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98B1 -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98B1
KR102343298B1 KR1020200144386A KR20200144386A KR102343298B1 KR 102343298 B1 KR102343298 B1 KR 102343298B1 KR 1020200144386 A KR1020200144386 A KR 1020200144386A KR 20200144386 A KR20200144386 A KR 20200144386A KR 102343298 B1 KR102343298 B1 KR 10234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view
imag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7145A (en
Inventor
조흥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63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84955B1/en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98B1/en
Publication of KR2020012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며, 초점 거리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어 대상 객체를 인식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가 개시된다.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is applied and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and as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the field of view (FOV) is changed to recognize the target object. camera module; and changing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recognizing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and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of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 and remote parking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차량의 주차를 제어하고, 자율 주행 차량의 객체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remote park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parking of a vehicle and improving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an autonomous vehicle; It relates to a remote park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주차 시스템은 주차에 서투른 초보 운전자에게 편리한 주차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자동주차 시스템은 주차 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나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평행 주차 또는 직각 주차를 선택하게 되면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한다.In general, the automatic parking system is a system that can provide convenient parking to a beginner driver who is not good at parking. When parking, the automatic parking system uses a camera or ultrasonic sensor attached to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n obstacle, and when the driver selects parallel parking or perpendicular parking, it performs a certain operation to assist the driver in parking.

최근의 차량에는 주차 보조 시스템(PAS: Parking Assist System)이 탑재되어 후방 주차 시, 후방의 물체를 탐지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다. 주차 보조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은, 후방 주차 시 차량 후방에 장착된 초음파센서를 구동시켜 초음파 신호를 발사하고 후방의 존재하는 물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고 주차가 완료될 있도록 한다.Recent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Parking Assist System (PAS), which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driver by detecting an object in the rear when parking rearward. When a vehicle equipped with a parking assistance system is parked in the rear, it drives an ultrasonic sensor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to emit an ultrasonic signal, receives a reflected signal from an object in the rear,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rear object to collide with an obstacle. Allow the parking to be completed without

한편, 사용자가 자차량을 주차 공간에 주차한 후 용무를 위해 이동한 상태에서, 타차량의 이동 등의 이유로 자차량을 이동 주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예: 자차량을 이중 주차한 경우 등). 주차 공간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가 자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에서 자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단말이 요구되며, 사용자가 원격에서 자차량의 주차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변 영상이 반영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원격 제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현재, 주차 공간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은 단순히 빈 주차 공간만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국한되는 한계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user has to move and park his/her own vehicle for reasons such as the movement of another vehicle while the user has parked his/her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and then moved for business (e.g., if the user has double-parked his/her own vehicle) etc). In order for a user located far from the parking space to move his vehicle, a remote control termina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parking of his/her vehicle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display a display image in which an image of the vehicle's surroundings is reflected o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user. Currently,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parking space image to a user has been proposed, but the technolog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simply recognizes an empty parking spac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또한, 자율 주행 차량은 장착된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물체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그 자율 주행이 제어되기 때문에, 자율 주행 차량의 카메라 센서의 물체 인식 성능은 자율 주행 제어 정밀도에 직결된다. 따라서, 자율 주행 차량의 카메라 센서의 물체 인식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청된다.In addition, since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controlled based on the object recognition result obtained by the mounted camera sensor, the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camera senso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s directly rela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precis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improving the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a camera sensor of an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8776호(2015. 04. 0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38776 (published on April 09, 20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주차를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격에서 차량의 주차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 display image required for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parking, thereby enabling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remote park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율 주행 차량의 카메라 센서의 물체 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a camera sensor of an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의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는,Th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며, 초점 거리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어 대상 객체를 인식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및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is applied and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and as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the field of view (FOV) is changed to recognize the target object. camera module; and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recognize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and control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

를 포함한다.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인식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is increased only wh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for the target objec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 결과에 딥 러닝(Deep Learning)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applying deep learning or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the recognition result.

