the same, and the same part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premised on opening the door 20 . The reference time for selecting a specific photo may be determined by the door sensor's determination, and the reference time for selecting a photo for a specific area within the specific photo may be determined by the door sensor's determination and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s determination. will be able Accordingly, in any case,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oor sensor is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ference viewpoint of the valid photo.

상기 드로워(50)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상기 드로워(50)에 저장된 식품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50)를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50)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드로워(50)를 충분한 길이 만큼 인출할 수 있다.In order to store food in the drawer 50 or to take out the food stored in the drawer 50 to the outside, the user may withdraw the drawer 50 . In this case, the user may withdraw the drawer 50 by a sufficient length in order to use the drawer 50 .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50)에 대한 사용을 완료한 후에, 상기 드로워(50)를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되는 시점은 S19에서 기재된 특정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After the user has finished using the drawer 50 , the drawer 50 may be pushed in. The time point at which this state occurs may mean the specific state described in S19.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시점부터 촬영을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50)가 특정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면, 해당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선택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S92).Since the camera 70 starts shooting from the time when the door 20 is opened at the door switch 110, if the drawer 50 is placed in a specific state, the picture taken at that time is captured. It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S92).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이 촬영되고, 사진이 촬영되는 시점 즉,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로워(50)의 움직임이 감시될 수 있다. When the door 20 is opened, a picture is taken by the camera 70 , that is,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can be monitored from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picture is taken, that is, when the door 20 is opened.

도 30은 드로워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1은 도 30의 드로워 감지부에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rawer sensing unit, and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a drawer in the drawer sensing unit of FIG. 30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1 .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를 상기 제어부(100)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0 , the drawer sensing unit 130 is no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0 , bu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한 개의 발광부와 두 개의 수광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한 개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두 개의 수광부에 입사되는 시점을 분석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The drawer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one light emitting unit and two light receiving units.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50 can be sensed by analyzing the timing at which the light irradiated from one light emitting unit is incident on the two light receiving units.

상기 드로워(50)에는 복수 개의 슬릿(134)를 연속적으로 배치해서,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슬릿(134)에 입사되면 반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수광부에 빛이 순차적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lits 134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drawer 50 to preven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drawer sensing unit 130 from being reflected when incident to the slits 134 . Accordingly, light may be sequentially incident on the two light receiving units.

도 31에서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두 개의 수광부(Photo TR1, Photo TR2)에서 빛이 수신될 때의 신호를 의미한다. 즉 도 31a에서는 Photo TR1에서 Photo TR2보다 먼저 빛이 수신되고, 도 31b에서는 Photo TR2에서 Photo TR2보다 먼저 빛이 수신된다. In FIG. 31 , the x-axis means time, and the y-axis means a signal when light is received by the two light receiving units (Photo TR1 and Photo TR2). That is, in FIG. 31A, light is received before Photo TR2 in Photo TR1, and in FIG. 31B, light is received before Photo TR2 in Photo TR2.

도 31b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50)를 사용하기 위해서 인출하는 이동 상태를 의미하고, 도 31a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50)의 사용을 마치고 상기 드로워(50)를 원래 위치로 인입시키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In FIG. 31B , the user withdraws the drawer 50 to use the drawer 50 , and in FIG. 31A , the user ends the use of the drawer 50 and pulls the drawer 50 into its original position. It can mean status.

따라서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서 도 31a와 같이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을 획득할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해당 시점에서 상기 드로워(50)의 내부, 즉 상기 제3영역에 해당하는 사진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드로워 감지부(130)의 감지 또는 판단 결과에 따라 제3영역에 해당하는 사진의 획득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이때 획득된 사진에서 제3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다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과는 독립적 그리고 개별적으로 선택, 분리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signal as shown in FIG. 31A ,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it is time to acquire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and at that time the drawer 50 It is possible to select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 that is, the third area. That is, the acquisition time of the photo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r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rawer sensing unit 130 . Of course, in the obtained pho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may be selected, separated, and updated independently and separately fro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ther region.

도 32는 드로워에 마커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rker is displayed on a drawe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2 .

도 30 및 도 31과는 달리, 별도의 기계 또는 전자적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드로워(50)에 특정한 표시인 마커(marker)를 이용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Unlike FIGS. 30 and 31 ,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can be detected by using a marker that is a specific mark on the drawer 50 without using a separate mechanical or electronic device. .

상기 드로워(50)에는 다양한 형태의 마커(흑백의 색깔을 가지는 무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상기 마커의 이동을 분석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여부 및 이동 방향을 판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커의 분석은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서는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사진들에서의 마커의 이동을 분석하여 드로워(5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러워 감지부(130)의 감지 또는 판단 결과에 따라 제3영역에 해당하는 사진의 획득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이때 획득된 사진에서 제3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다른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과는 독립적 그리고 개별적으로 선택, 분리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markers (patterns having black and white colors) may be provided on the drawer 50 . The camera 70 may analyze the movement of the marker through the photographed picture to read whether or not the drawer 50 move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marker by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of the control unit 100 . That is,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drawer 50 by analyzing the movement of the marker in the pictures taken continuously. Accordingly, the acquisition time of the photo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r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rapery detection unit 130 . Of course, in the obtained pho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may be selected, separated, and updated independently and separately fro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ther region.

도 32에서는 마커가 카메라의 형상을 간략화한 이미지와, '스마트 센서'라는 글자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마커은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포함할 수 있고, 흑백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마련되어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인식가능하도록 할수 있다. In FIG. 32, the marker includes an image of a simplified camera shape and the word 'smart sensor'. On the other hand, the marke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patterns,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black and white intersect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by the camera 70 .

이때 마커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드로워(50)의 전면 상측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marker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drawer 50 so that the camera 70 can recognize it.

도 33(a)는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b)는 좌측 드로워는 인입되고, 우측 드로워는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3(a) 및 도 33(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33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rawers are drawn out, and Fig. 33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drawer is retracted and the right drawer is drawn out.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a) and 33 (b).

도 33에서 상기 마커는 상기 드로워(50)의 상측의 중앙에 마련되고, 물결 형태의 무늬를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FIG. 33 , the marker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50, and an example of forming a wave-shaped pattern is shown.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한 장의 사진에는 상기 제1영역(42)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사진에는 상기 제2영역(52) 또는 상기 제3영역(62) 중에 하나가 도시될 수 있다. The first area 42 may be expressed in on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Also, one of the second area 52 and the third area 62 may be shown in one picture.

즉 도 33(a)에서와 같이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에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영역(42)과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2영역(52)이 도시된다.That is, the first area 4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second area 5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are shown in the photo taken with the left and right drawers drawn out as in FIG. 33A .

반면에 도 33(b)에서와 같이 우측 드로워만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에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영역(42)과 좌측의 제3영역(62) 및 우측의 제2영역(52)이 도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icture taken with only the right drawer drawn out as in FIG. 33(b), the first area 42 disposed on the left and the third area 62 on the left and the second area 52 on the right side ) can be shown.

즉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사진에서 상기 제3영역(62)은 도시되지 않고 상기 제2영역이 도시된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인입되면 사진에서 상기 제2영역(52)은 도시되지 않고 상기 제3영역(62)이 도시된다.That is, when the drawer 50 is withdrawn, the third area 62 is not shown in the photo, but the second area is show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er 50 is drawn in, the second area 52 is not shown in the photo, but the third area 62 is shown.

상기 카메라(70)는 동일한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드로워(50)는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드로워(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70)에서 획득되는 사진은 다양한 영역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70 takes pictures at the same location. The drawer 50 may be moved, and thus, the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70 may take pictures of various area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awer 50 .

한편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구비되는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40)의 하부 공간으로 완전히 인입되면, 마커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인식되지 못한다. 즉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찍힌 사진에는 마커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3(b) , when the drawer 50 provided on the left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40 , the marker is not recognized by the camera 70 . That is, the marker is not shown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도 34 내지 도 40을 통해서 마커를 이용해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A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a drawer using a mar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4 to 40 .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시작하고(S2101), 제어부(100)는 마커 인식 동작 및 마커 추적 동작을 개시한다(S2103).Referring to FIG. 34 , when the door switch 110 detects that the door 20 is opened, the camera 70 starts taking a picture (S2101), and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a marker recognition operation and marker tracking. The operation starts (S2103).

이하에서는, 도면 부호 S2101 단계 및 S2103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teps S2101 and S210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5 .

도 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인식 및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rker recognition and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을 시작한다(S2301).Referring to FIG. 35 ,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camera 70 starts taking a picture ( S2301 ).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를 제어하여 드로워(50)의 내부 사진을 획득한다(S2303).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camera 70 to obtain an internal picture of the drawer 50 (S2303).

이어서, 제어부(100)는 획득된 사진을 처리하여(S2305), 획득된 사진에서 미리 정해진 마커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7).Next,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the acquired picture (S2305), and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marker is recognized in the acquired picture (S2307).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마커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획득된 사진으로부터 인식되는 마커가 미리 저장된 마커과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marker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100 may compare whether a marker recognized from the acquired photo is the same as a previously stored marker.

미리 정해진 마커은 사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저장부(18)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marker may be determined by a business operator or a user,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or the like in advance.

마커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사진에서 검색이 가능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제어부(100)에서 인식 및 추적이 가능한 마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arker may be formed in a searchable area in a photo taken by the camera. Hereinafter, a marker that can be recognized and tracked by th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6 and 37 .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인출입 시점 감지를 위한 마커를 설명하기 도면이다.3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rker for detecting the withdrawal/input timing of the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의 (a)를 참조하면, 마커(marker)는 상기 드로워(50)가 열리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카메라(70)에 의해 검색이 가능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70)가 냉장고의 상단에 위치하여, 드로워(50)의 평면을 촬영할 수 있는 경우, 마커는 드로워(50) 상단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70)의 시야는 드로워(50)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드로워(50)이 완전히 열린 상태까지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36 , a marker may be formed in an area searchable by the camera 70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drawer 50 starts to open. For example, when the camera 7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refrigerator to photograph the plane of the drawer 50 , the marker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end of the drawer 50 . In addition, the field of view of the camera 7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photograph from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completely closed to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completely open.

마커가 드로워(5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는, 드로워(50) 내부의 저장물 정리가 완료된 후 드로워(50)가 닫히는 시점에 드로워(50)의 상단에 방해물이 없는 경우를 예정하고 있으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In the case where the mark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rawer 50, there is no obstruction at the top of the drawer 50 at the time the drawer 50 is closed after the storage of the inside of the drawer 50 is completed. planned, but not limited thereto.

도 36의 (b)를 참조하면, 카메라(70)의 시점에서 드로워(50)가 수납되는 드로워칸(54) 및 드로워(50)을 바라볼 때, 카메라(70)는 드로워(50)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로부터 드로워(50)가 완전히 열린 상태까지 모든 범위에서, 마커가 포함된 드로워(50)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b), when looking at the drawer compartment 54 and the drawer 50 in which the drawer 50 is accommod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amera 70, the camera 70 is the drawer ( In all range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50 is started to open to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fully opened, the inside of the drawer 50 including the marker may be photographed.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을 참조하면, 마커는 두 가지 색상의 동일한 모양이 교차하여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7 , the marke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ame shape of two colors intersects and repeats.

도 37의 (a)를 참조하면, 마커는 흰 색의 정사각형과 검은 색의 정사각형이 교대로 반복된 띠 복수 개가 교차하여 나열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37 , the marke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ands in which a white square and a black square are alternately repeated are intersected and arranged.

도 37의 (b)를 참조하면, 마커는 흰 색의 기울어진 사각형과 검은 색의 기울어진 사각형이 교대로 반복된 띠 복수 개가 교차하여 나열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37 , the marker may also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ands in which a white slanted quadrangle and a black slanted quadrangle are alternately repeated cross each other.

이와 같이, 반복되는 형태의 마커는 카메라 촬영 범위로부터 마커의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제어부(100)에서 마커 인식 및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마커는 반복되는 형태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복수의 색상으로 한정될 것도 아니다. 마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워(50) 등의 이동성이 있는 냉장고 내부 구성의 이동 여부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형태로 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peated marker has an advantage that the control unit 100 can recognize and track the marker even when a part of the marker is hidden from the camera shooting range. However, the marker is not limited to a repeating form, nor is it limited to a plurality of colors. As described above, the marker suffices to have a shape sufficient to recognize whether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with mobility, such as the drawer 50, move or not.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마커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100)는 인식된 마커의 이동을 감지한다(S2311). 제어부(100)는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된 사진을 분석 처리하여, 인식된 마커가 이동하는지 또는 정지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드로워(50)의 열림 동작이 지속 또는 완료되거나, 드로워(50)의 닫힘 동작이 개시, 지속 또는 완료되는 경우에, 마커의 이동 또는 정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35 , when a predetermined marker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100 detects movement of the recognized marker ( S2311 ). The controller 100 may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analyze the acquired pic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marker moves or stops.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continued or completed, or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started, continued, or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marker moves or stops. .

또는, 미리 정해진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마커 인식에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2309).Alternatively, when the predetermined marker is not recognized, the controller 100 notifies the user that the marker recognition has failed (S2309).

예컨대, 마커에 방해물이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가 마커가 포함된 사진을 획득하지 못하거나, 제어부(100)가 획득된 사진으로부터 마커를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마커 인식에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정보, 방해물 제거 등 마커 인식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을 알리는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14)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bstacle is located in the marker, the camera may not be able to acquire a picture including the marker, or the controller 100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marker from the acquired pictur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0 may notif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4 or the lik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marker recognition has failed, information indicating a method for successfully recognizing the marker, such as removing an obstacle.

이어서, 제어부(100)는 마커 인식에 실패한 경우, 카메라를 통해 새롭게 획득된 사진을 처리하여 미리 정해진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n, when the recognition of the marker fails, the controller 100 may repeatedly perform the step of recognizing a predetermined marker by processing a newly acquired picture through the camera.

다시 도 34를 참조하면, 마커 인식 후, 드로워 닫힘 동작이 감지되면(S2105), 제어부(100)는 해당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통해 드로워 내부(상기 제3영역(62))를 포함하는 최종 사진을 획득한다(S2107). 이때, 제어부(100)가 획득하는 드로워 내부의 최종 사진에는, 드로워 닫힘 동작이 감지되기 직전의 드로워 내부의 모습 또는 드로워 닫힘 동작이 감지된 직후의 드로워 내부의 모습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back to FIG. 34 , after marker recognition, when a drawer closing operation is detected (S2105), the control unit 100 includes the inside of the drawer (the third area 62) through the picture taken at that time. A final picture is acquired (S2107). At this time, in the final picture of the inside of the drawer obtained by the controller 100, the inside of the drawer just before the drawer closing operation is sensed or the inside of the drawer immediately after the drawer closing operation is sensed may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드로워 닫힘 동작의 감지 여부는 도 3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ether the drawer closing operation is sen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8 .

도 3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닫힘 동작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a closing operation of a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드로워(50)의 열림 동작 종료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1). 예컨대, 제어부(100)는 앞서 획득된 드로워(50)의 사진으로부터 마커을 인식하고, 마커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마커의 이동을 멈추었음을 감지하는 경우에, 드로워(50)의 열림 동작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end of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detected ( S2501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0 recognizes the marker from the previously acquired picture of the drawer 50, tracks the movement of the marker, and when it detects that the movement of the marker has stoppe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You can detect that it has ended.

이어서, 제어부(100)는 드로워(50)의 닫힘 동작 개시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3). 예컨대, 제어부(100)는 마커가 이동을 멈추었다가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에, 드로워(50)의 닫힘 동작이 개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of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is detected (S2503). For example, when the marker stops moving and starts moving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ntroller 100 may sense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has star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드로워 닫힘 동작을 감지한 제어부(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0 that senses a drawer closing operation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9 .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닫힘 동작의 완료 감지시 수행되는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performed when the completion of a drawer closing opera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0)는 드로워 닫힘 동작 종료가 감지된 경우(S2701), 마커 인식을 통한 최종 사진 획득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03).When the end of the drawer closing operation is sensed (S2701),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nal photo acquisition through marker recognition is successful (S2703).

제어부(100)는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의 영상 처리를 통해 드로워(50)의 닫힘 동작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0 may detect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50 has ended through image processing of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

제어부(100)는 방해물 등에 의하여 마커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결과, 최종 사진 획득에 실패한 경우, 마커 인식에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2705).The controller 100 notifies the user that the marker recognition has failed when the final picture fails to be acquired as a result of the marker not being recognized normally due to an obstacle or the like (S2705).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14)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마커 인식에 실패하였다는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방해물을 제거하도록 안내하고, 정상적인 마커 인식과 최종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드로워을 인출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0 may notify the user of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marker through the display 14 or the like. This guides the user to remove the obstruction, and may induce the drawer to be pulled out for normal marker recognition and final image acquisition.

다시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14) 등을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표시한다(S2109).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는 획득된 최종 사진에서 제3영역(62)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발췌한 부분일 수 있다. 다음은 도 4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이미지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34 ,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final image using the display 14 or the like ( S2109 ). In this case, the form provided to the user may be a portion extracted from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area 62 from the obtained final photograph. Next, with reference to FIG. 40, the final imag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시점에 촬영된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of a specific area inside a refrigerator captu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최종 사진을 획득하여(S2901), 최종 사진 중에 원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잘라낼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최종 이미지를 저장부(18)에 저장한다(S2903).Referring to FIG. 40 , the controller 100 may obtain a final picture ( S2901 ), and crop an image corresponding to a desired area from among the final picture. Then, the obtained final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S2903).

이어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서 최종 이미지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905).Next,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user input for displaying a final image is received through a user input or the like (S2905).

