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601B1 - 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01B1
KR102342601B1 KR1020207012986A KR20207012986A KR102342601B1 KR 102342601 B1 KR102342601 B1 KR 102342601B1 KR 1020207012986 A KR1020207012986 A KR 1020207012986A KR 20207012986 A KR20207012986 A KR 20207012986A KR 102342601 B1 KR102342601 B1 KR 10234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servoir
dispenser
refrigera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2308A (en
Inventor
에릭 스칼프
Original Assignee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6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는 일부 경우에 탠덤 배치의 저장통을 갖는 제빙기를 사용한다. 제1 저장통은,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고, 제1 방향으로 작동될 때 얼음 디스펜서에 공급하고, 제2 방향으로 작동될 때 제1 저장통 아래에 배치된 제2 저장통에 공급하는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포함한다. 냉장고는 또한 다른 양태에서, 예를 들어 얼음 저장통에 접근하기 위해 냉장고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냉장고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갖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Refrigerators in some cases use ice makers with bins in a tandem arrangement. The first reservoir contains reversible ice that receives ice produced by the ice machine and supplies the ice dispenser when actuated in a first direction and to a second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first reservoir when actuated in a second direction. including mobile. The refrigerator may also include, in another aspect,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having a dispenser recess that may be detached from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closed, for example to access the ice reservoir.

Description

탠덤 저장통 및/또는 분리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가진 냉장고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본 출원은 2017년 12월 8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5/836,035호의 우선권 혜택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탠덤 보관통 및/또는 착탈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를 가진 냉장고 제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5/836,035, filed December 8, 2017,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ce making system having a tandem bin and/or a removable dispenser recess.

가정용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며, 전자는 신선한 식품 및 액체를 저장하기 위해 결빙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고, 후자는 냉동 식품의 장기 저장을 위해 결빙 온도보다 낮게 유지된다. 수 년 동안 대부분의 냉장고는 두 가지 카테고리 중 하나에 해당되었다. 예를 들어, 탑마운트형 냉장고는 냉장고 상단 근처에 냉동실을 포함하며, 신선식품실 외부 도어와 별도의 외부 도어를 통해 접근하거나 신선식품실 내부 도어를 통해 접근 할 수 있다. 반면에 양문형 냉장고에서는 냉동실과 신선식품실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냉장고 높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Home refrigerators generally include both a fresh food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the former being kept above the freezing temperature for storing fresh food and liquids, and the latter being kept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for long-term storage of frozen foods. Over the years, most refrigerators have fallen into one of two categories. For example, a top-mount refrigerator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near the top of the refrigerator, and can be accessed through an external door separate from the fresh food compartment external door or through an internal fresh food compartment door. On the other hand, in a double door refrigerator,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fresh food compartmen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extend along most of the height of the refrigerator.

도어 장착형 얼음 디스펜서(주로 물 디스펜서와 결합됨)는 이러한 많은 가정용 냉장고의 일반적인 편의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실에 장착된 제빙기에 의해 생산되는 얼음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또 사용자에게 편리한 높이에 냉동실의 외부 도어에 그러한 디스펜서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특징들을 탑마운트형 및 양문형 냉장고에 결합하는 것은 대체로 복잡하지 않았다.A door-mounted ice dispenser (usually combined with a water dispenser) is a common convenience feature of many of these home refrigerators. Since it is possible to mount such a dispenser on the outer door of the freezer at a position convenient for the user and at a location suitable for receiving ice produced by an ice maker normally mounted in the freezer, such features can be incorporated into top-mount and double-door refrigerators. Combining it was usually not complicated.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보텀마운트형 냉장고 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보텀마운트형 냉장고는 냉동실을 신선식품실 아래 및 냉장고 바닥 근처에 배치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신선식품실은 냉동실보다 더 자주 접근하므로 사용자가 매일 접근하는 많은 품목은 사용자에 편리한 높이에서 접근 가능하게 된다. 일부 보텀마운트형 냉장고에는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 각각을 위해 단일 도어가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라고도 하는 다른 디자인에서는 신선식품실을 위해 한 쌍의 양문 도어가 포함된다. 일부 설계에서는 냉동실에 힌지 도어 대신 슬라이딩 도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부 설계에서는 냉동실에 여러 개의 도어를 사용하기도 한다.Recently, however, various types of bottom-mounted refrigerator designs have become popular with consumers. Bottom-mount refrigerators place the freezer compartment below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near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For most people, the fresh food compartment is accessed more frequently than the freezer compartment, so many items a user accesses every day will be accessible at a user-friendly height. Some bottom-mount refrigerators have a single door for each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freezer compartment, while other designs, commonly referred to as "French door" refrigerators, include a pair of double doors for the fresh food compartment. Some designs use sliding doors instead of hinged doors for the freezer compartment, and some designs use multiple doors for the freezer compartment.

그러나 냉동실을 냉장고 하부에 배치하면, 모든 냉동실 도어가 대체로 도어장착형 얼음 디스펜서를 위해서는 너무 낮고, 또 신선식품실 도어에 얼음 디스펜서를 설치하는 것은 얼음 디스펜서를 결빙 온도보다 높은 신선식품실과 맞지 않게 되기 때문에, 도어장착형 얼음 디스펜서의 설계를 복잡하게 한다. 대부분의 얼음 디스펜서들은 제빙기 몰드로부터 저장통으로 얼음을 운반하기 위해 및/또는 저장통으로부터 얼음 디스펜서의 출구 슈트(exit chute)로 얼음을 운반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존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얼음을 얼음 디스펜서보다 높은 고도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f the freezer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all freezer doors are usually too low for a door-mounted ice dispenser, and installing an ice dispenser on a fresh food room door would make the ice dispenser incompatible with a fresh food room that is higher than the freezing temperature. It complicates the design of the door-mounted ice dispenser. Most ice dispensers rely, at least in part, on gravity to transport ice from the ice machine mold to the reservoir and/or from the reservoir to the exit chute of the ice dispenser. Therefore, it is generally desirable to place the ice at a higher elevation than the ice dispenser.

또한, 보텀마운트형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전체 폭에 이르는 비교적 큰 신선식품실을 제공하지만, 특히 많은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될 때는 선반 및/또는 저장통에 의해 유지되는 일부 식품에 대해서는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Also, while bottom-mounted refrigerators typically provide a relatively large fresh food compartment that spans the entire width of the refrigerator, access may be difficult for some food held by shelves and/or bins, especially when a lot of food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have.

따라서, 특히 보텀마운트형 냉장고 내에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제공하고, 또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개선된 방식에 대한 요구가 관련 기술분야에 계속 존재한다.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ing need in the related art for an improved way to provide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particularly in a bottom-mounted refrigerator, and to conveniently access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일 양태에서 탠덤 배치의 저장통을 갖는 제빙기를 이용하는 냉장고를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과 관련된 이들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한다. 제1 저장통은,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고, 제1 방향으로 작동될 때 얼음 디스펜서에 공급하고, 제2 방향으로 작동될 때 제1 저장통 아래에 배치된 제2 저장통에 공급하는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또 다른 측면에서, 냉장고의 도어가 닫겨 있을 때, 예컨대 얼음 저장통에 접근할 목적으로, 냉장고로부터 분리 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가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분야에서의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해결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ddress these and other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technology by, in one aspect, providing a refrigerator utilizing an ice maker having a reservoir in a tandem arrangement. The first reservoir contains reversible ice that receives ice produced by the ice machine and supplies the ice dispenser when actuated in a first direction and to a second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first reservoir when actuated in a second direction. including mobile. Further,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in another aspect,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having a dispenser recess detachable from the refrigerator for the purpose of accessing an ice reservoir, eg,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closed. By providing a refrigerator that does, these and other problems in the art are solv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 냉장고는, 캐비닛; 캐비닛 내에 배치된 제빙기; 제빙기 아래에 배치되고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통;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제1 저장통 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가역성 얼음 이동기;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된 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얼음 디스펜서 - 얼음 디스펜서는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됨 -; 및 제1 저장통 아래에 배치되고, 제1 저장통 내에 있다가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통을 포함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the cabinet; a first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ice machine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generated by the ice machine; a reversible ice mover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d operable to move ic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 ice dispenser configured to dispense ice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the ice dispenser configured to receive ice moved in a first direction by a reversible ice mover; and a second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first reservoir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that is in the first reservoir and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일부 실시예에서,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오거(auger) 또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통은,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이 제2 저장통으로 떨어지도록, 얼음 디스펜서로부터 제1 저장통의 반대쪽 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는 제1 저장통의 바닥벽, 측벽 또는 단부벽에 배치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reversible ice mover comprises an auger or conveyor. 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servoir includes an opening disposed proximate an opposite end of the first reservoir from the ice dispenser such that ic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falls into the second reservoir.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is disposed in the bottom wall, side wall, or end wall of the first reservoir.

일부 실시예에서, 제빙기는 캐비닛 내에서 대체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얼음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전방에 배치되며,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얼음 디스펜서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대체로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 저장통으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대체로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In some embodiments, the ice machine extends generally from front to rear within the cabinet,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versible ice mover moves the ice in a generally forward direction when moving ice with the ice dispenser; When moving ice to the reservoir, it is usually moved in a backward direction.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저장통은 분리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저장통은 제2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분리 가능한 얼음 버킷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얼음 버킷은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저장통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는 또한 정지 위치를 넘어서는 제1 저장통의 분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저장통은 장애물 없이 제빙기 및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Also,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are removable.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reservoir includes an ice bucket disposed within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reservoir.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ice bucket includes at least one handle.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are separable in a sliding manner. Some embodiments als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top configured to limit removal of the first reservoir beyond the rest position, the first reservoir configured to provide unobstructed access to the ice maker and the reversible ice mover.

일부 실시예는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결합된 제어기 및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빙기는 제 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얼음을 떨어뜨리도록 위치되고, 제어기는: 제1 레벨 센서로 제1 저장통의 꽉 차지 않은 상태를 검출하면, 제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낙하된 얼음을 얼음 디스펜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키고; 제1 레벨 센서로 제1 저장통의 꽉 찬 상태를 검출하면,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을 제2 저장통을 향해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킨다. 일부 실시예는 또한 제2 저장통 내에서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제1 및 제2 레벨 센서를 가지고 제1 및 제2 저장통의 꽉 찬 상태를 검출한 때 제빙기에 의한 얼음의 배출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Some embodiments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upled to the reversible ice mover and a first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level of ice in the first reservoir, wherein the ice maker is positioned to drop ice into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n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first reservoir is not full, actuates the reversible ice mover to move the ice that has fallen to the middl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ice dispenser; When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the full state of the first reservoir, the reversible ice mover is operated to move the ice in the first reservoir toward the second reservoir in the second direction. Some embodiments also include a second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level of ice in the second reservoir, wherein the controller has 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to detect a full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It is configured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ice by the ice maker when.

또한, 일부 실시예는 캐비닛에 배치된 냉동실; 캐비닛 내에 냉동실보다 위에 배치되고, 천장벽, 바닥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가지는 신선식품실 - 바닥벽은 신선식품실을 냉동실과 분리시킴 -; 및 신선식품실의 바닥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연장되고, 천장벽,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제빙 콘솔 - 제빙 콘솔은 제빙 콘솔의 내실을 신선식품실로부터 단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함 -;을 포함하고, 제빙기, 제1 저장통, 제2 저장통 및 가역성 일음 이동기는 제빙 콘솔 내에 배치된다.In addition, some embodiments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disposed in a cabinet; a fresh food compartment dispos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e cabinet and having a ceiling wall, a floor wall, and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floor wall separating the fresh food compartment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n ice-making console extending upward from the floor wall of the fresh food room by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fresh food roo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ceiling wall,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t least one wall to insulate; wherein the ice machine, the first reservoir,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reversible sound mover are disposed within the ice-making console.

일부 실시예에서, 얼음 디스펜서는 제빙 콘솔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빙기의 제1 부분은 제1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빙기의 제2 부분은 제2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제2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펜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작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제2 저장통의 이동에 응답하여, 얼음 디스펜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차단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제어기 및 얼음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디스펜서 차단 회로는 제2 저장통이 작동 위치로부터 멀어질 때 사용자 제어부를 제어기로부터 연결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 또는 자기 스위치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ce making console.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ortion of the ice maker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servoir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ice machin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eservoir.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reservoir.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disconnect circuit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ice dispenser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second reservoir away from the actuated posi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and a user control to actuate the ice dispenser, and the dispenser shut-off circuitry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to disconnect the user control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second reservoir is moved away from the actuated position. have.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switch is a contact switch or a magnetic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식품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캐비닛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식품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도어; 캐비닛 내에 배치된 제빙기; 및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용기에 얼음이 분배되며,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캐비닛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t least one food compartment; one or more doors coupled to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provide access to the one or more food compartments;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the cabinet; and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configured to dispens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when the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comprising a dispenser reces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ainer, the container comprising: The ice is dispensed and the dispenser recess is removably mounted within the cabinet to be disengaged from the cabinet when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캐비닛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는 물 공급부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배출구를 통해 배출구 아래에 위치된 용기 내로 물을 분배하도록 배치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출구는,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때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출구가 캐비닛의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캐비닛에 고정 장착된다.Also, in some embodiments, the dispenser recess is slidably mounted within the cabinet.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coupled to the water supply and arranged to dispense water through the outlet and into a container located below the outlet when the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outle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s fixedly mounted to the cabinet such that the outle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remains in a fixed position of the cabinet when the dispenser recess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를 작동 시키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사용자 제어부는 캐비닛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의 사용자 제어부는 디스펜서 리세스부에 장착되고 디스펜서 리세스부와 함께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제어는 패들을 포함한다.Also,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ncludes a user control configured to actu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control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s removably mounted within the cabinet.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cludes a user control configured to actu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control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s mounted on the dispenser recess and detachable from the cabinet together with the dispenser recess.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controls include paddles.

