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619B1 -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619B1
KR102343619B1 KR1020200036865A KR20200036865A KR102343619B1 KR 102343619 B1 KR102343619 B1 KR 102343619B1 KR 1020200036865 A KR1020200036865 A KR 1020200036865A KR 20200036865 A KR20200036865 A KR 20200036865A KR 102343619 B1 KR102343619 B1 KR 10234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detection
metal foreign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311A (en
Inventor
신중원
Original Assignee
(주)나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나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03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619B1/en
Priority to KR1020210085840A priority patent/KR102304439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operating with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출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검출 강도를 향상시킨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피검출물을 이동하는 반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피검출물의 금속이물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1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소정 위치의 상면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블록에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고정 또는 이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that improves detection intensity by fundamentally blocking vibration transmitted to a detection unit.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irst frame supporting a transport unit for moving a detection target and a second frame supporting a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or not a metal foreign material is present in the detection target object, The first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frames, and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nd A support block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so as to be fixed or spaced apart, and a caster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each The first and second height-adjustable height-adjustable fee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y may be formed.

Figure R1020200036865
Figure R1020200036865

Description

금속이물 검출장치{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본 발명은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출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검출 강도를 향상시킨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that improves the detection intensity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금속이물 검출기는 식품 등의 검사제품 내에 혼입된 금속이물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엑스레이 등을 이용한 광학적 검출 방식과 고주파 자장을 이용한 와전류 방식, 그리고 자화 수단으로 자화된 금속이물의 잔류 자기강도를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동작하는 자기 센서로 검출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이 있다.The metal foreign body detector is a device that detects metal foreign substances mixed in inspection products such as food. There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at detects with a magnetic sensor that operates a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ε=-N(dΦ/dt)(단위: V)의 공식으로 일반화되며, 유도 기전력(ε)은 코일의 감은 횟수 및 시간에 따른 자속(Φ)의 변화율에 비례한다. 이 때, 금속 이물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검출하려면, 코일의 감은 횟수는 불변하기 때문에, 자기장을 통과하는 금속이물의 이동 속도를 높이거나, 금속이물의 자화 정도를 상승시켜야 한다. 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is generalized to the formula ε=-N(dΦ/dt) (unit: V),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ε)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and the rate of change of magnetic flux (Φ) with time. At this time, in order to easily detect a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etal, since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does not chang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ovement speed of the foreign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field or increase the degree of magnetiz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종래의 금속 이물 검출기는 피검출체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 시스템과 검출부가 하나의 일체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있다.A conventional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or is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device with a conveyor system in charge of transporting a detection target and a detection unit.

따라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모터의 진동이나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검출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검출부에서의 금속 이물 검출의 감도를 저하시키고, 검출 감도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동하고 있다.Therefore, as the conveyor system operates, the vibration of the motor or the vibra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detection unit, thereby lowering the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and reducing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sensitivity.

한국 등록특허 10-0794907 (공고일자 2008년 01월 08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794907 (Announcement Date: January 08, 2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대해 가해지는 진동과 같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검출감도를 향상시킨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metal foreign body having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noise, such as vibration, applied to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ng apparatus.

또한, 컨베이어 장치와 금속이물 검출부를 기계적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컨베이어로부터의 진동이 검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mprove detection sensitivity by completely mechanically separating the conveyor device and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unit so that vibration from the conveyor is not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또한, 컨베이어 장치와 검출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지만, 이동시에는 하나의 장치로서 동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that physically separates the conveyor device and the detection unit, but enables simultaneous movement as a single device during move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피검출물을 이동하는 반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피검출물의 금속이물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1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소정 위치의 상면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블록에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고정 또는 이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irst frame supporting a transport unit for moving a detection target and a second frame supporting a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or not a metal foreign material is present in the detection target object, The first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frames,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nd A support block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so as to be fixed or spaced apart, and a caster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re respectively It can be m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height-adjustable feet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여기서, 상기 반송부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송부 하부에는 슬라이드 베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베드는 상기 검출부 내에 위치하는 제2 슬라이드 베드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베드의 양단 각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및 제3 슬라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veying unit is made of a conveyor belt, a slide bed is formed under the conveying unit, and the slide bed is spaced apart from a second slide bed located in the detection unit and both ends of the first slide b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consist of first and third slides positioned in the same manner.