예컨대, 최종 사진 획득시,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14)에 최종 사진 획득 성공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아이콘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아이콘이 선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입력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에 형성된 아이콘 이외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 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cquiring the final picture, the control unit 100 may form a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n icon on the display 14 composed of a touch screen along with information notifying the success of the final picture acquisition,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icon is selected, the use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is received.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physical key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icon formed on the touch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제어부(100)는 최종 사진에서 가공된 최종 이미지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최종 이미지를 표시한다(S2907).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14)를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최종 이미지의 표시는 기존의 이미지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이미지의 업데이트라 할 수 있다.Next,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e final image processed from the final photo,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final image (S2907).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the final image using the display 14 . The display of such a final image can be said to be displayed by replacing the existing image. Therefore, it can be called an update of the final image.

물론, 이러한 최종 이미지의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입력과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updating of the final imag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regardless of a user's inpu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드로워 등에 미리 형성된 마커을 인식하여 드로워 등의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드로워 등에 보관된 저장물의 최종 상태를 이미지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냉장고는 드로워 등에 형성된 마커을 이용하여, 드로워 등의 최종 저장 상태를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may detect whether the drawer or the like moves by recognizing a marker previously formed on the draw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may acquire the final state of the storage stored in the drawer or the like in the form of an image using a camera installed therein. In this case, the refrigerator may determine an optimal time point at which the final storage state of the drawer or the like can be obtained by using a marker formed on the drawer or the like.

이하, 카메라의 설치위치 및 그에 따라 획득가능한 사진에 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pictures obtainable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드로워(50)의 바깥, 즉 상기 저장실(22)에 카메라(70)를 설치하여 드로워(50) 내부와 드로워(50)를 형성하는 드로워 몸체(즉, 전후측벽, 양측벽의 상부 등을 포함)의 이동 경로까지를 포함하는 사진을 연속적으로 촬영해서 드로워 내부 물품 보관 상태 뿐만 아니라 드로워의 이동상태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70)에서 촬영되는 사진은 드로워(50)의 상측 공간, 즉 제1영역(42)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함께 촬영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70 is installed outside the drawer 50, that is,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and the drawer body (ie, the drawer 50) is formed inside the drawer 50 and the drawer 50 is formed. By continuously taking pictures inclu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the upper part of both walls, etc.),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cognize the state of storage of items inside the drawer as well as the state of movement of the drawer. Of course,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is taken together with the upper space of the drawer 50 , that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42 .

기본적으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은 드로워의 개폐 동작과 드로워가 이동하는 경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카메라는 드로워의 외부에서 드로워의 개폐 및 이동 경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카메라는 적어도 드로워가 닫힌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모두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sically,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should be able to include both the opening/closing action of the drawer and the path the drawer moves. Therefore, the camera must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ning/closing and movement path of the drawer can be photographed from the outside of the drawe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t least the drawer can take both the closed state and the fully open state as one picture.

더 나아가,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 영역 뿐만 아니라 저장실의 또 다른 저장영역, 예를 들어 선반에 의해 분할되어 식품 또는 물품이 보관되고 있는 선반 영역까지 한 번의 촬영으로 하나의 사진에 모두 포함되게 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드로워영역을 포함한 다른 저장영역, 즉 복수 개의 저장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amera 70 includes not only the drawer area but also another storage area of the storage room, for example, a shelf area where food or articles are stored by being divided by a shelf to be included in one picture with one shot. Thus, one camera can be configured to cover another storage area including the drawer area, that is,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이를 위해 상기 드로워(50)는 냉장고 저장실 내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50)는 전면벽(front wall)과 두 개의 양측벽(side walls), 후면벽(rear wall)과 바닥면(bottom wall)과 상부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50)에 대해 적어도 드로워 내부의 일부와 드로워가 완전 개방된 상태의 드로워의 전면벽 상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드로워 상부에 마련해야 한다. To this end, the drawer 5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The drawer 50 may include a front wall, two side walls, a rear wall, a bottom wall, and an upper opening. The camera 70 should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draw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lly opened can be exposed with respect to the drawer 50 .

그리고, 특정 무늬로 이루어진 인쇄부(Marker)를 상기 카메라에 노출되는 드로워의 전면벽 또는 양측벽 상면의 어느 위치에 형성 또는 부착시킨다. And, a printing part (Marker) made of a specific pattern is formed or attached to any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r both side walls of the drawer exposed to the camera.

이때, 카메라(70)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50)의 인쇄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명령을 받으면 일정 속도로 연속 촬영을 하게 되고, 촬영된 고내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제어부(10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00)는 카메라(70)로부터 전송 받은 고내 물품 보관에 관한 사진으로부터 상기 인쇄부의 위치를 추적하여 드로워의 개방 상태는 물론 드로워의 이동 등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amera 7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rt of the drawer 50 to be relatively changed. That is, when the camera 70 receives a driving command from the controller, it continuously shoots at a constant speed, and sequentially transmits the captured images to the controller 100 . The control unit 100 tracks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unit from the photo related to the storage of items in the refrigerator received from the camera 70 to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drawer movement as well as the open state of the drawer.

상기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는 카메라의 화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수직 방향에 대한 촬영 범위를 의미하는 수직 화각과 수평방향에 대한 촬영 범위를 결정하는 수평 화각으로 이루어진다. The range in which the camera can photograph may be determined by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and it includes a vertical angle of view indicating a photographing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angle of view determining a photographing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의 일단은 적어도 상기 드로워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의 드로워 전면벽을 포함하여야 하며, 타단은 드로워 닫힘 상태에서 드로워 전면벽 또는 양측벽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인쇄부가 드러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까지, 일례로 드로워 상부 개구를 덮고 있는 드로워 상측의 전면 일부까지는 포함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One end of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should include at least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fully opene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front wall or both sides of the drawer in the closed state. It should be decided to include up to a portion whe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rt is not exposed, for example, up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이때 하나의 카메라로 드로워 내부영역과 더불어 또 다른 저장공간을 동시에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드로워가 닫힌 상태의 드로워 전면벽과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 사이에 상기 드로워가 열린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부분인 저장실 바닥면에 별도의 수납공간(이하 저장실 바닥 수납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이 드로워 완전 개방과 드로워 완전 닫힘 상태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에서도 드로워 내부 영역을 포함한 또 다른 저장공간(바닥 수납칸)을 함께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cognize the drawer internal area and another storage space with one camera.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storage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parate storage sp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drawer is partially overlapped in the open state between the front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ront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drawer is closed. storage compartment floor)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other storage space (floor storage compartment) including the drawer inner area even in the shooting range including the drawer fully open and drawer fully closed states. may be

한편,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드로워 내부 영역과 상기 선반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선반들 중 어느 한 부분까지를 포함할 수 있도록 수직 화각의 타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 수직각이 선반영역을 포함하도록 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례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들 중에서 가장 최상단의 선반의 일부까지를 포함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저장실 최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최상단 선반의 후단부까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ertical angle of view of the camera 70 , the drawer inner area and the shelf area may be photographed simultaneous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angle of view so as to include up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helv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In making the camera vertical angle to include the shelf area, a preferred example may include up to a part of the topmost shelf among the plurality of shelves,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the top shelf disposed at the top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include the rear end.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드로워 내부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두 개의 저장공간의 물품 보관 상태를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하나의 사진 으로 확인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orage state of the items in at least two storage spaces including the drawer inner area by one camera with one picture taken with one camera.

이를 위해 저장실 저부에 형성된 드로워에 대해 카메라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가 필요한데, 본원 발명의 발명자들은 우선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개된 자료를 통해 개시되거나 알려 진 카메라 설치 위치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냉장고 저장실 외부의 도어 상단에 설치하여 저장실 내부를 촬영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To this end, a preferre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is required for the draw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mpartment. Firs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viewed the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disclosed or known through the published data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examin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by installing it on the top of the door outside the refrigerator storage room.

저장실 외부(도어)에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카메라가 항상 외부 온도에 노출되어 있어 카메라 주변에 결로가 형성되지 않아 별도의 결로 방지 구조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로워 내부와 저장실 내의 저장공간에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는 작업은 항상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로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취지는 드로워 외부에서 드로워의 움직임 상태 뿐만 아니라 드로워 내부의 물품 보관 상태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드로워에서의 사용자 작업은 항상 도어가 열린 상태이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드로워 또한 닫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취지에는 전혀 부합되지 않는다.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room (d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anti-condensation structure is unnecessary because the camera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emperature so that no dew condensation is formed around the camera.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with a camera mounted on the door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user to store the goods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drawer and the storage chamber is always performed with the door open.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state of storage of articles inside the drawer as well as the state of movement of the drawer from the outside of the drawer. However, the user's operation in the drawer is always in an open state,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rawer is also in a closed state, which does not match the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취지인 적어도 드로워 내부와 드로워의 움직임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고외가 아닌 고내, 즉 촬영하고자 하는 드로워가 존재하는 본체 저장실에서 상기 저장실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photograph at least the inside of the drawer and the movement state of the drawer, which i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torage room so that the storage room can be photographed in the storage room of the main body where the drawer to be photographed exists, not outside the refrigerator.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취지에 맞추어, 상기 카메라를 드로워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부에서 카메라 방향을 본체 저장실의 개구부측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할 경우, 우선 선반영역의 촬영은 불가능하고 선반에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 설치와 배선이 곤란하며, 드로워의 이동경로를 모두 담아 내기 위해서는 광각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므로 촬영된 영상에 왜곡현상이 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with the camera direction facing the opening side of the main body storage compartment from the lower part of any one of the shelve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it is impossible to photograph the shelf area firs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wire the drive unit that can drive the camera on the shelf, and since a wide-angle camera must be used to capture all the movement paths of the drawer,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distortion phenomenon in the captured image increases.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드로워가 노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의 저장실 측벽에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냉장고 저장실 좌우 방향으로 카메라로부터의 거리 차이로 인한 비대칭 영상 때문에 드로워 내부의 물품 보관 상태를 보이는 이미지에 왜곡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room in the range where the drawer can be exposed, distortion is in the image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the goods inside the drawer due to an asymmetric image due to the difference in distance from the camer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storage room I knew it was seriou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atisfaction of these users can be greatly reduc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일 취지는 별도의 센서 없이도 드로워의 이동상태를 추적하여 드로워의 열림/닫힘 상태와 그 정도를 감지하고자 하는 것인데 상기 비대칭 영상에는 드로워 전면벽 또는 양측벽 상면에 위치한 인쇄부(Marker)가 상대적으로 확대된 상태(영상 왜곡)로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전체 크기에 대해 상기 마커 부분이 차지하는 크기(픽셀크기)가 커져 상대적으로 위치 변경이 잘 드러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마커 위치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처리해야 할 범위가 커져 영상 처리 시간이 커질 수 있으므로 연속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놓치거나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다. Above a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open/closed state and the extent of the drawer by tracking the movement state of the drawer without a separate sensor. The marker may be photographed in a relatively enlarged state (image distortion). Accordingly, the size (pixel size) occupied by the marker portion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entire size constituting one image, so that the position change may not be easily revealed. In addition, since the image processing time may in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range to be proces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rker position has changed, continuously transmitted images may be missed or unable to be processed.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이미 알려진 저장실 측벽이나 모서리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은 본원 발명의 취지에 부합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found that installing the camera on the side wall or corner of the storage room, which was already know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카메라를 상기 드로워 상부 개구면에 대응되는 저장실 상부벽에 설치하되, 상기 드로워가 닫힘 상태와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투영된 상기 저장실의 상부면의 범위 내에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의 방향은 저장실의 후벽측을 향해 저장실 내부를 향하되,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저장실의 후벽면의 어느 한 지점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 기울여 설치하였다. 이로써,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의 수직각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왜곡 현상이 최소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is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rawer and the fully open state of the drawer are proj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Installed within the range, the direction of the camera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toward the rear wall 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e focus of the camera was install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 face any one point on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obtain an image in which distortion was minimized in the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정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냉장고 저장실 상부벽에 설치하되,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서 상기 저장실에 상하로 배치된 선반들 중에서 최상단 선반의 전단부가 상기 저장실 상부벽에 투영되는 위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기 카메라의 방향은 저장실의 후벽측을 향해 저장실 내부를 향하되, 상기 카메라의 초점은 저장실의 후벽면의 어느 한 지점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 기울여 설치하는 것이다.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ront end of the uppermost shelf among the shelves disposed vertically in the storage compartment at the front open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on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It is placed between the projected position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toward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focus of the camera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ace any one point on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실 상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드로워 전면벽 또는 양측벽 상면에 위치되는 인쇄부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벽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실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위치에 하방으로 대응되는 드로워 전면벽 상면 부근을 제안한다.The camera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printing unit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r both sides of the drawer to correspond to this are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More preferably,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corresponding downward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is proposed.

하나의 저장실의 개구부를 한 개 이상의 도어들, 즉 좌우측 도어로 개폐하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측 도어의 경계가 되는 위치의 저장실 상면부(천정면)에 상기 카메라를 설치하고, 좌우 각각 존재하는 드로워일 경우 인쇄부는 좌우 경계부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시킨다. 즉, 저장실 내부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 드로워는 전면벽 우측 상면 또는 우측 측벽 상면 끝단에, 우측 드로워는 전면벽 좌측 상면 또는 좌측 측벽 상면 끝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의 수직 하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인쇄부들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직 하부에서 좌우로 멀어질수록 인쇄부의 왜곡 발생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가 도 41b에 도시되어 있다.I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opening of on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doors, that is, the left and right doors, the camer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t a position that becomes the bounda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doors, In this case, the printing part is located near the left and right borders.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view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drawer is located on the right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r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wall, and the right drawer is located on the left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r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wall.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nting parts are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camera. This is because, as the distance from the vertical lower part to the left and righ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printing part increases.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41B .

이때, 상기 좌우측 드로워의 전면벽 상면 양측이나 양측면 상면 끝단에 모두 인쇄부를 설치할 경우, 좌우측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사용되는 드로워들은 좌우측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어 드로워의 사용에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inting par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left and right drawers or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the drawers used in the storage room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doors can be us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can increase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위치와 인쇄부 위치에 따르면, 고정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 안에 드로워가 닫힌 상태에서부터 열림 상태가 될 때까지의 이동경로 모두가 포함되므로, 별도의 센서장치 없이 드로워의 개폐상태 뿐만 아니라 개폐 정도 그리고 드로워의 정지 또는 이동 까지를 감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드로워 내부의 물품의 보관상태를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감지 또는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mera position and the print unit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movement path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of the drawer are included within the shooting range of the fixed camera.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rawer, but als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and the stop or movement of the drawer, and at the same time, the storage status of the items inside the drawer can be detected or checked by a single camera.

또한, 드로워 내부영역 이외에 저장실 바닥면에 설치된 바닥 수납칸의 물품 보관 상태도 드로워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카메라로 복수개의 저장영역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state of items in the floor storage compartmen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torage room other than the inner region of the drawer can be checked when the drawer is closed, a plurality of storage regions can be recognized with one camera.

그리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이 선반영역까지 확대할 경우에는 드로워내부영역은 물론, 저장실 바닥 수납칸과 선방영역까지 하나의 카메라로 3가지 저장영역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is extended to the shelf area, three storage areas can be selectively recognized with one camera, including the drawer inner area as well as the storage room floor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ront area.

한편, 저장실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와 드로워 상부에 형성 또는 부착된 인쇄부가 상하로 대략 일렬로 배열(Alignment)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전송된 고내에 대한 전체 이미지에서 인쇄부 부분의 왜곡이 거의 없으며, 인쇄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처리를 통해 인쇄부의 위치를 추적하고 판단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mera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printing part formed o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are arranged in an approximately line up and down, the printing part is part of the entire image of the cabinet taken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There is almost no distortion,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printing part can be relatively minimized,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for tracking and judg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rt through image processing.

이하 드로워에 형성된 마커 추적 인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cognizing a marker formed in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카메라에 노출되는 드로워 몸체의 특정 부분에 영상 판독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쇄부(marker 또는 Printing paper)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Marker부의 위치를 추적하여 드로워의 열림/닫힘 정도,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Marker부가 상기 드로워의 이동경로 상에서 닫힘 위치에서 완전 개방 위치까지 카메라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Marker부의 위치에 의해서 드로워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연속 촬영되는 사진들 내에서 마커의 위치 변화를 통해서, 드로워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A printing part (marker or printing paper) that can be recognized by image reading can be installed on a specific part of the drawer body exposed to the camera.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egree of opening/closing of the drawer, and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marker par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camera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fully open positio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drawer, and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rawer can be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marker part. That is,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drawer can be determined throug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the continuously taken pictures.

인쇄부(Marker)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이동상황 또는 개폐상태를 추적하여 인식하기 위하여 특정 형태의 무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쇄부는 카메라에 노출된 드로워 상부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unit (Marker) may be formed of a specific pattern in order to track and recognize the movement or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rawer. In this case, the printing unit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exposed to the camera.

상기 인쇄부는 드로워의 전면벽 상단이나 드로워의 양측벽의 상단에서 드로워의 최대 열림 부분의 경계가 될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inting unit is installed at a portion that can be the boundary of the maximum opening portion of the drawer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or at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wall of the drawer.

상기 인쇄부의 무늬 형태는 일정 크기의 일정 모양을 갖는 무늬가 서로 대비되는 색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모양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물결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ttern shape of the printing unit may be formed as a pattern in which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f a certain size are repeated in contrasting colors, and the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triangle, a circle, and a wavy shape.

이러한 인쇄부는 냉장고의 전체적인 미감을 떨어지게 할 수 있는 우려가 있을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미감에 거부감이 없도록 패턴의 반복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서는 사용자에게 미감을 어필할 수 있는 형태의 인쇄부를 고려할 수 있다.Such a printing unit may have a risk of deteriorating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refrigerator, and thus may have a rejection feeling depending on the us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repetition of the pattern so that there is no objection to the aesthetic sense felt by the user, and furthermore, a printing unit having a form that can appeal to the user can be considered.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적 측면의 제한은 단순히 디자인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드로워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발생하게 된다. 즉, 드로워의 인쇄부의 인식률에 영향을 주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드로워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is design limitation is not limited to a simple design problem, and a cas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awer cannot be accurately recognized occurs. That is, it affects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inting part of the drawer, and ultimately it is possible to result in not being able to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awer.

