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89B1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89B1
KR102343389B1 KR1020210007958A KR20210007958A KR102343389B1 KR 102343389 B1 KR102343389 B1 KR 102343389B1 KR 1020210007958 A KR1020210007958 A KR 1020210007958A KR 20210007958 A KR20210007958 A KR 20210007958A KR 102343389 B1 KR102343389 B1 KR 10234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rtar
rust
weight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04B24/085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24/42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09J12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된 철근 주위에 형성되며, SBR 라텍스 수지 및 환원 방청제를 포함하는 방청도막층; 상기 부식된 철근을 완전히 감싸도록 방청도막층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1 모르타르층; 상기 방청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착보강층; 상기 접착보강층의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2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과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시공하는 친환경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Eco-friendly repairing multiple protection layer with waterproof and corrosion protecting function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성화나 염해에 의해 부식된 철근을 포함하는 하수 구조체나 교각 등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친환경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보수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층이 상기 보수 조성물로 구성된 다층의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하여 열화된 철콘 근크리트 구조물을 친환경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매트릭스(matrix)는 시공초기에는 강알칼리성을 띠고, 특히 수산화칼슘(Ca(OH)2)과 같은 강알칼리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주변에 강한 부동태 피막(passivation layer)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을 억제한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기 화학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속에 용해된 이산화탄소가 탄산을 생성하고, 이 탄산과 철근이 반응하여 철근의 중성화가 진행되어 철근 주변의 강한 부동태막의 알칼리도(pH)를 낮추어 부식저항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지하수 등에 함유된 황화수소(H2S)는 물속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생성된 탄산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황하수소 역시 물에 용해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내의 철근과 하기식과 같이 반응하게 된다.
물속에 함유된 황화수소는 철과 반응하여 황화철을 형성하고, 수소를 방출하는데, 이때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내의 철근의 부식은 탄산에 의한 철근의 부식보다 더 심각하게 된다.
한편, 염화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침투하여 철근 표면에 형성된 부동태 피막을 집중적으로 파괴하여 철근 부식을 국부적으로 강하게 촉진시키게 된다. 동절기에 도로, 교량 등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 칼슘(CaCl2)을 사용하는데 이 염화 칼슘에 의해 교량 등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내의 철근이 부식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바퀴에 묻어 들어온 염화물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주차장(주로 지하 주차장)의 철근을 부식시킬 수도 있다.
건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종종 비산된 염(airborne salts)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식이 진행되기도 한다.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오염된 대기는 산성비(acid rain)를 만들고 산성의 비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에 있어 하나의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 시멘트를 이용하여 만든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수경성분의 결합력으로 강도가 발현하게 된다. 일반 시멘트 및 골재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다양한 경로에 의해 오염물에 노출되었을 때, 철근의 부식에 의해 철근의 변형을 유도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어 미관은 물론 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종래의 대부분의 보수 방법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절취해내고 산화된 철근 교체 및 일반 보수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보수 및 보강조치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수재료의 대부분은 오염물에 재노출되었을 경우 다시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어 다시 보수해야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현재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방법은 단순히 열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아연(zinc)이 함유된 방청 코팅제를 철근에 도포한 후 일반 단면복구용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간혹 방청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단면 복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방청 모르타르에 사용되는 방청제로 질산계통(nitrite/nitrate)의 방청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사용량을 조절하지 못하면 부식이 가속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르타르 응결을 촉진시켜 작업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아미노 카르복실(amino carboxylates) 계통의 방청제를 사용하는 방청 모르타르도 있으나 시멘트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서로 다른 금속의 접합을 이용한 희생 양극(sacrificial anode)법이 있으나 사용이 까다롭고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1)등록특허 제 10-1309447호(2013.09.10. 등록)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방수 및 방청 성능을 제공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수 및 방청 성능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된 철근 주위에 형성되며, SBR 라텍스 수지 및 환원 방청제를 포함하는 방청도막층; 상기 부식된 철근을 완전히 감싸도록 방청도막층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1 모르타르층; 상기 방청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착보강층; 상기 접착보강층의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2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는 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과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베이스는,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바인더 2~10 중량부, 충전제 185~248 중량부, 보강 섬유 6~15 중량부, 첨가제 0.3~3.5 중량부 및 물 51~8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은, 보로실리케이트 및 규산 소다를 포함하는 제1 혼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캡슐 실록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보강제를 포함하는 제2 혼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보강층은 라텍스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시공하는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부식된 철근을 노출시키는 시공부 준비 단계; 노출된 부식 철근 주위에 방청도막층을 형성하는 방청도막층 형성 단계; 상기 방청도막층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1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접착보강층을 형성하는 접착보강층 형성 단계; 상기 접착보강층의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2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방수 및 방청 성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수 및 방청 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다층으로 시공하되, 친환경 보수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층에 포함하여 우수한 방수 및 방청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보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의 단면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10)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의 부식된 철근(2)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방청도막층(11), 상기 방청도막층(11)의 주위에 형성되는 제1 모르타르층(12), 상기 제1 모르타르층(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착보강층(13), 상기 접착보강층(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모르타르층(14)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14)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보호층(15)을 포함한다.