여기서, 상기 지지 블록은 요(凹) 형상이며, 오목한 부분에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block may have a concave shap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여기서, 상기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지지 블록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spaced upwardly from the support block, and whe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he frame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상기 지지 블록에 고정되고, 상기 캐스터가 상기 지면에 맞닿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이 일체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fixed to the support block, and the caster abuts against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move integrally. It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이용하면,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대해 가해지는 진동과 같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검출감도를 향상시킨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By using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by removing the influence of noise such as vibration applied to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have.

또한, 컨베이어 장치와 금속이물 검출부를 기계적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컨베이어로부터의 진동이 검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이동시에는 하나의 장치로서 동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that completely mechanically separates the conveyor device and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unit so that vibration from the conveyor is not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and enables simultaneous movement as a single device during movement.

또한,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검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피검출물 내에 금속이물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tection intensity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and to prevent the inclusion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in the object to be detected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지면에 고정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이동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ground.
5 is a front view in a moving state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B) of FIG. 3 for explaining a structure enabling the state of FIGS. 4 and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검사대상품 내에 비정상적으로 혼입된 금속이물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식품제조분야나 화학, 섬유분야 등의 검사공정에서 사용된다. 엑스레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적 방식이나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방식 또는 자기장 검출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detects a metal foreign material abnormally mixed in a product to be inspected, and is used in inspection processes such as food manufacturing, chemistry, and textile fields. An optical method using X-rays or lasers, a method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or a magnetic field detection method may be used.

전자기유도 방식은 하나의 코일로 구성된 발신부 코일과 두개 이상의 코일로 구성된 수신부 코일로 구성되어 발신부 코일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고 수신부 코일에 유도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검사대상품이 발신부 코일과 수신부 코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수신부 코일의 신호변화를 판별하여 검사대상품 내의 금속이물의 유무를 판별하는 원리로 동작한다.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composed of a transmitter coil consisting of one coil and a receiver coil consisting of two or more coils. It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discrimin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l foreign substances in the inspection object by discriminating the signal change of the receiver coil that occurs when passing through.

또한, 자기장 검출방식은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과 두개 이상의 자기센서를 구비하여 영구자석과 자기센서의 거리 및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자기센서의 신호의 크기가, 검사대상품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검사대상품이 통과할 때의 변화를 감지하여 금속이물의 유무를 판별하는 원리로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detection method includes one or more permanent magnets and two or more magnetic sensors,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f the magnetic sensor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sensor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It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etal foreign substance by detecting a change when the inspection target product passes by comparison.

이 때, 자기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자성체가 통과할 때는 자기센서의 신호의 변화가 없을 것이나, 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에 의하여 자화된 금속이물이 자기센서를 통과할 때는 자기센서의 출력신호가 변화하므로 이를 금속이물의 유무 판단의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a nonmagnetic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field passes through, the signal of the magnetic sensor will not change. Therefore, it is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etal foreign material.

금속이물 검출장치에서 검사대상품을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벨트가 주로 이용되는데,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동력원인 모터와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롤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전자기유도센서와 강자석에 전달되어 자성체가 전자기유도센서를 통과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자기유도센서에 유도기전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Conveyor belts are mainly used to transport items to be inspected in the metal foreign body detection devic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which is th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the rollers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is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and strong magn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nge in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occurs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even though the magnetic material does not pass through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즉, 정지상태에서는 강자석과 전자기유도센서 사이의 자기장의 변화가 없거나 미약하지만,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에 의하여 금속이물 검출장치에 진동이 가해지고 강자석과 전자기유도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가 미약한 것이라도 전자기유도센서에 도달하는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기전력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러한 변화를 검사대상품 내에 금속이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stationary state, there is no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between the fer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but there is no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between the fer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due to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reach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even if it is weak, an error in determining such a change as the presence of a metal foreign material in the inspection object may occur.

또한, 컨베이어벨트의 전체길이, 구동모터의 동력전달방식, 강자석과 전자기유도센서의 부착강도 편차 등 설계와 제조과정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완성품간의 편차에 따라 진동에 의한 오작동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malfunction due to vibration is not constant depending on the deviation between the finished product that may occur during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the overall length of the conveyor belt, the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the drive motor, and the deviation in the attachment strength between the strong magne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A problem exist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며,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검출 강도를 향상시키고, 진동 등의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금속이물 검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improving the detection intensity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nd blocking the effect of noise such as vibr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반송부(100),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로 구성되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includes a transport unit 100 , an entry unit sensor coil 120 , a magnetization unit 110 , and a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 and controls their operations. A control unit (not shown) is included.

