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54B1 -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 Google Patents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54B1
KR102346954B1 KR1020200066263A KR20200066263A KR102346954B1 KR 102346954 B1 KR102346954 B1 KR 102346954B1 KR 1020200066263 A KR1020200066263 A KR 1020200066263A KR 20200066263 A KR20200066263 A KR 20200066263A KR 102346954 B1 KR102346954 B1 KR 10234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late
wire
measuremen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9348A (en
Inventor
이민재
이래덕
Original Assignee
이민재
이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재, 이래덕 filed Critical 이민재
Priority to KR102020006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54B1/en
Publication of KR2021014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2Systems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of gases, by the influence exerted on ionic conductivity in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50Detectors
    • G01N2223/502Detectors ionisation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면에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는 와이어 전극이 다수 배열되고, 안쪽에 제1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측정용 시료를 고정하며, 안쪽에 제2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측정용 시료가 고정된 상태로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바닥면에 상기 와이어 전극과 배선을 위한 공간으로 채널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채널과 통하는 배선구멍이 형성된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sistivity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 electrodes in contact with the sample for measurement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o fix the sample for measurement, A secon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wo through-holes is mounted on the inner lower part in a state where a measurement sample is fix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pace for the wire electrode and the wiring is on the bottom surface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a chamber in which a channel is formed, a wir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is formed on a wall surface, and a lead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hamber.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measuring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

연료전지는 연료로서 공급되는 수소로부터 산화반응을 통해 전자를 공급하는 연료극(anode)과 산소를 공급받아 환원이 이루어지는 공기극(cathode)을 포함한다. 발생된 전자는 회부회로를 통해 연료극에서 공기극으로 이동하며, 연료전지의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리된 이온(예. 수소이온(H+) 또는 수산화이온(OH-))은 전해질막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전류와 물을 동시에 발생시킨다.A fuel cell includes an anode for supplying electrons through an oxidation reaction from hydrogen supplied as fuel, and a cathode for reduction by receiving oxygen. The generated electrons move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through the external circuit, and the ions that are dissoci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fuel cell (eg, hydrogen ions (H + ) or hydroxide ions (OH - )) selectively move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 to generate current and water at the same time.

이러한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직접붕소수소화물 연료전지(direct borohydride fuel cell; DBFC) 및 고체알칼라인 연료전지(solid alkaline fuel cell; SAFC) 등이 있다.Such fuel cells includ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 direct borohydride fuel cell (DBFC), and a solid alkaline fuel cell. (solid alkaline fuel cell; SAFC), and the like.

이 가운데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는 전해질로 양이온 또는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인 양이온 교환막을 채용하고, 고체알칼라인 연료전지(solid alkaline fuel cell)는 수산화이온 전도 전해질 막인 음이온 교환막을 채용하며, 직접붕소수소화물 연료전지(direct borohydride fuel cell)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을 모두 사용 가능하다.Among them,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nd a direct methanol fuel cell employ a cation exchange membrane, which is a cation or hydro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membrane, as an electrolyte, and a solid alkaline fuel cell ) employs an anion exchange membrane, which is a hydroxide ion conducting electrolyte membrane, and a direct borohydride fuel cell can use both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이온전도성을 갖는 전해질막은 연료전지의 효율 및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써 가능한 이온전도도가 높아야 한다.An electrolyte membrane having ion conductivity used in a fuel cell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ef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a fuel cell, and should have as high an ion conductivity as possible.

