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831B1 -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 Google Patents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831B1
KR102343831B1 KR1020200098025A KR20200098025A KR102343831B1 KR 102343831 B1 KR102343831 B1 KR 102343831B1 KR 1020200098025 A KR1020200098025 A KR 1020200098025A KR 20200098025 A KR20200098025 A KR 20200098025A KR 102343831 B1 KR102343831 B1 KR 10234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groove
neck
elastic shee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김정수
서병준
김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20009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에 관한 것이다. 상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와 목을 받치며, 유아의 목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상부 홈을 갖는다. 하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탄성시트를 받치며, 상부 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상부 홈보다 넓은 가로 폭으로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하부 홈을 갖는다. 커버는 상,하부 탄성시트 간에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상,부 탄성시트를 수용한다.

Description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Pillow that helps prevent congenital fever and create a bulging head according to the stage of infant growth}
본 발명은 유아를 위해 사용되는 베개에 관한 기술이다.
아기가 태어날 때는 척추 전체가 목부터 꼬리뼈까지 하나의 둥근 커브를 이룬다. 아기가 목을 가누기 시작하면서 경추 전만이 생기고 좀더 커서 앉고 서고 걸을 수 있게 되면 요추 전만이 생긴다. 따라서, 신생아는 경추 전만이 없고 목을 가누기 시작하면서 전만이 시작되기 때문에, 그 전에 경추 부분이 있으면 유아의 경추에 무리를 줄 수 있다.
기존의 유아용 베개들은 유아의 성장 단계에 맞추지 않고 경추를 받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신생아는 처음에 목이 일자 형태를 띄고 있으며, 목을 가누기 시작하면서 경추 전만이 생기기 때문에, 기존 유아용 베개를 사용할 경우 유아의 경추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적절한 경추 받침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유아의 경추를 무리 없이 받칠 수 있게 하고, 유아의 태열 관리에 도움을 주며, 유아의 머리 모양을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는 상부 탄성시트와, 하부 탄성시트, 및 커버를 포함한다. 상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와 목을 받치며, 유아의 목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상부 홈을 갖는다. 하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탄성시트를 받치며, 상부 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상부 홈보다 넓은 가로 폭으로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하부 홈을 갖는다. 커버는 상,하부 탄성시트 간에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상,부 탄성시트를 수용한다.
여기서, 하부 홈의 가로 폭은 10~18㎝로 설정될 수 있다. 상부 홈의 가로 폭은 2~10㎝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는 상부 탄성시트와, 하부 탄성시트와, 탄성 삽입물, 및 커버를 포함한다. 상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와 목을 받치며, 유아의 목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상부 홈을 갖는다. 하부 탄성시트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탄성시트를 받치며, 상부 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하부 홈을 갖는다. 탄성 삽입물은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고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하부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유아의 목을 받친다. 커버는 상,하부 탄성시트 간에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상,부 탄성시트를 수용한다.
여기서, 탄성 삽입물은 높이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열 짱구 베개는 신생아의 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신생아의 경추에 무리를 주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열 짱구 베개는 신생아의 태열을 내리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신생아의 머리 모양을 짱구 모양으로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열 짱구 베개는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탄성 삽입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유아의 경추를 무리 없이 받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하부 탄성시트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하부 탄성시트에 탄성 삽입물을 삽입해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하부 탄성시트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하부 탄성시트에 탄성 삽입물을 삽입해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100)는 상부 탄성시트(110)와, 하부 탄성시트(120),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부 탄성시트(110)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와 목을 받친다. 즉, 상부 탄성시트(110)는 점성과 탄성을 모두 가지며, 통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탄성시트(110)는 유아의 수면 중 머리의 체열과 땀을 통공 구조의 에어펌핑 효과와 우수한 통기성으로 습기, 땀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온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태열을 잘 내리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부 탄성시트(110)는 유아의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함으로써, 유아의 머리 모양을 짱구 모양으로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부 탄성시트(110)는 유아의 목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상부 홈(110a)을 갖는다. 상부 홈(110a)은 유아의 목 중앙 부분에 빈 공간을 제공한 상태로 좌우 주변(110b)이 유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부 홈(110a)은 유아의 목 쪽에 가까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가로 폭으로 절개될 수 있다. 상부 홈(110a)의 가로 폭이 넓어질수록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유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치는 지지력이 작아지고, 상부 홈(110a)의 가로 폭이 좁아질수록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유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홈(110a)의 가로 폭은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적정한 지지력을 갖도록 2~10㎝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부 홈(110a)은 유아의 머리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가로 폭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홈(110a)의 세로 길이는 대략 상부 탄성시트(110)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해 대략 절반 정도로 설정됨으로써, 상부 홈(110a)의 주변에 유아의 목과 함께 뒤통수를 일부 받칠 수도 있다.