본 발명의 원격 주차 시스템은,The remot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며, 초점 거리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어 상기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객체를 인식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과, 상기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자율 주행 제어부를 갖는 객체 인식 장치;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is applied and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and as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the field of view (FOV) is changed to change objects around the autonomous vehicle. a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a , and the object is recognized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y changing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object, and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the autonomous vehicle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having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주차 공간에 설치된 영상 인식 장치에 의해 획득된 주차 공간 영상과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객체가 포함된 상기 자율 주행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를 위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동작 제어에 따라 가공되는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차 공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주차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A control display image for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a parking space image obtained by an image recognition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and an image surroundi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cluding the object recognized by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and then provided to the us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providing the user with the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the user, so that the parking a remote control device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arking of the vehicle in the space;

를 포함한다. includes

본 발명의 원격 주차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판단 신호와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each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of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nd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ing uni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based on the.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측위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공간 영상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주차 공간 내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가 반영되도록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the control display image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can create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may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and the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is change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토대로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되,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수조작 및 시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vari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gion of interest (ROI)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wherein the user's motion is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and gaze information.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된 경우에만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obtain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from the user, and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displays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to the vehicle. It can be obtained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으로 주차를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원격에서 차량의 주차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차량에 적용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능동적인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격 주차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a display image required for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parking through a method of synthesizing a parking space image and an image around the vehicle, so that the parking of the vehicle remotely is more convenient. It is possible to enable control and improve the precision of remote parking control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display image that is active in the user's motion by utilizing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applied to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는 방식을 통해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improv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hrough a method of varying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카메라 센서부 및 제어 장치의 장착례 및 배선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과 차량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의 전체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의 화각이 가변되는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example and wiring structure of a camera sensor unit and a control device in a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vehicle in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of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is varied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user's ROI is obtained in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remote pa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 및 방법,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remote parking system and method, and a vehicle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카메라 센서부 및 제어 장치의 장착례 및 배선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과 차량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의 전체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의 화각이 가변되는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ounting example and wiring structure of a camera sensor unit and a control device in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vehicle in a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of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5 is a variabl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s area of interest is obtained in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to b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은 카메라 센서부(100), 측위부(200) 및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부(100) 및 측위부(200)는 차량(VEH)에 설치되고,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차량의 원격 주차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시스템은 제어부(ECU modul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sensor unit 100 , a positioning unit 200 , and a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 and the camera sensor unit 100 . And the position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VEH),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remote parking of the vehicle possessed by a user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vehicle.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mot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ECU module).

카메라 센서부(10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부(10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주차 공간 영상과 합성되어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형태로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to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acquired by 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be synthesized with the parking space image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in the form of a control display image,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의 카메라 센서부(100)는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초점 거리(Focal Length)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sensor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with 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s a focal length and a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a field of view (FOV) is variable. It may include a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은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각 렌즈를 구성하는 결정 물질의 특성이 변경되어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초점 거리가 작아질수록 화각이 증가하고 해상도가 감소하며, 초점 거리가 증가할수록 화각이 감소하고 해상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은 초점 거리 및 각 렌즈의 굴절률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화각을 가질 수 있다(즉, 화각이 가변될 수 있다).In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crystalline material constituting each lens by an applied electric signal. Since the angle of view decreases and the resolution increases as the focal length increases,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can have various angles of view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that is, the angle of view can be varied). .

카메라 센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 1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 150)은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에 의해 초점 거리(Focal Length) 및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으로써 화각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 150)은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 및 MFC(Multifunction Front Camera)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은 SVM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되고,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50)은 MFC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①번 영역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MFC 카메라 영역)이 되고, ②번 영역은 제1 내지 제4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SVM 카메라 영역)이 된다. ①번 영역과 ②번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차량 주변 영상이 되며, 제1 내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10, 120, 130, 140, 150)로서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 및 MFC(Multifunction Front Camera)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이 채용될 때, 차량 주변 영상은 고해상도로 획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include first to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s 110 , 120 , 130 , 140 and 150 , and first to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s ( The angles of view of 110 , 120 , 130 , 140 , and 150 may be variab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ocal length and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by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The first to fifth variable angle camera modules 110 , 120 , 130 , 140 and 150 may be implemented as camera modules constituting a Surround View Monitoring (SVM) system and a Multifunction Front Camera (MFC) system,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s 110 , 120 , 130 and 140 are implemented as camera modules constituting the SVM system, and the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50 is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constituting the MFC system. can In this case, area ① shown in FIG. 4 is an area (MFC camera area) photographed by the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50, and area ② is the first to four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10, 120, 130, and 140 become an area to be photographed (SVM camera area). The images corresponding to areas ① and ② become images around the vehicle, and SVM (Surround View Monitoring) system and MFC (Multifunction) as the first to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s 110, 120, 130, 140, 150 When the camera module constituting the front camera) system is employed, an image around the vehicle may be acquired in high resolution.

