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291B1 - 분리수거용 틀 - Google Patents

분리수거용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291B1
KR102342291B1 KR1020200063167A KR20200063167A KR102342291B1 KR 102342291 B1 KR102342291 B1 KR 102342291B1 KR 1020200063167 A KR1020200063167 A KR 1020200063167A KR 20200063167 A KR20200063167 A KR 20200063167A KR 102342291 B1 KR102342291 B1 KR 10234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pright
separate collection
st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106A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20006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2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7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a plurality of flexible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6Collapsible
    • B65F2220/1063Collapsi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분리수거용 틀이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고 직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분리수거용 틀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두 개의 직립대의 측면이 연결대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되, 연결대의 중앙부가 힌지 구조로 체결되어 직립대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분리수거용 봉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분리수거용 틀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직립대의 펼쳐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직립대의 하단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조립하며, 지지대가 직립대의 하단에에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지지대의 일측 선단은 두 개의 직립대 중 어느 일측의 하단에 축 결합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하도록 하고, 지지대의 타측 선단은 장착부에 형성된 체결돌부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분리수거틀을 접은 상태에서는 지지대가 두 개의 직립대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고, 분리수거틀을 펼친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대의 하부를 펼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수거용 틀{Frame for hanging and fixing recycled garbage bags}
본 발명은 분리수거용 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구조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분리수거용 틀이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고 직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분리수거용 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쓰레기는 자원의 재활용을 위하여 분리수거되는 것으로, 분리수거를 위한 틀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7963호(2006.01.31.), 등록특허 제1302906호(2013.08.27.), 등록실용신안 제0488019호(2018.11.28.) 등에서와 같이 좌우로 긴 사각형 테두리에 다리대를 장착하여 소정높이로 비닐봉투나 자루 등을 걸어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분리수거용 틀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좌우로 긴 사각테두리형태의 수평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의하여 소정높이로 지지하고, 수평프레임에는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담아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써, 분리수거용 틀이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속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그런데 금속프레임을 절단하여 용접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자재비나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어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수거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분리수거 봉투를 간편하게 걸어서 사용하고 내용물이 가득차면 봉투만을 분리하여 분리수거할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서랍식으로 분리수거대를 마련하여 각 층별로 전면의 도어를 개방하여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수거대틀과 수납부의 도어를 각각 성형하여 조립하여야 함은 물론, 그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문제가 있고, 이는 결국 소비자의 부담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도 분리수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7049호(2001.03.31.)에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분리수거봉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틀만을 제공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리수거용 틀이 주로 플라스틱 사출 구조를 조립하여 일정한 형태의 틀을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조립구조가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사용상 문제가 거의 없으나,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이 병이나 캔인 경우에는 어느정도 무게가 있기 때문에 재활용품이 쌓이면 불리수거 틀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비틀림이 발생하거나 국부하중이 발생하면서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분리수거용 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최소한의 보관장소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렇게 접이식으로 구성할 경우 그 절첩구조의 내구성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판재를 활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분리수거 틀을 구성하면서도 힌지구조로 절첩되는 구조임에도 지지대를 활용하여 분리수거 틀의 하부를 연결 고정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접이식 구조의 분리수거틀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전,후방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두 개의 직립대의 측면이 연결대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되, 연결대의 중앙부가 힌지 구조로 체결되어 직립대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분리수거용 봉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분리수거용 틀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직립대의 펼쳐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직립대의 하단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조립하며, 지지대가 직립대의 하단에에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측 선단은 두 개의 직립대 중 어느 일측의 하단에 축 결합하여 상,하로 절첩 작동하도록 하고, 지지대의 타측 선단은 장착부에 형성된 체결돌부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분리수거틀을 접은 상태에서는 지지대가 두 개의 직립대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고, 분리수거틀을 펼친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대의 하부를 펼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수거 틀에 의하면, 플라스틱재로 가정 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적도로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지며, 힌지 구조로 극히 단순하게 절첩 작동이 가능하여 접이식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기울어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쏠림을 방지하여 부분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된다.
또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면이 지지되므로 바닥면을 봉투 받침으로 활용하여 바닥이 오염되거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분리수거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수거 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롯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직립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분리수거 틀이 접힌 상태도
도 6은 도 1의 분리수거 틀의 펼침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지지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면의 지지대의 또 다른 장착구조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지지대를 활용한 사용 상태도