하부 탄성시트(120)는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탄성시트(110)를 받친다. 따라서, 하부 탄성시트(120)는 상부 탄성시트(110)와 마찬가지로, 유아의 태열을 잘 내리는데 도움을 주고, 유아의 머리 모양을 짱구 모양으로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부 탄성시트(120)는 상부 홈(110a)과 대응되는 영역에 상부 홈(110a)보다 넓은 가로 폭으로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하부 홈(120a)을 갖는다. 하부 홈(120a)은 상부 홈(110a) 쪽에 유아의 목이 뉘어질 때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구부러질 수 있는 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 탄성시트(110)는 하부 탄성시트(120)의 하부 홈(120a)보다 가로 폭이 좁은 상부 홈(110a)을 가짐으로써,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각각 외팔보 형태로 하부 홈(120a) 내로 구부러질 수 있다.
하부 홈(120a)은 유아의 목 쪽에 가까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가로 폭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하부 홈(120a)의 가로 폭이 넓어질수록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구부러지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유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치는 지지력이 작아지고, 하부 홈(120a)의 가로 폭이 좁아질수록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구부러지는 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유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치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 홈(120a)의 가로 폭은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적정한 지지력을 갖도록 10~18㎝로 설정될 수 있다.
하부 탄성시트(120)는 외곽 부위가 상부 탄성시트(110)의 외곽 부위와 일치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부 탄성시트(110)를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받칠 수 있다. 하부 탄성시트(120)가 상부 탄성시트(110)를 정위치시켜 적층한 상태에서, 하부 홈(120a)은 좌우 중앙이 상부 홈(110a)의 좌우 중앙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이 각각 대칭되어 동일한 면적으로 하부 홈(120a) 내로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상부 홈(110a)이 유아의 머리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가로 폭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 홈(120a)도 상부 홈(110a)의 가로 폭 변화와 동일한 가로 폭 변화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을 일정한 가로 폭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하부 홈(120a)의 세로 길이는 상부 홈(110a)의 세로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커버(130)는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 간에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상,부 탄성시트(110, 120)를 수용한다. 커버(130)는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를 적층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상부 홈(110a)과 하부 홈(120a)을 정렬시켜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상,부 탄성시트(110, 120)를 함께 덮어서 보호한다.
커버(130)는 내부 공간이 칸막이(131)로 구획될 수 있다. 커버(130)는 칸막이(131)로 구획된 공간들에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를 개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 간에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여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의 정렬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상부 홈(110a)과 대응되는 부위(130a)가 옴폭하게 들어간 형태를 이루어 상부 홈(110a)의 외곽을 따라 칸막이(131)와 재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홈(110a)의 위치가 쉽게 식별될 수 있고, 유아의 목이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에 편안하게 뉘어질 수 있다.
커버(130)는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에 대해 손쉽게 씌워지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지퍼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30)는 방수성과 통기성을 갖는 원단, 예컨대 아쿠아(aqua) 원단, 메쉬 원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태열 짱구 베개(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가 신생아인 경우, 사용자가 신생아의 머리를 태열 짱구 베개(100)의 상면에 눕힌다. 그에 따라, 신생아의 목이 상부 탄성시트(110)의 상부 홈(110a) 쪽에 놓이면, 상부 홈(110a)의 좌우 주변(110b)이 신생아의 목 좌우 부분을 받치면서 하부 탄성시트(120)의 하부 홈(120a) 내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신생아의 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어 신생아의 경추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신생아가 태열 짱구 베개(100)에 뉘어진 상태에서,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는 신생아의 목과 뒤통수에 통기성을 부여해서 태열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고, 신생아의 뒤통수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신생아의 머리 모양을 짱구 모양으로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한편,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100)는 탄성 삽입물(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삽입물(140)은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삽입물(140)은 상,하부 탄성시트(110, 120)와 마찬가지로, 유아의 태열을 잘 내리는데 도움을 주고, 유아의 머리 모양을 짱구 모양으로 예쁘게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삽입물(140)은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하부 홈(120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유아의 목을 받친다. 태열 짱구 베개(100)는 유아가 목을 가누고 앉을 때까지는 하부 홈(120a)에 탄성 삽입물(14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된다. 태열 짱구 베개(100)는 유아의 경추 전만이 시작되고 나서는 하부 홈(120a)에 탄성 삽입물(140)을 삽입해서 유아의 경추를 받쳐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태열 짱구 베개(100)는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하부 홈(120a)에 탄성 삽입물(140)을 선택적으로 삽입해서 적절한 높이로 유아의 경추를 무리 없이 받칠 수 있게 한다.
