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485B1 -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Google Patents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4485B1 KR102344485B1 KR1020200139101A KR20200139101A KR102344485B1 KR 102344485 B1 KR102344485 B1 KR 102344485B1 KR 1020200139101 A KR1020200139101 A KR 1020200139101A KR 20200139101 A KR20200139101 A KR 20200139101A KR 102344485 B1 KR102344485 B1 KR 102344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ated carbon
- guide bar
- housing
- carbon layer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15—Beds in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4—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exchanging used adsorbents with fresh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트리지 유닛을 규격화 하여 흡착탑 내부에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카트리지 유닛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기밀성 등을 향상시켜 흡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개별 카트리지의 폐색여부 등이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활성탄흡착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tandardizes the cartridge unit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replaced inside the adsorption tower, and can improve the adsorption efficiency by improving airtightness and the like by firmly fixing the cartridge unit. It relates to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산업화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의 종류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분뇨 처리장, 오폐수 처리장 및 각종 공장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에는 황화수소(H2S), 머캅탄(R-SH), 암모니아(NH3) 및 아민류(RNH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이 있으며, 이들 악취가스들은 통상적으로 인체 흡입 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면에서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악취 처리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가스 처리 기술로는 크게 물리적 처리방법, 화학적 처리방법 및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분류된다.Due to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the emission of pollutants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types of these pollutants are also gradually diversifying. In particular, odorous gases generated from manure treatment plant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various factories include hydrogen sulfide (H 2 S), mercaptan (R-SH), ammonia (NH 3 ) and amines (RNH 2 ),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etc. In general, these odor gases cause a headache or discomfort when inhaled by the human body. Therefore, research for removing the odor gas from various fields is being conducted, and many odor treatment technologies are known accordingly. The odor gas treatment technology currently used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physical treatment method, a chemical treatment method, and a biological treatment method.
물리적 처리방법으로는 활성탄흡착탑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활성탄흡착탑은 다공의 활성탄을 내부에 충진하여 유입된 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물질을 활성탄에 흡착함으로써, 정화된 가스만을 흡착탑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As a physical treatment method,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is known, and such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is a device for discharging only purified gas to the outside of the adsorption tower by filling porous activated carbon inside and adsorbing odor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malodorous gas to the activated carbon.
한편, 아래 선행기술문헌에서 언급하고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323호에서는 가스를 정화하는 활성탄 흡착탑으로서, 활성탄 흡착탑의 외부에서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유동하는 유입로와, 유입로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활성탄층과, 유입로를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활성탄층과, 상부 활성탄층을 통과한 가스가 유동하는 상부 유동로와, 하부 활성탄층을 통과한 가스가 유동하는 하부 유동로와, 각 유동로들을 따라 유동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부 활성탄층은 유입로 상부에 첨착성 활성탄이 충진되고 첨착성 활성탄의 상부에 비첨착성 활성탄이 충진되며, 하부 활성탄층은 유입로 하부에 첨착성 활성탄이 충진되고 첨착성 활성탄의 하부에 비첨착성 활성탄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 흡착탑을 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No. 10-1130323 mention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s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for purifying gas, the inlet through which gas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and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lows an inflow path, an upper activated carbon layer located at the upper part with respect to the inflow path, a lower activated carbon layer located at a lower portion centering on the inflow path, an upp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upper activated carbon layer flows, and a lower activated carbon It includes a low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ed flows, and an outlet formed so that the gas flowing along each flow p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is prese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illed with non-impregnated activated carbon, the lower activated carbon layer is filled with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at the lower part of the inflow path, and non-impregnated activated carbon is fil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각각 활성탄층에 활성탄을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인건비 부담도 증가하게 되어 작업의 용이성이 저하되고 사용 중 부분폐색의 경우에도 전체 활성탄층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ology, each activated carbon must be put into the