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516B1 -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 Google Patents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516B1
KR102344516B1 KR1020200082029A KR20200082029A KR102344516B1 KR 102344516 B1 KR102344516 B1 KR 102344516B1 KR 1020200082029 A KR1020200082029 A KR 1020200082029A KR 20200082029 A KR20200082029 A KR 20200082029A KR 102344516 B1 KR102344516 B1 KR 10234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angle
roll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광
Original Assignee
정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광 filed Critical 정대광
Priority to KR102020008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27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several coating rollers
    • B05C17/02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several coating rollers all of them having parallel ax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0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haracterised by the handle, e.g. handle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means for angularly adjusting or allowing angular movement of the roller relative to its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는 한 쌍의 롤러, 한 쌍의 롤러 각각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의 타측이 결합되되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지대가 결합되는 본체, 및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Paint double roller}
본 발명은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외 외관을 수려하게 꾸미기 위해서는 도료(페인트)를 이용한 페인팅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페인팅 작업은 분사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안전 등의 이유로 롤러에 의한 수작업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롤러를 통한 페인팅 방식은 롤러가 일직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벽체의 구석 등과 같은 굴곡진 부분에서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아울러, 판자 등과 같은 폭이 좁은 작업 대상의 경우, 각 면을 일일이 작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2011-0108812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페인트 작업 대상에 따라 롤러를 다양한 형태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측이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180도, 120도, 90도 또는 평행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롤러본체; 및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페인팅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본체는 내측에 중공부를 갖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단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롤러로 일직선으로 구비되는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로부터 직각으로 이루어진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걸림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대에 밀착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상기 지지대 측으로 가압하는 커버; 및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개구 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내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본체; 상기 손잡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구비되는 홈부; 상기 손잡이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본체의 타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에 결합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는 일측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는 연장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는 페인트 작업 대상에 따라 롤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특별한 용도에 따라 페인트 롤러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를 이중으로 구비함으로써 페인트 작업이 곤란하거나 작업량이 많은 작업 대상에 대하여 페인트 작업을 쉽게 하거나 단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페인트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롤러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롤러 측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롤러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롤러 측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롤러(110), 지지대(120), 본체(130) 및 손잡이(140)를 포함한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한 쌍의 롤러(110)를 구비하되 한 쌍의 롤러(110)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한 쌍의 롤러(110)가 180도, 120도, 90도 또는 평행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페인팅 작업 대상의 향상 또는 구조에 따라 한 쌍의 롤러(110)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용도에 따라 페인트 롤러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롤러(110)는 페인트를 묻혀서 작업 대상을 페인팅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롤러(110)는 지지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작업량이 많은 페인팅 작업 대상에 대하여 이중 롤러에 의해 동시에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페인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벽면의 구석 등과 같은 페인트 작업이 곤란한 페인팅 작업 대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이중 롤러에 의해 한 번에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인트가 덧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페인트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대(120)는 손잡이(140)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롤러(1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110)와 본체(130) 사이에 일정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대(120)는 일측이 롤러(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20)는 한 쌍의 롤러(110) 각각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대(120)는 한 쌍의 롤러(11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30)는 한 쌍의 롤러(1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20)의 타측이 결합되고, 지지대(120)의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체(130)는 한 쌍의 롤러(11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지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30)는 지지대(120)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40)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를 잡기 위한 것으로, 본체(13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40)는 일정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110) 각각은 롤러본체(111) 및 페인팅솔(11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본체(111)는 지지대(1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롤러본체(111)는 내측에서 중심축 상에 중공부(111a)를 가질 수 있다. 