측위부(200)는 차량에 설치되며, 영상 인식 장치(CAM_CCTV)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판단 신호와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단말(SMK)로부터 수신한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each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여기서, 영상 인식 장치(CAM_CCTV)는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주차 공간을 촬영하여 주차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주차 공간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4는 영상 인식 장치(CAM_CCTV)가 네 개의 CCTV 카메라를 포함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고해상도로 획득될 수 있는 차량 주변 영상과 달리, 주차 공간 영상은 통상의 CCTV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점에서 저해상도로 획득된다. 또한, 원격 단말(SMK)은 사용자가 원격에서 차량의 도어 잠금 및 도어 잠금 해제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키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is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to generate a parking space image by photographing the parking spac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CCTV camera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and FIG. 4 shows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An example including four CCTV cameras is shown. Unlike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which can be acquired in high resolution, the parking space image is acquired in a low resolution in that it is acquired by a conventional CCTV camera. In addition, the remote terminal SMK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key possessed by the user in order for the user to remotely lock and unlock the vehicle door.

본 실시예에서 영상 인식 장치(CAM_CCTV) 및 원격 단말(SMK)은 각각 제1 위치 판단 신호 및 제2 위치 판단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위치 판단 신호는 RF(Radio Frequency, 통상 315/433MHz) 신호일 수 있다(영상 인식 장치(CAM_CCTV)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네 개의 CCTV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위치 판단 신호는 각 CCTV 카메라로부터 송신되는 제1-1 위치 판단신호, 제1-2 위치 판단신호, 제1-3 위치 판단신호 및 제1-4 위치 판단신호로 세분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CAM_CCTV and the remote terminal SMK may operate to transmit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and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s are provided with a radio frequency (RF) signal. , usually 315/433MHz) may be a signal (if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includes four CCTV cameras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is the 1-1 position transmitted from each CCTV camera. It can be subdivided into a determination signal, a 1-2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a 1-3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and a 1-4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이에 따라, 측위부(200)는 수신된 제1 및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에 기초하여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측위부(200)는 영상 인식 장치(CAM_CCTV) 및 원격 단말(SMK)로부터 각각 수신한 제1 및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 간 차이에 따른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 내에서의 위치 좌표로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ing unit 20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based on each RSSI of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location determination signals. That is, the positioning unit 200 uses a polygrammetry algorithm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each RSSI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s respectively receiv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and the remote terminal (SMK) in the parking spa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generated as location coordinates.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측위부(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격 단말(SMK)과의 LF 및 RF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의 도어 잠금 및 도어 잠금 해제 등을 수행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 장치(SMK_ECU)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에 설치된 별도의 제어부(ECU module)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 장치(SMK_ECU)가 부재하거나 제어부(ECU module)를 통해 제1 및 제2 위치 판단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다양한 경우 등을 고려하여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ositioning unit 200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s shown in FIG. 2, based on LF and RF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terminal (SMK), a smart key system control that performs the door lock and door unlock of the vehicle, etc.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MK_ECU), may be implemented within a separate control unit (ECU module) installed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b), and the smart key system control unit (SMK_ECU) is absent or the control unit (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ase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s cannot be received through the ECU module, as shown in FIG.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주차 공간에 설치된 영상 인식 장치(CAM_CCTV)에 의해 획득된 주차 공간 영상, 및 카메라 센서부(10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를 위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synthesizes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obtained by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installed in the parking space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obtained by the camera sensor unit 100 for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After generating the control display image, it is provided to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controlled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the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provided to the us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parking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즉, 주차 공간에 위치한 차량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주차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차 공간 영상과 함께 차량 주변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여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영상 인식 장치(CAM_CCTV)에 의해 획득된 주차 공간 영상은 해당 주차 공간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주차 공간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일률적인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원격 주차 제어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점을 고려하여,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즉, 카메라 센서부(100)에 포함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이 제어됨에 따라 카메라 센서부(100)에 의해 획득되는 차량 주변 영상의 범위 및 해상도가 가변되며, 따라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은 실시간으로 가공되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at is, in order for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parking of a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After generating the control display image,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obtained by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can be managed by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and thus the remote control The device unit 300 may receive a parking space image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nvenience of remote parking control is reduced when only a uniform control display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is a camera sensor unit including a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ased on the user's motion. The operation 100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be controlled). A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controlled, the range and resolution of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acquired by the camera sensor unit 100 varies, and thus the control display image is processed in real time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ased on the forego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측위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주차 공간 내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반영되도록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generates a control display image to reflec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by synthesizing the parking space image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based o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200 . can do.

