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08B1 -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 Google Patents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08B1
KR102346008B1 KR1020200046948A KR20200046948A KR102346008B1 KR 102346008 B1 KR102346008 B1 KR 102346008B1 KR 1020200046948 A KR1020200046948 A KR 1020200046948A KR 20200046948 A KR20200046948 A KR 20200046948A KR 102346008 B1 KR102346008 B1 KR 10234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ut
cutout
handle
predetermin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8813A (en
Inventor
문규원
Original Assignee
문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규원 filed Critical 문규원
Priority to KR102020004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08B1/en
Publication of KR2021012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morandum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Abstract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는,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호형태의 전개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및 본체부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 절개부에 의해 본체부로부터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분리 가능한 일단부는 제1 절개부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컵홀더로부터 손잡이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cup holder including a handle.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of a plate-shaped structure develop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And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separable from the body portion by a first cutou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detachable end is formed in the second cuto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first cutout It is a gist of the configuration to include; a handle portion that is fixed and form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easily form a handle portion from the cup holder having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Description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컵홀더로부터 손잡이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including a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easily form the handle from the cup holder having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테이크 아웃 상점에서 커피와 같은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판매할 때는 컵홀더를 일회용 컵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활용되는 컵홀더는 일회용컵의 외주연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여 손을 보호할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서, 골판지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구조이다.When a takeaway store sells hot or cold beverages such as coffee, cup holders are fitted to disposable cups. The cup holder used at this time is an auxiliary means to protect the hand by blocking the heat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posable cup,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corrugated cardboard i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종래 기술에 따른 컵홀더의 경우, 안정적인 손잡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테이크 아웃처럼 매장 밖에서 음료를 마시는 경우, 이동 중 파지한 손이 미끄러져 컵을 떨어뜨릴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table handle means is not provided, so if you drink a drink outside the store like takeout, your hand gripped during movement may slip and drop the cu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이컵 홀더에 손잡이를 구비한 컵홀더가 제안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1707467호에서 제안된 "일회용 컵홀더"는 손가락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두 가지 방법으로 삽입하여 종이컵 홀더를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up holder having a handle on a paper cup holder has been proposed. The "disposable cup holder" prop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707467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can hold the paper cup holder by inserting a finger in two way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홀더의 경우, 엄지손가락이 수직으로 헐겁지 않게 들어갈 공간이 형성되기 위해 손잡이부의 모양과 크기가 제한됨으로써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삽입하기에는 타공의 크기가 협소하여 손가락 삽입이 불편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disposabl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hape and size of the handle portion are limited to form a space for the thumb to enter vertically without being loose. contain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홀더의 경우, 내용물이 가득 담겨있는 컵을 파지할 경우에는 파지가 불안정할 뿐 아니라, 서로 일정한 거리가 형성된 두 개의 타공에 손가락을 모두 넣어 컵홀더를 파지한다 해도 손가락 마디를 자유롭게 구부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isposabl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 cup filled with contents is gripped, the grip is unstable, and even if you hold the cup holder by putting your fingers in two perforation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fingers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stably gripped by freely bending the node.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컵홀더에 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related to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7467호 (등록일자: 2017년02월1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07467 (Registration Date: February 10,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컵홀더로부터 손잡이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easily form a handle portion from the cup holder of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컵홀더는,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호형태의 전개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및 본체부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 절개부에 의해 본체부로부터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분리 가능한 일단부는 제1 절개부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 cup hold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body portion of the arc-shaped developed plate-shaped structure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And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separable from the body portion by a first cutou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detachable end is formed in the second cuto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first cutout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handle portion that is fixed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는 좌우 대칭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절개선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longitudinal cutou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이 경우, 상기 제1 절개부는 중앙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 형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utout may be in the form of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is narrowed.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절개부에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에 제2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utou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is the narrowest in the pair of first cutou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선 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may be in the form of a pair of parallel lin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절개부에서 정 중앙부에 제2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second cutout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first cutou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절개부에 결속되는 고정단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end of the handle par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and a fixed end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cutout; more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이 경우, 상기 고정단부의 횡방향 길이는, 제2 절개부의 횡방향 절개 길이 대비 150 내지 200 %의 길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ateral length of the fixed end may be 150 to 200% of the length of the lateral incision of the second incision.