일부 실시예는 캐비닛으로부터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차단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 차단 회로는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때 제어기로부터 사용자 제어부를 연결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위치를 포함한다.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shut-off circuit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 response to disengagement of the dispenser recess from the cabinet.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wherein the dispenser disconnect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contact switch that disconnects the user control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dispenser recess is disconnected from the cabinet.

또한, 일부 실시예는 제빙기 아래에 배치되고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저장통에 결합되어, 캐비닛으로부터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분리하면 캐비닛으로부터 저장통이 추가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통은 제2 저장통이며, 냉장고는: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기 위해, 제2 저장통 위에 그리고 제빙기 아래에 배치된 제1 저장통; 디스펜서 리세스부 위에 배치된 얼음 슈트(chute); 및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얼음을 분배할 때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을 얼음 슈트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얼음 이동기를 더 포함한다.Further,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the dispenser recess coupled to the reservoir such that detaching the dispenser recess from the cabinet removes the reservoir from the cabinet. additionally separated.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reservoir is a second reservoir, and the refrigerator includes: a first reservoir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ice maker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an ice chute disposed over the dispenser recess; and an ice mover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d operable to move the ice in the first reservoir to the ice chute when dispensing the ice.

일부 실시예에서, 얼음 이동기는 제1 저장통 내에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도록 가역적으로 작동 가능하며, 제1 방향으로의 얼음 이동기의 이동은 얼음 슈트로 얼음을 이동시키고, 제2 방향으로의 얼음 이동기의 이동은 제1 저장통으로부터 제2 저장통으로 얼음을 떨어뜨린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장통은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캐비닛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ce mover is reversibly operable to move ice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ithin the first reservoir, wherein movement of the ice mover in the first direction moves the ice into the ice chute, and The movement of the ice mover in two directions drops the ice from the first reservoir to the second reservoir.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servoir is slidably mounted within the cabinet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when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식품실은 냉동실 및 신선식품실을 포함하고, 신선식품실은 캐비닛 내에서 냉동실 위에 배치되고 또 천장벽, 바닥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가지며, 바닥벽은 냉동실로부터 신선식품실을 분리하고; 냉장고는 신선식품실의 바닥벽으로부터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위쪽으로 연장하고 천장벽,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빙 콘솔을 더 포함하고, 제빙 콘솔은 제빙 콘솔의 내실을 신선식품실로부터 단열시키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제빙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제빙 콘솔 내에 배치된다.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one or more food compartments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and a fresh food compartment, the fresh food compartment being dispos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e cabinet and having a ceiling wall, a floor wall, and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bottom wall comprising: separate the fresh food compartment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ice-making console that extends upward from a floor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only by a portion of a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ceiling wall,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ice-making console being the inner chamber of the ice-making console an ice machine,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and a dispenser recess disposed within the ice making console.

본 발명을 특징짓는 이들 및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본 발명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청구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및 그 사용을 통해 달성되는 장점 및 목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는 도면 및 첨부된 설명 사항을 참조해야 한다. 이 요약은 단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청구된 발명의 주요 또는 본질적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청구된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that characterize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form anoth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objects achieved through its use,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escription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This Summary is provided merely to introduce a selection of concepts that are further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and is not intended to identify key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ed invention, nor is i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claimed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 대한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신선식품실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 1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를 위한 제빙 콘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며, 신선식품실 도어가 분리되고 저장통이 완전히 인출된 위치에 있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며, 신선식품실 도어가 분리되고, 전체 폭 선반이 완전히 인출된 위치에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것에 대한 대안적인 전체 폭 선반 지지대의 기능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대안적인 전체 폭 선반 지지대의 기능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빙 콘솔을 이용하는 탑마운트형 냉장고를 도시한 기능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실 도어에 의해 덮인 제빙 콘솔을 이용하는 보텀마운트형 냉장고를 도시한 기능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내로 추가로 연장되는 제빙 콘솔을 이용하는 보텀마운트형 냉장고를 도시한 기능적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제빙 콘솔의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제빙 콘솔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이 개방 위치로 당겨진 도 1의 냉장고의 제빙 콘솔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다른 대안적인 하부 얼음 저장통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냉장고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control system for the refrigerator of FIG. 1 ;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with the fresh food room door ope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making console for the refrigerator of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 in which the fresh food compartment door is separated and the storage bin is completely withdraw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 in which the fresh food compartment door is separated and the full-width shelf is in a fully drawn out position.
FIG. 7 is a functional top view of an alternative full width shelf support to that shown in FIG. 6 ;
FIG. 8 is a functional plan view of an alternative full width shelf support other than that shown in FIG. 6 ;
9 is a functional front view illustrating a top-mounted refrigerator using an ice-making conso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unctional front view illustrating a bottom-mounted refrigerator using an ice-making console covered by a fresh food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unctional front view illustrating a bottom-mounted refrigerator using an ice-making console that is further extended into a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console in the refrigerator of FIG. 1 .
13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console in the refrigerator of FIG. 1 .
14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making console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with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pulled to an open posi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lower ice reservoir other than that shown in FIG. 4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ies of operations for making ice in the refrigerator of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숫자는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며,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 및 기법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냉장고(10)를 도시한다. 냉장고(10)는 가정용 냉장고이며, 캐비닛 또는 케이스(12), 신선식품실(14), 냉동실(16), 하나 이상의 신선식품실 도어(18, 20) 및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22, 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FIG. 1 illustrates an exemplary refrigerator 10 in which various techniques and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The refrigerator 10 is a household refrigerator and includes a cabinet or case 12, a fresh food compartment 14, a freezer compartment 16, one or more fresh food compartment doors 18 and 20, and one or more freezer compartment doors 22 and 24. include

신선식품실(14)은 일반적으로 농산물, 음료, 계란, 조미료, 점심, 치즈 등과 같은 신선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 어는점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다양한 선반, 서랍 및/또는 하위 구획실(sub-compartments)은 식품을 정리 보관하기 위해 신선식품실(14)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부 냉장고 설계는, 상이한 유형의 식품을 위한 환경 조건을 최적하기 위해 상이한 온도 및/또는 상이한 습도로 유지되는 다수의 신선식품실 및/또는 구역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냉동실(16)은 일반적으로 냉동 식품의 장기 보관을 위해 결빙 온도 이하로 유지되며, 식품을 정리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선반, 서랍 및/또는 하위 구획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is general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above its freezing point for storing fresh food such as produce, beverages, eggs, condiments, lunches, cheese, and the like. Various shelves, drawers and/or sub-compartments may be provided within fresh food compartment 14 for organizing food, and some refrigerator designs may be used to optimiz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different types of foo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include multiple fresh food rooms and/or areas maintain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or different humidity. Freezer compartment 16 is generally maintained below freezing temperatures for long-term storage of frozen food, and may include various shelves, drawers and/or sub-compartments for organizing food.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0)는 일반적으로 프렌치 도어 냉장고로 지칭되는 일 종의 보텀마운트형 냉장고이며, 신선식품실에 접근하기 위한 넓은 개방을 제공하기 위해 좌우 양측으로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양문형 신선식품실 도어(18, 20), 그리고 냉동실 내의 물품에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서랍과 유사한 잡아 당기는 형태의 한 쌍의 슬라이딩 냉동실 도어(22, 24)를 포함한다.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은 캐비닛(12)의 전체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 질러 이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 폭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에에서,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 각각에 대해 다양한 조합 및 여러 힌지 결합 및/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포함하는 다른 도어(예를 들어, 한 쌍의 프렌치 냉동실 도어, 단일 슬라이딩 냉동실 도어 또는 하나의 힌지 결합된 신선식품 및/또는 냉동실 도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냉장고(10)는 신선식품실(14) 아래에 배치된 냉동실(16)을 구비한 보텀마운트형 냉장고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유형의 냉장고와 관련하여 원리 및 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탑마운트형 냉장고, 양문형(side-by-side) 냉장고 등이 있다.The refrigerator 10 shown in FIG. 1 is a type of bottom-mounted refrigerator generally referred to as a French door refrigerator, and a pair of double-door type refrigerators hi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provide a wide opening for access to the fresh food room. a fresh food compartment door (18, 20), and a pair of sliding freezer doors (22, 24) of a drawer-like pull to provide access to items in the freezer.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may be considered full width as they run substantially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cabinet 12 .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other doors (e.g., a pair of French freezer doors, a single sliding freezer door or on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hinged fresh food and/or freezer doors) may also be used. Further, the refrigerator 10 is a bottom-mount refrigerator having a freezer compartment 16 disposed below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principle is related to other types of refrigerators. and technology may be used, for example, top mount refrigerators, side-by-side refrigerators, and the like.

냉장고(10)는 또한 얼음 및/또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캐비닛 장착형 디스펜서(2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펜서(26)는 얼음 및 냉수를 모두 분배할 수 있는 얼음 및 물 디스펜서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26)는 입방체 및/또는 분쇄된 얼음만 분배하기 위한 얼음 전용 디스펜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26)는 온수, 커피, 음료 또는 다른 액체를 추가로 분배할 수 있고, 가변 및/또는 빠른 분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얼음과 물은 동일한 위치로부터 분배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얼음과 물을 분배하기 위해 디스펜서 내에 별도의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 also includes a cabinet mounted dispenser 26 for dispensing ice and/or wat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dispenser 26 is an ice and water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both ice and cold water, and in other embodiments, dispenser 26 is an ice-only dispenser for dispensing cubes and/or crushed ice only. can be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dispenser 26 may further dispense hot water, coffee, beverages or other liquids, and may have variable and/or quick dispensing capabilities. In some cases, the ice and water may be dispensed from the same location, while in other cases separate locations within the dispenser may be provided for dispensing the ice and water.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또한 일반적으로 냉장 시스템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는 다수의 컴포넌트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다수의 컴포넌트를 구동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는 냉장고(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어기(4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기(40)에 내장될 수 있지만, 예컨대 대용량 저장 장치 내 또는 제어기(40)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에서와 같이, 제어기(40)와는 물리적으로 다른 곳에 위치한 메모리 스토리지뿐 아니라 휘발성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generally includes one or more controllers configured to control the refrigeration system as well as manage interactions with the user. For example, FIG. 2 depict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10 that includes a controller 40 that receives input from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rives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response. The controller 40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processors 42 and a memory 44 in which program code for execution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be stored. Memory may be embodied in controller 40 , but may be volatile and/or volatile and/or memory storage located physically different from controller 40 , such as in a mass storage device or on a remote computer interfaced with controller 40 . It is also contemplated to include non-volatile memory, cache memory, flash memor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ead-only memory, and the lik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냉각 또는 냉장 시스템(46), 얼음 및 물 시스템(48),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제어부(50)(예를 들어, 스위치, 노브, 버튼, 슬라이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마이크 또는 오디오 입력 장치, 촬상 장치 등의 다양한 조합),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스플레이(52)(다양한 인디케이터, 그래픽 디스플레이, 텍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뿐 아니라, 무엇보다 예를 들어 내부 및/또는 외부 조명(54)과 같이 냉장고 내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추가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사용자 제어부 및/또는 사용자 디스플레이(50, 52)는 예를 들어 냉장고의 내부 및/또는 도어 및/또는 다른 외부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어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피드백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음성 또는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추가 사용자 제어부가 냉장고(10)의 다른 곳, 예를 들어 신선식품실 및/또는 냉동실(14, 16)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10)는 예를 들어 웹 인터페이스 또는 전용 앱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 태블릿,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컴퓨팅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40 includes a cooling or refrigeration system 46 , an ice and water system 48 , and one or more user controls 50 (eg, switches, knobs) for receiving user input. , buttons, sliders, various combinations of touch screen or touch-sensitive displays, microphones or audio input devices, imaging devices, etc.), and one or more user displays 52 (including various indicators, graphic displays, text displays, speakers, etc.) as well as various additional components suitable for use in a refrigerator, such as, for example, interior and/or exterior lighting 54 , among others. User controls and/or user displays 50 , 52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control panels disposed on the interior and/or doors and/or other exterior surfaces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audio feedback may be provided to the user via one or more speakers, and in some embodiments, user input may be received via a voice or gesture-based interface. Additional user controls may be provided elsewhere in the refrigerator 10 , for example in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or the freezer compartment 14 , 16 .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10 may be controlled remotely via a smart phone, tablet,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other network computing device using, for example, a web interface or a dedicated app.