상기 방청도막층(11)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부식된 철근(2)의 주위에 형성되어, 부식된 철근(2)의 녹을 환원시키고, 이후 발생하게 될 추가적인 철근(2)의 부식을 방지 및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청도막층(11)은 부식된 철근(2) 주위에 SBR 라텍스 수지 및 환원 방청제를 포함하는 방청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청도막제는, SBR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제 73~95 중량부, 물 15~38 중량부, 환원 방청제 4~13 중량부, 분산제 4~13 중량부, 안료 1~5 중량부 및 소포제 0.5~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BR 라텍스 수지는 부식된 방청도막층(11)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충전제는 방청도막층(11)의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탄산칼슘, 황산바륨, 규사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은 SBR 라텍스 수지를 용해시키고, 방청도막제에 가소성을 부여하여 피막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상기 환원 방청제는 철근(2)의 녹을 환원시키고, 이후 발생될 추가 부식을 방지 및 지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알루미늄 지르코늄 포스포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 3~10㎛인 알루미늄 지르코늄 포스포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환원 방청제의 함량이 SBR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환원을 통한 방청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1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청도막층(11)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SBR 라텍스 수지가 용매인 물에 용해되는 것을 돕고,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을 높이며, 방청도막제 내에 입자성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성 분산제로 예를 들어, 디메틸 프로피오닉 애시드(DMPA) 및 디메틸 부타노익 애시드(DM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는 방청도막제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도료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철과 같은 금속산화물 안료, 티탄 옐로 등의 복합 산화 안료, 카본블랙, 아조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금속 킬레이트 아조계 안료, 착색안료, 알루미늄, 동, 아연, 니켈, 산화 알루미늄, 운모, 산화티탄 또는 산화철로 피복된 산화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색상을 발현하기 위해 이 중 1종 이상이 조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방청도막제 제조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하여 도막의 공극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도막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변성 실리콘류, 지방산류, 고급알콜류, 광물류, 고급 지방산 글리세라이트, 디메틸 폴리실록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수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포제로 고급 지방산 글리세라이트, 디메틸 폴리실록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소포제는 SBR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포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청도막층(11)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모르타르층(12)은 부식된 철근(2)을 완전히 감싸도록 방청도막층(11)의 주위에 형성된다. 제1 모르타르층(12)은 철근(2) 주위에 수산화기를 공급함으로써, 방청 원료인 환원 방청제와 반응하여 안정된 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안정된 막이 형성됨에 따라 부식 반응이 일어나는 사이클이 차단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방청 효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르타르층(12)은 방청도막층(11)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모르타르 베이스는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바인더 2~10 중량부, 충전제 185~248 중량부, 보강 섬유 6~15 중량부, 첨가제 0.3~3.5 중량부 및 물 51~87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1 모르타르층(12)의 강도 및 접착성과 같은 물성을 부여한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제1 모르타르층(12)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무기 바인더로 시멘트, 고로슬래그 및 실리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시멘트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며, 경화시 다른 재료들과 함께 굳어져 접착성을 발현하는 성분으로, 시멘트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될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제철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업부산물로, 산화칼슘,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요 성분으로 하며, 입자의 밀도가 높고, 잠재 수경성 특성을 가져 장기강도 발현에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시멘트에 비해 수화열이 낮아 시멘트의 수화 반응에 따른 수화열을 저하시켜, 경화 초기의 수화열에 의한 크랙이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로슬래그는 평균 입경 5~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평균 입경의 고로슬래그를 사용하는 경우, 고로슬래그 입자가 콘크리트 사이의 미세 균열에 충진되어 모르타르층의 내부를 더욱 밀실하게 형성시키며, 여기서 강도 발현이 일어나므로 제1 모르타르층(12)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방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고로슬래그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비표면적이 과도하게 커져 혼합성이 저하되거나, 고로슬래그 응집체가 형성되어 제1 모르타르층(12)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평균 입경 범위를 갖는 고로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마이크로 사이즈인 마이크로 실리카로, 고로슬래그와 유사하게 콘크리트 사이의 미세 균열에 충진되어 포졸란 반응을 통해 모르타르층을 더욱 밀실하게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바인더로 시멘트, 고로슬래그 및 실리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분한 강도 발현, 크랙 방지 및 혼합성 확보를 위해 시멘트, 고로슬래그 및 실리카가 11~15 : 3~7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무기 바인더의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여 층간 박리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접착력 향상 효과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무기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어 제1 모르타르층(12)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경우 접착력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력이 