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118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118B1
KR102342118B1 KR1020210057943A KR20210057943A KR102342118B1 KR 102342118 B1 KR102342118 B1 KR 102342118B1 KR 1020210057943 A KR1020210057943 A KR 1020210057943A KR 20210057943 A KR20210057943 A KR 20210057943A KR 102342118 B1 KR102342118 B1 KR 10234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drum
ra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859A (ko
Inventor
김정윤
송성호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62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5093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1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와, 상기 건조히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건조덕트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장치와, 상기 스팀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스팀의 분사압에 따라 상기 분사구의 면적이 가변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FABRIC DRYER}
본 발명은 스팀분사장치와 랙을 포함한 의류 건조기에 대한 것이다.
건조기는 회전하는 드럼 내에 피 건조물을 투입하고, 드럼 내로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스팀분사장치는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이를 분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의 건조기는 드럼 외부에 스팀 분사장치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오염을 제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건조기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 내부에서 스팀이 분사되어 의류의 일부에 형성된 오염을 간편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스팀의 분사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팀 분사로 노즐에 발생하는 응축수가 드럼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와, 상기 건조히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건조덕트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장치와, 상기 스팀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스팀의 분사압에 따라 상기 상기 분사구의 면적이 가변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스팀생성장치로부터 유동하는 스팀을 상기 분사구로 안내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단부벽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구의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구는, 상기 단부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구는, 상기 단부벽에서 둘레벽으로 연장된다.
상기 노즐은 분사압에 따라 절개구 부분의 주변이 전개되면서 상기 분사구의 직경이 증가된다.
상기 절개구가 상기 둘레벽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둘레벽이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상기 절개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의 절반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는, 원형형상을 가지고, 상기 단부벽은 상기 분사구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을 가진다.
상기 절개구가 상기 둘레벽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절개구가 상기 단부벽에서 형성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드럼 내부에서 스팀이 분사되어 의류의 일부에 형성된 오염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스팀의 분사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스팀의 압력 증가에 따라 스팀 노즐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면에 형성되는 분사구와 슬리을 통하여 스팀 분사 시 스팀 분사구의 탄성 변형을 증대시킬 수 있고, 린트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스팀 분사구가 막히더라도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팀분사장치를 포함한 의류 건조기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스팀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스팀분사장치의 스팀생성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5b의 B-B를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팀분사장치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노즐의 분사 직경에 따른 분사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노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 및 활용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과 지지대의 결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수용부와 버킷 수용부의 활용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고정부의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에 장착된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의 형상을 표현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과 버킷의 장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의 장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 랙 및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유도부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다른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과 지지대의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일부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도 36는 도 3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7는 도 36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9은 도 38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의류 건조기란, 의류가 수용된 일정한 공간 내에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과, 드럼 내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장치가 구비된 통상의 건조기는 물론이고, 급수를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능과 함께 건조기능을 구비한 건조겸용 세탁기도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을 포함한다. 드럼(4)의 내주면에는 리프터(6)가 구비되어, 드럼(4)이 회전됨에 따라 의류를 퍼 올렸다가 떨어뜨린다.
케이싱은 캐비닛(30)과, 캐비닛(30)의 전방에 장착되고 중앙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32)와, 캐비닛 커버(32)의 상측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40)과, 캐비닛(30)의 후방에 장착되고 캐비닛(30) 내부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통기홀(34h)이 형성된 백 패널(34)과, 캐비닛(30)의 상부를 덮는 탑 플레이트(36)와, 캐비닛(30)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38)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32)에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8)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0)에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다이얼 등의 입력수단과,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컨트롤 패널(40)의 배면부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30)에는 스팀분사장치(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수용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닛(30)에 의해 드로워(71)가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로워(71) 내에 물 수용부(72)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싱 내에서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각각 프론트 서포터(10)와 리어 서포터(8)가 구비고, 드럼(4)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각각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8)에 의해 지지된다.
프론트 서포터(10)의 중앙부는 의류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50)가 형성되고, 프론트 서포터(10)의 배면에는 드럼(4)의 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전방 지지돌기(54)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10)의 하부에는 프론트 가이드 롤러(5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4) 전단의 내주면은 전방 지지돌기(54)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프론트 가이드 롤러(56)에 의해 지지된다.
리어 서포터(8)의 전면에는 드럼(4)의 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후방 지지돌기(60)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리어 가이드 롤러(6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4) 후단의 내주면은 후방 지지돌기(60)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리어 가이드 롤러(64)에 의해 지지된다.
드럼(4)의 하측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42)가 구비되고,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리어 서포터(8)와 건조히터(42) 사이에 연통되게 건조덕트(14)가 구비되고, 드럼(4)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는 린트덕트(16)가 연통되게 구비된다.
건조덕트(14)에는 드럼(4) 내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44)이 형성된다. 송풍기(22)의 작동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공기가 드럼(4) 내에서 린트덕트(16), 송풍기(22) 및 배기덕트(20)를 따라 유동된다. 특히, 이러한 공기의 유동과정에서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덕트(14)를 따라 유동된 후, 통공(144)을 통해 드럼(4) 내로 토출된다.
또한, 린트덕트(16)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18)에 의해 정화되고, 린트덕트(16) 내부의 공기를 케이싱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케이싱의 후면에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배기덕트(20)와 린트덕트(16) 사이에는 송풍기(22)가 연결되고, 송풍기(22) 및 드럼(4)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와, 모터(24)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드럼(4)을 회전시키는 전동벨트(26)가 구비된다.
도 4는 스팀분사장치를 포함한 의류 건조기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스팀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스팀분사장치의 스팀생성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5b의 B-B를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팀분사장치(100)는 드럼(4) 내로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물을 토출구(121)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스팀생성장치(160)와, 스팀생성장치(16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열을 가하는 스팀생성히터(130)와, 스팀생성히터(130)의 가열작용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물 수용부(72)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와는 다르게, 스팀생성장치(160)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수원과 연결된 급수호스가 유입구(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구(140)와 급수호스 사이에는 급수 단속을 위한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40)는 물 공급관(74)을 통해 물 수용부(72)와 연결되고, 물 수용부(72)로부터 스팀생성장치(160) 측으로 물을 압송하는 펌프(73)가 구비된다.
스팀생성장치(160)와 노즐(17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결합된다는 것은 스팀생성장치(160)와 노즐(170)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을 이루는 경우는 물론이고, 스팀생성장치(160)와 노즐(170)이 사출성형 등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나, 스팀생성장치(16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노즐(170)의 위치가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종래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고 이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호스 등을 통하여 노즐까지 이송하는 구조는, 스팀이 호스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응축됨으로써 노즐을 통해 응축수가 분사되었고, 이는 피건조물을 다시 젖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팀생성장치(160)를 통해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스팀생성장치(160)와 일체로 형성된 노즐(1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팀생성장치(16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노즐(170)에 이르는 과정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 수용부(72)는 드로워(71)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는 드로워(71)를 인출하고 물 수용부(72)에 형성된 투입구(72a)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동성을 고려하여 소형화가 이루어진 의류 건조기의 경우에는 외부수원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것 보다는 물 수용부(72)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구조가 유리하다.
스팀생성장치(160)는 유입구(140)로부터 토출구(121)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 본체(110)와, 유로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로 본체(110)와 커버(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본체(110)에는 물 공급관(74)과 연결되는 유입구(140)가 형성되어, 유입구(140)를 통해 유로 본체(1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된다.
스팀생성히터(130)는 유로 본체(110) 내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생성히터(130)의 발열 작용에 따라 물이 가열되며 스팀이 생성된다. 스팀생성히터(130)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 상에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에 매립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스팀생성히터(130)가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스팀생성히터(130)의 절연을 위한 별도의 절연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유로 본체(110)는 스팀생성히터(130)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생성히터(1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2 개의 단자(131, 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들은 유로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로 본체(110)는 내측으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에는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151, 152)들이 돌출형성된다. 유로형성리브들(151, 152)은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유로 본체(110)의 측면부(118, 119)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은 유로 본체(110)의 우측부(1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유로 본체(110)의 좌측부(119)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유로형성리브(152)를 포함하고, 유입구(140)와 노즐(170) 사이에서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제 2 유로형성리브(152)는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제 1 유로형성리브(151)의 단부는 좌측부(119)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유로형성리브(152)는 우측부(118)와 소정의 간격 이격된다. 유입구(140)를 통해 공급된 물은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안내되며 노즐(170)을 향해 진행되는 중에 그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된다.