제어기(40)는 또한 냉장고(10) 내부 및/또는 외부의 환경 조건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 다양한 센서(56),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과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냉장고(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4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56)는 또한 도어 스위치, 얼음 디스펜서의 일부가 분리될 때를 감지하는 스위치 및 다른 상태 센서와 같은 추가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The controller 40 may also interface with various sensors 56 , eg, one or more temperature sensors, humidity sensors, etc., disposed to sens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and/or outside the refrigerator 10 . These sensors may be inside or outside the refrigerator 10 ,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 . Sensor 56 may also include additional types of sensors, such as door switches, switches that detect when a portion of the ice dispenser is disconnected, and other status sensors, as will become more apparent below.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40)는 또한, 예를 들어 이더넷, Wi-Fi, 블루투스, NFC, 셀룰러 및 기타 적합한 네트워크(도 2에서 통칭하여 60으로 표시되어 있음)와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60)는 일부 실시예에서 홈 자동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의 홈 자동화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controller 40 may also include wired and/or wireless networks, such as, for example, Ethernet, Wi-Fi, Bluetooth, NFC, cellular, and other suitable networks (collectively designated 60 in FIG. 2 ).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network interfaces 58 to interface with external devices via Network 60 may include a home automation network in some embodiments, and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may be supported, including various types of home automation communication protocols. In other embodiments, other wireless protocols such as Wi-Fi or Bluetooth may be used.

일부 실시예에서, 냉장고(10)는 네트워크(6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62), 예를 들어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등과 인터페이스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고(10)가 제어될 수도 있고 및/또는 냉장고(10)가 사용자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efrigerator 10 may interface with one or more user devices 62 , eg, a computer, tablet, smart phone, wearable device, etc., via the network 60 , through which the refrigerator 10 is controlled and/or the refrigerator 10 may provide feedback to the user.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40)는 운영 체제의 제어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프로그램, 오브젝트, 모듈, 데이터 구조 등을 실행하거나 이들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기(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시퀀스는, 다양한 메모리 및 저장 장치에 다양한 시간에 상주하고 또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된 때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배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여 실제로 배포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은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른 기술들과 결합, 분할, 재정렬, 역전, 변경, 생략, 병렬화 및/또는 보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동작 시퀀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controller 4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ing system and may execute or depend on various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s, components, programs, objects, modu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may include hardware logic to implement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disclosed herein. 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sequence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40 to implemen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esides at various times in various memories and storage devices and is read by one or more hardware-based processors and It may be implemented using program code comprising one or more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perform operations that implement desired functions.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such program code may be distributed as a program product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ertain typ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actually used to perform the distribution. The same applies regardless of the available medium. In addition, the various oper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combined, divided, reordered, inverted, altered, omitted, parallelized, and/or supplemented with other techniques known in the art,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may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sequence of operations.

도 1 및 2에 도시된 냉장고에 대한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서 논의된 특정 구현에 제한되지 않는다.Numer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iscussed herein.

제빙 콘솔(icemaking console)icemaking console

이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부분적으로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되고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연장하는 제빙 콘솔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빙 콘솔(70)은 신선식품실(14)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신선식품실(14)의 바닥벽(72)으로부터 신선식품실의 높이(H)의 일부만큼만 상방으로 연장되고, 신선식품실의 천장벽(74), 우측벽(76) 및 좌측벽(78)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빙 콘솔(70)은 전면벽(82), 천장벽(84), 우측벽(86) 및 좌측벽(88)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전면벽(82)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18, 20)가 닫혀진 때에도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예를 들어, 전면벽(82)은 도어(18, 20)가 닫혀져 있는 때 도어(18, 20)상의 개스킷(92, 94)이 밀폐를 형성할 수 있는 밀폐 표면(90)을 포함할 수 있다.As now shown in Figures 3 and 4, som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late to the use of an ice-making console that is located partially within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extends only a fraction of the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In particular, the ice-making console 70 may be disposed in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and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72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by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H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ceiling wall 74, the right side wall 76, and the left side wall 78 of a food room. The ice-making console 70 may include a front wall 82 , a ceiling wall 84 , a right wall 86 and a left wall 88 , and in some ca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wall 82 includes a door ( 18, 20) may be accessible from the outside even when closed. In some examples, for example, the front wall 82 defines a sealing surface 90 to which the gaskets 92 and 94 on the doors 18 and 20 can form a seal when the doors 18 and 20 are closed. may include

콘솔(70)은, 일부 경우에, 신선식품실(14)의 후방벽(96)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하우징(98)이 후방벽(96)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예를 들어, 후방벽(96)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후방벽(96)에 고정되거나 다르게는 부착된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형성된다). 하우징(98)은 예를 들어 증발기 및/또는 다른 냉각 시스템 컴포넌트, 제어 전자 장치, 공기 덕트 또는 다른 적절한 목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nsole 70 may, in some cases, extend into the rear wall 96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 while in other cases, as shown in FIG. 4 , a separate housing 98 is attached to the rear wall It may protrude from 96 (eg, formed integrally with rear wall 96 or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fixed or otherwise attached to rear wall 96 ). Housing 98 may be used, for example, to provide space for evaporators and/or other cooling system components, control electronics, air ducts, or other suitable purposes.

더욱이, 콘솔(70)의 벽(82, 84, 86 및 88)은 단열될 수 있고(예컨대, 폼 또는 다른 적합한 단열재를 통해), 이로써 콘솔(70)은 단열된 콘솔이며, 이것에 의해 제빙 콘솔(70)의 내실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해 어느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솔(70)은 신선식품실(14)의 바닥벽(72)에 형성된 개구(100)를 통해 냉동실(16)과 유체 연통하며, 따라서 콘솔(70)은 신선식품실(14)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배치되지만, 콘솔(70)은 신선식품실로부터 단열되고 냉동실(16)과 유체 연통하여 냉동실(16)의 연장부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솔(70)은 냉동실(16)과 분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냉동실(16)과 단열되어 있고 별도의 냉각 시스템, 예를 들어 열전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냉동실(16)과 분리되어 있지만 덕트나 통풍구를 통해 유체 결합되어 냉동실 냉각 시스템에 의해 순환되는 냉각 공기를 받게 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walls 82 , 84 , 86 and 88 of the console 70 may be insulated (eg, via foam or other suitable insulation), such that the console 70 is an insulated console, thereby making the ice-making console The inner chamber of 70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any point to make and store i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sole 70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16 through an opening 100 formed in the bottom wall 72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so that the console 70 is connected to the fresh food compartment ( Although physically disposed within the interior of 14 , the console 70 is insulated from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16 , effectively operating as an extens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16 . In other embodiments, the console 70 may be separat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16 , for example insulated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16 , and include a separate cooling system, such as a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or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16 . They may be separate but fluidly coupled through ducts or vents to receive cooling air that is circulated by the freezer cooling system.

또한, 콘솔(70)은 신선식품실 및/또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쉘(shell) 또는 라이너(liner)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솔(70)은 신선식품실 및/또는 냉동실의 쉘 또는 라이너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t can also be understood that the console 7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hell or liner used to form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or the freezer compartment.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the console 7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ell or liner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or the freezer compartment.

일부 실시예들에서 콘솔(70)은 또한 냉장고(10)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제어 패널(102)을 위한 편리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패널(102)은 디스플레이, 버튼, 슬라이더,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온도 설정점 설정, 얼음 및/또는 물 기능 제어, 알람 또는 경고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70)의 천장벽(84)은 제어 패널(102)을 수용하기 위해 이중 레벨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패널이 사용되지 않고 천장벽(84)은 그 깊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높이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console 70 may also provide a convenient location for control panel 102 suitable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refrigerator 10 . For example, control panel 102 may include displays, buttons, sliders, switches, and the like, and is used to perform various control actions, such as setting temperature setpoints, controlling ice and/or water functions, displaying alarms or warning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eiling wall 84 of the console 70 may be dual level to accommodate the control panel 102 , although in other embodiments a control panel is not used and the ceiling wall 84 is not used. ) may be a substantially constant height along its depth. .

일부 예에서 콘솔(70)은 콘솔이 얼음을 제조, 분배 및/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제빙 콘솔일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보다 명백한 바와 같이, 콘솔(70)은 일부 실시예에서 제빙 콘솔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콘솔(70)은 하나 이상의 서랍 또는 저장통,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얼음 저장통(104)은, 용기가 콘솔 내로 밀려 들어가 있을 때 외부 환경으로부터 콘솔(70)을 단열하고 상부 얼음 저장통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108)을 포함하고, 하부 얼음 저장통(106)도 마찬가지로 용기가 콘솔 내로 밀려 들어가 있을 때 외부 환경으로부터 콘솔(70)을 단열하고 하부 얼음 저장통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110)을 포함한다. 전면(108, 110)은 또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및 물 디스펜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전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이 동일한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console 70 may be a conventional ice-making console used for making, dispensing and/or storing ice. However, as will be more apparent below, console 70 may not be an ice-making console in some embodiments. However, in some embodiments, console 7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one or more drawers or reservoirs, such as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ncludes a front face 108 that insulates the console 7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container is pushed into the console and forms the front face of the upper ice reservoir, and the lower ice reservoir 106 likewise does. and a front face 110 that insulates the console 7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container is pushed into the console and forms the front face of the lower ice reservoir. Fronts 108 , 110 als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and water dispenser, which i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In some embodiments, a single front face may be us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may be coupled to the same front face.

그러나, 얼음 관련 기능 이외에, 콘솔(70)은 또한 신선식품실(14) 내에 식품을 저장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구조적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70)의 측벽(86, 88)은 각각 신선식품실(14)의 측벽(76, 78)을 향하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저장 요소(예를 들어, 신선식품실(14) 내의 저장 요소(112, 114, 116, 118, 120, 122))을 위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저장 요소는 식품 아이템을 저장 또는 다르게는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 부재라면 어떤 것이든, 예컨대 선반, 바스켓, 저장통, 서랍, 랙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슬라이딩 저장 요소는, 예컨대 냉장고(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수평인 축을 따르는, 수평면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저장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ice-related functions, console 70 also provides many structural features associated with storing food within fresh food compartment 1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sidewalls 86 and 88 of the console 70 face the sidewalls 76 and 78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 respectively, and include one or more sliding storage elements (eg, , provides structural support for the storage elements 112 , 114 , 116 , 118 , 120 , 122 within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 A storage element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y structural member capable of storing or otherwise supporting a food item, such as a shelf, basket, bin, drawer, rack, etc., and a sliding storage element may include,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a storage element that is slidable in a horizontal plane, along a generally horizontal axis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0 .

저장 요소(112, 118)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선반이고, 저장 요소(114, 116, 120, 122)는 슬라이딩 저장통 또는 서랍이다. 저장통 또는 서랍은 육류, 치즈, 야채, 과일 등과 같은 식품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조정 가능한 환경 조건(예를 들어, 상이한 온도, 습도 수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모든 저장 요소(114-122)가 슬라이딩 저장 요소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도 5에 도시된 임의의 저장 요소에 대해 상이한 개수 및 유형의 저장 요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저장 요소의 특정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Storage elements 112 , 118 are, for example, sliding shelves, and storage elements 114 , 116 , 120 , 122 are sliding bins or drawer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bins or drawers may be configured with adjus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eg, different temperatures, humidity levels, etc.) suitable for storing food products such as meat, cheese, vegetables, fruits, and the like. Furthermore, not all storage elements 114 - 122 need to be constructed as sliding storage elements, and furthermore, different numbers and types of storage elements may be used for any of the storage elements shown in FIG. It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storage elements exemplified herein.

더욱이, 저장 요소들(112-122)이 전체 폭의 신선식품실(14) 내에 배치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콘솔(70)은 이러한 저장 요소들에 대해 더 큰 지지를 제공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 저장 요소를 지지하기 위해 완전 인출(full extension) 슬라이드 레일(14)(예컨대, 저장 요소(120)에 대한 슬라이드 레일(124, 126))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저장 요소가 신선식품실로부터 바깥쪽으로 완전하게 인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저장통, 서랍 또는 바스켓의 내부의 뒷부분까지 또는 선반이나 랙의 뒷부분까지 더 나은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완전 인출 슬라이드 레일은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저장 요소의 전체 깊이를 초과하는 과신장(overextension)을 포함하여 슬라이딩 저장 요소의 전체 깊이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다.Moreo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storage elements 112 - 122 are disposed within the full width fresh food compartment 14 , the console 70 provides greater support for these storage elements, in some embodiments. Using a full extension slide rail 14 (eg, slide rails 124 , 126 for storage element 120 ) to support the sliding storage element in th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withdraw completely to the side, thereby providing better access to the back of the interior of the bin, drawer or basket, or even to the back of the shelf or rack. In this regard, the fully withdrawable slide rail in some embodiments is configured to withdraw at least substantially the entire depth of the sliding storage element, including overextension exceeding the total depth of the sliding storage element.