따라서, 고성능 연료전지특성 확보를 위해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전해질막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상기 특성을 갖는 전해질막을 개발하거나, 이미 개발된 다양한 전해질막을 선별하는데 있어, 보다 정확하게 이온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수소이온(H+)의 경우, 전도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형 장치가 개발되어 실용화 중에 있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se an electrolyte membrane having high ionic conductivity to secure high-performance fuel cell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an electrolyte membrane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or selecting various electrolyte membrane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ionic conductivity more accurately. In the case of hydrogen ions (H+), a small devic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conductivity has been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시료 물성 측정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항온 및 항습 상태의 수증기 또는 물 속에서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는 구조여서 온도, 습도, 접촉 저항 및 전자기 잡음 등으로 인한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여 측정 오류를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ample physical property measuring device. Since this is a structure that measur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sample in water vapor or water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state, external influences caused by temperature, humidity, contact resistance and electromagnetic noise can be minimized to reduce measurement errors.

그러나 특허문헌 1에 NaOH, KOH, 암모니아수 등과 같은 알칼리 수용액을 적용하여 물성을 측정할 경우 장치를 구성하는 금속 부품이나 납땜으로 연결한 부분들이 알칼리 수용액에 노출되면서 화학적 반응에 의한 부식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알칼리 수용액의 오염 및 전기배선 상의 문제를 유발하여 측정용 시료(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예; OH- 이온)에 대한 비저항(specific resistance) 및 이온전도도(ionic conductivity)를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by applying an aqueous alkali solution such as NaOH, KOH, aqueous ammonia, etc. to Patent Document 1, metal parts constituting the device or parts connected by soldering are exposed to the aqueous alkali solution and corrosion occurs due to a chemical reaction. It causes contamination of aqueous alkali solution and problems in electrical wiring, so that an error occurs when measuring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eg, OH - ions). There are limits.

또한, 상부 및 제1플레이트가 테프론(Teflon)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상부 및 제1플레이트 사이에 측정용 시료를 삽입한 후 볼트로 조이고 푸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와이어 전극이 제1플레이트 속으로 파고 들어가거나 미세하게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plate are made of Teflon, after inserting the sample for measurement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plate,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bolts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wire electrode is dug into the first plate. Or there i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of slight twisting occurs.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is revealed that it does not mean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field, and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not mutually exclusive with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KR 10-2005-012026310-2005-0120263 A(2005.12.22)A (2005.12.22) KRKR 10-2018-008440310-2018-0084403 A(2018.07.25)A (2018.07.25) KRKR 20-028833820-0288338 Y1(2002.08.27)Y1 (2002.08.27) KRKR 10-149311310-1493113 B1(2015.02.06)B1 (2015.02.0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시료 물성 측정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오류(오차) 없이 정밀하게 측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in view of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ample property measuring device technology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matters.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by making great efforts to develop a new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accurately measuring without error (error).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without error. will be.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상면에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는 와이어 전극이 다수 배열되고, 안쪽에 제1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제1플레이트, 측정용 시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면에 볼트로 죄어 결합되고, 안쪽에 제2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측정용 시료가 고정된 상태로 내측 하부에 탈부착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바닥면에 상기 와이어 전극과 연결되는 도선을 배선하기 위한 공간으로 채널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채널과 통하는 제1도선구멍이 다수 형성된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lid)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on the upper surface, a wir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ample for measurement A first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rrange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therein, a second plate coupled by bolt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o fix a sample for measurement, a secon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lower part in a fixed state,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channe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s a space for wiring a conducting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 a chamber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wir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are formed on the wall surface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hamber.