커버(120)는 유로 본체(110)를 덮는 것으로, 유로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유로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본체(11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누설되지 않도록 커버(120)와 유로 본체(110)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0)는 유로 본체(110)를 덮는 판체부(122)와, 판체부(112)에 형성된 토출구(121)로부터 연장되어 유로 본체(110)에서 생성된 스팀을 노즐(170)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관(123)의 단부에 노즐(170)이 결합된다.
한편, 유로 본체(110)에는 다수개의 체결부(116, 11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에는 유로 본체(1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다양한 설치 구조를 고려하여 각 체결공의 개구방향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체결부(116)에 형성된 체결공과 제 2 체결부(117)에 형성된 체결공의 개구방향이 서로 다르다.
한편, 제 1 유로형성리브(151)와 제 2 유로형성리브(152) 사이에는 다수개의 전열돌기(155)가 바닥부(11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열돌기(155)들은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스팀생성히터(130) 발열시 유로 본체(110)의 바닥부(113)가 가열되고, 유로형성리브들(151, 152)과 전열돌기(155)가 함께 가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스팀생성히터(130)로부터 전달된 열이 발열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빠른 속도로 스팀으로 상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유로 본체(110), 특히, 바닥부(113)를 열전도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및 전열돌기(155)에 의한 가열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를 따라 물의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는 구조는, 물의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충분한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더구나 전열돌기(155)에 의한 가열 효과를 고려하면 노즐(170)에 도달하기까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을 일정한 곳에 모아두고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시, 본 실시예에는 이동 중인 물에 열이 가해지고, 그로인한 상변화가 거의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팀 분사에 필요한 시간을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스팀생성장치(16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중에 가열되기 때문에 수류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갈수록 증압이 이루어져, 노즐(170)을 통해 고압으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특히, 토출구(121)에서는 스팀에 의한 증압 뿐만 아니라, 유입구(140)에서 토출구(121)로의 물의 유동에 따른 수류압이 더해져, 노즐(170)의 분사압이 더욱 세진다.
노즐(1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토출구(121) 또는 노즐(170)의 입구에서의 온도는 대략 섭씨 70도(이하, 온도의 단위는 섭씨임.), 바람직하게는 70도 이하이고, 드럼(4) 내의 온도는 30도 내지 40도로 유지된다. 의류에 닿는 스팀의 온도가 너무 고온이면 의류의 직접적인 손상은 물론이고, 의류에 묻은 얼룩의 변성으로 인한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70)을 통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스팀의 분사가 이루어지면서도 드럼(4) 내의 온도는 30도 내지 40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노즐(170)의 분사압은 분사구의 직경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노즐(170)의 분사구 직경을 다르게 하며 측정된 분사압은, 분사구의 직경이 1.5 mm 보다 큰 경우에는 노즐(170)로부터 분사된 물이 의류를 충분한 세기로 타격하지 못하거나 의류에까지 미치지 못하였고, 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사 유량이 의류를 처리하기에 부족하였다. 또한, 분사구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스케일(scale)에 의한 분사구의 폐색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며, 따라서, 이러한 여러가지 영향을 고려하여 노즐(170) 분사구의 직경은 대략 1.5 내지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즐(170)은 분당 70 내지 120cc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리브들(151, 152) 사이로 정의되는 협소한 유로를 따라 물이 이동되고, 그 이동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물이 유입구(140)로부터 노즐(170)로 이동되는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와 하류를 구분할 시, 하류 측에 속하는 물일수록 흡열 시간이 많아 스팀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할 것이나, 이에 더불어 상류측에 속하는 물도 바닥부(113)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급속하게 스팀이 생성되고, 이와 더불어 물의 유동에 따른 수압 또한 작용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노즐(170)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스팀은 매우 고압을 유지하고, 드럼(4) 내의 의류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100)는 짧은 시간 안에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함으로써, 스팀 분사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스팀분사장치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어 서포터(8)에는 노즐(170)을 통해 분사된 스팀이 드럼(4) 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통공(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170)은 상기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스팀생성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고려해 보면, 유로 본체(110)가 리어 서포터(8)에 직접 체결되는 구조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나, 이와는 다르게 캐비닛(30) 또는 백패널(34)에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상기 캐비닛 또는 백패널에 유로 본체(110)가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별도의 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는 브래킷(180)에 먼저 스팀분사장치(100)를 고정하고, 브래킷(180)을 백패널(34)에 체결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백패널(34)에는 스팀분사장치(100)의 용이한 설치 및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한 개구부(34a)가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180)은 상기 개구부 주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팀생성장치(160)는 유입구(140)의 높이가 노즐(170)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펌프(73)의 작동이 중지된 후 스팀생성장치(160) 내의 잔수가 노즐(170)을 통해 자연 배수된다. 따라서, 스팀생성장치(160)내에서의 잔수로 인한 오염 또는 스케일의 생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의류 건조기는 스팀생성장치(160) 세척을 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건조기능을 위해 기 제공되는 행정의 수행 중에, 또는 이러한 행정과 별개로 추가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임의적인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척 운전이 실시되면 스팀생성장치(160) 내로 물을 공급하여 침전물 등의 이물질이 노즐(17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스팀생성장치(160) 내가 항시 잔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즉, 유입구(140)를 통해 급수된 물 전부가 노즐(17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유입구(140)와 노즐(170)의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즐(170)로부터 분사된 스팀 중 드럼(4) 내에서 의류에 닿는 양은 스팀생성히터(130)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전체 스팀의 양 중 40%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스팀생성히터(130)이 작동 온도, 노즐(170) 분사구의 면적, 펌프(73)의 작동 압 등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특히, 스팀이 수평면에 대해 대략거기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이루며 분사될 수 있도록 노즐(170)의 분사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노즐(170)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은 의류에 닿을 수 있어야 한다. 드럼(4) 내 적재된 의류의 양과 무관하게 항시 스팀이 의류에 가해질 수 있도록, 노즐(170)로부터 분사되는 스팀은 드럼(4)의 최하단에까지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팀분사장치(6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스팀생성장치(660)와 노즐(670)을 포함한다. 또한, 유로 본체(610), 커버(620), 스팀생성히터(630), 좌측부(619), 우측부(618) 등도 역시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한 참조부호는 다르더라도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따르기로 하고,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생성장치(660)는 바닥부(613)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611, 612) 중 어느 하나(612)를 기준으로 양쪽 공간으로 구획되고, 물이 상기 양쪽 공간 중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에서 하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진행되는 중에 유로형성리브(612)를 넘쳐 흘러 진행할 수 있도록, 유로형성리브(612)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을 위한 간격이 존재한다. 상기 물의 이동을 위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커버(620)에는 간격형성구간(625)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형성구간(625) 내에서 커버(620)의 내측면은 유로형성리브(612)와 이격된다.
스팀생성장치(660) 내에는 유로형성리브(6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임팩터(impactor, 690)가 구비될 수 있다. 임팩터(690)는 상기 구획된 양쪽 공간 중에서 스팀생성장치(660) 내의 물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임팩터(690)는 간격형성구간(62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생성장치(660) 내에서 진행하던 물이 유로형성리브(612)에 의해 구획된 양쪽 공간 중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에서 임팩터(690)에 부딪친 후 간격형성구간(625)을 통해 하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스케일은 주로 임팩터들(691, 692, 693) 사이에 생성되며, 따라서, 노즐(670) 분사구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임팩터(690)는 유로의 다수 지점에 특히,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구간들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방향의 전환되는 구간들 중 임팩터(690)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간격형성구간(625)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수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로형성리브가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팀분사장치(600)는 유입구(640)가 노즐(670)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팀생성장치(660) 내의 잔수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도 11은 노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팀분사장치는 수압에 따라 분사구의 면적이 가변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스팀분사장치의 사용이 계속됨에 따라 스케일이 생성되어 분사구가 협소해 지더라도 일정한 수준 이상의 분사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노즐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하에서 예로써 설명하는 노즐(27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들 중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노즐(270)은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압에 따라 노즐(270)의 변형, 특히 분사구의 형태가 변형된다. 분사구 주변에 스케일이 생성되더라도, 분사구의 면적이 가변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분사유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팀생성장치(160, 660) 내의 이물질 또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노즐(270)의 분사구는 그 테두리를 따라 다수회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270)은 분사압에 따라 상기 절개된 부분의 주변이 전개되면서 분사구의 직경이 증가된다.
