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351B1 -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351B1
KR102346351B1 KR1020200092618A KR20200092618A KR102346351B1 KR 102346351 B1 KR102346351 B1 KR 102346351B1 KR 1020200092618 A KR1020200092618 A KR 1020200092618A KR 20200092618 A KR20200092618 A KR 20200092618A KR 102346351 B1 KR102346351 B1 KR 10234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umidity
temperature
unit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냉동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냉동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냉동산업
Priority to KR102020009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0Removing frost by spraying with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또는 저온 창고의 저온 쿨링시 발생되는 결빙으로 저하되는 창고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결빙된 얼음을 외부의 자연 바람으로 제상하도록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와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와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와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와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와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 및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를 포함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 NATURAL DEFROST SYSTEM FOR HIGHHUMIDITY COLD STORAGE WAREHOUSE }
본 발명은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또는 저온 창고의 저온 쿨링시 발생되는 결빙으로 저하되는 창고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결빙된 얼음을 외부의 자연 바람으로 제상하도록 쿨링부, 온도수집부, 습도수집부, 결빙정보수집부, 통신부, 메모리, 외부송풍부 및 제어부가 포함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농산물은 85~ 95%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청과물은 물론 농산물은 수분을 잃게 되면, 신선도가 떨어진다. 즉, 공기 중의 상대습도가 너무 낮으면 농산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농산물의 무게가 줄어들고, 과도하게 수분이 증발되면 표피가 말라 외관이 나빠져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대부분의 농산물은 수분손실이 5% 이상이 되면 상품성을 잃게 되는 것은 물론 중량 감소로 농가 수취가격도 감소된다. 따라서, 농산물은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높은 상대습도 조건에서 농산물을 저장하는 것이 좋으며 저장 창고의 농산물은 공기 중의 상대습도가 90~ 98% 정도일 때, 농산물과 공기 중의 수분이 평형상태를 이루어 수분증발이 적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도1은 농산물을 저장하기 위한 종래의 저온 저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저온 저장고(10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농산물을 저장하는 단열저장고(20) 및 상기 단열저장고(20)의 내부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10)은 상기 단열저장고(20) 내에 위치하여 내부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unit cooler)(11)와, 상기 증발기(11)와 팽창밸브(12)을 통해 연결된 응축기(condensor unit)(13) 및 상기 응축기(13)에 액체 냉매를보내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저온 저장고(101)는 응축기(13)에 의해 응축된 냉매가 팽창밸브(12)를 통해 기화되면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고, 주위의 공기가 증발기(11)에 의해 단열저장고(20) 내로 송풍되면서 단열저장고(20)의 내부온도를 떨어뜨린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저온 저장고(101)는 내부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냉각수단(10)를 작동시키면, 단열 저장고(20) 내에 설치된 증발기(11)의 표면에 저장고 내의 수분이 얼어붙어 얼음층이 생기게 된다. 이때 생성된 얼음 만큼 단열저장고(20) 내의 수분이 줄어들어 상대습도가 낮아져 보통 65~ 85%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장된 농산물(1)과 단열저장고(20) 내의 공기 사이에 습도 불균형이 야기되어, 농산물에 함유된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고, 그 만큼 농산물(1)의 중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증발기(11) 표면에 얼음층이 생기면 냉각능력도 떨어져 냉각수단(10)의 가동시간이 늘어나 에너지 소모가 많아진다. 이를 방치하면 증발기(11)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도 단열저장고(20) 내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는 상황에 이르게 되므로, 결국에는 전기히터나 물뿌림, 고온가스(hot gas) 등의 제상기(22)를 이용하여 얼음을 녹이게 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저장고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온도의 기복도 커지게 되고, 증발기(11)를 재작동시 다시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 얼어붙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더욱이, 상대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습기(23)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가습을 하게 되면 증발기에 얼어붙는 얼음량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보다 빈번하게 얼음을 녹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5818호(2015년05월2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023호(2005년06월09일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기나 히터를 이용하여 결빙을 제상하고 제상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창고 내부의 습도가 저하되어 저장물의 가치를 웨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빙시 외부의 자연풍으로 제상하여 제빙된 수분이 다시 창고에 남아있도록 하여 창고 내부의 수분 훼손을 억제하도록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로 창고 내부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와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로 창고 내부 및 외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와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로 자연 제상을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 관리하며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와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로 제상 효과를 단계적으로 조정이 가능한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여 가열 방식 대비 습도 유지 효과가 높아지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여 효율적인 온도와 습도 유지 운전 조건을 산출해 낼 수 있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여 제상에 따르는 온도 상승 효과를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는 적외선발광부(401)와 적외선수광부(402) 한 쌍이 1 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풍구 주변의 결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발광부(401)의 빛을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수광하여 상기 적외선수광부(402)는 수광량 또는 수광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로부터 결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목표 습도 정보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먼저 상기 쿨링부(100)를 OFF하고 