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28B1 -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28B1
KR102343228B1 KR1020200083481A KR20200083481A KR102343228B1 KR 102343228 B1 KR102343228 B1 KR 102343228B1 KR 1020200083481 A KR1020200083481 A KR 1020200083481A KR 20200083481 A KR20200083481 A KR 20200083481A KR 102343228 B1 KR102343228 B1 KR 10234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quantitative
qualitative
business pla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식
강주영
도진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입력받는 단계, 각 사업계획서의 항목들을 추출하고, 각 항목의 성격에 따라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정량적 내용을 평가하여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량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들을 선정하고,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상기 정량 평가 점수와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HITE PAPER EVALUATION}
본 발명은 사업계획서를 평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비용을 수반하는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를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해당 사업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은 투자 유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업자가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평가한다. 작성된 사업계획서는 투자자들이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하며, 신청회사의 개요, 사업의 규모, 주요 기술진, 기술 내용 소개, 사업 추진 계획 등을 포함한다.
대규모 사업의 한 예로서, 인공위성 제작 및 발사 관련 사업은 수 억원 내지 수 천억원의 가격 규모를 갖고, 제작부터 발사까지의 시간적 규모도 상당하다. 이러한 대규모의 비용과 시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위성이라고 불리는 큐브 위성도 발사되고 있다.
하지만 큐브 위성 역시 억 단위의 비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일반적인 위성 사업을 진행하려는 중소 기업 또는 개인에게는 큰 부담이다. 즉, 인공위성 사업의 비용과 시간의 규모는 인공위성 산업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인공위성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다른 산업군에 비해서도 적극적인 투자 유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투자를 결정하는 투자자들은, 제출된 여러 사업계획서들을 확인하고 투자를 결정한다. 대규모의 비용과 시간을 수반하는 사업일수록, 사업계획서의 세부 항목들을 더욱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투자 유치를 받기 위해 제출하는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고,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이 객관적으로 수립되기 어렵다. 사업계획서의 정량적인 내용은 복수의 사업계획서들 간 수치상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정성적으로 작성된 부분을 비교하여 점수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가가 적은 분야의 사업인 경우,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기 위한 인력 부족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업계획서의 정량적 내용 및 정성적 내용을 평가하는 기준을 확립하고, 확립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여 점수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입력받는 단계, 각 사업계획서의 항목들을 추출하고, 각 항목의 성격에 따라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정량적 내용을 평가하여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량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들을 선정하고,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상기 정량 평가 점수와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 평가 기준은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인력에 포함된 전문가의 수, 사업 진행에 필요한 금액의 투자 유치 확보 비율, 대기업과의 계약 여부, 관련 사업의 경험, 회사의 설립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의 학위, 연구 분야, 직장 중 적어도 하나의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력 정보와 상기 사업계획서의 사업 분야의 키워드와의 연관성을 기초로 상기 전문가들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이 임의의 법률을 위반할 가능성에 대한 법률 평가 점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의 명령들(instructions)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의 항목들을 추출하는 단계, 각 항목을 기초로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 그리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 정량 평가 점수와 정성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정량 평가 점수와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들을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를 수행할 법률 전문가들을 선정하고, 상기 법률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법률 평가 점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의 정량 평가 점수와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매긴 순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 관련 산업 등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기 위한 전문가의 수가 적은 경우에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사업계획서를 평가할 수 있고, 잠재적 투자자들에게 해당 사업계획서를 평가하는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입력받고, 각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정성적, 정량적, 법률적으로 평가한다. 이후 각 사업계획서의 항목별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종합 평가 점수를 출력한다.
이때 각 항목별 평가 점수의 반영 비율은 항목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성 평가 기준에 따른 점수는 40%, 정량 평가 기준에 따른 점수는 40%, 법률 평가 기준에 따른 점수는 20%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인공위성 사업에 관련한 사업계획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사업의 분야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된 경우,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서버,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고,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들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공지능 모델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받는 사업계획서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한 예로서 전자문서 형태의 파일일 수 있다. 전자문서는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가 제공하는 형식 또는 플랫폼을 통해 입력받은 웹 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사업계획서의 내용들을 입력받기 위해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일정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을 구분하여 템플릿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템플릿을 통해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자유롭게 기재 가능한 영역과 정해진 숫자 또는 문자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량적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은 미리 설정된 문자들을 제한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정성적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에 제한 없이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정한 형식이 없는 문서 형태의 사업계획서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작성된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추출하기 위해서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사업계획서의 항목과 이에 대응되는 내용을 추출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항목들을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들은, 기재된 내용이 표 형식인지, 줄글 형식인지, 수식 형식인지 등에 따라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가 입력받는 복수의 사업계획서 파일들은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가 미리 제공한 양식에 따라 작성된 파일이거나, 양식이 일정하지 않은 파일일 수 있다.
