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108B1 -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 Google Patents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108B1
KR102342108B1 KR1020200099906A KR20200099906A KR102342108B1 KR 102342108 B1 KR102342108 B1 KR 102342108B1 KR 1020200099906 A KR1020200099906 A KR 1020200099906A KR 20200099906 A KR20200099906 A KR 20200099906A KR 102342108 B1 KR102342108 B1 KR 10234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lit
unit
conca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지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지모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지모형
Priority to KR102020009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1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tanding screen system. More specifically, provided is a screen system, comprising a unit screen including coupling protrusion parts that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nit screen so that unit screen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creen part tha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nit screen.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rectangular or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in an inner side thereof. Coupling protrusions of the coupling protrusion parts of two or more unit scree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are fitted in a zigzag form, coupling protrusion parts of one or more unit screens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s are inserted thereinto, and tension in the outward direction is applied to two or more unit scree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so that the protrusion within the slit of each concave-shaped coupling slit is caught by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and the binding state is firmly maintained. Accordingly, the self-standing screen system does not fall over even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while standing on a flat screen,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sembled, and disassembled, can be easily stored and delivered, can be firmly attached, is implemented with little risk of being damaged, and has excellent economic feasibility and expandability.

Description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Self-sustaining screen system}Self-sustaining screen system

본 발명은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shiel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가림막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가림막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부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내측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결합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은, 요(凹)자 형상 및 직사각형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은 공통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 중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 중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내측에 형성된 슬릿 내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각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이 제공된다. The shield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hielding films, and the unit shielding film includes engaging protrusion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unit shielding film so that the unit shielding films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include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Including, wherein the coupling projection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on the inside thereof, the coupling sl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a concave shape and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cave (凹) )-shaped coupling slit includes a common slit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in the slit formed insi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and the shielding system is configured when the unit screens are coupled. At least two of the unit gimmak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are each coupled to the at least one unit gimmak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a self-supporting gimmark system is provided do.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져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공통슬릿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포함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겹쳐진 형태의 각 상기 결합돌기부에 포함된 상기 슬릿 내 돌기에 각 걸림으로써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이때 상기 각 걸림은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를 중심으로 그로부터 외측 양방향을 향한 장력이 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결합된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평면 위에 세워진 상태로 넘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의 상기 단위가림막은 가림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릿 내 돌기는 상기 슬릿 내 돌기의 높이가 상기 가림막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such a screen system, when the unit screens are coupled, the two or more unit scree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comprises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and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s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In the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of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films are fitted with each other in a zigzag shape to form an overlapping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on slit portion is overlapped, and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unit shielding film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includes the concave shape coupling slit.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that does not release the coupling by engaging each of the protrusions in the slit included in each of the engaging protrusions of the overlapping form, wherein each engaging includes the concave-shaped engaging sl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in the outwar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with a center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overlapped form.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unit shielding membranes do not fall over while standing on a flat surface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The unit garimmak of the garimma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arimmak part, and the protrusion in the sl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n the slit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garimmak.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요철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는 일자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는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는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such a shielding system,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the coupling slit in the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convex shape. can be characterized.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haracterized as a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the coupling slit having a concave shape.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hybrid coupling protrusion, and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the coupling slit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slit having a concave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이로써 본 발명은 쉽게 제조, 조립, 분해가 가능하고 보관 및 배송도 용이하며 튼튼하게 결착될 수 있고 파손 염려도 적으며 경제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sembled, disassembled, stored and shipped, can be securely attached, has little risk of breakage, and is excellent in economy and expandability.

COVID-19의 대유행 시대를 맞이하여, 책상 등 사무공간에 쉽게 설치 가능한 비말 감염 방지용 가림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하여 현재까지 시장에 등장한 가림막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가림막의 설치시에는 가림막을 사전에 조립하여 운송한 뒤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접착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운반에 있어 불편이 초래되었고, 많은 양의 가림막을 한꺼번에 운반하기도 어려웠으며, 그에 따라 운송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었다.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need for a screen to prevent droplet infection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office spaces such as desks is emerging. In relation to this, the screens that have appeared on the market so far are usually made of transparent plastic or glass. It is common to fix it using a material with teeth. Therefore, it was inconvenient to transport, and it was difficult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screens at once, and accordingly, a considerable amount of cost was spent for transport.

한편 현재까지 시장에 등장한 가림막 가운데에는, 판 형상의 가림막 부품 및 가림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을 운송한 뒤, 설치시 판 형상의 가림막 부품들을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설치하는 형태의 제품도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제품은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며, 가림막 부품과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은 서로간에 나사결합으로 연결, 고정하여 설치된다.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10-1822833호 역시 이러한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이 경우 가림막을 운송 전에 조립할 필요는 없지만, 운송 후 조립과 설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림막을 안정적으로 세워놓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 없이 스스로 서 있는 구조의 가림막을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기존의 가림막 제품들은, 일단 설치하면 이를 분해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환하거나,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creens that have appeared on the market so far, the plate-shaped screen parts and the connecting parts for connecting the screen are transported, and then, when installing, the plate-shaped screen parts are connected using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nd installed. There were also products in the form of This type of product is generally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hielding part and the parts or frame for separate fixing are connected and fixed by screwing each other and installed. Patent Registration No. 10-1822833, which is a prior art, also discloses such an installation structure.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assemble the screen before transportation, but it is not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fter transportation,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fixing part or frame is needed to stably stand the screen. That is, it was not possible to provide a shield of a self-standing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ixing part or frame. In addition, once installed, it was difficult to disassemble, convert to another use, or install in a different place, such as the above existing screen products.

그러나 사람이 말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바이러스가 비말에 의하여 앞에 앉은 상대방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도의 용도로 사용됨에 있어서는, 반드시 가림막이 설치되는 평면에 가림막이 완전히 고정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가림막은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는 자립 가능한 것이면 족하다. 이는 가옥이나 사무실의 바닥 또는 책상 위 등에 세워 놓고 비말 감염을 방지하거나, 또는 특정 공간이나 물건 등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리는 일상적인 용도로 가림막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However, when a person speaks or sneezes, when used for a purpose of preventing the virus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erson sitting in front by droplets,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screen is completely fixed to the plane where the screen is installed. A screen that can stand on its own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stand on its own. This is also true when using a screen for daily use to prevent droplet infection by placing it on the floor or on a desk in a house or office, or to cover a specific space or object from exposure.

