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060B1 -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060B1
KR102345060B1 KR1020190157966A KR20190157966A KR102345060B1 KR 102345060 B1 KR102345060 B1 KR 102345060B1 KR 1020190157966 A KR1020190157966 A KR 1020190157966A KR 20190157966 A KR20190157966 A KR 20190157966A KR 102345060 B1 KR102345060 B1 KR 10234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iner
information
dischar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681A (ko
Inventor
김회숙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우리아이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아이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우리아이들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5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변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하는 제조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CONTAIN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AGE OF PRODUCT}
본 발명은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경이나 사용자에 따라 제품의 토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피부의 손상과 노화를 늦추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의 남녀노소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계절, 성별 및 나이에 따라 최적의 피부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개발되고 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신의 피부 상태나 계절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또한 현재 사용중인 화장품의 구매를 위한 잔량 확인을 위해, 무게나 용기 외부로 비춰지는 잔량 위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정확한 잔량 소진 기일을 예측할 수 없게 되어, 해당 화장품을 제때 구매하지 못해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판매된 화장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알 수 없어, 제품 생산이나 재고 관리 등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날씨나 계절에 무관하게 평소의 사용 습관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해당 제품의 사용량이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제 각각이로 해당 제품의 사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0375호(공개일자:2019년 09월 30일, 발명의 명칭: 화장품 케이스를 이용한 화장품 정보 전송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품의 사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제품의 상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제조사가 제품의 상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변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하는 제조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인가되는 힘에 따라 하강 정도가 변하는 해당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토출부,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토출량 제어부 및 상기 토출량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토출량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토출부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변하는 자성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 감지부는 상기 토출부의 펌핑 동작을 감지하여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토출부 감지 센서, 상기 토출부의 펌핑 동작이 행해질 때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와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부의 펌핑 횟수와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토출상태 감지부 및 상기 펌핑 횟수와 상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펌핑 횟수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내용물의 1일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대 및 예측 잔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취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서버는 상기 사용 시간대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용기는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조사 서버는 전송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 취합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취합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1일 사용 빈도수와 상기 사용 시간대에서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와 개인별 사용 시간대를 산출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서버는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조사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내용물의 종류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제조사 서버는 상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지역에 대한 현재 온도, 현재 습도 및 현재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나이, 성별, 피부타입 및 야외활동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와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용되는 제품이 용기에서 토출되는 토출량이 자동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 시의 온도, 습도나 자외선 지수에 따라 사용되는 화장품의 양이 달라져, 현재 환경에 맞는 적정량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도 토출량이 제어되므로, 좀 더 효율적인 제품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제품의 사용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제품의 구매 시기와 적정 사용량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사는 현재 시판된 제품에 대한 사용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발주 시기, 발주량 및 제품의 계속적인 출시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사용된 용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용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용기에 구비된 실린더부의 하강 위치가 제한되어 토출되는 토출량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데이터 취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은 도 1의 제조사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서 용기, 데이터 취합장치 및 제조사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서 용기, 데이터 취합장치 및 제조사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화장품을 내장하는 있는 화장품 용기에 대한 화장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화장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상태 감지 장치인 용기(1), 용기(1)와 통신하는 데이터 취합장치(2), 데이터 취합장치(2)와 통신하는 제조사 서버(3), 제조사 서버(3)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부(4) 그리고 제조사 서버(3)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5)을 구비한다.
용기(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한 예로서 화장품이 내용물로서 담겨있는 제품의 용기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1)는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내용물이 담겨있는 내부 케이스(1a)와 내부 케이스(1a)를 에워싸고 있는 외부 케이스(1b)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1)는 용기(1)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11), 토출부(11)의 상태를 감지하는 토출부 감지부(12), 토출부 감지부(12)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부(13), 현재 시각에 대한 신호(예,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14), 토출부 감지부(12) 및 토출부(11)에 연결되어 있는 토출량 제어부(15), 토출부 감지부(12)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6)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토출부 감지부(12), 사용자 식별부(13), 시계부(14), 토출량 제어부(15), 통신부(16) 및 전원부(16)는 내부 케이스(1a)와 외부 케이스(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사용자 식별부(13)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케이스(1b)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 감지부(12), 사용자 식별부(13), 시계부(14), 통신부(16) 및 전원부(17)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어판(1c)에 실장될 수 있다.