복수의 사업계획서 파일들이 통일되지 않은 양식을 갖는 경우, 비교 및 평가를 위해서 모든 사업계획서 파일들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내용을 추출하여 비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업계획서에서 추출한 항목의 이름을 서로 동일한 경우, 해당 항목의 내용을 비교 가능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때 비교 가능한 내용들이 서로 다른 항목에 포함된 경우,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을 통해 각 항목들에서 추출한 내용들 중 비교 가능한 내용만을 다시 추출할 수 있다.
즉 항목의 이름으로 해당 내용을 단순 비교할 수도 있으나, 항목의 이름과 무관하게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전체 내용을 먼저 추출하고,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 등으로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비교 가능한 내용끼리 비교할 수도 있다. 한편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추출한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정성적 내용과 정량적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구분 기준은 각 내용이 작성된 항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목 이름이 투자금 유치 여부인 경우, 항목 내에 기재된 투자금이 평가 내용이므로, 해당 내용은 정량적 내용이고,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정량 평가 기준은 표 1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량 평가 기준 또는 점수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추가,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량 평가 기준은 해당 사업계획서를 작성한 회사의 설립연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내용 점수
전문가 인력 구비 여부 인력에 포함된 전문가 수가 상위 25% 이하인 경우 +1
인력에 포함된 전문가 수가 상위 25% 초과 75% 이하인 경우 0
인력에 포함된 전문가 수가 상위 75% 초과인 경우 -1
투자 유치 금액 사업 진행에 필요한 금액의 50% 초과하여 투자 확보한 경우 +1
사업 진행에 필요한 금액의 50% 이하 25% 초과하여 투자 확보한 경우 0
사업 진행에 필요한 금액의 25% 이하 투자 확보한 경우 -1
대기업과의 계약 여부 대기업과의 계약 수가 상위 25% 이하인 경우 +1
대기업과의 계약 수가 상위 25% 초과 75% 이하인 경우 0
대기업과의 계약 수가 상위 75% 초과인 경우 -1
관련 사업의 경험 관련 사업을 진행한 횟수가 상위 25% 이하인 경우 +1
관련 사업을 진행한 횟수가 상위 25% 초과 75% 이하인 경우 0
관련 사업을 진행한 횟수가 상위 75% 초과인 경우 -1
표 1에서, 대기업이란 한국의 경우 KOSPI 지수, 미국의 경우 NASDAQ 지수 또는 S&P 500 등 주가 지수에 포함된 대기업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정성적 내용은,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가 선정한 전문가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이때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다수의 전문가들의 프로필이 등록된 특정 웹사이트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문가들의 점수를 매기고, 특정 점수 이상인 전문가들을 선정하여 선정된 전문가들에게 정성적 내용의 평가를 위임할 수 있다.
이때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각 사업계획서(200)에 기재된 정량적 내용을 제외하고, 정성적 내용만을 전문가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등록된 전문가의 프로필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서의 평가에 적합한 전문가들을 복수의 기준들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평가 기준과 평가 내용, 평가 점수는 표 2와 같을 수 있으며,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기준 내용 점수
전문가의 학위 사업 내용과 관련된 전공인 경우 +1
사업 내용과 관련된 전공이 아닌 경우 -1
전문가의 연구 분야 사업 내용과 관련된 논문 작성 건수가 상위 25% 이하인 경우 +1
사업 내용과 관련된 논문 작성 건수가 상위 25% 초과 75% 이하인 경우 0
사업 내용과 관련된 논문 작성 건수가 상위 75% 초과인 경우 -1
전문가의 직장 사업 내용과 관련된 직장인 경우 +1
사업 내용과 관련된 직장이 아닌 경우 -1
표 2에서, 예를 들어 인공위성 사업계획서인 경우, 사업 내용과 관련된 전공이란 기계, 소프트웨어, 전자, 전기, 항공, 우주, 산업공학, 통신공학을 의미할 수 있다. 사업 내용과 관련된 논문이란 인공위성 제작 또는 발사를 주제로 작성된 논문을 의미할 수 있다. 사업 내용과 관련된 직장이란 항공, 우주, 위성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직장을 의미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전문가들의 이력과 사업 내용과의 관련성은 키워드의 포함 여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을 표 1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점수를 매긴다. 관리자가 설정한 기준 점수 이상인 전문가들에게만 사업계획서의 정성적 내용의 평가를 의뢰할 수 있다. 선정된 전문가들은 각 사업계획서에 매긴 점수를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각 사업계획서마다 전문가들이 매긴 점수를 평균하거나 합산할 수 있다.