이후에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기동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어 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단계별로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설정정보인 목표 온도 또는 목표습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먼저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OFF 하고 이후에,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쿨링부(100)를 가동시키고, 수집되는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쿨링부(100)의 동작을 중지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어 습도가 유지되는 경우 가온이 최대한 억제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먼저,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는, 적외선발광부(401)와 적외선수광부(402) 한 쌍이 1 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풍구 주변의 결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발광부(401)의 빛을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수광하여 상기 적외선수광부(402)는 수광량 또는 수광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로부터 결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목표 습도 정보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먼저 상기 쿨링부(100)를 OFF하고 이후에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기동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설정정보인 목표 온도 또는 목표습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먼저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OFF 하고 이후에,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쿨링부(100)를 가동시키고, 수집되는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쿨링부(100)의 동작을 중지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송풍부(7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 길이와 외주면을 따라 외부 공기가 가속 배출될 수 있도록 중간보다 종단이 협소한 복수의 외기토출구(701)로 구성되되 상기 외기토출구(7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를 따라 송출 관로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한 제 1 온도정보가 영상이고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결빙 신호를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의 오류발생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맵정보(6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가 배치되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적어도 포함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맵정보(601)에 수집 시각정보, 상기 제 1,2 온도정보, 상기 제 1,2 습도정보, 상기 결빙정보 및 창고ID를 추가하여 상기 통신부(500)을 통해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각각의 창고에서 수신되는 제 1,2 온도정보 및 제 1,2 습도정보 및 상기 맵정보(601)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화면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은 첫째, 가열기나 히터를 이용하여 결빙을 제상하고 제상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창고 내부의 습도가 저하되어 저장물의 가치를 웨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빙시 외부의 자연풍으로 제상하여 제빙된 수분이 다시 창고에 남아있도록 하여 창고 내부의 수분 훼손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둘째,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로 창고 내부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하도록 한다.
셋째,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와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로 창고 내부 및 외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넷째,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와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로 자연 제상을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 관리하며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다섯째,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와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로 제상 효과를 단계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여섯째,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여 가열 방식 대비 습도 유지 효과가 높다.
일곱째,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여 효율적인 온도와 습도 유지 운전 조건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여 제상에 따르는 온도 상승 효과를 최대한 억제한다.
아홉째,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는 적외선발광부(401)와 적외선수광부(402) 한 쌍이 1 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풍구 주변의 결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발광부(401)의 빛을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수광하여 상기 적외선수광부(402)는 수광량 또는 수광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로부터 결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목표 습도 정보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먼저 상기 쿨링부(100)를 OFF하고 이후에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기동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어 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단계별로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5 는 종래의 냉동 또는 저온 창고의 냉동 장치를 소개하기 위한 개념도 또는 3D 도면이다.
도 6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결빙정보수집부를 통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외부송풍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5 는 종래의 저온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또는 3D 도면이고, 도 6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결빙정보수집부를 통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의 외부송풍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는 먼저,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토출하도록 쿨링부(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쿨링부(100)는 종래의 쿨링 방식을 이용하여 별도의 부대 설비나 추가적인 공사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온도수집부(200)와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습도수집부(300)가 창고 내외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결빙정보수집부(400)가 구비되어 상기 쿨링부(100)의 구동으로 인한 결빙을 파악하고 습도 저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가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가 구비되어 목표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창고 내부의 운전 상태 모니터링의 기초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외부송풍부(700)가 자연제상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800)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도록 구비되어 급격한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가동에 따르는 결빙, 