또한 가림막은 임시적으로 설치된 후 불필요하게 되면 이를 쉽게 분해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환하거나, 다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필요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screen is temporarily installed and becomes unnecessary, it is necessary to easily disassemble it, convert it to another use, or install it in another place.

즉,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임시적으로 설치하였다가 분해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하거나 철거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대량 운반도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한 가림막의 발명이 요구된다. 나아가 이를 위하여 가림막 시스템이 최대한 적은 수의 부품만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 연결을 위한 부품도 필요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이나 프레임 없이도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need for the invention of a screen that can be installed easily, can be installed temporarily and then disassembl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r dismantling in other places, and can also be transported in large quantities at low cost. Furthermo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shielding system consists of as few parts as possible, and that no parts for separate fixing and connection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out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there 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2833호, 2018. 1. 29. 공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22833, published on January 29, 2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문제점 및 과제를 극복, 구현할 수 있는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that can overcome and implement the problems and problems described in the technical part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above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은 가림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때 '시스템'은 독립적인 개체에 관한 장치의 발명과 구별되는 것으로서 상호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는 각각의 독립적인 장치들을 이용하였다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즉, 가림막 시스템은 복수 개의 상기 단위가림막들의 결합으로 가림막 설치 구조가 형성됨을 의미한다. He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system, where 'system' is used in the sense of using each independent device that is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as distinct from the invention of a device related to an independent entity. That is, the garimmak system means that a garimmak installation structure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e unit garimmaks.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가림막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가림막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부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내측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결합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은, 요(凹)자 형상 및 직사각형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은 공통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 중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 중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내측에 형성된 슬릿 내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각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garimma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garimmak, and the unit garimmak is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nit garimmak so that the unit garimmak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on the inside thereof, and the coupling slit has a concave shape and a rectangular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of the shapes, and the coupling slit of the concave shape includes a common slit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is convex. 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rul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es a protrusion in the slit formed insi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Further comprising, wherein, when the unit shielding system is coupled, two or more of the unit scree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each include a coupling slit of the rectangular shape When the unit screens are coupled One or more of the uni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with a garimmak.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져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공통슬릿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포함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겹쳐진 형태의 각 상기 결합돌기부에 포함된 상기 슬릿 내 돌기에 각 걸림으로써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이때 상기 각 걸림은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를 중심으로 그로부터 외측 양방향을 향한 장력이 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결합된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평면 위에 세워진 상태로 넘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의 상기 단위가림막은 가림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릿 내 돌기는 상기 슬릿 내 돌기의 높이가 상기 가림막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such a shielding system, when the unit shielding films are coupled,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film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inclu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and wherein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s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of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in a zigzag shape to form an overlapping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on slit of the two or more unit blanking membranes Th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verlapping form, and the rectangular-shaped engaging slit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unit shielding film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engaging slit includes the concave-shaped engaging slit.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are each engaged in the protrusion in the slit included in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overlapping form so that the coupling is not released, and wherein each latch includes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toward the outer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overlapped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unit shielding membranes do not fall over while standing on a flat surface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The unit garimmak of the garimma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arimmak part, and the protrusion in the sl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n the slit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garimmak.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요철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는 일자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는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는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such a shielding system,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the coupling slit in the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convex shape. can be characterized.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haracterized as a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the coupling slit having a concave shape.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hybrid coupling protrusion, and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the coupling slit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slit having a concave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이로써 본 발명은 쉽게 제조, 조립, 분해가 가능하고 보관 및 배송도 용이하며 튼튼하게 결착될 수 있고 파손 염려도 적으며 경제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sembled, disassembled, stored and shipped, can be securely attached, has little risk of breakage, and is excellent in economy and expandabilit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1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부와 슬릿의 세부 명칭을 도시하기 위한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시스템의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4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시스템의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1 to 8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form of a un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the detailed names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form of a unit garimm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upling form of a unit garimm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bined form of a unit garimmak of the garimma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form of the unit garimmak of the garimma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will only be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1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1 to 8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form of a un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부와 슬릿의 세부 명칭을 도시하기 위한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for showing the detailed names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form of the unit garimm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form of a unit garimm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시스템의 단위가림막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 블록도이다. 12 to 15 are plan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form of the unit garimmak of the garimma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 각 도면에서 점선은, 특정 형상이나 접힘선 등 실재하는 물리적 구조를 의미하지 않으며, 도면의 특정 부분을 개념적으로 가리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A dotted line in each of the above drawings does not mean an actual physical structure such as a specific shape or a fold line, but is used to conceptually indicate a specific part of the drawing.

우선 도 1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가림막 및 단위가림막을 포함하는 가림막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a unit garimmak and a garimmak system including a unit garimm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단위가림막(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이하 '110 ~ 180'으로 표현함)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elf-supporting garimma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garimmaks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Hereinafter '110 to 180 ')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은 얇은 일정한 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서, 결합시 일부 변형되어도 결합에서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소재는 두꺼운 종이, PP (폴리프로필렌),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C (폴리카보네이트) 및 압축발포 폴리염화비닐(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포맥스 내지 Formax라는 상품명으로 관용적으로 지칭되는 것) 중 하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nit shielding film 110 to 180 is a thin rectangular plate with a constant thickness, and must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silient so that its original shape can be restored when released from the bond even if it is partially deformed when combined, and the material is thick. It is preferred to be one of paper, PP (polyprop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 and compressed expanded polyvinyl chloride (commonly referred to in the market under the trade names Formax to Formax). .

이때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의 두께는, PET 소재로 제작할 경우 0.5mm 이상 1mm 이하의 일정한 값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두께가 이보다 얇아지는 경우 소재에 따라서는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이 세워진 채로 스스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unit shielding film 110 to 180 may be a constant value of 0.5 mm or more and 1 mm or less when made of PET material. When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than this, depending on the material,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hielding system 100 by itself while standing.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은,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 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부(111, 121,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이하 '111 ~ 181'로 표현함)를 포함한다. 관련하여 도1, 도2 및 도8은 일측에 결합돌기부가 형성된(111, 121, 181) 단위가림막을 예시하고 있고, 도3 내지 도7은 양측에 결합돌기부가 형성된(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단위가림막을 예시하고 있다.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includes coupling protrusions 111, 121, 131, 132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so that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Hereinafter expressed as '111 to 181'). In relation to this, FIGS. 1, 2 and 8 illustrate a unit shielding membrane in which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111, 121, 181), and FIGS. 3 to 7 show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unit screens are exemplified.