마찬가지로, 도 6을 추가로 참조하면, 콘솔(70)은 또한 콘솔 위에 위치된 저장 요소, 예를 들어 한 쌍의 논슬라이딩 선반(130, 132)(일부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선반일 수도 있다) 아래에 배치되는 전체 폭 선반(full width shelf)(128)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전체 폭 신선식품실에서, 신선식품실의 측벽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체 폭 선반은 이러한 냉장고의 전형적인 치수를 고려할 때 예외적으로 처지는 경향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그러한 선반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선식품실의 측벽에 장착된 모든 슬라이드 레일에 부담을 주며, 완전한 인출 기능을 부가하는 것은 훨씬 더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Likewise,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6 , the console 70 is also located below a storage element positioned above the console, for example a pair of non-sliding shelves 130 , 132 (which may be sliding shelves in some embodiments). It can provide structural support for a full width shelf 128 on which it is deploy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a conventional full width fresh food compartment, a full width shelf extending substantially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tends to sag exceptionally, given the typical dimensions of such refrigerators. Moreover, configuring such shelves to slide would typically burden all the slide rails mounted on the sidewalls of the fresh food room, and adding a full pull-out function would cause even greater problems.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조적으로, 콘솔(70)의 천장벽(84)은 전체 폭 선반이 실질적으로 신선식품실(14)의 전체 폭에 걸쳐 있을 수 있도록 전체 폭 선반(128)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한 쌍의 하부장착 슬라이드 레일(134, 136)(즉,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 슬라이드 레일)은 전체 폭 선반(128)을지지하고 그 하부를 따라 연장되며 대체로 서로 평행하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레일(134, 136)은 전체 폭 선반(128)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인출을 허용하는 완전 인출 슬라이드 레일일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 레일(134, 136)은 측벽(76, 78)으로부터 선반을 지지해야 하는 필요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지지를 전체 폭 선반(128)에 제공하여 선반이 실질적으로 신선식품실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때 선반의 단부가 반드시 측벽 자체와 접촉하거나 결합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임의의 추가 저장 요소가 선반(128) 아래에 배치되어 있어도(예를 들어, 저장 요소(112, 118)), 콘솔(70)은 대체로 선반(128)의 양측 근처에 배치된 임의의 저장 요소나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없도록 충분한 지지를 제공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contrast, the ceiling wall 84 of the console 70 provides adequate support for the full width shelf 128 such that the full width shelf can span substantially the entire width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4 . can provide 6 , for example, a pair of undermounted slide rails 134 , 136 (ie, substantially horizontally oriented slide rails) supports the full width shelf 128 and supports the lower extend along and are generally parallel to each other. Also, in some embodiments, slide rails 134 , 136 may be full draw slide rails that allow substantially full pull out of full width shelf 128 . Moreover, the slide rails 134 and 136 provide sufficient support to the full width shelf 128 to eliminate the need to support the shelf from the sidewalls 76 and 78 so that the shelf can be moved substantially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The end of the shelf need not necessarily contact or engage the sidewall itself when extended. Moreover, even if any additional storage elements are disposed below shelf 128 (eg, storage elements 112 , 118 ), console 70 generally provides for any storage disposed near either side of shelf 128 . Provides sufficient support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supported by elements or other components.

전체 폭 선반(128)을 지지하는 다른 방식은, 하부장착, 상부장착 또는 측면장착 슬라이드 레일, 글라이드(즉, 마찰이 적은 트랙 또는 표면) 등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단일 완전 인출 하부장착 슬라이드 레일(144) 및 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장착 글라이드(146, 148)를 사용하여 콘솔(142)에 의해 지지되는 대안적인 전체 폭 선반(140)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측벽장착 완전 인출 슬라이드 레일(154, 156) 및 한 쌍의 하부장착 글라이드(158, 159)를 사용하여 콘솔(152)에 의해 지지되는 대안적인 전체 폭 선반(150)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이점을 갖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전체 폭 선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Other ways of supporting the full width shelf 128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including various combinations of bottom-mounted, top-mounted or side-mounted slide rails, glides (i.e., low friction tracks or surfaces), and the like. . For example, FIG. 7 shows an alternative full-width shelf supported by a console 142 using a single full draw undermount slide rail 144 and a pair of undermount glides 146 and 148 extending parallel thereto. (140) shows the plan view. 8 shows, as another example, an alternative full-width shelf supported by console 152 using a pair of sidewall mounted full draw slide rails 154, 156 and a pair of undermounted glide 158, 159. 150) is shown.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ther combinations of components may be used to slidingly support the full width shelf in other embodiments having the benef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70)은 보텀마운트형 냉장고의 신선식품실의 바닥벽으로부터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분만큼만 위쪽으로 연장하고, 또한 어떤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신선식품실 또는 냉동실에 접근할 수 있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및 물 디스펜서를 추가로 지지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변경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1 and 3-6, the console 70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of the bottom-mounted refrigerator by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also without opening any door. Additional support for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and water dispenser with access to the fresh food compartment or freezer.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us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빙 콘솔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향이 아닌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단일 냉동실 도어(164)에 의해 덮이고, 한 쌍의 프렌치 도어(168, 170)에 의해 덮인 신선식품실(166)로부터 더 높은 곳에 배치된 탑마운트 냉동실(162)을 보여준다. 이 설계에서, 제빙 콘솔(172)은, 신선식품실을 위한 천장벽으로서 기능하고 신선식품실(166)을 냉동실(162)로부터 분리하는 분할벽(174)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빙 콘솔(172)은 신선식품실(166)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연장되므로, 신선식품실의 단부벽(176) 및 측벽(178, 180)으로부터 분리된다. 프렌치 도어(168, 170)는 또한 도어(164, 168 및 170) 중 어느 것도 열지 않고도 콘솔(172)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컷아웃을 갖는다.As shown in FIG. 9 , for example, the ice-making console may extend downward rather than upward in some embodiments. This figure shows a top mount freezer 162 positioned higher from the fresh food compartment 166 covered by a single freezer door 164 and covered by a pair of French doors 168 and 170 . In this design, the ice-making console 172 may extend downward from a dividing wall 174 that serves as a ceiling wall for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separates the fresh food compartment 166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162 . However, since the ice-making console 172 extends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166, it is separated from the end wall 176 and the side walls 178 and 180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French doors 168 , 170 also have cutouts that allow console 172 to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either door 164 , 168 , and 170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콘솔은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고, 신선식품실 및/또는 냉동실 도어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 도면은 냉동실(186)보다 높은 높이에 신선식품실(184)을 포함하는 보텀마운트형 냉장고(182)를 도시하며, 각각의 구획실(184, 186)은 한 쌍의 프렌치 도어(188, 190 및 192, 194)로 덮여 있다. 제빙 콘솔(196)은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을 분리하는 분할벽(198)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지만, 콘솔(196)은 하나 이상의 도어(188-194)를 개방해야만 접근 가능하도록 어떤 도어에도 컷아웃이 제공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0 , the ice-making console may in some embodiments be inaccessible from the outside and may be covered by one or more of the fresh food and/or freezer doors. This figure shows a bottom-mounted refrigerator 182 including a fresh food compartment 184 at a height higher than the freezer compartment 186, each compartment 184, 186 having a pair of French doors 188, 190 and 192, 194). The ice-making console 196 extends upwardly from the dividing wall 198 separating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however, the console 196 has cutouts in any of the doors so that it is only accessible by opening one or more doors 188-194. not provid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콘솔은 신선식품실뿐만 아니라 냉동실로도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과 물 디스펜서를 보다 편리한 높이에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텀마운트형 냉장고(200)는 냉동실(204)보다 높은 높이에 신선식품실(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획실(202, 204)은 한 쌍의 프렌치 도어(206과 208 및 210과 212)에 의해 덮인다. 제빙 콘솔(214)은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을 분리하는 분할벽(21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분할벽(216)은 신선식품실(202)의 바닥벽 및 냉동실(204)의 천장벽 모두로서 기능하고, 이 실시예에서, 콘솔(214)은 상향으로 연장될 뿐만 아니라 분할벽(216)으로부터 냉동실 높이의 일부로 하향 연장된다. 또한, 콘솔의 적어도 일부(및 포함된 경우 얼음 및/또는 물 디스펜서)는 신선식품실 도어(206, 208)의 하부 에지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컷아웃이 각각의 도어(206, 208, 210, 212) 상에 제공된다.11 , the ice making console may extend not only to the fresh food compartment but also to the freezer compartment. For example, it can help to place the ice and water dispenser at a more convenient heigh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 the bottom-mounted refrigerator 200 may include a fresh food compartment 202 at a higher height than the freezing compartment 204 , and each compartment 202 , 204 is a pair of French covered by doors 206 and 208 and 210 and 212 . An ice-making console 214 extends upwardly from a dividing wall 216 that separates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The dividing wall 216 functions as both a floor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202 and a ceiling w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204 ,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sole 214 extends upwardly as well as from the dividing wall 216 . It extends downward as part of the freezer height.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sole (and ice and/or water dispensers, if included)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dge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doors 206 , 208 . Also in this embodiment, a cutout is provided on each door 206 , 208 , 210 , 212 .

다른 변형예가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콘솔 설계에 제한되지 않는다.Other variation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the benefit of this disclosur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console design described herein.

제빙 시스템ice making system

여기서,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탠덤(tandem) 얼음 저장통 및 분리 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제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시스템은, 캐비닛(12) 내에, 특히 제빙 콘솔(70) 내에, 예를 들어 제빙 콘솔의 상단 부근에 배치된 제빙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얼음은 제빙기(220)의 전단(222)에서 배출되어 상부 제빙 저장통(104)의 중간 영역으로 떨어지며, 이는 제빙기(220) 아래에 배치되고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모양 및/또는 수량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 얼음을 저장통에 넘기기 위해 회전하는 제빙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제빙기 설계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빙기(220)는 콘솔(70) 내에서 일반적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빙기(220)는 횡 방향으로(즉,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예시된 특정 제빙기 설계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 as shown in FIGS. 12 to 14 ,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ing system including a pair of tandem ice reservoirs and a detachable dispenser re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system may include an ice maker 220 disposed within the cabinet 12 , particularly within the ice making console 70 , for example near the top of the ice making console. The produced ice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end 222 of the ice maker 220 and falls into the middle region of the upper ice maker bin 104, which is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22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variety of ice maker designs may alternatively be used, including ice maker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shapes and/or quantities of ice, rotating ice makers to deliver ice to bins, and the like. Also, while ice maker 220 extends generally from front to back within console 70 , in other embodiments ice maker 220 may extend in a transverse direction (ie, side to sid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ice maker design illustrated herein.

상부 얼음 저장통(104)은 또한 가역성 얼음 이동기(224)를 포함한다. 얼음 이동기(224)는 모터(226) 또는 다른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외부에 있고 얼음 이동기(224)에 분리 가능하고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얼음 이동기(224)를 구동하지만, 상부 얼음 저장통이 콘솔(70)로부터 바깥으로 슬라이드되는 때는 상부 얼음 저장통으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얼음 이동기 드라이브는 상부 얼음 저장통(104) 자체에 통합될 수 있고, 상부 얼음 저장통과 함께 냉장고(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ice reservoir 104 also includes a reversible ice mover 224 . The ice mover 224 may be driven by a motor 226 or other drive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external to the upper ice reservoir 104 and is detachably and mechanically coupled to the ice mover 224; When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s in the actuated position it drives the ice mover 224 in two opposite directions, but disengages from the upper ice reservoir when the upper ice reservoir is slid out of the console 70 . In other embodiments, the ice mover drive may be integrated into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tself, and may be separate from the refrigerator 10 along with the upper ice reservoir.

도시된 실시예에서 얼음 이동기(224)는 오거(aug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얼음 이동기(224)는 컨베이어, 패들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 분쇄기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유형의 얼음 분쇄기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빙 시스템에 의해 분배되는 얼음을 선택적 분쇄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ce mover 224 may be configured as an auger.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the ice mover 224 may be configured as a conveyor, paddle, or other suitable component. Also, although an ice crusher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fig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types of ice crus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and may provide for selective crushing of the ice dispensed by the ice making system.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얼음 이동기(224)는 가역적이며, 이와 관련하여 상부 얼음 저장통(104)에 배치된 얼음을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방향(전방 방향)으로, 얼음 이동기(224)는 얼음을 얼음 디스펜서(228)쪽으로 밀고, 얼음 디스펜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의 전면(108, 110) 각각에 배치된 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얼음 이동기(224)는 얼음을 냉장고(10)의 전방을 향해, 그리고 상부 얼음 저장통의 전면(108)에 배치된 얼음 슈트(230)를 향해 얼음을 밀어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얼음(입방체 또는 분쇄된 상태)이 얼음 슈트를 통해 하부 얼음 저장통(106)의 전면(110)에 형성된 디스펜서 리세스부(232) 내에 위치된 용기로 떨어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랩(flap)(234) 또는 다른 마개가 또한 얼음 슈트(230) 근처에 제공되어 얼음 슈트에 대한 일부 단열을 제공하고 제빙 콘솔(70)로부터의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As noted above, the ice mover 224 is reversible and in this regard can be operated to push ice disposed in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n two opposite directions. In a first direction (forward direction), the ice mover 224 pushes the ice towards the ice dispenser 228, whic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108, 110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includes a portion disposed on it. Specifically, the ice mover 224 may be configured to push the ice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0 and toward the ice chute 230 disposed on the front 108 of the upper ice reservoir. The ice (cube or crushed state) then falls through the ice chute into a container located in the dispenser recess 232 formed on the front side 110 of the lower ice reservoir 106 . In some embodiments, a flap 234 or other closure may also be provided near the ice chute 230 to provide some insulation to the ice chute and reduce heat loss from the ice-making console 70 .

