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118B1 -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118B1
KR102344118B1 KR1020210086754A KR20210086754A KR102344118B1 KR 102344118 B1 KR102344118 B1 KR 102344118B1 KR 1020210086754 A KR1020210086754 A KR 1020210086754A KR 20210086754 A KR20210086754 A KR 20210086754A KR 102344118 B1 KR102344118 B1 KR 10234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act
contract
electronic
smartphon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석
Original Assignee
(주)코아메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메소드 filed Critical (주)코아메소드
Priority to KR102021008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계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접근을 사용자 인증하는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전자 계약의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구성하여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고, 높아진 정보 보안성으로 인해 각 분야에 적용되는 전자 계약의 활용도를 높인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BLOCKCHAIN ELECTRONIC CONTRACT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계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의 접근을 사용자 인증하는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전자 계약의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구성하여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고, 높아진 정보 보안성으로 인해 각 분야에 적용되는 전자 계약의 활용도를 높인다.
본 발명 블록체인 전자계약 시스템에 관련된 종래 기술을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계약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계약 기능 수행 과정 중 중요 진행 상황이 발생한 시점 및 위치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기록하여 관리함으로써, 전자 계약 문서의 위변조 및 명의 도용을 원천 차단하고, 계약 당사자 간에 상호 신뢰를 형성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특정조건을 충족하는 트랜잭션에 한하여 블록체인의 합의가 끝나기 전에 보장거래 사용자에게 트랜잭션이 최종적으로 통화하였음을 신속히 통보한다.
그러나 종래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전자 계약을 요청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보안이 강하지 않아서 전자 계약 시스템에 접근하는 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이 허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1122호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659호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0745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0287호 종료 조건을 가진 복제가능 스마트 계약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자 계약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고,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해서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계약 클라이언트가 탑재된 단말기, 스마트폰, 서버로 이루어진 전자 계약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스마트폰이 서버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하여 단말기와 스마트폰이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스마트폰(10a) 또는 컴퓨터(10b)를 포함하고, 전자 계약을 실행하고, 실행된 전자 계약을 분산 합의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말기(10);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고, 분산 합의 네트워크로, 다수의 서버(100)가 네트워크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전자 계약을 블록으로 구성하고 체인으로 연결하는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유효성 검증, 가상 화폐 이체 조건, 시세 정보, 표준 화폐, 암호화, 전자 서명 정보, P2P 외환 직거래 중개, 특정 금액에 대응되는 프라이빗 토큰, 트랙잭션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계약은, 매매계약, 금전계약, 전세계약, 임대차계약, 근로계약, 물품공급계약, 협업계약, 용역계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a)은,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0a)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10a)으로부터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a)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스마트폰(10a)의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10a)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프로그램(PG), 데이터베이스(DB)로 이루어져, 전자 계약에 따른 사용자 등록, 로그인, 신청 정보, 트랜잭션, 거래 승인, 거래 승인 정보, 네트워크 등록,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계약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10)가 전자 계약(202)을 주문하고, 전자 계약(203)이 모든 단말기(10)에게 전송되고, 모든 단말기(10)는 전자 계약(204) 블록에 대하여 유효성을 검증하고, 기존 블록체인에 새로운 전자 계약(206)을 추가하고, 단말기(10)는 전자 계약(206)에 따른 비용(207)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함으로써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전자 계약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자 계약 시스템에 접근하는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해서 전자 계약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는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는 각종 계약을 포함하는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고, 전자 계약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단말기 또는 서버에 탑재되어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 계약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서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계약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계약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 계약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단말기(10), 스마트폰(10a), 컴퓨터(10b), 서버(1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고, 분산 합의 네트워크이다. 분산 합의 네트워크는 다수의 서버(100)가 네트워크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전자 계약을 블록으로 구성하고 체인으로 연결한다.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구성하는 시스템이 블록체인 시스템이다. 서버(100)는 전자 계약을 블록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10)는 스마트폰(10a) 또는 컴퓨터(10b)를 포함하고, 전자 계약을 실행하고, 실행된 전자 계약을 분산 합의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유효성 검증, 가상 화폐 이체 조건, 시세 정보, 표준 화폐, 암호화, 전자 서명 정보, P2P 외환 직거래 중개, 특정 금액에 대응되는 프라이빗 토큰, 트랙잭션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트랙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이다.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자 계약에 반영하고,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한다. 전자 계약은 매매계약, 금전계약, 전세계약, 임대차계약, 근로계약, 물품공급계약, 협업계약, 용역계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서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스마트폰(10a), 통신망(50), 서버(10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a)은 단말기(10)로, 전자 계약을 실행하고, 실행된 전자 계약을 분산 합의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한다.