반송부(100)는 피검출물(10)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을 가지며, 컨베이어벨트 등의 기계적 장치일 수 있다. The conveying unit 100 has a function of conveying the detected object 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may be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conveyor belt.

반송부(100)에 놓인 피검출물(10)은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된다. The detection target 10 placed on the conveying unit 100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반송부(100)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는 반송부(100)의 반송속도를 결정하고, 피검출물(10)의 이동속도는 반송부(100)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conveying unit 100 determines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ing unit 100 , and the moving speed of the detected object 10 is determined by th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conveying unit 100 . time)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al speed.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반송부(100)에 놓인 피검출물(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detected object 10 placed on the conveying unit 100 .

여기서, 피검출물(10)은 식품, 의류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to-be-detected object 10 may be food, clothing,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자화부(110)는 피검출물(10)의 반송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진입부 센서코일(120)은 반송 경로에서 자화부(110)의 전단에 구비되고, 검출부 센서코일(125)은 반송 경로에서 자화부(110)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gnetization unit 11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detected object 10 , the entry sensor coil 12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gnetization unit 110 in the transport path, and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gnetization unit 110 in the transport path.

반송부(100)의 반송 방향을 따라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 the magnetization part 110 , and the detection part sensor coil 125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part 100 .

피검출물(10)은 반송부(100)의 반송 경로를 따라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을 통과하게 된다.The detection target 10 passes through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 the magnetization part 110 , and the detection part sensor coil 125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transport part 100 .

자화부(110)는 피검출물(10)의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진입부 센서코일(120)은 반송경로에서 자화부(110)의 전단에 구비되고, 검출부 센서코일(125)은 반송경로에서 자화부(110)의 후단에 구비된다. The magnetization unit 11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detected object 10 , and the entry sensor coil 12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gnetization unit 110 in the transport path, and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gnetization unit 110 in the transport path.

반송부(100)의 반송방향을 따라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 the magnetization part 110 , and the detection part sensor coil 125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part 100 .

피검출물(10)은 반송부(100)의 반송경로를 따라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을 통과하게 된다.The detection target 10 passes through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 the magnetization part 110 , and the detection part sensor coil 125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transport part 100 .

자화부(110)는 피검출물(10)에 혼입되어 있을 수 있는 금속이물을 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magnetization unit 110 serves to magnetize a foreign metal that may be mixed in the object 10 to be detected.

자화부(110)는 반송부(100)가 통과하는 공동(空洞) 영역을 구비한 사각의 테두리 형상을 갖고 반송부(100)를 둘러쌀 수 있다. The magnetization unit 110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 hollow region through which the carrier unit 100 passes and surround the carrier unit 100 .

자화부(110)는 상부에 구비된 상부 자화부(110u)와 하부에 구비된 하부 자화부(110d)를 포함하며, 상·하부 자화부(110u, 110d)는 강자석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를 지나는 피검출물(10) 내의 금속이물을 자화시킬 수 있다. 물론, 자화부(110)는 금속물질 등을 자화시킬 수 있다면, 강자석 이외의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The magnetization unit 110 includes an upper magnetization unit 110u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magnetization unit 110d provided at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magnetization units 110u and 110d are made of a ferromagnet, and a space between them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agnetize a metal foreign material in the passing detection target 10 . Of course, the magnetization unit 110 may have any configuration other than a ferromagnet as long as it can magnetize a metal material or the like.

피검출물(10)에 혼입된 금속이물이 자화부(110)를 통과하면서 자화되면, 이후 통과하게 되는 검출부 센서코일(125)에서의 검출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metal foreign material mixed in the detection target 10 is magnet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agnetization unit 110 ,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passing thereafter may be increased.

구체적으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은 ε=-N(dΦ/dt)(단위:V)의 공식으로 일반화되며, 유도기전력(ε)은 코일의 감은 횟수 및 시간에 따른 자속(Φ)의 변화율에 비례하는데, 이때, 피검출물(10) 내에 혼입된 금속이물이 자화되면, 생성되는 유도기전력의 크기가 커지므로, 검출부 센서코일(125)에서의 검출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Specifically, 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is generalized to the formula of ε=-N(dΦ/dt) (unit: V),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ε) depends o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and the rate of change of magnetic flux (Φ) with time. At this time, when the metal foreign material mixed in the detection target 10 is magnetized,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creases, so that the detection sensitivity in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can be improved.