이로써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납땜 이음 없이 와이어 전극과 연결된 도선을 직접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오류(오차) 없이 정밀하게 측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draw out the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without a solder joint unlike the prior art, so that the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can be precisely measured without measurement error (error). can promo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볼트는, 니켈도금으로 표면에 니켈층을 입히고, 상기 상부 및 제1플레이트와 상기 챔버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 전극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측정오류 없이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is made of a nickel plating, a nickel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plate and the chamber are made of a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As a result, the wire electrode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and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without measurement err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챔버의 상면 테두리 중 상기 리드와 접합부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상기 리드와 접촉되는 패킹이 끼워져 있어 상기 챔버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알칼리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junction part with the lead among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and a packing contacting the lead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groov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It is possible to block the discharge of alkali vapor generated by the ris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챔버의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챔버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챔버의 제1도선구멍과 통하는 제2도선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제1도선구멍을 커버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외벽에 고정된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 중 상기 케이스의 제2도선구멍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과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온도 조절을 위해 케이스의 외부에 채워지는 물을 가열 시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측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물 가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is formed to be inser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ostatic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mber, and a second conductive wir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of the chamber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A case, a mount that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ase while covering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and a connector moun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conductive wire hole of the case among the mount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through a conductive wire Thu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as well as reduce the heating time of water to maintain a constant measurement temperature because heat transfer is effective when the water filled outside the case is heated for temperature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케이스는, 니켈도금으로 표면에 니켈층을 입히고, 상기 제1 및 제2도선구멍과 도선 사이에 진공 에폭시 본드를 충전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can be sealed by coating a nickel layer on the surface with nickel plating, and filling a vacuum epoxy bo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 holes and the conductive wir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챔버의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 베인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측정 종료 후 가이드 베인을 통해 챔버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을 기울여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알칼리 수용액이 케이스의 외벽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van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it can be easily removed by tilting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through the guide vane after measurement is completed, and in this process,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t can prevent damage to the outer wall of this cas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알칼리 수용액을 담는 챔버가 화학적 반응에 의한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를 케이스가 외부에서 감싸 보호하면서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이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아울러 납땜 이음 없이 와이어 전극과 연결된 도선을 직접 외부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오류(오차) 없이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hamber containing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undergo corrosion by chemical reaction, It has a double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while protecting i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can be drawn out directly without a solder joint, so the specific resistan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to alkali ions in aqueous alkali solution And ionic conductivity can be precisely measured without measurement error (error).

또한, 측정 종료 후 챔버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베인을 통해 챔버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을 기울여서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알칼리 수용액이 케이스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케이스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can be easily removed by tilting through the guide van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and in this process, the aqueous alkali solution flows down the outer wall of the case and damages the case. can be prevented from doing so.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시료고정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fixing unit constituting a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resistivity and ionic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dicate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description that is specifically opposite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those.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nit" and "unit" means a module type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a unit or role for processing a certain operation of the system,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r a means through such a method.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는 제1플레이트(10), 제2플레이트(20), 챔버(30), 리드(40), 케이스(50), 마운트(60) 및 커넥터(70)를 포함하고 있다.1 to 5,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irst plate 10, a second plate 20, and a chamber 30. , a lead 40 , a case 50 , a mount 60 , and a connector 70 .

제1플레이트(10)의 마치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면에는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는 와이어 전극(11)이 다수 배열되어 있고, 안쪽에는 알칼리 수용액이 드나드는 제1관통공(1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late 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 plurality of wire electrodes 11 in contact with the sample for measurement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 through which an aqueous alkali solution enters and exits is constant. It is formed in a number at intervals.

그리고 제1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약 0.1mm)로 배열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열홈에 직경이 0.3mm인 와이어 전극(11)이 안치되어 있다.And an arrangement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 with a constant width and depth (about 0.1 mm), and the wire electrode 11 having a diameter of 0.3 mm is placed in the arrangement groove.

즉, 와이어 전극(11)은 배열홈 상에 미세한 높이로 돌출되게 배열되어 있어 제2플레이트(20)로 측정용 시료를 고정 시 그 측정요 시료에 물리적 압력이 무리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wire electrodes 11 are arranged to protrude at a fine height on the arrangement groove, when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fixed with the second plat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physical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sample to be measured. .

또한, 와이어 전극(11)의 양단은 제1플레이트(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wire electrode 11 may be drawn out by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 .

여기서 와이어 전극(11)은 자체 임피던스 성분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가 나타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4개를 배열하여 교류 전류의 입출력 단자와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단자로, 즉 통전 회로와 전압 픽업 회로의 단자를 분리하여 4개의 탐침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re electrode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o exclude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elf-impedance component, and are the input/output terminals of AC current and the terminals for measuring the AC voltage, that is, the energizing circuit and the voltage pickup circuit. It is desirable to separate the terminals of the , and measure using 4 probes.