제2 방향(후방 방향)으로, 얼음 이동기(224)는 얼음을 얼음 디스펜서(228)로부터 멀어지게, 얼음 디스펜서(228)와 반대쪽 단부에서 상부 얼음 저장통에 형성된 후방에 배치된 개구(236)를 향하여 얼음을 밀어냄으로써, 개구(236)로 밀린 얼음이 상부 얼음 저장통(104)보다 아래에 배치된 하부 얼음 저장통(106)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개구(236)는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바닥벽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개구(236)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단부 또는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구(236)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또는 슬라이딩 트랩 도어와 같은 가동 폐쇄 요소(movable closure element)가 사용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이 제빙 콘솔(70)로부터 분리된 때 개구(236)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는 통상 상태에서 닫혀 있지만 얼음 이동기(224)가 제2 방향(후방 방향)으로 얼음을 밀어내는 때 개방될 수 있다.In a second direction (rear direction), the ice mover 224 moves the ice away from the ice dispenser 228 , at an end opposite the ice dispenser 228 toward a rearwardly disposed opening 236 formed in the upper ice reservoir. By pushing the ice, the ice pushed into the opening 236 falls into the lower ice reservoir 106 disposed below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Although the opening 236 is shown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the opening 236 may alternatively be disposed, for example, on the end or sidewall of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Also, although opening 236 is shown always open, in other embodiments a movable closure element, such as a hinged or sliding trap door, may be used, for example, the upper ice reservoir 104 may be Opening 236 can be closed when disconnected from ice-making console 70 .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is normally closed but may open when the ice mover 224 pushes the ice in the second direction (rear direction).

도 12-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얼음 저장통(106)은 전면(110)에 고정되거나 또는 다르게 연결되는 얼음 버킷(238)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얼음 저장통(예를 들어, 하부 얼음 저장통(106'))은 전면(110')에 고정되거나 다르게 연결된 베이스(240) 상에 올려져 있는 분리 가능한 얼음 버킷(2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얼음 버킷은, 얼음으로 적재된 때 얼음 버킷을 운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예를 들어 얼음 버킷(238')의 손잡이(2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얼음 버킷(238')은 예를 들어, 먼저 제빙 콘솔(70) 밖으로 하부 얼음 저장통(106')을 슬라이딩시켜 인출한 다음, 얼음 버킷을 하부 얼음 저장통에서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다.12-14 the lower ice reservoir 106 includes an ice bucket 238 fixed or otherwis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110 .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and as shown in FIG. 15 , a lower ice reservoir (eg, lower ice reservoir 106 ′) is mounted on a base 240 fixed or otherwise connected to the front face 110 ′. It may include a removable ice bucket 238' that is mounted on it. In some embodiments, the ice bucket may include one or more handles that facilitate carrying the ice bucket when loaded with ice, such as handle 242 of ice bucket 238 ′. The ice bucket 238 ′ may be removed, for example, by first sliding the lower ice reservoir 106 ′ out of the ice making console 70 , and then lifting the ice bucket from the lower ice reservoir to separate it.

도 12-14로 돌아가서, 특히 도 14를 참조하면,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모두가 제빙 콘솔(7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은 모두 완전히 분리 가능한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예를 들어 저장된 얼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제빙 콘솔(7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얼음 저장통은 동일한 전면을 공유할 수 있고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부(stop), 탭(tab) 또는 래치(latch)(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을 위한 정지부(244))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공되어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이 제빙 콘솔(70)로부터 기껏해야 미리 정해진 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하지만, 그 다음에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이 정지부의 작동 후에 완전히 인출되는 것이 허용된다.12-14 , an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FIG. 14 , in this illustrated embodiment, both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are detachable from the ice making console 70 . In some embodiments, both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are completely detachable, while in other embodiments,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may be stored in ice, for example. In order to provide access to the ice-making console 70, it may not be completely detachable but only partially detachable. Also, as mentioned above, two ice reservoirs can share the same front surface and can be separated together. Also, in some embodiments, stops, tabs, or latches (eg, stops 244 for upper ice reservoir 104 ) may includ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is provided in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to allow at most a predetermined number of withdrawals from the ice-making console 70, but then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 is allowed to be fully withdrawn after actuation of this stop.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하부 얼음 저장통(106)은 많은 양의 얼음이 사용자에 의해 필요할 때 사용자가 얼음을 얻을 수 있는 1차적인 얼음 저장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얼음 저장통(106)은 정지부(stop)가 결여되어 있어 도어(18, 20, 22 및 24)가 모두 닫힌 경우에도 제빙 콘솔(7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부 얼음 저장통(104)은 주로 분배 목적으로 얼음을 보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제빙 콘솔(70)로부터 빈번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얼음 저장통은 또한 얼음 이동기(224) 및 제빙기(22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따라서 얼음의 생성, 분배 및/또는 저장을 방해할 수 있는 장해 또는 다른 문제가 있는 때, 사용자가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게 상부 얼음 저장통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얼음 저장통(104)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서비스 요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해 또는 제빙 콘솔의 상부 영역에 대한 폭 넓은 접근이 필요하거나 요구될 때, 정지부(244)의 작동을 통해 여전히 완전히 분리 가능하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for example, the lower ice reservoir 106 may be used as a primary ice reservoir from which the user may obtain ice when a large amount of ice is needed by the user. The lower ice reservoir 106 lacks a stop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ice making console 70 even when the doors 18 , 20 , 22 and 24 are all closed. In contrast, the upper ice reservoir 104 may be used primarily to hold ice for dispensing purposes and thus may not be frequently removed from the ice making console 70 by a user. However, the upper ice reservoir also provides access to the ice mover 224 and ice maker 220, so that when there are obstructions or other problems that may prevent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or storage of ice, the user may The upper ice reservoir can be detached to remove the ice. In this regard,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s not completely detached by the user in most circumstances, but when, for example, for use by service personnel or when wide access to the upper area of the ice-making console is needed or desired. , still completely detachabl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244 .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각각은 슬라이드 레일 또는 다른 트랙 가이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제빙 콘솔(70)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14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에는 트랙 가이드가 없고, 하부 얼음 저장통(106)은 슬라이드 레일(246, 248)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회전 또는 선형과 회전 운동의 조합을 통해, 그리고 제빙 콘솔의 다른 벽의 개구를 통해 얼음 저장통이 제빙 콘솔(70)에 대한 다른 상대적인 운동을 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Each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may be configured to slidably disengage from the ice-making console 70 with or without the use of slide rails or other track guides. 12-14 , for example, the upper ice reservoir 104 has no track guide, and the lower ice reservoir 106 slides along the slide rails 246 , 248 . In other embodiments,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and further,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through rotation or a combination of linear and rotational motions, and through openings in other walls of the ice-making console, the ice reservoir is provided to the ice-making console 70 . ) can be mounted for different relative motions.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98)은 신선식품실 내에, 예를 들어 신선 식품, 냉동기 또는 다른 증발기, 팬, 압축기 또는 다른 냉각 시스템 구성 요소를 위한 제어 전자 장치를 위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추가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98)의 내부는 일부 실시예에서 신선식품실과 단열되거나 통풍구를 통해 신선식품실과 유체 소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98)은 생략될 수 있고, 콘솔(70)은 후방벽(9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선식품실(14)을 위한 증발기(250)가 하우징(9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선 식품 증발기를 사용하여 제빙기의 직접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냉각 튜브(252)를 제빙기(220)로 라우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냉각 튜브(252)는 콘솔(70)을 하우징(98)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콘솔(70)의 내부 벽(25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98)이 생략된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콘솔(70) 뒤쪽이 아니라 콘솔(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신선 음식 증발기(250)를 콘솔(70) 내에 또는 뒤에 배치함으로써, 신선식품실의 후방벽에 추가 공간이 생기고, 이로써, 그러지 않았다면 증발기가 캐비닛의 뒤쪽을 걸쳐 퍼져 있었을 경우보다 신선식품실이 더 깊어질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10)의 용량이 증가한다.Also, as discussed above, in some embodiments housing 98 is provided within a fresh food compartment, for example, for control electronics for fresh food, a freezer or other evaporator, fan, compressor, or other cooling system component, or Provides additional space for other purposes. The interior of housing 98 may be insulated with, o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resh food compartment through vents in some embodiments. In other embodiments, the housing 98 may be omitted and the console 70 may extend to the rear wall 96 . In some embodiments, and as shown in dashed line in FIG. 12 , an evaporator 250 for fresh food compartment 14 may be disposed within housing 98 . It may also be desirable in some embodiments to route one or more cooling tubes 252 to the ice maker 220 to provide direct cooling of the ice maker using a fresh food evaporator. A cooling tube 252 may extend through an interior wall 254 of the console 70 that insulates the console 70 from the housing 98 .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housing 98 is omitted, the evaporator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nsole 70 rather than behind the console 70 as in the case of FIG. 12 . Placing the fresh food evaporator 250 in or behind the console 70 creates additional space in the rear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so that the fresh food compartment is deeper than it would otherwise have been if the evaporator had been spread across the back of the cabinet. and thus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10 is increased.

도 13을 특히 참조하면, 냉장고(10)는 얼음 및 물 분배 기능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얼음 디스펜서(228)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의 전면(108, 110)에 의해 형성되고, 전면(108)은 얼음 슈트(230) 및 플랩(234)을 수용하고 전면(110)은 디스펜서 리세스부(232)를 수용한다. 디스펜서 리세스부(232)는 얼음 슈트(230)에 대해 오목하게 되어 디스펜서 리세스부(232)에 배치된 용기(예를 들어, 컵, 유리, 보울, 버킷, 쿨러 등)가 얼음 슈트(230)와 정렬되어 얼음 디스펜서(228)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을 받게 된다. 또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얼음 디스펜서(228)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얼음 디스펜서 제어부(25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패들(paddle)로서 구성된 단일 얼음 디스펜서 제어부(256)가 디스펜서 리세스부(232)에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또는 패들을 용기로 가압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입방체 얼음 및 분쇄된 얼음 중에서 선택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 또는 설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패들 또는 다른 제어부를 사용하여 입방체 얼음 및 분쇄된 얼음을 개별로 분배할 수도 있다.With particular reference to FIG. 13 , the refrigerator 10 includes an ice and water distribution function. In this reg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dispenser 228 is defined by the front surfaces 108 , 110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 the front surface 108 being the ice chute 230 and flaps 234 . and the front side 110 accommodates the dispenser recess 232 . The dispenser recess 232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ice chute 230 so that a container (eg, a cup, glass, bowl, bucket, cooler, etc.) disposed in the dispenser recess 232 is provided with the ice chute 230 . ) and receiv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dispenser 228 . The dispenser recess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ce dispenser controls 256 for actuating the ice dispenser 228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 for example, a single ice dispenser control 256 configured as a paddle may be used in the dispenser recess 232 , which may be pressed by the user's finger or the paddle into the container. It can be operated by In some cases separate controls or settings may be used to select between cube ice and crushed ice, and in other cases two paddles or other controls may be used to dispense cube and crushed ice separately.

얼음 디스펜서(228)에 더하여, 냉장고(10)는 또한 제빙 콘솔(70) 상에 배치된 물 디스펜서(258)를 포함한다. 얼음 디스펜서(228)와 같이, 물 디스펜서(258)는 도어(18, 20, 22 및 24)가 닫혀 있는 때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얼음 디스펜서(228)와 달리, 물 디스펜서(258)는 제빙 콘솔(70)에서 고정 위치, 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전면(108)과 일치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캔틸레버식(cantilevered) 연장부(260) 상에 배치된다. 물 디스펜서(258)는 공급 라인(264)에 연결된 배출구(262)를 포함하고, 배출구(262)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들 또는 버튼과 같은 물 디스펜서 제어부(266)는 출구(262) 아래에, 예를 들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전면(108)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가압하는 것 또는 제어부에 용기의 가장자리로 제어부를 가압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물 디스펜서(258)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ce dispenser 228 , the refrigerator 10 also includes a water dispenser 258 disposed on the ice-making console 70 . Like ice dispenser 228 , water dispenser 258 is accessible from the outside when doors 18 , 20 , 22 and 24 are closed. However, unlike the ice dispenser 228 , the water dispenser 258 is cantilevered in a fixed position at the ice-making console 70 , for example, with a profile that matches the front side 108 of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It is disposed on the extension 260 . The water dispenser 258 includes an outlet 262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264 and further includes a valve (not shown)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o the outlet 262 . For example, a water dispenser control 266 , such as a paddle or button, may be disposed below the outlet 262 , for example on the front 108 of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and pressurized by a user's finger. may be used to selectively actuate the water dispenser 258 , either through the actuation or forcing the control against the edge of the container.