높고,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균일한 물성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충전제는 제1 모르타르층(12)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5~24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상의 충전제가 제1 모르타르층(12) 내에 충분히 결합되지 않아 충전제 입자가 탈리되고, 탈리된 영역에 공극이 형성되며 공극으로의 이물질, 물 등의 침투가 용이해져 제1 모르타르층(12)의 내구성 및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제로 규사, 탄산칼슘, 탈크, 알루미나, 펄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성 및 작업성 확보를 위해 규사와 탄산칼슘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규사와 탄산칼슘은 1 : 0.1~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섬유는 휨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모르타르 베이스는 주요 성분이 무기 물질이기 때문에 압축 강도는 높으나, 휨 성질이 좋지 않아 온도나 습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대응이 미미하여, 날씨나 계절 변화에 따라 미세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보강 섬유는 모르타르 베이스의 휨 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보강 섬유는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6~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6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휨 성질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강 섬유의 함량이 과도하여 서로 엉기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모르타르 베이스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 섬유로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천연 섬유인 셀룰로오스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의 길이는 100~5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의 길이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휨 성질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엉김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제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물성이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감수제, 소포제 및 증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물은 모르타르 베이스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여기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고, 무기 바인더의 수화 반응을 통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8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베이스의 용매로 유기 용매가 아닌 물을 사용하므로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하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에는 보로실리케이트 및 규산 소다를 포함하는 제1 혼화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혼화제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4~10 중량부의 제1 혼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혼화제의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제1 혼화제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 모르타르층(12)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혼화제는 보로실리케이트 및 규산 소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로실리케이트와 규산 소다가 1 : 0.3~0.7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보로실리케이트는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므로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의 방청 성능을 향상시키고, 규산 소다는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보강층(13)은 제1 모르타르층(12)과 제 2 모르타르층(14) 사이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는 층으로, 이러한 접착보강층(13)은 라텍스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르타르층(14)은 상기 접착보강층(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층으로, 방청 기능에 더하여 방수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10)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르타르층(14)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하는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을 접착보강층(13)의 상부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르타르 베이스는 제1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르타르 베이스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중량부의 제2 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혼화제는, 캡슐 실록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혼화제는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의 방청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제2 모르타르층(14)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 실록산은 폴리비닐알코올로 캡슐화 된 실록산일 수 있으며,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의 발수성을 높임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발수제로써,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의 발수성을 향상시켜, 수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혼화제와 모르타르 조성물의 혼화성을 높여 보다 균일한 물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발수성을 부여하므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은 양으로도 보다 우수한 발수성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1 : 0.8~1.5 중량비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제2 모르타르 조성물에 발수성을 부여하나, 여기에 포함된 모르타르 베이스에는 다량의 물이 포함되어 있어,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수경성 성분들의 반응을 저해하여 제2 모르타르층(14)의 강도 및 부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보강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보강제가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2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분산성, 강도 및 부착성 저하 문제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제2 모르타르층(14)의 강도와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보강제는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퀴논일 수 있다.