아울러 제1관통공(12)을 통해 알칼리 수용액이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측정용 시료는 항온 및 항습 상태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s in contact with the sample for measuremen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 whereby the sample for measurement can be properly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그리고 제1플레이트(1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챔버(30)의 내부 바닥면과 볼팅 결합하기 위한 클리어런스 홀(13)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사방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플레이트(20)를 볼팅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And a plurality of clearance holes 13 for bolting coupling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30 are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20 is bolted to the four corners. A plurality of screw holes 14 are formed for the purpose.

여기서 제1플레이트(10)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기계가공성과 견고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plate 10 is made of an engineering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which has excellent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machinability and robustness. It is desirable to do

아울러 와이어 전극(11)은 저항값이 낮고 산화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 electrode 11 is preferably made of platinum or the like having a low resistance value and no oxidation action.

제2플레이트(20)는 마치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정용 시료를 고정하기 위해 제1플레이트(10)의 상면에 볼트(B)로 죄어 결합되어 있으며, 안쪽에는 알칼리 수용액이 드나드는 제2관통공(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plate 20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 with a bolt (B) to fix the sample for measurement, and an aqueous alkali solution flows in and out of the second plat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즉, 제2관통공(21)은 제1관통공(12)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알칼리 수용액이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측정용 시료는 항온 및 항습 상태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through-hole 21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same l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hole 12, and through this,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s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sample, whereby the measurement sample is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it is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a constant humidity state.

그리고 제2플레이트(2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제1플레이트(10)와 볼팅 결합하기 위한 클리어런스 홀(2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learance holes 21 for bolting coupling with the first plate 10 are formed in all four corners of the second plate 20 .

여기서 제2플레이트(20)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기계가공성과 견고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plate 20 is made of an engineering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which has excellent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machinability and robustness. It is desirable to do

아울러 볼트(B)는 니켈도금으로 금속 표면에 니켈층을 입힌 것이나 폴리아미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bolt (B) having a nickel layer on the metal surface by nickel plating or made of a polyamide material.

챔버(30)는 상면에 개구부가 있는 마치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측 하부에는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 사이에 측정용 시료가 고정된 상태로 탈부착될 수 있다.The chamber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cylinder having an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ample for measuremen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measurement sample is fixed between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20 at the lower inner side thereof.

그리고 챔버(30)의 내부 바닥면 안쪽에는 와이어 전극(11)과 연결되는 도선을 배선하기 위한 공간으로 채널(31)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한쪽 벽면에는 와이어 전극(11)과 연결되는 도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채널(31)과 통하는 제1도선구멍(3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30, a channel 31 is formed as a space for wiring a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11, and a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11 is formed on at least one wall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ve wire holes 32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31 are formed in order to take it out to the outside.

즉, 채널(31)은 제1플레이트(10)가 덮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와 깊이로 움푹하게 패여 있고, 제1도선구멍(32)은 챔버(30)의 한쪽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양쪽 방향에서 직경 0.3mm의 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직경이 0.4mm로 뚫려 있다.That is, the channel 31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that the first plate 10 can cover, and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32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corner of the chamber 30 in both directions. A diameter of 0.4mm is drilled so that a conductor with a diameter of 0.3mm can be drawn out from the

여기서 제1도선구멍(32)은 진공 에폭시 본드를 충전하여 밀봉시키기 위해 바깥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32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outside in order to fill and seal the vacuum epoxy bond.

또한, 챔버(30)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1플레이트(10)를 볼팅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3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crew holes 33 for bolting the first plate 10 are formed in the inner bottom edge portion of the chamber 30 .