노즐(270)에는 분사구(271)의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272)가 형성된다.
노즐(270)은, 유동하는 스팀을 분사구(271)로 안내하는 둘레벽(274)과 둘레벽(274)의 단부에 배치되고 분사구(271)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단부벽(273)을 포함한다. 단부벽(273)은, 원형상의 분사구(271) 주위를 감싸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개구(272)는, 단부벽(273)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구(272)는, 단부벽(273)에서 둘레벽(274)으로 연장된다. 절개구(272)가 둘레벽(274)에서 연장되는 길이(272L)는 둘레벽(284)이 단부벽(273)으로부터 절개구(27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274L)의 절반보다 작게 형성된다. 절개구(272L)가 둘레벽(274)에서 연장되는 길이(272L)는, 절개구(272)가 단부벽(273)에서 형성되는 길이(273L)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랙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랙랙(300)는 스팀분사장치(100, 600)를 통해 의류를 세탁할 시, 그 위로 의류를 거치하는 위한 것이다. 여기서, 세탁이라 함은 통상의 세탁기에서 제공되는 세탁행정 또는 운전 등과는 다르게, 스팀분사장치(100, 600)를 통해 의류에 스팀을 가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스팀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척을 위해 위해 소요되는 물의 양이 일반적인 세탁에 비교해서 소량이어서 효율적이며, 의류에 묻은 얼룩 등의 국부적인 오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의류 건조기에 스팀분사장치(100, 600)를 설치함으로써 세탁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랙랙(300)는 베이스(310)와, 베이스(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의 오염부위가 노즐(170)의 분사방향과 대향하도록 조절하는 지지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염부위가 지지판(340) 위에 오도록 의류를 거치하고, 지지판(340)의 각도를 조절하여 노즐(170, 270)과 대향하도록 함으로써, 노즐(170, 270)을 통해 분사된 스팀이 정확하게 오염부위에 도달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지지판(340)의 최대 회전 각도는 노즐(170, 270)의 분사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랙랙(300)는 필요시에만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 또는 탈거 할 수 있도록, 드럼(4)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7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스팀생성장치(760)와, 스팀생성히터(730)과 노즐(미도시)을 포함한다. 스팀생성장치(760)는 유로 본체(710)와, 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한 참조부호는 다르더라도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따르기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 본체(710)는 바닥부(71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711, 71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리브들(711, 712)은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유로 본체(110)의 측면부(118, 119)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은 유로 본체(710)의 우측부(7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형성리브(711)와 유로 본체(710)의 좌측부(719)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유로형성리브(712)를 포함한다.
제 1 유로형성리브(711)의 단부는 좌측부(719)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유로형성리브(712)는 우측부(718)와 소정의 간격 이격된다. 유입구(740)를 통해 공급된 물은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711, 712) 사이를 따라 안내되며 진행되는 중에 그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된다.
제 1 유로형성리브(711)는 우측부(718)로부터 좌우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연장부(711a)와, 좌측부(719)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횡방향 연장부(711a)의 단부로부터 종방향, 바람직하게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부(7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유로형성리브(712)는 좌측부(719)로부터 좌우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연장부(712a)와, 우측부(718)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횡방향 연장부(712a)의 단부로부터 종방향, 바람직하게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부(7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로형성리브(711)의 횡방향 연장부(711a)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던 물이 종방향 연장부(711b)와 좌측부(719) 사이를 따라 안내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고, 다시 제 2 유로형성리브(712)의 횡방향 연장부(712a)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된다.
커버(720)로부터 유로 본제(710)를 향해 채집돌기 또는 임팩터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채집돌기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794a, 794b, 795a, 795b). 참고로, 도 13 내지 도 14에는 커버(720)의 다른 구성은 생략하고, 채집돌기(794a, 794b, 795a, 795b)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커버(7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15에 도시된 단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채집돌기(794a, 794b, 795a, 795b)는 스팀생성장치(710)의 바닥부(713)와 소정의 간격을 이룬다. 스팀분사장치(700)의 장기간의 사용으로 스팀생성장치(710)내에는 스케일이 침전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침전된 스케일은 유로를 따라 유체(스팀 또는 물)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쇄될 수 있다. 이렇게 분쇄된 스케일은 유체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되는데, 일정 크기 이상의 스케일은 채집돌기(794a, 794b, 795a, 795b)와 바닥부(713)의 사이의 협소한 간격을 통과하지 못하고 채집되며, 따라서, 스케일에 의한 노즐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채집돌기(794a, 794b, 795a, 795b)는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구간에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구간에서는 유동 속도가 낮아 스케일의 채집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종방향 연장부(711b)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채집돌기(794a, 794b,)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채집돌기들(794a, 794b)과 종방향 연장부(711b)에 의해 트랩 또는 미로(labyrinth)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스케일의 채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부(713)는, 보다 넓은 전열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팀생성히터(730)가 매립된 매립부(713a)가 물이 유동되는 공간 내로 융기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방향 연장부(711b)는 매립부(713a)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연장부(711b)와 커버(720) 사이에는 유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간격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로 본체(710)와 커버(720) 사이로 물 또는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7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분사장치(800)는 유로 본체(81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다.
유로 본체(810)는 바닥부(813)로부터 유동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형성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리브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유로 본체(810)의 우측부(818) 또는 좌측부(819)로부터 각각 돌출 될 수도 있으나(도 13 내지 도 15의 711, 712 참조), 이와는 다르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819) 또는 우측부(818)로부터 횡으로 연장되어 유체가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 1 횡방향 연장부(812a)와, 제 1 횡방향 연장부(812a)로부터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종방향 연장부(812b)와, 종방향 연장부(812b)로부터 다시 제 1 횡방향 연장부(812a)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 횡방향 연장부(8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횡방향 연장부(812a)를 따라 일방향으로 안내된 유체가 종방향 연장부(812b)를 따라 종방향으로 안내된 후, 다시 제 2 횡방향 연장부(812c)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안내된다.
유로 본체(810)는 유로를 상하로 분리하는 유동분기리브(8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리브(812)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안내되던 유체가 유동분기리브(815)를 기점으로 상하로 분기된다 (도 16에서 유로 U, L 참조). 여기서, 하부 유로(L)는 유동분기리브(815)와 스팀생성장치의 내측면 또는 유로 본체(810)의 하측부(817) 사이로 정의되나, 실시예에 따라 유로 본체(810)에는 더 많은 유로형성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유로(L)는 유동분기리브(815)와 상기 유로형성리브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유체 중에 부유하는 스케일은 자중에 의해 가라앉기 때문에, 유동분기리브(815)를 기점으로 분리된 상부 유로(U)와 하부 유로(L) 중 주로 하부 유로(L)를 통해 이송되어 침전된다. 따라서, 상부 유로(U)는 하부 유로(L)에 비해 스케일의 침전과, 이로 인한 유로의 폐색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따라서, 상부 유로(U)로는 항시 소정량의 물이 유동될 수 있어 스팀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830은 스팀생성히터이다.
한편, 유로 본체(810)와 커버(미도시) 사이로 물 또는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8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팀분사장치는 스팀생성장치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드럼(4) 내로 분사하는 노즐(470)을 포함한다. 노즐(470)은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470)은 스팀생성장치로부터 스팀이 유입 안내되는 유입관(474)과, 유입관(474)을 통해 안내된 스팀을 그 자신에 형성된 분사구(H)를 향해 수렴시키는 노즐 팁(475)을 포함한다.
노즐 팁(475)은 분사구(H)가 형성된 분사구 형성면(475a)을 갖고, 분사구 형성면(475a)은 분사구(H)를 가로질러 절개된 슬릿(S)을 갖는다. 분사구 형성면(475a)은 슬릿(472)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B1)들과, 장변(B1)들 사이를 연결하는 단변(B2)들에 의해 정의된다.