냉장고(10)의 고정된 컴포넌트 상에 적어도 물 디스펜서(258)의 물 공급부 및 배출구를 제공함으로써, 제빙 콘솔(70)에 대한 물 디스펜서의 상대적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가요성 호스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물 디스펜서(258)의 적어도 배출구(262)는 얼음 디스펜서(228)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얼음 저장통(104, 106)은 물 디스펜서(258)로의 물 공급에 대한 염려없이 쉽게 분리 가능하다.By providing at least a water supply and outlet of the water dispenser 258 on a fixed component of the refrigerator 10 , a detachable connection or flexible hose is required to suppor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ater dispenser with respect to the ice-making console 70 . won't do it Also, since at least the outlet 262 of the water dispenser 258 is separate from the ice dispenser 228 , the ice reservoirs 104 , 106 are easily removable without concern for water supply to the water dispenser 258 .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디스펜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얼음 및 물은 동일한 디스펜서 리세스부로부터, 일부 예에서는 동일한 제어부를 사용하여, 분배될 수 있다(예컨대, 별도의 디스펜서 모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얼음, 물 및 일부 경우에서 분쇄된 얼음 간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버튼, 패들, 근접 센서, 모드 스위치 등의 다양한 조합의 상이한 디스펜서 제어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얼음 및/또는 물 디스펜서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냉장고(10)에서 분리 가능하거나 고정된 컴포넌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dispens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In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ice and water may be dispensed from the same dispenser recess, in some instances using the same control (eg, ice, water and in some cases using separate dispenser mode switches). can choose between crushed ice). Also,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dispenser controls in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buttons, paddles, proximity sensors, mode switches, etc., may be used. 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ice and/or water dispenser may be disposed on removable or fixed components in the refrigerator 10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s disclosed herein.

또한, 제어기(256, 266)가 분리 가능한 컴포넌트(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중 어느 하나가 작동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얼음 디스펜서(228) 및 물 디스펜서(25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한 디스펜서 차단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디스펜서 차단 회로는 상부 및/또는 하부 얼음 저장통(104)이 작동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때, 제어기(40)로부터 제어부(256, 266)를 연결 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예를 들어, 접촉 스위치, 자기 스위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Also, when controllers 256 and 266 are disposed on removable components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in some embodiments, either upper or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is activated. In response to moving away from position,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dispenser shut-off circuitry for one or both of the ice dispenser 228 and the water dispenser 258 . In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the dispenser disconnect circuitry is one or more switches that disconnect the controls 256 , 266 from the controller 40 when the upper and/or lower ice reservoir 104 is moved away from the actuated position. (eg, contact switches, magnetic switches, etc.).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접촉 스위치(270)는 제빙 콘솔(7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부 얼음 저장통(104)이 작동 위치로 다시 밀려 들어간 때 상부 얼음 저장통(104)의 전면(108)의 뒤쪽을 향하는 표면에 배치된 접촉 패드(272)와 접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접촉 스위치(274)는 제빙 콘솔(70)의 전면에 배치되어 하부 얼음 저장통(106)이 작동 위치로 밀려 들어온 때 하부 얼음 저장통(106)의 전면(110)의 뒤쪽을 향하는 표면에 접촉 패드(276)와 접촉할 수 있다.12 and 14, for example, a contact switch 27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ce-making console 70 so that when the upper ice reservoir 104 is pushed back into the actuated position, the upper ice reservoir ( A contact pad 272 disposed on the back-facing surface of the front side 108 of the 104 may be in contact. Similarly, the second contact switch 274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ce-making console 70 such that the rear-facing surface of the front 110 of the lower ice reservoir 106 is pushed into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lower ice reservoir 106 is pushed into the operating posi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d 276 .

제어기(40)는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제빙 콘솔(70)로부터 당겨져 나갈 때마다 얼음 및/또는 물 디스펜서(228, 258)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얼음 저장통(104, 106)이 작동 위치를 벗어난 것에 응답하여 두 디스펜서를 모두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0 may be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ice and/or water dispensers 228 , 258 whenever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are pulled out of the ice making console 70 . For example, in some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deactivate both dispensers in response to the ice reservoirs 104 , 106 being out of an operating position.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256, 266)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접촉 스위치(270, 274) 및 접촉 패드(272, 276)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별개의 전기 접촉 또는 배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스위치는 얼음 저장통(104, 106)의 슬라이딩 축을 대체로 가로지르는 표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스위치는 슬라이딩 축에 대체로 평행한 표면에 배치되거나, 작동 위치에서 얼음 저장통의 존재를 검출하기에 적합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접촉 스위치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유형의 스위치, 예를 들어 자기 스위치, 기계식 스위치, 광학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256, 266)는 작동시 닫히는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스위치는 제빙 콘솔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제어부(256, 266)에 기계적 링키지(linkage)가 연결되어 얼음 저장통(104, 106)이 작동 위치에 있는 때에만 전기 스위치를 누른다.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분리되는 때, 제어부(256, 266)를 제어기(40)에 결합시키고 및/또는 얼음 및/또는 물 디스펜서(228, 258)를 비활성화하는 다른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56 , 266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ct switch 270 , 274 and the contact pad 272 , 276 . In other embodiments, separate electrical contacts or wires may be used to convey control signals. Further, although the contact switch is shown positioned on a surface generally transverse to the sliding axis of the ice reservoirs 104 , 106 , in other embodiments, the contact switch is disposed on a surface generally parallel to the sliding axis, or in an actuated position, the ice It may be disposed in another location suitabl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servoir. Also, while electrical contact switches are shown in FIGS. 12 and 14 , other types of switche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such as magnetic switches, mechanical switches, optical switches, and the like. Also, 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trols 256 and 266 include an electrical switch that closes in actua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electrical switch may be disposed on the ice-making console and provide a mechanical linkage to the respective controls 256 and 266. ) is connected and depresses the electrical switch only when the ice reservoirs 104 and 106 are in the operating position. With the benefi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106 are removed, the controls 256, 266 are coupled to the controller 40 and/or the ice and/or water dispenser. Other ways of disabling (228, 258)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빙기(220)를 이용한 제빙의 제어는 부분적으로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각각에서 감지된 얼음 레벨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상부 레벨 센서(280) 및 하부 레벨 센서(282)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 내의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벨 센서(280, 282)는 광학 또는 광전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중량 센서, 또는 각 얼음 저장통 내의 다수의 위치에서 얼음 레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어레이와 같이, 다른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Control of ice making with ice maker 220 may be based, in part, on ice levels sensed in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and 106, respectively. In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upper level sensor 280 and lower level sensor 282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level of ice in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respectively. Level sensors 280 and 282 may be configured as optical or photoelectric sensors, although other sensors may be used, such as, for example, a weight sensor, or an array of sensors capable of sensing ice level at multiple locations within each ice reservoir. ca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얼음을 생성하고 얼음을 상부 및 하부 얼음 저장통(104, 106)에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300)을 구현할 수 있다. 블록(302)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공지된 제빙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제빙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블록(304)은 제빙기가 얼음을 배출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빙기가 얼음을 배출할 준비가 되었는지 다시 확인하기 위해 제어를 블록(304)으로 복귀시키기 전에 다음 인터벌 동안 대기하는 블록(306)으로 제어가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6 , the controller 40 may implement a series of operations 300 for generating ice and storing the ice in the upper and lower ice reservoirs 104 , 106 . Beginning at block 302, an ice-making operation using any of a variety of known ice-making techniques may be initiated. Block 304 may determine whether the ice maker is ready to dispense ice, if not, at a next interval before returning control to block 304 to double check if the ice maker is ready to dispense ice. Control moves to block 306 where it waits for a while.

얼음 생성 공정이 완료되고 제빙기가 얼음을 배출할 준비가 되면, 블록(304)은 제어를 블록(308)으로 전달하여 (예를 들어, 센서(280)로부터) 상부 저장통이 가득 찼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블록(310)으로 진행하여 얼음을 디스펜서(228)를 향해 앞쪽으로 밀어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양만큼 얼음 이동기(224)를 전방으로 작동시킨다. 얼음을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얼음은 디스펜서(228) 근처에 위치하게 되고 얼음이 사용자에게 분배되기 전 얼음 이동기(224)가 작동되어야 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어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해 블록(312)으로 이동하여 얼음을 상부 얼음 저장통(104) 내로 떨어뜨린다. 그 후 제어는 또 다른 얼음 생성 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블록(302)으로 돌아간다.When the ice making process is complete and the ice maker is ready to dispense ice, block 304 passes control to block 308 to determine (eg, from sensor 280 ) whether the upper reservoir is full. do. Otherwise, control proceeds to block 310 to actuate the ice mover 224 for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push the ice forward toward the dispenser 228 . By pushing the ice forward, the ice can be placed near the dispenser 228 and reduce the amount of time the ice mover 224 must be activated before the ice is dispensed to the user. Control then moves to block 312 to drain the ice to drop ice into the upper ice reservoir 104 . Control then returns to block 302 to initiate another ice-making operation.

블록(308)으로 되돌아가서, 상부 저장통이 꽉 찬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308)은 하부 얼음 저장통이 꽉 찼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예를 들어, 센서(282)를 사용하여) 블록(314)으로 제어를 전달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어는 블록(304)으로 되돌아가서 상부 저장통이 더 이상 꽉 차지 않을 때까지(예를 들어, 사용자가 얼음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얼음을 분배한 후) 대기한다. 이로써 상부 얼음 저장통에 충분한 공간이 있을 때까지 생성된 얼음이 제빙기에 유지되고 추가 얼음은 생성되지 않는다.Returning to block 308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per reservoir is full, block 308 proceeds to block 314 (eg, using sensor 282 ) to determine whether the lower ice reservoir is full. ) to transfer control. If so, control returns to block 304 and waits until the upper reservoir is no longer full (eg, after the user has dispensed ice using the ice dispenser). This keeps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until there is enough space in the upper ice reservoir and no additional ice is produced.

블록(314)으로 되돌아가서, 하부 저장통이 가득 차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블록(314)은 적어도 일부의 얼음이 하부 얼음 저장통(106)에 떨어지도록 얼음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반대쪽의 후방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얼음 이동기(224)를 작동시키기 위해 블록(316)에 제어를 전달한다. 이어서, 블록(318)은 상부 저장통이 여전히 가득 차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얼음을 후방으로 그래서 상부 얼음 저장통으로부터 하부 얼음 저장통으로 계속 밀어 넣기 위해 제어를 블록(316)으로 복귀시킨다. 상부 얼음 저장통이 더 이상 꽉 찬 상태가 아니면, 블록(318)은 제어를 블록(312)으로 전달하여 얼음을 배출한 다음, 블록(302)으로 진행하여 다른 얼음 생성 동작을 개시한다.Returning to block 314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er reservoir is not full, block 314 is configured to push the ice in an opposite rear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mount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 ice falls on the lower ice reservoir 106 . It passes control to a block 316 to actuate the ice mover 224 . Block 318 then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reservoir is still full, and if so, returns control to block 316 to continue pushing ice back and so from the upper ice reservoir to the lower ice reservoir. When the upper ice reservoir is no longer full, block 318 passes control to block 312 to drain the ice, then proceeds to block 302 to initiate another ice-mak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이점을 가지고 얼음 생성을 관리하는 다른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얼음 생성 관리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ice production management disclosed herein, as other ways of managing ice production with the benef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추가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수의 개념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콘솔은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제빙 시스템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고,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시스템은 제빙 콘솔이 없는 냉장고 및/또는 제빙 시스템이 신선식품실, 냉동실 또는 냉장고의 문 어딘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냉장고를 포함하여 다른 냉장고 디자인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시스템은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없는 탠덤 얼음 저장통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탠덤 얼음 저장통이 없는 분리 가능한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후에 첨부된 청구 범위에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additional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iscussed herein, and that many of the concepts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another or may be used individually. For example, the ice-making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other ice-making systems in another embodiment. Conversely, in the ice-m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and/or an ice-making system without an ice-making console are provided in a fresh food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Or it can be used in other refrigerator designs, including refrigerators that are at least partially placed somewhere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lso, an ice-ma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 some embodiments include a tandem ice reservoir without a detachable dispenser recess, or alternatively a detachable dispenser recess without a tandem ice reservoir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invention resides in the claims hereinafter appended.