보강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미미하고, 2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강도 증가에 의해 휨 성질이 저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 대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보호층(15)은 제2 모르타르층(14)을 보호하고 외관을 개선시키며, 내부로의 수분이나 이온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염해를 방지하고, 추가적인 방수 및 방청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보호층(15)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인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도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tarcote-SP(콘스타 주식회사)와 같은 상용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친환경 보수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수 방법은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부식된 철근을 노출시키는 시공부 준비 단계; 노출된 부식 철근 주위에 방청도막층을 형성하는 방청도막층 형성 단계; 방청도막층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1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모르타르층 상부에 접착보강층을 형성하는 접착보강층 형성 단계; 상기 접착보강층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2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 상부에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시공부 준비 단계는, 부식된 철근(2)을 보수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부식된 철근(2)을 노출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질 표면은 샌드 블라스팅을 통해 평탄화되어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보수될 시공면은 물로 세척되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척 후 잔류하는 물은 헝겊 등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부식 철근(2)의 부식 영역의 큰 녹은 물리, 화학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작은 녹은 별도로 제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이후 단계에서 방청도막층(11)이 도포되어 환원 반응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청도막층 형성 단계는, 노출된 부식 철근(2)의 주위에 방청도막제를 도포하여 방청도막층(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방청도막제는 노출된 부식 철근(2)에 녹이 발생한 영영에만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노출된 철근(2)의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는, 방청도막층 형성 단계를 거쳐 적어도 일부에 방청도막층(11)이 형성된 부식 철근(2)을 완전히 감싸도록 방청도막층(11)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모르타르층(1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접착보강층 형성 단계는, 제1 모르타르층(12)과 제2 모르타르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모르타르층(12) 상부에 접착보강제를 도포하여 접착보강층(1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접착보강제는 제1 모르타르층(12)의 상부를 포함하여 절단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부면에 함께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르타르층(14)과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 사이의 추가적인 접착력 향상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는, 접착보강층(13)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모르타르층(1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 단계는, 제2 모르타르층(14) 상부에 마감재인 표면보호제를 도포하고 양생하여 표면보호층(15)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 단계를 통해 형성된 표면보호층(15)은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 면을 통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염해를 방지하여 보수 완료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감 단계는, 앞서 형성된 각 층들의 양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를 수행하고 약 24시간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보호제는 기후나 수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영상의 온도일 때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거나 또는 이슬이 맺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단하고 기후가 온화해진 뒤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 단계 이후 외부의 충격이 없도록 소정 기간 보호 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콘크리트 표면에 방청도막층(11), 제1 모르타르층(12), 접착보강층(13), 제2 모르타르층(14) 및 표면보호층(15)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10)을 형성하였다.
방청도막층(11)을 형성하기 위한 방청도막제로 SBR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사와 탄산칼슘이 1 : 0.3의 중량부로 혼합된 충전제 80 중량부, 환원방청제인 알루미늄 지르코늄 포스포실리케이트 7 중량부, 분산제인 DMAP 5 중량부, 안료인 산화티탄 2 중량부, 소포제인 디메틸폴리실록산 1 중량부가 혼합된 방청도막제를 사용하였다.