또한, 제어부는 반송부(100)의 이동속도를 높여 자속 밀도의 변화율을 높임으로써 검출부 센서코일(125)에서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mprove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sensor coil 125 of the detection unit by increasing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ing unit 100 to increase the rate of change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진입부 센서코일(120)은 반송부(100)가 통과하는 공동(空洞) 영역을 구비한 사각의 테두리 형상을 갖고 반송부(100)를 둘러쌀 수 있다. The entry sensor coil 120 may have a rectangular rim shape having a hollow region through which the transport unit 100 passes and surround the transport unit 100 .

진입부 센서코일(120)은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과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may include an entry part upper sensor coil 120u and an entry part lower sensor coil 120d.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은 자계(magnetic field)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고,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은 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upper sensor coil 120u of the entry part functions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the lower sensor coil 120d of the entry part functions to receive it.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이 생성한 자계에 의하여 큰 자속이 발생되고, 피검출물(10) 내의 금속이물의 자속이 변화하면서 생기는 유도기전력 신호를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이 센싱함으로써, 피검출물(10) 내에 금속이물이 혼입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다.A large magnetic flux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upper sensor coil 120u of the entry part, and the lower sensor coil 120d of the entry part sens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generated when the magnetic flux of a foreign metal in the object 10 is changed. ,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 foreign metal is mixed in the to-be-detected object 10 .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과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은 철심에 동선(copper wire)을 감은 구조로서,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의 일단은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유도기전력 신호를 센싱한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의 타단은 후술할 증폭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entry part upper sensor coil 120u and the entry part lower sensor coil 120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opper wire is wound around an iron core, and one end of the entry part upper sensor coil 120u is of the entry part lower sensor coil 120d. It i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ensor coil 120d of the entry unit that sense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may be connected to an amplifi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검출부 센서코일(125)은 반송부(100)가 통과하는 공동(空洞) 영역을 구비한 사각의 테두리 형상을 갖고 반송부(100)를 둘러쌀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 hollow region through which the conveyance unit 100 passes and surround the conveyance unit 100 .

검출부 센서코일(125)은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과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or sensor coil 125 may include an upper sensor coil 125u of the detector and a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or.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은 자계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고,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은 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upper sensor coil 125u of the detection unit functions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the lower sensor coil 125d in the detection unit functions to receive it.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이 생성한 자계에 의하여 큰 자속이 발생되고, 피검출물(10) 내의 금속이물의 자속이 변화하면서 생기는 유도기전력 신호를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이 센싱함으로써, 피검출물(10) 내에 금속이물이 혼입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진입부 센서코일(120)과 동일하다.A large magnetic flux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upper sensor coil 125u of the detection unit, and the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ion unit sens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generated when the magnetic flux of a foreign metal in the object 10 is changed. It can be detected whether a metal foreign material is mixed in the detection object 10 . This is the same as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described above.

하지만,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에서 수신된 유도기전력 신호는, 자화부(110)에 의해서 자화된 금속이물에 의해서 생성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에서 수신된 유도기전력 신호와 서로 상이하다. 이렇게 상이한 신호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피검출물(10) 내의 금속이물과 포장재 등을 구별해낼 수 있게 된다. However, sinc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received from the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ion unit is a signal generated by a foreign metal magnetized by the magnetizer 110,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received from the lower sensor coil 120d of the entry unit is a signal generated by the magnetization unit 110. different from the signal. By such different signals,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the metal foreign material and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object 10 to be detected.

또한, 진입부 센서코일(120)과 검출부 센서코일(125)이 소정 간격(L)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부 센서코일(120)을 통과한 피검출물(10)이 이동하면서 진동 혹은 충격이 생기면, 검출부 센서코일(125)에서 수신되는 유도기전력 신호에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이물 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설정된 신호 패턴과 비교하여, 검출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필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and the detection part sensor coil 125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the detection object 10 passing through the entry part sensor coil 120 moves while vibration or shock is generated. When this occurs,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 In this case,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ion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ignals may be filtered in comparison with a preset signal pattern.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과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은 철심에 동선(copper wire)을 감은 구조로서,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의 일단은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자화된 금속이물로부터 유도기전력 신호를 센싱한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의 타단은 후술할 증폭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sensor coil 125u of the detection unit and the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ion unit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opper wire is wound around an iron core, and one end of the upper sensor coil 125u of the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ensor coil 125d of the detector that sense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from the magnetized foreign material may be connected to an amplifi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위의 설명에서, 자화부(110) 및 진입·검출부 센서코일(120, 125)은 공동(空洞) 영역을 구비한 사각의 테두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와 다른 형상(예를 들어, 원통형)을 가져도 무방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gnetization unit 110 and the entry/detection unit sensor coils 120 and 125 have been described as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with a hollow area, but a different shape (eg, cylindrical) is free to have