결빙에 따르는 습도 저하, 습도 저하에 따르는 저장물의 훼손을 방지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도록 구비되어 냉동 및 제상에 따르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며, 창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최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는 적외선발광부(401)와 적외선수광부(402) 한 쌍이 1 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풍구 주변의 결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적외선발광부(401)의 빛을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수광하여 상기 적외선수광부(402)는 수광량 또는 수광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어 습기 또는 이물질로 인한 결빙정보 수집 오류가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로부터 결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목표 습도 정보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먼저 상기 쿨링부(100)를 OFF하고 이후에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기동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어 제상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가 최소화되고 제상으로 인한 창고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설정정보인 목표 온도 또는 목표습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먼저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OFF 하고 이후에,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쿨링부(100)를 가동시키고, 수집되는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쿨링부(100)의 동작을 중지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어 습도를 높임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고 온도를 내림에 따라 습도가 낮아지는 상호 모순적인 현상이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송풍부(7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 길이와 외주면을 따라 외부 공기가 가속 배출될 수 있도록 중간보다 종단이 협소한 복수의 외기토출구(701)로 구성되되 상기 외기토출구(7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를 따라 송출 관로의 주위에 배치하여 외기의 제상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한 제 1 온도정보가 영상이고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결빙 신호를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의 오류발생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저온 창고 운전자가 즉시 비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맵정보(6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가 배치되는 3차원 공간 정보가 적어도 포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맵정보(601)에 수집 시각정보, 상기 제 1,2 온도정보, 상기 제 1,2 습도정보, 상기 결빙정보 및 창고ID를 추가하여 상기 통신부(500)을 통해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되어 광역 지역에 퍼져 있는 다수의 저온 창고를 동시에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하나의 창고가 넙은 경우에는 창고 내부 각각에도 온도와 습도가 다른 경우가 발생하므로 단일 창고 내부의 3차원 위치정보를 온습도 정보와 함께 관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 또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창고에서 수신되는 제 1,2 온도정보 및 제 1,2 습도정보 및 상기 맵정보(601)를 이용하여 화면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을 활용하면, 가열기나 히터를 이용하여 결빙을 제상하고 제상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창고 내부의 습도가 저하되어 저장물의 가치를 웨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빙시 외부의 자연풍으로 제상하여 제빙된 수분이 다시 창고에 남아있도록 하여 창고 내부의 수분 훼손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로 창고 내부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되며,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와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로 창고 내부 및 외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와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로 자연 제상을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 관리하며 외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와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로 제상 효과를 단계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여 가열 방식 대비 습도 유지 효과가 높으며,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여 효율적인 온도와 습도 유지 운전 조건을 산출해 낼 수 있으며,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여 제상에 따르는 온도 상승 효과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쿨링부
101 ... 냉각공기송풍기
200 ... 온도수집부
300 ... 습도수집부
400 ... 결빙정보수집부
500 ... 통신부
600 ... 메모리
601 ... 맵정보
602 ... 운전설정정보
700 ... 외부송풍부
800 ... 제어부
I ... 얼음
W ... 저온창고

Claims (9)

  1. 창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매와 응축기로 냉각된 공기를 냉각공기송풍기(101)로 창고 내부에 토출하도록 구비되는 쿨링부(100);
    상기 쿨링부(100)를 통해 저온 또는 냉동되는 창고 내부의 제 1 온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수집부(200);
    창고 내부의 제 1 습도정보와 창고 주변 또는 외부의 제 2 습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습도수집부(300);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배치되어 결빙여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결빙정보수집부(400);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0);
    창고 내부에 설치된 온도 또는 습도 제어 관련 기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기기정보와 창고 내부의 맵정보(601) 및 온도 또는 습도 기기를 제어하도록 창고 내부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의 범위치가 포함되는 운전설정정보(602)가 저장되는 메모리(600);
    창고 외부의 자연 상태 공기를 창고 내부에 송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송풍부(700); 및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하는 제 1, 2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수집부(300)가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 1,2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 및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이 제공하는 결빙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송풍량, 송풍압력 또는 송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제공하는 창고 내부의 측정 습도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지정된 목표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의 결빙 여부를 파악하고 결빙 상태된 경우에 상기 외부송풍부(700)에 기동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의 자연 공기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 주변에 토출하여 자연제상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상기 운전설정정보(602)를 서로 비교하여 목표하는 임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쿨링부(100), 상기 외부송풍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설정온도 유지를 우선으로 하여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기동을 