토출부(11)는 내부 케이스(1a)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펌핑 동작에 의해 용기(1)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용기(1) 내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토출부(11)의 한 예는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부재(111), 탄성부재(111)와 위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111)를 압축하는 힘을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힘을 해제하는 실린더부(112) 및 실린더부(112)의 동작에 따른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위치가 바뀌는 제어볼(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부(11)가 위치하는 내부 케이스(1a)는 내용물이 주로 채워져 있는 제1 공간(11a)과 제1 공간(11a) 위에 위치하고 토출부(11)가 위치하여 내용물의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 공간(12a)으로 나눠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1a)과 제2 공간(12a) 사이에는 제1 공간(11a)과 제2 공간(12a)을 구분하는 막음판(114)이 위치하고, 막음판(114)에는 제1 공간(11a)과 제2 공간(12a)을 연결하는 구멍(H1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멍(H114)을 통해 제1 공간(11a) 속에 담겨있는 내용물이 제2 공간(12a) 속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볼(113)은 막음판(114)에 위치한 구멍(H114) 위에 위치하여 실린더부(112)의 동작에 따라 구멍(H114)을 막거나 열게 된다.
탄성 부재(111)는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 실린더부(112)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 부재(111)는 실린더부(112)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실린더부(112)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되고, 실린더부(112)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실린더부(112)를 초기 위치로 밀어 올리게 된다.
실린더부(112)는 위에 기술한 것처럼 상하 방향(Y1)으로 이동하여 제2 공간(12a)의 체적을 변화시켜 제2 공간(12a) 내부의 압력을 변환시킨다. 따라서, 실린더부(112)는 용기(1) 내부에 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부일 수 있다.
실린더부(112)의 한 예는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실린더부(112)의 일부는 외부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탄성부재(111)와 접하게 위치하여 탄성부재(111)의 압축 상태를 제어한다.
실린더부(112) 내부에는 제2 공간(12a)과 연결되게 형성된 토출구(H1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공간(12a) 속에 위치하고 있는 내용물은 토출구(H1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실린더부(112)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도 2b와 같이 실린더부(112)의 하강 동작에 이루어지면, 실린더부(112)의 하강 정도에 비례하여 실린더부(112)와 막음판(114) 사이의 제2 공간(12a)의 크기는 감소한다. 이로 인해, 실린더부(112)와 막음판(114) 사이의 제2 공간(12a) 속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2 공간(12a) 속에 위치한 내용물은 토출구(H1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부(112)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11)의 복원 동작에 의해 실린더부(112)는 초기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부(112)의 상승 동작에 의해 실린더부(112)와 막음판(114) 사이의 공간(12a)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2 공간(12a)에는 실린더부(112)의 상승 동작에 따라 제1 공간(11a)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작용하여 제1 공간(11a)에 있는 내용물은 구멍(H114)을 통해 제2 공간(12a)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실린더부(112)의 부분을 손바닥 등으로 눌려, 원하는 양만큼 용기(1) 즉, 내부 케이스(1a) 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토출부 감지부(12)는 토출부(1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된 정보나 신호를 통신부(16)를 통해 데이터 취합 장치(2)와 제조사 서버(3)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이러한 토출부 감지부(12)는 토출부(1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토출부 감지센서(121) 및 토출부 감지센서(121), 사용자 식별부(13) 및 시계부(14)에 연결되어 있는 토출상태 판단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부 감지센서(121)는 토출부(11)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펌핑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토출부 감지센서(121)는 토출부(11)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 부재(111)의 작동 상태 즉, 압축 정도나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거나 제2 공간(12a) 내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토출부 감지센서(121)로부터 출력되는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토출부(11)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탄성 부재(111)의 압축 정도 즉, 토출부(11)의 동작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정도가 정해진 크기를 초과하면 한 번의 사용 동작(예, 펌핑 동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 횟수인 펌핑 횟수를 계수하게 된다.