즉, 제1플레이트(10)의 테두리 부분은 챔버(30)의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 부분에 얹힌 상태로 볼팅 결합되어 있고, 그 가운데 부분은 채널(31)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plate 10 is bolted to a state that it rests on the inner bottom edge portion of the chamber 30 ,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 enter the channel 31 , have.

그리고 챔버(30)의 상면 테두리에는 패킹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34)에는 챔버(30) 내 알칼리 수용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알칼리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35)이 끼워져 있다.And a packing groove 34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30, and in this packing groove 34,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n the chamber 30 rises to prevent the alkali vapor genera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 packing (35) for this is fitted.

또한, 챔버(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챔버(30) 내 알칼리 수용액을 기울여서 제거 시 케이스(50)의 외벽을 타고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베인(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guide vane 3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30 to prevent the aqueous alkali solution from flowing dow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ase 50 when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n the chamber 30 is tilted and removed.

즉, 가이드 베인(36)은 챔버(30)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기울어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guide vanes 36 ar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hamber 30 and are formed in a form that gradually widens in width.

여기서 챔버(30)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기계가공성과 견고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hamber 30 has excellent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nd is made of an engineering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which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machinability and robustness. desirable.

리드(40)는 챔버(3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The lid 4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hamber 30 .

그리고 리드(40)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handle 41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40 .

케이스(50)는 내부로 챔버(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있는 마치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ase 50 is made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cylinder having an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hamber 30 is inserted therein.

즉, 케이스(50)는 내부 공간에 챔버(30)를 수용하여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이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한쪽 벽면에는 챔버(30)의 제1도선구멍(32)과 통하는 제2도선구멍(5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ase 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accommodate the chamber 30 in the inner space to increase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wall has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32 of the chamber 3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wire holes 51 are formed.

여기서 케이스(50)의 표면에는 니켈도금으로 니켈층을 입힌 것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assemble using a nickel layer coated with nickel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case 50 .

또한, 제1 및 제2도선구멍(32)(51)과 도선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 에폭시 본드를 충전하여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ill and seal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 holes 32 and 51 and the conductive wire with a vacuum epoxy bond.

마운트(60)는 제1 및 제2도선구멍(32)(51)을 커버하면서 케이스(50)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The mount 60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ase 50 while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 holes 32 and 51 .

즉, 마운트(60)는 제2도선구멍(5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서 보호하고, 커넥터(70)를 일정한 높이에 장착하기 위해 케이스(50)의 한쪽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양쪽 방향에서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mount 60 protects the second conductive wire hole 5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 both direc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corner of the case 50 in order to mount the connector 70 at a constant height. is available in

여기서 마운트(60)는 표면에는 니켈도금으로 니켈층을 입힌 것을 사용하여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assemble the mount 60 in the form of a square box using a nickel layer coated with nickel plating on the surface.

커넥터(70)는 와이어 전극(11)과 별도의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마운트(6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The connector 7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mount 6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11 through a separate conductive wire.

여기서 커넥터(70)는 장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케이스(50)의 외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or 70 is preferably mount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50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device.

즉, 챔버(30)의 내부에는 측정용 시료가 잠길 정도로 알칼리 수용액이 채워지고, 케이스(50)의 외부에는 챔버(30) 내의 알칼리 수용액의 수면보다 높게 물이 채워지므로, 커넥터(70)는 그 물의 수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That is, the inside of the chamber 30 is filled with an aqueous alkali solution to the extent that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immersed, and the outside of the case 50 is filled with water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n the chamber 30, so the connector 70 is the It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level.