한편 정성 평가 기준은, 해당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법률을 위반할 위험이 있는지를 더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 사업의 경우, 작성된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공위성을 제작 또는 발사하는 경우 특정 법률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다. 이때 법률 평가는 등록된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선정된 법률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웹사이트 또는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수집한다(S110).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평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사업계획서 양식을 사업자들에게 제공하고, 동일한 양식의 사업계획서들을 수집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각 사업계획서(200)에 기재된 정량적 내용을 추출하고,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각 항목에 점수를 부여하는 정량 평가를 진행한다(S120).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OCR 등의 기능 또는 사업계획서 양식에 따라 정량적 내용이 기재된 항목을 인식하고, 해당 항목에 작성된 내용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정량적 내용이 기재된 항목은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에 이미 저장된 내용이거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전문가 평가 기준에 따라, 사업계획서(200)들의 정성 평가를 위임할 전문가를 선정한다(S130). 전문가를 선정하는 기준은 표 2와 같을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각 사업계획서(200)에 기재된 정성적 내용을 추출하여 S130 단계에서 선정된 전문가들에게 추출한 정성적 내용을 제공한다(S140). 예를 들어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OCR을 이용하여 사업계획서(200)의 항목들을 파악하고, 이 중 정성적 내용이 기재된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S120 단계에서 추출한 정량적 내용이 기재된 항목 이외의 항목들은 정성적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정성적 내용이란 예를 들어, 사업 목표의 타당성, 사업을 위한 추진 전략을 위한 타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선정된 전문가들로부터 각 사업계획서(200)의 정성 평가 점수와 법률 평가 점수를 수집한다(S150).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전문가들에게 특정 웹사이트 또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점수들을 수집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각 사업계획서(200)의 정량 평가 점수, 정성 평가 점수, 법률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종합 평가 점수를 출력하고, 사업계획서(200)들의 순위를 출력한다(S160).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업계획서 평가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300)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컴퓨팅 장치(3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스토리지(330), 통신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컴퓨팅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310)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3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32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3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4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 관련 산업 등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기 위한 전문가의 수가 적은 경우에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사업계획서를 평가할 수 있고, 잠재적 투자자들에게 해당 사업계획서를 평가하는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입력받는 단계,
    각 사업계획서의 항목들을 추출하고, 각 항목의 성격에 따라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서 분류한 정량적 내용을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량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의 학위, 논문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분야, 그리고 직장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력 정보와 상기 사업계획서의 사업 분야의 키워드와의 연관성을 기초로 사업계획서 평가와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업계획서 평가와의 관련성 점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 중에서,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적 내용에 대한 정성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서 분류한 정량적 내용을 제외하고,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적 내용을 선정된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평가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상기 정량 평가 점수와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1)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이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구분된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경우, 상기 템플릿에서 구분된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에 따라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고,
    2)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이 통일되지 않은 양식으로 작성된 경우, 각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한 내용에 포함된 항목의 이름 및 해당 항목 내에 기재된 평가 내용을 기초로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며,
    3) 각 사업 계획서에서 추출한 항목들 중에서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의 구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예외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외 항목의 형식이 표 형식인지 줄글 형식인지에 따라 상기 예외 항목을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분류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정량 평가 기준은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인력에 포함된 전문가의 수, 사업 진행에 필요한 금액의 투자 유치 확보 비율, 대기업과의 계약 여부, 관련 사업의 경험, 회사의 설립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이 임의의 법률을 위반할 가능성에 대한 법률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동작 방법.