또한,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사용자 식별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시계부(14)와 연결되어 있는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토출부(11)의 사용 동작이 행해질 때마다, 즉, 실린더부(112)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져 내용물의 펌핑이 이루어질 때마다 시계부(14)를 동작시켜 토출부(11)가 사용될 때의 시각 정보를 입력 받는다.
그런 다음,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펌핑 횟수와 시각 정보를 통신부(16)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통신부(16)를 통해 제조사 서버(3)로부터 전송되는 핀위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핀위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용기(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어하는 토출량 제어부(15)의 동작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어하는 핀위치 제어신호는 제조사 서버(3)에 의해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용기(1)마다 별도의 고유의 식별정보(즉, 용기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있다. 따라서, 토출부 감지부(12)의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펌핑 횟수 신호와 시각 정보를 통신부(16)로 전송할 때, 해당 용기(1)의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해당 용기(1)에 대한 용기 식별정보는 토출상태 판단부(122)의 내무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식별부(13)는 용기(1)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식별부(13)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센서와 같은 생체정보 센서를 구비하거나 식별번호(예, 1, 2, 3, 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이용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 식별부(13)를 통해 자신이 정한 식별번호를 입력하거나 생체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식별부(13)는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토출상태 판단부(122)로 출력하면,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생성해 통신부(16)를 통해 데이터 취합 장치(2)와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취합장치(2)는 각 사용자별로 내용물의 사용 상황인 개인 사용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조사 서버(3)는 전송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용기(1)가 위치한 지역의 현재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와 현재 환경에 적합한 사용량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제조사 서버(3)는 판단된 사용량의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위치 제어신호를 용기(1) 쪽으로 전송한다. 핀위치 제어신호는 실린더부(112)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여 용기에서의 내용물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이다.
따라서, 토출부 상태 판단부(12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전송된 핀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부(112)의 최저 하강 위치를 정하게 된다.
시계부(14)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토출상태 판단부(12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토출부(11)가 동작될 때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토출상태 판단부(122)로 출력한다.
토출량 제어부(15)는 한 번의 펌핑 동작 시 토출부(11)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토출량 제어부(15)는,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실린더부(112)의 최저 하강 위치를 한정하는 복수 개의 위치 한정핀(151), 복수 개의 위치 한정핀(151)과 연결되어 각 위치 한정핀(15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위치 한정핀(151)은 내부 케이스(1a)의 측면의 각 위치에 상하 방향(Y1)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있고, 구동부(152)의 동작에 의해 좌우 방향(X1)으로 이동하여, 내부 케이스(1a)의 내부면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각 위치 한정핀(151)에 대면하고 있는 구동부(152)의 부분에는 대면하고 있는 해당 위치 한정핀(151)과 접착되거나 첩착 상태가 해제되는 접착판(1511)이 위치할 수 있다.
접착판(1511)은 구동부(15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자성의 상태가 제1 상태(예, N극)이나 제2 상태(S극)을 유지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각 위치 한정핀(151)은 정해진 극성(예, S극)을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초기 상태로서 모든 접착판(1511)의 상태가 제1 상태(예, N극)이면, 해당 위치 한정핀(151)과 대면하고 있는 해당 접착판(1511)과의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각 위치 한정핀(151)은 해당 접착판(1511) 쪽으로 이동하여 대면하고 있는 접착판(1511)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일 때, 내부 케이스(1a)의 내부면을 통과해 제1 공간(112)으로 돌출된 위치 한정핀(151)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린더부(112)는 막음판(114)과 접할 때까지 최대로 하강할 수 있다.