즉, 반송부(100)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된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rying unit 100 may be separate compon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상부 자화부(110u)와 하부 자화부(110d), 진입부 상부 센서코일(120u)과 진입부 하부 센서코일(120d), 검출부 상부 센서코일(125u)과 검출부 하부 센서코일(125d)을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하되, 서로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하고, 반송부(100)의 상·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magnetization part 110u and the lower magnetization part 110d, the entry part upper sensor coil 120u and the entry part lower sensor coil 120d, the detection part upper sensor coil 125u and the detection part lower sensor coil 125d are connected. It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bu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rying unit 100 .

도 1의 금속이물 검출장치는 검출부의 구성을 진입부 센서코일(120),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화부(110) 및 검출부 센서코일(125)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of FIG. 1 has been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as the entry unit sensor coil 120, the magnetization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gnetization unit ( 110) and the detection unit sensor coil 125 may be configured onl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지면에 고정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groun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기(1)는 금속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부(11), 모터(12) 구동으로 무한궤도로 동작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는 반송부(13),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드(14a, 14b, 14c), 검출부(11), 반송부(13) 및 모터(12)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20a, 20b) 및 금속 이물질 혼입 판정을 포함한 각종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갖춘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yed by a detection unit 11 including a metal detection sensor, and a conveyor belt operating in an endless track by driving a motor 12.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a formed to support the unit 13, the slide beds 14a, 14b, 14c installed under the conveyor belt, the detection unit 11, the conveying unit 13, the motor 12, etc.; 20b)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equipped with control means for executing various controls including determination of mixing of metal foreign substances.

검출부(11)는 중심에 터널을 구성하며, 터널을 통해 반송부(13)가 연속하여 회전하고, 반송부(13)에 의해 피검사물이 터널을 통과하면서 터널 내에서 센서 등에 의해 금속 포함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The detection unit 11 constitutes a tunnel at the center, and the conveying unit 13 continuously rotates through the tunnel, and as the inspected object passes through the tunnel by the conveying unit 13,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metal is included in the tunnel by a sensor or the like. will detect

또한, 금속이물 검출기(1)는 반송부(13)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반송된 피검사물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 비상정지를 위한 비상정지스위치, 전원박스, 금속 검출기의 고정을 위한 조절자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or 1 includes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has entered from one side by the transfer unit 13, an emergency stop switch for emergency stop, a power box, and adjustment for fixing the metal detector Chair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일반적으로 피검출물(10)이 검출부(11)를 통과하면서 모터(12)의 운전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롤러(18)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이 검출부(11)에 전달되고, 검출부(11)와 외부 진동이 서로 동기되어 진동하지 않는다면 검출부(11)를 중심으로 주변의 구조물들이 진동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general, while the to-be-detected object 10 passes through the detection unit 11 , vibration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motor 12 and vibrations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roller 18 are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11 , and the detection unit If (11) and the external vibration do not vibrate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rrounding structures vibrate with the detection unit 11 as the center.

따라서, 검출부(11)에서 피검출물(10) 만의 데이터를 센싱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변의 진동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이 검출부(11) 감도의 향상에 있어서 무엇 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etection unit 11 senses and interprets the data of only the object 10 to be detected, it is most important to minimize the vibration noise around it in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unit 11 .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송부(13)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드 베드(14a, 14b, 14c)를 분리하고, 검출부(11)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20a, 20b)를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하며, 금속이물 검출기(1)의 이송시와 고정 사용시를 고려하여 이송시에는 일체로 이송이 가능하며 고정 사용시에는 검출부(11)와 반송부(13)의 물리적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lide beds 14a, 14b, 14c supporting the conveying unit 13 are sepa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a and 20b supporting the detection unit 11 are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separat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configure to do

제1 프레임(20a)은 검출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이며, 4개의 수직 프레임(15a) 및 메인 수평프레임(19a)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frame 20a is a main frame that supports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detection unit 11, and includes four vertical frames 15a and a main horizontal frame 19a.