중공부(111a)에 지지대(120)의 제2단부(1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롤러본체(111)는 그 중심축 상에 지지대(120)의 제2단부(1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롤러본체(11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인팅솔(112)은 롤러본체(11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페인팅솔(112)은 페인트가 묻힌 후 회전하면서 페인팅 작업 대상을 페인팅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인팅솔(112)은 특별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지지바(121), 제1단부(123) 및 제2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21)는 한 쌍의 롤러(110)와 본체(130)를 연결하도록 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121)는 본체(130) 측의 제1단부(123)로부터 한 쌍의 롤러(110) 측의 제2단부(122)로 일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단부(123)는 본체(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단부(123)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단부(123)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지지바(121)가 다각형의 각 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11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2단부(122)는 롤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단부(122)는 지지바(121)로부터 직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단부(122)는 롤러본체(111)는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단부(122)는 롤러(110)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30)는 커버(131), 제1결합부(132), 베이스부(133), 제2결합부(134) 및 걸림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1)는 지지대(120)를 본체(130)에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제1결합부(13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1)의 내측면과 제1결합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있다. 이에 의해, 커버(131)가 제1결합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결합부(13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커버(131)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131)는 지지대(120)가 삽입되는 측에 개구(131a)가 구비되고, 타측이 제1결합부(1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1)는 걸림부(135)가 지지대(120)에 밀착되도록 걸림부(135)를 지지대(1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31)는 지지대(120)가 삽입되는 개구(131a) 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내벽(131b)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131)가 제1결합부(132) 상에서 회전에 의해 제1결합부(132) 측으로 이동할수록 커버(131)의 내벽(131b)에 의해 걸림부(135)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131)가 제1결합부(132) 상에서 회전에 의해 롤러(110) 측으로 이동할수록 커버(131)의 내벽(131b)에 의한 걸림부(135)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120)가 본체(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32)는 베이스부(133)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132)는 커버(131)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이 커버(131)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32)는 지지대(120)의 제2단부(12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132)는 지지대(120)의 제2단부(122)가 삽입되는 홈부(132a)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33)는 한 쌍의 지지대(120)와 손잡이(140)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한 쌍의 제1결합부(132)가 구비되고, 타측은 손잡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134)는 베이스부(133)의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134)는 손잡이(140)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결합부(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결합부(134)는 내측이 홈부(13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34)는 베이스부(13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홈부(134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34a)는 손잡이(1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135)는 제1결합부(132)의 외측에 구비되어 지지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걸림부(135)는 제1결합부(132)와 커버(1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35)는 지지대(120)의 제1단부(123)의 다각형 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35)는 지지대(120) 측의 단부가 지지대(120)의 제1단부(123)의 다각형 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135)는 지지대(120)의 제1단부(123)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120)의 제1단부(123)의 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걸림부(135)는 120도 간격으로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140)는 손잡이본체(141) 및 연결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본체(141)는 작업자가 잡는 부분으로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손잡이본체(14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홈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홈부(142)는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홈부(142)는 손잡이본체(141)의 외주면 방향으로 등각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손잡이(140)를 잡는 경우, 작업자의 손바닥이 손잡이(140)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145)는 손잡이본체(14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45)는 본체(130)의 홈부(134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연장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140)는 수용부(144) 및 나사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44)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장대(15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본체(141)의 타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44)는 손잡이본체(141)에서 롤러(110)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43)는 수용부(144)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143)는 수용부(144)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나사부(143)는 