하지만, 접착판(1511) 중 하나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어 초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하게 되면, 해당 접착판(1511)의 상태는 초기 상태인 제1 상태(예, N극)에서 동작 상태인 제2 상태(예, S극)으로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동작 상태의 접착판(1511)과 대면하고 있는 위치 한정핀(151)과 동작 상태인 해당 접착판(1511)과의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여, 해당 위치 한정핀(151)은 내부 케이스(1a) 쪽으로 이동하여 내부 케이스(1a)의 내부면을 통과해 내부 케이스(1a)의 해당 공간(12a) 쪽으로 돌출된다(도 2b 참고).
이러한 위치 한정핀(151)의 돌출에 의해 실린더부(112)의 최저 하강 위치는 위치 한정핀(151)이 돌출된 부분으로 높아지고, 이러한 하강 위치의 변화로 인해 토출구(H1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은 초기 상태의 경우보다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토출량 제어부(15)는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위치 한정핀(151)을 제2 공간(12a) 쪽으로 돌출시켜, 용기(1)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변화시킨다.
각 위치 한정핀(15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접착판(1511)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통신부(16)를 통해 제조사 서버(3)로부터 전송되는 핀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 감지부(12)의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제조사 서버(3)로부터 전송되는 핀위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접착판(1511) 중에서 해당 접착판(1511)을 선택하여 구동부(152)로 선택된 접착판(151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6)는 데이터 취합장치(2) 및 제조사 서버(3)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이러한 통신부(16)는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때, 인터넷 모듈에 사용되는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부(17)는 화장품 용기(1)에 구비된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전원부(17)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신호에 의해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취합장치(2)는 용기(1)에 위치한 통신부(16)를 통해 전송되는 각 용기(1)의 식별정보, 펌핑 횟수 신호 및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용기(1)에 대한 제품(예, 화장품) 사용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취합장치(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전송되는 신호와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진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21)과 정보의 산출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예, 메모리)(22) 및 용기(1)와 제조사 서버(3)와 통신하는 통신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22)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1회 토출 시 내용물의 기준 토출량(예, 0.25mg) 및 용기(1)의 총 펌핑가능 횟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1회 토출 시 내용물의 기준 토출량은 위치 한정핀(151)의 동작에 따라 복수 개로 나눠진 1회 펌핑 시의 토출량의 평균값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a의 경우, 위치 한정핀(151)의 개수가 총 3개이므로, 실린더부(112)의 최저 하강 위치는 4개 위치 중 하나가 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각 하강 위치일 때 토출되는 토출량의 평균을 기준 토출량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총 펌핑 가능 횟수는 1회 펌핑 시 기준 토출량이 토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용기(1)에 담겨있는 내용물이 모두 사용될 때까지의 총 펌핑 횟수이다.
이러한 데이터 취합장치(2)의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용기(1)의 총 펌핑가능 횟수와 현재까지의 총 펌핑 횟수를 이용하여 해당 용기(1)에 현재 남아있는 잔량을 예측해 예측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취합장치(2)의 제어부(21)은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기(1) 속의 내용물인 화장품을 이용하는 사용 시간대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 시간대를 이용하여 1일 사용 빈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취합장치(2)는 정해진 시간 동안(예, 2초) 연속해서 행해지는 적어도 한 번의 펌핑 횟수를 화장품을 한번 사용하기 위한 펌핑 동작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데이터 취합장치(2)는 동일한 시간대(예, 오전 8시대)에 정해진 시간(예, 2초) 동안 연속해서 행해지는 펌핑 횟수를 계수하여 내용물이 사용되는 사용 시간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취합장치(2)는 사용자가 아침 시간대, 점심 시간대 및 저녁 시간대와 같이, 하루 동안 화장품을 이용하는 1일 사용 빈도수와 사용 시간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침과 저녁에 해당 용기의 토출부(11)를 2번 펌핑하여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취합장치(2)의 제어부(21)은 하루에 아침(예, 오전 8시 시간대)과 저녁(예, 오후 9시 시간대) 2번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1일 사용 빈도수는 2회이고 사용 시간대는 아침과 저녁으로 판정한다.