이때 상기 결합돌기부(111 ~ 181)는 각 복수개의 결합돌기(187-1, 188-1, 189-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87-1, 188-1, 189-1)는 그 내측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결합슬릿(195, 196)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to 181 each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87-1, 188-1, 189-1,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87-1, 188-1, 189-1 are the It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195 and 196 on the inside.

상기 결합 슬릿은, 요(凹)자 형상(196) 및 직사각형 형상(195)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sl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of a concave shape (196) and a rectangular shape (195).

이 가운데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은 공통슬릿부(196-1)를 포함한다. 이 공통슬릿부(196-1)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에 포함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부분으로서, 도1의 빗금 친 부분과 대응되는, 각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의 대응 부분이 이에 해당하는 것이다. Among them,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concave shape includes a common slit portion 196 - 1 . The common slit portion 196-1 is a long rectangular portion included in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and each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atched portion in FIG.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hape of the engaging slit 196 corresponds to this.

상기 결합돌기(187-1, 188-1, 189-1) 중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188-1, 189-1)는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2, 18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187-1, 188-1, 189-1) 중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187-1, 189-1)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 내측에 형성된 슬릿 내 돌기(196-2)를 더 포함한다.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187-1, 188-1, and 189-1, the coupling protrusions 188-1 and 189-1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195 protrude in a convex shape. 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188-2, 189-2), the coupling protrusion (187-1, 188-1, 189-1) including the concave (凹)-shaped coupling slit 196 of the The coupling protrusions 187-1 and 189-1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96-2 in the slit formed inside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concave shape.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111, 131, 141, 151, 152, 181)는 일자형 결합돌기부(187)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는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121, 132, 161, 162)는 요철형 결합돌기부(188)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5) 및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142, 171, 172)는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5),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shielding system 100,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131, 141, 151, 152, 181 ar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is concave. )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shape. In addition, in the shielding system 100, the coupling protrusions 121, 132, 161, 162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is of the rectangular shap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coupling slit 195 and the protrusion 188 - 2 protruding in the shape of the convex shape. In addition, in the shielding system 100, the coupling protrusions 142, 171, 172 ar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s 189, and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is the coupling slit of a rectangular shape ( 195), the coupling slit 196 having a concave shape and a protrusion 189-2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may be included.

즉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111 ~ 181)는, 일자형 결합돌기부(187), 요철형 결합돌기부(188) 및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 to 180,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to 181 are one of a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an uneven coupling protrusion 188, and a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it can be done

위 관련 도면을 다시 보면, 여기서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는 결합돌기부를 구성하는 각 일자형 결합돌기(187-1)와 이웃하는 일자형 결합돌기(187-1) 사이에 얇은 틈(190)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는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188-1)에 포함된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2)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188-1)에 포함된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2) 사이에 간격(191)이 벌어져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는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와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가 합쳐진 형태를 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에 포함된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개별 돌출부(189-2)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에 포함된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개별 돌출부(189-2) 사이에 간격(191)이 벌어져 있으며, 각 개별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의 뿌리 부분에는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와 마찬가지로 얇은 틈(19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구비한다.Referring back to the above related drawings, here,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has only a thin gap 190 between each of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7-1 constitut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adjacent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7-1. has bee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is adjacent to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1 that protrudes in a convex shape included i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1. ), a gap 191 is spread between the protrusions 188-2 protruding in the shape of an iron (凸) shape included in the . Meanwhile, th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189 takes a form in which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are combined. In th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189-1, th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189-1 is adjacent to the individual protrusions 189-2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included in th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189-1. A gap 191 is spread between the individual protrusions 189-2 protruding in the convex shape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189-1, and the root of each individual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1. The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thin gap 190 is formed, similarly to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

이때 상기 틈(190)은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의 바깥 방향, 즉 가림막부(105)가 위치한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열려 있다(상기 틈(190) 사이 공간이 상기 가림판의 외부와 연결된다는 의미로 사용됨).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의 각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187-1) 및 각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gap 190 is open toward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that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in which the garimmak part 105 is located (the above). It is used to mean that the space between the gaps 19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plate). Accordingly, each of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7-1 and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s 189-1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are movable in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이때 상기 결합돌기부(111 ~ 181)는 그 내측에 상기 결합 슬릿(115, 125, 195, 19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 슬릿(115, 125, 195, 196)은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고(195), 요(凹)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196).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to 181 have the coupling slits 115, 125, 195, 196 formed therein, and the coupling slits 115, 125, 195, 196 are rectangular in shape. It may be set to (195), and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concave (凹) shape (196).

즉, 상기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111 ~ 181)는 일자형 결합돌기부(187), 요철형 결합돌기부(188) 및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 중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슬릿(115, 125, 195, 196)은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고(195) 요(凹)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196). 또한 상기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에 포함된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188-1)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5)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의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187-1)는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의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189-1)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5),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196)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18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system 100,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to 181 have a shape of one of a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an uneven coupling protrusion 188, and a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Also, in the system 100, the coupling slits 115, 125, 195, 196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rectangular shape (195) 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concave (凹) shape. will (196). In addition, in the system 100,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1 included i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protrude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and a convex shap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sion (188-2). Meanwhile,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1 of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may include the coupling slit 196 having a concave shape. In addition, on the other hand,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1 of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is the coupling slit 195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concave shape and the iron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protrusion (189-1)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凸).

한편,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 170)은 상기 가림막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림막부(105)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120, 130, 140, 150, 160, 170)의 각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서, 각 상기 단위가림막(110, 120, 130, 140, 150, 160, 170)에서 상기 결합돌기부(111, 121) 부분을 각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nit garimmak 110 to 170 of the garimmak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the garimmak unit 105 . In this case, the garimmak part 105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unit garimmaks 110, 120, 130, 140, 150, 160, and 170, and each of the unit garimmaks 110, 120, 130, 140, 150, 160, 170), which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coupling protrusions 111 and 121, respectively.