스마트폰(10a)은 스마트폰(10a)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1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스마트폰(10a)은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하고, 서버(100)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0a)은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서버(100)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0a)은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a)에 탑재된 전자계약 시스템의 인증을 서버(100)에 요청한다. 스마트폰(10a)의 킷값은 스마트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50)은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서버(100)는 스마트폰(10a)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스마트폰(10a)으로부터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10a)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스마트폰(10a)의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서버(100)는 인증 결과를 스마트폰(10a)로 전송하여 전자 계약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전자 계약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스마트폰(50)은 단말기(10)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서버(60)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스마트폰(5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10)에는 전자 계약 시스템이 탑재되고, 스마트폰(50)은 인증 수단이 된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계약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전자 계약(104)을 분산 합의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시스템의 서버(102)에 저장한다. 서버(102)는 전자 계약(104)을 서로 데이터 통신하여 개개의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서버(100)는 저장 매체의 전자 계약(104)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서버(100)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효성 검증, 가상 화폐 이체 조건, 시세 정보, 표준 화폐, 암호화, 전자 서명 정보, P2P 외환 직거래 중개, 특정 금액에 대응되는 프라이빗 토큰, 트랙잭션을 관리한다. 트랙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이다.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 계약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전자 계약은 매매계약, 금전계약, 전세계약, 임대차계약, 근로계약, 물품공급계약, 협업계약, 용역계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각종 계약을 포함하는 전자 계약의 정보 보안성을 높이고, 전자 계약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자 계약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단말기(10), 운영자 단말기(90), 서버(60)를 포함한다.
서버(60)는 프로그램(PG), 데이터베이스(DB)로 이루어져, 전자 계약에 따른 사용자 등록, 로그인, 신청 정보, 트랜잭션, 거래 승인, 거래 승인 정보, 네트워크 등록, 결제 정보를 처리한다.
사용자 등록은 전자 계약을 실행하는 단말기(10)에 대응한 사용자를 등록하고, 로그인은 단말기(10)의 로그인이고, 신청 정보는 전자 계약의 신청 정보이고, 트랜잭션은 전자 계약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이고, 거래 승인은 전자 계약의 승인이고, 거래 승인 정보는 전자 계약의 승인 정보이고, 네트워크 등록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서버 등록이고, 결제 정보는 전자 계약의 결제 정보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 계약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사용자(201)가 전자 계약(202)을 주문하고, 전자 계약(203)이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모든 사용자는 전자 계약(204) 블록에 대하여 유효성을 검증하고, 기존 블록체인에 새로운 전자 계약(206)을 추가하고, 사용자(201)는 전자 계약(206)에 따른 비용(207)을 지급한다.