또한, 데이터 취합장치(2)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용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산출된 1일 사용 빈도수와 사용 시간대에서 각 사용자별(즉,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와 개인별 사용 시간대를 추출하여 개인 사용패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 취합장치(2)의 동작에 의해, 해당 용기(1)에 담겨있는 내용물의 1일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대 및 예측 잔량,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 및 개인별 사용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가 산출되면, 데이터 취합장치(2)의 제어부(22)는 통신부(23)를 통해 해당 용기 식별번호와 함께 이들 산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3)는 데이터 취합장치(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예, 1일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대, 예측 잔량,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 및 개인별 사용 시간대)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 즉 용기(1)의 제품에 대한 사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사 서버(3)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환경정보 획득부(31), 환경정보 획득부(31)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32), 제어부(32)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33) 및 제어부(33)에 연결되어 이 있는 통신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환경정보 획득부(31)는 각 지역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부분으로, 환경 정보는 현재 온도, 현재 습도, 현재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32)는 제조사 서버(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다.
저장부(33)는 제조사 서버(3)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제조사 서버(3)의 저장부(33)는 사용자 정보, 환경 정보 및 용기(1)에 담겨있는 내용물의 종류(예, 스킨, 로션, 영양크림, 또는 자외선 크림)에 따른 적정 토출량을 저장하고 있다.
통신부(34)는 데이터 취합 장치(2)와 용기(1)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통신과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1, 2)와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4)는 용기 데이터베이스(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2)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 데이터베이스(41)은 각 용기(1)에 고유로 부여된 용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총 용량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2)는 사용자 단말(5)을 통해 전송되는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용기(1)에 대한 용기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즉, 용기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예, 지문정보나 식별번호), 나이, 성별, 피부타입 및 야외활동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5)은 용기(1)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스마트폰이나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5)을 이용해 제조사 서버(3)에 접속하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용기 식별정보, 용기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5)의 입력 동작에 의해,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통신부(34)를 통해 사용자 단말(5)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4)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 이러한 구조를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원하는 내용물이 담긴 화장품을 구입하면,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단말(5)을 이용하여 제조사 서버(3)에 접속하여,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용기 식별정보, 용기 위치정보 그리고 자신의 정보(예, 사용자 식별정보, 나이, 성별, 피부타입 및 야외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이때, 용기(1)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적어도 한 명일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따라서, 동일한 용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게 된다.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한다.
이런 상태에서, 해당 용기(1)의 내용물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식별부(13)를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 식별부(13)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토출부 감지부(12)의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사용자 식별부(13)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부(16)를 통해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조사 서버(3)는 데이터베이스부(4)의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용기 위치 정보 및 해당 용기(1)에 대한 용기 식별정보를 판단한다.