또한, 상기 고정단부는 평면상 횡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end portion may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plan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의 횡방향 연장 부분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이때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and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at this time,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의 횡방향 연장 부분에는, 본체부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member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mounted 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외부면에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 활용이 가능한 메모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external surface of the memo pad that can utilize a memo using a writing tool;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연장되고, 본체부과 연결된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의 상부연장부; 상기 상부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되는 구조이고,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연결하며, 상부연장부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는 중앙연결부; 상기 중앙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하방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의 하부연장부; 및 상기 하부연장부의 일단부에 양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구조이며, 제1 절개부와 연속되는 제3 절개부에 의해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단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structure extending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 central connection part having a structure continuous downward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connecting the upper extension part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and having a width decreasing along a gentle curve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a lower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ral conne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structure that is widened downwardly; and a fixed end having a protrusion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directions to one end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and being detachably formed from the body portion by a third cutout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cutout. .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는 제1 절개부 및 제3 절개부에 의해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후, 고정단부를 본체부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절곡함과 동시에 하부연장부를 제2 절개부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중앙연결부가 외부로 부풀어 곡면형태로 변경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the handle part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by the first cutout and the third cutout, the fixed end is ben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t the same time, by inserting the lower extension into the second cutout, The central connection part is swelled to the outside and changed into a curved shap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하부연장부의 폭(W1)은 제2 절개부의 폭(W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W2 of the second cutou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절개부에 결속되는 고정단부; 상기 제2 절개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4 절개부; 및 상기 고정단부의 양측 형성되고, 제3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구조의 제5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end of the handle part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the fixed end is bound to the second cutout; a fourth cutout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rtion of the second cutout; and a fifth cutou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end and cut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cutout.

이 경우, 상기 제5 절개부는 제4 절개부에 상호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fth cut-out may be fixed to the fourth cut-out by fitt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제4 절개부 및 제5 절개부는 손잡이부의 대칭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곡선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cut-out and the fifth cut-out may have a curved shape bent in a symmetrical center direction of the hand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제1 절개부, 제2 절개부 및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컵홀더로부터 손잡이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body portion, the first cut-out portion, the second cut-out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handle portion is conveniently formed from the cup holder having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제1 절개부를 중앙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 형태로 구성하고, 한 쌍의 제1 절개부에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에 제2 절개부가 형성함으로써, 본체부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고, 제2 절개부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is narrowed, and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air of first cutouts is the most By forming the second cutout in a narrow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can easily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using the second cutout. .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2 절개부에 안정적으로 결속되는 고정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of the handle part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by having a fixed end stably bound to the second cut-out part, the fing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stably fix the handle part having an insertion space that can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고정단부의 횡방향 연장 부분을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본체부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를 고정단부의 횡방향 연장 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mounting an adhesive member that can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portion to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stably fix the handle part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제2 절개부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4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단부의 양측에 제3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구조의 제5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제5 절개부를 제4 절개부에 상호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단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cut-out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cut-out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cut-out on both sides of the fixed end. After forming the fifth cut-out of the structured structure, by inserting the fifth cut-out into the fourth cut-out, the fixed end can be more stably fixed, and the handle wit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st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be fixed with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제4 절개부 및 제5 절개부를 손잡이부 및 고정단부의 대칭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곡선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5 절개부가 제4 절개부에 끼움 결합될 때, 손잡이부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절단면상 C자형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에 느껴지는 부드러운 파지 감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절단면상 C자형 구조에 의해 구조적 강도를 현저히 향상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컵 지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fourth cut-out and the fifth cut-out in a curved shape bent in the symmetrical center direction of the handle and the fixed end, when the fifth cut-out is fitted into the fourth cut-out , the handle part is bent inward to form a C-shaped structure on the cut surfac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soft gripping feeling on the fi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al strengt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C-shaped structure on the cut surface. , a more stable cup support effect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본체부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고, 외부면에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 활용이 가능한 메모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컵홀더를 사용함과 동시에 메모를 수행할 수 있고,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된 메모지부를 컵홀더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memo pad detachabl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taking notes using a writing tool on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take notes while using the cup hol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be separately stored or utilized by separating the memo pad written using a writing tool from the cup hold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및 손잡이부(12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손잡이부(120)를 제1 절개부(131)와 제3 절개부(133)를 이용하여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단부(140)를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제2 절개부(132)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단부(140)와 하부연장부(123)를 제2 절개부(13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중앙연결부(122)를 외부로 부풀려 곡면형태로 변경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단부(140)와 하부연장부(123)를 제2 절개부(13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중앙연결부(122)를 외부로 부풀려 곡면형태로 변경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손잡이부(120) 및 고정단부(14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손잡이부(120)를 외부로 부풀려 곡면형태로 변경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제3 절개부(133), 제4 절개부(134) 및 제5 절개부(135) 및 손잡이부(12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컵홀더의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컵홀더의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절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cut-out 131, the second cut-out 132, and the handle 120 of the cup holder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by using the first cut-out 131 and the third cut-out 133. to b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end 140 shown in FIG. 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pushed up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utout 132 .
6 shows the fixed end 140 and the lower extension 123 shown in FIG. 4 using a second cutout 132, and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is inflated to the outside to change to a curved shape, so that the finger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that can be inserted is formed.
7 shows the fixed end 140 and the lower extension 123 shown in FIG. 4 using the second cutout 132, and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is inflated to the outside to change to a curved shape, so that the finger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that can be inserted is formed.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cut-out 131, the second cut-out 132, the handle 120, and the fixed end 14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inflated to the outside and changed into a curved shap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10 is a first cut-out 131, a second cut-out 132, a third cut-out 133, a fourth cut-out 134, and a fifth cut-out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part 135 and the handle part 120 .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formed by us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cup holder shown in FIG. 10 .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formed by us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cup holder shown in FIG. 10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2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및 손잡이부(12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cut-out 131, a second cut-out 132, and a handle of the cup holder shown in FIG.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120)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및 손잡이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컵홀더로부터 손잡이부(120)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110 of a specific structure, a first cutout 131 , a second cutout 132 , and a handle portion 120 .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0 can be easily formed from the cup holder having a structure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호형태의 전개된 판상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plate-shaped structure developed in an arc shape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손잡이부(12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 절개부(131)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20)의 일단부를 제2 절개부(132)에 고정시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handle part 120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110 by the first cut-out part 131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At this time, one end of the handle 1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cutout 132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상기 언급한 제1 절개부(131)는 좌우 대칭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절개선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절개부(131)는 중앙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절개부(131)에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에 제2 절개부(1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first cutout 131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longitudinal cutou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Preferably, the first cutout 131 may be in the form of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ral portion direction is narrow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tout 13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is the narrowest in the pair of first cutouts 131 .