손잡이본체(14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대(150)는 일측이 수용부(144)에 삽입되어 나사부(1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장대(150)는 손잡이(140)의 나사부(143)에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장대(150)는 특별히 구비될 필요없이 나무 등의 재질을 갖는 막대이면 아무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를 이용하여 평면의 벽면(10)을 페인팅하는 경우, 한 쌍의 롤러(110)는 180도로 조정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롤러(110)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벽면(10)을 동시에 페인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작업량이 많은 페인팅 작업 대상에 대하여 이중 롤러에 의해 동시에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페인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를 이용하여 벽체의 구석(11)을 페인팅하는 경우, 한 쌍의 롤러(110)는 90도로 조절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롤러(110)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벽체의 구석(11)을 동시에 페인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벽체의 구석 등과 같이 페인트 작업이 곤란한 경우, 한 번에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덧칠을 방지하여 페인트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를 이용하여 얇은 나무판자(12)를 페인팅하는 경우, 한 쌍의 롤러(110)는 서로 평행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롤러(11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나무판자(12)의 양면을 동시에 페인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100)는 판자의 양면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110 : 롤러 111 : 롤러본체
111a: 중공부 112 : 페인팅솔
120 : 지지대 121 : 지지바
122 : 제2단부 123 : 제1단부
130 : 본체 131 : 커버
131a : 개구 131b: 내벽
132 : 제1결합부 132a : 홈부
133 : 베이스부 134 : 제2결합부
134a: 홈부 135 : 걸림부
140 : 손잡이 141 : 손잡이본체
142 : 홈부 143 : 나사부
144 : 수용부 145 : 연결부
150 : 연장대

Claims (10)

  1.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의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측이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걸림부;
    상기 제1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대에 밀착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상기 지지대 측으로 가압하는 커버; 및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180도, 120도, 90도 또는 평행하게 조절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롤러본체; 및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페인팅솔;을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본체는 내측에 중공부를 갖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단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롤러로 일직선으로 구비되는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로부터 직각으로 이루어진 제2단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개구 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내벽을 갖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본체;
    상기 손잡이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구비되는 홈부;
    상기 손잡이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손잡이본체의 타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에 결합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는 연장대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KR1020200082029A 2020-07-03 2020-07-03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KR10234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29A KR102344516B1 (ko) 2020-07-03 2020-07-03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29A KR102344516B1 (ko) 2020-07-03 2020-07-03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516B1 true KR102344516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29A KR102344516B1 (ko) 2020-07-03 2020-07-03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5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686A1 (en) * 2000-01-28 2002-03-07 Newman Robert D. Universal tool handle configured for various extension pole connectors
KR20020076566A (ko) * 2001-03-29 2002-10-11 최이철 페인트칠용 롤러
KR20110108812A (ko) 2010-03-30 2011-10-06 (주)칠칠공사 스프링이 부착된 페인트 도색용 이중 롤러
US20120272470A1 (en) * 2009-10-29 2012-11-01 Jose Antonio Gallardo Dual-roller paint roller
US20170036237A1 (en) * 2015-08-05 2017-02-09 Lehman D. Warner Paint 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686A1 (en) * 2000-01-28 2002-03-07 Newman Robert D. Universal tool handle configured for various extension pole connectors
KR20020076566A (ko) * 2001-03-29 2002-10-11 최이철 페인트칠용 롤러
US20120272470A1 (en) * 2009-10-29 2012-11-01 Jose Antonio Gallardo Dual-roller paint roller
KR20110108812A (ko) 2010-03-30 2011-10-06 (주)칠칠공사 스프링이 부착된 페인트 도색용 이중 롤러
US20170036237A1 (en) * 2015-08-05 2017-02-09 Lehman D. Warner Paint 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2422A (en) Hand tool with removable extension handle
US7854037B2 (en) Paint pad with adjustable handle
EP2585225B1 (en) Adjustable roller frame
US2824328A (en) Paint applying device
KR102344516B1 (ko)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이중 페인트 롤러
US3206788A (en) Adjustable taping knife
US4868946A (en) Adjustable roller frame
US20040111818A1 (en) Advanced paint rollers and connecting method
US7043793B2 (en) Adjustable frame for holding paint roller
KR101181101B1 (ko) 도료도장용 다중롤러
US2610582A (en) Design roller
US20070006414A1 (en) Scraper apparatus
US20040154119A1 (en) Liquid application tool with flexible arm
US20150196932A1 (en) Epoxy and Paint Roller
JP6457030B1 (ja) ローラ塗布具
US3540104A (en) Wall paper seam roller
KR200491912Y1 (ko) 붓모가 회동되는 페인트브러쉬
US8915209B2 (en) Paint roller with an end-surface blocking structure
KR200454726Y1 (ko) 도배용 롤러장치
CN211873726U (zh) 一种便捷式美缝施工器
CN104514359A (zh) 建筑装饰用曲面调节刷
US2765486A (en) Paint applying roller
US20170181589A1 (en) Squeegee and component of same
KR20150027663A (ko) 스토퍼를 갖는 이중 페인트 롤러
CN215054967U (zh) 一种改良型滚筒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