Claims (35)

냉장고로서,
캐비닛;
캐비닛 내에 배치된 제빙기;
상기 제빙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통;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가역성 얼음 이동기;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된 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얼음 디스펜서 - 상기 얼음 디스펜서는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1 저장통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있다가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통
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결합된 제어기 및 상기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얼음을 떨어뜨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레벨 센서로 상기 제1 저장통의 꽉 차지 않은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제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낙하된 얼음을 상기 얼음 디스펜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레벨 센서로 상기 제1 저장통의 꽉 찬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을 상기 제2 저장통을 향해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캐비닛 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얼음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상기 얼음 디스펜서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저장통으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냉장고.
As a refrigerator,
cabinet;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the cabinet;
a first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ice machine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chine;
a reversible ice mover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d operable to move ic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 ice dispenser configured to dispense ice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the ice dispenser configured to receive ic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and
a second reservoir disposed under the first reservoir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that is in the first reservoir and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including,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upled to the reversible ice mover and a first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level of ice in the first reservoir;
the ice maker is positioned to drop ice into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The controller is:
When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first reservoir is not full, the reversible ice mover is operated to move the ice that has fallen into the middl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ice dispenser, ;
When the full state of the first reservoir is detected by the first level sensor, the reversible ice mover is operated to move the ice in the first reservoir toward the second reservoir in a second direction;
the ice maker extends from front to back in the cabinet, and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reversible ice mover moves in a forward direction when moving ice to the ice dispenser, and moves in a rearward direction when moving ice to the second reservoir;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오거(auger) 또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versible ice mover comprises an auger or a convey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은,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이 상기 제2 저장통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얼음 디스펜서로부터 상기 제1 저장통의 반대쪽 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servoir includes an opening disposed close to an end opposite the first reservoir from the ice dispenser so that the ic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falls into the second reservoi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저장통의 바닥벽, 측벽 또는 단부벽에 배치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ning is disposed in a bottom wall, a side wall or an end wall of the first storage bin, the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통은 분리 가능한,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bins are detachable, refriger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은, 상기 제2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장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얼음 버킷을 포함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may include an ice bucket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버킷은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ce bucket includes at least one h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통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한,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bins are removable in a sliding manner, a refrige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정지 위치를 넘어서는 상기 제1 저장통의 분리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통은 장애물 없이 상기 제빙기 및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top configured to limit separation of the first reservoir beyond the stop position,
and the first reservoir is configured to provide unobstructed access to the ice maker and the reversible ice m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 내에서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벨 센서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통의 꽉 찬 상태를 검출한 때 상기 제빙기에 의한 얼음의 배출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level of ice in the second reservoir, wherein the controller has 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to detect the full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a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uppress discharge of ice by the ice m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냉동실;
상기 캐비닛 내에 상기 냉동실보다 위에 배치되고, 천장벽, 바닥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가지는 신선식품실 - 상기 바닥벽은 상기 신선식품실을 상기 냉동실과 분리시킴 -; 및
상기 신선식품실의 바닥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연장되고, 천장벽,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제빙 콘솔 - 상기 제빙 콘솔은 상기 제빙 콘솔의 내실을 상기 신선식품실로부터 단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상기 제1 저장통, 상기 제2 저장통 및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상기 제빙 콘솔 내에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freezer compartment disposed in the cabinet;
a fresh food compartment dispos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in the cabinet, the fresh food compartment having a ceiling wall, a bottom wall, and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bottom wall separating the fresh food compartment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An ice-making consol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by only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f a ceiling wall,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the ice-making console forming the inner chamber of the ice-making console at least one wall insulating from the fresh food room;
including,
and the ice machine, the first reservoir, the second reservoir and the reversible ice mover are disposed within the ice-making cons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디스펜서는 상기 제빙 콘솔의 전면에 배치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ce-making cons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디스펜서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디스펜서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frigerator,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first reservoir, and a second portion of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second reservo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통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펜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dispenser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storage container.
제14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 저장통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얼음 디스펜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차단 회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dispenser disconnect circuit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ice dispenser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second reservoir away from the actuated 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제어기 및 상기 얼음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차단 회로는 상기 제2 저장통이 작동 위치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사용자 제어부를 상기 제어기로부터 연결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and a user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ice dispenser, and the dispenser shut-off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switch that disconnects the user control unit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second reservoir moves away from the operating position. Refrigera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 또는 자기 스위치인,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witch is a contact switch or a magnetic switch.
냉장고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식품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식품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된 제빙기;
상기 제빙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통;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가역성 얼음 이동기;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상기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 및
상기 제1 저장통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있다가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통
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얼음이 분배되며,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에 결합된 제어기 및 상기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얼음을 떨어뜨리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레벨 센서로 상기 제1 저장통의 꽉 차지 않은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제1 저장통의 중간 영역으로 낙하된 얼음을 상기 얼음 디스펜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레벨 센서로 상기 제1 저장통의 꽉 찬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을 상기 제2 저장통을 향해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캐비닛 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얼음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역성 얼음 이동기는, 상기 얼음 디스펜서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저장통으로 얼음을 이동시킬 때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냉장고.
in the refrigerator,
a cabinet comprising one or more food compartments;
one or more doors coupled to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provide access to the one or more food compartments;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the cabinet;
a first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ice machine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chine;
a reversible ice mover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d operable to move ic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configured to dispens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when the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and
a second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first reservoir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that is in the first reservoir and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by the reversible ice mover
including,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cludes a dispenser reces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ainer, ice is dispens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dispenser recess is detachable within the cabinet to be disengaged from the cabinet when the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installed where possible,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upled to the reversible ice mover and a first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level of ice in the first reservoir;
the ice maker is positioned to drop ice into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The controller is:
When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that the first reservoir is not full, the reversible ice mover is operated to move the ice that has fallen to the middle region of the first reservoir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ice dispenser, ;
When the full state of the first reservoir is detected by the first level sensor, the reversible ice mover is operated to move the ice in the first reservoir toward the second reservoir in a second direction;
the ice maker extends from front to back in the cabinet, and the ice dispens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reversible ice mover moves in a forward direction when moving ice to the ice dispenser, and moves in a rearward direction when moving ice to the second reservoir;
Refrigerat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상기 캐비닛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dispenser recess is slidably mounted in the cabinet.
제18항에 있어서,
물 공급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배출구를 통해 배출구 아래에 위치된 용기 내로 물을 분배하도록 배치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n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coupled to the water supply and arranged to dispense water through the outlet and into a container located below the outlet when the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출구는,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출구가 상기 캐비닛의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 장착되는, 냉장고.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outle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s fixedly mounted to the cabinet such that the outle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s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of the cabinet when the dispenser recess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는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ncludes a user control configured to oper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물 디스펜서의 사용자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user control uni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water dispenser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cabine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는,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cludes a user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의 사용자 제어부는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와 함께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냉장고.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user control unit of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s mounted to the dispenser recess and detachable from the cabinet together with the dispenser recess.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부는 패들(paddle)을 포함하는, 냉장고.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user control unit comprising a paddle (paddle), refrigerato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분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차단 회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dispenser blocking circuit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in response to the disengagement of the dispenser recess from the cabine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차단 회로는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제어부를 연결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dispenser disconnect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contact switch that disconnects the user control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dispenser recess is disconnected from the cabine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상기 저장통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를 분리하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저장통이 추가적으로 분리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a reservoir disposed below the ice machine and configured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chine;
The dispenser recess portion is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when the dispenser recess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the storage container is additionally separated from the cabinet.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제2 저장통이며,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2 저장통 위에 그리고 상기 제빙기 아래에 배치된 제1 저장통;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 위에 배치된 얼음 슈트(chute); 및
상기 제1 저장통 내에 배치되고, 얼음을 분배할 때 상기 제1 저장통 내의 얼음을 상기 얼음 슈트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얼음 이동기
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storage bin is a second storage bin, and the refrigerator includes:
a first reservoir disposed above the second reservoir and below the ice machine to receiv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an ice chute disposed over the dispenser recess; and
an ice mover disposed within the first reservoir and operable to move ice in the first reservoir to the ice chute when dispensing ice
Further comprising, a refrigerator.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이동기는 상기 제1 저장통 내에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도록 가역적으로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얼음 이동기의 이동은 상기 얼음 슈트로 상기 얼음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얼음 이동기의 이동은 상기 제1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제2 저장통으로 얼음을 떨어뜨리는, 냉장고.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ice mover is reversibly operable to move ice in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ithin the first reservoir, wherein movement of the ice mover in the first direction moves the ice into the ice chute; The movement of the ice mover in the second direction drops the ice from the first reservoir to the second reservoir.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통은 하나 이상의 도어가 닫혀 있는 때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the first storage bin is slidably mounted within the cabinet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when one or more doors are clos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식품실은 냉동실 및 신선식품실을 포함하고, 상기 신선식품실은 상기 캐비닛 내에서 상기 냉동실 위에 배치되고 또 천장벽, 바닥벽, 및 제1 및 제2 측벽을 가지며, 상기 바닥벽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신선식품실을 분리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신선식품실의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신선식품실의 높이의 일부만큼만 위쪽으로 연장하고 상기 천장벽,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빙 콘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 콘솔은 상기 제빙 콘솔의 내실을 상기 신선식품실로부터 단열시키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 상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얼음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 리세스부는 상기 제빙 콘솔 내에 배치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t least one food compartment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and a fresh food compartment, wherein the fresh food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e cabinet and has a ceiling wall, a bottom wall, and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bottom wall being the freezing compartment separating the fresh food compartment from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n ice-making console extending upward from a bottom wall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by only a portion of a height of the fresh food compartmen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ceiling wall,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ice-making console and at least one wall insulating an inner compartment of the ice-making console from the fresh food compartment, wherein the ice machine, the externally accessible ice dispenser and the dispenser recess are disposed within the ice-making cons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12986A 2017-12-08 2018-01-26 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KR1023426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36,035 US10837690B2 (en) 2017-12-08 2017-12-08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5/836,035 2017-12-08
PCT/CN2018/074255 WO2019109495A1 (en) 2017-12-08 2018-01-26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308A KR20200062308A (en) 2020-06-03
KR102342601B1 true KR102342601B1 (en) 2021-12-22

Family

ID=6673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986A KR102342601B1 (en) 2017-12-08 2018-01-26 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37690B2 (en)
EP (1) EP3695178B1 (en)
KR (1) KR102342601B1 (en)
CN (2) CN111492190B (en)
AU (1) AU2018381656B2 (en)
WO (1) WO201910949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074B2 (en) *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CN108151385B (en) * 2017-12-15 2019-06-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and its energy-saving control method, device
US11480377B2 (en) * 2018-11-16 2022-10-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948229B2 (en) * 2019-02-12 2021-03-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helf-integrated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appliance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US11060782B2 (en) * 2019-06-26 2021-07-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closure
US11953253B2 (en) * 2019-09-02 2024-04-09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ice maker and method of operating a household ice maker
US11131492B2 (en) * 2019-12-11 2021-09-28 Midea Group Co., Ltd. Dual direction refrigerator ice maker
US11703264B2 (en) 2021-02-08 2023-07-18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230064175A1 (en) 2021-09-02 2023-03-02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and combined inlet/outlet