activated carbon layer. This operation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increases the labor cost burden, thereby reducing the ease of operation and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activated carbon layer even in case of partial occlusion during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의 조립에 의해 활성탄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고 유닛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기밀성 등을 향상시켜 흡착효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활성탄흡착탑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activated carbon layer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so that assembly and replacement are easy, and airtightness is improved by firm fixing of the unit to improve adsorption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본 발명의 조립형 활성탄흡착탑(이하, "본 발명의 흡착탑"이라함)은 일측에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상, 하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배출하는 상, 하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 하부에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구가 포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의 상, 하부로서 하배출구의 상부와 상배출구의 하부에 장착되며 각각 활성탄이 충진된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의 조립에 의해 각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활성탄층; 상기 하우징에서 각 활성탄층의 하부에 게재되어 각각 활성탄층이 하우징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장착이 되도록 하되 각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종지지대에 의해 상, 하로 이격을 형성하는 한쌍의 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각 링프레임을 연결하는 횡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ssemble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dsorption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through which gas flows from one side and upper and lower outlets for discharging the treated gas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let, respectively, and when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bar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re formed and a monitor sphere capable of monitoring the inside is inclu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An activated carbon layer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outlet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outlet as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in the housing, and having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each guide bar passes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each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A pair of ring frames that are placed under each activated carbon layer in the housing so that each activated carbon layer is mounted while forming a separation in the housing, but forming a vertical frame through which each guide bar pass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to form an upper and lower separation and a mounting frame including a transverse support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each ring frame.
하나의 예로 상기 카트리지 유닛은 조립시 장착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 하면이 개구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 하면에 구성되는 메쉬망과 상기 케이싱과 메쉬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활성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cartridge unit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mounting holes are formed when assembling, a casing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a mesh network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ing, and the casing and mesh network b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ctivated carbon that is filled in the formed internal space.
하나의 예로 상기 가이드바는 하면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중심가이드바와,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중심가이드바와 방사형으로 이격을 형성하며 형성되는 중간가이드바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외측가이드바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공이 각 가이드바에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는 복수의 요홈이 구성되어 각 카트리지 유닛은 조립시 전방향에서 각 가이드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guide bar includes a central guide bar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 intermediate guide bar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while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guide bar, and an outer guide bar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casing so that the mounting hole faces each guide bar, so that each cartridge unit is fixed by each guide bar in all directions when assembling.
하나의 예로 상기 중간가이드바의 상단 및 상기 중간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모니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장착공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중간가이드바 및 인접하는 수직프레임의 장착공에는 연결구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회전연동이 가능한 임펠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guide bar and a vertical frame through which the intermediate guide bar passe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onitor sphere, and a connector is mounted on the adjacent intermediate guide bar and the adjacent vertical frame mounting hole. ,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mpeller capable of rotational interlocking.