즉, 주차 공간에 위치한 차량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주차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차 공간 내에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측위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차 공간 내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user must be able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in order to remotely control the parking of the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200 . By synthesizing the parking space image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a control display image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주차 공간 내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반영되도록 생성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조감도(Bird-View Image)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감도 형태의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차량 내에서의 사용자의 시점에 정합되도록 사용자 시점 형태의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즉, 사용자가 차량에 실제로 탑승한 상태에서 보여지는 시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에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예: 버튼 등)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provide the control display image generated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in the form of a bird-view image, and the control display image in the form of a bird's eye view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may be converted into a control display image in the form of a user's point of view so as to match the user's point of view in the vehicle and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view seen while the user is actually in the vehicle)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eg, a button, etc.)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o convert the control display image.

또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varie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is processed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changed. A control display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즉,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후술)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에 포함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의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로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차량 주변 영상은 변화하게 된다. 변화되는 차량 주변 영상은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 전송되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변화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field of view of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user's mo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vehicle's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 and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may change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changes,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will change The changed vehicle surrounding image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based on the changing vehicle surrounding image.

이때,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을 토대로 결정되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모션은 사용자의 수조작 및 시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위치) 및 해당 방향으로 시선이 머문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user's region of interest (ROI)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motion. Here, the user's mo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and gaze information, and the user's gaz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gaze direction (location) and the time the gaze stay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수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 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조작을 토대로 결정되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receive an ROI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a camera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OI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The angle of view of the sensor unit 100 may be varied.

또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고 해당 방향으로 시선이 머문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이상 시선이 머문 위치를 사용자의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에는 사용자의 동공 또는 홍채를 검출하는 동공 인식 모듈 또는 홍채 인식 모듈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detec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and measure the time the gaze stay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location where the gaze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s the user's ROI, and is located in the determined ROI.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be varied to obtain a corresponding image. In order to detect the user's gaze direc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include a pupil recognition module or an iris recogni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user's pupil or iris.

여기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때,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차량 주변 영상에 대하여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크롭(Crop) 및 시프트(Shift)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차량 주변 영상은 고해상도로 획득될 수 있어 영상 확대가 가능하나, 주차 공간 영상은 저해상되로 획득되어 영상 확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차량 주변 영상에 대하여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크롭(Crop) 및 시프트(Shift) 기능을 적용하여 차량 주변 영상의 영역 중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보다 자세히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varied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gion of interest,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zooms in and zooms out images around the vehicle. Out), crop and shift functions can be appli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can be obtained in high resolution so that the image can be enlarged, but since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is obtained at a low resolution and thus image enlargement is impossible,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is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By applying the Zoom In, Zoom Out, Crop, and Shift functions to have.

도 5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최초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주차 공간 영상 대비 고해상도 영역인 차량 주변 영상이 더 확대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며(Zoom In 케이스 1), 도 5(c)는 고해상도 영역인 차량 주변 영상이 확장 이동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고(Zoom In 케이스 2), 도 5(d)는 고해상도 영역인 차량 주변 영상이 확장 이동된 상태에서 주차 공간 영상 대비 차량 주변 영상이 더 확대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며(Zoom In 케이스 3), 도 5(e)는 최초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으로 복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Zoon Out 케이스).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varied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s ROI is obtained. Fig. 5 (a) shows an example of the initial control display image, and Fig. 5 (b) shows an example of the control display image in which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which is a high-resolution area compared to the parking space image, is further enlarged (Zoom In case). 1), FIG. 5(c)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display image in which an image around the vehicle, which is a high-resolution area, is extended and moved (Zoom In case 2), and FIG. It shows an example of the control display image in which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compared to the parking space image is further enlarged (Zoom In case 3), and FIG. 5(e) shows a state returned to the initial control display image (Zoon) Out case).

이에 따라,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이 가공됨으로써, 차량의 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모션에 능동적으로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원격 주차 제어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detects the user's motion to change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 and controls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changes. By processing the display image, a control display image that is active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ehicle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precision of remote parking control can be improved.

한편,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차량(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 또는 카메라 센서부(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부(100)는 인증 정보가 차량(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 또는 카메라 센서부(100))으로 전송된 경우에만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acqui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from the user and transmit it to the vehicle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or the camera sensor unit 100 ), and the camera sensor unit 100 .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transmit i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or the camera sensor unit 100 ).