도 13은 도 8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지지대의 타공부를 활용한 분리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분리수거 틀(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대(100)와, 직립대를 연결하는 연결대(200)와, 직립대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립대(100)는 전,후방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전방 직립대(120)와 후방 직립대(140)의 두 개의 직립대(100)가 구비되고, 직립대(100)의 양 측면에 연결대(200)가 장착되어 전방 직립대(120)와 후방 직립대(140)가 상호 체결되며, 연결대(200)의 중앙부는 힌지 구조로 체결되어 직립대(100)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분리수거용 봉투(2)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직립대(100)에 분리수거용 봉투(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써 직립대(100)의 상측 변을 따라서 복수의 걸고리부분이 병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병렬로 배열된 걸고리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분리수거용 봉투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연결대(200)는 직립대(100)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각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대(200)는 두 개의 연결대가 교호로 교차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연결대(200)가 교차하는 중앙에는 힌지축(220)으로 연결되고, 연결대의 선단에는 장착축(240)이 형성되며, 하단의 장착축이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장착함으로써 두 개의 직립대(100)를 맞닿게 포개어 접거나 펼칠 때 하단의 장착축이 승강되면서 접거나 펼치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단의 장착축(240)은 직립대(100)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에 장착되어 하단의 장착축(240)이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분리수거 틀의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롯홀(16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축(240)이 상단부 끝까지 상승한 상태 또는 하단부 끝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임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직립대(100)의 하단에는 두 개의 직립대(100), 즉 전,후방 직립대(120,140) 간의 펼쳐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후방 직립대(120,140)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전,후방 직립대(120,140)의 하단에는 장착부(150)가 형성되어 지지대(3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지지대(300)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하부를 연결하여 분리수거틀이 'ㄷ'자 형상으로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여 직립대(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전방 직립대(120)와 후방 직립대(140)가 연결대(2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 구조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대(200)에 유격을 주어야만 작동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그 유격으로 인하여 분리수거 틀(1)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오히려 견고한 직립상태의 장애요소가 되기 때문에 직립상태를 온전히 유지하지 못하고 전방 직립대(120)와 후방 직립대(140) 간에 비틀림이 발생된다.
그런데 직립대(100)의 양측면을 연결대(200)로 연결한 상태에서 미세한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지지대(300)에 의하여 전방 직립대(120)와 후방 직립대(140)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고, 지지대(300)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후방 직립대(120,140)간의 기울어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고 견고한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재활용 쓰레기가 모아져서 분리수거를 할 때에도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쏠림을 방지하여 하중이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부분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는 전,후방의 두 개의 직립대 하단을 연결하도록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직립대(12,140)에 각각 장착부(150)를 내입되게 마련하여 ㅈ지지대(300)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두 개의 직립대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의 하단에 절첩되는 구조로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는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직립대(100) 중 어느 일측의 직립대(100) 하단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절첩 작동하여 분리수거틀을 접은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고, 분리수거틀을 펼친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하부를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지지대(300)가 직립대(100)의 내측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300)가 회동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분리수거 틀이 접혀질 때에는, 도 11과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직립대(100) 내면이 맞닿도록 완전히 포개어 접혀지면서 지지대(300)는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므로 직립대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분리수거 틀이 펼쳐질 때에는, 도 12와 같이 직립대(100)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구멍(180)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외측방향으로 당겨서 이격시켜 펼치게 된다.
이때, 지지대(300)는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므로 한 쌍의 직립대(100)가 전,후방향으로 펼쳐질 때 그 펼쳐진 사이로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립대(100)는 지지대(300)가 축 결합된 직립대의 타측 직립대의 장착부(150)에 체결돌부(152)가 형성되어 지지대(300)의 선단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면서 지지대(300)의 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에는 분리수거 틀(1)을 펼쳐 지지대(300)가 낙하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지대(300)를 가압하여 눌러 끼움으로써 펼쳐짐이 완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바닥에 펼쳐져 고정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분리수거봉투(2)를 분리수거 틀(1)에 거치한 상태에서 봉투의 하단이 지면이나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고 받침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재활용 쓰레기가 많이 담길 수록 자중에 의하여 지지대(300)의 들림이 더욱 방지되면서 직립대(100)에 끼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비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가급적 직립대(100) 하부의 넓은 폭을 걸쳐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300)는 굴곡부(320)가 형성되어 성형후 냉각과정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립대(100)에 지지대(300)를 조립할 때 힌지 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장착부(150) 구조를 지지대(300)의 선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안착홈(154)과, 안착홈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축홈(15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에 축 결합되는 선단부 일측에 힌지축(306)을 돌출 형성하고, 타측의 선단부에는 체결돌부(152)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302)를 형성하면 두 개의 직립대(100)를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하여 간단하게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지지대(300)가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절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전,후방에 위치하는 직립대가 동일한 형상으로 가지므로 지지대(300)를 두 개의 직립대(100) 중 어느 하나에 끼워 조립할 수 있어서 지지대(300)가 대응되어 착탈되기 때문에 금형을 분리 구성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금형으로도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직립대(100)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라인에서 암수를 구별할 필요없으므로 재고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부(302)는 지지대(300)의 선단에 내입단턱(304)을 마련하고 그 선단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걸림부(302)에 맞물려 고정되는 체결돌부(152)는 안착홈(154)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걸림부(302)와 체결돌부(152)가 상호 끼워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직립대(100)와 지지대(300)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자체 탄성에 의하여 미세하게 벌어짐되면서 끼워지고 걸림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에는 지지대(300)의 조립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이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대(300)의 측면에 별도로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고리 등을 설치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지지대(300)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는 굴곡부(320)를 마련할 때 상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타공부(340)를 형성하면 타공부(340)의 하부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지지대(300)의 들어올릴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간단하고 외관이 미려한 구조로 해제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1: 분리수거 틀
2: 분리수거용 봉투
100: 직립대 120: 전방 직립대 140: 후방 직립대
150: 장착부 152: 체결돌부 154: 안착홈 156: 축홀
160: 슬롯홀
180: 손잡이구멍
200: 연결대
220: 힌지축
240: 장착축
300: 지지대 302: 걸림부 304: 내입단턱 306: 힌지축
320: 굴곡부
340: 타공부