노즐 팁(475)은 스팀을 분사구(H)로 수렴(convergence)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475b, 475c)을 가지며, 경사면은(475b, 475c)은 슬릿(S)의 연장방향으로 폭(W)을 가지며, 분사구 형성면(475a)의 장변(B1)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475b, 475c)의 폭(W)은 장변(B1)과의 연결부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노즐(470)은, 유입관(474)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476)를 더 포함한다. 돌기(476)는, 유입관(474)의 외주면에서, 노즐 팁(475)과 연결되는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476)는, 경사면(475b, 475c)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분사압에 따라 노즐(470)의 변형, 특히 분사구 형성면(475a)이 슬릿(S)을 중심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분사구(H)의 형태가 변형된다. 분사구(H)의 면적이 가변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분사유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팀과 함께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침전된 스케일은 주로 얇은 칩의 형태를 이루는데, 경사면(475b, 475c)에 의해 안내되는 과정에서 슬릿(S)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방향성을 갖고 정렬되기 때문에, 분사압에 의해 슬릿(S)이 확개되었을 때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34에서 도 1내지 도8 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 및 활용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19내지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 의류가 올려질 수 있도록 드럼(4) 내부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1000); 랙(1000)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170)을 구비하는 스팀분사장치(100); 및 노즐(170)로부터 의류를 향해 분사된 스팀이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랙(1000)에 배치되는 버킷(1110)(bucket)을 포함한다.
노즐(170)은 드럼(4)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노즐(17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170)은 버킷(1110)을 향해 배치된다. 노즐(170)의 분사구는 버킷(1110)을 향한다. 랙(1000)은 드럼(4)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랙(100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랙(1000)에는 버킷(1110)이 배치된다. 버킷(1110)은 드럼(4)의 회전중에도 랙(1000)에 고정된다. 버킷(1110)은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스팀은 의류에 뭍은 오염을 용해시키며 응축수로 상변화 한다.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응축수는 버킷(1110)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드럼(4) 내에 구비된 버킷(1110)을 탈거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를 드럼(4)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버킷(1110)은,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111)와 응축수가 모이도록 바닥부(1111)로부터 연장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13)와 측벽부(1113)의 상측 단부를 이루며 의류가 올려지는 입구부(1115)를 포함한다. 입구부(1115)는 측벽부(1113)보다 두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11)는 랙(100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응축수는 입구부(1115)를 통해 저장공간으로 모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입구부(1115)에 올려진 의류가 분사되는 스팀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입구부(1115)에 배치되는 지지 그릴(1125)을 더 포함한다. 지지 그릴(1125)은 복수의 리브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그릴(1125)은 입구부(1115)에 배치된다. 입구부(1115)는 지지 그릴(1125)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 그릴(1125)은 의류를 지지한다.
지지 그릴(1125)은 스팀이 분사되는 지점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지지 그릴(1125)은 중앙 부분이 돌출된다. 중앙 부분은 의류의 오염된 부분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지지 그릴(1125)의 형상은 스팀이 집중적으로 분사되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오히려 지지 그릴(1125)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그릴(1125)의 중앙 부분은 외곽 부분과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입구부(1115)에 올려진 의류를 고정하도록 미끄럼 방지 코팅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입구부(1115)를 감싸는 의류 고정부(1130c)를 더 포함한다. 의류 고정부(1130c)는 의류가 입구부(1115)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의류 고정부(1130c)의 일 예로, 의류 고정부(1130c)는 입구부(1115)를 감싼 형상일 수 있다. 의류 고정부(1130c)는 버킷(1110)보다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의류 고정부(1130c)는 입구부(1115)에 국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입구부(1115)를 눌러 입구부(1115)에 올려진 의류를 고정하도록 입구부(1115)의 상측에 배치된 의류 고정부(1130)를 더 포함한다. 의류 고정부(1130)는 입구부(1115)를 향해 피봇운동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의류 고정부(1130)는 집게형상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그릴(1125)을 최대한 개방시키는 형상이다. 지지 그릴(1125)은 저장공간을 최대한 개방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서포터(8); 및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고, 리어 서포터(8)와 연통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144)이 형성된 건조덕트(14)를 더 포함하고, 버킷(1110)은 통공(144)과 마주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버킷(1110)이 노즐(170)과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버킷(1110)이 거치되는 지지대(1120)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1120)는 통공(144)과 마주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건조덕트(14)와 리어서포터는 서로 연통한다. 연통하는 지점에는 다수의 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44)을 통해 열풍이 배출된다. 지지대(1120) 및 버킷(1110)은 열풍에 의해 변형될 소지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버킷(1110)은 통공(144)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170)도 통공(144)과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노즐(170)은 드럼(4)의 회전축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120)는 통공(144)과 마주하는 부분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120)의 형상은 좌우 비대칭일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과 지지대의 결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수용부와 버킷 수용부의 활용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1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버킷(1110)이 노즐(170)과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버킷(1110)이 거치되는 지지대(1120)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1120)는 버킷(11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노즐(170)은 랙(100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지지대(1120)는 버킷(1110)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지지대(1120)는 버킷(1110)이 기울어지도록 랙(1000)에 장착된다. 지지대(1120)는 버킷(1110)을 노즐(170)과 마주하도록 랙(1000)에 배치된다.
지지대(1120)는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도록 랙(1000)과 힌지결합된다. 지지대(1120)는 드럼(4)의 전후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다. 사용자는 드럼(4)에 장착된 버킷(1110)에 의류를 고정한 후 지지대(1120)를 노즐(17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대(1120)의 하측은 랙(1000)과 힌지결합된다. 버킷(1110)은 지지대(112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랙(1000)은, 지지대(112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120)와 형합하는 지지대 수용부(1013)가 형성된다. 지지대 수용부(1013)는 랙(1000)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킷(1110)의 사용을 마친 후 지지대(1120)를 지지대 수용부(1013)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대 수용부(1013)에 삽입된 지지대(1120) 위에 의류를 올려놓고, 일반적인 용도로 랙(1000)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1120)는, 랙(1000)에 눕혀질 수 있는 각도로부터 버킷(1110)의 장착시 버킷(1110)의 바닥부(1111)가 노즐(170)과 마주할 수 있는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랙(1000)과 힌지 결합된다. 지지대(1120)는 지지대 수용부(1013)에 눕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대(1120)를 피봇운동시켜 의류를 스팀 세척하거나 지지대(1120)를 보관할 수 있다.