Family Cites Families (1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8A (en) 1863-03-24 Improvement in seed-drills
US1868763A (en) 1930-05-17 1932-07-26 Henry S Raymond Refrigerating device
US2369539A (en) 1942-05-02 1945-02-13 Rudolf D Delamere Displacement apparatus
US2504622A (en) * 1948-05-03 1950-04-18 Harald H Band Refrigerator water fountain
US2869714A (en) 1956-01-23 1959-01-20 Gump B F Co Conveyor construction
US2914218A (en) 1957-07-09 1959-1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rigeration apparatus
US3146601A (en) * 1963-02-04 1964-09-01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187958A (en) 1963-10-14 1965-06-08 Louis D Srybnik Anti-bridging device for ice cube vending machines
US3218111A (en) * 1964-01-27 1965-11-1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351233A (en) * 1966-02-21 1967-11-07 Lawrence H Chanoch Refrigerated food dispenser having a reciprocating ejector
DE1653872B2 (en) 1968-01-25 1976-04-22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SCREW CONVEYOR
US3549000A (en) 1967-07-31 1970-12-22 Marcella B Christian Screw conveyor apparatus
US3485058A (en) 1968-04-10 1969-12-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Bin sensing mechanism
CH509139A (en) 1969-06-19 1971-06-30 Ciba Geigy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ardened plastic moldings
US3640433A (en) * 1969-07-11 1972-02-08 Coca Cola Co Beverage dispenser for metering a plurality of liquids
US3602007A (en) * 1969-10-16 1971-08-31 Gen Electric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3643464A (en) * 1970-06-29 1972-02-22 Gen Electric External ice service
US3744270A (en) * 1971-11-01 1973-07-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Ice maker and ice service drawer arrangement
US3785512A (en) 1972-06-19 1974-01-15 Royal Industries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material from storage bins and the like
US3798923A (en) * 1972-07-14 1974-03-26 Amana Refrigeration Inc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ing means
US3809295A (en) 1972-10-30 1974-05-07 M Vitencz Ice cube dispensing machine
US3858765A (en) 1973-05-18 1975-01-07 Servend Distributors Dispensing apparatus
CA1014199A (en) 1973-09-10 1977-07-19 Walter H. Hoenisch Ice transport and dispensing system
US3911692A (en) * 1974-01-16 1975-10-14 Amana Refrigeration Inc Exterior ice service for freezer-refrigerators
US3874559A (en) * 1974-01-16 1975-04-01 John J Pink Ice dispenser for freezer-refrigerators and the like
CH613258A5 (en) 1975-09-24 1979-09-14 Suter Fa Alois
US4055280A (en) * 1976-06-01 1977-10-25 King-Seeley Thermos Co. Diverter valve assembly for ice distribution systems
US4084725A (en) * 1976-08-26 1978-04-18 Whirlpool Corporation Ice piece dispenser
US4087140A (en) * 1977-04-14 1978-05-02 Whirlpool Corporation Magnetic latch - movable ice receptacle
US4129015A (en) 1977-04-22 1978-12-12 Morris Jr William F Ice storage and dispensing bin
US4189063A (en) 1977-11-07 1980-02-19 Matthiesen Ralph F Ice dispenser
US4168805A (en) 1978-03-31 1979-09-25 Taylor Frank W Storage and ice dispensing system for ice in flake or particle form
US4176527A (en) 1978-07-13 1979-12-04 Whirlpool Corporation Ice crusher for refrigerator
US4386640A (en) * 1978-12-26 1983-06-07 Whirlpool Corporation Ice body dispenser
US4184625A (en) 1978-12-28 1980-01-22 Crown Zellerbach Corporation Container for fresh products such as asparagus
US4227383A (en) * 1979-05-04 1980-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4333612A (en) 1979-11-27 1982-06-08 Kyoei Zo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torage of ice
US4306757A (en) * 1980-05-27 1981-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4285212A (en) * 1980-06-02 1981-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storage assembly
US4420948A (en) * 1981-03-12 1983-12-20 Savage Don H Apparatus for dispensing hard ice cream and the like
US4641763A (en) * 1984-05-18 1987-02-10 Servend International Ice an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dual purpose liner
US4790146A (en) * 1986-03-04 1988-12-13 Sam 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4942983A (en) 1986-12-18 1990-07-24 Bradbury John R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ice
US4804111A (en) 1987-02-20 1989-02-14 Acrison, Inc. Mechanism for metering solid materials which flow in a manner similar to liquids
JPH058427Y2 (en) * 1987-03-16 1993-03-03
US4856682A (en) * 1988-03-31 1989-08-15 Remcor Products Company Hopper and agitator assembly for an ice dispenser
US4969583A (en) * 1988-04-25 1990-11-13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Storage bin-type ice dispenser
US5050777A (en) 1990-01-02 1991-09-24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er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blade auger tha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 baffle opening to prevent wedging of ice bodies therebetween
US4972999A (en) 1990-01-02 1990-11-27 Amana Refrigeration, Inc. Ice piece barrier for selective ice crusher dispenser
US5056688A (en) * 1990-01-02 1991-10-15 Amana Refrigeration Inc. Ice cube and crushed ice dispenser
US5149551A (en) 1990-10-30 1992-09-22 Quixpenser,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pensing food product such as hard ice cream
US5219103A (en) * 1991-12-30 1993-06-1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offee dispenser having an auger and a pick-up wheel
US5299427A (en) * 1992-05-21 1994-04-05 Remcor Products Company Ice transport and dispensing system
US5560221A (en) * 1994-09-27 1996-10-01 Hoshizaki America, Inc. Beverage cooling apparatus with ice agitating dispenser
IT237342Y1 (en) * 1995-12-15 2000-09-05 Castel Mac Spa MACHINE FOR DISPENSING ICE CUBES
AU2227297A (en) 1996-02-12 1997-08-28 Tmo Enterprises Limited Dispensing apparatus
KR100239520B1 (en) 1997-05-17 2000-01-15 윤종용 Ice dispen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6010037A (en) 1998-07-30 2000-01-0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dispensing assembly with enhanced baffle plate arrangement
US6019447A (en) * 1998-08-25 2000-02-01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varying width fresh food and freezer compartments
NO307716B1 (en) 1999-05-07 2000-05-15 Mikkelsen Odd Harry Ice storage device for dispensing ice
US7426838B1 (en) 1999-10-08 2008-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assembly
JP3495959B2 (en) 1999-11-30 2004-02-09 株式会社東芝 Freezer refrigerator
US6442954B1 (en) * 2001-07-02 2002-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hopper icemaking refrigerator
KR20030061672A (en) * 2002-01-15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6574984B1 (en) 2002-02-07 2003-06-10 Camco Inc.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AU2003220509A1 (en) 2002-03-25 2003-10-13 Bunn-O-Matic Corporation Reversing auger system
US6860408B2 (en) 2002-05-24 2005-03-01 Follett Corporation Auger apparatus for conveying ice
US7073876B2 (en) 2002-07-15 2006-07-11 Maytag Corporation Exchangeable components for color customizing of appliances
KR100577184B1 (en) * 2003-05-28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irator
US6964177B2 (en) * 2003-05-28 2005-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cemaker
US6952936B2 (en) * 2003-12-22 2005-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aratus
JP4790633B2 (en) * 2004-01-20 2011-10-12 スリーエム イノベーティブ プロパティーズ カンパニー Water dispenser with water filter for refrigerator
KR100597735B1 (en) 2004-01-28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N1690621A (en) 2004-04-30 2005-11-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Distributor for refrigerator
US7210601B2 (en) 2004-06-04 2007-05-01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flow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7455085B2 (en) * 2004-06-04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7013654B2 (en) 2004-07-21 2006-03-21 Emerson Electric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connecting webs between ice cubes
KR20060027146A (en) * 2004-09-22 2006-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powdery ice supplying apparatus
US8353177B2 (en) 2004-09-27 2013-01-1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US20060065008A1 (en) * 2004-09-3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7188479B2 (en) 2004-10-26 2007-03-13 Whirlpool Corporatio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US7266951B2 (en) 2004-10-26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US7228702B2 (en) * 2004-10-26 2007-06-1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20060074931A (en) 2004-12-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Binding structure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60085985A (en) 2005-01-2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7631513B2 (en) 2005-03-25 2009-12-15 Lg Electronics Inc. Ice bank of refrigerator
US7337620B2 (en)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US7284390B2 (en) 2005-05-18 2007-10-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ntermediate temperature icemaking compartment
KR20060125302A (en) 2005-06-02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7343757B2 (en) 2005-08-11 2008-03-18 Whirlpool Corporation Integrated center rail dispenser
CN1924493B (en) * 2005-08-31 2010-12-29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or with specially designed ice-fetching door for ice-making machine
US7469553B2 (en) * 2005-11-21 2008-12-30 Whirlpool Corporation Tilt-out ice bin for a refrigerator
US7707847B2 (en) 2005-11-30 2010-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dispensing assembly mounted with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US7475562B2 (en) * 2005-12-29 2009-01-13 Maytag Corporation Ice storage drawer for a bottom mount refrigerator
WO2007077166A2 (en) 2006-01-06 2007-07-12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US7493774B2 (en) 2006-01-09 2009-02-24 Maytag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ice/water dispenser
US7712328B2 (en) * 2006-03-02 2010-05-11 Harris Teresa L Refrigerator and appliance system with ice and water dispensing assemblies accessible from multiple sides
KR101275206B1 (en) 2006-03-14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ice making
KR20080014559A (en)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123710B1 (en) 2006-09-04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DE202006013709U1 (en) 2006-09-07 2006-1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Ice dispenser, to be incorporated in refrigerator to deliver ice in block or chopped form, comprises storage vessel with delivery opening, slide and two sets of movable fingers
KR100820816B1 (en)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KR100900287B1 (en) * 2006-12-29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ice making ?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845859B1 (en) 2006-12-31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discharging ice
KR100797480B1 (en) * 2007-01-18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0869510B1 (en) * 2007-01-18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8596085B2 (en) 2007-02-05 2013-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DE102007005950A1 (en)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elescopic extension arrangement
US8191379B2 (en) 2007-02-06 2012-06-05 Haier America Refrigerators Company, Ltd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 access feature
US20080264089A1 (en) * 2007-04-24 2008-10-30 Scotsman Ice Sysems, Llc Ice machine with removable liner
KR101334248B1 (en) 2007-05-28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US8701436B2 (en) * 2007-06-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Pivotable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door
KR101422005B1 (en) * 2007-07-0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900292B1 (en) * 2007-07-05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stor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05931B1 (en) * 2007-07-06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stor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96973B1 (en) * 2007-07-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8312735B2 (en) * 2008-03-12 2012-11-20 Whirlpool Corporation External tilt bucket for an appliance door
US8201715B2 (en) * 2008-04-07 2012-06-1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100951288B1 (en) * 2008-04-07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EP2154454A3 (en) 2008-08-13 2017-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31089B1 (en) 2008-08-13 2016-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00044391A1 (en) * 2008-08-20 2010-02-25 Fallon Russell J Ice dispenser having a safety apparatus
US20100050681A1 (en)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KR101513628B1 (en) * 2008-09-3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100037266A (en) * 2008-10-01 201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8499577B2 (en) 2008-12-12 2013-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ing and water delivery apparatus
KR101621578B1 (en) 2009-02-02 201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584805B1 (en) * 2009-04-23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584806B1 (en) * 2009-04-23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00122230A (en)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87546B1 (en) * 2009-07-28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8756950B2 (en) 2009-08-20 2014-06-24 Follett Corporation Dispenser device for ice and water,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cleaning same
KR101177461B1 (en) * 2009-11-30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ice storage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reof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reof
US8479533B2 (en) 2009-12-14 2013-07-09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ramp and method for filling an ice bin
US8844310B2 (en) * 2009-12-14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High capacity ice storage in a freezer compartment
KR20110081704A (en) 2010-01-08 201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KR101730183B1 (en) * 2010-01-18 201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1776297B1 (en) 2010-01-29 201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69421B1 (en) * 2010-04-05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DE102010017438A1 (en) 2010-06-17 2011-12-22 Paul Hettich Gmbh & Co. Kg Component, in particular for a fitting, a furniture and / or a household applianc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fitting, furniture and / or household appliance
KR101658674B1 (en) * 2010-07-02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sto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20012228A (en)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banks
KR101737509B1 (en) * 2010-08-19 2017-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20040891A (en)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RU2013128568A (en) 2010-11-24 2014-12-27 Электролюкс Хоум Продактс Пти Лимитед LIQUID AND ICE DISTRIBUTION SYSTEM
KR101775403B1 (en) 2011-01-10 201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4105935B (en) 2011-12-09 2016-10-12 伊莱克斯家用产品公司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automated fluid allotter
KR20130092278A (en) 2012-02-10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oor structure of a refigerator
KR101907167B1 (en) 2012-04-10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502112B1 (en) 2012-04-10 2015-03-13 삼성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857198B2 (en) * 2012-06-08 2014-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shut off method for premature harvest reduction
KR101969588B1 (en) 2012-06-20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rigerator including an ice container
KR20140001465A (en) *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929517B1 (en) 2012-06-29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14086401A1 (en) 2012-12-05 2014-06-12 Stetter Gmbh Ice storage system for an ice machine
US9372023B2 (en) 2013-02-14 2016-06-21 Whirlpool Corporation Ice crushing system
KR102040609B1 (en) * 2013-03-08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2001929B1 (en) 2013-03-08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3628946A1 (en) * 2013-03-25 2020-04-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156123B1 (en) * 2013-08-12 202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DE202014103102U1 (en) 2014-07-07 2015-10-12 Grass Gmbh Devi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 push element and kitchen appliance
EP3001125B1 (en) * 2014-09-23 202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compartment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KR101760177B1 (en) 2015-05-20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96850B1 (en)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rcke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locking device of ice burcket
US9415945B1 (en) 2015-07-09 2016-08-16 John Potee Whitney Self-cleaning multiple helical auger conveyor for a processor
KR102417751B1 (en) 2015-11-12 2022-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70069658A (en) 2015-12-1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9738504B2 (en) 2015-12-17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Low force actuation dispenser paddle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n appliance
KR102465860B1 (en) 2015-12-24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23237B1 (en) 2016-05-02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prompt-stopper for ice-bucket
US10386111B2 (en) 2016-11-30 2019-08-20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home appliance device
KR101997259B1 (en) 2017-05-26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07314600B (en) 2017-06-19 2020-06-2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and ice removing mechanism of ice maker in refrigerating chamber of refrigerator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181309B2 (en) 2017-12-22 2021-11-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US11131492B2 (en) 2019-12-11 2021-09-28 Midea Group Co., Ltd. Dual direction refrigerator ice maker
US11598566B2 (en) 2020-04-06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volving ice maker
US11137189B1 (en) 2020-07-15 2021-10-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dispens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81656B2 (en) 2021-08-19
EP3695178B1 (en) 2023-06-07
WO2019109495A1 (en) 2019-06-13
CN111492190B (en) 2021-06-15
AU2018381656A1 (en) 2020-06-18
US20210063071A1 (en) 2021-03-04
US11573041B2 (en) 2023-02-07
KR20200062308A (en) 2020-06-03
EP3695178A1 (en) 2020-08-19
EP3695178A4 (en) 2021-01-13
US10837690B2 (en) 2020-11-17
CN113188282A (en) 2021-07-30
CN111492190A (en) 2020-08-04
US20190178552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601B1 (en) Refrigerator with tandem reservoir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525615B2 (en)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KR101584806B1 (en) Refrigerator
US11781803B2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KR20180138082A (en) drawer and refrigerator with drawer
JP2013092308A (en) Refrigerator
WO2019109491A1 (en) Refrigerator icemaking console
EP3874212B1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CN111512103B (en) Refrigerator having door-mounted ice making system
US10088224B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multiple chilled chambers
JP5202207B2 (en) refrigerator
US20200393185A1 (en)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US20230064175A1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and combined inlet/outlet
KR20110009344A (en) Refrigerator
JP7070053B2 (en) refrigerator
KR101751050B1 (en) Refrigerator
JP2009228967A (en) Refrigerator
KR20100062352A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