즉, 원격 주차 제어를 개시하기 전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인증 정보와 미리 등록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획득된 인증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센서부(100)는 인증 정보가 차량으로 전송된 경우에만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 전달함으로써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가 개시될 수 있다.That is, before starting the remote parking control,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acqui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and when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registe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y vehicle. Accordingly, the camera sensor unit 100 obtain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 thereby starting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 지문 정보 및 스마트키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홍채 정보 및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에는 홍채 인식 모듈 및 지문 인식 모듈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and smart key code information,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may include an iris recognition module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to obtain the iris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have.

한편,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 및 차량 간 송수신하는 모든 정보(차량 주변 영상, 차량의 위치 정보, 인증 정보)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송수신되기 때문에, 그 보안 강화를 위해 각 정보는 암복호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ll information (vehicle surrounding images,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and the vehicl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each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decrypted to enhance its security.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remote pa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차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차에 대한 원격 제어를 준비한다(S100).The remote pa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First,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prepares a remote control for parking of a vehicle in a parking space ( S100 ).

도 7을 참조하여 S1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차량의 웨이크업(Wake Up)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차량(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 또는 카메라 센서부(100)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 및 카메라 센서부(100)가 직접 통신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으로 전송한다(S110). When step S100 is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transmits a wake-up signal for waking up the vehicle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or the camera sensor unit 100 Hereinafter,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and the camera sensor unit 100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110).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120), 현재의 슬립(Sleep) 모드가 유지되고(S130),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S120), 카메라 센서부(100)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 전송한다(S140).When the wakeup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S120), the current sleep mode is maintained (S130), and when the wakeup signal is normally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S120), the camera sensor unit 1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ake-up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S140).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카메라 센서부(1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50), 응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S160) 카메라 센서부(100)로 송신하고(S170),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카메라 센서부(100)로 재송신한다(S110).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determines whether a response signal to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mera sensor unit 100 (S150),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is obtained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o the camera sensor unit 100 (S160) (S170), and retransmits a wake-up signal to the camera sensor unit 100 when a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S110).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S100 단계를 통해 원격 주차 제어의 준비가 완료되면, 측위부(200)는 영상 인식 장치(CAM_CCTV)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판단 신호와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단말(SMK)로부터 수신한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200).Referring back to FIG. 6 , when the preparation for remote parking control is completed through step S100 , the positioning unit 200 receive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and the remote terminal SMK possessed by the us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is generated based on each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 S200 ).

이어서, 카메라 센서부(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S300).Next, the camera sensor unit 100 acqui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S300).

이어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영상 인식 장치(CAM_CCTV)에 의해 획득된 주차 공간 영상, 및 카메라 센서부(10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를 위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 센서부(1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차를 원격 제어한다(S400).T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synthesizes the parking spac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CAM_CCTV)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obtained by the camera sensor unit 100 to display a control display for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By generating an imag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providing the user with a control display image that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The parking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is remotely controlled (S400).

도 7을 참조하여 S4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측위부(200) 및 카메라 센서부(100)로부터 각각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 주변 영상을 전송받고, 또한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 서버를 통해 주차 공간 영상을 전송받는다(S410).When step S40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from the positioning unit 200 and the camera sensor unit 100, respectively, and also the parking space A parking spac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S410).

이어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주차 공간 내에서의 차량의 위치가 반영되도록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20).T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generates a control display image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by synthesizing the parking space image and the vehicle surrounding image based on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user ( S420).

이후,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reafter,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change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is processed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changes. A control display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즉,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S430)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로 송신하고(S440), 제어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CAM_ECU)에 의해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되며(S450), 이후 S200 단계 및 S300 단계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가변된 화각에 따라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이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로 전송되고, 최종적으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10).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는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주차 제어 중지 조작이 있을 때까지 순환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based on the user's motion (S430) and transmits it to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S440),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changed by the camera sensor control unit CAM_ECU that has received the control signal (S450), and thereafter, through steps S200 and S300,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obtained angle of view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changed angle of view.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and finally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is a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s changed. is provided to the user (S410). Steps S410 to S450 are cyclically performed until the user's operation to stop the parking control through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control display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real time.