제2 프레임(20b)은 검출부(11)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4개의 수직 프레임(15b) 및 검출부 수평프레임(19b) 등을 포함한다.The second frame 20b means a frame supporting the detector 11 , and includes four vertical frames 15b and a horizontal frame 19b of the detecto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지면에 고정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이물 검출장치의 이동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fixed to the ground,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ving stat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이물 검출장치(1)는 검출부(11)와 반송부(13)의 진동 간섭을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한편, 금속이물 검출장치(1)의 이동성 및 고정성을 고려한다.4 and 5,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hysic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the vibr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unit 11 and the transport unit 13, while the metal Consider the mobility and fixability of the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즉, 금속이물 검출장치(1)는 이동성을 갖도록 캐스터(17)가 마련되며, 현장에서 사용시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을 이용하여 고정한다.That is,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is provided with a caster 17 to have mobility, and is fixed using height adjustment supports 16a and 16b to prevent shaking when used in the field.

본 발명의 금속이물 검출장치(1)는 고정 사용시에는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이 지면에 닿아 지지되도록 구성되며(도 4와 같음), 이동시에는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을 올려서 캐스터(17)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도 5와 같음).The metal foreign body detec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adjustment supports 16a and 16b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in use (as shown in FIG. 4), and when moved, the height adjustment supports 16a, 16b are raised by raising the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caster 17 (as shown in FIG. 5).

여기서, 제1 높이 조절 받침(16a)은 검출부(11)를 제외한 모터(12), 반송부(13), 롤러(18), 제어 컨트롤 박스 등을 지지하는 제1 수직 프레임(15a)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제2 높이 조절 받침(16b)은 검출부(11)를 지지하는 제2 수직 프레임(15b)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된다.Here, the first height adjustment support 16a is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5a that supports the motor 12 , the conveying unit 13 , the roller 18 , the control control box, etc. except for the detection unit 11 . It is mounted on, and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16b)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5b) supporting the detection unit (1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고정시와 이동시의 상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6를 참조한다.In order 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state at the time of fixing and moving shown in Figs. 4 and 5, reference is made to Fig. 6 .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B)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B) of FIG. 3 for explaining a structure enabling the states of FIGS. 4 and 5 .

도 6의 (A)는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15a, 15b)이 각각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어 금속이물 검출장치(1)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고정 상태를 나타낸다.6(A) show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15a and 15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supported on the ground by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s 16a and 16b, respectively, to detect a metal foreign body ( 1) indicates the fixed state, which is a usable state.

도 6의 (B)는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15a, 15b)이 각각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캐스터(17)가 지면에 맞닿아 금속이물 검출장치(1)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인 이동 상태를 나타낸다.6 (B) i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15a, 15b)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16a, 16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5, the caster 17 is the ground It indicates a moving state, which is a state in which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can move in contact with the .

도 6의 (A) 및 (B)와 같이, 금속이물 검출장치(1)는 이동성 및 고정성을 모두 갖추어야 하므로, 고정시에는 모터(12)를 포함한 반송부(13)와 검출부(11)가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 서로 분리되어 고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동시에는 검출부(11)와 반송부(13)를 각각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일체화된 상태로 한 번에 이동이 가능토록 할 필요성이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6, since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must have both mobility and fixability, when fixed, the transfer unit 13 including the motor 12 and the detection unit 11 In order not to be affected by vibrations, it is necessary to be fix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when moving, the detection unit 11 and the transport unit 13 are not moved respectively, but can be moved at once in an integrated state. there is a need

도 6의 (A)를 참조하면, 고정시에는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이 회전되면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고, 지면에 맞닿으면서 지탱이 된다.Referring to (A) of Figure 6, when fixed,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16a, 16b) is rotated and descends downward, and is suppor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때,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은 지면에 맞닿으면서 검출부(11)가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검출부(11)를 지지하고 있던 제2 수평프레임(19b)이 지지 블록(21)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20a, 20b)가 완전히 물리적으로 분리되면서 검출부(11)와 반송부(13)가 완전히 분리되어 지지되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16a, 16b) is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9b) supporting the detection unit 11 as the detection unit 11 rises up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from the support block (21). Spaced apar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a and 20b are completely physically separated, and the detection unit 11 and the transport unit 13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supported.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이동시에는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윗 방향으로 올라가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Referring to FIG. 6B, when moving,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s 16a and 16b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rise upward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이때, 제2 높이 조절 받침(16a, 16b)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검출부(11)가 하방향으로 내려오고 지지 블록(21)에 의해 검출부(11)가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16a, 16b)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detection unit 11 desc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detection unit 1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21).