탄성 삽입물(140)은 하부 홈(120a)의 가로 폭과 동일한 가로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삽입물(140)은 하부 홈(120a)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되게 좌우 지지될 수 있다. 하부 홈(120a)은 상부 홈(110a)보다 넓은 가로 폭을 갖고 탄성 삽입물(140)을 삽입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부 홈(110a)과 동일한 가로 폭을 갖고 탄성 삽입물(140)을 삽입할 수도 있다.
탄성 삽입물(140)은 높이가 1~5㎝로 설정될 수 있다. 하부 홈(120a)의 깊이는 탄성 삽입물(140)의 높이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탄성 삽입물(140)은 1~5㎝의 범위에서 높이가 다른 여러 개로 구성되어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부 홈(120a)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커버(130)는 하부 홈(120a)의 개구에 대응되는 부위에 출입구(130b)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30)의 출입구(130b)를 통해 탄성 삽입물(140)을 하부 홈(120a)에 대해 손쉽게 넣거나 빼낼 수 있다. 커버(130)의 출입구(130b)는 단추나 지퍼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탄성시트(110)는 제1 시트부(111)와, 제2 시트부(112), 및 보강 리브(11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부(111)는 제1 통공(111a)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제1 격벽(111b)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제1 통공(111a)들은 육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격벽(111b)의 두께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공(111a)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2 시트부(112)는 제2 통공(112a)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제2 격벽(112b)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제2 통공(112a)들은 육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격벽(112b)의 두께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공(112a)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2 격벽(112b)은 상단 두께가 하단 두께보다 얇아짐으로 인해, 접촉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제2 시트부(112)는 제2 통공(112a)들의 각 중심이 제1 통공(111a)들의 각 중심과 일치하도록 제1 시트부(111) 상에 적층된다. 제2 시트부(112)는 제1 시트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탄성시트(110)는 제2 통공(112a)들과 제1 통공(111a)들에 의해 2중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취하여 통기성을 가짐과 아울러, 압력 분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공(112a)들과 제1 통공(111a)의 크기는 사출 성형 가능한 범주에서 최소화됨으로써, 압력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보강 리브(113)들은 제2 통공(112a)과 제1 통공(111a)의 경계 부위마다 형성된다. 보강 리브(113)는 제2 격벽(112b) 및 제1 격벽(111b)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부 탄성시트(110)를 보강한다. 보강 리브(113)는 3개의 일자형 리브들이 중앙에서 교차해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 리브(113)의 6개의 단들은 제2 격벽(112b)과 제1 격벽(111b)의 경계 부위에 있는 6개의 모서리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보강 리브(113)의 각 리브 폭은 제2 격벽(112b) 및 제1 격벽(111b)의 각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부 탄성시트(110)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탄성 재질의 조성물은 폴리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공중합한 공중합체와 오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폴리머는 삼블럭(triblock) 구조이다. 폴리스티렌계 폴리머는 SEBS(styrene-(ethylene/buthylene)-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SE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 polystyrene)일 수 있다. 따라서, 폴리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공중합한 공중합체는 PP-SEBS일 수 있다.