이때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중 상기 가림막부(105)가 없이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1, 187)만으로 구성되는 상기 단위가림막(180)을 특히 본 명세서에서 '마감핀인 단위가림막'(180) 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핀인 단위가림막(180)은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1, 187)만으로 구성되는바, 그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일자형 결합돌기(187-1)들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among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the unit garimmak 180 composed of only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1 and 187 without the garimmak part 105 is specifically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unit garimmak that is a closing pin' (180). ) will be referred to as Referring to FIG. 8 , the unit shielding film 180, which is the closing pin, is composed of only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1 and 187,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coupling protrusions 187-1 formed on one side thereof.

이제 도10, 도11을 참조하여,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들이 결합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 설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Now,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a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10 to 180 are coupled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hielding system 100 including the connection part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은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이 2개 이상, 그리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이 1개 이상 함께 결합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irst, the garimmak system 100 includes the unit garimmak 110, 130, 140, 150, 170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when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are coupled. , 180) are two or more, and one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20, 130, 140, 160, 170, 180)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are coupled together to form a connection part can be done with

이러한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은, 상기 단위가림막들(110 ~ 180)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ing system 100 includes the two or more unit shields 110 and 130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when the unit screens 110 to 180 are combined 140, 150, 170, and 18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이때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각 187, 189 중 하나)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에 있어서(199-1)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의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각 187-1 및 189-1 중 하나)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져(199-2) 상기 결합돌기부(각 187 및 189 중 하나)가 겹쳐진 형태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공통슬릿부(196-1)가 겹쳐진 형태가 되는 것(199-3)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 130, 140, 150, 170, 180) is the coupling protrusion (one of each of 187, 189)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s In being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199-1),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of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films 110, 130, 140, 150, 170, 180 is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s (one of each 187-1 and 189-1) including each are inserted in a zigzag form (199-2)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one of each 187 and 189) are overla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or mor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on slit portion 196-1 of the unit shielding film is overlapped (199-3).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지도록(199-2) 하려면 상기 각 결합돌기(187-1, 189-1)에 휘어짐이 발생되는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은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야 하며, 상기 단위가림막(120, 160) 역시 제조에 있어서의 경제성 제고를 위해 공통의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그 탄력성 있는 재질이 휘어짐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복원력은 상기 단위가림막들(110, 130, 140, 150, 170, 18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In order to fit each other in the zigzag shape (199-2), bending occurs in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7-1, 189-1). , 170 and 180 should be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20 and 160 will also preferably be made of a common resilient material to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in manufacturing. At this time, the restoring force generated due to the bending of the elastic material contributes to maint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unit shields 110 , 130 , 140 , 150 , 170 and 180 .

도11은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진 것을 촬영한 것이다.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지도록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87)들의 모습(199-3)이 잘 나타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부(187)는 물론 상기 결합돌기부(189) 또한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과 상기 틈(190)을 포함하고 있는바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지도록 겹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1은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지도록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87)에서 상기 공통슬릿부(195-1)가 겹쳐진 형태 또한 잘 보여준다. 결국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상기 공통슬릿부(195-1)가 겹쳐지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공통슬릿부(195-1)에 대응되는 공간이 상기 단위가림막들을 모두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11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zigzags sandwiched together. The appearance (199-3)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in the overlapping form so that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film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are fitted with each other in the zigzag form is well shown. have.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rotrusion 187 as well as the coupling protrusion 189 also include a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and the gap 190,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in the zigzag form in the same way. it can be In addition, FIG. 11 also shows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common slit part 195-1 in the coupling protrusion 187 overlapping to fit each other in the zigzag shape. As a result, when the unit shielding films are arranged to overlap the common slit part 195-1,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mmon slit part 195-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all of the unit shielding films.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에 있어서, 스스로 빠져 와해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착상태가 유지되는 하나의 연결부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과, 그 상기 결합 슬릿(196)에 각 끼워져 연결되는 요철형 결합돌기부(188)를 포함하는(즉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이 필요한 것이다. After all, in the shie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reate a single connection part that does not fall out by itself and is firmly held in a fastened state, two or more of the concave-shaped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 130, 140, 150, 170, 180 including a coupling slit 196,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each fitted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slit 196 (that is, The at least one unit shielding membrane (120, 130, 140, 160, 170, 180) is required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나아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에 포함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의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99-3)에 포함된 각 상기 슬릿 내 돌기(196-2)에 각 걸림으로써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Further,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included in the one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120, 130, 140, 160, 170, 180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is the yaw ( Each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199-3 of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110, 130, 140, 150, 170, 180 including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凹-shape By engaging each of the projections 196-2 in the slit, the coupling is not released.

여기서 위와 같은 형태의 결합으로 인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나 고정 내지 연결,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프레임이 없이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ere, due to the above type of coupling,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or a separate part or frame for fixing or connecting or coupling.

이때 상기 각 걸림은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에,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99-3)를 중심으로 그로부터 외측 양방향(도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예시되어 있다)을 향한 장력이 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s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films 110, 130, 140, 150, 170, and 180 including the concave-shaped engaging slit 196,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n the overlapping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nsion is applied from (199-3) in an outward direction (illustrat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in Fig. 10) as a center.