버킷(1110)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연장부와 횡방향 연장부(1161, 1141a, 1143a)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연장부(1163, 1141b, 1143b)로 이루어진 손잡이(1163, 1141, 1143)를 더 포함하고, 종방향 연장부(1163, 1141b, 1143b)는 지지대(1120)와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손잡이(1140)는 대략 'L'자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1140)와 지지대(1120)가 장착되는 예를 들면, 종방향 연장부와 지지대(1120)는 암수결합될 수 있다. 도 21a는 종방향 연장부(1163)가 암부재, 지지대(1120)에 형성된 버킷 삽입부(1120a)가 수부재인 경우이고, 도 21b는 종방향 연장부(1141a)가 수부재, 지지대(1120)에 형성된 버킷 삽입부(1121a)가 암부재인 경우이고, 도 21c는 종방향 연장부(1143a)가 암부재, 지지대(1120)에 형성된 버킷 삽입부(1123a)가 암부재인 경우이며, 도 21a와 삽입 방식이 서로 다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고정부의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0내지 도 23를 참조하면, 의류 고정부(1130b)는, 상하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도록 물결모양으로 형성된다. 의류 고정부(1130b)는 다수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고정부(1130b)는 입구부(1115) 또는 측벽부(1113) 또는 후술할 손잡이(11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의류 고정부(1130b)는 의류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입구부(1115)와 멀어지는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코일 스프링(1131); 및 코일 스프링(1131)을 관통하고 의류 고정부(113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핀(1133)을 더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131)은 의류 고정부(1130)의 피봇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핀(1133)은 의류 고정부(113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핀(1133)은 입구부(1115) 또는 측벽부(1113) 또는 후술할 손잡이(114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킷(1110)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연장부와 횡방향 연장부(1161, 1141a, 1143a)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연장부(1163, 1141b, 1143b)로 이루어진 손잡이(1163, 1141, 1143)를 더 포함하고, 의류 고정부(1130)는 종방향 연장부(1163, 1141b, 1143b)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손잡이(1163, 1141, 1143)는 대략 'L'자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1163, 1141, 1143)는 버킷(1110)과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163, 1141, 1143)를 이용하여 버킷(1110)을 드럼(4)에서 인출할 수도 있고, 버킷(1110)을 랙(10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에 장착된 버킷의 측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의 형상을 표현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과 버킷의 장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3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랙(1000)은 버킷(1110, , 1110c)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버킷 수용부(1011, 1011a, 1081)가 형성된다. 버킷 수용부(1011, 1011a, 1081)는 랙(1000)의 일부를 함몰 또는 개구시켜 형성한다. 버킷 수용부(1011, 1011a, 1081)는 버킷(1110, , 1110c)을 고정하는 역할 및/또는 버킷(1110, , 1110c)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버킷(1110c)은, 버킷 수용부(1011a,)에 삽입시, 자력에 의하여 서로 끌림 가능하게 형성된다. 버킷 수용부(1011a)에는 자석(1020)이 배치될 수 있다. 버킷(1110c)과 버킷 수용부(1011a)는 자력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자력에 의해 서로 접하게된 경우, 딸깍하는 소리가 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리를 통해 사용자는 버킷(1110c)이 버킷 수용부(1011a)에 장착되었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
버킷 수용부(1011a)는 랙(1000)을 함몰시켜 형성하고, 바닥부(1111a)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챔퍼(1012)(chamfer)가 형성된다. 챔퍼(1012)는 버킷 수용부(1011a)의 입구단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응축수가 저장공간으로 향하도록 굽어지고, 입구부(1115, 1115a, 1155)와 접하도록 배치된 배수 유도부(1190)를 더 포함한다. 배수 유도부(1190)는 입구부(1115, 1115a, 1155)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구부(1115, 1115a, 1155)는 기울어져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입구부(1115, 1115a, 1155)는 노즐(170)을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된다. 배수 유도부(1190)는 입구부(1115, 1115a, 115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도부(1190)는 만곡되어 형성되고, 입구부(1115, 1115a, 1155)의 하단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입구부(1115, 1115a, 1155)의 상측면을 눌러 입구부(1115, 1115a, 1155)에 올려진 의류를 고정하도록 배수 유도부(1190)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 소재의 의류 고정부(1130a, 1130b, 1230)를 더 포함한다. 의류 고정부(1130a, 1130b, 1230)는 배수 유도부(1190)로 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의류 고정부(1130a, 1130b, 1230)는 배수 유도부(1190)로부터 상측 또는 측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입구부(1115, 1115a, 1155)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4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버킷(1110a)은 랙(1020)에 직접 삽입되어 노즐(17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버킷(1110a)의 바닥부(1111a)는 버킷 수용부(101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측벽부(1113a)는 의류가 노즐(170)과 근접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랙(1020)은 파지부(100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의 장착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서포터(10); 드럼(4)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와 연통되게 배치된 린트 덕트(16); 및 드럼(4)에 수용된 의류가 린트 덕트(16)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 배치된 덕트 그릴(18a)을 더 포함하고, 랙(1000)은 드럼(4)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덕트 그릴(18a)에 걸림되는 전방 지지부(1007)가 형성된다. 랙(1000)의 전방 지지부(1007)는 덕트 그릴(18a)의 상측과 형합하는 형태를 갖는다. 전방 지지부(1007)는 대략 반원형의 만곡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서포터(8)를 더 포함하고, 랙(1000)은 드럼(4)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리어 서포터(8)에 걸림되는 후방 지지부(1009)를 더 포함한다. 후방 지지부(1009)는 리어 서포터(8)와 마주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방 지지부(1009)는 리어 서포터(8)와 걸림된다.
도 3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다른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2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랙(1000)에 올려진 의류의 높이에 따라 랙(1000)의 측단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랙(1000)에 배치되는 커버부(130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1300)는, 드럼(4)의 횡방향으로 피봇운동하도록 힌지축이 드럼(4)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버부(1300)는 랙(1000)의 측단 높이를 증가시킨다. 커버부(1300)는 의류 수용부(1001)에 배치된다. 커버부(1300)가 펼쳐지면 랙(1000)의 측단 높이를 증가시키고, 커버부(1300)가 접혀지면 의류 수용부(1001)의 하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300)는 의류 수용부(1001)를 평평하게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부(1300)는 랙(1000)에 수용된 의류가 리프터(6)에 감기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버킷(1110)이 노즐(170)과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버킷(1110)이 거치되는 지지대(1120)를 더 포함하고, 랙(1000)은 지지대(112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120)와 형합하는 지지대 수용부(1013)가 형성되고 커버부(1300)는 지지대 수용부(1013)에 삽입된 지지대(11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랙(1000)과 힌지 결합된다. 지지대(1120)는 지지대 수용부(1013)에 눕혀진다. 커버부(1300)는 지지대 수용부(1013) 및 지지대(1120)를 덮어 의류 수용부(100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의류의 오염부분을 지지 그릴(1125)의 중심부에 배치한 후 의류 고정부(1130)를 통해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스팀의 분사를 통하여 빠른 시간내에 오염 부분을 세척할 수 있다. 오염이 제거되면, 사용자는 버킷(1110)을 드럼(4)으로부터 꺼내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4) 내부에 불필요한 수분이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랙(1000)에는 지지대 수용부(1013)와 버킷 수용부(1011, 1081)가 형성되어 있어, 오염의 제거후 지지대(1120)와 버킷(1110)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오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34에서 도 1내지 도8 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 랙 및 지지대의 결합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유도부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의 다른 기능을 표현한 것이다. 도 3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과 지지대의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도 28내지 도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 의류가 올려질 수 있도록 드럼(4) 내부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1050); 랙(1050)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170)을 구비하는 스팀분사장치(100); 및 의류가 거치되고, 의류가 노즐(170)의 분사방향에 놓일 수 있도록 랙(1050)에 배치되는 지지대(1220)를 포함한다.
노즐(170)은 드럼(4)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노즐(17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170)은 지지대(1220)를 향해 배치된다. 노즐(170)의 분사구는 지지대(1220)를 향한다. 랙(1050)은 드럼(4)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랙(105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랙(1050)에는 지지대(1220)가 배치된다. 지지대(1220)는 드럼(4)의 회전중에도 랙(1050)에 고정된다. 지지대(1220)는 버킷(11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노즐(170)은 랙(105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지지대(1220)는 버킷(1110)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지지대(1220)는 버킷(1110)이 기울어지도록 랙(1050)에 장착된다. 지지대(1220)는 버킷(1110)을 노즐(170)과 마주하도록 랙(1050)에 배치된다.
랙(1050)은 의류가 올려지는 의류 수용부(1001); 의류 수용부(1001)의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격벽(1003); 및 의류 수용부(1001)의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측면격벽(1003)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파지부(1005)를 포함한다. 측면격벽(1003)는 랙(10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측면격벽(1003)은 랙(1050)에 올려진 의류가 드럼(4)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의류 수용부(1001)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파지부(1006)가 의류 수용부(1001)에 형성된 경우 대각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005)는 측면격벽(10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파지부(1005)는 측면격벽(1003)의 높이를 낮추어 형성할 수도 있다. 파지부(1005)는 손으로 쥐기 편하도록 손가락 형태의 홈 또는 돌기가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서포터(10); 드럼(4)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와 연통되게 배치된 린트 덕트(16); 및 드럼(4)에 수용된 의류가 린트 덕트(16)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 배치된 덕트 그릴(18a)을 더 포함하고, 랙(1050)은 드럼(4)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덕트 그릴(18a)에 걸림되는 전방 지지부(1007)가 형성된다. 랙(1050)의 전방 지지부(1007)는 덕트 그릴(18a)의 상측과 형합하는 형태를 갖는다. 전방 지지부(1007)는 대략 반원형의 만곡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1)는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서포터(8)를 더 포함하고, 랙(1050)은 드럼(4)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리어 서포터(8)에 걸림되는 후방 지지부(1009)를 더 포함한다. 후방 지지부(1009)는 리어 서포터(8)와 마주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방 지지부(1009)는 리어 서포터(8)와 걸림된다.