한편, S400 단계에서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가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때,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는 사용자의 모션을 토대로 결정되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카메라 센서부(10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모션은 사용자의 수조작 및 시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changes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in step S400 ,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determines the user's region of interest (ROI) based on the user's motio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sensor unit 100 may be varied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interest), and in this case, the user's mo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user's manual manipulation and gaze information.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를 수행할 때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이와 함께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구성과 병렬적으로,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주행 제어가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300)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display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has been mainly described. In parallel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display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A user's driving control for controll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300 .

실시예 1에 따를 때, 주차 공간 영상 및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으로 주차를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원격에서 차량의 주차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차량에 적용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능동적으로 가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격 주차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display image required for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parking through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parking space image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arking of the vehicle remotely more conveniently The precision of remote parking control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display image that is active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by utilizing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applied to the vehicl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objec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and a controller 20 .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며, 초점 거리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어 대상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은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어 자율 주행 제어에 요구되는 객체 인식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is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by applying 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the field of view (FOV) is variable as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and the target object can be recognized. Since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operation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n object recognition result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control.

제어부(20)는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vari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recognizes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and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Autonomous driving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자율 주행 차량은 장착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에 의해 획득되는 대상 객체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이 제어되기 때문에,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객체 인식 성능은 자율 주행 제어 정밀도에 직결된다. 그러나, 대상 객체의 사이즈가 작거나 Occulusion이 발생한 경우, 또는 환경 조건에 의해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Blur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한 대상 객체의 인식 및 추적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autonomous vehicle of Example 2, since autonomous driving is controlled based on the target object recognition result obtained by the mounted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the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is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ecision of autonomous driving control.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target object is small or occulusion occurs, or when blur occurs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recognition of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and tracking performance is reduc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20 chang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recognizes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and displays the recognition result. Based on this, autonomous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can be controlled.

도 9를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하면,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이 대상 객체를 인식한 결과에 대하여 딥 러닝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할 경우, 전술한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대상 객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When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9 , when deep learning or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target object by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the target object may not be recognized or Misrecognition may occur.

따라서, 제어부(20)는 대상 객체가 미인식되거나 오인식된 경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화각이 가변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대상 객체를 인식하며, 그 인식 결과에 딥 러닝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객체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arget object is unrecognized or misrecognized, the controller 20 chang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and controls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with the variable angle of view. By recognizing a target object through the system, and applying deep learning or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the recognition result, the meaning of the target object can be grasped to control autonomous driving of an autonomous vehicle.

이때, 제어부(20)는 대상 객체에 대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인식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인식도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인식 성능을 지표하는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해상도가 채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may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is increased only wh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for the target objec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is a parameter indicative of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 and for example, a resolution may be employed.

이에 따라, 대상 객체에 대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인식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대상 객체에 대한 미인식 또는 오인식으로 인해 자율 주행 제어 정밀도가 저감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0)는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화각이 가변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대상 객체를 인식하며, 그 인식 결과에 딥 러닝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객체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for the target objec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autonomous driving control precision may be reduced due to non-recognition or misrecognition of the target object, so that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arget object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is varied so that the resolution fo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target objec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객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은 자율 주행 과정에서 대상 객체를 인식한다(S10).A method of recognizing an objec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First,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10 mounted on the autonomous vehicle recognizes a target object during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 S10 ).

이어서, 제어부(20)는 대상 객체에 대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인식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S20),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화각이 가변된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10)을 통해 대상 객체를 인식하며, 그 인식 결과에 딥 러닝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객체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한다(S30).Then, wh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for the target objec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S20), the controller 20 vari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10 so as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and , the target object is recognized through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10 with a variable field of view, and the meaning of the target object is grasped by applying deep learning or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the recognition result to control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 S30).

실시예 2에 따를 때,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는 방식을 통해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y improv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hrough a method of varying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improved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실시예 1>
100: 카메라 센서부
110, 120, 130, 140, 150: 제1 내지 제5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200: 측위부
300: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
VEH: 차량
CAM_ECU: 카메라 센서 제어 장치
SMK_ECU: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 장치
ECU module: 제어부
CAM_CCTV: 영상 인식 장치
SMK: 원격 단말
<실시예 2>
10: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20: 제어부
<Example 1>
100: camera sensor unit
110, 120, 130, 140, 150: first to fifth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s
200: positioning unit
300: remote control device unit
VEH: vehicle
CAM_ECU: Camera sensor control unit
SMK_ECU: Smart key system control device
ECU module: control unit
CAM_CCTV: Video Recognition Device
SMK: remote terminal
<Example 2>
10: Variable angle camera module
20: control unit