  5.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의 명령들(instructions)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의 항목들을 추출하는 단계,
    각 항목을 기초로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서 분류한 정량적 내용을 정량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량 평가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의 학위, 논문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분야, 그리고 직장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력 정보와 상기 사업계획서의 사업 분야의 키워드와의 연관성을 기초로 사업계획서 평가와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업계획서 평가와의 관련성 점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문가들 중에서,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적 내용에 대한 정성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각 사업계획서에서 분류한 정량적 내용을 제외하고,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적 내용을 선정된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평가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량 평가 점수와 상기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을 평가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1)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이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구분된 템플릿을 통해 작성된 경우, 상기 템플릿에서 구분된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에 따라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고,
    2)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이 통일되지 않은 양식으로 작성된 경우, 각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한 내용에 포함된 항목의 이름 및 해당 항목 내에 기재된 평가 내용을 기초로 각 사업계획서에 기재된 내용을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으로 분류하며,
    3) 각 사업 계획서에서 추출한 항목들 중에서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의 구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예외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외 항목의 형식이 표 형식인지 줄글 형식인지에 따라 상기 예외 항목을 정량적 항목과 정성적 항목으로 분류하는, 컴퓨팅 장치.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정성 평가를 수행할 법률 전문가들을 선정하고, 상기 법률 전문가들로부터 상기 각 사업계획서의 법률 평가 점수를 제공받는, 컴퓨팅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사업계획서들의 정량 평가 점수와 정성 평가 점수를 기초로 매긴 순위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00083481A 2020-07-07 2020-07-07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34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481A KR102343228B1 (ko) 2020-07-07 2020-07-07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481A KR102343228B1 (ko) 2020-07-07 2020-07-07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28B1 true KR102343228B1 (ko) 2021-12-23

Family

ID=7917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481A KR102343228B1 (ko) 2020-07-07 2020-07-07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421A (ja) * 1992-03-04 1993-09-28 Fujitsu Ltd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2092234A (ja) * 2000-09-18 2002-03-29 Sony Corp アイデア評価装置、アイデア評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方法
KR20200023259A (ko) * 2018-08-24 2020-03-04 김보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1140A (ko) * 2018-11-05 2020-05-13 (주) 블록체인오에스 집단의사결정을 위한 의회 네트워크 기반 투자 결정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421A (ja) * 1992-03-04 1993-09-28 Fujitsu Ltd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2092234A (ja) * 2000-09-18 2002-03-29 Sony Corp アイデア評価装置、アイデア評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方法
KR20200023259A (ko) * 2018-08-24 2020-03-04 김보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51140A (ko) * 2018-11-05 2020-05-13 (주) 블록체인오에스 집단의사결정을 위한 의회 네트워크 기반 투자 결정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z'mina et al. Using Data Analysis Methodology to Foster Professional Competencies in Business Informaticians.
Duarte et al. An optimization‐based approach for designing attribute acceptance sampling plans
CN113947322A (zh) 一种基于FP-Growth算法的画像匹配方法及系统
Botez Recent challenge for auditors: using data analytics in the audit of the financial statements
CN111738822A (zh) 审计员推荐方法及装置
CN115641101A (zh) 一种智能化招聘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Evans et al. Simulation-based analysis of a forced distribution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CN113723774A (zh) 答题评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04054954A (ja) リスク診断システム、リスクマップ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43228B1 (ko) 사업계획서 평가 방법 및 장치
JP6489340B1 (ja) 比較対象企業選定システム
Mitsuzuka et al. Analysis of CSR activities affecting corporate value using machine learning
CN116433081A (zh) 企业科创潜力评估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Hassan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Securit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20200005204A1 (en) Determining employment type based on multiple features
CN115587830A (zh) 工作任务激励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61050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Ramsey et al. Text mining to identify customers likely to respond to cross-selling campaigns: Reading notes from your customers
Pooja et al. Sentiment based stock market prediction
Chen et al.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es of NPD by Hybrid Classification Model Techniques
JP2020027560A (ja) 比較対象企業選定システム
Yel Project and analyst and software engineer ranking and job assignment problem solu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with fuzzy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CN117196550B (zh) 一种人才与企业供需匹配的方法及系统
WO2023021647A1 (ja)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El Hannach et al. An optimal portfolio selection based on a hybrid approach to improve projects oriented organ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