접착보강층(13)은 starcote CP200(콘스타 주식회사)를 사용하여 형성하였고, 표면보호층(15)은 starcote SP(콘스타 주식회사)를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제1 모르타르층(12) 및 제2 모르타르층(14)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모르타르 조성물로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모르타르 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먼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평균 입경 7~9㎛인 고로슬래그 및 마이크로 실리카(Sioxid LD, 케미콘)를 13 : 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무기 바인더를 준비하고, 상기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바인더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VINNAPAS ® 5010 N) 6 중량부, 규사와 탄산칼슘이 1 : 0.2로 혼합된 충전제 혼합물 200 중량부, 100~500㎛ 길이의 셀룰로오스 보강 섬유 10 중량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Bermocoll M10, 케미콘) 0.6 중량부 및 소포제(AGITAN® P 80, 케미콘)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건비빔하여 균일한 분말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여기에 물 6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모르타르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10)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시험 항목 시험 기준 결과값
중성화 깊이 KS F 4936 0 mm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 128 Coulombs
투습도 1.19 g/m2·day
내투수성 투수되지 않음
부착강도 표준양생후 2.02 N/mm2
촉진내후성 시험후 1.64 N/mm2
온냉 반복 시험후 1.81 N/mm2
내알칼리성 시험후 1.42 N/mm2
내염수성 시험후 1.95 N/mm2
균열
대응성
영하 20℃, 0.2mm 신장 잔갈림 없음,
파단되지 않음
영상 20℃, 0.4mm 신장
촉진내후성 시험후, 0.2mm 신장
내약품성 내산성(5%, H2SO4, 168시간) KS M ISO 2812 이상없음
내산성(5%, HCl, 168시간)
내알칼리성(5%, NaOH, 168시간)
환경시험 VACs ASTM D 3257 0.04%
VOCs KS M ISO 11890 2.31 g/L
중금속(납, 카드뮴, 6가크롬, 수은) KS M ISO 3856 검출안됨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10)은 방수 및 방청 성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부착강도가 양호하며, 균열 대응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제2 모르타르층(14)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공시체를 제조하고, 해당 공시체의 표준 양생(A) 및 내염수 시험 후(B) 부착강도, 촉진내후성 시험 후 균열 대응성, 압축강도 및 내투수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압축강도는 KS F 24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다른 물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내투수성 항목에서 투수되는 경우에는 ○, 투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다.
이때 제2 모르타르층(14)은 제조예의 모르타르 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되, 모르타르 베이스에 포함된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한 유기 바인더의 함량을 표 2과 같이 변화시켜가며 제조한 각 공시체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유기 바인더
함량(중량부)
부착강도(N/mm2) 압축강도
(MPa, 7일 재령)
내투수성 균열 대응성
(A) (B)
비교예 1 1 2.01 1.88 29 × 잔갈림 발생
실시예 1 3 2.36 2.19 28 × 이상없음
실시예 2 6 2.48 2.22 28 × 이상없음
실시예 3 9 2.55 2.26 27 × 이상없음
비교예 2 12 2.60 2.31 20 × 이상없음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다른 공시체들에 비해 부착강도가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균열 대응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전체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7일 재령시 압축 강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충분한 부착강도, 압축강도를 발현하면서 거동 대응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바인더는 2~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2 모르타르층(14) 단독 공시체를 제조하되, 제2 모르타르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모르타르 조성물에 제2 혼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제2 혼화제는 모르타르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6 중량부로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이때, 공시체 1은 제2 혼화제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2의 공시체이다.