아울러 커넥터(70)의 내부로 알칼리 수용액이 스며드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connector 70 horizontally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aqueous alkali solution permeates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70 .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는 알칼리 수용액을 담는 챔버(30)가 화학적 반응에 의한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를 케이스(50)가 외부에서 감싸 보호하면서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이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아울러 납땜 이음 없이 채널(31) 내에서 와이어 전극(11)과 도선을 배선하여 직접 외부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알칼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알칼리 이온에 대한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를 측정오류(오차) 없이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As such, in the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30 containing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orrode due to chemical reaction, and the case 50 is wrapped around it to protect it It has a double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while increasing the electrostatic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Also, since the wire electrode 11 and the conducting wire can be wired in the channel 31 without a solder joint and directly drawn out, the polymer electrolyte in the aqueous alkali solution Specific resistance to alkali ions and ionic conductivity can be precisely measured without measurement error (error).

그뿐만 아니라 채널(31) 내에서 전기적 배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주의 등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wiring is made in the channel 31 , damage due to carelessness or the like can be minimized.

더구나 측정 종료 후 챔버(30)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베인(36)의 안내 및 유도를 통해 커넥터(70)와 반대쪽 방향으로 챔버(30)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을 기울여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알칼리 수용액이 케이스(50)의 외벽을 손상시키거나 커넥터(7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30 can be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nector 70 through the guide and guidance of the guide vane 36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30 to be easily removed.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queous alkali solution from damaging the outer wall of the case 50 or affecting the connector 70 .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component substitu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플레이트 11: 와이어 전극
12: 제1관통공 13: 클리어런스 홀
14: 나사구멍 20: 제2플레이트
21: 제2관통공 22: 클리어런스 홀
30: 챔버 31: 채널
32: 제1도선구멍 33: 나사구멍
34: 패킹홈 35: 패킹
36: 가이드 베인 40: 리드
41: 손잡이 50: 케이스
51: 제2도선구멍 60: 마운트
70: 커넥터
10: first plate 11: wire electrode
12: first through hole 13: clearance hole
14: screw hole 20: second plate
21: second through hole 22: clearance hole
30: chamber 31: channel
32: first wire hole 33: screw hole
34: packing groove 35: packing
36: guide vane 40: lead
41: handle 50: case
51: second wire hole 60: mount
70: connector

Claims (6)

상면에 측정용 시료와 접촉되는 와이어 전극(11)이 다수 배열되고, 안쪽에 제1관통공(12)이 다수 형성되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진 제1플레이트(10); 측정용 시료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상면에 니켈도금으로 표면에 니켈층을 입히거나 폴리아미드 소재로 이루어진 볼트로 죄어 결합되고, 안쪽에 제2관통공(21)이 다수 형성된 제2플레이트(20);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상기 제2플레이트(20) 사이에 측정용 시료가 고정된 상태로 내측 하부에 탈부착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바닥면에 상기 와이어 전극(11)과 연결되는 도선을 배선하기 위한 공간으로 채널(31)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채널(31)과 통하는 제1도선구멍(32)이 다수 형성되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진 챔버(30); 상기 챔버(3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40); 상기 챔버(30)의 정전기 차폐 효과와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챔버(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챔버(30)의 제1도선구멍(32)과 통하는 제2도선구멍(51)이 형성된 케이스(50); 상기 제1 및 제2도선구멍(32)(51)을 커버하면서 상기 케이스(50)의 외벽에 고정된 마운트(60); 상기 마운트(6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11)과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70)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30)의 상면 테두리에 패킹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30)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알칼리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35)이 상기 패킹홈(34)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50)는, 니켈도금으로 표면에 니켈층을 입히고, 상기 제1도선구멍(32)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선구멍(32)(51)과 도선 사이 공간에 진공 에폭시 본드를 충전하여 밀봉시키도록 하며;
상기 챔버(30)에 담긴 알칼리 수용액을 기울여서 제거 시 상기 케이스(50)의 외벽을 타고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30)의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 베인(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비저항 및 이온전도도 측정장치.
A plurality of wire electrodes 11 in contact with the sample for measurement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side, and a first plate 10 made of a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 In order to fix the sample for measure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10 is coated with a nickel layer on the surface by nickel plating or fastened with a bolt made of a polyamid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1 are formed inside. 2 plates (20); Between the first plate 10 and the second plate 20,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lower part in a fixed state,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11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 channel 31 is formed as a space for wiring, a plurality of first wire holes 32 communicating with the channel 31 are formed on the wall surface, and a chamber 30 made of a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 a lid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chamber 30; In order to increase the static electricity shielding effect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mber 30 , the chamber 3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30 ,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hole 5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32 of the chamber 30 on the wall surface. The formed case 50; a mount (60)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ase (50) while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wire holes (32, 51); a connector 70 mounted on the mount 6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electrode 11 through a conducting wire;
A packing groove 34 is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30, and a packing 35 for blocking the alkali vapor generated by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3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to fit into the packing groove (34);
In the case 50, a nickel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by nickel plating, the first conductive wire hole 32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out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 holes 32 and 51 are forme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lead wire and the vacuum epoxy bond to seal it;
Poly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guide vanes 36 ar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hamber 30 to prevent it from flowing down the outer wall of the case 50 when the aqueous alkali solution contained in the chamber 30 is tilted and removed Membrane resistivity and ionic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66263A 2020-06-02 2020-06-02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KR102346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63A KR102346954B1 (en) 2020-06-02 2020-06-02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63A KR102346954B1 (en) 2020-06-02 2020-06-02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48A KR20210149348A (en) 2021-12-09
KR102346954B1 true KR102346954B1 (en) 2022-01-05