즉,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들의 결합 및 그에 따른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 설치 구조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공통슬릿부(196-1)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199-3), 이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의 각 상기 결합돌기(187-1, 189-1)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지도록(199-2) 하고, 상기 공통슬릿부(196-1)에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를 포함하는(즉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의 결합돌기부(188)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에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99-3)를 중심으로 그로부터 외측 양방향(도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예시되어 있다)을 향한 장력이 작용되어,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에 포함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의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199-3)에 포함된 각 상기 슬릿 내 돌기(196-2)에 각 걸림으로써, 별도의 고정 장치나 고정 내지 연결,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프레임이 없이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스스로 빠져 와해되지 않는 스스로 견고하게 결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단위가림막간 연결부가 생성되며, 나아가 이로써 견고하게 결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총 3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 및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이 ㅜ자 또는 十자를 이루게 되므로, 세워진 상태에서 형태가 와해되지 않고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는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이 제공되는 것이다. That is, to summarize the above, the combination of the unit garimmaks 110 to 180 of the garimma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garimmak system 100 according thereto is,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films 110 , 130 , 140 , 150 , 170 , 180 including a )-shaped coupling slit 196 are disposed so that the common slit part 196 - 1 overlap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199-3), at this time,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 187-1 and 189-1) are fitted to each other in a zigzag form (199-2), and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is included in the common slit part 196-1 (that is,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8 of the one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120, 130, 140, 160, 170, and 180 (including a coupling slit 195) is fitted, and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110, 130, 140, 150, 170, 180, a tension is applied from the overlapped coupling protrusion 199-3 to the outside in both directions (illust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0), and the unit shielding membrane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s ( 110, 130, 140, 150, 170, 180 by each hooking on the protrusions 196-2 in the slits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s 199-3 of the overlapping form, separate fixing devices or fixing thru The connected state is maintained even without a separate part or frame for connection and bonding, thereby creat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unit garimmak that maintains a fixed state by itself and does not disintegrate by itself. A total of three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the two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10, 130, 140, 150, 170, 180) and the one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20, 130, 140, 160 connected to the maintained connection part , 170, 180)) form a TT character or a 十 character, so that the shielding system 100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out breaking its shape in an erected state is provided.

한편,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 내측의 슬릿 내 돌기(196-2)의 높이(196-4)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120, 130, 140, 150, 160, 170)이 상기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하는 다른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과 서로 결합됨에 있어서, 한 개의 슬릿 내 돌기(196-2)에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이 두 개 이상 끼워져 걸려서 고정되는 경우에도 상기 끼워져 걸리는 구조가 유지되도록 대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196-4 of the protrusion 196-2 in the slit insi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180. can do. As a result,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 120, 130, 140, 150, 160, 170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s another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195. In being coupled to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20, 130, 140, 160, 170, 180), two or more of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s 195 are fitted and fixed to the protrusion 196-2 in one slit. Even in a case, it can be prepared so that the fitted structure is maintained.

한편,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88-1, 189-1)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 내측의 슬릿 내 돌기(199)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의 폭(195-1)이 상기 슬릿 내 돌기(196)의 폭(196-3)보다 크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195 located inside the protrusions 188-1 and 189-1 protruding in the convex shape is insi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n order to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 199 in the slit of the will be.

한편, 이미 여러 차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 있으나 이를 다시 확인하면,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은, 결합된 상기 단위가림막들(110 ~ 180)이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평면 위에 세워진 상태로 넘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와해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총 3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 및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 180))이 ㅜ자 또는 十자를 이루게 되므로, 세워진 상태에서 형태가 와해되지 않고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는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이 제공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s already been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several times, if it is confirmed again, the garimmak system 100 does not fall over in a state in which the combined unit garimmaks 110 to 180 are erected on a flat surface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s disclosed above, a total of three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the two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10, 130, 140, 150, 170, 18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coupling is firmly maintained without being broken. And since the one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20, 130, 140, 160, 170, 180)) form a TT or 十 character, the garimmak system 100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out breaking its shape in an erected state is will be provided

이로써 본 발명은 쉽게 제조, 조립, 분해가 가능하고 보관 및 배송도 용이하며 튼튼하게 결착될 수 있고 파손 염려도 적으며 경제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100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ssembled, disassembled, stored and shipped, can be firmly attached, has little risk of breakage, and is excellent in economy and expandability.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의 각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간의 결합 형태 및 그에 따른 설치 구조를 각 단위가림막 별로 설명한다. 이때 도12 이하의 도면들은 설명을 위한 블록도인바, 해당 도면의 치수(상기 단위가림막의 두께 등)가 실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치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 10 및 도12 내지 도 16 중에는 상기 틈(190)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도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도면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것을 막아 시인성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서, 상기 틈(19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상기 틈(190)이 도시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가 도시된 부분에는 상기 틈(190)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2 to 16 , a coupling form between the unit garimmaks 110 to 180 of the garimmak system 100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corresponding thereto will be described for each unit garimmak. At this time, the drawings below FIG. 12 are block diagrams for explanation, and the dimensions of the drawings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unit covering film) correspond to the dimension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ov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 addition, drawings in which the gap 190 is not shown are included in FIGS. 10 and 12 to 16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ich is intended to increase visibility by preventing the drawing from becoming too complicated, and the gap 190 is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that it does not exist. That is, regardless of whether the gap 190 is shown,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gap 190 is present in the portion where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or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is shown.

도10 및 도12 내지 도16에서, 상기 단위가림막(110, 120, 130, 140, 150, 160, 170)을 지시하는 지시부호 옆에 기재된 괄호 내의 숫자는 해당 숫자가 지시하는 유형의 상기 결합돌기부(187, 188, 189)가 해당 단위가림막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지시부호 옆에 기재된 괄호 내의 숫자 중 밑줄처리되어 기재된 것은, 해당 결합돌기부가 해당 단위가림막의 이웃하는 다른 단위가림막과의 결합에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In FIGS. 10 and 12 to 16 , the number in parentheses next to the indicating sign indicating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10, 120, 130, 140, 150, 160, 170 indicates the ty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number. It means that (187, 188, 189)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unit screen. In addition, underlined numbers in parentheses written next to the indicator indicate that the corresponding coupling protrusion was used for bonding the unit shielding membrane with another neighboring unit shielding membrane.