즉, 인쇄부의 크기를 대폭 줄여야 하는 디자인적 요소를 감안하면, 일정한 형상의 무늬로 대비되는 색을 가지고 수차례 반복하지 못하고, 2회~4회 정도만 반복하는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내를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제어부가 전체 이미지에서 인쇄부(마커)의 경계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element that need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printing part, it is not possible to repeat the pattern several times with a contrasting color with a pattern of a certain shape, bu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egree of repeating only 2 to 4 time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that processes the image captured inside the refrigerator may not be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boundary of the printing unit (marker) in the entire imag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 드로워는 밝은 색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비되는 색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1a를 참조하면, 그리고 드로워의 이동방향(전후 진행)에 대해 수직 방향의 길이(L1)가 드로워 이동방향의 길이(L2)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색상부를 형성하되, 상기 드로워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제1색상부 전방 또는 후방에 대략 동일 두께로 상기 제1색상부와 대비되는 색 또는 드로워와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제2색상부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1색상부와 동일한 색으로 대략 동일한 두께로 동일 길이로 반복 형성한다. 즉 제1색상부와 제2색상부를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1색상부, 제2색상부, 제1색상부로 배치된 마커의 외곽 사이즈에서 드로워 방향의 길이(L2)보다 수직 방향의 길이(L1)가 더 크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select a contrasting color because the drawer is usually made of a bright color or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ferring to FIG. 41A , the length L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back and forth) of the drawer may be set longer than the length L2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And forming a first color part having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or contrasting with the first color part or the same color as the drawer with about the same thickness in front or rear of the first color part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A second color part made of a is formed, an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first color part and repeatedly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same length. That is,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arrange the first color part and the second color par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ength L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length L2 in the drawer direction in the outer size of the markers arranged as the first color part, the second color part, and the first color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마커 형태에 의하면, 도 41b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단의 제1색상부의 양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색상부를 감싸는 형태도 가능하다. 앞에서 보이는 마커 형태의 제3실시예는 바로 이러한 구조를 보이는 예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orm of the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first color part at the front and rear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rround the second color part as shown in FIG. 41B.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orm of a marker shown above may be an example showing such a structure.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마커의 실시예는 드로워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길이(L1)가 드로워 이동방향의 길이(L2)보다 크게 형성하되, 드로워와 경계되는 부분(특히 드로워 진행방향에 대해)에 드로워와 대비되는 색(어두운 색)을 형성시키고, 그 가운데는 어두운 색에 대비되는 밝은 색 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rker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L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is larger than the length (L2)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but the portion bordering the drawer (especially the drawer) The color (dark color) that contrasts with the drawer is formed in the lower moving direction), and the bright color part that contrasts with the dark color is included in the middle.

이렇게 인쇄부를 구성하면,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미감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로 촬영된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서 인쇄부 부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인쇄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영상 처리 영역이 그만큼 작아져 영상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연속으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촬영 속도에 제어부의 영상 처리속도가 부합하는데 유리하게 작용되어, 정확한 시점에 영상을 획득하는 정확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일례로, 연속 촬영되는 사진들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부분의 크기가 크다면 제어부의 부하가 많이 걸린다. 따라서, 매우 고가의 제어부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처리되어야 하는 부분의 크기가 작다면, 제어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저가의 제어부를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inting unit is configured in this way, since it can be configured in a small size, not only can the user's requirements for aesthetics be satisfied, but also the size of the printing unit is relatively small in one whol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area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unit is reduced by that much,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This advantageously works to match the image processing speed of the control unit to the image capturing speed that is continuously captured and transmitted, so that the accuracy of obtaining an image at an accurate time is further improved.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portion to be processed in the pictures taken continuously is large, a load of the control unit is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very expensive control unit. However, if the size of the part to be processed is small, the load on the control unit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cess an image even if a low-cost control unit is used.

한편,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를 보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의 용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마커는 문자, 기호 또는 문양을 포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1B , the marker may preferably include a character, a symbol, or a patter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purpose of the marker by looking at the marker.

이하 드로워의 마커 좌표 인식과 카메라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rker coordinate recognition of the drawer and the camera image processing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42는 마커 위치 인식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42를 참조해서 드로워의 마커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marker position. Hereinafter,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marker position of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2 .

사용자가 드로워 내부에 물품을 새로이 수납(입고)하거나 출고하고자 할때, 사용자는 먼저 도어를 오픈하게 된다. 도어가 저장실의 전면에서 분리되면 도어 스위치가 감지하고, 제어부는 상기 도어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대기 중에 있는 카메라를 구동하게 된다. 제어부의 구동명령을 받은 카메라는 대기전압 상태가 아닌 카메라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카메라를 구동 준비를 마치고 연속 촬영을 개시하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store (wear) or release an item inside the drawer, the user first opens the door. When the door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storage room, the door switch detects i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door switch and drives the camera in standby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When the camera receiving the driving command from the controller applies the camera driving voltage instead of the standby voltage state, the camera is ready to drive and continuous shooting starts.

사용자는 이어서 냉장고 저장실에 장착되어 있는 드로워의 전면벽의 손잡이를 잡고 드로워을 잡아 당겨 드로워를 개방하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연속 촬영을 하고 있으므로 드로워의 열림 상태를 일정 간격으로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영상을 보내게 된다.The user will then try to open the drawer by grabbing the handle on the front wall of the draw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and pulling the drawer. At this time, since the camera is continuously shooting, the image is sent to the control unit by shooting the open state of the drawer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드로워의 일 부분 중에서 상기 카메라에 노출되는 부위에는 일정 형태의 마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에서 보내진 영상을 받은 제어부는 전체 이미지를 일정 픽셀로 나누어 일정한 간격으로 좌표값을 부여하고, 상기 이미지의 좌표상에 상기 마커의 좌표를 분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marker of a certain typ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drawer exposed to the camera, and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image sent from the camera divides the entire image into predetermined pixels and assigns coordinate values at regular intervals,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on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are analyzed.

따라서, 드로워가 닫힌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제어부로 보내지면, 해당 이미지 마커 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될 것이고, 이때의 마커 좌표는 0의 좌표를 갖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an image captured while the drawer is closed is sent to the control unit, the corresponding image marker portion will not be exposed, and the marker coordinates at this time will have a coordinate of 0.

사용자가 닫힌 상태의 드로워를 열게 되면 마커가 노출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촬영하게 되고, 카메라는 마커가 포함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 영상이 제어부로 보내지면 제어부는 전체 이미지 상에서 마커의 좌표값을 인식하고 이전 위치와 비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2의 'A' 지점은 마커의 좌표값이 '0'에서 일정 좌표값 예로써 '50'으로 바뀌게 되면, 제어부를 좌표값이 변경된 것으로부터 드로워가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0'에서 변화 되었을 경우에는 드로워가 이제 막 열리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 opens the closed drawer, the camera takes a picture with the marker exposed, and the camera can take a picture including the marker. When this image is sen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markers on the entire image and compares them with the previous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at point 'A' in FIG. 42 is changed from '0' to '50' as an example of a constant coordinate value,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at the drawer is moving from the changed coordinate value. have. In particular, when it is changed from '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has just begun to open.

사용자가 계속해서 드로워를 개방하면,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드로워가 이동하고 있으며, 좌표값이 더 큰 값으로 변하는 것으로부터 드로워가 열리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user continues to open the drawer,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rawer is being opened because the drawer is moving and the coordinate value changes to a larger valu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드로워를 완전 개방된 상태까지 열게 되면, 제어부는 좌표값이 더 이상 변화가 없음을 인식하고 드로워가 완전 개방되었거나, 또는 드로워가 열려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2의 'B'의 지점은 마커의 좌표값이 '90'에서 '90'으로 변하지 않은 지점이므로 '드로워가 정지된 상태'로 인식하거나 '드로워가 완전히 개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ns the drawer to the fully opened state,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coordinate value is no longer changed and determines that the drawer is fully opened or that the drawer is open and stopped. For example, the point of 'B' in FIG. 42 is a point wher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does not change from '90' to '90', so it is recognized as 'the drawer is in a stopped state' or as 'the drawer is completely open' can judge

통상 드로워가 열린 후에, 완전 개방되었거나 일부 개방되었거나 상관없이, 정지된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드로워에 대해 어떤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드로워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카메라는 계속해서 고내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에 보내고 제어부는 마커의 좌표에 변화가 있는지를 감시하게 된다. In general, after the drawer is ope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drawer is fully opened or partially opened, if the drawer is in a stopped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erforming a certain operation on the drawer. In this way, even when the drawer is stopped, the camera continues to take pictures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send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onitor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사용자가 드로워에 물품을 입고하거나 드로워로부터 물품을 빼내는 행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드로워를 닫게 되고, 이때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어부에서 전체 이미지에 대한 마커 좌표값이 변동된 것을 확인하게 되어 드로워가 다시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42의 'C' 지점은 마커의 좌표값이 '90'에서 '70'으로 변화되는 지점이고 좌표값의 크기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화 된 것으로부터 드로워가 이제 막 닫히기 시작한 것으로 사용자가 드로워에 대해 작업을 완료한 직후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completes the act of putting the item into the drawer or taking the item out of the drawer, the user closes the drawer agai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moving again. For example, point 'C' in FIG. 42 is a point wher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changes from '90' to '70', and the drawer has just started closing from the chang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coordinate value is reduced. It can be determined immediately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operation on the drawer.

동일한 방법으로 마커의 좌표값이 '0', 즉 마커가 이미지로부터 인식되지 않게 되면, 드로워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In the same way, wh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is '0', that is, when the marker is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completely closed.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제어부가 한 개의 전체 사진의 좌표에 의해 마커 위치를 파악하여, 드로워의 이동과 정지상태, 드로워의 닫힘과 열림, 드로워의 개방 정도, 드로워가 열리기 시작하는지, 드로워가 닫히기 시작하는 지등에 대해 추적하고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From the video taken by the camera, the control unit grasps the marker posi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one entire picture, and whether the drawer moves and stops, the close and open of the drawer,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rawer, the drawer starts to open, The method for tracking and judging whether the drawer starts to close has been described.

이하, 드로워의 마커 위치에 따른 카메라 영상 처리 및 원하는 영상 획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의 이동 상태로부터 드로워의 내부 영상을 어떻게 처리하고 획득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특히 사용자가 드로워에 대한 작업을 마무리한 직후라고 판단되는 시점의 영상을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camera image processing and a desired image acqui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arker position of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A detailed method of how to process and obtain an internal image of the drawer from the moving state of the drawer, in particular, a method of obtaining an image at a point in time determined immediately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operation on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드로워의 마커 좌표가 '0'에 그 이상으로 변하여 드로워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제어부로 보내진 고내 영상에 대해 제어부는 좌표 변화만을 감지하고, 상기 전체 사진을 임시 버퍼에서 버퍼링하고 사진에 구획된 각 저장 영역에 대해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는다.When the marker coordinates of the drawer change to '0' or mor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 is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opened, the control unit detects only the coordinate change for the in-hous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sent to the control unit, and displays the entire picture. Buffered in a temporary buffer and no processing is performed for each storage area partitioned in the photo.

드로워가 계속 열려 완전 개방상태에 이르거나 일정 정도 개방되어 정지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드로워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상황이 진행된다. 상기 제어부는 마커의 좌표가 변화없다는 것으로부터 이러한 상태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부터 전송되는 영상에 대해 전체 이미지에서 각각 구획된 저장영역에서 드로워영역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드로워 임시 버퍼로 이동하여 저장한다. 즉, 상기 그림에서 'D'지점에 해당되는 구간에서는 제어부는 고내 전체 사진 중 드로워 영역으로 구획된 부분에서 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어 드로워 영역에 대한 임시 버퍼로 이동시키는데 이를 '드로워 내부 영상 refresh 구간'이라고 정의한다. When the drawer is continuously opened to reach a fully open state or is opened to a certain extent and is in a stopped stat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n the drawer proceed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is state from the fact that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do not change, and from this time on, for the transmitted imag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area from the storage area partitioned from the entire image is moved to the drawer temporary buffer and stored. do. That is,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point 'D'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cuts out the necessary part from the part partitioned by the drawer area among the entire picture inside the store and moves it to a temporary buffer for the drawer area, which is called the 'drawer internal image refresh section'. ' is defined as

다시 말해, 드로워가 열리고 있는 구간과 드로워가 정지 상태에 있는 구간에서의 이미지 처리 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사용자의 드로워에 대한 작업 행위는 드로워가 정지 상태에서 이루어질 것임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드로워가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좌표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영상 처리 시간이 그만큼 빨라 질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s different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opened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in a stationary state. The reason is that the user's action on the drawer reflects that the drawer will be in a stationary state. As a result,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awer moves, the image processing time for tracking the coordinate change can be increased that much,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한편, 드로워가 정지 상태에서 다시 닫히기 시작하면, 제어부는 좌표값이 더 작은 값으로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한 직후라고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상기 드로워 내부 영상에 대한 임시 버퍼에서 임시적으로 버퍼링되고 있는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한 직후의 드로워 내부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er starts to close again from a stop stat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completes the task immediately from the coordinate value changing to a smaller value, and at that point in the temporary buffer for the image inside the drawer Among the temporarily buffered images, the most recent image is selected and saved. That is, the image of the inner area of the drawer is captured immediately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operation.

이렇게 캡처(저장)된 가장 최신의 드로워영역의 물품 보관 상태에 대한 이미지는 제어부에 온라인 또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해당 영역의 이미지를 교체하거나, 네트웍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웍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어 있는 최신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할 때 수시로 냉장고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네트웍 서버와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제공된다.The captured (stored) image of the item storage status of the most recent drawer area replaces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connected online or directly to the control unit, or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server. In addition, the latest imag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network server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through a displa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or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server whenever a user wants.

다음으로, 드로워가 촬영된 사진 전체에 대해 마커의 위치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구간을 선택해서 마커의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in which the drawer selects a specific section and searches for the position of the marker, rather than searching for the position of the marker for the entire photographed picture.

즉 드로워 영역에 대한 검색 범위(Search Range)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로워의 이동경로 상에서 드로워의 개방 정도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각 구간에서 마커를 추적하는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사진의 처리(분석) 시간을 단축시켜, 영상 처리 속도와 카메라 촬영 속도와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a search range for the drawer area. On the movement path of the drawer,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rawer is divided by section, so that the method of tracking the marker in each section can be different. Thereb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cessing (analysis) time of the picture taken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and to match the image processing speed and the camera shooting speed.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사용 중인 드로워는 드로워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라 하더라도 저장실로부터 드로워가 분리되어 외부로 떨어져 나갈 정도로 드로워의 전체가 인출되지 못한다. 즉 드로워가 통상적으로 인출 가능한 거리, 통상 개방 거리는 드로워 전체 깊이(드로워 이동방향에 대한 드로워 전후 길이)의 약 50% 정도가 인출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in the drawer being used in the refrigerator, even when the drawer is fully opened, the entire drawer cannot be withdrawn to such an extent that the drawer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and falls to the outside. That is, it is common that about 50% of the drawer's total depth (the length before and after the draw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awer) is drawn out at the distance that the drawer can normally be drawn out, the normal opening distance.

상기 드로워 인출거리는 제어부가 처리하는 전체 이미지에서 드로워 마커의 좌표를 부여해야 하는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에서는 드로워가 인출되는 시점부터 드로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드로워의 마커 좌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드로워 인출거리에 해당되는 크기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크기가 된다. 또한, 좌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2개의 영상을 동시에 비교해서 판단해야 하고, 이러한 과정의 처리 시간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속도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 부담이 발생될 수 있다.The drawer pull-out distance may be determined as an area to which coordinates of the drawer marker should be assigned in the entire imag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awer from the time the drawer is withdrawn. In particular,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the marker coordinates of the drawer,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withdrawal distance becomes the data size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coordinates, the controller has to compare and determine two images at the same time,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is process may be burdened with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 speed of photographing by the camera.

상기 카메라에서 고내를 촬영하는 속도(사진을 촬영하는 시간 간격)는 제어부가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판단하고 처리하는 속도와 대략 매칭되도록 카메라의 촬영 속도가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hooting speed of the camera is determined so that the speed at which the camera takes pictures (time interval at which pictures are taken) roughly matches the speed at which the controller determines and processes the image from the transmitted image.

이런 방식을 따르게 되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에 대해서 지체없이 마커의 위치를 파악하고, 결국 드로워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고내에 대한 전체 사진에서 각 저장공간 별로 구획되어 있는 영역별 이미지를 처리하면서, 상기 카메라에서 연속으로 보내오는 새로운 영상을 이미지화하여 처리하는데는 무리가 없게 된다. 즉, 전체 이미지로부터 도어가 열림 상태인지 드로워가 열림상태인지에 따라 해당 영역별 이미지를 잘라 각 영역별 임시 버퍼로 이동하는 등의 처리를 하는데 카메라에서 찰영한 모든 영상에 대해 놓치지 않고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f this method is followed, the position of the marker can be grasped without delay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and the position of the drawer can be finally determined. In addition, while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images for each area partitioned for each storage space in the entire picture of the interior, there is no difficulty in processing the new image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camera into images.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 or the drawer is open from the entire image, the image for each area is cut and moved to a temporary buffer for each area. All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can be processed without missing will be done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크기만큼의 두 개의 이미지(이전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제어부의 처리 능력이 커져야 하므로, 이런 조건에 맞추어 제어부의 처리용량을 키우면 프로세서 단가가 급격히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가 열리지 않았을 때의 이미지 처리를 위해서는 처리 능력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효율적인 부품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data for two images (previous image and current image) of the same size as described above must be processed, the processing power of the control unit needs to be increased. have. In addition, for image processing when the drawer is not opened, the processing power becomes too large,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efficient part selection is not mad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드로워의 인출거리가 완전 개방이 아닐 경우, 즉 일정 거리만큼 드로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드로워 내부를 충분히 파악하는데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 거리에 따라 드로워 영역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단계별로 분리하여 데이터 처리를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cused on the fact tha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sufficiently grasp the inside of the drawer when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drawer is not completely ope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opened by a certain distance, A method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is provided by separating th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drawer area step-by-step according to the draw distance of the drawer.