하나의 예로 상기 연결구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줄에 고정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서 회전연동을 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ng line and a fasten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e to be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a ring member fixed to the connecting line, and an impeller for rotational interlocking in the ring memb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성탄이 충진된 카트리지 유닛을 규격화함으로써 흡착탑 내부에 활성탄 카트리지 유닛의 배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arrangement and replacement of the activated carbon cartridge unit inside the adsorption tower by standardizing the cartridge unit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시 각 카트리지 유닛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기밀성을 향상시켜 흡착효율을 개선하고, 진동 등에 의해 활성탄의 깨짐, 소음, 기기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제어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each cartridge unit is firmly fixed during assembly to improve airtightness to improve adsorption efficiency, and to control problems such as cracking of activated carbon due to vibration, noise, and deterioration of device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각 카트리지 유닛의 폐색여부를 시각적으로 감별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intain and manage since it is possible to visually discriminate whether each cartridge unit is oc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흡착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활성탄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 카트리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장착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sorption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ed carbon laye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rtridge unit in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frame a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흡착탑(1)은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상기 유입구(21)의 상, 하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배출하는 상, 하배출구(22, 23)가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바(2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1)의 상, 하부에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구(25)가 포함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21)의 상, 하부로서 하배출구(23)의 상부와 상배출구(22)의 하부에 장착되며 각각 활성탄이 충진된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의 조립에 의해 각 가이드바(24)가 관통하는 장착공(32)이 형성되는 활성탄층(3); 상기 하우징(2)에서 각 활성탄층(3)의 하부에 게재되어 각각 활성탄층(3)이 하우징(2)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장착이 되도록 하되 각 가이드바(24)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41)과 복수의 종지지대(42)에 의해 상, 하로 이격을 형성하는 한쌍의 링프레임(43)과 상기 수직프레임(41)과 각 링프레임(43)을 연결하는 횡지지대(44)를 포함하는 장착프레임(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즉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 하부에 장착프레임(4)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4)의 상부에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을 조립시킴으로써 활성탄층(3)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활성탄층(3)의 상부에 다시 장착프레임(4)이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에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을 조립시킴으로써 활성탄층(3)이 형성도록 한 것으로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장착프레임(4)에 의해 이격을 형성하면서 상, 하로 장착된 활성탄층(3)을 통과하면서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정화 처리가 된 가스가 각각 상, 하배출구(22, 23)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활성탄층(3)이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폐색 등에 의해 부분적 교체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a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스가 수평하게 위치하여 활성탄이 충진된 활성탄층(3)을 통과함에 따라 각 활성탄층(3)의 전체적인 밀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가스가 활성탄층(3)의 어느 부위를 통과하더라도 악취물질 등 오염물질의 흡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y this structure, the gas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horizontally positioned so that the entire density of each activated
상기 하우징(2)은 일측에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 하로 배치된 활성탄층(3)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처리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각각 활성탄층(3)의 상부 및 하부에 구성되는 상, 하배출구(22, 23)가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하우징(2)에는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바(24)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바(24)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중심가이드바(241)와, 하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중심가이드바(241)와 방사형으로 이격을 형성하며 형성되는 중간가이드바(242)와 상기 하우징(2)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외측가이드바(243)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가이드바(24)가 중심가이드바(241), 중간가이드바(242) 및 외측가이드바(243)로 구성되는 이유는 장착프레임(4)이 하우징(2)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은 물론 상기 장착프레임(4) 상부에 활성탄층(3)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카트리지 유닛(31)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that the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흡착과정에서 고압의 가스에 의해 카트리지 유닛(31)에 진동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진동에 의해 기밀성이 저하, 활성탄깨짐, 소음, 피로응력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장착프레임(4)과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By configuring in this way,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상기 하우징(2)에는 상기 유입구(21)의 상, 하부에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구(25)가 포함되는데, 상기 모니터구(25)를 통해 카트리지 유닛(31)의 폐색 등 하자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즉 상기 모니터구(2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활성탄층(3)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활성탄층(3)의 하부에 구성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하자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모니터구(25)의 구성에 의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와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폐색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구(25)는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활성탄층(3)은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21)의 상, 하부로서 하배출구(23)의 상부와 상배출구(22)의 하부에 장착되는데 상기 장착프레임(4)에 의해 상기 활성탄층(3)이 상기 유입구(21)를 기준으로 상, 하로 장착이 되는 것이다. The activated