Claims (5)

  1. 전,후방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두 개의 직립대(100)의 측면이 연결대(200)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되, 연결대(200)의 중앙부가 힌지 구조로 체결되어 직립대(100)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분리수거용 봉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분리수거용 틀(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직립대(100)의 펼쳐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3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의 하단에 장착부(150)가 형성되어 지지대(300)가 조립되며,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의 하단에에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여 직립대(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300)는 두 개의 직립대(100) 중 어느 일측의 직립대(100) 하단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절첩 작동하여 분리수거틀을 접은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고, 분리수거틀을 펼친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직립대가 펼쳐진 하부를 고정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대(100)는 지지대(300)가 축 결합된 직립대의 타측 직립대의 장착부(150)에 체결돌부(152)가 형성되어 지지대(300)의 선단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면서 지지대(300)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대(100)의 장착부(150)에는 지지대(300)의 선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안착홈(154)과, 안착홈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축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00)는 직립대(100)에 축 결합되는 선단부 일측에 힌지축(306)이 돌출 형성되되, 타측의 선단부에는 체결돌부(152)에 걸림 고정되는 내입단턱(302)이 형성되어 두 개의 직립대(100)를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하여 제작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틀.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에는 손가락을 끼워 지지대(300)를 들어올려 체결상태 해제가 가능하도록 타공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틀.





KR1020200063167A 2020-05-26 2020-05-26 분리수거용 틀 KR10234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67A KR102342291B1 (ko) 2020-05-26 2020-05-26 분리수거용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67A KR102342291B1 (ko) 2020-05-26 2020-05-26 분리수거용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06A KR20210146106A (ko) 2021-12-03
KR102342291B1 true KR102342291B1 (ko) 2021-12-24

Family

ID=7886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67A KR102342291B1 (ko) 2020-05-26 2020-05-26 분리수거용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2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16A (ja) * 2004-08-17 2006-03-02 Masaki Tekko Kk 簡易ごみ収納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16A (ja) * 2004-08-17 2006-03-02 Masaki Tekko Kk 簡易ごみ収納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106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860B1 (en) Shower caddy with detachable parts
CN203546462U (zh) 一种蒸汽烫衣机
KR102342291B1 (ko) 분리수거용 틀
US6877622B2 (en) Collapsible closet frame
US6237878B1 (en) Apparatus for holding a plastic bag
KR102434092B1 (ko)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테이블
US7866494B1 (en) Closet
CN218881805U (zh) 可收折户外用品
KR102193978B1 (ko) 다목적 신축가능한 수거함
KR20100098809A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458127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CN201647228U (zh) 折叠式悬挂篮
KR101994207B1 (ko) 빨래건조대
KR200419253Y1 (ko) 물품걸이구를 구비한 신발장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24140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20120001607U (ko) 재활용 분리수거함
CN215125660U (zh) 一种折叠衣柜
KR101734202B1 (ko) 옷걸이 지지부재와 그 결합방법
KR102263069B1 (ko) 쓰레기 봉투 거치대
CN220988408U (zh) 一种可站立且可悬挂的折叠晾鞋架
CN210471451U (zh) 一种折叠衣柜
CN212972204U (zh) 折叠式多层置物架
JPH07308244A (ja) ラック兼用ベビーベッド
CN214630862U (zh) 一种便于折叠和携带的格物架
KR20240083341A (ko) 세탁물 바구니 겸용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