시작하고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온도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결빙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습도 목표를 확인하여 설정된 습도 목표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풍부(700)의 기동을 시작한 후 기 결빙정보수집부(400)를 통하여 결빙 정보가 없슴 상태까지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단계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단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단계별 가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온도정보 및 상기 제 1 습도정보의 변화 정보를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이전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와 비교하여 시간당 변화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량을 재 조정하도록 구비되며 일정시간 마다 산출된 시간당 변화 정보를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는 적외선발광부(401)와 적외선수광부(402) 한 쌍이 1 조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풍구 주변의 결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적외선발광부(401)의 빛을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수광하여 상기 적외선수광부(402)는 수광량 또는 수광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빙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로부터 결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상기 운전설정정보(602)에 설정된 목표 습도 정보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먼저 상기 쿨링부(100)를 OFF하고 이후에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기동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된 제 1 온도정보 및 제 1 습도정보와 상기 메모리(600)에 저장된 설정정보인 목표 온도 또는 목표습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먼저 상기 외부송풍부(700)를 OFF 하고 이후에, 상기 온도수집부(200)와 상기 습도수집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제 1 온도정보와 상기 제 1 습도정보가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쿨링부(100)를 가동시키고, 수집되는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쿨링부(100)의 동작을 중지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송풍부(700)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 길이와 외주면을 따라 외부 공기가 가속 배출될 수 있도록 중간보다 종단이 협소한 복수의 외기토출구(701)로 구성되되 상기 외기토출구(7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의 송출 관로를 따라 송출 관로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수집부(200)가 수집한 제 1 온도정보가 영상이고 상기 적외선수광부(402)가 결빙 신호를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결빙정보수집부(400)의 오류발생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맵정보(601)는 상기 냉각공기송풍기(101)가 배치되는 3차원 공간 정보가 적어도 포함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맵정보(601)에 수집 시각정보, 상기 제 1,2 온도정보, 상기 제 1,2 습도정보, 상기 결빙정보 및 창고ID를 추가하여 상기 통신부(500)을 통해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각각의 창고에서 수신되는 제 1,2 온도정보 및 제 1,2 습도정보 및 상기 맵정보(601)를 이용하여 화면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KR1020200092618A 2020-07-24 2020-07-24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KR10234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618A KR102346351B1 (ko) 2020-07-24 2020-07-24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618A KR102346351B1 (ko) 2020-07-24 2020-07-24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351B1 true KR102346351B1 (ko) 2022-01-03

Family

ID=7934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618A KR102346351B1 (ko) 2020-07-24 2020-07-24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694A (ko) * 2022-04-12 2023-10-20 박용한 아이스크림 냉동 창고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107A (ko) * 1998-07-23 1998-10-26 김도진 저온 저장창고
KR100271584B1 (ko) * 1997-12-29 2000-11-15 전주범 세미간냉및쾌속제상냉장고
KR100496023B1 (ko) 2002-10-22 2005-06-16 대한민국 농산물의 저장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고습도 저온 저장고
KR101525818B1 (ko) 2014-11-24 2015-06-10 주식회사 은성냉동산업 저온저장고 온도데이터의 비도덕적 조작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온저장고 냉장온도 기록시스템
KR101917293B1 (ko) *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97439A (ja) *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及び農業用ハウ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584B1 (ko) * 1997-12-29 2000-11-15 전주범 세미간냉및쾌속제상냉장고
KR19980072107A (ko) * 1998-07-23 1998-10-26 김도진 저온 저장창고
KR100496023B1 (ko) 2002-10-22 2005-06-16 대한민국 농산물의 저장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고습도 저온 저장고
KR101525818B1 (ko) 2014-11-24 2015-06-10 주식회사 은성냉동산업 저온저장고 온도데이터의 비도덕적 조작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온저장고 냉장온도 기록시스템
JP2019097439A (ja) *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及び農業用ハウス
KR101917293B1 (ko) *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694A (ko) * 2022-04-12 2023-10-20 박용한 아이스크림 냉동 창고 시스템
KR102641150B1 (ko) * 2022-04-12 2024-02-28 박용한 아이스크림 냉동 창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4722B (zh) 冰箱
CN110440502B (zh) 一种风冷冰箱化霜增湿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1016551A1 (ja) 冷凍機の運転管理装置
US20120042672A1 (en) Air conditioner control apparatus, cooling system, and air conditioner control program
JP2009121803A (ja) 冷蔵庫
CN101871715A (zh) 一种电冰箱
CN107044756A (zh) 风门防结冰的控制方法及冰箱
KR20160118748A (ko)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KR101589805B1 (ko) 저온저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6568269B (zh) 冰箱
KR102346351B1 (ko) 습도 유지를 위한 냉동 창고 자연 제상 시스템
CN109405324A (zh) 一种双蒸发器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CN1533493A (zh) 具有可调节去湿系统的制冷装置
CN108375263A (zh) 化霜、开门时库温均不超限的医药冷冻库及其控温方法
CN106766508B (zh) 自循环保湿冰箱及其保湿控制方法
CN108759257A (zh) 一种风冷冰箱间室内自循环化霜规则
US20120031127A1 (en) Defrost Fan Control Device
CN110608570A (zh) 制冷设备及其化霜方法
CN102192629A (zh) 风冷冰箱
KR101112476B1 (ko) 지능형 제상기능을 갖는 유닛쿨러
CN208091042U (zh) 化霜、开门时库温均不超限的医药冷冻库
KR101551645B1 (ko) 냉동창고용 증발기 제상시스템
CN113587539B (zh) 除霜控制方法以及冰箱
JP5693932B2 (ja) 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CN210463715U (zh) 一种风冷冰箱化霜增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