특히 상기 활성탄층(3)은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의 조립에 의해 각 가이드바(24)가 관통하는 장착공(32)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장착공(32)과 가이드바(24)의 연동으로 활성탄층(3)을 구성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이 조립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activated
상기 카트리지 유닛(31)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시 장착공(32)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요홈(311-1)이 형성되며 상, 하면이 개구된 케이싱(311)과, 상기 케이싱(311)의 개구된 상, 하면에 구성되는 메쉬망(312)과 상기 케이싱(311)과 메쉬망(3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활성탄(3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의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31)이 각각 측면이 접한 상태로 조립이 되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활성탄층(3)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카트리지 유닛(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요홈(311-1)에 의해 중심가이드바(241)가 삽입되는 장착공(32)이 형성되는 것이며 인접하는 카트리지 유닛(31)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요홈(311-1)에 의해 중간가이드바(242)가 삽입되는 장착공(32)이 형성되는 것이고 활성탄층(3)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유닛(31)의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311-1)에 외측가이드바(243)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1, the
이와 같이 구성되어 각 카트리지 유닛(31)은 하우징(2)에서 조립될 위치의 각 가이드바(242)에 각 요홈(311-1)이 대향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조립이 되도록 하는 것이고 해당 카트리지 유닛(31)의 폐색 등에 의한 교체시 반대로 해당 카트리지 유닛(31) 만을 슬라이드 시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카트리지 유닛(31)의 전 방향에서 각 가이드바(242)가 카트리지 유닛(31)을 잡아주게 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Constructed in this way, each
상기 장착프레임(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뼈대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에서 각 활성탄층(3)의 하부에 게재되어 각각 활성탄층(3)이 하우징(2)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장착이 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활성탄층(3)을 이루는 각 카트리지 유닛(31)이 조립되기 위한 베이스가 되며 가스의 유동로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상기 장착프레임(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가이드바(24)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41)과 복수의 종지지대(42)에 의해 상, 하로 이격을 형성하는 한쌍의 링프레임(43)과 상기 수직프레임(41)과 각 링프레임(43)을 연결하는 횡지지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수직프레임(41)은 각 가이드바(24) 즉 중심가이드바(241), 중간가이드바(242) 및 외측가이드바(243)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우징(2)에서 장착프레임(4)의 슬라이드에 의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장착시 장착프레임(4)이 하우징(2)에서 고정이 되도록 하여 운전시 진동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에서 기 언급한 문제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상기 수직프레임(4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가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중앙부에 중심가이드바(241)와 대향하는 수직프레임(411)과 상기 중간가이드바(242)에 대향하는 수직프레임(412)의 경우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가이드바(243)에 대향하는 수직프레임(413)의 경우 측면이 개구된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 대향하는 가이드바(24)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장착프레임(4)의 경우도 다방향에서 가이드바(24)에 삽입되어 하우징(2)에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
이러한 장착프레임(4)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활성탄층(3)이 이격을 형성하면서 하우징(2) 내부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베이스가 되는 것이며 도면상 활성탄층(3) 사이에 게재되는 장착프레임(4)은 하우징(2)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 하방향으로 각 활성탄층(3)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로의 기능을 하는 것이며 하부 활성탄층(3)과 하우징(2) 하면 사이에 게재되는 장착프레임(4)은 하부 활성탄층(3)을 거친 처리가스가 하배출구(23)로 유동하도록 하는 유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is mount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폐색유무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가 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lusion of each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가이드바(242)의 상단 및 상기 중간가이드바(242)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412)에는 상기 모니터구(2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체결공(242-1, 412-1)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중간가이드바(242) 및 인접하는 수직프레임(412)의 장착공(242-1, 412-1)에는 연결구(5)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5)에는 회전연동이 가능한 임펠러(54)가 포함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and 7 , in the upper end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흡착탑(1)의 상단부에 연결구(5)가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7은 하단부에 연결구(5)가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도 6에서 보면 조립시 상부의 활성탄층(3)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중간가이드바(242)에 체결공(242-1)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중간가이드바(242)에는 2개의 체결공(24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6 , a fastening hole 242-1 is formed in the