지지대(1220)는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도록 랙(1050)과 힌지결합된다. 지지대(1220)는 드럼(4)의 전후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다. 사용자는 드럼(4)에 장착된 버킷(1110, 1150)에 의류를 고정한 후 지지대(1220)를 노즐(17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대(1220)의 하측은 랙(1050)과 힌지결합된다. 버킷(1110, 1150)은 지지대(122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랙(1050)에 올려진 의류의 높이에 따라 랙(1050)의 측단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랙(1050)에 배치되는 커버부(130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1300)는 드럼(4)의 횡방향으로 피봇운동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커버부(1300)는 랙(1050)의 측단 높이를 증가시킨다. 커버부(1300)는 의류 수용부(1001)에 배치된다. 커버부(1300)가 펼쳐지면 랙(1050)의 측단 높이를 증가시키고, 커버부(1300)가 접혀지면 의류 수용부(1001)의 하측면을 형성한다. 커버부(1300)는 의류 수용부(1001)를 평평하게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부(1300)는 랙(1050)에 수용된 의류가 리프터(6)에 감기지 않도록 한다. 커버부(1300)는 커버부 회전축(1301)이 형성된다.
랙(1050)은 지지대(122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220)와 형합하는 지지대 수용부(1083)가 형성되고, 커버부(1300)는 지지대 수용부(1083)에 삽입된 지지대(12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랙(1050)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대(1220)는 지지대 수용부(1083)에 눕혀진다. 커버부(1300)는 지지대 수용부(1083) 및 지지대(1220)를 덮어 의류 수용부(1001)를 형성한다. 커버부(1300)는 후술할 버킷(1110, 1150)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즐(170)로부터 의류를 향해 분사된 스팀이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랙(1050)에 배치되는 버킷(1150)(bucket)을 더 포함한다. 노즐(170)은 드럼(4)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노즐(17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노즐(170)은 버킷(1150)을 향해 배치된다. 노즐(170)의 분사구는 버킷(1150)을 향한다. 랙(1050)은 드럼(4)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럼(4)의 회전 중에도 랙(1050)은 정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랙(1050)에는 버킷(1150)이 배치된다. 버킷(1150)은 드럼(4)의 회전중에도 랙(1050)에 고정된다.
버킷(1150)은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노즐(170)은 하측을 향해 스팀을 분사한다. 스팀은 의류에 뭍은 오염을 용해시켜 응축수로 상변화 한다.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응축수는 버킷(1150)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드럼(4) 내에 구비된 버킷(1150)을 탈거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를 드럼(4)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지지대(1220)는 버킷(1150)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버킷(1150)의 외측면을 감싸는 버킷 삽입부(1081); 및 일단은 버킷 삽입부(1081)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랙(1050)과 힌지 결합된 레그부(1225)를 포함한다.
버킷 삽입부(1081)는 레그부(1225)와 힌지 결합하는 버킷 삽입부 회전축(1223)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레그부(1225)는 랙(1050)과 힌지 결합하는 레그부 회전축(1227)이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버킷 삽입부(108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킷(1150)은 버킷 삽입부(1081)의 내면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버킷(1150)의 입구부(1115)는 버킷 삽입부(108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레그부(1225)는 버킷 삽입부(1081)와 랙(1050) 사이에 배치된다. 레그부(1225)는 버킷 삽입부(1081)의 위치를 조정한다. 레그부(1225)는 버킷(1150)을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레그부(1225)는 버킷(1150)을 노즐(17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레그부(1225)와 버킷 삽입부(1081)는 힌기결합되어 있어, 버킷(1150)의 입구부(1115)는 항상 상측을 바라볼 수 있다. 사용자는 버킷(1150)에 수용된 응축수를 흘리지 않고, 버킷(1150)을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버킷 삽입부 회전축(1223)은 버킷(1150)이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레그부 회전축(1227)은 레그부(1225)가 전후 방향으로 피봇운동 하도록 배치된다.
레그부(1225)는 랙(1050)과 힌지 결합하는 레그부 회전축(1227)이 형성되고, B56랙(1050)은 레그부 회전축(1227)이 드럼(4)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030)이 형성된다.
지지대(1220)는 버킷 삽입부(1081)로부터 연장된 수용부 손잡이(1229)가 형성되고 레일(1030)은 수용부 손잡이(1229)가 드럼(4)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레일(1030)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레그부(122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레그부 회전축(1227)은 레일(1030)에 삽입된다. 레일(1030)은 수용부 손잡이(1229)가 드럼(4)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후술할 커버를 열고, 수용부 손잡이(1229)를 잡아당길 수 있다.
랙(1050)은 지지대(122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220)와 형합하는 지지대 수용부(1083)가 형성되고, 지지대 수용부(1083)는 지지대(1220)의 수용시 지지대(1220)의 측면과 랙(1050) 사이로 의류가 끼움지 않도록 레일(1030)로부터 드럼(4)의 전방을 향해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이격공간(d)에는 챔퍼(1012)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1012)는 이격공간(d)을 형성하는 랙(1050)의 단차를 완만하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랙(1050)은 지지대(1220)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220)와 형합하는 지지대 수용부(1083)와 버킷(115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버킷 수용부(1081)가 형성되고 지지대(1220)가 지지대 수용부(1083)에 수용되면, 버킷(1150)도 버킷 수용부(1081)에 삽입되도록 일렬로 형성된다. 지지대 수용부(1083)는 랙(1050)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킷(1150)의 사용을 마친 후 지지대(1220)를 지지대 수용부(1083)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대 수용부(1083)에 삽입된 지지대(1220) 위에 의류를 올려놓고, 일반적인 용도로 랙(1050)을 사용할 수 있다. 버킷 수용부(1081)는 랙(1050)의 일부를 함몰 또는 개구시켜 형성한다. 버킷 수용부(1081)는 버킷(1150)을 고정하는 역할 및/또는 버킷(1150)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부 손잡이(1140)를 전후로 이동시켜 지지대(1220) 회전축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고, 레그부를 피봇운동 시킬 수도 있으며, 버킷 삽입부(1221)를 전후로 이동 시킬 수도 있고, 버킷 삽입부(1221)를 피봇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버킷(1150)을 버킷 삽입부(1221)에 삽입한 상태에서 버킷 수용부(1081)에 보관할 수도 있다.
지지대(1220)는 랙(1050)에 눕혀질 수 있는 각도로부터 버킷(1150)의 장착시 버킷(1150)의 바닥부(1111)가 노즐(170)과 마주할 수 있는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랙(1050)과 힌지 결합된다. 지지대(1220)는 드럼(4)의 전후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다. 사용자는 드럼(4)에 장착된 버킷(1150)에 의류를 고정한 후 지지대(1220)를 노즐(17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대(1220)의 하측은 랙(1050)과 힌지결합된다. 버킷(1150)은 지지대(122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서포터(8); 및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고, 리어 서포터(8)와 연통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144)이 형성된 건조덕트(14)를 더 포함하고, 버킷(1150)은 통공(144)과 마주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킷(1150)이 노즐(170)과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버킷(1150)이 거치되는 지지대(1220)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1220)는, 통공(144)과 마주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건조덕트(14)와 리어서포터는 서로 연통한다. 연통하는 지점에는 다수의 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44)을 통해 열풍이 배출된다. 지지대(1220) 및 버킷(1150)은 열풍에 의해 변형될 소지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버킷(1150)은 통공(144)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170)도 통공(144)과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노즐(170)은 드럼(4)의 회전축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220)는 통공(144)과 마주하는 부분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220)의 형상은 좌우 비대칭일 수 있다.
랙(1050)은 버킷(115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버킷 수용부(1081)가 형성된다. 버킷 수용부(1081)는 랙(1050)의 일부를 함몰 또는 개구시켜 형성한다. 버킷 수용부(1081)는 버킷(1150)을 고정하는 역할 및/또는 버킷(1150)을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버킷(1150)은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151)와 응축수가 모이도록 바닥부(1151)로부터 연장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53)와 측벽부(1153)의 상측 단부를 이루며 의류가 올려지는 입구부(1155)를 포함한다. 입구부(1155)는 측벽부(1153)보다 두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51)는 랙(105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응축수는 입구부(1155)를 통해 저장공간으로 모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구부(1155)에 올려진 의류가 분사되는 스팀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입구부(1155)에 배치되는 지지 그릴(1125)을 더 포함한다. 지지 그릴(1125)은 복수의 리브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그릴(1125)은 입구부(1155)에 배치된다. 입구부(1155)는 지지 그릴(1125)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 그릴(1125)은 의류를 지지한다.