지지 블록(21)은 제1 프레임(20a)의 제1 수평 프레임(19a)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 블록(21)을 매개로 제2 프레임(20b)이 지지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20a, 20b)이 일체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Since the support block 2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9a of the first frame 20a, the second frame 20b is supported via the support block 21,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a, 20b) has a form that can be moved integrally.

지지 블록(21)은 요(凹) 형상이며, 밑면은 제1 수평 프레임(19a) 상면에 고정되고, 홈 부분에 제2 수평 프레임(19b)이 블록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upport block 21 has a concave shape, the bottom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9a,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9b is block-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and supported.

도 7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부(13)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반송부(13)인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받침 구조의 슬라이드 베드(14a, 14b, 14c)를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한다.As shown in FIG. 7 , the slide beds 14a , 14b , and 14c having a support structure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under the conveyor belt, which is the conveying unit 13 , in order not to be affected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ing unit 13 .

슬라이드 베드(14a, 14b, 14c)는 3개로 분리되며, 검출부(11)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슬라이드 베드(14b)가 형성되고, 제2 슬라이드 베드(14b)의 양단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슬라이드 베드(14a)와 제3 슬라이드 베드(14c)가 각각 형성된다.The slide beds 14a, 14b, and 14c are separated into three, and a second slide bed 14b positioned inside the detection unit 11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bed 14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slide bed 14a and a third slide bed 14c are respectively formed.

제1 내지 제3 슬라이드 베드(14a, 14b, 14c)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됨에 따라 모터(12) 및 반송부(13)의 반송시 진동이 검출부(11)에 전달되지 않음으로 인해(또는 최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부(11)에서의 금속이물 검출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the first to third slide beds 14a, 14b, and 14c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vibr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11 when the motor 12 and the conveying unit 13 are conveyed (or by minimizing) it becomes possible to minimize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error in the detection unit 11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컨베이어 벨트 자체 진동에 의해서는 전자기유도센서의 금속이물 검출 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본 발명 실시 이전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메인 설비의 프레임(20a)과 검출부(11)의 프레임(20b)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므로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ensor is not generated or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veyor belt self-vibration, and the frame 20a of the main equipment and the detection unit 11 Since the frame 20b is physically separated, the effect of vibr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이동 가능한 형태의 금속이물 검출장치(1)로서 이동시에는 검출부(11)가 프레임(2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에 따른 일체화에 의해 한 번에 이송이 가능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movable metal foreign material detection device 1, the detection unit 11 can be fixed to the frame 20a during move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echnology that can be transferred at a time by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o.

이로서, 종래와 같이 증폭회로의 이득을 낮추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감쇠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결국 금속이물 검출감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이송시에는 한 번에 이송이 가능하다.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lower the gain of the amplifier circuit or perform attenuation processing by software, as in the prior art,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metal foreign substances.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의 관점에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위에서 설명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치환이나 변형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조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이나 권리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광범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embodiments, includ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edict various substitutions or mod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able In add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ulation may be variously made. Accordingly,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oadly understood as set forth in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금속이물 검출장치 10 : 피검출물
11 : 검출부 12 : 모터
13 : 반송부 14a, 14b, 14c : 슬라이드 베드
15a, 15b : 수직 프레임 16a, 16b : 높이 조절 받침
17 ; 캐스터 18 : 롤러
19a, 19b : 수평 프레임 20a, 20b : 프레임
100 : 반송부 110 : 자화부
120 : 진입부 센서코일 125 : 검출부 센서코일
1: metal foreign object detection device 10: object to be detected
11: detection unit 12: motor
13: transport parts 14a, 14b, 14c: slide bed
15a, 15b: vertical frame 16a, 16b: height adjustable feet
17 ; Caster 18: Roller
19a, 19b: horizontal frame 20a, 20b: frame
100: transport unit 110: magnetization unit
120: entry part sensor coil 125: detection part sensor coil

Claims (5)