도10을 참조하면, 도10은 2개의 상기 단위가림막(130)과 3개의 상기 단위가림막(150)이 2개의 연결부를 이루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 in FIG. 10 , the two unit shielding films 130 and the three unit shielding films 150 form two connecting portion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부에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30)이 2개 이상 있어야 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 중 하나)가 겹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10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시부호 c가 가리키는 연결부의 경우, 상기 단위가림막(150-1)과 상기 단위가림막(150-2)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요철형 결합돌기부(188)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지시부호 c가 가리키는 연결부의 지그재그형 결합 형태에서 드러나듯,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요철형 결합돌기부(188)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187)의 각 결합돌기(187-1)가 지그재그로, 즉 서로 번갈아 위로 올라오는 형태로 끼워져 상기 공통슬릿부(196-1)가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이 끼워지고, 다시 상기 단위가림막(150-1, 150-2)에 화살표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150-1, 150-2)의 상기 슬릿 내 돌기(196-2)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에 각 걸려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re should be two or more of the unit garimmak 130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n one connection part, and the concave-shaped coupl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On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including the slit 196 should be disposed to overlap. This can also be confirmed in FIG. 10 .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art indicated by the reference symbol c, the unit garimmak 150-1 and the unit garimmak 150-2 are arranged so that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overlap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In the directio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30 is coupl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and as revealed in the zigzag coupling form of the connecting part indicated by the reference symbol c, before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30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cave shape Each coupling protrusion 187-1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7 including the coupling slit 196 of the shape is fitted in a zigzag, that is, alternately ascending, so that the common slit part 196-1 overlaps. In the arranged state,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is fitted, and tension is applied to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50-1 and 150-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gain to form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The protrusion 196-2 in the slit of the unit covering film 150-1, 150-2 including 195), each hooked and fitted.

마찬가지로 지시부호 a 및 b 가 가리키는 연결부의 경우에도, 상기 단위가림막(150-2, 150-3)이 상기 결합돌기(187-1)가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겹쳐지도록 하고(지시부호 b), 그 뒤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가 결합(지시부호 a)되고 상기 단위가림막(150-2, 150-3)에 화살표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150-2, 150-3)의 상기 슬릿 내 돌기(196-2)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에 각 걸려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Similarly, even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art indicated by the indications a and b,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50-2 and 150-3 allow the coupling protrusions 187-1 to overlap in the zigzag shape (indicated by b), and the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30 is coupled (indicated by reference symbol a), and tension is applied to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50-2 and 150-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form the concave shape. The protrusions 196-2 in the slits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150-2 and 150-3 including the coupling slit 196 in the shape of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30 including the coupling slit 195 in the rectangular shape. Each is hooked and fitted to the coupling slit 195 of the rectangular shape.

도12 내지 도20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의 결합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 블록도이다. 도12는 도13 이하에서 나타나는 각 구성요소가 어떤 블록으로 표현되는지 정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12 to 20 are plan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forms of the unit shielding films. FIG. 12 is a view showing in which block each component shown in FIG. 13 or less is represented.

도13 이하의 다양한 결합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의 결합형태 및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의 설치 구조는 도13 이하의 예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The various coupling forms shown in FIG. 13 are exemplary, and the coupling types of the unit garimmak 110 to 180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garimma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to the examples shown in FIG. 13 or less. it is not

도13 이하의 평면 블록도에 따라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이 결합됨에 있어, 위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10, 130, 140, 150, 170, 180)(도13의 경우 110)이 2개 이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부(187, 189)가 가운데 오도록 하여 배치되고, 그 각 결합돌기(187-1)가 지그재그로, 즉 서로 번갈아 위로 올라오는 형태로 끼워져(199-2) 상기 공통슬릿부(196-1)가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그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1개 이상의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도13의 경우 130)이 상기 공통슬릿부(196-1)에 끼워지고, 다시 상기 단위가림막(도13의 경우 110)에 연결부로부터 외측 방향(지시부호 f를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되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도13의 경우 110)의 상기 슬릿 내 돌기(196-2)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을 포함한 상기 단위가림막(130)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195)에 각 걸려 끼워져 결합되며, 이로써 견고하게 결착상태가 유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When the unit shielding films 110 to 180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plan block diagram below in FIG. 13 ,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 including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110, 130, 140, 150, 170, 180 (110 in the case of FIG. 13) are arrang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187 and 189 are in the center in opposite directions, Each coupling protrusion 187-1 is fitted in a zigzag manner, that is, alternately ascending (199-2) so that the common slit part 196-1 overlaps, and is relatively perpendicular to it.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20, 130, 140, 160, 170 (130 in FIG. 13) including one or more arranged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s 188 is inserted into the common slit part 196-1, and , again, tension is applied to the unit shielding film (110 in the case of FIG. 13) from the connection part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arrow direction pointing to the reference symbol f), and the unit shielding film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 In the case of FIG. 13, the projections 196-2 in the slits of 110) are each caught and fitted into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s 195 of the unit shielding film 130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s 195 and are coupled. , thereby forming a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binding state is firmly maintained.

이때 도면에서 도시된 상기 각 단위가림막(110 ~ 180)은, 도시된 상기 각 단위가림막(110 ~ 180)의 도면상 연결부의 상기 결합 슬릿(195, 196)과 동일한 종류의 상기 결합 슬릿(195, 196)을 같은 위치 내지 대응되는 위치에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위에서 설명된 바에 따라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특성은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이 높은 확장성 및 재활용 가능성을 갖도록 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unit shields 110 to 180 shown in the drawings is the same type of the coupling slits 195 and 196 as the coupling slits 195 and 196 of the connecting part of each of the shown unit coverings 110 to 180 in the drawing. 196) may be replaced with other types of the unit shielding films 110 to 180 includ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positions. This point will be clearly understood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more, this characteristic allows the shielding system 100 to have high scalability and recyclability.

참고로, 도20에 대해서만 더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20의 마감핀인 단위가림막(180)은,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구비한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187)를 일측에 구비하고, 다른 일측은 아무런 결합돌기부도 없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196)을 구비한 단위가림막이 모자랄 때 그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188) 또는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189)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가림막(120, 130, 140, 160, 170)을 ㄷ자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배치하여 결합, 고정하는 경우 연결부의 생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부가 없는 상기 다른 일측이 바깥쪽으로 오도록 하여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하게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 구성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관련하여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 중 상기 단위가림막(110, 120) 또한 일측에 아무런 결합돌기부도 없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바, 이 또한 결합돌기부가 없는 상기 다른 일측이 바깥쪽으로 오도록 하여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하게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 구성이 마감될 수 있도록 한다.For reference, if only the description of FIG. 20 is more amplified, the unit shielding film 180, which is the closing pin of FIG. 20, includes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 having the concave shape coupling slit 196. It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as a linear shape without any coupling protrusions, and for example, when the unit shield hav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6 is insufficient,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There, the unit shielding membrane (120, 130, 140, 160, 170) including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 or the hybrid coupling protrusion 189 is arranged in a U-shape or H-shape to combine and fix In this case, it can be used to create a connection part. In addition, the other side withou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inished so that it comes out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system 100 neatly in terms of aesthetics. In relation to this, among the unit garimmaks 110 to 180, the unit garimmaks 110 and 120 also have a linear shape without any coupling protrusions on one side, so that the other side without the coupling protrusions is also closed so that the other side comes outward. By doing so,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system 100 can be finished neatly in terms of appearance.