그런 다음, 용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용기(1)가 위치한 지역을 판단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판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2)는 용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용기(1) 속에 담겨있는 내용물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해당 용기(1)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현재 환경정보, 현재 사용자의 정보 및 내용물이 종류가 확인되면, 제조사 서버(3)는 저장부(3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환경정보, 현재 사용자의 정보 및 내용물이 종류에 가장 적합한 토출량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판단된 토출량을 위한 핀위치 제어신호를 용기(1)의 토출상태 판단부(12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전송된 핀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152)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복수 개의 접착판(152) 중 하나를 구동 상태로 제어하여, 해당 위치 한정핀(151)을 제2 공간(12a) 속으로 돌출시켜 실린더부(112)의 하강 위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용기(1)이 내용물을 남편과 아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는 '식별번호 1'을 사용하는 아내로서, '40대 여성'이고, 피부 타입이 '건성'이며, 야외활동 정도가 '많음'인 상태이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환경 정보에 따라 온도는 '섭씨 20도'이고, 습도는 '30%'이며 자외선 지수는 '매우 높음' 상태이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는 영양 크림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런 경우, 현재 환경 상태에서의 사용자는 아내는 많은 영양 공급이 필요한 상태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토출량은 최대량(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중 4단계)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는 토출량이 최대량에 대응하는 핀위치 제어신호를 토출상태 판단부(122)로 전송하게 되고,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수신된 핀위치 제어신호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위치 한정핀(151) 모두를 초기 상태로 유지하여 실린더부(112)가 최저 하강 위치인 막음판(114)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위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위치 정보와 환경 정보 하에서, 현재 사용자가 식별번호 '2'를 사용하는 남편이며, 현재 사용자는 '40대 남성'이고, 피부 타입이 '지성'이며, 야외활동 정도가 '적음'인 상태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남편의 피부 상태는 많은 영양 공급이 필요하지 않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토출량은 중간 단계(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중 3단계)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는 정해진 토출량에 대응하는 핀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상태 판단부(122)는 토출량 제어부(15)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위치 한정핀(151) 중 가운데 위치한 위치 한정핀(151)을 구동시켜[도 2(b) 참고], 실린더부(112)를 하강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의 정보,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환경정보 및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실린더부(112)의 위치가 정해지면, 현재 사용자는 실린더부(112)를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시켜 정해진 양의 화장품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환경에 따라 토출되는 토출량이 변하므로, 현재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양의 화장품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면, 토출부 감지부(12)는 토출부 감지 센서(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시계부(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펌핑 횟수와 시각 정보를 생성해 데이터 취합 장치(2)로 전송한다.
취합 장치(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1일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대, 예측 잔량,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 및 개인별 사용 시간대를 산출하여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하고, 제조사 서버(3)는 각 용기(1)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종류의 내용물이 담겨있는 화장품에 대한 평균 사용일 수 및 평균 1일 사용 빈도수를 산출하여 용기 데이터베이스(41)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을 통해 제조사 서버(3)나 데이터베이스부(4)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해당 용기(1)의 제품에 대한 제품 사용상태 정보와 개인 사용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면, 제조사 서버(3)는 데이터베이스부(4)는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와 용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관련된 제품 사용 정보(예, 1일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대, 예측 잔량,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 및 개인별 사용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사용자 단말(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5)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자신의 사용 습관이나 현재 예측 잔량 등을 판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동일한 제품에 대한 구매 여부나 구매 시기 등을 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용기(1a)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식별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용기(1)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한 명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조사 서버(3)는 동일한 사람에 대한 토출량을 해당 지역의 현재 환경 정보에 따라 변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정해진 시간마다 환경정보 획득부(31)로부터 획득된 해당 지역의 현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종류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토출량을 판정한 후, 판정된 현재 토출량에 대응하는 핀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환경정보에 따라 변하는 토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40대 여성'이고, 피부 타입이 '건성'이며, 야외활동 정도가 '많음'이고, 위치 정보는 '서울시 강남구 개포2동'이고, 시간 간격은 '3시간'으로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오전 6에 용기(1)로 핀 위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환경정보 획득부(31)를 통해 개포 2동에 대한 현재 온도는 '섭씨 15도'이고, 습도는 '30%'이며 자외선 지수는 '매우 낮음' 상태와 같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저장부(33)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런 환경 상태와 사용자 정보에 적합한 제품의 토출량을 최대로 정하여, 그에 맞는 핀 위치 제어신호를 용기(3) 쪽으로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오전 9에 획득된 개포 2동의 현재 온도는 '섭씨 25도'이고, 습도는 '70%'이며 자외선 지수는 '매우 낮음' 상태이면,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는 매우 습한 상태로 판단해 저장부(33)의 데이터에 따라 해당 제품의 토출량을 최소량으로 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로부터 전송되는 핀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량 제어부(15)의 동작이 이루어져 실린더부(112)의 하강 위치는 최소량으로 한정되게 된다.