피검출물을 이동하는 반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피검출물의 금속이물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1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소정 위치의 상면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블록에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고정 또는 이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받침에 의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에 고정 또는 이격이 가능하고,
상기 반송부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송부 하부에는 슬라이드 베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베드는 상기 검출부 내에 위치하는 제2 슬라이드 베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 베드의 양단 각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및 제3 슬라이드로 구성되는, 금속이물 검출장치.
It is formed of a first frame that supports a transport unit that moves the to-be-detected object and a second frame that support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object to be detected is a foreign object,
The first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frames,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 support block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to be fixed or spaced apart.
A caster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The first and second height-adjustable supports ar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by the second height-adjustable support. separation is possible,
The conveying unit is made of a conveyor belt, and a slide bed is formed under the conveying unit,
The slide bed includes a second slide bed positioned within the detection unit, and first and third sl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bed.
삭제delete 피검출물을 이동하는 반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피검출물의 금속이물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1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제2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소정 위치의 상면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블록에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고정 또는 이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하단에는 캐스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각각의 하단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요(凹) 형상을 180도 뒤집은 형상이며, 오목한 부분에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은 상기 지지 블록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금속이물 검출장치.
It is formed of a first frame that supports a transport unit that moves the to-be-detected object and a second frame that support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object to be detected is a foreign object,
The first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frames,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econd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 support block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to be fixed or spaced apart.
A caster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The first and second height-adjustable supports ar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The support block is a shape inverted by 180 degrees of the yaw (凹) shap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spaced upward from the support block,
Whe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and fixed, a metal foreign body detec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높이 조절 받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이 상기 지지 블록에 고정되고, 상기 캐스터가 상기 지면에 맞닿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이 일체로 이동 가능한, 금속이물 검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n the first and second height adjustment feet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fixed to the support block, and the caster abuts against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can move integrally, Metal foreign body detection device.
KR1020200036865A 2020-03-26 2020-03-26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KR102343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65A KR102343619B1 (en) 2020-03-26 2020-03-26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KR1020210085840A KR102304439B1 (en) 2020-03-26 2021-06-30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65A KR102343619B1 (en) 2020-03-26 2020-03-26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840A Division KR102304439B1 (en) 2020-03-26 2021-06-30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11A KR20210120311A (en) 2021-10-07
KR102343619B1 true KR102343619B1 (en) 2021-12-27

Family

ID=77914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865A KR102343619B1 (en) 2020-03-26 2020-03-26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KR1020210085840A KR102304439B1 (en) 2020-03-26 2021-06-30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840A KR102304439B1 (en) 2020-03-26 2021-06-30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36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9609A (en) * 2022-06-16 2022-09-20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Interlocking type iron block iron removing method for conveyer bel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302B2 (en) * 1994-02-24 2000-05-15 株式会社ほそかわ Magnetic detector
US20070058777A1 (en) 2003-10-30 2007-03-15 Nobukazu Kondo Hybrid type foreign matter detecting apparatus and traceability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439B1 (en) 2021-09-24
KR20210120311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092B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KR102304439B1 (en)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CN107526110B (en) Metal detection device
US62188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etecting the presence of magnetic substances in non-magnetic products
KR101914689B1 (en)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US20140125311A1 (en) Metal detector for production and packaging lines
EP1447685A2 (en) Flux control system for metal detectors
JP3041026B2 (en) Metal detector
US3588685A (en) Device for detecting nonmagnetic or magnetic conducting bodies for conveyors using coils whose projection on the conveyors are essentially trapezoidal
KR20180064726A (en)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metallic foreign components and weighting the product
JP4513673B2 (en) Mobile system
KR101786790B1 (en) Metal detection sensor and metal detector including the same
KR101670427B1 (en) High sensitive metal detecting apparatus with noise immunity
JP2004301763A (en) Metal detecting device corresponding to chain type conveyor
KR102099864B1 (en) Metallic foreign components detecting sensor combinied with magnet and metallic foreign components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ensor
JP6425108B1 (en) metal detector
KR20210009796A (en) Metal detecting apparatus having sensor arrangement of different angles
JP4591694B2 (en) Mobile system
US20210347577A1 (en) Article conveyance apparatus
KR102233822B1 (en) Metallic foreign components detecting apparatus and metallic foreign components detecting method
KR20190046449A (en) Seperating apparatus for iron goods
KR20150104907A (en) Conveyor system for metal detector
WO2019045229A1 (en) Metallic foreign substance detection apparatus
JP3608701B2 (en) Metal detector
KR102543045B1 (en) The head for metal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