Claims (9)

복수의 렌즈가 포함된 멀티 레이어 렌즈 구조가 적용되어 자율 주행 차량에 장착되며, 초점 거리 및 상기 각 렌즈의 굴절률이 제어됨에 따라 화각(FOV: Field Of View)이 가변되어 대상 객체를 인식하는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주차 공간에 설치된 영상 인식 장치에 의해 획득된 주차 공간 영상과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객체가 포함된 상기 자율 주행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차량의 원격 주차 제어를 위한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차 공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주차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A multi-layer lens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is applied and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and as the focal length and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ens are controlled, the field of view (FOV) is changed to recognize the target object. camera modu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recognize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and control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and
A control display image for remote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a parking space image obtained by an image recognition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and an image surrounding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cluding the object recognized by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A remote parking system comprising a; by providing to the user after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remotely control the parking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인식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해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target object is increased only wh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for the target object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 결과에 딥 러닝(Deep Learning) 또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applying deep learning or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the recogni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동작 제어에 따라 가공되는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차 공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주차를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the user, parking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판단 신호와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위치 판단 신호의 각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nstalled in the vehicle, based on each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and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in the parking space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ing uni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측위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공간 영상 및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주차 공간 내에서의 상기 차량의 위치가 반영되도록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the control display image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A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고,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이 가변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가공되는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may vary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and the control display image processed based on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that changes a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is changed A remot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o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토대로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해당하는 영상이 획득되도록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의 화각을 가변시키되,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상기 사용자의 수조작 및 시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varies the angle of view of the variable angle of view camera module to obtai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gion of interest (ROI)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wherein the user's motion is A remote par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user's manual operation and gaz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가변 화각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된 경우에만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주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mote control device unit obtain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from the user,
The variable field of view camera module acquires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only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KR1020200144386A 2018-07-02 2020-11-02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KR102343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86A KR102343298B1 (en) 2018-07-02 2020-11-02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08A KR102584955B1 (en) 2018-07-02 2018-07-02 System for remote parking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KR1020200144386A KR102343298B1 (en) 2018-07-02 2020-11-02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08A Division KR102584955B1 (en) 2018-07-02 2018-07-02 System for remote parking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145A KR20200127145A (en) 2020-11-10
KR102343298B1 true KR102343298B1 (en) 2021-12-24

Family

ID=7917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86A KR102343298B1 (en) 2018-07-02 2020-11-02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726B1 (en) * 2020-12-14 2022-12-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Side obstacle warning system and warn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444A (en) *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On-vehicle camera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17524178A (en) 2014-08-05 2017-08-24 コンティ テミック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Driver assista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90B1 (en) * 2010-10-28 2017-08-08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Image pre-processor for vehicle and image pre-process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26152A (en) * 2011-05-11 2012-11-21 (주)엠아이웨어 Divice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and divice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KR101508254B1 (en) * 2012-04-02 2015-04-0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 vehicular blackbox using two cameras and a valid pixel detecting method for providing distortionless im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444A (en) * 2006-04-14 2007-11-01 Toyota Motor Corp On-vehicle camera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17524178A (en) 2014-08-05 2017-08-24 コンティ テミック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Driver assista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145A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85943B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31714B2 (en) Vehicle apparatus
CN107128282B (en) Moving device control of electric vehicle door
US11179981B2 (en) Vehicle trailer connect system
WO2019206270A1 (en) Distance measurement method,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612554B (en) Intelligent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20100082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motor vehicle side door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obstacles
US9123251B2 (en) Image system for automotive safety applications
EP3531398B1 (en) Rear lateral sid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learning of driving pattern
KR1022663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Multi Preference
CN110070058A (en) A kind of vehicle-mounted gesture identifying device and system
KR102584955B1 (en) System for remote parking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KR102343298B1 (en) Apparatus of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and system of remote parking including the same
CN1148681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0083318A1 (en) Head-up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and automobile
JP7386792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s
KR20130013711A (en) Auto mirro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40073131A (en) Automatic parking control method of interlocking CCTV camera
JP2019151211A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US11351963B2 (en) User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uthentication score
JPH06206507A (en) Inter-vehicle distance detector
JP2021001447A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6044517A (en) Mirror control device
CN114007928B (en) Method and assistance system for carrying out a maneuvering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by means of a camera-based determination of a distance to the motor vehicle
JP7375654B2 (en) Remote parking system and parking assistance control device us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