위와 같은 상기 가림막 시스템(100)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평면 위에 세워진 상태로 넘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도 9 내지 도 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당연하다. The shielding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fall over while standing on a flat surface without a separate fixing device. This is structurally natural as shown in FIGS. 9 to 15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까지 시장에 등장한 가림막 제품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가림막의 설치시에는 가림막을 사전에 조립하여 운송한 뒤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접착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휴대가 불가능한 것은 물론, 운반에 있어 불편이 초래되었고, 많은 양의 가림막을 한꺼번에 운반하기도 어려웠으며, 그에 따라 운송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었다. 한편 현재까지 시장에 등장한 가림막 가운데에는, 판 형상의 가림막 부품 및 가림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품을 운송한 뒤, 설치시 판 형상의 가림막 부품들을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설치하는 형태의 제품도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제품은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며, 가림막 부품과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은 서로간에 나사결합으로 연결, 고정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 가림막을 운송 전 조립할 필요는 없지만, 운송 후 조립, 설치가 쉽지 않고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As mentioned above, the screen products that have appeared on the market so far are usually made of transparent plastic or glass material. It was common to fix it or fix it using an adhesive material.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carry it, and it is inconvenient to transport it, and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screen at once, and accordingly,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is spent for transport.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creens that have appeared on the market so far, the plate-shaped screen parts and the connecting parts for connecting the screen are transported, and then, when installing, the plate-shaped screen parts are connected using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nd installed. There were also products in the form of This type of product is generally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hielding part and the parts or frame for separate fixing are connected and fixed by screwing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assemble the screen before transpor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fter transport, and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re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가림막 제품들은, 별도의 고정, 연결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이 파손되는 경우 전체 가림막의 형태가 와해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Existing shielding product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when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nd connection are damaged, the shape of the entire screen is broken.

또한, 위와 같은 기존의 가림막 제품들은, 일단 설치하면 이를 분해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환하거나,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재활용을 불가능하게 하는바 비경제적이다. In addition, once installed, it was difficult to disassemble, convert to another use, or install in a different place, such as the above existing screen products. This makes recycling impossible and is uneconomical.

또한, 위와 같은 기존의 가림막 제품들은, 별도의 고정, 연결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이 가림막과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그 설치 형태가 제한을 받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조립, 설치 자체가 쉽지 않아 기존에 설치된 가림막 구조물에 새로운 가림막을 덧붙여 확장하거나 형태를 변경하는 작업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shielding products as described above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ir installation form is limited depending on the method in which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nd connection are connected to the screen. It was also difficult to expand or change the shape by adding a new screen to the installed screen structure.

그러나, 역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람이 말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바이러스가 비말에 의하여 앞에 앉은 상대방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도의 용도로 사용됨에 있어서는 반드시 가림막이 설치되는 평면에 완전히 고정될 필요가 없다. 또한 가림막은 임시적으로 설치된 후 불필요하게 되면 이를 분해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환하거나, 다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필요도 있다. However, as also mentioned above, when a person speaks or sneezes,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virus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erson sitting in front by droplets, it must be completely fixed to the plane where the screen is installed. there is no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isassemble, convert to another use, or install the screen in another place if it becomes unnecessary after being temporarily install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위와 같은 필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착안, 발명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 연결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끼움결합만으로 설치되므로 매우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그 분해, 철거 및 다른 장소에의 설치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가림막 설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lf-supporting shie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and invented to respond to the above needs, and according to the system 100, separate fixing and connecting parts or frames There is no need to connect using a diaphragm, and since it is installed only by simple fitting, it can be installed very easily, and a screen installation structure having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asy to disassemble, dismantle, and install in other place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소독을 거쳐 가림막을 손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경제적이다. 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shie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easily recycle the shielding film through simple disinfection, and thus is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매우 간단한 형상의 경량 부품들로만 구성되고, 그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므로 미리 조립, 고정하여 운반할 필요가 없는바, 제조도 용이하고 대량 운송도 쉬워, 제조자 및 유통업자가 제조 및 운송이라는 납품의 전 과정에 있어 비용을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가림막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nly of lightweight parts having a very simple shape, and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are very easy, so there is no need to assemble, fix, and transport in advance. It is easy to use and easy to transport in bulk, enabling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to provide economical screen solutions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costs in the entire delivery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transport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소형, 경량의 상기 단위가림막(110 ~ 180)을 포함하고, 그 결합으로 가림막 설치 구조가 제공되는바, 사용자가 이를 쉽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garimma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mall and lightweight unit garimmak 110 to 180, and the combination provides a garimmak installation structure, allowing the user to easily Make it portable and porta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결합 부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복원력 및 상기 끼워져 걸리는 구조로 인하여 장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되는바, 별도의 고정, 연결을 위한 부품 내지 프레임이 파손되는 경우 전체 가림막의 형태가 와해되는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결합, 설치된 구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shie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of the bonding site, and as described above, is tightly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tens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and the interposed structure. Unlike existing products in which the shape of the entire screen is broken when parts or frames for separate fixing and connection are damaged, the combined and installed structure is continuous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은, 상기 도10 및 도12 내지 도20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매우 용이하게 여러가지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며, 그 확장성 또한 뛰어나다. In addition, the self-supporting shiel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very easily, and its expandability is excellent, as shown in FIGS. 10 and 12 to 20 . .