오일의 함량이 적을수록 경도(Shore A)가 상승함으로써 제압분산의 효과가 떨어지고 수축률이 매우 커져 사출시 이젝팅(ejecting)이 매우 어렵고, 오일의 함량이 많을수록 오일과 공중합체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사출이 불가능하며, 혹시 사출이 된다 하더라도 사용시 오일 블루밍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일의 함량은 최적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오일 블루밍을 제거하고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식 실리카 또는 습식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건식 실리카로는 흄드실리카(Fumed Silica)가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성형시 가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열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모노- 및 디-노닐페닐의 혼합)포스파이트와 같은 유기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디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포스포네이트류로 이루어지거나, 트리메틸포스페이트와 같은 포스페이트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은 방향유 및 항균제를 포함하여, 아로마테라피 및 항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방향유는 라벤더, 그레이프 프루트, 유칼립투스, 로즈메리, 페퍼민트 및 일랑일랑(Ylang-Yla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항균제는 유기 항균제 또는 무기 항균제일 수 있다. 유기 항균제는 징크 비스(Zinc bis: 2-pyridinethiol-1-oxid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상부 탄성시트
110a..상부 홈
120..하부 탄성시트
120a..하부 홈
130..커버
131..칸막이
140..탄성 삽입물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와 목을 받치며, 유아의 목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상부 홈을 갖는 상부 탄성시트;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탄성시트를 받치며, 상기 상부 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하부 홈을 갖는 하부 탄성시트;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되고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 상기 하부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유아의 목을 받치는 탄성 삽입물; 및
    상기 상,하부 탄성시트 간에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 탄성시트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홈은 유아의 목 쪽에 가까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가로 폭으로 절개되며;
    상기 하부 홈은 상기 상부 홈보다 넓은 가로 폭을 가지며, 상기 하부 탄성시트가 상기 상부 탄성시트를 정위치시켜 적층한 상태에서 좌우 중앙이 상기 상부 홈의 좌우 중앙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홈의 좌우 주변이 각각 대칭되어 동일한 면적으로 내부 공간으로 구부러지게 하며;
    상기 탄성 삽입물은 상기 하부 홈의 가로 폭과 동일한 가로 폭을 가지며, 상기 하부 홈의 깊이 범위에서 높이가 다른 여러 개로 구성되어 유아의 경추 발달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 홈에 삽입되어 사용되며;
    상기 커버는 내부 공간이 칸막이로 구획되어 구획된 공간들에 상기 상,하부 탄성시트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상부 홈과 대응되는 부위가 옴폭하게 들어간 형태를 이루어 상기 상부 홈의 외곽을 따라 상기 칸막이와 재봉되며, 상기 하부 홈의 개구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탄성 삽입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5. 삭제
KR1020200098025A 2020-08-05 2020-08-05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KR10234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25A KR102343831B1 (ko) 2020-08-05 2020-08-05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25A KR102343831B1 (ko) 2020-08-05 2020-08-05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831B1 true KR102343831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25A KR102343831B1 (ko) 2020-08-05 2020-08-05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8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71Y1 (ko) * 2015-08-27 2016-10-05 홍영순 기능성 베개
CN206822446U (zh) * 2017-01-24 2018-01-02 陈宝珠 一种3d婴儿枕头
KR20190045320A (ko) * 2016-09-21 2019-05-02 퍼플 이노베이션, 엘엘씨 변형 가능한 벽 부재들을 구비하는 젤라틴 엘라스토머 쿠션을 포함하는 베개 및 관련된 방법들
KR20190123407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불스원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71Y1 (ko) * 2015-08-27 2016-10-05 홍영순 기능성 베개
KR20190045320A (ko) * 2016-09-21 2019-05-02 퍼플 이노베이션, 엘엘씨 변형 가능한 벽 부재들을 구비하는 젤라틴 엘라스토머 쿠션을 포함하는 베개 및 관련된 방법들
CN206822446U (zh) * 2017-01-24 2018-01-02 陈宝珠 一种3d婴儿枕头
KR20190123407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불스원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1179B2 (ja) 変形可能な壁部材を有するゼラチン状エラストマークッションを含んでいる枕及び関連の方法
KR102173497B1 (ko) 골반 시트
KR102048081B1 (ko) 기능성 베개
KR102343831B1 (ko)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태열 짱구 베개
KR20210122255A (ko) 베딩 시스템
CN211154943U (zh) 功能性枕头
CN110558794A (zh) 功能性枕头
KR102416037B1 (ko) 목과 머리받침이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베개
KR102020361B1 (ko) 기능성 베개
WO2020022793A1 (ko) 룸바 쿠션
KR102398625B1 (ko) 유아 성장 단계에 맞춘 베개
US11019945B2 (en) Side sleeper pillows having vented earhole features
CN209629212U (zh) 骨盆坐垫
KR200241279Y1 (ko) 다용도 베개
JP6851037B2 (ja)
CN109965592B (zh) 骨盆坐垫
CN216675162U (zh) 一种智能镜柜
GB2428001A (en) A cushioning member
KR20130004604U (ko) 매트리스
JP2006068510A (ja) クッション構造体、およびクッション構造体内蔵シート
JPH0672459U (ja) ウオーター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