도 43은 드로워가 개방된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a는 드로워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즉 드로워 전체 길이의 약 50%가 개방된 것이고, 도 43b는 드로워가 전체 길이의 약 30%가 개방된 것이며, 도 43c는 드로워가 전체 길이의 약 10%가 개방된 상태이다. 43 shows the degree to which the drawer is opened. Figure 43a i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maximally opened, that is, about 50% of the entire length of the drawer is opened, Figure 43b is that the drawer is opened about 30% of the total length, and Figure 43c is that the drawer is full About 10% of the length is open.

예를 들어 도 43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드로워를 드로워 전체 전후방향 길이에 대해 약 10% 정도만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드로워 내부에 보관 되어 있는 물품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정도가 되며, 도 43b약 30% 정도를 개방했을 때 비로소 드로워 내부의 물품 보관 상태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상태는 드로워가 열린 상태로 인식할 정도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opens the drawer by only about 10% of the total length of the draw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in FIG. 43c, it becomes to the extent that the item stored inside the drawer cannot be sufficiently grasped, and in FIG. 43b about It is only when about 30% of the drawer is opened that the storage status of the items inside the drawer can be grasped to some extent, and this condition is enough to recognize the drawer as an open state.

도 43a와 같이 드로워가 최대 개방이 될 때는 전체의 약 50% 정도가 인출이 되는데 이때는 완전 개방 상태로 드로워 내부의 물품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약 30% ~ 50% 정도의 열림 상태가 되어야 사용자가 드로워에 대해 물품을 수납 또는 반출 작업이 가능한 정도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간을 드로워가 실질적으로 열린 상태로 볼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3A , when the drawer is maximally opened, about 50% of the entire drawer is withdrawn. In other words, when the open state of about 30% to 50% is reached, the user can store or take out the article with respect to the drawer.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상기 드로워 인출거리가 30% 이내는 '드로워가 열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30% 이상은 '드로워가 열린 상태'로 구분하여 영상 처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어부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 로드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In view of this,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withdrawal distance is within 30% of the 'drawer not open state', and 30% or more is divided into the 'drawer open state' by differentiating the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controller is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ata load to be processed.

제어부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화 하여 드로워 이동 궤적에 해당되는 이미지 크기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드로워 이동 영역에서 상기 드로워가 약 30% 정도 인출되는 시점 또는 거리까지의 픽셀 크기를 정하여 이미지 구간을 구획한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image siz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drawer by imag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determines the pixel size to the point or distance at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by about 30% from the determined drawer movement area to determine the image section compartmentalize

즉 도 43a부터 도 43b에 해당하는 범위까지 드로워가 인출되었을 때에 제어부에서는 마커의 좌표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3a부터 도 43c에 해당하는 범위까지 마커의 좌표의 이동을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서 필요로 하는 제어부의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That is, when the drawer is withdrawn from the range corresponding to FIGS. 43A to 43B,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In this case, the load on the control unit required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FIGS. 43A to 43C.

드로워가 닫힌 상태에서 30% 인출되는 구간에서는 마커의 위치가 30%에 해당되는 거리 만큼의 픽셀의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만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 이전 사진의 마커 좌표와 현재 사진의 마커 좌표를 비교(마커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전제 조건)는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마커의 위치가 일정 픽셀 범위 내에 있는지만을 판단하고 전체 이미지를 임시 버퍼링하게 된다. In the section where the drawer is drawn out by 30% while the drawer is closed, onl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arker has reached the position of the pixel by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30% is determined. In other words, it does not compare the marker coordinates of the previous picture with the marker coordinates of the current picture (a prerequisit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marker), it simply determines whether the marker position is within a certain pixel range and temporarily buffers the entire image. will do

이는 상기 구간에서는 두 개의 사진 데이터를 비교하는 처리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사진 데이터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제어부의 데이터 처리 능력이 커야 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촬영 속도에 원할 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ection, since only one photo data is processed without the need to compare the two photo data, the data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control unit does not need to be large,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spond to the camera shooting speed.

한편, 상기 드로워가 30% 수준을 넘어서 그 이상 열렸을 경우, 즉 제어부가 처리하는 사진에서 마커가 특정 픽셀 이상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부터는 드로워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두 개의 사진(직전에 촬영된 사진과 그 이후에 촬영된 사진)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마커의 좌표값을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er is opened more than 30%, that is, when the marker reaches a position of a specific pixel or more in the photo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two photos (taken just befor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aken picture with the picture taken after that).

이렇게 검색 구간을 한정하면, 검색 구간을 한정하지 않은 것에 비해서 사진의 크기가 약 2/5 크기 수준이 된다. 나아가 처리되어야 할 두 개의 사진에 해당되는 사진의 크기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한 장의 사진에 비해서도 약 4/5 수준이 되기 때문에, 제어부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는 한 장의 전체 사진에 비해서 작아지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이 될 수 있다. When the search section is limited in this way, the size of the photo is about 2/5 of that of the non-limited search section. Furthermore, since the size of the photo corresponding to the two photos to be processed is about 4/5 of that of one photo in the case where it is not, the data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s smaller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compared to the entire photo. level can be

따라서, 두 개의 사진의 좌표 변화값을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속도가 카메라가 촬영하는 속도에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모두에 대해 놓치지 않고 데이터 처리(좌표 추적이나 감시)가 가능하므로, 제어부의 처리 용량을 더 이상 키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처리 속도의 시간 지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시점에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data processing speed for tracking the coordinate change value of two photos can correspond to the speed at which the camera shoots, data processing (coordinate tracking or monitoring) is possible without missing any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ime delay in processing speed even when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processor is no longer increased, so that the desired image can be acquired at the correct time.

결론적으로 말하면, 도 44에서와 같이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드로워가 인출가능한 거리 중 일부를 제1구간과 제2구간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In conclusion, as shown in FIG. 44 , it is possible to divide a portion of a distance that the drawer can withdraw from a picture taken with a camera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제1구간에서는 촬영된 사진의 픽셀에 대한 마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구간은 마커의 좌표값을 비교하지 않고, 한 장의 사진에서 마커가 어떤 픽셀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first s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arker with respect to the pixel of the photographed picture. In this case, in the first s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which pixel position the marker is in one picture without compa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marker.

한편 제1구간에서는 드로워가 실제로는 개방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드로워에 물품을 인출하거나 반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드로워가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라고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first section, even if the drawer is actually opened,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that the drawer is in a substantially closed stat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withdraw or bring an article into the drawer.

제2구간은 연속 촬영된 두 개의 사진에 도시된 마커의 좌표값을 비교하는 '좌표 검색 범위(Search Range)'로 설정할 수 있다. 제2구간에서는 2개의 사진을 비교하기 때문에 마커의 좌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2개의 연속된 사진에서 마커가 동일한 위치라면 2개의 사진이 촬영된 시간 동안 드로워가 정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개의 연속된 사진에서 마커의 위치가 변화되었다면 2개의 사진이 촬영된 시간 동안 드로워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마커의 위치 변화 방향에 따라 드로워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는지 또는 드로워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cond section may be set as a 'coordinate search range' that compares coordinate values of markers shown in two pictures taken continuously. In the second section, since two photos are compared, a change in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can be detected. For example, if the marker is at the same position in two consecutive photo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stopped during the time the two photos are taken. If the position of the marker is changed in two consecutive photo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moved during the time the two photos are taken. At this tim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rawer moves in the closing direction or the drawer moves in the open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dir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marker.

제2구간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워에 물품을 인출하거나 반입할 정도의 개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드로워가 열린 상태라고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second s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that the drawer is actually in an open state because the user has an opening sufficient to take out or bring in an article to the drawer.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5 is 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5 .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한다고 판단한다(S10). 이때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의 개폐가 감지될 수 있다.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20 opens the storage chamber 22 (S10). At this tim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 may be detected by the door switch 110 .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 센서(12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θ) 이상 회전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센서(120)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다가,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oor sensor 120 may be driven. That is, the door sensor 12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or more. That is, the door sensor 120 may not operate when the door 20 is not opened, but may start to operate when the door 20 is opened.

또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가 동작되어 사진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S14).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소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초에 10장 등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camera 70 may be operated to start photographing (S14). In this case, the camera 70 may take pictur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10 pictures per second.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찍힌 사진은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된다(S16). 이때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복수 장의 사진이 찍히면 최근에 찍힌 사진은 저장되고, 그 전에 찍힌 사진은 상기 저장부(18)의 용량 제한으로 인해서 삭제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S16). At this time, if a plurality of pictures are taken by the camera 70 , the most recent picture is stored, and the picture taken before that may be deleted due to the capacity limitation of the storage unit 18 .

한편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50)가 열리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S20).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40)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rawer 50 is opened by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S20).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that the drawer 50 is withdrawn from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40 .

그리고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50)가 닫히는 지를 감지되면, 그 시각에 찍힌 사진 또는 그 시각에 가장 인접한 때에 찍힌 사진을 최종 사진(드로워 열린 상태)로 선택한다(S40). 상기 카메라(70)는 1초에 정해진 개수의 사진을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50)가 닫히기 시작하는 시점에 정확히 사진이 촬영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 표현된 마커의 이동을 분석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판단하면, 닫힌다고 판단한 시점에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And when it is sensed that the drawer 50 is closed by the drawer sensing unit 130, a picture taken at that time or a picture taken at the time closest to that time is selected as the final picture (drawer open state) ( S40). Since the camera 70 tak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ictures per second, it is also possible that pictures are not taken exactly at the time when the drawer 50 starts to close. However, if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by analyzing the movement of the marker expressed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the picture is taken at the time it is determined to be closed. It is possible to choose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최종 사진을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으로 구분한다(S42).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조정선(15)을 기준으로 픽셀의 개수를 특정해서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100 divides the final picture into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S42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can classify each area by specifying the number of pixels based on the control line 15 , and obtain a final image for each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52)과 상기 제3영역(62)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50 is drawn out, the second region 52 and the third region 62 overlap each other.

한편 S2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었다는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2이미지를 얻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rawer 50 is withdrawn is obtained in S20 , the controller 10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image is obtained.

그리고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46).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영역(52)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전송해서, 해당 부분을 최종 사진에 근거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region 52 may be updated (S46). The control unit 100 may transmit a second image showing the second region 52 to the display 14 and change the corresponding portion to be based on the final photograph.

반면에 S3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닫히지 시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S14에서와 같이 다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30 that the drawer 50 does not start to close, a picture may be taken again as in S14.

S3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닫히지 않는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5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영역(52)에 새로운 식품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식품을 상기 제2영역(52)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not closed in S30 may be regarded as that the user does not terminate the access to the second area 52 . That is, the user can store new food in the second region 52 or take out the stored food from the second region 52 while the drawer 50 is stopped.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닫히는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고, 상기 드로워(50)를 상기 선반(40)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시킨다고 예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er 50 is close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r ends the access to the second area 52 and draws the drawer 50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40 .

한편 S2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Meanwhile,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not opened in S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S60).

이때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 인지 여부는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감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ther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may be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20 .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22)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면 상기 도어(20)를 닫고,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개구부(14)를 개방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22)에 새로운 식품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식품을 상기 저장실(22)로부터 꺼낼 수 있다.When the user ends access to the storage chamber 22 , the user closes the door 20 and seals the storage chamber 22 . That is, the user can store new foo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or take out the stored foo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22 while the door 20 opens the opening 14 .

만약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닫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에 대한 접근을 종료하고, 다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기 전까지는 그 상태에서 식품이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user closes the door 2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ood is maintained in that state until the user ends the access to the storage room and the door 20 is opened again.

S60에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그 시각에 찍힌 사진 또는 그 시각에 가장 인접한 때에 찍힌 사진을 최종 사진(드로워 닫힌 상태)로 선택한다(S70).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의 사진 촬영이 종료된 시점 또는 그 시점에 인접한 시점에 찍힌 사진을 최종 사진으로 선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60 that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the control unit 100 selects the picture taken at the time or the picture taken at the time closest to the time as the final picture (closed state of the drawer) (S70). That is, the control unit 100 may select a picture taken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amera 70 finishes taking a picture or a picture taken at a point adjacent to the time point as the final picture.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최종 사진을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으로 구분한다(S72). 이때 상기 최종 사진에는 상기 제1영역(42)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최신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에 대한 접근을 종료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 획득된 제1이미지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1영역(42)에 대한 정확한 식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 divides the final photo into the first area 42 , the second area 52 , and the third area 62 ( S72 ). In this case, the final photo may include a first image showing the first region 42 . The latest state of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area 42 is because the user has finished accessing the storage chamber 22 . Accordingly, through the first image obtained at this time, the user can obtain accurate food information on the first region 42 .

한편 S6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인입되었다는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에서 제1이미지와 제3이미지를 얻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52)과 상기 제3영역(62)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이지만,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함께 촬영이 가능한 위치이기 때문이다.Meanwhile, sin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rawer 50 has been drawn is obtained in S60,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image and the third image ar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50 is drawn out, the second area 52 and the third area 62 overlap each other, but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do not overlap each other. This is because it is a location where we can film together.

그리고 상기 제1영역(42) 및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76).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영역(42)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3영역(62)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전송해서, 해당 부분을 최종 사진에 근거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region 42 and the third region 62 may be updated (S76). 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first image showing the first region 42 and a third image showing the third region 62 to the display 14, and determines the part based on the final photograph. can be changed to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2)을 닫으면 상기 카메라(70)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oor 20 is rotated to seal the storage chamber 22 , and when the storage chamber 22 is clos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amera 70 . At this time, the door switch 11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20 seals the storage chamber 22 .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한 시점을 고려해서, 해당 시점에서 획득된 사진을 가공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영역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end of use, the photo obtained at the corresponding time is processed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ly, the user can obtai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2 .

한편 상기 도어 센서(120), 상기 도어 스위치(110) 및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좌우측에 각각 두 개씩 설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좌우측 도어, 좌우측 드로워에 대한 개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가 촬영된 사진에서 마커의 분석을 통해서 드로워의 이동을 감지한다면,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는 한 개인 반면에, 마커가 2개의 드로워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oor sensor 120 , the door switch 110 , and the drawer detection unit 130 may be installed two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n this case,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the left and right doors and the left and right drawers may be acquired. Of course, if the drawer detector 13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draw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rker in the photographed picture, the drawer detector 130 is one, whereas the marker is installed in two drawers,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be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좌측 도어만 개방된 경우에는 한 장의 사진의 좌측 부분만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우측 도어만 개방된 경우에는 한 장의 사진의 우측 부분만을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based on this information, when only the left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update only the left part of one picture. 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right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update only the right part of one picture.

물론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가 함께 개방된 경우에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한 장의 사진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함께 업데이트해서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f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re satisfied when the left and right doors are opened together, it is also possible to updat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one picture and provide them to the display 14 .

도 46은 도 45의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46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modification example of FIG. 45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6 .

도 46의 변형례에서는 S60가 S62와 S64로 구체적으로 구분된 형태이고, 차이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46 , S60 is a form in which S62 and S64 are specifically divided, and only the differenc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인지 여부는 상기 도어(20)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2)와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 이상 회전되는지로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ther or not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can be specifically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2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S62) and whether the door 20 is rotated more than a certain angle (θ). have.

다시 말해서,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고(S60), 상기 도어가 일정 각 이하로 회전되면(S64), 상기 카메라(70)에 의한 사진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oor 2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 S60 ) and the do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 S64 ), the photographing by the camera 70 may be terminated.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되는 사진에서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는 물론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바스켓 등의 간섭이 발생하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이라는 표현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 상기 도어(20) 및 기타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22 from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interference from the door 20 as well as the basket installed on the door 20 should not occur. Therefore, the expression that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expressed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도 47은 도 46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7을 참조해서 설명하되, 도 46과의 차이만을 설명한다.47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46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7, but only the difference from FIG. 46 will be described.

도 47에 따른 다른 변형례는 도 46과 달리, 상기 도어(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지 않는다. In another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FIG. 47 , unlike in FIG. 46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20 is not determined.

S12에서 도어가 일정각 이상 회전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도어(20)는 해당되는 순간에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다시 회전시켜서, 상기 도어(20)가 일정각 만큼 회전된 상태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닫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12 that the door has been rotated by a certain angle or more, the door 20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at the corresponding moment.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door 20 again and reaches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t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user closes the door 20 .

따라서 다른 변형례에서는 도 46에서의 S62를 생략하고, S20에서 드로워가 열리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도어가 일정각 이하로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64를 바로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in another modified example, if S62 in FIG. 46 is omit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not opened in S20, S64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is immediately performed.

도 48은 도 45의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48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45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8 .

도 48에서는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마커에 의해서 감지하는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In FIG. 48, a control flow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awer 50 by a marker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verlapping parts ar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전체적으로 S20과 S30이 S22, S24, S26의 단계로 구체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Overall, S20 and S30 may be specifically divided into steps S22, S24, and S26.

S16에서 같이 사진이 상기 저장부(18)에 저장된 후에, 상기 카메라(70)에서 마커가 인식되는 지를 판단한다(S22).After the photo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as in S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rker is recognized by the camera 70 (S22).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서 사진을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70)에서 마커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40)의 전단에서 상기 드로워(50)의 손잡이 부분이 가려지는 경우에, 즉 상기 드로워(50)가 전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커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12 , a case may occur where the marker is not visible from the camera 70 . That is,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drawer 50 is covered at the front end of the shelf 4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not drawn out at all, the marker may not be recognized.