이 경우,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제1 절개부(131)를 중앙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 형태로 구성하고, 한 쌍의 제1 절개부(131)에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에 제2 절개부(132)가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10)로부터 손쉽게 분리 가능하고, 제2 절개부(132)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131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ral direction is narrowed, and the pair of first cut-outs 131 ), by forming the second cut-out 132 at the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is the narrowes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and a finger can be inserted using the second cut-out 13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including a handle portion 120 that can easily form a space.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상부연장부(121), 중앙연결부(122), 하부연장부(123) 및 고정단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extension 121,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122,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23 and the fixed end of a specific structure ( 140) may be included.

상부연장부(121)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과 연결된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The upper extension part 121 is a configuration that is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extends,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is widened in a direction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

중앙연결부(122)는, 상부연장부(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속되는 구조이고, 상부연장부(121)와 하부연장부(123)를 연결하며, 상부연장부(121)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has a structure that is continuous downward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connects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123, and follows a gentle curve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The width may be reduced.

하부연장부(123)는, 중앙연결부(122)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하방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wer extension part 123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and widening downwardly.

고정단부(140)는, 하부연장부(123)의 일단부에 양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구조이며, 제1 절개부(131)와 연속되는 제3 절개부(133)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end portion 140 is a protrusion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directions to one end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23, and the body portion ( 11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손잡이부(120)를 제1 절개부(131)와 제3 절개부(133)를 이용하여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단부(140)를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제2 절개부(132)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단부(140)와 하부연장부(123)를 제2 절개부(13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중앙연결부(122)를 외부로 부풀려 곡면형태로 변경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using the first cut-out 131 and the third cut-out 133. is show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end 140 shown in FIG. 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pushed up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utout 132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n FIGS. 6 and 7 , the fixed end 140 and the lower extension 123 shown in FIG. 4 are fixed using the second cutout 132 , and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is inflated to the outside to form a curved surfac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formed by changing to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0)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는 제1 절개부(131) 및 제3 절개부(133)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고정단부(140)를 본체부(110)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절곡함과 동시에 하부연장부(123)를 제2 절개부(132)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중앙연결부(122)가 외부로 부풀어 곡면형태로 변경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handle par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by the first cut-out 131 and the third cut-out 133 . At this time, by bending the fixed end 140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t the same time inserting the lower extension 123 into the second cut-out 132,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swells to the outside. It can be changed to a curved shap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장부(123)의 폭(W1)은 제2 절개부(132)의 폭(W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2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W2 of the second cutout portion 132 .