지지 그릴(1125)은 스팀이 분사되는 지점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지지 그릴(1125)은 중앙 부분이 돌출된다. 중앙 부분은 의류의 오염된 부분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지지 그릴(1125)의 형상은 스팀이 집중적으로 분사되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오히려 지지 그릴(1125)의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그릴(1125)의 중앙 부분은 외곽 부분과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구부(1155)를 눌러 입구부(1155)에 올려진 의류를 고정하도록 입구부(1155)의 상측에 배치된 의류 고정부(1230)를 더 포함한다. 의류 고정부(1230)는 입구부(1155)를 향해 피봇운동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의류 고정부(1230)는 집게형상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 그릴(1125)을 최대한 개방시키는 형상이다. 지지 그릴(1125)은 저장공간을 최대한 개방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의류 고정부(1230)는 상하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도록 물결모양으로 형성된다. 의류 고정부(1230)는 다수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고정부(1230)는 입구부(1155) 또는 측벽부(1153) 또는 후술할 손잡이(11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의류 고정부(1230)는 의류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입구부(1155)와 멀어지는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응축수가 저장공간으로 향하도록 굽어지고, 입구부(1155)와 접하도록 배치된 배수 유도부(1190)를 더 포함한다. 배수 유도부(1190)는 입구부(1155)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구부(1155)는 기울어져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입구부(1155)는 노즐(170)을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된다. 배수 유도부(1190)는 입구부(115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도부(1190)는 만곡되어 형성되고, 입구부(1155)의 하단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구부(1155)의 상측면을 눌러 입구부(1155)에 올려진 의류를 고정하도록 배수 유도부(1190)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 소재의 의류 고정부(1230)를 더 포함한다. 의류 고정부(1230)는 배수 유도부(1190)로 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의류 고정부(1230)는 배수 유도부(1190)로부터 상측 또는 측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입구부(1155)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버킷(1093)은 지지대(1091)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091)이 세워지면, 버킷(1093)은 노즐(17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지지대(1091)이 눕혀지면, 버킷(1093)은 버킷 수용부(1099)에 삽입된다. 지지대(1091)의 반대면은 의류 수용부(1098)가 된다. 지지대(1091)는 지지대 수용부(1097)로 눕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의류의 오염부분을 지지 그릴(1125)의 중심부에 배치한 후 의류 고정부(1230)를 통해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스팀의 분사를 통하여 빠른 시간내에 오염 부분을 세척할 수 있다. 오염이 제거되면, 사용자는 버킷(1150)을 드럼(4)으로부터 꺼내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4) 내부에 불필요한 수분이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랙(1050)에는 지지대 수용부(1083)와 버킷 수용부(1081)가 형성되어 있어, 오염의 제거후 지지대(1220)와 버킷(1150)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오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을 포함한다. 드럼(4)의 내주면에는 리프터(6)가 구비되어, 드럼(4)이 회전됨에 따라 의류를 퍼 올렸다가 떨어뜨린다.
케이싱은 캐비닛(30)과, 캐비닛(30)의 전방에 장착되고 중앙에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32)와, 캐비닛 커버(32)의 상측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40)과, 캐비닛(30)의 후방에 장착되고 캐비닛(30) 내부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통기홀(34h)이 형성된 백 패널(34)과, 캐비닛(30)의 상부를 덮는 탑 플레이트(36)와, 캐비닛(30)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38)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32)에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8)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40)에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다이얼 등의 입력수단과,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 LED 등의 표시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컨트롤 패널(40)의 배면부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30)에는 스팀분사장치(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수용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닛(30)에 의해 드로워(71)가 인출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로워(71) 내에 물 수용부(72)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싱 내에서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각각 프론트 서포터(10)와 리어 서포터(8)가 구비고, 드럼(4)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각각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8)에 의해 지지된다.
프론트 서포터(10)의 중앙부는 의류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50)가 형성되고, 프론트 서포터(10)의 배면에는 드럼(4)의 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전방 지지돌기(54)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10)의 하부에는 프론트 가이드 롤러(5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4) 전단의 내주면은 전방 지지돌기(54)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프론트 가이드 롤러(56)에 의해 지지된다.
리어 서포터(8)의 전면에는 드럼(4)의 후단을 지지하는 링형의 후방 지지돌기(60)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리어 가이드 롤러(6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4) 후단의 내주면은 후방 지지돌기(60)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리어 가이드 롤러(64)에 의해 지지된다.
드럼(4)의 하측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42)가 구비되고,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리어 서포터(8)와 건조히터(42) 사이에 연통되게 건조덕트(14)가 구비되고, 드럼(4)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는 린트덕트(16)가 연통되게 구비된다.
건조덕트(14)에는 드럼(4) 내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44)이 형성된다. 송풍기(22)의 작동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공기가 드럼(4) 내에서 린트덕트(16), 송풍기(22) 및 배기덕트(20)를 따라 유동된다. 특히, 이러한 공기의 유동과정에서 건조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덕트(14)를 따라 유동된 후, 통공(144)을 통해 드럼(4) 내로 토출된다.
또한, 린트덕트(16)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18)에 의해 정화되고, 린트덕트(16) 내부의 공기를 케이싱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케이싱의 후면에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배기덕트(20)와 린트덕트(16) 사이에는 송풍기(22)가 연결되고, 송풍기(22) 및 드럼(4)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와, 모터(24)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드럼(4)을 회전시키는 전동벨트(26)가 구비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일부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도 36는 도 3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7는 도 36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5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33)가 형성되는 케이싱,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 드럼(4)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랙(1600), 스팀을 생성하고, 랙(1600)를 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170)을 구비하는 스팀분사장치(100), 랙(1600)를 드럼(4)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재(1510) 및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8)를 포함한다.
의류 건조기(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 및 유동 중인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스팀분사장치(100); 상기 드럼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랙(1600); 및 상기 랙(1600)을 상기 드럼(4)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재(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드럼(4)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서포터(8)의 상측에 결합된다. 스팀분사장치(100)는 드럼(4) 내로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에 있는 오염을 제거한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유동 중인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드럼(4) 내로 돌출되어 스팀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170) 및 노즐(170)을 리어 서포터(8)의 전방 상측에 고정시키는 노즐 고정부(1500)를 포함한다.
노즐(170)은 각도와 압력에 따라 스팀이 드럼(4) 내의 의류에 도달하는 범위가 달라 질 수 있으며, 스팀이 의류의 40%이상의 면적에 분사될 수 있도록 노즐(170)이 각도와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170)은 전방 하측으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각도가 설정되어 있으며, 후술할 커버부(1520)의 분사개구부(1521)를 통해 드럼(4) 내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노즐 고정부(1500)는 노즐(170)과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일체로 결합된다는 것은 노즐 고정부(1500)와 노즐(170)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을 이루는 경우는 물론이고, 노즐 고정부(1500)와 노즐(170)이 사출성형 등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한다.
노즐 고정부(1500)는 전면에 랙(1600)가 드럼(4)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재(1510)가 결합한다. 노즐 고정부(1500)와 거치부재(1510)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노즐 고정부(1500) 형상을 변경하여 랙(160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노즐 고정부(1500)는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서포터(8)의 전방 상측에 결합한다. 따라서, 노즐(170)은 드럼(4)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다. 노즐 고정부(1500)는 드럼(4) 내로 돌출된 노즐(170)을 덮는 커버부(1520)가 구비된다. 커버부(1520)는 스팀이 분사되는 노즐(170)의 분사구와 연통되는 분사개구부(15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17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스팀을 드럼 내로 분사할 수 있다.