전자 계약(203~206)은 매매계약, 금전계약, 전세계약, 임대차계약, 근로계약, 물품공급계약, 협업계약, 용역계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은 단말기(10) 또는 서버(100)에 탑재되어 전자 계약(202)을 블록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 계약(202)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단말기
10a: 스마트폰
10b: 컴퓨터
50: 통신망
100: 서버
102: 서버
104: 전자 계약
201: 단말기
202~204, 206: 전자 계약
205: 기존 블록체인
207: 비용

Claims (6)

  1. 스마트폰(10a) 또는 컴퓨터(10b)를 포함하고, 전자 계약을 실행하고, 실행된 전자 계약을 분산 합의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말기(10);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고, 분산 합의 네트워크로, 다수의 서버(100)가 네트워크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전자 계약을 블록으로 구성하고 체인으로 연결하는 서버(10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10a)은,
    상기 스마트폰(10a)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1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0a)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10a)으로부터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a)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스마트폰(10a)의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10a)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계약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상기 전자계약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스마트폰(10a)은 단말기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서버(100)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스마트폰(10a)을 이용한 인증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유효성 검증, 가상 화폐 이체 조건, 시세 정보, 표준 화폐, 암호화, 전자 서명 정보, P2P 외환 직거래 중개, 특정 금액에 대응되는 프라이빗 토큰, 트랙잭션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고,
    상기 전자 계약은,
    매매계약, 금전계약, 전세계약, 임대차계약, 근로계약, 물품공급계약, 협업계약, 용역계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100)는,
    프로그램(PG), 데이터베이스(DB)로 이루어져, 전자 계약에 따른 사용자 등록, 로그인, 신청 정보, 트랜잭션, 거래 승인, 거래 승인 정보, 네트워크 등록, 결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전자 계약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10)가 전자 계약(202)을 주문하고, 전자 계약(203)이 모든 단말기(10)에게 전송되고, 모든 단말기(10)는 전자 계약(204) 블록에 대하여 유효성을 검증하고, 기존 블록체인에 새로운 전자 계약(206)을 추가하고, 단말기(10)는 전자 계약(206)에 따른 비용(207)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86754A 2021-07-01 2021-07-01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KR10234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54A KR102344118B1 (ko) 2021-07-01 2021-07-01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54A KR102344118B1 (ko) 2021-07-01 2021-07-01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118B1 true KR102344118B1 (ko) 2021-12-29

Family

ID=7917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754A KR102344118B1 (ko) 2021-07-01 2021-07-01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1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287A (ko) 2017-05-22 2020-01-30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종료 조건을 가진 복제가능 스마트 계약
KR20200057659A (ko) 2018-11-16 2020-05-2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159431B1 (ko) * 2018-10-12 2020-09-23 엠지신용정보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11122A (ko)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국민랩스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0745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어뎁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287A (ko) 2017-05-22 2020-01-30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종료 조건을 가진 복제가능 스마트 계약
KR102159431B1 (ko) * 2018-10-12 2020-09-23 엠지신용정보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57659A (ko) 2018-11-16 2020-05-2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11122A (ko)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국민랩스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0745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어뎁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0621B2 (en) System to enable contactless access to a transaction terminal using a process data network
US10853468B2 (en) Applications login using a mechanism relating sub-tokens to the quality of a master token
KR10204191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분할 및 분산저장 방법
AU2022200068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ling session transactions
KR10241473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 관리 방법
US10621577B2 (en) Controlling access to data
US9378491B1 (en) Payment transfer by sending E-mail
US202100140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authentic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CN108092778B (zh) 基于数字货币钱包查询关联账户的方法和系统
US202100495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visioning tokens associated with digital identities
KR20220093198A (ko) 전용 및 개방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거래의 수행
KR20200002015A (ko) 다중 서명 보안 계정 제어 시스템
US201900817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dentity
KR2021005916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CN109413203A (zh) 一种交易数据获取方法及装置
US10867326B2 (en) Reputation system and method
US10440020B1 (en) Biometric one touch system
KR102344118B1 (ko) 블록체인 전자 계약 시스템
CN110956461A (zh) 一种托管电子签名与验证的方法及系统
TWI831731B (zh) 多重驗證任務整合系統及方法
TWI817807B (zh) 任務整合系統及方法
TWI818679B (zh) 非同質化代幣登入驗證系統及其方法
WO20192092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universal decentralized solution for verification of users with cross-verification features
CN106664313A (zh) 认证中心的系统或方法
KR10217139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원리금 수취증서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