상기 카메라(70)에 찍힌 사진에서 마커가 인식되면, 마커가 정지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24).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장의 사진에서 마커의 이동 경로를 파악한 후에 제1구간과 제2구간으로 구분해서, 제2구간에서만 마커의 이동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marker is recognized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arker is stopped (S24).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marker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fter recognizing the movement path of the marker in one picture, and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marker only in the second section.

상기 카메라(70)는 복수 장의 사진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해당 사진을 비교하면서 분석하면 마커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커은 상기 드로워(50)에 표시되기 때문에, 마커이 이동되면 상기 드로워(50)도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ince the camera 70 takes a plurality of pictur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arker moves or not by analyzing the pictures while comparing them. Since the marker is displayed on the drawer 50, when the marker is mov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awer 50 is also moved.

그리고 마커이 상기 드로워(50)가 닫힌 상태의 위치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동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6).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arker has move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drawer 50 is closed (S26).

만약 마커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았다면, 상기 드로워(50)가 충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적당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워(50)가 1/3만 인출된 상태에서 찍힌 사진에서는 상기 드로워(50)의 내측 공간이 충분히 도시되지 않고, 해당 사진에서 획득된 이미지로는 사용자는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일정 거리는 마커의 이동을 판단하기 위한 검색 구간(search range)에 마커가 진입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marker does not move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n appropriate image for the second area 52 cannot be obtained because the drawer 50 is not sufficiently opened. For example, in the picture taken in a state in which only 1/3 of the drawer 50 is withdrawn,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50 is not sufficiently shown, and in the image obtained from the picture, the user can view the second area (52) is not available.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marker has entered a search range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marker.

마커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접근을 종료하고,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사용을 마쳤다고 볼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rker has move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user ends the access to the second area 52 and the use of the second area 52 is finished.

따라서 세 가지 조건이 만족하는 상태의 시각 또는 그 시각에 인접한 시각에서 획득된 사진은 상기 제2영역(52)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hotograph obtained at a time when the three conditions are satisfied or a time adjacent to the tim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the second area 52 .

도 49는 도 45를 다르게 변형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49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45 differently.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9에서는 도 45와 달리,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시점에 즉시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In FIG. 49 , unlike FIG. 45 , the camera is not driven immediately when the door 20 is opened by the door switch 110 .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센서(120)가 구동된다.When the door switch 110 determines that the door 20 is open, the door sensor 120 is driven.

그리고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각 이상 회전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이때 상기 도어(20)가 일정각 이상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하지 않는다. Then, the door sensor 12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20 has bee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S12). At this time, when the door 20 is not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camera 70 does not take a picture.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한다(S14).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소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초에 10장 등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door 20 is rotated more than a certain angle,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S14). In this case, the camera 70 may take pictur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10 pictures per second.

이때 찍힌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에 대한 제1이미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 이상 회전되었기 때문에 사진에는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바스켓 등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진에는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바스켓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The picture taken at this time includes a first image of the first area 42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oor 20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θ) or more, interference from the basket installed on the door 20 may not occur in the photograph. That is, the appearance of the basket installed on the door 20 may not appear in the photo.

나아가 S60에서 상기 도어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이라는 의미는, 상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20)가 일정각 이하로 회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more, in S60, the door sensor 12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In this case, the meaning that the door 20 is just before closing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while the door 20 is rotated in a closing direction.

상기 도어(20)가 닫히기 직전까지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 촬영을 중지할 수 있다(S49). 도 45에서는 상기 도어(20)가 닫혀서, 상기 도어 스위치(110)가 눌려지는 순간 부근까지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촬영한다. 그러나 변형례에서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도어 센서(120)에 의해서 일정각까지 회전되면,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중지하게 된다. 이때 일정각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 상기 도어(20)는 물론,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바스켓 등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Until just before the door 20 is closed, the camera 70 may take a picture and stop taking the picture (S49). In FIG. 45 , the camera 70 takes pictures until the door 20 is closed and the door switch 110 is pressed near the moment it is pressed. However, in the modified example, when the door 2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door sensor 120 , the camera 70 stops taking pictures.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mean an angle that prevents interference by the door 20 as well as the basket installed in the door 20 from occurring in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70 .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5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0의 제어 흐름은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시간을 간격으로 계속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50 is 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20 is opened by the door switch 110 , the control flow of FIG. 5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우선 상기 도어 센서(12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 이상 개방되는지를 판단한다(S100).First, it is determined by the door sensor 120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or more (S100).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도어(20)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한다(S110).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한 장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door 20 is opened more than a certain angle, it is determined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door 20, and the camera 70 takes a picture (S110). In this case, the camera 70 may take a single picture.

그리고 상기 드로워(50)가 제1설정 거리 이상 인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상기 제1설정 거리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했을 때에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식품 정보가 충분히 획득가능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정 거리는 상기 드로워(50)의 전체 길이의 2/3 또는 1/2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awer 50 is drawn out more than a first set distance (S120). In this case, the first set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at which food information for the second area 52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when a picture is taken by the camera 70 . For example, the first set distance may mean 2/3 or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drawer 50 .

상기 드로워(50)의 인출 거리는 상기 드로워 감지부(130)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drawer 50 may be detected by the drawer sensing unit 130 .

한편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제1설정 거리 이상 인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진을 영역별로 구획해서, 복수 개의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S122).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50 is drawn out over the first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100 may divide the photo by area and divide it into a plurality of images (S122).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된 상태에서 획득된 사진이기 때문에, 해당 사진에서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Since the picture is ob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withdrawn,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may be obtained from the picture.

상기 제어부(100)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24).The controller 100 may updat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124).

반면에 S12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제1설정 거리 이상 인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드로워(50)가 제2설정 거리 이하로 인출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120 that the drawer 50 is not drawn out more than the first set distan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rawer 50 is drawn out by the second set distance or less (S130).

이때 상기 제2설정 거리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했을 때에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식품 정보가 충분히 획득가능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설정 거리는 상기 드로워(50)의 전체 길이의 1/3을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설정 거리는 '0'으로 선택해서,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set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at which food information for the third area 62 can be sufficiently obtained when a picture is taken by the camera 70 . For example, the second set distance may mean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drawer 5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state in which the drawer 5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by selecting the second set distance as '0'.

한편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제2설정 거리 이하 인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진을 영역별로 구획해서, 복수 개의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S132).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50 is drawn out by the second set distance or less, the control unit 100 may divide the picture by area and divide it into a plurality of images (S132).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된 상태에서 획득된 사진이기 때문에, 해당 사진에서는 제1이미지와 제3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Since the picture is obtained while the drawer 50 is withdrawn, a first image and a third image may be obtained from the picture.

상기 제어부(100)는 제1이미지와 제3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34).The controller 100 may update the first image and the third image (S134).

도 50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 제어가 반복되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면 완전히 종료된다. 종료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이미지에 대한 업데이트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최종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50 , when the door 20 is opened, control is repeated, and when the door 20 closes the storage chamber 22, the control is completely terminated. Since the update of the image is no longer generated in the finished state, the final image of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can be obtained.

도 51은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두 개의 도어와, 두 개의 드로워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5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updating an image in a state in which two doors and two drawers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room.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1 .

상술한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The overlapping cont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냉장고에 전기가 공급되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가 열리는지 개별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S302, S303).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it may be individually determined whether the left door or the right door is opened by the door switches 11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302 and S303).

좌측 도어나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으로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판단하면(S303),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시작한다(S304).When the door switch 110 determines that either the left door or the right door is open (S303), the camera 70 starts taking a picture (S304).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것은 물론,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서 시간 간격을 두거나 동시에 모두 개방되더라도 상기 카메라(70)는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어느 하나의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다고 판단되면, 고내에는 조명이 켜지기 때문이다.Even if any one of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is opened, as well as a time interval between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or both of them are opened at the same time, the camera 70 can take a picture. This is becau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through one of the door switches, the light is turned on in the refrigerator.

좌측에 배치된 드로워가 130mm보다 많이 인출되면(S310), 좌측 드로워에 관련된 영상을 캡쳐한다(S312). 좌측 드로워에 관련된 영상은 촬영된 사진 중에 좌측 드로워에 해당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촬영된 전체 사진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drawer disposed on the left is drawn out more than 130 mm (S310), an image related to the left drawer is captured (S312). The image related to the left drawer may me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drawer among the photographed photos, and may mean the entire photographed picture.

이때 130mm는 냉장고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해서, 드로워 내부에 저장 공간에 접근가능한 정도의 인출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130 mm may be changed by a refrigerator manufacturer or a user, but may mean a withdrawal distance of a degree in which the user withdraws the drawer and accesse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drawer.

만약 좌측 드로워가 130mm보다 적게 인출되면(S310),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직전 영상을 유지한다(S310).If the left drawer is withdrawn less than 130 mm (S310), the previous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70 is maintained (S310).

그리고 좌측 도어 센서에서 좌측 도어의 개방 각도를 감지한다. 이때 좌측 도어가 80도보다 작은 각도로 개방된다면, 좌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는 좌측 멀티 수납 공간에 대한 영상을 캡쳐한다(S332).And the left door sensor detects the opening angle of the left door. At this time, if the left door is opened at an angle smaller than 80 degrees, an image of the left multi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lower space in which the left drawer is withdrawn is captured (S332).

이때 80도는 좌측 도어와 좌측 도어에 설치된 여러 구조물이 상기 카메라(70)에서 수납 공간을 촬영할 때에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냉장고의 구체적인 구조나 크기에 따라 80도는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80 degrees may mean an angle to the extent that the left door and various structures installed on the left door do not interfere when photographing the storage space with the camera 70 . Depending on the specific structure or size of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change 80 degrees.

만약 좌측 도어가 80도보다 큰 각도로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직전 영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S336).If the left door is opened at an angle greater than 80 degre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mmediately preceding image taken by the camera 70 (S336).

그리고 좌측 도어가 닫히는 것이 상기 도어 스위치(110)에서 감지되는 것이 가능하다(S334). And it is possible to sense that the left door is closed by the door switch 110 (S334).

한편 우측 드로워와 우측 도어에 대해서도 좌측 드로워와 좌측 도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제어 흐름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S320~S324, S340~S346에서는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for the right drawer and the right do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type of control flow as described in the left drawer and the left door. That is, in S320 to S324 and S340 to S346,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equally applied.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가 닫히게 되면, 위에서 캡쳐된 영상을 제어부(100)에서 가공해서, 가공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S350). 이때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인 것이 가능하다.When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are closed,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image captured above in the control unit 100 and display the processed image on the display 14 (S350). In this case, the display may be a displa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그리고 카메라는 사진 촬영을 중지할 수 있다(S352).And the camera may stop taking the picture (S352).

한편 냉장고는 와이파이(wifi)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S354), 통신이 가능하다면 외부 서버에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S356).Meanwhile, the refrigerator is connected to Wi-Fi to determine whether communication is possible (S354), and if communication is possible, it can transmit an image to an external server (S356).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동기화되는지를 판단하고(S358), 동기화된다면 이미지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it is synchroniz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S358), and if synchronized,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14 of the terminal.

따라서 사용자는 냉장고의 앞에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냉장고에 저장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items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user terminal even if the user is not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만약 냉장고가 와이파이에 연결되지 않아 외부와 통신이 불가한 상태이거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4)에는 직전 이미지를 유지하고, 사용자에게 직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refrigerator is not connected to Wi-Fi and canno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r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previous image on the display 14 of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the immediately preceding image to the user do.

이하, 사진을 촬영하고, 원하는 시점에 사진을 획득하기 위해서 구비된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components provided for taking a picture and acquiring a picture at a desired tim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도어 스위치가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시작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고내를 촬영하기 시작한다. 카메라는 초당 일정 프레임으로 연속해서 촬영을 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도어를 여는 행위는 냉장고 내에서 원하는 물품을 인출하거나 새로운 물품을 냉장고 내에 저장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냉장고 내를 연속으로 촬영함으로써 냉장고 저장실 내의 저장 공간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When the door switch detects that the user starts to open the doo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camera to start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the room. The camera continuously takes pictures at a fixed frame rate per second. Since opening the user's door means taking out a desired item from the refrigerator or storing a new item in the refrigerator, by continuously shoot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실은 각종 선반, 드로워 또는 바스켓 등으로 분리되어 각각 저장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물품이나 용기 등의 형태나 내용에 따라 저장 공간에 보관되고 저장된다.The storage compartment is separated by various shelves, drawers or baskets to form storage spaces, respectively, and is sto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r content of articles or containers.

상기 카메라는 저장 공간에 대하여 선반에 의해 구분되는 선반영역과 드로워 영역 그리고 기타 저장영역으로 구분하여 감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인출 또는 입고 동작을 완료한 직후 상기 영역에서의 물품 보관 상태를 사용자가 체크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만약 드로워가 두 개가 구비되고, 기타 저장영역이 두 개가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두 개의 드로워, 두 개의 기타 저장영역 각각을 사용자가 체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mera can monitor the storage space by dividing it into a shelf area separated by a shelf, a drawer area, and other storage area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state of storage of goods in the area immediately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withdrawal or warehousing operation. If two drawers are provided and two other storage areas are provided in parallel on both side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each of the two drawers and two other storage areas through the camera is provided.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타 저장영역을 상기 저장실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드로워 저장영역의 앞에 위치되어 드로워가 열릴 경우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수납공간으로 정하고, 이를 감시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시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storage area is formed on the floor of the storage room,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awer storage area, and at least a part of the storage space overlaps when the drawer is opened, and includes it in the monitoring target. present.

상기 도어 스위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냉장고 힌지 어셈블리에 구성되어 있는 도어 센서를 온(on)하여 도어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 센서는 항상 온(on)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도어 스위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한해서 상기 도어 센서가 온(on)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door switch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controller turns on the door sensor included in the hinge assembly of the refrigerator to detect mov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The door sensor may be always on,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oor sensor is turned on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door switch.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이 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저장실에 접근해서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을 정도로 실질적으로 도어가 열린 상태라고 판단하고 선반영역의 보관상태를 업그레이드할 대상으로 결정한다.When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a certain angl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substantially open enough to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storage room to bring in or take out items, and determines the storage condition of the shelf area to be upgraded.

또한, 상기 드로워 감지부에서 상기 드로워가 열림 정도를 감지하여 드로워가 열렸을 경우에는 드로워영역의 보관 상태를 업그레이드 할 대상으로 결정하고, 드로워가 열리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수납영역을 업그레이드 할 대상으로 결정한다.In addition, the drawer sensing unit detec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rawer and, when the drawer is opened, determines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area to be upgraded, and when the drawer is not opened, the storage area is to be upgraded to dec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어 센서는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를 경과하고 있을 때를 감지하여 관련 정보를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센서는 도어의 회전 방향 즉, 닫히는 방향인지 열리는 방향인지에 대해서도 감지할 수 있다.The do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n a predetermined angle has elaps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sends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Here, the door sensor may also detec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oor, that is, whether it is a closing direction or an open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 스위치의 온(on)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도어 센서를 온(on)시키고, 도어 센서는 도어가 일정각도를 지나칠 때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시점을 제어부로 보내게 된다. 제어부는 이때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때 도어는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n signal of the door switch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door sensor, and the door sensor detects when the door passes a certain angle and sends a corresponding time point to the control unit it becom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open. Specifically, at this time, the doo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in an open state.

한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물품의 인출 또는 입고 행위를 마치면 개방되어 있던 도어를 닫게 되고, 상기 도어가 도어 센서를 지나쳤을 때 도어 센서는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는 이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물품의 입출고 행위를 마치고 도어가 닫히기 직전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때 도어는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 개방되어 있지만, 닫히도록 회전이 되는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inishes taking out or put in the goods while the door is open, the opened door is closed, and when the door passes the door sensor, the door sensor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user from this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it is just before the door closes after completing the warehousing act. Specifically, at this time, the door is rotated by a certain angle and opened, but is rotated to close.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카메라로부터 고내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물품의 입출고 행위를 마친 직후에 촬영된 영상으로 업그레이드(upgrade)를 하는 과정에 대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rocess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from a camera during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upgrading to the image captured immediately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act of putting in and out of goods.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 스위치가 온(on)되면, 제어부는 카메라와 도어 센서를 온(on)시킨다. 카메라는 대기 모드에서 구동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고, 도어 센서는 도어의 열림 각도를 판단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refrigerator door switch is turned on while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ler turns on the camera and the door sensor. The camera may mean being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driving mode, and the door sensor may mean being switched to a state capable of determining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상기 카메라는 일정 시간당 정해진 속도로 냉장고 고내를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로 보내지고,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영상을 고내 전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로써 임시적으로 버퍼링한다. The camera may continuousl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t a predetermined speed per predetermined time. The captured image is sen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temporarily buffers the transmitted image as an image including the entir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영상[Picture(or photograph)]과 이미지(Image)는 서로 구분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The image [Picture (or photograph)] and the image (Imag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영상(Picture 또는 photograph)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후 바로 전송된 로 데이터(raw data)를 의미이며, 이미지(Image)는 상기 로 데이터(raw data)인 영상(picture 또는 photograph)가 제어부에 의해 버퍼링되거나 보정 처리 또는 전송되는 data를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image (Picture or photograph) means raw data transmitted immediately after being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an image is a raw data image (picture or photograph)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It may mean buffered, corrected, or transmitted data.

상기 도어 스위치가 온(on)되고, 도어가 일정 각도 개방되어 제어부가 도어가 열린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드로워의 열림 상태에 따라 상기 전체 이미지가 어떤 영역에 대한 물품의 보관 상태를 담고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When the door switch is on and the door is ope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ich area the entire image contains the storage state of the item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drawer. will decide

예를 들어, 드로워가 열린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전체 이미지가 냉장고 선반 상부에 저장되는 영역(선반영역)과, 드로워 내부에 저장되는 드로워저장영역(드로워영역)에 대한 물품의 보관상태를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가 닫혀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전체 이미지가 냉장고 선반영역과 드로워 앞단에 형성되어 드로워의 개방에 의해 중첩되는 영역인 상기 수납공간 내부 영역(수납영역)의 물품 보관 상태를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drawer is in the open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rea (shelf area) in which the entire stored image is stored on the refrigerator shelf and the drawer storage area (drawer area) stored in the drawer. It is judged that it contains the storage condition of the goods.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in the closed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orage space inner area (storage area), which is an area where the entire stored image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shelf area and the front end of the drawer and overlaps by opening the drawer. It is judged that it contains the state of storage of the goods.