각각 인접하는 중간가이드바(242)에는 연결구(5)가 구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연결구(5)는 연결줄(51)과 상기 연결줄(51)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42-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52)와 상기 연결줄(51)에 고정되는 링부재(53)와 상기 링부재(53)에서 회전연동을 하는 임펠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adjacent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구(5)가 구성되는 바, 각 카트리지 유닛(31)을 통과한 가스가 상향하면서 상기 임펠러(54)를 타격하여 임펠러(54)가 회전연동이 되도록 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색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 카트리지 유닛(31-1)에서는 각 임펠러(54)가 회전연동이 되나 폐색이 발생된 비정상 카트리지 유닛(31-2)에서는 임펠러(54)가 회전하지 않거나 타 임펠러(54)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되는데 관리자 등은 모니터구(25)를 통해 이러한 임펠러(54)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카트리지 유닛(31)의 교체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또한 도 7에서 보면 조립시 하단부에 위치하는 장착프레임(4)에 있어 수직프레임(412)에는 체결공(412-1)이 형성되며, 이 경우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수직프레임(412)에는 2개의 체결공(41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fastening hole 412-1 is formed in the
본 실시예의 경우도 각각 인접하는 수직프레임(412)에는 연결구(5)가 구성되도록 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각 카트리지 유닛(3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구(5)가 구성되도록 한다. 각 카트리지 유닛(31)을 통과한 가스가 하향하면서 상기 임펠러(54)를 타격하여 임펠러(54)가 회전연동이 되도록 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색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 카트리지 유닛(31)에 대향하는 영역(4-1)에서는 각 임펠러(54)가 회전연동이 되나 폐색이 발생된 비정상 카트리지 유닛(31)에 대향하는 영역(4-2)에서는 임펠러(54)가 회전하지 않거나 타 임펠러(54)보다 느리게 회전하게 되는데 관리자 등은 모니터구(25)를 통해 이러한 임펠러(54)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카트리지 유닛(31)의 교체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well, th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본 발명 2 : 하우징
3 : 활성탄층 4 : 장착프레임
5 : 연결구1: present invention 2: housing
3: activated carbon layer 4: mounting frame
5: connector
Claims (5)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의 상, 하부로서 하배출구의 상부와 상배출구의 하부에 장착되며 각각 활성탄이 충진된 복수의 카트리지 유닛의 조립에 의해 각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활성탄층; 및
상기 하우징에서 각 활성탄층의 하부에 게재되어 각각 활성탄층이 하우징에 이격을 형성하면서 장착이 되도록 하되, 각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형상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종지지대에 의해 상, 하로 이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각 링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횡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하면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중심가이드바와, 하면에서 상기 중심가이드바를 중심으로 이격을 형성하면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중간가이드바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바로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유닛은,
조립시 장착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 하면이 개구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상, 하면에 구성되는 메쉬망 및 상기 케이싱과 메쉬망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활성탄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공이 각 중심가이드바와 중간가이드바 및 외측가이드바에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복수의 요홈이 구성되어, 각 카트리지 유닛이 조립시 전방향에서 각 가이드바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활성탄층에 있어 가스의 유출측에서 연결구가 각각 카트리지 유닛에 대향하도록 상부의 활성탄층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중간가이드바의 상단 및 하단부에 위치하는 장착프레임에 있어 상기 중간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모니터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며, 인접하는 중간가이드바 및 인접하는 수직프레임의 체결공 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구가 장착되되,
상기 연결구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줄에 고정되는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에서 회전연동을 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각 활성탄층의 각 카트리지 유닛을 통과한 가스가 상향 또는 하향하면서 상기 연결구의 임펠러를 타격함에 따라 임펠러가 회전연동 되는 것을 통해, 각 카트리지 유닛에 대향하는 영역에서 카트리지 유닛의 이상유무가 시각적으로 모니터구를 통해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활성탄흡착탑. An inlet through which gas is introduced from one side and upper and lower outlets for discharging the treated gas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are respectively formed, and a plurality of guide bar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from the inside are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is formed. , A housing including a monitor sphere that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to visually monitor the inside;
An activated carbon layer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outlet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outlet as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in the housing, and having mounting holes through which each guide bar passes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artridge units each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and
In the housing, it is placed under each activated carbon layer so that each activated carbon layer is mounted while forming a separation in the housing, and a tubular vertical frame through which each guide bar passes,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upports to form a vertical separation up and down A pair of ring frames and a mounting frame including a lateral support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each ring frame;
The guide bar is
It consists of a center guide bar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 intermediate guide bar protruding radially while forming a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guide bar from the lower surface, and an outer guide ba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The cartridge unit,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so as to form a mounting hole, and a casing with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a mesh network configured on the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ing, and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asing and the mesh network are filled. It is composed of activated carb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casing so that the mounting hole faces each of the central guide bar, the intermediate guide bar, and the outer guide bar, and each cartridge unit is fixed by each guide bar in all directions when assembling,