제2 혼화제로는, 캡슐 실록산(COPRA 900, Elotex)과 칼슘 스테아레이트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조성물과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퀴논 보강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였고, 이들의 함량을 하기 표 3과 같이 변화시켜가며 제조한 뒤, 각 공시체에 대하여 실험예 2와 동일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제2 혼화제(중량부)
혼합 조성물 보강제
공시체 1 - -
공시체 2 100 -
공시체 3 100 18
공시체 4 100 22
공시체 5 100 24
공시체 6 100 26
공시체 7 100 30
공시체 8 - 100
  부착강도(N/mm2) 압축강도
(MPa, 7일 재령)
투습도
(g/m2·day)
균열 대응성
(A) (B)
공시체 1 2.48 2.22 28 0.85 이상없음
공시체 2 2.39 2.15 24 0.42 이상없음
공시체 3 2.66 2.51 27 0.45 이상없음
공시체 4 2.78 2.59 35 0.49 이상없음
공시체 5 2.82 2.65 37 0.50 이상없음
공시체 6 2.85 2.67 37 0.52 이상없음
공시체 7 2.88 2.33 38 0.81 잔갈림 발생
공시체 8 2.95 2.30 40 1.48 잔갈림 발생, 파단됨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함께 살펴보면, 제2 혼화제가 포함되는 경우 투습도가 저하되어 발수성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나며, 혼합 조성물과 보강제가 소정 중량비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부착강도 및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공시체 2, 공시체 3과 공시체 4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한 보강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 투습도나 균열 대응성 및 부착강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압축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는데, 공시체 6 내지 공시체 8의 결과를 참조하면, 보강제의 함량이 2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수에 노출된 경우의 부착강도가 현저히 저하할 뿐만 아니라 투습도의 저하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균열 대응성이 현저히 불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2 모르타르층(14)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모르타르 조성물로 모르타르 베이스와 제2 혼화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발수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제2 혼화제로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된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가 20~2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발수성, 거동 대응성, 부착강도를 유지하면서 압축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2 혼화제로 상술한 중량비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2: 철근
10: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11: 방청도막층
12: 제1 모르타르층 13: 접착보강층
14: 제2 모르타르층 15: 표면보호층

Claims (6)

  1.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된 철근 주위에 형성되며, SBR 라텍스 수지 및 환원 방청제를 포함하는 방청도막층;
    상기 부식된 철근을 완전히 감싸도록 방청도막층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1 모르타르층;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착보강층;
    상기 접착보강층의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2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과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르타르 베이스는, 무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바인더 2~10 중량부, 충전제 185~248 중량부, 보강 섬유 6~15 중량부, 첨가제 0.3~3.5 중량부 및 물 51~87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은, 캡슐 실록산과 칼슘 스테아레이트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퀴논 보강제 20~28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혼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은,
    보로실리케이트 및 규산 소다를 포함하는 제1 혼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보강층은,
    라텍스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6.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시공하는 보수 방법에 있어서,
    열화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절취하여 부식된 철근을 노출시키는 시공부 준비 단계;
    노출된 부식 철근 주위에 방청도막층을 형성하는 방청도막층 형성 단계;
    상기 방청도막층의 주위에 제1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1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접착보강층을 형성하는 접착보강층 형성 단계;
    상기 접착보강층의 상부에 제2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제2 모르타르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KR1020210007958A 2021-01-20 2021-01-20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KR10234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58A KR102343389B1 (ko) 2021-01-20 2021-01-20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58A KR102343389B1 (ko) 2021-01-20 2021-01-20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89B1 true KR102343389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58A KR102343389B1 (ko) 2021-01-20 2021-01-20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4270A (zh) * 2022-06-22 2022-09-30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分层吸附式水滑石砂浆阻锈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150A (ko) * 2011-04-12 2012-10-22 이선영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 방법 및 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150A (ko) * 2011-04-12 2012-10-22 이선영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309447B1 (ko) 2011-04-12 2013-09-23 이선영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 방법 및 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4270A (zh) * 2022-06-22 2022-09-30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分层吸附式水滑石砂浆阻锈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0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KR101773920B1 (ko)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744067B1 (ko) 균열과 파임으로 열화된 고층 건축물 및 아파트 외벽의 보수공법
KR101512962B1 (ko)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공법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4194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수, 보강을 위한 속경 고밀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수 및 보수, 보강 내진 공법
KR1019144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친환경 기능성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공법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9526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1742066B1 (ko) 난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강재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보호코팅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16302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16254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1567851B1 (ko) Kr파우더가 혼입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터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방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864293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 섬유 메쉬의 제조방법 및 보강 섬유 메쉬와 보수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589186B1 (ko) 소성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102627B1 (ko) 균열억제형 기능성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방법
KR102261573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