하부연장부(123)의 폭(W1)이 제2 절개부(132)의 폭(W2) 보다 좁을 경우, 제2 절개부(132)에 하부연장부(123)가 끼움 결합된 후에도 제2 절개부(132)에 남는 공간 즉, 유격이 발생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손잡이부(120)가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123 is narrow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cond cutout 132 , the second cutout even after the lower extension 123 is fitted to the second cutout 132 . The space remaining in the portion 132, that is, a gap occurs, and as a result, the handle portion 120 cannot be firmly fixed, which is not preferable.

하부연장부(123)의 폭(W1)이 제2 절개부(132)의 폭(W2) 보다 넓을 경우, 제2 절개부(132)에 하부연장부(123)가 완전히 끼움 결합되지 못하고 일부만 끼워지게 되어, 손잡이부(120)의 견고한 고정을 보장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123 is wid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cond cutout 132 , the lower extension 123 is not completely fitted into the second cutout 132 , but only a portion is inserted.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impossible to ensure a firm fixation of the handle part 120 .

따라서, 하부연장부(123)의 폭(W1)은 제2 절개부(132)의 폭(W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2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W2 of the second cutout portion 132 .

상부연장부(121)의 폭(W3)은 하부연장부(123)의 폭(W1)과 대응되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폭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연장부(121)의 폭(W3)을 하부연장부(123)의 폭(W1) 보다 더 넓게 구성하거나 원형 구조 또는 다각형 구조로 형성한 후, 광고 또는 로고 등을 인쇄하거나, 이벤트 상품, 메모 등을 부착시켜 활용할 수 있다.The width W3 of the upper extension 12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123 , bu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idth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After configuring the width W3 of the upper extension 121 to be wider than the width W1 of the lower extension 123 or forming a circular or polygonal structure, advertisements or logos are printed, event products, memos, etc. It can be used by attaching the back.

상부연장부(121)의 길이(H3), 중앙연결부(122)의 길이(H2) 및 하부연장부(123)의 길이(H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 인자로서, 다양하게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손가락이 삽입될 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length H3 of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the length H2 of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22, and the length H1 of the lower extension part 123 are major factors that form the spac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and are various. By changing the length,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space in which the finger is to be inser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는 고정단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fixed end 140 may be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구체적으로, 고정단부(140)는,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141, 14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20)를 이용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공간을 형성할 때, 고정단부(140)는 제2 절개부(132)의 내측에 걸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길이는, 제2 절개부(132)의 횡방향 절개 길이 대비 150 내지 200 %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단부(14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평면상 횡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end portion 140 is formed with structures 141 and 142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120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 When forming a space for inserting a finger using the handle 120 , the fixing end 140 serves to be fixed across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utout 132 .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xed end 14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150 to 200% of the length of the second cut 13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ed end 14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preferably a rectangular structur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a plane.

이 경우,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2 절개부(132)에 안정적으로 결속되는 고정단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handle part 120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 and is stable in the second cut-out part 132 . By having the fixing end 140 bound to the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that can stably fix the handle portion 120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연장 부분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이때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연장 부분(141, 142)에는, 본체부(110)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143)가 장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14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1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at this time,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is case, an adhesive member 143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transversely extend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fixed end 140 .

이 경우,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연장 부분을 컵홀더 내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본체부(110)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를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연장 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of the fixed end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holder, and an adhesive member that can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fixed end ( By mounting on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of 14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handle portion 120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0)는,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모지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메모지부(150)는, 외부면에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 활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6 ,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emo pad 150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 have. In this case, the memo pad 150 may utilize a memo by using a writing tool on the outer surface.

이 경우, 본 발명의 컵홀더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고, 외부면에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 활용이 가능한 메모지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컵홀더를 사용함과 동시에 메모를 수행할 수 있고,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된 메모지부를 컵홀더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memo pad 150 that is detachabl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use a memo using a writing tool on the outer surface, using the cup holder and At the same time, a memo can be taken, and a cup holder can be provided that can be separately stored or used by separating the memo pad with a writing tool from the cup holde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손잡이부(120) 및 고정단부(14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cut-out 131, the second cut-out 132, the handle 120, and the fixed end 14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손잡이부(120)를 외부로 부풀려 곡면형태로 변경하여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0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inflated to the outside and changed into a curved shap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0)의 제1 절개부(131)는, 중앙부로 폭이 좁아지는 둘 이상의 직선이 조합된 구조(도 8의 (a)) 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선 형태(도 8의 (b))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irst cut-out 131 of th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traight lines having a narrow width toward the center are combined (FIG. 8(a))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in the form of a pair of parallel lines extending to (b) of FIG. 8 .