Family

ID=7886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63A KR102346954B1 (en) 2020-06-02 2020-06-02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95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5574A (en) * 2012-09-13 2014-03-27 Edwards Kk Vacuum pump rotor and vacuum pu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38Y1 (en) 2002-06-01 2002-09-11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Cell For Measurement Of Ionic Conductivity
KR20050120263A (en) 2004-06-18 2005-12-22 한연수 Apparatus for measuring a property of matter of sample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same
JP5049064B2 (en) 2007-07-09 2012-10-17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Ion conductive electrolyte membrane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KR20180084403A (en) 2017-01-17 2018-07-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Ionic conductivity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5574A (en) * 2012-09-13 2014-03-27 Edwards Kk Vacuum pump rotor and vacuum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48A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4641B (en) Flow field plate for measuring fuel battery local current density
US3235477A (en) Electrical apparatus
CN102737858A (en) Manganese oxide capacitor for use in extreme environments
CN110554265B (en) Double-sided probe, double-sided probe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KR20130081405A (en) Volume electrical resistivity equipment for cable in npps
KR102346954B1 (en) Ionic conductivity and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of electrolyte membrane
CN108426929A (en) A kind of detachable external electrochemical test device for three-electrode system of working electrode
KR20200029262A (en) Electrochemical flow cell, system for in-situ/operando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using the flow cell, and electrode structure used in the flow cell
JP6117745B2 (en) Fuel cell stack
EP3037573A1 (en) Plating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using same
KR100821861B1 (en) Reference Electrode Member for Measurement of Electrode Potential in 3-Electrode System
JP6416283B2 (en) Water tree test method and water tree test apparatus
KR101836336B1 (en) Cell for measuring ion conductivity of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for measuring ion conductivity using the same
CN215266471U (en) Power battery top cap and power battery
US5504433A (en) Electrochemical sensor for monitoring electrolyte content
WO2023162366A1 (en) Flow channel device
CN211318296U (en) Electrochemical microelectrode performance evaluation jig matched with USB interface
CN212134814U (en) Lithium battery isolation film surface resistance measuring device
KR102212446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fuel cell
EP4282291A1 (en) Electronic atomization apparatus, power supply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CN211785033U (en) Silicon microchannel electrochemical corrosion test device
JP200727882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xygen diffusion coefficient of porous body
US20170212071A1 (en) Working electrode holder and electrochemical cell
KR200364336Y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property of matter of sample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same
CN116288439A (en) Water electrolysi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