이때, 현재 환경 정보의 변화에 대응하는 핀위치 제어신호의 전송 시간의 주기는 저장부(32)에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현재 환경 정보의 변화에 대응하는 핀위치 제어신호의 전송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시각에만 전송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5)을 이용하여 해당 용기(1a)의 핀위치 제어신호의 전송 시각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32)는 데이터 취합 장치(2)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용기(1)의 제품의 사용 시간대에 핀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용기(1a)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2)는 전송된 제품의 사용 시간대마다 환경정보 획득부(31)에서 출력되는 현재 환경 정보를 획득해 해당 사용 시간대의 환경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태의 핀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해 용기(1a)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용기(1a)의 제품을 사용하는 시간대가 오전 7시대와 오후 8시대로 판단되면, 제조서 서버(3)의 제어부(32)는 오전 7시에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환경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적합한 토출량을 판단하여 해당 상태의 핀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해 출력하고, 오후 8시에 동일한 방식을 통해 현재 환경 정보에 적합한 핀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해 용기(1a)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빈번한 핀위치 제어신호의 생성 및 전송, 그리고 빈번한 용기(1a)의 동작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식별부의 생략에 따른 용기(1a), 데이터 취합 장치(2), 제조사 서버(3) 및 사용자 단말(5)의 동작 차이(예, 사용자 식별정보 전송 동작,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 및 개인별 사용 시간대 산출 동작)를 제외하면, 용기(1a), 데이터 취합 장치(2), 제조사 서버(3) 및 사용자 단말(5)의 동작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6에서, 데이터 취합장치(2)는 용기(1, 1a)나 제조사 서버(3)와 별개로 이격되어 있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데이터 취합장치(2)는 용기(1, 1a)에 장착되어 용기(1, 1a)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제조사 서버(3)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취합장치(2)가 용기(1, 1a)에 장착되는 경우, 데이터 취합장치(2)는 토출부 감지부(12)와 통신부(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취합장치(2)의 제어부(21)은 토출부 감지부(12)로부터 인가되는 용기 식별정보(및 사용자 식별정보), 펌핑 횟수 및 시각 정보를 입력받아 원하는 정보를 산출한 후 통신부(16)를 통해 제조사 서버(3)로 산출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데이터 취합장치(2)가 제조사 서버(3)에 내장되는 경우, 데이터 취합장치(2)는 제조사 서버(3)의 통신부(34)와 제어부(32)에 사이에 연결되어, 용기(1, 1a)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산출한 후, 제조사 서버(3)의 제어부(32)로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 취합장치(2)가 용기(1, 1a)나 제조사 서버(3)에 장착되는 경우 데이터 취합장치(2)의 통신부를 생략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용기는 실린더부를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또한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용기에 복수 개의 한정핀을 장착하여 각 한정핀의 돌출 여부를 제어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내용물의 토출량이 제어되는 구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예와 달라, 용기의 펌핑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에도, 판단된 환경 정보와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용기에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 혼합비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 용기, 사용상태 감지 장치 11: 토출부
12: 토출부 감지부 121: 토출부 감지 센서
122: 토출상태 판단부 13: 사용자 식별부
14: 시계부 15: 토출량 제어부
151: 위치 한정핀 1511: 접착판
152: 구동부 16: 통신부
17: 전원부 2: 데이터 취합 장치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통신부 3: 제조사 서버
31: 환경정보 획득부 32: 제어부
33: 저장부 34: 통신부
4: 데이터베이스 41: 용기 데이터베이스
4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5: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내용물을 사용하기 전에 정해진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통으로 사용하고, 구동신호에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변하는 하나의 용기;
    상기 용기와 통신하고, 상기 용기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용기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상기 용기를 현재 사용하는 현재 사용자를 판정하고, 판정된 현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하는 제조사 서버; 및상기 용기와 통신하는 데이터 취합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현재 사용자의 펌핑 동작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따라 하강 정도가 변하는 해당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토출부;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 동작에 의해 내용물의 펌핑이 이루어져 상기 토출부가 동작될 때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
    상기 토출부의 펌핑 동작을 감지하여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토출부 감지센서;
    입력되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토출량 제어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현재 상기 용기를 사용하는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식별부;