여기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냉장고 저장실의 전체에 관한 사진은 3가지의 서로 다른 저장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영역은 항상 포함되어 있고, 상기 드로워영역과 상기 수납영역은 상기 드로워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되게 된다. 상기 드로워영역과 상기 수납영역은 사진 내에서 서로 공존하지는 않게 된다. Here, the picture of the entire refrigerator storage room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camera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orage spaces, the shelf area is always included, and the drawer area and the storage area are the drawer areas. It is selectively included accor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ower. The drawer area and the accommodation area do not coexist with each other in the photo.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된 하나의 전체 사진은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하나는 선반영역이고, 나머지 부분이 어떠한 저장 영역에 해당되는지는 드로워 개폐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Accordingly, one entire pictur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includes at least two areas, one of which is a shelf area, and which storage area the other part corresponds to is determined by the drawer opening/closing state.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로 드로워 내부 공간과 그외의 또 다른 저장 공간 등 적어도 드로워의 내부를 포함한 두 개의 서로 다른 공간을 촬영하여 물품의 최근 입출고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상기 드로워영역과 선반영역만을 고정적으로 촬영하여 업그레이드(upgrade)하는 방법도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영역과 상기 수납공간만을 고정적으로 촬영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recent arrival/delivery status of goods to the user by photographing at least two different spaces including the inside of the drawer, such as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and another storage space, with one camera, so that the drawer A method of upgrading by fixing only the area and the shelf area may b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ing only the drawer area and the storage space may 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냉장고에서 하나의 독립된 단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저장실에 관한 하나의 전체 사진을 상기 저장실 내의 저장영역들로 구획하는 것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로 개폐하는 냉장고에서는 상기 촬영되는 저장영역은 크게 2가지 또는 3가지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을 두 개의 좌우측 도어로 개폐하게 될 경우는 상기 저장영역은 크게 4가지 또는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ividing one entire pic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onstituting one independent insulating space in the refrigerator into storage areas in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doors that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For example, in a refrigerat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with one door, the storage area to be photographed may be divided into two or three types.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and closed with two left and right doors, the storage area is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4 or 6 categories.

이때, 상기 드로워영역과 수납영역은 좌우측으로 구획하여 상기 전체 사진에 각각 2개의 구획된 영역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선반영역은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전체 사진 내에 구획된 부분은 모두 5가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drawer area and the storage area may be divid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managed as two partitioned areas, respectively, in the entire photo, and the shelf area may be managed as one area. In this case, all the partitioned parts in the whole photo may be composed of five parts.

이는 선반영역은 좌우 도어를 마주하는 저장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선반영역에는 물품이나 식품 또는 야채 등이 좌우측에 걸쳐 보관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걸쳐서 보관되면 물품이 좌우 도어 중에서 어느 한쪽 도어만 개방하여 인출하거나 입고될 수 있기 때문에, 비록 좌우 도어 중 한쪽 도어만 열렸다 하더라도 촬영된 전체 이미지에서 선반 영역 전체를 통합하여 최신 데이터(data)로 교체해 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좌우 도어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더라도, 선반 영역은 전체가 업데이트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helf area is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facing the left and right doors. In the shelf area, items, food or vegetables may be stored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Since items can be retrieved or received by opening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doors when stored across, even if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doors is opened, the entire shelf area in the captured image is integrated and replaced with the latest data. because there is a ne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even if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doors is opened,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entire shelf area.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드로워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전송된 전체 사진으로부터 선반영역과 드로워영역을 분리하여 임시적으로 버퍼링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드로워영역 또는/과 선반영역에서 물품 입출고 행위를 마치고, 드로워를 닫을려고 했을 때, 즉 드로워가 열린 후 정지된 상태에서 움직이기 시작했을 때, 임시 버퍼링된 영상 중에서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에서 드로워영역 내의 필요한 부분을 캡처(capture or cut)하여 최근 드로워영역의 보관 상태의 이미지로써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냉장고 고내 영상에서 드로워영역에 대해 상기 캡처된 이미지를 최근 영상으로 교체하여 업그레이드(upgrade)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제어부는 상기 캡처된 드로워영역의 이미지를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시스템으로 송부한다. In more detai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op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ler separates the shelf area and the drawer area from the entire transmitted photo and temporarily buffers them. And, when the user finishes loading/unloading items in the drawer area or/and the shelf area and tries to close the drawer, that is, when the drawer is opened and then started to move in a stationary state, the most recent among the temporarily buffered images. The necessary part in the drawer area is captured (captured or cut) from the image taken in , and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n image of the recent storage state of the drawer area. At the same time, the image captured on the drawer area in the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displayed on the refrigerator display is replaced with the latest image to upgrade. And, along with this,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of the drawer area to the serv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한편,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드로워의 열림이 감지되지 않아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전송된 영상의 전체 사진이 상기 선반영역과 상기 수납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전체 사진으로부터 선반영역과 수납영역을 분리하여 임시적으로 버퍼링한다.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wer is closed because the opening of the drawer is not detected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entire picture of the transmitted image includes the shelf area and the storage area. Therefore, the shelf area and the storage area are separated from the entire picture and temporarily buffered.

사용자가 수납영역 및/또는 선반영역에서 물품을 입고, 출고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도어를 닫으면, 상기 도어 센서는 도어가 지정된 각도를 지나칠 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는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도어가 닫히기 직전(도어 등의 방해물에 의해서 사진이 가려지기 직전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이라고 판단하고, 임시 버퍼링된 영상 중에서 가장 최근의 촬영된 영상에서 수납영역 내의 필요한 부분을 캡처하여 상기 수납영역의 최근 보관 상태의 이미지로써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냉장고 고내 영상에서 수납영역에 대해 상기 캡처된 이미지를 교체하여 upgrade한다. When the user completes the operation of putting on and leaving the product in the storage area and/or the shelf area and closing the door, the door sensor detects when the door passes a specified angle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oor sensor that the door is just before closing (it can be expressed as just before the picture is obscured by an obstruction such as the door), and is stored in the most recent image among the temporarily buffered images. The necessary part in the area is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s an image of the recent storage state of the storage area. At the same time, the image captured on the storage area in the refrigerat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replaced and upgraded.

이때 업그레이드는 기존 이미지에서 최신 이미지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제어부는 상기 캡처된 드로워영역의 이미지를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시스템으로 송부한다.In this case, the upgrade may mean replacing an existing image with a newer image. And, along with this,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of the drawer area to the serv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한편, 드로워가 열림 상태이거나 닫힘 상태이거나, 선반 영역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에 버퍼링되고 있는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 이미지를 캡처하여 메모리에 선반영역의 최근 물품 보관 상태로써 저장된다.Meanwhile, when the drawer is in an open or closed stat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elf area is just before the door is closed, the most recent image among images being buffered is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s the latest storage state of the shelf area.

상기 캡쳐된 이미지(최근 선반영역 이미지, 최근 드로워영역의 이미지 또는 최근 수납영역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표시된 이미지를 교체하거나 서버시스템으로의 전송 또는 냉장고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의 전송은 상기 캡처된 이미지를 상기 냉장고 메모리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요구가 있을 때 한꺼번에 이루어지거나, 개별 영역별로 사용자의 요구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ed on the refrigerator display is replaced by the captured image (any one or both of the recent shelf area image, the recent drawer area image, and the recent storage area image), or is transmitted to a server system or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through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to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hile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 the refrigerator memory, may be performed at once when the user requests it, or may be performed by the user's request signal for each individual area.

여기서,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하나의 영상은 제어부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로 버퍼링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이미지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 촬영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드로워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하나의 이미지에서 드로워영역을 포함하는지, 수납영역을 포함하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그러한 판단이 되면서 해당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별도의 임시 버퍼에 각각 버퍼링된다. Here, on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ay be buffered into one image by the con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ngle image is photographed with the door ope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ingle image includes a drawer area or a storage area according to a drawer opening/closing state. As such, the image is extracted and buffered in a separate temporary buffer.

하나의 이미지가 드로워가 닫히기 시작하는 시점에 촬영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임시 버퍼링되고 있는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사용자에 의한 새로운 입출고 행위가 완료되면 최근 이미지로 교체되게 된다. 또한, 도어가 닫히기 직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임시 버퍼링 되고 있는 수납영역의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one image was taken when the drawer starts closing, the most recent image among the temporarily buffered images is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a new warehousing action by the user is completed, it is replaced with the latest image. . 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just before closing, the most recent image among the images of the temporarily buffered storage area is stored in the memory.

한편, 상기 선반영역은 버퍼링되고 있는 전체 이미지 중에서 도어가 닫히기 직전 가장 최근 이미지에서 선반영역만을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별도의 선반영역 용으로 임시 버퍼를 준비하여 선반영역만을 추출하여 버퍼링해 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shelf area, only the shelf area can be extracted from the most recent image just before the door is closed among all the buffered images and stored in the memory, and a temporary buffer is prepared for a separate shelf area to extract and buffer only the shelf area. may be

이하에서는, 도 52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된 가장 최근의 냉장고 내부 이미지가 개인의 이동 단말기 또는 사업자 서버로 전송되어 활용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most recent refrigerator interior image obtained by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are transmitted to a personal mobile terminal or a business server ser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2 to 55 .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ladder diagram)이다.52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최종 사진이 획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S1101), 보정 처리된 최종 이미지를 이벤트 형식으로 단말기(2)에 전송한다(S1103). 단말기(2)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100)는 냉장고 내부의 최종 이미지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최종 이미지와 관련된 각종 정보 역시 단말기(2)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2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al picture of a specific region inside the refrigerator has been obtained through the step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4 ( S1101 ), the control unit 100 converts the corrected final image into an event format to the terminal ( 2) (S1103). The terminal 2 may includ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PC,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0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2 not only the final imag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al image to be described below.

이때, 제어부(100)는 최종 사진을 통해서 최종 이미지가 획득되는 즉시, 최종 이미지를 단말기(2)에 전송할 수도 있고, 획득된 최종 이미지를 저장부(18)에 저장한 후,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이벤트 형식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단말기(2)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may transmit the final image to the terminal 2 as soon as the final image is obtained through the final photo, or store the obtained final image in the storage unit 18, and th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An image stored in an event forma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단말기(2)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수신된 최종 이미지를 표시한다(S1105). 예컨대, 단말기(2)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냉장고 내부 이미지를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여 수신된 냉장고 내부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n, the terminal 2 displays the final image receiv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1105). For example, the terminal 2 may execute an application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may perform a multimedia service to display the received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냉장고 내부를 들여다보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격으로 현재의 냉장고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since the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checked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practical benefit of remotely grasping the current interior condition of the refrigerator.

도 5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53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최종 사진이 획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S1301), 최종 사진을 영역별로 구분해서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획득된 최종 이미지가 저장부(18)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1303).Referring to FIG. 53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al picture of a specific area inside the refrigerator has bee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 S1301 ), the controller 100 divides the final picture by area to generate an image, and then the obtained final image is It is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S1303).

이어서, 단말기(2)는 현재의 냉장고 내부 이미지 즉, 냉장고 특정 영역의 최종 이미지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305), 냉장고에,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을 전송한다(S1307).Subsequently, when a user input for displaying a current refrigerator interior image, that is, a final image of a specific region of the refrigerator is received (S1305), the terminal 2 transmits a final image request command (request) to the refrigerator (S1307).

그리고, 제어부(100)는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저장부(18)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에 촬영 및 저장된 냉장고 내부 이미지가 단말기(2)에 전송되도록, 통신부(270)를 제어한다(S1309).And, 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to the terminal 2 the most recently photographed and stored refrigerator interior image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as a response to the final image request command (request), the communication unit ( 270) is controlled (S1309).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와 냉장고 간의 통신이 수행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요청(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이미지 등이 전송되는 경우만을 설명하나,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이벤트(event) 형식으로 이미지 등이 전송되는 경우 역시 포함되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frigerator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needs it, so that it can be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Hereinafter, only a case in which an image is transmitted as a response to a request is described, but a case in which an image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ev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is not going to be

도 5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54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최종 사진이 획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S1501), 최종 사진으로부터 획득된 최종 이미지가 저장부(18)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1503).Referring to FIG. 54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al photo of a specific region inside the refrigerator has bee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 S1501 ), the controller 100 controls so that the final image obtained from the final photo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 (S1503).

이어서, 마켓 서버(3)와 같은 사업자 서버가 현재의 냉장고 내부 이미지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505), 마켓 서버(3)는 냉장고에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을 전송한다(S1507). 이때, 마켓 서버(3)는 사용자 입력이 없이,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냉장고에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을 전송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when a business server such as the market server 3 receives a user input for displaying a current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S1505), the market server 3 transmits a final image request command to the refrigerator (S1507) . In this case, the market server 3 may transmit a final image request command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without a user input.

그리고, 제어부(100)는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저장부(18)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에 촬영 및 저장된 냉장고 내부 최종 이미지가 마켓 서버(3)에 전송되도록 한다(S1509).Then, 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the most recently photographed and stored final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in response to an image request command (request) to the market server 3 ( S1509).

냉장고 내부의 최종 이미지를 수신한 마켓 서버(3)는 최종 이미지를 분석한다(S1511). 마켓 서버(3)는 최종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냉장고에 현재 저장된 저장물, 현재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저장물을 알아내고, 과거 해당 냉장고에 저장되어 있었으나, 현재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저장물 등을 분석하는 등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market server 3 that has received the final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analyzes the final image (S1511). The market server 3 analyzes the final image, finds out the storage currently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storage that is not currently stored, and analyzes the storage that has been stored in the refrigerator in the past but is not currently stored. It is possible to extract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such as

마켓 서버(3)는 최종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추출한 부족한 물품 리스트를 해당 냉장고에 전송한다(S1513).The market server 3 transmits the list of insufficient items extracted through the final image analysis to the corresponding refrigerator (S1513).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55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5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 내부 특정 영역의 최종 사진이 획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S1701), 최종 사진으로부터 보정된 최종 이미지가 저장부(18)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1703).Referring to FIG. 55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al picture of a specific area inside the refrigerator has bee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 S1701 ), the controller 100 controls so that the final image corrected from the final pictur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 (S1703).

이어서, 방송국 서버(4)와 같은 사업자 서버가 냉장고 내부의 최종 이미지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1705), 방송국 서버(4)는 냉장고에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을 전송한다(S1707). 이때, 방송국 서버(4)는 사용자 입력이 없이,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냉장고에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을 전송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when a business server such as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receives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e final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S1705),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transmits a final image request command to the refrigerator (S1707) . In this case,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may transmit a final image request command (request)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without user input.

그리고, 제어부(100)는 최종 이미지 요청 명령(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저장부(18)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에 촬영 및 저장된 냉장고 내부의 최종 이미지가 방송국 서버(4)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709).Then, the control unit 100 transmits the final image inside the refrigerator most recently photographed and stored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 to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in response to the final image request command (request). control (S1709).

최종 이미지를 수신한 방송국 서버(4)는 최종 이미지를 분석한다(S1711). 방송국 서버(4)는 최종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냉장고에 현재 저장된 저장물을 알아내고, 현재 저장된 저장물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요리 등을 분석하는 등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receiving the final image analyzes the final image (S1711).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may analyze the final image, find out what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extract information necessary for service provision, such as analyzing dishes that can be prepared using the currently stored storage.

방송국 서버(4)는 최종 이미지 분석을 통해 현재 저장된 저장물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 등을 해당 냉장고에 전송한다(S1713).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transmits recipe information of dishes that can be made using the currently stored storage to the corresponding refrigerator through final image analysis (S1713).

제어부(100)는 방송국 서버(4)로부터 수신된 현재 저장된 저장물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 등을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한다(S1715)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recipe information of dishes that can be prepared using the currently stored storage receiv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server 4 on the display 14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S1715).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관련 사업자가 가정 또는 기업에 위치한 냉장고 내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가정 또는 기업에 적합한 냉장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real benefit that a related business operator can provide a refrigerator-related service suitable for the home or business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a refrigerator located at a home or business.

도 56은 카메라의 히터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57은 카메라의 투명창에 온도별로 발생되는 결로에 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6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형태의 히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FIG. 5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heater of the camera, and FIG. 5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perimental result regarding dew condensation generated by temperature on a transparent window of the camera.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56 , the heater of the type described in FIGS. 14 to 17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도 56(a)는 상기 히터(84)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서 단속적으로 가동되는 형태의 그래프이고, 도 56(b)는 상기 히터(84)가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서 계속 가동되는 형태의 그래프이다. Fig. 56 (a) is a graph of a form in which power is supplied intermittently to the heater 84 and is operated intermittently, and Fig. 56 (b) is a graph of a form in which the heater 84 is continuously supplied with power and continuously operated. It is a graph.

도 56(a)는 상기 투명창(80)의 온도를 평소 제어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22) 온도와 같이 평형상태로 유지하다가, 냉장고 카메라 촬영 필요 시점에 순간 높은 전력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특히 사진 촬영을 하는 직전에 상기 히터(84)를 작동해서 상기 투명창(80)에 발생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56( a ) shows a method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not normally controll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22 is maintained in an equilibrium state, and then high power is applied instantaneously when the refrigerator camera needs to be photographed. In particular, by operating the heater 84 just before taking a picture, dew condensation generated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can be removed.

상기 도어(20)가 열리면서, 상기 투명창(80)이 상기 도어(20)를 통해서 들어온 따뜻한 외기에 포함된 수분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창(80)은 외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투명창(80)에서 응결되면서, 결로현상이 발생된다.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transparent window 8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warm outside air that has entered through the door 20 . At this time, since the transparent window 80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utside air,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s condensed in the transparent window 80, and dew condensation occurs.