노즐(170)은 스팀을 전방 하측으로 분사하기에, 분사개구부(1521)는 하측에 형성된다. 커버부(1520)의 전면은 매끄러운 라운딩 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의류 건조기가 구동하여 드럼(4)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의류가 노즐 고정부(15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고정부(1500)와 거치부재(1510)는 의류를 건조시킬 때에도 드럼(4) 내에 배치되기에 열풍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노즐 고정부(1500)와 거치부재(1510)는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재(1510)는 노즐 고정부(1500)의 전면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재(1510)는 노즐 고정부(1500)의 커버부(1520)의 전면에 거치부재(1510)가 결합된다. 거치부재(1510)는 상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랙 고리(16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끼움홈(151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거치부(1510)는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후술할 랙 고리(1610)가 거치부재(1510)의 끼움홈(1511)에 결합되는 바, 랙(1600)와 노즐(170)간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spot cleaning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spot cleaning이란 의류의 국부적인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랙(1600)는 거치부재(15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 고리(1610) 및 의류가 거치되는 수납부(1620)를 포함한다. 랙(1600)는 랙 고리(1610)의 상단부가 끼움홈(1511)에 결합됨으로써, 드럼(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랙 고리(1610)의 상단부는 끼움홈(151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 고리(1610)의 상단부가 끼움홈(1511)이 형성된 좌우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면 랙 고리(1610)가 의류 건조기(1)를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spot cleaning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랙 고리(1610)는 상단부가 거치부재(1510)의 끼움홈(1511)에 끼움 결합되며, 하단부는 수납부(1620)와 결합한다. 랙 고리(16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진다. 따라서, 노즐 고정부(1500)보다 큰 랙(1600)를 안정감 있게 드럼(4)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랙 고리(1610)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등각사다리꼴로 형성될 수도 있다. .
랙 고리(1610)는 spot cleaning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납부(1620)가 노즐(170)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랙 고리(1610)는 수납부(1620)가 드럼(4)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하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620)가 드럼(4)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경우에 수납부(1620)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수납부(1620)에 거치되는 의류의 양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랙 고리(1610)는 의류와 수납부(1620)를 지지하기에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납부(1620)는 그 위에 의류가 거치되며, 랙 고리(1610)의 지지하중을 줄이기 위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부(1620)는 랙 고리(1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9은 도 38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9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를 설명할 것이나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33)가 형성되는 케이싱,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4), 드럼(4)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랙(1600), 스팀을 생성하고, 랙(1600)를 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170)을 구비하는 스팀분사장치(100),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800) 및 도어(1800)의 후방 상측에 결합되어 랙(1600)가 드럼(4)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재(1700)를 포함한다.
스팀분사장치(100)는 드럼(4)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후방 하측으로 분사한다. 이에 도어(18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랙(1600)를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분사장치(100)는 유동 중인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을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170)을 포함한다. 노즐(170)은 후방 하측으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도어(1800)는 도어개구부가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1810), 도어개구부에 장착되는 투명재질의 도어 글래스(1820) 및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결합하는 림형상의 실링부재(183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810)은 중간 부분에 원형의 도어개구부가 형성되며, 도어 글래스(1820)도 원형의 도어개구부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실링부재(1830) 또한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구비되는 바, 원형으로 림(rim)으로 형성된다. 실링부재(1830)는 도어(1800)가 닫힐 때 개스킷(미도시)과 밀착하여 도어(1800)와 캐비닛(100) 사이를 실링한다.
도어 글래스(1820)는 랙(16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중간 부분과 테두리(1821)사이에 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거치부재(1700)는 전방측이 도어 글래스(1820)와 실링부재(1830)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고정되고, 후방측에 랙(16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부재(1700)는 전방측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도어 글래스의 테두리에 고정되고, 후방측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1710), 제1결합부(1710)와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결합부(1720), 제1결합부(1710)의 전단과 제2결합부(1720)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1730) 및 제1결합부(1710)의 후단과 제2결합부(1720)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1740)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1720)도 제1결합부(1710)와 같이 전방측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고정되고, 후방측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결합부(1710), 제2결합부(1720), 제1연결부(1730) 및 제2연결부(1740)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전방측은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전방측에는 하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된다. 이에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전방측이 도어 글래스(1820)의 테두리(1821)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고정된다.
또한,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후방측은 후술할 랙(1600)의 랙 고리(1610)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후방측에는 상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된다. 이에 랙 고리(1610)는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후방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움 결합된다.
랙랙랙(1600)는 거치부재(1700)의 후방측에 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 고리(1610) 및 의류가 거치되는 수납부(1620)를 포함한다. 랙(1600)는 랙 고리(1610)가 거치부재의 후방측에 결합됨으로써, 드럼(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랙 고리(1610)는 거치부재(170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고리부(1611)와 수납부(162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612)를 포함한다. 고리부(1611)는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등각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고리부(1611)는 상단이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후방측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된다. 지지부(1612)는 고리부(1611)와 수직하게 연결되고, 수납부(162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랙 고리(1610)의 상단부는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 고리(1610)의 상단부가 제1결합부(1710)와 제2결합부(1720)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면 랙 고리(1610)가 의류 건조기(1)를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spot cleaning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랙 고리(1610)는 의류와 수납부(1620)와 의류를 지지하기에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납부(1620)는 지지부(1612)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부(1620)는 그 위에 의류가 거치되며, 랙 고리(1610)의 지지하중을 줄이기 위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부(1620)는 랙 고리(1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1)는 먼저 랙(1600)의 수납부(1620)에 오염이 뭍은 의류를 거치한다. 그 다음엔 도어(1800)를 개방한 뒤, 랙(1600)의 랙 고리(1610)를 리어 서포터(8)의 결합된 노즐 고정부(1500)의 전면에 결합되거나 도어 후방에 결합된 거치부재(1510, 1700)에 결합한다.
랙(1600)가 거치부재()에 결합시키면 도어(1800)를 닫고, 의류 건조기(1)를 작동시킨다. 의류 건조기(1)의 작동에 의해 스팀분사장치(1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의류의 오염부위에 분사된다. 이에 의류에 뭍은 오염원이 제거되는 세탁 행정과 의류를 헹구는 헹굼행정이 진행된다. 헹굼행정이 완료되면 스팀에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이 진행된다. 건조행정의 완료되면 도어(1800)를 열고, 랙(1600)를 거치부재(1510, 1700)에서 분리시키면 세탁, 헹굼, 건조 행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
    상기 건조히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건조덕트;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장치;
    상기 스팀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스팀의 분사압에 따라 상기 분사구의 면적이 가변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구의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되는 건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스팀생성장치로부터 유동하는 스팀을 상기 분사구로 안내하는 형태를 가지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링형상을 가지는 단부벽을 포함하는 건조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구는, 상기 단부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구는, 상기 단부벽에서 둘레벽으로 연장되는 건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분사압에 따라 절개구 부분의 주변이 전개되면서 상기 분사구의 직경이 증가되는 건조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구가 상기 둘레벽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둘레벽이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상기 절개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의 절반보다 작게 형성되는 건조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원형형상을 가지고, 상기 단부벽은 상기 분사구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을 가지는 건조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구가 상기 둘레벽에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절개구가 상기 단부벽에서 형성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건조기.

KR1020210057943A 2020-06-02 2021-05-04 의류 건조기 KR10234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43A KR102342118B1 (ko) 2020-06-02 2021-05-04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47A KR102250939B1 (ko) 2020-06-02 2020-06-02 의류 건조기
KR1020210057943A KR102342118B1 (ko) 2020-06-02 2021-05-04 의류 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47A Division KR102250939B1 (ko) 2020-06-02 2020-06-02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59A KR20210053859A (ko) 2021-05-12
KR102342118B1 true KR102342118B1 (ko) 2021-12-21

Family

ID=7916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43A KR102342118B1 (ko) 2020-06-02 2021-05-04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1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2003A1 (en) * 2008-05-01 2009-11-05 Whirlpool Corporation Failure mode detection in an appliance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217B1 (ko) * 2009-02-19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2003A1 (en) * 2008-05-01 2009-11-05 Whirlpool Corporation Failure mode detection in an appliance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59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93B1 (ko) 의류 건조기
EP2900860B1 (en) Clothing drying machine with a steam spraying apparatus
US1176762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596463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070079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US9873974B2 (en)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at least one laundry drying cycle
KR101461979B1 (ko) 의류 처리장치
US20190106832A1 (en) Machine for drying laundry, in particular washer-dryer, equipped with a heat pump system
KR102342118B1 (ko) 의류 건조기
KR2006004081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250939B1 (ko) 의류 건조기
KR101481596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CN109137375A (zh) 壁装式洗衣机
KR102110533B1 (ko) 의류 건조기
KR100845872B1 (ko) 스팀건조기
US11761141B2 (e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KR102085830B1 (ko) 의류 건조기
KR20180048513A (ko) 의류 처리장치
EP304299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1430469B1 (ko) 건조기
KR101141642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101422025B1 (ko) 건조기
KR20030032350A (ko) 건조겸용 세탁기의 세탁수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