    상기 시계부, 상기 토출부 감지센서, 상기 사용자 식별부 및 상기 토출량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토출량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토출부 작동상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부의 펌핑 횟수를 계수하고 상기 시각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펌핑 횟수, 상기 시각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토출상태 판단부; 및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상태 판단부로부터 상기 펌핑 횟수, 상기 시각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펌핑 횟수 및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데이터 취합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취합 장치는 상기 펌핑 횟수를 이용하여 현재까지의 총 펌핑 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펌핑 횟수와 총 펌핑가능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예측 잔량을 산출하고,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사용 시간대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용 시간대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1일 사용 빈도수를 산출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제어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변하는 자성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하강 정도를 제어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서버는 상기 사용 시간대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데이터 취합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취합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1일 사용 빈도수와 상기 사용 시간대에서 개인별 1일 사용 빈도수와 개인별 사용 시간대를 산출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서버는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로 전송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내용물의 종류를 추가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조사 서버는 상기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지역에 대한 현재 온도, 현재 습도 및 현재 자외선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나이, 성별, 피부타입 및 야외활동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KR1020190157966A 2019-12-02 2019-12-02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KR10234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66A KR102345060B1 (ko) 2019-12-02 2019-12-02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66A KR102345060B1 (ko) 2019-12-02 2019-12-02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681A KR20210068681A (ko) 2021-06-10
KR102345060B1 true KR102345060B1 (ko) 2021-12-29

Family

ID=763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966A KR102345060B1 (ko) 2019-12-02 2019-12-02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0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05B1 (ko) * 2018-08-06 2019-05-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353B1 (ko) * 2014-04-17 2021-03-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뷰티 솔루션 제공 단말 및 뷰티 솔루션 제공 방법
KR102184631B1 (ko) 2018-03-20 2020-11-30 지플라이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를 이용한 화장품 정보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05B1 (ko) * 2018-08-06 2019-05-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681A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944B2 (en) Water intake tracker for a container
US10057709B2 (en) Systems for providing condition-based data from a user interactive device
US1055773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 smart water bottle converter
CN107006940A (zh) 能量采集鞋底
CN107422349A (zh) 处理数据的智能终端服务系统和智能终端
US11126955B1 (en) Sensor data-based reordering of items
US11403651B2 (en) Generating insights based on signals from measuring device
US20160291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Device's User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 Power Usage
KR20140010412A (ko) 이용-기반 컨텐츠 전달 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102474293B1 (ko) 화장품 공급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033445A (zh) 用于手势辨识的系统和方法
KR102345060B1 (ko) 제품 토출량 제어 시스템
US20210023577A1 (en) Pump actuating cap for pump dispensers,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product consumption from said pump actuating cap
KR102345059B1 (ko)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사용상태 판단 시스템
US20170344936A1 (en) Wireless remote monitoring of supply bins
CN102567601B (zh) 智能进餐管理系统和相应方法
CN105241501B (zh) 居民食物消费数据采集装置
KR102358046B1 (ko) 향기 분사 시스템
CN107600686A (zh) 一种智能计量无线瓶盖及其使用方法
KR20160095337A (ko) 스마트 물병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20210100907A (ko) 피부 도포량 산출 방법
EP3769852A1 (en) Pump- actuated dispenser with integrated switch,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product consumption from said pump- actuated dispenser
KR102241958B1 (ko) 스마트 스케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roul et al. Power efficient multi-band contextual activity monitoring for assistive environments
KR2020001343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나트륨 섭취 조절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