In the mounting frame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guide bar exposed through the upper activated carbon layer so that the connector on the outflow side of the gas faces the cartridge unit, respectively, in the activated carbon layer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middle In the vertical frame through which the guide bar passes, each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onitor sphere, and the connector is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intermediate guide bar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adjacent vertical frame,
The connector is
Including a connecting line, a fastening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e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a ring member fixed to the connecting line, and an impeller for rotational interlocking in the ring member,
As the gas passing through each cartridge unit of each activated carbon layer hits the impeller of the connector upward or downward while the impeller is rotationally interlock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cartridge unit in the area opposite to each cartridge unit is visually monitored Prefabricate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tected 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101A KR102344485B1 (en) | 2020-10-26 | 2020-10-26 |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101A KR102344485B1 (en) | 2020-10-26 | 2020-10-26 |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4485B1 true KR102344485B1 (en) | 2021-12-29 |
Family
ID=7917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9101A KR102344485B1 (en) | 2020-10-26 | 2020-10-26 |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448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717872A (en) * | 2024-02-07 | 2024-03-19 | 佛山市天地元一净化设备有限公司 | Constant-current high-pressure adsorption machine |
CN118454410A (en) * | 2024-07-15 | 2024-08-09 | 广东优气科技有限公司 | Industrial gas uniform distribu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0358A (en) * | 2003-08-22 | 2005-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tector for identifying residual life time of absorbent, gas scrubber comprising the detector and method of identifying residual life time of absorbent |
KR101130323B1 (en) | 2011-12-28 | 2012-03-26 | 코오롱아로마트릭스(주) | Activated carbon tower |
KR101996939B1 (en) * | 2018-07-25 | 2019-10-01 | 코오롱환경에너지 주식회사 | Cartridge 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
2020
- 2020-10-26 KR KR1020200139101A patent/KR1023444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0358A (en) * | 2003-08-22 | 2005-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tector for identifying residual life time of absorbent, gas scrubber comprising the detector and method of identifying residual life time of absorbent |
KR101130323B1 (en) | 2011-12-28 | 2012-03-26 | 코오롱아로마트릭스(주) | Activated carbon tower |
KR101996939B1 (en) * | 2018-07-25 | 2019-10-01 | 코오롱환경에너지 주식회사 | Cartridge 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717872A (en) * | 2024-02-07 | 2024-03-19 | 佛山市天地元一净化设备有限公司 | Constant-current high-pressure adsorption machine |
CN117717872B (en) * | 2024-02-07 | 2024-05-14 | 佛山市天地元一净化设备有限公司 | Constant-current high-pressure adsorption machi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CN118454410A (en) * | 2024-07-15 | 2024-08-09 | 广东优气科技有限公司 | Industrial gas uniform distribu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4485B1 (en) | Assemblabl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
KR102082026B1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160139799A (en)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of wet type | |
KR20160132760A (en) | Fluid treatment module and assembly | |
JP2016152899A (en) | Photocatalyst device | |
KR101130323B1 (en) | Activated carbon tower | |
KR101996939B1 (en) | Cartridge typ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 |
US7264720B2 (en) | Pool filter with a pre-filtering unit | |
JP2018534128A (en) | Osmotic filter | |
KR200405389Y1 (en) | Water purifying multi-filter assembly | |
KR102165847B1 (en) | 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 |
CN109453833A (en) | Life support system device in a kind of bio-safety | |
CN113825557B (en) | Filter assembly | |
CN113375244A (en) | Self-circulation purifies new trend management system's toilet | |
WO2018170114A1 (en) | Combination fluid and gas filter | |
KR101985292B1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with filter automatic cleaning function | |
KR102337974B1 (en) | Small-scale exhaust gas control method and device | |
KR102483976B1 (en) | Dry scrubber type biogas treatment system with removable/attachable | |
KR101476998B1 (en) | Photocatalytic purifying apparatus | |
KR102527858B1 (en) | Air cleaner using water | |
KR100900534B1 (en) | Fine filtering apparatus | |
KR101361672B1 (en) | Easy to install waste water processing filtration device | |
KR20200024008A (en) | Apparatus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JP2003275506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filter | |
KR101950154B1 (en) | cleaning type nano cerafilt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0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02 Effective date: 20211119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