이때, 한 쌍의 제1 절개부(131)에서 정 중앙부에 제2 절개부(1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tout 13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first cutouts 131 .

도 8의 (b)의 경우에는, 하부연장부(123)와 고정단부(140) 사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의 삽입연장부(1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삽입연장부(1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개부(13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120)의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b) of FIG. 8 , the insertion extension 124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lower extension 123 and the fixed end 140 . As shown in FIG. 9 , the insertion extension part 123 is fitted to the second cut-out part 132 to realize stable fixing of the handle part 120 .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제1 절개부(131), 제2 절개부(132), 제3 절개부(133), 제4 절개부(134) 및 제5 절개부(135) 및 손잡이부(12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10 shows the first cut-out 131, the second cut-out 132, the third cut-out 133, the fourth cut-out 134, and the fifth cut-out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portion 135 and the handle portion 120 is shown.

우선, 도 10의 (a)부분을 참조하면, 제2 절개부(132)의 일부분에는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4 절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정단부(140)의 양측에는 제5 절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절개부(135)는, 제3 절개부(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First, referring to the portion (a) of FIG. 10 , a fourth cut-out 134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cut-out 132 . At the same time, fifth cutouts 13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end 14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fth cut-out 135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is c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cut-out 133 .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절개부(135)는 제4 절개부(134)에 상호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단부(140)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 the fifth cut-out 135 is coupled to the fourth cut-out 134 by fitting each other, so that the fixed end 140 may be fixed.

이때, 고정단부(14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 손잡이부(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fix the fixed end 140 ,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p holder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handle 120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다음으로 도 10의 (b)부분을 참조하면, 제4 절개부(134) 및 제5 절개부(135)를 손잡이부(120)의 대칭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곡선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the portion (b) of FIG. 10 , the fourth cut-out 134 and the fifth cut-out 135 may be configured in a curved shape bent in the symmetrical center direction of the handle 120 .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절개부(134) 및 제5 절개부(135)를 손잡이부(120) 및 고정단부(140)의 대칭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곡선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제5 절개부(135)가 제4 절개부(134)에 끼움 결합될 때, 손잡이부(120)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절단면상 C자형 구조(도 13 참조)를 형성하게 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에 느껴지는 부드러운 파지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단면상 C자형 구조(도 13 참조)에 의해 구조적 강도를 현저히 향상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컵 지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 , by configuring the fourth cut-out 134 and the fifth cut-out 135 in a curved shape bent in the symmetrical center direction of the handle 120 and the fixed end 140 , , when the fifth cut-out 135 is fitted to the fourth cut-out 134, the handle 120 is bent inward to form a C-shaped structure (see FIG. 13) on the cut surface, and the user It can provide a soft grip feel that is felt on the finger. In addition, the structural strengt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C-shaped structure on the cut surface (see FIG. 13 ), so that a more stable cup support effect can be achie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sha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
10: 컵
100: 컵홀더
110: 본체부
120: 손잡이부
121: 상부연장부
122: 중앙연결부
123: 하부연장부
124: 삽입연장부
130: 절개부
131: 제1 절개부
132: 제2 절개부
133: 제3 절개부
134: 제4 절개부
135: 제5 절개부
140: 고정단부
141: 연장된 구조
142: 연장된 구조
143: 접착부재
150: 메모지부
S: Insertion space where a finger can be inserted
10: cup
100: cup holder
110: body part
120: handle part
121: upper extension
122: central connection part
123: lower extension
124: insertion extension
130: cutout
131: first cutout
132: second cutout
133: third incision
134: fourth incision
135: fifth incision
140: fixed end
141: extended structure
142: extended structure
143: adhesive member
150: memo pad

Claims (5)