이런 결로 현상으로 발생된 이슬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히터(84)가 순간적으로 구동된다면, 실제 상기 투명창(80)의 이슬이 제거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촬영이 필요한 시점이 이슬이 제거되는 시점보다 빠르다면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혀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remove the dew generated by the dew condensation, if the heater 84 is instantaneously drive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takes time until the dew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actually removed. Therefore, if the time at which the photographing is required is earlier than the time at which the dew is removed, a problem that dew may form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may occur.

반면에 도 56(b)는 상기 히터(84)가 계속 구동되어서, 상기 투명창(80)에 열이 공급되는 방식이다. 상기 투명창(80)의 온도는 항상 결로 발생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투명창(80)에 항상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어 상기 투명창(80)이 외기에 접촉하더라도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투명창(80)에 이슬로 맺히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상기 카메라(70)가 사진을 촬영해야하는 시점에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혀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56(b) , the heater 84 is continuously driven, so that heat is supplied to the transparent window 80 .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is always maintained above the dew condensation temperature, dew condensation does not always occur in the transparent window 80 . Accordingly, even if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transparent window 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does not condense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as de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from forming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at a point in time when the camera 70 needs to take a picture.

상기 히터(84)를 구동함에 있어서, 결로에 의한 영상품질 문제를 없도록 하는 점과, 상기 히터(84)의 소비전력으로 인해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히터(84)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로 인해서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riving the heater 84,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 image quality problem due to dew condensation and to prevent a sudde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due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er 84.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consider that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84 should not aff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자들은 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냉장고 고내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히터를 오프(off)하는 시간을 크게 하여 운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히터의 오프(off)하는 시간을 길게 설정하면, 결로가 발생할 것임을 우려하여, 카메라 투명창에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냉장고 외기 온도 섭씨 32도, 상대습도 85% 조건(이슬점 온도는 대략 섭씨 29도~30도 수준이 되는 조건)에서 실험했다(도 57 참조). 도 57a에서 y축은 투명창에 발생되는 결로량을 의미하고, 57b에서 y축은 현재 수증기량 대비 해당 온도에서 실제로 발생되는 결로량의 백분율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ors belie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time for turning off the heater in order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er and not affect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However, if the heater is turned off for a long time, there is concern that condensation will occur, so set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camera transparent window, and the refrigerator outside temperature is 32 degrees Celsius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85%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approximately Celsius 29 degrees to 30 degrees level) (see FIG. 57). In FIG. 57A , the y-axis denotes the amount of condensation generated on the transparent window, and in 57b, the y-axis denotes the percentage of the amount of condensation actually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compared to the current amount of water vapor.

반복된 실험에서 도출된 히터의 온/오프(on/off) 운전 주기는 고내의 특수한 온도 조건 하에서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의 영상 품질에 악화시킬 수 있었다.The on/off operation cycle of the heater derived from repeated experiments could deteriorate the image quality of the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under special temperature conditions inside the refrigerator.

히터의 적절한 온/오프(on/off) 주기를 찾는다 하더라도, 히터가 off되는 시간 동안에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 패턴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할 수 있다.Even if an appropriate on/off cycle of the heater is found, a user's refrigerator usage pattern during the time the heater is off may vary unpredictably.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장시간 동안 열어 놓았을 경우, 카메라 커버 글래스(Cover Glass)(커버 글래스는 상술한 투명창을 의미할 수도 있고, 카메라 렌즈의 앞단에 놓여지는 다양한 형태의 창을 의미할 수 있다) 표면에 많은 량의 결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히터를 작동시켜 커버 글래스를 가열하더라도 증발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시점에 촬영을 하면 영상 품질에 문제가 있다. E또한 이미 발생된 이슬을 커버 글래스로부터 증발시키는 데에는 많은 시간은 물론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leaves the refrigerator door open for a long time, the camera cover glass (the cover glass may mean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window, or various types of windows placed in front of the camera lens). There may be a large amount of dew condensation on the surface. In this case, even if the cover glass is heated by operating the heater,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for evaporation, there is a problem in image quality when shooting at that time. E In addition, a lot of time as well as a lot of power was consumed to evaporate the already generated dew from the cover glass.

또한 저장실이 냉장실일 경우, 고내 온도가 통상 섭씨 0도에서 7도 사이로 유지되고, 내부 체적 또한 커버 글래스 표면적에 보다 크다. 히터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은 저장실 내부의 냉기로 많은 부분이 누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커버 글래스에 생성된 이슬을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열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한 열을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히터를 사용하고, 순간 사용 전력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전력 사정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i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is usually maintained between 0°C and 7°C, and the internal volume is also larger than the cover glass surface area. A large portion of the heat supplied by the heater is inevitably leaked into the cold air inside the storage room. Therefore, in order to evaporate the dew generated on the cover glass, a large amount of heat must be applied for a short time. In order to intensively supply such heat for a short period of time, a large-capacity heater is used, and since instantaneous power is greatly increased,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a poor power situation.

따라서, 커버 글래스에 일정 이상의 결로량이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를 온/오프(on/off) 주기 없이 상시 운전을 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amount of dew condensation from being continuously generated on the cover glass from the beginning,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is applied to continuously operate the heater without an on/off cycle.

상기 히터에 전원을 상시 인가하는 방법은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바로 상기 카메라 히터에 해당 전원을 인가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냉장고 제어부를 통해 저장실이 정상 운전 동안에 히터에 상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s for the method of always applying power to the heater, th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camera heater immediate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the refrigerator may be controlled to always apply power to the heater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storage room through the refrigerator controller. have.

이어서, 커버 글래스의 가열온도에 대해 설명한다. 온도 대별로 얻은 영상 샘플을 토대로 품질 평가를 해 본 결과 상기 커버 글래스의 중심 부분의 온도가 대략 이슬점 온도에 대해 ½ 인 온도까지는 샘플 영상의 품질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 품질에 문제가 없다는 것은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저장실에 저장된 물품의 종류 및 수량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Nex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over glass will be described. As a result of quality evaluation based on the image samples obtained for each temperature r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problem in the quality of the sample imag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glass was approximately ½ of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absence of a problem in image quality may mean a degree to which the type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room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photographed photos.

특히 도 57b의 제(3)지점인 13.5도에서 얻은 영상 샘플의 품질은 적용가능한 수준이었다. 물론 커버 글래스의 가열 온도를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Cover Glass의 가열온도가 약 섭씨 13도에서 약 30도 사이가 유지되도록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quality of the image sample obtained at 13.5, the point (3) of FIG. 57B, was at an applicable leve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over glas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ew point, bu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er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over glass is maintained between about 13 degrees Celsius and about 30 degrees Celsius.

한편 실험 결과를 통해서커버 글래스의 가열온도는 동일한 인가전력이 공급되는 조건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외곽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커버 글래스의 두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동일한 커버 글래스 크기에서 이슬점 온도의 1/2수준에서 영상품질은 만족하였으므로, 이를 하한점으로 하되, 히터의 소비전력(인가전력) 차원에서 적절한 상한점을 두고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over glas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uter size of the cover glas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ame applied power was suppli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Therefore, since the image quality was satisfactory at 1/2 of the dew point temperature at the same cover glass size, it is preferable to set this as the lower limit, but set an appropriate upper limit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pplied power) of the heater.

커버 글래스를 가열할 때에 이슬점 온도(29.2도) 근처에서의 인가전력이 0.45W이고, 이슬점 온도의 약 0.58배 수준(섭씨 17.1도)에서의 인가전력이 0.27W였다. 따라서, 이슬점 온도의 0.5 ~ 0.7 범위에서는 소모 전력도 대략 0.5 배이기 때문에 소비전력 감소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When heating the cover glass, the applied power near the dew point temperature (29.2 degrees Celsius) was 0.45 W, and the applied power at about 0.58 times the dew point temperature (17.1 degrees Celsius) was 0.27 W. Therefore, in the range of 0.5 to 0.7 of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power consumption is also approximately 0.5 times, so a great effect can be seen in reducing power consumption.

통상 가변될 수 있는 외기 조건에서 이슬점 온도의 중간 대역이 대략 섭씨 12 도 내지 17도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에는 상기 투명창의 중앙 부분의 온도가 대략 섭씨 12 도 내지 17도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값이 인가됨이 바람직하다. The mid-band of the dew point temperature at ambient conditions, which can usually vary, may be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12 to 17 degrees Celsius.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a current valu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to be approximately 12 to 17 degrees Celsius is applied to the heater.

즉 본 발명에서는 커버 글래스의 온도를 이슬점이 아닌, 이슬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해서 히터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heater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glas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not the dew point.

도 58은 투명창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5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5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arent window.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투명창(80)은 친수코팅된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투명창(80)은 상술한 커버(90)를 의미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80 may be hydrophilic coated.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window 80 may refer to the above-described cover 90 .

상기 투명창(80)에 순간적으로 이슬이 맺히더라도, 도 58에서와 같이 친수코팅으로 인해서 물의 접촉각(α)가 15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친수코팅이 되면 해당 표면에 대한 물의 표면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투명창(80)의 표면에 넓게 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명창과 저장실의 천정면 사이의 각도가 대략 10도 내지 20도 사이가 되도록, 상기 카메라가 저장실의 천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Even if dew is momentarily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 the contact angle α of water may be formed within 15 degrees due to the hydrophilic coating as shown in FIG. 58 . When hydrophilic coating is applie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is reduced. This is because water can spread widely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80 . Accordingly, the camera may be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transparent window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is between approximately 10 degrees and 20 degrees.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에 맺힌 물로 인해서 촬영된 사진에 대한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친수코팅은 한 번 제작된 이후에 추가적인 전기를 공급하는 등의 제어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stortion of the photographed picture due to the water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80 . In addition, the hydrophilic coating may have advantage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controlled such as supplying additional electricity after being manufactured once.

도 59와 도 60은 카메라가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9a와 도 60a는 저장실의 측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9b와 도 60b는 인너 케이스의 상측으로 올려다본 도면이다. 이하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커버(90)에 이르는 경로를 우회시켜 커버(90)에서 응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59 and 60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in an inner case. For reference, FIGS. 59A and 60A are views looking up at the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FIGS. 59B and 60B are views looking up at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9 and 60 . Through thes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in the cover 90 by bypass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reaches the cover 90 .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5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하방을 향해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00)는 전술한 카메라 하우징들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camera 70 may be installed on the protrusion 50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 In this case, the protrusion 500 may mean a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inner case 12 . These protrusions 5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camera housings.

이때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돌출부(500) 내에서, 상기 저장실(22)의 내측벽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커버(90)를 통해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90)는 상기 돌출부(500)에서 상기 저장실(22)의 후벽을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9 , the camera 70 is installed within the protrusion 500 to face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 The camera 70 can take a picture inside the storage chamber 22 through the cover 90 . Accordingly, the cover 9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from the protrusion 500 .

이때 상기 커버(90)에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접촉하면서 냉각되어 이슬이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ver 90 is cooled whil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comes into contact, thereby generating dew.

그러나 상기 커버(90)는 상기 저장실(22)의 후벽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외기가 상기 커버(90)에 도달하는 경로가 길어질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cover 90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22 , the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reaches the cover 90 may be lengthened.

즉 상기 도어(20)를 통과하는 외기가 상기 저장실(22)을 통과해서 상기 커버(90)에 접촉하기 위해서는 도 59b와 같은 경로를 통해야 하는데, 이때 외기는 상기 저장실(22)의 냉기와 접촉하면서 포함하고 있던 수분 중 일부가 다른 부분에서 응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수분의 양이 점차 줄어들면서 상기 커버(90)에 도달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oor 20 to pass through the storage chamber 22 and contact the cover 90, it must pass through the path as shown in FIG. Some of the moisture it contained may condense in other parts. Accordingly, the outside air may reach the cover 90 while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storage chamber 22 is gradually reduced.

즉 상기 도어(20)가 열려있더라도 상기 저장실(22) 내부는 상기 저장실(22) 외부에 비해서 저온을 유지하고, 즉시 외기와 동일한 온도로 바뀌지는 않기 때문에 외기가 상기 저장실(22)로 진입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That is, even when the door 20 is op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maintains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2 and does not immediately change to the same temperature as the outside air, so the outside air enters the storage compartment 22 and heat exchanges this is done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90)가 상대적으로 외기와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된다면 상기 커버(90)에 발생되는 이슬의 양이 줄어들 수 있고, 이슬이 발생되는 시점이 늦어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cover 90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ontact the outside air, the amount of dew generated on the cover 90 may be reduced,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ew is generated may be delayed.

먼저, 외기는 고내로 진입하면서 돌출부(500)의 전방면(501)에 접하게 된다. 이때, 전방면(501)에 접하는 외기는 돌출부의 좌우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고내로 더욱 진입한다. 이러한 외기는 돌출부(500)의 측면(502)에 접하면서 커버(90)로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90)로 도달되기 전에 많은 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First, the outside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501 of the protrusion 500 as it enters the cabinet. At this time, the external air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501 enters the chamber while changing the path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rotrusion. The outside air may reach the cover 90 while in contact with the side 502 of the protrusion 500 .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moisture may condense before reaching the cover 90 .

또한, 돌출부(500)의 전방면(501)에 접하는 외기는 하강하여 돌출부의 하면(503)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면(501)과 하면(503)으로 이동하면서 많은 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air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501 of the protrusion 500 may descend and rise on the lower surface 503 of the protrusion. 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moisture may be condensed while moving to the front surface 501 and the lower surface 503 .

아울러, 상기 커버(90)는 전방면(501), 측면(502) 그리고 하면(503)으로 둘러싸인 형태에서 기울어지게 장착된다. 따라서, 외기의 경로와 커버(90)가 수직을 이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기가 커버(90)에 도달하여 급격하게 응축되는 것 또한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90 is mounted to be inclined in a shape surrounded by the front surface 501 , the side surface 502 and the lower surface 503 . Accordingly, the path of the outside air and the cover 90 are no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can also be prevented that the outside air reaches the cover 90 and is rapidly condensed.

특히 상기 돌출부(500)의 폭, 특히 전방면(5010)의 좌우 폭은 상기 카메라(70)의 폭보다 넓은 것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protrusion 500 ,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ont surface 5010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amera 70 .

도 6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9에 도시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카메라가 수직 하부를 바라보도록 장착된 것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9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60 is very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9 .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erent that the camera is mounted to face the vertical lower part. Accordingly, the same effect as the example shown in FIG. 59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돌출부(500)는 후방면(5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01)의 상하 길이가 상기 후방면(504)의 상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방면(501)이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하방으로 더 많이 돌출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trusion 500 may also include a rear surface 504 .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surface 501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ar surface 504 . That is, it is possible that the front surface 501 protrudes more downward of the inner case 12 .

따라서 외기가 상기 커버(90)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평 방향으로는 상기 돌출부(500)의 폭에 의해서 경로가 길어지고,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돌출부(500)의 돌출된 높이 차이에 의해서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outside air to reach the cover 90 , the path lengthe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width of the protrusion 500 ,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th becomes longer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s 500 . will lose

이러한 돌출부(500)의 구조 또는 카메라를 장착하는 구조를 통해 커버(90)에서의 응축 방지는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매우 관련이 있다. 즉, 저장실의 천정에서 수직 하부에서 수직에서 소정 각도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 범위로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장실 내에서 저장실 내의 전체 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하면서 외기의 유입 경로를 효과적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 Prevention of condensation in the cover 90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500 or the structure of mounting the camera is very relat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That is, it is because the camera can be installed in an angle range that is inclin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vertical in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of the storage roo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ypass the inflow path of the outside air while effectively photographing the entire area in the storage chamber in the storage chamber.

종래 기술에서는 카메라를 본체 저장실의 측벽이나 본체 외부 상단, 도어 또는 도어 상부에 장착하는 기술을 개시한 것들이 있다. In the prior art, there are those that disclose a technique for mounting the camera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storage compartment,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body, the door, or the upper part of the door.

종래 기술은 저장실 측벽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측벽에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를 마련하고, 함몰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기술이 있다. 즉 카메라는 저장실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저장실의 선반이나 물품을 인출할 때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한 구성이라고 추측된다.In the prior art, when a camera is mounted on a side wall of a storage room, there is a technique for providing a recess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on the side wall, and mounting the camera on the recess. That is, the camera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room. It is assumed that this is a configuration not to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when taking out shelves or articles in the storage room.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장에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을 사용할 때에 방해를 받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물품을 저장실로부터 인출하고자 할 때, 물품이나 선반의 이동 경로에 카메라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와 충돌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mera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ner case 12 , the user is not disturbed when using the storage compartment 22 . This is because, when a user wants to take an article out of the storage room, since the camera is not locat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or shelf, there is no reason to collide with the camera.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70)의 커버(90)가 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서, 외기가 상기 커버(90)에 도달하는 경로를 연장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90 of the camera 70 is arranged to face the rear,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reaches the cover 90 can be extended.

도 59a에서는 상기 커버(90)가 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돌출부(500)가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외기가 상기 커버(90)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3차원적인 이동 경로를 가지게 되어, 외기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In Figure 59a, while the cover 90 is arranged to face the rear, the protrusion 500 protrudes downward, so that the outside air has a three-dimensional movement path in order to reach the cover 90, the movement of the outside air path becomes longer.

도 60a에서는 상기 커버(90)가 하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지만, 상기 돌출부(500)에 개구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전방면(504), 상기 전방면(504)의 양단에 상기 전방면(504)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면(508)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방면(504)와 상기 측면(508)는 상기 돌출부(500)로부터 하방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설치되어, 외기가 상기 커버(90)에 도달하는 경로가 길어지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the cover 90 is disposed to face downward in FIG. 60A , the front surface 504 disposed horizontally to the opening in the protrusion 500,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504 and the front surface 504 A side 508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ide 508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504 and the side surface 508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from the protrusion 500 ,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reaches the cover 90 may be lengthened.