위에서 열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 가능한 가림막 시스템(100)의 장점들은, 기존의 선행기술이나 시장에 존재하는 기존 제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것이다. Advantages of the self-supporting scree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ed above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existing prior art or existing products existing in the market.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가림막 시스템
105: 가림막부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단위가림막
111, 121,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결합돌기부
115, 125, 195, 196: 결합슬릿
187: 일자형 결합돌기부
187-1: 일자형 결합돌기
188: 요철형 결합돌기부
188-1: 요철형 결합돌기
189: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
189-1: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
188-2, 189-2: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
190: 각 요철형 결합돌기 또는 각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
191: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 사이의 간격
195: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
195-1: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의 폭
196: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
196-1: 공통슬릿부
196-2: 슬릿 내 돌기
196-3: 슬릿 내 돌기의 폭
196-4: 슬릿 내 돌기의 높이
199-1: 단위가림막들이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결합돌기부들이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모습
199-2: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결합돌기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진 모습
199-3: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모습
100: shield system
105: Garimbakbu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unit screen
111, 121, 131, 132, 141, 142, 151, 152, 161, 162, 171, 172, 181: coupling protrusions
115, 125, 195, 196: coupling slit
187: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187-1: straight coupling projection
188: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188-1: concave-convex coupling projection
189: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189-1: hybrid-type bonding protrusion
188-2, 189-2: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shape of an iron (凸)
190: a gap formed between each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or each hybrid coupling protrusion
191: gap between th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shape of an iron (凸) shape
195: rectangular shape coupling slit
195-1: the width of the coupling slit of the rectangular shape
196: concave (凹) shape coupling slit
196-1: common slit part
196-2: protrusion in slit
196-3: the width of the projection in the slit
196-4: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n the slit
199-1: A state in which the unit shielding membranes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with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a concave-shaped coupling slit
199-2: A state in which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a concave-shaped coupling slit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in a zigzag form
199-3: A state of overlapping coupling protrusions to form a connection part

Claims (8)

가림막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단위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가림막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가림막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부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내측에 1개 또는 복수개의 결합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슬릿은, 요(凹)자 형상 및 직사각형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은 공통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 중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 중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내측에 형성된 슬릿 내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각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 screen system comprising: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screens,
The unit shielding film,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unit shielding film so that the unit shielding films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oupling slits on the inside thereof,
The coupling sl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of a concave shape and a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slit of the concave shape includes a common slit portion,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rectangular coupling sl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in the slit formed inside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When the unit shielding system is coupled, two or more of the unit scree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are combined with one or more of the unit screens each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when the unit screens are coupled. characterized by being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될 때,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돌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끼워져 상기 결합돌기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공통슬릿부가 겹쳐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1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포함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 슬릿이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의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에 포함된 상기 슬릿 내 돌기에 각 걸림으로써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이때 상기 각 걸림은 상기 요(凹)자 형상의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단위가림막에 상기 겹쳐진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부를 중심으로 그로부터 외측 양방향을 향한 장력이 작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system may include, when the unit screens are coupled, the two or more unit shield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In the shielding system, the two or more of the unit shielding films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in an overlapping form with the engag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engaging slits,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ing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s are fitted with each other in a zigzag form to form an overlapping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on slit sections of the two or more unit shielding membranes are overlapped, characterized in that ,
The shielding system, wherein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unit including the rectangular-shaped coupling slit includes the concave-shaped coupling slit of the two or more units The two or more units including a coupling slit in the concave shape are prevented from being uncoupled by each hooking on the protrusions in the slit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shielding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in both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outside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overlapping form on the screen.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가림막은, 가림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garimm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arimmak part,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내 돌기는, 상기 슬릿 내 돌기의 높이가 상기 단위가림막 두께의 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n the sl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n the slit is at least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unit shielding film,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 시스템은, 상기 단위가림막들이 결합된 후 별도의 고정장치로 고정되지 않아도 평면 위에 세워진 상태로 넘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arimmak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fall over while standing on a flat surface even if it is not fixed with a separate fixing device after the unit garimmaks are combined.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요철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철형 결합돌기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상기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The concave-convex coupling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coupling slit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convex shape,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일자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자형 결합돌기부는,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The straight coupling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oupling slit of the concave (凹) shape,
blin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이브리드형 결합돌기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요(凹)자 형상의 상기 결합 슬릿 및 철(凸)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hybrid type coupling protrusion,
The hybrid-type coupling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coupling slit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slit having a concave shap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blinding system.
KR1020200099906A 2020-08-10 2020-08-10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KR102342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06A KR102342108B1 (en) 2020-08-10 2020-08-10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06A KR102342108B1 (en) 2020-08-10 2020-08-10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108B1 true KR102342108B1 (en) 2021-12-21

Family

ID=7916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06A KR102342108B1 (en) 2020-08-10 2020-08-10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1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126A (en) * 2003-06-30 2004-01-31 이명 A sectional desk for reading book
KR101438404B1 (en) * 2013-08-07 2014-09-12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partition for a desk
KR101822833B1 (en) 2017-08-08 2018-01-29 정석건설 주식회사 Shield Device
US20190059594A1 (en) * 2017-08-30 2019-02-28 Clark Evan Davis Modular furniture with locking tab and slot joint
KR102113865B1 (en) * 2020-04-09 2020-05-21 심재일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part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126A (en) * 2003-06-30 2004-01-31 이명 A sectional desk for reading book
KR101438404B1 (en) * 2013-08-07 2014-09-12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partition for a desk
KR101822833B1 (en) 2017-08-08 2018-01-29 정석건설 주식회사 Shield Device
US20190059594A1 (en) * 2017-08-30 2019-02-28 Clark Evan Davis Modular furniture with locking tab and slot joint
KR102113865B1 (en) * 2020-04-09 2020-05-21 심재일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part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38090A1 (en) Screen seaming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1832496B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CN102224446A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YU3104A (en) Panel seal for an air handling unit
CN105814485B (en) Seamless display screen for Fast Installation
US200901679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7238963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1439648A (en)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CN104662593B (en) The holding structure of display module
CN103513456A (en) Display module, front panel assembly of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module
TWI660220B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24510773A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H06317849A (en) Projection type television receiver
KR102342108B1 (en) Self-sustaining screen system
CN104950500A (en) Backboard and plastic frame connec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WO2020015705A1 (en) Backplane structure of display screen and interactive intelligent panel
WO1998026136A9 (en) Building panel system
WO2017063281A1 (en) Backplane and direct-lit backlight module
CN207833837U (en) Box frame, LED box and LED display
CN201838264U (en) Combined LED striped screen
US5831585A (en) Light transmission screen
EP0950141A1 (en) Building panel system
KR20150056352A (en) Screen for projec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4748342A (en) Box structure of air handling unit
CN107367859A (en) A kind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