컵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호형태의 전개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및
본체부(11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제1 절개부(131)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분리 가능한 일단부는 제1 절개부(131)의 일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132)에 고정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개부(131)는 좌우 대칭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절개선을 포함하고, 중앙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가 좁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 형태이고,
상기 한 쌍의 제1 절개부(131)에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에 제2 절개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body portion 110 of the arc-shaped developed plate-shaped structure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and
One end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10 by a first cut-out 131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detachable end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cut-out 131 a handle portion 120 fixed to the second cut-out portion 132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ncluding,
The first cutout 131 includes a pair of longitudinal cutout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and is in the form of a pair of arc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ral direction is narrowed,
The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ut-out (132)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is the narrowest in the pair of first cut-outs (131).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0)는,
본체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연장되고, 본체부(110)과 연결된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의 상부연장부(121);
상기 상부연장부(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속되는 구조이고, 상부연장부(121)와 하부연장부(123)를 연결하며, 상부연장부(121)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따라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는 중앙연결부(122);
상기 중앙연결부(122)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하방으로 폭이 넓어지는 구조의 하부연장부(123); 및
상기 하부연장부(123)의 일단부에 양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구조이며, 제1 절개부(131)와 연속되는 제3 절개부(133)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단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part 120 is,
an upper extension portion 121 that is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extends in width in a direc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
It has a structure that is continuous downward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connects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123, and the width decreases along a gentle curve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121. The branch has a central connection portion (122);
a lower extension portion 123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12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ening downwardly; and
It has a protrusion structur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directions to one end of the lower extension part 123 , and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110 by a third cutout 133 continuous with the first cutout 131 . a fixed end 140 formed;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는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141, 142)로 형성되고, 제2 절개부(132)에 결속되는 고정단부(140); 및
상기 고정단부(140)의 횡방향 연장 부분(141, 142)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는 접착부재(1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is
The fixed end 140 is formed with structures 141 and 142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handle 120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 and is bound to the second cutout 132 . ); and
an adhesive member 143 mounted on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s 141 and 142 of the fixed end 140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외부면에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메모 활용이 가능한 메모지부(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is
a memo pad 150 that is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take notes using a writing tool on the outer surface;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046948A 2020-04-17 2020-04-17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KR102346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48A KR102346008B1 (en) 2020-04-17 2020-04-17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48A KR102346008B1 (en) 2020-04-17 2020-04-17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13A KR20210128813A (en) 2021-10-27
KR102346008B1 true KR102346008B1 (en) 2021-12-31

Family

ID=7828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48A KR102346008B1 (en) 2020-04-17 2020-04-17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0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053B2 (en) * 1991-11-28 2001-01-22 株式会社指月電機製作所 Fare display device
KR200428425Y1 (en) * 2006-07-13 2006-10-11 박성석 Handle Structure Of Box And Box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053U (en) * 2006-07-28 2006-10-12 高木イツ子 Beverage cup holder
KR20120102970A (en) * 2011-03-09 2012-09-19 오세원 Cup holder
KR101707467B1 (en) 2016-09-26 2017-02-16 박일훈 Disposable cup hol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053B2 (en) * 1991-11-28 2001-01-22 株式会社指月電機製作所 Fare display device
KR200428425Y1 (en) * 2006-07-13 2006-10-11 박성석 Handle Structure Of Box And Box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13A (en)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392B2 (en) Beverage cup sleeve with integrated fold-out handles
US6422453B1 (en) Foldable paper container having a top opening
ES2261538T3 (en) CARRIER-ARTICLES AND TROQUEL TO OBTAIN IT.
US6345912B1 (en) Bag with card retainer
US20120324741A1 (en) Training Cutlery
KR20170142999A (en) A product package utilizing an information indicator held in a product tray
US8333145B2 (en) Sip and dip cookie apparatus
KR102346008B1 (en) Cup Holder Having Handle Part
JPH0755706B2 (en) Sleeve type carry handle
KR101243076B1 (en) Paper cup holder
KR20110041375A (en) Cup holder
JP2005074087A (en) Cup holder made of paper
JP4731727B2 (en) Paper box handle
KR101793097B1 (en) Cup carrier
KR102175815B1 (en) cup holder having function of carrier
JP7378763B2 (en) container holder
TW200925065A (en) Holder
JP3240518U (en) container
ES2207257T3 (en) MEANS OF FIXING PANELS FOR BOXES.
WO2023157375A1 (en) Packaging box
JP3106438U (en) Folding paper cup
JP2006096357A (en) Container holder and its assembling method
KR200481139Y1 (en) Pack holder for child
KR20140122070A (en) Cover for cup
KR20100011199U (en) Cup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