즉 저장실 개구측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가 카메라의 커버(90)에 일직선으로 바로 도달하여 접촉되지 못하고, 상기 돌출부(500)를 따라 좌우 그리고 하방으로 우회하여 도달한다. 따라서 외기는 고내의 냉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지면서 포화수증기량이 작아지므로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가 결로되어 고내 냉기와 섞여 없어진다. 최종적으로 상기 커버(90)에 도달되었을 때에는 줄어든 수증기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90)를 가열하고 있는 히터에 의해 충분히 증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igh-temperatur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n the opening side of the storage chamber directly reaches the cover 90 of the camera in a straight line 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but bypasses the left and right and downwards along the protrusion 500 and arrives. Therefore, the outside air is heat-exchanged with the cold air inside the furnace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saturated steam decreases. Therefore,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it is condensed and mixed with the cold inside the furnace and disappears. When the cover 90 is finally reached, since it has a reduced amount of water vapor, it can be sufficiently evaporated by the heater heating the cover 90 .

따라서 상기 히터(84)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력이 줄어들게 되어, 냉장고 전체적으로 소모되는 소비 전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ctric power to be provided to the heater 84 is reduced, so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ed as a whole of the refrigerator can be improved.

도 59 또는 도 6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저장실(a storage compartment)이 형성된 본체 (a cabinet)와; 상기 저장실은 전면에 개구부(an access opening)와, 단열물질로 이루어진 상부벽, 하부벽, 양측벽, 그리고 후벽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선반에 의해 구획되는 선반영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로어를 갖는 드로어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실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도어(at least one of doors)와;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선반의 전단부(a front edge of the shelves) 사이의 상기 저장실 상부벽에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a camera device)를 포함하고; 59 or 60,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therein; The storage compartment has an access opening on the front side, an upper wall, a lower wall, both side walls, and a rear wall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shelf area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shelves, and a drawer having at least one drawer comprising a region; a door (at least one of door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camera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between the open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front edge of the shelves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렌즈를 포함한 카메라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부품을 수용하고, 상기 렌즈와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카메라창(a camera window)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부(a camera module part)와, 상기 카메라 모듈부를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카메라 하우징부(a camera housing part)를 포함 하여 구성되고; The camera device accommodates electrical components necessary for driving a camera including a camera lens, and a camera module part having a camera window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lens, a camera module part, and the camera mod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mera housing part (a camera housing part) for fixing the part by seating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는 상기 저장실 상부벽에 접하는 고정면 (a fixing surface), 상기 저장실의 개구측에 형성되는 전면(a front surface)과,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side surfaces)과,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카메라창이 노출되도록 개구(an opening)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a top surface)을 포함 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의 전면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 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mera housing unit includes a fix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a front surface formed on an opening side of the storage chamber,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camera;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p surface having an opening formed so that the camera window of the module unit is expose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unit is formed higher than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unit can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의 상면은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면에 대하여 상기 저장실의 개구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는 것이 가능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art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storage chamber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는 상기 저장실의 후벽 측에 상기 전면과 반대 위치에 후면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면의 높이는 상기 후면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housing unit may further have a rear surfac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on the rear wall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surface.

상기 카메라하우징부 상면의 개구는 상기 카메라하우징부의 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art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art.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의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 (a recessed space)에 대응되도록 함몰부 (a recessed portion)을 갖는 하우징장착부(a housing installation part)를 더 포함하여 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stallation part (a housing installation part) having a recessed portion (a recessed portion) to correspond to a recessed space inwardly of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recessed space).

상기 하우징장착부는 냉장고 단열재 충진과 함께 저장실 상부벽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장착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housing mounting part may be mounted on the upp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together with the filling of the refrigerator insulator, and the camera housing part may be fixed to the housing mounting part.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에 고정된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하우징장착부에 형성된 함몰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unit fixed to the camera housing unit may be accommodated in a depression formed in the housing mounting unit.

상기 하우징장착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는 상기 카메라모듈부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 내면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unit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housing mounting unit may be fixed to the camera housing unit to have a gap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ounting unit.

상기 카메라하우징부의 전면과 양측면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 상면의 개구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camera housing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상기 카메라하우징부의 상면은 상기 저장실의 개구측이 상기 저장실의 후벽측보다 상기 저장실 상부벽면으로부터 더 멀리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may be formed so that an opening side of the storage chamber is farther from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than a rear wall side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카메라창이 형성되는 전면부 (a front portion)과 그 반대편의 후면부(a rear portion)을 가지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면(a flat surface)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unit has a front portion on which a camera window is formed and a rear portion opposite thereto, and at least one flat surfac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can

상기 카메라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수용되는 수용부(a receiving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카메라 모듈부에 형성된 평평한 면이 놓이게 되는 안착부 (a sea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module is formed inside the camera housing,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place a flat surface formed on the camera module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part.

상기 하우징장착부의 함몰부에는 상기 저장실의 상부벽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카메라 모듈부에 형성된 평평한 면이 놓이게 되는 안착부(a sea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ssed part of the housing mounting part may include a seating part in which a flat surface formed in the camera module part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전면부의 카메라창 주변에 평평한 면(a flat surface)을 형성하고, 상기 평평한 면은 상기 카메라 렌즈 중심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A flat surface may be formed around the camera window of the front part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flat surfac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center of the camera lens.

도 6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61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efrigera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1의 냉장고는 양문형 냉장고로, 좌우측이 서로 다른 저장실을 이루는 형태이다. 즉 좌측의 저장실은 냉동실이고, 우측의 저장실은 냉동실이고, 좌측의 저장실은 냉장실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frigerator of FIG. 61 is a double-door refrigerato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 different storage compartments. That is, the storage compartment on the left may be a freezing compartment, the storage compartment on the right may be a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storage compartment on the left may constitut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상기 저장실(22)의 천정에는 상기 저장실(22)의 하부를 향하도록 카메라(70)가 설치될 수 있다. A camera 7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torage chamber 22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22 .

그리고 상기 저장실(22)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50)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awer 50 that can store articles and can be drawn in and out can be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2 .

다른 내용은 앞에서 설명한 냉장고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Other content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도 62는 도 61에 따른 냉장고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이다. 이하 도 6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62 is a screen provided to a user from the refrigerator of FIG. 61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에게는 상기 드로워(50, 51)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이미지와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냉장고에서는 하나의 드로워(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2에서도 하나의 드로워에 관한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1에 도시된 바왁 kx이 상하로 두 개의 드로워(50, 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드로워 내부에 관한 이미지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image of an article stored in the drawers 50 and 51 and an image of an article sto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40 . One drawer 50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ly, an image related to one drawer may be provided also in FIG. 62 . However, the two drawers 50 and 5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auak kx shown in FIG. 61 .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an image relating to the inside of each drawer is provided.

도 2를 통해 설명된 예에서는 드로워가 좌우로 각각 구비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도 62에서는 상하로 드로워가 각각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영역이 두 개일 수 있으며, 상부 드로워(51)에 비해 하부 드로워(50)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드로워(50, 51)에서도 마찬가지로 마커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drawe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However, in FIG. 62 , the drawer may be vertically provided. Accordingly, there may be two drawer areas, and the lower drawer 50 may protrude forward compared to the upper drawer 51 . In this case, each of the drawers 50 and 51 may also be provided with a marker.

이를 통해서,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복수 개의 선반 영역, 복수 개의 드로워 영역에 저장된 식품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food information stored in the plurality of shelf areas and the plurality of drawer areas through one camera.

사용자 화면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방식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냉장고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The method of upgrading the image provided on the user scree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refrigerator.

도 63은 도 61에 따른 냉장고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6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6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picture taken by a camera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FIG. 61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통상적으로 드로워가 하나만 제공되거나 상하로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도 61의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하나의 수평 조정선(15)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드로워를 각각 구분하기 위하여 두 개의 수평 조정선이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 조정선을 배치해서 조정선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6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수직 조정선을 사용하지 않고, 수평 조정선만을 이용해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general, since only one drawer is provided or arranged vertically, one horizontal adjustment line 15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of the form of FIG. 61 . Of course, two horizontal adjustment lines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two drawer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line by arranging two vertical adjustment lines that are arranged in parallel. Of course, unlike that shown in FIG. 63 ,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image using only the horizontal adjustment line without using the vertical adjustment line.

사용자에게는 상기 조정선(15)을 이동시키는 한계 범위를 표시하는 한계선(16)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한계선(16)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imit line 16 indicating a limit range for moving the adjustment line 15 . In this case, the limit line 16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러한 조정선(15)을 통한 오차의 보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The correction of the error through the adjustment line 15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아우터 케이스 12: 인너 케이스
20: 도어 40: 선반
42: 제1영역 50: 드로워
52: 제2영역 60: 베리어
62: 제3영역 70: 카메라
100: 제어부
10: outer case 12: inner case
20: door 40: shelf
42: first area 50: drawer
52: second area 60: barrier
62: third area 70: camera
100: control unit

Claims (40)

전방에는 개구와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단열벽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여 상기 저장공간이 식품을 상온이하로 저장가능한 저장실을 형성 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구비되는 마커;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어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상기 드로어의 외부에 배치되어, 드로어를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선반 아래에서 선반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카메라는 상기 드로어를 연속으로 촬영하는 냉장고.
a body having an opening in the front and an insulating wall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door provid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to form a storage chamber in which the storage space can store food below room temperature;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arker provided in the drawer;
at least one shelf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ositioned above the drawer;
a camera disposed outside the drawer to photograph the drawer; and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from under the shelf to the front of the shelf, the camera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dra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이미지 중에서 최근의 연속된 2개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two most recent consecutive images from among the continuously taken pictures or video imag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연속촬영에 의해 얻어진 사진 또는 영상의 이미지에 포함된 마커를 통해 드로어의 위치 또는 이동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r movement state of a drawer through a marker included in an image of a photo or video obtained by continuous shooting by the camer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보내진 사진 또는 영상의 이미지를 일정 픽셀로 나누어 일정한 간격으로 좌표값을 부여하고 상기 이미지의 좌표 상에 상기 마커의 위치를 판단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divides the image of the photo or video sent from the camera into predetermined pixels, assigns coordinate values at regular intervals,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rker on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상기 좌표값이 0에서 증가한다고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상기 제어부로 보내진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해 좌표 변화만을 판단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increases from 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only a coordinate change with respect to a photo or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sent to the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마커의 이동경로 외의 부분의 이미지는 구획하여 삭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 refrigerator that partitions and deletes images of parts other than the movement path of the marker for determining the coordinate chan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상기 좌표값이 변화가 없다고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상기 제어부로 보내진 사진 또는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드로어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을 임시 저장부로 이동시켜 저장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the control unit mov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drawer area from an image of a photo or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and sent to the control unit to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stores it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상기 좌표값이 더 작은 값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가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임시 버퍼에서 임시적으로 버퍼링되는 이미지 중에서 가장 최근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 디스플레이에 표시 또는 단말기로 송신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changes to a smaller value,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most recent image from among the images temporarily buffered in the temporary buffer, moves it to the storage unit, stores it, displays it on the display, or Refrigerator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상기 좌표값의 위치가 설정된 제1구간내에 있을 때는 드로어가 열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거리가 설정된 구간을 넘은 제2구간에 있을 때는 드로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awer is not open when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is within a set first section, and determines that the drawer is open when the drawer pull-out distance is in a second section that exceeds the set section refrigerator to do.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상기 드로어의 인출거리의 30% 이내는 제1구간으로 하고, 상기 인출거리가 30%이상인 경우는 제2구간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frigerator is defined as a first section when the drawer is within 30% of a withdrawal distance of the drawer, and a second section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by 30% or mo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어가 열리지 않은 상태와 상기 드로어가 열린 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드로어의 위치 판단 방법을 다르게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vary a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 drawer with respect to a photo or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not opened and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open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로어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는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전송된 현재의 이미지에서 마커의 위치가 설정된 인출 거리에 해당되는 거리 만큼의 픽셀의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first s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etermined as the closed state, the controller determines only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ixel in the transmitted current image has reached the position of the pixel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t withdrawal distan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마커의 위치를 제외한 부분은 구획하여 삭제 또는 임시 버퍼링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ler partitions and deletes or temporarily buffers a portion of the image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mark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처리하는 이미지에서 상기 마커가 제2구간인 특정 픽셀 이상의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부터는 드로어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두 개의 사진(직전에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와 그 이후에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을 비교하여 마커의 좌표값을 판단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imag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when the marker reaches a posi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pixel, which is the second section, two pictures (the image of the picture taken immediately and the picture taken after image) to determin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marker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마커의 위치를 제외한 드로어 부분은 구획하여 임시 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drawer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 the image and moves it to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stora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구간에서 연속된 2개의 이미지에 도시된 마커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드로어의 이동방향, 상기 드로어의 정지상태, 또는 상기 드로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compares coordinate values of markers shown in two consecutive images in the second sec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the stationary state of the drawer, or the fully opened state of the draw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고내를 촬영하는 속도(사진을 촬영하는 시간 간격)는 상기 제어부가 전송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판단하고 처리하는 속도와 매칭되도록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A refrigerator in which the speed at which the camera takes pictures (time interval at which pictures are taken) matches the speed at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d processes the transmitted picture or image from the im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로부터 마커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상기 드로어의 좌표값을 0으로 설정하고 상기 드로어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marker is not detected from the image, the controller se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drawer to 0 and determines that the drawer is in a closed sta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좌표값이 0에서부터 변화하면 드로어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냉장고.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rawer moves wh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arker changes from 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만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반 영역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임시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oor switch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ler moves and stor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helf area to a temporary storage unit.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는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가장 최근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단말기로 송신하는 냉장고.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ler selects a most recent image from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displays it on the display, or transmits the selected image to th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이고, 상기 드로어도 열린 상태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에서 상기 드로어 부분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임시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door switch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 and the drawer is also open, the controller mov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part from the image for the photo or video transmitted from the camera to a temporary storage unit and stores the imag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어가 닫히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가장 최근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디시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단말기로 송신하는 냉장고,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rawer has started to close, the refrigerator selects the most recent image from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displays it on the display, or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반 영역에 해당되는 이미지 부분도 별도 구획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냉장고.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elf area and moves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for storag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가장 최근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단말기로 송신하는 냉장고.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 unit selects a most recent image from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displays it on the display, or transmits the selected image to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연속으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에는 각각 마커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including a marker in each image of a picture or video continuously taken by the camera.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연속촬영에 의해 얻어진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7. The method of claim 26,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obtained by continuous shooting by the camera.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는 서로 다른 마커의 위치를 갖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냉장고.
27. The method of claim 26,
Refrigerator including images having different marker positions in the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었을 때, 상기 드로어의 평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로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is disposed above the drawer so that when the drawer is withdrawn, the camera can photograph a plane of the drawer.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드로어의 내부와 상기 마커를 포함하는 냉장고.
27. 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drawer, the image of the photo or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includes the inside of the drawer and the marker.
제 1 항에 있어서,
마커는 동일한 형태나 색상의 모양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marker i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shape of the same shape or color is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주변의 드로어와 경계 부분은 드로어와 대비되는 되는 색상 또는 모양을 갖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rker has a color or shape that contrasts with the drawer at the border with the drawer.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내측 부분은 상기 마커의 외주변과 대비되는 색상 또는 모양을 갖는 냉장고.
33. The method of claim 32,
A refrigerator having an inner portion of the marker having a color or shape contrasting with an outer periphery of the mar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드로어의 이동방향의 길이가 상기 드로어의 이동방향 길이에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marker is a refrigerator in which a length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is smaller than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ength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저장실의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미지를 각 저장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for the photo or video of the storage room taken by the camera,
The display is a refrigerator for displaying the image by dividing it for each storage area.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이미지에는 상기 드로어 내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냉장고.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includes an image of an inner region of the drawer.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내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드로어의 닫힘 동작이 감지 될때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로 하는 냉장고.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image of the inner region of the drawer is an image of a photo or video taken when a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is sensed.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닫힘상태가 감지되어 상기 드로어내부의 저장영역에 대한 사진 또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가 확보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부를 표시하는 냉장고.
38. The method of claim 37,
When the closed state of the drawer is detected and an image of a photo or video for a storage area inside the drawer is secured, the refrigerator displays a user input unit on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정지된 상태이거나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도, 상기 카메라는 계속 촬영을 하여 상기 드로어에 대한 이미지를 얻도록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Even when the drawer is in a stopped state or is completely withdrawn, the camera continues to take pictures to obtain an image of the drawer.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의 드로어 인출 길이는 상기 드로어 전후 길이의 50%로 하는 냉장고.
40. The method of claim 39,
A drawer withdrawal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lly drawn out is 50% of a length before and after the drawer.
KR1020210036495A 2014-04-15 2021-03-22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47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95A KR102347134B1 (en) 2014-04-15 2021-03-22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67A KR102232657B1 (en) 2014-04-15 2014-04-15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210036495A KR102347134B1 (en) 2014-04-15 2021-03-22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067A Division KR102232657B1 (en) 2013-04-23 2014-04-15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887A KR20210036887A (en) 2021-04-05
KR102347134B1 true KR102347134B1 (en) 2022-01-03

Family

ID=7934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95A KR102347134B1 (en) 2014-04-15 2021-03-22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1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090A (en) * 2021-04-27 2022-08-0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Method for acquiring image in refrigerator, refrigerato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20147826A (en) * 2021-04-28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337A (en)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Food material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
JP2012251722A (en)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647B1 (en) * 1998-12-24 2003-08-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w to control the interior light of the refrigerator
KR20090020185A (en) * 2007-08-23 200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117464A (en) * 2011-04-15 201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2023013B1 (en) * 2013-04-18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23014B1 (en) * 2013-04-2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337A (en)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Food material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
JP2012251722A (en)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887A (en)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2519B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98671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7844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4713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5240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52399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9501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1785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127013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32657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7731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62087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13448A (en) Refrigerator
KR10266818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3159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73841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